KR20200102565A -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565A
KR20200102565A KR1020190020341A KR20190020341A KR20200102565A KR 20200102565 A KR20200102565 A KR 20200102565A KR 1020190020341 A KR1020190020341 A KR 1020190020341A KR 20190020341 A KR20190020341 A KR 20190020341A KR 20200102565 A KR20200102565 A KR 20200102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pyrazolo
dimethyl
pyridazin
carbox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288B1 (ko
Inventor
신동윤
박성진
지준구
이동렬
김현휘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28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4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61K31/5025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화합물은, Hsp90의 C-말단 영역에 결합하여 Hsp90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바,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Hsp90 관련 질환, 예를 들어 흑색종, 뇌종양, 유방암, 폐암과 같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YRAZOLOPYRIDAZIN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90 kDa크기의 열 쇼크단백질 (Hsp90)은 샤페론 단백질로서, 단백질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Hsp90에 의해 성숙되는 단백질은 300여 가지 이상이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는 질병에 관여하는 단백질도 존재한다. 특히 암의 발생이나 진전과 관련된 특징을 나타나게 하는 단백질도 존재한다. 이러한 단백질들의 합성을 촉진하기 위해 정상 세포보다 암세포에서 Hsp90의 발현 비율이 5-10배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Hsp90에 의존하는 클라이언트 단백질은 암의 10 가지 특징과 관련되어 있다. Hsp90의 생물학적 작용이 차단되면 암 관련 클라이언트 단백질이 안정화될 수 없고, 미성숙 상태에서 유비퀴틴-프로테아좀 경로에 의해 분해되어 발암 경로를 방해한다. 즉, Hsp90 활성의 억제는 항암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Hsp90 억제제는 암 화학 요법제 개발을 위한 매력적인 표적으로 떠오르고 있다.
Hsp90은 N 말단, 중간 및 C 말단 도메인을 포함하고, 각 도메인은 상이한 기능과 관련되어 있다. N-말단은 ATP 결합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백질을 안정화시키는 구조 변화를 야기한다. C- 말단 도메인은 단백질의 기능적 특성의 주요 양태인 Hsp90 이합체화(dimerization)를 조절한다. 각 도메인을 표적하여 새로운 소분자가 개발되고 있다.
Hsp90의 N 말단에는 ATP 결합 부위가 있고, Hsp90 N 말단 억제제의 결합 모드는 잘 정의되어 있는 바, Hsp90 억제제를 개발하기 위한 초기의 노력은 경쟁적 억제제 역할을 하고, Hsp90의 N 말단에 결합하는 화합물에 중점을 두었다.
'겔다나마이신(Geldanamycin)'과 '레조시놀(Resorcinol)'의 유사체는 Hsp90 N 말단 억제제로 잘 알려져 있다. 최근, Hsp90 N-말단을 표적으로 하는 신약 후보가 조사되었다. 사실, 이 영역을 겨냥한 17 개의 소분자는 병용 요법으로 흑색종, 폐암 및 유방암에 대한 임상 시험을 하였다. 임상 시험에 들어간 대표적인 Hsp90 N-말단 억제제를 도 2에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낮은 생체 내(in vivo) 효능과 일부 독성으로 인해 문제가 되어, FDA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는 일반적으로 열 쇼크 반응과 관련이 있다. 열 쇼크 반응은 단백질의 항상성 유지를 위한 생존 기전인데, 세포가 저산소증, 기계적 스트레스, 자외선과 화학 물질에 노출, 감염, 영양 결핍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하에, 이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열 쇼크 반응이 유발된다. 손상된 세포는 Hsp90으로부터 전사 인자 Hsf-1의 방출을 야기한다. 정상 상태에서, Hsf-1은 불활성 단량체로서 존재하며 Hsp90에 결합한다. 방출시, Hsf-1은 삼량체화에 의해 활성화 되어, 인산화된다. 또한, 이들은 핵으로 이동하여 Hsp90과 유사한 항아포프토시스 단백질인 Hsp27, Hsp70의 과발현을 포함하여, 생존(prosurvival) 메커니즘을 상향 조절하고, 컨센서스 서열에 결합한다.
N 말단에 결합하는 Hsp90의 억제제는 효과적인 농도에서 열 쇼크 반응의 유도를 초래하고, 이에, 억제제의 전반적인 항증식 활성이 감소된다.
한편, Hsp90 C-말단 억제제는 효과적인 농도에서 열 쇼크 반응의 유도 없이 클라이언트 단백질 분해를 일으킬 수 있는 항증식 활성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C-말단 억제제는 Hsp90 억제가 알로스테릭 조절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매력적인 대체 전략이다. 억제제에 결합되는 Hsp90의 C-말단의 공-결정 구조가 거의 분석되지 못했지만, 항암제로서의 Hsp90 C-말단 억제제에 대한 약물 개발은 천연물 기반의 화합물들의 최적화를 통해 개발되어 왔다.
방성균 스트렙토미세스 니베우스와 녹차에서 분리된 주요 폴리 페놀인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아미노쿠마린 항생제로 알려진 노보비오신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졌다(도 3a).
쿠마린 함유 DNA 자이라제 억제제인 노보비오신은 Hsp90 C-말단에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행히도, Hsp90 클라이언트의 저하를 일으키는 능력은 상대적으로 약하다. 초기 연구는 기본적인 구조-활동 관계(SAR)를 보여주었다. 노보비오신에 대한 연구로 항암제와 신경 보호제가 개발되었다. 노보비오신은 벤즈아미드 테일, 노비오즈 당, 쿠마린 코어를 함유한다. B. Blagg의 연구팀은 각 영역의 구조-활동 관계(SAR)를 보고했다.
신경 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짧은 알킬 또는 사이클로 알킬 아미드 측쇄를 함유한다. 대조적으로, 항암제는 5 개 이상의 탄소를 함유하고, Hsp90과 공-샤페론 단백질 사이의 상호 작용을 파괴하고, Hsp90 의존성 클라이언트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한다.
개선된 용해도 및 항증식 활성을 나타내는 노보비오신의 쿠마린 고리의 노비오즈 부가물의 당 유사체 및 아미노 유사체가 생산되었다. 합성적으로 복잡한 노비오즈 당을 간단한 에테르 또는 메틸렌 연결 방향족 측쇄로 대체하면 Hsp90 C-말단 억제에 기인하는 적정한 항증식 활성이 나타났다.
당 유사체의 라이브러리에서, 우리는 피라노오스가 최적인 것으로 확인했으며 20-히드록시기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수정된 당을 함유한 몇가지 저 마이크로몰 유사체도 확인되었다.
일련의 아자당(azasugar) 함유 유사체들로부터, 우리는 노비오스를 피페리딘 고리로 대체하는 것이 일관성 있게 저 마이크로몰의 항증식 활성을 초래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말단 1차 아민을 3차 아민으로 대체하면 여러 세포주에 대하여 효능이 증가하였다. 요약하면, 결합 포켓에 증가된 친유성보다 친수성 아미노기의 존재는 효능을 보다 향상시킨다. 바이페닐 부분은 노보비오신의 쿠마린 고리 시스템에 대한 적절한 대체물로 확인되었다. 쿠마린 대용으로서 바이페닐의 발견은 합성을 단순화할 뿐 아니라 구조-활성 관계의 간결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변형에 신속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신경병증 치료를 위한 임상 연구중인 KU-596은 2세대 Hsp90 C-말단 조절자이다. KU-596은 열 쇼크 반응의 유도를 통해 Hsp70 수준을 유도하고 신경 보호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EGCG(Epigallocatechin-3-gallate)는 Hsp90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러나 이 천연물에 대한 구조-활성 관계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B. Blagg의 연구팀은 EGCG와 Hsp90 사이의 구조-활성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 EGCG 유사체의 합성 및 생물학적 평가를 보고했다.
전술한 바와 같이, Hsp90 C-말단을 타깃한 신규 억제제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불충분하고, 여전히 질환 치료를 위한 신규 약물로서 제공될 수 있는 신규 Hsp90 억제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구조기반 가상검색을 통해서 Hsp90의 C-말단에 결합할 수 있는 분자 스캐폴드를 연구하였고, 나아가 충분한 항증식 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신규 Hsp90 억제제를 규명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Hsp90의 C-말단 영역에 결합하는 신규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화합물을 합성하였고, 암에 대한 우수한 항증식 활성을 확인한 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Journal of Natural Products 2011, 74 (5), 1085-1092.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11, 21 (23), 7170-7174. Acs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15, 6 (2), 204-209.
본 발명의 목적은 Hsp90에 대한 신규 억제제로서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Hsp90(Heat shock protein 90) 관련 질환 또는 병태, 예를 들어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이거나, 또는 R1 및 R2는 함께 연결되어 4-10 원자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되,
여기서, 상기 고리를 이루는 원자는 C, N, O,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원자이되, 상기 원자는 원가가에 맞게 비치환 또는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원자가 치환되는 경우, H,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젠, 아미노, 니트로, 시아노, -COOH, -(C=O)-OR6, 또는 -(C=O)-NR6R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되,
여기서, 상기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10아릴-C1-3알킬이되,
다시 여기서, 상기 치환된 알킬, 및 치환된 아릴은,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젠, 아미노, 니트로 및 시아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또는
상기 R6 및 R7은 함께 연결되어
Figure pat00002
를 형성하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이고; 및
R5는 H,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젠, 아미노, 니트로 또는 시아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R1R2NH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3
(상기 반응식 1에 있어서,
R1, R2, R3, R4, 및 R5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Hsp90(Heat shock protein 90) 관련 질환 또는 병태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화합물은, Hsp90의 C-말단 영역에 결합하여 Hsp90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바,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Hsp90 관련 질환, 예를 들어 흑색종, 뇌종양, 유방암, 폐암과 같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암 관련 클라이언트 단백질의 10 홀마크 및 Hsp90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Hsp90 N 말단 억제제의 대표적인화합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Hsp90 C 말단 억제제에 대한 초기 연구로서, 각각 (a) 노보비오신, (b)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SD-1199 유도체의 합성 전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히트 분자' 발견을 위한 인실리코(In silico) 스크리닝을 사용하여 나타낸 피라졸로피리다진 스캐폴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찾아낸 히트 화합물의 화학 구조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a) A549, (b) MCF7, (c) U87MG 암세포주에 대한 SD-240, SD-1199, CI1, 및 DMAG의 농도에 따른의 항증식 활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a) A549, (b) MCF7 암세포주에 대하여, 1 μM 또는 10 μM의 본 발명 실시예 1-11, 23-26 화합물, 양성 대조군의 항증식 활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a) A549, (b) MCF7 암세포주에 대하여, 1 μM 또는 10 μM의 본 발명 실시예 12-22 화합물, 양성 대조군의 항증식 활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a) A549, (b) MCF7 암세포주에 대하여, 1 μM 또는 10 μM의 본 발명 실시예 12-22 화합물,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의 항증식 활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주가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이거나, 또는 R1 및 R2는 함께 연결되어 4-10 원자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되,
여기서, 상기 고리를 이루는 원자는 C, N, O,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원자이되, 상기 원자는 원가가에 맞게 비치환 또는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원자가 치환되는 경우, H,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젠, 아미노, 니트로, 시아노, -COOH, -(C=O)-OR6, 또는 -(C=O)-NR6R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되,
여기서, 상기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10아릴-C1-3알킬이되,
다시 여기서, 상기 치환된 알킬, 및 치환된 아릴은,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젠, 아미노, 니트로 및 시아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또는
상기 R6 및 R7은 함께 연결되어
Figure pat00005
를 형성하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이고; 및
R5는 H,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젠, 아미노, 니트로 또는 시아노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R1 및 R2는 함께 연결되어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 또는
Figure pat00008
을 형성하고,
상기 R8는 H, -(C=O)-OR6, 또는 -(C=O)-NR6R7이고,
여기서, 상기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이되,
다시 여기서, 상기 치환된 벤질은,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히드록시, 및 할로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또는
상기 R6 및 R7은 함께 연결되어
Figure pat00009
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메틸이고; 및
상기 R5는 H,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또는 할로젠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1)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 N-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3-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4)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4-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5) N-(3-메톡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6) N-(4-메톡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7) N-(2-플루오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8) N-(3-플루오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9) N-(4-플루오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0) N-(3-클로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1) N-(4-클로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2)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3) N-벤질-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4)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3-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5)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4-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6)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3-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7)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4-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8)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9)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3-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0)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4-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1) N-(3-클로로벤질)-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2) N-(4-클로로벤질)-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3)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실레이트;
(24) 2-(4-메톡시페닐)-3,4-디메틸-7-(피페리딘-1-일)-2H-피라졸로[3,4-d]피리다진;
(25) 2-(4-메톡시페닐)-3,4-디메틸-7-(피롤리딘-1-일)-2H-피라졸로[3,4-d]피리다진;
(26) 4-(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모폴린;
(27) 1-(2-(2-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8) 1-(2-(3-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9) 1-(2-(4-플루오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0) 1-(2-(4-클로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1) 1-(2-(4-브로모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2) 1-(3,4-디메틸2-(p-톨릴)-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3) 1-(2-(4-에틸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4) 1-(2-(4-이소프로필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5) 1-(2-(4-(tert-부틸)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종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 화합물의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광학 이성질체, 수화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R1R2NH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10
(상기 반응식 1에 있어서,
R1, R2, R3, R4, 및 R5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하기 실시예 1-35에 설명되는 제조방법, 또는 이로부터 용이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종래 알려진 합성 방법을 대체 또는 변경하여 적용 가능한 것이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나아가, 반응 조건의 시간, 온도, 용매, 압력 등의 용이 변경 가능하고 잘 알려진 통상의 것을 제약 없이 적용할 수 있음을 이분야 기술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인 바, 본 발명에는 이러한 변경된 제조방법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조방법은 당업자가 제조되는 화합물의 수율 등을 고려하여, 반응 조건, 예를 들어 반응 온도, 반응시간, 반응 단계를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고, 반응 단계는 반복되거나 순서가 바뀌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종래 알려진 유기합성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합성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제한없이 본 발명의 범주로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Hsp90(Heat shock protein 90) 관련 질환 또는 병태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제공되는 약학적 조성물은, Hsp90(Heat shock protein 90)로부터 발병, 진행, 악화되는 질환 또는 병태라면 제한없이,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신규 Hsp90 억제제로서, Hsp90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Hsp90( 관련 질환 또는 병태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다르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Hsp90의 C-말단 영역에 결합하는 억제제 화합물이다. 또 다르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Hsp90의 알로스테릭 억제제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Hsp90의 C-말단 영역에 결합할 수 있는 분자에 대한 구조-활성 관계(SAR)를 연구한 결과,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를 도출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항증식 활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신규 Hsp90 억제제이며, 동시에 Hsp90 관련 질환 또는 병태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Hsp90 관련 질환 또는 병태는, 종래에 공지된 바로부터 Hsp90과 관계된 것으로 규명된 모든 종류의 질병을 제약 없이 포함하며, Hsp90의 활성 또는 발현 등과 괄녈하여 질병에서 Hsp90의 이상을 야기하는 질환이라면 제약 없이 포함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본원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화학식 1 화합물이 Hsp90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부터,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또는 이러한 이론과 무관하게도 하기 실험예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 화합물이 암 세포주에 보이는 항증식 활성을 근거하여,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암은 통상 의학 분야에 인식되는 암으로 분류되는 것으로서, 암 세포, 암 세포주, 또는 이를 가지는 조직 등으로, 특별히 제약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가성점액종, 간내 담도암, 간모세포종, 간암, 갑상선암, 결장암, 고환암, 골수이형성증후군, 교모세포종, 구강암, 구순암, 균상식육종, 급성골수성백혈병, 급성림프구성백혈병, 기저세포암, 난소상피암, 난소생식세포암, 남성유방암, 뇌종양, 뇌하수체선종, 다발성골수종, 담낭암, 담도암, 대장암, 만성골수성백혈병, 만성림프구백혈병, 망막모세포종,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 바터팽대부암, 방광암, 복막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비부비동암, 비소세포폐암, 비호지킨림프종, 설암, 성상세포종, 소세포폐암, 소아뇌암, 소아림프종, 소아백혈병, 소장암, 수막종, 식도암, 신경교종, 신경모세포종, 신우암, 신장암, 심장암, 십이지장암, 악성 연부조직 암, 악성골암, 악성림프종, 악성중피종, 흑색종, 안암, 외음부암, 요관암, 요도암, 원발부위불명암, 위림프종, 위암, 위유암종, 위장관간질암, 윌름스암, 유방암, 육종, 음경암, 인두암, 임신융모질환,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자궁육종, 전립선암, 전이성 골암, 전이성뇌암, 종격동암, 직장암, 직장유암종, 질암, 척수암, 청신경초종, 췌장암, 침샘암, 카포시 육종, 파제트병, 편도암, 편평상피세포암, 폐선암, 폐암, 폐편평상피세포암, 피부암, 항문암, 횡문근육종, 후두암, 흉막암, 및 흉선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암은 유방암, 폐암, 흑색종, 또는 뇌종양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라 경구, 경피 또는 국소 경로에 의해 단일 용량 또는 수회 분 용량 (divided dose)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활성 화합물의 투여는 연속 (정맥내 점적)에서 하루 수 회의 경구 투여 (예를 들어, Q.I.D.)의 범위일 수 있고, 다른 투여 경로 중, 경구(oral), 국소, 장관외, 근육내, 정맥내, 피하, 경피 (투과율 증진제를 포함할 수 있음), 경구(buccal), 설하 및 좌약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장내 코팅 경구 정제가 또한 경구 투여 경로에서 상기 화합물의 생물학적 이용도를 증진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가장 효과적인 투여 형태는 환자 질병의 중증도뿐만 아니라 선택된 특정 제제의 약동학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스프레이, 미스트 또는 비강내, 기관내 또는 폐 투여용에어로졸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투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임의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첨가제 또는 부형제와 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즉시 방출, 이격 방출 또는 지연 또는 조절 방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지연 또는 조절 방출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뿐만 아니라 좌약 및 피하 또는 다른 국소 형태로 투여된다. 또한 리포솜 형태의 근육내 주입은 주입 부위에서 화합물의 방출을 조절하거나 또는 지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형화될 수 있고, 또한 조절-방출 제형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이온 교환기,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 예를 들어 인간 혈청 알부민, 완충 물질, 예를 들어 인산염, 글리신, 소르브산, 포타슘 소르베이트,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 글리세르화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 예를 들어 프롤아민 설페이트, 이나트륨 수소 포스페이트, 칼륨 수소 포스페이트, 염화 나트륨, 아연 염, 콜로이드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딘, 셀룰로오스-계 물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 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라놀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orally), 비경구적, 흡입용 스프레이, 국소, 직장, 비강, 경구(buccally), 질 동맥 또는 이식 저장소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본원의 "비경구"는 피하,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관절액내, 흉골내, 척추 강내, 간장내, 장애내 및 두개내 주입 또는 투입 기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적, 복강내 또는 정맥내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멸균 주입용 형태는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일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은 적절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서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멸균 주입용 제조물은, 예를 들어 1,3-부탄디올 중 용액으로서 무독성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입용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허용가능한 비히클 및 용매 중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액의 염화 나트륨 용액이 있다. 추가로, 멸균, 불휘발유가 용매 또는 현탁 배지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글리세라이드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상표의 불휘발유가 사용될 수 있다. 지방산, 예를 들어 올레산 및 그의 글리세라이드 유도체는 주입용 제조물에 사용될 수 있고, 특히 폴리옥시 에틸화 버젼으로 천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오일, 예를 들어 올립 오일 또는 캐스터 오일이 있다. 이러한 오일 용액 또는 현탁액은 또한 긴-사슬 알콜 희석제 또는 분산제, 예를 들어 Ph. Helv 또는 유사 알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여 임의의 경구용 투여 형태로 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용 정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는 락토오스 및 옥수수 전분을 포함한다. 윤활제, 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가 또한 일반적으로 첨가된다. 캡슐 형태의 경구 투여에서, 유용한 희석제는 락토오스 및 건조 옥수수 전분을 포함한다. 수성 현탁액이 경구용으로 요구되는 경우, 상기 활성 성분은 에멀션화제 및 현탁제와 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경우, 특정 감미료, 향미료 또는 착색제가 또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국소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적합한 국소용 제형물은 각각의 부위 또는 기관을 위해 용이하게 제조된다. 대장용의 국소 적용은 직장 좌약 제형물 또는 적절한 관장 제형물로 귀결될 수 있다. 국소용 피하 패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국소 적용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담체 중에 현탁되거나 또는 용해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적절한 연고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국소 투여용 담체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미네랄 오일, 액체 페트로라텀, 백색 페트로라텀,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화합물, 에멀션 왁스 및 에멀션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측면에서, 상기 화합물은 환자의 스텐트에서 폐색 발생율을 억제하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에 이식 수술되는 스텐트 상에 코팅될 수 있다.
단일 투여 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일회용의, 담체 물질과 조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중 화합물의 양은 호스트 및 치료 질병, 특정의 투여 방법에 따라 변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화합물과 조합하여 활성 성분의 약 0.05 밀리그램 내지 약 750 밀리그램 또는 그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밀리그램 내지 약 600 밀리그램,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밀리그램 내지 약 500 밀리그램을 포함되도록 제형화하여야 한다.
또한, 임의의 특정 환자를 위한 구체적 용량 및 치료 요법이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활성도, 연령, 체중, 일반적 건강 상태, 성별, 식습관, 투여 시간 동안, 배설빈도, 약물 조합하고 치료의사의 판단 및 치료되는 특정 질병 또는 상태의 중증도를 포함한 다양한 인자에 의존적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사용한 치료가 요구되는 환자 또는 개체는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된 바와 같이, 임의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 중에, 단독으로 또는 잘 공지된 적혈구 조혈 생성인자 제제와 조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다형체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유효량을 환자(개체)에게 투여하여 치료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액체, 크림, 겔 또는 고체 형태 또는에어로졸 형태의 경피 투여를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경로, 예를 들어 경구, 비경구, 정맥내, 피부내, 피하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활성 화합물은 치료되는 환자에서 심각한 독성 효과를 야기함이 없이, 요구되는 지시에 따라 치료학적 유효량을 환자에게 전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 중에 포함된다. 전술된 모든 상태에서 상기 활성 화합물의 바람직한 용량은 하루에 약 10 ng/kg 내지 300 mg/k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 더욱 일반적으로 하루에 투여 객체/환자의 체중 1 킬로그램 당 0.5 내지 약 25 mg의 범위이다. 일반적인 국소 투여는 적절한 담체 중 0.01-5 중량%/중량의 범위일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단위 투여 형태 당 활성 성분의 1mg 미만, 1 mg 내지 3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 mg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단위 투여 형태로 편리하게 투여된다. 약 25-250 mg의 경구 투여가 종종 편리하다.
상기 활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약 0.00001-30 mM, 바람직하게는 약 0.1-30 μM의 상기 활성 화합물의 최고 혈장 농도가 되도록 투여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임의로 식염수 또는 수성 배지 중에 상기 활성 성분의 용액 또는 제형물의 정맥내 주입에 의해 또는 상기 활성 성분의 볼루스로서 투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는 활성제의 효과적인 혈장 농도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조절된다.
상기 약물 조성물 중의 활성 화합물의 농도는 흡수, 분포, 불활성화 및 상기 약물의 배출률뿐만 아니라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인자에 의존적일 것이다. 또한 용량 값은 완화되어야 하는 상태의 중증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임의의 특정 개체에서, 구체적인 투여 요법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를 감독하거나 투여하는 사람의 개인적 판단 및 개인적 요구에 따른 시간 동안으로 조절되어야 하고, 전술된 농도 범위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되는 조성물의 범위 또는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라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활성 성분은 한 번에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다양한 소량으로 나누어 다양한 시간 동안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대상(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치료학적 유효량은 투여 방법에 따라, 체내로 투여시 대상(subject)의 증상 또는 상태를 치료,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을 정도의 양을 말한다. 또한 상기 양은 투여하는 대상의 체중, 나이, 성별, 상태, 가족력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상기 치료 방법은 이처럼 대상별로 상이한 조건에 따라 다른 양의 투여량을 정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양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화합물의 "유효한 양"은 Hsp90의 활성으 조절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양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화합물 및 조성물은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효한 임의의 양 및 임의의 투여 경로를 사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필요한 정확한 양은 대상(subject)의 종, 연령, 및 일반적인 병태, 감염의 중증도, 특정한 제제, 그것의 투여 방식, 등에 따라 대상별로 변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복용량의 투여 용이성 및 균일성에 대해 투약량 단위 형태로 빈번하게 제형화된다. 표현 "투약량 단위 형태"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될 대상에 적절한 제제의 물리적으로 별개의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의 총 일일 사용량이 건전한 의료 판단의 범위 내에 주치의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상기 "대상(subject)"은, 암이 발병, 진행, 또는 악화 상태의 동물을 의미하고, 비제한적으로, 포유동물 또는 비포유동물일 수 있고, 예컨대 인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11
단계 1: 에틸 (Z)-4-하이드록시-2-옥소펜트-3-에노에이트의 제조
소듐 하이드라이드를 무수 THF 중의 아세톤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에틸 옥살레이트를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고, 이를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희석된 HCl을 첨가하여 산성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A로 희석하고, 혼합물을 H2O, 염수로 씻어주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 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14.46 (s, 1H), 6.37 (s, 1H), 4.36 - 4.34 (m, 2H), 2.26 (s, 3H), 1.39 - 1.37 (m, 3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67.0, 162.1, 102.1, 63.2, 62.5, 50.5, 27.7, 14.1, 13.9.
단계 2: 에틸 1-(4-메톡시페닐)-5-메틸-1H-피라졸-3-카복실레이트의 제조
EtOH/AcOH (10 : 1) 중의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용액에 4-메톡시페닐히드라진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A로 희석하고, 혼합물을 H2O, 염수로 씻어주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미정제 생성물을 용리제로서 Hex/EA (5 : 1)를 사용하는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에틸 1-(4-메톡시페닐)-5-메틸-1H-피라졸-3-카복실레이트)과 부생성물(에틸 1-(4-메톡시페닐)-3-메틸-1H-피라졸-5-카복실레이트)을 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목적 화합물: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37 - 7.33 (m, 2H), 6.99 - 6.95 (m, 2H), 6.71 (q, J = 0.8 Hz, 1H), 4.41 (q, J = 7.1 Hz, 2H), 3.85 (s, 3H), 2.28 (d, J = 0.9 Hz, 3H), 1.39 (t, J = 7.1 Hz, 3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62.7, 159.6, 143.5, 140.6, 132.2, 126.9, 114.2, 108.8, 60.9, 55.6, 55.5, 14.4, 14.4, 12.2.
부생성물: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33 - 7.31 (m, 2H), 6.96 - 6.93 (m, 2H), 6.79 (d, J = 0.6 Hz, 1H), 4.23 (q, J = 7.1 Hz, 2H), 3.85 (s, 3H), 2.35 (d, J = 0.6 Hz, 3H), 1.27 - 1.25 (m, 3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208.0, 159.5, 159.3, 133.9, 133.5, 127.2, 113.6, 111.7, 60.9, 55.5, 14.2, 14.1, 13.4.
단계 3: 에틸 4-브로모-1-(4-메톡시페닐)-5-메틸-1H-피라졸-3-카복실레이트의 제조
0℃에서 CH2Cl2 중의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용액에 브롬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로 희석하고, 혼합물을 H2O, 소듐 티오설페이트, 염수로 씻어주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미정제 생성물을 용리제로서 Hex/EA (3 : 1)를 사용하는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34 - 7.31 (m, 2H), 6.99 - 6.95 (m, 2H), 4.43 (q, J = 7.1 Hz, 2H), 3.85 (s, 3H), 2.28 (s, 3H), 1.40 (t, J = 7.1 Hz, 3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40.3, 132.1, 126.9, 114.3, 97.1, 61.2, 60.4, 55.6, 31.6, 22.7, 21.0, 14.3, 14.2, 14.1, 11.5.
단계 4: 에틸-(1-에톡시비닐)-1-(4-메톡시페닐)-5-메틸-1H-피라졸-3-카복실레이트의 제조
무수 DMF 중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트리부틸(1-에톡시비닐)주석 (1.1eq)의 용액을 Pd(PPh3)4 (0.1eq)로 처리하고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 EA로 희석시키고 혼합물을 H2O, 염수로 씻어주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미정제 생성물을 용 리제로서 Hex/EA (3 : 1)를 사용하는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단계 5: 에틸 4-아세틸-1-(4-메톡시페닐)-5-메틸-1H-피라졸-3-카복실레이트의 제조
CH2Cl2 중의 상기 단계 4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용액에 1N HCl (0.1eq)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로 희석시키고 혼합물을 H2O, 염수로 씻어주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미정제 생성물을 용리제로서 Hex/EA (3 : 1)를 사용하는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34 - 7.30 (m, 2H), 7.02 - 6.96 (m, 2H), 4.45 (q, J = 7.1 Hz, 2H), 3.86 (s, 3H), 2.59 (s, 3H), 2.38 (s, 3H), 1.42 (t, J = 7.1 Hz, 3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96.2, 162.7, 160.2, 143.6, 142.4, 131.0, 127.3, 122.4, 114.5, 114.4, 61.8, 60.4, 55.6, 31.6, 31.2, 22.7, 21.1, 14.2, 14.2, 14.1, 12.1.
단계 6: 2-(4-메톡시페닐)-3,4-디메틸-2,6-디히드로-7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온의 제조
에탄올 중의 상기 단계 5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용액에 히드라진 히드레이트 (3 eq)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백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고,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9.39 (s, 1H), 7.45 - 7.38 (m, 2H), 7.07 - 7.00 (m, 2H), 3.89 (s, 3H), 2.64 (s, 3H), 2.56 (s, 3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42.1, 127.2, 118.1, 114.5, 55.7, 53.4, 19.8, 12.4.
단계 7: 7-클로로-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의 제조
상기 단계 6에서 제조한 화합물에 옥시 염화인을 0 ℃에서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혼합한 후, 혼합물을 환류 냉각기로 환류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된 H2O에 첨가하였다. 용액을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중화시켰다. 용액을 EA로 희석하고 혼합물을 H2O, 염수로 씻어주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미정제 생성물을 CH2Cl2/MeOH (15 : 1)를 용리제로 사용하는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44 (d, J = 8.9 Hz, 2H), 7.08 (d, J = 8.9 Hz, 2H), 3.91 (s, 3H), 2.91 (s, 3H), 2.75 (s, 3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60.8, 155.4, 147.0, 136.9, 131.1, 127.4, 117.9, 114.7, 55.7, 20.6, 12.9.
단계 8: 에틸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7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에틸 피페리딘-3-카복실레이트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용리제로서 CH2Cl2/MeOH (10 : 1)를 사용하는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δ 7.55 - 7.47 (m, 2H), 7.17 - 7.10 (m, 2H), 4.87 (ddt, J = 13.2, 3.6, 1.6 Hz, 1H), 4.74 (dd, J = 13.1, 4.2 Hz, 1H), 4.02 (q, J = 7.1 Hz, 2H), 3.83 (s, 3H), 3.30 (dd, J = 13.0, 10.1 Hz, 1H), 3.22 (ddd, J = 13.5, 11.1, 2.8 Hz, 1H), 2.64 (s, 3H), 2.62 (s, 3H), 2.58 (ddd, J = 10.3, 6.5, 3.9 Hz, 1H), 2.00 - 1.91 (m, 1H), 1.75 - 1.62 (m, 2H), 1.53 - 1.43 (m, 1H), 1.11 (t, J = 7.1 Hz, 3H); 13C NMR (151 MHz, DMSO-d 6) δ 173.6, 160.3, 150.8, 147.6, 136.7, 136.0, 131.8, 127.9, 115.0, 60.5, 56.1, 48.3, 47.1, 40.8, 27.5, 24.2, 20.2, 14.5, 12.5.
단계 9: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실 산의 제조
리튬 히드록사이드 모노히드레이트 (2 eq)를 THF/H2O 중 상기 단계 8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A/H2O로 희석시켰다. pH가 1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용액을 1N HCl로 산성화시켰다. 유기층을 염수로 씻어주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δ 8.39 (s, 1H), 7.55 - 7.47 (m, 2H), 7.17 - 7.10 (m, 2H), 4.87 (ddt, J = 13.2, 3.6, 1.6 Hz, 1H), 4.74 (dd, J = 13.1, 4.2 Hz, 1H), 3.83 (s, 3H), 3.30 (dd, J = 13.0, 10.1 Hz, 1H), 3.22 (ddd, J = 13.5, 11.1, 2.8 Hz, 1H), 2.64 (s, 3H), 2.62 (s, 3H), 2.58 (ddd, J = 10.3, 6.5, 3.9 Hz, 1H), 2.00 - 1.91 (m, 1H), 1.75 - 1.62 (m, 2H), 1.53 - 1.43 (m, 1H).
단계 10: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EDCI, HOBt, 2-메틸벤질아민을 CH2Cl2 중의 상기 단계 9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로 희석시키고 혼합물을 H2O, 염수로 씻어주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미정제 생성물을 CH2Cl2/MeOH (10 : 1)를 용리제로서 사용하는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δ 8.26 (t, J = 5.7 Hz, 1H), 7.95 (d, J = 12.3 Hz, 1H), 7.57 - 7.51 (m, 2H), 7.15 - 7.13 (m, 3H), 7.12 - 7.10 (m, 2H), 7.05 (td, J = 7.0, 2.4 Hz, 1H), 5.02 (d, J = 13.1 Hz, 1H), 4.94 (d, J = 13.0 Hz, 1H), 4.23 (dd, J = 12.1, 6.1 Hz, 1H), 4.16 (dd, J = 15.0, 5.3 Hz, 1H), 3.86 (s, 3H), 3.22 (t, J = 12.0 Hz, 1H), 3.08 (t, J = 12.3 Hz, 1H), 2.72 (d, J = 0.7 Hz, 3H), 2.66 (s, 3H), 2.54 (tt, J = 11.0, 3.7 Hz, 1H), 2.24 (d, J = 1.9 Hz, 1H), 2.20 (s, 3H), 1.92 - 1.88 (m, 1H), 1.78 - 1.71 (m, 2H), 1.67 - 1.61 (m, 1H), 1.53 (tdd, J = 13.5, 9.6, 5.5 Hz, 1H); 13C NMR (151 MHz, DMSO-d 6) δ 173.3, 162.8, 160.4, 150.6, 147.5, 137.4, 136.8, 136.1, 131.6, 130.34, 130.3, 128.0, 127.9, 127.8, 127.3, 127.2, 126.2, 126.1, 115.1, 56.1, 49.4, 45.5, 42.5, 42.2, 42.0, 40.6, 36.3, 31.2, 28.6, 28.5, 25.5, 24.5, 19.8, 19.1, 19.0, 12.6.
<실시예 2> N-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12
단계 1: 1-(tert-부틸)3-에틸피페리딘-1,3-디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를 에틸 피페리딘-3-카복실레이트의 CH2Cl2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H2O로 희석하고 CH2Cl2로 추출한 후 혼합물을 H2O, 염수로 씻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고,이를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δ 4.05 (q, J = 7.1 Hz, 2H), 4.02 - 3.74 (m, 1H), 3.65 (s, 1H), 2.88 (t, J = 12.1 Hz, 1H), 2.37 (tt, J = 9.6, 4.0 Hz, 1H), 1.89 (dd, J = 12.5, 5.8 Hz, 1H), 1.66 - 1.51 (m, 2H), 1.38 (s, 9H), 1.35 - 1.31 (m, 1H), 1.18 (t, J = 7.2 Hz, 3H); 13C NMR (151 MHz, DMSO-d 6) δ 172.9, 154.1, 79.0, 60.3, 45.3, 41.0, 28.3, 27.0, 24.2, 23.9, 14.3.
단계 2: 1-(tert-부톡시카보닐)피페리딘-3-카복실 산의 제조
리튬 히드록사이드 모노히드레이트 (2 eq)를 THF/H2O 중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A/H2O로 희석시켰다. pH가 1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용액을 1N HCl로 산성화시켰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δ 12.33 (s, 1H), 3.67 (s, 1H), 3.44 - 3.21 (m, 1H), 3.04 (s, 1H), 2.81 (ddd, J = 13.6, 10.9, 3.1 Hz, 1H), 2.34 - 2.21 (m, 1H), 1.94 - 1.83 (m, 1H), 1.59 (dq, J = 12.2, 4.0 Hz, 1H), 1.50 (qd, J = 13.4, 8.0, 6.3 Hz, 1H), 1.37 (s, 9H), 1.33 - 1.28 (m, 1H); 13C NMR (151 MHz, DMSO-d 6) δ 79.1, 46.2, 45.4, 44.5, 41.0, 28.5, 28.4, 27.1, 24.1.
단계 3: tert-부틸 3-(벤질카바모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의 제조
EDCI, HOBt, 벤질 아민을 CH2Cl2 중의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로 희석시키고 혼합물을 H2O, 염수로 씻어주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미정제 생성물을 용리제로서 Hex/EA (1 : 1)를 사용하는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δ 8.42 (t, J = 6.0 Hz, 1H), 7.37 - 7.27 (m, 2H), 7.27 - 7.15 (m, 3H), 4.25 (s, 2H), 3.97 (s, 1H), 3.86 (d, J = 13.2 Hz, 1H), 2.70 (s, 2H), 2.28 (tt, J = 11.3, 3.8 Hz, 1H), 1.88 - 1.79 (m, 1H), 1.63 (dt, J = 13.3, 3.3 Hz, 1H), 1.54 (dt, J = 12.8, 6.4 Hz, 1H), 1.38 (s, 9H), 1.29 (tdt, J = 12.5, 8.6, 4.1 Hz, 1H); 13C NMR (151 MHz, DMSO-d 6) δ 173.2, 154.3, 134.0, 128.7, 127.5, 127.2, 79.2, 42.7, 42.3, 28.5, 28.0
단계 4: N-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디옥산 중 4N HCl 용액에서 실온으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진공하에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8.32 (s, 1H), 7.35 - 7.30 (m, 2H), 7.30 - 7.27 (m, 1H), 7.25 - 7.20 (m, 2H), 6.98 (t, J = 5.8 Hz, 1H), 4.42 (dd, J = 14.8, 5.9 Hz, 1H), 4.35 (dd, J = 14.8, 5.6 Hz, 1H), 3.35 (s, 1H), 3.31 - 3.22 (m, 2H), 3.09 (s, 1H), 2.86 (dp, J = 8.2, 4.0 Hz, 1H), 2.01 - 1.91 (m, 2H), 1.88 - 1.79 (m, 2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2.7, 160.2, 137.2, 128.8, 127.8, 127.6, 116.2, 54.4, 50.7, 45.8, 44.2, 43.7, 38.5, 25.9, 20.6.
단계 5: N-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DMF 중 7-클로로피라졸로피리다진 및 상기 단계 4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용액을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용리제로서 CH2Cl2/MeOH (10 : 1)를 사용하는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44 (d, J = 4.8 Hz, 1H), 7.35 - 7.30 (m, 2H), 7.21 - 7.18 (m, 2H), 7.18 - 7.13 (m, 2H), 7.03 - 6.98 (m, 2H), 4.48 (d, J = 13.4 Hz, 1H), 4.42 (q, J = 6.7, 4.8 Hz, 2H), 4.34 (dd, J = 14.9, 5.5 Hz, 1H), 4.02 (dd, J = 13.7, 7.8 Hz, 1H), 3.89 (s, 3H), 3.81 (t, J = 10.4 Hz, 1H), 2.75 (s, 3H), 2.73 - 2.69 (m, 1H), 2.66 (s, 3H), 2.22 (s, 1H), 1.90 (ddd, J = 11.2, 7.1, 3.7 Hz, 1H), 1.72 (dd, J = 6.7, 3.3 Hz, 1H), 1.63 (d, J = 4.2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3, 160.4, 151.2, 147.4, 138.7, 138.2, 137.3, 135.0, 131.5, 128.7, 128.3, 127.8, 127.7, 127.4, 126.9, 117.8, 114.6, 55.7, 49.3, 48.3, 47.8, 46.2, 42.6, 42.1, 27.4, 25.1, 24.1, 23.9, 20.3, 12.5.
<실시예 3>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3-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13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3에서 사용한 벤질 아민을 대신하여, 3-메틸벤질 아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33 - 7.29 (m, 2H), 7.08 (t, J = 7.5 Hz, 1H), 7.02 - 6.96 (m, 3H), 6.96 - 6.91 (m, 2H), 4.42 (s, 1H), 4.39 (q, J = 6.8, 5.0 Hz, 2H), 4.30 (dd, J = 14.8, 5.4 Hz, 1H), 4.07 (dd, J = 21.3, 9.6 Hz, 1H), 3.89 (s, 3H), 3.85 (dd, J = 12.5, 9.1 Hz, 1H), 2.74 (s, 3H), 2.71 (dt, J = 8.1, 4.1 Hz, 1H), 2.66 (d, J = 1.4 Hz, 3H), 2.27 - 2.19 (m, 4H), 1.92 - 1.86 (m, 1H), 1.72 (dq, J = 10.0, 3.3 Hz, 1H), 1.62 (dt, J = 9.1, 4.4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3, 160.3, 151.2, 147.3, 138.6, 138.0, 134.8, 131.5, 128.3, 127.7, 127.2, 124.5, 117.9, 114.6, 55.7, 49.2, 47.9, 43.3, 42.0, 27.4, 24.2, 21.3, 20.4, 12.5.
<실시예 4>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4-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14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3에서 사용한 벤질 아민을 대신하여, 4-메틸벤질 아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35 - 7.31 (m, 2H), 7.05 - 6.98 (m, 6H), 4.49 - 4.40 (m, 2H), 4.38 (dd, J = 14.8, 6.0 Hz, 1H), 4.30 (dd, J = 14.8, 5.5 Hz, 1H), 4.04 - 3.98 (m, 1H), 3.89 (s, 3H), 3.79 (ddd, J = 13.3, 9.0, 3.1 Hz, 1H), 2.75 (s, 3H), 2.69 (dt, J = 8.4, 4.1 Hz, 1H), 2.66 (s, 3H), 2.29 (s, 3H), 2.22 (dtd, J = 13.0, 9.0, 4.0 Hz, 1H), 1.89 (ddt, J = 11.0, 7.6, 4.2 Hz, 2H), 1.72 (ddq, J = 13.7, 7.0, 3.5 Hz, 1H), 1.62 (qd, J = 9.2, 5.1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2, 147.4, 137.4, 136.5, 135.6, 134.7, 129.1, 127.5, 127.2, 114.6, 55.7, 49.3, 47.8, 43.0, 42.1, 27.4, 24.1, 21.1, 20.4, 12.5.
<실시예 5> N-(3-메톡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15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3에서 사용한 벤질 아민을 대신하여, 3-메톡시벤질 아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0 (s, 1H), 7.33 - 7.29 (m, 2H), 7.09 (t, J = 7.8 Hz, 1H), 7.02 - 6.98 (m, 2H), 6.73 - 6.68 (m, 2H), 6.67 (t, J = 2.0 Hz, 1H), 4.45 (dd, J = 15.0, 6.3 Hz, 1H), 4.36 - 4.29 (m, 2H), 4.27 (dd, J = 15.0, 5.3 Hz, 1H), 4.15 (dt, J = 13.6, 6.7 Hz, 1H), 3.95 - 3.90 (m, 1H), 3.89 (s, 3H), 3.68 (s, 3H), 2.73 (s, 3H), 2.70 (dd, J = 7.7, 3.9 Hz, 1H), 2.65 (s, 3H), 2.26 (dp, J = 12.6, 4.2 Hz, 1H), 1.88 (ddt, J = 12.1, 7.8, 4.1 Hz, 1H), 1.72 (ddq, J = 14.3, 7.3, 3.7 Hz, 1H), 1.64 (ddq, J = 13.2, 8.7, 4.0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2, 159.6, 151.2, 147.4, 140.3, 137.3, 131.5, 129.3, 127.2, 119.7, 114.6, 112.8, 112.4, 55.7, 55.1, 49.1, 47.9, 43.2, 42.0, 27.4, 24.1, 20.4, 12.5.
<실시예 6> N-(4-메톡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16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37 - 7.30 (m, 3H), 7.08 - 6.98 (m, 4H), 6.74 - 6.68 (m, 2H), 4.41 (d, J = 11.3 Hz, 1H), 4.37 (dt, J = 14.4, 4.7 Hz, 2H), 4.25 (dd, J = 14.6, 5.3 Hz, 1H), 4.06 (dd, J = 13.5, 7.8 Hz, 1H), 3.90 (s, 3H), 3.88 - 3.83 (m, 1H), 3.76 (s, 3H), 2.73 (s, 3H), 2.69 (dq, J = 7.9, 3.9 Hz, 1H), 2.66 (s, 3H), 2.23 (dq, J = 8.8, 4.5 Hz, 1H), 1.87 (ddd, J = 11.2, 7.2, 3.8 Hz, 1H), 1.71 (ddt, J = 13.5, 6.8, 3.3 Hz, 1H), 1.62 (dq, J = 13.6, 4.6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2, 158.6, 134.8, 131.6, 128.8, 127.2, 117.9, 114.6, 113.7, 77.2, 55.7, 55.2, 49.1, 47.8, 42.7, 42.0, 27.4, 24.2, 20.4, 12.5.
<실시예 7> N-(2-플루오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17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3에서 사용한 벤질 아민을 대신하여, 2-플루오로벤질 아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44 (t, J = 6.0 Hz, 1H), 7.33 (dd, J = 8.7, 1.4 Hz, 2H), 7.21 (t, J = 7.6 Hz, 1H), 7.16 (q, J = 7.4 Hz, 1H), 7.03 - 6.98 (m, 2H), 6.98 - 6.91 (m, 2H), 4.49 (dd, J = 15.4, 6.4 Hz, 1H), 4.43 (s, 1H), 4.41 - 4.35 (m, 2H), 4.01 (dd, J = 13.7, 7.9 Hz, 1H), 3.89 (d, J = 1.4 Hz, 3H), 3.79 (ddd, J = 12.9, 9.3, 3.1 Hz, 1H), 2.74 (d, J = 1.3 Hz, 3H), 2.71 (dq, J = 8.0, 3.9 Hz, 1H), 2.66 (d, J = 1.3 Hz, 3H), 2.25 - 2.16 (m, 2H), 1.88 (ddt, J = 11.9, 7.7, 4.2 Hz, 1H), 1.71 (ddq, J = 14.3, 7.4, 3.9, 3.4 Hz, 1H), 1.62 (ddq, J = 13.5, 9.3, 4.7, 4.1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5, 160.4, 151.3, 147.5, 137.3, 134.8, 131.5, 129.6, 129.6, 128.6, 128.6, 127.2, 124.1, 124.0, 117.8, 115.1, 115.0, 114.6, 55.7, 49.4, 47.9, 42.0, 37.0, 36.9, 27.3, 24.1, 20.4, 12.5.
<실시예 8> N-(3-플루오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18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3에서 사용한 벤질 아민을 대신하여, 3-플루오로벤질 아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81 (s, 1H), 7.35 - 7.30 (m, 2H), 7.14 (td, J = 7.9, 5.9 Hz, 1H), 7.03 - 6.99 (m, 2H), 6.92 (ddd, J = 7.6, 1.7, 0.9 Hz, 1H), 6.83 (tdd, J = 8.5, 2.6, 1.0 Hz, 1H), 6.74 (dt, J = 9.8, 2.0 Hz, 1H), 4.42 (dd, J = 15.2, 6.4 Hz, 1H), 4.29 (dd, J = 15.2, 5.4 Hz, 1H), 4.28 - 4.21 (m, 2H), 4.21 - 4.16 (m, 1H), 4.07 - 4.01 (m, 1H), 3.89 (s, 3H), 2.73 (s, 4H), 2.66 (s, 3H), 2.30 (ddd, J = 16.5, 8.0, 3.8 Hz, 1H), 1.87 (ddt, J = 12.5, 8.2, 4.2 Hz, 1H), 1.69 (dtd, J = 15.3, 7.7, 3.9 Hz, 1H), 1.66 - 1.59 (m,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3, 160.4, 151.2, 147.4, 141.5, 137.3, 134.9, 131.5, 129.8, 129.7, 127.2, 123.0, 117.8, 114.6, 114.2, 114.1, 113.7, 113.6, 55.7, 48.9, 48.0, 42.7, 41.9, 27.3, 24.1, 20.4, 12.5.
<실시예 9> N-(4-플루오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19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3에서 사용한 벤질 아민을 대신하여, 4-플루오로벤질 아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63 (s, 1H), 7.35 - 7.31 (m, 2H), 7.09 - 7.04 (m, 2H), 7.04 - 7.00 (m, 2H), 6.85 - 6.79 (m, 2H), 4.42 (dd, J = 14.8, 6.4 Hz, 1H), 4.25 (dd, J = 14.8, 5.3 Hz, 3H), 4.20 - 4.16 (m, 1H), 4.07 - 4.01 (m, 1H), 3.90 (s, 3H), 2.73 (s, 3H), 2.71 (dt, J = 7.3, 3.9 Hz, 1H), 2.66 (d, J = 1.2 Hz, 3H), 2.33 - 2.26 (m, 1H), 1.86 (ddt, J = 12.4, 8.1, 4.2 Hz, 1H), 1.72 - 1.66 (m, 1H), 1.66 - 1.59 (m,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2, 151.2, 147.3, 137.2, 134.8, 129.1, 129.1, 127.2, 115.1, 114.9, 114.6, 77.2, 77.0, 55.7, 48.8, 47.9, 42.5, 41.9, 27.3, 24.1, 20.4, 12.5.
<실시예 10> N-(3-클로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20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3에서 사용한 벤질 아민을 대신하여, 3-클로로벤질 아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94 (s, 1H), 7.34 - 7.30 (m, 2H), 7.12 - 7.09 (m, 2H), 7.04 - 7.01 (m, 2H), 7.00 (d, J = 2.3 Hz, 2H), 4.43 (dd, J = 15.2, 6.6 Hz, 1H), 4.35 (dd, J = 14.0, 6.5 Hz, 1H), 4.25 (dd, J = 15.1, 5.2 Hz, 1H), 4.17 - 4.12 (m, 2H), 4.12 - 4.08 (m, 1H), 3.89 (s, 3H), 2.75 (dd, J = 6.8, 3.9 Hz, 1H), 2.73 (s, 3H), 2.66 (s, 3H), 2.33 (td, J = 11.7, 10.2, 5.2 Hz, 1H), 1.86 (ddd, J = 12.8, 8.4, 4.2 Hz, 1H), 1.71 - 1.61 (m, 2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3, 160.4, 151.2, 147.4, 141.0, 134.9, 134.0, 131.5, 129.6, 127.3, 127.2, 126.9, 125.6, 114.6, 55.7, 48.8, 48.0, 42.7, 41.8, 27.3, 24.0, 20.4, 12.5.
<실시예 11> N-(4-클로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21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3에서 사용한 벤질 아민을 대신하여, 4-클로로벤질 아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80 (s, 1H), 7.35 - 7.31 (m, 2H), 7.10 - 7.05 (m, 2H), 7.04 - 6.98 (m, 4H), 4.45 (dd, J = 15.0, 6.6 Hz, 1H), 4.37 (d, J = 10.5 Hz, 1H), 4.22 (dd, J = 15.0, 5.1 Hz, 1H), 4.15 (s, 2H), 4.09 (d, J = 12.6 Hz, 1H), 3.90 (s, 3H), 2.73 (s, 4H), 2.66 (s, 3H), 2.37 - 2.29 (m, 1H), 1.85 (ddt, J = 12.8, 8.4, 4.3 Hz, 1H), 1.66 (dq, J = 23.1, 6.3, 5.2 Hz, 2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2, 151.1, 147.3, 137.4, 137.2, 134.9, 132.4, 128.8, 128.3, 127.2, 114.6, 55.7, 48.6, 47.9, 42.5, 41.8, 27.3, 24.0, 20.4, 12.5.
<실시예 12>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2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사용한 4-메톡시페닐히드라진을 대신하여, 페닐히드라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64 - 7.58 (m, 3H), 7.50 - 7.44 (m, 2H), 7.18 (d, J = 7.5 Hz, 1H), 7.13 - 7.09 (m, 1H), 7.07 (d, J = 7.6 Hz, 2H), 5.01 (s, 1H), 4.80 (d, J = 13.5 Hz, 1H), 4.39 (d, J = 5.6 Hz, 2H), 3.71 (t, J = 12.1 Hz, 1H), 3.61 (t, J = 11.9 Hz, 1H), 2.86 (s, 3H), 2.77 (d, J = 5.1 Hz, 1H), 2.75 (s, 3H), 2.26 (s, 3H), 2.12 (dtd, J = 14.2, 10.9, 4.2 Hz, 1H), 1.96 (dd, J = 13.7, 4.3 Hz, 1H), 1.90 - 1.81 (m, 1H), 1.61 (q, J = 11.9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2.2, 130.4, 130.2, 129.8, 128.3, 127.1, 126.0, 125.9, 76.8, 50.1, 42.4, 41.3, 27.1, 24.9, 19.0, 18.1, 12.7.
<실시예 12>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23
단계 1: 에틸 (Z) 2-클로로-2-(2-페닐히드라진일리덴)아세테이트의 제조
6N HCl 중의 아닐린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H2O 중의 아질산나트륨 (1.1 eq)의 용액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디아조늄염을 에틸 2-클로로아세토아세테이트 (1eq) 및 아세트산 나트륨 3수화물 (3 eq)의 EtOH-H2O (9 : 1) 중 차가운 용액에 적가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을 담황색 고체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δ 10.54 (s, 1H), 7.39 - 7.28 (m, 4H), 7.02 - 6.97 (m, 1H), 4.29 (q, J = 7.1 Hz, 2H), 1.30 (t, J = 7.1 Hz, 3H)
단계 2: 에틸 4-아세틸-5-메틸-1-페닐-1H-피라졸-3-카복실레이트의 제조
아세틸아세톤 (1 eq)을 무수 메탄올 중 소듐 메톡시드 (2 eq)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미세하게 분말화된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로 희석하고, 혼합물을 H2O, 염수로 씻어주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미정제 생성물을 용리제로서 Hex/EA (3 : 1)를 사용하는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7 - 7.46 (m, 3H), 7.46 - 7.37 (m, 2H), 4.46 (q, J = 7.1 Hz, 2H), 2.60 (s, 3H), 2.42 (s, 3H), 1.42 (t, J = 7.1 Hz, 3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96.1, 162.6, 143.4, 142.7, 138.1, 129.4, 126.0, 122.6, 61.8, 31.3, 14.3, 12.2.
단계 3: 3,4-디메틸-2-페닐-2,6-디히드로-7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온의 제조
히드라진 수화물 (3 eq)을 에탄올 중의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고,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9.54 (s, 1H), 7.58 - 7.53 (m, 3H), 7.53 - 7.50 (m, 2H), 2.68 (s, 3H), 2.58 (s, 3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57.1, 142.1, 141.8, 138.4, 136.6, 129.7, 129.4, 126.0, 118.2, 53.4, 31.0, 19.8, 12.4.
단계 3: 7-클로로-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의 제조
옥시 염화인을 0℃에서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에 적가 하였다. 반응물을 혼합한 후, 혼합물을 환류 냉각기로 환류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된 H2O에 첨가 하였다. 용액을 탄산수소 나트륨으로 중화시켰다. 용액을 EA로 희석하고 혼합물을 H2O, 염수로 씻어주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미정제 생성물을 CH2Cl2/MeOH (15 : 1)를 용리액으로서 사용하는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63 - 7.59 (m, 3H), 7.55 - 7.52 (m, 2H), 2.93 (s, 3H), 2.79 (s, 3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47.1, 141.3, 136.9, 130.3, 129.7, 126.2, 118.0, 77.0, 20.6, 12.9.
단계 4: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DMF 중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합물 및 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용액을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9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용리제로서 CH2Cl2/MeOH (10 : 1)를 사용하는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64 - 7.58 (m, 3H), 7.50 - 7.44 (m, 2H), 7.18 (d, J = 7.5 Hz, 1H), 7.13 - 7.09 (m, 1H), 7.07 (d, J = 7.6 Hz, 2H), 5.01 (s, 1H), 4.80 (d, J = 13.5 Hz, 1H), 4.39 (d, J = 5.6 Hz, 2H), 3.71 (t, J = 12.1 Hz, 1H), 3.61 (t, J = 11.9 Hz, 1H), 2.86 (s, 3H), 2.77 (d, J = 5.1 Hz, 1H), 2.75 (s, 3H), 2.26 (s, 3H), 2.12 (dtd, J = 14.2, 10.9, 4.2 Hz, 1H), 1.96 (dd, J = 13.7, 4.3 Hz, 1H), 1.90 - 1.81 (m, 1H), 1.61 (q, J = 11.9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2.2, 130.4, 130.2, 129.8, 128.3, 127.1, 126.0, 125.9, 76.8, 50.1, 42.4, 41.3, 27.1, 24.9, 19.0, 18.1, 12.7.
<실시예 13> N-벤질-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24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4에서 사용한 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대신하여 N-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66 - 7.57 (m, 3H), 7.52 - 7.43 (m, 2H), 7.27 - 7.18 (m, 4H), 7.18 - 7.13 (m, 1H), 5.08 (s, 1H), 4.84 (d, J = 13.4 Hz, 1H), 4.39 (d, J = 5.9 Hz, 2H), 3.65 (t, J = 12.0 Hz, 1H), 3.55 (t, J = 12.2 Hz, 1H), 2.86 (s, 3H), 2.80 (d, J = 10.0 Hz, 1H), 2.75 (s, 3H), 2.08 (dd, J = 14.3, 10.7 Hz, 1H), 2.02 - 1.94 (m, 1H), 1.85 (dt, J = 12.8, 4.0 Hz, 1H), 1.65 - 1.56 (m,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2.4, 147.3, 137.1, 130.5, 129.8, 128.3, 127.7, 126.9, 125.9, 117.7, 53.5, 50.2, 49.1, 45.7, 43.2, 42.3, 27.0, 24.9, 18.15, 12.6, 8.6.
<실시예 14>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3-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25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4에서 사용한 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대신하여 N-(3-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61 - 7.54 (m, 4H), 7.47 - 7.41 (m, 2H), 7.08 - 7.00 (m, 2H), 6.99 - 6.94 (m, 3H), 4.83 (s, 1H), 4.76 - 4.62 (m, 1H), 4.34 (q, J = 7.3, 4.7 Hz, 2H), 3.77 (d, J = 10.5 Hz, 1H), 3.60 (t, J = 12.4 Hz, 1H), 2.79 (s, 3H), 2.76 - 2.73 (m, 1H), 2.71 (s, 3H), 2.22 (s, 3H), 2.09 (q, J = 12.0, 10.8 Hz, 1H), 1.96 - 1.92 (m, 1H), 1.78 (dt, J = 14.1, 4.2 Hz, 1H), 1.61 (qd, J = 12.9, 10.6, 6.5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0, 162.3, 162.2, 150.2, 147.4, 138.5, 138.0, 137.9, 137.2, 130.2, 129.7, 128.4, 128.3, 128.2, 127.6, 125.9, 125.9, 124.7, 124.6, 117.8, 117.6, 115.7, 49.4, 48.3, 45.7, 43.2, 42.2, 27.3, 24.6, 21.2, 18.6, 12.5, 8.5.
<실시예 15>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4-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26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4에서 사용한 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대신하여 N-(4-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8 - 7.55 (m, 3H), 7.49 - 7.42 (m, 2H), 7.37 - 7.30 (m, 1H), 7.05 (d, J = 7.8 Hz, 2H), 7.01 (d, J = 7.7 Hz, 2H), 4.68 (s, 1H), 4.58 (d, J = 13.8 Hz, 1H), 4.40 - 4.33 (m, 1H), 4.29 (dd, J = 14.7, 5.2 Hz, 1H), 3.93 - 3.82 (m, 1H), 3.69 (q, J = 16.2, 13.8 Hz, 1H), 2.78 (s, 3H), 2.74 - 2.71 (m, 1H), 2.70 (s, 3H), 2.28 (s, 3H), 2.16 (tq, J = 9.3, 5.0, 3.9 Hz, 1H), 1.94 - 1.87 (m, 1H), 1.79 - 1.72 (m, 1H), 1.65 - 1.58 (m, 1H); 13C NMR (151 MHz, CDCl3) δ 172.9, 138.5, 137.4, 136.5, 135.7, 129.8, 129.7, 129.5, 129.4, 129.0, 127.7, 127.5, 126.0, 49.6, 48.2, 43.0, 42.2, 31.6, 27.3, 24.4, 21.0, 19.9, 19.8, 14.2, 12.6, 12.4.
<실시예 16>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3-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27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4에서 사용한 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대신하여 N-(4-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5 (tt, J = 7.3, 3.3 Hz, 4H), 7.43 (dd, J = 6.5, 3.1 Hz, 2H), 7.13 - 7.07 (m, 1H), 6.74 (d, J = 7.6 Hz, 1H), 6.72 - 6.66 (m, 2H), 4.52 (d, J = 13.4 Hz, 1H), 4.44 (td, J = 13.5, 12.0, 4.3 Hz, 2H), 4.27 (dd, J = 14.9, 5.3 Hz, 1H), 4.04 (dd, J = 13.9, 8.0 Hz, 1H), 3.90 - 3.83 (m, 1H), 3.69 (s, 3H), 2.76 (s, 3H), 2.74 - 2.71 (m, 1H), 2.69 (s, 3H), 2.23 (dtd, J = 12.7, 9.0, 3.9 Hz, 1H), 1.95 - 1.87 (m, 1H), 1.75 (dtt, J = 10.2, 6.7, 3.3 Hz, 1H), 1.63 (h, J = 11.5, 8.1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1, 159.6, 150.9, 147.3, 140.3, 138.5, 135.4, 129.8, 129.5, 129.3, 126.0, 119.8, 118.0, 112.9, 112.6, 77.1, 55.1, 49.2, 48.2, 43.2, 42.0, 29.7, 27.3, 24.3, 20.0, 12.6.
<실시예 17>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4-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28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4에서 사용한 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대신하여 N-(4-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67 - 7.57 (m, 3H), 7.53 - 7.44 (m, 2H), 7.17 (dd, J = 12.1, 8.4 Hz, 2H), 6.76 (dd, J = 60.3, 8.2 Hz, 2H), 5.01 (s, 1H), 4.85 - 4.68 (m, 1H), 4.40 - 4.25 (m, 2H), 3.77 (s, 1H), 3.73 (s, 3H), 3.60 (d, J = 15.5 Hz, 1H), 2.85 (s, 3H), 2.83 - 2.78 (m, 1H), 2.74 (s, 3H), 2.10 (d, J = 11.8 Hz, 1H), 1.98 (s, 1H), 1.84 (d, J = 13.8 Hz, 1H), 1.62 (d, J = 12.6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58.5, 137.1, 130.4, 129.8, 129.1, 125.9, 117.7, 113.7, 55.2, 53.5, 45.7, 42.7, 42.2, 27.0, 24.9, 12.6, 8.6.
<실시예 18>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29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4에서 사용한 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대신하여 N-(2-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5 (qd, J = 4.1, 3.7, 2.2 Hz, 3H), 7.46 - 7.42 (m, 2H), 7.22 (td, J = 7.6, 1.8 Hz, 1H), 7.16 (tdd, J = 7.5, 5.3, 1.8 Hz, 1H), 7.00 - 6.89 (m, 2H), 4.56 (d, J = 14.0 Hz, 1H), 4.49 (d, J = 5.8 Hz, 1H), 4.47 (d, J = 5.6 Hz, 1H), 4.37 (dd, J = 15.2, 5.5 Hz, 1H), 3.93 (dd, J = 13.5, 8.2 Hz, 1H), 3.74 (ddd, J = 13.0, 9.5, 3.4 Hz, 1H), 2.75 (s, 3H), 2.73 - 2.70 (m, 1H), 2.70 (s, 3H), 2.23 - 2.13 (m, 1H), 1.93 - 1.86 (m, 1H), 1.72 (dp, J = 9.5, 3.8, 3.4 Hz, 1H), 1.62 (td, J = 9.4, 4.8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5, 162.0, 161.5, 151.2, 147.4, 138.6, 137.5, 135.0, 129.7, 129.6, 129.6, 129.5, 129.4, 128.7, 128.6, 126.1, 126.0, 125.6, 125.5, 124.1, 124.1, 118.0, 115.1, 115.0, 49.3, 48.0, 42.0, 37.0, 36.9, 27.4, 24.2, 20.3, 12.6.
<실시예 19>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3-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30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4에서 사용한 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대신하여 N-(3-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98 - 7.92 (m, 2H), 7.35 - 7.28 (m, 4H), 7.25 (q, J = 3.1, 2.3 Hz, 2H), 7.22 - 7.14 (m, 1H), 6.56 (s, 1H), 4.40 - 4.34 (m, 1H), 4.25 - 4.20 (m, 1H), 3.68 (ddt, J = 13.2, 3.5, 1.6 Hz, 1H), 3.47 (dtd, J = 13.2, 4.7, 2.5 Hz, 1H), 3.30 (dd, J = 13.3, 10.7 Hz, 1H), 3.14 - 3.07 (m, 1H), 2.93 (s, 3H), 2.87 - 2.83 (m, 3H), 2.31 - 2.26 (m, 1H), 1.97 (dt, J = 9.6, 4.8 Hz, 1H), 1.76 (dddd, J = 19.7, 15.2, 8.1, 2.4 Hz, 2H), 1.49 - 1.42 (m,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2.3, 172.2, 162.5, 161.0, 138.2, 128.7, 128.7, 128.4, 127.8, 127.6, 127.5, 127.5, 114.7, 48.3, 46.2, 44.0, 43.5, 43.5, 42.6, 42.2, 39.9, 36.5, 31.4, 29.7, 28.4, 27.9, 25.1, 23.9.
<실시예 20>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4-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31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4에서 사용한 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대신하여 N-(4-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6 (ddt, J = 5.6, 4.2, 2.4 Hz, 3H), 7.48 - 7.42 (m, 2H), 7.12 - 7.04 (m, 2H), 6.86 - 6.77 (m, 2H), 4.43 (dd, J = 14.8, 6.4 Hz, 1H), 4.40 - 4.34 (m, 1H), 4.33 - 4.26 (m, 1H), 4.23 (dd, J = 14.8, 5.2 Hz, 1H), 4.16 (d, J = 6.9 Hz, 1H), 3.98 (s, 1H), 2.74 (s, 3H), 2.73 - 2.70 (m, 1H), 2.69 (s, 3H), 2.25 (dd, J = 8.4, 4.1 Hz, 1H), 1.88 (td, J = 7.7, 3.6 Hz, 1H), 1.70 (dt, J = 7.0, 3.5 Hz, 1H), 1.62 (dd, J = 9.1, 4.3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2, 151.0, 147.3, 138.6, 137.4, 135.0, 129.8, 129.5, 129.2, 129.1, 126.0, 118.0, 115.1, 115.0, 48.8, 48.0, 42.6, 41.9, 27.4, 24.2, 20.3, 12.5.
<실시예 21> N-(3-클로로벤질)-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32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4에서 사용한 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대신하여 N-(3-클로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7 - 7.51 (m, 3H), 7.45 - 7.40 (m, 2H), 7.13 - 7.07 (m, 2H), 7.03 (dt, J = 5.9, 1.8 Hz, 1H), 7.00 (d, J = 2.0 Hz, 1H), 4.44 (dd, J = 15.1, 6.5 Hz, 1H), 4.30 - 4.26 (m, 1H), 4.24 (d, J = 5.2 Hz, 1H), 4.23 - 4.19 (m, 1H), 4.19 - 4.16 (m, 1H), 4.09 (ddd, J = 11.0, 7.1, 3.1 Hz, 1H), 2.74 (t, J = 3.4 Hz, 1H), 2.73 (s, 3H), 2.69 (s, 3H), 2.30 (dp, J = 12.0, 3.8 Hz, 1H), 1.87 (dq, J = 12.5, 4.1 Hz, 1H), 1.69 (ddt, J = 11.3, 7.5, 3.8 Hz, 1H), 1.66 - 1.59 (m,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3, 151.1, 141.0, 138.6, 137.4, 134.9, 134.0, 129.7, 129.6, 129.5, 127.4, 127.0, 126.0, 125.7, 118.0, 48.7, 48.0, 42.7, 41.8, 27.3, 24.1, 20.4, 12.6.
<실시예 22> N-(4-클로로벤질)-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33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4에서 사용한 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대신하여 N-(4-클로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8 - 7.55 (m, 3H), 7.46 - 7.43 (m, 2H), 7.11 - 7.07 (m, 2H), 7.04 (d, J = 8.4 Hz, 2H), 4.83 (d, J = 1.4 Hz, 1H), 4.49 - 4.44 (m, 1H), 4.33 (s, 1H), 4.23 - 4.20 (m, 2H), 4.08 (s, 1H), 2.74 (d, J = 1.1 Hz, 3H), 2.72 (d, J = 4.5 Hz, 1H), 2.70 (s, 3H), 2.29 (ddd, J = 13.0, 8.8, 4.6 Hz, 1H), 1.88 (ddt, J = 12.2, 7.9, 4.2 Hz, 1H), 1.71 (dp, J = 10.9, 3.6 Hz, 1H), 1.63 (dt, J = 13.6, 4.2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2, 150.9, 138.6, 137.4, 132.5, 129.8, 129.5, 128.9, 128.3, 126.0, 74.0, 53.4, 48.6, 48.1, 42.6, 41.8, 27.3, 24.2, 20.2, 12.6.
<실시예 23>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34
DMF 중 7-클로로-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4,3-d]피리다진 및 에틸 피페리딘-3-카복실레이트의 용액을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9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용리제로서 CH2Cl2/MeOH (10 : 1)를 사용하여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45 - 7.39 (m, 2H), 7.08 - 7.01 (m, 2H), 5.23 (ddd, J = 13.3, 4.0, 1.8 Hz, 1H), 5.06 (d, J = 13.4 Hz, 1H), 4.12 (qd, J = 7.2, 0.9 Hz, 2H), 3.90 (d, J = 0.6 Hz, 3H), 3.28 (dd, J = 13.2, 10.7 Hz, 1H), 3.17 (td, J = 13.4, 12.5, 2.7 Hz, 1H), 2.77 (s, 3H), 2.72 (dt, J = 11.0, 3.9 Hz, 1H), 2.69 (s, 3H), 2.14 - 2.09 (m, 1H), 1.79 (dt, J = 9.7, 3.3 Hz, 1H), 1.67 (dd, J = 7.9, 4.0 Hz, 2H), 1.26 - 1.20 (m, 3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4.1, 160.2, 137.4, 127.3, 117.9, 114.5, 60.3, 55.7, 48.6, 47.4, 41.3, 27.9, 24.5, 20.5, 14.2, 12.6.
<실시예 24> 2-(4-메톡시페닐)-3,4-디메틸-7-(피페리딘-1-일)-2H-피라졸로[3,4-d]피리다진의 제조
Figure pat00035
DMF 중 7-클로로-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4,3-d]피리다진 및 피페리딘의 용액을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9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용리제로서 CH2Cl2/MeOH (10 : 1)를 사용하여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45 - 7.38 (m, 2H), 7.10 - 7.02 (m, 2H), 4.08 (t, J = 4.3 Hz, 4H), 3.90 (s, 3H), 2.77 (s, 3H), 2.68 (s, 3H), 1.70 (d, J = 2.9 Hz, 6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60.3, 151.4, 146.7, 137.6, 131.8, 127.4, 117.8, 114.5, 55.7, 47.8, 46.9, 29.7, 25.9, 25.0, 20.2, 12.5.
<실시예 25> 2-(4-메톡시페닐)-3,4-디메틸-7-(피롤리딘-1-일)-2H-피라졸로[3,4-d]피리다진의 제조
Figure pat00036
DMF 중 7-클로로-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4,3-d]피리다진 및 피롤리딘의 용액을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9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용리제로서 CH2Cl2/MeOH (10 : 1)를 사용하여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44 - 7.39 (m, 2H), 7.10 - 7.05 (m, 2H), 4.08 (q, J = 9.1, 6.5 Hz, 4H), 3.90 (s, 3H), 2.78 (s, 3H), 2.70 (s, 3H), 2.06 - 2.00 (m, 4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60.6, 148.1, 145.6, 137.2, 136.7, 131.2, 127.2, 117.0, 114.8, 76.9, 55.8, 50.2, 25.3, 19.2, 12.6.
<실시예 26> 4-(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모폴린의 제조
Figure pat00037
DMF 중 7-클로로-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4,3-d]피리다진 및 모폴린의 용액을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9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미정제 생성물을 용리제로서 CH2Cl2/MeOH (10 : 1)를 사용하여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δ 7.56 - 7.53 (m, 2H), 7.16 - 7.13 (m, 2H), 3.93 (t, J = 4.8 Hz, 4H), 3.85 (s, 3H), 3.73 (t, J = 4.8 Hz, 4H), 2.68 (s, 3H), 2.65 (s, 3H); 13C NMR (151 MHz, DMSO-d 6) δ 151.1, 148.1, 136.7, 131.7, 128.0, 117.6, 115.0, 66.5, 66.5, 56.1, 55.4, 53.5, 53.2, 47.2, 20.2, 12.6.
<실시예 27> 1-(2-(2-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38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1에서 사용한 아닐린을 대신하여, 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5 - 7.49 (m, 1H), 7.17 - 6.99 (m, 7H), 4.43 (d, J = 14.0 Hz, 3H), 4.30 (dd, J = 15.0, 5.2 Hz, 1H), 4.04 (s, 1H), 3.81 (d, J = 9.8 Hz, 1H), 3.77 (s, 3H), 2.74 (s, 3H), 2.70 (dq, J = 7.4, 3.9 Hz, 1H), 2.51 (s, 3H), 2.22 (s, 4H), 1.90 (ddd, J = 12.8, 7.5, 4.2 Hz, 1H), 1.82 (s, 1H), 1.75 - 1.69 (m, 1H), 1.63 (ddq, J = 13.5, 9.2, 4.7, 4.3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2, 154.2, 147.5, 136.2, 136.0, 131.5, 130.1, 128.8, 127.8, 127.5, 127.1, 126.0, 121.1, 117.2, 112.1, 55.8, 49.3, 47.9, 42.2, 41.3, 27.5, 24.1, 20.4, 19.0, 11.8.
<실시예 28> 1-(2-(3-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39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1에서 사용한 아닐린을 대신하여, 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42 (t, J = 8.1 Hz, 1H), 7.12 - 6.95 (m, 7H), 6.89 (s, 1H), 4.52 - 4.42 (m, 3H), 4.30 (dd, J = 14.9, 5.1 Hz, 1H), 4.03 (dd, J = 13.5, 8.0 Hz, 1H), 3.86 (s, 3H), 3.82 (d, J = 3.8 Hz, 1H), 2.74 (s, 3H), 2.73 - 2.69 (m, 1H), 2.69 (s, 3H), 2.21 (s, 4H), 1.93 - 1.88 (m, 1H), 1.73 (dt, J = 10.0, 3.4 Hz, 1H), 1.63 (dt, J = 9.2, 4.1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1, 160.2, 151.2, 147.3, 137.5, 136.2, 136.1, 134.6, 130.2, 128.0, 127.2, 125.9, 118.1, 118.0, 115.0, 112.2, 55.7, 49.1, 47.8, 42.2, 41.5, 27.6, 24.2, 20.5, 18.9, 12.6.
<실시예 29> 1-(2-(4-플루오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0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1에서 사용한 아닐린을 대신하여, 4-플루오로아닐린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43 - 7.35 (m, 2H), 7.23 - 7.16 (m, 2H), 7.16 - 7.00 (m, 4H), 6.84 (s, 1H), 4.55 - 4.47 (m, 2H), 4.44 (dd, J = 14.9, 5.8 Hz, 1H), 4.33 (dd, J = 14.9, 5.1 Hz, 1H), 4.00 (dd, J = 13.6, 8.1 Hz, 1H), 3.83 - 3.77 (m, 1H), 2.74 (s, 3H), 2.70 (dt, J = 8.2, 3.9 Hz, 1H), 2.67 (s, 3H), 2.19 (d, J = 26.5 Hz, 4H), 1.91 (ddd, J = 13.4, 6.9, 3.7 Hz, 1H), 1.76 - 1.73 (m, 1H), 1.62 (dq, J = 13.5, 5.2, 4.7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1, 151.1, 137.6, 136.0, 130.2, 128.1, 127.9, 127.9, 127.3, 126.0, 118.0, 116.6, 116.5, 49.1, 47.8, 42.2, 41.5, 27.6, 24.2, 20.5, 19.0, 12.5.
<실시예 30> 1-(2-(4-클로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1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1에서 사용한 아닐린을 대신하여, 4-클로로아닐린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3 - 7.47 (m, 2H), 7.39 - 7.34 (m, 2H), 7.15 - 7.01 (m, 4H), 6.86 (s, 1H), 4.56 - 4.48 (m, 2H), 4.44 (dd, J = 14.9, 5.8 Hz, 1H), 4.33 (dd, J = 14.9, 5.1 Hz, 1H), 3.98 (dd, J = 13.5, 8.2 Hz, 1H), 3.78 (ddd, J = 12.9, 9.3, 3.4 Hz, 1H), 2.74 (s, 3H), 2.69 (s, 4H), 2.22 (s, 4H), 1.92 (dp, J = 13.5, 4.2, 2.7 Hz, 2H), 1.74 (ddt, J = 12.8, 6.2, 3.4 Hz, 1H), 1.66 - 1.59 (m,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1, 151.1, 147.2, 136.2, 136.0, 135.7, 134.6, 130.2, 129.7, 128.1, 127.3, 127.1, 126.0, 49.1, 47.7, 42.3, 41.5, 27.6, 24.2, 20.5, 19.0, 12.6.
<실시예 31> 1-(2-(4-브로모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2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1에서 사용한 아닐린을 대신하여, 4-브로모아닐린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68 - 7.63 (m, 2H), 7.33 - 7.28 (m, 2H), 7.16 - 7.01 (m, 4H), 6.85 (s, 1H), 4.52 (dd, J = 13.7, 3.8 Hz, 2H), 4.45 (dd, J = 14.9, 5.8 Hz, 1H), 4.34 (dd, J = 14.9, 5.1 Hz, 1H), 3.98 (dd, J = 13.5, 8.2 Hz, 1H), 3.78 (ddd, J = 13.1, 9.2, 3.2 Hz, 1H), 2.74 (s, 3H), 2.69 (s, 4H), 2.22 (s, 4H), 1.95 - 1.89 (m, 1H), 1.75 (ddt, J = 12.9, 6.3, 3.1 Hz, 1H), 1.63 (qd, J = 9.5, 5.5 Hz, 1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1, 151.1, 147.2, 137.7, 136.2, 136.0, 132.7, 130.3, 128.0, 127.5, 127.3, 126.0, 123.8, 49.1, 47.7, 42.3, 41.5, 27.6, 24.2, 20.5, 19.0, 12.6.
<실시예 32> 1-(3,4-디메틸2-(p-톨릴)-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3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1에서 사용한 아닐린을 대신하여, 4-메틸아닐린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29 (q, J = 8.3 Hz, 4H), 7.13 - 7.04 (m, 3H), 7.04 - 6.98 (m, 2H), 4.49 - 4.40 (m, 3H), 4.30 (dd, J = 14.9, 5.1 Hz, 1H), 4.05 (dd, J = 13.6, 7.9 Hz, 1H), 3.83 (ddd, J = 12.8, 8.9, 3.4 Hz, 1H), 2.73 (s, 3H), 2.70 (dq, J = 8.1, 3.9 Hz, 1H), 2.66 (s, 3H), 2.46 (s, 3H), 2.24 (td, J = 9.0, 4.3 Hz, 1H), 2.20 (s, 3H), 2.04 - 1.94 (m, 1H), 1.93 - 1.87 (m, 1H), 1.73 (ddt, J = 13.2, 6.6, 3.2 Hz, 1H), 1.63 (ddt, J = 13.5, 9.3, 4.8 Hz, 1H); 13C NMR (151 MHz, CDCl3) δ 173.2, 151.3, 147.3, 139.8, 137.4, 136.2, 136.1, 134.6, 130.1, 130.0, 127.9, 127.1, 125.9, 125.7, 117.9, 49.2, 47.7, 42.2, 41.4 27.5 24.1 21.3 20.5 19.0, 12.5.
<실시예 33> 1-(2-(4-에틸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4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1에서 사용한 아닐린을 대신하여, 4-에틸아닐린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32 (q, J = 8.5 Hz, 4H), 7.12 - 7.00 (m, 4H), 7.00 (d, J = 6.7 Hz, 1H), 4.49 - 4.41 (m, 3H), 4.31 (dd, J = 14.9, 5.1 Hz, 1H), 4.06 (dd, J = 13.5, 7.9 Hz, 1H), 3.87 - 3.81 (m, 1H), 2.79 - 2.75 (m, 2H), 2.74 (s, 3H), 2.71 (dt, J = 8.1, 3.9 Hz, 1H), 2.68 (s, 3H), 2.24 (td, J = 9.0, 4.3 Hz, 1H), 2.21 (s, 3H), 1.90 (ddt, J = 11.1, 7.5, 4.2 Hz, 1H), 1.74 (dh, J = 9.8, 3.2 Hz, 2H), 1.63 (ddt, J = 13.4, 9.2, 4.7 Hz, 1H), 1.31 (t, J = 7.6 Hz, 3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2, 147.3, 146.1, 137.4, 136.1, 134.6, 130.2, 128.8, 128.0, 127.1, 125.9, 125.8, 49.1, 47.8, 42.2, 41.4, 28.6, 27.5, 24.1, 20.5, 19.0, 15.4, 12.6.
<실시예 34> 1-(2-(4-이소프로필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5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1에서 사용한 아닐린을 대신하여, 4-이소프로필아닐린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40 - 7.30 (m, 4H), 7.13 - 7.00 (m, 4H), 6.99 (d, J = 5.4 Hz, 1H), 4.45 (ddd, J = 13.6, 9.2, 4.8 Hz, 3H), 4.30 (dd, J = 14.9, 5.1 Hz, 1H), 4.06 (dd, J = 13.5, 7.9 Hz, 1H), 3.87 - 3.80 (m, 1H), 3.02 (p, J = 6.9 Hz, 1H), 2.74 (s, 3H), 2.70 (dt, J = 7.9, 3.9 Hz, 1H), 2.68 (s, 3H), 2.26 - 2.22 (m, 1H), 2.21 (s, 3H), 1.93 - 1.87 (m, 2H), 1.73 (ddt, J = 10.0, 6.6, 3.3 Hz, 1H), 1.64 (td, J = 9.1, 4.7 Hz, 1H), 1.32 (d, J = 7.0 Hz, 6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2, 151.3, 150.6, 147.3, 137.4, 136.1, 134.5, 130.2, 128.0, 127.4, 127.2, 125.9, 125.8, 49.1, 47.8, 42.2, 41.5, 34.0, 27.6, 24.1, 23.9, 23.9, 20.5, 19.0, 12.6.
<실시예 35> 1-(2-(4-(tert-부틸)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6
상기 실시예 12의 단계 1에서 사용한 아닐린을 대신하여, tert-부틸아닐린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6 - 7.52 (m, 2H), 7.37 - 7.33 (m, 2H), 7.18 (p, J = 8.1, 7.6 Hz, 1H), 7.12 - 7.07 (m, 2H), 7.06 - 6.99 (m, 2H), 4.57 (dd, J = 24.6, 13.0 Hz, 2H), 4.43 (dd, J = 14.9, 5.8 Hz, 1H), 4.31 (dd, J = 14.9, 5.2 Hz, 1H), 3.95 (dd, J = 13.7, 8.6 Hz, 1H), 3.77 - 3.70 (m, 1H), 2.75 (s, 3H), 2.72 (q, J = 4.4 Hz, 1H), 2.69 (s, 3H), 2.21 (s, 3H), 2.16 (tt, J = 8.4, 3.5 Hz, 1H), 1.94 - 1.88 (m, 1H), 1.77 - 1.71 (m, 1H), 1.62 (qd, J = 9.4, 5.5 Hz, 1H), 1.39 (s, 10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173.1, 153.1, 150.9, 147.3, 136.2, 136.1, 136.0, 135.3, 130.1, 128.0, 127.1, 126.4, 125.9, 125.5, 117.9, 49.2, 47.9, 42.2, 41.4, 34.9, 31.3, 27.5, 24.3, 20.0, 19.0, 12.6.
상기 실시예 1-35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화학 구조식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조식 실시예 구조식
1
Figure pat00047
19
Figure pat00048
2
Figure pat00049
20
Figure pat00050
3
Figure pat00051
21
Figure pat00052
4
Figure pat00053
22
Figure pat00054
5
Figure pat00055
23
Figure pat00056
6
Figure pat00057
24
Figure pat00058
7
Figure pat00059
25
Figure pat00060
8
Figure pat00061
26
Figure pat00062
9
Figure pat00063
27
Figure pat00064
10
Figure pat00065
28
Figure pat00066
11
Figure pat00067
29
Figure pat00068
12
Figure pat00069
30
Figure pat00070
13
Figure pat00071
31
Figure pat00072
14
Figure pat00073
32
Figure pat00074
15
Figure pat00075
33
Figure pat00076
16
Figure pat00077
34
Figure pat00078
17
Figure pat00079
35
Figure pat00080
18
Figure pat00081
36
<실험예 1> 인실리코 스크리닝
신규 Hsp90 억제제로서, Hsp90의 C-말단에 결합하는 분자를 규명하기 위하여, 인실리코(insilico) 스크리닝 프로토콜인, ALIS-DOCK (Automatic pLatform for Iterative Structure-based DOCKing), 구조 기반 가상 스크리닝을 통해 히트 분자를 탐색하였다(Research Institute of Pharmaceutical Researches, College of Pharmac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Jun-Goo Jee' s lab).
250,000 분자 라이브러리에서 Hsp90 단백질의 C-말단 영역에 결합하는 '히트 화합물'을 탐색하였다(도 5).
그 결과, 히트 화합물로 피라졸로 피라다진 유도체인 SD-240, SD-1199, CI1이 검색되었다(도 6).
<실험예 2> 히트 화합물의 항증식 활성 평가
인실리코(In silico) 히트 화합물인 SD-240, SD-1199, CI1에 대한 항증식 억제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항증식 활성은 3종의 히트 화합물 및 17-DMAG(양성 대조군)을 각각 폐암, 유방암 세포, 뇌종양의 세포주인 A549, MCF7, U87MG를 대상으로 각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평가되었고, 그 결과를 도 7a-c에 도시하였다.
그 결과, 'SD-1199(실시예 1)'는 5μM, 10μM, 15μM에서 임상 시험 2 단계에 진입한 겔다나마이신(geldanamycin) 유도체 '17-DMAG' 보다 효과적인 농도 의존 효능과, 보다 좋은 항증식 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3>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의 항증식 활성 평가
히트 화합물 SD-1199(실시예 1)을 토대로 구조-활성 관계를 규명하고, 보다 우수한 항증식 활성의 신규 Hsp90 억제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35의 신규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화합물을 합성하였고, 이의 항증식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35 화합물에 의한 항증식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 폐암 및 유방암의 세포주인 A549 및 MCF7를 대상으로 48 시간 동안 1μM과 10μM의 농도로 실시예 1-35 화합물에 노출시킨 후,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를 사용한 세포 생존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처리에 대한 DMSO의 최종 농도는 0.1 %로 조정되었다. 각 조건을 3 회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양성 대조군: 17-DMAG, 음성 대조군: DMSO), 그 결과를 도 8a-b(실시예 1-11, 23-26), 도 9a-b(실시예 12-22) 및 도 10a-b(실시예 27-35)에 나타내었다.
도 8-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화합물은 우수한 항증식 활성이 확인되는 바, 본 발명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화합물은 신규 Hsp90 억제제로서,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8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이거나, 또는 R1 및 R2는 함께 연결되어 4-10 원자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되,
    여기서, 상기 고리를 이루는 원자는 C, N, O,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원자이되, 상기 원자는 원가가에 맞게 비치환 또는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원자가 치환되는 경우, H,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젠, 아미노, 니트로, 시아노, -COOH, -(C=O)-OR6, 또는 -(C=O)-NR6R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되,
    여기서, 상기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10아릴-C1-3알킬이되,
    다시 여기서, 상기 치환된 알킬, 및 치환된 아릴은,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젠, 아미노, 니트로 및 시아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또는
    상기 R6 및 R7은 함께 연결되어
    Figure pat00083
    를 형성하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이고; 및

    R5는 H,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젠, 아미노, 니트로 또는 시아노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및 R2는 함께 연결되어
    Figure pat00084
    ,
    Figure pat00085
    , 또는
    Figure pat00086
    을 형성하고,
    상기 R8는 H, -(C=O)-OR6, 또는 -(C=O)-NR6R7이고,
    여기서, 상기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이되,
    다시 여기서, 상기 치환된 벤질은,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히드록시, 및 할로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또는
    상기 R6 및 R7은 함께 연결되어
    Figure pat00087
    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메틸이고; 및
    상기 R5는 H,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또는 할로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 N-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3-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4)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4-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5) N-(3-메톡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6) N-(4-메톡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7) N-(2-플루오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8) N-(3-플루오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9) N-(4-플루오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0) N-(3-클로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1) N-(4-클로로벤질)-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2)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3) N-벤질-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4)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3-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5)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4-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6)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3-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7)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4-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8)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19)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3-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0) 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4-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1) N-(3-클로로벤질)-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2) N-(4-클로로벤질)-1-(3,4-디메틸-2-페닐-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3) 1-(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피페리딘-3-카복실레이트;
    (24) 2-(4-메톡시페닐)-3,4-디메틸-7-(피페리딘-1-일)-2H-피라졸로[3,4-d]피리다진;
    (25) 2-(4-메톡시페닐)-3,4-디메틸-7-(피롤리딘-1-일)-2H-피라졸로[3,4-d]피리다진;
    (26) 4-(2-(4-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모폴린;
    (27) 1-(2-(2-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8) 1-(2-(3-메톡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29) 1-(2-(4-플루오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0) 1-(2-(4-클로로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1) 1-(2-(4-브로모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2) 1-(3,4-디메틸2-(p-톨릴)-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3) 1-(2-(4-에틸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4) 1-(2-(4-이소프로필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35) 1-(2-(4-(tert-부틸)페닐)-3,4-디메틸-2H-피라졸로[3,4-d]피리다진-7-일)-N-(2-메틸벤질)피페리딘-3-카복스아미드.
  5.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R1R2NH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pat00088

    (상기 반응식 1에 있어서,
    R1, R2, R3, R4, 및 R5는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6. 제1항의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Hsp90(Heat shock protein 90) 관련 질환 또는 병태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Hsp90의 C-말단 영역에 결합하여 Hsp90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의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가성점액종, 간내 담도암, 간모세포종, 간암, 갑상선암, 결장암, 고환암, 골수이형성증후군, 교모세포종, 구강암, 구순암, 균상식육종, 급성골수성백혈병, 급성림프구성백혈병, 기저세포암, 난소상피암, 난소생식세포암, 남성유방암, 뇌종양, 뇌하수체선종, 다발성골수종, 담낭암, 담도암, 대장암, 만성골수성백혈병, 만성림프구백혈병, 망막모세포종,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 바터팽대부암, 방광암, 복막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비부비동암, 비소세포폐암, 비호지킨림프종, 설암, 성상세포종, 소세포폐암, 소아뇌암, 소아림프종, 소아백혈병, 소장암, 수막종, 식도암, 신경교종, 신경모세포종, 신우암, 신장암, 심장암, 십이지장암, 악성 연부조직 암, 악성골암, 악성림프종, 악성중피종, 흑색종, 안암, 외음부암, 요관암, 요도암, 원발부위불명암, 위림프종, 위암, 위유암종, 위장관간질암, 윌름스암, 유방암, 육종, 음경암, 인두암, 임신융모질환,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자궁육종, 전립선암, 전이성 골암, 전이성뇌암, 종격동암, 직장암, 직장유암종, 질암, 척수암, 청신경초종, 췌장암, 침샘암, 카포시 육종, 파제트병, 편도암, 편평상피세포암, 폐선암, 폐암, 폐편평상피세포암, 피부암, 항문암, 횡문근육종, 후두암, 흉막암, 및 흉선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의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90020341A 2019-02-21 2019-02-21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78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41A KR102578288B1 (ko) 2019-02-21 2019-02-21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41A KR102578288B1 (ko) 2019-02-21 2019-02-21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565A true KR20200102565A (ko) 2020-09-01
KR102578288B1 KR102578288B1 (ko) 2023-09-15

Family

ID=72469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341A KR102578288B1 (ko) 2019-02-21 2019-02-21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2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9695A1 (en) * 2016-11-11 2018-05-17 Dynavax Technologies Corporation Toll-like receptor antagonist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WO2018100041A1 (en) * 2016-11-30 2018-06-07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Meta substituted phenylpyrazolo- and phenylpyrrolo- pyridazine derivatives having multimodal activity against pain
WO2018100045A1 (en) * 2016-11-30 2018-06-07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Ortho substituted phenylpyrazolo- and phenylpyrrolo-pyridazine derivatives having multimodal activity against pa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9695A1 (en) * 2016-11-11 2018-05-17 Dynavax Technologies Corporation Toll-like receptor antagonist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WO2018100041A1 (en) * 2016-11-30 2018-06-07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Meta substituted phenylpyrazolo- and phenylpyrrolo- pyridazine derivatives having multimodal activity against pain
WO2018100045A1 (en) * 2016-11-30 2018-06-07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Ortho substituted phenylpyrazolo- and phenylpyrrolo-pyridazine derivatives having multimodal activity against pain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S Med. Chem. Lett. 2012, 3, 570-573.* *
Acs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15, 6 (2), 204-209.
Bioorg. Med. Chem. Lett. 20 (2010) 4683-4688.* *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11, 21 (23), 7170-7174.
Journal of Natural Products 2011, 74 (5), 1085-109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288B1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8456B2 (en) O-aminoheteroaryl alkynyl-containing compou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KR101218633B1 (ko) 세포 증식 질환 치료용 화합물
EP2799437B1 (en) Quinoline and cinnoli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JP4493503B2 (ja) 複素環式化合物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腫瘍剤
EA019723B1 (ru) ИНГИБИТОРЫ cMET
JP6692354B2 (ja) 1,4−ジ置換イミダゾール誘導体
KR20010042434A (ko) 술폰아미드 함유 인돌 화합물
CN111051300B (zh) 作为组蛋白脱乙酰基酶1和/或2(hdac1-2)的选择性抑制剂的新杂芳基酰胺衍生物
EA028035B1 (ru) Производные пиразолопирролидин-4-он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при лечении заболевания
JP7025555B2 (ja) 一過性受容体電位a1イオンチャネルの阻害
JP2004067629A (ja) ミトコンドリア機能活性化剤及び新規なベンゾイミダゾール誘導体
AU2019218187A1 (en) Dioxinoquinoline compounds,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JP2005232179A (ja) 3−フェニルスルホニル−3,7−ジアザビシクロ[3,3,1]ノナン−化合物を含有する抗不整脈剤
JP2005511602A (ja) アントラニル酸アミドおよびvegf受容体チロシン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その使用
JP2019523230A (ja) 抗転移性2H‐セレノフェノ[3,2‐h]クロメン、それらの合成、および同薬剤の使用方法
TW201641492A (zh) 經取代1,2,3-***、其用途、以及包含其之醫藥組成物
CA2910255A1 (en) Inhibitors of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compositions, products and uses thereof
EP0950418A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disease
JP7022454B2 (ja) ジオキシノキノリン系化合物、その調製方法および使用
CA3093323C (en) Oxazino-quinazoline and oxazino-quinoline type compound,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KR102578288B1 (ko)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23184A (ko) 증식이상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물질 및 방법
JPH02229168A (ja) ピラゾロン誘導体
EP1940794A2 (en) Quinoline derivatives and use as antitumor agents
RU2797694C2 (ru) О-аминогетероарилалкинилсодержащее соединение,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