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433A -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433A
KR20190137433A KR1020180063602A KR20180063602A KR20190137433A KR 20190137433 A KR20190137433 A KR 20190137433A KR 1020180063602 A KR1020180063602 A KR 1020180063602A KR 20180063602 A KR20180063602 A KR 20180063602A KR 20190137433 A KR20190137433 A KR 20190137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using structure
housing
electronic devic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815B1 (ko
Inventor
김기대
김정진
김종윤
백무현
유중근
최영식
이민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8006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815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3219433.2A priority patent/EP4325330A3/en
Priority to CN202410040046.XA priority patent/CN117978900A/zh
Priority to CN201980051193.4A priority patent/CN112513777B/zh
Priority to PCT/KR2019/006423 priority patent/WO2019231232A1/en
Priority to EP19177417.3A priority patent/EP3647901A1/en
Priority to US16/428,637 priority patent/US11314284B2/en
Priority to JP2019103875A priority patent/JP7334071B2/ja
Publication of KR2019013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433A/ko
Priority to US17/660,592 priority patent/US11966259B2/en
Priority to KR1020230064938A priority patent/KR102650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815B1/ko
Priority to JP2023132695A priority patent/JP202316641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5Stackable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전자 장치는, 폴더블 하우징(a foldable housing)으로서, 제1 하우징 구조물(a first housing structure), 및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에 접힘 가능하도록(foldably) 연결되는 제2 하우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과 마주보고, 비 접힘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이 평면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접힘 가능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함께 리세스를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비 접힘 상태에서 상기 리세스의 위에서 볼 때,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 사이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 사이의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폭은 제1 폭보다 길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보다 상기 제1 축에 가까운 폴더블 하우징 및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리세스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비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으로부터 제1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과 마주보는 제1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리세스의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과 마주보는 제2 주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으로부터 제2 간격을 가지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비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oldable display}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전자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평면 디스플레이 및 평면 디스플레이에서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으로 연장되는 곡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평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중에서는, 노트북이나 플립 폰(flip phone)과 같이 힌지 구조를 통해 접힘이 가능한 전자 장치가 존재한다. 이러한 폴더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들은 디스플레이의 힌지 구조를 중심으로 일 측 혹은 양 측에 배치되는 평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작은 크기를 가져서 휴대가 간편한 전자 장치와 큰 화면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에 있다. 높은 휴대성과 큰 화면을 모두 제공하기 위해, 접힐 수 있는 전자 장치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채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므로, 장치의 접힘이 발생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전자 장치의 하우징 설계는 디스플레이의 변형이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접힐 수 있는 전자 장치는 접힘 축을 중심으로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배선 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선 부재는 전자 장치의 접힘이 발생할 때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반복적인 접힘에 의해 배선 부재에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하지 않은 설계는 배선 부재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접힐 수 있는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접힘 축을 중심으로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접힐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휘어질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이와 같은 동작이 가능하기 위해, 하우징과 디스플레이의 조립 구조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폴더블 하우징(a foldable housing)으로서, 제1 하우징 구조물(a first housing structure) 및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에 접힘 가능하도록(foldably) 연결되는 제2 하우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과 마주보고, 비 접힘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이 평면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접힘 가능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함께 리세스를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비 접힘 상태에서 상기 리세스의 위에서 볼 때,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 사이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 사이의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폭은 제1 폭보다 길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보다 상기 제1 축에 가까운 폴더블 하우징 및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리세스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비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으로부터 제1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과 마주보는 제1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리세스의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과 마주보는 제2 주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으로부터 제2 간격을 가지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비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폴더블 하우징(a foldable housing)으로서, 제1 하우징 구조물(a first housing structure) 및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에 접힘 가능하도록(foldably) 연결되는 제2 하우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과 마주보고, 비 접힘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이 평면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접힘 가능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 사이에 리세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은 상기 리세스로 향하는 제1 내부면에 제1 길게 연장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은 상기 리세스로 향하는 제2 내부면에 제2 길게 연장된 리세스를 포함하는 폴더블 하우징 및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길게 연장된 리세스로 삽입된 제1 주변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길게 연장된 리세스로 삽입된 제2 주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나머지 일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 축에 대해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로 프레임과 상기 제1 가로 프레임과 나란하게 마주보는 제2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가로 프레임과 상기 제3 가로 프레임과 나란하게 마주보는 제4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로 프레임, 상기 제2 가로 프레임, 상기 제3 가로 프레임 및 상기 제4 가로 프레임에는 각각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 제2 홈, 제3 홈 및 제4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주변부와 상기 제1 주변부와 나란한 제2 주변부를 포함하는 주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3 홈에는 상기 제1 주변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4 홈에는 상기 제2 주변부가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접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1 면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제1 브라켓 및 제1 면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브라켓 구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폴딩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이 상기 폴딩 축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을 연결하는 힌지 구조물, 내측면이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면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제1 면과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힌지 구조물이 배치되는 힌지 하우징, 상기 제1 브라켓의 제2 면에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제2 면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부,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제1 면에 연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를 쉽고 안정적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고, 폴더블 전자 장치의 폴딩(folding) 시 영향을 받는 구성 요소들의 파손을 방지하거나 내구성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구성 요소들의 변형을 고려한 설계가 가능할 수 있다.
이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평면 및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전자 장치가 펼침 상태인 경우의 디스플레이와 플레이트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힘 상태인 경우의 디스플레이와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브라켓 어셈블리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브라켓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1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선 부재와 배선 부재의 브라켓 고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9 및 10의 전자 장치의 힌지 구조물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선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1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브라켓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브라켓 어셈블리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브라켓 어셈블리와 디스플레이 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더블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더블 하우징과 브라켓 어셈블리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슬라이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더블 하우징과 브라켓 어셈블리가 조립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판부 및 후면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힘 상태일 때의, 디스플레이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 및 디스플레이의 층 밀림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힘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의 단면, 및 디스플레이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비 접힘 상태(unfolded state), 도 2에 도시된 접힘 상태(folded state) 및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특별히 구별하여 설명하지 않는 한 “접힘 상태(folded state)”라 함은 “fully folded state”를 의미하며, 전자 장치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접힌(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의 예시는 별도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는, 폴더블 하우징(500), 상기 폴더블 하우징의 접힘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530), 및 상기 폴더블 하우징(50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된 플렉서블(flexi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100)(이하, 줄여서, "디스플레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디스플레이(100)가 배치된 면을 제1 면 또는 전자 장치(10)의 전면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전면의 반대 면을 제2 면 또는 전자 장치(10)의 후면으로 정의한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을 제3 면 또는 전자 장치(10)의 측면으로 정의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폴더블 하우징 (500)은, 제1 하우징 구조물(510), 센서 영역(524)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 구조물(520), 제1 후면 커버(580), 및 제2 후면 커버(5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의 폴더블 하우징(50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과 제1 후면 커버(58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하우징 구조물(520)과 제2 후면 커버(59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5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축 A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전자 장치(10)의 상태가 펼침 상태인지, 접힘 상태인지,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제1 하우징 구조물(510)과 달리,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는 상기 센서 영역(524)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하우징 구조물(5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디스플레이(100)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영역(524)으로 인해, 상기 리세스는 폴딩 축 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세스는 (1) 제1 하우징 구조물(510) 중 폴딩 축 A에 평행한 제1 부분(510a)과 제2 하우징 구조물(520) 중 센서 영역(524)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부분(520a) 사이의 제1 폭(w1), 및 (2) 제1 하우징 구조물(510)의 제2 부분(510b)과 제2 하우징 구조물(520) 중 센서 영역(524)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폴딩 축 A에 평행한 제2 부분(520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호 비대칭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의 제1 부분(510a)과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제1 부분(520a)은 상기 리세스의 제1 폭(w1)을 형성하고, 상호 대칭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의 제2 부분(510b)과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제2 부분(520b)은 상기 리세스의 제2 폭(w2)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제1 부분(520a) 및 제2 부분(520b)은 상기 폴딩 축 A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리세스의 폭은 도시된 예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524)의 형태 또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비대칭 형상을 갖는 부분에 의해 리세스는 복수 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100)를 지지하기 위해 선택된 크기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이나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 영역(524)은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일 코너에 인접하여 소정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센서 영역(524)의 배치, 형상, 및 크기는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524)은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다른 코너 혹은 상단 코너와 하단 코너 사이의 임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에 내장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components)이 센서 영역(524)을 통해, 또는 센서 영역(524)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1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부품들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리시버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면 커버(580)는 상기 전자장치의 후면에 상기 폴딩 축의 일편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장자리(periphery)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하우징 구조물(510)에 의해 상기 가장자리가 감싸질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후면 커버(590)는 상기 전자장치의 후면의 상기 폴딩 축의 다른편에 배치되고, 제2 하우징 구조물(520)에 의해 그 가장자리가 감싸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후면 커버(580) 및 제2 후면 커버(590)는 상기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후면 커버(580) 및 제2 후면 커버(590)가 반드시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는 다양한 형상의 제1 후면 커버(580) 및 제2 후면 커버(5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 예에서, 제1 후면 커버(580)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후면 커버(590)는 제2 하우징 구조물(5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후면 커버(580), 제2 후면 커버(590),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전자 장치(10)의 다양한 부품들(예: 인쇄회로기판, 또는 배터리)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components)이 배치되거나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후면 커버(580)의 제1 후면 영역(582)을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190)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후면 커버(590)의 제2 후면 영역(592)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센서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 커버(530)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5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 (예를 들어, 힌지 구조)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530)는, 상기 전자 장치(10)의 상태(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라,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530)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예: 완전 접힘 상태(fully folded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530)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530)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사이에서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53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00)는, 상기 폴더블 하우징(50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0)는 폴더블 하우징(50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 상에 안착되며, 전자 장치(10)의 전면의 대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100) 및 디스플레이(100)에 인접한 제1 하우징 구조물(510)의 일부 영역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의 후면은 제1 후면 커버(580), 제1 후면 커버(580)에 인접한 제1 하우징 구조물(510)의 일부 영역, 제2 후면 커버(590) 및 제2 후면 커버(590)에 인접한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00)는 폴딩 영역(103), 폴딩 영역(103)을 기준으로 일측(도 1에 도시된 폴딩 영역(103)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영역(101) 및 타측(도 1에 도시된 폴딩 영역(103)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영역(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00)의 영역 구분은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100)는 구조 또는 기능에 따라 복수 (예를 들어, 4개 이상 혹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y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폴딩 영역(103) 또는 폴딩 축(A축)에 의해 디스플레이(100)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00)는 다른 폴딩 영역(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영역) 또는 다른 폴딩 축(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도 있다.
제1 영역(101)과 제2 영역(102)은 폴딩 영역(103)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2 영역(102)은, 제1 영역(101)과 달리, 센서 영역(524)의 존재에 따라 컷(cut)된 노치(notch)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01)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영역(101)과 제2 영역(102)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과,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10)의 상태(예: 펼침 상태(flat state) 및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른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동작과 디스플레이(100)의 각 영역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flat state)(예: 도 1)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의 제1 영역(101)의 표면과 제2 영역(102)의 표면은 서로 180도를 형성하며, 동일한 방향(예: 전자 장치의 전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폴딩 영역(103)은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folded state)(예: 도 2)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의 제1 영역(101)의 표면과 제2 영역(102)의 표면은 서로 좁은 각도(예: 0도에서 10도 사이)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폴딩 영역(103)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가 중간 상태(folded state)(예: 도 2)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의 제1 영역(101)의 표면과 제2 영역(102)의 표면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폴딩 영역(103)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의 곡률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20), 브라켓 어셈블리(30), 기판부(600), 제1 하우징 구조물(510), 제2 하우징 구조물(520), 제1 후면 커버(580) 및 제2 후면 커버(5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20)는 디스플레이 모듈(module) 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assembly)로 불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100)와, 디스플레이(100)가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또는 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40)는 디스플레이(100)와 브라켓 어셈블리(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40)의 일면(예: 도 3을 기준으로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디스플레이(100)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40)는 디스플레이(1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40)의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100)의 노치(10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30)는 제1 브라켓(410), 제2 브라켓(420), 제1 브라켓(410) 및 제2 브라켓(4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 힌지 구조물을 외부에서 볼 때 커버하는 힌지 커버(530), 및 제1 브라켓(410)과 제2 브라켓(420)을 가로지르는 배선 부재(430)(예: 연성 회로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플레이트(140)와 상기 기판부(600) 사이에,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30)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브라켓(410)은, 디스플레이(100)의 제1 영역(101) 및 제1 기판(6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420)은, 디스플레이(100)의 제2 영역(102) 및 제2 기판(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 어셈블리(30)의 내부에는 배선 부재(430)와 힌지 구조물(30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430)는 제1 브라켓(410)과 제2 브라켓(420)을 가로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430)는 전자 장치(10)의 폴딩 영역(103)의 폴딩 축(예: y축 또는 도 1의 폴딩 축(A))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600)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410) 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610)과 제2 브라켓(420) 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610)과 제2 기판(620)은, 브라켓 어셈블리(30), 제1 하우징 구조물(510), 제2 하우징 구조물(520), 제1 후면 커버(580) 및 제2 후면 커버(59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610)과 제2 기판(620)에는 전자 장치(1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브라켓 어셈블리(30)에 디스플레이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 어셈블리(30)의 양측으로 결합되도록 서로 조립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구조물(5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브라켓 어셈블리(30)의 양 측에서 슬라이딩 되어 브라켓 어셈블리(3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510)은 제1 회전 지지면(5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제1 회전 지지면(512)에 대응되는 제2 회전 지지면(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면(512)과 제2 회전 지지면(522)은 힌지 커버(530)에 포함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회전 지지면(512)과 제2 회전 지지면(522)은,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예: 도 1의 전자 장치)인 경우, 상기 힌지 커버(530)를 덮어 힌지 커버(530)가 전자 장치(10)의 후면으로 노출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 지지면(512)과 제2 회전 지지면(522)은,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전자 장치)인 경우, 힌지 커버(530)에 포함된 곡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커버(530)가 전자 장치(10)의 후면으로 최대한 노출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평면 및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00)는 평면도로 볼 때, 제1 영역(101), 제2 영역(102) 및 폴딩 영역(103)(또는 제3 영역으로도 불릴될 수 있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예: 도 2) 일 때,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은 서로 마주볼 수 있으며, 폴딩 영역(103)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은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예: 도 1)일 때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할 수 있으며, 폴딩 영역(103)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단면도로 볼 때, 복수의 레이어들(121, 122, 123, 124)을 포함하는 레이어 구조(120)를 가질 수 있다. 레이어 구조(120)는 전자 장치(10)의 전면을 향해 배치되는 폴리이미드(PI) 레이어(121)(Polyimide layer), 복수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OLED)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2), 디스플레이 패널(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레이어(123) 및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레이어(1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레이어 구조(120)는 편광 레이어 및 쿠션 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선 레이어(123)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선 레이어(123)는 배선이 인쇄된 박막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선 레이어(123)는 유연성을 가진 PI 필름에 배선이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2)은 발광 소자가 배치되는 발광 레이어, 발광 레이어를 덮는 박막 봉지(encapsulation) 레이어 및 발광 소자에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00)는 디스플레이(100)의 일측(예: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7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44))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30)는 디스플레이(100)의 레이어 구조(120) 중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레이어(123)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30)는 제1 영역(101)의 측단부 및/또는 제2 영역(102)의 측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결부(130)는, 배선 레이어(123) 및 배선 레이어(123)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레이어(BPL, bending protection layer)(125)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 레이어(123)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레이어(125)는 배선 레이어(123)의 일면에 형성되고, 배선 레이어(123)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배선 레이어(123)와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100)와 플레이트(140)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100), 디스플레이(100)가 배치되는 플레이트(140), 플레이트(140)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44), 제1 연결부(130), 제2 연결부(145), 체결부, 및 배선 필름(1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40)의 제1 면(예: 도 8의 제1 면(1401))에는 디스플레이(100)가 안착되고, 플레이트(140)의 제1 면(예: 도 8의 제1 면(1401))의 반대면인 제2 면(1402)에는 브라켓 어셈블리(30)(예: 도 3의 브라켓 어셈블리(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44)는 플레이트(140)의 제2 면(140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44)는 제1 연결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및 제2 연결부(145)를 통해 전자 장치(10)의 기판부(예: 도 3의 기판부(600))에 형성된 메인 제어 회로(미도시)(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44)는 디스플레이(100)를 구동하며, 전자 장치(10)의 메인 제어 회로(예: 도 22의 메인 칩(6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결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곡면은 플레이트(140)의 단부(예: 도 5 및 도 6의 전면을 기준으로 플레이트의 좌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선 필름(143)은 플레이트(140)의 제2 면(1402)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선 필름(143)은 제1 연결부(130)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4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 인쇄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는 배선 필름(143)과 제1 연결부(130)를 연결하는 제1 커넥터(147), 및 배선 필름(143)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44)를 연결하는 제2 커넥터(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선 필름(143), 제1 커넥터(147) 및 제2 커넥터(148)를 통해 디스플레이(100)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44)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스(146)는 플레이트(140)의 제2 면(1402)에 형성되고 브라켓 어셈블리(예: 도 3의 브라켓 어셈블리(30))에 형성된 대응 보스(예: 도 16a의 대응 보스(490))와 결합될 수 있다. 보스(146) 및 대응 보스는 돌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스(146)와 상기 대응 보스의 결합에 의해 플레이트(140)와 브라켓 어셈블리(3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44), 배선 필름(143), 제1 연결부(130), 상기 제2 연결부(145), 제1 커넥터(147) 및 제2 커넥터(148)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연결부(145)는 플레이트(140)의 제2 면(1402)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45)는 플레이트(140)의 제2 면(1402)에 배치되는 브라켓 어셈블리(예: 도 3의 브라켓 어셈블리(30))의 단부의 일부를 감싸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연결부(145)는 'ㄷ'자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45)는 플레이트(140)의 제2 면(1402)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45)는 플레이트(140)의 제2 면(1402)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전자 장치)가 펼침 상태인 경우의 디스플레이(100)와 플레이트(140)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힘 상태인 경우의 디스플레이(100)와 플레이트(14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140)는, 디스플레이(100)의 제1 영역(101) 및 폴딩 영역(103)의 일부가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141), 및 디스플레이(100)의 제2 영역(102) 및 폴딩 영역(103)의 나머지 일부가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40)는 플레이트(140)와 디스플레이(100)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접착층(153)은 디스플레이(100)와 플레이트(140) 사이에 배치되는 양면 접착층(1531)과 단면 접착층(15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단면 접착층(1532)은, 폴딩 영역(103)과 제1 플레이트(141) 및/또는 제2 플레이트(142)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단면 접착층(1532)은 폴딩 영역(103)에 접착되되 플레이트(140)의 제1 플레이트(141) 및 제2 플레이트(142)와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접착층(153)은 제1 플레이트(141)의 적어도 일부와 디스플레이(100)의 제1 영역(101) 사이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플레이트(141)와 폴딩 영역(103) 사이에는 단면 접착층(153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폴딩 영역(103)은 제1 플레이트(141)와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접착층(153)은 제2 플레이트(142)의 적어도 일부와 디스플레이(100)의 제2 영역(102) 사이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플레이트(142)와 폴딩 영역(103) 사이에는 단면 접착층(153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폴딩 영역(103)은 제2 플레이트(142)와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가 접힌 상태(예: 도 2의 전자 장치)인 경우, 제1 플레이트(141)와 제2 플레이트(142)의 일부는 디스플레이(100)와 분리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41)와 제2 플레이트(142)의 분리되는 일부분은 디스플레이(100)가 접착되지 않은 미 접착 영역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100)의 폴딩 영역(103)에만 접착되는 단면 접착층(1532)일 수 있다. 미 접착 영역 또는 단면 접착층(1532)은 디스플레이(100)의 폴딩 영역(103)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0)는 제1 영역(101), 제2 영역(102) 및 폴딩 영역(10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일 때, 폴딩 영역(103)은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101)에 포함된 제1 면(111)과 제2 영역(102)에 포함된 제1 면(111)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1 영역(101)에 포함된 제2 면(112)과 제2 영역(102)에 포함된 제2 면(112)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예: 도 1의 전자 장치)인 경우, 제1 영역(101), 제2 영역(102) 및 폴딩 영역(103)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 또는 중간 상태인 경우, 폴딩 영역(103)은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딩 영역(103)의 곡률은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로부터 중간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브라켓 어셈블리(30)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의 브라켓 어셈블리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브라켓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1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선 부재와 배선 부재의 브라켓 고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 어셈블리(30)는, 힌지 커버(530) 내부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300) 및 브라켓(40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400)은 제1 브라켓(410), 제2 브라켓(420), 제1 브라켓(410) 및 제2 브라켓(4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커버(530), 힌지 구조물(300)과 제1 브라켓(410)을 연결하는 제1 힌지 브라켓(450), 힌지 구조물(300)과 제2 브라켓(420)을 연결하는 제2 힌지 브라켓(460), 및 배선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브라켓(410)은 플레이트(140)가 배치되는 제1 면(411)과 제1 면(411)에 대향하는 제2 면(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410)은 제1 힌지 브라켓(450)에 의해 힌지 구조물(3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10)의 제1 면(411)에는 배선 부재(43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브라켓(420)은 플레이트(140)가 배치되는 제1 면(421)과 제1 면(421)에 대향하는 제2 면(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420)은 제2 힌지 브라켓(460)에 의해 힌지 구조물(3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에는 배선 부재(43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브라켓(410)과 제2 브라켓(420)은 힌지 구조물(도 12의 힌지 구조물(300)) 및 힌지 브라켓(450, 460)에 의해 서로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인 경우, 제1 브라켓(410)의 제1 면(411)과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인 경우, 제1 브라켓(410)의 제1 면(411)과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은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는 하나 이상의 힌지 구조물(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힌지 구조물(300)은 힌지 커버(5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힌지 구조물(300)은 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힌지 구조물(300)은 힌지 커버(530) 내부에 위치 고정되며, 디스플레이(100)의 폴딩 영역(103)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힌지 구조물(30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배선 부재(430)가 배치될 수 있다. 힌지 구조물(3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힌지 브라켓(450, 460)에 의해 브라켓(400)과 연결될 수 있어, 힌지 구조물(300)에 의해 제1 브라켓(410) 및 제2 브라켓(420)이 접힐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12에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 어셈블리(30)는 제1 브라켓(410)에 결합되는 제1 힌지 브라켓(450)과 제2 브라켓(420)에 결합되는 제2 힌지 브라켓(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 브라켓(450) 및 제2 힌지 브라켓(460)은 각각 힌지 구조물(300)과 제1 브라켓(410) 및 제2 힌지 브라켓(4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힌지 브라켓(450)에는 제1 가이드홀(451)과 제3 가이드홀(45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힌지 브라켓(460)에는 제2 가이드홀(461)과 제4 가이드홀(4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들(451, 453, 461, 463)에는 배선 부재(4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전자 장치(10)가 접힐 때 배선 부재(430)의 유동을 일부 가이드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힌지 브라켓(450)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홀(451) 및 제2 힌지 브라켓(460)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홀(461)에는 제1 배선 부재(43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힌지 브라켓(450)에 형성된 제3 가이드홀(453) 및 제2 힌지 브라켓(460)에 형성된 제4 가이드홀(463)에는 제2 배선 부재(43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 어셈블리(30)는 하나 이상의 배선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선 부재(430)는 폴딩 축(예: y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430)는 힌지 구조물(30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브라켓(410)과 제2 브라켓(420)을 가로지를 수 있다. 배선 부재(430)는 유연성을 가지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져, 전자 장치의 접힘에 따른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배선 부재(430)의 연장 방향은 반드시 폴딩 축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배선 부재(430)는 제1 배선 부재(431)와 제2 배선 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선 부재(43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가이드홀(451)과 제2 가이드홀(461)을 통해 제1 브라켓(410)의 제1 면(411) 및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으로 노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배선 부재(432)의 적어도 일부는 제3 가이드홀(453)과 제4 가이드홀(463)을 통해 제1 브라켓(410)의 제1 면(411) 및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1 배선 부재(431)는 양 단부에 제3 커넥터(4311)와 제4 커넥터(4312)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배선 부재(432)는 양 단부에 제5 커넥터(4321)와 제6 커넥터(43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커넥터(4311) 및 제5 커넥터(4321)는, 제1 브라켓(410)의 제2 면(412)에 배치되며, 제4 커넥터(4312) 및 제6 커넥터(4322)는 제2 브라켓(420)의 제2 면(4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들은 제1 브라켓(410)의 제2 면(412)에 배치되는 제1 기판(예: 도 3의 제1 기판(610)) 및/또는 제2 브라켓(420)의 제2 면(422)에 배치되는 제2 기판(예: 도 3의 제2 기판(6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410)에는 제1 개구(413)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브라켓(420)에는 제2 개구(4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413) 및 제2 개구(423)는 제1 브라켓(410)과 제2 브라켓(420)을 가로 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413)와 제2 개구(423) 사이에는 힌지 구조물(3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 부재(431)는 제1 브라켓(410)의 제2 면(412)으로부터 제1 개구(413)를 통해 제1 브라켓(410)의 제1 면(41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으로 연장된 제1 배선 부재(431)는 제2 개구(423)를 통해 제2 브라켓(420)의 제2 면(42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410)에는 제3 개구(417)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브라켓(420)에는 제4 개구(427)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4 개구(427)는 제1 브라켓(410)의 단부에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제3 개구(417)와 제4 개구(427)는 제1 브라켓(410)과 제2 브라켓(420)을 가로 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3 개구(417)와 제4 개구(427) 사이에는 힌지 구조물(3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선 부재(432)는 제1 브라켓(410)의 제2 면(412)으로부터 제3 개구(417)를 통해 제1 브라켓(410)의 제1 면(41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으로 연장된 제2 배선 부재(432)는 제4 개구(427)를 통해 제2 브라켓(420)의 제2 면(42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배선 부재(431)와 제2 배선 부재(432)는 브라켓(400)의 제1 면(401)에 고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배선 부재(431)와 제2 배선 부재(432)는 가이드홀들(451, 453, 461, 463)에 삽입됨으로써 1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배선 부재(430)에 형성된 위치 고정 홀(439a) 또는 고정 홈(439b)과 브라켓(400)에 형성된 위치 고정 돌기(428)에 의해 2차적으로 더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400)의 제1 면(401)에는 위치 고정 홀(439a) 또는 위치 고정 홈(439b)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 고정 돌기(428)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돌기(428)는 위치 고정 홀(439a) 또는 위치 고정 홈(439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위치 고정 홈(439b)은 도 11b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위치 고정 돌기(428), 위치 고정 홈(439b) 또는 위치 고정 홀(439a)은 하나의 예시로서 고정 방식은 도시된 바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배선 부재(430)를 브라켓(4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고정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9 및 10의 전자 장치의 힌지 구조물(3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힌지 구조물(300)은, 제1 브라켓 하우징(312), 제1 하우징 워셔링들(301, 303), 제1 탄성 부재(302), 제1 내측 기어(320), 제1 기어 워셔링(304), 제1 고정 브라켓(332), 제1 폴딩 축(340)(예: 톱니형 스퍼 기어), 제1 메인 기어(341), 제1 기어(342)(예: 톱니형 스퍼 기어), 제2 기어(352)(예: 톱니형 스퍼 기어), 제2 메인 기어(351), 제2 폴딩 축(350)(예: 톱니형 스퍼 기어), 제2 고정 브라켓(334), 제2 기어 워셔링(309), 제2 내측 기어(370), 제2 탄성 부재(307), 제2 하우징 워셔링들(306, 308) 및 제2 브라켓 하우징(3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폴딩 축(340) 및 제2 폴딩 축(350)의 연장 방향을 축 방향으로 지칭하고, 도면에서 좌측을 제1 축 방향(예: ① 방향)으로, 우측을 제2 축 방향(예: ② 방향)으로 지칭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폴딩 축(340)에는 제1 메인 기어(3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폴딩 축(340)(또는 제1 샤프트)은 제1 축 방향(도면에서 좌측)으로 제1 고정 브라켓(332)을 관통하고, 제2 축 방향(도면에서 우측)으로 제2 고정 브라켓(334)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폴딩 축(340)에 형성된 제1 메인 기어(341)는 제1 내측 기어(320)에 마련된 내접 기어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폴딩 축(340)은 제1 내측 기어(320)의 제1 축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제1 하우징 워셔링들(301, 303) 및 제1 탄성 부재(302)와 더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폴딩 축(340)은 제2 고정 브라켓(334)의 제2 축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제2 기어 워셔링(309)과 더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폴딩 축(350)에는 제2 메인 기어(3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폴딩 축(350)(또는 제2 샤프트)은 제1 축 방향(도면에서 좌측)으로 제1 고정 브라켓(332)을 관통하고, 제2 축 방향(도면에서 우측)으로 제2 고정 브라켓(334)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폴딩 축(350)에 형성된 제2 메인 기어(351)는 제2 내측 기어(370)에 마련된 내접 기어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제2 폴딩 축(350)은 제2 내측 기어(370)의 제2 축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제2 하우징 워셔링들(306, 308)들 및 제2 탄성 부재(307)와 더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폴딩 축(340)은 제1 고정 브라켓(332)의 제1 축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제2 기어 워셔링(304)와 더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기어(342)는 일측이 제1 폴딩 축(340)에 마련된 제1 메인 기어(341)에 기어 결합되고, 타측이 제2 기어(352)에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폴딩 축(340)이 회전하면, 제1 기어(342)는 회전력을 제2 기어(352)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기어(342)는 제1 고정 브라켓(332) 및 제2 고정 브라켓(334)가 결합하면서 형성된 공동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기어(352)는 일측이 제2 폴딩 축(350)에 마련된 제2 메인 기어(351)에 기어 결합되고, 타측이 제1 기어(342)에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제2 폴딩 축(350)이 회전하면, 제2 기어(352)는 회전력을 제1 기어(342)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기어(352)는 제1 고정 브라켓(332) 및 제2 고정 브라켓(334)과 결합하면서 형성된 공동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의 두께를 줄이기 위하여 아이들 기어(예: 상기 제1 기어(342) 및 제2 기어(352))의 크기 및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가 도면에 도시된 기어들의 개수 및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은 제1 내측 기어(320)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제1 내측 기어(32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의 제2 축 방향(도면에서 우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제1 내측 기어(320)에 마련된 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은 사잇각이 일정 각도(예: 직각)를 가지는 원호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의 상부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힌지 브라켓(460)과 결합(예: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힌지 브라켓(460)은 제2 브라켓(4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가 접힐 때,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은 제2 하우징 구조물(520)과 함께 접힐 수 있다.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의 곡면부는 힌지 커버(530)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은 일정 강성을 가지는 재질(예: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브라켓 하우징(314)의 상부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힌지 브라켓(45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힌지 브라켓(450)은 제1 브라켓(4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가 접힐 때, 제2 브라켓 하우징(314)은 제1 하우징 구조물(510)과 함께 접힐 수 있다. 제2 브라켓 하우징(314)은, 제1 브라켓 하우징(3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마련되고, 제1 브라켓 하우징(312)과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브라켓 하우징(314)은 제2 내측 기어(370)의 제2 축 방향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하우징(314)은 외주면이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힌지 커버(530)의 내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내측 기어(320)는 제1 축 방향(도면에서 좌측)에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이 결합되고, 제2 축 방향(도면에서 우측)에 제1 고정 브라켓(33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측 기어(320)는 제1 고정 브라켓(33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1 고정 브라켓(33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측 기어(320) 및 제1 내측 기어(320)에 결합된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은 제1 고정 브라켓(332)의 측면을 따라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제1 내측 기어(320)는 반 타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내측에는 제1 폴딩 축(340)에 형성된 제1 메인 기어(341)에 맞물리는 내접 기어가 마련될 수 있다. 내접 기어는 반 타원호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내접 기어에는 제1 폴딩 축(340)에 형성된 제1 메인 기어(341)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측 기어(320)의 재질은 일정 강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내측 기어(320)는 제1 브라켓 하우징(312)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제1 내측 기어(320)의 재질은 특정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내측 기어(370)는 제2 고정 브라켓(334) 및 제2 브라켓 하우징(3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 기어(370)의 형상 및 재질은 앞서 설명한 제1 내측 기어(320)의 형상 및 재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내측 기어(320)는 제2 고정 브라켓(334)보다 작은 크기의 반 타원형으로 마련되고, 일정 영역에 제2 폴딩 축(350)에 형성된 제2 메인 기어(351)과 기어 결합하는 내접 기어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고정 브라켓(332)는 제1 내측 기어(320)와 제2 고정 브라켓(3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 브라켓(332)는 제1 내측 기어(320)보다 큰 반 타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 브라켓(332)에는 제1 폴딩 축(340)의 일부가 삽입되는 홀(333)과, 제2 폴딩 축(350)의 일부가 삽입되는 홀(335)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 브라켓(332)의 중심(예: 반 타원형 형상에서 평평한 상단의 중심에서 하단까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홀(331)이 마련될 수 있다. 상하를 관통하는 홀(331)에는 힌지 커버(530)에 마련된 보스(boss)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고정 브라켓(334)는 제1 고정 브라켓(332)와 제2 내측 기어(3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 브라켓(334)는 실질적으로 제1 고정 브라켓(332)와 동일한 형상(예: 제2 내측 기어(370)보다 큰 반타원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 브라켓(334)에는 제1 폴딩 축(340) 및 제2 폴딩 축(350)이 관통하는 관통홀(335, 333)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 브라켓(334)는, 힌지 커버(530)의 보스 결합을 위해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하로 관통하는 홀(331)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워셔링들(301, 303)은 제1 브라켓 하우징(312)과 제1 내측 기어(3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하우징 워셔링들(301, 303) 사이에는 제1 탄성 부재(30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워셔링들(301, 303) 및 제1 탄성 부재(302)은 제1 내측 기어(320) 일측에 마련된 홈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홈 내측에는 제1 내측 기어(320)를 관통하는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제1 고정 브라켓(332) 및 제2 고정 브라켓(334)를 관통하는 제1 폴딩 축(34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워셔링들(306, 308) 및 제2 탄성 부재(307)은 제2 내측 기어(370)의 일측에 마련된 홈(또는 홀)에 안착되고, 제2 폴딩 축(350)과 결합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307)은 제2 하우징 워셔링들(306, 308) 사이에 배치되어, 제2 하우징 워셔링들(306, 308)에 대해 제2 폴딩 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기어 워셔링(304)은 제1 내측 기어(320)와 제1 고정 브라켓(3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기어 워셔링(304)은 제2 폴딩 축(350)의 단부에 결합되면서, 제1 고정 브라켓(332)에 마련된 홈(또는 홀)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기어 워셔링(304)에는 제1 고정 브라켓(332) 및 제2 고정 브라켓(334)를 관통하는 제2 폴딩 축(350)이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기어 워셔링(309)은 제1 폴딩 축(340)의 단부에 결합되면서, 제2 고정 브라켓(334)에 마련된 홈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2b 및 12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힌지 구조물(300)은 제1 고정 브라켓(332)와 제2 고정 브라켓(334)와 측면부들(예: 도면 기준으로, 제1 고정 브라켓(332)의 우측부와 제2 고정 브라켓(334)의 좌측부)이 서로 마주보면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 브라켓(332)와 제2 고정 브라켓(334)에 형성된 홀들 중 도면을 기준으로 아래에 위치한 홀들(333)에는 제1 폴딩 축(340)이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제1 폴딩 축(340)에 형성된 제1 메인 기어(341)는 제1 내측 기어(320)의 내접 기어에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 브라켓(332)과 제2 고정 브라켓(334)의 홀들 중 도면 기준으로 위에 위치한 홀들(335)에는 제2 폴딩 축(350)이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제2 폴딩 축(350)에 형성된 제2 메인 기어(351)은 제2 내측 기어(370)의 내접 기어에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측 기어(320)의 제1 축 방향(도면에서 좌측)에는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이 결합되고, 제2 내측 기어(370)의 제2 축 방향(도면에서 우측)에는 제2 브라켓 하우징(314)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은 제2 힌지 브라켓(460)과 결합되고, 제2 브라켓 하우징(314)은 제1 힌지 브라켓(45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힌지 브라켓(450)은 제1 브라켓(410)에 결합되고, 제2 힌지 브라켓(460)은 제2 브라켓(4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전자 장치)인 경우,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 하우징(312)과 제1 내측 기어(320)는 제1 고정 브라켓(332)를 기준으로 최초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예: 도면에서 CW 방향) 제1 각도만큼(예: 90도)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브라켓 하우징(314)과 제2 내측 기어(370)는 제2 고정 브라켓(334)를 기준으로 최초 상태에서 제2 방향(예: 도면에서 CCW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예: 90도)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한편, 고정 브라켓(330)은 힌지 커버(53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선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배선 부재가 힌지 커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b는 도 9의 A-A' 단면도이다. 도 13c는 배선 부재를 이루는 각 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배선 부재(430) 및 배선 부재(430)의 실장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배선 부재(430)는 힌지 커버(530)를 가로질러 제1 브라켓(410)으로부터 제2 브라켓(420)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선 부재(430)의 적어도 일부는 힌지 커버(530)의 내부 공간(53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힌지 커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배선 부재는 가이드 홀(451, 461) 및 개구(413, 423)를 통해 제1 브라켓(410) 및 제2 브라켓(420)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b를 참조하면, 배선 부재(430)는 제1 브라켓(410)의 제2 면(412)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413)를 통해 1 브라켓(410)의 제1 면(41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10)의 제1 면(411)으로 연장된 배선 부재(430)는 제1 힌지 브라켓(450)의 제1 가이드홀(451)을 통해 상기 힌지 커버(530)의 내부 공간(531)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힌지 커버(530) 내부로 연장된 배선 부재(430)는 제2 힌지 브라켓(460)의 제2 가이드홀(461)을 통해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으로 연장된 배선 부재(430)는 제2 브라켓(420)의 제2 개구(423)를 통해 다시 제2 면(42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배선 부재(430)는 제1 브라켓(410)의 제2 면(412)과 제2 브라켓(420)의 제2 면(422)에 배치된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부재(430)는 힌지 커버(530) 내부에 수용되는 가변 영역(4301)과, 가변 영역(4301) 양 측으로 연장되는 고정 영역(4302)과, 고정 영역의(4302)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영역(430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영역(4302)은 제1 브라켓(410)에 고정되는 제1 고정 영역(43021)과 제2 브라켓(420)에 고정되는 제2 고정 영역(430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고정 영역(43021)은 제1 브라켓(410)에 형성된 제1 개구(413)와 힌지 커버(530)의 내부 공간(531) 사이에 위치한 제1 브라켓(410)의 제1 면(411)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고정 영역(43022)은 제2 브라켓(420)에 형성된 제2 개구(423)와 힌지 커버(530)의 내부 공간(531) 사이에 위치한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3b 내지 13d를 참조하면, 가변 영역(4301)은 제1 브라켓(410)에 부착된 제1 고정 영역(43021)과 제2 브라켓(420)에 부착된 제2 고정 영역(430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가변 영역(4301)은 힌지 커버(530) 내부 공간(531)에서 소정의 곡률로 벤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인 경우 배선 부재(430)는 힌지 커버(530)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인 경우 배선 부재(430)는 힌지 커버(530)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변 영역(4301)은 적어도 일부가 직선으로 형성되는 직선 영역(43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힌지 구조물(300)이 회전할 때, 힌지 커버(530)의 내부 공간(531)으로 이동하는 힌지 브라켓(450, 460)에 의한 배선 부재(4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장 영역(4303)은 고정 영역(4302)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 브라켓(410) 및/또는 제2 브라켓(420)의 제2 면에 배치되는 기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연장 영역(4303)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브라켓(410)의 제2 면(412) 및/또는 제2 브라켓(420)의 제2 면(42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배선 부재(430)는 배선 부재(430)와 브라켓(400)의 제1 면(401)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층(4331) 및 제1 접착층(43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접착층(4332)은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선 부재(430)의 고정 영역(4302)은 제1 접착층(4332)에 의해 브라켓(400)의 제1 면(401)에 부착된 부착 영역(4302a)과 보호층(4331)에 의해 보호되는 보호 영역(4302b)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 부재(430)의 고정 영역(4302) 아래에는 보호층(4331)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4331)은 힌지 구조물(300)의 접힘 동작시 힌지 커버(530)의 내부 공간(531)으로 회전하는 힌지 브라켓(450, 460)에 의한 배선 부재(430)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거나, 힌지 커버(530)에 의한 배선 부재(430)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층(4331)은 SUS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배선 부재(430)를 보호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선 부재(430)는 복수의 배선층과 각 배선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층(43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층(4333)은 PP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1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브라켓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4a 및 도 14c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힌지 커버(530), 힌지 구조물(300), 제1 힌지 브라켓(450), 제2 힌지 브라켓(460), 제1 브라켓(410) 및 제2 브라켓(420)의 결합을 설명한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410)과 제2 브라켓(420) 사이에는 복수의 힌지 구조물(300)이 배치될 수 있다. 힌지 구조물(300)은 힌지 커버(530)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30)과 고정 브라켓(330)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1 브라켓 하우징(312) 및 제2 브라켓 하우징(3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은 제2 브라켓(420)에 인접하며, 제2 브라켓 하우징(314)은 제1 브라켓(410)에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브라켓(410)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체결홀(41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브라켓(420)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체결홀(42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구조물(300)의 제1 브라켓 하우징(312)에는 하나 이상의 제4 체결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구조물(300)의 제2 브라켓 하우징(314)에는 하나 이상의 제3 체결홀(31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구조물(300)의 고정 브라켓(330)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1 힌지 브라켓(450) 및 제2 힌지 브라켓(460)은 폴딩 축(예: y축, 도 12a의 제1 폴딩 축(340) 및 제2 폴딩 축(350))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힌지 브라켓(450)은 제1 브라켓(410) 및 힌지 구조물(300)과 결합할 수 있으며, 제2 힌지 브라켓(460)은 제2 브라켓(420) 및 힌지 구조물(300)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힌지 브라켓(450)에는, 제1 브라켓(410)에 형성된 제1 체결홀(415)과 대응되는 제1 대응 체결홀(45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 브라켓(450)에는 힌지 구조물(300)의 제2 브라켓 하우징(314)에 형성된 제3 체결홀(313)과 대응되는 제3 대응 체결홀(457)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힌지 브라켓(460)에는 제2 브라켓(420)에 형성된 제2 체결홀(425)과 대응되는 제2 대응 체결홀(46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힌지 브라켓(460)에는 힌지 구조물(300)의 제1 브라켓 하우징(312)에 형성된 제4 체결홀(311)과 대응되는 제4 대응 체결홀(46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2 체결홀(425) 및 제2 대응 체결홀(465)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480)(예: 나사)에 의해, 제2 브라켓(420)과 제2 힌지 브라켓(460)이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체결홀(415) 및 제1 대응 체결홀(455)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480)(예: 나사)에 의해, 제1 브라켓(410)과 제1 힌지 브라켓(450)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 제4 체결홀(311) 및 제4 대응 체결홀(467)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480)에 의해, 제2 힌지 브라켓(460)과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이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체결홀(313) 및 제3 대응 체결홀(457)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480)에 의해, 제1 힌지 브라켓(450)과 제2 브라켓 하우징(314)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브라켓 하우징(312)과 제2 브라켓 하우징(314)은 힌지 커버(530) 내부에서 폴딩 축(예: 도 12a의 제1 폴딩 축(340) 및/또는 도 12a의 제2 폴딩 축(35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브라켓 하우징(312)의 회전에 의해 제2 힌지 브라켓(460)이 회전할 수 있고, 제2 힌지 브라켓(460)에 결합된 제2 브라켓(42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브라켓 하우징(314)의 회전에 의해 제1 힌지 브라켓(450)이 회전할 수 있고, 제1 힌지 브라켓(450)에 결합된 제1 브라켓(41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브라켓 어셈블리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 어셈블리(30)는 제1 브라켓(410), 제2 브라켓(420), 제1 브라켓(410)과 제2 브라켓(4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커버(530) 및 힌지 커버(530) 내부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힌지 커버(530)의 양측에 제1 브라켓(410)과 제2 브라켓(420)을 배치할 수 있다. 제1 브라켓(410)의 제1 면(411)과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이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힌지 커버(530)는 힌지 커버(530) 내부에 구비되는 힌지 구조물(300)이 제1 브라켓(410)의 제1 면(411) 및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힌지 커버(530)의 내부에는 힌지 구조물(300)이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 커버(530) 내부에 수직하게 형성된 고정 부재(예: 도 10의 고정 부재(532))가 힌지 구조물(300)의 고정 브라켓(예: 도 10의 고정 브라켓(330))에 형성된 고정홀(예: 도 12b의 고정 홀(331))에 삽입됨으로써, 힌지 구조물(300)이 고정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410), 제2 브라켓(420), 힌지 커버(530) 및 힌지 구조물(300)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배선 부재(430)를 실장할 수 있다. 먼저 제1 배선 부재(431)는, 제1 브라켓(410)에 형성된 제1 개구(413)와 제2 브라켓(420)에 형성된 제2 개구(42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배선 부재(431)는 양 단부가 제1 브라켓(410) 및 제2 브라켓(420)의 제2 면(도 13b의 제2 면(412, 422))에 배치되고, 양 단부의 사이는 힌지 커버(53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배선 부재(432)는 제1 브라켓(410)에 형성된 제3 개구(417)와, 제2 브라켓(420)에 형성된 제4 개구(427)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배선 부재(432)는 양 단부가 제1 브라켓(410) 및 제2 브라켓(420)의 제2 면(도 13b의 제2 면(412, 422))에 배치되고, 양 단부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예: 도 13b의 가변 영역(4301))는 힌지 커버(53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3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선 부재(431, 432)는 고정 영역(예: 도 13b의 고정 영역(4302))에 의해 제1 브라켓(410)의 제1 면(411) 및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410), 제2 브라켓(420), 힌지 커버(530) 및 힌지 구조물(300)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제1 힌지 브라켓(450) 및 제2 힌지 브라켓(46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브라켓(410)의 제1 체결홀(415)과 제1 힌지 브라켓(450)의 제1 대응 체결홀(455)이 체결되고, 힌지 구조물(300)의 제3 체결홀(313)과 제1 힌지 브라켓(450)의 제3 대응 체결홀(457)이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브라켓(410)이 힌지 구조물(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브라켓(420)의 제2 체결홀(425)과 제2 힌지 브라켓(460)의 제2 대응 체결홀(465)이 체결되고, 힌지 구조물(300)의 제4 체결홀(311)과 제2 힌지 브라켓(460)의 제4 대응 체결홀(467)이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브라켓(420)이 힌지 구조물(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은 체결홀(415, 425, 311, 313)들과 대응 체결홀들(455, 457, 465, 467)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480)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은 브라켓(400)과 힌지 구조물(300) 사이의 다양한 체결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브라켓 어셈블리(예를 들어 도 3 의 브라켓 어셈블리 30)와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 2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브라켓 어셈블리(30)은, 제1 브라켓(410), 제2 브라켓(420), 힌지 커버(530), 힌지 구조물(예: 도 12a의 힌지 구조물(300)), 및 힌지 브라켓(450, 4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은, 디스플레이(100) 및 플레이트(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1 브라켓(410) 및 제2 브라켓(420) 의 일면 상에 디스플레이 모듈(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10) 및 제2 브라켓(42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플레이트(140)와 보스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브라켓(410)의 제1 면(411)과 제2 브라켓(420)의 제1 면(421)에는 하나 이상의 대응 보스(49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스(146)는 이와 마주보는 플레이트(140)의 제2 면(140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146) 및 상기 대응 보스(490) 중 하나는 돌출 형성되는 돌출 부재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돌출 부재가 삽입되는 함몰 부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브라켓(410) 및 제2 브라켓(420)은 디스플레이(100)가 안착된 플레이트(14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측벽(404)을 가질 수 있다. 측벽(404)은 제1 브라켓(410) 및 제2 브라켓(42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420)에는 디스플레이(100)의 노치(104)에 대응되는 노치(403)가 형성될 수 있다. 노치(403)에는 측벽(404)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노치(403)에는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센서 영역(예: 도 1의 센서 영역(524))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6b는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 어셈블리(30) 및 디스플레이 모듈(20)이 결합된 조립체의 일부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부(예: 도 3의 디스플레이부(20))로 불릴 수 있다. 도 16b에 도시된 상단부 단면(16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0)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레이어들은, 디스플레이(100)의 제1 면(111)을 형성하는 PI 레이어(121)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404)과 디스플레이(100) 사이는 제1 간격(L1)만큼 이격될 수 있다. 도 16b에 도시된 하단부 단면(1620)을 참조하면, 측벽(404)과 디스플레이(100) 사이는 제2 간격(L2)만큼 이격될 수 있다. 도 16b에 도시된 측단부 단면(1630)을 참조하면, 측벽(404)과 디스플레이(100) 사이는 제3 간격(L3)만큼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간격(L1), 제2 간격(L2) 및 제3 간격(L3)은 조립 공차(Assembly tolerance)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 공차는 부품이 조립될 때, 부품과 조립품의 기능을 유지하는 한도에서 허용되는 오차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3 간격(L3)은 제1 간격(L1) 및/또는 제2 간격(L2)보다 클 수 있다. 일례로, 제3 간격(L3)은 디스플레이(100)의 층 밀림 보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의 층 밀림은,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로 이동할 때, 평면으로 이루어진 폴딩 영역(103)이 곡면으로 변형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00)는 적층된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므로, 적층된 레이어 각각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제1 면(111)에 인접한 레이어는 제2 면(112)에 인접한 레이어에 비해 곡률 반경이 작으므로, 측벽(404)을 향해 더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간격(L3)은 제1 간격(L1)이나 제2 간격(L2)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예: 도 2에 도시된 완전 접힘 상태)인 경우에도 디스플레이(100)의 제1 면(111)에 위치한 레이어가 측벽(404)에 닿지 않도록, 제3 간격(L3)은 제1 간격(L1) 또는 제2 간격(L2)보다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3 간격(L3)은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들에 인가되는 응력의 방향과 평행할 수 있으며, 조립 공차를 포함하는 제3 간격(L3)에는 상기 인가되는 응력에 따른 층 밀림 변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반면, 제1 간격(L1) 및 제2 간격(L2)은 층 밀림 보정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100)는 폴딩 축(A축)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접히지 않으므로 적층된 레이어들 사이의 곡률 반경 차이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간격(L1) 및 제2 간격(L2)은 층 밀림 보정을 포함하지 않으며, 오직 조립 공차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간격(L1) 및 제2 간격(L2)은 동일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더블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폴더블 하우징(500)은 제1 하우징 구조물(5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 각각은 프레임들(501, 502, 503, 50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들은 제1 가로 프레임(501), 제2 가로 프레임(502), 제1 세로 프레임(503) 및 제2 세로 프레임(5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가로 프레임(501) 및 제2 가로 프레임(502)은 폴딩 축(A)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세로 프레임(503) 및 제2 세로 프레임(504)은 폴딩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510)은 제1 가로 프레임(5011), 제2 가로 프레임(5021), 제1 세로 프레임(5031) 및 제2 세로 프레임(50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로 프레임(5031) 및 제2 세로 프레임(5041)은 제1 가로 프레임(5011)과 제2 가로 프레임(5021)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제1 가로 프레임(5012), 제2 가로 프레임(5022), 제1 세로 프레임(5032) 및 제2 세로 프레임(50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로 프레임(5032) 및 제2 세로 프레임(5042)은 제1 가로 프레임(5012)과 제2 가로 프레임(5022)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510)에는 제1 가로 프레임(5011), 제2 가로 프레임(5021), 제1 세로 프레임(5031) 및 제2 세로 프레임(504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측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측 공간(S1)은 본 문서에서 리세스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구조물(520)에는 제1 가로 프레임(5012), 제2 가로 프레임(5022), 제1 세로 프레임(5032) 및 제2 세로 프레임(504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내측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측 공간(S2)은 본 문서에서 리세스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영역(524)은 제2 하우징 구조물(520)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영역(524)은 브라켓(예: 도 15c의 제2 브라켓(420))에 형성된 노치(예: 도 16a의 노치(403))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 영역(524)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해 전자 장치(10)에 배치된 센서의 일부가 전자 장치의 외부로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7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브라켓 어셈블리(예: 도 15c의 브라켓 어셈블리(30))가 안착되는 안착면(542)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542)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또는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안착면(542)은 상기 프레임들(501, 502, 503, 504)로부터 내측 공간(S1, S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 각각은 힌지 커버(예: 도 18의 힌지 커버(530))를 지지하기 위한 제1 회전 지지면(512) 및 제2 회전 지지면(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면(512)과 제2 회전 지지면(522)은 힌지 커버가 사이에 배치되며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더블 하우징과 브라켓 어셈블리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슬라이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더블 하우징과 브라켓 어셈블리가 조립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브라켓 어셈블리(30)와 폴더블 하우징(500)의 조립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도 16a 참조)와 같이, 디스플레이(100)가 장착된 브라켓 어셈블리(30)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 어셈블리(30)의 양측에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구조물(510)은 제1 브라켓(4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제2 브라켓(4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브라켓 어셈블리(30)를 향해 슬라이딩되어 브라켓 어셈블리(3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또는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전자 장치(10)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덮개면(5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면(544)은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또는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을 구성하는 제1 가로 프레임(501), 제2 가로 프레임(502), 제1 세로 프레임(503) 및 제2 세로 프레임(50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덮개면(544)은 상기 프레임들로부터 내측 공간(S1, S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덮개면(544)은 디스플레이(100)와 브라켓의 측벽(404)이 이루는 간격(예: 도 16b의 L1, L2, L3)이 전자 장치(10)의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또는 제2 하우징 구조물(520)에 형성된 덮개면(544)은 안착면(542)과 함께 브라켓 어셈블리(30)가 슬라이딩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브라켓(41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에 형성된 안착면(542)과 덮개면(544)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브라켓(42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하우징 구조물(520)에 형성된 안착면(542)과 덮개면(544)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브라켓(410)은 제1 내측 공간(S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브라켓(420)은 제2 내측 공간(S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9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슬라이딩 구조(55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구조(550)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 상단에 위치한 제1 가로 프레임(5011, 5012)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555)과, 제1 브라켓(410)과 제2 브라켓(420)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55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슬라이딩 부재(554)는 제1 브라켓(410) 및 제2 브라켓(4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는 측벽(예: 도 16a의 측벽(4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홈(555)은 슬라이딩 부재(554)와 마주보는 제1 면(551), 슬라이딩 부재(554)가 안착되며 제1 면(55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면(552) 및 상기 제2 면(552)과 마주보는 제3 면(55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면(552)은 제1 가로 프레임(5011, 5012) 또는 제2 가로 프레임(5021, 5022)에 형성된 안착면(5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면(553)은 제1 가로 프레임(5011, 5012) 또는 제2 가로 프레임(5021, 5022)에 형성된 덮개면(5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 구조물(510)은 제1 브라켓(41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으며,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제2 브라켓(42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제1 브라켓(41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내측 공간(예: 도 17의 제1 내측 공간(S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브라켓(42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내측 공간(예: 도 17의 제2 내측 공간(S2))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들(501, 502, 503, 504)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홀(5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543)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1 기판(예: 도 22의 제1 기판(610)) 및/또는 제2 기판(예: 도 22의 제2 기판(6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543)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1 후면 커버(예: 도 23의 제1 후면 커버(580)) 및/또는 제2 후면 커버(예: 도 23의 제2 후면 커버(590))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제2 세로 프레임(5041, 5042)에 형성되는 회전 지지면(512, 5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지지면(512, 522)는 각각 힌지 커버(530)와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예: 도 1의 전자 장치)로부터 접힘 상태(예: 도 2의 전자 장치)로 이동하는 경우, 서로 회전하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은, 회전 지지면(512, 5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판부 및 후면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기판부(600) 및 후면 커버(580, 590)를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기판부(600), 제1 배터리(612), 및 제2 배터리(62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부(600)는 제1 기판(610), 제2 기판(620), 및 제1 기판(610)과 제2 기판(620)에 실장된 하나 이상의 전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제1 후면 커버(580), 제2 후면 커버(590), 제1 후면 커버(580)를 통해 보여지는 서브 디스플레이(190), 제2 후면 커버(590)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 모듈(59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제1 기판(610)은 제1 브라켓(410)의 제2 면(예: 도 18의 제2 면(412))에 배치되고, 제2 기판(620)은 제2 브라켓(420)의 제2 면(예: 도 18의 제2 면(4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터리(612)는 제1 브라켓(410)에 배치되고, 제2 배터리(622)는 제2 브라켓(42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기판(610)에는 제1 배터리(612)가 위치할 수 있는 홈(613)이 형성되고, 제2 기판(620)에는 제2 배터리(622)가 위치할 수 있는 홈(62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기판(610)과 제2 기판(620)은 배선 부재(431, 43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배선 부재(431, 432)는 힌지 커버(530) 내부를 거쳐 제1 기판(610)과 제2 기판(6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배선 부재(430)는 제1 배선 부재(431)와 제2 배선 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선 부재(431)의 양 단부에는 제1 커넥터(4311)와 제2 커넥터(4312)가 형성되고, 제2 배선 부재(432)의 양 단부에는 제3 커넥터(4321)와 제4 커넥터(4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들은 기판(610, 6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판부(600)는 하나 이상의 전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소자는, 예를 들어, 리시버(641), 제1 스피커(642), 메모리 소켓(643), 제2 스피커(645), 진동 모터(644), 전면 카메라(646), 후면 카메라(649), 제1 마이크(652), 제2 마이크(647), 메인 칩(650), 및 USB 모듈(651)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리시버(641), 제1 스피커(642), 메모리 소켓(643), 제2 스피커(645) 및 진동 모터(644)는 제1 기판(610)에 실장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620)에는 제2 하우징 구조물(520)에 형성된 센서 영역(524)와 연결되는 전면 센서 연결부(648)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전면 카메라(646), 후면 카메라(649), 제1 마이크(652), 제2 마이크(647), 메인 칩(650), USB 모듈(651) 및 전면 센서 연결부(648)는 제2 기판(620)에 실장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전기 소자의 종류, 배치, 개수 등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3을 참조하면, 후면 커버(580, 590)는 하우징(500)에 결합될 수 있다. 후면 커버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에 결합되는 제1 후면 커버(580)와 제2 하우징 구조물(520)에 결합되는 제2 후면 커버(5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디스플레이(190)는 제1 후면 커버(580)와 제1 기판(6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190)는 서브 디스플레이 연결부(191)에 의해 제1 기판(6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서브 디스플레이(190)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제1 후면 커버(5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후면 커버(580)는 전자 장치(1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후면 커버(580)는 전자 장치(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 후면 영역(5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면 영역(582)은 서브 디스플레이(19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면 영역(582)은 빛이 통과 가능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면 영역(582)을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190)에서 출력되는 빛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후면 커버(590)는 전자 장치(1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2 후면 커버(590)는 전자 장치(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 후면 영역(5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후면 영역(592)은 후면 카메라(649)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면 영역(592)은 빛이 통과 가능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면 영역(592)을 통해 외부의 빛이 카메라로 입사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후면 커버(580)는 제1 하우징 구조물(5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후면 커버(580)는 제1 가로 프레임(5011), 제2 가로 프레임(5021), 제1 세로 프레임(5031) 및 제2 세로 프레임(50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들에는 결합홀(5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면 커버(580)는 제1 기판(610)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543)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는 결합홀(54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는 제1 후면 커버(58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는 결합홀(543)에 삽입 또는 압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후면 커버(590)는 제2 하우징 구조물(5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후면 커버(590)는 제1 가로 프레임(5012), 제2 가로 프레임(5022), 제1 세로 프레임(5032) 및 제2 세로 프레임(50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들에는 결합홀(5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면 커버(590)는 제2 기판(620)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543)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는 결합홀(54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는 제2 후면 커버(59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는 결합홀(543)에 삽입 또는 압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하우징 구조물(510, 520) 및 후면 커버(580, 59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 구조물(510, 520)은 메탈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후면 커버(580, 590)는 글래스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하우징 구조물(510, 520)과 후면 커버(580, 59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 구조물(510, 520)과 후면 커버(580, 590)는 메탈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면 커버(580) 및 제2 후면 커버(59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하우징 구조물(510, 5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4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의 전자 장치(10)가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는 메인 영역(11)과 서브 영역(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이동할 때, 메인 영역(11)은 사용자에 의해 고정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서브 영역(12)은 메인 영역에 대해 회전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예: 도 20의 디스플레이(100))의 제1 영역(예: 도 20의 제1 영역(101))은 서브 영역(12)에 포함되고, 제2 영역(예: 도 20의 제2 영역(101))은 메인 영역(11)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이거나 또는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메인 영역(11)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서브 영역(12)은 메인 영역과 소정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영역(12)은 펼침 상태에서는 후면에 배치되며, 접힘 상태에서는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의 서브 영역(12)에는 리시버(예: 도 22의 리시버(641)), 근접 센서, 서브 디스플레이(예: 도 23의 서브 디스플레이(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전자 장치)일 때, 전자 장치(10)의 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전자 장치)일 때, 서브 영역(12)이 전자 장치(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일 때, 서브 영역(12)에 포함되는 서브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서브 디스플레이(190))는 전자 장치(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전자 장치)임에도, 전면에 배치되는 서브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서브 디스플레이(1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전자 장치)일 때, 서브 영역(12)에 포함되는 리시버(예: 도 22의 리시버(641)) 또는 근접 센서는 전자 장치(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전자 장치)임에도, 전면에 배치되는 리시버(도 22의 리시버(641)) 또는 근접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영역(11)에는 무선 충전 모듈(594)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무선 충전 모듈(594)을 통해 충전 될 때, 사용자는 메인 영역(11)을 무선 충전 장치 위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영역(12)을 메인 영역(1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폴딩시킴으로써, 무선 충전 중에도 서브 영역(12)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무선 충전 모듈(594)는 메인 영역(11) 대신 서브 영역(12)에 배치되거나, 메인 영역(11)과 서브 영역(12)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5a 및 도 25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힘 상태일 때의, 디스플레이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 및 디스플레이의 층 밀림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3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힘 상태일 때의, 디스플레이(100), 상기 디스플레이(100)와 하우징(500) 사이의 간격, 및 디스플레이의 층 밀림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힘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의 단면, 및 디스플레이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3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힘 상태일 때,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00) 일부 영역의 단면, 그리고, 디스플레이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6a 내지 도 26c에는 제1 단부면(1061)과 제2 단부면(1062) 각각에 대한 제2 방향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제2 방향은 전자 장치(10)의 폴딩 영역(103) 또는 폴딩 축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도 25a를 참조하면, 복수의 층들 또는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00)는, 상기 디스플레이(100)의 제1 면(111)을 형성하는 제1 레이어(1201)와 제1 면(111)에 반대되는 방향인 디스플레이(100)의 제2 면(112)을 형성하는 제2 레이어(1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힐 때, 각 레이어는 소정의 변위만큼 일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상기 일 방향은 폴딩 영역(103) 내의 폴딩 축(도 25a에서 y축 방향)에 수직하고 폴딩 영역(103)에서 멀어지는 x 축 방향일 수 있다.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의 접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00)의 폴딩 영역(103)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00)의 각 레이어들은 폴딩 영역(103)에서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구부러진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일부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제1 면(111)에 위치한 제1 레이어(1201)는 제2 면(112)에 위치한 제2 레이어(1202)에 비해 더 작은 반경을 가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는 상기 일 방향(x축 방향)으로 길이가 동일하므로, 폴딩 영역에서 더 적게 구부러진 제1 레이어(1201)의 단부는, 폴딩 영역에서 더 많이 구부러진 제2 레이어(1202)의 단부에 비해, 상기 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밀려서 더 많이 변위된다. 즉, 디스플레이의 제1 면(111)에 인접한 레이어(예: 제1 레이어(1201))일수록, 디스플레이의 제2 면(112)에 인접한 레이어(예: 제2 레이어(120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00)의 접힘시에, 상기 각 레이어들의 단부는 계단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0)의 각 레이어들의 단부들 사이에는 변위 차이(difference of displacement)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변위 차이를 '층 밀림 정도'로 정의할 수 있다. 변위 차이가 클수록 층 밀림 정도가 클 수 있다. 또는, '층 밀림 정도'는 각 레이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할 수 있으며, 각도가 작을수록 '층 밀림 정도'가 크다. 이러한 층 밀림 정도는 펼침 상태에서는 0이며, 접힘 상태에서 최대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25a 및 도 2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의 어느 한 접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00)의 동일한 레이어들이 폴딩 영역(103)으로부터의 위치에 따라 변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면(111)에 위치한 제1 레이어(1201)의 변위와 제2 면(112)에 위치한 제2 레이어(1202)의 변위의 차이는, 폴딩 영역(10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즉, 폴딩 영역(103)에 가까울수록 디스플레이(100)의 층 밀림 정도가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일 때, 도 25a를 참조하면, 폴딩 영역(103)으로부터 가까이 위치한 노치 영역(104)(예: 제1 단부면(1061))에서의 변위 차(DA)는, 폴딩 영역(103)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측단부 영역(예: 제2 단부면(1062))에서의 변위 차(DB)에 비해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00)가 폴딩된 경우 레이어들의 변위에는 각 레이어의 저장 탄성률이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100)의 각 레이어들은 소정의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 물질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100)의 각 레이어는 레이어를 이루는 물질에 의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고유한 탄성계수(modulus)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는 이웃하는 레이어와의 접착력 및/또는 레이어 자체의 탄성력 작용할 수 있다. 저장 탄성률은, 이와 같이 레이어에 작용하는 외력 및/또는 레이어 자체 특성이 반영된 변수일 수 있다.
도 25b는, 접힘 상태에 있어서, 폴딩 영역(예: 도 25a의 103) 또는 폴딩 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저장 탄성률이 반영된 층 밀림 변위를 도시한다. 그래프 A는, 저장 탄성률이 반영된 레이어의 폴딩 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층 밀림 변위를 나타낸다. 그래프 B는, 저장 탄성률이 반영되지 않은 가상의 레이어의 폴딩 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층 밀림 변위를 나타낸다.
여기서, '층 밀림 변위' 또는 '최대 층 밀림 변위'는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100)의 어느 일정한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어 중 가장 많이 이동한 레이어의 변위로 정의할 수 있다. 그래프 가로축의 폴딩 축으로부터의 거리는 폴딩 영역(103)으로부터의 거리일 수 있다.
그래프 B를 참조하면, 저장 탄성률이 반영되지 않은 경우에는 폴딩 영역(103)으로부터의 거리에 상관 없이 일정한 층 밀림 변위를 가질 수 있다. 반면, 저장 탄성률이 반영된 경우(그래프 A)에는 폴딩 영역(103)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층 밀림 변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례로, 어느 하나의 레이어의 임의의 영역에는 이웃하는 다른 레이어에 의한 전단 응력(shear stress)이 작용될 수 있다.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레이어는 상기 전단 응력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폴딩 영역(10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층 밀림 변위가 감소할 수 있다.
도 25b는, 디스플레이(100)의 측면과 하우징(500)의 리세스의 측벽 사이의 제 1 내지 제 3 간격(G1, G2, G3)을 도시한다. 상기 제 1 간격 G1은 폴딩 축과 평행한 방향(예: y축)의 간격이며, 제 2 간격 G2 및 제 3 간격 G3는 폴딩 축에 수직한 방향(예: x축)의 간격이다. 일 실시 예에서, G2 및 G3는, 디스플레이(100)의 복수의 레이어 사이의 곡률 반경 차이에 따른 층 밀림 변위를 수용하도록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반면 G1은 폴딩 축에 평행한 방향(예: y축)이므로 디스플레이의 접힘에 따른 층 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G2 및/또는 G3는 G1보다 클 수 있다.
도 26a 내지 26c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100)의 노치 영역 및 측단부 영역(B-B’ 섹션)에 관련된 구조를 설명한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제1 영역(2601)에서의 디스플레이(100)와 센서 영역(524) 사이의 간격(LA1, LA2, LA3), 및 제2 영역(2602)에서의 디스플레이(100)와 측벽(404) 사이의 간격(LB1, LB2, LB3)을 도시한다. 상기 제1 영역(2601)은 제2 하우징 구조물(520)의 제1 부분(예: 도 1의 제1 부분(520a))으로 불릴 수 있다. 도시된 간격들은 폴딩 축에 수직한 방향의 거리를 의미하며, 디스플레이(100)의 접힘에 따른 층 밀림 변위를 수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펼침 상태의 전자 장치(10)의 제1 영역(2601)에서, 디스플레이(100)는 센서 영역(524)의 내측면(546)과 소정의 간격(LA1)만큼 이격될 수 있다. 펼침 상태의 전자 장치(10)의 제2 영역(2602)에서, 디스플레이(100)는 브라켓(400)의 측벽(404)과 소정의 간격(LA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접힘 상태에서 최대 층 밀림 변위를 가지는 레이어(예: 제1 면(111)에 위치한 제1 레이어(1201))가 제2 하우징 구조물(520) 또는 브라켓(400)의 측벽(404) 내측에 위치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해당 영역의 최대 층 밀림 변위(예: 제1 면(111)에 위치한 제1 레이어(1201)의 변위)보다 크게 형성되어, 접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00)가 센서 영역(524)의 내측면(546) 또는 브라켓의 측벽(404)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2601)(예: A-A’섹션)에서의 소정의 간격은, 전자 장치가 접힘 상태일 때 제1 영역(2601)(예: A-A’섹션)의 디스플레이가 밀림으로써 형성되는 최대 층 밀림 변위(예: 제1 면(111)을 형성하는 제1 레이어(1201)의 층 밀림 변위)보다 클 수 있다. 제1 영역(2601)(예: A-A’ 섹션)에서의 최대 층 밀림 변위는 도 26a에 도시된 LA1과 도 26c에 도시된 LA3 의 차이(LA1 - LA3)와 같으며, 이는 제1 간격(LA1)보다 작다. 따라서, 전자 장치(10)가 접히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100)의 레이어들은 센서 영역(524)의 내측면(546)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2602)(B-B’ 섹션)에서의 소정의 간격은, 전자 장치가 접힘 상태일 때 제2 영역(2602)(B-B’ 섹션)의 디스플레이가 밀림으로써 형성되는 최대 층 밀림 변위(예: 제1 면(111)을 형성하는 제1 레이어(1201)의 층 밀림 변위)보다 클 수 있다. 제2 영역(2602)(B-B’ 섹션)에서의 최대 층 밀림 변위는 도 26a에 도시된 LB1과 도 26c에 도시된 LB3 의 차이(LB1 - LB3)와 같으며, 이는 제1 간격(LB1)보다 작다. 따라서, 전자 장치(10)가 접히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100)의 레이어들은 브라켓(400)의 측벽(404)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펼침 상태에서 도 26a의 제1 영역(2601)(예: A-A’섹션)에서의 간격을 제1 간격(LA1)으로, 도 26a의 제2 영역(2602)(B-B’ 섹션)에서의 간격을 제2 간격(LB1)으로 지칭한다. 중간 상태에서 도 26b의 제1 영역(2601)(예: A-A’섹션)에서의 간격을 제3 간격(LA2)으로 도 26b의 제2 영역(2602)(B-B’ 섹션)에서의 간격을 제4 간격(LB2)으로 지칭한다. 접힘 상태에서 도 26c의 제1 영역(2601)(예: A-A’섹션)에서의 간격을 제5 간격(LA3)으로, 도 26c의 제2 영역(2602)(B-B’ 섹션)에서의 간격을 제6 간격(LB3)으로 지칭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간격 내지 제6 간격은 조립 공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가 펼침 상태인 경우, 제1 간격(LA1)은 제2 간격(LB1)보다 클 수 있다. 도 26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가 중간 상태인 경우, 제3 간격(LA2)은 제4 간격(LB2)보다 클 수 있다. 도 26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가 접힘 상태인 경우, 제5 간격(LA3)은 제6 간격(LB3)보다 클 수 있다. 즉, 폴딩 영역에 가까운 제1 영역에의 간격(제1 간격, 제3 간격, 제5 간격)은 제2 영역에서의 간격(제2 간격, 제4 간격, 제6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의 레이어들이 강체(rigid body)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전자 장치의 상태에 따른 제1 영역(2601)에서의 간격(제1 간격, 제2 간격, 제3 간격)과 제2 영역(2602)에서의 간격(제2 간격, 제4 간격, 제6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실제 디스플레이(100)의 레이어들은 소정의 탄성률을 가지며 이웃하는 레이어들에 의한 응력의 일부를 흡수하므로, 폴딩 영역(103)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영역(2602)에서의 층 밀림은 제1 영역(2601)에서의 층 밀림보다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영역(2602)에서의 간격은 제1 영역(2601)에서의 간격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 26c에 도시된 제5 간격(LA3)및 제6 간격(LB3)은 조립 공차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도 26c에 도시된 제1 영역(2601)과, 달리 센서 영역(524)의 내측면(546)과 디스플레이(100) 사이에 측벽(4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00)와 측벽(404) 사이의 간격은 도 26c에 도시된 제5 간격(LA3)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기 간격은 측단부 영역(B-B' 섹션)에서의 디스플레이(100)와 측벽(404)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의 접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100)와 센서 영역(524)의 내측면(546) 또는 브라켓(400)의 측벽(404) 사이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영역(2601)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간격은 펼침 상태일 때 가장 크고(제1 간격(LA1)) 접힘 상태일 때 가장 작을 수 있다(제5 간격(LA3)). 일례로, 제2 영역(2602)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간격은 펼침 상태일 때 가장 크고(제2 간격(LB1)) 접힘 상태일 때 가장 작을 수 있다(제6 간격(LB3)).
도 26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가 중간 상태인 경우, 제1 영역(2601)에서 제1 레이어(1201)와 제2 레이어(1202)는 DA2의 변위차를 가질 수 있다. 제2 영역에서, 제1 레이어(1201)와 제2 레이어(1202)는 DB2의 변위차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폴딩 영역에 가까울수록 디스플레이의 층 밀림 정도가 크기 때문에 DA2은 DB2보다 클 수 있다.
도 26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가 접힘 상태인 경우, 제1 영역(2601)에서 제1 레이어(1201)와 제2 레이어(1202)는 DA3의 변위차를 가질 수 있다. 제2 영역에서, 제1 레이어(1201)와 제2 레이어(1202)는 DB3의 변위차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폴딩 영역에 가까울수록 디스플레이의 층 밀림 정도가 크기 때문에 DA3은 DB3보다 클 수 있다.
전자 장치(10)의 접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100)의 일정 영역에서 레이어 간의 변위 차이는 변경(예: DA2 → DA3 또는 DB2 → DB3)될 수 있다. 접힘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레이어들의 곡률 반경 차이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 중 디스플레이(100)의 제1 면(111)에 인접한 레이어일수록 더 많이 이동(절대 변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영역(2601)(A-A' 섹션)은 센서 영역(524)의 형상 또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다양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 영역(524)이 도면에 도시된 센서 영역(524)보다 폴딩 영역(103)(또는 폴딩 축(y축))에 더 가까울수록, 제1 영역(2601)의 간격들(제1 간격, 제3 간격, 제5 간격)은 더 넓어질 수 있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도 27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7)(예: 도 1의 전자 장치(10))는 센서 영역(524)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되 폴딩 축(A 축) 방향에 평행한 제1 테두리(271)를 포함하는 제1 영역(270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7)는 폴딩 축(A 축) 방향에 평행하되 제1 하우징 구조물(5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20) 중 센서 영역(524)이 형성된 하우징 구조물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2 테두리(272)를 포함하는 제2 영역(27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영역(2701)은 제2 영역(2702)에 비해 폴딩 축(A 축)에 대해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영역(2701)에서의 제1 테두리(271)와 디스플레이(100)가 이루는 간격은, 제2 영역(2702)에서의 제2 테두리(272)와 디스플레이(100)가 이루는 간격에 비해 클 수 있다.
도 27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7)(예: 도 1의 전자 장치(10))의 제1 영역(2701)은 제2 영역(2702)에 비해 폴딩 축(A 축)에 더 가까이 배치되므로, 제1 영역(2701)에서의 제1 테두리(271)와 디스플레이(100)가 이루는 간격은, 제2 영역(2702)에서의 제2 테두리(272)와 디스플레이(100)가 이루는 간격에 비해 클 수 있다.
도 27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7)(예: 도 1의 전자 장치(10))의 제1 영역(2701)은 제2 영역(2702)에 비해 폴딩 축(A 축)에 더 가까이 배치되므로, 제1 영역(2701)에서의 제1 테두리(271)와 디스플레이(100)가 이루는 간격은, 제2 영역(2702)에서의 제2 테두리(272)와 디스플레이(100)가 이루는 간격에 비해 클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36) 또는 외장 메모리(#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3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폴더블 하우징(a foldable housing)으로서,
    제1 하우징 구조물(a first housing structure); 및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에 접힘 가능하도록(foldably) 연결되는 제2 하우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과 마주보고
    비 접힘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이 평면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에 대하여 상호간에 접힘 가능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함께 리세스를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비 접힘 상태에서 상기 리세스의 위에서 볼 때,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 사이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 사이의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폭은 제1 폭보다 길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보다 상기 제1 축에 가까운
    폴더블 하우징; 및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리세스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비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으로부터 제1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과 마주보는 제1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리세스의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과 마주보는 제2 주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으로부터 제2 간격을 가지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비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은,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보다 상기 제1 축에 가까운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서로 적층된 복수의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은, 유기 발광 레이어(OLED layer), 터치-감응 레이어(touch-sensitive layer), 커버 레이어(cover layer), 쿠션 레이어(cushion layer), 또는 편광 레이어(polarized layer)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부 및 상기 제2 주변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에 의해 계단 구조를 형성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부는 상기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으로부터 제3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변부는 상기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부분으로부터 제4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4 간격은 상기 제2 간격보다 작은, 전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과 상기 제3 간격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2 간격과 상기 제4 간격 사이의 제2 차이에 비해 큰, 전자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간격 및 상기 제4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상기 제2 부분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축으로부터 제3 폭을 가지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1 축으로부터 제4 폭을 가지는 제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폭은 상기 제4 폭보다 크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2 주변부와 제3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2 주변부와 제4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4 간격보다 작은 전자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에 있어서,
    폴더블 하우징(a foldable housing)으로서,
    제1 하우징 구조물(a first housing structure); 및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에 접힘 가능하도록(foldably) 연결되는 제2 하우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과 마주보고,
    비 접힘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이 평면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접힘 가능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 사이에 리세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은 상기 리세스로 향하는 제1 내부면에 제1 길게 연장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1 부분은 상기 리세스로 향하는 제2 내부면에 제2 길게 연장된 리세스를 포함하는
    폴더블 하우징; 및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길게 연장된 리세스로 삽입된 제1 주변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길게 연장된 리세스로 삽입된 제2 주변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폭을 갖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큰, 전자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서로 적층된 복수의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은, 유기 발광 레이어(OLED layer), 터치-감응 레이어(touch-sensitive layer), 커버 레이어(cover layer), 쿠션 레이어(cushion layer), 또는 편광 레이어(polarized layer)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은, 상기 리세스를 일부 둘러싸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과 마주보는 제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상기 리세스를 일부 둘러싸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과 마주보는 제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리세스로 향하는 제3 내부면에 제3 길게 연장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상기 제4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리세스로 향하는 제4 내부면에 제4 길게 연장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길게 연장된 리세스로 삽입된 제3 주변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4 길게 연장된 리세스로 삽입된 제4 주변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나머지 일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 축에 대해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로 프레임과 상기 제1 가로 프레임과 나란하게 마주보는 제2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가로 프레임과 상기 제3 가로 프레임과 나란하게 마주보는 제4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로 프레임, 상기 제2 가로 프레임, 상기 제3 가로 프레임 및 상기 제4 가로 프레임에는 각각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 제2 홈, 제3 홈 및 제4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주변부와 상기 제1 주변부와 나란한 제2 주변부를 포함하는 주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3 홈에는 상기 제1 주변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4 홈에는 상기 제2 주변부가 삽입되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 프레임과 상기 제3 가로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3 홈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방향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 가로 프레임과 상기 제4 가로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4 홈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방향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 프레임, 상기 제2 가로 프레임, 상기 제3 가로 프레임 및 상기 제4 가로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전자 장치를 위에서 볼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위를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마주보고 상기 주변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주변부와 마주보는 제1 내측벽을 포함하고,상기 제1 내측벽은 상기 제1 내측벽과 마주보는 상기 주변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간격만큼 이격되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가로 프레임과 상기 제2 가로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3 가로 프레임과 상기 제4 가로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제2 세로 프레임 각각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홈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주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주변부와 상기 제3 주변부와 나란한 제4 주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홈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3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6 홈에는 상기 제4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전자 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제2 세로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전자 장치를 위에서 볼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위를 향하는 제3 면, 상기 제3 면과 마주보고 상기 주변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4 면, 및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주변부와 마주보는 제2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측벽 및 상기 제2 내측벽과 마주보는 상기 주변부 사이의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큰 전자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위에서 볼 때,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간격이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간격이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는 전자 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평면을 이루는 비 접힘 상태(unfolded state)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포개어지는 완전 접힘 상태(fully folded state)로 동작할 때,
    상기 제2 간격은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제1 간격은 동일하게 유지되는 전자 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비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크고,
    상기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크거나 같은 전자 장치.
  25.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접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1 면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제1 브라켓 및 제1 면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브라켓 구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폴딩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이 상기 폴딩 축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을 연결하는 힌지 구조물;
    내측면이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면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제1 면과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힌지 구조물이 배치되는 힌지 하우징;
    상기 제1 브라켓의 제2 면에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제2 면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부;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제1 면에 연장되는 전자 장치.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배선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힌지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는 전자 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면에는 상기 제1 브라켓을 관통하는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선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면으로 연장되는 전자 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의 제1 면에는 상기 폴딩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개구와 대칭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선 부재는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배선 부재의 일부는 상기 힌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29.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배선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자 장치.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배선 부재는 상기 힌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가변 영역과 상기 가변 영역의 양 측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가 제1 브라켓의 제1 면 및 제2 브라켓의 제1 면에 부착되는 고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영역의 길이는 상기 힌지 하우징 내측면의 제2 방향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가변 영역은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이 접히는 경우, 상기 가변 영역은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전자 장치.
KR1020180063602A 2018-06-01 2018-06-01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40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602A KR102540815B1 (ko) 2018-06-01 2018-06-01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2410040046.XA CN117978900A (zh) 2018-06-01 2019-05-29 包括可折叠显示器的电子装置
CN201980051193.4A CN112513777B (zh) 2018-06-01 2019-05-29 包括可折叠显示器的电子装置
PCT/KR2019/006423 WO2019231232A1 (en) 2018-06-01 2019-05-29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display
EP23219433.2A EP4325330A3 (en) 2018-06-01 2019-05-29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display
EP19177417.3A EP3647901A1 (en) 2018-06-01 2019-05-29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display
US16/428,637 US11314284B2 (en) 2018-06-01 2019-05-31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display
JP2019103875A JP7334071B2 (ja) 2018-06-01 2019-06-03 折りたたみ式ディスプレイを含む電子装置
US17/660,592 US11966259B2 (en) 2018-06-01 2022-04-25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display
KR1020230064938A KR102650718B1 (ko) 2018-06-01 2023-05-19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23132695A JP2023166415A (ja) 2018-06-01 2023-08-16 折りたたみ式ディスプレイを含む携帯用通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602A KR102540815B1 (ko) 2018-06-01 2018-06-01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938A Division KR102650718B1 (ko) 2018-06-01 2023-05-19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33A true KR20190137433A (ko) 2019-12-11
KR102540815B1 KR102540815B1 (ko) 2023-06-08

Family

ID=666764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602A KR102540815B1 (ko) 2018-06-01 2018-06-01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30064938A KR102650718B1 (ko) 2018-06-01 2023-05-19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938A KR102650718B1 (ko) 2018-06-01 2023-05-19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14284B2 (ko)
EP (2) EP4325330A3 (ko)
JP (2) JP7334071B2 (ko)
KR (2) KR102540815B1 (ko)
CN (2) CN117978900A (ko)
WO (1) WO2019231232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602A1 (ko) * 2020-04-03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지문을 감지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20015916A (ko) * 2020-07-31 202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22244975A1 (ko) * 2021-05-20 2022-1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022346A1 (ko) * 2021-08-19 2023-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43225A1 (ko) * 2021-09-15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054920A1 (ko) * 2021-09-28 2023-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068878A1 (ko) * 2021-10-21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68554A1 (ko) * 2021-10-18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96083A1 (ko) * 2021-11-25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금속 재질로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06853A1 (ko) * 2021-12-08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쿠션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25341A1 (ko) * 2022-07-26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4029729A1 (ko) * 2022-08-02 2024-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29767A1 (ko) * 2022-08-04 2024-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판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177B1 (ko) * 2016-06-13 202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주파 전송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06004B1 (ko) * 2018-07-26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배터리 관리 방법
KR102643282B1 (ko) * 2019-01-16 2024-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7589B1 (ko) * 2019-02-19 2023-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39926B1 (ko) * 2019-04-09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 공간이 확장되는 전자장치
US11737223B2 (en) * 2019-04-12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liding-type hinge structure beneath a flexible display
KR102588489B1 (ko) 2019-05-23 2023-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음향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BR112021023955B1 (pt) * 2019-05-31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eletrônico dobrável incluindo estrutura de proteção de exibidor
KR20200138948A (ko) * 2019-06-03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힌지 구조물
KR20200145975A (ko) * 2019-06-21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KR102670921B1 (ko) * 2019-07-22 2024-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10013800A (ko) * 2019-07-29 202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에 따라 형태가 전환되는 접이식 전자 장치 및 그 접이식 전자 장치의 형태를 전환하는 방법
USD961565S1 (en) * 2019-08-26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20210073805A (ko) * 2019-12-11 2021-06-21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20210081045A (ko) * 2019-12-23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11557230B2 (en) * 2020-02-14 2023-01-1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KR20220156808A (ko) 2020-03-23 2022-11-2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CN114962433B (zh) * 2020-04-30 2023-03-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组件、电子设备
CN111508367B (zh) * 2020-05-19 2021-06-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JP7497784B2 (ja) 2020-07-28 2024-06-11 スタッフ株式会社 可撓性表示装置の折り畳み機構
BR112022003043A2 (pt) * 2020-08-03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eletrônico incluindo placa de circuito impresso flexível
KR102660006B1 (ko) * 2020-08-03 2024-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30667A1 (ko) * 2020-08-07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30825A (ko) * 2020-09-03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1385687B1 (en) 2021-01-29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5136574B (zh) * 2021-01-29 2024-04-30 三星电子株式会社 铰链结构和包括铰链结构的电子装置
AU2022220455A1 (en) 2021-02-10 2023-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waterproof structure
CN113938545B (zh) * 2021-10-13 2023-09-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1954A1 (en) * 2012-10-19 2014-04-24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20150378397A1 (en) * 2014-06-27 2015-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20160009890A (ko) * 2014-07-17 201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WO2017075099A1 (en) * 2015-10-30 2017-05-04 Essential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of a mobile device
KR20180027467A (ko) * 2014-05-23 201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7016B2 (en)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US8929085B2 (en) 2011-09-30 2015-01-06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US20140123436A1 (en) * 2012-11-02 2014-05-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US9395070B2 (en) 2013-07-19 2016-07-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upport of flexible component and light-emitting device
US9588549B2 (en) 2014-02-28 2017-03-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EP2965184A4 (en) 2014-05-23 2016-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COLLEC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015398B1 (ko) * 2014-07-16 2019-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4435B1 (ko) * 2014-09-03 2021-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회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684339B2 (en) * 2015-02-03 2017-06-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endable display assembly
KR102414855B1 (ko) 2015-04-30 2022-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전자 장치
US9983424B2 (en) * 2015-06-08 2018-05-29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404670B1 (ko) 2015-06-18 202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GB2552090B (en) 2017-06-29 2021-06-16 Inodyn Newmedia Gmbh Front-facing camera and maximized display screen of a mobile device
TWI728102B (zh) * 2016-04-26 2021-05-21 日商陶氏東麗股份有限公司 可撓性積層體及具備其之可撓性顯示器
JP6918560B2 (ja) 2016-04-28 2021-08-1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情報処理装置
JP6261674B1 (ja) * 2016-07-19 2018-01-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JP6827288B2 (ja) * 2016-10-03 2021-02-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595230B1 (ko) * 2016-10-13 202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101834793B1 (ko) 2017-07-28 2018-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837568B1 (ko) * 2017-07-31 2018-03-1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키보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키보드유닛
KR102497666B1 (ko) * 2017-12-28 2023-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WO2019210766A1 (en) * 2018-05-02 2019-11-0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1954A1 (en) * 2012-10-19 2014-04-24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80027467A (ko) * 2014-05-23 201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378397A1 (en) * 2014-06-27 2015-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20160009890A (ko) * 2014-07-17 201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WO2017075099A1 (en) * 2015-10-30 2017-05-04 Essential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of a mobile devic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8887B2 (en) 2020-04-03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etecting fingerprint through at least part of display
WO2021201602A1 (ko) * 2020-04-03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지문을 감지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20015916A (ko) * 2020-07-31 202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22244975A1 (ko) * 2021-05-20 2022-1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022346A1 (ko) * 2021-08-19 2023-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43225A1 (ko) * 2021-09-15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054920A1 (ko) * 2021-09-28 2023-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068554A1 (ko) * 2021-10-18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68878A1 (ko) * 2021-10-21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96083A1 (ko) * 2021-11-25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금속 재질로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06853A1 (ko) * 2021-12-08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쿠션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25341A1 (ko) * 2022-07-26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4029729A1 (ko) * 2022-08-02 2024-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29767A1 (ko) * 2022-08-04 2024-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판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44761A1 (en) 2022-08-04
CN112513777A (zh) 2021-03-16
US20190369668A1 (en) 2019-12-05
CN112513777B (zh) 2024-03-01
WO2019231232A1 (en) 2019-12-05
JP2023166415A (ja) 2023-11-21
US11966259B2 (en) 2024-04-23
KR20230074685A (ko) 2023-05-31
US11314284B2 (en) 2022-04-26
EP3647901A1 (en) 2020-05-06
KR102650718B1 (ko) 2024-03-25
EP4325330A3 (en) 2024-04-24
CN117978900A (zh) 2024-05-03
JP7334071B2 (ja) 2023-08-28
KR102540815B1 (ko) 2023-06-08
EP4325330A2 (en) 2024-02-21
JP2019211778A (ja)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718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816067B (zh) 可折叠电子装置
ES2855152T3 (es) Dispositivo de pantalla plegable
KR102647399B1 (ko)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8216B1 (ko)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11188120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CN112789674B (zh) 柔性显示装置及包括柔性显示装置的电子装置
KR20200127744A (ko) 히든 댐퍼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18042602A1 (ja) 情報処理装置
KR10255665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5468A (ko) 자석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1000023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280577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hinge cover
KR102678669B1 (ko) 폴더블 전자 장치의 케이스
KR20200115092A (ko) 윈도우의 보호를 위한 코팅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38108A (ko) 햅틱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49338A (ko) 힌지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