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398B1 -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398B1
KR102015398B1 KR1020140089514A KR20140089514A KR102015398B1 KR 102015398 B1 KR102015398 B1 KR 102015398B1 KR 1020140089514 A KR1020140089514 A KR 1020140089514A KR 20140089514 A KR20140089514 A KR 20140089514A KR 102015398 B1 KR102015398 B1 KR 102015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lay panel
link
bend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726A (ko
Inventor
권수찬
김성훈
이달재
이준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9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398B1/ko
Priority to US14/558,442 priority patent/US9164547B1/en
Priority to GB1612382.0A priority patent/GB2537774B/en
Priority to GB1421675.8A priority patent/GB2528339B/en
Priority to CN201410815312.8A priority patent/CN105321430B/zh
Priority to TW103145309A priority patent/TWI555456B/zh
Priority to DE102014119711.9A priority patent/DE102014119711B4/de
Publication of KR2016000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곡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표시 영역을 평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영역을 지지하는 제 1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영역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링크 어셈블리; 및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벤딩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노트북, 휴대용 전자 기기,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도 큰 화면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여 큰 화면의 표시부를 구현한 장치가 개발 및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휘어지거나 접힐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점을 이용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Apparatus)는 휴대의 편의성을 유지하면서 큰 화면의 표시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분야의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및 모니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로는, 미국 공개특허 US2013/0010405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에 개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링크 구조의 힌지를 중심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펼침으로써 큰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링크 구조의 힌지에 의해 발생되는 하우징들 사이의 빈 공간으로 인하여 접혀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곡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고, 펼쳐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표시 영역을 평면 상태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곡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표시 영역을 평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영역을 지지하는 제 1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영역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링크 어셈블리; 및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벤딩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 바;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 바; 및 상기 제 1 링크 바와 상기 제 2 링크 바 사이에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중간 링크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영역과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벤딩에 따라 상기 제 2 하우징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제 1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더의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 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양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축 각각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바와 상기 복수의 중강 링크 바 각각은 연결된 인접한 링크 바의 회전 각도를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은 일정한 곡률로 벤딩된 에지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에지 벤딩부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일정한 곡률로 벤딩된 상태로 유지되는 에지 벤딩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힙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 벤딩 표시 영역은 상기 제 1 하우징에 덮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슬라이딩 어셈블리와 복수의 링크 바로 이루어진 링크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힘과 펼침을 가이드함으로써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곡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표시 영역을 평면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둘째,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힘과 펼침시 발생되는 길이 편차를 보상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표시 영역에 가해지는 벤딩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힘과 펼침시 하우징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베젤 폭이 감소될 수 있다.
넷째,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힘시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에지 벤딩 표시 영역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보조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링크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 1 링크 바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더와 가이더부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시 또는 접힘시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슬라이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시 또는 접힘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 벤딩 표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제 1 하우징(120), 제 2 하우징(130), 링크 어셈블리(140), 및 슬라이딩 어셈블리(15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플렉서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플렉서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또는 플렉서블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티브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어레이를 갖는 플렉서블 화소 어레이 기판, 및 화소 어레이를 보호하는 봉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화소 어레이 기판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금속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플렉서블 화소 어레이 기판은 PI(Polyimid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N(Polyethylenapthanate), PC(Polycarbonate), PNB(Polynorborneen), 및 PES(Polyethersulfon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소 어레이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의 교차에 의해 마련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는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표시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 액정 표시 소자, 전기 영동 소자, 또는 전자 습윤 표시 소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가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전기 영동 소자일 경우, 일 에에 따른 봉지 부재는 화소 어레이를 덮도록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플렉서블 봉지 기판 또는 봉지층이 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 전자 습윤 표시 소자, 또는 전기 영동 소자일 경우, 다른 예에 따른 봉지 부재는 화소에 대응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컬러필터 기판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봉지 부재에 부착된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편광 필름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유연성을 위해 생략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상기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화소 어레이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112)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112)은 제 1 표시 영역(112a), 제 2 표시 영역(112b), 및 벤딩 표시 영역(112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표시 영역(112a)은 표시 영역(112) 중 상기 벤딩 표시 영역(112c)의 일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영역(예를 들어, 상측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표시 영역(112a)은 표시 영역(112) 중 상기 벤딩 표시 영역(112c)의 타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영역(예를 들어, 하측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평면 상태로 펼쳐질 경우, 제 1 표시 영역(112a)과 제 2 표시 영역(112b) 및 벤딩 표시 영역(112c)은 하나의 표시 영역(112)을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넓은 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벤딩 표시 영역(112c)을 기준으로 설정된 곡률로 벤딩될 경우, 상기 표시 영역(112)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된 신호 인가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인가부(114)에는 화소 어레이에 형성된 신호 배선과 연결되는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 인가부(114)는 제 2 하우징(130)을 통과하여 제 2 하우징(130)의 후면 쪽으로 벤딩됨으로써 제 2 하우징(130)의 후면에 배치되는 시스템 구동부(200)에 연결된다. 상기 신호 인가부(114)에는 시스템 구동부(200)로부터 제공되는 화소 구동 신호와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112)에 형성된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집적 회로(116)가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렉서블 지지 플레이트(105)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렉서블 지지 플레이트(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전체에 부착됨으로써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편평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렉서블 지지 플레이트(105)는 상기 플렉서블 화소 어레이 기판의 플렉서블 특성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부착되거나 상기 화소 어레이의 형성 공정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12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영역, 즉 제 1 표시 영역(112a)과 중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측 후면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해, 일 예에 따른 제 1 하우징(120)은 바닥면(121), 측벽들(123), 제 1 링크 연결부(125), 및 회전 구속 돌기(1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121)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측 후면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측 후면은 상기 바닥면(121)과 물리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상기 바닥면(121)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측벽들(123)은 상기 바닥면(121)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121)에 지지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영역 측면들을 둘러싼다. 이러한, 상기 측벽들(123)은 상기 바닥면(121) 상에 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140) 각각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링크 연결부(125)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의 제 1 측에 인접한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내측벽(123a)으로부터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의 제 1 측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링크 연결부(125)는 상기 내측벽(123a)의 양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제 1 링크 연결부(125)에는 제 1 샤프트 삽입홀(125a) 및 제 1 중공부(12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샤프트 삽입홀(125a)은 상기 제 1 링크 연결부(125)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상기 제 1 링크 연결부(125)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중공부(125b)는 상기 제 1 링크 연결부(125)의 돌출 방향(X)을 따라 일정한 면적을 가지도록 상기 제 1 링크 연결부(125)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후면에 마련된 회로 배치홈(미도시)과 연통된다.
상기 회전 구속 돌기(127)는 상기 제 1 링크 연결부(125)의 양측면 각각에 인접한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내측벽(123a) 상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가 설정된 최대 회전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 구속 돌기(127)는 직각 삼각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내측벽(123a)에 형성되되, 경사면이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 구속 돌기(127)의 돌출 길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접힘시 형성되는 벤딩 표시 영역(112c)의 곡률 크기에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후면은 제 1 후면 커버(160)에 의해 덮인다. 상기 제 1 후면 커버(160)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후면에 수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반도체 부품을 덮도록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후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하우징(120)에 결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표시 영역(112a)에 인접한 주변 영역은 제 1 전면 커버(미도시)에 의해 덮일 수 있으며, 제 1 전면 커버는 제 1 표시 영역(112a)과 제 1 표시 영역(112a)에 인접한 벤딩 영역(112c)을 제외한 나머지 제 1 표시 영역(112a)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과 상측 가장자리 부분만을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하우징(120)과 결합된다.
상기 제 2 하우징(13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영역, 즉 제 2 표시 영역(112b)과 중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측 후면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제 2 하우징(13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측 후면과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일 예에 따른 제 2 하우징(130)은 바닥면(131), 측벽들(133), 및 제 2 링크 연결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131)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영역 후면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측 후면은 도시하지 않은 투명 접착제, 접착 시트,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상기 바닥면(131)과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바닥면(131)에는 상기 신호 인가부(114)가 관통하는 회로 통과홀(1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 인가부(114)는 상기 회로 통과홀(131a)에 삽입된 후, 일정한 곡률로 벤딩되어 상기 제 2 하우징(130)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측벽들(133)은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와 연결되는 상기 바닥면(131)의 내측부를 제외한 나머지 바닥면(131)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측벽들(133)은 상기 바닥면(131)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영역 측면들을 둘러쌈으로써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보호한다.
상기 제 2 링크 연결부(135)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의 제 2 측에 인접한 상기 제 2 하우징(130)의 내측벽(133a)으로부터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의 제 2 측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링크 연결부(135)는 상기 제 2 하우징(13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상기 내측벽(133a)의 양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하우징(130)의 내측벽(133a) 중 상기 제 2 링크 연결부(135)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와 마주하는 나머지 내측벽(133a) 상면 모서리 부분을 일정한 곡률로 라운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 연결부(135)에는 제 2 샤프트 삽입홀(135a) 및 제 2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샤프트 삽입홀(135a)은 상기 제 2 링크 연결부(13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한 상기 제 2 하우징(130)의 내측벽(133a)을 관통하도록 상기 내측벽(133a)의 길이 방향(Y)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 2 중공부는 상기 제 2 하우징(13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일정한 면적으로 가지도록 상기 제 2 링크 연결부(135)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 중공부는 상기 제 2 하우징(130)의 후면에 마련된 회로 배치홈(미도시)과 연통된다. 이러한, 제 2 중공부는 제 1 및 제 2 하우징(120, 130) 각각의 후면에 배치된 시스템 구동부(2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 및/또는 신호 전송 필름 등이 통과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 2 하우징(130)의 후면은 제 2 후면 커버(170)에 의해 덮인다. 상기 제 2 후면 커버(170)는 상기 제 2 하우징(130)의 후면에 수납되는 시스템 구동부(200), 및 배터리(미도시)를 덮도록 상기 제 2 하우징(130)의 후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 2 하우징(130)에 결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표시 영역(112b)에 인접한 주변 영역은 제 2 전면 커버(미도시)에 의해 덮일 수 있으며, 제 2 전면 커버는 제 2 표시 영역(112b)과 제 2 표시 영역(112b)에 인접한 벤딩 영역(112c)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표시 영역(112b)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 상측 가장자리 부분, 신호 인가부(114), 및 구동 집적 회로(116)를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2 하우징(130)과 결합된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는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120, 13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펼침과 접힘을 가이드하고, 펼쳐지거나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표시 영역(112c)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일 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140)는 제 1 링크 바(141), 제 2 링크 바(143), 및 복수의 중간 링크 바(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 바(141)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일 예에 따른 제 1 링크 바(14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 한 쌍의 가이드 측벽(320), 전방 연결부(330), 후방 연결부(340), 전방 샤프트 홀(350), 후방 샤프트 홀(360), 및 스토퍼(37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310)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내측벽(123a)과 나란하도록 사각 단면의 바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표시 영역(112b)에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몸체(310)의 전방 측면(310a)은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내측벽(123a)과 직접적으로 대향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310)의 전방 측면(310a)과 상면 사이의 상측 모서리 부분은 제 1 링크 바(141)의 제 1 방향 회전을 위해 일정한 곡률를 가지는 라운딩부(RP)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측벽(320)은 상기 몸체(310)의 길이 방향(Y)을 기준으로, 몸체(31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측벽(3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길이 방향(X)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310)의 상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양측면을 감쌈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전방 연결부(330)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제 1 링크 연결부(125)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310)의 전방 측면(310a)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 연결부(330)는 상기 제 1 링크 연결부(125)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링크 연결부(12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후방 연결부(340)는 상기 제 2 하우징(130)의 제 2 링크 연결부(135)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310)의 후방 측면(310b)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상기 후방 연결부(340)는 상기 제 2 링크 연결부(135)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2 링크 연결부(1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후방 연결부(340)에는 제 2 중공부(3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중공부(342)는 상기 몸체(310)의 폭 방향(X)을 따라 상기 몸체(3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제 1 중공부(125b)와 연통된다.
상기 전방 샤프트 홀(350)은 상기 전방 연결부(3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한 상기 몸체(310)의 전방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전방 샤프트 홀(350)은 상기 몸체(310)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상기 몸체(310)의 전방 가장자리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방 샤프트 홀(350)은 상기 몸체(310)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상기 후방 연결부(3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70)는 상기 후방 연결부(340)의 양측면 각각에 인접한 상기 몸체(310)의 후방 측면(310b) 상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중간 링크 바(145)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인접한 중간 링크 바(145)가 설정된 최대 회전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370)는 직각 삼각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상기 몸체(310)의 후방 측면(310b)에 형성되되, 경사면이 상기 인접한 중간 링크 바(145)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70)의 돌출 길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접힘시 형성되는 벤딩 표시 영역(112c)의 곡률 크기에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은, 제 1 링크 바(141)는 상기 전방 샤프트 홀(350)과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제 1 샤프트 삽입홀(125a)에 삽입되는 제 1 샤프트(141a)에 의해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제 1 링크 연결부(125)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샤프트(141a)는 상기 전방 샤프트 홀(350)과 상기 제 1 샤프트 삽입홀(125a) 간에 걸쳐지도록 삽입 배치됨으로써 서로 연결된 제 1 링크 바(141)와 제 1 링크 연결부(125)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외력에 의해 제 1 링크 바(141)와 제 1 링크 연결부(125)가 분리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링크 바(141)는 상기 제 1 샤프트(141a)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선(HL)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θ)만큼 회전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접힘시 제 1 링크 바(141)는, 전방 측면(310a)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라운딩부(RP)가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회전 구속 돌기(127)에 물리적으로 접촉될 때까지 평면 상태(HL)로부터 설정된 각도(θ)만큼 제 1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접힘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펼침시 제 1 링크 바(141)는, 전방 측면(310a)의 수직면이 제 1 하우징(120)의 내측면(123a)에 물리적으로 접촉될 때까지 회전된 상태로부터 제 2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펼침을 가이드하고,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표시 영역(112c)을 지지한다. 특히, 제 1 링크 바(141)는 평면 상태(HL)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전방 측면(310a)의 수직면과 제 1 하우징(120)의 내측면(123a)의 물리적인 접촉으로 인하여 더이상 제 2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표시 영역(112c)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벤딩 표시 영역(112c)이 누르는 힘에 의해 움푹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2 링크 바(143)는 상기 제 2 하우징(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 2 링크 바(14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 한 쌍의 가이드 측벽(320), 전방 연결부(330), 후방 연결부(340), 전방 샤프트 홀(350), 후방 샤프트 홀(360), 및 스토퍼(3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 2 하우징(130)에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1 링크 바(143)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 2 링크 바(143)는 상기 후방 샤프트 홀(360)과 상기 제 2 하우징(130)의 제 2 샤프트 삽입홀(135a)에 삽입되는 제 2 샤프트(143a)에 의해 상기 제 2 하우징(130)의 제 2 링크 연결부(135)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 2 하우징(130)은 상기 제 2 샤프트(143a)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선(HL)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θ)만큼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중간 링크 바(145) 각각은 상기 제 1 링크 바(141)와 제 2 링크 바(143) 사이에 수평선(HL)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θ)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상호간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중간 링크 바(145)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 한 쌍의 가이드 측벽(320), 전방 연결부(330), 후방 연결부(340), 전방 샤프트 홀(350), 후방 샤프트 홀(360), 및 스토퍼(3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 1 링크 바(141)와 제 2 링크 바(143) 사이에서 제 3 샤프트들(145a)에 의해 상호 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1 링크 바(143)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는 제 1 링크 바(141), 제 2 링크 바(143), 및 복수의 중간 링크 바(145) 각각이 스토퍼(370)에 의해 평면 상태(HL)에서 설정된 각도(θ)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상호간에 연결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접힘시 상기 링크 바(141, 143, 145) 각각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벤딩 표시 영역(112c)이 설정된 곡률로 접혀지거나 평면 상태로 펼쳐지도록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링크 바(141, 143, 145) 각각의 몸체(310)는 일정한 곡률로 접혀지거나 평면 상태로 펼쳐진 벤딩 표시 영역(112c)을 지지함으로써 접혀진 벤딩 표시 영역(112c)의 곡률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평면 상태로 펼쳐진 벤딩 표시 영역(112c)을 평면 상태로 유지시킨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15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영역과 결합되어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의 벤딩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영역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접히거나 펼쳐질 때 발생되는 길이 편차를 보상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이 제 1 및 제 2 하우징(120, 130) 각각에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접힘 또는 펼침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벤딩 스트레스가 가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의 곡률 반경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접힘 또는 펼침시 벤딩 표시 영역(112c)이 주름지거나 벤딩 표시 영역(112c)이 늘어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150)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의 벤딩에 연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표시 영역(112a)을 슬라이딩시킨다.
일 예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15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51), 및 가이더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151)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바닥면(12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측 후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15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접착제, 양면 접착 시트, 또는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측 후면에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151)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바닥면(121) 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레일(151a)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레일(151a)은 상기 가이더부(15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슬라이더(151)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의 벤딩에 연동되는 벤딩 표시 영역(112c)의 벤딩에 따라 제 1 하우징(120)의 바닥면(121) 상에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영역을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가이더부(153)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15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일 예에 따른 가이더부(153)는 한 쌍의 가이드 홀(153a), 및 한 쌍의 플레이트(153b)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153a)은 제 1 하우징(120)의 바닥면(121)을 관통하도록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153a)에는 상기 슬라이더(151)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레일(151a)이 각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레일(151a)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153a)의 폭은 상기 레일(151a)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53b) 각각은 상기 제 1 하우징(121)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153a) 각각에 삽입된 상기 한 쌍의 레일(151a) 각각과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53b) 각각은 스크류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레일(151a) 각각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홀(153a)에서 상기 레일(151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150)의 슬라이더(15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접힘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와 벤딩 표시 영역(112c)이 일정한 곡률로 벤딩됨에 따라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영역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표시 영역이 설정된 곡률로 벤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150)의 슬라이더(15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펼침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곡률로 벤딩된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와 벤딩 표시 영역(112c)이 평면 상태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 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영역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표시 영역이 평면 상태로 펼쳐지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150)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와 벤딩 표시 영역(112c)의 벤딩에 연동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영역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표시 영역(112c)이 일정한 곡률로 접혀지거나 평면 상태로 펼쳐지도록 한다.
도 8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도 3과 결부하면, 변형 예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150')는 슬라이더(151'), 한 쌍의 슬라이딩 축(152), 및 가이더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151')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바닥면(12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측 후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15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접착제, 양면 접착 시트, 또는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측 후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더(151')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의 벤딩에 연동되는 벤딩 표시 영역(112c)의 벤딩에 따라 제 1 하우징(120)의 바닥면(121) 상에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영역을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축(152)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길이 방향(X)과 나란한 상기 슬라이더(15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더부(153')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축(152)은 상기 슬라이더(151')의 양측면 각각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 결합되거나 상기 슬라이더(151')의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양측벽(123)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부(153')는 상기 슬라이더(151')의 양측면과 나란한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양측벽(123)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15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일 예에 따른 가이더부(153')는 한 쌍의 가이드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양측벽(123)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 축(152)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변형 예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와 벤딩 표시 영역(112c)의 벤딩에 연동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영역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표시 영역(112c)이 일정한 곡률로 접혀지거나 평면 상태로 펼쳐지도록 한다.
따라서, 변형 예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150')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축(152)이 슬라이더(151')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 역시 제 1 하우징(120)의 측벽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하우징(120)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방향을 변경한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를 구성하는 링크 바(141, 143, 145) 각각의 회전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표시 영역(112c)을 기준으로,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112a, 112b)가 서로 직접적으로 대면되도록 접혀진다. 반면에,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를 구성하는 링크 바(141, 143, 145) 각각의 회전 방향이 변경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표시 영역(112c)을 기준으로,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112a, 112b)이 외부 방향으로 접혀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링크 어셈블리(140')가 상하로 반전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140')는 도 3에 도시된 링크 어셈블리(140)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하로 반전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하우징(120, 130) 간에 연결된다.
한편,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표시 영역(112)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접혀진 상태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표시 영역(112a)과 제 2 표시 영역(112b) 및 벤딩 표시 영역(112c)은 각기 다른 표시 영역을 구성하여 각기 다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112a, 112b)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거나,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영상이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상기 벤딩 표시 영역(112c)은 보조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보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영상은 시스템 설정 정보, 배터리 잔량, 무선 통신 감도, 시간 정보, 및 메시지 수신 아이콘 등이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더와 가이더부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510), 제 1 하우징(520), 제 2 하우징(530), 링크 어셈블리(540), 및 슬라이딩 어셈블리(55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은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112a, 112b)과 벤딩 표시 영역(112c)을 포함하되,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112a, 112b)의 위치가 서로 바뀌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하우징(52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1 영역, 즉 제 1 표시 영역(112a)과 중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1 측 후면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일 예에 따른 제 1 하우징(520)은 바닥면(521)과 측벽들(523)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521)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1 측 후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521)은 도시하지 않은 투명 접착제, 접착 시트,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2 측 후면과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바닥면(52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신호 인가부(114)가 관통하는 회로 통과홀(5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 인가부(114)는 상기 회로 통과홀(521a)에 삽입된 후 일정한 곡률로 벤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520)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측벽들(523)은 제 2 하우징(530)을 향하는 상기 바닥면(521)의 전방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하면 좌우측과 후방 가장자리 부분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측벽들(523)은 상기 제 1 하우징(520)의 후면에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의 슬라이딩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또는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측벽들(523)은 상기 바닥면(521) 상에 결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3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바닥면(521)의 상면 좌우측과 후방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53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2 영역, 즉 제 2 표시 영역(112b)과 중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2 측 후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제 2 하우징(53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2 측 후면과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제 1 하우징(12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는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520, 53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펼침과 접힘을 가이드하고, 펼쳐지거나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표시 영역(112c)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일 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540)는 제 1 링크 바(541), 제 2 링크 바(543), 및 복수의 중간 링크 바(5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 바(541)는 상기 제 2 하우징(530)의 상기 제 1 링크 연결부(12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 1 링크 바(141)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 1 링크 바(541)는 전방 샤프트 홀(350; 도 4 참조)과 상기 제 2 하우징(530)의 제 1 샤프트 삽입홀(125a)에 삽입되는 제 1 샤프트(141a)에 의해 상기 제 2 하우징(530)의 제 1 링크 연결부(125)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샤프트(141a)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선(HL)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θ)만큼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링크 바(543)는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 2 링크 바(543)는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에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 1 링크 바(141)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 2 링크 바(543)는 상기 후방 샤프트 홀(360; 도 4 참조)과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에 삽입되는 제 2 샤프트(143a)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2 샤프트(143a)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선(HL)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θ)만큼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중간 링크 바(545) 각각은 상기 제 1 링크 바(541)와 제 2 링크 바(543) 사이에 수평선(HL)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θ)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상호간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중간 링크 바(545) 각각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 1 링크 바(14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 1 링크 바(541)와 제 2 링크 바(543) 사이에서 제 3 샤프트들(145a)에 의해 상호 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는 제 1 링크 바(541), 제 2 링크 바(543), 및 복수의 중간 링크 바(545) 각각이 스토퍼(370)에 의해 평면 상태(HL)에서 설정된 각도(θ)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상호간에 연결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접힘시 상기 링크 바(541, 543, 545) 각각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를 슬라이딩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벤딩 표시 영역(112c)이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의 슬라이딩에 따른 제 2 하우징(530)의 이동에 의해 설정된 곡률로 접혀지거나 평면 상태로 펼쳐지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1 영역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하우징(52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의 벤딩에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와 제 2 하우징(530)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이 접히거나 펼쳐질 때 발생되는 길이 편차를 보상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이 제 1 및 제 2 하우징(520, 530) 각각에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접힘 또는 펼침시 디스플레이 패널(510)에 벤딩 스트레스가 가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과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의 곡률 반경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접힘 또는 펼침시 벤딩 표시 영역(112c)이 주름지거나 벤딩 표시 영역(112c)이 늘어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의 벤딩에 연동되어 슬라이딩되어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와 제 2 하우징(530)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2 표시 영역(112b)을 슬라이딩시킨다.
일 예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55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551), 한 쌍의 슬라이딩 축(552), 및 가이더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551)는 상기 제 1 하우징(520)의 후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하우징(520)의 후면에 마련되는 부품 수납 공간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더(551)는 "⊃"자 형태의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링크 결합부(551a), 한 쌍의 날개부(551b1, 551b2), 및 샤프트 배치 홀(55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결합부(551a)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의 제 2 링크 바(54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링크 결합부(551a)의 측면에는 상기 제 2 링크 바(543)의 후방 결합부(340)가 삽입되는 링크 결합홈(551a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날개부(551b1, 551b2) 각각은 상기 링크 결합부(551a)의 길이 방향(Y)을 기준으로, 상기 링크 결합부(551a)의 양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1 하우징(520) 쪽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배치 홀(551c)은 상기 링크 결합홈(551a1)를 사이에 두고 나란한 상기 링크 결합부(551a)의 전방 가장자리 부분(551a2, 551a2)에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배치 홀(551c)은 상기 링크 결합부(551a)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상기 링크 결합부(551a)의 전방 가장자리 부분(551a2, 551a2)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슬라이더(551)는 상기 샤프트 배치 홀(551c)과 상기 제 2 링크 바(543)의 후방 샤프트 홀(360)에 삽입되는 제 2 샤프트(143a)에 의해 상기 제 2 링크 바(543)의 후방 결합부(34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의 벤딩에 따라 슬라이딩되게 된다. 여기서, 제 2 샤프트(143a)는 상기 샤프트 배치 홀(551c)과 상기 후방 샤프트 홀(360) 간에 걸쳐지도록 삽입 배치됨으로써 서로 연결된 상기 슬라이더(551)와 제 2 링크 바(543)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외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551)와 제 2 링크 바(543)가 분리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축(552)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길이 방향(X)과 나란한 상기 슬라이더(55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더부(553)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더(551)의 보다 안정적인 직선 운동을 위해 상기 슬라이더(551)의 양측면 각각에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딩 축(552)이 일정한 간격을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축(552)은 상기 슬라이더(551)의 양측면 각각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 결합되거나 상기 슬라이더(551)의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 1 하우징(520)의 양측벽(523)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부(553)는 상기 슬라이더(551)의 양측면과 나란한 상기 제 1 하우징(520)의 양측벽(523)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55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일 예에 따른 가이더부(553)는 한 쌍의 가이드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 1 하우징(520)의 양측벽(523)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 축(552)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와 벤딩 표시 영역(112c)의 벤딩에 연동되어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2 영역에 결합된 제 2 하우징(530)을 슬라이딩시켜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벤딩 표시 영역(112c)이 일정한 곡률로 접혀지거나 평면 상태로 펼쳐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펼침시,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가 평면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의 슬라이더(551)는 제 1 하우징(520) 쪽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와 제 2 하우징(530) 각각을 끌어 당김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510)이 평면 상태로 펼쳐지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는 평면 상태가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벤딩 표시 영역(112c)을 지지함으로써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벤딩 표시 영역(112c)이 외력에 의해 움푹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접힘시,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의 슬라이더(551)는 제 2 하우징(530) 쪽으로 슬라이딩(X)되어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와 제 2 하우징(530) 각각을 밀음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510)이 설정된 곡률로 접혀지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는 접혀지는 벤딩 표시 영역(112c)을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510)이 설정된 곡률로 접혀지도록 가이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는 회전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상하로 반전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 2 하우징(530)과 슬라이딩 어셈블리(550) 간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510)은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표시 영역(112c)을 기준으로,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112a, 112b)이 외부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접힘 또는 펼침시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550)의 슬라이딩에 연동되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540)의 슬라이딩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길이 편차가 보상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2 영역에 대한 이동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베젤 폭이 감소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제 2 하우징의 구조를 변경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은 에지 벤딩 표시 영역(112d)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지 벤딩 표시 영역(112d)은 전술한 제 2 표시 영역(112b)으로부터 일정한 면적으로 가지도록 연장되고, 제 2 하우징(530)에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부착된다. 상기 에지 벤딩 표시 영역(112d)은 디스플레이 패널(510)이 접히거나 펼침시에도 일정한 곡률로 벤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일 예에 따른 에지 벤딩 표시 영역(112d)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이 평면 상태로 펼쳐질 경우,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112a, 112b) 및 벤딩 표시 영역(112c)과 함께 하나의 표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에지 벤딩 표시 영역(112d)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이 평면 상태로 펼쳐지거나 접힐 경우,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112a, 112b) 및 벤딩 표시 영역(112c)과 무관한 보조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보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영상은 시스템 설정 정보, 배터리 잔량, 무선 통신 감도, 시간 정보, 및 메시지 수신 아이콘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하우징(63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2 영역, 즉 제 2 표시 영역(112b)과 에지 벤딩 표시 영역(112d)과 중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제 2 측 후면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하우징(530)은 본 발명의 제 4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하우징과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에지 벤딩 표시 영역(112d)을 일정한 곡률로 벤딩시키는 에지 벤딩부(53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에지 벤딩부(532)는 상기 제 2 하우징(530)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에지 벤딩 표시 영역(112d)과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지 벤딩 표시 영역(112d)은 상기 에지 벤딩부(532)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벤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510)의 접힘시에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에지 벤딩 표시 영역(112d)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보조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5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520: 제 1 하우징
130, 530: 제 2 하우징 140, 540: 링크 어셈블리
141, 541: 제 1 링크 바 143, 543: 제 2 링크 바
145, 545: 중간 링크 바 150, 550: 슬라이딩 어셈블리
151, 551: 슬라이더 153, 553: 가이더부

Claims (10)

  1. 벤딩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영역을 지지하는 제 1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영역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고, 펼쳐지거나 접히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벤딩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상기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2 영역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제 1 하우징의 후면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후면 쪽으로 벤딩되어 시스템 구동부에 연결된 신호 인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 바;
    상기 제 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 바; 및
    상기 제 1 링크 바와 상기 제 2 링크 바 사이에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중간 링크 바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영역에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벤딩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 1 하우징에 제공된 가이더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바닥면 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 홀; 및
    상기 제 1 하우징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 각각에 삽입된 상기 한 쌍의 레일 각각과 결합된 한 쌍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 바;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 바; 및
    상기 제 1 링크 바와 상기 제 2 링크 바 사이에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중간 링크 바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영역과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벤딩에 따라 상기 제 2 하우징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 1 하우징에 제공된 가이더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더의 양 측면에 각각 제공된 한 쌍의 슬라이딩 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양측벽에 각각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축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바와 상기 제 2 링크 바 및 상기 복수의 중강 링크 바 각각은 몸체의 후방 측면의 상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인접한 링크 바의 최대 회전 각도를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일정한 곡률로 벤딩된 에지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에지 벤딩부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일정한 곡률로 벤딩된 상태로 유지되는 에지 벤딩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힙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 벤딩 표시 영역은 상기 제 1 하우징에 덮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89514A 2014-07-16 2014-07-16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514A KR102015398B1 (ko) 2014-07-16 2014-07-16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4/558,442 US9164547B1 (en) 2014-07-16 2014-12-02 Foldable display apparatus
GB1612382.0A GB2537774B (en) 2014-07-16 2014-12-05 Foldable display apparatus
GB1421675.8A GB2528339B (en) 2014-07-16 2014-12-05 Foldable display apparatus
CN201410815312.8A CN105321430B (zh) 2014-07-16 2014-12-23 可折叠显示装置
TW103145309A TWI555456B (zh) 2014-07-16 2014-12-24 可折疊顯示裝置
DE102014119711.9A DE102014119711B4 (de) 2014-07-16 2014-12-30 Faltbare Anzeige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514A KR102015398B1 (ko) 2014-07-16 2014-07-16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726A KR20160009726A (ko) 2016-01-27
KR102015398B1 true KR102015398B1 (ko) 2019-08-29

Family

ID=5242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514A KR102015398B1 (ko) 2014-07-16 2014-07-16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64547B1 (ko)
KR (1) KR102015398B1 (ko)
CN (1) CN105321430B (ko)
DE (1) DE102014119711B4 (ko)
GB (2) GB2528339B (ko)
TW (1) TWI55545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9507B2 (en) 2020-11-04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985777B2 (en) 2021-05-11 2024-05-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355B1 (ko) 2015-01-19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3254448B1 (en) * 2015-02-06 2021-03-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2304461B1 (ko) 2015-02-24 2021-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6091B1 (ko) * 2015-04-01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1268565B2 (en) 2015-04-09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0365691B2 (en) * 2015-04-09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0883534B2 (en) 2015-04-09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20160123113A (ko) * 2015-04-15 2016-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47817B1 (ko) * 2015-07-02 2022-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79745B1 (ko) * 2015-07-06 2022-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557118A (zh) * 2015-09-30 2017-04-0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柔性装置
USD828321S1 (en) 2015-11-04 2018-09-11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smart mobile phone
KR102421579B1 (ko) 2015-11-16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446267B1 (ko) * 2015-12-23 2022-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접이 장치
US20170199549A1 (en) * 2016-01-11 2017-07-13 Lenovo (Beijing) Limited Flexible electronic device
CN105676962B (zh) * 2016-01-11 2020-06-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102293027B1 (ko) * 2016-02-16 2021-08-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폴더블 터치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05872138B (zh) * 2016-03-29 2019-04-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102559839B1 (ko) * 2016-04-12 2023-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84505B1 (ko) 2016-06-20 2023-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102520575B1 (ko) * 2016-07-13 2023-04-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023816A (zh) * 2016-08-04 2016-10-12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102487504B1 (ko) * 2016-08-30 2023-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614047B1 (ko) * 2016-09-13 2023-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36648B1 (ko) * 2016-09-13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JP2018054042A (ja) * 2016-09-29 2018-04-05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ヒンジ装置およびこ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KR102628024B1 (ko) 2016-10-07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45778B1 (ko) * 2016-10-11 2023-06-21 (주)에이유플렉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WO2018070782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KR102556395B1 (ko) 2016-11-03 2023-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56444A (ko) 2016-11-18 2018-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62273A (ko)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80097356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웃 폴딩(out-foldable)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아웃 폴딩 가능한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CN106847099A (zh) * 2017-04-24 2017-06-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N107102692B (zh) * 2017-04-26 2019-08-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式显示装置
CN112860018A (zh) * 2017-05-19 2021-05-28 伊英克公司 包含数字化及触控感测的可折叠电光显示器
KR102434719B1 (ko) * 2017-05-31 2022-08-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0082838B1 (en) 2017-06-21 2018-09-25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external hinge structure
US10120421B1 (en) 2017-06-21 2018-11-06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US9964995B1 (en) 2017-06-21 2018-05-08 Dell Products L.P. Dynamic antenna orientation with a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US10082839B1 (en) 2017-06-21 2018-09-25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hinge and ramp support structure
US10015897B1 (en) 2017-06-21 2018-07-03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sliding frame
KR102324508B1 (ko) * 2017-06-28 2021-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9215507B (zh) 2017-07-07 2021-08-27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KR101834793B1 (ko) * 2017-07-28 2018-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79807B1 (en) * 2017-08-03 2021-08-03 Apple Inc. Friction roller hinge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for making roller and spacer elements
CN107370848B (zh) * 2017-08-25 2024-02-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及其折叠机构和折叠组件
KR102369318B1 (ko) * 2017-08-30 2022-03-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1304B1 (ko) * 2017-09-18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지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02183B1 (ko) * 2017-09-29 2022-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7644590A (zh) * 2017-10-26 2018-01-3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中框及柔性显示装置
KR102403713B1 (ko) * 2017-10-31 2022-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2456889B1 (ko) * 2017-11-01 2022-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US10775852B2 (en) 2017-11-28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408387B1 (ko) * 2017-12-04 2022-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2072B1 (ko) * 2017-12-04 2022-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7330B1 (ko) * 2017-12-14 2022-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N109936648B (zh) 2017-12-18 2020-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转动机构及折叠终端
US10586943B2 (en) 2017-12-22 2020-03-10 Sakai Display Products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display panel
KR102442942B1 (ko) * 2017-12-27 2022-09-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108230907B (zh) * 2018-01-03 2020-03-24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屏及显示装置
CN112074892A (zh) * 2018-03-12 2020-12-11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弯折机构与柔性显示装置
CN108447401B (zh) * 2018-03-28 2020-06-0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柔性显示屏的形变补偿方法
US10788861B2 (en) 2018-03-28 2020-09-29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eformation compensation method of flexible display screen
WO2019223009A1 (zh) * 2018-05-25 2019-11-2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可弯曲显示模组及可弯曲终端
KR102540815B1 (ko) * 2018-06-01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588133B2 (ja) * 2018-06-11 2019-10-09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の取付方法
WO2019237340A1 (zh) * 2018-06-15 2019-12-19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屏防尘机构、电子装置及柔性屏防尘机构的制造方法
CN108597380B (zh) * 2018-07-18 2023-10-2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
KR102512482B1 (ko) * 2018-07-31 2023-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CN112639927A (zh) * 2018-09-14 2021-04-09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JP2020046541A (ja) * 2018-09-19 2020-03-2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TWI670696B (zh) 2018-09-28 2019-09-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折疊式顯示裝置
TWI693500B (zh) * 2018-12-06 2020-05-11 兆利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折疊式裝置之轉軸模組
KR102624839B1 (ko) 2018-12-28 2024-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83872A (ko) * 2018-12-31 2020-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63626B1 (ko) * 2019-01-09 2023-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0928863B2 (en) 2019-01-14 2021-02-23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idframe to sliding frame assembly
US10817030B2 (en) 2019-01-14 2020-10-27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with alternating slide support frame
KR20200089376A (ko) * 2019-01-16 2020-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방법
US10754395B2 (en) 2019-01-17 2020-08-25 Dell Products L.P. Multi-axis hinge translation to adjust housing position relative to flexible display position
US11023009B2 (en) * 2019-02-12 2021-06-01 Samsung Display Co., Ltd. Folding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0209424A1 (ko) * 2019-04-11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828460A (zh) * 2019-04-18 2020-10-2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KR20200130020A (ko) * 2019-05-10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724807B (zh) * 2019-07-24 2021-04-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裝置
KR20220100695A (ko) * 2019-12-03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75017B2 (en) * 2020-04-03 2023-10-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endable displays
WO2022054996A1 (ko) * 2020-09-14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4203028A (zh) * 2020-09-18 2022-03-18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可折叠结构及电子设备
KR102274481B1 (ko) * 2020-10-12 2021-07-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4023197B (zh) * 2021-11-22 2022-12-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US11937390B2 (en) 2021-11-22 2024-03-19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CN114697435B (zh) * 2022-06-02 2022-10-1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折叠组件及终端设备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2891A (ja) 2009-11-27 2011-06-09 Kyocera Corp 携帯型表示装置
WO2012021525A1 (en) 2010-08-10 2012-02-16 Aniteal Laboratories Reconfigurable touch screen computing device
US20130010405A1 (en) 2011-07-06 2013-01-10 Rothkopf Fletcher R Flexible display devices
US20130021762A1 (en) 2011-07-11 2013-01-24 Polymer Vision B.V.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CA2791574A1 (en) 2011-11-15 2013-05-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JP2013231982A (ja) 2009-05-02 2013-11-1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JP2013254021A (ja) 2012-06-05 2013-12-19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40029190A1 (en) 2012-07-25 2014-01-30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CN103620516A (zh) 2011-06-03 2014-03-05 微软公司 柔性显示器绕曲组件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342B1 (ko) * 1998-05-30 2001-03-02 김순택 플렉시블한액정표시소자를구비한휴대용액정표시장치
JP4190915B2 (ja) * 2003-03-10 2008-12-0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バンドの駒用連結ピン、バンド、及び腕時計
US7714801B2 (en) * 2005-01-05 2010-05-11 Nokia Corporatio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US7653422B2 (en) * 2006-02-28 2010-01-2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liding hinge
US8228461B2 (en) * 2006-11-06 2012-07-24 Panasoni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855726B2 (en) * 2007-03-28 2014-10-07 Nec Corporation Folding portable device and connecting mechanism
KR101472154B1 (ko) * 2007-04-25 2014-12-12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에지 보호기를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8629841B2 (en) 2008-04-30 2014-01-14 Apple Inc. Multi-touch sensor patterns and stack-ups
US8539705B2 (en) * 2008-08-13 2013-09-24 Edward Bullister Crossfold electronic device
KR101542129B1 (ko) * 2008-10-24 2015-08-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US8385055B2 (en) * 2008-12-26 2013-02-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ic device and display panel thereof
KR20110100936A (ko) * 2010-03-05 201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TWM395341U (en) 2010-08-04 2010-12-21 Micro Star Int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KR101273182B1 (ko) * 2011-02-18 2013-06-17 주식회사 팬택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EP2511789A1 (en) * 2011-04-15 2012-10-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Flexible mobile computing devices
TW201303446A (zh) * 2011-07-01 2013-01-16 Chi Lin Technology Co Ltd 背光模組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EP2768157B1 (en) 2011-10-10 2021-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improved carrier aggregation technology and device therefor
TWI459274B (zh) * 2011-11-28 2014-11-01 Shih Hua Technology Ltd 觸控模組及其製備方法
US8842424B2 (en) * 2011-11-30 2014-09-23 Nokia Corporation Joint cover
KR101346146B1 (ko) * 2011-12-23 2013-12-31 주식회사 세네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JP5319825B1 (ja) * 2012-05-22 2013-10-1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KR20140002243A (ko) * 2012-06-28 201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11047B1 (ko) * 2012-07-25 2018-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케이스 및 표시 장치
KR101986762B1 (ko) * 2012-10-19 2019-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US8804349B2 (en) * 2012-10-19 2014-08-12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20140123436A1 (en) * 2012-11-02 2014-05-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EP2728434B1 (en) * 2012-11-02 2017-07-26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US8971032B2 (en) * 2012-11-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US9348362B2 (en) *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KR102081932B1 (ko) * 2013-03-21 2020-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93801A1 (ko) * 2013-12-16 2015-06-25 주식회사 세네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1982A (ja) 2009-05-02 2013-11-1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JP2011112891A (ja) 2009-11-27 2011-06-09 Kyocera Corp 携帯型表示装置
WO2012021525A1 (en) 2010-08-10 2012-02-16 Aniteal Laboratories Reconfigurable touch screen computing device
CN103620516A (zh) 2011-06-03 2014-03-05 微软公司 柔性显示器绕曲组件
US20130010405A1 (en) 2011-07-06 2013-01-10 Rothkopf Fletcher R Flexible display devices
US20130021762A1 (en) 2011-07-11 2013-01-24 Polymer Vision B.V.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CA2791574A1 (en) 2011-11-15 2013-05-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JP2013254021A (ja) 2012-06-05 2013-12-19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40029190A1 (en) 2012-07-25 2014-01-30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9507B2 (en) 2020-11-04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985777B2 (en) 2021-05-11 2024-05-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21430B (zh) 2018-04-27
GB2528339B (en) 2017-07-05
TWI555456B (zh) 2016-10-21
KR20160009726A (ko) 2016-01-27
DE102014119711B4 (de) 2020-06-04
GB2537774B (en) 2017-07-05
GB2537774A (en) 2016-10-26
DE102014119711A1 (de) 2016-01-21
CN105321430A (zh) 2016-02-10
TW201605323A (zh) 2016-02-01
GB2528339A (en) 2016-01-20
GB201612382D0 (en) 2016-08-31
US9164547B1 (en) 2015-10-20
GB201421675D0 (en)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398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6515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0466747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10236629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지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5171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4807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6694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10047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0032391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9173287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102333557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2377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