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105A - 작업기 - Google Patents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105A
KR20190133105A KR1020190058220A KR20190058220A KR20190133105A KR 20190133105 A KR20190133105 A KR 20190133105A KR 1020190058220 A KR1020190058220 A KR 1020190058220A KR 20190058220 A KR20190058220 A KR 20190058220A KR 20190133105 A KR20190133105 A KR 20190133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ir
blower
engine
dustproof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루 다케나카
요오헤이 시모다
마사루 이케다
요시마사 안도오
마코토 미야자키
도모노리 다나카
히로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133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0Guiding or ducting cooling-air, to, or from,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수용실로의 공기의 통류를 허용하고, 공기에 포함되는 진애를 여과하는 방진 필터를 적절하게 재생할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한다.
운전부의 하방에 마련되는 수용실(C)과, 수용실(C)을, 엔진(3a)이 수용되는 제1 공간(C1)과 제2 공간(C2)으로 구획하는 구획벽(31)과, 수용실(C)을 기체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어, 공기의 통류를 허용하는 방진 필터(80)와, 제1 공간(C1)에 있어서, 엔진(3a)과 방진 필터(80)의 사이에 마련된 엔진(3a)용의 라디에이터(36)와, 제1 공간(C1)에 있어서, 엔진(3a)과 라디에이터(36)의 사이에 마련되어, 라디에이터(36)를 향해서 송풍 가능한 제1 송풍기(37)를 구비하고, 구획벽(31)에 있어서의 기체 가로 외측 부분에, 제1 공간(C1)과 제2 공간(C2)을 연통하는 연락구(30)를 마련해 있는 작업기.

Description

작업기{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운전부와, 운전부의 하방에 마련되는 수용실과, 수용실을, 엔진이 수용되는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과, 수용실을 기체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어, 공기의 통류를 허용하는 방진 필터와, 제1 공간에 있어서, 엔진과 방진 필터의 사이에 마련된 엔진용의 라디에이터와, 제1 공간에 있어서, 엔진과 라디에이터의 사이에 마련되어, 라디에이터를 향해서 송풍 가능한 제1 송풍기를 구비한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수확기나 수전 작업기, 트랙터 등의 작업기는 그 작업 중, 짚 부스러기나 곡립, 토사의 먼지 등의 진애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작업기의 필요부에는 방진 필터 등의 방진 기구가 채용된다. 특허문헌 1에는, 기체의 엔진과, 엔진을 엔진 보닛(제1 공간의 일례)에 수용한 원동부와, 엔진보다도 기체 가로 외측에 마련된 엔진의 라디에이터와, 라디에이터에 엔진의 냉각풍을 통풍하는 냉각 팬과, 엔진 보닛의 상면측에 마련된 에어 클리너 케이스(제2 공간의 일례)에 수용된, 공조 장치를 구성하는 콘덴서와, 엔진 보닛 및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기체 우측 가로 외측에 배치된 방진 커버를 구비한 수확기(작업기의 일례)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작업기의 방진 커버는, 망상의 제진재(방진 필터의 일례)를 설치하여 형성된 제진 흡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는, 콘덴서에 콘덴서의 냉각풍을 송풍하는 콘덴서 팬이 수용되어 있다. 방진 커버는, 엔진 보닛에 흡인되는 엔진의 냉각풍 및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콘덴서 팬에 의해 흡인되는 콘덴서의 냉각풍에 제진 흡기부의 제진재를 작용시켜, 엔진의 냉각풍 및 콘덴서의 냉각풍으로부터 진애를 여과 처리에 의해 제거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9596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작업기에 있어서는, 방진 필터가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로 막히는 경우가 있다. 방진 필터가 막힌 경우, 예를 들어 냉각 팬의 통풍 방향을 역전시켜서 방진 필터의 막힘을 제거(이하에서는 재생이라고 칭한다)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방진 필터에 있어서의, 수용실의 제1 공간으로 흡인되는 공기가 통류하는 부분만이 재생되어서, 수용실의 제2 공간으로 흡인되는 공기가 통류하는 부분이 적절하게 재생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방진 필터를 적절하게 재생할 수 있는 작업기의 제공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수용실로의 공기의 통류를 허용하고, 당해 공기에 포함되는 진애를 여과하는 방진 필터를 적절하게 재생할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의 특징 구성은, 운전부와, 상기 운전부의 하방에 마련되는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을, 엔진이 수용되는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수용실을 기체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어, 공기의 통류를 허용하는 방진 필터와, 상기 제1 공간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상기 방진 필터의 사이에 마련된 상기 엔진용의 라디에이터와, 상기 제1 공간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상기 라디에이터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라디에이터를 향해서 송풍 가능한 제1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벽에 있어서의 기체 가로 외측 부분에,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하는 연락구를 마련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수용실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흡인되는 공기는 방진 필터로 여과된다. 따라서, 제1 공간은 청정하게 유지되어서, 제1 공간의 라디에이터 등은, 진애로 오염되지 않는다. 제1 공간과 마찬가지로, 제2 공간도 청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송풍기가 방진 필터를 향해서 송풍한 공기의 일부는, 제1 공간으로부터 직접 방진 필터에 보내지고, 제1 공간에서 외부를 향해서 방진 필터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방진 필터에 있어서의, 제1 공간으로 흡인되는 공기가 통류하는 필터 부분(이하에서는 제1 방진 필터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재생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송풍기가 방진 필터를 향해서 송풍한 공기의 다른 일부는, 구획벽의 연락구를 통과하여, 제1 공간으로부터 제2 공간으로 유입한다. 제2 공간으로 유입한 공기는, 당해 제2 공간에서 외부를 향해서 방진 필터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방진 필터에 있어서의, 제2 공간으로 흡인되는 공기가 통류하는 필터 부분(이하에서는 제2 방진 필터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재생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수용실로의 공기의 통류를 허용하고, 당해 공기에 포함되는 진애를 여과하는 방진 필터를 적절하게 재생할 수 있다. 즉, 제1 방진 필터부 및 제2 방진 필터부 중 어느 막힘도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진 필터는 안정된 여과 성능 및 통기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제1 공간과 함께 제2 공간을 안정적으로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제2 공간에, 라디에이터는 다른 열 교환기(예를 들어, 기체 운전실의 에어컨 콘덴서) 등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구획벽은, 공기의 통류를 허용하는 내부 필터를 갖고, 상기 내부 필터는, 상기 연락구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내부 필터에 의해, 제1 공간 혹은 제2 공간의 한쪽에서 다른 쪽의 공간으로 공기가 흐를 때, 당해 공기가 여과된다. 이에 의해, 가령 제1 공간 혹은 제2 공간의 한쪽이 진애로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도 다른 쪽의 공간은 청정하게 유지된다. 예를 들어, 제1 공간이 진애로 오염된 상태로 제1 송풍기가 방진 필터를 향해서 송풍한 경우에도, 제1 공간으로부터 제2 공간에 유입하는 공기는 내부 필터로 여과되기 때문에, 제2 공간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내부 필터는, 막힌 경우에는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제2 공간에, 상기 라디에이터는 다른 열 교환기와, 상기 열 교환기를 위한 제2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송풍기는, 상기 방진 필터를 통해 흡인한 외기를, 상기 열 교환기를 향해서 송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2 공간은 청정하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라디에이터는 다른 열 교환기를 진애로 오염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사용 시, 방진 필터로 여과된 청정한 공기를, 제2 송풍기로 열 교환기에 통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제1 송풍기는, 상기 방진 필터를 통해 외기를 흡인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방진 필터를 향해서 송풍하는 제2 동작 모드로 모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송풍기는, 상기 제1 송풍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되어 있을 때 동작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송풍기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제2 송풍기에 의해 제2 방진 필터부를 통해 외기가 흡인된다.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송풍기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도, 연락구를 통한 제1 송풍기의 흡인에 의해, 제2 방진 필터부를 통해 외기가 흡인된다. 따라서, 제1 동작 모드에서는, 제1 방진 필터 및 제2 방진 필터의 막힘은 진행된다.
한편 제2 동작 모드에서는, 제2 송풍기가 정지하고, 또한, 제1 송풍기가 방진 필터를 향해서 공기를 송풍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송풍기가 방진 필터를 향해서 송풍한 공기의 일부는, 제1 공간에서 외부를 향해서 제1 방진 필터부를 통과하고, 다른 일부는, 연락구를 통과하여 제2 공간에서 외부를 향해서 제2 방진 필터부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제2 동작 모드에서는, 제1 방진 필터 및 제2 방진 필터가 재생된다. 즉, 제2 공간에 방진 필터를 통해 외기를 흡인하는 제2 송풍기가 마련된 경우에도,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를 소정의 타이밍에 교대로 전환하거나 하면, 제2 방진 필터를 확실하게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제1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연락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공간 내에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제2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연락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공간 내에 유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역지 기구가 제1 공간 내의 공기가 연락구를 통과하여 제2 공간 내에 유입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제1 송풍기가 제1 방진 필터부를 향해서 송풍한 공기의 일부가 연락구를 통과하여 제2 공간 내에 유입하게 된다. 그리고, 제1 공간으로부터 제2 공간 내에 유입한 공기가 제2 공간으로부터 제2 방진 필터부를 통과하여 외부에 흘러 나옴으로써, 제2 방진 필터부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역지 기구가 제2 공간 내의 공기가 연락구를 통과하여 제1 공간 내에 유입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제2 방진 필터부를 통과하여 제2 공간 내에 유입한 공기(외기)가 연락구를 통과하여 제1 공간 내에 유입할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제2 공간에 외기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수용실로의 공기의 통류를 허용하고, 당해 공기에 포함되는 진애를 여과하는 방진 필터를 적절하게 재생할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캐빈의 구조 등을 나타내는 상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캐빈, 수용실의 구조 등을 나타내는 우측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캐빈, 수용실의 구조 등을 나타내는 배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풋 레스트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메인터넌스 포트, 덮개의 구조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메인터넌스 포트, 덮개의 구조 등을 나타내는 상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엔진 보닛의 모퉁이부 주위의 구조 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탑승 도어, 힌지 및 도어 실(seal)의 구조 등을 나타내는 상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힌지, 스토퍼, 프레임 등의 구조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탑승 도어, 힌지 및 도어 실의 구조 등을 나타내는 상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힌지 및 탑승 도어의 위치 결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사이드 유리의 구조 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사이드 유리의 구조 등을 나타내는 상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앞 유리 및 앞 밀봉재의 구조 등을 나타내는 배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17은, 뒤 유리 및 뒤 밀봉재의 구조 등을 나타내는 배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18은, 수용실의 구조 등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배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연락구의 위치 및 구조 등을 나타내는 상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용실의 구조 등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배면으로 본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의 설명〕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의 일례로서, 주행하면서 포장의 식립 곡간을 수확하는 자탈형의 콤바인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 콤바인(100)의 전후 방향을 정의할 때는, 작업 상태에 있어서의 기체 진행 방향을 따라 정의한다. 콤바인(100)의 좌우 방향을 정의할 때는, 기체 진행 방향으로 본 상태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부호 (F)로 나타내는 방향이 전방측, 부호 (B)로 나타내는 방향이 후방측이다. 도 2에 부호 (L)로 나타내는 방향이 좌측, 부호 (R)로 나타내는 방향이 우측이다. 또한, 콤바인(100)의 상하 방향은 연직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00)은 기체 프레임(1)(기체) 상에 전방측(F)에서 후방측을 향해서 순서대로, 식립 곡간을 예취하여 수확하는 수확부(19), 조종자가 탑승하는 운전부(2), 엔진(3a)(도 4 참조)을 수용한 수용실(C), 수확물을 저류하는 저류 탱크(15)를 구비한다. 기체 프레임(1)은,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18)에 지지되어 있다. 운전부(2)는, 탑승자가 착좌하는 운전 좌석(22), 풋 레스트(25) 등을 갖는다. 운전부(2)는, 탑승부(4)를 갖는 캐빈(7)으로 덮여 있다. 캐빈(7)의 내측은 운전실(S)(도 3 등 참조)이다. 탑승부(4)는, 운전실(S)에 입실하는 탑승구(40a)의 가로 개방의 탑승 도어(40) 등을 갖는다. 수용실(C)은, 운전부(2)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용실(C)은, 방진 필터(80)를 갖는 방진 케이스(8)로 기체 우측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수용실(C)은, 도 4,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룸(C1)(제1 공간의 일례)과 콘덴서실(C2)(제2 공간의 일례)로 구획되어 있다. 엔진(3a)은, 엔진(3a)의 열 교환기인 라디에이터(36) 등과 함께 엔진 룸(C1)에 수용되어 있다. 엔진 룸(C1)은, 엔진 보닛(31)(구획벽의 일례)에서 운전실(S) 및 콘덴서실(C2)로 구획되어 있다. 콘덴서실(C2)은 운전실(S)과, 벽부(7c)로 구획되어 있다. 콘덴서실(C2)에는 운전실(S)의 공조기(소위 에어컨)의 열 교환기인 콘덴서(39) 등이 수용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확부(19)에서 수확한 수확물은, 탑승부(4)(캐빈(7))의 왼쪽 옆 약간 후방측의 반송부(19a)를 통해 반송부(19a)의 후방의 탈곡 장치(6)로 반송된다. 수확물은 탈곡 장치(6)에서 훑기 처리되어서, 탈곡 장치(6)의 우측 방향의 저류 탱크(15)에 반송되어서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저류 탱크(15)에 저류된 수확물은, 작업자의 지시에 따라, 수확물을 상방에 반송하는 세로 스크루 컨베이어(15c)로 저류 탱크(15)로부터 반송되어서, 반출통(15a)을 통해 토출구(15b)로부터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저류 탱크(15)는, 후방의 회전축심 X를 축심으로 하여, 수용실(C)과 저류 탱크(15)의 사이가 개방하게 선회 가능하다. 이에 의해 수용실(C)이나 수용실(C)과 저류 탱크(1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기기류의 메인터넌스가 가능하다.
〔각 부의 구성〕
운전부(2)는, 도 3,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승자가 착좌하는 운전 좌석(22), 운전실(S)의 바닥이 되는 바닥판(21) 등의 벽체, 바닥판(21)에 적재된 풋 레스트(25), 작업자가 콤바인(100)의 운전 조작을 행하기 위한 운전 조작 인터페이스, 운전실(S)의 에어컨의 송풍구(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는다. 운전 좌석(22)은 엔진 보닛(31) 상에 적재되어 있다. 운전부(2)는, 기체 프레임(1)에 하단부를 고정시켜서 세워 설치된 복수의 세로 프레임을 통해 기체 프레임(1)에 지지되어 있다. 운전부(2)의 운전실(S)은, 캐빈(7), 벽부(7c), 바닥판(21) 등으로 구획된 공간이다.
풋 레스트(25)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22)(도 3 등 참조)에 착좌한 탑승자가, 운전 조작 시 쾌적한 자세를 취하기 위한 발판이다. 풋 레스트(25)는, 바닥판(21)에 고정된 상방을 향해서 개방하는 네모진 U자 형상의 고정 좌부(25a)와, 캐빈(7)의 전방벽에 지지되어서 고정 좌부(25a)의 고정을 보강하는 서포트(25b)와, 탑승자가 발을 적재하는 발판 보드(25f)를 고정 좌부(25a)에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연결 부재(25c)를 갖는다. 발판 보드(25f)의 바닥판(21)에 대한 설치 높이는, 연결 부재(25c)와 고정 좌부(25a)의 연결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행한다.
고정 좌부(25a)는 판재의 양단을 상방을 향해서 굽힘 가공한 양쪽의 면상의 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설치 구멍(25h)을 갖는다. 고정 좌부(25a) 양쪽의 단부는 그 면이 좌우 방향으로 법선이 따르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연결 부재(25c)는 L자 형상의 판재이며, 일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고, 타단부가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연결 부재(25c)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부가 고정 좌부(25a)와 연결되고, 후방을 향해서 연장 돌출되는 판부는, 발판 보드(25f)를 축 지지하고 있다. 연결 부재(25c)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부의 좌측면에는 너트가 용접되어 있어, 우측으로부터 볼트를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 부재(25c)는, 고정 좌부(25a) 양쪽의 단부의 좌측 측면에 맞닿아 있다. 원하는 높이의 설치 구멍(25h)에 대하여, 탑승 도어(40)가 있는 우측으로부터 볼트를 삽입 관통하고, 연결 부재(25c)의 너트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연결 부재(25c)가 원하는 높이로 고정 좌부(25a)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탑승자는 발판 보드(25f)를 쾌적한 높이로 위치 조정 가능함과 함께, 당해 위치 조정 시에, 탑승 도어(40)를 개방하고, 예를 들어 탑승구(40a)로부터 손을 뻗쳐서 볼트의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기 위해서 작업성이 높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보닛(31)의 금속판(31t)에 있어서의, 운전부(2)의 운전실(S) 내측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글래스울 등의 단열재(31b)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단열재(31b)의 운전실(S) 내측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을 주체로 한 마무리 시트(31a)가 운전실(S) 내의 의장성이나 기밀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첩부되어 있다.
엔진 보닛(31)의 일부는, 운전실(S) 내측으로부터 엔진 룸(C1)의 메인터넌스 등을 행하기 위해서 메인터넌스 포트(32p)를 마련하고, 메인터넌스 포트(32p)를 덮개(32)로 밀봉하고 있다. 덮개(32)는, 메인터넌스 포트(32p)를 개구의 에지 부분(32f)까지 덮는 외덮개부(32a)와, 메인터넌스 포트(32p)에 삽입하는 (32b)를 갖고 있다. 외덮개부(32a)에는, 그 표면으로부터 외덮개부(32a)의 에지 부분의 이면측에 이르기까지 마무리 시트(31a)를 붙어져 있고, 소위 호두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덮개부(32a)의 외주 부분도 마무리 시트(31a)로 덮이기 때문 의장성이 향상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터넌스 포트(32p)의 에지 부분(32f)에 대해서는, 단열재(31b)가 첩부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덮개(32)로 메인터넌스 포트(32p)를 봉했을 때, 엔진 보닛(31)의 마무리 시트(31a)의 표면과, 덮개(32)의 마무리 시트(31a)의 표면이, 눈으로 봐서 매끄럽게 일체화되기 때문에 의장성이 향상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보닛(31)의 일부에는 금속판(31t)이 굽힘 가공된 모퉁이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모퉁이부(31c)의 주위는, 마무리 시트(31a)를 2층으로 겹치거나 하여 의장성을 높이고 있다. 도 9에는, 엔진 보닛(31)의 상방의 천장판측의 단열재(31b)를 천장판의 약간 내측의 범위까지 제한하여 첩부하여, 엔진 보닛(31)의 수직벽측의 단열재(31b)를 당해 수직벽측으로부터 모퉁이부(31c)의 천장판측에 약간 이르는 범위까지 첩부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엔진 보닛(31)의 천장판측의 마무리 시트(31a)와 수직벽측의 마무리 시트(31a)는, 모퉁이부(31c)에 있어서, 천장판측의 마무리 시트(31a)가 표면측이 되도록 중복하고 있다. 이에 의해, 모퉁이부(31c)에 있어서 마무리 시트(31a)가 매끄럽게 첩부되어서 의장성이 향상된다.
캐빈(7)은, 도 3, 도 4 및 도 1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승부(4), 운전부(2)의 상부를 덮는 지붕(7a), 창이 구비된 탑승 도어(40), 앞 유리(7b), 좌측의 사이드 유리(75), 우측 후방의 후방 유리(76), 운전실(S)의 바닥이 되는 바닥판(21), 우측 앞 지주(71)나 뒤 지주(72), 좌측의 지주(도시하지 않음) 등 복수의 프레임체인 세로 프레임, 운전부(2)의 배면 벽부(7c) 등의 운전부(2)를 둘러싸는 기타의 벽체를 갖고 있다. 지붕(7a)은 이들 세로 프레임을 통해 기체 프레임(1)에 지지되어 있다. 우측의 앞 지주(71)와 우측의 뒤 지주(72)의 사이가 탑승구(40a)가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 지주(71), 뒤 지주(72), 지붕(7a)을 지지하고 있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체, 바닥판(21) 및 뒤 지주(72)와 바닥판(21)을 지지하고 있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체의 사이에 가교된 경사 프레임(73)으로 둘러싸진 내측이 탑승구(40a)이다. 탑승구(40a)의 내주면에는, 탑승 도어(40)의 도어 프레임(40b)과 정밀하게 맞닿아서 운전실(S)을 밀봉하는 도어 실(40c)이 설치되어 있다.
탑승부(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실(S)에 입실하는 탑승구(40a)의 가로 개방의 탑승 도어(40), 탑승 도어(40)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41) 등을 갖는다. 탑승 도어(40)는, 뒤 지주(72)에 상하 일체된 힌지(41)를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힌지(41)에는 스토퍼(45)가 하방으로부터 맞닿아, 위치 결정되어 있다(도 11 참조). 하방의 힌지(41)(이하에서는 간단히 힌지(41)이라고 칭한다)는, 뒤 지주(72)에 있어서의, 뒤 지주(72)와 경사 프레임(73)과의 연결 부분의 상방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탑승 도어(40)는, 정면으로 보아, 캐빈(7)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대하여 캐빈(7)의 상하 중앙부가 운전실(S)의 외측(우측)으로 팽출하게 만곡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실(40c)은,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도어 실(40c)은, 뒤 지주(72) 등의 탑승구(40a)의 프레임체에 도어 실(40c)을 고정하는 고정부(40d)와, 고정부(40d)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탑승 도어(40)가 폐쇄됐을 때 도어 프레임(40b)과 정밀하게 맞닿는 밀봉부(40e)를 갖는다. 밀봉부(40e)는 연장되는 방향으로 교차하는 단면이 원형이고 중공이다. 도어 프레임(40b)에 가압된 밀봉부(40e)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되어서 도어 프레임(40b)과 밀착하여 밀봉한다. 밀봉부(40e)는, 도어 프레임(40b)에 측면으로부터 맞닿게 한다. 이에 의해, 도어 실(40c)의 반발력(탑승 도어(40)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낮게 하여 탑승 도어(40)의 개폐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탑승 도어(40)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의 기밀성을 확보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41)은, 뒤 지주(72)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프레임측 부재(42)와 탑승 도어(40)에 고정되는 도어측 부재(43)를 갖는다. 프레임측 부재(42) 및 도어측 부재(43)는 직사각형의 판 부분(42a) 및 판 부분(43a)을 적어도 갖는 금속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측 부재(42)는, 판 부분(42a)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돌출되는 판 부분(42b)에,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으로 세워 설치하는 축 핀(42c)을 갖는다. 도어측 부재(43)는, 판 부분(42a)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판 부분을 통상으로 감아서 형성된 상하 방향을 따르는 관통 구멍을 갖는 베어링부(43c)를 갖는다. 베어링부(43c)의 관통 구멍에 축 핀(42c)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프레임측 부재(42)와 도어측 부재(43)는, 축 핀(42c)을 회전축심으로서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프레임측 부재(42)는, 판 부분(42a)의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르고, 판 부분(43a)이 외측(우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상태이고, 뒤 지주(72)의 기체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측 부재(42)는, 뒤 지주(72)에 있어서의, 뒤 지주(72)와 경사 프레임(73)의 연결 부분의 상방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어측 부재(43)는, 판 부분(43b)의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르고, 베어링부(43c)가 외측(우측)에 위치하는 상태이고, 탑승 도어(40)의 후방측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어 프레임(40b)의 기체 외측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45)는, 도 11,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제1 판부(46)와 제2 판부(47)를 갖는다. 제1 판부(46)와 제2 판부(47)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5)는, 경사 프레임(73) 뒤에 있어서의, 뒤 지주(72)와 경사 프레임(73)의 연결 부분의 하방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 판부(47)는, 판 부분을 갖고, 그 판 부분의 면(제2 면의 일례)을 경사 프레임(73)에 있어서의 탑승구(40a)의 외주면(경사 프레임(73)의 후방측의 면)을 따르게 한 상태에서, 경사 프레임(73)에 볼트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토퍼(45)가 경사 프레임(73)에 고정된다. 즉 스토퍼(45)는, 경사 프레임(73)을 통해 프레임측 부재(42)가 고정되어 있는 뒤 지주(7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1 판부(46)는, 판 부분을 갖고, 그 판 부분의 면(제1 면의 일례)이 뒤 지주(72)의 기체 외측면을 따르는 상태가 되어 있다. 제1 판부(46)의 판 부분의 상단은 평면상으로 형성된 맞닿음면으로 되어 있고, 프레임측 부재(42)의 하단(저부)에 맞닿아(면 접촉)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측 부재(42)가 제1 판부(46)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고, 힌지(41) 및 탑승 도어(40)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된다. 프레임측 부재(42)를 맞닿음 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면, 힌지(41) 및 탑승 도어(40)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 가능하다. 이 위치 결정은, 밀봉부(40e)가 도어 프레임(40b)에 측면으로부터 맞닿게 조절한다.
도 14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유리(75)는, 캐빈(7)의 좌측면에 마련된 미서기의 가로 미닫이창이다. 사이드 유리(75)는, 직사각형의 창틀(75a), 창틀(75a)의 상하 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된 전후 방향을 따르는 좌우 한 쌍의 홈상의 레일(75b), 전후 한 쌍의 앞 유리(75f) 및 뒤 유리(75r), 앞 유리(75f) 및 뒤 유리(75r) 각각에 대응하는, 전후 한 쌍의 앞 밀봉재(75α) 및 뒤 밀봉재(75β)를 갖는다.
앞 유리(75f)는 내측(우측)의 레일(75b)을 따라 앞뒤로 미끄럼 이동한다. 뒤 유리(75r)는 외측(좌측)의 레일(75b)을 따라 앞뒤로 미끄럼 이동한다. 즉, 뒤 유리(75r)는 앞 유리(75f)보다도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사이드 유리(75)(앞 유리(75f) 및 뒤 유리(75r))의 폐쇄 상태는, 앞 유리(75f)가 창틀(75a)의 전단부에 맞닿아 있고, 뒤 유리(75r)는 창틀(75a)의 후단부에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폐쇄 상태의 위치에 있는 뒤 유리(75r)는, 폐쇄 상태의 위치에 있는 앞 유리(75f)보다도, 반송부(19a)(도 2 참조)에 가까운 위치에 있지만, 뒤 유리(75r)는 앞 유리(75f)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의 레일(75b)에 반송부(19a)로부터 비산하는 곡립 등의 진애가 퇴적되기 어려워진다.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 밀봉재(75α) 및 뒤 밀봉재(75β)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다. 앞 밀봉재(75α) 및 뒤 밀봉재(75β)는, 2매의 직사각형 판상의 탄성 부재의 일단부끼리가 접속된 것과 같은 단면 L자상이다.
앞 밀봉재(75α) 및 뒤 밀봉재(75β)는, L자의 일단부측에 있어서의 L자 형상의 내측면이 하방의 창틀(75a)의 외측(좌측) 측면에 접착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앞 밀봉재(75α) 및 뒤 밀봉재(75β)는, L자의 내측을 탄성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밀어서 개방한 상태에서, L자의 타단부측에 있어서의 L자 형상의 내측이 앞 유리(75f) 내지 뒤 유리(75r)에 정밀하게 눌러서 설치된다. 이에 의해, 레일(75b)이 앞 밀봉재(75α) 및 뒤 밀봉재(75β)로 덮이기 때문에, 레일(75b)에 곡립 등의 진애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캐빈(7)을 외부로부터 수세하는 경우에, 세정수의 운전실(S)로의 침입을 방지 가능해진다.
도 1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 밀봉재(75α)는, 창틀(75a)의 전단부에서,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의 뒤 유리(75r)의 전단부까지의 범위로 연장되어 있다. 뒤 밀봉재(75β)는, 창틀(75a)의 후단부에서,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의 뒤 유리(75r)의 전단부까지의 범위로 연장되어 있다. 앞 밀봉재(75α)는, 좌우 방향으로 보아 폐쇄 상태의 앞 유리(75f)와 중복된다. 뒤 밀봉재(75β)는, 좌우 방향으로 보아 폐쇄 상태의 뒤 유리(75r)와 중복된다. 사이드 유리(75)가 완전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는, 앞 밀봉재(75α) 및 뒤 밀봉재(75β)는, 각각 앞 유리(75f) 및 뒤 유리(75r)에 맞닿는다. 앞 밀봉재(75α)의 L자의 타단부측에 있어서의 후단부의 상방의 모퉁이부(75γ)는, 모따기되어 있다. 도 15에는, 모퉁이부(75γ)가 R 모따기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C 모따기 등이어도 된다. 이러한 모따기에 의해, 뒤 유리(75r)를 전방을 향해서 슬라이드시켜서 뒤 유리(75r)가 앞 밀봉재(75α)에 미끄럼 접촉할 때의 슬라이드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유리(76)는, 운전부(2)의 배면의 벽부(7c)에 마련한, 유리나 투명 아크릴 등으로 형성된 창이다. 후방 유리(76)는, 캐빈(7)의 우측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후방 유리(76)는, 운전 좌석(22)에 착좌한 탑승자는, 이 후방 유리(76)를 통해, 후술하는 프레클리너(34)를 눈으로 볼 수 있다. 후방 유리(76)는, 전후 방향으로 법선이 따르는 제1 유리면(76a)과, 제1 유리면(76a)과 창 모퉁이부(76r)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 법선이 따르는 제2 유리면(76b)을 갖는다. 후방 유리(76)는, 상하 방향으로 본 단면이 운전실(S)의 내측을 향해서 오목해지는 L자상이다. 후방 유리(76)의 L자의 굽힘 부분이 창 모퉁이부(76r)이다. 창 모퉁이부(76r)는, 굽힘 반경(L자 형상의 내측 반경)이 5mm 내지 15mm 정도의 작은 굽힘 반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 유리(76)는, 제1 유리면(76a) 및 제2 유리면(76b)으로서 넓은 평면 부분을 확보하고 있고, 시계가 비뚤어지는 굽힘 부분(창 모퉁이부(76r))은 작아지는 고안이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운전 좌석(22)에 착좌한 탑승자가 후방 유리(76)를 통해 프레클리너(34)를 눈으로 보는 경우에 작업자의 시계가 비뚤어지지 않아 쾌적하다.
도 4, 도 5, 도 1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실(C)은, 방진 필터(80)를 갖는 방진 케이스(8)로 기체 우측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방진 필터(80)는,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고, 또한,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다. 방진 필터(80)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망이나 펀칭 플레이트와 같은 다공질재를 사용한다. 방진 케이스(8)는, 그 프레임체(8a)에, 상방의 개구(8U)와 하방의 개구(8L)를 갖고 있다. 개구(8U) 및 개구(8L)는 방진 필터(80)와 좌우 방향으로 보아 중복되어 있다. 엔진 룸(C1)은 개구(8L)와 좌우 방향으로 보아 중복되고, 개구(8L)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콘덴서실(C2)은 개구(8U)와 좌우 방향으로 보아 중복하고, 개구(8U)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개구(8U)와 좌우 방향으로 보아 중복되는 방진 필터(80)를 제2 방진 필터부(80U)라고 칭하고, 개구(8L)와 좌우 방향으로 보아 중복되는 방진 필터(80)를 제1 방진 필터부(80L)라고 칭한다.
수용실(C)에는, 외기에 포함되는 짚 부스러기나 곡립 등의 진애 등을 제진하는 프레클리너(34)로 제진된 외기를 더욱 제진하여 엔진(3a)에 공급하는 에어 클리너(33), 운전실(S)의 에어컨 콘덴서(39), 콘덴서(39)의 제2 송풍기(38), 원동부(3) 등이 수용되어 있다. 이 중, 에어 클리너(33), 콘덴서(39), 제2 송풍기(38)는, 콘덴서실(C2)에 수용되어 있다. 원동부(3)는, 엔진 룸(C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프레클리너(34)는,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부(2)의 배면의 벽부(7c)의 후방측이고도 기체 우측 가로 외측, 즉 후방 유리(76)의 후방이며, 지붕(7a)의 하방이고도 수용실(C)의 상방을 덮는 벽부 상에 배치되어 있다.
원동부(3)는, 도 5, 도 1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룸(C1) 내에, 동력원이 되는 내연 기관인 엔진(3a), 엔진(3a)이나 엔진(3a)의 라디에이터(36)를 냉각하는 제1 송풍기(37) 등을 갖는다. 방진 케이스(8)에서 좌측을 향해서, 라디에이터(36), 라디에이터(36)로부터 제1 송풍기(37)에 공기를 유도하는 슈라우드(37a), 제1 송풍기(37), 엔진(3a)의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송풍기(37)는 전동 모터 등에 의해 구동되어서 회전한다. 제1 송풍기(37)는, 방진 필터(80)를 통해 외기를 흡인하여 엔진(3a)을 향해서 공기를 송풍하는(분출하는) 제1 동작 모드와, 방진 케이스(8)를 향해서 공기를 송풍하는(분출하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란, 콤바인(100)의 중앙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의 지시에 따라 모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동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전환함으로써, 제1 송풍기(37)를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콘덴서실(C2) 내에 있어서, 제2 송풍기(38)는, 제1 방진 필터부(80L)로부터 외기를 흡인하여 콘덴서(39)측으로 공기를 송풍함으로써(분출함으로써) 콘덴서(39)를 냉각한다. 콘덴서(39)는, 콘덴서실(C2)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송풍기(38)는, 에어 클리너(33)와 콘덴서(39)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송풍기(38)가 콘덴서(39)로 송풍한 공기는, 콘덴서(39)와 저류 탱크(15)(도 1 참조)의 사이의 공간에 배출된다. 제2 송풍기(38)는, 탑승자의 에어컨의 사용 상태에 따라 동작(회전)하고, 정지하지만, 제1 송풍기(37)가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는 회전 정지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실(C) 내의 엔진 보닛(31)에 있어서의 방진 케이스(8)측(기체 우측 가로 외측)에는, 엔진 룸(C1)과 콘덴서실(C2)을 연통하는 연락구(30)를 갖는 격벽(74)이 마련되어 있다. 격벽(74)은, 경사 프레임(73)과 콘덴서실(C2)의 세로 프레임(73b)의 사이에 가교된 횡프레임(73a)에 적재되어 있다.
연락구(30)는, 수용실(C) 내의 엔진 보닛(3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연락구(30)에는, 금속판 등의 프레임재로 보강된 금속망이나 펀칭 메탈 등의 필터재를 갖는 내부 필터(35)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내부 필터(35)는,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고, 또한,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만약 엔진 룸(C1)이 진애로 오염된 상태이고, 엔진 룸(C1)으로부터 콘덴서실(C2)에 유입하는 경우도, 공기는 내부 필터(35)로 여과되기 때문에, 엔진 룸(C1)의 진애에 의한 콘덴서실(C2)의 오염을 피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락구(30)는, 전후 한 쌍 마련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연락구(30)는 하나나 셋 이상이어도 된다.
수용실(C) 내의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송풍기(38)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제2 송풍기(38)에 의해 제2 방진 필터부(80U)를 통해 외기가 흡인된다.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송풍기(38)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는, 제1 방진 필터부(80L)를 통해 외기가 흡인됨과 함께, 연락구(30)의 내부 필터(35)를 통과한 제1 송풍기(37)의 흡인에 의해, 제2 방진 필터부(80U)를 통해 외기가 흡인된다. 따라서, 제1 동작 모드에서는, 제1 방진 필터부(80L) 및 제2 방진 필터부(80U)의 막힘은 진행된다.
한편 제2 동작 모드에서는, 제2 송풍기(38)가 정지하고, 또한, 제1 송풍기(37)가 방진 케이스(8)를 향해서 공기를 송풍하고 있다. 제1 송풍기(37)가 방진 케이스(8)를 향해서 송풍한 공기의 일부는, 엔진 룸(C1)에서 외부를 향해서 제1 방진 필터부(80L)를 통과하여 배기된다. 다른 일부는, 내부 필터(35)를 통과하여 여과되어서 콘덴서실(C2)로 흐르고, 또한 콘덴서실(C2)에서 외부를 향해서 제2 방진 필터부(80U)를 통과하여 배기된다. 이에 의해, 제2 동작 모드에서는, 제2 동작 모드에 대하여, 제1 방진 필터부(80L) 및 제2 방진 필터부(80U)에 공기가 역방향으로 흘러서 재생된다(소위 역류 세척).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제어부가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를 소정의 타이밍에 교대로 전환하고 있다. 당해 소정의 타이밍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1 동작 모드를 60초 할 때마다,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이것을 10초간 실행하고, 제1 동작 모드의 실행을 재개하여, 이하 반복하거나 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수용실로의 공기의 통류를 허용하고, 당해 공기에 포함되는 진애를 여과하는 방진 필터를 적절하게 재생할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재를 갖는 내부 필터(35)가 착탈 가능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내부 필터(35)가 착탈 가능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터재를 연락구(30)의 외주(엔진 보닛(31))에 고정하는 경우도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락구(30)에 필터재를 갖는 내부 필터(35)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내부 필터(35)를 장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동작 모드에서는, 제2 송풍기(38)가 정지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제2 송풍기(38)를 정지시키는 대신, 감속해도 된다. 이 경우의 제2 송풍기(38)의 감속의 정도는, 제2 방진 필터부(80U)에 공기가 역방향으로 흐르는 정도까지 원칙을 요한다.
(4)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룸(C1) 내의 공기가 연락구(30)를 통과하여 콘덴서실(C2) 내에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콘덴서실(C2) 내의 공기가 연락구(30)를 통과하여 엔진 룸(C1) 내에 유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지 밸브(30a)(역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역지 밸브(30a)는, 연락구(30)를 상방으로부터 막음과 함께 전후 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역지 밸브(30a)는, 도시하지 않은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폐쇄측으로 요동 가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1 송풍기(37)가 제1 방진 필터부(80L)를 향해서 송풍한 공기의 일부가 역지 밸브(30a)를 향해서 흐름으로써, 역지 밸브(30a)가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폐쇄 상태에서 개방측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역지 밸브(30a)가 개방함으로써, 제1 송풍기(37)가 제1 방진 필터부(80L)를 향해서 송풍한 공기의 일부가 연락구(30)를 통과하여 콘덴서실(C2) 내에 유입하게 된다. 한편, 콘덴서실(C2) 내의 공기가 역지 밸브(30a)를 향해서 흘러도, 역지 밸브(30a)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측으로 요동할 일은 없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제2 방진 필터부(80U)를 통과하여 콘덴서실(C2) 내에 유입한 공기(외기)이 연락구(30)를 통과하여 엔진 룸(C1) 내에 유입할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역지 기구」는, 역지 밸브(30a)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 「역지 기구」는, 엔진 룸(C1) 내의 공기가 연락구(30)를 통과하여 콘덴서실(C2) 내에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콘덴서실(C2) 내의 공기가 연락구(30)를 통과하여 엔진 룸(C1) 내에 유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역지 밸브(30a) 이외의 기구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다른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이하 동일)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개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콤바인, 수전 작업기, 트랙터 등의 작업기로서 이용할 수 있다.
2: 운전부
3a: 엔진
30: 연락구
30a: 역지 밸브(역지 기구)
35: 내부 필터
36: 라디에이터
37: 제1 송풍기
38: 제2 송풍기
39: 콘덴서(열 교환기)
80: 방진 필터
100: 콤바인(작업기)
C: 수용실
C1: 엔진 룸(제1 공간)
C2: 콘덴서실(제2 공간)

Claims (7)

  1. 운전부와,
    상기 운전부의 하방에 마련되는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을, 엔진이 수용되는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수용실을 기체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어, 공기의 통류를 허용하는 방진 필터와,
    상기 제1 공간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상기 방진 필터의 사이에 마련된 상기 엔진용의 라디에이터와,
    상기 제1 공간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상기 라디에이터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라디에이터를 향해서 송풍 가능한 제1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벽에 있어서의 기체 가로 외측 부분에,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하는 연락구를 마련해 있는,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공기의 통류를 허용하는 내부 필터를 갖고,
    상기 내부 필터는, 상기 연락구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작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에, 상기 라디에이터는 다른 열 교환기와, 상기 열 교환기를 위한 제2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송풍기는, 상기 방진 필터를 통해 흡인한 외기를, 상기 열 교환기를 향해서 송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기는, 상기 방진 필터를 통해 외기를 흡인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방진 필터를 향해서 송풍하는 제2 동작 모드로 모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송풍기는, 상기 제1 송풍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되어 있을 때 동작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연락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공간 내에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제2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연락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공간 내에 유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작업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연락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공간 내에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제2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연락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공간 내에 유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작업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연락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공간 내에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제2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연락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공간 내에 유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작업기.
KR1020190058220A 2018-05-22 2019-05-17 작업기 KR201901331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98179 2018-05-22
JPJP-P-2018-098179 2018-05-22
JP2018195258A JP7090526B2 (ja) 2018-05-22 2018-10-16 作業機
JPJP-P-2018-195258 2018-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105A true KR20190133105A (ko) 2019-12-02

Family

ID=6872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220A KR20190133105A (ko) 2018-05-22 2019-05-17 작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090526B2 (ko)
KR (1) KR201901331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8920A (ja) * 2019-11-06 2020-02-06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9596A (ja) 2013-07-16 2015-02-02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429A (ja) * 1995-08-08 1997-02-1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ラジエータ除塵装置
JP6032569B2 (ja) * 2014-06-26 2016-11-30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US20170096931A1 (en) 2015-10-06 2017-04-06 Cnh Industrial America Llc Agricultural harves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9596A (ja) 2013-07-16 2015-02-02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201627A (ja) 2019-11-28
JP7090526B2 (ja)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1848B2 (en) Rotatable cab with floor-mounted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KR20100053481A (ko) 건설 기계
KR100602965B1 (ko) 작업차
JP5681577B2 (ja) コンバイン
JP2007062573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16030559A (ja) 作業車両
KR20190133105A (ko) 작업기
WO2019017188A1 (ja) 作業機
JP2544232B2 (ja) 建設機械用空調装置
CN103097156B (zh) 施工机械用驾驶室及施工机械
JP2019202609A (ja) 作業機
JP6942084B2 (ja) コンバイン
CN110508067A (zh) 作业机
JP3648814B2 (ja) 作業車
JP3738680B2 (ja) 建設機械用空調装置の外気導入機構
JP6728030B2 (ja) コンバイン
US8376820B2 (en) Fender-accessible air filter
JP6804399B2 (ja) コンバイン
JP7267174B2 (ja) コンバイン
CN111918544B (zh) 联合收割机
CN109197120B (zh) 联合收割机
JP2019004815A (ja) コンバイン
JP7055060B2 (ja) コンバイン
JP6280464B2 (ja) 作業車両
WO2019181324A1 (ja) コンバ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