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598A - 인쇄경로에 존재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크기를 감지하는 방법 및 기구 - Google Patents

인쇄경로에 존재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크기를 감지하는 방법 및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598A
KR20190112598A KR1020180034769A KR20180034769A KR20190112598A KR 20190112598 A KR20190112598 A KR 20190112598A KR 1020180034769 A KR1020180034769 A KR 1020180034769A KR 20180034769 A KR20180034769 A KR 20180034769A KR 20190112598 A KR20190112598 A KR 20190112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medium
sensor
mode
print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희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80034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2598A/ko
Priority to US17/040,918 priority patent/US12013656B2/en
Priority to PCT/US2019/023658 priority patent/WO2019190926A1/en
Priority to EP19777720.4A priority patent/EP3746847B1/en
Publication of KR2019011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6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completion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absence of articles, e.g. exhaustion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1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29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e.g. weight, thickn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40Identification
    • B65H2511/414Identification of mode of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10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60Details of intermediate means between the sensing means and the element to be sensed
    • B65H2553/61Mechanical means, e.g. contact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65H2553/82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with regard to the direction of transport of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10Ensuring correct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20Avoiding or preventing undesirable effects
    • B65H2601/27Other problems
    • B65H2601/271Ove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 G03G2215/00447Plural types handl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9Effect of changed recording medium size, e.g. originating from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11Detector details, e.g. optical detector
    • G03G2215/00628Mechanical detector or swi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1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5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resence in input t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9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amount in input t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34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siz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46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veloc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886Sorting or discharging
    • G03G2215/00911Detection of copy amount or presence in discharge t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919Special copy medium handling apparatus
    • G03G2215/00949Copy material feeding speed switched according to current mode of the apparatus, e.g. colour mo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45Variable fixing 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를 검지하는 적재 여부 검지 센서와, 배지부의 적재 용량 초과를 검지하는 초과 적재 검지 센서와, 적재 여부 검지 센서와 초과 적재 검지 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인쇄매체의 크기를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의 크기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인쇄모드를 적용하여 인쇄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경로에 존재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크기를 감지하는 방법 및 기구{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켜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정착기는 서로 맞물려 정착닙을 형성하는 가열부재와 가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인쇄매체는 정착닙을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을 받는다. 이에 의하여,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에 정착된다. 가열부재의 폭은 사용가능한 최대 크기의 인쇄매체의 폭에 대응된다. 인쇄과정에서 가열부재의 폭 전체가 가열된다.
폭이 좁은 인쇄매체가 정착닙을 통과하는 경우, 인쇄매체가 통과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가열부재의 열이 인쇄매체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인쇄매체가 통과되는 영역에 비하여 온도가 높을 수 있다. 폭이 좁은 인쇄매체의 연속 인쇄 시에는 인쇄매체가 통과되는 영역의 온도가 인쇄매체가 통과되는 영역에 비하여 더욱 높을 수 있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급지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센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제2센서의 배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어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보면,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급지부(100)와,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배지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인쇄경로(400)는 급지부(100)와 배지부(300)를 연결한다. 인쇄경로(400) 중에 화상형성부(200)가 배치된다.
급지부(100)에 적재된 인쇄매체(P)는 한 장씩 인출되어 인쇄경로(400)를 따라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지부(100)는 급지 카세트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급지부(100)의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급지부(100)는 예를 들어, 다목적 급지 트레이의 형태일 수도 있다.
도 2는 급지부(1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매체(P)는 급지부(100)에 중앙 정렬 방식으로 적재될 수 있다. 급지부(100)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는 인쇄매체(P)가 급지부(100)에 중앙 정렬 방식으로 적재되도록 인쇄매체(P)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안내한다. 인쇄매체(P)의 폭에 대응하여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는 서로에 대하여 접근/이격가능하다.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는 동기되어 서로에 대하여 접근/이격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폭이 큰 인쇄매체(P1)를 적재하기 위하여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는 도 2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될 수 있으며, 폭이 좁은 인쇄매체(P2)을 적재하기 위하여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는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될 수 있다.
화상형성부(200)는 인쇄경로(400)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에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화상형성부(200)는 현상기(210), 노광기(220), 전사롤러(230), 및 정착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기(210)는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21)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감광드럼(21)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22)는 감광드럼(2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노광기(22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21)에 조사하여 감광드럼(2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220)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노광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현상롤러(23)는 현상기(210)에 수용된 현상제, 예를 들어 토너를 감광드럼(21)으로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현상롤러(23)에는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일성분 현상방식이 채용되는 경우 현상기(210)에는 토너가 수용될 수 있다. 이성분 현상방식이 채용되는 경우 현상기(210)에는 토너 또는 토너와 캐리어가 수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현상기(210)는 현상기(210)에 수용된 현상제를 현상롤러(23)로 공급하는 공급롤러, 현상롤러(2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부재, 현상기(210)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교반부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사롤러(230)는 감광드럼(21)으로부터 인쇄매체(P)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230)에는 인쇄매체(P)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롤러(230)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인쇄매체(P)는 픽업롤러(11)에 의하여 급지부(100)로부터 한 장씩 픽업되고, 이송 롤러(12)(13)에 의하여 감광드럼(21)과 전사롤러(230)가 대면된 영역으로 이송된다.
정착기(240)는 인쇄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240)를 통과한 인쇄매체(P)는 배출롤러(19)에 의하여 배지부(300)로 배출되어 적재된다.
클리닝 블레이드(24)는 전사과정 후에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의 일 예이다. 클리닝 블레이드(24) 대신에 회전되는 브러쉬 등의 다른 형태의 클리닝 장치가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노광기(220)는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21)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23)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급지부(100)에 적재된 인쇄매체(P)는 픽업롤러(11)와 이송롤러(12)(13)에 의하여 감광드럼(21)과 전사롤러(230)가 대면된 영역으로 이송되며, 토너화상은 전사롤러(230)에 인가되는 전사바어스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21)으로부터 인쇄매체(P) 상으로 전사된다. 인쇄매체(P)가 정착기(24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인쇄매체(P)에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P)는 배출롤러(19)에 의하여 배출되어 배지부(300)에 적재된다.
정착기(240)는 서로 맞물려 인쇄매체(P)가 통과되는 정착닙을 형성하는 가열 부재(241)와 가압부재(24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열부재(241)는 열원(243)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가열부재(241)는 예를 들어 금속 롤러, 무단 벨트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열원(243)은 예를 들어 할로겐 램프, 세리믹 히터 등일 수 있다. 가열부재(241)의 폭은 인쇄매체(P)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인쇄매체(P)가 정착닙을 통과하는 동안에 가열부재(241)의 열이 인쇄매체(P)와 토너화상으로 전달된다. 인쇄가 수행되는 동안에 가열부재(241)의 폭 전체가 가열된다. 폭이 좁은 인쇄매체(P2)가 정착닙을 통과하는 경우, 가열부재(241)의 표면은 폭방향으로 인쇄매체(P2)와 접촉되는 접촉영역과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 영역으로 구분된다. 비접촉 영역에서는 가열부재(241)의 열이 인쇄매체(P2)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접촉 영역에 비하여 온도가 높을 수 있다. 폭이 좁은 인쇄매체(P2)를 이용하여 여러 장을 연속 인쇄하면 비접촉 영역의 온도가 접촉 영역에 비하여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열부재(241)의 온도 상승은 정착기(240)의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열이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다른 부재들로 전달되어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의 수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의 폭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인쇄 모드, 예를 들어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화상을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의 급지 상태에 따라서,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모드는 정상 인쇄모드로서, 급지부(100)에 적재될 수 있는 최대의 크기를 가진 인쇄매체(P1)에 대하여 적용된다. 제2모드는 저속 인쇄모드로서, 폭이 인쇄매체(P1)보다 좁은 인쇄매체(P2)에 대하여 적용된다. 예를 들어, 인쇄매체(P1)는 A4, LTR 용지일 일 수 있으며, 인쇄매체(P2)는 A5 또는 B5 용지일 수 있다. 폭이 좁은 인쇄매체(P2)가 사용될 때에는 인쇄 속도를 작게 함으로써, 비접촉 영역의 냉각 시간을 확보하여 비접촉 영역의 과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500)는, 제1모드에서는 제1프로세스 속도로 화상을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하고, 제2모드에서는 제1프로세스 속도보다 낮은 제2프로세스 속도로 화상을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스 속도는 화상형성부(200)에서 화상을 형성하는 속도로서, 감광드럼(21)의 선속도 또는 인쇄매체(P)의 이송 속도를 의미한다.
일 예로서, 제어부(500)는 연속 인쇄시에 선행 인쇄와 다음 인쇄 사이의 간격을 제1모드에서는 제1간격으로 설정하고, 제2모드에서는 제1간격보다 큰 제2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프로세스 속도와 제2프로세스 속도는 동일할 수 있으며, 제2프로세스 속도가 제1프로세스 속도보다 작을 수도 있다.
제1모드와 제2모드를 구분하기 위하여, 인쇄매체(P)의 폭을 검지할 필요가 있다. 제어부(500)는 화상형성과정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는 두 개의 센서(제1센서와 제2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폭을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P)의 폭에 따라서 제1모드와, 제1모드보다 인쇄 속도가 느린 제2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화상형성과정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는 두 개의 센서(제1센서와 제2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급지 상태를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P)의 급지 상태에 따라서,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센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는 인쇄매체(P)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액추에이터(551)와, 액추에이터(551)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센싱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552)는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포토 인터럽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매체(P)가 감지되지 않을 때에 액추에이터(551)는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되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수광부에 의하여 수광되며, 센싱부(552)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 인쇄매체(P)가 액추에이터(551)를 밀어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동시키면, 액추에이터(551)는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되고,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액추에이터(551)에 의하여 차단되어 광이 수광부에서 검지되지 않으며, 센싱부(552)는 온(ON) 상태가 된다. 센싱부(552)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적 수단에 의하여 제어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센서에 의하여 인쇄매체(P)가 검지된 경우 센서의 검지 신호를 "온 상태"라 하고, 인쇄매체(P)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 센서의 검지 신호를 "오프 상태"라 한다.
도 4는 제1, 제2센서의 배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모드가 적용되는 제1인쇄매체(P1)와 제2모드가 적용되는 제2인쇄매체(P2)가 도시되어 있다. 제2인쇄매체(P2)는 제1인쇄매체(P1)보다 폭이 좁다. 제2인쇄매체(P2)는 제2모드가 적용되는 최대 폭을 갖는 인쇄매체이다.
중앙 정렬된 제1인쇄매체(P1)는 폭방향으로 일단부(P1-1)와 타단부(P1-2)를 구비한다. 중앙 정렬된 제2인쇄매체(P2C)는 폭방향으로 일단부(P2C-1)와 타단부(P2C-2)를 구비한다. 제1센서(561)는 중앙 정렬된 제1인쇄매체(P1)의 일단부(P1-1)와 중앙 정렬된 제2인쇄매체(P2C)의 일단부(P2C-1) 사이의 영역(S1)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센서(561)의 액추에이터(551)가 영역(S1)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가 적절하게 조절된 경우, 제2인쇄매체(P2) 도 4에 참조부호 P2C로 표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정렬 방식으로 급지부(100)에 적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센서(561) 만으로도 제1인쇄매체(P1)와 제2인쇄매체(P2)가 구별되어 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1인쇄매체(P1)가 검지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즉 제1센서(561)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 신호만 입력되면 제2인쇄매체(P2)가 검지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쇄매체(P)가 정상적인 급지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로부터 입력되는 검지 신호에 따라서 인쇄매체(P)의 폭과 인쇄매체(P)의 급지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인쇄매체(P)는 비정상적인 급지 상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가 도 2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인쇄매체(P2)가 급지부(100)에 적재될 수도 있다. 그러면, 제2인쇄매체(P)는 도 4에 P2R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인쇄매체(P1)의 일단부(P1-1)에 측부 정렬되거나 도 4에 P2L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인쇄매체(P1)의 타단부(P1-2)에 측부 정렬될 수 있다. 제2인쇄매체(P2)가 P2L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인쇄매체(P1)의 타단부(P1-2)에 측부 정렬된 경우에 제1센서(561)는 오프가 되므로,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의 검지 신호에 기반하여 제1인쇄매체(P1)와 제2인쇄매체(P2)를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인쇄매체(P)가 P2R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인쇄매체(P1)의 일단부(P1-1)에 측부 정렬된 경우에는 제1센서(561)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므로,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의 검지 신호에 기반하여 제1인쇄매체(P1)와 제2인쇄매체(P2)를 구별하여 검지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센서(562)가 추가적으로 채용된다. 제2센서(562)는 중앙 정렬된 제1인쇄매체(P1)의 일단부(P1-1) 쪽으로 측부 정렬된 제2인쇄매체(P2)(도 4에 P2R로 표시)의 타단부(P2R-2)와 중앙 정렬된 제2인쇄매체(P2)(도 4에 P2C로 표시)의 타단부(P2C-2) 사이의 영역(S2)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센서(562)의 액추에이터(551)가 영역(S2)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센서(562)가 영역(S2)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화상형성과정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는 후술하는 다수의 센서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제2센서(562)로서 활용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와 제2센서(562)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제1인쇄매체(P1)와 제2인쇄매체(P2)가 중앙 정렬 방식으로 정상적인 급지 상태로 급지부(100)에 적재된 경우는 물론 제2인쇄매체(P2)가 측부 정렬 방식으로 잘못 적재된 경우에도 제1인쇄매체(P1)와 제2인쇄매체(P2)를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의 폭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를 적용하여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의 급지 상태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표 1은 인쇄매체(P)의 종류, 제1센서(561)와 제2센서(562)의 검지 신호의 조합, 인쇄모드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인쇄매체/급지 상태 제1센서 제2센서 인쇄 모드
제1인쇄매체(P1) 제1모드
제2인쇄매체(P2)/P2C 오프 제2모드
제2인쇄매체(P2)/P2R 오프 인쇄에러
제2인쇄매체(P2)/P2L 오프 제2모드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와 제2센서(562) 모두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다시 말하면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제2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고 제2센서(562)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다시 말하면 제2센서(562)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급지 에러 상태로 인식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인쇄매체(P)의 적재 상태, 인쇄매체(P)의 이송 상태 등을 확인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인쇄 및 이로 인한 정착기(24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제어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중앙처리장치(CPU)(501)와 메모리(502)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501)에는 제1, 제2모드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2제어인자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 제2센서(561)(562)의 검지 신호의 조합으로부터 제1, 제2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고, 메모리(502)로부터 제1, 제2제어인자 중 해당되는 제어인자를 읽어내어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모드에 따라서 프로세서 속도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인자는 화상형성부(200)의 회전 부재들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201)의 구동 속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모드에 따라서 인쇄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는 경우, 제어인자는 예를 들어 픽업 롤러(11)의 구동을 단속하는 클러치(202)의 작동 간격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경로(400)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를 검지하는 다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매체(P)의 폭을를 검지하는 별도의 센서가 채용되지 않는다. 제어부(500)는 다수의 센서 중에서 두 개의 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폭을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P)의 폭에 따라서 제1모드와, 제1모드보다 인쇄 속도가 느린 제2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다수의 센서 중에서 두 개의 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급지 상태를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P)의 급지 상태에 따라서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인쇄매체(P)의 폭과 급지 상태를 검지하는 별도의 센서 및 이 센서의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하는 전기 배선 등이 생략될 수 있어 부품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캄팩트한 화상형성장치의 구현에도 유리하다.
예를 들어, 다수의 센서는 급지부(100)에의 인쇄매체(P)의 적재 여부를 검지하는 적재 여부 검지 센서(paper empty sensor)(510), 화상형성부(200)로 공급되는 인쇄매체(P)의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정렬 센서(registration sensor)(520), 정착기(240)의 출구에 설치되어 정착기(240)에서의 잼을 검지하는 배지 잼 센서(530), 배지부(300)에 설치되어 배지부(300)의 적재 용량 초과를 검지하는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510, 520, 530, 540)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적재 여부 검지 센서(paper empty sensor)(510)는 급지부(100)에 인쇄매체(P)가 적재되지 않은 때에 도 3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되며, 검지 신호는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정렬 센서(520)는 이송롤러(13)의 입구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정렬센서(520)에 의하여 인쇄매체(P)가 검지되면,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의 선단이 정렬센서(520)를 통과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기준 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의 선단이 감광드럼(21)과 전사롤러(230)가 대면된 전사닙에 도달되는 시점에 맞추어 감광드럼(2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의 선단이 전사닙에 도달되도록 노광기(220)의 노광 개시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배지 잼 센서(530)는 인쇄매체(P)가 통과될 때에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상태가 된다. 제어부(500)는 배지 잼 센서(530)가 온 상태가 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배지 잼 센서(530)가 오프 상태가 되지 않으면, 정착기(240)에서 잼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는 배지부(300)로 배출되는 인쇄매체(P)에 의하여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온 상태가 되며, 배지가 완료된 후에는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오프 상태가 된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가 오프 상태로 복귀되지 않고 온 상태로 유지되면, 제어부(500)는 배지부(300)에 적재된 인쇄매체(P)의 양이 적재 용량을 초과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1센서(561)는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일 수 있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는 폭방향으로 도 4의 영역(S1)에서 배출되는 인쇄매체(P)를 검지하도록 배치된다.
제2센서(562)는 급지부(100)와, 급지부(100)와 배지부(300) 사이의 인쇄경로(400)에 설치되어 인쇄매체(P)를 검지하는 센서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1에는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 정렬센서(520), 배지 잼 센서(530)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픽업롤러(11)와 이송롤러(13) 사이에 추가적인 센서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센서(562)로서,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 정렬센서(520), 배지 잼 센서(530)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된다.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 정렬센서(520), 배지 잼 센서(530) 중 어느 하나는 폭방향으로 도 4의 영역(S2)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도록 배치된다. 제2센서(562)가 영역(S2)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다수의 센서, 예를 들어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 정렬센서(520), 배지 잼 센서(530)가 제2센서(562)로서 활용될 수 있다.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 정렬센서(520), 배지 잼 센서(530)를 영역(S2)에 배치함으로써, 이들 센서의 본연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인쇄매체(P)의 폭과 급지 상태를 검지하는 제2센서(562)로서의 기능도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센서(562)로서의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 정렬센서(520), 배지 잼 센서(530) 중 어느 하나와, 제1센서(561)로서의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따라서 화상형성부(200)를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인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전술한 검지 신호의 조합에 따라서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폭을 검지하는 별도의 센서를 채용하지 않고도, 제어부(500)는 제1인쇄매체(P1)와, 도 4에 P2C, P2L, P2R로 표시된 제2인쇄매체(P2)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제1인쇄매체(P1)에 대하여는 제1모드로, 제2인쇄매체(P2)에 대하여는 제2모드로 화상을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급지되는 경우,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1인쇄매체(P1)와, P2C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만 화상이 성공적으로 인쇄되며, P2L, P2R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는 화상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는다. 즉, P2L, P2R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는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의 일부만이 인쇄된다. 사용자와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가 네트워크 프린터인 경우, 사용자가 급지부(100)에의 인쇄매체(P)의 적재 상태를 알 수 없다. 그러나 급지부(100)에 적절히 적재된 P2C 상태의 제2인쇄매체(P2)뿐 아니라 부적절하게 적재된 P2L, P2R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 대하여도 제2모드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히 제2인쇄매체(P2)에 대한 여러 장의 연속 인쇄시에 정착기(240)의 과열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급지되는 경우,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불필요한 인쇄 및 이로 인한 정착기(24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화상형성과정에서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의 검지 신호가 오프 상태라면, 급지부(100)에 인쇄매체(P)가 적재되어 있지 않거나, 급지부(100)에 적재된 인쇄매체(P)가 모두 사용되었거나,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적재된 경우에 해당된다. 위의 어느 경우에도 정상적인 인쇄가 될 수 없으므로, 제어부(500)는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인쇄매체(P)의 적재 상태를 확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P2R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는 화상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인쇄가 방지될 수 있다. 인쇄 에러 신호는 출력 장치(도 5: 503)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출력 장치(503)는 예를 들어 버저, 디스플레이, 등화, 사용자의 호스트 장치 등일 수 있다.
화상형성과정에서 정렬 센서(520)의 검지 신호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하지 않으면, 급지부(100)로부터 정렬 센서(520)까지의 인쇄 경로(400)에서 이송 불량이 발생되었거나,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적재된 경우에 해당된다. 제2센서(562)로서 정렬 센서(520)가 채용되는 경우, 정렬 센서(520)의 검지 신호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하지 않으면,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가 배지부(300)에 도달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화상형성장치를 구동하고, 구동 시간 동안에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급지부(100)에 적재된 경우에 해당된다. 물론, P2R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는 화상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으므로, 제어부(500)는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이송 불량이 발생된 상태이므로, 제어부(500)는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인쇄 에러 신호는 출력 장치(도 5: 503)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출력 장치(503)는 예를 들어 버저, 디스플레이, 등화, 사용자의 호스트 장치 등일 수 있다.
화상형성과정에서 배지 잼 센서(530)의 검지 신호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하지 않으면, 급지부(100)로부터 정착기(240)까지의 인쇄 경로(400)에서 이송 불량이 발생되었거나,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적재된 경우에 해당된다. 제2센서(562)로서 배지 잼 센서(530)가 채용되는 경우, 배지 잼 센서(530)의 검지 신호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하지 않으면,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가 배지부(300)에 도달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화상형성장치를 구동하고, 구동 시간 동안에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있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적재된 경우에 해당된다. 물론, P2R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는 화상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으므로, 제어부(500)는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이송 불량이 발생된 상태이므로, 제어부(500)는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인쇄 에러 신호는 출력 장치(도 5: 503)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출력 장치(503)는 예를 들어 버저, 디스플레이, 등화, 사용자의 호스트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중앙 정렬 방식의 급지부;
    상기 급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인쇄매체에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부;
    화상이 인쇄된 인쇄매체가 배출되어 적재되는 배지부;
    상기 급지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를 검지하는 적재 여부 검지 센서;
    상기 배지부의 적재 용량 초과를 검지하는 초과 적재 검지 센서;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와 상기 초과 적재 검지 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인쇄매체의 크기를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의 크기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인쇄모드를 적용하여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모드는 제1모드와, 상기 제1모드보다 인쇄속도가 느린 제2모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는 상기 제1모드가 적용되는 제1인쇄매체와, 상기 제1인쇄매체보다 폭이 좁고 상기 제2모드가 적용되는 최대 폭의 제2인쇄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초과 적재 검지 센서는 중앙 정렬된 상기 제1인쇄매체의 일단부와 중앙 정렬된 상기 제2인쇄매체의 일단부 사이에서 인쇄매체를 검지하며,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는 상기 제1인쇄매체의 상기 일단부 쪽으로 측부 정렬된 상기 제2인쇄매체의 타단부와 중앙 정렬된 상기 제2인쇄매체의 타단부 사이에서 인쇄매체를 검지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와 상기 초과 적재 검지 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급지 상태를 검지하고, 검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급지 상태에 따라서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에러신호를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과 적재 검지 센서와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 모두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과 적재 검지 센서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드에서 제1프로세스 속도로 화상을 인쇄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제1프로세스 속도보다 낮은 제2프로세스 속도로 화상을 인쇄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속 인쇄시에 인쇄 사이의 간격을 제1모드에서는 제1간격으로 설정하고, 제2모드에서는 제1간격보다 큰 제2간격으로 설정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급지부;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부;
    화상이 인쇄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배지부;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배지부까지의 인쇄 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매체를 검지하는 다수의 센서;
    상기 다수의 센서 중 두 개의 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폭을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의 폭에 따라서 제1모드와 상기 제1모드보다 속도가 느린 제2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매체는 상기 제1모드가 적용되는 제1인쇄매체와, 상기 제1인쇄매체보다 폭이 좁고 상기 제2모드가 적용되는 최대 폭의 제2인쇄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센서는,
    중앙 정렬된 상기 제1인쇄매체의 일단부와 중앙 정렬된 상기 제2인쇄매체의 일단부 사이에서 인쇄매체를 검지하는 제1센서;
    상기 제1인쇄매체의 상기 일단부 쪽으로 측부 정렬된 상기 제2인쇄매체의 타단부와 중앙 정렬된 상기 제2인쇄매체의 타단부 사이에서 인쇄매체를 검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 모두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상기 배지부의 적재 용량 초과를 검지하는 초과 적재 검지 센서이며,
    상기 제2센서는, 상기 급지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를 검지하는 적재 여부 검지 센서와, 상기 화상형성부로 공급되는 인쇄매체의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정렬 센서와, 정착기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정착기에서의 잼을 검지하는 배지 잼 센서 중 어느 하나인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이며,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정렬 센서와 상기 배지 잼 센서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센서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1센서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출력장치를 통하여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80034769A 2018-03-26 2018-03-26 인쇄경로에 존재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크기를 감지하는 방법 및 기구 KR20190112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769A KR20190112598A (ko) 2018-03-26 2018-03-26 인쇄경로에 존재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크기를 감지하는 방법 및 기구
US17/040,918 US12013656B2 (en) 2018-03-26 2019-03-22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PCT/US2019/023658 WO2019190926A1 (en) 2018-03-26 2019-03-22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EP19777720.4A EP3746847B1 (en) 2018-03-26 2019-03-22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769A KR20190112598A (ko) 2018-03-26 2018-03-26 인쇄경로에 존재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크기를 감지하는 방법 및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598A true KR20190112598A (ko) 2019-10-07

Family

ID=6805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769A KR20190112598A (ko) 2018-03-26 2018-03-26 인쇄경로에 존재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크기를 감지하는 방법 및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2013656B2 (ko)
EP (1) EP3746847B1 (ko)
KR (1) KR20190112598A (ko)
WO (1) WO2019190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8482B2 (ja) * 2019-05-24 2023-05-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265A (ja) 1991-10-15 1993-04-27 Fuji Xerox Co Ltd 用紙サイズ検出装置
JP3130718B2 (ja) 1993-11-04 2001-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471429B1 (en) * 1999-01-29 2002-10-2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process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sheets in a bundle
JP2001002279A (ja) 1999-06-18 2001-01-09 Canon Inc 画像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072304A (ja) 1999-09-01 2001-03-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6722646B2 (en) 2002-02-19 2004-04-20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tr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807383B2 (en) 2002-07-31 2004-10-19 Riso Kagaku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for form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263402A (ja) 2004-03-18 2005-09-29 Fuji Xerox Co Ltd 記録シート検知装置並びにその検知装置を用いた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81173B2 (ja) * 2005-06-29 2011-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サイズ検知装置
JP5153285B2 (ja) 2006-10-18 2013-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064773A (ja) 2009-09-15 2011-03-31 Brother Industries Ltd 画像形成装置
KR101725093B1 (ko) 2009-12-24 2017-04-1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6040714B2 (ja) * 2012-11-06 2016-12-07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搬送装置、自動原稿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316973B2 (en) * 2013-06-13 2016-04-19 Lexmark International, Inc. Heat transfer system for a fuser assembly
US9274463B2 (en) * 2013-06-13 2016-03-01 Lexmark International, Inc. Heat transfer system for a fuser assembly
JP6292873B2 (ja) * 2013-12-27 2018-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341443B2 (ja) * 2014-02-25 2018-06-13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載置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6305166B2 (ja) * 2014-03-31 2018-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2017122768A (ja) * 2016-01-05 2017-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70750B2 (ja) * 2019-07-11 202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475865B2 (ja) * 2020-01-08 2024-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34005A1 (en) 2021-02-04
WO2019190926A1 (en) 2019-10-03
EP3746847A1 (en) 2020-12-09
US12013656B2 (en) 2024-06-18
EP3746847B1 (en) 2024-01-03
EP3746847A4 (en)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9708B2 (en) Paper detection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US9977385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725093B1 (ko) 화상형성장치
US672849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heating member to heat the recording medium
JP2014032236A (ja) 画像形成装置
KR0153417B1 (ko)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수동급지 용지폭 검출장치
JP3800118B2 (ja) 熱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00244353A1 (en) 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3746847B1 (en)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US87250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condition of toner
US10474072B2 (en) Fix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96243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2251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31887A (ja) 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
JP3501735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70201890A1 (en) Fusing system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7380232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5024667A (ja) 画像形成装置
JP5074778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2010012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20633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00557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7275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41560A (ja) 熱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916181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