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567A -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 Google Patents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567A
KR20190091567A KR1020197022179A KR20197022179A KR20190091567A KR 20190091567 A KR20190091567 A KR 20190091567A KR 1020197022179 A KR1020197022179 A KR 1020197022179A KR 20197022179 A KR20197022179 A KR 20197022179A KR 20190091567 A KR20190091567 A KR 20190091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al endothelial
endothelial cells
culture
corneal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코 고이즈미
시게루 기노시타
모리오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센주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시게루 기노시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주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시게루 기노시타 filed Critical 센주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1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0407A/ko
Publication of KR20190091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two nitrogen atoms, e.g. dilaze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0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4, e.g. isoniazid, iproniaz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18Cells of the nervous system
    • C12N5/0621Eye cells, e.g. cornea, iris pigmented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70Enzymes

Abstract

각막 내피 세포를 효율적으로 증식시킬 수 있는 수단 및 각막 내피 제제의 안정적 공급 수단의 제공.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촉진제,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각막 내피 세포의 배양액,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각막 보존액, 상기 배양액을 이용하여 각막 내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내피 제제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AGENT FOR PROMOTING CORNEAL ENDOTHELIAL CELL ADHESION}
본 발명은,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에 관한 것으로,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유지 또는 보존을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다.
시각 정보는, 안구의 가장 앞쪽면의 투명한 조직인 각막으로부터 도입된 빛이, 망막에 도달하여 망막의 신경 세포를 흥분시키고, 발생한 전기 신호가 시신경을 경유하여 대뇌의 시각야(視覺野)에 전달됨으로써 인식된다. 양호한 시력을 얻기 위해서는, 각막이 투명한 것이 필요하다. 각막의 투명성은, 각막 내피 세포의 펌프 기능과 배리어 기능에 의해, 함수율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유지된다.
인간의 각막 내피 세포는, 출생 시에는 1 평방 밀리미터당 약 3000개의 밀도로 존재하고 있으나, 한번 장해를 입으면 재생할 능력을 갖지 않는다. 각막 내피 변성증이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각막 내피의 기능 부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포성 각막증에서는, 각막이 부종과 혼탁을 일으켜, 현저한 시력 저하를 초래한다. 현재, 수포성 각막증에 대해서는, 각막의 상피, 실질 및 내피의 3층 구조 모두를 이식하는 전층 각막 이식술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의 각막 제공은 부족하며, 각막 이식의 대기 환자 약 5500명에 대해, 연간에 국내에서 행해지고 있는 각막 이식 건수는 2700건 정도이다.
최근, 거부 반응이나 수술 후 합병증의 위험을 경감하고, 보다 좋은 시기능을 얻을 목적으로, 장애를 입은 조직만을 이식하는 「파트 이식」에 대한 생각이 주목받고 있다. 각막 이식 중에서도, 각막 상피만을 이식하는 상피 이식술, 구강 점막을 각막 상피 대신에 이식하는 배양 구강 점막 상피 이식술, 실질 조직의 이식인 심층 표층 각막 이식술 등이 행해지게 되었다. 각막 내피만을 이식하는 방법도 검토되고 있다. 각막 내피의 이식용으로서, 콜라겐층 상에 배양된 각막 내피층으로 이루어지는 각막 내피 모양 시트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및 2를 참조). 그러나, 각막 내피 세포, 특히 인간 유래의 각막 내피 세포는, 각막의 제공자가 한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시험관 내에서의 배양이 어렵고, 이식에 필요한 수의 배양 세포를 얻기 위해서는 시간과 비용을 요하는 것이었다.
인간 배아 줄기(ES) 세포는, 높은 자기 복제능과 다분화능을 겸비하여, 의학 응용의 관점에서 주목받고 있으나, 배양 과정에서 세포를 분산하는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세포사를 일으키기 때문에, 세포수가 현저하게 감소된다는 실용면에서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최근, 인간 ES 세포를 배양했을 때에 일어나는 세포사는 Rho 키나아제(ROCK)의 활성화에 의해 야기되고 있는 것, 및 ROCK의 저해에 의해 세포사가 크게 억제되는 것이 발견되어, ROCK 저해제인 Y-27632 등을 이용한 인간 ES 세포의 대량 배양이나 대뇌 세포의 생성이 가능해지는 것이 보고되었다(비특허 문헌 1).
Rho 키나아제(ROCK) 저해제는, 여러 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3에는,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각막 신경 돌기 형성을 촉진하는 것, 및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각막 지각 회복제로서 이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는,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망막 신경절 세포의 축색 신전 촉진 작용을 갖는 것, 및 시각 기능 장애의 치료에 이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85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29869호 공보 특허 문헌 3: WO2005/118582호 팜플렛 특허 문헌 4: WO2002/083175호 팜플렛
비특허 문헌 1: Nat Biotechnol. 2007, 25, 681
본 발명의 목적은, 각막 내피 세포를 효율적으로 접착 가능한 수단 및 각막 내피 제제의 안정적 공급 수단의 제공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Rho 키나아제 저해제의 존재하에 각막 내피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그 세포의 배양 기재(基材)에의 접착이 비약적으로 촉진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원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1〕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촉진제.
〔2〕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에 기재된 촉진제.
〔3〕각막 내피 세포가 인간 유래인 상기 〔1〕에 기재된 촉진제.
〔4〕각막 내피 장해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촉진제.
〔5〕전방(前房)내 주사액 또는 안 관류액(眼灌流液)의 형태인 상기 〔4〕에 기재된 촉진제.
〔6〕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각막 내피 세포의 배양액.
〔7〕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6〕에 기재된 배양액.
〔8〕각막 내피 세포가 인간 유래인 상기 〔6〕에 기재된 배양액.
〔9〕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각막 보존액.
〔10〕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9〕에 기재된 보존액.
〔11〕각막이 인간 유래인 상기 〔9〕에 기재된 보존액.
〔12〕상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각막 내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내피 제제의 제조 방법.
〔13〕각막 내피 세포가 인간 유래인 상기 〔12〕에 기재된 제조 방법.
〔14〕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촉진제를 제조하기 위한, Rho 키나아제 저해제의 용도.
〔15〕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4〕에 기재된 용도.
〔16〕각막 내피 세포가 인간 유래인 상기 〔14〕에 기재된 용도.
〔17〕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촉진제가 각막 내피 장해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인 상기 〔14〕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용도.
〔18〕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촉진제가 전방내 주사액 또는 안 관류액의 형태인 상기 〔17〕에 기재된 용도.
〔19〕각막 내피 세포의 배양액을 제조하기 위한, Rho 키나아제 저해제의 용도.
〔20〕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9〕에 기재된 용도.
〔21〕각막 내피 세포가 인간 유래인 상기 〔19〕에 기재된 용도.
〔22〕각막 보존액을 제조하기 위한, Rho 키나아제 저해제의 용도.
〔23〕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22〕에 기재된 용도.
〔24〕각막이 인간 유래인 상기 〔22〕에 기재된 용도.
〔25〕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의 촉진을 필요로 하는 대상 또는 각막 내피 세포에, Rho 키나아제 저해제의 유효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을 촉진시키는 방법.
〔26〕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25〕에 기재된 촉진 방법.
〔27〕각막 내피 세포가 인간 유래인 상기 〔25〕에 기재된 촉진 방법.
〔28〕각막 내피 장해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상기 〔25〕에 기재된 촉진 방법.
〔29〕 Rho 키나아제 저해제의 유효량을 전방내 주사액 또는 안 관류액의 형태로 투여하는 상기 〔25〕에 기재된 촉진 방법.
〔30〕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각막 내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내피 세포의 배양 방법.
〔31〕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30〕에 기재된 배양 방법.
〔32〕각막 내피 세포가 인간 유래인 상기 〔30〕에 기재된 배양 방법.
〔33〕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각막 보호액 중에 각막편 또는 각막 내피 세포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을 보호하는 방법.
〔34〕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33〕에 기재된 보호 방법.
〔35〕각막이 인간 유래인 상기 〔33〕에 기재된 보호 방법.
〔36〕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각막 내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내피 제제의 제조 방법.
〔37〕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36〕에 기재된 제조 방법.
〔38〕각막 내피 세포가 인간 유래인 상기 〔36〕에 기재된 제조 방법.
〔39〕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각막 내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 단계에 의해 얻어진 각막 내피 제제를, 각막 내피의 이식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 이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포성 각막증, 각막 부종 또는 각막 백반의 치료 방법.
〔40〕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39〕에 기재된 치료 방법.
〔41〕각막 내피 세포가 인간 유래인 상기 〔39〕에 기재된 치료 방법.
본 발명의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촉진제는,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촉진제는,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을 촉진하여, 양호한 세포 형태 및 높은 세포 밀도를 가진 각막 내피 세포층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각막 내피 장해를 수반하는 질환, 예컨대, 수포성 각막증, 각막 내피염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촉진제는, 각막 내피 장해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의 각막 내피 보호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촉진제에 따르면, 백내장 수술이나 유리체 수술 등의 내안(內眼) 수술에 따른 각막 내피 장해, 안압의 상승(특히 녹내장 발작)에 의해 야기되는 각막 내피 장해, 또는 컨택트렌즈 착용에 의한 산소 부족에 의해 야기되는 각막 내피 장해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의 각막 내피 보호제로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배양액 또는 각막 보존액에 따르면,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막 내피 세포를 양호하게 배양, 유지 또는 보존할 수 있고, 각막 내피 제제의 안정적인 공급, 유지 또는 보존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초대 배양 토끼 각막 내피 세포의 위상차 현미경 사진(배양 개시 24시간 후, 배율은 100배임)이다.
도 2는 MTS 분석(assay)에 의한 초대 배양 토끼 각막 내피 세포의 증식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세로축은, 1일째의 Rock 저해제(-)군의 흡광도에 대한 상대값을 나타낸다.
도 3은 배양 개시 24시간 후의 초대 배양 토끼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세로축은, 배양 개시 24시간 후의 Rock 저해제(-)군의 흡광도에 대한 상대값을 나타낸다.
도 4는 배양 개시 후 3일째의 초대 배양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위상차 현미경 사진이다. 배율은 100배이다.
도 5는 초대 배양 인간 각막 내피 세포의 위상차 현미경 사진(7일째, 배율은 100배임)이다.
도 6은 초대 배양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사진(A: ROCK 저해제(-), B: ROCK 저해제(+), 배율은 20배임) 및 배양 세포의 총면적을 나타내는 그래프(C)이다.
도 7은 초대 배양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생세포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계대 배양에 미치는 Y-27632의 영향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계대 배양 시의 세포 형태에 미치는 Y-27632의 영향을 조사한 위상차 현미경 사진(배율은 100배임)이다.
도 10은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계대 배양 시의 세포 형태에 미치는 Y-27632의 영향을 조사한 현미경 사진(팔로이딘 형광 염색, 배율은 200배임)이다.
도 11은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세포 주기에 미치는 Y-27632의 영향을 조사한 현미경 사진(항Ki67 항체 염색, 배율은 200배임)이다.
도 12는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세포 주기에 미치는 Y-27632의 영향을 조사한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의 결과이다. 도 12A는 ROCK 저해제(-)군의 계대 배양 1일째를, B는 ROCK 저해제(-)군의 계대 배양 2일째를, C는 ROCK 저해제(+)군의 계대 배양 1일째를, D는 ROCK 저해제(+)군의 계대 배양 2일째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의 유세포 분석의 결과를 항Ki67 항체 양성 세포율에 의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아폽토시스에 미치는 Y-27632의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아폽토시스에 미치는 Y-27632의 영향을 사세포(死細胞)수에 의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배양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밀도에 미치는 Y-27632의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계대 배양으로부터 24시간 후의 배양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세로축은, 계대 배양 개시 24시간 후의 대조군의 발광도에 대한 파수딜군(fasudil group)의 상대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촉진제(이하, 「본 발명의 접착 촉진제」라고 생략하는 경우가 있음)는,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Rho 키나아제란, Rho의 활성화에 따라 활성화되는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를 의미한다. 예컨대, ROKα(ROCKII: Leung, T.등, J. Biol. Chem., 270, 29051-29054, 1995), p160ROCK(ROKβ, ROCK-I: Ishizaki, T.등, The EMBO J., 15(8), 1885-1893, 1996) 및 그 외의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종류의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단독으로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여러 종류를 병용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Rho 키나아제 저해제로서는, 하기 문헌:
US4678783, 특허 3421217, WO99/20620, WO99/61403, WO02/076976, WO02/076977, WO02/100833, WO03/059913, WO03/062227, WO2004/009555, WO2004/022541, WO2004/108724, WO2005/003101, WO2005/039564, WO2005/034866, WO2005/037197, WO2005/037198, WO2005/035501, WO2005/035503, WO2005/035506, WO2005/080394, WO2005/103050, WO2006/057270, WO2007/026664 등에 개시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각각 개시된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로서,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파수딜),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Y-27632)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화합물은, 시판품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촉진에 특히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그 화합물의 염으로서는, 제약상 허용되는 산부가염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산이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등의 무기산, 메탄술폰산, 푸마르산, 말레산, 만델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살리실산 등의 유기산을 들 수 있다.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2염산염, 및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염산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촉진」으로서는, 예컨대, 각막 내피의 세포끼리의 접착 촉진, 및 각막 내피 세포와 배양 기재의 접착 촉진의 양쪽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촉진제는, 포유동물(예컨대, 인간, 마우스, 래트, 햄스터, 토끼, 고양이, 개, 소, 양, 원숭이 등) 유래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각막 내피 세포 또는 분리되어 계대한 각막 내피 세포에 대하여 접착 촉진 작용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접착 촉진제는, 특히 배양 및 계대가 곤란하다고 여겨지는 인간 유래의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 촉진 작용이 우수하기 때문에, 인간 유래의 각막 내피 세포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막 내피 세포는 각막의 투명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내피 세포의 밀도가 어느 한도를 넘어 적어지면 각막에 부종이 발생하여, 각막의 투명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각막 내피 장해가 야기된다. 본 발명의 접착 촉진제는,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을 촉진하여, 양호한 세포 형태 및 높은 세포 밀도를 가진 각막 내피 세포층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각막 내피 세포에 대하여 아폽토시스 억제 작용을 갖기 때문에, 각막 내피 장해를 수반하는 질환, 예컨대, 수포성 각막증, 각막 내피염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 촉진제는, 백내장 수술이나 유리체 수술 등의 내안 수술에 따른 각막 내피 장해, 안압의 상승(특히 녹내장 발작)에 의해 야기되는 각막 내피 장해, 또는 컨택트렌즈 착용에 의한 산소 부족에 의해 야기되는 각막 내피 장해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접착 촉진제는, 눈에 국소 투여하기에 적합한 제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전방(前房)내 주사액 또는 안 관류액(眼灌流液)의 형태로 제제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당해 분야에서 범용되고 있는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전방내 주사액 또는 안 관류액의 형태로 눈에 국소 투여한 경우, Rho 키나아제 저해제와 각막 내피 세포가 생체 내에서 접촉하여,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이 촉진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접착 촉진제를 전방내 주사액 또는 안 관류액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안정제(예컨대, 아황산수소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에데트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 용해 보조제(예컨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마크로골,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 현탁화제(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 유화제(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대두 레시틴, 난황 레시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소르베이트 80 등), 완충제(예컨대, 인산 완충액, 아세트산 완충액, 붕산 완충액, 탄산 완충액, 시트르산 완충액, 트리스 완충액, 글루타민산, 엡실론-아미노카프론산 등), 점조제(예컨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마크로골 등), 보존제(예컨대,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코올, 디히드로아세트산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 에데트산나트륨, 붕산 등), 등장화제(예컨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글리세린, 만니톨, 소르비톨, 붕산, 포도당, 프로필렌글리콜 등), pH 조정제(예컨대, 염산, 수산화나트륨, 인산, 아세트산 등), 청량화제(예컨대, 1-멘톨, d-캠퍼, d-보르네올, 박하유 등) 등을 첨가제로서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첨가량은, 첨가제의 종류, 용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첨가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농도를 첨가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접착 촉진제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양은, 통상 0.00001 w/v%∼1 w/v%, 바람직하게는 0.00001 w/v%∼0.1 w/v%,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w/v%∼0.01 w/v%이다. 투여량, 투여 횟수는, 증상, 연령, 체중, 투여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성인에 대하여, 예컨대 전방내 주사액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효 성분을 0.0001 w/v%∼0.1 w/v%, 바람직하게는 0.0001 w/v%∼0.01 w/v% 함유하는 제제를, 1일당 수회, 바람직하게는 1회∼2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회, 1회당 0.01 mL∼0.1 mL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촉진제는, 각막 내피 세포를 시험관 내에서 배양하는 경우에, 배양액에 첨가할 수도 있다.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그 배양액에 첨가하여 배양을 계속함으로써, Rho 키나아제 저해제와 각막 내피 세포가 생체 외에서 접촉하여,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이 촉진된다.
본 발명은,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각막 내피 세포의 배양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양액에 포함되는 Rho 키나아제 저해제는,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배양액에는, 내피 세포의 배양에 통상 이용되는 배지(예, DMEM(GIBCO BRL사)), 혈청(예, 소 태아 혈청(FBS)), 성장 인자(예, b-FGF), 항생 물질(예,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양액 중의 Rho 키나아제 저해제의 농도는, 통상 1 μM∼100 μM, 바람직하게는 5 μM∼20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μM이다.
본 발명의 배양액은,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을 항진(亢進)함으로써 세포의 탈락을 방지하여, 양호한 세포 형태 및 높은 세포 밀도를 가진 각막 내피 세포층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본 발명의 각막 내피 제제의 제조 방법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양액은, 각막 내피 세포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본 발명은,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각막 보존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각막 보존액에 포함되는 Rho 키나아제 저해제는, 상기한 바와 같다. 각막 보존액이란, 도너로부터 적출한 각막편을, 레시피언트에게 이식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보존하기 위한 액제이다.
본 발명의 각막 보존액으로서는, 각막 이식 시에 통상 이용되는 보존액(강각막편 보존액(Optisol GS: 등록상표), 각막 이식용 안구 보존액(EPII: 등록상표)), 생리식염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PBS) 등에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함유시킨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각막 보존액 중의 Rho 키나아제 저해제의 농도는, 통상 1 μM∼100 μM, 바람직하게는 5 μM∼20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μM이다.
본 발명의 각막 보존액은, 각막 내피 세포의 접착을 항진함으로써 세포의 탈락을 방지하여, 양호한 세포 형태 및 높은 세포 밀도를 가진 각막 내피 세포층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장기 이식 등에 이용되는 각막의 보존액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존액은, 각막 내피 세포를 동결 보존하기 위한 보존액으로서도 이용된다. 동결 보존을 위해서는, 본 발명의 보존액에 글리세롤, 디메틸술폭시드, 프로필렌글리콜, 아세트아미드 등을 더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각막 내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내피 제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각막 내피 제제는, 기재와, 그 기재 상의 시험관 내에서 배양한 각막 내피 세포층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란, 배양 각막 내피 세포층을 담지하여, 이식 후 적어도 3일간은 생체 내에서도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 기재는, 각막 내피 세포를 시험관 내에서 배양하는 경우의 스캐폴드로서의 역할을 갖는 것이어도 되고, 배양 후의 각막 내피 세포층을 담지시키는 역할만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그 기재는, 각막 내피 세포의 배양에 이용되며, 배양 완료 후에 그대로 이식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스캐폴드로서의 역할을 갖는 것이다.
상기 기재로서는, 예컨대, 콜라겐, 젤라틴, 셀룰로오스 등의 천연물 유래의 고분자 재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등의 합성 고분자 재료, 폴리젖산, 폴리글리콜산 등의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양막(羊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의 형상은, 각막 내피 세포층을 담지하여, 이식에 적합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제가 시트 형상인 경우, 이식 시에 적용 부위에 맞춘 크기로 절단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트를 작게 둥글게 뭉친 후, 창구(創口)로부터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장애가 있는 각막 내피의 면적의 약 8할을 덮는 원형의 형상이 예시된다. 또한, 적용 부위에 밀착 가능하도록, 상기 원형의 주변부에 슬릿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콜라겐이다. 콜라겐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852호 공보에 기재된 콜라겐 시트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콜라겐 시트는,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852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예컨대 양막으로부터 조제할 수 있다.
상기 각막 내피 세포층은, 이하의 특징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특징을 2개 이상,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두 구비하는 것이다.
(1) 세포층이 단층 구조이다. 이것은 생체의 각막 내피 세포층이 구비하는 특징 중 하나이다.
(2) 세포층에 있어서의 세포 밀도는 약 1,000 세포/㎟∼약 4,000 세포/㎟이다. 특히, 성인을 레시피언트(이식자)로 하는 경우에는 약 2,000 세포/㎟∼약 3,000 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3) 세포층을 구성하는 세포의 평면에서 본 형상이 대략 육각형이다. 이것은 생체에 있어서의 각막 내피 세포층을 구성하는 세포가 구비하는 특징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생체의 각막 내피 세포층과 유사하며, 선천적인 각막 내피 세포층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함과 아울러, 생체 내에서 증식능도 발휘할 수 있다.
(4) 세포층에 있어서 세포가 규칙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생체의 각막 내피 세포층에 있어서는 그것을 구성하는 세포는 규칙적으로 정렬되어 있고, 이에 따라 각막 내피 세포의 정상적인 기능과 높은 투명성이 유지되며, 또한 각막의 수분 조정 기능이 적절하게 발휘된다고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적인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제는, 생체에 있어서의 각막 내피 세포층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각막 내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예컨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1> 각막 내피 세포의 채취 및 시험관 내에서의 배양
각막 내피 세포는 레시피언트 자신 또는 적당한 도너의 각막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으로 채취된다. 본 발명에서의 이식 조건을 고려하면, 동종 유래의 각막 내피 세포를 준비하면 된다. 예컨대, 각막 조직의 데스메막(Descemet`s membrane)과 내피 세포층을 각막 실질로부터 박리한 후, 배양 접시로 옮겨, 디스파제 등으로 처리한다. 이에 따라 각막 내피 세포는 데스메막으로부터 탈락한다. 데스메막에 잔존하고 있는 각막 내피 세포는 피펫팅 등에 의해 탈락시킬 수 있다. 데스메막을 제거한 후, 본 발명의 배양액 중에서 각막 내피 세포를 배양한다. 배양액으로서는 예컨대 시판의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FBS(소 태아 혈청), b-FGF(basic-fibloblast growth factor), 및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등의 항생 물질을 적절하게 첨가하고, 또한 Y-27632 또는 파수딜을 첨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배양 용기(배양 접시)에는 그 표면에 I형 콜라겐, IV형 콜라겐, 피브로넥틴, 라미닌 또는 소 각막 내피 세포의 세포외 매트릭스 등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통상의 배양 용기를 FNC coating mix(등록상표) 등의 시판의 코팅제로 처리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이러한 코팅과 본 발명의 배양액을 병용함으로써, 각막 내피 세포의 배양 용기 표면에의 접착이 촉진되어, 양호한 증식이 행해지기 때문이다.
각막 내피 세포를 배양할 때의 온도 조건은, 각막 내피 세포가 생육하는 한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약 25℃∼약 45℃, 증식 효율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약 30℃∼약 40℃, 더 바람직하게는 약 37℃이다. 배양 방법은, 통상의 세포 배양용 인큐베이터 내에서, 가습하, 약 5%∼10%의 CO2 농도의 환경하에서 행해진다.
<2> 계대 배양
배양에 제공된 각막 내피 세포가 증식한 후에 계대 배양을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브컨플루언트(subconfluent) 내지 컨플루언트가 된 시점에서 계대 배양을 행한다. 계대 배양은 다음과 같이 행할 수 있다. 우선 trypsin-EDTA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세포를 배양 용기 표면으로부터 떼어내고, 이어서 세포를 회수한다. 회수한 세포에 본 발명의 배양액을 더하여 세포 부유액으로 한다. 세포를 회수할 때, 또는 회수 후에 원심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심 처리에 의해 세포 밀도가 높은 세포 부유액을 조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세포 밀도는, 약 1∼2×106 개/mL이다. 또한, 여기서의 원심 처리의 조건으로서는, 예컨대, 500 rpm(30 g)∼1000 rpm(70 g), 1분∼10분을 들 수 있다.
세포 부유액은 상기한 초기 배양과 마찬가지로 배양 용기에 파종되어, 배양에 제공된다. 계대 시의 희석 배율은 세포의 상태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약 1:2∼1:4, 바람직하게는 약 1:3이다. 계대 배양은 상기한 초기 배양과 동일한 배양 조건에서 행할 수 있다. 배양 시간은 사용하는 세포의 상태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컨대 7일간∼30일간이다. 이상의 계대 배양은 필요에 따라 복수 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양액을 이용하면, 배양 초기의 세포 접착을 항진시킴으로써, 배양 기간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3> 각막 내피 세포층의 조제
세포 부유액은, 콜라겐 시트 등의 기재 상에 파종되어, 배양에 제공된다. 이때,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각막 내피 제제에 있어서 원하는 세포 밀도의 세포층이 형성되도록 파종하는 세포수가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세포 밀도가 약 1,000 세포/㎟∼약 4,000 세포/㎟의 세포층이 형성되도록 세포를 파종한다. 배양은 상기한 초기 배양 등과 동일한 조건에서 행할 수 있다. 배양 시간은 사용하는 세포의 상태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컨대 3일간∼30일간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배양을 행함으로써, 기재 상에 시험관 내에서 배양한 각막 내피 세포층이 형성된 각막 내피 제제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막 내피 제제는, 각막 내피 세포를 유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배양액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각막 내피 제제는, 이식에 제공될 때까지 본 발명의 각막 보존액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은, 각막 내피 제제와 본 발명의 배양액 또는 보존액의 조합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각막 내피 제제는, 각막 내피의 이식이 필요한 질환, 예컨대 수포성 각막증, 각막 부종, 각막 백반, 특히, 각막 디스트로피, 외상 또는 내안 수술에 기인하는 각막 내피 장해에 의해 발생하는 수포성 각막증의 치료에 있어서의 이식편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촉진제 및 각막 내피 제제의 투여 대상은, 포유동물(예컨대, 인간, 마우스, 래트, 햄스터, 토끼, 고양이, 개, 소, 양, 원숭이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험 동물의 사용 시에는, 동물을 이용하는 생물 의학 연구에 관한 원칙(International Guiding Principles for Biomedical Research involving Animals) 및, 동물의 애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실험 동물의 사육 및 보관 등에 관한 기준에 따랐다. 또한, 본 실험은 시력 및 안과 연구에서의 동물 이용에 대한 국제 시력 안과 연구 협회의 가이드라인(Guidelines of the Association for Research in Vision and Ophthalmology on the Use of Animals in Ophthalmic and Vision Research)에 따라 행하였다.
실시예 1
ROCK 저해제가 토끼 각막 내피 세포 배양에 주는 영향의 검토
안락사 후 즉시 적출한 토끼 각막 조직으로부터, 각막 내피 세포가 부착된 데스메막을 분리하였다. 데스메막을 1.2 U/ml의 디스파제 II(Roche Applied Science)와 함께 37℃, 5% CO2의 조건하에서 45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피펫팅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각막 내피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각막 내피 세포는 원심 분리 후, ROCK 저해제(+)군은 10 μM의 Y-27632를 첨가한 각막 내피용 배지를 이용하여, ROCK 저해제(-)군은 Y-27632를 첨가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를 이용하여 동일한 농도가 되도록 교반하고, 1웰당 약 2000개의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각막 내피용 배지로서, 1% 소 태아 혈청 및 2 ㎎/ml bFGF(Gibco Invitrogen)를 첨가한 배양액(DMEM, Gibco Invitrogen)을 이용하였다. 플레이트에는 미리, FNC coating mix(Athena ES)로 10분간의 전처리를 실시하였다. 배양 개시 후 72시간째에 배양액을 교환하고, 72시간 이후는, ROCK 저해제(+)군, ROCK 저해제(-)군 모두 Y-27632를 첨가하지 않은 통상의 각막 내피용 배지를 이용하여 5일째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개시 24시간 후의 초대 배양 토끼 각막 내피 세포의 위상차 현미경 사진을 도 1에 도시한다. 배양 개시 후 1일째부터 3일째까지, 24시간마다, CellTiter 96(등록상표)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Promega)을 이용한 MTS([3-(4,5-디메틸티아졸-2-일)-5-(3-카르복시메톡시페닐)-2-(4-술포페닐)-2H-테트라졸륨] 분석(assay)에 의해 세포수를 측정하였다(도 2).
ROCK 저해제(+)군(도 1B)에서는, ROCK 저해제(-)군(도 1A)에 비하여 세포 파종 후 24시간(day 1)에서의 세포 접착은 약 2.8배로 유의적으로 항진하고 있었다(도 2, 도 3). 컨플루언트에 도달한 3일째 시점에서는 양 군 사이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으며(도 2), 이러한 점에서 Y-27632는 초대 배양의 토끼 각막 내피 세포에 있어서, 계대 후 조기의 세포 접착을 항진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계대 배양한 토끼 각막 내피 세포를 이용한 검토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져, 초대 배양 및 계대 배양에 있어서, Y-27632는 계대 후 조기의 세포 접착에 작용한다고 생각되었다.
실시예 2
Y-27632가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 배양에 주는 영향의 검토
다른 목적으로 안락사시킨 게잡이 원숭이로부터 적출한 각막 조직으로부터, 각막 내피 세포가 부착된 데스메막을 분리하였다. ROCK 저해제(+)군에서는, 데스메막을 10 μM의 Y-27632를 첨가한 각막 내피용 배지에 넣어 37℃, 5% CO2의 조건하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ROCK 저해제(-)군에서는, Y-27632를 첨가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에 넣어 동일한 조건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각막 내피용 배지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의 데스메막을 1.2 U/ml의 디스파제 II(Roche Applied Science)와 함께 37℃, 5% CO2의 조건하에서 45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피펫팅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각막 내피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각막 내피 세포는 원심 분리 후, Y-27632(+) 및 Y-27632(-)의 각막 내피용 배지에 동일한 농도가 되도록 교반하고, 1웰당 약 20000개의 밀도로 12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플레이트에는 미리, FNC coating mix(Athena ES)로 10분간의 전처리를 실시하였다. 배양 개시 후 72시간째에 배양액을 교환하고, 72시간 이후는, ROCK 저해제(+)군, ROCK 저해제(-)군 모두 Y-27632를 첨가하지 않은 통상의 각막 내피용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도 4로부터, 배양 개시 후 24시간의 게잡이 원숭이 초대 배양 각막 내피 세포에 있어서, ROCK 저해제(+)(도 4B)에서는 ROCK 저해제(-)(도 4A)에 비하여 명백히 많은 세포가 플레이트 상에 접착하고 있었다. 컨플루언트에 도달하기까지의 일수는, ROCK 저해제(+)에서는 3일이었던 데 비하여, ROCK 저해제(-)에서는 7일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토끼에 비하여 생체 외에서의 세포 배양이 곤란하다고 생각되는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에 있어서도, Y-27632는 배양 개시 후 조기의 세포 접착을 항진하여, 세포 배양을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약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Y-27632가 인간 각막 내피 세포 배양에 주는 영향의 검토
미국 아이뱅크에서 입수한 인간 각막 조직 중, 중심부의 직경 7 ㎜ 부분을 각막 이식에 이용한 나머지 주변부 각막 조직을 이용하였다. 각막 내피 세포가 접착한 데스메막을 분리하여, ROCK 저해제(+)군에서는, 데스메막을 10 μM의 Y-27632를 첨가한 각막 내피용 배지에 넣어 10분간 37℃, 5% CO2의 조건하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ROCK 저해제(-)군에서는, Y-27632를 첨가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에 넣어 동일한 조건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각막 내피용 배지로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배양액을 이용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의 데스메막을 1.2 U/ml의 디스파제 II(Roche Applied Science)와 함께 37℃, 5% CO2의 조건하에서 45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피펫팅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각막 내피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각막 내피 세포는 원심 분리 후, Y-27632(+) 및 Y-27632(-)의 각막 내피용 배지에 동일한 농도가 되도록 교반하고, 미리 FNC coating mix(Athena ES)로 전처리를 실시한 48웰 플레이트에 1웰당 약 10000개의 밀도로 파종하였다. 주변부 각막 조직으로부터 얻어지는 인간 각막 내피 세포는, 매우 세포수가 적기 때문에, 1안(眼)의 도너 각막으로부터 1웰의 세포 배양을 행하였다. 본 검토에서 사용한 도너 각막은, ROCK 저해제(+)군이 연령 69세, 도너 사망 후 배양 개시까지 6일간, ROCK 저해제(-)군이 연령 51세, 도너 사망 후 배양 개시까지 7일간의 것을 사용하였다. 연령 및 도너 사망 후 세포 배양까지 경과한 시간이, 세포 배양에 주는 영향은 거의 동일하다고 생각된다.
배양 개시 후 72시간에 배양액을 교환하고, 72시간 이후에는, ROCK 저해제(+)군, ROCK 저해제(-)군 모두 Y-27632를 첨가하지 않은 통상의 각막 내피용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개시 후의 조기의 세포 접착 및 세포 형태에 주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서, 배양 개시 후에 위상차 현미경에 의한 세포 관찰 및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사진 촬영을 행하였다(도 5).
도 5로부터, 배양 개시 후 7일째에는, ROCK 저해제(+)군에서는 균일한 다각형 세포로 이루어지는, 정상적인 각막 내피 세포와 유사한 세포로 이루어지는 컨플루언트한 고밀도의 단층 세포층이 형성되어 있었던(도 5B) 데 비하여, ROCK 저해제(-)군에서는 세포 밀도가 낮은 섬유아세포 모양으로 신장한 형태의 내피 세포가 섬 형상으로 생착하고 있었을 뿐이었다(도 5A). 본 결과로부터, 배양이 매우 곤란한 것이 알려져 있는 인간 각막 내피 초대 배양에 있어서, 배양 개시 후 조기의 세포 접착을 항진하는 작용이 있는 Y-27632를 배양액에 첨가함으로써, 양호한 세포 형태, 높은 세포 밀도를 가진 각막 내피 세포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되었다.
제제예 1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전방내 주사액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아래에 나타내는 전방내 주사액을 조제한다.
Y-27632 10 ㎎
인산이수소나트륨 0.1 g
염화나트륨 0.9 g
수산화나트륨 적량
멸균 정제수 적량
전량 100 mL
(pH7)
Y-27632는 와코 쥰야쿠 고교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 이용한다.
제제예 2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안 관류액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아래에 나타내는 안 관류액을 조제한다.
Y-27632 1.0 ㎎
오페가드 MA 적량
전량 100 mL
오페가드 MA는 센쥬 세이야쿠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 Y-27632는 와코 쥰야쿠 고교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 이용한다.
제제예 3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각막 내피 시트 조제용 배양액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아래에 나타내는 배양액을 조제한다.
Y-27632 0.5 ㎎
FBS 10 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액 1 mL
FGF basic 200 ng
DMEM 적량
전량 100 mL
FBS는 인비트로젠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액은 나카라이 테스크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페니실린 5000 u/mL, 스트렙토마이신 5000 ㎍/mL 함유), FGF basic은 인비트로젠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 Y-27632는 와코 쥰야쿠 고교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 DMEM은 인비트로젠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 이용한다.
제제예 4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각막 보존액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아래에 나타내는 보존액을 조제한다.
Y-27632 0.2 ㎎
Optisol-GS 적량
전량 100 mL
Optisol-GS는 바슈롬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 Y-27632는 와코 쥰야쿠 고교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 이용한다.
실시예 4
Y-27632가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초대 배양에 주는 영향의 검토
안락사시킨 게잡이 원숭이로부터 적출한 각막 조직으로부터, 각막 내피 세포가 부착된 데스메막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ROCK 저해제(+)군에서는, 데스메막을 10 μM의 Y-27632를 첨가한 각막 내피용 배지에 넣어 37℃, 5% CO2의 조건하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ROCK 저해제(-)군에서는, Y-27632를 첨가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에 넣어 동일한 조건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각막 내피용 배지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의 데스메막을 1.2 U/ml의 디스파제 II(Roche Applied Science)와 함께 37℃, 5% CO2의 조건하에서 45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피펫팅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각막 내피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각막 내피 세포는 원심 분리 후, Y-27632(+) 및 Y-27632(-)의 각막 내피용 배지에 동일한 농도가 되도록 교반하고, 1웰당 약 2000개의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배양 개시 후 72시간째에 배양액을 교환하고, 72시간 이후에는, ROCK 저해제(+)군, ROCK 저해제(-)군 모두 Y-27632를 첨가하지 않은 통상의 각막 내피용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10일째에,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하여 10분간 실온에서 고정 후, 톨루이딘 블루를 이용하여 염색하였다(도 6A, 도 6B). 세포의 총면적을 Image J(미국 국립 위생 연구소)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해석을 행하였다(도 6C).
배양 개시 후 10일째의 게잡이 원숭이 초대 배양 각막 내피 세포에 있어서, ROCK 저해제(-)(도 6A)에 비하여 ROCK 저해제(+)(도 6B)는, 배양 초기에 있어서의 접착을 촉진함으로써, 배양 세포의 총면적을 약 1.6배로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도 6C). 이러한 점에서, 생체 외에서의 세포 배양이 곤란하다고 생각되는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에 있어서, Y-27632는 초대 배양에 유용한 약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Y-27632의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에 대한 최적 농도의 검토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회수한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초대 배양)를, 각각 1, 10, 33, 100 μM의 Y-27632를 첨가한 각막 내피용 배지와, Y-27632를 포함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에 넣어 동일한 농도가 되도록 교반하고, 1웰당 약 2000개의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배양 개시 후 24시간째에 CellTiter-Glo(등록상표)(Promega)를 이용하여 생세포수를 측정하였다(도 7).
배양 개시 후 24시간의 각막 내피 세포에 있어서, 10 μM의 Y-27632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세포 배양을 행한 경우는, Y-27632를 포함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나 그 외의 농도의 Y-27632를 포함하는 각막 내피용 배지에서 세포 배양을 행한 경우와 비교해서, 플레이트 상에 접착한 세포수가 유의적으로 많았다(도 7). 이러한 점에서,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에 있어서, 10 μM의 농도의 Y-27632가 가장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Y-27632가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계대 배양에 주는 영향의 검토
안락사시킨 게잡이 원숭이로부터 적출한 각막 조직으로부터, 각막 내피 세포가 부착된 데스메막을 분리하였다. 데스메막을 1.2 U/ml의 디스파제 II(Roche Applied Science)와 함께 37℃, 5% CO2의 조건하에서 45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피펫팅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각막 내피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각막 내피 세포는 원심 분리 후, 각막 내피용 배지에 파종하였다. 컨플루언트에 도달한 각막 내피 세포를, 0.05% 트립신으로 37℃, 5% CO2의 조건하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하여, 계대 배양을 행하였다. 4-6회의 계대를 행한 후에, 각막 내피 세포를 1/2, 1/6, 1/8의 희석이 되도록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ROCK 저해제(+)군에서는 10 μM의 Y-27632를 첨가한 각막 내피용 배지를, ROCK 저해제(-)군에서는 Y-27632를 첨가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를 이용하여 계대 배양을 계속하였다. 계대 후 24시간째에,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CellTiter-Glo(등록상표)(Promega)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였다(도 8).
계대 후 24시간의 게잡이 원숭이 배양 각막 내피 세포에 있어서, Y-27632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계대 배양을 행한 경우는, Y-27632를 포함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와 비교해서, 플레이트 상에 접착한 세포수가 유의적으로 많았다(도 8). 이러한 점에서, 초대 배양에 더하여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계대 배양에 있어서도, Y-27632가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7
Y-27632가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계대 배양 시에 세포 형태에 주는 영향의 검토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계대 배양을 행한 게잡이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를, 1/4의 희석이 되도록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계대하였다. 계대 배양 24시간째에, 위상차 현미경으로 세포 형태를 관찰하였다(도 9A, 도 9B). 또한 슬라이드 글라스 상의 각막 내피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실온 10분간의 고정 후, 팔로이딘 형광 염색으로 액틴 파이버(actin fiber)의 염색을 행하였다(도 10A, 도 10B).
계대 후 24시간의 게잡이 원숭이 배양 각막 내피 세포에 있어서, Y-27632를 포함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와 비교해서(도 9A), Y-27632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계대 배양을 행했을 때에는(도 9B), 세포의 슬라이드 글라스에의 접착이 항진하고 있고, 각막 내피 세포 모양으로의 편평화가 촉진되고 있으며, 세포끼리의 집합도 항진하고 있었다. 또한, 팔로이딘 형광 염색에서는, Y-27632를 포함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와 비교해서(도 10A), Y-27632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계대 배양을 행했을 때에는(도 10B), 액틴 스트레스 파이버가 명료하게 보여져, Y-27632가 세포 골격 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8
Y-27632가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세포 주기에 주는 영향의 검토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계대 배양을 행한 게잡이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를 1/4의 희석이 되도록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계대하였다. ROCK 저해제(+)군에서는 10 μM의 Y-27632를 첨가한 각막 내피용 배지를, ROCK 저해제(-)군에서는, Y-27632를 첨가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를 이용하였다. 계대 배양 1, 2, 14일째에, 슬라이드 글라스 상의 각막 내피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실온 10분간의 고정 후, 항Ki67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 염색을 행하였다(도 11). 또한, 마찬가지로 게잡이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를 1/4의 희석이 되도록 ROCK 저해제(+)와 ROCK 저해제(-)군 각각에서 계대 배양하고, 계대 배양 1, 2일째에 0.05% 트립신을 이용하여 회수한 후, 항Ki67 항체를 이용하여 유세포 분석을 행해서 세포 주기를 검토하였다(도 12, 도 13).
ROCK 저해제(-)군에 비하여 ROCK 저해제(+)군에서는 계대 배양 1일째, 2일째 모두 Ki67 양성 세포가 많았던 한편, 14일째에 거의 컨플루언트에 도달하면, ROCK 저해제(+)군의 양성 세포는 ROCK 저해제(-)군에 비하여 적었다(도 11). 유세포 분석에 있어서도, ROCK 저해제(-)군에 비하여 ROCK 저해제(+)군에서는 계대 배양 1일째, 2일째 모두 Ki67 양성 세포가 많이 보여졌다(도 12, 도 13).
Ki67 항원은 세포 증식 주기의 G1, 또한 S로부터 M기까지의 세포의 핵 내에 발견되는 점에서, Y-27632는, 게잡이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계대 배양 후 조기에, 세포 주기를 촉진시키는 기능이 있어, 세포 배양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 유용한 약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9
Y-27632가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아폽토시스에 주는 영향의 검토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계대 배양을 행한 게잡이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를 1/4의 희석이 되도록 계대하였다. ROCK 저해제(+)군에서는 10 μM의 Y-27632를 첨가한 각막 내피용 배지를, ROCK 저해제(-)군에서는 Y-27632를 첨가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를 이용하였다. 계대 배양 1일째에 0.05% 트립신을 이용하여 배지 중의 세포를 포함해서 모든 세포를 회수한 후, Annexin V와 PI(Propidium Iodide)를 이용하여 유세포 분석을 행해서, 아폽토시스를 검토하였다(도 14, 도 15).
ROCK 저해제(-)군에 비하여 ROCK 저해제(+)군에서는, 계대 배양 1일째의 전세포에 있어서의 아폽토시스 세포율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도 14). 또한, 1×104 세포당의 아폽토시스 세포수를 비교하면 ROCK 저해제(-)군에 비하여 ROCK 저해제(+)군에서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도 15).
이러한 점에서, Y-27632는 게잡이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계대 배양 시에, 아폽토시스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0
Y-27632가 배양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밀도에 주는 영향의 검토
안락사시킨 게잡이 원숭이로부터 적출한 각막 조직으로부터, 각막 내피 세포가 부착된 데스메막을 분리하였다. 데스메막을 1.2 U/ml의 디스파제 II(Roche Applied Science)와 함께 37℃, 5% CO2의 조건하에서 45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피펫팅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각막 내피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각막 내피 세포는 원심 분리 후, 각막 내피용 배지에 파종하였다. 컨플루언트에 도달한 각막 내피 세포를, 0.05% 트립신으로 37℃, 5% CO2의 조건하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하여, 계대 배양을 행하였다. ROCK 저해제(+)군에서는 10 μM의 Y-27632를 첨가한 각막 내피용 배지를, ROCK 저해제(-)군에서는, Y-27632를 첨가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를 이용하였다. 배양 개시 후 72시간째에 배양액을 교환하고, 72시간 이후에는, ROCK 저해제(+)군, ROCK 저해제(-)군 모두 Y-27632를 첨가하지 않은 통상의 각막 내피용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매회 계대 시에는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의 사진을 촬영하고, 세포 밀도를 측정하여 Y-27632가 배양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의 밀도에 주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계대를 7회 반복한 결과, 계대 배양을 행한 전기간에 있어서 ROCK 저해제(-)군에 비하여 ROCK 저해제(+)군에서는 높은 세포 밀도가 보여졌다(도 16). 이러한 점에서, Y-27632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밀도의 각막 내피 세포의 배양이 가능해져, 장래적으로 배양 각막 내피 시트 이식과 같은 재생 의료를 행하는 데에도 유용하다고 생각되었다.
실시예 11
파수딜이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 배양에 주는 영향의 검토
안락사시킨 게잡이 원숭이로부터 적출한 각막 조직으로부터, 각막 내피 세포가 부착된 데스메막을 분리하였다. 데스메막을 1.2 U/ml의 디스파제 II(Roche Applied Science)와 함께 37℃, 5% CO2의 조건하에서 45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피펫팅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각막 내피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각막 내피 세포는 원심 분리 후, 각막 내피용 배지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각막 내피용 배지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였다. 계대 배양 시에 0.05% 트립신 처리에 의해 회수한 배양 원숭이 각막 내피 세포를 분리하여 원심 분리한 후, 파수딜군은 10 μM의 파수딜(SIGMA-ALDRICH)을 첨가한 각막 내피용 배지를 이용하고, 컨트롤군은 파수딜을 첨가하지 않은 각막 내피용 배지를 이용하여 동일한 농도가 되도록 교반하고, 1웰당 약 2000개의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배양 개시 24시간 후에 CellTiter-Glo(등록상표)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Promega)를 이용하여 접착 세포수를 측정하였다(도 17). ROCK 저해제인 파수딜에 있어서도 각막 내피 세포의 세포 접착을 촉진하는 효과가 보여졌다.
제제예 5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전방내 주사액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아래에 나타내는 전방내 주사액을 조제한다.
파수딜 10 ㎎
인산이수소나트륨 0.1 g
염화나트륨 0.9 g
수산화나트륨 적량
멸균 정제수 적량
전량 100 mL
(pH7)
제제예 6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각막 내피 시트 조제용 배양액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아래에 나타내는 배양액을 조제한다.
파수딜 0.5 ㎎
FBS 10 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액 1 mL
FGF basic 200 ng
DMEM 적량
전량 100 mL
FBS는 인비트로젠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액은 나카라이 테스크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페니실린 5000 u/mL, 스트렙토마이신 5000 ㎍/mL 함유), FGF basic은 인비트로젠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 DMEM은 인비트로젠사에 의해 제조된 것을 이용한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7-223141(출원일: 2007년 8월 29일) 및 일본 특허 출원 2008-016088(출원일: 2008년 1월 28일)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이들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8)

  1.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각막 내피 장해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제제로서, 이를 필요로 하는 눈에 국소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각막 내피 세포가 인간 유래인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 활성을 갖는 제제.
  5. Rho 키나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각막 내피 세포 증식 촉진제로서 이를 필요로 하는 눈에 국소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각막 내피 세포 증식 촉진제.
  6. 제5항에 있어서,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트랜스-4-(1-아미노에틸)-1-(4-피리딜카르바모일)시클로헥산, 1-(5-이소퀴놀린술포닐)호모피페라진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각막 내피 세포 증식 촉진제.
  7. 제5항에 있어서, 각막 내피 세포가 인간 유래인 각막 내피 세포 증식 촉진제.
  8. 제5항에 있어서, Rho 키나아제 저해제가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 활성을 갖는 것인 각막 내피 세포 증식 촉진제.
KR1020197022179A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KR20190091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17484A KR20210070407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23141 2007-08-29
JPJP-P-2007-223141 2007-08-29
JPJP-P-2008-016088 2008-01-28
JP2008016088 2008-01-28
PCT/JP2008/065459 WO2009028631A1 (ja) 2007-08-29 2008-08-28 角膜内皮細胞接着促進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476A Division KR20180031066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484A Division KR20210070407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567A true KR20190091567A (ko) 2019-08-06

Family

ID=40387345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392A KR20150004899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KR1020107006685A KR20100080514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KR1020247009980A KR20240045364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KR1020197022179A KR20190091567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KR1020187007476A KR20180031066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KR1020227037529A KR20220151013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KR1020217017484A KR20210070407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KR1020157018932A KR20150088907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392A KR20150004899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KR1020107006685A KR20100080514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KR1020247009980A KR20240045364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476A KR20180031066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KR1020227037529A KR20220151013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KR1020217017484A KR20210070407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KR1020157018932A KR20150088907A (ko) 2007-08-29 2008-08-28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4) US9248125B2 (ko)
EP (1) EP2193806B1 (ko)
JP (9) JP5657252B2 (ko)
KR (8) KR20150004899A (ko)
CN (3) CN101835491B (ko)
BR (1) BRPI0816182A2 (ko)
CA (1) CA2697895C (ko)
ES (1) ES2659980T3 (ko)
MX (1) MX2010002426A (ko)
RU (1) RU2474434C2 (ko)
WO (1) WO2009028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899A (ko) 2007-08-29 2015-01-13 센주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CN101508971B (zh) * 2009-03-23 2011-04-06 中国海洋大学 一种组织工程人角膜内皮的重建方法
WO2011080984A1 (en) * 2009-12-29 2011-07-07 Senju Pharmaceutical Co., Ltd. Therapeutic agent (y - 39983 ) for corneal endothelial dysfunction
PL2788472T3 (pl) 2011-12-06 2019-06-28 Astellas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 Sposób ukierunkowanego różnicowania z wytwarzaniem komórek śródbłonka rogówki
ES2917222T3 (es) * 2011-12-28 2022-07-07 Kyoto Prefectural Public Univ Corp Normalización del cultivo de células endoteliales de la córnea
EP2876160B1 (en) * 2012-07-06 2020-05-13 Kyoto Prefectural Public University Corporation Differentiation marker for and differentiation control for ocular cells
US10174284B2 (en) 2012-09-07 2019-01-08 Jcr Pharmaceuticals Co., Ltd. Medium, for culturing corneal endothelial cells, containing conditioned medium from mesenchymal stem cells
CN103053511A (zh) * 2012-12-10 2013-04-24 山东省眼科研究所 一种角膜中期保存液及其制备和使用方法
CA2928626C (en) * 2013-11-14 2023-03-14 The Doshisha Drug for treating corneal endothelium by promoting cell proliferation or inhibiting cell damage
BR112016011096A2 (pt) 2013-11-27 2017-09-19 Kyoto Prefectural Public Univ Corp Aplicação de laminina à cultura de célula endotelial da córnea
US10959997B2 (en) 2013-12-27 2021-03-30 Kyoto Prefectural Public University Corporation Combined agent for cell therapy of corneal endothelial cell
US10034885B2 (en) 2014-09-24 2018-07-31 Kowa Company, Ltd. Corneal thickness modulating agent
WO2016067629A1 (ja) 2014-10-31 2016-05-06 京都府公立大学法人 ラミニンによる網膜および神経の新規治療
MX2017005522A (es) 2014-10-31 2017-09-01 Kyoto Prefectural Public Univ Corp Tratamiento novedoso de la cornea usando laminina.
EP3381472A4 (en) 2015-12-24 2019-07-31 The Doshisha MEDICINAL PRODUCT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TURBANCES CAUSED BY TGF SIGNALS AND USE THEREOF
WO2017141926A1 (en) * 2016-02-15 2017-08-24 Kyoto Prefectural Public University Corporation Human functional corneal endothelial cell and application thereof
CN113056556A (zh) * 2018-08-31 2021-06-29 学校法人同志社 用于对眼细胞进行保存或培养的组合物以及方法
EP3862424A4 (en) * 2018-10-02 2022-06-29 The Doshisha Method and vessel for preserving corneal endothelial cells
JP6664755B1 (ja) * 2018-10-02 2020-03-13 学校法人同志社 角膜内皮細胞を保存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容器
WO2022085680A1 (ja) 2020-10-22 2022-04-28 京都府公立大学法人 ヒト角膜内皮細胞及び/又はヒト角膜内皮前駆細胞の保存方法
KR20240005837A (ko) 2021-05-03 2024-01-12 아스텔라스 인스티튜트 포 리제너러티브 메디슨 성숙한 각막 내피 세포의 생성 방법
CN115006593B (zh) * 2022-06-26 2023-07-25 中国海洋大学 机械增强型组织工程角膜内皮的体外构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3175A1 (fr) 2001-04-11 2002-10-24 Senju Pharmaceutical Co., Ltd. Agents ameliorant la fonction visuelle
JP2004024852A (ja) 2002-04-30 2004-01-29 Amniotec:Kk 角膜内皮様シート、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5229869A (ja) 2004-02-18 2005-09-02 Satoshi Yamagami ヒト角膜内皮細胞の培養物層積層体及びその作製方法
WO2005118582A1 (ja) 2004-06-03 2005-12-15 Senju Pharmaceutical Co., Ltd. アミド化合物を含有する角膜知覚回復剤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1217A (en) 1967-06-29 1969-01-14 Schick Electric Inc Hair receptacle for electric shaver
US4678783B1 (en) 1983-11-04 1995-04-04 Asahi Chemical Ind Substituted isoquinolinesulfonyl compounds
US5906819A (en) * 1995-11-20 1999-05-25 Kirin Beer Kabushiki Kaisha Rho target protein Rho-kinase
JP3421217B2 (ja) 1995-11-20 2003-06-30 麒麟麦酒株式会社 Rho標的タンパク質Rhoキナーゼ
NZ334613A (en) * 1996-08-12 2002-02-01 Welfide Corp Pharmaceutical agents comprising Rho kinase inhibitor
CA2288741A1 (en) 1997-05-22 1998-11-26 G.D. Searle And Co. 4-aryl-3(5)-heteroaryl substituted pyrazoles as p38 kinase inhibitors
AU9646198A (en) 1997-10-22 1999-05-10 Nippon Shinyaku Co. Ltd. Isoquinoline derivative and drug
WO1999061403A1 (fr) 1998-05-25 1999-12-02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Nouveaux derives vinylbenzene
ES2372572T3 (es) * 1998-08-17 2012-01-23 Senju Pharmaceutical Co., Ltd. Agente para profilaxis y tratamiento de glaucoma.
KR20010110793A (ko) 1999-04-22 2001-12-13 가마쿠라 아키오 혈관협착증 예방 및 치료제
WO2001074393A1 (fr) 2000-04-04 2001-10-11 Wakamoto Pharmaceutical Co., Ltd. Agents de protection des tissus vitaux
CA2325842C (en) * 2000-11-02 2007-08-07 Lisa Mckerracher Methods for making and delivering rho-antagonist tissue adhesive formulations to the injured mammalian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s and uses thereof
PE20021011A1 (es) 2001-03-23 2003-02-01 Bayer Corp Derivados quinazolinicos como inhibidores de la rho-quinasa
JP4320705B2 (ja) 2001-03-23 2009-08-26 バイエル コーポレイション Rhoキナーゼ阻害剤
WO2002100833A1 (fr) 2001-06-12 2002-12-19 Sumitomo Pharmaceuticals Company, Limited Inhibiteurs de rho kinase
US20040014755A1 (en) 2002-01-10 2004-01-22 Dhanapalan Nagarathnam Rho-kinase inhibitors
JP4423043B2 (ja) 2002-01-23 2010-03-03 バイエル ファーマセチカル コーポレーション Rho−キナーゼ阻害剤
AU2003211971A1 (en) * 2002-04-30 2003-11-17 Amniotec Inc. Corneal endothelium-like sheet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AU2003281623B8 (en) 2002-07-22 2009-06-11 Asahi Kasei Pharma Corporation 5-substituted isoquinoline derivative
CA2400996A1 (en) 2002-09-03 2004-03-03 Lisa Mckerracher 1,4-substituted cyclohexane derivatives
US20040213782A1 (en) * 2003-02-03 2004-10-28 Pharmacia Corporation Compositions of an aquaporin modulating agent and an aqueous humor modulating agent for the treatment of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JP4566130B2 (ja) * 2003-04-18 2010-10-20 千寿製薬株式会社 角膜知覚回復剤
US7160894B2 (en) 2003-06-06 2007-01-09 Asahi Kasei Pharma Corporation Tricyclic compound
EP1644365A2 (en) 2003-07-02 2006-04-12 Biofocus Discovery Ltd Pyrazine and pyridine derivatives as rho kinase inhibitors
WO2005039564A1 (en) 2003-10-02 2005-05-06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Phthalimide compounds useful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JP4764823B2 (ja) 2003-10-06 2011-09-07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1,6−二置換アザベンゾイミダゾールの調製
US20070004771A1 (en) 2003-10-06 2007-01-04 Glaxo Group Limited Preparation of 1,6,7-trisubstituted azabenzimidazoles as kinase inhibitors
JP2007507547A (ja) 2003-10-06 2007-03-29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1,7−二置換アザベンゾイミダゾールの調製
JP2007008816A (ja) 2003-10-15 2007-01-18 Ube Ind Ltd 新規イソキノリン誘導体
JP2007015928A (ja) 2003-10-15 2007-01-25 Ube Ind Ltd 新規オレフィン誘導体
WO2005035506A1 (ja) 2003-10-15 2005-04-21 Ube Industries, Ltd. 新規インダゾール誘導体
EP1720874A4 (en) 2004-02-24 2010-03-03 Bioaxone Therapeutique Inc SUBSTITUTED PIPERIDINE DERIVATIVES IN POSITION 4
CA2561724A1 (en) 2004-04-02 2005-11-03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Azaindoles useful as inhibitors of rock and other protein kinases
JPWO2006057270A1 (ja) 2004-11-26 2008-06-05 旭化成ファーマ株式会社 含窒素3環化合物
JP2008266142A (ja) 2005-08-10 2008-11-06 Mitsubishi Pharma Corp 角膜障害の予防及び/又は治療剤
WO2007026664A1 (ja) 2005-08-30 2007-03-08 Asahi Kasei Pharma Corporation スルホンアミド化合物
WO2007043255A1 (ja) 2005-09-13 2007-04-19 Arblast Co., Ltd. 培養角膜内皮シート及びその作製方法
US7867999B1 (en) * 2005-12-22 2011-01-11 Alcon Research, Ltd. Hydroxyamino- and amino-substituted pyridine analogs for treating rho kinase-mediated diseases and conditions
WO2007083685A1 (ja) 2006-01-19 2007-07-26 Senju Pharmaceutical Co., Ltd. 生体内で細胞増殖可能な角膜内皮製剤
KR20150004899A (ko) 2007-08-29 2015-01-13 센주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각막 내피 세포 접착 촉진제
US8568234B2 (en) * 2010-03-16 2013-10-29 Harmonix Music Systems, Inc. Simulating musical instruments
KR20150111645A (ko)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단일 통신인터페이스 전송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3175A1 (fr) 2001-04-11 2002-10-24 Senju Pharmaceutical Co., Ltd. Agents ameliorant la fonction visuelle
JP2004024852A (ja) 2002-04-30 2004-01-29 Amniotec:Kk 角膜内皮様シート、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5229869A (ja) 2004-02-18 2005-09-02 Satoshi Yamagami ヒト角膜内皮細胞の培養物層積層体及びその作製方法
WO2005118582A1 (ja) 2004-06-03 2005-12-15 Senju Pharmaceutical Co., Ltd. アミド化合物を含有する角膜知覚回復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문헌 1: Nat Biotechnol. 2007, 25, 68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816182A2 (pt) 2015-04-14
KR20220151013A (ko) 2022-11-11
JP2016026199A (ja) 2016-02-12
CN103937738B (zh) 2017-04-12
KR20180031066A (ko) 2018-03-27
KR20150004899A (ko) 2015-01-13
CN101835491A (zh) 2010-09-15
EP2193806B1 (en) 2017-12-06
US20230210864A1 (en) 2023-07-06
JP5843373B2 (ja) 2016-01-13
EP2193806A4 (en) 2011-03-23
JP2021073322A (ja) 2021-05-13
JP2018131445A (ja) 2018-08-23
JPWO2009028631A1 (ja) 2010-12-02
CN103931608B (zh) 2016-02-03
KR20240045364A (ko) 2024-04-05
US20160101113A1 (en) 2016-04-14
US9248125B2 (en) 2016-02-02
JP2022171847A (ja) 2022-11-11
CN103931608A (zh) 2014-07-23
CA2697895A1 (en) 2009-03-05
WO2009028631A1 (ja) 2009-03-05
KR20210070407A (ko) 2021-06-14
KR20150088907A (ko) 2015-08-03
JP5657252B2 (ja) 2015-01-21
JP5969679B2 (ja) 2016-08-17
JP2013151576A (ja) 2013-08-08
US11633404B2 (en) 2023-04-25
US20100209402A1 (en) 2010-08-19
ES2659980T3 (es) 2018-03-20
RU2474434C2 (ru) 2013-02-10
EP2193806A1 (en) 2010-06-09
RU2010111744A (ru) 2011-10-10
JP2020050652A (ja) 2020-04-02
CN103937738A (zh) 2014-07-23
US11839618B2 (en) 2023-12-12
CN101835491B (zh) 2014-11-26
JP2016193933A (ja) 2016-11-17
KR20100080514A (ko) 2010-07-08
US20160030410A1 (en) 2016-02-04
CA2697895C (en) 2017-10-31
JP2015013905A (ja) 2015-01-22
MX2010002426A (es) 201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10864A1 (en) Agent for promoting corneal endothelial cell adhesion
KR101539700B1 (ko) 연골세포 유래 세포외 기질막을 이용한 신생혈관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각막 또는 결막 이식재
JP7398729B2 (ja) (t)ew-7197を含む角膜内皮疾患を治療または予防するための組成物または方法
Pérez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corneal substitutes from decellularized t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46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607

Effective date: 20220928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