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994A - 제동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차폐 장치 - Google Patents

제동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차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994A
KR20190046994A KR1020197010115A KR20197010115A KR20190046994A KR 20190046994 A KR20190046994 A KR 20190046994A KR 1020197010115 A KR1020197010115 A KR 1020197010115A KR 20197010115 A KR20197010115 A KR 20197010115A KR 20190046994 A KR20190046994 A KR 20190046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groove
narrowing
wall
bra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316B1 (ko
Inventor
카즈토 야마기시
타카토시 우에마츠
다이스케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4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3Structure or support of upper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코드를 협착하는 협착체가 마모에 의해 작아진 경우나, 승강 코드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도 적절하게 코드를 협착 가능한 제동 장치를 제공한다.
코드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로서, 상기 코드를 협착하는 한 쌍의 협착 부재를 갖는 협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협착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소정의 이동 궤적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협착체는 상기 이동 궤적의 소정의 협착위치에서 상기 코드를 협착하고, 상기 이동 궤적은 상기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되는, 제동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제동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차폐 장치
본 발명은 제동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차폐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승강 코드(cord)의 이동을 적절하게 감속하는데 사용 가능한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롤 커튼이나 블라인드 이외에 아코디언 커튼, 플리트 방충망 및 칸막이 등과 같이 반자동화된 현수 지지되는 차폐 장치가 실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횡형 블라인드를 개상태(開狀態)로 할 경우에는, 조작용 코드를 당김으로써 차폐 부재인 슬랫(slat) 및 보텀(bottom) 레일을 끌어 올릴 수 있다. 또한, 횡형 블라인드를 개상태로 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슬랫 및 보텀 레일의 자중을 이용하여 중력에 의해 이러한 슬랫 및 보텀 레일을 내린다. 이 때, 슬랫 및 보텀 레일의 하강에 따라 이동하는 승강 코드에 제동력을 가하여 슬랫 및 보텀 레일의 하강하는 힘을 저감시키는 기구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제동력을 발생하는 원심 거버너(governor)와, 브레이크부에 연결되는 축(코드를 협착(狹窄)하는 협착체)로 이루어지는 댐퍼로서, 승강 코드가 해당 축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승강 코드의 이동에 의해 해당축이 회전하여 해당 브레이크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를 구비하는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댐퍼를 이용함으로써 자중 하강에 따르는 승강 코드의 이동에 대해 확실하게 저항을 부여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2005-03008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댐퍼에서는, 승강 코드와의 마찰에 의해 협착체가 마모하고, 협착체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나, 승강 코드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는 코드에 대해 적절하게 저항을 부여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실시된 것이며, 코드를 협착하는 협착체가 마모에 의해 작아진 경우나, 승강 코드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도, 적절하게 코드를 협착 가능한 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드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로서, 상기 코드를 협착하는 한 쌍의 협착 부재를 갖는 협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협착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소정의 이동 궤적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협착체는 상기 이동 궤적의 소정의 협착위치에서 상기 코드를 협착하고, 상기 이동 궤적은 상기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되는 제동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협착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소정의 이동 궤적에서 이동함으로써, 소정의 협착위치에서 상기 코드를 협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이동 궤적은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협착체의 마모 전에 있어서는 소정의 협착위치에서 코드를 협착하고, 협착체의 마모 후에 있어서는, 소정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되는 이동 궤적 상의 범위까지 협착체가 이동함으로써 협착체의 마모 후이어도 적절하게 코드를 협착하여 제동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코드의 마모에 의해 코드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도 같은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궤적은 상기 코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궤적은 상기 협착 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홈에 따른 상기 협착 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이동의 궤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착 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내포하고 또한 상기 규제 홈을 갖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착체는, 제 1 협착 부재 및 제 2 협착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1 협착 부재는 축을 구비하고, 상기 규제 홈은 상기 축이 상기 코드에 대해 접근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협착위치는 상기 규제 홈의 상기 코드에 대한 접근 방향 측의 단부로부터 이격한 위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협착체가 함께 상기 이동 궤적에서 이동하고, 상기 이동 궤적은 그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협착 부재는 축을 구비하고, 상기 규제 홈은 상기 제 1 협착 부재 및 제 2 협착 부재의 축이 상기 규제 홈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소정의 협착위치에서 상기 코드를 협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규제 홈은 상기 케이스에 2개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1개는 원호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규제 홈은 상기 코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규제 홈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은 거의 연직방향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협착 부재는 협착평면에 의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착평면은 상기 제 1 협착 부재의 이동의 전후에 있어서 고정된 평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협착 부재를 상기 코드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부터 상기 코드를 협착하는 협착위치를 향해 부세(付勢)하는 부세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규제 홈의 가장자리에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벽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동 장치와, 상기 코드의 이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현수 지지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하는 차폐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협착 부재는 협착평면에 의해 구성되는 제동 장치와, 상기 코드의 이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현수 지지되는 차폐 부재와, 상기 제동 장치를 내포하는 헤드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협착평면은 상기 헤드 박스의 저면인 차폐 장치가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차폐 장치(100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이며, (a)는 전방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b)는 후방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이며, (a)는 전방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 (b)는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1000)의 조립도이며, (a)는 전방 사시도, (b)는 후방 사시도, (c)는 좌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1000)의 조립도이며,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1000)로부터 케이스(10A)를 떼어낸 조립도이며, (a)는 전방 사시도, (b)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으로부터 슬라이더(220)를 더 떼어낸 조립도이며, (a)는 전방 사시도, (b)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8은 도7로부터 내치(內齒)가 달린 캐리어(260)를 떼어낸 조립도이며, (a)는 전방 사시도, (b)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널링(240), 슬라이더(220) 및 피니언 기어(5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동 장치(1000)의 좌측면에서 볼 때 축심(31)의 거의 중심을 통과하는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렬 부재(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사시도, (b)은 정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스(10A)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전방 사시도, (b)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스(10A)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슬라이더(22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전방 사시도, (b)는 하측으로부터 본 후방 사시도, (c)는 평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스(10A) 및 슬라이더(22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스(10A) 및 슬라이더(220) 이외의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6은 도4(c)의 A-A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17은 도5(a)의 B-B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18은 도1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동 장치(1000)가 코드(CD)를 제동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코드(CD)에 아무런 장력도 주어지지 않은 상태(정상상태), (b)는 코드(CD)에 장력이 가해지며, 널링(knurling, 240) 및 롤러부(42)로 코드(CD)가 협착된 상태(협착상태), (c)는 (a)로부터 (b)로 상태 변화할 때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회전 방향을 정리한 도면이다.
도19는 도18에 대응하는 슬라이더(220)의 이동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은 협착체(롤러부(42))의 초기 상태(마모 전)에 있어서의 소정의 협착 위치와, 마모 후에 있어서의 협착 위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변환부에 사용되는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플레이트(800)에 의해 널링(240) 및 롤러부(42)가 연결되는 모양을 나타내고, (b)는 끈 형상부재(900)에 의해 널링(240) 및 롤러부(42)가 연결되는 모양을 나타낸다.
도22는 도21(b)의 부재가 코드(CD)를 협착하는 상태를 화살표 Z 방향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변환부에 의해 코드(CD)가 제동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자유이동상태, (b)는 협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운동 변환부에 의해 코드(CD)가 제동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자유이동상태, (b)는 협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변환부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자유이동상태, (b)는 협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운동 변환부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자유이동상태, (b)는 협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운동 변환부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며, 마모에 의해 널링(240)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도, 코드(CD)를 적절하게 협착할 수 있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5000)의 사시도이다.
도29는 제동 장치(5000)의 평면도이다.
도30은 제동 장치(5000)의 정면도이며, (a)는 협착상태를, (b)는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1은 도30의 P-P선 단면도이다.
도32는 내통(42A)을 외통(240A)에 압입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압입 전, (b)는 압입 후이다.
도33은 내통(42A)의 표면에 탄성부(42Aa)를 설치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4는 내통(42A)에 용수철 부재(42Ab)를 설치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제동 장치(5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의 변형예 2에 따른 제동 장치(5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협착상태를, (b)는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7은 도36의 F-F선 단면도이다.
도3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의 변형예 3에 따른 제동 장치(5300)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협착체가 코드(CD)를 협착한 상태, (b)는 협착체에 의한 코드(CD)의 협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39는 도38(a), (b)의 제동 장치(5300)를 각각 동일한 도면의 J-J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40은 도38(a), (b)의 제동 장치(5300)를 각각 동일한 도면의 K-K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4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6000)의 협착체 및 링크 기구(720)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도42는 제 1 실시 형태의 운동 변환부(DT)에 도41의 제동 장치(6000)의 협착체 및 링크기구(720)를 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16의 단면도 상에 협착체 및 링크기구(720)를 기재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3은 도41의 제동 장치(6000)가 코드(CD)를 제동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협착체가 코드(CD)를 협착한 상태, (b)는 협착체에 의한 코드(CD)의 협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4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의 다른 설치 위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일사차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제1실시 형태
1-1 <전체구성>
도1에 나타내는 차폐 장치(100A)는 중공의 헤드 박스(130)로부터 복수개의 래더 코드(123)를 통하여 복수단의 일사차폐 부재(101)가 현수 지지되고, 해당 래더 코드(123)의 하단에는 보텀 레일(122)이 현수 지지되어 있다. 헤드 박스(130)는 상면(131), 저면(132), 측면(133)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그 양단에 박스 캡(134)이 설치된다. 또한, 헤드 박스(130)의 내부에는, 조작봉(108) 내에 코드(CD)를 삽입하기 위한 코드 출구(135)가 설치된다. 래더 코드(123)는 일사차폐 부재(101)를 지지 및 회동 가능한 것이라면 그 구성은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서로 분리된 2개의 종사(縱絲)를 구비하고, 한쪽의 종사가 슬랫의 한쪽의 끝에 장착되고 다른 한쪽의 종사가 슬랫의 다른 한쪽의 끝에 장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헤드 박스(130) 내에는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복수 개 배설되고, 그 지지 부재에는 틸트 드럼(도시하지 않음)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래더 코드(123)의 상단부는 틸트 드럼에 장착되고 그 틸트 드럼의 중심부에는 샤프트(124)(축 부재)가 모든 틸트 드럼에 감삽(嵌揷)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트(124)가 회전되면, 모든 틸트 드럼이 회전되고, 그 틸트 드럼의 회전에 따라, 래더 코드(123)의 종사의 한쪽이 끌어 올려짐으로써, 각 일사차폐 부재(101) 및 저부 레일(122)이 동위상에서 각도 조절된다.
헤드 박스(130)의 일단부에는 통체로 이루어지는 조작봉(108)이 현수 지지되어 있고, 조작봉(108)의 하단에는 조작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120)를 파지하여 조작봉(108)을 회전 조작하면, 헤드 박스(130) 내에 배설되는 기어 기구를 통해 각도 조절축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조작봉(108)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각 일사차폐 부재(101)를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헤드 박스(130)로부터는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승강 코드(102l, 102c, 102r) (구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단순히 "승강 코드(102)"라 칭한다.)가 현수되어 있고, 각 승강 코드(102)의 일단은 저부 레일(122)에 장착된다. 각 지지 부재에는 전향 활차(도시하지 않음)가 도면의 표리 방향의 축심으로 축 지지되어 헤드 박스(130)에 도입된 승강 코드(102)가 헤드 박스의 좌우 방향으로 전향 안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 부재는 다른 승강 코드를 좌우 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공간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우단의 승강 코드(102r)의 타단은 지지 부재로 전향 안내되고 비조작 측의 승강 코드(좌단 및 중앙의 승강 코드(102l, 102c))는 각 지지 부재를 거쳐 헤드 박스(130) 내부를 통해 조작봉(108) 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헤드 박스(130) 내에 설치되는 록부(104) 및 제동 장치(1000)를 거쳐 통 형상의 조작봉(108) 내에 삽입되고 그 선단은 조작부(120)의 하방에 설치된 코드 이퀄라이저(121)에 접속된다. 따라서, 코드 이퀄라이저(121)를 하방으로 당겨 헤드 박스(130)로부터 승강 코드(102)를 인출하면 저부 레일(122)이 끌어 올려짐으로써 일사차폐 부재(101)가 끌어 올려진다.
록부(104)는 코드(CD)(도 4참조)의 동작에 의해, 코드(CD)의 이동을 허가하거나 또는 규제한다.
제동 장치(1000)는 코드(CD)의 이동을 제동하는 것이다. 또한, 제동 장치(10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동 장치(1000)는 헤드 박스(130)의 저면(132) 상에 배치되고 그 양단이 측면(133)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제동 장치(1000)를 저면(132)에 배치하는 대신에 저면(132) 상에 설치한 다른 부재 상에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동 장치(1000)는 헤드 박스(130) 내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전방이 록부(104) 측을 향하고 후방이 코드 출구(135) 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일사차폐 부재(101)가 끝까지 하강한 상태, 즉. 차폐 장치(100A)의 폐상태에 있어서, 1조의 코드(CD)를 하방으로 끌어당기면 코드(CD)는 도 4에 나타내는 후방으로 끌린다.
한편, 일사차폐 부재(101)가 끝까지 하강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록부(104)에 의해 코드(CD)가 잠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코드(CD)를 놓는다. 그러면, 일사차폐 부재(101)는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이 때문에, 승강 코드(102)는 헤드 박스(130) 내부로부터 인출된다. 따라서, 승강 코드(102)에 접속되는 코드(CD)는 제동 장치(1000)의 전방을 향해 당겨진다. 그러면, 코드(CD)에는 제동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일사차폐 부재(101)의 하강 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사차폐 부재(101)의 하강 속도가 초과하는 것에 의한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18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차폐 장치(100A)에 의하면, 일사차폐 부재(101)를 승강 가능하도록 하는 코드(CD)의 길이 방향의 이동에 대해, 제동 장치(1000)에 의해 적절하게 제동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일사차폐 부재(101)가 자중에 의해 하강할 경우에도 일사차폐 부재(101)의 하강 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1-2 <제동 장치>
이어서, 도2 ~ 도20을 이용하여 제동 장치(10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1000)는 코드의 이동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1000)에서는, 운동 변환부에 따른 기구와 저항 부여부에 따른 기구가 거의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동 변환부는 코드(CD)의 이동을 다른 부재의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또한, 저항 부여부는 코드(CD)가 일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에, 코드(CD)의 이동에 따라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더(220), 코일 스프링(SP), 축심(41) 및 롤러부(42)로 이루어지는 아이들 롤러(40), 널링(240), 피니언 기어(50), 축심(31), 워셔(241),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 및 유성 기어(280)가 운동 변환부를 구성하고, 웨이트(340),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 및 케이스(10A)가 저항 부여부를 구성한다.
도2 및 도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동 장치(1000)는 정렬 부재(200), 케이스(10A), 슬라이더(220), 코일 스프링(SP), 축심(41) 및 롤러부(42)로 이루어지는 아이들 롤러(40), 널링(240), 피니언 기어(50), 널링(240) 및 피니언 기어(50)에 삽입되어 통과하는 축심(31), 워셔(241),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 유성 기어(280), 플레이트(300),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 웨이트(340) 및 베이스(70)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아이들 롤러(40) 및 널링(240)은 코드를 협착하는 한 쌍의 협착 부재(제 1협착 부재 및 제 2협착 부재)이며, 이들이 협동(協動)함으로써 협착체로서 기능한다. 또한, 아이들 롤러(40)가 지주에, 널링(240)이 코드의 길이 방향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로서 기능한다. 또한, 슬라이더(220)는 아이들 롤러(40) 및 널링(240)을 유지한다. 또한, 케이스(10A) 및 베이스(70)는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에 4개의 유성 기어(280)가 설치되고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에 8개의 웨이트(340)가 유지된다. 이하, 각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1-2-1 <정렬 부재(200)>
도 4(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렬 부재(200)는 코드(CD)를 삽통하고, 코드(CD)의 방향을 정리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코드(CD)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것이다. 정렬 부재(200)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의 방향을 각각 전후, 좌우, 상하로 한다. 즉, 제 1천벽(天壁)홈(16)과 제 2천벽(天壁)홈(17)의 거리가 좁아지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좌우 방향(폭방향), 상하 방향을 정한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렬 부재(200)는 전방벽부(205)와, 전방벽부(205)에 연결되는 우측벽부(207) 및 좌측벽부(208)와, 우측벽부(207) 및 좌측벽부(208)의 각각 연결되는 후방벽부(206)를 갖는다. 전방벽부(205), 우측벽부(207), 좌측벽부(208) 및 후방벽부(206)의 형상은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거의 구형(직사각형, 矩形)의 형상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벽부(205) 및 후방벽부(206)는 거의 대칭 형상이다.
전방벽부(205)에는 제 1 전방홈(201), 제 1 전방 코드 삽입부(201A), 제 2전방홈(202) 및 제 2전방 코드 삽입부(202A)가 형성된다. 또한, 후방벽부(206)에는, 제 1 후방홈(203), 제 1 후방 코드 삽입부(203A), 제 2 후방홈(204) 및 제 2 후방 코드 삽입부(204A)가 형성된다.
제 1 전방 코드 삽입부(201A) 및 제 2 전방 코드 삽입부(202A)는 제동 장치(1000)의 조립 후에 코드(CD)를 정렬 부재(200)에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전방 코드 삽입부(201A)는 제 1 전방홈(201)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또한, 제 2 전방 코드 삽입부(202A)는 제 2 전방홈(202)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전방 코드 삽입부(201A) 및 제 2 전방 코드 삽입부(202A)에 코드(CD)를 삽입하고, 그대로 제 1 전방홈(201) 및 제 2 전방홈(202) 쪽에 코드(CD)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코드(CD)를 원활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후방 코드 삽입부(203A) 및 제 2 후방 코드 삽입부(204A)는 전방 벽부(205)에 삽입되어 통과된 코드(CD)가 후술하는 슬라이더(220)의 전후의 관통공(225)(도 13참조)을 통과하고 이러한 코드(CD)를 후방벽부(206)로부터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후방 코드 삽입부(203A)는 제 1 후방홈(203)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또한, 제 2 후방 코드 삽입부(204A)는 제 2 후방홈(204)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후방 코드 삽입부(203A) 및 제 2 후방 코드 삽입부(204A)에 코드(CD)를 삽입하여 통과하고 그대로 제 1 후방홈(203) 및 제 2 후방홈(204) 쪽에 코드(CD)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코드(CD)를 원활하게 삽입하여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 1 전방 코드 삽입부(201A), 제 2 전방 코드 삽입부(202A), 제 1 후방 코드 삽입부(203A) 및 제 2 후방 코드 삽입부(204A)의 형상은 임의이며, 도 10에 나타내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거의 원형이어도 되고, 세로로 긴 형상으로부터 경사진 형상을 통해 제 1 전방홈(201)(기타의 홈이라도 동일)에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방 코드 삽입부(201A)와 제 1 전방홈(201)의 사이에 단차(210)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러한 단차(210)를 설치하지 않고, 전방 벽부(205)(또는 후방벽부(206))를 거의 구형(矩形)으로 해도 된다.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벽부(205) 및 후방 벽부(206)는 정면에서 볼 때, 거의 동일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제 1 전방 코드 삽입부(201A)로부터 삽입되어 통과된 코드(CD)는 제 1후방 코드 삽입부(203A)를 통과하고, 제 2 전방 코드 삽입부(202A)로부터 삽입되어 통과된 코드(CD)는 제 2 후방 코드 삽입부(204A)를 통과한다. 즉, 제 1 전방홈(201) 및 제 1 전방 코드 삽입부(201A)와 제 1 후방홈(203) 및 제 1 후방 코드 삽입부(203A)가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홈이며, 제 2 전방홈(202) 및 제 2 전방 코드 삽입부(202A)와 제 2 후방홈(204) 및 제 2 후방 코드 삽입부(204A)가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홈이다.
여기에서,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렬 부재(200)의 우측벽부(207)에는, 제동 장치(1000)의 조립 시에 있어서 케이스(10A)의 상방으로부터 씌우도록 하여 일체화할 때에, 후술하는 케이스(10A)의 계합(係合)공(19)(도11참조)과 계합하고, 정렬 부재(200)를 케이스(10A)에 고정하기 위한 클로(claw)부(209)가 설치된다. 또한, 도10에 있어서 나타내지 않았지만, 좌측벽부(208)의 내부의 면에도 동일한 클로부(209)가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우측벽부(207)와 좌측벽부(208)가 외방향으로 탄성변형하면서 케이스 상부(10A)가 들어가고, 정렬 부재(200)에 설치된 2개의 클로부(209)와 케이스(10A)의 좌우에 설치된 2개의 계합공(19)이 탄성적으로 계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2-2 <케이스(10A)>
이어서, 도 11(a), (b) 및 도 12을 이용하여 케이스(10A)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 도 12에 있어서 좌방향을 전방, 우방향을 후방, 상방향을 우측, 하방향을 좌측으로서 설명한다. 케이스(10A)는, 베이스(70)와 함께 하우징을 구성하고, 그 내부에 슬라이더(220), 코일 스프링(SP), 축심(41) 및 롤러부(42)로 이루어지는 아이들 롤러(40), 널링(240), 피니언 기어(50), 축심(31), 워셔(241),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 유성 기어(280), 플레이트(300),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 및 웨이트(340)를 유지한다.
또한, 케이스(10A)는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베이스(70)와 함께 제동 장치(1000)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 및 웨이트(340)와 함께 저항 부여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A)는 외형이 거의 정방형의 천벽(天壁)부(11)와, 전(前)측벽부(12f)와, 전측벽부(12f) 및 천벽부(11)에 연결되는 우측벽부(12r) 및 좌측벽부(12l)와, 우측벽부(12r) 및 좌측벽부(12l)의 각각에 연결되는 후측벽부(12b)와, 천벽부(11)에 대향하고, 전측벽부(12f), 후측벽부(12b), 전측벽부(12f) 및 좌측벽부(12l)로부터 경방향 측을 향해 연장되는 악부(buttock, 鍔部(13)와, 악부(13)에 연결되는 원통부(13C)와, 원통부(13C)에 연결되는 커버부(112)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전측벽부(12f) 및 후측벽부(12b)에는, 가이드 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2개의 가이드 홈(113)은 서로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이 가이드 홈(113)은 코드(CD)가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어 통과되기 위한 홈이다. 여기에서, 가이드 홈(113)에 삽입하여 통과되는 코드(CD)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코드(CD)가 세로 방향으로 삽입되어 통과된 예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도 4참조).
또한, 우측벽부(12r) 및 좌측벽부(12l)에는, 계합공(19)이 설치된다. 계합공(19)은 이미 말한대로, 정렬 부재(200)의 클로부(209)와 계합하고, 정렬 부재(200)를 케이스(10A)에 고정하는 것이다.
게다가, 좌우의 계합공(19)의 상방에는 지지홈(114)이 설치된다. 지지홈(114)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A)가 슬라이더(220)를 내부에 유지할 때, 슬라이더(220)에 설치되는 돌기(230)를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더(220)를 뜬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천벽부(11)에는, 제 1 천벽홈(16)과 제 2 천벽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천벽홈(16) 및 제 2 천벽홈(17)은 각각 코드(CD)의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코드(CD)의 한쪽의 길이 방향인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제 1 천벽홈(16)과 제 2 천벽홈(17)과의 거리가 작게 되어 있다. 즉, 또한, 제 1 천벽홈(16)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협착안내 사면(16a), 해제안내 사면(16b), 협착측 규제면(16c) 및 해제측 규제면(16d)에 의해 내주면이 형성된다. 제 1 천벽홈(16)의 원호는 도 7에 나타내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의 내주면과 평면에서 볼 경우 동심원상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2 천벽홈(17)은 완만한 커브를 그린 형상으로 형성되고 협착안내 사면(17a), 해제안내 사면(17b), 협착측 규제면(17c) 및 해제측 규제면(17d)에 의해 내주면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천벽홈(17)은 전방측이 거의 직선상의 형상으로 되고, 후방을 향함에 따라 제 1 천벽홈(16)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것은, 제 2 천벽홈(17)을 거의 직선상으로 했을 경우, 제 1 천벽홈(16)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코드(CD)에 가까워지는 것과 같은 원호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축심(31) 및 축심(41)이 각각 제 1 천벽홈(16) 및 제 2 천벽홈(17)에 따라 이동할 때에, 코드(CD)에 대한 수직방향의 변위가 축심(31)과 축심(41)에서 다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한쪽이 원호인 것에 대해, 다른 한쪽이 거의 직선 형상이면 전후 방향에서 코드(CD)에의 수직거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축심(31) 및 축심(41)의 코드(CD)의 연직방향에 대한 변위를 근접시킴으로써, 널링(240) 및 롤러부(42)가 적절하게 코드(CD)를 협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2 천벽홈(17)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천벽홈(16)과 거의 동일 형상의 홈을 코드(CD)측을 향해 만곡하는 배치로 해도 된다. 따라서, CD에 대한 연직방향의 변위를 축심(31)과 축심(41)에서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코드(CD)의 마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코드(CD)에 대한 연직방향의 변위를 축심(31)과 축심(41)에서 될수록 동일하게 하는 이외에 다른 부재의 이동 등에 의한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도 12(a)에 나타내는 형상을 사용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천벽홈(16)과 제 2 천벽홈(17)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제 1 천벽홈(16)의 가장자리에는, 도 11(a), (b),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A)의 평면에서 볼 경우, 제 1 천벽홈(16)에 있어서의 케이스(10A)의 외측의 가장자리에 따른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천벽홈(1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제 1 가이드 벽(16A)이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가이드 벽(16A)은 제 1 천벽홈(16)에 대해 거의 90도가 되도록 설치된다. 제 1 가이드 벽(16A)은 제 1 천벽홈(16)에 따라 이동하는 축심(31)의 면압(面壓)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제 1 가이드 벽(16A)을 설치함으로써, 축심(31)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대함으로써 축심(31)의 면압을 저감하는 것이다. 이것은 코드(CD)에 장력이 부여되어 제동 장치(1000)가 작용하고 있는 사이에는 축심(31)의 면압이 제 1 천벽홈(16)의 내면에 가해지고 있어 이러한 면압에 의해 제 1 천벽홈(16)의 내면이 깎이면 널링(240)과 롤러부(42)의 간격이 변화되어 널링(240)에의 회전 전달이 불충분해지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제 1 가이드 벽(16A)을 설치함으로써, 축심(31)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케이스(10A)가 깎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가이드 벽(16A)의 두께는 임의이지만, 케이스(10A)의 소재, 축심(31)의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계하면 된다.
또한, 케이스(10A)의 평면에서 볼 때, 제 2 천벽홈(17)에 있어서의 케이스(10A)의 외측의 가장자리에 따른 위치에는, 케이스(10A)의 중심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에 따른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 제 2 천벽홈(17)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제 2 가이드 벽(17A)이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가이드 벽(17A)은 제 2 천벽홈(17)에 대해 거의 90도가 되도록 설치된다. 제 2 가이드 벽(17A)은 제 2 천벽홈(17)에 따라 이동하는 축심(41)의 면압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제 2 가이드 벽(17A)을 설치함으로써, 축심(41)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대함으로써, 축심(41)의 면압을 저감하는 것이다. 이것은, 코드(CD)에 장력이 부여되어 제동 장치(1000)가 작용하고 있는 사이는 축심(41)의 면압이 제 2 천벽홈(17)의 내면에 가해지고 있어 이러한 면압에 의해 제 2 천벽홈(17)의 내면이 깎이면, 널링(240)과 롤러부(42)의 간격이 변화되고, 널링(240)에의 회전 전달이 불충분해지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제 2 가이드 벽(17A)을 설치함으로써, 축심(41)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케이스(10A)가 깎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가이드 벽(17A)의 두께는 임의이지만, 케이스(10A)의 소재, 축심(41)의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계하면 된다.
한편, 케이스(10A)를 금속 등의 강고한 재료로 성형했을 경우에는 제 1 가이드 벽(16A) 및 제 2 가이드 벽(17A)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은 케이스(10A)가 견고하기 때문에 축심(31) 및 축심(41)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케이스(10A)가 거의 깎이지 않기 때문이다.
악부(13)는 천벽부(11)에 대향하고, 전측벽부(12f), 후측벽부(12b), 우측벽부(12r) 및 좌측벽부(12l)로부터 직경 방향 측을 향해 연장되는 부위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거의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원통부(13C)는, 악부(13)에 연결되며 내주 기어(115)의 외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통부(13C)는 거의 원통 형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버부(112)는 원통부(13C)에 연결되고 베이스(70)와 감합(嵌合)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부(112)의 외연은 거의 정방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버부(112)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측면의 양단에 각각 2개의 제 1 계합홈(111A)이 설치된다. 그리고, 전단부의 양단에 2개의 제 2 계합홈(111B)이 설치되며 후단부의 거의 중앙에 1개의 제 2 계합홈(111B)이 설치된다. 제 1 계합홈(111A)은 도 15에 나타내는 베이스(70)의 제 1 계합판부(701A)와 계합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계합홈(111B)은 베이스(70)의 제 2 계합판부(701B)와 계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스(10A)와 베이스(70)가 계합되어 하우징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2(b), 도 14(a) 및 도 16을 이용하고, 케이스(10A)의 내부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스(10A)의 내부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성 기어(280)와 치합하는 링 형상의 내주 기어(115)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12(b) 및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 기어(115)의 상부에는, 평면에서 볼 때 거의 링 형상의 파형부(波形部, 116)가 형성된다. 파형부(116)는 내주 기어(115)의 중심을 통과하는 원의 중심으로부터의 수평거리가 작은 부분 및 큰 부분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는 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직선을 이어 이루어지는 다각 형상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주 기어(115)의 중심을 통과하는 원의 중심으로부터의 수평거리가 큰 부분이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의 일부와 당접하고, 내주 기어(115)의 중심을 통과하는 원의 중심으로부터의 수평거리가 작은 부분이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와 당접하지 않도록 파형부(116)가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10A)의 내부에 있어서의 악부(13)의 내면측의 면에는, 케이스(10A)의 연직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다른 단차(117)가 설치된다. 파형부(116) 및 단차(117)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코드(CD)의 이동에 따른 연직방향의 물리적 또는 가상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의 일례인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 등의 다른 부재의 위치 결정을 쉽게 하는 동시에 마찰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는 회전 부재인 동시에 유성 기어(28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코드(CD)의 일 방향에의 이동에 따른 널링(240)의 회전속도를 증속하여 저항 부여부(RA)에 전달하는 증속부재라고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리적 또는 가상적 회전축은 회전 부재의 회전축이 물리적인 축일 경우 또는 물리적인 축은 없지만 가상적인 축(예를 들면, 웨이트 홀더(320)(도2, 도3참조)의 평면에서 볼 때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연직축)일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A)의 좌우의 내측면에는, 4개의 홈(118)이 형성된다. 홈(118)은 제동 장치(1000)를 조립하는 또는 분해할 때에, 후술하는 슬라이더(220)의 돌기(230)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더(220)의 돌기(230)가 4개이기 때문에 케이스(10A)에도 4개의 홈(118)을 설치하고 있다.
1-2-3 <슬라이더(220)>
이어서, 도 13을 이용하여 슬라이더(220)에 대해 설명한다. 슬라이더(220)는 아이들 롤러(40) 및 널링(240)을 내부에 유지하는 동시에 아이들 롤러(40) 및 널링(240)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 부재에 상당한다. 슬라이더(220)는 천벽부(221)와 천벽부(221)에 연결되는 후측벽부(222) 및 전측벽부(224)와, 각각 후측벽부(222) 및 전측벽부(224)에 연결되는 저벽부(223)를 갖는다.
천벽부(221)는 거의 구형(矩形)의 형상에 한 쌍의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된다. 이들의 한 쌍의 홈은 각각 제 1 천벽홈(226) 및 제 2 천벽홈(227)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천벽홈(226) 및 제 2 천벽홈(227)은 각각 좌우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직선 상으로 나열되어 있다.
저벽부(223)는 천벽부(221)와 대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벽부(223)는 대강 천벽부(221)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천벽부(221)와 저벽부(223)를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저벽부(223)에도 좌우 방향으로 직선 상으로 나열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한 쌍의 홈은 각각 제 1 저벽홈(228) 및 제 2 저벽홈(229)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저벽홈(228)이 제 1 천벽홈(226)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고, 제 2 저벽홈(229)이 제 2 천벽홈(227)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220)를 평면에서 보면, 도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의 홈이 겹치게 보인다.
여기에서, 제 1 천벽홈(226) 및 제 1 저벽홈(228)의 폭의 크기는 축심(31)의 직경보다 큰 정도의 크기이다. 또한, 제 2 천벽홈(227) 및 제 2 저벽홈(229)의 폭의 크기는 축심(41)이 수납되는 정도의 크기다.
또한, 천벽부(221)에는 그 네 구석에 천벽부(221)의 좌우에 돌출하도록 돌기(230)가 설치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230)는 케이스(10A)의 지지홈(114)에 수납되어 있고, 케이스(10A)의 내부에 슬라이더(220)를 뜬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슬라이더(220)가 하방에 위치하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와 비접촉 상태에서 유지된다.
전측벽부(224) 및 후측벽부(222)에는 관통공(22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25)은 전측벽부(224) 및 후측벽부(222)의 폭방향의 거의 중앙에 있어서 전측벽부(224) 및 후 측벽부(22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구멍의 형상은 임의이지만, 적어도 코드(CD) 1개가 삽입 가능한 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코드(CD)가 세로방향으로 정렬한 상태에서 삽입 가능한 형상이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긴 거의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측벽부(222)에, 관통공(225)의 양편에 후측벽부(222)의 외측면으로부터 형성되는 요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231)의 형상은 임의이며,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관통공(225)으로부터 측면측에 걸쳐 노칭(notching)된 형상이어도 되고 거의 원형, 거의 구형(矩形)의 요면 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의 요부(231) 내에 코일 스프링(SP)이 배치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SP)의 일단은 요부(23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동 장치(1000)의 조립 시에 케이스(10A)의 내벽과 당접하고 슬라이더(220)를 전방으로 부세한다. 한편, 도 13에서는 코일 스프링(SP)의 요부(23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오른쪽의 요부(231) 내에 코일 스프링(SP)을 배치해도 된다. 또한, 좌우 양쪽의 요부(231) 내에 코일 스프링(SP)을 배치해도 된다.
이러한 형상의 슬라이더(220)의 좌우 방향의 크기는 케이스(10A)의 폭방향의 내벽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고 슬라이더(220)의 전후 방향의 크기는 케이스(10A)의 전후 방향의 내벽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20)가 케이스(10A)의 공간 내에 배치되면, 슬라이더(220)의 천벽부(221) 및 저벽부(223)의 측면이 케이스(10A)의 폭방향에서 내벽면에 당접하고 슬라이더(220)는 케이스(10A)에 대해 폭방향으로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10A)의 가이드 홈(113)과 슬라이더(220)의 관통공(225)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나열된다. 즉, 관통공(225)은 코드(CD)를 슬라이더(220) 내에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다. 또한, 슬라이더(220)가 케이스(10A)의 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20)와 케이스(10A)의 내벽면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극이 생기고, 슬라이더(220)는 케이스(10A)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220)가 케이스(10A)의 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20)의 후측벽부(222)의 요부(231)로부터 돌출하는 코일 스프링(SP)이 케이스(10A)의 후방의 내벽을 가압한다. 따라서, 슬라이더(220)가 케이스(10A)의 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20)는 전방측에 위치하고 케이스(10A) 내에서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도 14를 이용하여 슬라이더(220)의 돌기(23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장치(1000)를 조립할 때에는, 케이스(10A) 내부의 하방에 슬라이더(220)가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양자가 접근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그리고, 케이스(10A)의 내부에 설치된 홈(118)에 슬라이더(220)에 설치된 돌기(230)를 통과시킨다. 한편, 도 14(a)에 있어서,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홈(118)을 강조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230)가 지지홈(114)까지 도달할 때까지 케이스(10A)와 슬라이더(220)를 접근시킨다. 그러면, 슬라이더(220)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SP)이 케이스(10A)의 후방의 내벽과 당접하고, 슬라이더(220)를 전방에 부세함으로써, 돌기(230)가 홈(118)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때문에, 일단 케이스(10A)에 슬라이더(220)를 장착하면 돌기(230)가 지지홈(114)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홈(118)은 제동 장치(1000)의 조립 시뿐만 아니라, 분해 시에도 돌기(230)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SP)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더(220)를 케이스(10A)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돌기(230)가 홈(118)의 위치까지 도달했을 때에 슬라이더(220)를 케이스(10A)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슬라이더(220)를 케이스(10A) 내부에서 뜬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때문에, 슬라이더(220)와 다른 부품, 예를 들면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 등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저항력을 저감 또는 제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부재의 소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2-4 <아이들 롤러(40), 널링(240) 및 피니언 기어(50)>
이어서, 도 3 및 도 15를 이용하여 아이들 롤러(40), 널링(240) 및 피니언 기어(50)에 대해 설명한다.
아이들 롤러(40)는 롤러부(42) 및 축심(41)으로 구성된다. 또한, 아이들 롤러(40)는 널링(240)의 축심(31)과 평행하는 축심(41)과, 축심(41)의 외주면을 덮는 롤러부(42)를 구비한다. 따라서, 널링(240)의 회전축과 아이들 롤러(40)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으로 된다. 아이들 롤러(40)의 롤러부(42)의 외경은 널링(240)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아이들 롤러(40)의 롤러부(42)의 외주면은 금속이 평탄한 면보다 마찰 계수가 높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축심(41)의 양단부는 롤러부(42)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널링(240)의 중심에는 축심(31)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축심(31)의 타단에는 피니언 기어(50)가 삽입되어 있다. 널링(240)은 임의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이들 롤러(40) 및 널링(240)은 슬라이더(220)의 내부에 유지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50)는 슬라이더(220)의 외부에 유지된다. 여기에서, 도 9를 이용하여 널링(240), 슬라이더(220) 및 피니언 기어(50)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1000)의 좌측면으로부터 보아 축심(31)의 거의 중심을 통과하는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장치(1000)의 조립 시에 있어서, 널링(240)과 피니언 기어(50)로 슬라이더(220)의 저벽부(223)를 끼우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니언 기어(50)와 슬라이더(220)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기 위해 피니언 기어(50)에 단차(51)가 설치된다. 따라서, 축심(31)을 통해 널링(240) 및 피니언 기어(50)가 일체 회전할 때에, 피니언 기어(50)와 슬라이더(220)의 사이의 접동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동작을 매끄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니언 기어(50)의 하측에 있어서, 워셔(241)(도 2 및 도 3 참조)를 축심(31)에 감합시키고 있다.
1-2-5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 및 유성 기어(280)>
이어서, 도 2 및 도 15를 이용하여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 및 유성 기어(28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는 평면에서 볼 때 거의 도넛(donut) 형상이다.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는 원기둥부(264)로부터 평면에서 볼 때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262)를 구비한다.
원기둥부(264)의 내측의 내주면에는 피니언 기어(50)와 치합하는 내치 기어(261)가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262)에는, 연직방향에 있어서 아래를 향해 돌출하는 지지축(263)이 형성된다. 지지축(263)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등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지지축(263)이 4개 설치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축(263)에는 각각 유성 기어(28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유성 기어(280)는 후술하는 선 기어(323)와 케이스(10A)의 내부에 설치된 내주 기어(115)와 서로 치합한다. 그리고, 내치 기어(261)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공전(公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50)의 회전이 내치 기어(261)에 전달됨으로써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가 회전하고 거기에 따라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의 플랜지(262)에 설치된 지지축(263)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유성 기어(280)가 회전함으로써 피니언 기어(50)에 기인하는 회전을 증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성 기어(280)에는 단차(28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단차에 의해 다른 부재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2-6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 및 웨이트(340)>
이어서,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 및 웨이트(340)에 대해 도2 및 도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웨이트(340)는 케이스(10A) 내의 베이스(70)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동 대상으로부터의 회전 입력에 의해 직경방향 외측으로 원심력이 가해지는 원심 확장부의 일례이다.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는 링 형상의 링부(324)의 외방을 향해 철부(凸部, 321) 및 요부(322)가 번갈아 나열되어 형성된다. 여기에서, 철부(321)는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의 자전 시에 웨이트(340)의 측면과 당접하는 부재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부(324)의 외측의 외주면에는 유성 기어(280)와 치합되는 선 기어(323)가, 회전축이 철부(321)의 연장방향과 거의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요부(322)에는 웨이트(340)가 배치된다. 즉,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는 제동 장치(1000)의 조립 시에 있어서, 철부(321)를 경계로서 각각의 요부(322) 내에 웨이트(340)를 유지하는 부재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웨이트(340)의 개수는 임의이지만 회전시에 있어서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등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8개의 웨이트(340)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철부(321) 및 요부(322)도 각각 8개씩 설치되어 있다. 즉, 요부(322)는 각각 등간격인 동시에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의 자전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웨이트(340)에는, 베이스(70) 측에 돌기(341)가 설치된다. 따라서, 웨이트(340)와 베이스(70)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부에 단차가 설치된다. 따라서, 베이스(70)와 당접할 때에 있어서의 저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돌기(341)의 개수는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4개의 돌기(341)를 설치하고 있다.
웨이트(340)는 피니언 기어(50)에 기인하는 회전시에 원심력에 의해 내치 기어(261)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케이스(10A)의 내주벽과 당접함으로써 회전에 대해 원심 브레이크로서 저항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스(10A)의 내주벽,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 및 웨이트(340)에 의해 제 1 실시 형태의 저항 부여부와 동등한 작용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동 장치(1000)의 조립 시에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와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가 플레이트(300)를 통해 조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의 원기둥부(264)를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의 링부(324)에 삽입하도록 조립한다. 따라서, 원기둥부(264)의 직경은 링부(324)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 설계된다.
여기에서, 플레이트(300)는 유성 기어(280)의 경사를 방지하는 동시에 유성 기어(280)와 웨이트(340)의 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웨이트(340)는 제동 장치(1000)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될수록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레이트(300)는 얇게 형성하기 위해 금속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술적으로 가능할 경우에는 플레이트(300)를 수지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선 기어(323)와 일체 형성으로 해도 된다.
1-2-7 <베이스(70)>
이어서, 도 2, 도 3, 도 5(b) 및 도 15를 이용하여 베이스(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70)의 거의 중앙에는 주위보다 부피가 크게 되어 있고 하측이 오목하게 되어 있는 원기둥부(708)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기둥부(708)의 표면에 제 1 베이스 홈(706), 제 1 가이드 벽(706A), 제 2 베이스 홈(707), 제 2 가이드 벽(707A)이 설치된다.
제 1 베이스 홈(706) 및 제 1 가이드 벽(706A)은 각각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 1 천벽홈(16)및 제 1 가이드 벽(16A)에 상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축심(31)의 하단이 제 1 베이스 홈(706)을 삽입, 통과하여 그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벽(706A)과 당접한다. 동일하게, 제 2 베이스 홈(707) 및 제 2 가이드 벽(707A)은 각각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 2 천벽홈(17)및 제 2 가이드 벽(17A)에 상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축심(41)의 하단이 제 2 베이스 홈(707)을 삽입, 통과하여 그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2 가이드 벽(707A)과 당접한다
한편, 원기둥부(708)는 필수적이지 않지만, 원기둥부(708)를 설치하는 등으로 하측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축심(31) 및 축심(41)의 하단이 제동 장치(1000)를 배치하는 배치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축심(31) 및 축심(41)의 하단을 적절하게 삽입,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70)는 좌우의 측면의 양단에 각각 2개의 제 1 계합판부(701A)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의 측면의 양단에 2개의 제 2 계합판부(701B)가 설치되며 후방의 측면의 거의 중앙에 1개의 제 2 계합판부(701B)가 설치된다. 제 1 계합판부(701A)는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 1 계합홈(111A)과 계합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계합판부(701B)는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 2 계합홈(111B)과 계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스(10A)와 베이스(70)가 계합되어 하우징을 형성한다.
또한, 도 3, 도 5(b) 및 도 1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70)의 저면의 외측에는, 차폐 장치의 헤드 박스 내에 제동 장치(1000)를 배치할 때에 이용하는 설치통(702)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헤드 박스 내에 설치된 축 등의 부재에 설치통(702)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동 장치(1000)를 헤드 박스 내에서 안정하게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3 <조립구성>
이어서 이들의 각 부재를 조립한 상태에 대해 도 4 ~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이들 부재를 조합시켜 구성된 제동 장치(1000)의 조립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장치(1000)의 외관은 케이스(10A) 및 베이스(70)가 연결된 하우징과 케이스(10A)의 상방으로부터 씌우도록 하여 배치된 정렬 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립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부재끼리의 중심축을 상하 방향으로 겹치게 한 상태에서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와 웨이트(340)를 유지한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가 플레이트(300)를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에 설치된 유성 기어(280)와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에 설치된 선 기어(323)가 서로 치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슬라이더(220)의 제 1 천벽홈(226) 및 제 1 저벽홈(228)에 축심(31)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슬라이드시킨다. 이 때, 널링(240)은 슬라이더(220)의 내부에, 피니언 기어(50)는 슬라이더(22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 2 천벽홈(227) 및 제 2 저벽홈(229)에 축심(41)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슬라이드시킨다. 이 때, 롤러부(42)가 슬라이더(2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에 설치된 내치 기어(261)와 피니언 기어(50)가 서로 치합하도록 슬라이더(220)와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가 서로 근접하게 상대 이동시킨다.
그 후, 이 부재의 하측에 베이스(70)를 배치하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220)의 돌기(230)가 케이스(10A)의 홈(118)을 통과하도록 하여 케이스(10A)를 상방으로부터 씌운다. 이 때, 슬라이더(220)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SP)이 케이스(10A)의 내주벽과 당접하고, 슬라이더(220)가 전방으로 부세되어 돌기(230)가 지지홈(114)으로부터 누락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 1 계합홈(111A) 및 제 1 계합홈(111B)과, 베이스(70)에 설치된 제 1 계합판부(701A) 및 제 2 계합판부(701B)를 서로 계합시켜 케이스(10A)와 베이스(70)를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케이스(10A) 및 베이스(70)로 구성되는 하우징의 상방으로부터, 정렬 부재(200)를 씌운다. 그리고, 정렬 부재(200)에 설치된 클로부(209)를 케이스(10A)에 설치된 계합공(19)과 계합시켜 정렬 부재(200)와 케이스(10A)를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조립된 제동 장치(1000)를 도4에 나타낸다. 그리고, 제동 장치(10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첫번째의 코드(CD)가 정렬 부재(200)의 전방 벽부(205)의 외측이며 제 1 전방홈(20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두번째의 코드(CD)가 정렬 부재(200)의 제 1 전방 코드 삽입부(201A)를 통해 제 1 전방홈(201)에 삽입된다. 그리고, 세번째의 코드(CD)가 제 2 전방 코드 삽입부(202A)를 통해 제 2 전방홈(202)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 코드(CD)가 케이스(10A)의 전후에 설치된 가이드 홈(113) 및 슬라이더(220)의 전후에 설치된 관통공(225)으로 통과된다.
그리고, 이러한 코드(CD) 중, 첫번째의 코드(CD)가 정렬 부재(200)의 후방벽부(206)의 외측이며 제 1 후방홈(203)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통과된다. 그리고, 두번째의 코드(CD)가 정렬 부재(200)의 후방벽부(206)에 설치된 제 1 후방 코드 삽입부(203A)를 통해 제 1 후방홈(203)으로부터 외부로 통과된다. 그리고, 세번째의 코드(CD)가 제 2 후방 코드 삽입부(204A)를 통해 제 2 후방홈(204)으로부터 외부로 통과된다. 따라서, 도 4(a), (b)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도 4(c)는 제동 장치(1000)의 좌측면도, 즉, 도 4(a)의 화살표 X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장치(1000)는 측면에서 볼 때, 상측으로부터 케이스(10A), 정렬 부재(200), 베이스(70)가 시인(視認)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지지홈(114)에 의해 돌기(230)가 지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장치(1000)는 그 평면에서 볼 때 중심으로부터 케이스(10A), 정렬 부재(200), 베이스(70)의 일부의 순서대로 시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4(a), (b) 및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의 상단이 슬라이더(220)에 설치된 제 1 천벽홈(226)으로부터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 1 천벽홈(16)을 삽입, 통과하여 케이스(10A)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동일하게 축심(41)의 상단이 슬라이더(220)에 설치된 제 2 천벽홈(227)으로부터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 2 천벽홈(17)을 삽입, 통과하여 케이스(10A)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천벽홈(16)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 1 가이드 벽(16A)이 축심(31)과 당접하고 제 2 천벽홈(17)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 2 가이드 벽(17A)이 축심(41)과 당접하고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70)는 저면에서 볼 때, 제 1 베이스 홈(706)에 삽입되어 통과된 축심(31)의 하단과 제 2 베이스 홈(707)에 삽입되어 통과된 축심(41)의 하단을 시인할 수 있다. 한편, 설치통(702)이 설치되는 면에 있어서 원기둥부(708) 위를 면으로 씌움으로써 축심(31) 및 축심(41)의 하단이 외부로부터 씌워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3-2 <조립상태에서의 내부구조>
이어서 도6 ~ 도8을 이용하여 조립상태에서의 내부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상태로부터 정렬 부재(200) 및 케이스(10A)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220)의 상방에 축심(31) 및 축심(41)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축심(31)은 제 1 천벽홈(226) 내에 있어서 슬라이더(220)의 폭방향으로 움직임이 규제된다. 동일하게, 축심(41)은 제 2 천벽홈(227) 내에 있어서 슬라이더(220)의 폭방향으로 움직임이 규제된다. 한편,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코드(CD)는 슬라이더(220)의 관통공(225)에 세로로 정렬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20)의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어 통과된다.
도 7은, 도 6의 상태로부터 슬라이더(220)를 더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시를 생략한 코드(CD)는 널링(240) 및 롤러부(42)에 협착된 상태에서 제동 장치(1000)의 전후에 삽입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50)와 내치 기어(261)는 서로 치합하고 있다. 따라서, 코드(CD)에 장력이 가해졌을 때에, 코드(CD)와 널링(240)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그것에 의해 널링(240)과 일체로 되어 피니언 기어(50)가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50)의 회전이 내치 기어(261)에 전달된다. 그 결과, 내치 기어(261)가 자전함으로써,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와 함께 그 플랜지(262)에 설치되는 지지축(263)도 공전한다. 거기에 따라 지지축(263)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유성 기어(280)가 자전하면서 공전을 시작한다.
도 8은, 도 7의 상태로부터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를 더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성 기어(280)와 선 기어(323)는 서로 치합하고 있다. 따라서, 유성 기어(280)의 회전이 선 기어(323)에 전달되고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가 자전을 시작한다. 그 결과,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의 요부(322)에 유지된 웨이트(340)가 자전을 시작한다. 그리고, 회전속도가 어떤 일정 값을 초과하면, 원심력에 의해 웨이트(340)가 케이스(10A)의 내벽과 당접한다. 따라서, 널링(240)의 회전에 대해 저항력이 생긴다.
이어서 도 16 및 도 17을 이용하여 조립상태에서의 각 부재 사이의 상대 위치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도4(c)의 A-A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을 중심으로 하는 피니언 기어(50)와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에 설치되는 내치 기어(261)가 서로 치합하고 있다. 또한, 내치 기어(261)의 회전은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의 지지축(263)을 통하여 유성 기어(280)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280)는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에 설치된 선 기어(323) 및 케이스(10A)의 내부에 설치된 내주 기어(115)와 서로 치합한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50)에 기인하는 회전이 가해짐으로써, 유성 기어(280)는 선 기어(323)와 내주 기어(115)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를 내치 기어(261)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공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은 도 5(a)의 B-B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B-B선 절단부 단면도는 설치통(702)을 중심으로 하여 거의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축심(31) 및 축심(41)이 케이스(10A)의 상단 및 베이스(7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가이드 벽(16A) 및 제 2 가이드 벽(17A)의 상단이 각각 축심(31) 및 축심(41)의 상단과 거의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널링(240) 및 롤러부(42)가 슬라이더(2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널링(240)과 함께 슬라이더(220)를 사이둔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50)가 슬라이더(220)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50)와 내치 기어(261)가 서로 치합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10A)의 상측으로부터 악부(13)에 걸쳐 정렬 부재(200)로 씌워져 있다. 또한, 케이스(10A)는 그 하단에서 베이스(70)와 계합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70)의 상부에는 웨이트(340)가 유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웨이트(340)를 착탈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제동력을 웨이트(340)의 개수 또는 종류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큰 제동력이 요구될 경우에는 웨이트(340)의 개수를 늘리거나 다른 밀도가 보다 높은 웨이트를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에 유지하면 된다. 한편, 작은 제동력으로 충분할 경우에는 웨이트(340)의 개수를 절감하면 된다. 한편, 웨이트(340)는 회전 시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에 유지되는 면에 있어서 대칭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웨이트(340)에 설치된 돌기(341)와 베이스(70)의 저면이 당접함으로써, 회전 시의 웨이트(340)와 베이스(70)의 사이의 저항력을 저감하고 있다.
1-4 <동작>
이어서 도 18을 이용하여 제 2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0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a)는 코드(CD)에 아무런 장력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정상(定常)상태), 도 18(b)는 코드(CD)에 장력이 가해져 널링(240) 및 롤러부(42)로 코드(CD)가 협착된 상태(협착상태), 도 18(c)는 도 18(a)로부터 도 18(b)로 상태 변화할 때의 각 부재의 회전 방향을 정리한 도면이다. 한편, 도 18(a), (b)는 모두 도 16과 마찬가지로 도 4(c)의 A-A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설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단면도에는 나타내지 않은 롤러부(42)의 외주를 축심(41)의 주위에, 널링(240)의 외주를 축심(31)의 주위에 겹쳐서 표시했다. 한편, 널링(240)의 외주는 엄밀하게는 원형이 아니지만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원형에 근사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SP)은 케이스(10A)의 후방의 내벽과 당접하고, 슬라이더(220)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슬라이더(220)는 케이스(10A)의 전방에 위치한다. 때문에, 슬라이더(220)의 제 1 천벽홈(226) 및 제 1 저벽홈(228)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어 있는 축심(31)과, 제 2 천벽홈(227) 및 제 2 저벽홈(229)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어 있는 축심(41)이 슬라이더(22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더(220)의 상부에 유지되는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 1 천벽홈(16)과 제 2 천벽홈(17)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서로 거리가 작게 되어 있다. 동일하게, 베이스(70)에 설치된 제 1 베이스 홈(706) 및 제 2 베이스 홈(707)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거리가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축심(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롤러부(42)와, 축심(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널링(240)의 거리도 작게 된다. 즉, 제 1 천벽홈(16) 및 제 1 베이스 홈(706)은 널링(240)의 축심(31)이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하고 널링(240)이 홈에 따르지 않는 움직임을 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홈으로서 기능한다. 동일하게, 제 2 천벽홈(17) 및 제 2 베이스 홈(707)은 롤러부(42)의 축심(41)이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하고 롤러부(42)가 홈에 따르지 않는 움직임을 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홈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 1 천벽홈(16) 및 제 1 베이스 홈(706)은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의 내주면의 중심점과 평면에서 볼 때 동심원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축심(31)이 각각의 홈 내를 이동해도 피니언 기어(50)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에 설치된 내치 기어(261)에 계속하여 치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널링(240)과 롤러부(42)의 거리가 작아지면, 널링(240)은 롤러부(42)에 가압되어 널링(240)과 롤러부(42)로 코드(CD)가 협지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SP)은 널링(240)이 롤러부(42)에 가압되도록 널링(240)을 상시 부세하는 부세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그리고, 정상상태의 제동 장치(1000)에 있어서, 코드(CD)에 화살표 D1 의 방향(전방)으로 장력을 부여한다고 한다. 그러면, 코드(CD)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널링(240)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롤러부(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널링(240)의 회전에 의해, 같은 축심(31)을 공유하여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50)도 널링(240)과 같은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자전)한다. 이 경우,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 및 축심(41)은 평면에서 볼 때 전방으로 이동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근접하여, 널링(240)과 롤러부(42)에 의한 코드(CD)의 협착력이 강해져 코드(CD)의 이동에 따라 널링(240)이 확실하게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피니언 기어(50)는 내치 기어(261)와 치합하고 있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50)의 이(齒)로부터 부여되는 힘에 의해, 내치 기어(26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자전)한다. 따라서, 내치 기어(261)와 함께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자전)하기 때문에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에 설치된 유성 기어(280)도 동일하게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공전)한다. 여기에서, 유성 기어(280)는 선 기어(323) 및 케이스(10A)에 의해 고정된 내주 기어(115)와 서로 치합하고 있기 때문에 공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시계 방향)으로 자전하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유성 기어(280)의 내측에서 유성 기어(280)와 치합하는 선 기어(323)는 유성 기어(280)의 자전과 반대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자전)한다. 이 때, 유성 기어(280)에 의해 선 기어(323)의 회전은 증속된다. 따라서, 선 기어(323)와 함께 회전하는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에 유지되는 웨이트(340)도 회전을 시작한다. 한편, 이미 말한 바와 같이, 유성 기어(280)의 외측에서 유성 기어(280)와 치합하는 내주 기어(115)는 케이스(10A)와 베이스(70)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성 기어(280)의 회전 시에도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널링(240)과 롤러부(42)가 한계까지 근접(협착상태)하면, 널링(240)의 자전은 계속되지만 널링(240)의 내치 기어(261)에 따른 이동이 정지한다. 이 때, 널링(240)의 자전에 기인한 다른 부재의 회전은 계속된다. 그러면, 원심력에 의해 웨이트(340)가 케이스(10A)의 내주벽에 당접함으로써, 회전에 대해 저항력이 생긴다. 즉, 코드(CD)의 이동 속도가 상승함으로써 회전속도가 상승하고, 따라서 원심력이 상승한다. 그리고, 원심력이 상승함으로써 웨이트(340)가 케이스(10A)의 내주벽에 의해 강하게 당접하게 되어 저항력이 상승한다. 따라서, 코드(CD)의 이동 속도(일사차폐 부재의 낙하 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코드(CD)에 가해지는 장력이 거의 일정한 경우(예를 들면, 제동 장치(1000)의 전방 측의 코드(CD)에 승강 가능하도록 현수 지지되는 일사차폐 부재가 자유낙하할 경우)에는, 코드(CD)에 가해지는 장력과 웨이트(340)와 케이스(10A)의 내주벽에 의한 저항력이 균형이 잡혀 코드(CD)의 이동 속도가 거의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동 장치(1000)는 코드(CD)의 이동에 대한 회전 댐퍼로서 기능하고, 일사차폐 부재를 천천히 강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정상상태로부터 협착상태까지의 협착상태의 변화에 대해 각 부재의 회전 방향(피니언 기어(50)에 대해서는 평면에서 볼 때의 전후 방향 및 체결 방향도 포함)을 정리한 것이 도 18(c)이다.
한편, 코드(CD)에 화살표D1과 반대 방향(후방)으로 장력을 부여했을 경우에는 널링(240) 및 롤러부(42)가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축심(31) 및 축심(41)이 제 1 천벽홈(16)및 제 2 천벽홈(17)에 따라 서로 이간(離間)하도록 이동한다. 그러면 코드(CD)에 대한 널링(240)의 협착력이 약해져, 약한 힘으로 코드(CD)를 끌어당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 박스 내에 제동 장치(1000)를 설치할 경우에는 도 18에서 전방으로 코드(CD)에 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일사차폐 부재의 하강하는 방향으로 하고, 후방으로 코드(CD)에 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일사차폐 부재의 상승하는 방향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19를 이용하여 정상상태 및 협착상태의 상태 변화 시에 있어서의 슬라이더(220)의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a)가 도 18(a)에, 도 19(b)가 도 18(b)에 각각 대응한다.
도 19(a)의 정상상태로부터 도 19(b)의 협착상태로 변화될 때, 축심(41)과 롤러부(42) 및 축심(31)과 널링(240)은 코드(CD)와의 마찰력에 의해 도면 중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축심(41)이 제 2 천벽홈(227) 및 제 2 저벽홈(229)과 당접함으로써, 축심(41)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제 2 천벽홈(227) 및 제 2 저벽홈(229)에 대해 전방에 힘이 가해진다. 또한, 축심(31)이 제 1 천벽홈(226) 및 제 1 저벽홈(228)과 당접하고 있음으로써, 축심(31)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제 1 천벽홈(226) 및 제 1 저벽홈(228)에 대해 전방으로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축심(31, 41)이 전방으로
Figure pct00001
만큼 이동하면 슬라이더(220)도 전방으로
Figure pct00002
만큼 이동한다.
이어서, 도 20을 이용하여 한 쌍의 협착 부재(롤러부(42) 및 널링(240))의 초기 상태(마모 전)에 있어서의 소정의 협착위치와, 마모 후에 있어서의 협착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롤러부(42) 및 널링(240)은 각각 축심(41) 및 축심(3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널링(240)의 초기 상태, 즉 마모에 의해 직경이 작아지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코드(CD)의 이동에 따라 해제 위치로부터 널링(240) 및 롤러부(42)가 제 1 천벽홈(16) 및 제 2 천벽홈(17)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즉, 한 쌍의 협착체의 적어도 한쪽이 소정의 이동 궤적(도면 중의 두 화살표)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이러한 이동 궤적은 규제 홈(제 1 천벽홈(16) 및 제 1 베이스 홈 (706)과, 제 2 천벽홈(17) 및 제 2 베이스 홈(707)(도 5 참조))에 따른 협착체의 이동의 궤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널링(240) 및 롤러부(42)가 코드(CD)를 협착한다. 이 때의 널링(240) 및 롤러부(42)의 위치가 소정의 협착위치이다.
이 때, 이동 궤적은 소정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즉, 규제 홈은 이러한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또한, 이동 궤적은 코드(CD)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널링(240) 및 롤러부(42)의 이동 궤적은 그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협착위치는 규제 홈 코드(CD)에 대한 접근 방향측(도 20에 있어서의 전측)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다. 그리고, 널링(240) 또는 롤러부(42)의 일부, 특히 코드(CD)와의 접촉부가 마모에 의해 깎이고, 널링(240) 또는 롤러부(42)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는, 규제 홈의 소정의 협착위치(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는 범위 내에서 축심(31) 및 축심(41)이 규제 홈 내에 유지됨으로써, 널링(240) 및 롤러부(42)가 코드(CD)를 협착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모 후의 협착위치는 소정의 협착위치보다 도면 중 전측에 d만큼 이격된 위치로 된다.
이와 같이, 이동 궤적(규제 홈)이 널링(240) 또는 롤러부(42)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마모에 의해 널링(240) 또는 롤러부(42)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도 코드(CD)를 적절하게 협착할 수 있다.
또한, 코드의 마모에 의해 코드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도 같은 효과가 있다.
2. 제 2 실시 형태
이어서, 도 21 ~ 도 2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변환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널링(240) 및 롤러부(42)가 각각의 축심(31) 및 축심(41)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에서, 이러한 연결 방법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도 2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레이트(800)를 이용해도 된다. 여기에서, 제2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800)는 거의 구형(矩形)이며, 예를 들면 금속제의 플레이트(80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800)의 축심(31) 및 축심(41)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관통공(801)이 설치되고 축심(31) 및 축심(41)을 관통공(801)에 삽입함으로써 널링(240)과 롤러부(42)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끈 형상 부재(900)를 이용할 경우,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드(CD)의 이동 시에 널링(240)과 롤러부(42)가 반대로 향해 회전하기 때문에, 끈 형상 부재(900)를 크로스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22는 도 21(b)의 부재가 코드(CD)를 협착하는 상태를 화살표 Z 방향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또한,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800)에 대신하여 끈 형상 부재(900)를 이용하여 널링(240)과 롤러부(42)를 연결해도 된다.
그리고,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부재는 케이스(10B)의 내부에 있어서, 널링(240)과 롤러부(42)의 사이에 코드(CD)를 끼우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도 23에 있어서는, 시인성의 향상을 위해 도 21(b)에 있어서의 끈 형상 부재(900)를 사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3의 화살표 g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중력 g가 작용하는 것으로 한다. 설명의 편의 상, 화살표 g의 방향을 아래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g와 반대 방향을 위 방향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10B)에는 축심(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측벽공(119A)이 설치된다. 제 1 측벽공(119A)은 전방을 향해 경사하는 타원형이다. 또한, 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설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측벽공(119A)이 규제 홈에 상당하고, 제 1 협착 부재(널링(240))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또한, 도 23(b)에서는, 소정의 협착위치를 점선의 원으로 나타내고 있고 이후의 설명은 협착체가 마모한 후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23(b) 중의 두 화살표는 협착체의 이동 궤적을 나타낸다.
축심(31)은 제 1 측벽공(119A)에 따라 이동 가능하다. 여기에서, 널링(240)은 코드(CD)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동시에 연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이다. 여기에서, 제 1 측벽공(119A)에는 협착안내 사면(119a), 해제안내 사면(119b), 협착측 규제면(119c) 및 해제측 규제면(119d)에 의해 내주면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0B)의 내부에는 코드(CD)를 끼워 널링(240)과 대향하는 동시에 널링(240)보다 전방의 위치에 지주(92)가 고정되어 있다.
먼저, 도 23(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코드(CD)에 화살표 D2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면 코드(CD)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널링(240)이 화살표 D3의 방향으로 제 1 측벽공(119A)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널링(240)의 이동 궤적은 제 1 측벽공(119A)에 따른 것이다. 또한,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궤적은 소정의 협착 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위치를, 연직성분을 갖는 가동 방향의 하측의 위치인 제 1 위치로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널링(240)과 지주(92)의 연직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작기 때문에, 코드(CD)가 굴곡하고 협착상태로 된다. 즉, 지주(92)는 널링(240)과 코드(CD)를 끼워 위치하는 제 2 협착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롤러부(42)는 널링(240)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보조 롤러로서 기능한다.
여기에서, 협착상태에 있어서, 축심(31)이 가동범위의 전방한계까지 도달하면, 거의 평행 이동하고 있었던 널링(240)이 회전(도면 중에 있어서의 시계회전 방향)을 시작한다. 그리고, 축심(31)의 회전을 코드(CD)의 이동에 따라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저항 부여부(RA)에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때, 코드(CD)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회전이 저항 부여부(RA)에 전달되지만, 코드(CD)가 후방에 이동할 때에는 회전이 저항 부여부(RA)에 전달되지 않도록, 널링(240) 또는 널링(240)과 저항 부여부(RA)의 사이에 원웨이(one way) 클러치를 설치해도 된다. 여기에서, 저항 부여부(RA)는 케이스(10B)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도 되고 널링(240) 내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한편, 코드(CD)에 화살표 D2와 반대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면, 상기 동작과 반대 방향의 동작이 생김으로써, 널링(240)과 지주(92)의 연직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이격되고, 코드(CD)에 대한 협착력이 약해지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은 중력g에 저항하여 제 1 측벽공(119A)의 연직성분을 갖는 가동 방향(도 23에 있어서의 경사 방향)의 상측의 위치인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를 자유이동상태라고 한다. 자유이동상태에 있어서, 코드(CD)가 비굴곡 상태에서 해제된다. 그리고, 코드(CD)의 자유이동을 허가할 수 있다.
한편, 축심(31) 및 널링(240)과, 축심(41) 및 롤러부(42)에 대신하여 회전하지 않는 지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이동 궤적(규제 홈)이 널링(240) 또는 롤러부(42)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마모에 의해 널링(240) 또는 롤러부(42)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도 코드(CD)를 적절하게 협착할 수 있다.
3. 제 3 실시 형태
이어서, 도 2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운동 변환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스(10C)에는, 널링(240)의 직경보다 조금 큰 수용 공간(93)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수용 공간(93)은 단면으로 볼 때, 원호 형상과 반직선 형상을 조합시킨 형상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널링(240)은 수용 공간(93)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93)에는, 협착안내 사면(93a) 및 해제측 규제면(93d)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C)의 내부에 축심(31), 널링(240), 지주(92), 2개의 출력 축(95) 및 무단(無端) 벨트(94)가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10C)에는, 축심(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측벽공(119A)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측벽공(119A)이 규제 홈에 상당하고, 제 1 협착 부재(널링(240))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또한, 도 24(b)에서는, 소정의 협착위치를 점선의 원으로 나타내고 있고, 이후의 설명은, 협착체가 마모한 후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24(b) 중의 두 화살표는 협착체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는데, 여기에서, 널링(240)은 자유이동상태에서 코드(CD)와 약간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널링(240)은 롤러부(42)과의 사이에 코드(CD)를 끼우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2개의 출력 축(95)에 무단 벨트(94)를 걸친다. 무단 벨트(94)는 널링(240)의 회전에 의해 저항력이 작용하고, 무단 벨트(94)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가능하면 무단 벨트(94)의 표면은 널링(240) 및 출력 축(95)의 표면과 맞물리는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도 된다. 또한, 출력 축(95)은 자신의 회전을 코드(CD)의 이동에 따라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저항 부여부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출력 축(95) 및 무단 벨트(94)는 무단 벨트(94)가 수용 공간(93)의 반직선 부분과 거의 일직선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도 24(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코드(CD)에 화살표 D4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면, 코드(CD)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널링(240)이 화살표 D5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수용 공간(93)의 반직선 부분을 걸쳐 무단 벨트(9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제 1 위치). 이 때, 널링(240)의 이동 궤적은 제 1 측벽공(119A)에 따른 것이다. 또한, 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궤적은 소정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에서는 널링(240)과 지주(92)의 연직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작기 때문에 코드(CD)가 굴곡하여 협착상태로 된다. 즉, 지주(92)는 널링(240)과 코드(CD)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제 2 협착 부재로서 기능한다.
한편, 협착상태에 있어서, 제 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출력 축(95)의 회전을 저항 부여부(RA)에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널링(240)과 무단 벨트(94)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무단 벨트(94)가 출력 축(95)에 대해 화살표D5와 반대 방향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출력 축(95)도 무단 벨트(94)와 같은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자전)한다. 이러한 회전을 저항 부여부(RA)에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출력 축(95) 중의 한쪽이 제3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심(31)과 같은 기능(저항 부여부(RA)에 회전을 전달)을 발휘한다. 이 때, 코드(CD)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회전이 저항 부여부(RA)에 전달되지만, 코드(CD)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회전이 저항 부여부(RA)에 전달되지 않도록, 널링(240)과 저항 부여부(RA)의 사이에 원웨이 클러치를 설치해도 된다.
한편, 코드(CD)에 화살표 D4와 반대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면, 상기 동작과 반대 방향의 동작이 생김으로써, 널링(240)과 지주(92)의 연직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이격하고, 코드(CD)에 대한 협착력이 약해지게 된다.
그리고, 도 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은 중력 g에 저항하여 무단 벨트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인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를 자유이동상태라고 한다. 자유이동상태에 있어서, 코드(CD)가 비굴곡 상태에서 해제된다. 그리고, 코드(CD)의 자유이동을 허가할 수 있다.
한편, 지주(92) 대신에 축심 및 롤러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이동 궤적(규제 홈)이 널링(240)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마모에 의해 널링(240)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도 코드(CD)를 적절하게 협착할 수 있다.
4. 제 4 실시 형태
이어서, 도 25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변환부에 대해 설명한다. 제 4 실시 형태는, 제 2 실시 형태를 변형한 구성이다.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 2 실시 형태로부터의 변경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중력 g를 이용하여 축심(31) 및 널링(240)이 하방으로 강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고, 중력 g를 부세 부재로서 이용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은 연결 부재(170)에 의해 고정축(160)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연결 부재(170)는 예를 들면 도 21의 플레이트(800)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170)에 용수철(150)을 장착하고 있다. 따라서, 고정축(160)을 중심으로 하고 연결 부재(170)가 화살표 g 방향으로 부세 됨으로써, 축심(31) 및 널링(240)을 화살표 g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또한, 제 4 실시 형태에서도, 제 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측벽공(119A)이 규제 홈에 상당하고, 제 1 협착 부재(널링(240))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한편, 도 25(b)에서는, 소정의 협착위치를 점선의 원으로 나타내고 있고, 이후의 설명은 협착체가 마모한 후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25(b) 중의 두 화살표는 협착체의 이동 궤적을 나타낸다.
도 25(a)에 나타내는 자유이동상태로부터, 코드(CD)에 화살표 D6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면 코드(CD)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축심(31) 및 널링(240)도 화살표 D6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고정축(160)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 부재(170)가 시계회전으로 회동함으로써, 축심(31) 및 널링(240)이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25(b)에 나타내는 협착상태로 된다. 이 때, 널링(240)의 이동 궤적은 제 1 측벽공(119A)에 따른 것이다. 또한, 도 2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궤적은 소정의 협착 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한편, 코드(CD)에 화살표 D6과 역방향에 장력을 부여하면, 도 25(b)에 나타내는 협착상태로부터 도 25(a)에 나타내는 자유이동상태로 이행한다.
즉,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부재를 이용한 장치는, 널링(240)이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널링(240)과 코드(CD)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널링(240)이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에 널링(240)과 코드(CD)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작게 되도록 널링(240)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축심(31)의 회전을 코드(CD)의 이동에 따라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저항 부여부(RA)에 출력할 경우,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부재를 이용한 장치는, 널링(240)이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에 코드(CD)의 이동에 기인하는 널링(240)의 회전을 저항 부여부(RA)에 출력하고, 널링(240)이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코드(CD)의 이동에 기인하는 널링(240)의 회전을 저항 부여부(RA)에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
이어서, 도 26을 이용하여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협착 부재(널링(240)) 및 제 2 협착 부재(협착평면(132s))에 의해, 한 쌍의 협착 부재가 구성된다. 케이스(10B)는 널링(240)을 내포한다. 즉, 케이스(10B)는 한 쌍의 협착 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내포한다. 여기에서, 도면 중의 점선CB는 케이스(10B)의 저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10B)는 제 1 측벽공(119A)을 구비한다.
협착평면(132s)은 자유이동상태에서 코드(CD)의 이동을 허가하고 협착상태에서 널링(240)과 함께 코드(CD)를 협착한다. 또한, 협착평면(132s)은 널링(240)의 이동의 전후에 있어서 고정된 평면이다.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도, 제 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측벽공(119A)이 규제 홈에 상당하고, 제 1 협착 부재(널링(240))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한편, 도 26(b)에서는, 소정의 협착위치를 점선의 원으로 나타내고 있고 이후의 설명은 협착체가 마모한 후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26(b) 중의 두 화살표는 널링(240)(축심(31))의 이동 궤적을 나타낸다.
도 26(a)에 나타내는 자유이동상태로부터, 코드(CD)에 화살표 D7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면, 코드(CD)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축심(31) 및 널링(240)도 화살표D7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고정축(160)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 부재(17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축심(31) 및 널링(240)이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26(b)에 나타내는 협착상태로 이행한다. 이 때, 널링(240)의 이동 궤적은 제 1 측벽공(119A)에 따른 것이다. 또한,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궤적은 소정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한편, 코드(CD)에 화살표 D7과 반대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면, 도 26(b)에 나타내는 협착상태로부터 도 26(a)에 나타내는 자유이동상태로 이행한다.
즉,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부재를 이용한 장치는 널링(240)이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널링(240)과 코드(CD)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널링(240)이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에 널링(240)과 코드(CD)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작게 되도록 널링(240)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협착평면(132s)은 헤드 박스(HB)의 저면(132) 또는 헤드 박스(HB)와 다른 부재의 저면으로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7을 이용하여 마모에 의해 제 1 협착 부재(널링(240))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도, 코드(CD)를 적절하게 협착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27은 도 26(b)에 나타내는 협착상태에 상당한다.
도면 중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마모 전에 있어서의 널링(240)은 소정의 협착위치에서 코드(CD)를 협착한다. 그리고, 마모 후에 있어서의 널링(240)은 마모 전에 비하여 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마모 전에 있어서의 협착위치에서는 널링(240)과 코드(CD)의 사이에 거리가 생겨 코드(CD)를 적절하게 협착 할 수 없다. 그러나, 이동 궤적(규제 홈에 상당하는 제 1 측벽공(119A))이 널링(240)의 초기 상태(마모 전)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마모 후의 널링(240)에서는 마모 전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은 위치까지 널링(240)이 이동하여 이러한 협착위치에서 코드(CD)를 협착하는 협착상태로 된다.
5. 제 5 실시 형태
이어서, 도 28 ~ 도 34를 이용하여 제 5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5000)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5000)는 도 28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동 변환부(DT) 및 저항 부여부(RA)가 병렬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28 ~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동 변환부(DT)는 내통(42A) 및 외통(240A)으로 이루어지는 캐치 롤러(Catch roller)(32A)와, 소위 고정 활차이며 축심(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널링(240)으로 이루어지는 캐치 롤러(32B)로 구성된다. 또한, 캐치 롤러(32A, 32B)는 모두 케이스(440A)에 설치된다. 캐치 롤러(32A, 32B)의 회동 토크에 의해 코드(CD)가 협착된다. 또한, 코드(CD)는 코드 삽입공(14A)을 통해 운동 변환부(DT)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캐치 롤러(32A)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저항 부여부(RA)는, 소위 원심 거버너이며 도 29에 나타내는 댐퍼 축을 중심으로 웨이트(340A)가 공전하고, 원심력에 의해 웨이트(340A)가 외경 측에 이동하면 이것과 케이스(10Aa)가 접촉하여 마찰이 일어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웨이트(340A)를 회전시키는 회전 전달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캐치 롤러(32B)의 축심(31)이 접속되어 있고, 캐치 롤러(32B)가 회동하면, 이러한 회전에 따른 동력이 회전 전달 기구를 통해 저항 부여부(RA)에 전달되고, 따라서 웨이트(340A)가 댐퍼 축을 중심으로 공전한다. 웨이트(340A)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개이어도 4개이어도 8개이어도 16개이어도 된다.
캐치 롤러(32A)는 내통(42A) 및 외통(240A)이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이러한 상대 회전 시에는 접동 저항을 갖도록 구성된다.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통(42A)의 외주를 외통(240A)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대해서는 뒤에 서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내통(42A)의 측면에는 회전축(31B)과 가이드축(31C)이 설치되고, 케이스(440A)에는 회전축(31B)의 축받이와 가이드축(31C)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31Ca)이 설치되어 있다. 즉, 캐치 롤러(32A)는 회전축(31B)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홈(31Ca)은 일방측이 캐치 롤러(32A)와 코드(CD)를 근접시키고 타방측이 캐치 롤러(32A)와 코드(CD)를 멀리하도록 설치된다. 즉, 가이드 홈(31Ca)은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해 캐치 롤러(32A)가 코드(CD)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 5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홈(31Ca)이 규제 홈에 상당하고, 협착체(캐치 롤러(32A) 및 캐치 롤러(32B))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한편, 도 30(a)에서는, 소정의 협착위치를 점선의 원으로 나타내고 있고, 이후의 설명은 협착체가 마모한 후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가이드 홈(31Ca)에 있어서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도 30에 있어서의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제동 방향으로 코드(CD)가 이동하면, 캐치 롤러(32A)가 회전축(31B)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것에 따라 가이드축(31C)이 가이드 홈(31Ca)에 따라 이동한다. 여기에서, 가이드 홈(31Ca)에는 협착안내 사면(31a), 해제안내 사면(3lb), 협착측 규제면(31c) 및 해제측 규제면(31d)에 의해 내주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30(a)에 나타내는 가이드 홈(31Ca)의 일방측에 가이드축(31C)이 위치하는 곳(제1위치)에서 캐치 롤러(32A)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코드(CD)가 캐치 롤러(32A, 32B)에 협착되어 코드(CD)가 제동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캐치 롤러(32A)에 있어서의 외통(240A)이 내통(42A)에 대해 회전하고, 캐치 롤러(32B)는 축심(3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캐치 롤러(32B)와 접속된 저항 부여부(RA)에 의해 저항력이 부여되어 코드(CD)의 이동이 제동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가이드 홈(31Ca)에 있어서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도 30에 있어서의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해방 방향으로 코드(CD)가 이동하면, 캐치 롤러(32A)가 회전축(31B)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것에 따라 가이드축(31C)은 가이드 홈(31Ca)에 따라 이동한다. 이 때, 캐치 롤러(32A)의 이동(회동)궤적은 가이드 홈(31Ca)에 따른 것이다. 또한, 도 3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궤적은 소정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한편, 후술하는 제 5 실시 형태의 변형예 1 ~ 3에 대해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30(b)에 나타내는 가이드 홈(31Ca)의 타방측에 가이드축(31C)이 위치하는 곳(제2위치)에서 캐치 롤러(32A)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코드(CD)가 캐치 롤러(32A, 32B)에 협착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약한 힘으로 협착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코드(CD)가 해방 방향으로 더 이동해도 캐치 롤러(32B)를 회전시키는 토크가 충분하지 않아 캐치 롤러(32B)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저항 부여부(RA)에 의한 저항력이 부여되지 않는다.
정리하면, 도 30(a)의 상태로부터 도 30(b)의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에 있어서는, 저항 부여부(RA)에 의한 저항력이 코드(CD)에 부여되지만, 도 30(b)의 상태에 있어서는 저항 부여부(RA)가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30(b)의 상태에서, 외통(240A)과 널링(240)의 사이의 거리가 도 30(a)의 상태보다 멀기 때문에 코드(CD)에 대한 협착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코드(CD)에 가해지는 제동력이 해제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코드(CD)의 자유이동이 실현된다. 또한, 도 30(b)의 상태로부터 도 30(a)의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에 있어서는, 저항 부여부(RA)에 의한 저항력이 코드(CD)에 부여되어 도 30(a)의 상태에 있어서 코드(CD)가 협착되는 동시에 저항 부여부(RA)가 작용한다.
한편, 내통(42A)과 외통(240A)에 있어서의 상대 회전 시의 접동(摺動) 저항은 가이드축(31C)이 제 1 위치까지 회동할 때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정도의 저항이면 된다. 이것에 감안하면, 캐치 롤러(32A)에 있어서의 내통(42A) 및 외통(240A)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일례에서는, 도 3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내통(42A)의 외통(240A)으로의 압입 공정에 의해, 도 32(b)에 나타내는 캐치 롤러(32A)가 실현된다. 다른 일례에서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통(42A)의 표면에는 탄성부(42A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저항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례에서는,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통(42A)에, 외통(240A)에 압력을 부여하는 용수철 부재(42A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저항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저항을 안정시키기 위해 점성이 높은 그리스(grease)로 윤활해도 된다.
<제 5 실시 형태의 변형예 1>
또한,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제동 장치(5100)는 해방 방향으로 코드(CD)가 이동시킬 때를 제외하고 가이드축(31C)이 제 1 위치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Aa)에 설치된 고정부(441A)와 가이드축(31C)의 사이에 코일부가 회전축(31B)에 감겨진 부세 수단으로서의 토션 스프링(31Cb)을 배치하고 토션 스프링(31Cb)에 의해 가이드축(31C)을 부세해도 된다. 여기에서, 본 변형 예에서는, 가이드 홈(31Ca)이 규제 홈에 상당하고, 협착 부재(캐치 롤러(32A))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한편, 도35(a)에서는, 소정의 협착위치를 점선의 원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도, 규제 홈이 캐치 롤러(32A)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마모에 의해 캐치 롤러(32A)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도 코드(CD)를 적절하게 협착할 수 있다.
<제 5 실시 형태의 변형예 2>
이어서, 도 36 및 도 37을 이용하여 제 5 실시 형태의 변형예 2에 따른 제동 장치(5200)를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따른 제동 장치(5200)는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동 변환부(DT) 및 저항 부여부(RA)가 좌우 방향(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변형예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동 변환부(DT)는 내통(42A) 및 외통(240A)으로 이루어지는 캐치 롤러(32A)와, 축심(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널링(240)으로 이루어지는 캐치 롤러(32B)로 구성된다. 내통(42A) 및 외통(240A)은 도 28 및 도 30과 같은 구성이며,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내통(42A)의 측면에는 회전축(31B) 및 가이드축(31C)이 설치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캐치 롤러(32A)가 회전축(31B)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 홈(31Ca)은 케이스(440B)의 측면에 캐치 롤러(32B)가 코드(CD)를 협착하는 상태와 해제하는 상태에 상태변화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본 변형예에서는, 캐치 롤러(32A) 및 캐치 롤러(32B)에 의해 협착체가 구성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가이드 홈(31Ca)이 규제 홈에 상당하고 협착체(캐치 롤러(32A) 및 캐치 롤러(32B))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한편, 도 36(a)에서는, 소정의 협착위치를 점선의 원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외통(240A)의 측면에 피니언 기어(50B)가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50B)는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갖는다. 그리고, 저항 부여부(RA)에 설치된 전달 기어(261B)의 내측의 이(齒)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달 기어(261B)의 외측의 이와 맞물리는 위치에 증속 기어(280B)가 설치된다. 증속 기어(280B)는 지지 축(263B)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3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속 기어(280B)와 동일한 축 상에 증속 기어(280B)와 일체 회전하는 웨이트 홀더(320B)가 설치된다. 그리고, 웨이트 홀더(320B)에 의해 웨이트(340B)가 유지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웨이트 홀더(320B)에 의해 4개의 웨이트(340B)가 유지된다.
웨이트 홀더(320B)는 증속 기어(280B)와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증속 기어(280B)의 자전에 따른 웨이트 홀더(320B)도 자전한다. 따라서, 웨이트 홀더(320B)에 유지되는 웨이트(340B)가 공전한다.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3개의 코드(CD)가 수평으로 협착된다. 이 코드(CD)는 운동 변환부(DT)를 구성하는 코드 삽통공(14A)에 삽입되어 통과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50B)는 운동 변환부(DT)의 케이스(440B)로부터 외부에 돌출되어 있고 운동 변환부(DT)와 인접 배치되는 저항 부여부(RA)의 전달 기어(261B)와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코드(CD)에 대해 제동 방향으로 장력이 주어지면, 외통(240A)과 코드(CD)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31B)을 중심으로 하여 캐치 롤러(32A)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캐치 롤러(32A)의 회동에 따라 외통(240A)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50B)도 자전하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피니언 기어(50B)와 맞물리는 전달 기어(261B)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자전을 시작한다. 따라서, 전달 기어(261B)와 맞물리는 증속 기어(280B)가 시계 방향으로 자전을 시작한다. 이 때, 전달 기어(261B)의 직경보다 증속 기어(280B)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코드(CD)의 이동에 기인하는 피니언 기어(50B)의 회전이 증속되어 증속 기어(280B)에 전달된다. 이 때, 내통(42A) 및 외통(240A)은 양자의 접동 저항에 의해 일체 회전한다.
그리고, 증속 기어(280B)의 자전에 의해, 웨이트(340B)가 시계 방향으로 공전을 시작한다. 그리고, 웨이트(340B)가 저항 부여부(RA)의 케이스(10Aa)의 내벽과 당접함으로써, 코드(CD)의 이동에 대한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36(a)의 상태일 때, 가이드축(31C)과 가이드 홈(31Ca)이 당접함으로써 내통(42A)의 회동이 저지된다. 그리고, 코드(CD)에 대해 제동 방향으로 장력이 더 부여되면, 외통(240A)이 내통(42A)에 대해 상대 회전을 시작한다. 따라서, 코드(CD)를 협착하면서 저항 부여부(RA)로부터의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한편, 코드(CD) 해방에 장력이 부여되면, 회전축(31B)을 중심으로 하여 캐치 롤러(32A)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피니언 기어(50B), 전달 기어(261B) 및 증속 기어(280B)는 코드(CD)의 제동에 장력이 부여되는 경우와는 반대로 회전한다. 그리고, 도36(b)의 상태일 때, 가이드축(31C)과 가이드 홈(31Ca)이 당접함으로써 내통(42A)의 회동이 저지된다. 그리고, 외통(240A)은 내통(42A)에 대해 상대 회전을 계속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외통(240A)과 널링(240)의 사이의 거리가 도36(a)보다 커지게 되어 코드(CD)를 충분히 협착할 수 없다. 또한, 코드(CD)를 충분히 협착 할 수 없기 때문에 외통(240A)의 회전도 억제된다. 따라서, 저항 부여부(RA)에 코드(CD)의 이동에 기인하는 회전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도, 규제 홈이 캐치 롤러(32A) 또는 캐치 롤러(32B)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마모에 의해 캐치 롤러(32A) 또는 캐치 롤러(32B)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도 코드(CD)를 적절하게 협착할 수 있다.
<제 5 실시 형태의 변형예 3>
이어서, 도 38 ~ 도 40을 이용하여 제 5 실시 형태의 변형예 3에 따른 제동 장치(5300)를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따른 제동 장치(5300)는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동 변환부(DT) 및 저항 부여부(RA)가 좌우 방향(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병렬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변형예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동 변환부(DT)는 내통(830A) 및 외통(830B)으로 이루어지는 캐치 롤러(830)와 축심(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널링(43)을 구비하는 캐치 롤러(840)로 구성된다. 내통(830A) 및 외통(830B)은 도 31과 같이 내통(830A)이 회전축(8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내통(830A) 및 외통(830B)은 서로 상대회전 가능한 동시에 일정 이하의 토크에 대해서는 접동 저항에 의해 일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도 31과 달리, 회전축(831)은 캐치 롤러(830)의 중심에 설치되어 케이스(810A)에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831)로부터 편심한 위치에는 축방향 양측을 향해 가이드축(850)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캐치 롤러(840)는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평행이동 가능한 이동 케이스(820)의 지지 홈(821)(도 39 참조)에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캐치 롤러(830) 및 캐치 롤러(840)에 의해 한 쌍의 협착 부재(협착체)가 구성된다.
한편, 본 변형예에서도, 저항 부여부(RA)는 원심 거버너를 구비하고 회전축(831)의 회전을 원심 거버너에 전달해 제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변형예 2와 같이 캐치 롤러(830)의 외통(830B)의 회전이 피니언 기어(50B)(도 37 참조)를 통해 저항 부여부(RA)에 전달된다. 저항 부여부(RA)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기재된 것을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이동 케이스(820)는 캐치 롤러(830, 840)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평행판(822)을 구비하고, 각 평행판(822)에 지지 홈(821)이 형성된다(도 39 참조). 또한, 평행판(822) 상방의 전후 방향 중앙에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가이드 홈(823)이 형성된다. 또한, 평행판(822)은 가이드 홈(823)의 전방의 위치에 가이드축(850)을 삽입 가능한 장공(長孔, 824)을 갖고 있고 장공(824)은 가이드축(85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본 변형예에서는, 가이드 홈(823)이 규제 홈에 상당하고, 협착체(캐치 롤러(830, 840))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한편, 도38(b)에서는, 소정의 협착위치를 점선의 원으로 나타내고 있고 이후의 설명은 협착체가 마모한 후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코드(CD)에 장력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정상상태)에서는, 도 3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드(CD)는 상방에 위치하는 캐치 롤러(830)만 접촉하고 캐치 롤러(840)와는 접촉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코드(CD)에 장력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정상상태)로부터 코드(CD)가 후방(도 38의 우방향)으로 이동하면, 캐치 롤러(830)의 외통(830B)은 도38(a)에서 시계 반대 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한 쌍의 협착 부재인 캐치 롤러(830, 840)가 코드(CD)를 협착하지 않기 때문에(도 39(a), 도 40(a)도 참조), 코드(CD)의 이동이 캐치 롤러(830)(외통(830B))의 회전으로서 충분히 전달하지 않아 외통(830B)의 회전이 저항 부여부(RA)에 전달되어 코드(CD)에 저항력이 부여되지 않는다. 한편, 이 경우, 외통(830B)이 회전해도 내통(830A)이 구비하는 가이드축(850)이 이동 케이스(820)의 장공(824)에 당접하여 이동 케이스(820)는 전후 방향에서 케이스(810A)에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내통(830A)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되어있다.
한편, 코드(CD)가 전방(도의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3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치 롤러(830)의 외통(830B)이 시계 방향(화살표 Y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외통(830B)과 내통(830A)의 사이에는 접동 저항이 있기 때문에 이런 외통(830B)과 내통(830A)이 일체 회전을 시작한다. 그러면, 내통(830A)의 회전과 동시에 내통(830A)이 구비하는 가이드축(85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동 케이스(820)의 장공(824)의 윗표면을 가압하여 이동 케이스(82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도 38(b), 도 39(b), 도 40(b) 참조). 그 결과, 이동 케이스(820)에 유지된 캐치 롤러(840)가 상방, 즉 코드(CD)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캐치 롤러(830)와 협동하여 코드(CD)를 협착한다.
이 상태에서 코드(CD)가 전방(도의 좌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코드(CD)의 이동이 외통(830B)의 회전으로서 전달한다. 다만, 캐치 롤러(840)가 코드(CD)에 당접한 후에는 이동 케이스(820)는 그 이상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내통(830A)도 그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내통(830A)에 대해 외통(830B)만 회전하게 된다.
이상의 결과, 도 38(b)의 캐치 롤러(830)와 캐치 롤러(840)가 코드(CD)를 협착한 상태에서 코드(CD)가 전방(도의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코드(CD)의 이동이 외통(830B)의 회전으로서 충분히 전달되고 외통(830B)의 회전에 대해 저항 부여부(RA)가 제동력을 부여하여 코드(CD)가 제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도, 규제 홈이 캐치 롤러(32A) 또는 캐치 롤러(32B)의 초기 상태에서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마모에 의해 캐치 롤러(32A) 또는 캐치 롤러(32B)의 직경이 작아진 경우에도 코드(CD)를 적절하게 협착할 수 있다.
6. 제 6 실시 형태
이어서, 도 41 ~ 도 4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60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6000)는 제 2 실시 형태에 기재된 제동 장치(1000)와 유사하다. 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6000)는 한 쌍의 협착 부재의 각 축심의 축방향 양단측이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721, 722)로 구성되는 링크기구(720)에 의해 유지되는 점이 주된 상이점으로 되고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의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동시에, 구성이 다른 부분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 6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6000)는 제 1 실시 형태 ~ 제 5 실시 형태와 달리 규제 홈을 구비하지 않는 실시 형태이다. 한편, 도 43(a)에서는, 소정의 협착위치를 점선의 원으로 나타내고 있고 이후의 설명은 협착체가 마모한 후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한 쌍의 협착 부재는 널링(240)을 구비하는 장력전달 롤러(30) 및 롤러부(42)를 구비하는 아이들 롤러(40)로 구성된다.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력전달 롤러(30)의 축심(31)은 축방향 양단측에 있어서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721)의 일단측에 축 지지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이들 롤러(40)의 축심(41)도 마찬가지로 축방향 양단측에 있어서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722)의 일단측에 축 지지된다. 또한, 장력전달 롤러(30)의 축심(31)은 상술한 제 2 실시 형태와 같이 장력전달 롤러(30)와 반대측의 단부에 피니언 기어(50)가 장착되어 있다.
링크 플레이트(721)와 링크 플레이트(722)는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축(723)을 통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링크기구(72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721, 722)의 타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런 링크 플레이트(721, 722)를 연결하는 연결 핀(724, 725)(도 42 참조)이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 핀(724)과 연결 핀(725)은,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부가 축(723)에 감겨진 부세 수단으로서의 토션 스프링(726)에 의해 서로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링크 플레이트(721)와 링크 플레이트(722)는 축(723)을 중심으로 하고, 각각 유지하는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부세되고 그 결과, 이들의 롤러(30, 40)에 의해 코드(CD)가 협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41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축(723)은 케이스(10A)에 축 지지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도 4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코드(CD)에 장력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정상상태)에 있어서는, 장력전달 롤러(30)및 아이들 롤러(40)는 링크기구(720)를 통해 토션 스프링(726)에 부세됨으로써 코드(CD)를 협착한다. 이 상태에서 코드(CD)가 전방(도 43의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코드(CD)의 이동이 장력전달 롤러(30)에 전달되고 장력전달 롤러(30)의 회전은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 유성 기어(280), 선 기어 웨이트 홀더(320)에 순차 전달되어 웨이트(340)(도 2 참조)를 회전시켜 웨이트(340)의 회전 저항에 의해 코드(CD)에 제동력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도, 유지 부재인 링크기구(720)(링크 플레이트(721) 및 링크 플레이트(722))의 이동에 따라 협착 부재가 코드(CD)를 협착하게 된다. 이 때, 롤러부(42) 및 널링(240)의 이동 궤적은 도 43(a) 중의 두 화살표 대로이다. 또한, 도 4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궤적은 소정의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된다.
한편, 코드(CD)가 후방(도 43의 우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4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 플레이트(721)에 유지된 장력전달 롤러(30) 및 링크 플레이트(722)에 유지된 아이들 롤러(40)는 코드(CD)의 이동에 따라 링크기구(720)를 통한 토션 스프링(726)의 부세력에 저항하고 축(723)을 중심으로 하여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의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협착체에 의한 코드(CD)의 협착이 약해지고 장력전달 롤러(30)를 통한 저항 부여부(RA)의 코드(CD)에의 저항의 부여가 감소한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링크기구(720)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721, 722)를 축방향 양단측에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를 축방향 한쪽에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여러가지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폐 장치(100A)는 상기 실시 형태의 차폐 장치(100A)와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사차폐 장치는 커튼 천이 권취되는 롤 커튼으로 되거나 복수의 슬랫이 승강하는 블라인드로 되어도 된다. 또한,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111) 등을 이용하여 창틀(110)에 제동 장치(1000)를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그립(109)의 내부에 제동 장치(1000)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승강 코드(102)의 통과 경로의 임의의 장소에 제동 장치(1000)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드를 협착하는 협착체가 마모에 의해 작아진 경우에도 적절하게 코드를 협착 가능한 제동 장치가 제공되어 부재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10A: 케이스
31, 41: 축심
50: 피니언 기어
70: 베이스
200: 정렬 부재
220: 슬라이더
240: 널링
260: 내치가 달린 캐리어
280: 유성 기어
300: 플레이트
320: 선 기어 웨이트 홀더
340: 웨이트

Claims (17)

  1. 코드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로서,
    상기 코드를 협착하는 한 쌍의 협착 부재를 갖는 협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협착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소정의 이동 궤적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협착체는 상기 이동 궤적의 소정의 협착위치에서 상기 코드를 협착하고,
    상기 이동 궤적은 상기 협착위치를 넘어 연장되는, 제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궤적은 상기 코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동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궤적은 상기 협착 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홈에 따른 상기 협착 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이동의 궤적인, 제동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 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내포하고 또한 상기 규제 홈을 갖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제동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체는, 제 1 협착 부재 및 제 2 협착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1 협착 부재는 축을 구비하고,
    상기 규제 홈은 상기 축이 상기 코드에 대해 접근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협착위치는 상기 규제 홈의 상기 코드에 대한 접근 방향 측의 단부로부터 이격한 위치인, 제동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협착체가 함께 상기 이동 궤적에서 이동하고,
    상기 이동 궤적은 그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되는, 제동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협착 부재는 축을 구비하고,
    상기 규제 홈은 상기 제 1 협착 부재 및 제 2 협착 부재의 축이 상기 규제 홈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소정의 협착위치에서 상기 코드를 협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동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홈은 상기 케이스에 2개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1개는 원호 형상인, 제동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규제 홈은, 상기 코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제동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규제 홈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제동 장치.
  11. 제 6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거의 연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동 장치.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협착 부재는 협착평면에 의해 구성되는, 제동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평면은 상기 제 1 협착 부재의 이동의 전후에 있어서 고정된 평면인, 제동 장치.
  14. 제 5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착 부재를 상기 코드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부터 상기 코드를 협착하는 협착위치를 향해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구비하는, 제동 장치.
  15. 제 3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홈의 가장자리에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벽을 구비하는, 제동 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동 장치와,
    상기 코드의 이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현수 지지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하는 차폐 장치.
  17.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기재된 제동 장치와,
    상기 코드의 이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현수 지지되는 차폐 부재와,
    상기 제동 장치를 내포하는 헤드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협착평면은 상기 헤드 박스의 저면인, 차폐 장치.
KR1020197010115A 2016-09-14 2017-09-07 제동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차폐 장치 KR102606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80010 2016-09-14
JP2016180010 2016-09-14
JP2016237610 2016-12-07
JPJP-P-2016-237610 2016-12-07
PCT/JP2017/032253 WO2018051883A1 (ja) 2016-09-14 2017-09-07 制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遮蔽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994A true KR20190046994A (ko) 2019-05-07
KR102606316B1 KR102606316B1 (ko) 2023-11-23

Family

ID=6161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115A KR102606316B1 (ko) 2016-09-14 2017-09-07 제동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차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895983B2 (ko)
KR (1) KR102606316B1 (ko)
CN (1) CN110191998A (ko)
AU (1) AU2017327051A1 (ko)
TW (1) TWI723218B (ko)
WO (1) WO201805188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311A (ja) * 1989-07-21 1991-03-08 Yamaha Motor Co Ltd 自動車搭載エンジンのシリンダブロック構造
JPH10140949A (ja) * 1996-11-12 1998-05-26 Tachikawa Blind Mfg Co Ltd 横型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
JP2005030084A (ja) 2003-07-07 2005-02-03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311Y2 (ko) * 1985-04-19 1991-11-29
JPH0431999Y2 (ko) * 1986-07-07 1992-07-31
JP2755535B2 (ja) * 1992-10-07 1998-05-20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の昇降コードストッパー装置
US7174943B2 (en) * 2004-11-24 2007-02-13 Wen-Jen Wang Curtain hoisting clutch apparatus
TWM361554U (en) * 2008-12-30 2009-07-21 Nien Made Entpr Co Ltd Braking structure for pull cord of window curtain
WO2011075106A1 (en) * 2009-12-17 2011-06-23 Freelance Inventors Inc. Cord lock
CN107849898B (zh) * 2015-06-05 2021-12-07 立川窗饰工业株式会社 制动装置以及使用该制动装置的遮蔽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311A (ja) * 1989-07-21 1991-03-08 Yamaha Motor Co Ltd 自動車搭載エンジンのシリンダブロック構造
JPH10140949A (ja) * 1996-11-12 1998-05-26 Tachikawa Blind Mfg Co Ltd 横型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
JP2005030084A (ja) 2003-07-07 2005-02-03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16256A (zh) 2018-05-01
CN110191998A (zh) 2019-08-30
TWI723218B (zh) 2021-04-01
KR102606316B1 (ko) 2023-11-23
JP6895983B2 (ja) 2021-06-30
AU2017327051A1 (en) 2019-05-02
JPWO2018051883A1 (ja) 2019-06-24
WO2018051883A1 (ja)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44417B2 (ja) 遮蔽装置
JP6956476B2 (ja) 制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遮蔽装置
KR20190046994A (ko) 제동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차폐 장치
JP6799969B2 (ja) 制動装置及び遮蔽装置
JP6815144B2 (ja) 制動装置及び遮蔽装置
JP6763689B2 (ja) 遮蔽装置
JP7002193B2 (ja) 遮蔽装置
JP6842870B2 (ja) 組立構造体、及びこれを備えた制動装置
JP6877939B2 (ja) 制動装置
WO2018021475A1 (ja) 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遮蔽装置
JP6844988B2 (ja) 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遮蔽装置
JP6889996B2 (ja) 制動装置及び遮蔽装置
JP6817036B2 (ja) 遮蔽装置
JP2020197121A (ja) 遮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