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795A - 간독성 및 지방간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간독성 및 지방간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화합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795A
KR20180058795A KR1020187011548A KR20187011548A KR20180058795A KR 20180058795 A KR20180058795 A KR 20180058795A KR 1020187011548 A KR1020187011548 A KR 1020187011548A KR 20187011548 A KR20187011548 A KR 20187011548A KR 20180058795 A KR20180058795 A KR 20180058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group
live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mannit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버 요아-푸 후
퉁-위안 시
청-후이 셩
신-티엔 호
Original Assignee
시뉴 파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6/07803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084234A1/zh
Application filed by 시뉴 파마 인크. filed Critical 시뉴 파마 인크.
Priority to KR102024700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2148A/ko
Publication of KR2018005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4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carboxyl groups, e.g. succinic, maleic or phtha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16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 C07C51/21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 C07C51/215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of saturated hydrocarb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34Esters of acyclic saturated poly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69/42Glutar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9/041,3-Dioxanes; Hydrogenated 1,3-dioxanes
    • C07D319/061,3-Dioxanes; Hydrogenated 1,3-dioxan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 C07D4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4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attached to acyclic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8Th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Abstract

본 발명은 간독성 및 지방간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독성 및 지방간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화합물 및 이의 용도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5년 9월 24일에 출원된 미국가출원번호 제62/222,959호, 2015년 11월 19일에 출원된 미국가출원번호 제62/257,697호, 및 2016년 3월 31일에 출원된 특허협력조약 출원번호 PCT/CN2016/078039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러한 문헌의 내용은 전문이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간독성 및 지방간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기관의 손상은 종종 기관, 특히, 간 또는 신장의 손상을 초래하는 과용량을 투여할 때 치료 약물과 같은 독성제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아세트아미노펜(또는 파나돌(Panadol)로서 알려짐)은 또한, 파라세타몰 또는 N-아세틸-파라-아미노페놀(APAP)로 불리워지는 것으로서,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통증-완화 및 해열 약물이다. 매년, 약물 중독 또는 자살의 다수의 케이스(case)는 APAP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한 것으로 보고되며, APAP에 의해 야기된 간 손상은 심각한 질병 및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알코올 또는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사염화탄소(CCl4)는 또한, 간독성을 야기시킬 수 있다. 다수의 임상 연구에서는, APAP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이 예방 가능하며, 조기 진단이 해독제 N-아세틸시스테인(NAC)의 실시간 투여와 함께 간독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음독(poisoning) 후 8시간 내에 해독제가 제공되는 경우 최상의 예후가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아세트아미노펜 과다 복용의 조기 검출이 필수적이다. 약물 중독의 초기 징후(early sign)는 불편함(discomfort), 메스꺼움(nausea) 및 구토(vomiting)를 포함한다. 그러나, 몇몇 환자들은, 아세트아미노펜의 환자 혈액 농도가 음독 수준에 이르고 이의 비정상적인 간 기능이 명백하게 비정상적임에도 불구하고, 초기 단계(단계 1)에서 중독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간독성의 징후, 예를 들어, 복통, 지속 구토, 황달, 우상복부 통증(right upper quadrant pain)은 대개 상당한 양의 아세트아미노펜의 소화 후 대개 24 내지 48시간에 명백해진다(단계 2). 혈청 아민트랜스퍼라아제(serum amintransferase)는 대개 투여 후 16시간 후에 임상 증상과 함께 상승하기 시작한다. 단계 3은 대개 투여 후 3 내지 4일에 발생하며, 간 손상 정도뿐만 아니라 예후는 그러한 때에 잘 예측될 수 있다. 간독성의 징후는 상승된 간 기능 수치(AST>1,000IU/L)를 갖는 경증 증상에서 대사성 산증, 황달, 고혈당증, AST>1,000IU/L, 비정상적 혈액 응고 및 간/뇌 병소에 의해 동반되는 심각한 급성 전격성 간염(fulminant hepatitis)으로 진행한다. 단계 4는 핍뇨 신부전(oliguria renal failure) 또는 심각한 케이스에서 사망을 야기시킬 것이다.
아세트아미노펜 중독을 갖는 몇몇 환자들은 단지 경미한 간 손상을 나타내지만, 세뇨관의 P-450(시토크롬 P450,CYP)에서 APAP의 직접 대사에 의해 주로 야기되는 심각한 신장 독성을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성 신부전은 또한, 급성 간부전에 의해 야기된 간신 증후군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Na(FeNa)의 배출률은 간신 증후군(FeNa > 1)과 1차 신장 손상(FeNa > 1)의 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FeNa에 대한 계산식은 (소변의 소듐 ÷ 소변의 크레아티닌) ÷ (혈장의 소듐 ÷ 혈장의 크레아티닌) × 100.
혈액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의 최대 농도(peak concentration)는 1 내지 2시간 동안 달성되며, 경구 투여 및 상당한 양이 간에 의해 제거된 후에, 90% 이상이 글루쿠로나이드 및 설페이트에 콘쥬게이션되고, 비-독성 대사물을 형성하며, 단지 5% 미만이 CYP2E1, CYP1A2 및 CYP3A4를 포함하는 상이한 CYP에 의해 제거되며, 그러한 것들 중에서, CYP2E1 및 CYP1A2는 대사를 위한 주요 효소이다. 이러한 효소, N-아세틸-p-벤조퀴논이민(NAPQI)에 의해 생성된 대사물은 매우 활성적인 친전자체이다.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 NAPQI는 세포에서 글루타티온과 바로 반응하고 비-독성 머캅타이드를 형성할 것이다. 아세트아미노펜의 과잉투여는 이의 합성율 보다 글루타티온의 소비율을 더 높게 하며, 세포의 글루타티온 수준이 30%의 정상 범위 보다 낮아질 때, NAPQI는 시스테인을 함유한 큰 분자 또는 핵산에 결합하고 간 손상을 유발시킬 것이다. 조직화학적 염색으로부터, NAPQI는 시스테인의 티올 기에 결합하고 간 세포 괴사의 발생 전에 중심 소엽 영역(centrilobular area)에서 공유 결합을 형성할 것이다.
간 질병, 알코올 중독 또는 P450의 활성을 유도할 수 있는 약물, 예를 들어, 카르바마제핀, 에탄올, 이소니아지드, 페노바르비탈(다른 바르비투레이트일 수 있음), 페니토인, 설핀피라존, 설포닐우레아, 리팜핀, 및 프리미돈을 복용하는 환자는 APAP에 의해 야기된 중증 간독성이 발생하는 감수성이 있는 그룹이고, 환자에서 또한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 뇌부종, 지혈이 안되는 출혈(uncontrollable bleeding), 감염증 또는 다발성 기관 기능장애 증후군(MODS)과 같은 합병증이 발달하는 경우에 쉽게 사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코올을 섭취하는 경우에, 알코올은 주로 간의 CYP2E1에 의해 제거되며, APAP 중독의 이의 메카니즘은 3 단계로 나누어진다: 제1 단계에서, 알코올은 간에서 CYP2E1에 대한 수용체와 APAP를 경쟁시키며, NAPQI의 농도는 그러한 단계 동안 감소할 것이며, 제2 단계에서, 알코올은 CYP2E1의 반감기를 2시간에서 37시간까지 연장시켜 간에서 CYP2E1의 수준을 증가시키며, NAPQ1의 농도는 이러한 단계 동안 서서히 증가할 것이며, 제3 단계에서, 알코올 제거 동안, 아세트아미노펜을 제거하기 위해 간에서 더 많은 CYP2E1이 발견되며, 결과적으로, 아세트아미노펜의 독성 대사물이 상당히 증가하고, 간 손상을 일으킨다. 최근 연구에서는 디알릴 설파이드가 마우스에서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야기된 간독성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고, 또한, 디알릴 설파이드가 CYP2E1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에 대한 디알릴 설파이드의 보호 메카니즘이 아세트아미노펜으로부터 중간 NAPQI의 생성의 억제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종래 연구에서는 간 세포에서 감소된 글루타티온의 소비, 산화 활성화,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및 NAPQI에 의해 야기된 DNA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유발되는 간 손상을 감소시키고 후속하여 간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파낙스 노토진생(Panax notoginseng), 아데노신 및 이의 유도체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및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는 이러한 보호 메카니즘을 통해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지방간은 간 손상을 유발시키는 다른 인자로 여겨진다. 정상적인 상황 하에서, 지방은 간의 3 중량%를 차지한다. 임상적으로, "지방간 질병(FLD)"은 간에서 지방이 간의 5 중량%를 초과하거나, 간 세포의 10% 이상이 간 조직 섹션에서 소포성 지방 변화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질병의 원인에 따라, 지방간은 알코올성 지방간 질병(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NAFLD), 또는 약물과 같은 다른 인자로부터 유도된 다른 지방간 질병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지방간 질병은 지방성 변태 또는 지방즉, 지방간염, 등의 출현에 의해 병리학적으로 특징된다. 지방증으로부터 고통 당하는 간 세포의 백분율에 의해, 지방간은 경도(mild)(33% 미만), 중간(33 내지 66%) 및 중증(66% 초과)으로서 분류된다. 종래에, 지방간은 만성적이고 가역적인 질병을 여겨졌고, 이에 따라, 덜 심각하게 받아들여졌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이러한 것이 심각한 간 섬유증 및 간경볍, 및 심지어 간암을 유발시킬 것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비만인 사람들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FLD의 유병률이 또한 증가한다.
유럽 및 미국 국가에서 간 질병의 주요 원인은 만성적인 과도한 음주로 인한 것이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간 질병은 알코올 병소에 의해 야기된다. 그러나, 지난 15 내지 20년에 걸쳐, NAFLD는 유럽 및 미국 국가에서 간 기능 장애로 여겨지는 질병의 첫 번째 원인이 된다. Thaler는 1962년에 NAFLD에 대해 기술하였다. 1980년에, Ludwig는 당뇨병 및 과지혈증을 지닌 비만 여성 환자의 그룹에서 발견된 동반하는 NAFLD로부터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를 제안하였다. 그 후에, 1986년에, Schaffner는 NASH가 NAFLD의 과정에서 섬유증 유도 메카니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1998년까지, Day는 NASH를 갖는 환자들 중 15 내지 50%가 상이한 정도의 섬유증 유도로부터 고통을 당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임상의는 NAFLD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AFLD 이외에, NASH는 임상 실무에서 NAFLD의 자연스런 진행의 단계에 불과하지 않다. NASH의 존재로 인하여, NAFLD는 더 이상 양성 간 질환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NAFLD의 메카니즘과 관련하여, 영국에서 Day 및 James는 다수의 임사 연구 및 동물 실험을 기초로 하여 2-히트(Two-hit) 가설을 제안하였다. 제1 히트(first ht)에서 지방간이 발생하며, 제2 히트에서 지방간염이 발생한다. 제1 히트는 간에 과도한 지방 축적에 의해 증진되는데, 이는 비만, 고지혈증, 등에 의해 야기된다. 제2 히트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산화성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및 반응성 산소 종(ROS)의 효과로 인한 것으로서, 간 세포막에서 지질 과산화, 본래 염증성 시트카인 및 자유 라디칼의 방출, 성상 세포의 활성화로 인한 섬유증을 초래하고, 간 세포 괴사에 유발한다. NASH의 메카니즘은 트리글리세라이드의 과산화, 산화성 스트레스, ROS 반응, 간 세포에서 지질의 과산화 증가, 또는 시토카인 및 간 효소의 증가를 포함하여, 일련의 자가면역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지방간의 원인은 주로 동물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 체내에 축적되어 비만 및 지방간을 야기시키는 지방으로 변환되는 과도한 칼로리의 장기간 과다 섭취와 관련된다. 지방간을 지닌 환자는 정상적인 혈액 GOT/GPT 수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방간의 정확한 진단은 복부 초음파를 이용하여야 하며, 이는 현재 97% 이상의 정확도를 제공한다.
현재, FLD에 대한 특정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이상적인 약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의 치료 가이드라인은 잠재적인 위험 인자를 개선시키거나 약물을 사용하여 만성 질병의 진행을 제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방간의 원인에 따라 증상 치료를 적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과체중에 의해 야기된 지방간으로부터 고통 당하는 대상은 체중을 적당히 줄어야 한다. 알코올성 지방간을 지닌 대상은 그러하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해 음주를 중단할 필요가 있고 균형 잡힌 식사를 섭취해야 한다. 간을 손상시키고 장기 접촉을 통해 지방간 질병을 야기시키는 화학물질 또는 약물은 즉시 사용을 중지하여야 한다. C형 간염, 고지방혈증(high blood fat), 등과 같은 질병에 의해 야기된 지방간은 C형 간염을 치료하거나 혈액 지질을 조절하는 것과 같은 본래 질병을 치료함으로써 치료될 것이다. 그러나, 과도한 트리글리세라이드가 개인적인 신체적 요인에 기인한 경우에, 체중을 줄임으로써 지방간 질병을 개선시키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을 낮추기 위해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현재의 약물은 종종 부작용, 예를 들어, 간독성, 근장애(myopathy), 예를 들어, 근육통, 근염, 횡문근융해, 등이 동반된다. 지질-저하 약물과 관련하여, 근육 독성은 가장 주목할 만한 부작용이다. 특히, 스타틴(statin)은 가장 높은 근육 독성의 발생을 나타내고, 다음으로 피브르산(fibric acid )이다. 또한, 지질-저하 약물은 "지방 유도(fat driving)" 효과를 갖는데, 이는 혈액 지질을 간으로 "유도(drive)"하며, 여기서, 지방 축적이 이미 존재하며, 지질의 유입이 처리되기 어려워서, 간에서 지방의 과도한 축적을 초래하고 지방간을 악화시킨다. 지질-저하 약물이 FLD의 치료를 위해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에 의해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L은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지방족 기이며;
R은 수소, 폴리올 기 및 (G)p의 사카라이드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G는 단당류 잔기이며, p는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여기서, (G)p에서 히드록실 기 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되며;
Q는 2 내지 4의 정수이며, 각각의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에 의해 표현된다:
R1-O-X-(CH2)m-X-O-R2 화학식 (II),
상기 식에서,
X는 C=O이며;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폴리올 기 및 (G)p의 사카라이드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G는 단당류 잔기이며, p는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여기서, (G)p에서 히드록실 기 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되며, R1이 수소일 때, R2는 수소가 아니며;
m은 1 내지 40의 정수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 유효량의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 적어도 하나를 투여함에 의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질병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 증가된 시토크롬 P450 활성 또는 증가된 자유 라디칼 수준에 의해 특징되는 질병 또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기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 기관 손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간독성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 간독성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지방간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거나, 간 기능을 보호하거나, 지방간 또는 다른 관련된 장애에 의해 야기된 간 질병을 개선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특히, 약제는 (i) 증가된 시토크롬 P450 활성 또는 증가된 자유 라디칼 수준에 의해 특징되는 질병 또는 질환, (ii) 기관 손상, 및/또는 (iii) 간독성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고/거나, (iv) 지방간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거나, 간 기능을 보호하거나, 지방간 또는 다른 관련된 장애에 의해 야기된 간 질병을 개선시키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의 세부사항은 하기 설명에 기술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또는 장점은 여러 구현예의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및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상기 요약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하기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할 목적으로, 도면에는 현재 바람직한 구현예가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시된 정확한 배열 및 수단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시험관 내에서) 혈액 중 전구약물 잔류 또는 이의 관련된 대사물 형성의 백분율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SD-랫트에서 전구약물의 경구 투여 후 전구약물 및 수크랄로오스에 대한 혈장 농도 대 시간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SD-랫트에서 전구약물의 경구 투여 후 만니톨에 대한 혈장 농도 대 시간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동물에서 간 조직의 H&E 염색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A) 정상 대조군, (B) APAP-유발 간 손상의 대조군, (C) NAC로 치료의 양성 대조군, (D) 만니톨(1.67 mg/kg)로 치료의 실험 그룹, (E) 수크랄로오스(1.67 mg/kg)로 치료의 실험 그룹, (F) 만니톨(2.51 mg/kg) 및(plus) 수크랄로오스(2.51 mg/kg)로 치료의 실험 그룹, (G) 만니톨(3.34 mg/kg) 및 수크랄로오스(3.34 mg/kg)로 치료의 실험 그룹, 및 (H) NAC, 및 만니톨(3.34 mg/kg)과 수크랄로오스(3.34 mg/kg)의 조합으로 치료의 실험 그룹.
도 5는 지방간이 유발되었고 이후에 4주 동안 그룹(group) 별로 상이한 시험 화합물로 치료된 마우스로부터 얻어진 간 조직 섹션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 공정의 일반식을 도시한 것이다.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단수 용어("a" 및 "an")는 하나 또는 하나 초과(즉, 적어도 하나)의 문법적 대상(grammatical object)을 지칭한다. 일 예로서, "구성요소(element)"는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하나 초과의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I. 화합물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에 의해 표현되는 구조의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2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L은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지방족 기이며;
R은 수소, 폴리올 기 및 (G)p의 사카라이드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G는 단당류 잔기이며, p는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여기서, (G)p에서 히드록실 기 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되며;
Q는 2 내지 4의 정수이며, 각각의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지방족" 또는 "지방족 기"는 직쇄(즉, 비분지된), 분지된, 또는 환형(융합, 브릿징, 및 스피로-융합된 폴리시클릭)일 수 있고 완전히 포화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불포화 단위를 함유할 수 있지만, 방향족이 아닌, 탄화수소 모이어티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지방족 기는 1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지방족 기는 1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또는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또는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지방족 기는 3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또는 3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3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또는 3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적합한 지방족 기는 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기, 및 이의 하이브리드(hybrid), 예를 들어, (시클로알킬)알킬, (시클로알케닐)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알케닐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화학식 (I)에서 L 기는 (a) 직쇄 알킬 기, (b) 분지된 알킬 기, (c) 벤젠 고리로 치환된 직쇄 알킬 기, (d) 벤젠 고리로 치환된 분지된 알킬 기, (e) 벤젠 고리가 직쇄 지방족 기를 함유한 벤제닐 기, 및 (f) 벤젠 고리가 분지쇄의 지방족 기를 함유한 벤제닐 기로부터 선택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올 기"는 분자 당 다수의 히드록실 기(둘 이상의 히드록실 기)를 함유한 알코올을 나타낸다. 특히, 폴리올 기는, 얻어진 착물이 수용성이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하는 한, 선형 또는 환형,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거나,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올 기는 2개 이상의 히드록실 기를 함유한, C3-24 폴리올, 특히, C3-20 폴리올, 보다 특히, C3-12 폴리올, 또는 C3-12 폴리올이다.
더욱 특정 구현예에서, 폴리올 기는 -CH-(CHOH)nCH2OH에 의해 표현되며, 여기서, n은 1 내지 22, 1 내지 18, 1 내지 10, 또는 1 내지 6이다. 하나의 특정 예에서, n은 4이다.
바람직한 폴리올은 당 알코올이다. 폴리올의 예는 3-탄소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에리스리톨 및 트레이톨); 5-탄소 폴리올(예를 들어, 아라비톨, 자일리톨, 및 리비톨); 6-탄소 폴리올(예를 들어, 만니톨, 소르비톨, 갈락티톨, 푸시톨, 이디톨 및 이노시톨); 12-탄소 폴리올(예를 들어, 볼레미톨, 이소말트, 말티톨, 및 락티톨); 18-탄소 폴리올(예를 들어, 말토트리이톨); 및 24-탄소 폴리올(말토테트라이톨)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화학식 (I)에서, G는 단당류 잔기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단당류는 바람직하게, 화학식 C6H12O6을 갖는 6-탄소 단당류(즉, 헥소오스)이다. 헥소오스는 D 배열, L 배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헥소오스는 통상적으로, 작용기에 의해 분류된다. 예를 들어, 알도헥소오스는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굴로오스, 이도오스, 갈락토오스, 및 탈로오스와 같이 위치 1에 알데하이드를 가지며; 케토헥소오스는 프시코오스, 프룩토오스, 소르보오스, 및 타가토오스와 같이 위치 2에 케톤을 갖는다. 헥소오소는 또한 6개의 히드록실 기를 함유하며, 헥소오스에서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 작용기는 각각 분자내 헤미아세탈 또는 헤미케탈을 형성하기 위해 이웃하는 히드록실 작용기와 반응할 수 있다. 얻어진 환형 당이 5원 고리인 경우에, 이는 푸라노오스이다. 얻어진 환형 당이 6원 고리인 경우에, 이는 피라노오스이다. 고리는 자발적으로 열리고 닫혀져서, 카르보닐 기와 이웃하는 탄소 원자간의 결합 둘레에 회전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두 개의 별개의 배열(α 및 β)을 형성시킨다. 헥소오스는 S 배열 또는 R 배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식 (I)에서 하나 이상의 단당류 잔기에서의 히드록실 기 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다. 할로겐 원자의 예는 염소, 브롬 및 요오드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할로겐 원자는 염소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S" 또는 "R"은 기준 분자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이의 배열에 의해 광학 이성질체를 명명하는 방법이며, 이는 R/S 시스템으로 불리워진다. 이는 원자수를 기초로 하여, 칸-인골드-프렐로그 우선순위 규칙(Cahn Ingold Prelog priority rule)에 따라, 이의 리간드가 각각 우선순위가 지정되는 시스템에 따라 각각 키랄 중심 R 또는 S를 라벨링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분자에서 각 키랄 중심을 라벨링한다(그리고, 또한 키랄 중심을 포함하지 않는 키랄 분자로의 연장을 갖는다). 화합물이 두 개의 키랄 중심을 갖는 경우에, 이는 예를 들어, (S,S) 이성질체 대 (S,R) 이성질체로서 라벨링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산부가염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은 자유 염기의 생물학적 효능 및 성질을 보유하는 그러한 염을 지칭하며, 이는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 및 유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피루브산, 말레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살리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과 함께 형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에서, q는 2, 3 또는 4이며, R 기 중 적어도 하나는 R 중 다른 하나와 상이하다.
특정 구현예에서, 화학식 (I)에서, q는 2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하기의 화학식 (II)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R1-O-X-(CH2)m-X-O-R2 화학식 (II),
상기 식에서,
X는 C=O이며;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폴리올 기 및 (G)p의 사카라이드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G는 단당류 잔기이며, p는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여기서, (G)p에서 히드록실 기 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되며, 여기서, R1이 수소일 때, R2는 수소가 아니며;
m은 1 내지 40의 정수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에서, R1은 폴리올 기이며, R2는 (G)p의 사카라이드 기이다. 이러한 경우에,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링커에 의해 당 모이어티에 연결된 폴리올 모이어티의 컨쥬게이트로서 여겨진다. 특히, 링커는 -O-X-(CH2)m-X-O- (화학식 (L))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식에서, X는 C=O이며, m은 1 내지 40, 1 내지 20, 1 내지 12, 1 내지 8 또는 1 내지 4이며, 특히, m은 3 내지 20, 3 내지 12, 3 내지 8, 또는 3 내지 4이다. 하나의 특정 예에서, m은 4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p는 2이다. 사카라이드 기는 -G1-O-G2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식에서, G1 및 G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알도헥소오스 및 케토헥소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G1에서 히드록실 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G2에서 히드록실 기 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G1은 히드록실 기 중 하나가 염소에 의해 치환된 글루코오스이며, G2는 히드록실 기 중 두 개가 염소에 의해 치환된 프룩토오스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사카라이드 기는 하기 화학식 (Ia)에 의해 표현된다:
Figure pct00003
화학식 (Ia).
본 발명의 화합물의 특정 예는 하기와 같다:
((2R,3R,4R,5R,6R)-6-(((2R,5R)-2,5-비스(클로로메틸)-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옥시)-3-클로로-4,5-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메틸 ((2R,3R,4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디페이트
Figure pct00004
화학식 1, 및
하기 화학식 2의 C6-만니톨
Figure pct00005
화학식 2.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C의 중간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Ph는 페닐이며, Bn은 벤질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도 6의 일반식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정에 의해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특히, 알코올과의 에스테르화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COOH 기를 제공할 수 있는 링커 제제가 제공된다. 단계 1에서, 제1 -COOH 기(입수 가능한 경우 다른 것은 보호됨)를 제공하는 링커 제제는 제1 에스테르화를 진행하기 위해 제1 자유 히드록실 기(입수 가능한 경우 다른 것은 보호됨)를 갖는 R과 반응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여기서, q는 1임)을 생성시킨다. 단계 2에서, 제2 -COOH 기(입수 가능한 경우 다른 것은 보호됨)를 제공하는 링커 제제는 제2 에스테르화를 진행하기 위해 제2 자유 히드록실 기(입수 가능한 경우 다른 것은 보호됨)를 갖는 R과 반응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여기서, q는 2임)을 생성시킨다. 단계 3에서, 제3 -COOH 기(입수 가능한 경우 다른 것은 보호됨)를 제공하는 링커 제제는 제3 에스테르화를 진행하기 위해 제3 자유 히드록실 기(입수 가능한 경우 다른 것은 보호됨)를 갖는 R과 반응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여기서, q는 3임)을 생성시킨다. 단계 4에서, 제4 -COOH 기(입수 가능한 경우 다른 것은 보호됨)를 제공하는 링커 제제는 제3 에스테르화를 진행하기 위해 제4 자유 히드록실 기(입수 가능한 경우 다른 것은 보호됨)를 갖는 R과 반응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여기서, q는 4임)을 생성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스테르화를 수행하기 위한 링커 제제는 하기 화학식 (La)에 의해 표현된다:
P1-O-X-(CH2)m-X-O-P2 화학식 (La)
상기 식에서, X 및 m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으며, P1 및 P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보호기 또는 H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스테르화를 수행하기 위한 링커 제제는 하기 화학식 (La)에 의해 표현된다:
Figure pct00007
화학식 (Lb).
본원에서 사용되는 "보호기"는 작용기가 요망되지 않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용성 모이어티(예를 들어, 수소를 대체하는, 히드록실 기에서 산소, 또는 아미노 기에서 질소)에 부착된 화학적 기이다. 보호기는 예를 들어, t-부틸 기, 시클로알킬 기(예를 들어, 시클로헥실 기), 아릴 기(예를 들어, 2,4-디니트로페닐 기), 아르알킬 기(예를 들어, 벤질 기, 2,6-디클로로벤질 기, 3-브로모벤질 기, 2-니트로벤질 기, 4-디메틸카르바모일벤질 기, 및 트리페닐메틸 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 기, 아실 기, 알콕시카르보닐 기(예를 들어, t-부톡시카르보닐 기), 아르알킬옥시카르보닐 기(예를 들어, 벤질옥시카르보닐 기, 2-브로모벤질옥시카르보닐 기), 디알킬포스피노티오일 기(예를 들어, 디메틸포스피노티오일 기) 및 디아릴포스피노티오일 기(예를 들어, 디페닐포스피노티오일 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보호기는 아실 기, 등을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예에서, 반응식 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특정 합성 공정을 나타내는 실시예 1에 제공된다.
II.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도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치료 방법을 위한 약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투여 후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대사물로 변할 수 있는 전구약물로서 작용한다. 일 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합물 F로서, 이는 투여 후 만니톨, 수크랄로오스 및 C6-만니톨로 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들 모두는 P450 억제제로서 작용하고, 항-간독성 효과를 제공한다[하기 실시예 참조].
본 발명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 유효량의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함에 의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예를 들어, P450 억제제로서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질병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의 증가된 시토크롬 P450 활성에 의해 특징되는 질병 또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질병 또는 질환의 예는 표 A에 나열된다.
표 A
Figure pct00008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질병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의 증가된 자유 라디칼 수준에 의해 특징되는 질병 또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 기관 손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제공된다.
특정 예에서, 기관 손상은 간 또는 신장에서의 손상이다.
특정 예에서, 기관 손상 또는 간독성은 치료 약물, CCl4 또는 지질 축적에 의해 야기된다.
특정 예에서, 치료 약물은 아세트아미노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 간독성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지방간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거나, 간 기능을 보호하거나, 지방간 또는 다른 관련된 장애에 의해 야기된 간 질병을 개선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간 지방 함량"은 피검체의 간에 축적된 지방의 함량을 지칭하고, 광범위하게 규정된 지질, 예를 들어, 트리글리세라이드(TG)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간 지방 함량을 감소시킴"은 일반적으로 피검체에서 비정상 간 지방 함량의 감소, 즉, 비정상 간 지방 함량을 감소시킴, 보다 특히, 비정상 간 지방의 함량을 정상 수준까지 낮추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정상 환경 하에서, 지방은 간의 3 중량%를 차지한다. 간에서 지방이 간의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 이는 비정상 지방 축적(상술된 간 지방 함량은 예시를 위한 상대적 백분율이고, 인종 및 다른 인자로 인해 달라질 수 있음)으로서 결정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간 지방 함량을 감소시킴"은 피검체에서의 비정상 간 지방의 함량이 예를 들어, 간의 5 중량% 이상에서 간의 3 중량%로 감소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간 지방 함량은 초음파 분석, 자기 공명 영상화(MRI), 자기 공명 분광법(MRS), 컴퓨터 단층촬영법(CT), 및 간 생검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표준 분석 방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간 기능"은 간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기능을 지칭한다. 간 기능은 다수의 통상적인 검정, 예를 들어,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LT) 분석 또는 아스파르테이트 트랜스아미나아제(AST) 분석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간 기능의 개선 및 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을 포함하는, 간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간 질병"은 간 세포 손상, 또는 이후에 잠재적으로 간 기능장애를 야기시키는, 특정 인자에 의해 야기되는 손상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원에서 제안된 화합물은 일부 구현예에서 지방 간에 의해 야기되는 간 질병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특히, 본원에서 사용되는 "간 손상"은 정상 간과 비교하여, 조직학적 또는 생화학적 기능장애를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간 손상"은 고지방 식이요법 또는 비만, 또는 치료 약물 또는 유기 용매와 같은 알코올성 또는 비-알코올성 인자에 의해 야기된 간 병변을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간 손상"은 지방증, 소엽의 염증, 간세포 액포화, 및 간 세포에 의해 생성된 소포성 지방 점적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간 조직 손상일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간 손상"은 간의 생화학적 기능장애일 수 있으며, 이는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LT) 또는 아스파르테이트 트랜스아미나아제(AST)의 활성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ALT 또는 AST의 활성이 높을 수록, 간의 생화학적 기능의 기능장애가 심각해짐을 지시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간 항산화 활성"은 산화성 스트레스에 대한 활성 또는 능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의한 피검체의 간 항산화 활성의 개선은 산화성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거나 항산화제 시스템의 구성원들의 효소 활성 또는 함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것을 지칭한다. 항산화제 시스템의 구성원들은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아제(GPx), 글루타티온(GSH), 글루타티온 리턱타아제(GRd), 및/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무타아제(SO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일반적인 부형제 및 바이오플라보노이드(bioflavonoid)를 포함하며, 이는 간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고 관련된 장애를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용어 "관련된 장애"는 간 지방의 비정상적 축적에 의해 야기된 장애를 포함하고, 지방간 질병, 급성 및 만성 알코올성 지방간 질병, 급성 및 만성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 급성 및 만성 알코올성 간염, 급성 및 만성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비-알코올성 간경변 및 알코올성 간경변(ICD-9-CM 진단 코드: 571.8, 571.0, 571.1, 571.2, 571.3, 571.4, 571.5, 571.9)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하는"은 질병 또는 질병의 증상 또는 병태에 대한 예방 수단을 지칭한다. 예방 수단은 질병 또는 질병의 증상 또는 병태로 고통당하는 환자로서 아직 진단되지 않았지만 질병에 감수성을 나타내거나 걸리기 쉬울 수 있는 피검체에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적용하거나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방 수단의 목적은 질병의 발생 또는 질병의 증상 또는 병태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예방하거나, 유예시키는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하는"은 질병, 또는 질병의 증상 또는 병태에 대한 치료 수단을 지칭한다. 치료 수단은 질병 또는 질병의 증상 또는 병태 또는 질병의 악화로 고통 당하는 피검체에게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적용하거나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치료 수단의 목적은 질병, 질병의 증상 또는 병태, 질병에 의해 야기된 장애(disability), 또는 질병의 악화를 치료하거나, 치유하거나, 완화시키거나, 경감시키거나, 바꾸거나, 교정하거나, 개선시키거나, 나아지거나,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CYP2E1 억제제"는 CYP2E1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 약물 또는 물질이다. 다수의 검정은 인간 또는 랫트 간 마이크로솜 검정과 같은 CYP2E1 활성의 분석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는 인간 및 비-인간 포유동물을 포함한다. 비-인간 포유동물은 반려 동물, 예를 들어, 고양이, 개, 등, 및 농장 동물, 예를 들어, 소, 말, 양, 염소, 돼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유효량" 등은 피검체에서 요망되는 치료학적, 예방학적 및/또는 생물학적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예를 들어, 약물-유발 부작용을 감소시키거나,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병태 또는 진행을 금지시키거나, 개선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데 충분한 활성제의 양을 지칭한다. 실제 유효량은 다양한 이유, 예를 들어, 투여 경로 및 횟수, 상기 약제를 수용하는 개체의 체중 및 종, 및 투여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당업자는 각 경우에 본원의 개시네용, 확립된 방법, 및 당업자의 경험을 기초로 하여 투약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표준 용량"은 식품 의약청(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을 포함하는 제약 사회(pharmaceutical community)에서의 권위있는 출처(authoritative sources)에 의해 제안되고 종종 일상적인 실무에서 사용되는 치료제의 유효 용량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감소된 용량"은 표준 용량 보다 낮지만, 여전히 동일한 치료제의 동일한 치료 효과를 실질적으로 보유하는 용량을 지칭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치료 약물의 감소된 용량은 치료 약물의 표준 치료 용량의 약 90% 이하, 80% 이하, 70% 이하, 60% 이하, 50% 이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효량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활성 성분은 전달 및 흡수의 목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적절한 형태의 약제 조성물로 제형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담체가 조성물에서의 활성 성분과 혼화 가능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 성분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치료를 받는 개체에게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담체는 활성 성분에 대한 희석제, 비히클, 부형제, 또는 매트릭스일 수 있다.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윤활제; 습윤제; 에멀젼화 및 현탁제; 보존제; 감미제; 및 착향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자에게 투여한 후에 활성 성분의 급속, 지속, 또는 지연 방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의 형태는 정제, 환제, 분말, 로렌지, 패킷, 트로키, 엘릭시르, 현탁액, 로션, 용액, 시럽, 연질 및 경질 젤라틴 캡슐, 좌제, 멸균 주사액, 및 패키징된 분말(packaged powd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경구, 비경구(예를 들어, 근육내, 정맥내, 피하, 및 복강내), 경피, 좌약, 및 비내 방법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와 관련하여, 이는 용액을 혈액에 대해 등장성을 만들기에 충분한 염 또는 글루코오스와 같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멸균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된다. 멸균 조건 하에서 적절한 비경구 조성물의 제조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표준 약리학적 기술로 달성될 수 있으며, 추가의 창의적인 노동이 요구되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치료 약물(예를 들어, 아세트아미노펜)의 과잉투여, 또는 알코올, 화학제, 생체 분자 또는 이러한 기관에 독성 효과를 야기시킬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의 노출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기관, 예를 들어, 간 또는 신장에서의 손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간의 손상은 비정상적인 간 기능 또는 간 단백질의 함량을 초래하는, 간 세포 또는 조직의 손상, 장애 또는 상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되는 간 손상은 증상의 발병 시간부터 비교적 빠른, 예를 들어, 12주 미만, 특히, 6주 미만의 기간의 발병의 간 손상을 의미하는 급성 간 손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급성 간 손상을 갖는 환자는 만성 간 질병의 배경을 가지지 않는다.
상세하게, 신장의 손상은 비정상적인 신장 기능을 초래하는, 신장 세포 또는 조직의 손상, 장애 또는 상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장 손상은 예를 들어,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 요배설량의 감소, 혈청 크레아티닌의 증가, 혈청 시스타틴 C의 증가, 등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신장 손상은 예를 들어, 14일 내, 바람직하게, 7일 내, 더욱 바람직하게, 72 시간 내, 및 더욱더 바람직하게, 48 시간 내에, 신장 여과 기능의 갑작스런 또는 빠른 감소를 의미할 수 있는 급성 신장 손상이다.
하나의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NAPQI(N-아세틸-p-벤조퀴논 이민)에 의해 야기된 요망되지 않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피검체에서 NAPQI(N-아세틸-p-벤조퀴논 이민)에 의해 야기된 요망되지 않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피검체에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요망되지 않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 NAPQI(N-아세틸-p-벤조퀴논 이민)에 의해 야기된 요망되지 않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II. 본 발명의 화합물과 다른 활성제와의 병용(combined use)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대사물은 예를 들어, 상승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활성제, 특히, P450 억제제로서 작용하고/거나 항-간독성 활성을 제공하는 것 및/또는 항-지방간 활성을 갖는 것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P450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일부 활성제("제1 활성제(들)"로 명명됨)는 PCT/CN2013/087049호(USSN 14/441,317호, 이러한 문헌의 내용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P450 억제제의 특정 예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Tween 20), 미정질 셀룰로오스, 디칼슘 포스페이트 2수화물, Brij 35, 사카린, 만니톨, Cremophor RH40, 수크랄로오스, 크로스포비돈, 소듐 전분 글리콜레이트, Eudragit S100, 크로스카르멜로오스 소듐, Pluronic F68, 멘톨, 저-치환된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전젤라틴화 전분, 수화된 Dextrates NF, 시트르산, Cremophor EL, Aerosil 200, Myrj 52, 소르브산, 레몬 오일,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소르비톨, 아세설팜 칼륨,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락토오스 일수화물, 말토덱스트린, Brij 58, Brij 76, Tween 80, Tween 40, PEG 400, PEG 4000, PEG 8000, Span 60, 소듐 벤조에이트, 히드록시 에틸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Span 80, 소듐 시클라메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옥사이드 레드(oxide red),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Copovidone K28, 전분 아세테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Providone K30, PEG 2000, 및 N-아세틸시스테인(NAC)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함께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활성제는 디칼슘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멘톨, 만니톨, 수크랄로오스, N-아세틸시스테인(NAC)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항-지방간 활성을 갖는 일부 활성제("제2 활성제"로서 명명됨)는 PCT/CN2016/078039호에 기술되며, 이러한 문헌의 내용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항-지방간 활성을 갖는 활성제의 특정 예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멘톨,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사카린, 글리세린, 소듐 벤조에이트, 옥사이드 레드, 전젤라틴화 전분, 소듐 시클라메이트, 소르브산, 레몬 오일, 시트르산, 부틸화된 히드록시아니솔, 폰시린, 이소비텍신, 에리오딕티올, 에르고스테롤, β-미르센, 하이페로사이드, (+)-카테킨, 갈랑긴, 모린, 사이아도피티신, 디디민, 고시핀, 루테올린-7-글루코사이드, (+)-탁시폴린, 트랜스-신남산, 디오스민, 리나린, 자일리톨, 루테올린, 스웨르티아마린, 푸에라린, 플로리진, 시넨세틴, (-)-에피갈로카테킨, 카엠프페롤, 우르솔릭산, 실리마린, (+)-리모넨, 헤스페리딘, (-)-에피카테킨-3-갈레이트, 실리빈, 포름오노네틴, 미리스트산 에틸 에스테르, 에이코사펜타엔산(EPA), 우고닌, 포비돈 K-30, 프로토카테큐산, 엄벨리페론, 헤스페리틴,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네오헤스페리딘, 나린진, (-)-에피카테킨, 글리시리진, 바이칼린, 퀘르시트린, 바이칼레인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ii) 제2 활성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함게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활성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멘톨,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사카린, 글리세린, 소듐 벤조에이트, 옥사이드 레드, 전젤라틴화 전분, 소듐 시클라메이트, 소르브산, 레몬 오일, 시트르산, 부틸화된 히드록시아니솔, 폰시린, 이소비텍신, 에리오딕티올, 에르고스테롤, β-미르센, 하이페로사이드, (+)-카테킨, 갈랑긴, 모린, 사이아도피티신, 디디민, 고시핀, 루테올린-7-글루코사이드, (+)-탁시폴린, 트랜스-신남산, 디오스민, 리나린, 자일리톨, 루테올린, 스웨르티아마린,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함께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활성제는 푸에라린, 플로리진, 시넨세틴, (-)-에피갈로카테킨, 카엠프페롤, 우르솔릭산, 실리마린, (+)-리모넨, 헤스페리딘, (-)-에피카테킨-3-갈레이트, 실리빈, 포름오노네틴, 미리스트산 에틸 에스테르, 에이코사펜타엔산(EPA), 우고닌, 포비돈 K-30, 프로토카테큐산, 엄벨리페론, 헤스페리틴,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네오헤스페리딘, 나린진, (-)-에피카테킨, 글리시리진, 바이칼린, 퀘르시트린, 바이칼레인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함께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활성제는 에리오딕티올, 만니톨, 멘톨, 수크랄로오스, 사카린,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함께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활성제는 (1) 사카린 및 만니톨의 조합, (2) 멘톨 및 만니톨의 조합, (3) 수크랄로오스 및 만니톨의 조합, (4) 에리오딕티올 및 만니톨의 조합, (5) 에리오딕티올 및 수크랄로오스의 조합, (6) 멘톨, 만니톨, 및 에리오딕티올의 조합, 및 (7)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및 에리오딕티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세하게,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제제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NAPQI(N-아세틸-p-벤조퀴논 이민)에 의해 야기된 요망되는 않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 제공된다.
특정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N-아세틸시스테인(NAC)과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대사물의 조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피검체에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대사물과 함께 NAC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 N-아세틸시스테인(NAC)을 투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합 또는 방법은 NAC가 효과적인 질병 또는 장애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NAC에 의해 치료되거나 예방되는 질병 또는 장애는 마이오글로누스 간질(Myoclonus Epilepsy), 급성 혼흡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중금속 중독(heavy metal poisoning), 인플루엔자 감염증(influenza infection), 심장병,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간질(Unverricht-Lundborg 타입) 및 HIV 감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되며, 이러한 실시예는 제한적이기 보다는 예시 목적으로 제공된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화합물 F)의 합성
((2R,3R,4R,5R,6R)-6-(((2R,5R)-2,5-비스(클로로메틸)-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옥시)-3-클로로-4,5-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메틸 ((2R,3R,4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디페이트(화학식 1)(화합물 F)의 합성
화학식 1(화합물 F)의 합성을 위한 합성 전략은 반응식 1에 나타낸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9
HMDS = 헥사메틸디실라잔
TMSOTf =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TBAF =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HF = 테트라히드로푸란
TMS = 트리메틸실릴
DCC =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DMAP =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CM = 디클로로메탄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DIBAL = 디이소부틸알루미늄
Bn = 벤질 에테르
일반적인 방법
모든 화학물질들은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상업적 공급처로부터 획득되고 입수된 대로 사용되었다.
생성물의 크로마토그래피 순도를 하기와 같은 조건으로 평가하였다:
이동상 조성물 A: 메탄올 : H2O=5/95(v/v), 0.05% NH4OH를 함유함
B: 메탄올 : H2O=95/5(v/v), 0.05% NH4OH를 함유함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Figure pct00010
컬럼 타입: Waters® Acquity UPLC HSST3, 1.8 ㎛, 100 × 2.1 mm
자동샘플러 온도: 4℃
컬럼 오븐 온도: 45℃
유량: 0.35 mL/분
분석 시간: 10분
주사 부피: 5 ㎕
체류 시간: 4.8분
MS 분석을 하기와 같은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질량 분석계 설정:
질량 분석계: 3중 사극 MS(API Qtrap5500) Applied Biosystem, Inc.
검출: MRM 네가티브 모드
전구약물: m/z 688.9 → m/z 180.9
Bruker 표준 펄스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MeOH-d4H 3.30, δC 49.0) 또는 CDCl3H 7.24, δC 77.0)에서의 Bruker AMX-500 NMR 분광계; HMQC 및 HMBC 실험에서, 각각 △ = 1 s 및 J = 140, 8 Hz, 스펙트럼 당 512 × 1 K 데이타 포인트로 이루어진 상관관계 맵(correlation map), 각각은 16 내지 64회의 트랜션트(transient)로 이루어짐.
1.1 만니톨(화합물 (i))에서 화합물 (B)로
1.1.1 만니톨(화합물 (i))에서 화합물 (i)-1로
Figure pct00011
만니톨, 화합물 (i) 화합물 (i)-1
DMF(250 mL) 중 D-만니톨(25 g, 0.137 mol)의 용액에 Ar 하, 실온에서 벤즈알데하이드(30 mL, 0.345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에 0℃에서 진한 황산(10 mL)을 적가하였다. 실온까지 점진적으로 가온시킨 후에, 혼합물을 3일 동안 혼합하였다. 이후에, 혼합물을 격렬한 교반 하에서 얼음물(250 mL) 및 n-헥산(200 mL)에 부었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시킨 후에, 침전물을 여과하고, n-헥산으로 세척하였다. 침전물을 클로로포름에 현탁시키고, 격렬한 교반 하에서 환류 하에서 15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이 실온에 도달된 후에, 용해되지 않은 침전물을 수집하고, EtOH로부터의 재결정화는 백색 고체(9.86 g, 20%)로서 요망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Rf = 0.45 (EA/Hex = 1/1).
1.1.2 화합물 (i)-1에서 화합물 (i)-2로
Figure pct00012
화합물 (i)-1 화합물 (i)-2
DMF(100 mL) 중 1,3,4,6-디벤질리덴(10g, 27.9 mmol)의 용액에 Ar 하, 실온에서 벤젤 브로마이드(7.96 mL, 66.96 m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이후에 60% NaH(2.68 g, 66.96 mmol)를 여러 번 첨가하였다. 실온까지 점진적으로 가온시킨 후에,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이후에, 반응을 물(적가)에 의해 켄칭시키고, NaHCO3(aq)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요망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10.39 g, 69%). Rf = 0.2 (EA/Hex = 1/6).
1.1.3 화합물 (i)-2에서 화합물 (B)로
Figure pct00013
화합물 (i)-2 화합물 (B)
톨루엔(12.5 mL) 중 2,5-디벤질-1,3,4,6-디벤질리덴(1.5 g, 2.78 mmol)의 용액에 -18℃(얼음-염 배쓰)까지 냉각시켰다. 1.2 M DIBAL(18.5 mL, 22.3 mmol)을 적가하고, 실온까지 가온시켰다. 1.5시간 후에, 반응을 0℃까지 냉각시키고, 이후에, MeOH 및 15% KOH(aq)에 의해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요망되는 생성물(709 mg, 47%)을 수득하였다. Rf = 0.1 (EA/HEX = 1/5).
1.2 수크랄로오스(화합물 (ii))에서 화합물 (D)로
1.2.1 화합물 (ii)에서 화합물 (ii)-1로
Figure pct00014
수크랄로오스, 화합물 (ii) 화합물 (ii)-1
DCM(10 mL) 중 수크랄로오스(1 g, 2.5 mmol)의 용액에 HMDS(2.6 mL, 12.57 mmol) 및 TMSOTf(45 ㎕, 0.2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진공 중에서 농축하여, 헥산에 의해 세척하면서 면직물(cotton)을 통해 진행시켰다. 여액을 진공 중에서 다시 농축하여 생성물을 정량(1.9 g, 정량)으로 수득하였다. Rf = 0.9 (EA/HEX= 1/8).
1.2.2 화합물 (ii)-1에서 화합물 (D)로
Figure pct00015
화합물 (ii)-1 화합물 (D)
피리딘(150 mL) 중 펜타-TMS 수크랄로오스(5 g, 6.6 mmol)의 용액에 0.1 M 피리딘-TsCl 용액(6.6 mL)을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개방시키고 3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진공 중에서 농축하고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요망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1.4 g 30%). Rf = 0.5 (EA/HEX = 1/8).
1.3 6-옥소-6-((2R,3R,4R)-2,3,4-트리스(벤질옥시)-4-(2-페닐-1,3-디옥솔란-4-일)부톡시)헥산산(화합물 (C))의 합성
Figure pct00016
불꽃 건조된 R.B. 플라스크에서, 화합물 A(165 mg, 1 eq.)를 0℃에서 DCM(5 mL)에 용해시키고, 이후에, 여기에 피리딘(0.2 mL) 및 DMAP(50 mg)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이후에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에, 화합물 B(59 mg, 1.5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이후에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에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하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미정제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요망되는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36 mg, 67%).
1.4 ((2R,3S,4R,5R,6R)-6-(((2R,5R)-2,5-비스(클로로메틸)-3,4-비스((트리메틸실릴)옥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옥시)-3-클로로-4,5-비스((트리메틸실릴)옥시)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메틸((2R,3R,4R)-2,3,4-트리스(벤질옥시)-4-(2-페닐-1,3-디옥솔란-4-일)부틸) 아디페이트의 합성
Figure pct00017
DCM 중 화합물 C(100 mg, 1.0 eq.)의 얼음 냉각 용액에 DCC(35 mg, 1.15 eq.)를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에, 여기에 화합물 D(112 mg, 1.2 eq.) 및 DMAP(5 mg, 0.25 eq. 촉매)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시키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에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하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미정제 화합물을 이후에, 중성 실리카 겔 및 용리액으로서 1% 트리에틸아민을 함유한 헥산 중 5 내지 15%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요망되는 화합물 E를 수득하였다(84 mg, 42%).
1.5 ((2R,3R,4R,5R,6R)-6-(((2R,5R)-2,5-비스(클로로메틸)-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옥시)-3-클로로-4,5-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메틸 ((2R,3R,4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디페이트(화합물 F)의 합성
Figure pct00018
불꽃 건조된 1구 R.B. 플라스크에서, 화합물 E(500 mg, 1 eq.)를 건조 MeOH( 20 mL)에서 용해시키고, 이후에, 질소 가스에 의해 탈기시켰다(질소 가스 시린지를 용액 내측에 깊이 존재시키고, 질소를 15분 동안 퍼징시킴). 이후에, 10% Pd-C(200 mg, 33% w/w)를 반응 혼합물에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반응 혼합물을 수소 벌룬 압력 하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에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이후에, 셀라이트층을 통해 여과하고, 그러한 층을 건조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하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최종 화합물을 이후에, 고진공 하에서 유지시켜 요망되는 최종 화합물 F를 무색 반고체 또는 백색 고체(190 mg, 73%)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 F의 구조를 고해상도 질량 분광법 및 13C NMR에 의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혈액에서(시험관 내에서) 인큐베이션할 때 대사물을 생성시키는, 전구약물로서의 화합물 F
2.1 물질 및 방법
새로운 인간 전혈을 약물 가수분해 연구를 위해 사용하였다. 약물(10 mg, 화합물 F)을 1 mL 용액(20%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37℃에서 진동 물 배쓰에서의 50-mL 플라스크 온도조절장치에서 약물 가수분해(n=3)를 1.0 mg의 약물을 함유한 20 mL의 새로운 전혈 분취액에서 수행하였다. 시간 0에서, 약물을 첨가하고, 다양한 인큐베이션 시간 후에, 혈액 샘플을 0.25, 0.5, 0.33, 0.75, 1, 2, 4, 6, 12 및 24시간에 수집하였다. 혈액 샘플에 1 mL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샘플을 수득하였을 때 약물의 효소 가수분해를 켄칭시켰다. 혈액 중의 전구약물 및 이의 관련된 대사물, 예를 들어, C6-만니톨, 만니톨 및 수크랄로오스를 이온-스프레이(ion-spray, ESI) 소스가 장착된 API QTrap5500 삼중-4극 질량 분석계에 의해 결정하였다. ESI 인터페이스를 네가티브-이온 모드에서 사용하였다.
2.2 결과
전구약물은 m/z 688.9→180.9의 전이에서 모니터링되고, 수크랄로오스는 m/z 395→359의 전이에서 모니터링되며; 만니톨은 m/z 452.3→273.3의 전이에서 모니터링되며; C6-만니톨은 m/z 309→101.1의 전이에서 모니터링되었다. 모든 화합물을 고해상도 질량 분광법 및 13C 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C6-만니톨(화학식 (2))의 구조는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19
혈액 중에서 전구약물의 인큐베이션 후의 시간에 대한 잔류하는 전구약물의 백분율 및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및 C6-만니톨 증가 백분율을 플롯팅함으로써 혈액에서 전구약물의 가수분해를 나타내었다(도 1). 결과는, 화합물 F가 시험관내에서 혈액과 함께 인큐베이션된 후에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및 C6-만니톨을 포함한 이의 대사물로 변하는 전구약물로서 작용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3: SD (Sprague Dawley)-랫트(생체 내)에서의 약물동력학 연구
3.1 물질 및 방법
SD-랫트에 전구약물을 3.67 mg/kg BW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혈액 샘플을 헤파린 처리된 마이크로 원심분리 튜브에 0, 0.5, 1, 2, 4, 6, 8, 12, 및 24시간의 간격으로 수집하였다. 혈액 샘플을 8,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함으로써 혈장 샘플을 바로 수득하였다. 혈장 샘플을 이후에 사용할 때까지 -80℃에서 저장하였다. 혈장 샘플을 이온-스프레이(ESI) 소스가 장착된 API QTrap5500 삼중-4극 질량 분석계에 의해 전구약물 및 이의 관련된 대사물, 예를 들어, 만니톨 및 수크랄로오스에 대해 분석하였다. ESI 인터페이스를 음-이온 모드에서 사용하였다.
3.2 결과
전구약물은 m/z 688.9→180.9의 전이에서 모니터링되었으며, 수크랄로오스는 m/z 395→359의 전이에서 모니터링되었으며, 만니톨은 m/z 452.3→273.3의 전이에서 모니터링되었으며, C6-만니톨은 m/z 309→101.1의 전이에서 모니터링되었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3.67 mg/kg 전구약물의 단일 경구 투약된 SD-랫트에서 전구약물 및 이의 관련된 대사물, 예를 들어, 수크랄로오스 및 만니톨의 혈장 농도 시간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결과는, 화합물 F가 생체 내에서 동물에 투여 후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및 C6-만니톨을 포함하는 이의 대사물로 전환하는 전구약물로서 작용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4: CYP2E1 억제 활성 검정
4.1 물질 및 방법
본 실시예는 CYP450 아이소자임 억제제의 시험관내 스크리닝을 위한 인간 간으로부터의 마이크로솜의 제조이다. 효과적인 인간 간 CYP450 아이소자임 억제제를 시험하였으며, CYP450 아이소자임 억제제를 시험하기 위한 원리는 상이한 기원의 간으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솜 CYP450 아이소자임 및 이의 특정 기질 클로르족사존(CZX)의 반응을 기초로 한 것이다. 시험 샘플의 첨가 후에, CYP450 아이소자임 대사물 표준 6-OH-CZX(6-히드록시-클로르족사존)의 양은 베이스라인으로서 대조군의 6-OH-CZX의 양을 이용함으로써 시험 샘플의 CYP450 아이소자임(CYP2E1) 억제율의 계산을 위해 사용된다.
모든 샘플을 3회 시험하였다. 억제 백분율을 결정하기 위해, 각 시험 화합물을 1, 2, 4 ㎍/mL에서 3개의 상이한 농도로 용해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의 CYP2E1 활성 수준을 대조 인큐베이션과 비교하였다. 0.5 mg의 마이크로솜 단백질을 함유한 500-㎕ 반응 혼합물을 37℃에서 30분 동안 pH 7.4를 갖는 50 mM 포스페이트 완충제 중에서 5 mM MgCl2 및 1 mM NADPH의 존재 하에 320 μM CZX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반응을 얼음-냉각된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종결시키고, 이후에, 4-히드록실 톨부타미드를 내부 표준물로서 첨가하였다. 유기상을 증발 건조시키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탠덤 질량 분광법(LC-MS/MS) 분석 전에 이동상(메탄올:물 = 1:1)에서 재구성하였다. 이온-스프레이(ESI) 소스가 장착된 API 3000 삼중-4극 질량 분석계를 이용하여 인간 간 마이크로솜에서 6-OH-CZX를 결정하였다. ESI 인터페이스를 포지티브-이온 모드에서 사용하였다. 6-OH-CZX를 m/z 284.5→185.9의 전이에서 모니터링하였다.
결과의 분석: LC/MS/MS로부터 얻어진 검출된 신호 값을 베이스라인(즉, 대조군의 CYP450 아이소자임 억제율은 0%임)으로서 대조군을 이용하여 CYP450 아이소자임 대사물 표준 6-히드록시-클로르족사존의 양(pmol)로 변환시킨다. 시험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의 CYP450 아이소자임 활성 수준을 대조군 인큐베이션과 비교하였다.
4.2 결과
디에틸디티오카르밤산(DDTC)은 널리 공지된 CYP2E1의 억제제이다. 100 μM의 농도에서, DDTC 처리는 (CYP2E1 기질로서 CZX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인간 간 마이크로솜에서 CYP2E1의 90.9% 억제를 야기시켰다. DDTC의 관찰된 억제 활성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자는 4, 2 및 1 ㎍/mL의 농도에서 CYP2E1 억제에 대해 신규한 화합물(전구약물) 및 이의 관련된 대사물을 시험하였다. 결과는 표 1에 요약되었다.
표 1. 인간 간 마이크로솜을 생체내 스크리닝으로부터의 CYP2E1 억제제의 억제율
Figure pct00020
인간 간 마이크로솜에서 검출된 시험 화합물의 CYP2E1 억제율은 표 1에 나타낸다. 그 결과로부터, 전구약물(화합물 F), 및 이의 대사물, 즉 만니톨, 수크랄로오스 및 보호기를 갖는 C6-만니톨(화학식 C)을 포함하는, 시험 화합물은 P450 2E1 억제제로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4 ㎍/mL 전구약물의 중간 대사물(즉, 보호기를 갖는 C6-만니톨, 화학식 C)은 최상의 억제 효과(70.3 ± 2.8%)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아세트아미노펜(APAP) 및 CCl 4 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의 검정
5.1 물질 및 방법
5.1.1 시약
모든 유기 용매는 HPLC 등급이고, Tedia(미국 오하이오 페어필드 소재)로부터 구매되었다. APAP는 Sigma(미국 미주리 세인트 루이스 소재)로부터 구매되었으며, 갈락토오스 주사 용액은 Southern Photochemical Co.에 의해 제조되고, 주사를 위한 등장성 염을 함유한 1L의 완충 용액에 400 g의 갈락토오스(Sigma)를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된다.
5.1.2 동물
체중이 175 내지 280 g인 수컷 SD(Sprague-Dawley) 랫트를 국립 실험 동물 ㅅ센터(tional Laboratory Animal Center, NLAC)(대만 소재)로부터 구매하였다. 본 연구를 국립 보건 연구소(National Health Research Institute)의 동물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가이드라인(Guidelines for Conducting Animal Studies of the National Health Research Institute)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모든 랫트를 12시간 낮/12시간 밤 사이클 하에서의 공기/습도 제어된 환경에서 그리고 제한되지 않은 물 및 음식이 공급되도록 배치하였다. 본 연구 과정 동안에, 랫트의 체중을 정상 물 공급과 함께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5.1.3 치료
5.1.3.1 APAP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
만니톨 및 스쿠랄로오스를 사용하여 APAP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의 측면에서 동물 시험(랫트)을 수행하였다.
정상 대조군(그룹 1)에서, 동물에 APAP를 공급하지 않았다. APAP-유발 간 손상의 대조군(그룹 2)에서, 동물에 간독성을 유발시키기 위해 1 킬로그램 체중 당 2,000 mg의 양으로 단일 용량의 APAP를 공급하였다. NAC로 처리되는 양성 대조군(그룹 3)에서, 동물에 간독성을 유발시키기 위해 1 킬로그램 체중 당 2,000 mg의 양으로 단일 용량의 APAP를 공급하고, 4시간 후에, 4시간 마다 5회 (체중 1 킬로그램 당) 140 mg의 NAC의 1차 투여 및 (체중 1 킬로그램 당) 70 mg의 NAC의 후속 투여를 포함하는, 튜브 공급에 의한 24시간 치료 기간을 개시하였다. 실험 그룹(그룹 4)에서, 동물에 간독성을 유발시키기 위해 1 킬로그램 체중 당 2,000 mg의 양으로 단일 용량의 APAP를 공급하고, 4시간 마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을 6회 투약을 포함하는, 튜브 공급에 의한 24시간 치료 기간을 개시하였다:
(a) (그룹 4.1): 24시간 동안, 4시간 마다 개체 당 100 mg 이하의 용량의 만니톨 투여,
(b) (그룹 4.2): 24시간 동안, 4시간 마다 그룹 4.1에 비해 두배 용량의 만니톨 투여,
(c) (그룹 4.3): 24시간 동안, 4시간 마다 개체 당 100 mg 이하의 용량의 수크랄로오스 투여,
(d) (그룹 4.4): 24시간 동안, 4시간 마다 그룹 4.3에 비해 두배 용량의 수크랄로오스 투여,
(e) (그룹 4.5): 24시간 동안, 4시간 마다 킬로그램 당, 그룹 4.1.에 비해 0.5배 용량의 만니톨 및 그룹 4.3에 비해 0.5배 용량의 수크랄로오스의 조합의 투여,
(f) (그룹 4.6): 24시간 동안, 4시간 마다 킬로그램 당, 그룹 4.1.의 용량의 만니톨 및 그룹 4.3의 용량의 수크랄로오스의 조합의 투여,
(g) (그룹 4.7): 24시간 동안, 4시간 마다 킬로그램 당, 그룹 4.1에 비해 1.5배 용량의 만니톨 및 그룹 4.3에 비해 1.5배 용량의 수크랄로오스의 조합의 투여,
(h) (그룹 4.8): 24시간 동안, 4시간 마다 킬로그램 당, 그룹 4.1에 비해 2배 용량의 만니톨 및 그룹 4.3에 비해 2배 용량의 수크랄로오스의 조합의 투여, 및
(i) (그룹 4.9): 4시간 마다 5회, 체중 1 킬로그램 당 140 mg의 NAC의 제1 투여 및 70 mg의 NAC 및 그룹 4.1에 비해 2배 용량의 만니톨 및 그룹 4.3에 비해 2배 용량의 수크랄로오스의 조합의 후속 투여.
24-시간 치료 기간 후에, 혈액을 AST/SLT 검정을 위한 랫트의 꼬리 동맥으로부터 체혈하였다. 후속하여, 랫트를 GSP 시험으로 처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랫트를 희생시키고, 조직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5.1.3.2 CCl 4 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
CCl4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을 고려하여 동물 시험(마우스)을 수행하기 위해 만니톨 및 수크랄로오스를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활성 성분으로부터 선택하였다.
정상 대조군에서, 동물에 복강내 주사에 의해 일반 염수를 투여하였다. CCl4 유발 간 손상의 대조군에서, 간독성을 유발시키기 위해 동물에 10 ml/kg CCl4(옥수수 오일 중 40%)을 복강내로 주사하였다. 실험 그룹에서, 동물에 간 독성을 유발시키기 위해 10 ml/kg CCl4(옥수수 오일 중 40%)을 복강내로 주사하고, 4시간 후에, 본 발명의 상이한 구성성분을 튜브 공급에 의해 투여하였다. 혈액을 AST/ALT 검정을 위해 본 발명의 구성성분의 투여 전 또는 본 발명의 구성성분을 투여하고 24시간 후에 마우스로부터 체혈하였다. 마지막으로, 동물을 2일째에 희생시키고, 혈액을 AST/ALT 검정을 위해 체혈하고, 조직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마우스의 다른 실험 그룹에 12주 동안 본 발명의 구성성분을 공급하였으며, 마우스를 GSP 시험으로 처리하였다.
5.1.4 혈액 샘플
치료를 완료한 후, 랫트를 에테르 마취 하에서 희생시키고, 혈액을 랫트의 꼬리 동맥으로부터 체혈하고, EDTA를 함유한 시험 튜브에 배치시켰다. 혈장을 4℃에서 15분 동안 13,000으로 원심분리하고, 단리된 혈장을 분취액 중에서 Eppendorf 튜브로 옮기고, -80℃에서 저장하였다.
5.1.5 생화학적 분석
혈장 AST 및 ALT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간 손상을 정량화하였다. AST 및 ALT는 간독성의 일반적인 지시제로서, Synchron LXi 725 시스템(Beckman Instruments, 미국 소재)을 사용함으로써 측정된다.
5.1.6 광학 현미경
랫트의 희생 후에, 조직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간 샘플을 10% 포스페이트-완충된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키고, 파라핀에 엠배딩된 상태로 탈수화시키고, 섹션을 5 ㎛ 두께로 제조하고, 이후에,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으로 염색하고, 과요오드산 시프 염색(Periodic acid Schiff stain, PAS)으로 처리하였다. 염색된 섹션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5.1.7 간 기능의 정량적 시험
연구를 완료한 후에, 모든 랫트를 GSP 시험으로 처리하였다. 랫트에 30초 내에 0.4 g/ml BW 갈락토오스 용액 0.5 g/kg을 정맥내로 주사하고, 하나의 혈액 샘플을 고리 정맥으로부터 주사 후 5, 10, 15, 30, 45 및 60분에 체혈하였다. 비색계 갈락토오스 데히드로게나아제를 사용하여 갈락토오스의 농도를 정량화하였고, 시험 농도는 50 내지 1,000 ㎍/ml의 범위이었다. 각 농도의 일일 변동(within-day variation)을 표준 편차 및 변동 계수(CV)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최대 허용 가능한 변동 계수는 10% CV이며, 보정 곡선의 기울기 및 절편을 비교함으로써 일상적 변동(day-to-day variation)을 시험하였다. GSP는 30초 주사를 정지한 후에 60초에 얻어진 혈액 갈락토오스 농도이다.
5.1.8 통계학적 분석
모든 데이타를 평균 ± 표준 편차(SD)로 나타내었으며, 결과를 ANOVA를 이용하여 계산하여 유의성(significance)을 결정하였다. Social Science 프로그램(Version 13, SPSS Inc.)의 통계 패키지(Statistical Package)를 계산을 위해 이용하고, 이후에, post hoc 시험을 수행하여,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비교를 위한 최소 유의한 차이를 시험하였으며, 그룹 간의 평균 차이는 p <0.05에서 유의미한 것이다.
5.2 결과
5.2.1 만니톨 및 수크랄로오스 및 다른 구성성분은 APAP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결과는, 간 손상이 APAP 간독성 그룹에서 발생됨을 나타낸다. 상반되게, 이러한 간 손상 및 생존률은 용량 의존 방식으로, 만니톨 및/또는 수크랄로오스의 사용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만니톨과 수크랄로오스의 조합은 상승 효과를 달성한다. 결과는 정상 대조군의 결과와 유사하고, NAC로의 표준 치료의 양성 대조군에 비해 훨씬 양호하다. 또한, Aerosil 200, 소듐 전분 글리콜레이트, 크로스포비돈, 미정질 셀룰로오스 및 Povidone K-30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성분은 또한, NAC로의 표준 치료의 양성 대조군에 비해 더욱 잘, 간 손상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된다.
개선된 결과는 또한, 상응하는 간 조직에서도 반영된다.
도 4는 조직학적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APAP 간독성 그룹에서 랫트로부터의 간 조직 섹션은 중심 정맥을 둘러싸는 간 세포가 가시적인 액포화 및 세포핵 수의 감소와 함께 파괴됨을 나타내었으며, 일부 간 세포는 심지어 괴사의 징후를 나타내었으며, 간 손상은 정상 대조군에서 랫트로부터의 간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더욱 심각하였다(도 4b). 반대로, 대조군에서의 랫트의 간 구조는 정상이며, 간 세포는 손상되지 않고 액포화되지 않고 순서대로 배열된다(도 4a). 만니톨 및/또는 수크랄로오스에 의해 치료된 실험 그룹으로부터의 간 섹션에 대하여, 간 세포는 가시적인 핵 및 낮은 액포화와 함께 비교적 손상되지 않았다(도 4d, 도 4e, 도 4f, 도 4g, 도 4h). 특히, 만니톨과 수크랄로오스의 조합은 최상의 보호 효과를 달성하였으며(도 4g), 결과는 NAC로의 표준 치료의 양성 대조군에 비해 훨씬 더 우수하다(도 4c).
5.2.2 만니톨은 CCl 4 의해 유발된 간 손상을 치료하는 데 효 과적이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pct00023
결과는 간 손상이 CCl4 대조군에서 일어남을 나타낸다. 반대로, 이러한 간 손상은 만니톨의 사용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 6: 지방간의 검정
6.1 물질 및 방법
6.1.1 세포주 및 세포 배양 배지
지방 함량의 감소에 있어서, 만니톨 및 수크랄로오스, 등을 포함하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구성성분들의 활성을 인간 간암 세포주 Hep G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둘베코의 변형된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를 사용하여 후속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표 4에 나열된 DMEM 배양물 번호 A 내지 번호 F를 제조하였다.
표 4: DMEM 배양 배지 번호 A 내지 번호 F의 제조
Figure pct00024
DMEM 배양 배지 번호 내지 번호 F를 2 내지 8℃에서 저장하고, 실험 전에 37℃의 수욕에서 가온시켰다.
6.1.2 세포수 및 생존율 시험
죽은 세포는 0.4% 트리판 블루를 흡수하고, 이후에, 칼라를 나타낼 것이다. 반면, 살아있는 세포는 손상되지 않은 세포막으로 인해 특정 염료를 배제하고 투명한 칼라를 갖는다. 100 ㎕의 세포 상청액 및 동일한 부피의 0.4% 트리판 블루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혼합물 중 일부(약 20 ㎕)를 혈구 계수기의 챔버 위의 그루브(groove)에 첨가하고, 이를 이후에, 광학 현미경 아래에서 관찰하기 위해 커버 슬립(cover slip)으로 덮었다. 살아있는 세포는 염색되지 않았으며, 죽은 세포는 청색이었다.
6.1.3 HepG2 세포주로부터 올레산-유발 형성 지방간 세포 형성
HepG2 세포주(15×106 세포)를 DMEM 배양물 번호 B에서 배양하고, 37℃에서 5% CO2를 함유한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키고, DMEM 배양물 번호 C(혈청-부재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시키고, 마지막으로, DMEM 배양물 번호 D(올레에이트/알부민 복합물을 함유함)에서 다른 48시간 동안 배양시켜 HepG2 세포주가 지방간 세포를 형성시키도록 유도하였다.
6.1.4 지방간 세포의 각 그룹에 대한 치료
HepG2 세포주를 (1) 블랭크(blank): 치료하지 않음; (2) DMSO 그룹: 블랭크로부터의 세포를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로 치료함; (3) 대조군: 지방간 세포를 형성시키기 위한 올레산으로 유도; (4) 비히클 그룹: 올레산으로의 유도에 의해 형성된 지방간 세포를 DMSO로 치료함; (5) 양성 대조군: 지방간 세포를 실리마린으로 치료함; 및 (6) 시험 그룹: 지방간 세포를 본 발명의 다양한 화합물로 치료함을 포함하는 6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6.1.5 세포에서 글리세라이드(TG)의 결정
7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에, 각 그룹으로부터의 치료된 세포를 PBS에서 2회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이후에, 3분 동안 0.5 ml의 트립신/EDTA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에, 세포를 2 ml의 PBS로 긁어내고, 이후에, 초음파에 의해 부수기 위해 원심분리 튜브로 옮겼다. 20 ㎕ 부피의 세포 추출물을 단백질 함량을 결정하기 위해 취하였다. TG 결정을 제제(Randox)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TG 함량을 단백질 함량으로 나누어서, 비율을 얻었으며, 이는 세포에서 TG의 상대적 함량을 나타낸다.
6.1.6 실험을 위한 동물
대만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 of Taiwan)에 의해 발표된 설명서 "Method for evaluating the liver protection and health care efficacies of health food"에서 제안된 B6 마우스를 동물 시험을 위해 선택하였다. 4마리가 넘는 마우스를 사전-시험의 각 그룹에서 사용하였으며, 12마리가 넘는 마우스를 확인 시험의 각 그룹에서 사용하였다. 일반 낮/밤 사이클(7:00 AM-7:00 PM 조명/7:00 PM-7:00 AM 전등 꺼짐) 하에서 55 ± 15% 상대 습도를 갖는 동물 사육실에서 23±2℃에서 사육하고 18 내지 23 g 체중인 수컷 마우스를 BioLASCO(Taipei)로부터 구매하고, 국방 의료 센터의 실험 동물 센터에서 하우징하였다. 동물 시험을 국립 건강 연구소의 동물 실험을 위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하였다. 마우스를 일반 먹이를 3 내지 5 g/일로 공급하고, 1 내지 2주 동안 물의 공급을 제한하지 않고, 건강 상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마우스의 체중을 1주에 1회 기록하였다.
6.1.7 동물 그룹핑
시험 동물을 블랭크, 고지방 식이 대조군(HFD), 양성 대조군(PS), 및 시험 그룹으로 무작위적으로 그룹핑하였다. 블랭크의 동물에 일반 먹이를 공급하였다. HFD의 동물에 고지방 먹이를 공급하였다. PS의 동물에 고지방 먹이를 공급하고, 추가적으로 튜브에 의해 실리마린(5 mg/kg/일)을 공급하였다. 시험 그룹의 동물에 고지방 먹이를 공급하고, 추가적으로, 튜브에 의해 시험 화합물을 공급하였다.
6.1.8 시험 방법
블랭크의 동물에 12주 동안 정상 먹이를 간편하게 공급하였고, HFD, PS 및 시험 그룹의 동물에 12주 동안 고지방 먹이를 간편하게 공급하였다. 8주 먹이 공급 후에, 블랭크 및 HFD의 동물에 하루에 1회 튜브에 의해 탈이온수를 공급하고, PS의 동물에 하루에 1회 튜브에 의해 실리마린을 공급하고, 시험 그룹의 동물을 4 또는 8주의 기간 동안 하루에 1회 튜브에 의해 시험 화합물을 공급하였다.
시험 전에 그리고 시험 후 8주, 12주 및 16주째에, 혈액을 뺨 또는 심장으로부터 체혈하였다. 시험 종료 후에, 모든 마우스를 계량하고, 이후에, 희생시키고, 혈액을 뺨 또는 심장으로부터 동시에 체혈하였다. 마우스의 혈액 시편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시켜 응고시키고, 이후에, 혈청을 15,700×g에서 4℃에서 5분 동안 냉동 원심분리기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그 후에, 아스파르테이트 트랜스아미나아제(AST),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LT), 트리글리세라이드(TG), 총 콜레스테롤(TCHO/TC), 저밀도 지방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및 고밀도 지방단백질 콜레스테롤(HDL-C)을 포함하는, 간 기능의 생화학적 지수를 자동 혈액 생화학 분석기에 의해 검출하였다.
또한, 복부 지방 및 간 시편을 희생된 마우스의 복부로부터 취하고, 계량하여 지방 및 간의 중량을 비교하고, 체중에 대한 간 중량의 비율을 획득하였다. 대략 1 ㎤ 부피를 갖는 두 개의 조직 블록을 가장 큰 간의 우엽(right lobe)으로부터 절개하고,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서 고정시키고, 이후에, 섹션화를 위해 파라핀에 엠배딩하였다. 절개된 섹션을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위해 H&E 염색을 수행하였다. 또한, 간의 나머지를 보존 및 간에서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의 검출을 위해 냉동하였다. 또한, 각 그룹의 동물의 간 기능을 갈락토오스 단일 포인트 방법(Galactose Single Point Method)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은 미국 FDA 및 대만 보건 복지부에 의해 임상적으로 사용하는 나머지 간 기능의 정량화를 위해 인정되고 권장된 것이다. 시험의 종료 시에, 동물 1 kg 당 0.5 g의 갈락토오스(G.S.P.® 0.4 g/mL)를 정맥을 통해 투여하였다. 투여하고 1시간 후에, 약 0.5 ml의 전혈을 필터지를 이용하여 취하여 마우스의 간 기능을 평가하였다. GSP의 값이 높을수록, 나머지 간 기능이 더 나쁠 것이다[FDA: "Guidance for Industry: Pharmacokinetics in Patients with Impaired. Hepatic Function-Study Design, Data Analysis and Impact on Dosing and. Labeling. 2003].
6.1.9 조직병리학적 조직 섹션화 :
시험의 종료 시에, 모든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대략 1 ㎤ 부피를 갖는 하나의 조직 블록을 간의 가장 큰 우엽으로부터 절개하고, 10% 중성 포르말린에서 고정시키고, 이후에, 탈수화시키고, 다양한 농도의 에탄올(30, 50, 70, 95, 99.5%)및 자일렌에서 히알린화하였다. 그 후에, 자일렌을 고온 파라핀 용액으로 대체하였다. 마지막에, 조직을 파라핀 용액 내에 엠배딩하였다. 최종 처리된 파라핀 시편을 마이크로톰(microtome)에 의해 5 ㎛ 두께의 파라핀 섹션으로 절개하였다. 섹션을 깨끗한 슬라이드 상에 페이스트화하고, 37℃에서 건조시키고, 이후에, H&E 염색에 의해 염색하였다.
6.1.10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H&E)
간 조직 섹션을 30분 동안 자일렌에서 탈파라핀화하고, 이후에, 각각 30분 동안 99.5%, 95%, 70%, 50%, 및 30% 수성 에탄올 중에서 2회 연속적으로 탈수화하였다. 10분 동안 증류수 중에서 액침시킨 후에, 섹션을 염색할 수 있다. 섹션을 먼저 30초 동안 헤마톡실린에 함침시켜 세포 핵을 염색시키고, 이후에, 수분 동안 증류수로 세척하고, 2 내지 5분 동안 에오신으로 염색하고, 다시 수분 동안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염색 공정을 완료한 후에, 섹션을 각각 30초 동안 50%, 70%, 95%, 및 100% 수성 에탄올에서 2회 연속적으로 탈수화하여고, 자일렌에서 2회 히알린화하고, 마지막으로 시일링하고, 마운팅 배지와 함께 저장하였다.
6.1.11 조직병리학적 관찰
간 손상이 진행 중일 때 간 세포에서 병소의 변화, 지방 축적, 괴사, 또는 섬유증을 관찰하기 위하여, 간 조직을 H&E 염색하여 간 지방 축적 정도를 평가하였다. 모든 조직병리학적 섹션을 주관적 관찰의 편견을 제거하기 위해 가장 큰 간의 우엽 상의 동일한 위치로부터 절개하고, 이후에, 병리학적 염색으로 처리하였다. 병리학에서 반-정량적 분석의 평가와 관련하여, (NAS 스코어)를 스코어링하기 위해 이중 맹검 분석을 수행하는 의사 또는 수의 병리학자에 의해 확인하고, 시험 설계를 알지 못하는 모든 섹션을 비교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각 그룹의 미분 분석을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6.1.12 간 항산화 능력의 분석
약 0.1 g의 간 조직을 희생 동물로부터 취하고, 10분 동안 바이오마셔(biomasher)와 함께 원심분리에 의해 균질화하였다. 9배 중량(w/w)의 완충제(pH 7.4, 50 mmol/L 트리스-HCl, 180 mmol/L KCl)를 균질화된 조직에 첨가하고, 이후에, 이를 사용을 위한 Vortex 믹서에 의해 잘 혼합하였다. 간 조직의 얻어진 균질화 용액 샘플을 사용하여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아제(GPx), 글루타티온(GSH), 글루타티온 리덕타아제(Grd), 및 수퍼옥사이드 디스무타아제(SOD)를 포함하는, 간 항산화제 시스템의 다양한 일원을 분석하였다. 관련된 분석 방법은 공지된 문헌, 예를 들어, 대만 보건복지부에 의해 발표된 문헌["Method for evaluating the liver protection and health care efficacies of health food"]의 드래프트(draft)에서 확인될 수 있다.
6.1.13 통계학적 분석
모든 데이타는 평균 ± 표준 편차(SD)로서 표현되었다. 시험 결과의 통계학적 유의미한 차이를 Social Science program, Version 13의 통계학적 패키지를 이용한 1-방향 ANOVA의 계산에 의해 결정하였다. 그 후에, 다중 비교를 post hoc 시험에서 최소 유의성 차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수행하여 그룹들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룹들 간의 평균 차이는, p < 0.05일 때 유의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6.2 결과
6.2.1 세포 실험
세포 실험에서, 양성 대조군(실리마린)에서 결정된 HepG2 세포에서의 TG 함량 감소의 결과는 표 5에 나열되었다.
표 5: 양성 대조군의 HepG2 지방 세포에서 TG 함량의 감소의 실리마린의 효능
Figure pct00025
일정 농도의 시험 화합물을 사용하여 결정된 HepG2 지방 세포의 TG 함량 감소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그러한 결과로부터, 시험 화합물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일정한 시험 농도의 조건 하에서 유발된 HepG2 세포로부터 형성된 지방간 세포에서 TG 함량 감소 효과의 상이한 정도를 나타낸다는 것이 나타날 수 있다. TG의 감소율(%)을 계산하기 위한 방정식은 하기와 같다: [1 - (시험 그룹의 TG 함량 - 블랭크의 TG 함량) / (올레산 유발 그룹의 TG 함량 - 블랭크의 TG 함량)] × 100%.
표 6: 시험 화합물에 의해 감소된 지방간 세포의 TG 함량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표 6-1: 지방간 세포에서 TG 함량을 감소시킨 표 6으로부터의 시험 화합물의 일부
Figure pct00029
표 6-2: 지방간 세포에서 TG 함량을 감소시킨 표 6으로부터의 시험 화합물(바이오플라보노이드)의 일부
Figure pct00030
표 6-3: 지방간 세포에서 TG 함량을 감소시킨 표 6으로부터의 시험 화합물(부형제)의 일부
Figure pct00031
6.2.2 동물 실험
동물 실험에서, 정상 먹이를 공급하는 블랭크의 동물을 제외하고, 모든 동물을 처리하여 지방간을 유발시켰다. 8주 후에, 각 그룹의 동물에 본래 먹이에 추가하여 4주 또는 8주 동안 상이한 치료를 제공하였다. 블랭크 및 HFD의 동물에 탈이온수를 공급하고, PS의 동물에 실리마린을 공급하고, 시험 그룹의 동물에 푸에라린, 플로리진, 에리오딕티올,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사카린, 헤스페리틴, 멘톨,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이한 시험 화합물을 공급하였다.
6.2.2.1 동물의 체중, 간 중량, 및 체지방의 중량에 대한 효과 및 시험 화합물의 안전성 평가
동물 실험의 결과로부터, 각 그룹의 동물의 간 중량, 체지방의 중량, 및 체중의 증가는 표 7-1 및 표 7-2에 나열되어 있다.
표 7-1: 시험 화합물로 인한 간 중량 및 체지방의 중량의 분석 결과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표 7-2: 시험 화합물로 인한 체중의 증가의 분석 결과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결과로부터, 복부 지방의 중량이 지방간이 유발된 동물에서 증가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별도로 투여된 시험 화합물 중에서, 만니톨, 멘톨, 및 수크랄로오스는 동물에서의 복부 지방의 중량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비정상적인 상태는 시험 화합물이 투여된 후에 시험 그룹의 동물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 동안 동물은 죽지 않았다. 시험 화합물에 의해 야기된 질병 또는 임상적 증상의 발생은 시험 후에 희생 동물의 부검 연구로부터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시험 화합물은 안전하였다.
6.2.2.2 시험 화합물은 간에서 지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도 5는 지방간을 나타내도록 유도된 마우스를 나타내었는데, 간문맥 영역(담관, 문맥 정맥, 간동맥을 포함함) 부근의 간 세포는 다수의 큰 소포성 지방 점적으로 덮혀졌고, 간세포 액포화가 나타났음을 나타내며, 이는 지방간의 동물 모델이 유도에 의해 성공적으로 확립되었음을 지시하는 것이다.
동물 실험의 결과는, 복수의 시험 화합물이 4주 또는 8주의 기간 동안 투여 후에 동물 간에서 지질 감소의 효과를 나타냄을 나타내었다. 결과는 표 8-1 및 표 8-2에 나타내었다.
표 8-1: 시험 화합물은 동물에서 간 지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4주의 투여 기간)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표 8-2: 시험 화합물은 동물에서 간 지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8주의 투여 기간)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결과는 TG 및 TC가 지방간이 유발된 마우스의 간에서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별도로 투여된 시험 화합물들 중에서, 헤스페리틴, 푸에라린, 에리오딕티올, 플로리진, 만니톨, 멘톨, 및 수크랄로오스는 간에서 TG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간 TG 함량에서 약 67% 감소의 우수한 효과(p<0.005)는 4주의 에리오딕티올의 치료 후에 달성되었다. 또한, 헤스페리틴, 에리오딕티올, 플로리진, 만니톨, 멘톨, 수크랄로오스, 및 사카린은 간에서 TC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간 TC 함량의 약 56% 감소의 우수한 효과(p<0.005)는 4주의 사칼린 치료 후에 달성되었다.
두 개의 시험 화합물의 조합이 투여되었을 때, 사카린과 만니톨의 조합, 멘톨과 만니톨의 조합, 수크랄로오스와 만니톨의 조합, 에리오딕티올과 만니톨의 조합, 또는 에리오딕티올과 수크랄로오스의 조합은 간 TG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간 TG 함량의 약 77% 감소의 우수한 효과(p<0.005)는 멘톨과 만니톨의 조합의 4주 치료 후에 달성될 수 있으며, 간 TG 함량의 약 78% 감소의 우수한 효과(p<0.005)는 에리오딕티올과 수크랄로오스의 조합의 8주 치료 후에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수크랄로오스와 만니톨의 조합, 에리오딕티올과 만니톨의 조합, 또는 에리오딕티올과 수크랄로오스의 조합은 간 TC 함량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간 TC 함량의 약 77% 감소의 우수한 효과(p<0.005)는 에리오딕티올과 수크랄로오스의 조합의 8주 치료 후에 달성될 수 있다.
세 가지 시험 화합물의 조합이 투여되었을 때, 멘톨, 만니톨 및 에리오딕티올의 조합, 또는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및 에리오딕티올의 조합은 간 TG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간 TG 함량의 약 79% 감소의 우수한 효과(p<0.005)는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및 에리오딕티올의 조합의 8주 치료 후에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및 에리오딕티올의 조합은 간 TC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6.2.2.3 시험 화합물은 간 손상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6.2.2.3.1 간 지방의 감소 및 간 조직의 간 손상의 효과
동물 실험의 결과는, 복수의 시험 화합물이 4주 시험 기간 동안 간 지방 및 간 조직 손상 감소의 효능을 나타내었음을 나타내었다. 도 5는 지방간을 갖는 동물의 간 조직 손상을 나타내었다. 간 조직 손상은 (담관, 문맥 정맥, 간동맥을 포함하는) 간문맥 영역 부근의 간 세포를 덮는 다수의 큰 소포성 지방 점적 및 간세포 액포화를 포함하였다. 비교하면, 4주 동안 실리마린, 멘톨, 에리오딕티올, 또는 만니톨에 의해 치료된 후에, 간 조직 섹션에서 간 세포 내의 큰 소포성 지방 점적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작은 파괴된 점적의 일부는 실리마린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여전히 관찰되었지만, 멘톨, 에리오딕티올, 또는 만니톨로 치료된 마우스의 간 조직 타입은 블랭크 그룹의 동물과 유사한데, 이는 가벼운 지방간 질병을 나타낸다. 또한, NAS 스코어링의 결과는 표 9에 나타났다.
표 9: 시험 화합물은 동물에서 간 손상의 병태를 감소시킬 수 있다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NAS(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 활성 스코어)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의 활성 스코어를 나타내었으며[Hepatology. 2005 Jun;41(6):1313-21], 지방증, 소엽의 염증 및 간 세포 액포화의 정도를 포괄적으로 평가하였다. 스코어 시트는 표 10에 나타내었다. 보다 높은 스코어는 더욱 심각한 간 손상을 지시하였다.
표 10: NAS 평가 프로젝트
Figure pct00042
결과는 간 조직 손상이 지방간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일어남을 나타내었다(NAS 증가). 별도로 투여된 시험 화합물 중에서, 에리오딕티올 및 만니톨은 간 손상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두 개의 화합물의 조합이 투여될 때, 멘톨과 만니톨의 조합이 우수한 효과를 달성하였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임의의 간 손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NAS는 블랭크와 동일하였다.
6.2.2.3.2 간 기능 장애의 감소 효과
동물 실험의 결과는, 복수의 시험 화합물이 4주 또는 8주의 투여 기간 동안 동물의 간 기능 장애 감소의 효능을 나타냄을 나타내었다. 결과는 표 11-1 및 표 11-2에 나타내었다.
표 11-1: 시험 화합물은 동물의 간 기능 장애를 감소시킬 수 있다(4주의 투여 기간)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표 11-2: 시험 화합물은 동물의 간 기능 장애를 감소시킬 수 있다(8주의 투여 기간)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ALT 및 AST는 간의 생화학적 기능 장애를 반영시키기 위한 효소 지시제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정상 환경 하에서, 이러한 효소는 간 세포에 존재한다. 그러나, 간 세포가 손상될 때, 이러한 것은 누출할 것이다. 혈청 ALT 및 AST 값의 증가는 일반적으로 간 염증 및 간 기능 장애를 반영한다.
결과는, 지방간이 유발된 동물(ALT 및 AST 값 증가)이 간 기능 장애로부터 고통 당함을 나타내었다. 별도로 투여되는 시험 화합물 중에서, 모든 헤스페리틴, 푸에라린, 에리오딕티올, 플로리진, 만니톨, 멘톨, 수크랄로오스, 및 사카린은 ALT 및 AST 값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ALT 값의 약 64% 감소(p<0.005) 및 AST 값의 약 60% 감소(p<0.005)의 우수한 효과는 만니톨의 4주 치료 후에 달성될 수 있다.
두 가지 시험 화합물의 조합이 투여될 때, 멘톨과 만니톨의 조합, 및 에리오딕티올과 수크랄로오스의 조합 둘 모두는 ALT 값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멘톨 및 만니톨의 조합, 수크랄로오스 및 만니톨의 조합, 또는 사카린 및 만니톨의 조합은 AST 값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ALT 값의 약 76% 감소(p<0.005) 및 AST 값의 약 62% 감소(p<0.005)의 우수한 효과는 멘톨과 만니톨의 조합의 4주 치료 후에 달성될 수 있다.
세 개의 시험 화합물의 조합이 투여될 때,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및 에리오딕티올의 조합은 ALT 값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p<0.005).
6.2.2.4 시험 화합물은 간 항산화 활성을 개선시킬 있다
동물 실험의 결과는, 복수의 시험 화합물이 4주의 시험 기간 동안 동물의 간 항산화 활성 개선의 효능을 나타냄을 나타내었다. 결과는 표 12-1 및 표 12-2에 나타내었다.
표 12-1: 시험 화합물은 동물에서 간 항산화 활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Gpx 및 GSH)
Figure pct00047
표 12-2: 시험 화합물은 동물에서 간 항산화 활성을 개선할 수 있다(Grd 및 SOD)
Figure pct00048
Gpx, GSH, Grd 및 SOD는 간에서 산화성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된 손상으로부터 간을 예방할 수 있는 간 항산화제 시스템의 일반적인 일원이다. Gpx, GSH, Grd 및 SOD 값의 증가는 간이 보다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유지시킴을 나타낸다.
결과는 지방간이 유발된 마우스의 항산화 활성이 감소됨을 나타내었다. 별도로 투여되는 시험 화합물 중에서, 모든 헤스페리틴, 푸에라린, 에리오딕티올, 플로리진, 만니톨, 및 수크랄로오스는 항산화 활성을 유의미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Gpx, GSH, Grd, 및 SOD 수준(p<0.005)의 실질적인 증가의 우수한 효과는 만니톨의 4주 치료 후에 달성되었다.
요약하면, 만니톨 및 수크랄로오스, 등을 포함하는 시험되는 바와 같은 화합물은 간에서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고, 간 손상을 감소시키고, 간 항산화 활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동물 실험을 통해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간 지방을 감소시키고 지방간 질병, 급성 및 만성 알코올성 지방간 질병, 급성 및 만성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NAFLD), 급성 및 만성 알코올성 간염, 급성 및 만성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비-알코올성 간경변, 및 알코올성 간경변(ICD-9-CM 진단 코드: 571.8, 571.0, 571.1, 571.2, 571.3, 571.4, 571.5, 571.9)과 같은 관련된 장애를 개선시키기 위해 건강 식품 또는 약물로 개발될 가능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42)

  1. 하기 화학식 (I)에 의해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49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L은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지방족 기이며;
    R은 수소, 폴리올 기 및 (G)p의 사카라이드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G은 단당류 잔기이며, p는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여기서, (G)p에서 히드록실 기의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되며;
    q는 2 내지 4의 정수이며, 각각의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2. 제1항에 있어서, L이 1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기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L이 분지쇄 알킬 기, 벤젠 고리로 치환된 직쇄 알킬 기, 벤젠 고리로 치환된 분지쇄 알킬 기, 직쇄 지방족 기로 치환된 벤제닐 기, 및 분지쇄 지방족 기로 치환된 벤제닐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 기가 치환된거나 비치환된, 선형 또는 환형인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단당류 잔기가 헥소오스인 화합물.
  6. 하기 화학식 (II)에 의해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R1-O-X-(CH2)m-X-O-R2 화학식 (II)
    상기 식에서,
    X는 C=O이며;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폴리올 기 및 (G)p의 사카라이드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G는 단당류 잔기이며, p는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여기서, (G)p에서 히드록실 기 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되며, R1이 수소일 때, R2는 수소가 아니며,
    m은 1 내지 40의 정수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폴리올 기가 -CH(CHOH)nCH2OH이며, 여기서, n이 1 내지 18의 정수인 화합물.
  8. 제6항에 있어서, (G)p에서 히드록실 기 중 둘 이상이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되는 화합물.
  9. 제6항에 있어서, 단당류 잔기가 헥소오스인 화합물.
  10. 제9항에 있어서, 헥소오스가 알도헥소오스 및 케토헥소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1. 제6항에 있어서, 사카라이드 기 R1 또는 R2가 -G1-O-G2에 의해 표현되며, 여기서, G1 및 G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알도헥소오스 및 케토헥소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G1에서 히드록실 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G2에서 히드록실 기 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되는 화합물.
  12. 제11항에 있어서, 할로겐 원자가 염소, 브롬 및 요오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3. 제12항에 있어서, 할로겐 원자가 염소인 화합물.
  14. 제11항에 있어서, G1이 히드록실 기 중 하나가 염소에 의해 치환된 글루코오스이며, G2가 히드록실 기 중 두 개가 염소에 의해 치환된 프룩토오스인 화합물.
  15. 제11항에 있어서, R1 또는 R2가 하기 화학식 (Ia)에 의해 표현되는 화합물:
    Figure pct00050
    화학식 (Ia).
  16. 제7항에 있어서, m 및 n이 4인 화합물.
  17.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의 ((2R,3R,4R,5R,6R)-6-(((2R,5R)-2,5-비스(클로로메틸)-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옥시)-3-클로로-4,5-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메틸((2R,3R,4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디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Figure pct00051
    화학식 1
  18.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2의 C6-만니톨인 화합물:
    Figure pct00052
    화학식 2.
  19. 하기 화학식 C에 의해 표현된 화합물:
    Figure pct00053
    화학식 C
    상기 식에서, Ph는 페닐이며, Bn은 벤질이다.
  20.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21. 피검체에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 질병 또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i)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Tween 20), 미정질 셀룰로오스, 디칼슘 포스페이트 2수화물, Brij 35, 사카린, 만니톨, Cremophor RH40, 수크랄로오스, 크로스포비돈, 소듐 전분 글리콜레이트, Eudragit S100, 크로스카르멜로오스 소듐, Pluronic F68, 멘톨, 저-치환된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전젤라틴화 전분, 수화된 Dextrates NF, 시트르산, Cremophor EL, Aerosil 200, Myrj 52, 소르브산, 레몬 오일,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소르비톨, 아세설팜 칼륨,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락토오스 일수화물, 말토덱스트린, Brij 58, Brij 76, Tween 80, Tween 40, PEG 400, PEG 4000, PEG 8000, Span 60, 소듐 벤조에이트, 히드록시 에틸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Span 80, 소듐 시클라메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옥사이드 레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Copovidone K28, 전분 아세테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Providone K30, PEG 2000, 및 N-아세틸시스테인(NAC)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 활성제;
    (ii)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멘톨,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사카린, 글리세린, 소듐 벤조에이트, 옥사이드 레드, 전젤라틴화 전분, 소듐 시클라메이트, 소르브산, 레몬 오일, 시트르산, 부틸화된 히드록시아니솔, 폰시린, 이소비텍신, 에리오딕티올, 에르고스테롤, β-미르센, 하이페로사이드, (+)-카테킨, 갈랑긴, 모린, 사이아도피티신, 디디민, 고시핀, 루테올린-7-글루코사이드, (+)-탁시폴린, 트랜스-신남산, 디오스민, 리나린, 자일리톨, 루테올린, 스웨르티아마린, 푸에라린, 플로리진, 시넨세틴, (-)-에피갈로카테킨, 카엠프페롤, 우르솔릭산, 실리마린, (+)-리모넨, 헤스페리딘, (-)-에피카테킨-3-갈레이트, 실리빈, 포름오노네틴, 미리스트산 에틸 에스테르, 에이코사펜타엔산(EPA), 우고닌, 포비돈 K-30, 프로토카테큐산, 엄벨리페론, 헤스페리틴,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네오헤스페리딘, 나린진, (-)-에피카테킨, 글리시리진, 바이칼린, 퀘르시트린, 바이칼레인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활성제; 및
    (i) 및 (ii)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제제와 함께 투여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제제가 디칼슘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멘톨, 만니톨, 수크랄로오스, N-아세틸시스테인(NAC)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제제가 (1) 사카린 및 만니톨의 조합, (2) 멘톨 및 만니톨의 조합, (3) 수크랄로오스 및 만니톨의 조합, (4) 에리오딕티올 및 만니톨의 조합, (5) 에리오딕티올 및 수크랄로오스의 조합, (6) 멘톨, 만니톨, 및 에리오딕티올의 조합, 및 (7)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및 에리오딕티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제제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26. 피검체에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 증가된 시토크롬 P450 활성 또는 증가된 자유 라디칼 수준에 의해 특징되는, 질병 또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20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추가 제제 중 하나 이상과 함께 투여되는 방법.
  28. 피검체에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 기관 손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기관 손상이 간 또는 신장에서의 손상인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기관 손상이 치료 약물, CCl4, 또는 지질에 의해 야기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치료 약물이 아세트아미노펜인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20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추가 제제 중 하나 이상과 함께 투여되는 방법.
  33. 피검체에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독성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 간독성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간독성이 치료 약물, CCl4 또는 지질에 의해 야기되는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치료 약물이 아세트아미노펜인 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20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추가 제제 중 하나 이상과 함께 투여되는 방법.
  37. 피검체에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방간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거나, 간 기능을 보호하거나, 지방간 또는 다른 관련된 장애에 의해 야기된 간 질병을 개선시키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20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추가 제제 중 하나 이상과 함께 투여되는 방법.
  39. 증가된 시토크롬 P450 활성 또는 증가된 자유 라디칼 수준에 의해 특징되는, 질병 또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40. 기관 손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41. 간독성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42. 지방간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거나, 간 기능을 보호하거나, 지방간 또는 다른 관련된 장애에 의해 야기된 간 질병을 개선시키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KR1020187011548A 2015-09-24 2016-09-26 간독성 및 지방간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180058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8968A KR20240042148A (ko) 2015-09-24 2016-09-26 간독성 및 지방간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화합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22959P 2015-09-24 2015-09-24
US62/222,959 2015-09-24
US201562257697P 2015-11-19 2015-11-19
US62/257,697 2015-11-19
CNPCT/CN2016/078039 2016-03-31
PCT/CN2016/078039 WO2017084234A1 (zh) 2015-11-19 2016-03-31 预防或治疗脂肪肝的药物组合物
PCT/CN2016/100187 WO2017050298A1 (en) 2015-09-24 2016-09-26 Compounds effective in treating hepatotoxicity and fatty liver diseases and uses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8968A Division KR20240042148A (ko) 2015-09-24 2016-09-26 간독성 및 지방간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화합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795A true KR20180058795A (ko) 2018-06-01

Family

ID=600473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8968A KR20240042148A (ko) 2015-09-24 2016-09-26 간독성 및 지방간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0187011548A KR20180058795A (ko) 2015-09-24 2016-09-26 간독성 및 지방간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화합물 및 이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8968A KR20240042148A (ko) 2015-09-24 2016-09-26 간독성 및 지방간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3) US10456371B2 (ko)
EP (2) EP3991724A3 (ko)
JP (2) JP2018537517A (ko)
KR (2) KR20240042148A (ko)
CN (1) CN107614475A (ko)
AU (3) AU2016327930B2 (ko)
BR (1) BR112018005905B1 (ko)
CA (2) CA3232521A1 (ko)
EA (1) EA201890810A1 (ko)
HK (1) HK1244266A1 (ko)
MX (2) MX2018003700A (ko)
MY (1) MY190647A (ko)
PH (1) PH12018500659A1 (ko)
SG (1) SG10202002573RA (ko)
TW (1) TWI781912B (ko)
WO (1) WO2017050298A1 (ko)
ZA (1) ZA20180237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108A (ko) * 2018-09-06 2020-03-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시박으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4924A (zh) * 2013-11-13 2020-11-10 财团法人国际教育基金会 化合物降低对乙酰氨基酚引起的肝毒性的用途及复方组合
BR112018005905B1 (pt) 2015-09-24 2023-03-21 Sinew Pharma Inc Compos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uso de um composto
TWI711464B (zh) * 2015-11-19 2020-12-01 欣耀生醫股份有限公司 預防或治療脂肪肝、保護肝功能、或改善脂肪肝引起的肝病變或其他相關病症之組合物及方法
SG11202007314QA (en) * 2018-02-14 2020-08-28 Sinew Pharma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reducing or eradicating toxicity caused by acetaminophen (apap)
CN110538187A (zh) * 2018-05-28 2019-12-06 北京大学 Cpt1激活剂
TWI691719B (zh) * 2018-10-19 2020-04-21 香港商阿瓦隆 海帕波有限公司 半乳糖快速定量檢測系統及其應用
CN109920550A (zh) * 2018-12-25 2019-06-21 天津大学 一种基于dMRI研究青少年肌阵挛性癫痫的方法
CN110269855A (zh) * 2019-07-19 2019-09-24 辽宁大学 黄酮类小分子化合物在制备抑制胰脂肪酶活性药物中的应用
CN113999272A (zh) * 2021-10-29 2022-02-01 广西医科大学 香蜂草苷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3875982A (zh) * 2021-11-19 2022-01-04 武汉森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二氢杨梅素的抗衰组合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1519A (en) * 1983-04-12 1987-04-28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Method for dermatological application
CH664150A5 (de) * 1985-01-15 1988-02-15 Peter Paul Prof Dr Speiser Fumarsaeureprodrug,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dieses enthaltende darreichungsformen.
JP3916685B2 (ja) * 1996-02-29 2007-05-16 第一製薬株式会社 ガラクトース誘導体
JP4677550B2 (ja) * 2002-08-14 2011-04-2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環状エステル化合物
TWI287990B (en) * 2004-01-08 2007-10-11 Nat Defense Medical Ct Inhibitors and enhancers of uridine diphosphate-glucuronosyl transferase 2B (UGT2B)
WO2006010083A2 (en) * 2004-07-08 2006-01-26 Molecular Therapeutics, Inc. Biodegradable nanoparticles
CN1939929A (zh) * 2005-09-29 2007-04-04 云南白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偏诺皂苷类化合物酸式盐及制备方法
WO2012142724A1 (zh) * 2011-04-20 2012-10-26 国防教育研究基金会 无/低副作用的抗结核病药物复方
WO2014075051A1 (en) * 2012-11-12 2014-05-15 Segetis, Inc. Crosslinkable polyketal esters,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US9211298B2 (en) * 2012-11-16 2015-12-15 Song Gao Compositions containing enriched natural crocin and/or crocetin, and their therapeutic or nutraceutical uses
JP6194412B2 (ja) * 2013-04-29 2017-09-06 ハーシャ チグルパティ アルコール飲料の毒性低減
TWI552748B (zh) 2013-10-25 2016-10-11 The use of a compound for the removal of hepatotoxicity against Acetaminophen (APAP)
CN104623670A (zh) * 2013-11-06 2015-05-20 高松 一种含西红花素的组合物及其应用
CN111904924A (zh) * 2013-11-13 2020-11-10 财团法人国际教育基金会 化合物降低对乙酰氨基酚引起的肝毒性的用途及复方组合
CN104292289B (zh) * 2014-07-10 2017-12-29 程怡 半乳糖配体及其在肝靶向脂质体中的应用
BR112018005905B1 (pt) * 2015-09-24 2023-03-21 Sinew Pharma Inc Compos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uso de um composto
TWI711464B (zh) * 2015-11-19 2020-12-01 欣耀生醫股份有限公司 預防或治療脂肪肝、保護肝功能、或改善脂肪肝引起的肝病變或其他相關病症之組合物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108A (ko) * 2018-09-06 2020-03-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시박으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0298A1 (en) 2017-03-30
CN107614475A (zh) 2018-01-19
AU2021205040A1 (en) 2021-08-12
JP7261850B2 (ja) 2023-04-20
CA2999368A1 (en) 2017-03-30
MX2018003700A (es) 2018-08-01
TW201722897A (zh) 2017-07-01
EP3353144A4 (en) 2019-06-05
AU2016327930A1 (en) 2018-05-10
TWI781912B (zh) 2022-11-01
BR112018005905B1 (pt) 2023-03-21
SG10202002573RA (en) 2020-05-28
AU2016327930B2 (en) 2021-04-15
ZA201802373B (en) 2019-04-24
US20200009097A1 (en) 2020-01-09
JP2022009680A (ja) 2022-01-14
EA201890810A1 (ru) 2018-11-30
KR20240042148A (ko) 2024-04-01
AU2024200963A1 (en) 2024-03-07
JP2018537517A (ja) 2018-12-20
PH12018500659A1 (en) 2018-10-01
MY190647A (en) 2022-04-30
CA3232521A1 (en) 2017-03-30
US11285123B2 (en) 2022-03-29
US20180256526A1 (en) 2018-09-13
EP3353144A1 (en) 2018-08-01
MX2022007816A (es) 2022-08-02
AU2021205040B2 (en) 2023-11-16
US20220265587A1 (en) 2022-08-25
EP3991724A3 (en) 2022-07-27
BR112018005905A2 (pt) 2018-10-16
HK1244266A1 (zh) 2018-08-03
EP3991724A2 (en) 2022-05-04
US10456371B2 (en)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1850B2 (ja) 肝毒性および脂肪性肝疾患の処置に有効な化合物およびその使用
RU2431634C2 (ru) Соединения флавоноидов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US20200377441A1 (en) Methods of protecting an organ using tetrahydrocurcumin and phosphatidylcholine
US10765660B2 (en) Agent containing flavonoid derivatives for treating cancer and inflammation
WO2015019193A2 (en) Acylated derivatives of phloridzin and isoquercetrin as anticancer therapeutic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225237A1 (en) Fatty acid amide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steatohepatitis
EA040650B1 (ru) Соединения, эффективные для лечения гепатотоксичности и стеатоза печени,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CN114478464B (zh) 一种炎症小体选择性抑制剂及其合成方法和应用
Rodríguez de Fonseca et al. Fatty acid amide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steatohepatitis
CN114539204A (zh) 血脑屏障高通透性己糖激酶抑制剂及其合成方法和应用
CN117720598A (zh) 一种肉桂酸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Hmidene Study on Phytochemicals and Bioactivities of the Medicinal Halophyte Tamarix gall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