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602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602A
KR20180030602A KR1020187003888A KR20187003888A KR20180030602A KR 20180030602 A KR20180030602 A KR 20180030602A KR 1020187003888 A KR1020187003888 A KR 1020187003888A KR 20187003888 A KR20187003888 A KR 20187003888A KR 20180030602 A KR20180030602 A KR 20180030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il lead
stator
bearing holder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555B1 (ko
Inventor
코스케 오가와
타카시 핫토리
?스케 무라카미
šœ스케 무라카미
타카오 아타라시
히데히로 하가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터의 일실시형태는 와이어 지지부재는 코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인출선 중, 일부의 코일 인출선을 유지하는 와이어 유지부와, 다른 일부의 코일 인출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도통부재와, 와이어 유지부 및 제 1 도통부재를 지지하는 본체부를 갖고, 버스 바 유닛은 와이어 유지부에 유지되는 코일 인출선과 접속되는 제 2 도통부재와, 제 2 도통부재를 유지하는 버스 바 홀더를 갖는다. 베어링 홀더는 베어링 홀더를 축방향으로 관통해서 코일 인출선의 코일단 또는 제 2 도통부재를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Description

모터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터에서는 코일 인출선은 스테이터로부터 인출된다. 코일 인출선은 제어 장치나 버스 바 유닛에 접속되는 모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스테이터가 갖는 코일에는 권선 방법에 따라 급전용 코일이나 중성점용 코일 등이 있다. 급전용 코일은 외부의 제어 장치에 접속된다. 중성점용 코일은 다른 중성점용 코일과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 구조에 있어서, 코일 인출선은 주변 부재와의 전기적 절연을 확보하면서 접속처로 가이딩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1-01040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200022호 공보
본 발명은 주변 부재의 전기적 절연을 확보하면서 코일 인출선을 접속처로 가이딩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모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지름 방향에 대향해서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와이어 지지부재와,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을 유지하는 베어링 홀더와,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 바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상기 티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코일을 갖고,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는 상기 코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인출선 중 일부의 상기 코일 인출선을 유지하는 와이어 유지부와, 다른 일부의 상기 코일 인출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도통부재와, 상기 와이어 유지부 및 상기 제 1 도통부재를 지지하는 본체부를 갖고, 상기 버스 바 유닛은 상기 와이어 유지부에 유지되는 상기 코일 인출선과 접속되는 제 2 도통부재와, 상기 제 2 도통부재를 유지하는 버스 바 홀더를 갖고, 상기 베어링 홀더는 상기 베어링 홀더를 축방향으로 관통해서 상기 코일 인출선의 코일단 또는 상기 제 2 도통부재를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주변 부재와의 전기적 절연을 확보하면서 코일 인출선을 접속처로 가이딩할 수 있는 모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터에 있어서의 와이어 지지부재 및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터에 있어서의 베어링 홀더 및 스테이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터에 있어서의 버스 바 유닛 및 스테이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모터에 있어서의 와이어 유지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모터에 있어서의 변형예 1의 와이어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와이어 지지부재의 상측 지지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모터에 있어서의 변형예 2의 와이어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의 모터(410)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모터(510)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5의 모터(10)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중심축(J)이 연장되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단,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은 단순히 설명을 위해서 사용되는 명칭이며, 실제의 위치 관계나 방향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중심축(J)에 평행한 방향을 간단히 「축방향」이라고 칭하고,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을 간단히 「지름 방향」이라고 칭하고,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중심축(J)의 축 둘레)을 간단히 「둘레 방향」이라고 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란, 엄밀히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추가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45° 미만의 범위에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다란, 엄밀히 지름 방향, 즉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추가하여 지름 방향에 대하여 45° 미만의 범위에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모터(1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와이어 지지부재 및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베어링 홀더 및 스테이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버스 바 유닛 및 스테이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모터(10)는 하우징(20)과, 로터(30)와, 스테이터(40)와, 와이어 지지부재(70)와, 베어링 홀더(55)와, 상측 베어링(51)과, 하측 베어링(52)과, 버스 바 유닛(60)을 구비한다. 모터(10)에서는 버스 바 유닛(60)과, 베어링 홀더(55)와, 와이어 지지부재(70)와, 스테이터(40)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이 순서로 배치된다. 모터(10)는 버스 바 유닛(60)의 상측에 제어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어 장치 수용 영역(20A)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터(10)는 U상, V상, 및 W상을 갖는 3상 모터이다.
하우징(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21)와, 통부(21)의 하단에 위치하는 저벽부(23)와, 상측으로 개구하는 개구부(20a)를 갖는다. 하우징(20)의 내면에는 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스테이터(40)와, 베어링 홀더(55)가 고정된다.
통부(21)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이다. 통부(21)는 스테이터(40)를 유지하는 내주면(20b)과, 베어링 홀더(55)를 유지하는 내주면(20c)과, 제어 장치(100)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어 장치 수용 영역(20A)의 내주면(20d)을 갖는다. 내주면(20d)의 내경은 내주면(20c)의 내경보다 크다. 내주면(20c)의 내경은 내주면(20b)의 내경보다 크다. 즉, 하우징(20)은 개구부(20a)로부터 안측(저벽부(23)측)으로 감에 따라 내경이 작아지는 내면형상을 갖는다.
내주면(20c)의 내경은 내주면(20d)의 내경과 상이하다. 하우징(20)은 내주면(20c)과 내주면(20d)을 접속하는 경사면(20e)을 갖는다. 경사면(20e)의 표면형상은 축방향 하측으로 감에 따라 내경이 작아진다. 즉, 중심축(J)과 경사면(20e) 간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축방향 하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작아진다. 경사면(20e)의 단면형상은 직선형상 또는 만곡형상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조립 작업자 등(조립 작업자 또는 조립 장치)은 개구부(20a)로부터 삽입된 베어링 홀더(55)를 부착 위치(내주면(20c))에 원활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은 반드시 경사면(20e)을 갖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하우징(20)은 내주면(20c)과 내주면(20d)이 단차부를 개재하여 축방향으로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하우징(20)은 선반면(20f)을 갖는다. 선반면(20f)은 내주면(20b)과 내주면(20c) 사이에 배치되며, 개구부(20a)에 면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선반면(20f)은 베어링 홀더(55)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용면이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20)은 베어링 홀더(55)를 축방향에 있어서 높은 정밀도로 소정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통부(21)의 형상은 원통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부(21)의 내주면이 스테이터(40)와 베어링 홀더(55)를 유지 가능한 형상이면, 통부(21)의 외형을, 예를 들면 상자형으로 해도 좋다. 또한, 통부(21)의 외형은 원통형과 상자형을 조합시킨 형상이어도 좋다. 통부(21)에는 스테이터(40) 또는 베어링 홀더(55)가 내면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유지되어도 좋다.
저벽부(23)는 스테이터(40)의 하측에 배치된다. 저벽부(23)는 베어링 유지부(23a)와, 출력축 구멍(22)을 갖는다. 베어링 유지부(23a)는 하측 베어링(52)을 유지한다. 출력축 구멍(22)은 저벽부(23)를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로터(30)는 샤프트(31)를 갖는다. 샤프트(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한다. 로터(30)는 샤프트(31)와 함께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 샤프트(31)의 하측의 단부는 출력축 구멍(22)을 개재하여 하우징(20)의 하측으로 돌출한다.
상측 베어링(51) 및 하측 베어링(52)은 샤프트(31)를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어링 유지부(23a)는 스테이터(40)의 하측에 있어서 하측 베어링(52)을 유지한다. 베어링 홀더(55)는 스테이터(40)의 상측에 있어서 상측 베어링(51)을 유지한다.
스테이터(40)는 로터(30)의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스테이터(40)는 스테이터 코어(41)와, 인슐레이터(42)와, 복수의 코일(43)을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41)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형상이다. 스테이터 코어(41)는 복수의 티스(41a)를 갖는다. 인슐레이터(42)는 티스(41a)에 부착된다. 코일(43)은 인슐레이터(42)에 권회되는 도선에 의해 구성된다. 코일(43)은 각 티스(41a)에 배치된다. 스테이터(40)의 외주면은 하우징(20)의 내주면(20b)에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지지부재(70)는 제 1 도통부재(71)와, 제 2 도통부재(72)와, 복수의 와이어 유지부(75)와, 본체부(73)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와이어 유지부의 수는 6개이다. 와이어 지지부재(70)는 스테이터(40) 상에 배치된다. 제 1 도통부재(71, 72)에는 코일의 중성점이 접속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도통부재(71)를 제 1 중성점 버스 바(71)라고 칭하고, 제 2 도통부재(72)를 제 2 중성점 버스 바(72)라고 칭한다.
본체부(73)는 환형상이며, 스테이터(40)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체부(73)는 축방향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부(73a)를 갖는다. 다리부(73a)가 인슐레이터(42)의 부착홈(42a)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와이어 지지부재(70)는 스테이터(40) 상에 지지된다. 본체부(73)는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다.
와이어 유지부(75)는 본체부(73)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와이어 유지부(75)는 지지벽부(75a)와, 오목부(75b)를 갖는다. 지지벽부(75a)는 본체부(7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오목부(75b)는 지지벽부(75a)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 개구한다. 6개의 와이어 유지부(75)는 둘레 방향 120° 간격의 3개소에 2개씩 배치된다. 또한, 와이어 유지부(75)는 본체부(73)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할 수도 있다. 와이어 유지부(75)의 배치나 개수는 후술하는 코일 인출선의 개수나 코일 인출선의 인출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본체부(73)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부채형의 외형을 갖는 노치부(73b, 73c)를 갖는다. 노치부(73b, 73c)는 본체부(73)의 외주부의 2개소에 배치된다. 제 1 중성점 버스 바(71) 및 제 2 중성점 버스 바(72)는 각각 3개의 U형의 접속 단자(71a, 72a)와, 1개의 관통 구멍(71b, 72b)을 갖는다. 제 1 중성점 버스 바(71) 및 제 2 중성점 버스 바(72)는 와이어 유지부(75)보다 본체부(73)의 외주측에 배치된다.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 1 중성점 버스 바(71) 및 제 2 중성점 버스 바(72)는 노치부(73b, 73c)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본체부(73)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73d, 73e)를 갖는다. 돌기부(73d, 73e)는 본체부(73)의 외주측에 배치된다. 돌기부(73d, 73e)의 둘레 방향 위치는 노치부(73b, 73c)의 둘레 방향의 위치와 동일하다. 돌기부(73d, 73e)는 제 1 중성점 버스 바(71) 및 제 2 중성점 버스 바(72)의 관통 구멍(71b, 72b)에 끼워 넣은 후 가열되어서 용융 고화된다. 이에 따라 제 1 중성점 버스 바(71) 및 제 2 중성점 버스 바(72)는 본체부(73)에 고정된다. 또한, 제 1 중성점 버스 바(71) 및 제 2 중성점 버스 바(72)는 노치부(73b, 73c)와 함께 본체부(73)의 내주부에 배치되어도 좋다.
스테이터(40)는 복수의 코일(43)로부터 연장되는 12개의 코일 인출선(91A~91C, 91a~91c, 92A~92C, 92a~92c)을 갖는다.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스테이터(40)의 상측을 가이딩하여 와이어 유지부(75)의 오목부(75b)를 기점으로 축방향 상측으로 절곡되어서 와이어 유지부(75)에 유지된다. 오목부(75b)의 지름 방향 내측의 개구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폭은 코일(43)의 선지름 보다 작다. 오목부(75b)의 지름 방향 외측의 부위에 있어서의 내경은 코일(43)의 선지름과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이 오목부(75b)의 개구부로부터 안측으로 밀어 넣어질 때에는 개구부가 탄성 변형에 의해 넓어지고,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이 오목부(75b) 내에 수용된 후, 개구부는 원래대로 돌아간다. 이렇게 하여 코일(43)은 와이어 유지부(75)에 유지된다. 와이어 유지부(75)에 유지된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오목부(75b)로부터 축방향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코일(43)은 일정 강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와이어 유지부(75)로부터 돌출되는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f)이 쓰러지거나, 크게 어긋나는 일은 없다.
코일 인출선(91a~91c)은 제 1 중성점 버스 바(71)의 접속 단자(71a)에 접속된다. 코일 인출선(92a~92c)은 제 2 중성점 버스 바(72)의 접속 단자(72a)에 접속된다.
코일 인출선(91A~91C)은 각 상(U상, V상, W상)의 급전용의 배선이다. 코일 인출선(91a~91c)은 코일 인출선(91A~91C)에 대응하는 중성점 접속용의 배선이다. 코일 인출선(92A~92C)은 각 상의 급전용의 배선이다. 코일 인출선(92a~92c)은 코일 인출선(92A~92C)에 대응하는 중성점 접속용의 배선이다.
코일(43)로부터 인출된 코일 인출선에는 절연부재인 절연 튜브(98)가 부착된다. 절연 튜브(98)는 와이어 지지부재(70)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코일 인출선(91A~91C, 91a~91c, 92A~92C, 92a~92c)끼리 및 코일 인출선(91A~91C, 91a~91c, 92A~92C, 92a~92c)과 코일(43)을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또한, 코일(43)로부터 인출된 코일 인출선은 절연 튜브(98) 이외의 절연부재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도 좋다.
베어링 홀더(55)는 대략 원판형상이며, 스테이터(40)의 상측에 배치된다. 베어링 홀더(55)는 상측 베어링(51)을 유지한다. 베어링 홀더(55)는 하우징(20)의 내주면(20c)에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베어링 홀더(55)는 내주면(20b)에 수축 끼워 맞춤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수축 끼워 맞춤은 억지 끼워 맞춤에 포함되는 감합 방법이다. 베어링 홀더(55)는 하우징(20)의 내주면(20b)에 압입 등의 다른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C링 등의 고정부재를 사용하는 일 없이 베어링 홀더(55)를 하우징(20)에 고정할 수 있어 모터(10)의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다. 가령, C링을 사용하여 베어링 홀더(55)를 하우징(20)에 고정할 경우에는 하우징(20)의 내주면(20b)에 C링을 유지하는 홈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우징(2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테이터(40)나 베어링 홀더(55) 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내경을 유지하면서 하우징(20)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홀더(55)는 내측 통부(55a)와, 외측 통부(55b)와, 연결부(55c)를 갖는다. 내측 통부(55a)는 상측 베어링(51)을 유지한다. 외측 통부(55b)는 하우징(20)의 내주면(20b)에 감합한다. 연결부(55c)는 내측 통부(55a)와 외측 통부(55b)를 연결한다.
연결부(55c)는 중간 통부(55d)와, 내측 연결부(55e)와, 외측 연결부(55f)를 갖는다. 중간 통부(55d)는 원통형상이며, 내측 통부(55a)와 외측 통부(55b) 사이에 위치한다.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내측 연결부(55e)의 형상은 원환형상이다. 내측 연결부(55e)는 중간 통부(55d)의 하단과 내측 통부(55a)의 외주면을 접속한다. 평면으로부터 볼 때 외측 연결부(55f)의 형상은 원환형상이다. 외측 연결부(55f)는 내측 연결부(55e)의 상단과 외측 통부(55b)의 상단을 접속한다.
도 1에 있어서, 연결부(55c)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는 축방향 하측으로 굴곡하고,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내측 통부(55a)와 접속된다. 내측 통부(55a)와 연결부(55c) 사이에는 간극이 구성된다. 그 때문에 내측 통부(55a) 및 연결부(55c)는 지름 방향에 있어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터(10)의 조립 시 또는 모터(10)의 사용 시의 온도 변화에 의해 베어링 홀더(55) 및 하우징(20)이 팽창 수축하고, 베어링 홀더(55)와 하우징(20)의 감합부나, 상측 베어링(51) 등에 과대한 압력이 작용했을 경우이어도 내측 통부(55a) 및 연결부(55c)의 탄성 변형에 의해 그 압력은 흡수된다. 그 때문에 베어링 홀더(55)와 하우징(20)의 고정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상측 베어링(51)이 샤프트(31)를 매끄럽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 홀더(55)는 베어링 홀더(55)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56a~56c, 57a~57c)을 갖는다. 복수의 관통 구멍(56a~56c, 57a~57c)은 외측 연결부(55f)에 배치된다.
코일 인출선(91A, 91B, 91C)은 각각 대응하는 관통 구멍(56a, 56b, 56c)을 통과하여 베어링 홀더(55)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코일 인출선(92A, 92B, 92C)은 각각 대응하는 관통 구멍(57a, 57b, 57c)을 통과하여 베어링 홀더(55)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관통 구멍(56a, 56c)의 개구의 내경은 와이어 유지부(75)의 외경보다 크다. 이에 따라 중성점 접속용의 코일 인출선(91a, 91b, 92c)과 접속 단자(71a, 72a)의 접속부가 베어링 홀더(55)와 전기적으로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베어링 홀더(55)에 배치된 관통 구멍(56d, 56e)의 구성에 대해서도 관통 구멍(56a, 56c)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베어링 홀더(55)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베어링 홀더(55)는 베어링 홀더(55)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면에 3개의 오목부(58)를 갖는다. 오목부(58)는 베어링 홀더(55)의 상면에 핀 등에 의한 가압 가공(예를 들면, 코킹 가공 등) 등이 행해짐으로써 형성된다. 가압 가공이 베어링 홀더(55)에 대하여 행해지면 베어링 홀더(55)의 상면의 가압된 개소가 소성 변형되어 오목부(58)가 형성되고, 베어링 홀더(55)의 외측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압압부(59)가 형성된다. 베어링 홀더(55)가 하우징(20) 내에 배치될 때에 압압부(59)에 의해 하우징(20)의 내주면(20c)을 국소적으로 압압할 수 있다. 베어링 홀더(55)는 수축 끼워 맞춤과 코킹에 의해 내주면(20c)에 고정된다.
베어링 홀더(55)의 하우징(20)에 억지 끼워 맞춤되어 있는 부분에 대해서 압압부(59)가 배치됨으로써 하우징(20)과 베어링 홀더(55)의 압력이 국소적으로 증가하여 양쪽 부재의 체결 강도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오목부(58) 중 적어도 1개는 관통 구멍(56a~56c)의 근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56a)의 근방 및 관통 구멍(56b)의 근방에 오목부(58)가 배치된다. 관통 구멍(56a, 56b)과 근방의 오목부(58)의 거리는 중심축(J)을 기준으로 하는 둘레 방향의 각도로 15° 이내이다. 오목부(58)는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오목부(58)가 형성되는 위치에 있어서의 부재의 강도가 향상한다. 관통 구멍(56a~56c)의 근방에서는 베어링 홀더(55)의 강도가 저하되기 쉽다. 그러나, 관통 구멍(56a~56c)의 근방에 오목부(58)가 배치되기 때문에 관통 구멍(56a~56c)의 근방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베어링 홀더(55)를 구성하는 재료의 선팽창 계수는 하우징(20)을 구성하는 재료의 선팽창 계수와 동등하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20)에 베어링 홀더(55)를 장착한 후의 온도 변화에 대하여 하우징(20)과 베어링 홀더(55)의 팽창량 및 수축량이 같아진다. 그 때문에 베어링 홀더(55)의 하우징(20)으로의 부착이 느슨하기 어려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베어링 홀더(55)의 재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20)의 재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베어링 홀더(55) 및 하우징(20)의 재료는 다른 종류의 재료이어도 좋다.
버스 바 유닛(60)은 상용 버스 바(61a~61c, 62a~62c)와, 버스 바 홀더(65)를 갖는다. 버스 바 홀더(65)는 상용 버스 바(61a~61c, 62a~62c)를 유지한다. 버스 바 홀더(65)는 버스 바 홀더(65)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3개의 관통 구멍(65A, 65B, 65C)을 갖는다.
버스 바 홀더(65)는 베어링 홀더(55)의 상면에 고정된다. 베어링 홀더(55)의 관통 구멍(56a~56c, 57a~57c)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버스 바 홀더(65)의 관통 구멍(65A~65C)을 통해 버스 바 홀더(65)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버스 바 홀더(65)의 상면에 있어서 각각 상용 버스 바(61a~61c, 62a~62c)에 접속된다.
상용 버스 바(61a~61c, 62a~62c)는 제어 장치(100)와의 접속 단자로서 기능한다. 버스 바 유닛(60)은 하우징(20)에 고정된 베어링 홀더(55)의 상면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상용 버스 바(61a~61c, 62a~62c)는 제어 장치 수용 영역(20A) 내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높은 정밀도로 위치 결정된다. 이 구성에 의해 모터(10)와 제어 장치(100)를 용이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터(10)는 와이어 지지부재(70) 그 때문에를 갖는다. 주변 부재와의 전기적 절연을 확보하면서 코일 인출선을 접속처로 가이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10)에 있어서의 스테이터(40)의 코일(43)은 소정의 권선 방법에 따라 각 상의 급전용의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과, 중성점 접속용의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을 갖는다. 각 상의 급전용의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베어링 홀더(55)의 상측에 배치된 버스 바 유닛(60)에 접속한다. 중성점 접속용의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서로 접속된다.
와이어 지지부재(70)는 와이어 유지부(75)에 의해 스테이터(40)의 상측을 가이딩할 수 있는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을 특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축방향을 따르게 하여 지지할 수 있다. 즉, 와이어 지지부재(70)에 의해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을 접속처인 버스 바 유닛(60)의 상용 버스 바(61a~61c, 62a~62c)에 대하여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하여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와이어 유지부(75)의 지지벽부(75a)가 베어링 홀더(55)의 관통 구멍(56a~56c, 57a~57c)의 내측까지 연장된다. 이에 따라 모터(10)에서는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을 베어링 홀더(55)와의 전기적 절연을 도모하면서 베어링 홀더(55)의 상측으로 가이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40)와 와이어 지지부재(70)를 조합한 조립체에 베어링 홀더(55)를 배치하면, 각 상의 급전용의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을 베어링 홀더(55)의 관통 구멍(56a~56c, 57a~57c)을 통해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각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이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버스 바 유닛(60)을 베어링 홀더(55)의 소정 위치에 배치할 경우, 각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이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용 버스 바(61a~61c, 62a~62c)와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지지부재(70)는 코일 인출선을 특정 위치에 위치 결정해서 축방향을 따르게 하여 유지할 수 있으면, 와이어 유지부(75)가 본체부(73)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본체부(73)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 부근에 V자형상 등의 노치나 구멍 등을 형성하고, 이 노치나 구멍 등에 코일 인출선이 유지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코일 인출선을 정밀도 좋게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지된 코일 인출선이 베어링 홀더(55)의 관통 구멍에 통과될 때에 와이어 유지부가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되지 않아도 그 관통 구멍의 구멍 지름을 크게 하면, 코일 인출선이 관통 구멍의 내주면과 접촉하기 어렵게 되어 코일 인출선과 베어링 홀더(55)의 전기적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모터(10)에서는 와이어 지지부재(70)가 제 1 중성점 버스 바(71) 및 제 2 중성점 버스 바(72)를 개재하여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중성점 접속용의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스테이터(40)의 상방에 있는 와이어 지지부재(70)에서 접속이 된다. 그 때문에 코일의 인출 길이를 길게 하는 일 없이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 서로 접속해서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의 단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40)의 중성점 접속용의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을 와이어 지지부재(70)에 설치한 제 1 중성점 버스 바(71) 및 제 2 중성점 버스 바(72)에 접속함으로써 급전용의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이 접속되는 버스 바 유닛(60)의 구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버스 바 유닛(60)의 구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하우징(20)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100)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중성점 접속용의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권선 방법의 종류에 따라서는 1개소에 접속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중성점용 버스 바의 매수를 1매로 할 수 있다.
모터(10)에서는 급전용 및 중성점 접속용의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 91a~91c, 92a~92c)이 스테이터(40)의 상측으로 인출된다. 즉, 스테이터(40)의 모든 코일 인출선이 스테이터(40)의 상측으로 인출된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40)와 저벽부(23) 사이에 코일 인출선을 가이딩하는 스페이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40)를 저벽부(23)에 근접하게 하여 배치할 수 있다. 모터(10)에서는 전체 중량 중 스테이터(40)의 중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기 때문에 스테이터(40)의 축방향의 위치가 바뀌면, 모터의 중심 위치를 크게 어긋나게 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40)가 모터(10)의 축방향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모터(10)가 외부 장치에 부착될 경우, 그 외부 장치측에 모터(10)의 중심이 위치한다. 그 결과, 모터(1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베어링 홀더(55)의 상측에 인출된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상용 버스 바(61a~61c, 62a~62c)에 접속된다. 제어 장치(100)에는 상용 버스 바(61a~61c, 62a~62c)가 접속된다. 버스 바 유닛(60)이 베어링 홀더(55)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 바 유닛(60)이 스테이터(40)에 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상용 버스 바(61a~61c, 62a~62c)의 축방향의 위치 정밀도는 높다. 그 때문에 버스 바 유닛(60)을 소정의 위치에 정밀도로부터 부착할 수 있고, 버스 바 유닛(60)과 제어 장치(100)의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다른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적당히 동일 부호를 붙이는 등으로써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5는 와이어 유지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와이어 유지부(175)는 원통형상의 지지벽부(175a)를 갖는다. 지지벽부(175a)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스테이터(40)로부터 연장되는 코일 인출선(91A)은 지지벽부(175a)의 관통 구멍을 통해 와이어 지지부재(70)의 상측으로 인출된다.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유지부(75)에서는 오목부(75b)가 지름 방향 내측으로 개구한다. 그 때문에 오목부(75b)에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을 용이하게 끼워 넣어 위치 결정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원통형상의 와이어 유지부(175)에서는 지지벽부(175a)에 의해 코일 인출선의 전체 둘레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이 기울거나, 지지벽부(175a)로부터 떨어지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과 다른 부재와의 절연성도 높일 수 있다.
(변형예 1)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의한 와이어 지지부재(27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와이어 지지부재(270)의 상측 지지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지지부재(70) 대신에 도 6에 나타내는 와이어 지지부재(270)가 모터(10)에 부착된다. 와이어 지지부재(270)는 복수의 와이어 유지부(75)와, 제 1 중성점 버스 바(71) 및 제 2 중성점 버스 바(72)와, 본체부(273)를 갖는다. 도 6에서는 와이어 유지부(75)의 수는 6개이다. 본체부(273)는 도 6에 나타내는 상측 지지부재(273a)와, 도 7에 나타내는 하측 지지부재(273b)를 갖는다.
상측 지지부재(273a) 및 하측 지지부재(273b)는 절연부재이며,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대략 원환형상이다. 6개의 와이어 유지부(75)는 상측 지지부재(273a)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하측 지지부재(273b)의 외주부에 제 1 중성점 버스 바(71)와 제 2 중성점 버스 바(72)가 부착된다. 하측 지지부재(273b)는 복수의 다리부(273c)를 갖는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다리부(273c)의 수는 3개이다. 다리부(273c)는 하측 지지부재(273b)의 외측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된다. 다리부(273c)는 인슐레이터(42)의 부착홈(42a)에서 지지된다. 또한,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상측 지지부재(273a)의 외형 및 하측 지지부재(273b)의 외형은 원환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원형상이나 원호형상 등이어도 좋다.
스테이터(40)로부터 연장되는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하측 지지부재(273b)의 외주측으로부터 상면으로 돌아 들어가 하측 지지부재(273b)의 상면의 오목부(274)에 수용된다.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하측 지지부재(273b)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에 있어서, 축방향 상측으로 굴곡된다. 상측 지지부재(273a)는 하측 지지부재(273b)의 상면에 부착된다. 상측 지지부재(273a)는 오목부(274) 내에 배치되는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의 일부를 덮는다.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상측 지지부재(273a)와 하측 지지부재(273b) 사이를 통과하여 상측 지지부재(273a)의 와이어 유지부(75)로 연장된다.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와이어 유지부(75)에 유지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측 지지부재(273a)와 하측 지지부재(273b)가 코일 인출선을 끼워 넣는다. 스테이터(40)와 코일 인출선 사이에 하측 지지부재(273b)가 배치됨으로써 스테이터(40)와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을 절연할 수 있다.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과 베어링 홀더(55) 사이에 상측 지지부재(273a)가 배치됨으로써 코일 인출선과 베어링 홀더(55)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코일 인출선의 절연 튜브(98)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상측 지지부재(273a)는 관통하는 관통 구멍(273a1)을 갖는다. 하측 지지부재(273b)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273b1)를 갖는다. 관통 구멍(273a1)에는 돌기부(273b)가 삽입되고, 돌기부(273b1)가 가열되어 용융해서 고화된다. 이에 따라 상측 지지부재(273a)는 하측 지지부재(273b)와 고정된다.
또한, 상측 지지부재(273a)와 하측 지지부재(273b)는 압입, 접착, 스냅 피트 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어 유지부(75)는 상측 지지부재(273a)가 아니라, 하측 지지부재(273b)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변형예 2)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2의 와이어 지지부재(37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서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지지부재(70) 대신에 와이어 지지부재(370)가 모터(10)에 부착된다. 와이어 지지부재(370)는 복수의 와이어 유지부(75)와, 제 1 중성점 버스 바(71) 및 제 2 중성점이 버스 바(72)와, 본체부(373)를 갖는다. 도 8에서는 와이어 유지부(75)의 수는 6개이다.
본체부(373)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원환형상의 부재이다. 6개의 와이어 유지부(75)는 본체부(373)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제 1 중성점 버스 바(71) 및 제 2 중성점 버스 바(72)는 본체부(373)의 외주부에 부착된다.
본체부(373)의 상면에는 오목부(374)가 배치된다. 스테이터(40)로부터 연장되는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본체부(373)의 외주로부터 상면으로 돌아 들어가 오목부(374)에 수용된다.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본체부(373)의 상면을 따라 내측 둘레 가장자리의 와이어 유지부(75)로 연장된다.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와이어 유지부(75)에 유지된다.
본체부는 코일 인출선을 본체부의 상면에 고정 또는 록킹하는 고정부(76)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부(374)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76)가 배치된다. 변형예 2에서는 고정부(76)는 대략 L자형상이다. 고정부(76)의 선단은 지름 방향 내측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서 연장된다. 코일 인출선(92B, 92C)은 고정부(76)와 본체부(373)의 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76)는 코일 인출선(92B, 92C)과 축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 접촉한다. 이에 따라 코일 인출선(92B, 92C)이 본체부(373)로부터 들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모터(10)에 외력 등이 가해져 코일 인출선(92B, 92C)이 본체부(373)의 상면 위를 이동하려고 해도 고정부(76)에 접촉하기 때문에 코일 인출선(92B, 92C)의 지름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76)는 복수의 오목부(374) 전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일부의 오목부(374)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고정부(76)의 형상은 상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고정부(76)가 코일 인출선(92B, 92C)의 일부를 끼워 넣어도 좋다.
변형예 2의 구성에서는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이 본체부(373)의 상면에서 가이딩된다. 즉, 스테이터(40)와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 사이에 본체부(373)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40)와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을 절연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76)는 본체부(373)의 상면에 있어서의 코일 인출선(92B, 92C) 등의 이동을 억제한다. 본체부(373)는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과 베어링 홀더(55)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코일 인출선과 베어링 홀더(55)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변형예 1의 구성과는 달리, 변형예 2에서는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이 오목부(374)의 외부에 노출된다. 그 때문에 절연의 관점으로부터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은 베어링 홀더(55)와 멀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에 절연 튜브 등의 절연부재가 부착되어도 좋다.
(변형예 3)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의 모터(410)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모터(10)에서는 버스 바 유닛(60)은 베어링 홀더(55)의 상면에 고정된다. 그에 대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모터(410)는 베어링 홀더(55)의 하면에 고정되는 버스 바 유닛(460)을 구비한다. 버스 바 유닛(460)은 버스 바(461)와, 버스 바(461)를 유지하는 버스 바 홀더(465)를 갖는다. 버스 바(461)는 와이어 유지부(75)에 유지되는 코일 인출선(91A)과 접속된다. 버스 바(461)는 베어링 홀더(55)의 관통 구멍을 통해 베어링 홀더(55)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제어 장치(100)와 접속된다.
버스 바 유닛(460)은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과 접속되는 버스 바를 갖는다. 도 9에서는 코일 인출선(91A)과 접속되는 버스 바(461)만을 도시하고, 다른 코일 인출선(91B, 91C, 92A~92C)과 접속되는 버스 바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변형예 3의 구성에서는 버스 바 유닛(460)이 베어링 홀더(55)의 하면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40)이나 와이어 지지부재(70) 등이 소정 위치로부터 축방향으로 어긋났다고 해도 버스 바(461)의 상단을 하우징(20)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바(461)와 제어 장치(100)를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다.
버스 바(461)에 있어서의 코일 인출선(91A)과 접속하는 부위는 베어링 홀더(55)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551) 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위와 베어링 홀더(55)의 축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변형예 4)
도 10은 변형예 4의 모터(510)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510)는 와이어 지지부재(570)를 갖는다. 와이어 지지부재(57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지지부재(70)에 접속 단자(571)가 설치된 구성이다. 접속 단자(571)는 와이어 지지부재(570)의 본체부(73)에 고정된다. 접속 단자(571)의 일방 단부는 와이어 유지부(75)에 유지된 코일 인출선(91A)에 접속된다. 접속 단자(571)의 타방 단부는 베어링 홀더(55)의 관통 구멍(56a)을 통해 베어링 홀더(55)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제어 장치(100)와 접속된다.
와이어 지지부재(570)는 단자 유지부(572)를 갖는다. 단자 유지부(572)는 접속 단자(571)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56a)을 통과하는 부분을 덮는다. 단자 유지부(572)는 절연 재료이며, 접속 단자(571)와 베어링 홀더(55)를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와이어 지지부재(570)는 코일 인출선(91A~91C, 92A~92C)과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갖는다. 도 10에서는 코일 인출선(91A)과 접속되는 접속 단자(571)만을 도시하고, 다른 코일 인출선(91B, 91C, 92A~92C)과 접속되는 접속 단자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변형예 4에서는 와이어 지지부재(570)가 접속 단자(571)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모터(510)에서는 제어 장치(100)와 접속하는 버스 바 유닛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고, 또한 모터(510)를 축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변형예 5)
도 11은 변형예 5의 모터(10)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모터(10)의 구조와는 달리, 변형예 5의 모터(10)는 버스 바 유닛(60)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코일 인출선(91A)과 제어 장치(100)가 직접 접속된다. 이 구조에서는 버스 바 유닛(60)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고, 또한 모터를 축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구성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당히 조합시킬 수 있다.
10, 410, 510 : 모터 20 : 하우징
20a : 개구부 20f : 선반면
23 : 저벽부 30 : 로터
31 : 샤프트 40 : 스테이터
41a : 티스 43 : 코일
55 : 베어링 홀더 56a, 56b, 57a, 65A : 관통 구멍
58, 75b, 274, 374 : 오목부 60, 460 : 버스 바 유닛
65, 465 : 버스 바 홀더
70, 270, 370, 570 : 와이어 지지부재
71 : 제 1 중성점 버스 바(제 1 도통부재)
72 : 제 2 중성점 버스 바(제 2 도통부재)
73, 273, 373 : 본체부 75,175 : 와이어 유지부
75a, 175a : 지지벽부 76 : 고정부
91A~91C, 91a~91c, 92A~92C, 92a~92c : 코일 인출선
98 : 절연 튜브 273a : 상측 지지부재
273b : 하측 지지부재 461 : 버스 바
571 : 접속 단자 51 : 상측 베어링
J : 중심축

Claims (16)

  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지름 방향에 대향해서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와이어 지지부재와,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을 유지하는 베어링 홀더와,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 바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상기 티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코일을 갖고,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는,
    상기 코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인출선 중,
    일부의 상기 코일 인출선을 유지하는 와이어 유지부와,
    다른 일부의 상기 코일 인출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도통부재와,
    상기 와이어 유지부 및 상기 제 1 도통부재를 지지하는 본체부를 갖고,
    상기 버스 바 유닛은,
    상기 와이어 유지부에 유지되는 상기 코일 인출선과 접속되는 제 2 도통부재와, 상기 제 2 도통부재를 유지하는 버스 바 홀더를 갖고,
    상기 베어링 홀더는 상기 베어링 홀더를 축방향으로 관통해서 상기 코일 인출선의 코일단 또는 상기 제 2 도통부재를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을 갖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 유닛은 상기 베어링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도통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코일 인출선과 접속되는 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 유닛은 상기 베어링 홀더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도통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되는 모터.
  4.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지름 방향에 대향해서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와이어 지지부재와,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을 유지하는 베어링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상기 티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코일을 갖고,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는,
    상기 코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인출선 중,
    일부의 상기 코일 인출선을 유지하는 와이어 유지부와,
    다른 일부의 상기 코일 인출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도통부재와,
    상기 와이어 유지부 및 상기 제 1 도통부재를 지지하는 본체부를 갖고,
    상기 베어링 홀더는 상기 베어링 홀더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코일 인출선의 코일단은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베어링 홀더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모터.
  5.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지름 방향에 대향해서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와이어 지지부재와,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을 유지하는 베어링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상기 티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코일을 갖고,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는,
    상기 코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인출선 중,
    일부의 상기 코일 인출선을 유지하는 와이어 유지부와,
    다른 일부의 상기 코일 인출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도통부재와,
    상기 와이어 유지부에 유지되는 상기 코일 인출선과 접속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와이어 유지부, 상기 제 1 도통부재, 및 상기 접속 단자를 지지하는 본체부를 갖고,
    상기 베어링 홀더는 상기 베어링 홀더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베어링 홀더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모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로부터 인출된 상기 코일 인출선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와이어 유지부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코일 인출선에는 절연부재가 부착되는 모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축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측 지지부재와 하측 지지부재를 갖고,
    상기 상측 지지부재는 상기 와이어 유지부를 갖고,
    상기 코일 인출선은 상기 코일로부터 상기 하측 지지부재의 상면으로 인출되며, 상기 상측 지지부재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와이어 유지부로 연장되는 모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인출선은 상기 코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 인출되며,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따라 상기 와이어 유지부로 연장되는 모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코일 인출선을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갖는 모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유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오목부를 갖는 모터.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유지부는 상기 본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모터.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유지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코일 인출선을 지지하는 지지벽부를 갖는 모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코일 인출선은 상기 스테이터의 상방으로 인출되는 모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축방향의 하측에 저벽부를 갖고, 축방향의 상측에 상기 스테이터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모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상기 개구부에 면해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반면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홀더는 상기 선반면에 접촉해서 배치되며,
    상기 버스 바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는 모터.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코일 인출선과 직접 또는 상기 제 2 도통부재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어부를 갖는 모터.
KR1020187003888A 2015-08-10 2016-08-09 모터 KR101986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58390 2015-08-10
JP2015158390 2015-08-10
JPJP-P-2016-068372 2016-03-30
JP2016068372 2016-03-30
PCT/JP2016/073480 WO2017026492A1 (ja) 2015-08-10 2016-08-09 モ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602A true KR20180030602A (ko) 2018-03-23
KR101986555B1 KR101986555B1 (ko) 2019-06-07

Family

ID=5798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888A KR101986555B1 (ko) 2015-08-10 2016-08-09 모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862363B2 (ko)
JP (1) JP6717310B2 (ko)
KR (1) KR101986555B1 (ko)
CN (1) CN107925300B (ko)
DE (1) DE112016003656T5 (ko)
WO (1) WO2017026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9894A1 (ja) * 2016-08-12 2018-02-15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0476331B (zh) * 2017-03-31 2021-08-31 日本电产株式会社 汇流条单元及具有该汇流条单元的马达
CN208571864U (zh) * 2017-07-31 2019-03-01 日本电产东测有限公司 马达
JPWO2019044149A1 (ja) * 2017-08-30 2020-08-13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7031441B2 (ja) * 2017-09-28 2022-03-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19068538A (ja) * 2017-09-29 2019-04-25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CN111247722B (zh) * 2017-10-27 2022-07-01 日本电产株式会社 定子和马达
WO2019082709A1 (ja) * 2017-10-27 2019-05-02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WO2020013078A1 (ja) * 2018-07-13 2020-01-16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210320548A1 (en) * 2018-08-03 2021-10-14 Nidec Corporation Stator and motor
JPWO2020026710A1 (ja) * 2018-08-03 2021-08-02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JP7131212B2 (ja) * 2018-08-30 2022-09-06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2020054208A (ja) * 2018-09-28 2020-04-0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20088877A (ja) * 2018-11-14 2020-06-04 日本電産株式会社 バスバーユニット、モータ
JP7218861B2 (ja) 2018-12-18 2023-02-07 Kyb株式会社 回転電機
WO2020195401A1 (ja) * 2019-03-28 2020-10-01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DE202020005485U1 (de) 2020-01-24 2021-06-08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Kontaktvorrichtung eines Stators
CN111224493B (zh) 2020-03-17 2022-07-29 Abb瑞士股份有限公司 用于电机的接线装置和相应的电机
CN113726073A (zh) 2020-05-26 2021-11-30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和电气产品
US20220109341A1 (en) * 2020-10-01 2022-04-07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Connection unit for electric motor
DE102021101695A1 (de) 2021-01-26 2022-07-28 Nidec Motors & Actuators (Germany) Gmbh Bürstenloser Elektromotor mit Sammelschieneneinheit
DE102022203218A1 (de) * 2022-03-31 2023-10-05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omotor und Kühlerlüfter mit einem solchen Elektromo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175A (ja) * 2004-12-28 2006-07-13 Hitachi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10409A (ja) 2009-06-24 2011-01-13 Denso Corp 駆動装置
JP2011200022A (ja) 2010-03-19 2011-10-0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式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3220005A (ja) * 2012-03-12 2013-10-24 Hitachi Cable Ltd 電動機及び集中配電部材
JP2014087087A (ja) * 2012-10-19 2014-05-12 Nippon Densan Corp ステータ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
JP2014138499A (ja) * 2013-01-17 2014-07-28 Nippon Densan Corp 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882A (ko) 1996-08-05 1998-05-15 구자홍 전동기의 리드와이어 용접부 절연장치
JP3613262B2 (ja) * 2002-04-26 2005-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763998B2 (en) * 2006-02-03 2010-07-27 Asmo Co., Ltd. Stator
JP2007318885A (ja) * 2006-05-25 2007-12-06 Mabuchi Motor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JP5217117B2 (ja) 2006-06-05 2013-06-19 日本電産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US8384257B2 (en) 2007-05-25 2013-02-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rushless motor
JP2009124902A (ja) * 2007-11-16 2009-06-04 Hitachi Ltd 回転電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載用電機システム
JP5290612B2 (ja) * 2008-04-15 2013-09-18 アスモ株式会社 ステータ、モータ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CN101577455B (zh) 2008-05-05 2013-07-31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具有多级电路的电机及其导线连接器
CN201533207U (zh) * 2009-11-03 2010-07-21 中山大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电机线圈绕组和线路板的连接机构
DE102010000710A1 (de) * 2010-01-07 2011-07-14 Robert Bosch GmbH, 70469 Lagerschild
IT1397784B1 (it) * 2010-01-15 2013-01-24 Gate Srl Collettore per lo statore di un motore brushless in corrente continua a magneti permanenti
JP5703604B2 (ja) * 2010-03-03 2015-04-22 日本電産株式会社 バスバーユニット及びモータ
JP5452570B2 (ja) * 2011-11-09 2014-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およびそのステータコイルの結線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5727973B2 (ja) * 2012-07-09 2015-06-0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電機
JP2014093880A (ja) 2012-11-05 2014-05-19 Denso Corp 回転電機
CA2895591C (en) * 2012-12-28 2020-08-25 Masaki Ishizeki Electric motor and electric pump
JP6251920B2 (ja) 2013-01-17 2017-12-27 株式会社ミツバ 電動モータおよび電動ポンプ
US9929614B2 (en) 2013-07-02 2018-03-27 Nidec Corporation Motor with integrated slot liner and bobbin with guides for conductor coils
JP6184520B2 (ja) * 2013-12-16 2017-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機電一体型駆動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866080B2 (en) * 2013-12-30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ressor, motor included there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otor
DE102015212821A1 (de) * 2015-07-09 2017-01-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Statoranordnung, elektrische Drehstrommaschi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atoranordnung
JP6717309B2 (ja) * 2015-08-10 2020-07-01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WO2017026550A1 (ja) * 2015-08-10 2017-02-16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175A (ja) * 2004-12-28 2006-07-13 Hitachi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10409A (ja) 2009-06-24 2011-01-13 Denso Corp 駆動装置
JP2011200022A (ja) 2010-03-19 2011-10-0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式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3220005A (ja) * 2012-03-12 2013-10-24 Hitachi Cable Ltd 電動機及び集中配電部材
JP2014087087A (ja) * 2012-10-19 2014-05-12 Nippon Densan Corp ステータ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
JP2014138499A (ja) * 2013-01-17 2014-07-28 Nippon Densan Corp 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555B1 (ko) 2019-06-07
US11557936B2 (en) 2023-01-17
WO2017026492A1 (ja) 2017-02-16
DE112016003656T5 (de) 2018-05-09
JPWO2017026492A1 (ja) 2018-05-31
US20180248438A1 (en) 2018-08-30
US10862363B2 (en) 2020-12-08
CN107925300A (zh) 2018-04-17
JP6717310B2 (ja) 2020-07-01
CN107925300B (zh) 2021-01-15
US20210028665A1 (en)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555B1 (ko) 모터
KR20180030604A (ko) 모터
JP6178869B2 (ja) 自動車部品用の電気モータ
KR101993624B1 (ko) 모터
US11342805B2 (en) Stator,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11539260B2 (en) Stator and motor
WO2019082665A1 (ja) ステータ、モータ、ステ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CN108141113B (zh) 马达
CN111386647A (zh) 汇流条单元和马达
WO2019082667A1 (ja)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WO2019082708A1 (ja)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JP6856067B2 (ja)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7405089B2 (ja) モータ
WO2019102640A1 (ja) モータ
JP2018148666A (ja) 回転電機
WO2019102641A1 (ja) モータ
JP6719531B2 (ja) ステータ及びモータ
JP2019170137A (ja) バスバーユニット、モータ及びバスバーユニットの組立方法
WO2020195397A1 (ja) モータ
CN112583212B (zh) 马达
WO2020195399A1 (ja) モータ
WO2019082709A1 (ja)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JP2021158797A (ja) モータ
KR20220087013A (ko) 모터
JP2021058011A (ja) バスバー装置、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