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032A -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032A
KR20180028032A KR1020170113109A KR20170113109A KR20180028032A KR 20180028032 A KR20180028032 A KR 20180028032A KR 1020170113109 A KR1020170113109 A KR 1020170113109A KR 20170113109 A KR20170113109 A KR 20170113109A KR 20180028032 A KR20180028032 A KR 20180028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plug
wall surface
en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1830B1 (ko
Inventor
다케시 히라카와
다다미치 야요시
다카히로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수용부(16)를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11)과, 플러그 단자(52)에 대하여 접속되는 리셉터클 단자(12)를 구비한다. 수용부(16)는 제 1 주내벽면(17)과, 제 2 주내벽면(18)과, 제 1 단내벽면(19)을 포함한다. 제 1 단내벽면(19)의 적어도 일부는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폭(HR)이 점차 좁아지는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 19b)이다.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 19b)은, 플러그 커넥터(50)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 방향이 수용부(16)의 축선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플러그 커넥터(50)를 안내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5-185541 호 공보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이하, 간단히 "기판"이라고도 말함)끼리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은, 이른바 기판 대 기판(보드·투·보드:Board to board) 접속이라 불리고 있다. 커넥터 장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다. 기판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는 다른 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춘다. 이 끼워맞춤에 의해, 기판끼리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 장치를 갖는 전자 기기를 조립하는 작업은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각각 기판에 실장하는 작업과, 실장하는 공정 후에 기판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 끼워맞추게 하는 작업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끼워맞춤을 위해 이들 기판을 서로 대면시키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가 기판에 은폐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육안으로 볼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육안으로 끼워맞춤 작업을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으로 더듬어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게 한다. 이 이유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 끼워맞추게 하는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어려웠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5-185541 호 공보
그래서, 본 개시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 끼워맞추게 하는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를 설명한다.
[1] 본 개시의 하나의 관점은, 복수의 상대방 단자가 제 1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상대방 본체에 배치된 상대방 커넥터에 대하여 삽입·추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이다. 전기 커넥터는, 상대방 커넥터가 삽입·추출 가능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형상의 수용부를 갖는 절연성의 본체와, 상대방 커넥터가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대방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본체 단자를 구비한다. 수용부는, 복수의 본체 단자가 제 2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도록 배치되며, 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주벽면과, 한쌍의 주벽면의 일단측에 있어서 한쪽의 주벽면을 다른쪽의 주벽면에 접속하는 제 1 단벽면과, 한쌍의 주벽면의 타단측에 있어서 한쪽의 주벽면을 다른쪽의 주벽면에 접속하는 제 2 단벽면을 포함한다. 제 1 단벽면의 적어도 일부는, 한쌍의 주벽면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며 또한 제 2 방향에 있어서 제 2 단벽면으로부터 제 1 단벽면을 향함에 따라서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폭이 점차 좁아지는 제 1 안내 영역이다. 제 1 안내 영역은, 상대방 커넥터가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대방 본체의 단부가 접촉했을 때에, 주벽면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방 커넥터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상대방 커넥터의 제 1 방향이 수용부의 제 2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대방 커넥터를 안내한다.
상대방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가 끼워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는, 상대방 커넥터의 제 1 방향이 전기 커넥터의 제 2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방 커넥터를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추게 하기 위해서는, 상대방 커넥터의 제 1 방향을 전기 커넥터의 제 2 방향으로 정렬한 상태에서, 상대방 커넥터를 전기 커넥터에 삽입할 필요가 있다. 최초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대방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본체의 단부가 전기 커넥터의 수용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대방 커넥터의 제 1 방향은 전기 커넥터의 제 2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대방 커넥터는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추게 할 수 없다.
여기서, 상대방 커넥터의 단부가 전기 커넥터의 수용부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벽면에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하면, 상대방 커넥터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예를 들면, 상대방 커넥터가 주벽면에 접촉한 경우에는, 주벽면의 대면 방향으로의 상대방 커넥터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환언하면, 상대방 커넥터는 제 2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 2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 상대방 커넥터는 곧 제 1 단벽면에 도달한다. 제 1 단벽면의 제 1 안내 영역에 있어서도 주벽면의 대면 방향으로의 상대방 커넥터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환언하면, 상대방 커넥터는, 제 1 단벽면에 있어서의 제 1 안내 영역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 1 안내 영역은 주벽면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폭이 점차 좁게 되어 있다. 그렇게 하면, 상대방 커넥터가 제 1 안내 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움직였을 때에, 상대방 커넥터의 움직임은 제 2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제한된다. 이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제 2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성분을 갖는다. 이 때문에, 최초는, 상대방 커넥터가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어긋나 있었다고 하여도, 상대방 커넥터가 제 1 안내 영역에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하면, 상대방 커넥터의 위치는 상대방 커넥터의 제 1 방향이 전기 커넥터의 제 2 방향으로 서서히 정렬되도록 수정되어 간다. 즉, 상대방 커넥터는, 제 1 안내 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의 위치가 끼워맞춤 가능한 위치로 서서히 수정되어 간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상대방 커넥터의 제 1 방향이 전기 커넥터의 제 2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는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최초 전기 커넥터에 대한 상대방 커넥터의 위치가 끼워맞춤을 할 수 없는 경우라도, 상대 커넥터의 위치를 끼워맞춤 가능한 위치로 수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상대방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를 서로 끼워맞추게 하는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2 단벽면의 적어도 일부는, 한쌍의 주벽면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며 또한 제 2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벽면으로부터 제 2 단벽면을 향함에 따라서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폭이 점차 좁아지는 제 2 안내 영역이어도 좋다. 제 2 안내 영역은, 상대방 커넥터가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대방 본체의 단부가 접촉했을 때에, 주벽면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방 커넥터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상대방 커넥터의 제 1 방향이 수용부의 제 2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대방 커넥터를 안내시켜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대방 커넥터를 주벽면에 접촉한 상대방 커넥터를 수용부의 어느 하나의 단부측으로 이동시킨 경우에, 전기 커넥터에 대한 상대방 커넥터의 위치는 끼워맞춤 가능한 위치로 수정된다. 따라서, 상대방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를 서로 끼워맞추게 하는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단벽면 및 제 2 단벽면은 평면 형상을 나타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한 대면 방향으로의 상대방 커넥터의 이동량을 소망의 일정값으로 할 수 있다.
[4]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단벽면 및 제 2 단벽면은 곡면 형상을 나타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방향에 대한 제 1 안내 영역 및 제 2 안내 영역의 기울기가 영역 내의 위치에 의해 변화된다. 따라서, 제 2 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한 대면 방향으로의 상대방 커넥터의 이동량의 비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5]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안내 영역 및 제 2 안내 영역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안내 영역 및 제 2 안내 영역의 표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안내 영역 및 제 2 안내 영역에 접촉한 상대방 커넥터는 제 1 안내 영역 및 제 2 안내 영역을 문지르면서 이동할 수 있다.
[6]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안내 영역 및 제 2 안내 영역은, 제 1 단벽면에 있어서의 대면한 부분의 각각 및 제 2 단벽면에 있어서의 대면한 부분의 각각에,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단벽면에 있어서의 대면한 부분의 각각의 표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단벽면에 있어서의 대면한 부분의 각각의 표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7]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수용부는 상대방 커넥터를 수납하는 개구를 포함하여도 좋다. 개구는 한쌍의 주벽면의 단연과, 제 1 단벽면의 단연과, 제 2 단벽면의 단연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본체는 제 1 단벽면의 단연에 포함되는 제 1 안내 영역의 단연에 연속하는 제 1 모따기부, 및 제 2 단벽면의 단연에 포함되는 제 2 안내 영역의 단연에 연속하는 제 2 모따기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져도 좋다.
상대방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상대방 커넥터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어긋남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와 상대방 커넥터의 물리적인 간섭이 생기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대방 커넥터를 전기 커넥터의 수용부에 삽입시킬 수 없다. 상대방 커넥터가 제 1 모따기부 및 제 2 모따기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대방 커넥터를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상대방 커넥터는 제 1 모따기부 및 제 2 모따기부의 표면을 따라서 이동한다. 그리고, 상대방 커넥터는 최종적으로 제 1 모따기부 및 제 2 모따기부에 연속한 제 1 안내 영역 및 제 2 안내 영역에 도달한다. 상대방 커넥터가 제 1 안내 영역 및 제 2 안내 영역에 도달한 후는, 상대방 커넥터는 제 1 안내 영역 및 제 2 안내 영역을 따라서 수용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대방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의 최초의 위치를 끼워맞출 수 없는 경우라도, 전기 커넥터에 대한 상대방 커넥터의 위치를 끼워맞춤 가능한 위치로 수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상대방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를 서로 끼워맞추게 하는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8]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모따기부 및 제 2 모따기부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모따기부 및 제 2 모따기부의 표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모따기부에 접촉한 상대방 커넥터는 제 1 모따기부를 문지르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모따기부에 접촉한 상대방 커넥터는 제 2 모따기부를 문지르면서 이동할 수 있다.
[9] 본 개시의 다른 관점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가 제 1 방향으로 나열하도록 플러그 본체에 배치된 플러그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삽입·추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추출 가능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형상의 수용부를 갖는 절연성의 본체와, 플러그 커넥터가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본체 단자를 갖는다. 수용부는, 복수의 본체 단자가 제 2 방향을 따라서 나열하도록 배치되며, 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주벽면과, 한쌍의 주벽면의 일단측에 있어서 한쪽의 주벽면을 다른쪽의 주벽면에 접속하는 제 1 단벽면과, 한쌍의 주벽면의 타단측에 있어서 한쪽의 주벽면을 다른쪽의 주벽면에 접속하는 제 2 단벽면을 포함한다. 제 1 단벽면의 적어도 일부는, 한쌍의 주벽면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며 또한 제 2 방향에 있어서 제 2 단벽면으로부터 제 1 단벽면을 향함에 따라서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폭이 점차 좁아지는 제 1 안내 영역이다. 제 1 안내 영역은, 플러그 커넥터가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플러그 본체의 단부가 접촉했을 때에, 주벽면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제 1 방향이 수용부의 제 2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대방 플러그 커넥터를 안내한다.
커넥터 장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안내 영역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최초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의 위치를 끼워맞출 수 없는 위치라도, 끼워맞춤 가능하게 플러그 커넥터의 위치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 끼워맞추게 하는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서로 끼워맞추게 하는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 장치가 분해된 형태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 장치가 분해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고정 금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부를 확대하여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를 확대하여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의 (a)는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단부를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의 (b)는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 장치가 발휘하는 가이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커넥터 장치의 단부를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의 (a)는 삽입 전의 커넥터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의 (b)는 도 8의 (a)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를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9의 (a), 도 9의 (b), 도 9의 (c), 도 9의 (d), 도 9의 (e) 및 도 9의 (f)는 제 1 가이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커넥터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의 (a), 도 10의 (b) 및 도 10의 (c)는 제 2 가이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의 (a), 도 11의 (b), 도 11의 (c) 및 도 11의 (d)는 제 2 가이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의 (a)는 본 개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부를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의 (b)는 비교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부를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의 모따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의 모따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의 (a) 및 도 15의 (b)는 제 3 가이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의 (a), 도 16의 (b), 도 16의 (c) 및 도 16의 (d)는 제 3 가이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의 (a)는 변형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평면에서 보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b)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평면에서 보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내용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 장치(1)는 리셉터클 커넥터(10)(전기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50)(상대방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한쪽의 프린트 배선 기판(2)에 실장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50)는 다른쪽의 프린트 배선 기판(3)에 실장되어 있다. 커넥터 장치(1)는, 플러그 커넥터(5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프린트 배선 기판(2, 3)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XYZ 좌표계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의 방향을 나타낸다.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은 프린트 배선 기판(2, 3)에 대하여 평행인 가상 평면에 포함된다. X축 방향은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50)의 장측 방향에 일치한다. 장측 방향은 도 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이다. Y축 방향은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50)의 단측 방향에 일치한다. 단측 방향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 연직 방향이다. Z축 방향은 프린트 배선 기판(2, 3)의 법선 방향에 일치한다. 법선 방향은 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이다. 즉, Z축 방향은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50)의 대면 방향에 일치한다.
[리셉터클 커넥터]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50)에 대하여 삽입·추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주요한 구성 요소로서, 리셉터클 하우징(11)(본체)과,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본체 단자)와,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제 1 고정 금구)와, 제 2 리셉터클 고정 금구(14)(제 2 고정 금구)를 갖고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11)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기체이다. 리셉터클 하우징(11)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11)은 X축 방향(장측 방향,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낸다. 리셉터클 하우징(11)은 Z축 방향을 법선 방향으로 한다. 리셉터클 하우징(11)은 플러그 커넥터(50)와 대면하는 주면(11a)을 갖는다.
리셉터클 하우징(11)에는, 수용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수용부(16)는 플러그 커넥터(50)를 수용하는 오목 형상을 나타낸다. 수용부(16)는 주면(11a)에 대하여 움푹한 부분이다. 수용부(16)는 제 1 주내벽면(17)과, 제 2 주내벽면(18)과, 제 1 단내벽면(19)(제 1 단벽면)과, 제 2 단내벽면(21)(제 2 단벽면)과, 바닥면(23)으로 둘러싸인 공간이다. 제 1 주내벽면(17)은 한쌍의 주벽면의 한쪽이다. 제 2 주내벽면(18)은 한쌍의 주벽면의 다른쪽이다. 제 1 주내벽면(17) 및 제 2 주내벽면(18)은 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 1 주내벽면(17)은 Y축 방향에서 제 2 주내벽면(18)에 대면하고 있다. 제 1 단내벽면(19)은 X축 방향에 있어서 리셉터클 하우징(11)의 일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주내벽면(17)의 일단은 제 2 주내벽면(18)의 일단에 접속하고 있다. 제 1 단내벽면(19)은 서로 상이한 법선 방향을 갖는 복수의 면을 포함하고 있다. 제 2 단내벽면(21)은 X축 방향에 있어서 리셉터클 하우징(11)의 타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내벽면(21)은 제 1 주내벽면(17)의 타단을 제 2 주내벽면(18)의 타단에 접속하고 있다. 제 2 단내벽면(21)은, 제 1 단내벽면(19)과 마찬가지로, 서로 상이한 법선 방향을 갖는 복수의 면을 포함하고 있다.
리셉터클 단자(12)는 도전 부품이다. 리셉터클 단자(12)는 프린트 배선 기판(2, 3)끼리를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한다. 리셉터클 단자(12)는 도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리셉터클 단자(12)의 일부는 프린트 배선 기판(2)의 전극 패드(도시하지 않음)에 납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12)의 다른 일부는 후술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52)(복수의 상대방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는 X축 방향을 따라서 나열하도록 리셉터클 하우징(11)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X축선 방향은 단자 배열 방향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셉터클 하우징(11)은 복수의 오목부(24)를 갖고 있다. 복수의 오목부(24)는 제 1 주내벽면(17)에 대하여 Y축 방향을 따라서 움푹하다. 복수의 오목부(24)의 각각에, 리셉터클 단자(12)가 배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11)은 복수의 오목부(24)를 추가로 갖고 있다. 복수의 오목부(24)는 제 2 주내벽면(18)에 대하여 Y축 방향을 따라서 움푹하다. 이들 복수의 오목부(24)의 각각에도, 리셉터클 단자(12)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는 X축 방향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하우징(11)의 일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리셉터클 고정 금구(14)는 X축 방향에 있어서 리셉터클 하우징(11)의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 및 제 2 리셉터클 고정 금구(14)는 X축 방향에서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 및 제 2 리셉터클 고정 금구(14)는 리셉터클 하우징(11)을 프린트 배선 기판(2)에 물리적으로 고정한다. 또한,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 및 제 2 리셉터클 고정 금구(14)는 수용부(16)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50)를 협지한다. 또한,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 및 제 2 리셉터클 고정 금구(14)는 플러그 커넥터(50)와의 도통을 위해 플러그 커넥터(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좋다.
도 3을 참조하면서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 2 리셉터클 고정 금구(14)는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에 대하여 배치되는 위치가 상이하기만 하다. 제 2 리셉터클 고정 금구(14)는 단일체로서는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 2 리셉터클 고정 금구(14)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는 주요한 구성 요소로서 기판 고정부(26)와, 가이드부(27)와, 보지부(28)와, 금구 본체(33)를 갖는다. 기판 고정부(26), 가이드부(27), 보지부(28) 및 금구 본체(33)는 복수의 절곡부(29a, 29b, 29c, 29d)와 접속부(31a, 31b)를 거쳐서 일체화되어 있다.
기판 고정부(26)는 판형상의 부분이다. 기판 고정부(26)는 프린트 배선 기판(2)의 배선 패턴에 대하여 납땜 등에 의해 물리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11)에 배치되었을 때, 기판 고정부(26)는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Y축 방향에 있어서의 기판 고정부(26)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절곡부(29a)를 거쳐서 접속부(31a)가 Z축 방향으로 기립되어 있다.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부(31a)의 양단에는 각각 절곡부(29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31a)의 양단에는 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쌍의 접속부(31b)가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접속부(31b)의 일단에는, Z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이드부(27)가 접속되어 있다. 가이드부(27)는 절곡부(29c)와 평판부(32)를 포함하고 있다. 절곡부(29c)의 일단은 접속부(31b)에 연속하고 있다. 절곡부(29c)의 타단은 평판부(32)와 연속하고 있다. 평판부(32)는 절곡부(29c)로부터 Z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평판부(32)의 선단은 자유단이다. 가이드부(27)는 리셉터클 하우징(11)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가이드부(27)는 제 1 단내벽면(19)의 일부를 구성한다.
Y축 방향에 있어서의 기판 고정부(26)의 대략 중앙부에는, 금구 본체(33)가 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금구 본체(33)의 선단에는 기립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기립부(34)는 절곡부(29d)를 거쳐서 Z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금구 본체(33)에는, 한쌍의 보지부(28)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보지부(28)는 기판 고정부(26)와 연속하는 일단과 기립부(34)에 연속하는 타단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보지부(28)는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 형상을 나타낸다. 보지부(28)는 리셉터클 하우징(11)에 대하여 물리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보지부(28)는 Y축 방향을 따른 탄성을 갖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
다시 도 2를 참조하면서 플러그 커넥터(50)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50)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삽입·추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50)는, 주요한 구성 요소로서, 플러그 하우징(51)(상대방 본체)과, 복수의 플러그 단자(52)와,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와, 제 2 플러그 고정 금구(54)를 갖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51)은 플러그 커넥터(50)의 기체이다. 플러그 하우징(51)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51)은 X축 방향(장측 방향,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낸다. 플러그 하우징(51)은 제 1 주외벽면(57)과, 제 2 주외벽면(58)과, 제 1 단외벽면(59)과, 제 2 단외벽면(61)과, 주면(51a)과, 기판면(51b)을 갖는다.
제 1 주외벽면(57) 및 제 2 주외벽면(58)은 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 1 주외벽면(57) 및 제 2 주외벽면(58)은 Y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 1 단외벽면(59)은 플러그 하우징(51)의 일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외벽면(59)은 제 1 주외벽면(57)의 일단을 제 2 주외벽면(58)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단외벽면(59)은 서로 상이한 법선 방향을 갖는 복수의 면을 포함하고 있다. 제 2 단외벽면(61)은 플러그 하우징(51)의 타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외벽면(61)은 제 1 주외벽면(57)의 타단을 제 2 주외벽면(58)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단외벽면(61)은, 제 1 단외벽면(59)과 마찬가지로, 서로 상이한 법선 방향을 갖는 복수의 면을 포함하고 있다.
플러그 단자(52)는 도전 부품이다. 플러그 단자(52)는 프린트 배선 기판(2, 3)끼리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한다. 플러그 단자(52)는 도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플러그 단자(52)의 일부는 프린트 배선 기판(3)의 전극 패드(도시하지 않음)에 납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단자(52)의 다른 일부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리셉터클 단자(1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플러그 단자(52)는 X축 방향을 따라서 나열하도록 플러그 하우징(51)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는 플러그 하우징(51)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플러그 고정 금구(54)는 플러그 하우징(51)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 및 제 2 플러그 고정 금구(54)는 X축 방향에서 복수의 플러그 단자(52)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 및 제 2 플러그 고정 금구(54)는 플러그 하우징(51)을 프린트 배선 기판(3)에 물리적으로 고정한다. 또한,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 및 제 2 플러그 고정 금구(54)는, 수용부(16)에 삽입했을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 및 제 2 리셉터클 고정 금구(14)에 협지된다. 또한,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는 리셉터클 커넥터(10)와의 도통을 위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제 2 플러그 고정 금구(54)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 2 리셉터클 고정 금구(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좋다.
도 4를 참조하면서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 2 플러그 고정 금구(54)는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에 대하여 배치되는 위치가 상이하기만 하다. 제 2 플러그 고정 금구(54)는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 2 플러그 고정 금구(54)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는, 주요한 구성 요소로서, 기판 고정부(66)와, 가이드부(67)와, 피보지부(68)를 갖고 있다. 기판 고정부(66), 가이드부(67) 및 피보지부(68)는 복수의 절곡부(69a, 69b, 69c, 69d)와 접속부(71a)를 거쳐서 일체화되어 있다. 기판 고정부(66)는 판형상의 부분이다. 기판 고정부(66)는 프린트 배선 기판(3)의 배선 패턴에 대하여 납땜 등에 의해 물리적으로 고정된다. 기판 고정부(66)는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Y축 방향에 있어서의 기판 고정부(66)의 대략 중앙부에는, 절곡부(69a)를 거쳐서 접속부(71a)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71a)의 타단에는, 절곡부(69b)를 거쳐서 금구 본체(72)가 접속되어 있다. Y축 방향에 있어서의 금구 본체(72)의 측부에는 각각 절곡부(69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금구 본체(72)의 측부에는, Z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쌍의 피보지부(68)가 접속되어 있다. 피보지부(68)는 Z축 방향으로 기립한다. 피보지부(68)는 플러그 하우징(51)의 제 1 주외벽면(57) 및 제 2 주외벽면(58)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5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추어졌을 때, 피보지부(68)는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의 보지부(28)에 협지된다.
금구 본체(72)에는, 또한 가이드부(67)가 연속하고 있다. 가이드부(67)는 절곡부(69d)와 평판부(75)를 포함하고 있다. 절곡부(69d)의 일단은 금구 본체(72)에 연속하고 있다. 절곡부(69d)의 타단은 평판부(75)와 연속한다. 평판부(75)는 절곡부(69d)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평판부(75)의 선단은 자유단이다. 가이드부(67)는 플러그 하우징(51)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가이드부(67)는 제 1 단외벽면(59)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타단측에 있어서의 상세한 구성은 일단측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타단측의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리셉터클 안내면(제 2 안내 영역)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리셉터클 안내면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타단측에 마련된 제 2 단내벽면(21)에 포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일단측은 제 1 주내벽면(17) 및 제 2 주내벽면(18)의 일단측과, 제 1 단내벽면(19)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주내벽면(17) 및 제 2 주내벽면(18)은 복수의 평면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면이다. 오목부(24a)에는, 리셉터클 단자(12)가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24b)에는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의 보지부(28)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내벽면(19)은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 19b)(제 1 안내 영역)과, 리셉터클 선단면(19c)을 갖고 있다.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의 일단은 제 1 주내벽면(17)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의 일단은 제 2 주내벽면(18)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리셉터클 선단면(19c)의 일단은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선단면(19c)의 타단은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1 단내벽면(19)은, 제 1 주내벽면(17)의 일단으로부터 제 2 주내벽면(18)의 일단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 리셉터클 선단면(19c),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의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은 Y축 방향에서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과 대면하고 있다. 즉,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 19b)은 리셉터클 하우징(11)의 X축 방향을 따르는 축선(A1)에 대하여 선대칭의 관계에 있다. 이격 폭(HR)은 리셉터클 선단면(19c)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게 되어 있다. 이격 폭(HR)은 Y축 방향을 따른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으로부터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까지의 길이이다. 제 2 이격 폭(HR2)은 제 1 이격 폭(HR1)보다 좁다. 제 2 이격 폭(HR2)은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의 타단으로부터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의 타단까지의 길이이다. 제 1 이격 폭(HR1)은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의 일단으로부터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의 일단까지의 길이이다. 예를 들면, 제 1 이격 폭(HR1)과 제 2 이격 폭(HR2)의 관계를 비율로 나타낸다. 제 2 이격 폭(HR2)은, 제 1 이격 폭(HR1)이 1일 때, 일 예로서 0.6이다.
이러한 구조는,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 19b)이 X축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에 기인한다. 예를 들면,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과 X축의 사이의 각도는 일 예로서 45도이다.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과 X축의 사이의 각도는 일 예로서 45도이다. 환언하면,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은 제 1 주내벽면(17)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또한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은 제 2 주내벽면(18)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도 6을 참조하면서, 플러그 커넥터(50)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50)의 타단측에 있어서의 상세한 구성은 일단측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50)의 타단측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50)의 일단측은 제 1 주외벽면(57) 및 제 2 주외벽면(58)의 일단측과, 제 1 단외벽면(59)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주외벽면(57) 및 제 2 주외벽면(58)은 Y축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평면이다. 제 1 주외벽면(57) 및 제 2 주외벽면(58)은 플러그 하우징(51)의 측벽면이다. 플러그 하우징(51)에는, 플러그 단자(52)가 매립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52)의 일부는 플러그 하우징(51)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52)는 제 1 주외벽면(57) 및 제 2 주외벽면(58)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51)에는,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가 매립되어 있다.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의 일부는 플러그 하우징(51)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의 일부는 제 1 주외벽면(57) 및 제 2 주외벽면(58)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제 1 주외벽면(57) 및 제 2 주외벽면(58)은 플러그 하우징(51), 플러그 단자(52) 및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단외벽면(59)은 제 1 플러그 안내면(59a)과, 제 1 플러그 안내면(59b)과, 플러그 선단면(59c)을 갖고 있다. 제 1 플러그 안내면(59a)의 일단은 제 1 주외벽면(57)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플러그 안내면(59b)의 일단은 제 2 주외벽면(58)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 선단면(59c)의 일단은 제 1 플러그 안내면(59a)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 선단면(59c)의 타단은 제 1 플러그 안내면(59b)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1 단외벽면(59)은, 제 1 주외벽면(57)의 일단으로부터 제 2 주외벽면(58)의 일단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제 1 플러그 안내면(59a), 플러그 선단면(59c), 제 1 플러그 안내면(59b)의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플러그 안내면(59a)은 Y축 방향에서 제 1 플러그 안내면(59b)과 대향하고 있다. 즉, 제 1 플러그 안내면(59a) 및 제 1 플러그 안내면(59b)은 플러그 하우징(51)의 X축 방향을 따르는 축선(A2)에 대하여 선대칭의 관계에 있다. 하우징 폭(HP)은 플러그 선단면(59c)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게 되어 있다. 하우징 폭(HP)은 제 1 플러그 안내면(59a)으로부터 제 1 플러그 안내면(59b)까지의 Y축 방향에 따른 길이이다. 제 2 하우징 폭(HP2)은 제 1 하우징 폭(HP1)보다 좁다. 제 2 하우징 폭(HP2)은 제 1 플러그 안내면(59a)의 타단으로부터 제 1 플러그 안내면(59b)의 타단까지의 길이이다. 제 1 하우징 폭(HP1)은 제 1 플러그 안내면(59a)의 일단으로부터 제 1 플러그 안내면(59b)의 일단까지의 길이이다. 이 제 2 하우징 폭(HP2)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 1 이격 폭(HR1) 보다 크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50)의 플러그 선단면(59c)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리셉터클 선단면(19c)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 플러그 커넥터(5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리셉터클 선단면(19c)과 플러그 선단면(59c)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 폭(HP1)과 제 2 하우징 폭(HP2)의 관계를 비율로 나타내면, 제 1 하우징 폭(HP1)을 1로 했을 때에 제 2 하우징 폭(HP2)은 일 예로서 0.6이다. 이러한 구조는, 제 1 플러그 안내면(59a) 및 제 1 플러그 안내면(59b)이 X축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에 기인한다. 예를 들면, 제 1 플러그 안내면(59a)과 X축의 사이의 각도는 일 예로서 45도이다. 제 1 플러그 안내면(59b)과 X축의 사이의 각도는 일 예로서 45도이다. 환언하면, 제 1 플러그 안내면(59a)은 제 1 주외벽면(57)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또한, 제 1 플러그 안내면(59b)은 제 2 주외벽면(58)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 커넥터(10)가 발휘하는 가이드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 기능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플러그 커넥터(50)를 삽입했을 때 발휘된다. 가이드 기능이란, 플러그 커넥터(50)의 자세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춤 가능한 자세로 수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자세"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50)의 3차원 좌표를 기준으로 한 3차원 위치나, 3차원 좌표의 축선을 기준으로 한 기울기를 말한다.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물리적으로 끼워맞출수 있을 때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의 자세는 유일하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50)에 리셉터클 커넥터(10)를 삽입할 때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50)의 자세를 끼워맞춤 가능한 자세로 일치시키고 나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50)의 자세를 끼워맞춤 가능한 자세로 일치시키고 나서 삽입을 실행하면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리셉터클 커넥터(10) 또는 플러그 커넥터(50)가 플러그 커넥터(50)의 자세를 끼워맞춤 가능한 자세로 수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삽입 작업의 개시시에 플러그 커넥터(50)의 자세를 끼워맞춤 가능한 자세로 일치시키지 않아도, 삽입 작업 중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50)의 자세가 수정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플러그 커넥터(50)를 끼워맞출 수 있다.
<제 1 가이드 기능>
도 7의 (a)는 비교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비교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10)는 한쌍의 주내벽면(111)을 갖고 있다. 주내벽면(111)의 이격 폭(HR3)은 플러그 커넥터(150)의 하우징 폭(HP3)과 동일한 크기이다. 도 7의 (b)는 제 1 가이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가이드 기능은 본 개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가 발휘하는 가이드 기능 중 하나이다. 또한,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리셉터클 커넥터(10, 110) 및 플러그 커넥터(50, 150)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제 1 가이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만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a)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경우에는, 플러그 커넥터(150)의 축선(A2)과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A1)을 일치시키지 않으면, 플러그 커넥터(150)를 리셉터클 커넥터(110)에 삽입할 수 없다. 즉, 비교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10)는 플러그 커넥터(150)의 자세를 수정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10)는 가이드 기능을 갖지 않는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에서는, 제 1 이격 폭(HR1)에 의해 나타내는 수납부가 플러그 커넥터(50)의 플러그 선단면(59c)의 선단 폭보다 크다. 수납부는 한쪽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의 일단과 다른쪽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의 일단의 사이이다. 선단 폭은 제 2 하우징 폭(HP2)과 동일한 의미이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삽입할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A1)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A2)의 어긋남을 허용할 수 있다. 허용할 수 있는 어긋남량은 제 1 이격 폭(HR1)과 제 2 하우징 폭(HP2)의 차분과 동일한 양이다.
예를 들면,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방향으로의 삽입이 개시되었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경사"란, Z축 방향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A2)이 기울어져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50)가 어긋난 상태란, 평면에서 보아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A2)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A1)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상태로 한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에서 플러그 커넥터(5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는 상태(도 9의 (a) 참조)로부터 화살표(K1)의 방향을 따라서 삽입이 개시된다. 이 때에,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A2)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A1)에 대하여 Y축 방향을 따라서 어긋나 있다(도 9의 (b) 참조). 다음에, 도 9의 (c) 및 도 9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에 플러그 커넥터(50)의 제 1 플러그 안내면(59a)이 접촉한다(도 9의 (d) 참조). 이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에는 플러그 커넥터(50)의 제 1 플러그 안내면(59b)은 접촉하고 있지 않다(도 9의 (d) 참조).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에 제 1 플러그 안내면(59a)이 접촉된 상태에서 더욱 비스듬하게 플러그 커넥터(50)가 삽입된다. 그렇게 하면, 플러그 커넥터(50)는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이동은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A2)은 서서히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A1)에 접근해 간다. 즉, 플러그 커넥터(50)의 자세가 수정되어 간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50)의 제 1 플러그 안내면(59b)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에 접근해 간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의 (e) 및 도 9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50)의 제 1 플러그 안내면(59b)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에 접촉한다. 이 때에,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A2)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A1)에 일치한다. 즉, 플러그 커넥터(50)의 자세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끼워맞춤 가능한 자세로 수정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의 전제는,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50)가 각각의 축선(A1, A2)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마련된 구성이다. 그러나, 리셉터클 커넥터(10) 또는 플러그 커넥터(50)는 각각 축선(A1, A2)에 대하여 선대칭이 아니어도 좋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50)를 끼워맞춤 가능한 상태는 각각의 축선(A1, A2)이 서로 평행이 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 2 가이드 기능>
상술한 제 1 가이드 기능이란, 즉,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A1)에 대하여, 축선(A2)이 평행하게 어긋난 플러그 커넥터(50)의 자세를 수정하는 기능이다. 본 개시의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추가로 제 2 가이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축선(A2)의 어긋남은, 평행하게 어긋나는 태양에 부가하여, 더욱 서로 교차하도록 어긋나는 태양도 있을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비교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50)의 축선(A2)은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축선(A1)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50)를 리셉터클 커넥터(110)에 축선(A2)을 따라서 삽입한다. 그렇게 하면,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50)의 한쪽의 코너부(151)가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리셉터클 선단면(112)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50)의 어긋남을 수정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150)는 Z축 방향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도 1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쪽의 코너부(152)가 주내벽면(111)에 접촉되어 버린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50)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다. 즉, 플러그 커넥터(150)는 자세를 수정할 수 없다.
한편, 도 11의 (a), 도 11의 (b), 도 11의 (c) 및 도 11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A2)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A1)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도 11의 (a) 참조)로 삽입된다. 다음에, 제 1 플러그 안내면(59b)의 코너부(59d)에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이 접촉한다(도 11의 (b)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제 1 플러그 안내면(59a)과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의 사이에는, 간극(K2)이 확보된다. 이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50)는 Z축 방향의 주위로 회전하게 되면(도 11의 (c) 참조), 제 1 플러그 안내면(59a)과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이 접촉한다(도 11의 (d)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A1)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A2)이 기울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50)의 자세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끼워맞춤 가능한 자세로 수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가이드 기능은 축 맞춤 기능 또는 얼라인먼트 기능이라고 할 수도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하우징(11)의 단부 구성에 대하여 다른 시점에서 설명한다.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11)의 단부에는, 제 1 단내벽면(19)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내벽면(19)은 수용부(16)를 둘러싸는 벽체(36)의 일부이다. 제 1 단내벽면(19) 및 외측 단면(11b)은 벽부(36a)를 형성한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5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추어졌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50)의 플러그 하우징(51)이 접촉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개소는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 19b)이다. 예를 들면,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에 플러그 커넥터(50)가 접촉하고, 또한 X축 방향을 따른 외력(F1)이 플러그 커넥터(50)에 가해졌다고 한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50)는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을 가압한다. 가압력(F2)은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에 대하여 수직으로 작용한다. 벽부(36a)는 가압력(F2)에 대하여 충분한 두께를 갖고 있다. 따라서, 벽부(36a)는 가압력(F2)에 바람직하게 대항할 수 있다. 또한, 요구되는 강도를 갖도록 벽부(36a)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X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비교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10)와 비교하면서, 본 개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단부 구성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도 12의 (b)는 비교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10)를 나타낸다. 리셉터클 커넥터(110)는 한쌍의 안내면(114)을 갖는다. 한쌍의 안내면(114)은 한쌍의 주내벽면(111) 상의 각각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안내면(114)의 길이(가이드 폭)를 소정값(길이 L1)으로 설정했다고 한다. 이 경우, 안내면(114)으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외측 단면(116)까지의 길이 L2는, 적어도 길이 L1 이상이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10)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50)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F3)에 대항하는 부분은 단벽(117)이다. 따라서, 단벽(117)은 충분한 강도를 갖는 두께로 할 필요가 있다.
도 12의 (a)는 본 개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를 도시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 19b)은 X축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길이 L1은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의 표면을 따른 길이이다. 길이 L3은 X축 방향을 따른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의 길이이다. 그렇게 하면, 이 구성에 의하면, 길이 L3은 길이 L1의 여현 성분(코사인 성분)이다. 또한, 길이 L3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의 길이이다. 길이 L1은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안내면(114)의 길이이다. 그렇게 하면,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로 비교하면, 길이 L3은 길이 L1보다 짧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50)로부터 가해지는 외력(F1)을 벽부(36a)가 부담한다. 또한, 리셉터클 선단면(19c)과 플러그 선단면(59c)의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50)로부터 가압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선단면(19c)에 의해 구성되는 단벽은 비교예에 따른 단벽(117) 정도의 두께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비교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10)보다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제 1 모따기부(37)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면서, 플러그 커넥터(50)에 있어서의 제 3 모따기부(77)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16을 참조하면서,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삽입할 때에 발휘할 수 있는 제 3 가이드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제 1 모따기부(37)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2 모따기부(38)(도 2 참조)는 제 1 모따기부(37)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 2 모따기부(38)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수용부(16)는 플러그 커넥터(50)를 수납하는 개구(16a)를 포함하고 있다. 개구(16a)는 제 1 주내벽면(17)의 단연(17a)과, 제 2 주내벽면(18)의 단연(18a)과, 제 1 단내벽면(19)의 단연(19d)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 제 1 단내벽면(19)의 단연(19d)에는, 단면에서 보아 곡면 형상의 모따기부가 접속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모따기부(37)는 제 1 단내벽면(19)의 단연(19d)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모따기부(37)는 코너 R부(37a)와, 코너 R부(37b)를 갖고 있다. 코너 R부(37a)의 하단은 제 1 단내벽면(19)에 있어서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의 상단연에 연속하고 있다. 또한, 코너 R부(37a)의 상단은 리셉터클 하우징(11)의 주면(11a)에 연속하고 있다. 코너 R부(37a)는 리셉터클 하우징(11)의 일부와,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의 한쪽의 절곡부(29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너 R부(37a)는 금속 재료로 구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코너 R부(37b)의 하단은 제 1 단내벽면(19)에 있어서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의 상단연에 연속하고 있다. 코너 R부(37b)의 상단은 리셉터클 하우징(11)의 주면(11a)에 연속하고 있다. 코너 R부(37b)는 리셉터클 하우징(11)의 일부와,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의 다른쪽의 절곡부(29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13)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너 R부(37b)는 금속 재료로 구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50)는 제 3 모따기부(77)와, 제 4 모따기부(78)(도 1 참조)를 갖고 있다. 제 3 모따기부(77) 및 제 4 모따기부(78)는, 제 1 모따기부(37)와 마찬가지로, 단면에서 보아 곡면 형상의 형상을 갖는 코너 R부이다. 또한, 제 4 모따기부(78)(도 1 참조)는 플러그 하우징(51)의 타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 4 모따기부(78)는 제 3 모따기부(77)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 4 모따기부(78)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모따기부(77)는 플러그 하우징(51)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코너 R부(77a)는 제 3 모따기부(77)의 일부이다. 코너 R부(77a)는 제 1 단외벽면(59)에 있어서의 제 1 플러그 안내면(59a)과 플러그 하우징(51)의 주면(51a)에 연속하고 있다. 또한, 코너 R부(77a)는 플러그 하우징(51)의 일부와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의 절곡부(69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너 R부(77a)는 금속 재료로 구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코너 R부(77b)는 제 3 모따기부(77)의 다른 일부이다. 코너 R부(77b)는 제 1 단외벽면(59)에 있어서의 제 1 플러그 안내면(59b)과 플러그 하우징(51)의 주면(51a)에 연속하고 있다. 또한, 코너 R부(77b)는 플러그 하우징(51)의 일부와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53)의 절곡부(69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너 R부(77b)는 금속 재료로 구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제 3 가이드 기능>
상술한 모따기부(37, 38, 77, 78)에 의하면, 제 3 가이드 기능이 발휘된다. 제 3 가이드 기능이란, 즉,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5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Z축 방향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 상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50)의 위치를 수정하는 기능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50)를 Z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에 이상적으로는, 플러그 커넥터(50)의 제 1 주외벽면(57)과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 1 주내벽면(17)이 Y축 방향에서 일치하고 있을 때에, Z축 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50)를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50)의 제 1 주외벽면(57)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주면(11a) 상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리셉터클 하우징(11)과 플러그 커넥터(50)의 플러그 하우징(51)이 서로 간섭해 버린다(도 15의 (b)에 있어서의 간섭(M) 참조).
그래서, 본 개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50)는 모따기부(37, 38, 77, 78)를 갖고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서, 제 1 모따기부(37)와 제 3 모따기부(77)가 발휘하는 제 3 가이드 기능에 대하여 예시한다. 도 1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50)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50)는 Y축 방향에서 간섭(M)을 형성하고 있다. 도 1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50)를 Z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 1 모따기부(37)에, 플러그 커넥터(50)의 제 3 모따기부(77)가 접촉한다. 도 1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모따기부(37)에 제 3 모따기부(77)가 접촉한 상태에서 더욱 플러그 커넥터(50)를 Z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플러그 커넥터(50)는 제 1 모따기부(37)의 표면을 타고 Z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Y축 방향으로도 이동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50)를 Z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플러그 커넥터(50)의 제 1 주외벽면(57)과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 1 주내벽면(17)이 Y축 방향에서 일치한다. 이 시점에서, 간섭(M)은 제로가 된다. 그리고, 도 1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50)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 1 주내벽면(17)에 접촉하면서 Z축 방향을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삽입된다. 모따기부(37, 38, 77, 78)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50)와 리셉터클 커넥터(10)가 Y축 방향에서 간섭을 갖는 경우라도, 플러그 커넥터(5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간섭하는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50)의 자세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삽입 가능한 자세로 수정할 수 있다.
모따기부(37, 38, 77, 78)는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50)의 양쪽을 갖고 있을 필요는 없다. 모따기부(37, 38, 77, 78)는 적어도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50)의 한쪽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10)가 모따기부(37, 38)를 갖는 경우에는, 플러그 커넥터(50)는 모따기부(77, 78)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50)가 모따기부(77, 78)를 갖는 경우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모따기부(37, 38)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상술한 제 1 가이드 기능 및 제 2 가이드 기능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수용부(16)에 플러그 커넥터(5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50)가 끼워맞추어진 상태까지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한편, 제 3 가이드 기능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수용부(16)에 플러그 커넥터(50)가 전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수용부(16)에 플러그 커넥터(5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까지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우선, 제 3 가이드 기능이 발휘된 후에, 제 1 가이드 기능 및 제 2 가이드 기능이 발휘된다. 즉, 제 3 가이드 기능을 발휘하는 모따기부(37, 38, 77, 78)에 의하면, 어긋남의 허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어긋남의 허용량이란, 플러그 커넥터(50)의 자세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삽입 가능한 자세로 수정 가능한 어긋남량이다. 따라서, 제 1 가이드 기능 및 제 2 가이드 기능에 부가하여 제 3 가이드 기능을 발휘하도록 모따기부(37, 38, 77, 78)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삽입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3 가이드 기능은 얼라인먼트 기능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 장치(1) 및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50)와 리셉터클 커넥터(10)가 끼워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 방향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추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 방향을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 방향으로 정렬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삽입한다. 최초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50)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50)의 상대방 본체의 단부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수용부(16)에 삽입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 방향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50)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추게 할 수 없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50)의 단부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수용부(16)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벽면에 접촉한다. 그렇게 하면, 플러그 커넥터(50)의 움직임은 규제된다.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50)가 제 1 주내벽면(17)에 접촉한 경우에는, 제 1 주내벽면(17)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50)의 움직임은 규제된다. 즉, Y축 방향으로의 플러그 커넥터(5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환언하면, 플러그 커넥터(50)는 X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X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 플러그 커넥터(50)는, 곧 제 1 단내벽면(19)에 도달한다. 제 1 단내벽면(19)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에 있어서도 제 1 주내벽면(17)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50)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즉, Y축 방향으로의 플러그 커넥터(5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환언하면, 플러그 커넥터(50)는 제 1 단내벽면(19)에 있어서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은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폭(HR)이 점차 좁게 되어 있다. 그렇게 하면, 플러그 커넥터(50)가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에 접촉한 상태에서 움직였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50)의 움직임은 X축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으로 제한된다. 이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X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Y축 방향으로의 이동 성분을 갖는다. 이 때문에, 최초는 플러그 커넥터(5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어긋나 있었다고 하여도, 플러그 커넥터(50)가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에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 방향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 방향으로 서서히 정렬되도록, 플러그 커넥터(50)의 위치가 수정되어 간다. 즉, 플러그 커넥터(50)가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50)의 위치가 끼워맞춤 가능한 위치로 서서히 수정되어 간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플러그 커넥터(50)의 축선 방향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선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5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의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50)의 위치가 최초는 끼워맞출 수 없는 위치라도, 끼워맞춤 가능한 위치로 수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50) 및 리셉터클 커넥터(10)를 서로 끼워맞추게 하는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의하면, 제 1 주내벽면(17) 또는 제 2 주내벽면(18)에 접촉한 플러그 커넥터(50)를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쪽으로 이동시킨 경우라도,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50)의 위치를 끼워맞춤 가능한 위치로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50) 및 리셉터클 커넥터(10)를 서로 끼워맞추게 하는 작업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있어서, 제 1 단내벽면(19) 및 제 2 단내벽면(21)은 평면 형상을 나타낸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50)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한 대면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소망의 일정값으로 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의하면, 제 1 단내벽면(19)에 있어서의 대면한 부분의 각각의 표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단내벽면(21)에 있어서의 대면한 부분의 각각의 표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제 1 모따기부(37) 및 제 2 모따기부(38)를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50) 및 리셉터클 커넥터(1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50)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어긋남에 의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50)의 물리적인 간섭(M)이 생기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수용부(16)에 삽입시킬 수 없다. 그러나,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50)가 제 1 모따기부(37) 또는 제 2 모따기부(38)에 접촉한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50)를 수용부(16)의 바닥측으로 이동시키면, 플러그 커넥터(50)는 제 1 모따기부(37) 또는 제 2 모따기부(38)의 표면을 따라서 이동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50)는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 또는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에 도달한다.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은 제 1 모따기부(37) 또는 제 2 모따기부(38)가 연속하는 면이다. 우선,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 19b)에 플러그 커넥터(50)가 도달한다. 그 후, 플러그 커넥터(50)는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 또는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을 따라서 수용부(16)의 바닥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50)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최초의 위치를 끼워맞출 수 없는 위치라도,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50)의 위치를 끼워맞춤 가능한 위치로 수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50) 및 리셉터클 커넥터(10)를 서로 끼워맞추게 하는 작업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있어서, 제 1 모따기부(37) 및 제 2 모따기부(38)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모따기부(37) 또는 제 2 모따기부(38)의 표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모따기부(37) 또는 제 2 모따기부(38)에 접촉한 플러그 커넥터(50)는 제 1 모따기부(37) 또는 제 2 모따기부(38)를 문지르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제 1 단내벽면(19) 및 제 2 단내벽면(21)은 평면 형상인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제 1 단내벽면(19) 및 제 2 단내벽면(21)은 평면 형상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면,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내벽면(19A)은 곡면 형상이어도 좋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변형예 1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A)의 제 1 단내벽면(19A)은 평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제 1 단내벽면(19A)의 일부에는, 서로 대면하며, X축 방향을 따라서 이격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A)과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A)을 가질 수 있다.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A)과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A)의 사이에는, 곡면 형상의 리셉터클 선단면(19cA)이 형성된다.
또한,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예 2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B)는, 제 1 단내벽면(19B)에 있어서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A) 및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bA)에 대응하는 영역이 곡면 형상이 되고, 리셉터클 선단면(19cB)이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의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의하면, X축 방향에 대한 한쌍의 제 1 리셉터클 안내면(19a, 19b)의 기울기가, 그 면에 있어서의 위치에 의해 변화된다. 따라서, X축 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한 Y축 방향으로의 이동량의 비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1: 커넥터 장치
2, 3: 프린트 배선 기판
10, 10A, 10B, 110: 리셉터클 커넥터(전기 커넥터)
11: 리셉터클 하우징(본체)
12: 리셉터클 단자(본체 단자)
13: 제 1 리셉터클 고정 금구(제 1 고정 금구)
14: 제 2 리셉터클 고정 금구(제 2 고정 금구)
16: 수용부
17: 제 1 주내벽면(주벽면)
18: 제 2 주내벽면(주벽면)
19: 제 1 단내벽면(제 1 단벽면)
19a, 19b: 제 1 리셉터클 안내면(제 1 안내 영역)
19c, 112: 리셉터클 선단면
21: 제 2 단내벽면(제 2 단벽면)
26: 기판 고정부
27: 가이드부
28: 보지부
50, 150: 플러그 커넥터(상대방 커넥터)
51: 플러그 하우징(상대방 본체)
52: 플러그 단자(상대방 단자)
53: 제 1 플러그 고정 금구
54: 제 2 플러그 고정 금구
57: 제 1 주외벽면
58: 제 2 주외벽면
59: 제 1 단외벽면
59a, 59b: 제 1 플러그 안내면
59c: 플러그 선단면
61: 제 2 단외벽면
66: 기판 고정부
67: 가이드부
68: 피보지부

Claims (9)

  1. 복수의 상대방 단자가 제 1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상대방 본체에 배치된 상대방 커넥터에 대하여 삽입·추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커넥터가 삽입·추출 가능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형상의 수용부를 갖는 절연성의 본체와,
    상기 상대방 커넥터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본체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복수의 상기 본체 단자가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주벽면과,
    한쌍의 상기 주벽면의 일단측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주벽면을 다른쪽의 상기 주벽면에 접속하는 제 1 단벽면과,
    한쌍의 상기 주벽면의 타단측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주벽면을 다른쪽의 상기 주벽면에 접속하는 제 2 단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벽면의 적어도 일부는, 한쌍의 상기 주벽면의 대면 방향에서 서로 대면하며 또한 상기 제 2 방향에서 상기 제 2 단벽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단벽면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폭이 점차 좁아지는 제 1 안내 영역이며,
    상기 제 1 안내 영역은, 상기 상대방 커넥터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상대방 본체의 단부가 접촉했을 때에, 상기 주벽면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상기 제 1 방향이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제 2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상대방 커넥터를 안내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벽면의 적어도 일부는, 한쌍의 상기 주벽면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며 또한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벽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단벽면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폭이 점차 좁아지는 제 2 안내 영역이며,
    상기 제 2 안내 영역은, 상기 상대방 커넥터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상대방 본체의 단부가 접촉했을 때에, 상기 주벽면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상기 제 1 방향이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제 2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상대방 커넥터를 안내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벽면 및 상기 제 2 단벽면은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벽면 및 상기 제 2 단벽면은 곡면 형상을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 영역 및 상기 제 2 안내 영역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 영역 및 상기 제 2 안내 영역은, 상기 제 1 단벽면에 있어서의 대면한 부분의 각각 및 상기 제 2 단벽면에 있어서의 대면한 부분의 각각에, 상기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상대방 커넥터를 수납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한쌍의 상기 주벽면의 단연과, 상기 제 1 단벽면의 단연과, 상기 제 2 단벽면의 단연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단벽면의 단연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안내 영역의 단연에 연속하는 제 1 모따기부, 및 상기 제 2 단벽면의 단연에 포함되는 상기 제 2 안내 영역의 단연에 연속하는 제 2 모따기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전기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따기부 및 상기 제 2 모따기부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9. 복수의 플러그 단자가 제 1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플러그 본체에 배치된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삽입·추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추출 가능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형상의 수용부를 갖는 절연성의 본체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본체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복수의 상기 본체 단자가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주벽면과,
    한쌍의 상기 주벽면의 일단측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주벽면을 다른쪽의 상기 주벽면에 접속하는 제 1 단벽면과,
    한쌍의 상기 주벽면의 타단측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주벽면을 다른쪽의 상기 주벽면에 접속하는 제 2 단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벽면의 적어도 일부는, 한쌍의 상기 주벽면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며 또한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벽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단벽면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폭이 점차 좁아지는 제 1 안내 영역이며,
    상기 제 1 안내 영역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플러그 본체의 단부가 접촉했을 때에, 상기 주벽면의 대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제 1 방향이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제 2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안내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70113109A 2016-09-07 2017-09-05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KR101921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74776 2016-09-07
JP2016174776A JP6399063B2 (ja) 2016-09-07 2016-09-07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032A true KR20180028032A (ko) 2018-03-15
KR101921830B1 KR101921830B1 (ko) 2018-11-23

Family

ID=5984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109A KR101921830B1 (ko) 2016-09-07 2017-09-05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00458B2 (ko)
EP (1) EP3293832A1 (ko)
JP (1) JP6399063B2 (ko)
KR (1) KR101921830B1 (ko)
CN (2) CN110635308B (ko)
TW (2) TWI6160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121A (ko) * 2019-08-29 2021-03-10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79149S (ko) * 2016-09-07 2017-06-19
JP1579147S (ko) * 2016-09-07 2017-06-19
JP1579150S (ko) * 2016-09-07 2017-06-19
JP1579148S (ko) * 2016-09-07 2017-06-19
JP6512210B2 (ja) * 2016-12-21 2019-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975626B2 (ja) 2017-11-29 2021-12-0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2522299B1 (ko) * 2018-06-27 2023-04-17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기 커넥터 세트
JP7253337B2 (ja) * 2018-08-22 2023-04-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WO2020039666A1 (ja) * 2018-08-24 2020-02-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CN113169483B (zh) * 2018-12-27 2023-07-0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多极连接器组
JP1638607S (ko) * 2018-12-28 2019-08-05
JP7297622B2 (ja) * 2019-09-20 2023-06-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US11101585B1 (en) * 2020-02-05 2021-08-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itch surfaces on the plug and receptacle
CN111355060B (zh) * 2020-03-13 2021-08-17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1B (zh) * 2020-04-13 2021-11-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2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509430B (zh) * 2020-04-13 2021-06-08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0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JP7348131B2 (ja) * 2020-04-28 2023-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7484062B2 (ja) * 2020-08-17 2024-05-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JP1696084S (ko) * 2020-10-26 2021-10-04
JP6968965B1 (ja) 2020-10-26 2021-11-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JP1711754S (ja) 2021-08-24 2022-04-05 電気コネクタ
CN114824948B (zh) * 2022-05-05 2023-11-07 深圳市爱特姆科技有限公司 一种rf信号及数字信号传输的细间距板对板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6235A (ja) * 2004-09-16 2005-01-27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6344418A (ja) * 2005-06-07 2006-12-21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コネクタの嵌合方法、及び携帯端末
JP2007018993A (ja) * 2005-06-07 2007-01-25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98269A (fr) * 1965-11-08 1967-10-20 Connecteur miniature extra plat pour interconnexions générales, circuits imprimés, modules et circuits intégrés utilisés en électronique
DE19518567C1 (de) * 1995-05-20 1996-11-28 Kostal Leopold Gmbh & Co Kg Elektrisches Steckverbindungsteil
JP3677601B2 (ja) * 2002-04-05 2005-08-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ホールドダウン付きコネクタ
CN2757356Y (zh) * 2004-12-01 2006-0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7323854A (ja) 2006-05-30 2007-12-13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TWM359084U (en) * 2008-09-30 2009-06-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197294B2 (ja) * 2008-10-14 2013-05-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217974B2 (ja) * 2008-12-01 2013-06-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84673B2 (ja) * 2009-03-24 2011-10-0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54253B2 (ja) 2009-09-11 2012-06-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498883B2 (ja) *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631074B2 (ja) * 2010-06-28 2014-11-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270703B2 (ja) * 2011-02-17 2013-08-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35040B2 (ja) * 2011-08-31 2016-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ソケットならびに当該ソケッ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CN103050805B (zh) * 2011-10-14 2014-12-10 莫列斯公司 连接器
JP5638026B2 (ja) *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659212B2 (ja) * 2012-11-16 2015-0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9124011B2 (en) * 2013-02-27 2015-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to be used in the same
JP5881666B2 (ja) * 2013-11-19 2016-03-09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887326B2 (ja)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5972855B2 (ja) * 2013-12-24 2016-08-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9391398B2 (en) *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JP2015220005A (ja) 2014-05-15 2015-12-07 Smk株式会社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JP6034339B2 (ja) *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6051630A (ja) * 2014-09-01 2016-04-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JP6056835B2 (ja) * 2014-11-14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及び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6052268B2 (ja) * 2014-11-28 2016-12-2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2016152084A (ja) * 2015-02-16 2016-08-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JP5959704B2 (ja) 2015-09-04 2016-08-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6117905B2 (ja) 2015-12-18 2017-04-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6404248B2 (ja) 2016-02-15 2018-10-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6235A (ja) * 2004-09-16 2005-01-27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6344418A (ja) * 2005-06-07 2006-12-21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コネクタの嵌合方法、及び携帯端末
JP2007018993A (ja) * 2005-06-07 2007-01-25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121A (ko) * 2019-08-29 2021-03-10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16036B (zh) 2018-02-21
JP6399063B2 (ja) 2018-10-03
TW201813212A (zh) 2018-04-01
KR101921830B1 (ko) 2018-11-23
EP3293832A1 (en) 2018-03-14
CN110635308B (zh) 2021-08-17
JP2018041620A (ja) 2018-03-15
CN107799938A (zh) 2018-03-13
US10700458B2 (en) 2020-06-30
CN107799938B (zh) 2019-09-13
CN110635308A (zh) 2019-12-31
TW201817094A (zh) 2018-05-01
US20180069331A1 (en)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830B1 (ko)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34287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a sidewall portion with a sloped guide surface with cut out
JP6325505B2 (ja) コネクタ
US10505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CN110277659B (zh) 连接件以及插座
CN111934110A (zh) 连接器
US9118157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448893B2 (en) Connector
KR20040080996A (ko) 전기 커넥터
JP2018067377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6721015B2 (ja) 固定金具、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KR20160018342A (ko) 콘택트
JP2007242561A (ja) コネクタ構造体
US20240014590A1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having hermaphroditic contact elements
JP7326928B2 (ja) 端子及びコネクタ
US20230411879A1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having hermaphroditic contact elements
WO2022091501A1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
KR10214817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5833486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JP2018147733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セット
JP2021096919A (ja) コネクタ及び一対のコネクタ
JP2020161265A (ja) コネクタおよび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