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097U - 케이블 덕트 - Google Patents

케이블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097U
KR20180003097U KR2020170001990U KR20170001990U KR20180003097U KR 20180003097 U KR20180003097 U KR 20180003097U KR 2020170001990 U KR2020170001990 U KR 2020170001990U KR 20170001990 U KR20170001990 U KR 20170001990U KR 20180003097 U KR20180003097 U KR 201800030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plate
cable duct
cable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갈동헌
정성완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1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097U/ko
Publication of KR201800030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덕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덕트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베이스판, 베이스판의 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베이스판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판, 베이스판과 마주보도록 측면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판 및 베이스판에 대한 덮개판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측면판과 덮개판 사이에 개재되는 높이조절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덕트{CABLE DUCT}
본 고안은 케이블 덕트에 관한 것이다.
각종 기계 또는 자동화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반 내부에는 수많은 전기부품들이 내장되어 있고, 각각의 전기부품들은 케이블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부품들을 연결하는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수십 내지 수백 가닥을 이루는데, 좁은 공간의 제어반에 케이블들의 위치를 정리할 수 있도록 케이블 덕트가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케이블 덕트는, 일측으로 개구되어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루며 제어반 내부에 설치되며, 케이블 덕트의 내측으로 수십, 수백가닥의 케이블들이 적치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개구된 일측을 덮개가 커버하여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내부에 인입되는 케이블의 양에 따라서 케이블 덕트의 크기가 결정되고 설치되지만, 추후 설계가 변경되어 추가적인 케이블이 인입되는 등, 기 설치된 케이블 덕트로 케이블의 수용이 불가할 경우, 기존 케이블들의 결선을 해체하고 케이블 덕트를 교체한 후 다시 케이블을 결선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0082호(2010. 08. 13, 케이블덕트)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케이블의 수용 공간을 조절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덕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베이스판, 베이스판의 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베이스판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판, 베이스판과 마주보도록 측면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판 및 베이스판에 대한 덮개판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측면판과 덮개판 사이에 개재되는 높이조절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덕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측면판은 적어도 일면에 제1 감합돌기가 형성되고, 높이조절체는 내부면에 제1 감합돌기에 대응되도록 제1 감합홈이 형성되어 측면판을 상단으로부터 커버하며 측면판에 결합될 수 있다.
측면판은 하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면에 제2 감합돌기가 형성되는 연장체를 포함하고, 베이스판은 일면에 제2 감합돌기에 대응되도록 제2 감합홈이 형성되어 연장체를 단부로부터 커버하며 연장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판은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면에 제3 감합돌기가 형성되는 폭조절체 및 일면에 제3 감합돌기에 대응되도록 제3 감합홈이 형성되어 폭조절체를 단부로부터 커버하며 폭조절체에 결합되는 덮개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판에 대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체를 통해 필요에 따라 케이블의 수용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덕트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에서 케이블의 수용 공간을 최소화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에서 케이블의 수용 공간을 최대화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덕트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에서 케이블의 수용 공간을 최소화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에서 케이블의 수용 공간을 최대화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0)는 베이스판(100), 측면판(200), 덮개판(300) 및 높이조절체(400)를 포함한다.
베이스판(1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0)의 바닥면을 이룰 수 있다. 즉, 베이스판(100)은 케이블 덕트(1000)의 바닥면을 구성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이 베이스판(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측면판(200)은 베이스판(100)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베이스판(1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0)의 양 측면을 이룰 수 있다.
덮개판(300)은 베이스판(100)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측면판(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0)의 상부면을 이룰 수 있다. 즉, 덮개판(3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0)의 상부면을 구성하여 케이블 덕트(1000)의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1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높이조절체(400)는 측면판(200)에 대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측면판(200)과 덮개판(300) 사이에 개재되는 부재로서, 측면판(200)에 대한 설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0)의 측면 전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0)는 측면판(200)에 대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체(400)를 통해 필요에 따라 케이블(10)의 수용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덕트(1000)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내부에 수용할 케이블(10)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체(400)의 설치 위치를 높게 조절하여, 보다 큰 케이블(10)의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 내부에 수용할 케이블(10)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체(400)의 설치 위치를 낮게 조절하여, 적절한 케이블(10)의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0)에서, 측면판(200)은 적어도 일면에 제1 감합돌기(201)가 형성되고, 높이조절체(400)는 내부면에 제1 감합돌기(201)에 대응되도록 제1 감합홈(401)이 형성되어 측면판(200)을 상단으로부터 커버하며 측면판(2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200)이 하단이 개방된 형상의 높이조절체(400) 내부로 삽입되고, 측면판(200)의 제1 감합돌기(201)가 높이조절체(400)의 제1 감합홈(401)에 걸리는 방식으로 높이조절체(400)의 설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0)에서, 측면판(200)은 하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면에 제2 감합돌기(212)가 형성되는 연장체(210)를 포함하고, 베이스판(100)은 내부면에 제2 감합돌기(212)에 대응되도록 제2 감합홈(102)이 형성되어 연장체(210)를 단부로부터 커버하며 연장체(2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체(210)가 일측단이 개방된 형상의 베이스판(100) 내부로 삽입되고, 연장체(210)의 제2 감합돌기(212)가 베이스판(100)의 제2 감합홈(102)에 걸리는 방식으로, 한 쌍의 양 측면판(20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0)는 베이스판(100)에 대하여 삽입 정도의 조절이 가능한 연장체(210)를 통해 필요에 따라 케이블(10)의 수용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덕트(1000)의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내부에 수용할 케이블(10)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체(210)의 설치 위치가 베이스판(100)과 멀어지도록 조절하여, 보다 큰 케이블(10)의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 내부에 수용할 케이블(10)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체(210)의 설치 위치가 베이스판(100)과 가까워지도록 조절하여, 적절한 케이블(10)의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0)에서, 덮개판(300)은 폭조절체(310) 및 덮개몸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폭조절체(310)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면에 제3 감합돌기(313)가 형성되는 부재이고, 덮개몸체(320)는 내부면에 제3 감합돌기(313)에 대응되도록 제3 감합홈(323)이 형성되어 폭조절체(310)를 단부로부터 커버하며 폭조절체(310)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조절체(310)가 일측단이 개방된 형상의 덮개몸체(320) 내부로 삽입되고, 폭조절체(310)의 제3 감합돌기(313)가 덮개몸체(320)의 제3 감합홈(323)에 걸리는 방식으로, 덮개판(300)의 전체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한 쌍의 양 측면판(20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경우, 덮개판(300) 역시 그에 대응되도록 전체 폭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덕트(1000)는 덮개몸체(320)에 대하여 삽입 정도의 조절이 가능한 폭조절체(310)를 통해 필요에 따라 덮개판(300)의 전체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케이블 100: 베이스판
102: 제2 감합홈 200: 측면판
201: 제1 감합돌기 210: 연장체
212: 제2 감합돌기 300: 덮개판
310: 폭조절체 313: 제3 감합돌기
320: 덮개몸체 323: 제3 감합홈
400: 높이조절체 401: 제1 감합홈
1000: 케이블 덕트

Claims (4)

  1.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베이스판과 마주보도록 상기 측면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대한 상기 덮개판의 높이를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측면판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개재되는 높이조절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은 적어도 일면에 제1 감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체는 내부면에 상기 제1 감합돌기에 대응되도록 제1 감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판을 상단으로부터 커버하며 상기 측면판에 결합되는, 케이블 덕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은 하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면에 제2 감합돌기가 형성되는 연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일면에 상기 제2 감합돌기에 대응되도록 제2 감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체를 단부로부터 커버하며 상기 연장체에 결합되는, 케이블 덕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면에 제3 감합돌기가 형성되는 폭조절체 및
    일면에 상기 제3 감합돌기에 대응되도록 제3 감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폭조절체를 단부로부터 커버하며 상기 폭조절체에 결합되는 덮개몸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덕트.
KR2020170001990U 2017-04-20 2017-04-20 케이블 덕트 KR201800030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90U KR20180003097U (ko) 2017-04-20 2017-04-20 케이블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90U KR20180003097U (ko) 2017-04-20 2017-04-20 케이블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97U true KR20180003097U (ko) 2018-10-30

Family

ID=6404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990U KR20180003097U (ko) 2017-04-20 2017-04-20 케이블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097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292B1 (ko) * 2021-04-06 2021-09-01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102296297B1 (ko) * 2021-04-06 2021-09-01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102468023B1 (ko) * 2021-08-24 2022-11-16 송의석 지중배전선로의 보호관
KR20230111790A (ko) 2022-01-19 2023-07-26 주식회사 동양산업 케이블 덕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082A (ko) 2009-02-05 2010-08-13 이병렬 케이블덕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082A (ko) 2009-02-05 2010-08-13 이병렬 케이블덕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292B1 (ko) * 2021-04-06 2021-09-01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102296297B1 (ko) * 2021-04-06 2021-09-01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102468023B1 (ko) * 2021-08-24 2022-11-16 송의석 지중배전선로의 보호관
KR20230111790A (ko) 2022-01-19 2023-07-26 주식회사 동양산업 케이블 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3097U (ko) 케이블 덕트
JP6065980B2 (ja) ケーブルダクト内蔵型電気機器
EP3625861B1 (en) Terminal box apparatus with side wall entrance and curved wiring guide
EP2345121A2 (en) Control panel mount having one or more strain relief features
US10574043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6370402B2 (ja) ハウジング、特に工業用ハウジング
US8011978B2 (en) Retainer, lay-in lug assembly nut plate retainer
KR20200129246A (ko) 길이 가변식 와이어링 프로텍터
CN214280757U (zh) 缆线槽和保护导体组件
ITPD20130245A1 (it) Dispositivo per impianti elettrici
CN106415958B (zh) 开关机构
EP3021438B1 (en) Electrical insulating box with two options of tightness degree for electricity, information technology and/or telephony
US10530093B2 (en) Cable strain relief and shield fastening in a plug connector housing
CN105981248A (zh) 凸缘构件上的附件布置方案
US20170264088A1 (en) Insulation structure for splice portion, harness mounting plate, and wiring unit
US20110056722A1 (en) Wiring Duct Cover With Foam Insert
KR101047492B1 (ko) 가변식 스위치 박스
KR200488886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60090175A (ko) 광전 복합케이블 분배함
KR101497949B1 (ko) 케이블 트레이 커버
JP6585425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20160062405A (ko) 배터리 랙 어셈블리
CN103515879B (zh) 滑接导线固定装置及滑接导线固定构造
JP2011086692A (ja) 筐体の配線シール構造
CN106660738B (zh) 布线保持部件及使用了布线保持部件的电梯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