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492B1 - 가변식 스위치 박스 - Google Patents

가변식 스위치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492B1
KR101047492B1 KR1020090078017A KR20090078017A KR101047492B1 KR 101047492 B1 KR101047492 B1 KR 101047492B1 KR 1020090078017 A KR1020090078017 A KR 1020090078017A KR 20090078017 A KR20090078017 A KR 20090078017A KR 101047492 B1 KR101047492 B1 KR 10104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ox
connector
installation space
variable switch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413A (ko
Inventor
김용호
박용철
Original Assignee
(주)클라루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라루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클라루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7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4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식 스위치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의 설치공간에 대한 크기가 가변되도록 하여 스위치 조립체의 다양한 크기 및 개수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한 가변식 스위치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립체가 배치된 설치공간을 제공하며, 복수로 분리된 몸체;상기 분리된 몸체에 걸쳐 설치되어 몸체 간에 분리된 간격을 보상하며, 몸체 간에 간격이 벌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여 상기 설치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한 연결체;상기 연결체 상에서 각 몸체들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들에 대한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변식 스위치 박스를 제공한다.
가변식,스위치박스,몸체,연결체,구속나사,가이드편,이격편,슬라이딩

Description

가변식 스위치 박스{variable switch box}
본 발명은 가변식 스위치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 조립체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하여 스위치 조립체의 크기 및 스위치 조립체의 개수에 대하여 간편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한 가변식 스위치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때 건축물 내의 전기 및 통신라인의 배선을 위해서는 먼저, 배관이 매설되고 이러한 배관의 단부에는 콘센트 및 각종 스위치 등을 연결시키기 위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 박스는 건축물의 벽면에 매설되는 사각 함체 상의 베이스 몸체로 이루어지고, 이 베이스 몸체의 전면에는 배전기구가 삽입 장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몸체의 측면에는 전선 케이블 등을 연장시키는 튜브 등이 접속될 수 있도록 타격에 의해 쉽게 개방되는 연결공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스위치 박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 다.
스위치 박스는 바닥면(10)과, 이 바닥면(10)으로부터 연장되어 측벽을 구성하는 외측면(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바닥면(10)과 외측면(20) 사이에는 소정의 설치 공간(S)이 형성되며, 바닥면(10)의 전방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 공간(S)에는 스위치 조립체(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때, 개구부(11)를 구성하는 외측면(20)의 테두리에는 설치편(2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편(21)은 스위치 조립체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설치편(21)에는 설치공(21a)이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스위치 박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상기 설치공간(S)에 대한 크기가 정해져 있으므로, 상기 설치공간(S)에 설치되는 스위치 조립체의 크기 및 개수에 제약이 있었다.
즉, 스위치 조립체의 크기가 스위치 박스의 설치공간(S)에 비해 클 경우, 설치공간(S)이 크게 제작된 별도의 스위치 박스를 다시 매립해야 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스위치 박스를 빼내고, 새로운 스위치 박스를 매립해야 하는 등의 작업으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건축물의 벽체에 스위치 박스를 하나씩 매립시키기도 하지만, 전기 및 통신, TV, 등 여러 개의 기구와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스위치 박스를 복수로 매립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작업 현장에서는 스위치 박스를 두,세개씩 용접한 후에 매립시키게 된다.
이때, 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준비물도 많고, 시간과 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배선 설비 작업에 주력해야 할 작업자가 용접작업에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한다.
이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와 연결체 간에 유동되면서 설치공간에 대한 크기가 가변되도록 하여 시공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킨 가변식 스위치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립체가 배치된 설치공간을 제공하며, 복수로 분리된 몸체;상기 분리된 몸체에 걸쳐 설치되어 몸체 간에 분리된 간격을 보상하며, 몸체 간에 간격이 벌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여 상기 설치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한 연결체;상기 연결체 상에서 각 몸체들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들에 대한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변식 스위치 박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몸체는,바닥면과, 이 바닥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상기 연결체는,몸체의 외측면을 따라 그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닥면에 대응된 연장면과, 이 연장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외측면에 대응된 절곡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체는, 절곡면의 단부로부터 몸체를 향해 재절곡되어 몸체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체에는 구속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구속통공을 통과하여 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구속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체의 연장면에는 몸체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장공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측면 단부에는 연결체의 절곡면을 향해 돌출된 이격편이 형성되어 연결체의 절곡면이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몸체와 연결체 간에 서로 유동될 때 상호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스위치 박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몸체와 연결체가 구성하는 설치공간의 길이 및 너비가 가변됨으로써, 스위치 박스에 설치되는 스위치 조립체에 대한 크기 및 형태 등에 대하여 간편하게 대응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스위치 조립체를 신규로 설치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스위치 조립체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스위치 박스를 새로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스위치 박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가변식 스위치 박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연결체(200)와, 구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스위치 조립체(미도시)의 설치공간(S)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이때, 스위치 조립체란 전기신호 입,출력 단자를 비롯한 각종 회로판이 조립된 어셈블리를 말하여, 몸체(100)를 통해 들어온 케이블(미도시)에 연결된다.
한편, 몸체(100)는 분리된 복수로 제공되며, 서로 대향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각 몸체(100)는 바닥면(110)과, 이 바닥면(110)의 각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외측벽을 구성하는 외측면(12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몸체(100)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설치공간(S)이 형성된다.
즉, 바닥면(110)의 크기와 외측면(120)의 높이에 의해 상기 설치공간(S)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바닥면(110)에는 가이드 돌기(1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연결체(200) 상에서 몸체(100)가 유동될 때, 몸체(100)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111)는 바닥면(110)으로부터 몸체(10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0)의 외측면에는 타격에 의해 쉽게 개방될 수 있는 케이블공(1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면(120)의 단부에는 스위치 조립체의 설치를 위한 설치편(12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연결체(200)는 분리된 복수의 몸체(10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서로 마주한 복수의 몸체(1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체(200)는 몸체(100)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몸 체(100)의 바닥면(110)에 대응된 연장면(210)과, 몸체(100)의 외측면(120)에 대응된 절곡면(2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장면(210)과 절곡면(220)은 몸체(100)의 바닥면(110) 및 외측면(120)을 따라 형성되되, 몸체(100)의 바닥면(110) 및 외측면(120)을 덮어씌우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체(200)와 몸체(100)는 상호 간에 약간 이격될 수 있을 정도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체(200)와 몸체(100) 간에 유동시, 상호 간에 간섭을 최소화 하여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연결체(200)의 연장면(210)에는 설치공간(S)이 가변되는 방향 즉, 몸체(100)가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장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211)은 몸체(100)의 바닥면(11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11)가 가이드되는 부위이며, 각 몸체(10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11)에 대응된다.
즉, 몸체(100)가 두개로 분리 형성된 만큼, 각 몸체(100)에는 가이드 돌기(111)가 각각 형성되며, 장공(211) 역시 상기 가이드 돌기(111)에 대하여 대응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체(200)에도 케이블공(13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연결체(200)의 절곡면(220) 단부에는 가이드편(230)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편(230)은 몸체(100)와 연결체(200) 간에 서로 유동될 때, 몸체(100)가 연결체(2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이드편(230)은 상기 절곡면(220)의 단부로부터 몸체(100)의 외측면(120) 단부를 향해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체(200)에는 구속통공(240)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통공(240)은 후술하는 구속수단이 통과되는 부위이며, 연결체(200)의 마주하는 절곡면(220)에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구속수단은 몸체(100)와 연결체(200) 간에 서로 유동되는 것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체(200) 상에서 몸체(100)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구속하여, 설치공간(S)의 크기가 더 이상 가변되지 않도록 하는 것과 더불어, 스위치 박스가 벽면에 매립되었을 때, 하중에 의해 몸체(100)가 하방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구속수단은 연결체(200)에 형성된 구속통공(240)을 통과하여 몸체(100)의 외측면(120)에 밀착됨으로써, 몸체(10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구속수단은 구속통공(240)을 통과한 나사형태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구속나사(300)라 하며, 상기 구속나사(300)는 헤드부(310)와 나사부(320)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변식 스위치 박스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분리된 몸체(100)를 서로 대향된 상태로 배치한 후, 연결체(200)를 몸 체(100)의 바닥면(110) 및 외측면(120)을 둘러싸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연결체(200)의 가이드편(230)은 몸체(100)의 외측면(120) 단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몸체(100)는 외측면(120)의 단부가 가이드편(23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설치공간(S)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것이다.
이때, 몸체(100)가 가이드편(23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몸체(100)의 바닥면(11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11)는 연결체(200)의 연장면(210)에 형성된 장공(211)을 따라 가이드 된다.
이후, 설치공간(S)의 크기가 정해지면, 구속나사(300)를 회전하여 구속나사(300)의 나사부(320)를 연결체(200)에 형성된 구속통공(240)을 통과시켜 몸체(100)의 외측면(120)에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몸체(100)는 연결체(200) 상에서 유동이 방지되며, 작업자의 선택에 따른 설치공간(S)의 크기가 정해진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스위치 박스는 길이방향(L)에 대하여 가변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스위치 박스는 길이방향(L) 뿐만 아니라, 너비방향(W)에 대해서도 가변될 수 있으며, 이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제시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스위치 박스는 몸체(100)와, 연결체(200)를 포함하야 구성된다.
몸체(100)는 분리된 채로 서로 마주하게 제공되며, 바닥면(110)과 외측면(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닥면(110)에는 가이드 돌기(111)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돌기(111)는 각 몸체(100)의 바닥면(110)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100)의 외측면(120) 단부에는 상기 외측면(120)의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된 이격편(140)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편(140)은 연결체(200)의 절곡면(220)이 몸체(100)의 외측면(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몸체(100)와 연결체(200) 간에 서로 유동될 때, 상호 간의 간섭을 최소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몸체(100)의 외측면(120) 단부에는 스위치 조립체의 설치를 위한 설치편(12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연결체(200)는 분리된 몸체(100)를 연결하는 역할과 더불어, 몸체(100)에 대한 유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체(200)는 몸체(100)의 바닥면(110)에 대응된 연장면(210)과, 몸체(100)의 외측면(120)에 대응된 절곡면(2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절곡면(220)의 단부에는 가이드편(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체(200)의 연장면(210)에는 각 가이드 돌기(111)에 대응된 장공(211)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변식 스위치 박스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분리된 몸체(100)는 서로 마주한 상태로 배치되고, 연결체(200)는 분리된 몸체 (100)간에 이격된 간격을 보상하면서 상기 몸체(100)에 걸쳐 설치된다.
이때,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는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와는 다르게 구속수단이 설치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는 벽면에 몸체(100)의 길이방향(L)으로 매립되므로, 몸체(100)가 하중에 의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속수단이 필요했지만,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는 너비방향(W)으로만 가변되므로 하중에 의한 몸체(1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수단이 필요치 않은 것이다.
물론, 연결체(200) 상에서 몸체(100)의 유동을 구속하는 수단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이와 같은 역할은 스위치 조립체(미도시)가 설치편(121)에 설치되므로 연결체(200) 상에서 몸체(100)의 유동은 저절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변식 스위치 박스는 작업자에 의해 설치공간(S)의 크기가 너비방향(W)으로 조절된다.
이후, 스위치 조립체를 몸체(100)의 설치편(121)에 고정시킴으로써, 가변식 스위치 박스에 대한 결합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스위치 박스는 길이방향(L:벽체를 기준으로 높이 방향) 또는 너비방향(W)으로 설치공간(S)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스위치 박스가 길이 방향(L)으로 설치공간(S)이 가변되는 경우에는, 스 위치 조립체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며, 스위치 박스가 너비 방향(W)으로 가변되는 경우에는 스위치 조립체의 개수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치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의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의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몸체 110 : 바닥면
111 : 가이드 돌기 120 : 외측면
121 : 설치편 130 : 케이블공
140 : 이격편 200 : 연결체
210 : 연장면 211 : 장공
220 : 절곡면 230 : 가이드편
240 : 구속통공 300 : 구속나사
310 : 헤드부 320 : 나사부

Claims (6)

  1.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립체가 배치된 설치공간을 제공하며, 복수로 분리된 몸체(100);
    상기 분리된 몸체(100)에 걸쳐 설치되어 몸체(100) 간에 분리된 간격을 보상하며, 몸체(100) 간에 간격이 벌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여 상기 설치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한 연결체(200);
    상기 연결체(200) 상에서 각 몸체(100)들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100)들에 대한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변식 스위치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바닥면(110)과, 이 바닥면(110)의 각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외측면(12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200)는,
    몸체(100)의 바닥면(110) 및 외측면(120)을 따라 그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몸체(100)의 바닥면(110)에 대응된 연장면(210)과, 이 연장면(210)으로부터 절곡되어 몸체(100)의 외측면(120)에 대응된 절곡면(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스위치 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200)는,
    절곡면(220)의 단부로부터 몸체(100)를 향해 재절곡되어 몸체(10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편(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스위치 박스.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200)에는 구속통공(240)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구속통공(240)을 통과하여 몸체(100)의 외측면(120)에 밀착되는 구속나사(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스위치 박스.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200)의 연장면(210)에는 몸체(100)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따라 장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바닥면(110)에는 상기 장공(211)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스위치 박스.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외측면(120) 단부에는 연결체(200)의 절곡면(220)을 향해 돌출된 이격편(140)이 형성되어 연결체(200)의 절곡면(220)이 몸체(100)의 외측면(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몸체(100)와 연결체(200) 간에 서로 유동될 때 상호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스위치 박스.
KR1020090078017A 2009-08-24 2009-08-24 가변식 스위치 박스 KR101047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017A KR101047492B1 (ko) 2009-08-24 2009-08-24 가변식 스위치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017A KR101047492B1 (ko) 2009-08-24 2009-08-24 가변식 스위치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413A KR20110020413A (ko) 2011-03-03
KR101047492B1 true KR101047492B1 (ko) 2011-07-08

Family

ID=4392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017A KR101047492B1 (ko) 2009-08-24 2009-08-24 가변식 스위치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625B1 (ko) * 2010-01-27 2011-06-16 주식회사 스필 크기 변경이 용이한 전자식 스위치 아웃렛 박스
KR102605072B1 (ko) * 2021-06-08 2023-11-24 강성만 건축물 매설용 접이식 스위치 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981Y1 (ko) * 1994-09-12 1998-09-15 이광노 리미트 스위치 장치
KR100291570B1 (ko) 1998-10-05 2001-05-15 가타오카 마사타카 다방향 입력장치
KR200442780Y1 (ko) 2006-11-29 2008-12-10 곽정주 가로등용 단자함 설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981Y1 (ko) * 1994-09-12 1998-09-15 이광노 리미트 스위치 장치
KR100291570B1 (ko) 1998-10-05 2001-05-15 가타오카 마사타카 다방향 입력장치
KR200442780Y1 (ko) 2006-11-29 2008-12-10 곽정주 가로등용 단자함 설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413A (ko)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6324B2 (ja) 少なくとも2つの接続ボックスを備えたハウジング装置
CN105556755A (zh) 用于可移动插座的通电导轨的装置
US10476241B2 (en) DIN rail installing portion structure of electrical appliance and socket
KR102320036B1 (ko)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KR20100092156A (ko)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KR101047492B1 (ko) 가변식 스위치 박스
EP3104470B1 (en) Socket assembly with multiple flush-mounting boxes
KR20180003097U (ko) 케이블 덕트
JP2020061915A (ja) 電気接続箱
JP6428271B2 (ja) 電力変換装置
KR101875302B1 (ko) 스위치 기어
CN106415958B (zh) 开关机构
CN105823914A (zh) 电能表
JP4062741B2 (ja) 端子変換ユニット
KR101379322B1 (ko)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KR20160134424A (ko) 단자 커버 및 개폐 장치
KR100717889B1 (ko) 천정배선 분기장치
JP7195843B2 (ja) 分電盤
KR101261531B1 (ko) 멀티 플로어 박스
JP6827675B2 (ja) 分電盤
KR20210001355U (ko) 전기 케이블 보호관의 체결구조
JP6276970B2 (ja) 電気機器
KR102607868B1 (ko) 릴레이 설치 구조
JP4900577B2 (ja) 配線装置および配線ダクト
KR20030010440A (ko) 전선배선용 보호덕트(4방수직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