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635A -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635A
KR20170027635A KR1020150124516A KR20150124516A KR20170027635A KR 20170027635 A KR20170027635 A KR 20170027635A KR 1020150124516 A KR1020150124516 A KR 1020150124516A KR 20150124516 A KR20150124516 A KR 20150124516A KR 20170027635 A KR20170027635 A KR 20170027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op
processor
mo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1719B1 (ko
Inventor
임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4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719B1/ko
Priority to US14/955,991 priority patent/US10144397B2/en
Priority to CN201610041082.3A priority patent/CN106484275B/zh
Priority to EP16159070.8A priority patent/EP3153373B1/en
Publication of KR20170027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85Taking automatic action to adjust vehicle attitude in preparation for collision, e.g. braking for nose dr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initiated by contact of vehicle, e.g. bumper, with an external object, e.g. another vehicle, or by means of contactless obstacle detector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54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at stand still, e.g. engine in idling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62D15/0285Parking performed automatic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60W2420/62
    • B60W2550/4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조 장치는 차량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정차 이동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온 또는 오프 하는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 및 상기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 주변 장애물 및 상기 정차 이동범위에 따라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온 또는 오프 함으로써, 사용자 미 탑승시 상기 차량을 이동시키는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OPPING MOVEMENT MOD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자율 주행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자율 주행차에 탑재되는 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율 주행차에 탑재되는 센서로 카메라, 적외선센서, 레이더, GPS, 라이더(Lidar),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는데, 그 중 카메라는 사람의 눈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는 센서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각 종 센서와 전자 장비들의 개발로 사용자 운전을 보조하여, 주행 안전성 및 편의 등을 향상시키는 보조기능을 구비한 차량이 주목 받고 있다.
한편, 운전자는 차량 주행 중 부득이한 위치에 차량을 정차하고, 차량에서 하차하여 차량과 원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인은 정차된 차량에 의해 자신의 차를 출고하지 못하는 등의 불편을 겪을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인은 정차된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차량에 적혀진 운전자에게 전화를 걸면, 운전자는 다시 정차차량까지 돌아와 차량을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다.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중립기어에 위치시킨 후 정차차량을 벗어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인은 정차차량을 밀어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고 우려가 높으며, 외부인은 무거운 차량 직접 밀어 이동시키는 불편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러한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조 장치는 차량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정차 이동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온 또는 오프 하는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 및 상기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 주변 장애물 및 상기 정차 이동범위에 따라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온 또는 오프 함으로써, 사용자 미 탑승시 상기 차량을 이동시키는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은 사용자 미 탑승시 차량을 이동시키는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차량 브레이크가 활성화되어 상기 차량이 정차하는 단계;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정차 이동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단계; 상기 차량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정차 이동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이동방향에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장애물 감지시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전술한 차량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에 따르면, 차량 외부에서 사용자 없이 안전하고 손쉽게 차량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정차된 차량까지 돌아와 차량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가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정차 이동범위가 설정되어, 정차 이동범위 내에서만 이동시킴으로써, 차량 도난이나 분실을 방지하고 안전한 영역 내에서만 차량 이동을 허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차 이동범위는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정차 이동모드 실행시 사용자 단말기 승인 과정을 더 포함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차 이동모드 중 자동 긴급제동 기능을 실행시켜 장애물과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을 이동시키는 외부인의 위치를 예측하고, 예측된 위치를 데드 존으로 설정함으로써, 차량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 긴급제동 기능은 차량의 후진시에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차량을 이동시키는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인이 차량 이동시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의 이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차 이동모드에서 제공하는 통화모드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유출없어 프라이버시가 보호되고, 타인은 손쉽게 정차차량을 통해 사용자에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정차 이동정보를 표시하는 외부 출력부는, 외부인에게 정차된 차량이 이동하는 방법을 직관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정차차량 이동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차 이동모드 종료 후, 안전한 주차 공간을 스캔하고, 스캔된 주차 공간까지 차량을 자동 주차하여, 안전하게 차량을 정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조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조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조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스플레이부에 정차 이동정보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스플레이부에 정차차량 이동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출력부(183)가 정차 이동범위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모드 실행 요청과 정차 이동모드 관련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범위 변경 요청과 정차 이동모드 관련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보조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자동 긴급제동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자동 긴급제동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 자동 긴급제동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드 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모드 종료 후 정차차량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모드 종료 후 정차차량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출력부(183)가 정차 이동범위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범위 초과 제동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모드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모드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0 내지 도 31은 도 29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차 이동모드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3은 도 3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은 도 1의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차량은 운전 주행 보조기능(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및 자율주행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이다. 예를 들어, 차량은 사각지대감시기능(BSD, blind spot detection), 차선 이탈 방지 기능(LKAS, Lane Keeping Assist System), 차선 이탈 경고 기능(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및 자동 긴급제동(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LHD(Left Hand Drive) 차량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를 설명한다.
먼저, 차량(7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3FL, 13FR, 13RL, 13RR),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조작 수단(721A, 721B, 721C, 721D) 및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700)을 정차한 이후 사용자/타인은 사용자의 차량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정차 이동모드는 사용자가 미 탑승시 차량(700) 외부에 위치한 타인 또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차량(7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100)는 차량(700) 내 별도의 장치로서, 차량(700)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필요 정보를 주고 받으며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차량(700)의 유닛들 중 일부의 집합을 차량 보조장치(100)로 정의할 수도 있다.
차량 보조장치(100)가 별도의 장치일 때, 차량 보조장치(100)의 도 1에 도시된 차량 보조장치(100)의 유닛들 중 일부는 차량 보조장치(100)에 직접 포함되지 않고, 차량(700) 또는 차량(700)에 탑재된 다른 장치의 유닛일 수 있다. 이러한 유닛들은 차량 보조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함으로써, 차량 보조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차량 보조장치(100)는 도 1에서 차량 보조장치(100) 내에 도시한 각 유닛들을 직접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을 보면, 이러한 차량 보조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센서부(150), 카메라(160), 프로세서(170), 외부 출력부(180), 내부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차량 보조장치(100)는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110)는 차량 내부에서의 입력을 감지하는 내부 입력부(111)와, 차량 외부에서의 입력을 감지하는 외부 입력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사용자는 이러한 내부 입력부(111)를 통해 정차 이동모드를 설정하거나, 차량 보조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입력부(111)는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 입력부,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 및 음성 입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부(110)를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내부 입력부(111)는 터치 입력부로 내부 디스플레이부(186)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186, 111)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내부 입력부(111)를 통해 하차 전 차량 보조장치(100)를 실행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주차된 타차량의 일 측에 평행 주차한 경우, 사용자의 차량(이하 “정차차량”) 때문에 주차된 타차량은 출차가 어려울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정차 후 정차차량(700)의 이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하차 전 내부 입력부(111)를 통해 차량 보조장치(100)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는, 하차 후 통신부(120)를 통해 원격으로 차량 보조장치(100)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내부 입력부(111)를 통해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을 위한 필요 설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정차 이동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정차 이동범위는 정차 이동모드에서 타인 또는/및 사용자가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자세히, 도 3을 보면 사용자는 내부 디스플레이부(186)에 정차차량(700)이 포함되는 맵 정보가 표시되고, 내부 디스플레이부(186) 상에 터치 입력부를 통해 정차 이동범위를 맵에 지정함으로써,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정차차량(700)을 이동시켜 전방 이동한계선과 후방 이동한계선을 지정함으로써,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자세히, 사용자는 정차차량(700)을 전방으로 이동을 허용하려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해당 위치를 전방 이동한계선으로 지정하고, 후방으로 이동을 허용하려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후방 이동한계선으로 지정함으로써,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보조장치(100)는 차량 내부에서 이러한 정차 이동모드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내부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출력부(185)는 내부 디스플레이부(186)와, 내부 오디오 출력부(187)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내부 디스플레이부(186)는 차량의 윈드실드(W)(windshield)에 이미지를 투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내부 디스플레이부(186)는 HUD(Head Up Display)로, 윈드실드(W)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디스플레이부(186)는 차량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자세히, 내부 디스플레이부(186)는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나 차량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일 수 있다.
또한, 내부 디스플레이부(186)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디스플레이부(186)는 터치 입력부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을 이룰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정차 이동모드를 위한 필요 설정을 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에 정차차량(700)이 포함되는 맵 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터치로 정차 이동범위를 맵에 지정하여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보조장치(100)는 정차 이동정보를 차량 외부에 출력하는 외부 출력부(180)를 포함하고, 외부 출력부(180)는 외부 디스플레이부(181), 외부 오디오 출력부(182) 및 레이저 출력부(18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차 이동정보는 정차된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정차 이동모드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정차 이동정보는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을 위한 안내, 이동 가능한 정차 이동범위, 차량 이동시 책임 안내, 정차 차량을 포함하는 맵, 차량 외부 제어 이동키, 정차차량(700)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영상 및 사용자 통화 연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타인 또는/및 사용자가 외부에서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키려 할 때,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시키고 정차 이동모드 내에서 정차차량(700)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등이 외부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은 정차 이동모드 실행 안내 메시지와 실행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의 표시를 보고, 외부 디스플레이(181) 상에 위치한 외부 입력부(113)을 통해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시키는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보조장치(100)는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외부 입력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입력부(113)는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버튼(button),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 및 음성 입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부를 포함하여, 차량 외부에서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하는 입력, 정차차량(700) 이동을 제어하는 입력, 정차 이동범위 변경 요청 입력 및 사용자 단말기와 통화 요청 입력 등을 할 수 있다.
이하 외부 입력부(113)와 외부 출력부(180)를 함께 설명한다.
자세히, 외부 출력부(180)는 이러한 정차 이동정보를 차량 외부에 표시하는 외부 디스플레이부(181)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에는 외부 입력부(113)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와 외부 입력부(113)의 터치 입력부가 결합하여 외부 터치 스크린(181, 113)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보면, 이러한 외부 디스플레이부(181)는 차량의 전면 윈드실드(W)(windshield)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타인은 차량 전면 윈드실드(W)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므로, 전면 윈드실드(W)에 정차 이동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에는 외부 입력부(113)가 배치되어, 정차 이동모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정차차량(700)의 상태와 정차 이동모드 실행 안내가 표시될 수 있고, 타인은 터치 입력으로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부(181)는 차량 후면 윈드실드(W)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타인은 정차차량(700)을 밀어서 이동시키므로, 차량 후방에 정차 이동정보를 표시하고 외부 입력부(113)를 배치시킬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와 외부 입력부(113)는 별도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자세히, 도 5를 보면, 외부 디스플레이부(181)는 차량 후면 윈드실드(W)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외부 입력부(113)는 차량 트렁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와 외부 입력부(131)가 함께 배치된 경우, 도 6과 같은 정차 이동모드 실행 안내 메시지와 실행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의 표시를 보고, 외부 디스플레이(181) 상에 위치한 외부 입력부(113)을 통해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시키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인 또는/및 사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부(181)를 통해 정차 이동정보를 확인하면서,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정차차량(700)을 제어하며 이동시킬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와 외부 입력부(113)가 별도의 위치에 배치된 경우, 외부 입력부(113)에는 정차 이동범위가 표시되고, 외부 입력부(113)는 도 7과 같이 차량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키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키는 상기 차량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진 이동키와, 상기 차량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후진 이동키와, 차량의 휠(wheel)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디스플레이부(181)는 HUD(Head Up Display)로, 전면 윈드실드(W)의 일부 영역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부(181)가 윈드실드(W)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경우, 정차 이동모드 실행시에만 활성화되어 표시되고 비활성화시 시인되지 않으므로, 차량 외관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부(18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외부 출력부(180)는 외부 오디오 출력부(18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입력부(113)는 외부 마이크로 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오디오 출력부(182)는 정차 이동정보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오디오 출력부(182)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오디오 출력부(182)는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에 표시를 보조하여 정차 이동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외부 디스플레이부(181) 표시를 보조하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정차 이동모드를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타인이 정차차량(700)의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사용자와 통화 요청시,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한 후 외부 오디오 출력부(182)와 외부 마이크로 폰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화할 수 있는 통화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정차 이동모드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화하는 통화모드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차 이동모드에서 제공하는 통화모드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유출없어 프라이버시가 보호되고, 타인은 손쉽게 정차차량(7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 출력부(180)는 광원을 차량 외부로 투사하여 정차 이동정보를 표시하는 레이저 출력부(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레이저 출력부(183)는 정차 이동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보면 레이저 출력부(183F, 183R)는 램프에 배치되어, 차량의 주변 노면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정차 이동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자세히, 레이저 출력부(183F)는 헤드 램프에 배치되어, 전방 이동한계선을 표시하도록 레이저를 노면에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출력부(183R)는 테일 램프에 배치되어 후방 이동한계선을 표시하도록 레이저를 노면에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출력부(183)를 통해, 타인은 정차된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보조장치(100)는 타차량, 단말기(600) 및 서버(500) 등과 통신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보조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하여 정차 이동모드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20)는 정차 이동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사용자가 단말기로 입력한 정차 이동모드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타인이 정차 이동모드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도 9와 같이 통신부(120)는 이러한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정차 이동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로 정차 이동모드 실행을 허가하거나 불허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면 통신부(120)는 이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7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정차 이동모드 실행시 사용자 단말기 승인 과정을 더 포함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타인이 정차 이동범위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통신부(120)는 도 10과 같은 정차 이동범위 변경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정차 이동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로 정차 이동범위 변경을 허가하거나 불허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면 통신부(120)를 이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정차 이동모드 실행시 사용자 단말기로 정차 이동정보를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도 11과 같이 정차차량(700)을 포함하는 차량 주변 영상인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차량이 안전하게 이동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차량 이동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단말기를 통해 정차 이동모드 실행을 해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부(120)는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차량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또는 NFC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로부터 위치 정보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 보조장치(1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도 있다.
차량 보조장치(100)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6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60)는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주변 영상은 외내부 디스플레이부(181, 186)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60)가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하고, 프로세서(170)는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주변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카메라(160)는 차량 주변 장애물을 검출하는 센서부(150)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복수의 카메라(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보면, 복수의 카메라(160a 160b, 160c, 160d)는, 각각 차량의 좌측, 후방, 우측 및 전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카메라(160b)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60b)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60b)는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또는 좌측 휀더(fender)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카메라(160c)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60c)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60c)는 우측 프런트 도어,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펜터(fendere)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카메라(160d)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카메라(160a)는, 앰블럼 부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사방에서 촬영된 영상을 합성하여 차량을 탑뷰에서 바라본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 이미지 생성시, 각 이미지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계 부분은 이미지 블렌딩(blending) 처리하여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자세히, 도 13을 보면,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이미지(EA)는, 좌측 카메라(160b)에 의해 촬영된 제1 이미지 영역(160di), 후방 카메라(160d)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 영역(160ei), 우측 카메라(160c)에 의해 촬영된 제3 이미지 영역(160fi) 및 전방 카메라(160a)에 의해 촬영된 제4 이미지 영역(160gi)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여 어라운드 뷰 이미지 생성시, 각 이미지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계 부분은 이미지 블렌딩(blending) 처리하여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영상 각각의 경계에는 경계선(202a, 202b, 202c, 202d)이 표시될 수도 있다.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이미지에는 차량 이미지(700i)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이미지(700i)는 프로세서(170)에 의해 생성된 가상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어라운드 뷰 이미지는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에 표시되어 외부에서 정차차량(700)을 안전하게 이동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어라운드 뷰 이미지는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어,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의 이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1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60)는 스테레오 카메라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스테레오 카메라로부터 차량 주변에 대한 스테레오 영상을 획득하고, 스테레오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에 대한 디스패러티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된 디스패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을 수행하며, 오브젝트 검출 이후, 계속적으로,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트래킹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이러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 장애물 및 장애물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60) 영상에서 정차 이동모드에서 차량 이동방향에 장애물 검출시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171)를 통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60)를 이용하여 자동 긴급제동(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보조장치(100)는 차량 주변 장애물을 검출하는 센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도 12를 보면, 전방 센서부(150L)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하여 앰블럼 부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센서부(150R)는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하여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50)는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스테레오 카메라 등 다양한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50)는 레이저 센서를 사용하여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 자세히, 레이저 센서는 외측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조사한 레이저가 장애물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한 레이저 신호 정보와 반사되어 돌아온 반사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측면과 장애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신호 변조 방법에 따라 시간 지연 방식(time-of-flight, TOF) 또는/및 위상 변조 방식(phase-shift)을 사용하여, 차량과 장애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자세히, 시간 지연 방식으로, 펄스 레이저 신호를 방출하고 측정 범위 내에 있는 장애물들로부터의 반사 펄스 신호들이 수신기에 도착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센서부(150)는 차량 주변에 장애물이 있을 때, 장애물의 위치와 차량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50)에서 측정된 장애물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세서(170)는 자동 긴급제동(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차량 이동 방향 측으로 소정의 거리 내에 장애물이 검출되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정차차량(700)을 제동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정차 이동모드에서 정차차량(700)은 외부인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전방(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인은 정차차량(700) 외부에서 정차차량(700)을 트렁크 측에서 밀어 전진시키거나,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정차차량(700)을 전진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인은 차량 전방(D1)에 배치된 제 1 오브젝트(O1)를 보지 못하고 정차차량(700)을 계속 전진시킬 수 있다.
센서부(150)는 정차차량(700) 이동방향(D1)에 배치된 제 1 오브젝트(O1)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프로세서(170)는 제 1 오브젝트(O1)와 정차차량(700)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내이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정차차량(700)을 제동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에서 자동 긴급제동 기능을 제공하여 정차차량(700)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정차 이동모드에서 정차차량(700)은 외부인 또는 사용자에 의해 후방(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인은 정차차량(700) 외부에서 정차차량(700)을 전방 엠블램 부근에서 밀어 후진시키거나,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정차차량(700)을 후진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인은 차량 후방(D2)에 배치된 제 2 오브젝트(O2)를 보지 못하고 정차차량(700)을 계속 후진시킬 수 있다.
센서부(150)는 정차차량(700) 이동방향(D2)에 배치된 제 2 오브젝트(O2)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프로세서(170)는 제 2 오브젝트(O2)와 정차차량(700)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내이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정차차량(700)을 제동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에서 후방 자동 긴급제동 기능을 제공하여 정차차량(700)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후방 자동 긴급제동 기능은 정차 이동모드뿐만 아니라 예기치 못한 차량의 후진 상황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경사길에서 주행할 때, 경사에 의해 차량의 예기치 않게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6을 보면, 차량은 경사 길에서 주행시 예기치 않게 후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중립기어에 위치할 경우, 차량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50)는 차량 뒤에 배치된 타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프로세서(170)는 측정된 거리가 소정의 거리(d) 이내일 때, 후방 자동 긴급제동 기능을 실행시켜 후방 차량과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차량 보조장치(100)는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보조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정차 이동모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140)는 정차 이동범위를 저장할 수 있다.
차량 보조장치(100)를 실행시킨 정차차량(700)은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차 이동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정차 이동범위는 정차 이동모드에서 외부인 또는/및 사용자가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한계 범위를 의미한다.
도 17과 도 18을 보면, 정차 이동범위(BA)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지점인 전방 이동한계선(FB)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지점인 후방 이동한계선(RB) 사이 영역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사용자가 정차 전 직접 설정한 정차 이동범위를 저장하고, 이후 정차 이동모드 실행시 프로세서(170)에 제공함으로써, 정차차량(700)을 정차 이동범위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정차 전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메모리(140)는 디폴트 된 정차 이동범위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일반 차량의 전폭의 약 2~4배 사이의 거리를 정차 이동범위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가 자동 설정한 정차 이동범위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타차량을 출고시키기 위한 충분한 이동 위치를 설정한 후 이를 정차 이동범위로 설정하고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차 이동범위는 외부인의 요청 또는/및 사용자의 재설정에 따라 보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정차 이동범위는 정차차량(700)의 이동 한계점을 설정하여 차량 도난이나 분실을 방지하고 안전한 영역 내에서만 정차차량(700) 이동을 허가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40)는 오브젝트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소정 오브젝트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가 무엇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오브젝트 확인을 위한 데이터로 교통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차선, 교통 표지판과 같은 소정의 교통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교통 정보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보조장치(100)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171)를 포함하며,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171)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브레이크 작동 신호 및 브레이크 해제 신호를 차량의 제어부(770) 또는/및 센싱부(760)에 전달함으로써, 브레이크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에서 자율 주행시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운전 조작 수단 제어신호를 차량의 제어부 또는/및 센싱부에 전달함으로써, 정차차량(700)을 자율 주행시키거나 자동 주차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 또는/및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 내부의 제어부(770),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 및 센서부(76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AVN 장치(400) 또는/및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 센싱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의 방향 정보, 위치 정보, 차속 정보,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전진/후진 정보, 연료 정보,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 정보, 차량과 차선과의 거리 정보 및 턴 시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얻어진 센서 정보나 내비게이션 정보, 또는/및 통신부(120)에서 얻어진 정보를 통해 정차차량(7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의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차량의 입력부(720)로부터 수신하거나 제어부(77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즉, 입력부(110)가 차량 자체 내에 구성으로 배치된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서버(500)로부터 획득된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500)는 교통을 관제하는 교통 관제소에 위치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통신부(120)를 통해 서버(500)로부터 교통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교통 정보를 제어부(77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차량 보조장치(100)는 차량 보조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여, 정차시에도 외부인/사용자가 안전하게 정차차량(700)을 정차 이동범위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정차된 상태에서 정차차량(700)을 이동하려는 경우, 정차 상황에 따라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171)를 통해 브레이크를 온/오프하여 정차차량(700)을 안전하고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171)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브레이크 작동 신호 및 브레이크 해제 신호를 차량의 제어부(770) 또는/및 센싱부(760)에 전달함으로써, 브레이크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171)는 직접 브레이크 제어 신호를 브레이크 구동부에 전달하여 브레이크를 온/오프시킬 수도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이 정차한 후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보조 동력원(예컨대, 전기)를 이용하여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정차 이동모드는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제공되는 정차차량(700) 이동기능일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70)가 직접 시동을 건 후 주 엔진 동력원을 이용하여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 실행 전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정차 전 직접 정차 이동범위를 입력하면 이를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이후 정차차량(700)을 정차 이동범위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차 전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70)는 일반차량 전폭의 약 2 내지 4배 사이의 거리를 정차 이동범위로 설정하고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변 영상 및 센서 정보로부터 차량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안전한 차량 이동범위를 검출하여 이를 정차 이동범위로 설정하고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설정된 정차 이동범위를 재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인의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정차 이동범위 변경을 요청하고 승인을 수신하면 정차 이동범위를 재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정차차량(700) 이동 요청이 입력되면,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외부인이 트렁크나 엠블램 부근 측에서 물리적인 힘이 소정의 힘 이상 가해짐이 감지되면, 이를 정차차량(700) 이동 요청 신호로 검출하고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 이동 요청이 있으면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응답에 따라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미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정차 이동정보가 함께 전송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정차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단말기로 정차 이동모드 실행을 허가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시켜, 정차 이동모드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정차 이동모드 실행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단말기임을 확인한 후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가 실행되면 외부 출력부(180)를 통해 정차 이동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정차 이동정보는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을 위한 안내, 이동 가능한 정차 이동범위, 차량 이동시 책임 안내, 정차 차량을 포함하는 맵, 차량 외부 제어 이동키, 정차차량(700)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영상 및 사용자 통화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에 정차 이동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오디오 출력부(182)를 통해 정차 이동정보를 오디오 신호로 함께 출력되어,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에 표시된 정보를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을 위한 안내를 표시하고 도 17 또는 도 18과 같은 이미지를 제공하여 정차 이동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 실행시 정차 이동모드 실행에 따른 정차 이동정보를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을 포함하는 차량 주변 영상인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차량이 안전하게 이동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차량 이동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단말기를 통해 정차 이동모드 실행을 해제하면,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 실행 중 정차차량(700) 이동 제어를 보조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가 실행되면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171)를 통해 브레이크를 해제시키고, 정차차량(700)을 중립 기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외부인은 외부 출력부(180)를 통해 브레이크가 해제됨을 확인하고 정차차량(700)을 밀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정차차량(700) 이동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 이동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차차량(700)을 자체 동력원으로 이동시키는 제어가 가능한 이동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키는 상기 차량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진 이동키와, 상기 차량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후진 이동키와, 차량의 휠(wheel)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인은 외부 입력부(113)의 이동키를 통해 정차차량(700)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정차 이동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정차차량(700)을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실시간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정차차량(700) 가상이미지를 이동하려는 위치로 드래그 하면, 프로세서(170)는 위 드래그 신호를 수신하여 정차차량(700)을 드래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 실행시 지속적으로 정차차량(7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얻어진 센서 정보나 내비게이션 정보, 또는/및 통신부(120)에서 얻어진 정보를 통해 정차차량(7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 이동 중 자동 긴급제동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긴급제동기능은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정차차량(700) 이동시에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동 긴급제동기능은 정차차량(700)이 중립 기어 상태에서 이동시에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동 긴급제동기능은 정차차량(700)의 후진시에도 후방에 장애물이 위치할 경우에도 작동할 수 있다.
자세히, 정차 이동모드에서 정차차량(700)은 외부인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인은 정차차량(700) 외부에서 정차차량(700)을 트렁크 측에서 밀어 전진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인은 차량 전방에 배치된 장애물을 보지 못하고 정차차량(700)을 계속 전진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센서부(150)를 통해 정차차량(700) 이동방향(전방)에 배치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프로세서(170)는 장애물과 정차차량(700)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내이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정차차량(700)을 제동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에서 자동 긴급제동 기능을 제공하여 정차차량(700)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정차 이동모드에서 정차차량(700)은 외부인 또는 사용자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인은 정차차량(700) 외부에서 정차차량(700)을 전방 엠블램 부근에서 밀어 전진시키거나,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정차차량(700)을 후진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인은 차량 후방에 배치된 장애물을 보지 못하고 정차차량(700)을 계속 후진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센서부(150)를 통해 정차차량(700) 이동방향(후방)에 배치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프로세서(170)는 장애물과 정차차량(700)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내이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정차차량(700)을 제동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에서 후방 자동 긴급제동 기능을 제공하여 정차차량(700)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후방 자동 긴급제동 기능은 정차 이동모드뿐만 아니라 예기치 못한 차량의 후진 상황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경사길에서 주행할 때, 경사에 의해 차량의 예기치 않게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중립기어에 위치할 경우, 차량은 경사 길에서 주행시 예기치 않게 후진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센서부(150)는 차량 뒤에 배치된 타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프로세서(170)는 측정된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내일 때, 후방 자동 긴급제동 기능을 실행시켜 후방 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장애물이 검출되어도 자동 긴급제동을 실행하지 않는 데드 존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차차량(700) 이동시 외부인이 외부의 물리적 힘을 가하여 정차차량(700)을 밀거나 정차차량(700) 이동 인터페이스 조작을 위해 정차차량(700)에 인접하여 있을 때, 외부인을 장애물로 인식하여 자동 긴급제동이 실행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차차량(700) 이동을 제어하는 외부인이 위치할 곳을 데드 존 영역으로 지정하고, 데드 존 영역에서는 장애물을 센싱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히, 도 19를 보면, 정차차량(700)을 트렁크 측에서 밀거나 트렁크 측 외부 입력부(113)를 사용할 때, 프로세서(170)는 차량 트렁크 인접 영역을 데드 존 영역(DZ1)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0을 보면, 정차차량(700)을 엠블램 부근에서 밀거나 외부 입력부(113)를 사용할 때, 프로세서(170)는 차량 엠블램 부근 영역을 데드 존 영역(DZ2)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1을 보면, 정차차량(700) 측방에 위치한 외부 터치스크린(181, 113)를 통해 정차차량(700)을 제어할 경우, 프로세서(170)는 이를 판단하고 차량 외부 입력부(113) 부근 영역을 데드 존 영역(DZ)으로 지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 이동을 제어하는 외부인이 위치할 영역을 판단하고, 위치할 영역을 데드 존으로 설정하여, 정차차량(700)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을 정차 이동범위 내에서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이 정차 이동범위를 벗어나면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171)를 통해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7을 보면,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이 전진하여 전방 이동한계선(FB)까지 이동하면 정차차량(700)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브레이크를 온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이 후진하여 후방 이동한계선(RB)까지 이동하면 정차차량(700)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브레이크를 온시킬 수 있다.
만약, 외부인이 정차 이동범위를 벗어나 정차차량(700) 이동을 원하는 경우,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정차 이동범위 변경 요청을 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 승인에 따라 정차 이동범위는 재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 이동모드가 실행되고,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정차차량(700)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면 정차차량(700) 이동모드를 오프할 수 있다.
자세히, 외부인이 원하는 위치로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키면, 정차차량(700) 이동모드를 오프하여 종료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 종료 후, 정차 이동모드 실행 전 정차차량(700) 위치로 정차차량(700)을 원상 복귀시킬 수 있다.
도 21을 보면, 정차 이동모드 실행 전 정차차량(700)은 정차 이동모드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가 종료되면 정차 이동모드 실행 후 위치(701)에서 실행 전 위치(702)로 자율 주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차 이동모드 실행여부와 관계없이 기존에 정차시켰던 위치(702)에 차량이 정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 종료 후, 안전한 주차 공간을 스캔하고 스캔된 주차 공간까지 차량을 자동 주차할 수 있다.
도 22를 보면, 외부인은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킨 후 자신의 차량을 출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인의 차량이 있었던 위치는 주차 가능한 공간이므로, 프로세서(170)는 이를 센서부(150)나 카메라(160)를 통해 주차 공간으로 스캔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스캔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을 자동 주차시켜, 차량을 안전한 공간에 정차시킬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70)는 더 이상 정차 이동모드는 필요 없다고 판단하여 차량 보조장치(100)를 오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도 필요에 따라 손쉽고 안전하게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와 외부인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170)(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170)(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거나, 제어부를 통해 차량을 여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좀더 상세히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정차 이동모드 준비단계로, 정차 이동모드 실행 전 또는 실행 중에 정차 이동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정차 전 직접 정차 이동범위를 입력하면 이를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이후 정차차량(700)을 정차 이동범위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차 전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70)가 디폴트 된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변 영상 및 센서 정보로부터 차량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안전한 차량 이동범위를 검출하여 이를 정차 이동범위로 설정하고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범위를 재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인의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정차 이동범위 변경을 요청하고 승인을 수신하면 정차 이동범위를 재설정할 수도 있다.
도 24를 보면, 정차 이동범위가 전방 이동한계선(FB)과 후방 이동한계선(RB) 사이로 지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외부인의 타차량을 출고시키기 위해 정차 이동모드로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먼저,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가 필요한 상황임을 판단하고, 필요한 상황이면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정차차량(700) 이동 요청이 입력을 수신하면,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외부인이 트렁크나 엠블램 부근 측에서 물리적인 힘이 소정의 힘 이상 가해짐이 감지되면, 이를 정차차량(700) 이동 요청 신호로 검출하고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 이동 요청이 있으면 도 9와 같은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응답에 따라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미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정차 이동정보가 함께 전송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정차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정차 이동모드 실행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단말기임을 확인한 후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가 실행되면 외부 출력부(180)를 통해 정차 이동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S103)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에 정차 이동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오디오 출력부(182)를 통해 정차 이동정보를 오디오 신호로 함께 출력되어, 외부 디스플레이부(181)에 표시된 정보를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을 위한 안내를 표시하고 도 24와 같은 이미지를 제공하여 정차 이동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레이저 출력부(183)를 통해 레이저를 노면에 조사하여 정차 이동범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레이저 출력부(183)는 노면 전체의 상하좌우에 움직일 수 있는 반경을 정차 이동범위로 표시할 수도 있고(도 8참조), 도 25와 같이 전방 한계선(FB)과 후방 한계선(RB)만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 실행시 정차 이동모드 실행에 따른 정차 이동정보를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S105)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을 포함하는 차량 주변 영상인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도 11과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차량이 안전하게 이동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차량 이동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단말기를 통해 정차 이동모드 실행을 해제하면,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 실행시 지속적으로 정차차량(7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S107)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60)를 통해 얻어진 영상 정보,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얻어진 센서 정보나 내비게이션 정보, 또는/및 통신부(120)에서 얻어진 정보를 통해 정차차량(7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위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 주변에 충돌 위험성이 있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S109)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충돌 위험성이 높은 장애물이 감지되고, 장애물의 위치가 소정의 거리 내이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자동 긴급제동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S113)
프로세서(170)는 센서부(150)를 통해 정차차량(700) 이동방향에 배치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프로세서(170)는 장애물과 정차차량(700)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내이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정차차량(700)을 제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에서 자동 긴급제동 기능을 제공하여 정차차량(700)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의 위치를 측위하고, 측위된 위치가 정차 이동범위를 초과하는지 검출할 수 있다. (S111)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범위를 벗어남이 검출되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정차차량(700)의 이동을 금지시킬 수 있다. (S113)
도 26을 보면,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이 전진하여 전방 이동한계선(FB)까지 이동하면 정차차량(700)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브레이크를 온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이 후진하여 후방 이동한계선(RB)까지 이동하면 정차차량(700)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브레이크를 온시킬 수 있다.
만약, 외부인이 정차 이동범위를 벗어나 정차차량(700) 이동을 원하는 경우,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정차 이동범위 변경 요청을 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 승인에 따라 정차 이동범위는 재설정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정차차량(700) 이동모드가 실행되고,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정차차량(700)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면 정차차량(700) 이동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S115)
이후,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 종료 후, 정차 이동모드 실행 전 정차차량(700) 위치로 정차차량(700)을 원상복귀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70)는 정차 이동모드 종료 후, 안전한 주차 공간을 스캔하고 스캔된 주차 공간까지 차량을 자동주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차 이동모드는 외부인은 정차된 차량을 필요에 따라 손쉽고 안전하게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정차차량(700)의 사용자 또한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차량까지 가서 차량을 이동시키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정차 이동모드를 이용하여 외부인이 차량을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도 27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타차량의 출고를 막는 평행 주차를 할 경우가 있다.
이때, 사용자는 타차량의 출고를 위해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키는 불편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정차된 차량을 외부인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정차 이동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S501)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정차차량(700)을 전방으로 이동을 허용하려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해당 위치를 전방 이동한계선(FB)으로 지정하고, 후방으로 이동을 허용하려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후방 이동한계선(RB)으로 지정함으로써,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정차차량(700)은 외부인이 차량을 이동하려는 물리적인 힘을 감지할 수 있다. (S503)
자세히, 도 28을 보면 외부인(P1)이 차량 트렁크를 밀어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키려는 시도를 할 수 있다.
정차차량(700)은 외부의 물리적인 힘이 소정의 힘 이상이면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키려는 시도로 보고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S505)
정차 이동모드가 실행되면, 정차차량(700)의 브레이크는 해제될 수 있고, 정차 이동범위 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자동 긴급제동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외부 출력부(180)를 통해 정차 이동정보가 출력될 수 있며,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정차차량(700)이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인은 정차 이동모드 실행 중 차량을 밀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자신의 차량을 출고할 수 있다.
정차차량(700)은 정차 이동모드 실행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정차차량(700)이 멈춰 있으면, 외부인이 더 이상 차량 이동이 필요 없는 것으로 보아 정차 이동모드를 종료 할 수 있다. (S507, S509)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외부인은 사용자 없이 안전하게 정차차량(7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정차차량(700)으로 이동하여 차량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이하, 정차 이동모드를 이용하여 외부인이 차량을 이동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타차량의 출고를 막는 주차를 할 경우가 있다. 이때, 사용자는 타차량의 출고를 위해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키는 불편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정차된 차량을 외부인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정차 이동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정차 이동범위는 정차 후 프로세서(170)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S701)
이후, 사용자는 외부인에게 정차차량(700) 이동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703)
자세히, 도 30을 보면, 외부인이 정차차량(700) 사용자에게 연락하기 위하여 정차차량(700) 전면 윈드실드(W)를 보면 전면 윈드실드(W)에는 정차 이동정보가 외부 터치 스크린(181, 113)에 표시되어 있으며, 외부인은 외부 터치 스크린(181, 113)을 터치하여 사용자에게 정차차량(700) 이동을 요청할 수 있다.
외부인이 정차 이동모드 실행을 입력하면, 정차 이동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S705)
이때, 사용자 단말기의 승인이 있을 때에만 정차 이동모드가 실행될 수도 있다.
정차 이동모드가 실행되면, 정차차량(700)의 브레이크는 해제될 수 있고, 정차 이동범위 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자동 긴급제동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외부 출력부(180)를 통해 정차 이동정보가 출력될 수 있며,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정차차량(700)이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차 이동모드가 실행되면, 외부 출력부(180)와 외부 입력부(113)는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정차차량(700) 이동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707)
자세히, 도 31을 보면, 외부 출력부(180)와 외부 입력부(113)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에 이동키를 제공함으로써, 정차차량(700) 이동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외부인은 전진 이동키, 후진 이동키, 휠 방향키를 터치하여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인은 전면 윈드실드(W)에 배치된 터치 스크린으로 정차차량(700)을 제어함으로, 도 31과 같이 정차차량(7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외부인이 위치한 전면 윈드실드(W) 측방 영역은 데드 존 영역(DZ)으로 지정되어, 자동 긴급제어기능은 외부인에 의해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외부인은 정차 이동모드 실행 중 정차차량(700) 이동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차차량(7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자신의 차량을 출고할 수 있다.
정차차량(700)은 정차 이동모드 실행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정차차량(700)이 멈춰 있으면, 외부인이 더 이상 차량 이동이 필요 없는 것으로 보아 정차 이동모드를 종료 할 수 있다. (S709, S711)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외부인은 사용자 없이 안전하고 손쉽게 정차차량(7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정차차량(700)까지 이동하여 차량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이하, 정차 이동모드를 이용하여 외부인이 차량을 이동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 32 내지 도 3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타차량의 출고를 막는 주차를 할 경우가 있다. 이때, 사용자는 타차량의 출고를 위해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키는 불편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정차된 차량을 외부인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정차 이동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정차 이동범위는 정차 후 프로세서(170)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S901)
이후, 사용자는 외부인에게 정차차량(700) 이동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903)
자세히, 외부인이 정차차량(700) 사용자에게 연락하기 위하여 정차차량(700) 전면 윈드실드(W)를 보면 전면 윈드실드(W)에는 정차 이동정보가 표시되고, 외부인은 전면 윈드실드(W)를 터치하여 사용자에게 정차차량(700) 이동을 요청할 수 있다.
외부인이 정차 이동모드 실행을 입력하면, 정차 이동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S905)
정차 이동모드가 실행되면,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가 실행될 수 있고, 정차 이동범위 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자동 긴급제동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외부 출력부(180)를 통해 정차 이동정보가 출력될 수 있며,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정차차량(700)이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다.
자세히, 도 33을 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S907)
자세히, 사용자 단말기로 정차 이동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정차차량(700)이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차차량(700)에서 실시간 어라운드 뷰 이미지가 단말기로 전송되고,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정차차량(700) 가상이미지(700i)를 이동하려는 위치로 드래그 하여, 정차차량(700)을 드래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외부인은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차차량(700) 이동하면 자신의 차량을 출고할 수 있다.
정차차량(700)은 정차 이동모드 실행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정차차량(700)이 멈춰 있으면, 외부인이 더 이상 차량 이동이 필요 없는 것으로 보아 정차 이동모드를 종료 할 수 있다. (S909, S911)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외부인은 원하는 위치로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정차차량(700)까지 이동할 필요 없이 원격으로 정차차량(700)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도 34은 도 2의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이러한 차량 보조장치(100)는 차량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은 통신부(710), 입력부(720), 센싱부(760), 출력부(740), 차량 구동부(750), 메모리(730), 인터페이스부(780), 제어부(770), 전원부(790), 차량 보조장치(100) 및 AVN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차량(700)과 이동 단말기(600) 사이, 차량(700)과 외부 서버(510) 사이 또는 차량(700)과 타차량(510)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차량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무선 인터넷 모듈(712), 근거리 통신 모듈(713), 위치 정보 모듈(714) 및 광통신 모듈(7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7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714)은,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광통신 모듈(7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7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52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운전 조작 수단(721), 카메라(195), 마이크로 폰(723) 및 사용자 입력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721)은, 차량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하 설명 도 2참조) 운전 조작 수단(721)은 조향 입력 수단(721A), 쉬프트 입력 수단(721D), 가속 입력 수단(721C),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주차(P), 전진,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수단(721C)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수단(721C) 및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수단(721C) 또는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7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722) 및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는 탑승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34에서는 모니터링부와 카메라(722)가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카메라(7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보조장치에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폰(7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7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7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722) 또는 마이크로폰(723)는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7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724)를 조작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차량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760)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76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7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 및 마이크로 폰(7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모니터링부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740)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741), 음향 출력부(742) 및 햅틱 출력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7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7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7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7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제어부(7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7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사용자 입력부(7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7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7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동력원 구동부(751), 조향 구동부(752), 브레이크 구동부(753), 램프 구동부(754), 공조 구동부(755), 윈도우 구동부(756), 에어백 구동부(757), 썬루프 구동부(758) 및 서스펜션 구동부(7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7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755)는, 차량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756)는, 차량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757)는, 차량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758)는, 차량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759)는, 차량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77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9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80)는, 차량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7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인터페이스부(7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80)는 전원부(7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제공한다.
제어부(770)는, 차량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70)은 차량 보조장치의 실행 신호 전달에 따라서, 전달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전술한 프로세서(170)의 역할을 위임할 수 있다. 즉, 차량 보조장치의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제어부(770)에 직접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차량 보조장치는 차량의 일부 구성들을 합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70)는 프로세서(170)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해주도록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부(790)는,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7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또는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9)

  1. 차량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정차 이동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온 또는 오프 하는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 및
    상기 브레이크 구동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 주변 장애물 및 상기 정차 이동범위에 따라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온 또는 오프 함으로써, 사용자 미 탑승시 상기 차량을 이동시키는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이동범위는 상기 차량의 정차 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범위로 설정되는
    차량 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영상에 따라 상기 정차 이동범위를 자동 설정하는
    차량 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정차 이동범위를 재설정하는
    차량 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이동 방향에 장애물 검출시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온하는
    차량 보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주변의 일정 영역을 데드 존으로 지정하고,
    상기 데드 존에서 장애물 검출시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오프하는
    차량 보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후진 중 장애물 검출시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온하는
    차량 보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타인이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타인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하는
    차량 보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차 이동모드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보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원격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하는
    차량 보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차량 외부 사이에 통화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부에 상기 정차 이동모드를 안내하기 위한 정차 이동정보를 출력하는 외부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보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부는 상기 차량의 전면 윈드 실드 및 상기 차량의 트렁크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정차 이동정보를 표시하는 외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차량 보조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한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외부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보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키를 표시하고,
    상기 차량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키는 상기 차량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진 이동키와, 상기 차량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후방 이동키와, 상기 차량의 휠(wheel)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키를 포함하는
    차량 보조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이동정보는 상기 정차 이동모드를 실행을 위한 안내, 상기 정차 이동범위, 상기 차량 이동시 책임 안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보조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의 사방 영상을 표시하는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영상을 더 표시하는
    차량 보조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부는 외부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입력부는 외부 마이크로 폰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오디오 출력부와 외부 마이크로 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화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부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출력부는 상기 정차 이동범위를 노면에 표시하는
    차량 보조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차 이동모드 종료 후 정차시 차량 위치로 상기 차량을 이동시키는
    차량 보조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차 이동모드 종료 후 주차 공간을 스캔하고,
    상기 주차 공간으로 자동 주차를 실행하는
    차량 보조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차 이동모드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온하는
    차량 보조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이동모드에서 차량 이동은 상기 차량의 보조 동력원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보조장치.
  24. 사용자 미 탑승시 차량을 이동시키는 정차 이동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차량 브레이크가 활성화되어 상기 차량이 정차하는 단계;
    정차 이동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정차 이동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단계;
    상기 차량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정차 이동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이동방향에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장애물 감지시 상기 차량 브레이크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외부 힘에 의해 이동하는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키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키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정차 차량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타인으로부터 상기 차량 이동 요청을 받은 후, 상기 타인의 차량의 정차 위치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타인의 차량이 출고 가능하도록 차량의 이동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차량 이동 위치로 자율 주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인의 차량 출고 후 상기 타인의 정차 위치로 자율 주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29. 제 1항에 기재된 차량 보조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50124516A 2015-09-02 2015-09-02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31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516A KR101731719B1 (ko) 2015-09-02 2015-09-02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4/955,991 US10144397B2 (en) 2015-09-02 2015-12-01 Method of providing stopped-vehicle movement mod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provi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driver assistance apparatus
CN201610041082.3A CN106484275B (zh) 2015-09-02 2016-01-21 提供停驶车辆移动模式的方法、驾驶员辅助设备及包括其的车辆
EP16159070.8A EP3153373B1 (en) 2015-09-02 2016-03-08 Method of providing stopped-vehicle movement mod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provi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516A KR101731719B1 (ko) 2015-09-02 2015-09-02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797A Division KR101843528B1 (ko) 2017-04-21 2017-04-21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635A true KR20170027635A (ko) 2017-03-10
KR101731719B1 KR101731719B1 (ko) 2017-05-11

Family

ID=5608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516A KR101731719B1 (ko) 2015-09-02 2015-09-02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44397B2 (ko)
EP (1) EP3153373B1 (ko)
KR (1) KR101731719B1 (ko)
CN (1) CN10648427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225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만도 자동주차제어장치 및 자동주차제어방법
KR102268049B1 (ko) * 2020-12-17 2021-06-23 주식회사 에코이브이 전기자동차
US11198429B2 (en) * 2017-05-26 2021-12-14 Mando Corporation Park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11541878B2 (en) 2019-07-24 2023-01-03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9139B2 (en) * 2013-12-05 2016-11-22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monitoring system
EP3113149B1 (en) * 2014-02-24 2018-10-10 Nissan Motor Co., Ltd Local location computation device and local location computation method
US9766080B1 (en) * 2015-03-06 2017-09-19 Phun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door and outdoor mobile device navigation
US9432929B1 (en) 2015-12-08 2016-08-30 Uber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 configuration system for a fleet of automated vehicles
US10243604B2 (en) 2015-12-08 2019-03-26 Uber Technologies, Inc. Autonomous vehicle mesh networking configuration
KR20170071120A (ko) * 2015-12-15 2017-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kas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lkas 제어 방법
US9902311B2 (en) * 2016-02-22 2018-02-27 Uber Technologies, Inc.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US10338589B2 (en) * 2016-03-25 2019-07-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ntroller, driving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KR101823230B1 (ko) * 2016-03-29 2018-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장형 모듈 및 이와 연결되는 차량
DE102016206149A1 (de) * 2016-04-13 2017-10-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mmunizieren zwischen einem Parkplatzverwaltungssystem und einem Kraftfahrzeug
US10464473B2 (en) * 2016-11-21 2019-11-05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display system having a rationale indicator
DE102017203036B4 (de) * 2017-02-24 2018-11-2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zeugs und Fahrassistenzsystem
US10293818B2 (en) 2017-03-07 2019-05-21 Uber Technologies, Inc. Teleassistance data prioritization for self-driving vehicles
US10202126B2 (en) 2017-03-07 2019-02-12 Uber Technologies, Inc. Teleassistance data encoding for self-driving vehicles
WO2018209535A1 (zh) * 2017-05-15 2018-11-22 深圳市永恒丰科技有限公司 车辆监管的方法及装置
ES2695499B2 (es) * 2017-06-29 2019-05-16 Seat Sa Método y dispositivo para controlar una activación de un modo de conducción de un vehículo
US10661904B1 (en) * 2018-06-12 2020-05-26 Rockwell Collins, Inc. Stowable harness fan assembly for a low-back divan
CN110733496A (zh) * 2018-07-18 2020-01-3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记录介质
EP3850604A4 (en) * 2018-09-14 2022-06-15 Optimum Semiconductor Technologies, Inc. DUAL ADAPTIVE ANTI-COLLISION SYSTEM
CN109229095A (zh) * 2018-10-30 2019-01-1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确定自动泊车效果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00103464A (ko) * 2019-02-25 2020-09-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067769A (ko) * 2019-11-29 2021-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1830302B2 (en) 2020-03-24 2023-11-28 Uatc, Llc Computer system for utilizing ultrasonic signals to implement operations for autonomous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1590B2 (ja) 1998-07-02 2002-09-03 萬太郎 西川 駐車車輛と運転者との間の通信装置
KR100622490B1 (ko) 2004-08-10 200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주차관리방법
US7498954B2 (en) 2006-05-31 2009-03-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operative parking
JP4784911B2 (ja) 2007-10-09 2011-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KR100917330B1 (ko) 2008-06-30 2009-09-1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탑뷰 모니터 시스템 및 방법
KR101103872B1 (ko) 2009-03-05 2012-01-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차 차량의 이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E102009051463B4 (de) 2009-10-30 2014-08-21 Audi Ag Kraftfahrzeug, externe Steuerungs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s Ausparkvorgangs eines Kraftfahrzeugs
JP5446998B2 (ja) 2010-03-01 2014-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退出支援装置
KR20120086140A (ko) * 2011-01-25 2012-08-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맞춤 자동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과 장치 및 그 방법
DE102011112577A1 (de) * 2011-09-08 2013-03-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in Assistenzsystem in einem Fahrzeg zur Durchführung eines autonomen oder teilautonomen Fahrmanövers
KR101903969B1 (ko) 2012-05-18 2018-10-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이중주차된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41932A (ko) 2012-06-18 2013-12-27 에스엘 주식회사 원격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E102012015968A1 (de) * 2012-08-11 2014-03-06 Audi Ag Verfahren zum fahrerlosen Bewegen eines Fahrzeugs auf einer Parkfläche
KR101416367B1 (ko) 2012-10-26 2014-07-08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운전자 부재중인 전기자동차의 이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9656690B2 (en) * 2012-10-30 2017-05-23 Robert Bos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using gestures in autonomous parking
KR101446537B1 (ko) 2012-12-18 2014-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459855B1 (ko) 2012-12-26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1462926B1 (ko) 2013-12-06 2014-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및 자동 중립 주차 제어 방법
JP5664751B2 (ja) * 2013-12-13 2015-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車載機
JP6354542B2 (ja) * 2014-11-26 2018-07-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自動運転システム
US9283960B1 (en) * 2014-12-15 2016-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of a vehicle to automatically exit a parking spa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225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만도 자동주차제어장치 및 자동주차제어방법
US11046306B2 (en) 2017-04-25 2021-06-29 Mando Corporation Automatic parking control apparatus and automatic parking control method
US11198429B2 (en) * 2017-05-26 2021-12-14 Mando Corporation Park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11541878B2 (en) 2019-07-24 2023-01-03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68049B1 (ko) * 2020-12-17 2021-06-23 주식회사 에코이브이 전기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3373A1 (en) 2017-04-12
CN106484275A (zh) 2017-03-08
KR101731719B1 (ko) 2017-05-11
EP3153373B1 (en) 2024-02-28
CN106484275B (zh) 2020-02-28
US20170057475A1 (en) 2017-03-02
US10144397B2 (en)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719B1 (ko)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00508B1 (ko) 음주운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 장치
KR101990547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6061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50178B1 (ko) 차량 외부 알람방법, 이를 실행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264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6696701B (zh) 驾驶员辅助设备以及包括该驾驶员辅助设备的车辆
KR10191699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381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42793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43538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의 차량 운전 보조방법
KR101790426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62348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70054849A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32263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420922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43528B1 (ko)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26963A (ko) 차량 도난 방지방법 및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101897350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KR101843535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69646A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KR20180106336A (ko) 카메라장치,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장치 및 충돌방지방법
US20210331586A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20170087618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29288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