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719A - 피스톤 링 - Google Patents

피스톤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719A
KR20160075719A KR1020167013852A KR20167013852A KR20160075719A KR 20160075719 A KR20160075719 A KR 20160075719A KR 1020167013852 A KR1020167013852 A KR 1020167013852A KR 20167013852 A KR20167013852 A KR 20167013852A KR 20160075719 A KR20160075719 A KR 20160075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barrel center
center
circumferential surface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6104B1 (ko
Inventor
히데아키 니시다
다츠오 이시구로
노부아키 사토우
다카시 오토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5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5/00Piston rings, e.g. associated with piston cr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F16J9/12Details
    • F16J9/14Joint-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09Similar sealing structures for mounting on piston and about r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제 1 텅부와 제 2 텅부의 비중첩 영역에서의 연소 가스의 블로바이가 억제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가스 타이트 형식의 피스톤 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축선 (CL) 둘레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부 (10a) 와, 본체부 (10a) 의 일단 (10b) 에서 타단 (10c) 으로 연장되고, 본체부 (10a)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서, 축선 (CL) 을 따른 방향에서 일방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끼워맞춤홈 (12c) 이 형성된 제 1 텅부 (12) 와, 본체부 (10a) 의 타단 (10c) 에서 일단 (10b) 으로 연장되고, 끼워맞춤홈 (12c) 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제 1 텅부 (12) 와 함께 합구부 (11) 를 형성하는 제 2 텅부 (13) 를 구비하고, 제 1 텅부 (12) 및 제 2 텅부 (13) 의 각각의 외주면 (12d, 13d) 은, 직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팽창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피스톤 링{PISTON RING}
본 발명은 피스톤 링에 관한 것이다.
피스톤 링은, 피스톤 외주부에 형성된 피스톤 링 홈에 장착된다. 피스톤 링은 탄성을 갖고, 실린더의 내주면에 적당한 면압을 갖고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피스톤, 실린더 내주면 및 실린더 헤드에 의해 형성되는 연소실 내의 압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피스톤 링은 링 형상을 갖는데, 둘레 방향의 일부에 합구부 (合口部) 로 칭해지는 불연속 부분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가스 타이트 형식의 합구부는, 피스톤 링의 둘레 방향에서 일단측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타단측에 형성되는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오목부와 볼록부가 중첩되도록 끼워 맞춰진다.
피스톤 링의 외주면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일성 향상 및 슬라이딩 저항 저감을 위해, 피스톤 링의 직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팽창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된다. 피스톤 링의 외주면 중 직경 방향에서 최외측에 위치하는 배럴 센터는, 실린더 내주면에 대하여 선 접촉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3249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7164호
엔진 운전 중, 피스톤 링은 연소 가스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에 고온이 된다. 이 때 피스톤 링의 외주측은 상대적으로 저온인 실린더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링의 내주측의 온도가 외주측의 온도보다 높아진다. 이 때문에, 피스톤 링의 열팽창량은 외주측보다 내주측 쪽이 커져, 피스톤 링의 합구부가 피스톤 링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도록 열변형된다.
이와 같은 열변형에 의해, 합구부를 구성하는 오목부 (제 1 텅부) 및 볼록부 (제 2 텅부) 와 실린더 내주면의 접촉 면압이 높아져, 합구부 근방에서 실린더 내주면에 편마모가 발생한다.
또, 열변형에 의해 제 1 텅부 및 제 2 텅부의 선단측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려고 함으로써, 제 1 텅부 및 제 2 텅부의 곡률 반경이 실린더 내주면의 곡률 반경보다 커져, 제 1 텅부 및 제 2 텅부의 근원측이 실린더 내주면으로부터 떨어지기 쉬워진다.
한편, 종래의 가스 타이트 방식의 피스톤 링에서는, 외주면이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피스톤 링의 축선 방향에서 배럴 센터가 제 1 텅부 및 제 2 텅부 중 일방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타방에는 배럴 센터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텅부와 제 2 텅부가 피스톤 링의 축선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 (비중첩 영역) 에, 배럴 센터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열변형에 의해 실린더 내주면에 편마모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열변형된 제 1 텅부 및 제 2 텅부의 근원측과 실린더 내주면 사이에 근소한 간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비중첩 영역에 배럴 센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다 더 간극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러면, 고온의 연소 가스는, 제 1 텅부 및 제 2 텅부의 근원 근방, 바꿔 말하면 비중첩 영역에서, 그 발생된 근소한 간극을 연소실측에서 크랭크실측으로 고압 및 고속으로 지나간다. 이러한 연소 가스의 블로바이에 의해, 비중첩 영역에서 피스톤 링의 외주면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으며, 제 1 텅부와 제 2 텅부의 비중첩 영역에서의 연소 가스의 블로바이가 억제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가스 타이트 형식의 피스톤 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피스톤 링은 축선 둘레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서, 상기 축선 방향의 일방측에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끼워맞춤홈이 형성된 제 1 텅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타단에서 상기 일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끼워맞춤홈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기 제 1 텅부와 함께 합구부를 형성하는 제 2 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텅부 및 상기 제 2 텅부의 각각의 외주면은, 상기 직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팽창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텅부의 외주면 및 제 2 텅부의 외주면이 각각 배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텅부의 외주면 및 제 2 텅부의 외주면에 각각 배럴 센터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본체부의 축선 방향에서 제 1 텅부와 제 2 텅부가 중첩되지 않는 비중첩 영역에 있어서도, 배럴 센터가 반드시 존재한다. 이로써, 비중첩 영역에서의 시일성이 제 1 텅부 또는 제 2 텅부의 배럴 센터에 의해 확보되어, 비중첩 영역에 있어서의 연소 가스의 연소실측에서 크랭크실측으로의 블로바이가 억제된다. 이 결과로서, 피스톤 링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그 피스톤 링을 구비하는 엔진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은, 상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텅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1 텅부 배럴 센터,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본체부 배럴 센터, 및 상기 제 2 텅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2 텅부 배럴 센터는,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텅부 배럴 센터, 본체부 배럴 센터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 1 텅부 배럴 센터와 본체부 배럴 센터 사이,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와 본체부 배럴 센터 사이에 틈이 없어, 양호한 시일성이 확보된다.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 상기 본체부 배럴 센터 및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축선 둘레로 스파이럴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텅부 배럴 센터, 본체부 배럴 센터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가 스파이럴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 1 텅부 배럴 센터, 본체부 배럴 센터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의 성형이 용이하다. 또, 배럴 센터가 피스톤 링의 전체 둘레에 걸쳐 본체부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엔진 운전시, 실린더 내주면과의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피스톤 링에 대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방향의 분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링이 실린더 내주면에 대하여 회전하기 쉽고, 일정한 장소에서 접촉 면압이 높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피스톤 링이나 실린더 내주면의 편마모가 억제된다.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 및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는 각각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 배럴 센터는,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부와,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 및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의 각각과 상기 중간부 사이를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 배럴 센터가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므로, 엔진 운전시, 실린더 내주면과의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피스톤 링에 대하여,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방향의 분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링이 실린더 내주면에 대하여 회전하기 쉽고, 일정한 장소에서 접촉 면압이 높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피스톤 링이나 실린더 내주면의 편마모가 억제된다.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축선 방향 일방측의 영역과 타방측의 영역이 각각 상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방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1 본체부 배럴 센터는, 상기 제 1 텅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1 텅부 배럴 센터에 연결되고,
상기 일방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2 본체부 배럴 센터는, 상기 제 2 텅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2 텅부 배럴 센터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본체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축선 방향에서 일방측의 영역 및 타방측의 영역이 각각 배럴 형상으로 성형되고, 본체부에 2 조 (條) 의 배럴 센터, 즉 제 1 본체부 배럴 센터 및 제 2 본체부 배럴 센터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텅부 배럴 센터와 제 1 본체부 배럴 센터가 서로 연결되고, 제 2 텅부 배럴 센터와 제 2 본체부 배럴 센터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이들 제 1 텅부 배럴 센터, 제 2 텅부 배럴 센터, 제 1 본체부 배럴 센터 및 제 2 본체부 배럴 센터의 성형이 용이하다.
또, 제 1 텅부 배럴 센터, 제 2 텅부 배럴 센터, 제 1 본체부 배럴 센터 및 제 2 본체부 배럴 센터에 의해, 피스톤 링의 전체 둘레에 걸쳐 2 조의 배럴 센터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시일성이 확보된다.
또한, 2 조의 배럴 센터를 형성함으로써, 각 배럴 센터와 실린더 내주면 사이의 접촉 면압이 저감됨과 함께, 실린더 내주면에 대하여 피스톤 링의 외주면이 경사지는 것이 방지되어, 피스톤 링이나 실린더 내주면의 편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텅부와 제 2 텅부의 비중첩 영역에서의 연소 가스의 블로바이가 억제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가스 타이트 형식의 엔진의 피스톤 링이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피스톤 링이 적용된 엔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영역 A 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의 (A) 는 도 3 의 A-A 단면 (斷面) 을 실린더 내주면과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의 (B) 는 도 3 의 B-B 단면을 실린더 내주면과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의 외주면을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의 외주면을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의 도 4 의 (A) 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의 외주면을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의 (A) 및 도 9 의 (B)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엔진의 피스톤 링의 도 4 의 (A) 및 도 4 의 (B) 에 각각 상당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만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불과하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 (10) 이 적용된 엔진 (1) 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엔진 (1) 은, 예를 들어 선박용 2 사이클 대형 디젤 엔진 등이다.
엔진 (1) 은, 실린더 (2) 와, 실린더 (2) 내에 자유롭게 왕복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피스톤 (3) 과, 실린더 (2) 의 일단을 덮는 실린더 헤드 (4) 를 구비한다. 실린더 (2) 의 일단측에는, 실린더 (2), 피스톤 (3) 및 실린더 헤드 (4) 에 의해 연소실 (5) 이 구획되어 있다.
엔진 (1) 은 예를 들어 크로스 헤드 구조를 갖고, 피스톤 (3) 의 연소실 (5) 과 반대측으로부터는 피스톤봉 (3a) 이 연장되고, 피스톤봉 (3a) 은 실린더 (2) 의 타단측을 관통하고 있다. 피스톤봉 (3a) 의 피스톤 (3) 과 반대측은, 도시되지 않지만, 크로스 헤드 및 연접봉을 개재하여 크랭크실 내의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있다. 엔진 (1) 이 예를 들어 유니플로우 소기 (掃氣) 형식인 경우, 실린더 헤드 (4) 에 배기 포트가 형성되고, 실린더 (2) 의 타단측에 도시되지 않은 소기 포트가 형성된다.
피스톤 링 (10) 은, 피스톤 (3) 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스톤 (3) 의 외주부에는, 피스톤 링 홈 (6) 이 형성되고, 피스톤 링 (10) 은 피스톤 링 홈 (6) 에 끼워 맞춰져 있다. 또한, 피스톤 링 (10) 은, 실린더 (2) 및 피스톤 (3) 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피스톤 링 (10) 의 축선 (CL) 은, 실린더 (2) 및 피스톤 (3) 의 축선과 일치하고 있다.
피스톤 링 (10) 은, 피스톤 (3) 의 직경 방향에서 피스톤 (3) 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실린더 (2) 의 내주면 (실린더 내주면) (2a) 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외주면을 갖는다. 따라서, 실린더 내주면 (2a) 과 피스톤 (3) 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은, 피스톤 링 (10) 에 의해 폐색되고, 피스톤 링 (10) 에 의해 연소실 (5) 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 링 (10) 외에, 3 개의 피스톤 링 (60, 70 및 80) 이 축선 (CL) 을 따른 방향 (이하, 축선 방향이라고도 한다) 으로 간격을 갖고 피스톤 (3) 에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 링 (10) 은, 축선 방향에서 연소실 (5) 의 가장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링의 총수는 4 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3 개여도 된다.
도 2 는 피스톤 링 (10) 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링 (10) 은, 본체부 (10a), 그리고 합구부 (11) 를 형성하는 제 1 텅부 (12) 및 제 2 텅부 (13) 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 (10a) 는, 축선 (CL) 둘레의 둘레 방향 (이하, 간단히 둘레 방향이라고도 한다)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3 은 도 2 중의 영역 A 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텅부 (12) 는, 둘레 방향에서 본체부 (10a) 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 1 텅부 (12) 는, 피스톤 링 (10) 의 내주측을 형성하는 내주편 (12a) 과, 내주편 (12a)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연소실 (5) 측으로부터 본체부 (10a) 의 직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맞닿음편 (12b) 을 구비하고 있다. 내주편 (12a) 및 맞닿음편 (12b) 은,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L 자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으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워맞춤홈 (12c) 을 형성하고 있다. 끼워맞춤홈 (12c) 은, 본체부 (10a) 의 직경 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크로스 헤드측 (크랭크실) 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텅부 (13) 는, 둘레 방향에서 본체부 (10a) 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제 2 텅부 (13) 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텅부 (13) 는, 내주편 (12a) 의 직경 방향 외측의 면 및 맞닿음편 (12b) 의 축선 방향 크랭크실측의 면과 각각 대향하는 2 개의 측면을 갖는다. 피스톤 링 (10) 이 피스톤 (3) 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 2 텅부 (13) 가 끼워맞춤홈 (12c) 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제 1 텅부 (12) 및 제 2 텅부 (13) 가 가스 타이트 형식의 합구부 (11) 를 형성한다. 합구부 (11) 에서는, 피스톤 링 (10) 의 외주면은, 제 1 텅부 (12) 의 측면 (12d) 및 제 2 텅부 (13) 의 측면 (13d)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 텅부 (12) 의 측면 (12d) 은, 본체부 (10a) 의 직경 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측면 (12d) 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피스톤 링 (10) 이 피스톤 (3) 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실린더 내주면 (2a) 과 대향된다. 이하에서는, 제 1 텅부 (12) 의 측면 (12d) 을 외주면 (12d) 이라고도 한다. 또한,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은, 맞닿음편 (12b) 의 측면이다.
동일하게, 제 2 텅부 (13) 의 측면 (13d) 은, 본체부 (10a) 의 직경 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측면 (13d) 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피스톤 링 (10) 이 피스톤 (3) 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실린더 내주면 (2a) 과 대향된다. 이하에서는, 제 2 텅부 (13) 의 측면 (13d) 을 외주면 (13d) 이라고도 한다.
제 1 텅부 (12) 의 끼워맞춤홈 (12c) 에 제 2 텅부 (13) 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는, 본체부 (10a) 의 일단측의 단면 (端面) (10b) 과 제 2 텅부 (13) 의 선단면 (13f), 및 제 1 텅부 (12) 의 선단면 (12f) 과 본체부 (10a) 의 타단측의 단면 (10c) 이, 각각 간극을 갖고 대향한다. 이들 간극에 의해, 피스톤 링 (10) 이 연소실 (5) 의 연소 가스의 열에 의해 팽창되어, 피스톤 링 (10) 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둘레 방향의 연장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극을 본체부 (10a) 의 단면 (10b) 과 제 2 텅부 (13) 의 선단면 (13f)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합구부 (11) 에는, 제 1 텅부 (12) 와 제 2 텅부 (13) 가 축선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비중첩 영역 (S1) 이 제 1 텅부 (12) 의 근원 근방에 존재한다. 동일하게, 간극을 제 1 텅부 (12) 의 선단면 (12f) 과 본체부 (10a) 의 단면 (10c)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합구부 (11) 에는, 제 1 텅부 (12) 와 제 2 텅부 (13) 가 축선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비중첩 영역 (S2) 이 제 2 텅부 (13) 의 근원 근방에 존재한다. 한편, 합구부 (11) 에는, 2 개의 비중첩 영역 (S1, S2) 의 사이에, 제 1 텅부 (12) 와 제 2 텅부 (13) 가 축선 방향에서 중첩되는 중첩 영역 (S3) 이 존재한다.
도 4 의 (A) 는 도 3 의 A-A 단면을 실린더 내주면 (2a) 과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의 (B) 는 도 3 의 B-B 단면을 실린더 내주면 (2a) 과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피스톤 링 (10) 의 외주면을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의 (A) 및 도 4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링 (10) 의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제 2 텅부 (13) 의 외주면 (13d), 및 본체부 (10a) 의 외주면 (10d) 은, 직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팽창된 배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에는, 축선 방향에서 중간에, 직경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가 형성되고, 제 2 텅부 (13) 의 외주면 (13d) 에는, 축선 방향에서 중간에, 직경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가 형성되고, 본체부 (10a) 의 외주면 (10d) 에는, 축선 방향에서 중간에, 직경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본체부 배럴 센터 (BC3) 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는 각각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한편, 본체부 배럴 센터 (BC3) 는, 중간부 (BC31), 제 1 텅부 (12) 측의 경사부 (BC32), 및 제 2 텅부 (13) 측의 경사부 (BC33) 에 의해 구성되고, 중간부 (BC31) 는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 (BC32) 는,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며 연장되어 있고,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와 중간부 (BC31) 사이를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 (BC33) 는,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며 연장되어 있고,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와 중간부 (BC31) 사이를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본체부 배럴 센터 (BC3)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는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고, 피스톤 링 (10) 의 외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1 개의 배럴 센터 (BC) 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및 제 2 텅부 (13) 의 외주면 (13d) 이 각각 배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및 제 2 텅부의 외주면 (13d) 에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가 각각 존재한다.
이 때문에, 축선 방향에서 제 1 텅부 (12) 와 제 2 텅부 (13) 가 중첩되는 중첩 영역 (S3) (도 3 참조) 에서는, 축선 방향으로 이간되어 2 조의 배럴 센터, 즉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와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가 존재하여, 우수한 시일성이 확보된다.
또, 축선 방향에서 제 1 텅부 (12) 와 제 2 텅부 (13) 가 중첩되지 않는 비중첩 영역 (S1, S2) 에 있어서도,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또는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2 개의 비중첩 영역 (S1, S2) 에서의 시일성이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에 의해 각각 확보되어, 비중첩 영역 (S1, S2) (도 3 참조) 에 있어서의 연소 가스의 연소실 (5) 측에서 크랭크실측으로의 블로바이가 억제된다. 이 결과로서, 피스톤 링 (10) 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그 피스톤 링 (10) 을 구비하는 엔진 (1) 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또,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본체부 배럴 센터 (BC3)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와 본체부 배럴 센터 (BC3) 사이,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와 본체부 배럴 센터 (BC3) 사이에 틈이 없어, 양호한 시일성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 배럴 센터 (BC3) 가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 (BC32, BC33) 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엔진 (1) 의 운전시, 실린더 내주면 (2a) 과의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피스톤 링 (10) 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의 분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링 (10) 이 실린더 내주면 (2a) 에 대하여 회전하기 쉽고, 일정한 장소에서 접촉 면압이 높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피스톤 링 (10) 이나 실린더 내주면 (2a) 의 편마모가 억제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도 4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가,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즉 맞닿음편 (12b) 의 측면에 있어서,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의 축선 방향 중앙 (두께 방향 중앙) 보다 제 2 텅부 (13)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가, 제 2 텅부 (13) 의 외주면 (13d) 에 있어서, 제 2 텅부 (13) 의 외주면 (13d) 의 축선 방향 중앙 (두께 방향 중앙) 보다 제 1 텅부 (12)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가, 축선 방향에서 제 1 텅부 (12) 의 중앙보다 제 2 텅부 (13)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과 실린더 내주면 (2a) 의 직경 방향 간극을, 축선 방향에서 연소실 (5) 측에서 크게 할 수 있다. 요컨대, 축선 방향에서 연소실 (5) 측에 위치하는 제 1 텅부 (12) 의 에지부 (12g) 와 실린더 내주면 (2a) 의 직경 방향 간극 (δ1) 을, 축선 방향에서 크랭크실측에 위치하는 제 1 텅부 (12) 의 에지부 (12h) 와 실린더 내주면 (2a) 의 직경 방향 간극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가, 축선 방향에서 제 2 텅부 (13) 의 중앙보다 제 1 텅부 (12)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제 2 텅부 (13) 의 외주면 (13d) 과 실린더 내주면 (2a) 의 직경 방향 간극을, 축선 방향에서 크랭크실측에서 크게 할 수 있다. 요컨대, 축선 방향에서 크랭크실측에 위치하는 제 2 텅부 (13) 의 에지부 (13g) 와 실린더 내주면 (2a) 의 직경 방향 간극 (δ2) 을, 축선 방향에서 연소실 (5) 측에 위치하는 제 2 텅부 (13) 의 에지부 (13h) 와 실린더 내주면 (2a) 의 직경 방향 간극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피스톤 링 (10) 은, 피스톤 링 홈 (6) 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간극 (유격) 을 갖고 끼워 맞춰져 있기 때문에, 엔진 (1) 의 운전 중, 피스톤 (3) 이 상사점을 향하여 이동하고 있을 때, 피스톤 링 (10) 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이 직경 방향 내측보다 지연되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은 변형에 의해,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이 실린더 내주면 (2a) 에 대하여 경사졌다고 하더라도,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하면, 직경 방향 간극 (δ1) 의 존재에 의해, 제 1 텅부 (12) 의 에지부 (12g) 가 실린더 내주면 (2a) 에 대하여 치우치게 맞닿는 것이 방지된다.
동일하게, 엔진 (1) 의 운전시, 피스톤 (3) 이 하사점을 향하여 이동하고 있을 때, 피스톤 링 (10) 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이 직경 방향 내측보다 지연되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은 변형에 의해, 제 2 텅부 (13) 의 외주면 (13d) 이 실린더 내주면 (2a) 에 대하여 경사졌다고 하더라도,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하면, 직경 방향 간극 (δ2) 의 존재에 의해, 제 2 텅부 (13) 의 에지부 (13g) 가 실린더 내주면 (2a) 에 대하여 치우치게 맞닿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제 1 텅부 (12) 의 에지부 (12g) 및 제 2 텅부 (13) 의 에지부 (13g) 가 치우치게 맞닿는 것이 방지되는 결과로서, 피스톤 링 (10) 이나 실린더 내주면 (2a) 의 편마모가 억제되어, 피스톤 링 (10) 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도 4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부 (BC31) 는, 본체부 (10a) 의 외주면 (10d) 에 있어서, 본체부 (10a) 의 외주면 (10d) 의 축선 방향 중앙 (두께 방향 중앙) 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부 (BC31) 를 중앙에 형성함으로써, 본체부 (10a) 의 외주면 (10d) 과 실린더 내주면 (2a) 의 직경 방향 간극을 축선 방향 양측에서 크게 할 수 있다. 요컨대, 축선 방향에서 연소실 (5) 측에 위치하는 본체부 (10a) 의 에지부 (10g) 와 실린더 내주면 (2a) 의 직경 방향 간극 (δ3) 을 크게 할 수 있고, 축선 방향에서 크랭크실측에 위치하는 본체부 (10a) 의 에지부 (10h) 와 실린더 내주면 (2a) 의 직경 방향 간극 (δ4) 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스톤 (3) 의 왕복동에 의해 본체부 (10a) 의 외주면 (10d) 이 실린더 내주면 (2a) 에 대하여 경사져도, 에지부 (10g, 10h) 가 치우치게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지부 (10g, 10h) 가 치우치게 맞닿는 것이 방지되는 결과로서도, 피스톤 링 (10) 이나 실린더 내주면 (2a) 의 편마모가 억제되어, 피스톤 링 (10) 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엔진의 피스톤 링 (20) 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에는, 동일한 명칭 또는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도 6 은 피스톤 링 (20) 의 외주면을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피스톤 링 (20) 의 도 4 의 (A) 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링 (20) 은,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본체부 배럴 센터 (BC3),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가 축선 (CL) 의 둘레로 스파이럴상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 (10) 과 상이하다. 도 6 에 나타낸 전개도에서는,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본체부 배럴 센터 (BC3),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에 의해 구성되는 배럴 센터 (BC) 는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본체부 배럴 센터 (BC3),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는, 각각 둘레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 (θ) 로 경사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럴 센터 (BC) 가 피스톤 링 (20) 의 전체 둘레에 걸쳐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엔진 (1) 의 운전시, 피스톤 링 (20) 에 대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의 분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링 (20) 이 실린더 내주면 (2a) 에 대하여 회전하기 쉽고, 일정한 장소에서 접촉 면압이 높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피스톤 링 (20) 이나 실린더 내주면 (2a) 의 편마모가 억제된다.
또,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본체부 배럴 센터 (BC3)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가 스파이럴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본체부 배럴 센터 (BC3) 및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의 성형이 용이하다.
(제 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엔진의 피스톤 링 (3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은 피스톤 링 (30) 의 외주면을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의 (A) 및 도 9 의 (B) 는 피스톤 링 (30) 의 도 4 의 (A) 및 도 4 의 (B) 에 각각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 의 (A), 도 9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링 (30) 은, 본체부 (10a) 의 외주면 (10d) 에 있어서 축선 방향에서 연소실 (5) 측의 영역 (10d1) 과 크랭크실측의 영역 (10d2) 이 각각 직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팽창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되고, 영역 (10d1) 에 있어서 직경 방향에서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1 본체부 배럴 센터 (BC5) 는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에 연결되고, 영역 (10d2) 에 있어서 직경 방향에서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2 본체부 배럴 센터 (BC6) 는,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에 연결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의 피스톤 링 (10) 과 상이하다.
이 구성에서는, 본체부 (10a) 에 2 조의 배럴 센터, 즉 제 1 본체부 배럴 센터 (BC5) 및 제 2 본체부 배럴 센터 (BC6) 가 형성되고,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와 제 1 본체부 배럴 센터 (BC5) 가 서로 연결되고,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와 제 2 본체부 배럴 센터 (BC6) 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이들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제 1 본체부 배럴 센터 (BC5) 및 제 2 본체부 배럴 센터 (BC6) 의 성형이 용이하다.
또,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와 제 1 본체부 배럴 센터 (BC5) 가 1 개의 배럴 센터 (BC) 를 형성하고,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와 제 2 본체부 배럴 센터 (BC6) 가 1 개의 배럴 센터 (BC) 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피스톤 링 (30) 의 전체 둘레에 걸쳐 2 조의 배럴 센터 (BC) 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시일성이 확보된다.
또한, 2 조의 배럴 센터 (BC) 를 형성함으로써, 각 배럴 센터 (BC) 와 실린더 내주면 (2a) 사이의 접촉 면압이 저감됨과 함께, 실린더 내주면 (2a) 에 대하여 피스톤 링 (30) 의 외주면이 경사지는 것이 방지되어, 피스톤 링 (30) 이나 실린더 내주면 (2a) 의 편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들 실시형태에 변형을 부가한 형태나, 이들 실시형태를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부 (10a) 의 외주면을 배럴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아 평탄하게 형성해도 된다. 요컨대, 적어도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및 제 2 텅부 (13) 의 외주면 (13d) 이 각각 배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중간부 (BC31) 의 축선 방향에서의 위치를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1) 또는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2) 에 일치시키고, 경사부 (BC32) 또는 경사부 (BC33) 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본체부 배럴 센터 (BC5) 및 제 2 본체부 배럴 센터 (BC6) 중 일방을 생략해도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엔진의 피스톤 링은, 선박용 2 사이클 대형 디젤 엔진에 바람직하지만, 다른 엔진에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1 : 엔진
2 : 실린더
2a : 실린더 내주면
3 : 피스톤
3a : 피스톤봉
4 : 실린더 헤드
5 : 연소실
6 : 피스톤 링 홈
10, 20, 30 : 피스톤 링
10a : 본체부
10b : 단면
10c : 단면
10d : 외주면
11 : 합구부
12 : 제 1 텅부
12a : 내주편
12b : 맞닿음편
12c : 끼워맞춤홈
12d : 외주면
12f : 선단면
12g, 12h : 에지부
13 : 제 2 텅부
13d : 외주면
13f : 선단면
13g, 13h : 에지부
BC : 배럴 센터
BC1 : 제 1 텅부 배럴 센터
BC2 : 제 2 텅부 배럴 센터
BC3 : 본체부 배럴 센터
BC31 : 중간부
BC32, BC33 : 경사부
BC5 : 제 1 본체부 배럴 센터
BC6 : 제 2 본체부 배럴 센터
S1, S2 : 비중첩 영역
S3 : 중첩 영역
δ1, δ2, δ3, δ4 : 간극

Claims (18)

  1. 축선 둘레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서, 상기 축선 방향의 일방측에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끼워맞춤홈이 형성된 제 1 텅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타단에서 상기 일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끼워맞춤홈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기 제 1 텅부와 함께 합구부를 형성하는 제 2 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텅부 및 상기 제 2 텅부의 각각의 외주면은, 상기 직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팽창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텅부의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1 텅부 배럴 센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텅부의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2 텅부 배럴 센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축선 방향에서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축선 방향에서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제 1 텅부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 중앙보다 상기 제 2 텅부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제 2 텅부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 중앙보다 상기 제 1 텅부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제 1 텅부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 중앙보다 상기 제 2 텅부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제 2 텅부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 중앙보다 상기 제 1 텅부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텅부와 상기 제 2 텅부가 중첩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간되어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 및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텅부와 상기 제 2 텅부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 또는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 중 어느 것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8. 축선 둘레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서, 상기 축선 방향의 일방측에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끼워맞춤홈이 형성된 제 1 텅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타단에서 상기 일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끼워맞춤홈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기 제 1 텅부와 함께 합구부를 형성하는 제 2 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텅부 및 상기 제 2 텅부의 각각의 외주면은, 상기 직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팽창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은, 상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텅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1 텅부 배럴 센터,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본체부 배럴 센터, 및 상기 제 2 텅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2 텅부 배럴 센터는,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 상기 본체부 배럴 센터 및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축선 둘레로 스파이럴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 및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는 각각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 배럴 센터는,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부와,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 및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의 각각과 상기 중간부 사이를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배럴 센터의 상기 중간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축선 방향에서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축선 방향에서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제 1 텅부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 중앙보다 상기 제 2 텅부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제 2 텅부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 중앙보다 상기 제 1 텅부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제 1 텅부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 중앙보다 상기 제 2 텅부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는, 상기 제 2 텅부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 중앙보다 상기 제 1 텅부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텅부와 상기 제 2 텅부가 중첩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간되어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 및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텅부와 상기 제 2 텅부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텅부 배럴 센터 또는 상기 제 2 텅부 배럴 센터 중 어느 것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18. 축선 둘레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서, 상기 축선 방향의 일방측에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끼워맞춤홈이 형성된 제 1 텅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타단에서 상기 일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끼워맞춤홈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기 제 1 텅부와 함께 합구부를 형성하는 제 2 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텅부 및 상기 제 2 텅부의 각각의 외주면은, 상기 직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팽창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축선 방향 일방측의 영역과 타방측의 영역이 각각 상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된 배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방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1 본체부 배럴 센터는, 상기 제 1 텅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1 텅부 배럴 센터에 연결되고,
    상기 일방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2 본체부 배럴 센터는, 상기 제 2 텅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2 텅부 배럴 센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

KR1020167013852A 2014-02-26 2014-08-14 피스톤 링 KR101876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5070 2014-02-26
JP2014035070A JP5805235B2 (ja) 2014-02-26 2014-02-26 ピストンリング
PCT/JP2014/071442 WO2015129075A1 (ja) 2014-02-26 2014-08-14 ピストンリ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719A true KR20160075719A (ko) 2016-06-29
KR101876104B1 KR101876104B1 (ko) 2018-08-02

Family

ID=5390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852A KR101876104B1 (ko) 2014-02-26 2014-08-14 피스톤 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112727B1 (ko)
JP (1) JP5805235B2 (ko)
KR (1) KR101876104B1 (ko)
CN (3) CN204738883U (ko)
WO (1) WO20151290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4976B2 (ja) * 2017-03-23 2018-10-17 株式会社リケン ピストンリング
EP3546805A1 (en) * 2018-03-28 2019-10-02 Federal-Mogul Göteborg AB A piston r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496A (ja) 1994-06-08 1995-12-2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ピストンリング
US5779243A (en) * 1996-11-21 1998-07-14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Piston ring set for reciprocating engines
JP2001241357A (ja) * 2000-02-28 2001-09-07 Nippon Piston Ring Co Ltd ピストンリングの組合せおよびその組合せを用いたピストン
JP3359675B2 (ja) * 1992-12-18 2002-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ピストンリング
JP2005171768A (ja) * 2003-12-08 2005-06-30 Teikoku Piston Ring Co Ltd ピストン及びピストンとピストンリングの組合せ
JP2006337164A (ja) 2005-06-01 2006-12-14 Toyota Motor Corp 摺動面形状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2063U (ko) * 1988-05-02 1989-11-10
CN1046796C (zh) * 1994-02-24 1999-11-24 株式会社理研 内燃机用压缩环
CN2325532Y (zh) * 1997-02-18 1999-06-23 蒙江凌 交***塞环
DE10111122C1 (de) * 2001-03-08 2003-01-16 Man B&W Diesel A/S, Copenhagen Sv Kolbenring für eine Hubkolbenmaschine und Hubkolbenmaschine
CN2709665Y (zh) * 2003-08-19 2005-07-13 李振国 活塞环
EP2479460A1 (de) * 2011-01-21 2012-07-25 Burckhardt Compression AG Ölabstreifring
CN202338409U (zh) * 2011-12-02 2012-07-18 赵义山 一种内燃机活塞环
JP5755156B2 (ja) * 2012-01-25 2015-07-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ピストンリングおよび、そのピストンリングを備えたエンジ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9675B2 (ja) * 1992-12-18 2002-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ピストンリング
JPH07332496A (ja) 1994-06-08 1995-12-2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ピストンリング
US5779243A (en) * 1996-11-21 1998-07-14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Piston ring set for reciprocating engines
JP2001241357A (ja) * 2000-02-28 2001-09-07 Nippon Piston Ring Co Ltd ピストンリングの組合せおよびその組合せを用いたピストン
JP2005171768A (ja) * 2003-12-08 2005-06-30 Teikoku Piston Ring Co Ltd ピストン及びピストンとピストンリングの組合せ
JP2006337164A (ja) 2005-06-01 2006-12-14 Toyota Motor Corp 摺動面形状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2727A1 (en) 2017-01-04
CN107701327A (zh) 2018-02-16
CN107701327B (zh) 2020-05-05
CN104863745A (zh) 2015-08-26
CN204738883U (zh) 2015-11-04
EP3112727B1 (en) 2018-07-11
JP2015161321A (ja) 2015-09-07
EP3112727A4 (en) 2017-02-22
WO2015129075A1 (ja) 2015-09-03
KR101876104B1 (ko) 2018-08-02
CN104863745B (zh) 2017-12-01
JP5805235B2 (ja)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18356B (zh) 活塞环
CN103890362A (zh) 内燃机活塞
KR101876104B1 (ko) 피스톤 링
KR101823807B1 (ko) 피스톤 링 및 그 피스톤 링을 구비하는 엔진
US9316312B2 (en) Piston ring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815155B1 (en) Piston ring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3151995A (ja) ピストンリングおよび、そのピストンリングを備えたエンジン
CN110506173B (zh) 内燃机用活塞和活塞环
JP6093407B2 (ja) ピストンリング
JP6206191B2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
JP6397708B2 (ja) エンジン
US9500280B2 (en) Piston ring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387237B2 (ja) ピストンリング及び該ピストンリングを備えるエンジン
JPH09203463A (ja) ピストンリング
US11136936B2 (en) Piston
JP6397709B2 (ja) エンジン
WO2020217560A1 (ja) シリンダライナおよびシリンダライナの密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