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757A - 아자인돌 화합물, 이의 합성,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아자인돌 화합물, 이의 합성,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757A
KR20160058757A KR1020167004150A KR20167004150A KR20160058757A KR 20160058757 A KR20160058757 A KR 20160058757A KR 1020167004150 A KR1020167004150 A KR 1020167004150A KR 20167004150 A KR20167004150 A KR 20167004150A KR 20160058757 A KR20160058757 A KR 20160058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methyl
mmol
added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753B1 (ko
Inventor
프라빈 에스. 시루드
마루티 엔. 나익
비카스 나라얀 신디
모하메드 사훌 하메드 피어
모나리자 차테르지
라다 케이. 샌딜
Original Assignee
글로벌 알리앙스 포 티비 드럭 디벨롭먼트
파운데이션 포 니글렉티드 디지즈 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 알리앙스 포 티비 드럭 디벨롭먼트, 파운데이션 포 니글렉티드 디지즈 리서치 filed Critical 글로벌 알리앙스 포 티비 드럭 디벨롭먼트
Publication of KR2016005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61P31/06Antibacterial agents for tubercul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여 미코박테리움 감염 또는 결핵을 치료하거나, 또는 DprE1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125

Description

아자인돌 화합물, 이의 합성, 및 이의 사용 방법{AZAINDOLE COMPOUNDS, SYNTHESIS THEREOF,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아자인돌 화합물, 이의 합성, 및 이의 사용 방법"이란 명칭으로 2013년 7월 17일에 출원된 인도 가특허출원 번호 3196/CHE/2013의 이익을 주장하고, 또한 2014년 4월 30일에 출원된 동일 일련 번호(3196/CHE/2013)의 두번째의 업데이트된 가출원의 이익도 주장하며, 상기 특허출원 둘 다의 전문은 본원에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40년 전에 만연한 결핵(TB)은, 해결된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사중(quadruple) 약물 치료 용법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으로 상당한 이환율과 사망률을 계속해서 야기한다(참조: Raviglione, M. et al. Lancet379, 1902-1913 (2012);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Tuberculosis Report (2012)). 다중약물-내성 결핵(MDR-TB: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에 대해 얀센(Janssen)의 시르투로(Sirturo)(베다퀼린)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최근의 신속 승인을 받아서 신규한 작용 기작을 갖는 신규한 TB 약물에 대한 40년간의 소강상태를 종식시키는 것을 주시하는 것은 만족스럽다(참조: Cohen, J. Science 339, 130-131 (2013)). 그러나, 질환 상황(landscape)과 환자의 삶에 대한 시르투로의 영향은, 관련 안전 위험과 판매후 조사 부담의 맥락에서 주시할 필요가 있다.
니트로-벤조티아지논(BTZ) 및 관련 화합물은 데카프레닐포스포릴-β-D-리보스(DPR)를 데카프레닐포스포릴-β-D-아라비노푸라노스(DPA), 미코박테리아 세포벽 아라비난의 전구체로의 전환에 관여하는 데카프레닐포스포릴-β-D-리보스 2'-에피머라제1(DprE1)을 억제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참조: Trefzer, C. et al.J. Am. Chem. Soc. 132, 13663-13665). 이 반응은 이종성 효소 데카프레닐-포스포-리보스 2'-에피머라제(DprE)에 의해 촉매되고, 이는 중간체(데카프레닐포스포릴-2-케토-β-D-에리토-펜토푸라노스, DPX)가 관여하는 일련의 산화-환원 기작을 통해 발생한다. 상기 효소는 dprE1 및 dprE2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2개의 단백질로 구성된다. DprE1 효소는 FAD-함유 옥시도리덕타제이고, DprE2는 NADH-의존성 리덕타제이다(참조: Mikusova, K. et al. J. Bacteril. 187, 8020-8025 (2005); Makarov, V. et al. Science324, 801-804 (2009)).
강력한 항미코박테리아 활성을 갖는 DprE1의 공유 억제제로서의 BTZ043의 동정으로 신규한 TB 치료요법이 이러한 표적에 타당함을 확인한다(참조: Science 324, 801-804 (2009)). 그러나, DprE1의 비-니트로 억제제가 생체내 효능을 초래할 것이라는 것인지, 추가로 생체내 효능에 필수적인 나노몰 세포 활성인지가 여전히 이해되어야 한다. DprE1 억제의 이러한 측면과 관련한 더 큰 이해는, 이러한 표적을 향한 미래의 TB 약물 발견 노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DprE1을 표적으로 하는 추가 화합물에 대한 필요성이 당해 기술분야에 존재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수소, 불소, 브롬, -OCH3 및 메틸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3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X는 N 또는 CR4이고;
R4는 수소, 불소 및 -O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수소, 불소, -CF3 및 -CN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N 또는 CR6이고;
R6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Z는 N 또는 CR7이고;
R7은 수소, 불소, -OCH3, -OCHF2, -OCH2CF3, 및 -N(CH3)2로부터 선택되고;
R8은 수소, 불소, 메틸 및 -OCH3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1 또는 2이고;
R9는 불소, 사이클로프로필, -OCH3, -OH, -OCF3, CHF2, -CH(F)CH3 및 -CH(OH)CH3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Mycobacterium) 감염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 치료용 약제(medicament)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DprE1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DprE1 억제용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함을 포함하여, DprE1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DprE1을 억제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a) 화합물 3에 대한 세포 사멸의 키네틱, (b) 화합물 4에 대한 세포 사멸의 키네틱, (c) 마우스 TB 모델에서의 급성 효능, (d) 마우스 TB 모델에서의 만성 효능의 시험관내 세포 사멸 및 생체내 효능을 도시한다.
도 2는 THP1 모델에서 화합물 3 및 4의 세포내 효능을 도시한다.
도 3은 (a) 100mg/kg의 경구 투여 후 마우스에서 화합물 3 및 4의 시간 대 농도 프로파일(ABT 사용), (b) 30mg/kg의 경구 투여 후 래트에서 화합물 3 및 4의 시간 대 농도 프로파일, (c) 0.5 및 2mg/kg 각각의 정맥 볼루스 후 래트에서 화합물 3 및 17의 시간 대 농도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4는 (a) 만성 감염된 마우스에서 30 및 100mg/kg의 다중 경구 투여 후 마우스에서 화합물 3의 시간 대 농도 프로파일(ABT 사용), (b) 만성 감염된 마우스에서 30 및 100mg/kg의 다중 경구 투여 후 마우스에서 화합물 4의 시간 대 농도 프로파일(ABT 사용), (c) 건강한 마우스에서 100mg/kg의 화합물 3의 ELF PK, (d) 건강한 마우스에서 100mg/kg의 화합물 4의 ELF PK를 도시한다.
도 5는 (a) 만성 Mtb 감염된 래트에서 100mg/kg의 다중 경구 투여 후 1,4-아자인돌 화합물의 시간 대 농도 프로파일, (b) 4주 동안 1주 중 6일 경구 투여 후 위스타 래트(Wistar Rat)에서 만성 TB 감염 모텔에서 1,4-아자인돌 화합물의 효능의 요약을 도시한다. 폐의 순수한 log10 cfu 감소/왼엽(left lobe)은 비히클 처리된 대조군으로부터 폐의 세균 수를 빼서 획득하였다. 모든 화합물은 미처리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p<0.05).
도 6은 중간체 3 내지 9의 합성을 위한 합성 반응식 1을 도시한다.
도 7은 중간체 11 내지 15의 합성을 위한 합성 반응식 2를 도시한다.
도 8은 중간체 17 내지 21의 합성을 위한 합성 반응식 3을 도시한다.
도 9는 중간체 23 내지 25의 합성을 위한 합성 반응식 4를 도시한다.
도 10은 중간체 27 내지 30의 합성을 위한 합성 반응식 5를 도시한다.
도 11은 중간체 32 내지 33의 합성을 위한 합성 반응식 6을 도시한다.
도 12는 중간체 35 내지 37의 합성을 위한 합성 반응식 7을 도시한다.
도 13은 중간체 39 내지 44의 합성을 위한 합성 반응식 8을 도시한다.
도 14는 중간체 41 내지 47의 합성을 위한 합성 반응식 9를 도시한다.
도 15는 중간체 48a 및 48b 내지 50의 합성을 위한 합성 반응식 10을 도시한다.
도 16은 (a) 내지 (d) 실시예 1 내지 4에서 화합물의 합성을 도시한다.
도 17은 (a) 내지 (d) 실시예 5 내지 8에서 화합물의 합성을 도시한다.
도 18은 (a) 내지 (d) 실시예 9 내지 12에서 화합물의 합성을 도시한다.
도 19는 (a) 내지 (d) 실시예 13 내지 16에서 화합물의 합성을 도시한다.
도 20은 (a) 내지 (d) 실시예 17 내지 20에서 화합물의 합성을 도시한다.
도 21은 (a) 내지 (d) 실시예 21 내지 24에서 화합물의 합성을 도시한다.
도 22는 실시예 25에서 화합물의 합성을 도시한다.
도 23은 (a) 내지 (d) 실시예 26 내지 29에서 화합물의 합성을 도시한다.
도 24는 (a) 내지 (c) 실시예 30 내지 32에서 화합물의 합성을 도시한다.
도 25는 표 2, 병원체 특이성을 도시한다.
도 26은 표 3, 약물 민감성 및 약물 내성 Mtb에 대한 활성을 나타낸다.
화합물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2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수소, 불소, 브롬, -OCH3 및 메틸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3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X는 N 또는 CR4이고;
R4는 수소, 불소 및 -O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수소, 불소, -CF3 및 -CN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N 또는 CR6이고;
R6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Z는 N 또는 CR7이고;
R7은 수소, 불소, -OCH3, -OCHF2, -OCH2CF3, 및 -N(CH3)2로부터 선택되고;
R8은 수소, 불소, 메틸 및 -OCH3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1 또는 2이고;
R9는 불소, 사이클로프로필, -OCH3, -OH, -OCF3, CHF2, -CH(F)CH3 및 -CH(OH)CH3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측면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메틸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불소, 브롬 및 메틸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수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 R2 및 R3은 각각 수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 및 R3은 각각 수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n은 1이고, R9는 사이클로프로필이다.
몇몇 측면에서, n은 1이고, R9는 -CH(F)CH3이다.
몇몇 측면에서, n은 1이고, R9는 -CHF2이다.
몇몇 측면에서, n은 1이고, R9는 -CH(OH)CH3이다.
몇몇 측면에서,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n은 2이고, R9는 -OMe이다.
몇몇 측면에서, n은 2이고, R9는 -OH이다.
몇몇 측면에서, n은 2이고, R9는 -OCF3이다.
몇몇 측면에서,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다.
몇몇 측면에서, X는 CR4이고, R4는 수소이고, R5는 불소, -CN 및 -CF3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N이고, R8은 -OMe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불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은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브롬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메틸이고, X는 CR4이고, R4는 불소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CR7이고, R7은 수소이고, R8은 불소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메틸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CR4이고, R4는 -OMe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CR7이고, R7은 불소이고, R8은 수소이고, n은 1이고, R9는 사이클로프로필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1이고, R9는 사이클로프로필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CR4이고, R4는 -OMe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CR7이고, R7은 불소이고, R8은 불소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CR4이고, R4는 수소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N이고, R8은 -OMe이고, n은 2이고, R9는 -OMe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OMe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OH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1이고, R9는 사이클로프로필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OMe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CR7이고, R7은 -OCH2CF3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CR4이고, R4는 수소이고, R5는 -CF3이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N이고, R8은 -OMe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CR4이고, R4는 수소이고, R5는 -CN이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N이고, R8은 -OMe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 X는 CR4이고, R4는 수소이고, R5는 불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N이고, R8은 -OMe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1이고, R9는 CH(F)CH3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OH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CR4이고, R4는 수소이고, R5는 -불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메틸이고, Z는 N이고, R8은 -OMe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불소,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브롬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CR7이고, R7은 -OCH2CF3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CR4이고, R4는 수소이고, R5는 -CF3이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N이고, R8은 -OMe이고, n은 1이고, R9는 CH(F)CH3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OCF3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CR4이고, R4는 수소이고, R5는 불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N이고, R8은 -OMe이고, n은 1이고, R9는 -CH(F)CH3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1이고, R9는 사이클로프로필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CR4이고, R4는 수소이고, R5는 불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메틸이고, Z는 N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CR7이고, R7은 -OCH2CF3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OH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1이고, R9는 -CH(OH)CH3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N(CH3)2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Me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1이고, R9는 CHF2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CR4이고, R4는 수소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메틸이고, Z는 CR7이고, R7은 수소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불소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CR4이고, R4는 불소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수소이고, Z는 CR7이고, R7은 수소이고, R8은 -OMe이고, n은 1이고, R9는 사이클로프로필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CH3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1이고, R9는 -CHF2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N(CH3)2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OH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CHF2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OH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OCH3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CH3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OH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OCH3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CH3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1이고, R9는 -CHF2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OCH3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CH3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OH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OCH3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N(CH3)2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F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OCH3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N(CH3)2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1이고, R9는 -CHF2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OCH3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N(CH3)2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OH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OCH3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CHF2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F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OCH3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CHF2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1이고, R9는 -CHF2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OCH3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CHF2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OH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OCH3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N이고, Z는 CR7이고, R7은 -OCHF2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F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메틸이고, Z는 N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2이고, R9는 F이다.
몇몇 측면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은 수소이고, X는 N이고, R5는 수소이고, Y는 CR6이고, R6은 메틸이고, Z는 N이고, R8은 메틸이고, n은 1이고, R9는 CHF2이다.
몇몇 측면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약제학적 조성물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기타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사람 및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에 적합한,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또는 용량형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화합물을 염으로서 투여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산 부가염의 예는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벤조에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바이카보네이트, 바이설페이트, 부티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르설포네이트, 콜린, 시트레이트, 사이클로헥실 설파메이트, 디에틸렌디아민, 에탄설포네이트, 푸마레이트, 글루타메이트, 글리콜레이트, 헤미설페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설포네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록시말레에이트, 락테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메글루민,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니트레이트, 옥살레이트, 파모에이트, 퍼설페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피크레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퀴네이트, 살리실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석시네이트, 설파메이트, 설파닐레이트, 설페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p-톨루엔설포네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운데카노에이트를 포함한다. 염기 염의 예는 암모늄 염;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면, 나트륨, 리튬 및 칼륨 염;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면, 알루미늄, 칼슘 및 마그네슘 염; 유기 염기와의 염, 예를 들면, 디사이클로헥실아민 염 및 N-메틸-D-글루카민; 및 아미노산, 예를 들면, 아르기닌, 리신, 오르니틴과의 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염기성 질소-함유 그룹은 하기와 같은 제제와 4급화될 수 있다: 저급 알킬 할로겐화물,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할로겐화물; 디알킬 설페이트, 예를 들면, 디메틸, 디에틸, 디부틸; 디아밀 설페이트; 장쇄 할로겐화물, 예를 들면, 데실, 라우릴, 미리스틸 및 스테아릴 할로겐화물; 아릴알킬 할로겐화물, 예를 들면, 벤질 브로마이드 및 기타. 다른 염이 유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생성물의 단리 또는 정제시에 비-독성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바람직하다.
염들은 전형적인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생성물의 유리 염기 형태를 염이 불용성인 용매 또는 매질 중에서, 또는 진공 중에서 제거되는 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적절한 산의 하나 이상의 등가물과 반응시킴에 의해 또는 동결 건조시킴에 의해 또는 적합한 이온-교환 수지 상에 존재하는 염의 음이온을 또 다른 음이온으로 교환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사용에 적합한 형태(예를 들면, 정제, 로젠지제, 경질 또는 연질 캡슐제, 수성 또는 오일성 현탁제, 에멀젼제, 분산성 산제 또는 과립제, 시럽제 또는 엘릭시르제로서), 국소 사용에 적합한 형태(예를 들면, 크림제, 연고제, 겔제 또는 수성 또는 오일성 용제 또는 현탁제로서), 흡입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형태(예를 들면, 미분된 산제 도는 액상 에어로졸제로서), 통기(insufflation)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형태(예를 들면, 미분된 산제로서)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예를 들면, 정맥내, 피하, 근육내 또는 근육내 투여용 멸균 수성 또는 오일성 용제로서, 또는 직장 투여용 좌제로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익히 공지된 통상적인 약제학적 부형제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절차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따라서, 경구 사용을 위해 의도된 조성물은,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착색제, 감미제, 향미제 및/또는 방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 제형에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예를 들면,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면, 락토스, 탄산나트륨, 인산칼슘 또는 탄산칼슘; 과립화제 및 붕해제, 예를 들면, 옥수수 전분 또는 알긴산; 결합제, 예를 들면, 전분; 윤활제, 예를 들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또는 활석; 방부제, 예를 들면, 에틸 또는 프로필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및 산화방지제, 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한다. 정제 제형은, 어떠한 경우에서도, 당해 기술분야에 익히 공지된 통상적인 코팅제 및 절차를 사용하여, 위장관 내에서 활성 성분의 분해 및 후속적인 흡수를 개질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안정성 및/또는 외관을 개선시키기 위해 코팅되지 않거나 코팅될 수 있다.
경구 사용을 위한 조성물은, 활성 성분이 불활성 고체 희석제, 예를 들면, 탄산칼슘, 인산칼슘 또는 카올린과 혼합된 경질 젤라틴 캡슐제 형태이거나, 또는 활성 성분이 물 또는 오일, 예를 들면, 땅콩유, 액상 파라핀 또는 올리브유와 혼합된 연질 젤라틴 캡슐 형태일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은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을 미분된 형태로 또는 나노 또는 마이크로화된 입자들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현탁제, 예를 들면,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알기네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라가칸트 검 및 아카시아 검; 분산제 또는 습윤제, 예를 들면, 레시틴 또는 알킬렌 옥사이드와 지방산의 축합 생성물(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장쇄 지방족 알콜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타놀,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지방산 및 헥시톨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장쇄 지방족 알콜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타놀,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지방산 및 헥시톨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와 함께 함유한다. 수성 현탁액은 또한, 하나 이상의 방부제, 예를 들면, 에틸 또는 프로필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산화방지제, 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 착색제; 향미제; 및/또는 감미제, 예를 들면, 슈크로스, 사카린 또는 아스파르탐을 함유할 수 있다.
오일성 현탁액은 활성 성분을 식물성 오일, 예를 들면, 낙화생유, 올리브유, 참기름 또는 코코넛유 중에서, 또는 광유, 예를 들면, 액상 파라핀 중에서 현탁시킴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오일성 현탁액은 또한, 증점제, 예를 들면, 밀랍, 경질 파라핀 또는 세틸 알콜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명시된 것들과 같은 감미제 및 향미제를 첨가하여 맛좋은 경구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의 첨가에 의해 보존될 수 있다.
물의 첨가에 의한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한 분산성 산제 및 과립제는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을 분산제 또는 습윤제, 현탁제 및 하나 이상의 방부제와 함께 함유한다.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는 이미 상기 언급된 것들로 예시된다. 추가의 부형제, 예를 들면, 감미제, 향미제 및 착색제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수중유 에멀젼의 형태일 수 있다. 오일성 상은 식물성 오일, 예를 들면, 올리브유 또는 낙화생유, 또는 광유, 예를 들면, 액상 파라핀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에멀젼제는, 예를 들면, 자연-발생 검, 예를 들면, 아카시아 검 또는 트라가칸트 검, 자연-발생 포스파타이드, 예를 들면, 대두, 레시틴, 지방산과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예를 들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상기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은 또한, 감미제, 향미제 및 방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시럽 및 엘릭시르는 감미제, 예를 들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아스파르탐 또는 슈크로스와 제형화될 수 있고, 또한 완화제, 방부제, 향미제 및/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멸균 주사 수성 또는 오일성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언급된 적절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공지된 절차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멸균 주사 제제는 또한, 비-독성의 비경구적으로-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 용액 또는 현탁액, 예를 들면,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일 수 있다.
흡입에 의한 투여용 조성물은 미분된 고체 또는 액적을 함유하는 에어로졸로서 활성 성분을 분산시키기 위해 배열된 통상적인 가압 에어로졸의 형태일 수 있다. 통상적인 에어로졸 추진제, 예를 들면, 휘발성 플루오르화 탄화수소 또는 탄화수소가 사용될 수 있고, 에어로졸 장치는 계측된 양의 활성 성분을 분산시키기 위해 편리하게 배열된다.
제형에 대한 추가의 정보에 대해서 독자는 문헌[참조: Chapter 25.2 in Volume 5 of Comprehensive Medicinal Chemistry (Corwin Hansch; Chairman of Editorial Board), Pergamon Press 1990]을 참조한다.
단일 용량형을 제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 배합된 활성 성분의 양은, 처리된 호스트 및 특정 투여 경로에 반드시 좌우될 것이다. 투여 경로 및 투약 용법에 대한 추가의 정보에 대해서 독자는 문헌[참조: Chapter 25.3 in Volume 5 of Comprehensive Medicinal Chemistry (Corwin Hansch; Chairman of Editorial Board), Pergamon Press 1990]을 참조한다.
사용 방법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 치료용 약제(medicament)의 제조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함을 포함을 포함하여,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용어 "치료학적 유효량"은 대상체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 예를 들면, 미코박테리움 감염 또는 결핵과 관련된 효소 또는 단백질 활성의 감소 또는 억제, 미코박테리움 감염 또는 결핵의 증상의 개선,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 또는 결핵의 진행의 둔화 또는 지연을 도출하는 본원에 기재된 공결정의 양을 포함한다. 몇몇 양태에서, 용어 "치료학적 유효량"은, 대상체에 투여되는 경우, 개선 미코박테리움 감염 또는 결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완화, 억제 및/또는 개선하고/하거나, 세균 성장, 복제 또는 대상체에서 미코박테리움의 세균 로딩을 감소 또는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본원에 기재된 공결정의 양을 포함한다.
용어 "대상체"는 온혈 포유 동물, 예를 들면, 영장류, 소, 양, 개, 고양이, 토끼, 래트, 들쥐, 바다표범 및 마우스를 포함한다. 몇몇 양태에서, 대상체는 영장류, 예를 들면, 사람이다. 몇몇 양태에서, 대상체는 미코박테리움 감염 또는 결핵을 앓고 있다. 몇몇 양태에서, 대상체는 치료가 필요하다(예를 들면, 대상체는 치료로부터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유익할 것이다).
용어 "억제하다(inhibit)," "억제(inhibition)" 또는 "억제하는(inhibiting)"은 생물학적 활성 또는 진행의 기본 활성의 감소를 포함한다.
용어 "치료하다(treat)," "치료하는(treating)" 및 "치료(treatment)"는 대상체에서 미코박테리움 감염 또는 결핵과 관련된 효소 또는 단백질 활성의 감소 또는 억제, 대상체에서 미코박테리움 감염 또는 결핵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개선, 또는 대상체에서 미코박테리움 감염 또는 결핵의 진행의 둔화 또는 지연을 포함한다.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또한, 세균 성장, 복제의 감소 또는 억제, 또는 대상체에서 미코박테리움의 세균 로딩의 감소 또는 억제를 포함한다.
용어 "미코박테리움 감염"은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컴플렉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예를 들면,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미코박테리움 보비스(Mycobacterium bovis), 미코박테리움 아프리카눔(Mycobacterium africanum), 미코박테리움 카네티(Mycobacterium canetti), 미코박테리움 카프레(Mycobacterium caprae), 미코박테리움 미크로티(Mycobacterium microti) 또는 미코박테리움 피리페디(Mycobacterium pinnipedii)의 종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유발된 감염을 포함한다. 몇몇 양태에서, 미코박테리움 감염은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감염이다.
용어 "결핵"은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컴플렉스 중 하나 이상의 종에 의한 대상체의 감염에 의해 유발된 질환을 언급한다. 용어 "결핵"은 잠복 결핵(LTBI: latent tuberculosis), 비-약물 내성 결핵, 다중 약물 내성 결핵(MDR-TB: multiple drug resistant tuberculosis) 및 광범위 약제 내성 결핵(XRD-TB: extensively drug resistant tuberculosis)을 포함한다. 용어 "잠복 결핵"은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컴플렉스 중 하나 이상의 종에 의해 유발된 대상체의 감염을 포함하지만, 여기서, 대상체는 결핵 질환의 증상을 반드시 나타내지는 않는다. 용어 "비-약물 내성 결핵"은 표준 결핵 치료요법에 대한 항균 내성을 나타내지 않는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컴플렉스 중 하나 이상의 종에 의한 감염에 의해 유발된 결핵을 포함한다. 용어 "다중 약물 내성 결핵(MDR-TB)"은 리팜피신 및 이소니아지드에 내성인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컴플렉스 중 하나 이상의 종에 의한 감염에 의해 유발된 결핵을 포함한다. 용어 "광범위 약제 내성 결핵(XRD-TB)"은, 리팜피신 및 이소니아지드 뿐만 아니라 퀴놀론 패밀리의 임의의 구성원에 내성이고 또한 카나마이신, 카프레오마이신 및 아미카신 중 적어도 하나에 내성인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컴플렉스 중 하나 이상의 종에 의한 감염에 의해 유발된 결핵을 포함한다. 몇몇 양태에서, 결핵 감염은 급성이다. 몇몇 양태에서, 결핵 감염은 만성이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DprE1을 억제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DprE1 억제용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몇몇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세포를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여, DprE1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병용물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단일 치료요법으로서 적용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기타 물질 및/또는 치료를 수반할 수 있다. 이러한 동시-치료는 치료의 개별 성분들의 동시, 순차 또는 개별 투여 방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여는 순차 또는 개별이고, 제2 성분 투여시의 지연은, 예를 들면, 병용물의 유익한 효과를 상실해서는 안된다. 적합한 부류 및 물질은 미코박테리움 감염 및/또는 결핵, 예를 들면, 예를 들면, 리팜피신, 이소니아지드, 피리진아미드, 에탐부톨, 퀴놀론(예를 들면, 시프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목시플록사신 및 가티플록사신), 아미노글리코시드(예를 들면, 스트렙토마이신, 카나마이신 및 아미카신), 폴리펩티드(예를 들면, 카프레오마이신, 비오마이신 및 엔비오마이신), 리파부틴, 클라리트로마이신, 리네졸리드, 티오아세타존, 티오리다진, 아르기닌, 비타민 D 및 R207910의 치료에 유용한 하나 이상의 항균제를 포함한다.
실시예
모든 무수 용매, 크로마토그래피용의 시약 등급 용매 및 출발 물질은 Sigma Aldrich Chemical Co. 또는 Fisher Scientific로부터 구입하였다. 물은 증류시키고, Milli-Q 워터 시스템(Millipore Corp., Bedford, MA)을 통해 정제하였다. 화합물의 일반적인 정제 방법은 Grace Purification systems으로부터 구입한 실리카 카트리지의 사용을 포함한다. 반응은, 미리코팅된 Merck 60 F254 실리카 겔 플레이트 상에서 TLC로 모니터링하고 UV 광(254nm)을 사용하여 시각화하였다. 모든 화합물들은 HPLC에 의해 순도를 분석하였고, Bruker 300 MHz NMR 및/또는 Bruker 400 MHz NMR 분광계를 사용하여 1H NMR로 특성확인하였다. 화학적 이동은 상응하는 스펙트럼에서 잔류 용매 피크에 대해 ppm(δ)으로 기록된다; 클로로포름 δ 7.26, 메탄올 δ 3.31, DMSO-d6 δ 3.33 및 결합 상수(J)는 hertz(Hz)로 기록되고(여기서, s = 단일선, bs = 브로드한 단일선, d = 이중선, dd = 이중 이중선, bd = 브로드한 이중선, ddd = 이중선의 이중 이중선, t = 삼중선, tt = 삼중 삼중선, q = 사중선, m = 다중선), ACD NMR 데이타 처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값은 m/z로 기록된다. 모든 반응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질소 하에 수행되었다. 용매들을 회전 증발기에서 진공 중에서 제거하였다.
약어: NMP = N-메틸 피롤리딘; HCl = 염산;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NaH = 수소화나트륨. EI = 전자분무 이온화; HRMS = 고분해능 질량분광법.
도 6은 중간체 3 내지 9의 합성을 위한 합성 도식 1을 나타낸다.
중간체 3 : 무수 DMF 중의 NaH(60%)의 교반된 현탁액에, 디에틸 말로네이트를 30분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에, 치환된 2-클로로-3-니트로피리딘을 1시간에 걸쳐 분할 방식으로 첨가하고, 내용물을 실온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내용물을 80℃에서 30분의 기간에 걸쳐 가열하고,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DMF를 진공 하에 반응 혼합물로부터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로 희석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의 pH를 5 내지 6 범위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회전 증발에 의해 농축시켜 오렌지색의 오일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화합물을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4 : DMSO:H2O 중의 중간체 3의 교반된 용액에, LiC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악한 생성물은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4를 수득하였다.
중간체 5 : DMF 중의 중간체 4의 교반된 용액에, DMF-DMA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상기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중간체 5를 수득하였다. 조악한 물질을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 취하였다.
중간체 6 : 아세트산 중의 중간체 5의 교반된 용액에, Fe-분말을 한번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로 희석시키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악한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6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7 : DMF 중의 중간체 6 및 K2CO3 의 교반된 용액에, 아릴 할라이드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중간체 7을 고체 또는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또는
중간체 6 및 K2CO3을 질소 대기하에 무수 DMF에 가하였다. 이에 아릴 할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물을 8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F를 증발 건조시키고, 물로 희석시키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정제는 콤비플래쉬 시스템에서 수행하여 중간체 7을 고체 또는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또는
중간체 6을 DMF 질소 대기 하에 DMF 중에 용해시켰다. 이에 NaH를 0℃에서첨가하였다. 5분 후에, 아릴 할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빙수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농축시켰다. 정제는 콤비플래쉬 시스템에서 수행하여 중간체 7을 고체 또는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8 : 에탄올 중의 중간체 7의 용액에, 물 중의 수산화리튬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중간체 8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또는
메탄올 중의 중간체 7의 용액에, 물 중의 수산화리튬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아세트산으로 중성화시켜 중간체 8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도 7은 중간체 11 내지 15의 합성을 위한 합성 도식 2를 나타낸다.
중간체 11 : 메탄올 중의 2-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5g, 27.60mmol)의 용액에, 나트륨 메톡사이드(2.98g, 55.20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물(100mL)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2×5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11)을 담황색 액체(4g, 82.1%)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2: 아세토니트릴(50mL) 중에 용해된 2-메톡시 5-(트리플루오로메틸) 피리딘(4g, 22.58mmol)의 교반된 용액에, NBS(6g, 33.87mmol)를 분할 방식으로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물(100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3-브로모-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12)을 담황색 액체(2g, 34.7%)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3: 메탄올(10mL)/톨루엔(10mL)의 혼합물 중에 용해된 3-브로모-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3)(1.2g, 4.68mmol)의 교반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1mL, 7.65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70mg, 0.102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O[5kg] 하에 80℃에서 12시간 동안 카보닐화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시켜 조악한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악한 화합물을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함으로써 정제하여 메틸 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티네이트(13)를 액체(0.5g, 45.4%)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4 : DCM 중에 용해된 메틸 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티네이트(13)(0.5g, 2.12mmol)의 용액에, DIBAL-H(6.38mL, 톨루엔 중 1M)를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NH4Cl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25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메탄올(14)을 담황색 액체(0.4g, 90%)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5 : DCM 중에 용해된 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메탄올(14)(0.4g, 1.93mmol)의 용액에 염화티오닐(0.38mL, 3.86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물(50mL)에 부어넣고, DCM(2×5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3-(클로로메틸)-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15)을 액체로서 수득하였다(수율 0.3g, 69.76%)
도 8은 중간체 17 내지 21의 합성을 위한 합성 도식 3을 나타낸다.
중간체 17 : 메탄올(50ml) 중의 2,6-디클로로-5-플루오로니코틴산(16)(5g, 23.8mmol)의 용액에, 염화티오닐(5.66g, 47.62mmol)을 0℃에서 적가하고, 2방울의 DMF[격렬한 버블링이 관찰되었다]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빙냉수(20ml)에 부어넣고, 디클로로메탄(2×5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메틸 2,6-디클로로-5-플루오로니코티네이트(17)(5g, 93.8%)를 수득하였다.
중간체 18 : 메틸 2,6-디클로로-5-플루오로니코티네이트(17)(3.5g 15.62mmol), 트리메틸보록신(1.96g, 15.62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1.276g, 1.562mmol) 및 탄산세슘(15.27g, 46.86mmol)의 혼합물을 11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물에 이어서 염수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0 내지 30% EtOAc/헵탄의 구배를 사용하여 플래쉬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메틸 2-클로로-5-플루오로-6-메틸니코티네이트(18) 0.8g을 무색 고체(0.8g, 25%)로서 제공하였다.
중간체 19 : THF(35mL) 중의 메틸 2-클로로-5-플루오로-6-메틸니코티네이트(18)(0.8g, 3.92mmol)의 교반된 용액에, 나트륨 메탄올레이트(0.42g, 7.85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디클로로메탄(2×5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1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메틸 5-플루오로-2-메톡시-6-메틸니코티네이트(19)(250mg, 32%)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중간체 20 : MDC 중의 메틸 5-플루오로-2-메톡시-6-메틸니코티네이트(19)(0.25g,mmol)의 용액에, DIBAL-H(2.5mL, 톨루엔 중의 1M)를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포화된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DCM(2×5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5-플루오로-2-메톡시-6-메틸피리딘-3-일)메탄올(20)을 액체(0.2g, 90%)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21 : DCM 중의 (5-플루오로-2-메톡시-6-메틸피리딘-3-일)메탄올(20)(0.2g, 1.16mmol)의 용액에, 염화티오닐(0.278g, 2.33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물(50mL)에 부어넣고, DCM(2×5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3-(클로로메틸)-5-플루오로-2-메톡시-6-메틸피리딘(21)을 담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0.2g) 90%.
도 9는 중간체 23 내지 25의 합성을 위한 합성 도식 4를 나타낸다.
중간체 23: 디옥산(20mL) 중에 용해된 에틸 6-클로로-5-메틸피리미딘-4-카복실레이(35)(0.9g, 4.48mmol)의 용액에, THF(1M, 22.43mL, 22.43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mL, 22.43mmol) 중의 디메틸 아민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시키고, EtOAc(2×5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에틸 6-(디메틸아미노)-5-메틸피리미딘-4-카복실레이트(23)를 담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0.4g (43%).
중간체 24 : MeOH (10mL) 중의 에틸 6-(디메틸아미노)-5-메틸피리미딘-4-카복실레이트(23)(0.4g, 1.91mmol)의 교반된 용액에, NaBH4(0.14g, 3.82mmol)를 0℃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물(20mL)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3×3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6-(디메틸아미노)-5-메틸피리미딘-4-일)메탄올(24)을 수득하였다; 0.1g, (31.3%).
중간체 25 : DCM 중의 (6-(디메틸아미노)-5-메틸피리미딘-4-일)메탄올(24)(0.1g, 0.60mmol)의 용액에, 염화티오닐(0.14g, 1.1961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 6-(클로로메틸)-N,N,5-트리메틸피리미딘-4-아민(25)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0.1g 90.9%).
도 10은 중간체 27 내지 30의 합성을 위한 합성 도식 5를 나타낸다.
중간체 27 : THF 용액(10ml) 중의 2-클로로-6-트리플루오로 메틸 피리딘(1.0g, 5.5mmol)을 무수 THF(15ml) 중의 LDA(4.58mL, 8.2mmol)의 차가운(-78℃에서)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78℃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THF(4ml) 중의 요오드화메틸(0.705ml, 0.0082mol)을 첨가하였다. -75℃에서 4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한 다음, 동일한 온도에서 물(10ml)로 켄칭시키고, 2시간 후에 0℃에서 물(15ml)을 추가로 첨가하였다. 조악한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합한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여 조악한 고체를 수득하고, 이를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 내지 10%))로 정제하여 27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0.6g, 33%).
중간체 28 : 작은 클레이브 장치에서, 2-클로로-3-메틸-6-(트리플루오로 메틸)피리딘(27)(0.5g, 2.5mmol)을 MeOH(10ml) 중에 용해시키고, TEA(0.5ml, 3.7mmol)를 첨가하고, 이를 질소로 15분 동안 탈기시킨 다음, Pd(dppf)Cl2.DCM 착물(0.061g, 0.075mmol)을 첨가하였다. 작은 클레이브를 CO 가스(75Psi, 5kg)로 충전시키고, 75℃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헥산(0 내지 10%))로 정제하여 메틸 3-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피콜리네이트(28)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80mg, 49.9%).
중간체 29: -78℃에서 DCM(10ml) 중의 메틸 3-메틸-6-(트리플루오로 메틸)피콜리네이트(0.28g)의 용액에, DIBAL-H(1.92ml, 1.91mmol)를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 도달하도록 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RM을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3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3-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메탄올(29)을 제공하였다. 조악한 알콜을 다음 단계에 직접 취하였다(180mg, 72%).
중간체 30: DCM(5ml) 중의(3-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메탄올(29)(0.18g,0.94mmol)의 용액에, 염화티오닐(0.112g, 0.95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헥산으로 세척하여 2-(클로로메틸)-3-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0)을 수득하였다. 조악한 고체를 다음 단계에 직접 취하였다(180mg, 91.8%).
도 11은 중간체 32 내지 33의 합성을 위한 합성 도식 6을 나타낸다.
중간체 32: MeOH(10ml) 중의 1-(2,4-디메틸페닐)에탄-1-온(1.0g, 0.0067mol의 교반된 용액에, NaBH4(0.77g, 0.0.020mol)를 분할 방식으로 0℃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혼합물을 빙냉수(2.5ml)로 켄칭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EtOAc(3×15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악한 혼합물을 단지 실리카 겔의 패드를 통해 통과시키고, 3:1 헥산:EtOAc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 32를 백색 고체(0.9g, 88.8%)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33: CH2Cl2(10ml) 중의 1-(2,4-디메틸페닐)에탄-1-올(32)(0.9g, 0.006mol)의 교반된 용액에, 삼브롬화인(0.85mL, 0.009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추가의 2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켄칭시키고, CH2Cl2(3×15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생성물(33)을 밝은 오렌지색 고체(900mg, 70.8% 수율)로서 제공하였다.
도 12는 중간체 35 내지 37의 합성을 위한 합성 도식 7을 나타낸다.
중간체 35: 메탄올(20ml) 중의 2,5-디브로모-3-메틸피리딘(1)(3g, 12.1mmol)의 용액에, 나트륨 메톡사이드(2M, 20mL)를 첨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부어넣고, 수성 염산(1M)으로 중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2×15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5-브로모-2-메톡시-3-메틸-피리딘(35)을 제공하고, 이는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되었다(1.9g, 77.8%).
중간체 36: DMF(10ml) 중의 5-브로모-2-메시-3-메틸-피리딘(1.0g, 5.0mmol)의 용액에, CuCN(0.534g, 6.0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8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혼합물을 EtOAc로 희석시키고, 10% 암모니아 용액에 이어 물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5% EtOAc/헥산)로 정제하여 5-시아노-2-메톡시-3-메틸-피리딘(36)(0.68g, 93%)을 제공하였다.
중간체 37: CCl4(10mL) 중의 메틸 5-시아노-2-메톡시-3-메틸-피리딘(36) (0.25g, 1.7mmol)의 용액에, N-브로모석신이미드(346mg, 1.7mmol)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13.0mg, 0.085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켜 5-(브로모메틸)-6-메톡시 니코티노니트릴(37)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80mg, 46.9%).
도 13은 중간체 39 내지 44의 합성을 위한 합성 도식 8을 나타낸다.
중간체 39: 1.8L의 무수 EtOH 중의 38(300g, 2.94mol) 및 에틸 프로피오네이트(429.4g, 2.94mol)의 용액에, NaOEt(300g, 4.41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에, 상기 혼합물을 6N HCl을 사용하여 pH = 7로 조정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로 희석시킨 다음,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켜 생성물 39(400g, 67%)를 적색 액체로 제공하고, 이는 다음 단계에 추가로 정제하지 않았다.
Figure pct00016
중간체 40: EtOH(2000mL) 중의 39(300g, 1.485mol), 포름이미드아미드 아세테이트(225g, 2.12mol) 및 NaOEt(160g, 2.36mol)의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냉각시킨 후에, 혼합물을 6N HCl을 사용하여 pH = 7로 조정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로 희석시킨 다음,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DCM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켰다. 조악한 생성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PE: EtOAc =1:1--순수한 EtOAc)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백색 고체(80g, 30%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7
중간체 41: POCl3(800g) 중의 40(80g, 0.44mol)의 용액을 4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냉각시킨 후에, 과량의 POCl3을 감압하에 제거하여 41(88g 조악, 100% 수율)을 검은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018
중간체 42: CH3OH(1L) 중의 41(88g, 0.4mol)의 용액에 CH3ONa(40g, 0.74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N HCl을 사용하여 pH = 7로 조정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로 희석시킨 다음,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켰다. 조악한 생성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PE: EtOAc =5:1)로 정제하여 42(10g, 14%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9
중간체 43: CH3OH(100mL) 중의 42(10g, 0.057mol)의 용액에 NaBH4(10g, 0.29mol)를 0℃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을 실온으로 승온되도록 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물과 EtOAc 사이에 분배하였다. 물 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켜 43(7.5g, 85%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0
중간체 44: DCM(150mL) 중의 43(7.5g, 48.7mmol)의 용액에 SOCl2(75g, 0.64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을 실온으로 승온되도록 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나타냈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켜 44(8.3g, 99% 수율)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021
도 14는 중간체 41 내지 47의 합성을 위한 합성 도식 9를 나타낸다.
중간체 41 : POCl3(1000ml) 중의 에틸 6-하이드록시-5-메틸피리미딘-4-카복실레이트 40(100g, 549mmol)의 용액을 밀봉 튜브에서 100℃로 5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과량의 POCl3을 감압하에 제거한 다음, 빙수로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에틸 6-클로로-5-메틸피리미딘-4-카복실레이트 41을 검은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80g(72%). 이러한 물질을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45: 디옥산(800ml) 중에 용해된 에틸 6-클로로-5-메틸피리미딘-4-카복실레이트(41)(80g, 398.0mmol)의 용액에 THF(2M, 600mL, 1196.0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30mL, 1990.0mmol) 중의 디메틸 아민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시키고, EtOAc(2×5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에틸 6-(디메틸아미노)-5-메틸피리미딘-4-카복실레이트(45)를 담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60g(72%).
중간체 46: EtOH(600mL) 중의 에틸 6-(디메틸아미노)-5-메틸피리미딘-4-카복실레이트(45)(60.0g, 287.0mmol)의 교반된 용액에 NaBH4(21.82g, 574.0mmol)를 분할 방식으로 0℃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물(200mL)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3×10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6-(디메틸아미노)-5-메틸피리미딘-4-일)메탄올(46)을 수득하였다; 47g, (97%).
중간체 47 : DCM 중의 (6-(디메틸아미노)-5-메틸피리미딘-4-일)메탄올(46)(40g, 239mmol)의 용액에 염화티오닐(35mL, 478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 6-(클로로메틸)-N,N,5-트리메틸피리미딘-4-아민(47)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40g(90.9%);
Figure pct00022
도 15는 중간체 48a 및 48b 내지 50의 합성을 위한 합성 도식 10을 나타낸다.
중간체 48b : 환저 플라스크(5L)에, 에틸 6-하이드록시-5-메틸피리미딘-4-카복실레이트 40(85g, 466mmol), 클로로디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 염(106.7g, 699mmol), 탄산나트륨(98.9g, 933mmol), 아세토니트릴(1500ml) 및 DMF(425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LCMS로 모니터링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포화된 염화암모늄으로 중성화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악한 화합물을 (3 내지 4%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여과하여 에틸 6-(디플루오로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카복실레이트 48b를 담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4g(13%).
중간체 49: 에탄올(200mL) 중의 6-(디플루오로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카복실레이트 48b(14g, 60.30mmol)의 교반된 용액에, NaBH4(4.58g, 120.59mmol)를 0℃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6-(디플루오로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탄올 39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8.4g(73.3%).
중간체 50: DCM(150ml) 중에 용해된 (6-(디플루오로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탄올 49(15g, 78.94mmol)의 용액에 염화티오닐(8.59mL, 118.42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펌프 하에 제거하여 4-(클로로메틸)-6-(디플루오로메톡시)-5-메틸피리미딘 50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4g(85%);
Figure pct00023
실시예 1 : 1-(1-(2,6- 디플루오로페닐 )에틸)-N-(2-플루오로에틸)-1H-피롤로[3,2-b] 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24
참조 도 16(a). 1-(1-(2,6-디플루오로페닐)에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0.090g, 0.30mmol), 2-플루오로에탄아민(0.019g, 0.30mmol) 및 트리에틸아민(0.166mL, 1.19mmol)을 N2 하에 DCM(15mL)에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5분 후에,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0.379g, 1.19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은 필요한 생성물의 형성을 나타냈다. 반응을 DCM 및 물로 희석시켰다. DCM 층을 추출시키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정제를 Waters RP 시스템에서 수행하여 생성물 1-(1-(2,6-디플루오로페닐)에틸)-N-(2-플루오로에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0.040g, 38.7%)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5
실시예 2: N-(사이클로프로필메틸)-1-(5-플루오로-2-메톡시벤질)-7-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26
참조 도 16(b). 디클로로메탄(10mL) 중의 1-(5-플루오로-2-메톡시벤질)-7-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0.22g, 0.000699mol)의 교반된 용액에 2-플루오로에탄-1-아민(0.06g, 0.000836mol), 트리에틸아민(0.29mL, 0.002mol) 및 T3P(1.32mL, 0.002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조악한 물질을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사이클로프로필메틸)-1-(5-플루오로-2-메톡시벤질)-7-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24%.
Figure pct00027
실시예 3 : N-(2-플루오로에틸)-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28
참조 도 16(c).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250mg, 0.84mmol)을 질소 공급원에 연결된 공기 냉각기를 갖춘 100ml 단일 구(single necked)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DCM(10mL)을 첨가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트리에틸 아민(1.162mL, 8.38mmol)을 첨가하여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1.497mL, 2.51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2-플루오로에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83mg, 0.84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현탁액을 관찰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DCM으로 희석시키고, 물을 첨가하고, DCM 층을 분리하고,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DCM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화합물을 정제하였다. 수율-52%.
Figure pct00029
실시예 4: N-(사이클로프로필메틸)-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1H- 피롤로[3,2-b]피리딘 -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0
참조 도 16(b).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200mg, 0.67mmol)을 DCM(10mL)에 첨가하였다.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427mg, 1.34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트리에틸 아민(339mg, 3.35mmol) 및 사이클로프로필메탄아민(95mg, 1.34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물을 첨가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유기 층을 증발시켜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74%.
Figure pct00031
실시예 5 : 1-(2,3- 디플루오로 -6-메톡시벤질)-N-(2-플루오로에틸)-1H- 피롤 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2
참조 도 17(a). 50mL 환저 플라스크에서 N-(2-플루오로에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0.1g, 0.48mmol)를 DMF(10mL)에 첨가하여 무색 현탁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탄산칼륨(0.200g, 1.45mmol) 및 2-(브로모메틸)-3,4-디플루오로-1-메톡시벤젠(0.114g, 0.48mmol)을 첨가한 다음, RM을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LCMS로 모니터링하였다. DMF를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물을 첨가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조악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조악한 물질을 역상 분취용 HPLC 시스템에서 정제하여 1-(2,3-디플루오로-6-메톡시벤질)-N-(2-플루오로에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0.060g, 34.2%)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3
실시예 6 : 1-((5-플루오로-2-메톡시피리딘-3-일)메틸)-N-(2-메톡시에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4
참조 도 17(b). 1-((5-플루오로-2-메톡시피리딘-3-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100mg, 0.33mmol)을 디클로로메탄(15mL)에 첨가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트리에틸 아민(230mL, 1.66mmol)을 참가하여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198mL, 0.66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2-메톡시에탄아민(74.8mg, 1.00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반응물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물,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DCM 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악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용리액으로서 메탄올 및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율- 63%.
Figure pct00035
실시예 7 : 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N-(2-메톡시에틸)-1H- 피롤로[3,2-b]피리딘 -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6
참조 도 17(c).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200mg, 0.67mmol)을 DCM(10mL)에 용해시켜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트리에틸 아민(0.929mL, 6.70mmol)을 첨가하여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1.197mL, 2.01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2-메톡시에탄아민(151mg, 2.01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반응물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물, 염수 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증발시켜 조악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율-90%.
Figure pct00037
실시예 8 : N-(2-플루오로에틸)-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8
참조 도 17(d).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0.190 gm, 0.61mmol) 및 2-플루오로에탄아민(0.077g, 1.22mmol), TEA(0.254mL, 1.83mmol)를 첨가하였다. 3분 후에,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0.484g, 1.52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으로 필요한 생성물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반응을 DCM 및 물로 희석시켰다. DCM 층을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정제를 Waters RP 시스템에서 수행하여 생성물 N-(2-플루오로에틸)-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0.090g, 41.4%)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9
실시예 9 : N-(2-하이드록시에틸)-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0
참조 도 18(a).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1g, 3.35mmol)을 DCM(20mL)에 첨가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트리에틸 아민(1.394mL, 10.06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3.991mL, 6.70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에탄올 아민(6.02mL, 10.06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DCM으로 희석시킨 다음, 물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조악한 화합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율-45%.
Figure pct00041
실시예 10 : N-(사이클로프로필메틸)-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2
참조 도 18(b).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0.100g, 0.32mmol) 및 사이클로프로필메탄아민(0.046g, 0.64mmol), TEA(0.134mL, 0.96mmol)를 첨가하였다. 3분 후에,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0.255g, 0.80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으로 필요한 생성물의 형성을 나타냈다. 반응을 DCM 및 물로 희석시켰다. DCM 층을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정제를 Waters RP 시스템에서 수행하여 생성물 N-(사이클로프로필메틸)-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0.045g, 38.5%)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3
실시예 11 : 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N-(2-메톡시에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4
참조 도 18(c).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0.100g, 0.32mmol) 및 2-메톡시에탄아민(0.048g, 0.64mmol), TEA(0.134mL, 0.96mmol)를 첨가하였다. 3분 후에,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0.255g, 0.80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으로 필요한 생성물의 형성을 나타냈다. 반응을 DCM 및 물로 희석시켰다. DCM 층을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정제를 Waters RP 시스템에서 수행하여 생성물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N-(2-메톡시에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0.045g, 38.0%)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5
실시예 12 : N-(2- 플루오로에틸 )-1-((3- 메틸 -4-(2,2,2- 트리플루오로에톡시 )피리딘-2-일) 메틸 )-1H- 피롤로[3,2-b]피리딘 -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6
참조 도 18(d). 1-((3-메틸-4-(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100mg, 0.27mmol)을 DCM(10mL)에 첨가하여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트리에틸 아민(0.190mL, 1.37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0.326mL, 0.55mmol) 중의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5분 동안 교반하였다. 2-플루오로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54.5mg, 0.55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DCM으로 희석시킨 다음, 물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조악한 화합물을 용리액으로서 메탄올 및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율-49%.
Figure pct00047
실시예 13 : N-(2-플루오로에틸)-1-((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8
참조 도 19(a). 디클로로메탄(5mL) 중의 1-((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60mg, 0.177mmol)의 교반된 용액에 2-플루오로에탄-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26mg, 0.26mmol), 트리에틸아민(0.053g, 0.531mmol) 및 T3P(0.33g, 0.531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조악한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2-플루오로에틸)-1-((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5 mg. (22.3%).
Figure pct00049
실시예 14 : 1-((5-시아노-2-메톡시피리딘-3-일)메틸)-N-(2-플루오로에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0
참조 도 19(b). DCM 중의 1-((5-시아노-2-메톡시 피리딘-3-일) 메틸)-1H-피롤로[3,2-b] 피리딘-3-카복실산(0.10 gm,0.32mmol)의 용액에 TEA(0.0.98g, 0.135ml, 0.97mmol), 2-플루오로에탄-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095g, 0.97mmol) 및 T3P(0.308g, 0.97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악한 생성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5-시아노-2-메톡시피리딘-3-일)메틸)-N-(2-플루오로에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생성물을 고체(17mg, 14.9%)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51
실시예 15 : 1-((5-플루오로-2-메톡시피리딘-3-일)메틸)-N-(2-플루오로에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2
참조 도 19(c). 1-((5-플루오로-2-메톡시피리딘-3-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60mg, 0.19mmol) 및 2-플루오로에탄아민(21.60mg, 0.34mmol), TEA(0.080mL, 0.57mmol)를 첨가하였다. 3분 후에,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151mg, 0.48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으로 필요한 생성물의 형성을 나타냈다. 반응을 DCM 및 물로 희석시켰다. DCM 층을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정제를 Waters RP 시스템에서 수행하여 생성물 1-((5-플루오로-2-메톡시피리딘-3-일)메틸)-N-(2-플루오로에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25.00mg, 36.5%)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53
실시예 16 : (S)-N-(2-플루오로프로필)-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4
참조 도 19(d).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100mg, 0.32mmol)을 디클로로메탄(10mL)에 첨가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트리에틸 아민(0.133mL, 0.96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0.381mL, 0.64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R)-2-플루오로프로판-1-아민(49.4mg, 0.64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반응물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조악한 화합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율-75%.
Figure pct00055
실시예 17 : N-(2-하이드록시에틸)-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6
참조 도 20(a).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75mg, 0.24mmol)을 디클로로메탄(10mL)에 첨가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트리에틸 아민(0.0669mL, 0.48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0.286mL, 0.48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에탄올 아민(0.029mL, 0.48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반응물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DCM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악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율-52.7%.
Figure pct00057
실시예 18 : 1-((5-플루오로-2-메톡시-6-메틸피리딘-3-일)메틸)-N-(2-플루오로에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8
참조 도 20(b). 디클로로메탄(10mL) 중의 메틸 1-((5-플루오로-2-메톡시-6-메틸피리딘-3-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0.15g,0.47mmol)의 교반된 용액에 2-플루오로에탄-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71mg, 0.71mmol), 트리에틸아민(0.142g,1.41mmol) 및 T3P(0.9g, 1.41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5-플루오로-2-메톡시-6-메틸피리딘-3-일)메틸)-N-(2-플루오로에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30mg(18%).
Figure pct00059
실시예 19 : 6-플루오로-N-(2-플루오로에틸)-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60
참조 도 20(c). 6-플루오로-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20mg, 0.06mmol) 및 2-플루오로에탄아민(7.18mg, 0.11mmol), TEA(0.026mL, 0.19mmol)를 첨가하였다. 3분 후에,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50.3mg, 0.16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으로 필요한 생성물의 형성을 나타냈다. 반응을 DCM 및 물로 희석시켰다. DCM 층을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정제를 Waters RP 시스템에서 수행하여 생성물 6-플루오로-N-(2-플루오로에틸)-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20.00mg, 88%)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1
실시예 20 : 6- 브로모 -N-(2-플루오로에틸)-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62
참조 도 20(d). 디클로로메탄(10mL) 중의 6-브로모-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0.13g, 0.34mmol)의 교반된 용액에, 2-플루오로에탄-1-아민(0.06g, 0.68mmol), 트리에틸아민(0.1g, 1.02mmol) 및 T3P(0.32g, 1.02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농축시켰다. 조악한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후속적인 PREP 정제로 6-브로모-N-(2-플루오로에틸)-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25mg(17%).
Figure pct00063
실시예 21 : N-(2-플루오로에틸)-6-메틸-1-((3-메틸-4-(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64
참조 도 21(a). 6-메틸-1-((3-메틸-4-(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3,2-b] 피리딘-3-카복실산(111mg, 0.29mmol)을 디클로로메탄(10mL)에 첨가하였다. 트리에틸 아민(0.204mL, 1.46mmol)을 첨가하여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0.348mL, 0.59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2-플루오로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87mg, 0.88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악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을 용리액으로서 메탄올 및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율-44.3%.
Figure pct00065
실시예 22 : (S)-N-(2-플루오로프로필)-1-((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66
참조 도 21(b). 25mL 열 바이알(thermal vial)에, 1-((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100mg, 0.27mmol)을 충전시키고, HATU(125mg, 0.33mmol)를 NMP(4ml)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S)-2-플루오로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37.3mg, 0.33mmol) 및 트리에틸 아민(0.114mL, 0.82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조악한 물질을 역상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농축시켜 (S)-N-(2-플루오로프로필)-1-((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82mg, 70.6%)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7
실시예 23 : 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N-(2-(트리플루오로메톡시) 에틸)-1H- 피롤로[3,2-b]피리딘 -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68
참조 도 21(c).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40mg, 0.13mmol)을 질소 공급원에 연결된 공기 냉각기를 갖춘 50ml 단일 구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NMP(3mL, 31.17mmol)를 첨가하여 용액을 수득하였다. 트리에틸 아민(0.056mL, 0.40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2-(트리플루오로메톡시)에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44.4mg, 0.27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HATU(61.2mg, 0.16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몇 방울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투명한 용액을 역상 HPLC 정제하여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N-(2-(트리플루오로메톡시)에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15.00mg, 27.3%)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9
실시예 24 : (S)-1-((5-플루오로-2-메톡시피리딘-3-일)메틸)-N-(2-플루오로프로필)-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70
참조 도 21(d). 1-((5-플루오로-2-메톡시피리딘-3-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147mg, 0.47mmol)을 질소 공급원에 연결된 공기 냉각기를 갖춘 50ml 단일 구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NMP(3mL, 31.17mmol)를 첨가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HATU(213mg, 0.56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S)-2-플루오로프로판-1-아민(71.9mg, 0.93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에틸 아민(0.195mL, 1.40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악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악한 화합물을 Gilson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S)-1-((5-플루오로-2-메톡시피리딘-3-일)메틸)-N-(2-플루오로프로필)-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110mg, 63.0%)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1
실시예 25 : 2-사이클로프로필-N-(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72
참조 도 22.
3-니트로-1H-피롤로[3,2-b]피리딘(25b): 농축 H2SO4(50mL) 중의 화합물-1(5g, 0.042mol)의 용액에, 농축 HNO3(3mL, 0.063mol)을 -10℃에서 첨가하였다. 이 온도에서,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빙냉수(100mL)에 부어넣고, 수성 NaOH(10%)로 중성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2×10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3-니트로-1H-피롤로[3,2-b]피리딘(25b) 3g(43.4%)을 수득하였다.
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3-니트로-1H-피롤로[3,2-b]피리딘(25c): DMF(10mL) 중의 3-니트로-1H-피롤로[3,2-b]피리딘(25b)(0.5g, 3.04mmol) 및 K2CO3(0.5g, 9.12mmol)의 교반된 현탁액에 4-(클로로메틸)-6-메톡시-5-메틸피리미딘(0.7g, 6.09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물(50mL)에 부어넣고, 디클로로메탄(2×5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3-니트로-1H-피롤로[3,2-b]피리딘(25c)[300mg(33%)]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1H- 피롤로[3,2-b]피리딘 -3-아민(25d): 에탄올(5mL) 중의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3-니트로-1H-피롤로[3,2-b]피리딘(0.15g, 0.58mmol)의 용액에 Pd/C(0.03g)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벌룬 압력(balloon pressure) 하에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용매를 여과하고, 감압하에 증발시켜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아민(25d) 0.1g(74%)을 수득하였다.
2-사이클로프로필-N-(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1H- 피롤로[3,2-b]피리딘 -3-일)아세트아미드: 디클로로메탄(10mL) 중의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아민(25d)(0.1g, 0.37mmol)의 교반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15mL, 1.11mmol), T3P(0.35g, 1.11mmol) 및 2-사이클로프로필아세트산(0.037g, 0.37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물(20ml)에 부어넣고, 디클로로메탄(2×5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조악한 생성물을 헥산 중의 50%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사이클로프로필-N-(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일)아세트아미드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25mg(19%).
Figure pct00073
실시예 26 : 1-((5-플루오로-2,6-디메틸피리딘-3-일)메틸)-N-(2-플루오로에틸)-6- 메틸 -1H- 피롤로[3,2-b]피리딘 -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74
참조 도 23(a). 25mL 열 바이알에, 1-((5-플루오로-2,6-디메틸피리딘-3-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100mg, 0.32mmol)을 충전시키고, HATU(146mg, 0.38mmol)를 NMP(4ml)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2-플루오로에탄아민(20.13mg, 0.32mmol) 및 트리에틸 아민(133mL, 0.96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조악한 물질을 역상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농축시켜 1-((5-플루오로-2,6-디메틸피리딘-3-일)메틸)-N-(2-플루오로에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75mg, 65.6%)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5
실시예 27 : N-(2-하이드록시에틸)-6-메틸-1-((3-메틸-4-(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 피리딘-2-일) 메틸 )-1H- 피롤로[3,2-b]피리딘 -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76
참조 도 23(b). 6-메틸-1-((3-메틸-4-(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55mg, 0.14mmol) 및 NMP(13.95㎕, 0.14mmol)를 질소 공급원에 연결된 공기 냉각기를 갖춘 50ml 단일 구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HATU(66.2mg, 0.17mmol)를 첨가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에탄올 아민(17.50㎕, 0.29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트리에틸 아민(60.6㎕, 0.43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냈다. 조악한 화합물을 Gilson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순수한 N-(2-하이드록시에틸)-6-메틸-1-((3-메틸-4-(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15.00mg, 24.49%)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7
실시예 28 : (R)-N-(2-하이드록시프로필)-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6- 메틸 -1H- 피롤로[3,2-b]피리딘 -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78
참조 도 23(c).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75mg, 0.24mmol)을 열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DCM(5mL)을 첨가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트리에틸 아민(0.067mL, 0.48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0.286mL, 0.48mmol)을 첨가하였다. (R)-1-아미노프로판-2-올(36.1mg, 0.48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ON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DCM:MeOH 중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조악한 화합물을 역상 정제하여 (R)-N-(2-하이드록시프로필)-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35.0mg, 39.5%)를 화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9
실시예 29 : 1-((6-(디메틸아미노)-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N-(2-플루오로에틸)-6- 메틸 -1H- 피롤로[3,2-b]피리딘 -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80
참조 도 23(d). 1-((6-(디메틸아미노)-5-메틸피리미딘-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75mg, 0.23mmol)을 열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DCM(5mL)을 첨가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트리에틸 아민(0.064mL, 0.46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0.274mL, 0.46mmol)을 첨가하였다. 2-플루오로에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22.94mg, 0.23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ON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DCM:MeOH 중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조악한 화합물을 역상 정제하였다. 최종 화합물 1-((6-(디메틸아미노)-5-메틸피리미딘-4-일)메틸)-N-(2-플루오로에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12.00mg, 14.05%)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1
실시예 30 : N-(2,2- 디플루오로에틸 )-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 메틸 )-6- 메틸 -1H- 피롤로[3,2-b]피리딘 -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82
참조 도 24(a). 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100mg, 0.32mmol)을 열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DCM(3mL)을 첨가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트리에틸 아민(0.089mL, 0.64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0.381mL, 0.64mmol)을 첨가하였다. 2,2-디플루오로에탄아민(26.0mg, 0.32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ON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완료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DCM:MeOH 중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조악한 화합물을 역상 정제하여 N-(2,2-디플루오로에틸)-1-((6-메톡시-5-메틸피리미딘-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20.00mg, 16.64%)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3
실시예 31 : 1-(2,4-디메틸벤질)-N-(2-플루오로에틸)-1H- 피롤로[3,2-b] 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84
참조 도 24(b). 1-(2,4-디메틸벤질)-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200mg, 0.71mmol)을 질소 공급원에 연결된 공기 냉각기를 갖춘 100ml 단일 구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CH2Cl2(10mL)를 첨가하여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트리에틸아민(5mL, 35.87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1-프로필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2mL, 1.43mmol) 및 2-플루오로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42mg, 1.43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러한 조악한 화합물을 역상 정제하여 1-(2,4-디메틸벤질)-N-(2-플루오로에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50.00mg, 22%)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5
실시예 32 : N-(사이클로프로필메틸)-1-(2-플루오로-6-메톡시벤질)-1H- 피롤 로[ 3,2-b]피리딘 -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86
참조 도 24(c). 50mL 환저 플라스크에서 1-(2-플루오로-6-메톡시벤질)-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실산(.130g, 0.43mmol), 사이클로프로필메탄아민(0.040g, 0.56mmol) 및 TEA(0.181mL, 1.30mmol)를 N2 하에 DCM(10mL)을 첨가하였다. 이에,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0.317g, 1.00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물을 실온에서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으로 필요한 생성물의 형성을 나타냈다. 반응을 DCM 및 물로 희석시켰다. DCM 층을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정제를 Waters RP 시스템에서 수행하여 생성물 N-(사이클로프로필메틸)-1-(2-플루오로-6-메톡시벤질)-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0.060g, 39.2%)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7
실시예 33 : N-(2,2- 디플루오로에틸 )-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88
실시예 34 : 1-((6-(디메틸아미노)-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N-(2-하이드록시 에틸)-6-메틸-1H- 피롤로[3,2-b]피리딘 -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89
실시예 35 : 1-((6-( 디플루오로메톡시 )-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N-(2-하이드록시에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90
실시예 36 : N-(2-플루오로에틸)-6-메톡시-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91
Figure pct00092
실시예 37 : N-(2,2- 디플루오로에틸 )-6-메톡시-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93
실시예 38 : N-(2-하이드록시에틸)-6-메톡시-1-((6-메톡시-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94
실시예 39 : 1-((6-(디메틸아미노)-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N-(2-플루오로에틸)-6-메톡시-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95
실시예 40: N-(2,2- 디플루오로에틸 )-1-((6-(디메틸아미노)-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6-메톡시-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96
실시예 41: 1-((6-(디메틸아미노)-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N-(2-하이드록시에틸)-6-메톡시-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97
실시예 42: 1-((6-( 디플루오로메톡시 )-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N-(2-플루오로에틸)-6-메톡시-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98
실시예 43: N-(2,2- 디플루오로에틸 )-1-((6-( 디플루오로메톡시 )-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6-메톡시-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99
실시예 44: 1-((6-( 디플루오로메톡시 )-5- 메틸피리미딘 -4-일)메틸)-N-(2-하이드록시에틸)-6-메톡시-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100
실시예 45 : 1-((3,5- 디메틸피라진 -2-일)메틸)-N-(2-플루오로에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101
실시예 46 : N-(2,2- 디플루오로에틸 )-1-((3,5- 디메틸피라진 -2-일)메틸)-6-메틸-1H-피롤로[3,2-b]피리딘-3-카복스아미드
Figure pct00102
최소 억제 농도( MIC ) 및 최소 살균 농도(MBC)
MIC 측정에 사용된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Mtb) H37Rv ATCC 27294를 문헌[참조: Jayaram et. al. (200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성장시켰다. 모든 실험에 사용된 접종물은 -70℃에서 유지시킨 단일 종자 로트(lot)로부터 유도되었다. 간단히, Mtb를 롤러 병(roller bottle)에서 37℃에서 7 내지 10일 동안 0.2% 글리세롤, 0.05% Tween 80(Sigma), 및 10% 알부민 덱스트로스 카탈라아제(Difco Laboratories, Detroit, Mich.)로 보충된 Middlebrook 7H9 브로쓰(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7H9 브로쓰로 언급됨) 중에서 성장시켰다. 세포를 원심분리에 의해 수거하고, 7H9 브로쓰 중에서 2회 세척하고, 신선한 7H9 브로쓰 중에서 재현탁시켰다. 0.5ml의 분취량을 분배하고, 상기 종자-로트 현탁액을 -70℃에서 저장하였다. -70℃에서 24시간 후에, 하나의 바이알을 해동시키고, 콜로니 형성 단위 (CFU) 계수를 위해 플레이팅하였다. 모든 시험 화합물 스톡 및 희석물을 DMSO 중에서 준비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Mtb MIC는 일부 변형한 표준 미량희석법(standard microdilution method)(참조: Balganesh et. al. 2010)에 의해 7H9 브로쓰 중에서 측정하였다. 간단히, 1㎕의 시험 화합물의 일련의 2배 희석물을 384 웰 플레이트에 주입하였고, 이때 최종 농도는 100μM 내지 0.19μM 범위이다. 대조군 웰은 배지 및 배양물 대조군을 포함하였다. 40㎕(3 내지 7×105 CFU/ml)의 세균 배양물을 배지 대조군 웰을 제외한 모든 웰에 첨가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가스 투과성 폴리에틸렌 백(bag)에 패킹시키고, 37℃에서 5일 동안 항온배양하였다. 이러한 항온배양 기간 후에, 8㎕의 신선하게 준비된, 레사주린(Resazurin)(수 중 0.02%)과 10% Tween 80의 1:1 혼합물을 상기 모든 웰에 첨가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37℃에서 추가의 24시간 동안 재항온배양하였고, 모든 웰의 색상 변환을 기록하였다. 상기 웰에서의 청색은 성장이 없는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핑크색은 성장으로 기록되었다. 최소 억제 농도(MIC)는 청색으로부터 핑크색으로의 색 변화를 방지하는 최저 약물 농도로서 정의되었다. 575nm 및 610nm에서의 흡광도를 모니터링하고 이의 비를 계산하였다. 80% 억제를 수득하는 최소 농도를 MIC로 간주하였다. 이소니아지드는 이러한 검정을 위한 참조 약물로서 사용된다.
MIC 플레이트로부터 샘플 웰(MIC 및 그 이상)로부터의 분취액을 1:10으로 희석시키고, 7H10 한천 플레이트 상에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3 내지 4주 동안 항온배양하고, CFU를 계수(enumerate)하였다. 출발 CFU로부터 2 log10CFU의 감소를 초래한 최소 화합물 농도를 MBC로 간주하였다.
약물 민감성 및 단일 약물 내성 엠. 투베르쿨로시스 이솔레이트스( M. tuberculosis isolates) 대한 MIC
이러한 검정은 상기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설정하였지만, 항온배양 기간을 2 내지 3주로 연장하였다. 세포 성장을 탁도측정으로 모니터링하였고, 성장을 나타내지 않은 최소 농도가 MIC로 확인되었다. 단일 약물 내성 균주를 사용하여, 각각의 내성 마커 약물이 양성 대조군으로 포함되었다.
기타 세균(그램 양성 & 그램 음성)에 대한 MIC 측정 방법:
상이한 세균 균주(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RC517,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Streptococcus pneumoniae) ARC548,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 ARC446,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ARC158,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ARC523, 스케리키아 콜리 ARC524,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ARC545, 피. 아에루기노사(P. aeruginosa) ARC546, 클렙시엘라 뉴모니아(Klebsiella pneumoniae) ARC1865, 미코박테리움 스메그마티스(Mycobacterium smegmatis)(Msm) ATCC607, Msm mc2155 및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RC526)에 대한 MIC 값은, 양이온 조정된 Muller Hinton 브로쓰 배지에서 384 웰 포맷을 사용하여 임상 실험실 표준 협회(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CLSI) 가이드라인(참조: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2009)에 따라 측정하였다. 배지 대조군, 배양물 대조군 및 적절한 참조 약물 대조군을 포함시켰다. 성장은 600nm에서 흡광도를 체크함으로써 모니터링한다. 최소 억제 농도(MIC)는 ≥ 80%의 성장 억제를 초래하는 농도로 간주하였다.
7 H9 브로쓰 및 사람 THP -1 대식세포 에서의 사멸 키네틱
7H9 브로쓰에서 사멸 키네틱 검정은, Middlebrook 7H9 배지를 갖는 96-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200㎕ 용적에서 수행하였다. 화합물의 일련의 2배 희석물을 DMSO 중에서 별도로 제조하고, 이때 농도는 128 내지 0.25mg/L 범위이다. 이들 희석물 각각으로부터, 대략 3×107 CFU/mL의 MtbH37Rv를 함유하는 96-웰 플레이트에서 4㎕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37℃에서 항온배양하고, 0, 3, 7, 10, 14일째에, 분취액을 Middlebrook 7H9 브로쓰 중에서 희석시키고, Middlebrook 7H11 한천 플레이트 상에 플레이팅하였다. 세균 콜로니를 21 내지 28일 후에 계수하였다. 데이타는 각각의 약물 처리에 대해 log10CFU로서 표현하였다.
THP -1 대식세포 에서 1,4- 아자인돌의 내포내 효능
THP-1 세포(ATCC)를 75cm2 플라스크에서 배양하여 2mM L-글루타민으로 보충된 10% 소 태아 혈청(Sigma, St. Louis, Mo.)을 갖는 RPMI 1640을 사용하여 컨플루언스시켰다. 밀도가 500,000 세포/mL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세포를 5% CO2 및 95% 공기를 갖는 37℃ 항온배양기에서 성장시켰다. 배양물로부터, 1 내지 2×105 세포/mL의 밀도에서의 세포를 37℃에서 2시간 동안 1:10 (대식세포:세균)의 감염 다중도(multiplicity of infection)(MOI)로 M. 투베르쿨로시스 H37Rv로 감염시켰다(뱃치 감염). 2시간 후에, 상기 세포를 예열된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로 2회 세척하여 세포외 세균을 제거한 다음, 완료된 RPMI1640에 재현탁시켰다. 40nM 농도의 포르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Sigma)를 사용하여 상기 세포를 대식세포로 분화시키고, 37℃에서 24시간 동안 96-웰 플레이트에 부착되도록 하였다. 24시간 후에, 다양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을 단층에 첨가하고, 7일 동안 항온배양한다. 상기 대식세포 단층을 현미경 하에 주기적으로 관찰하여 약물 독성으로 인한 세포 모폴로지에서의 불리한 변화를 관찰하였다. 약물 처리 시작시 그리고 처리 후 7일째에, 상기 단층을 온화하게 세척하고, 0.04% SDS로 용해시키고, Middlebrook 7H11 한천 플레이트 상에 플레이팅하였다. 세균 콜로니를 21 내지 28일 후에 계수하였다. 데이타는 각각의 약물 처리에 대해 log10CFU로서 표현하였다.
저산소증 유도된 비-복제 지속성( NRP ) Mtb 세포에 대한 항균 활성
M. 투베르쿨로시스 H37Rv 배양물을, 약간 수정하여 문헌[참조: Wayne and Hayes (1996)]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저산소 조건에 적용하였다. 간단히, Mtb 세포를 0.5의 한정된 헤드-스페이스 비(head-space ratio)(HSR)를 사용하여 자기 비드를 갖춘 매카트니 병(McCartney bottle)에서 Dubos Tween 브로쓰에서 성장시켰다. 메틸렌 블루를 산화환원 지시약(1.5㎍/mL의 최종 농도)으로서 모든 병에 첨가하여 산소 고갈을 모니터닝하였다. 상기 매카트니 병을, 37℃ 항온배양기 내부에 180rpm에서 설정된 자기 교반기 상에 위치시켰다. 상기 메틸렌 블루 지시약은 8일까지 퇴색하기 시작하여 12일까지 완전히 탈색되었다. NRP Mtb 세포에 대한 각종 화합물의 항균 활성은 MIC 측정 부분 하에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14일 된 저산소 적용된 배양물을 사용하여 96-웰 미세역가 플레이트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검정은 저산소 챔버(DuPoy)에서 저산소 세포를 37℃에서 7일 동안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에 노출시킴으로써 수행하였다. 혐기성 지시약 스트립을 상기 챔버 내에 위치시켜 전체 과정 동안에 산소 제거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세균 계수를 Middlebrook 7H11 한천 플레이트 상에서 수행하였다. 이소니아지드 및 니제리신을 검정시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이소니아지드는 엄격한 NRP 상태를 나타내는 10μg/mL의 농도에서도 세균 CFU에서의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데이터는 각각의 약물 처리에 대한 log10CFU로 표현된다.
A549 세포독성
화합물의 시험관내 세포독성은 문헌[참조: Eakin et. al (20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A549 사람 폐 암종 세포에 대해 측정되었다. 간단히, A549 세포(ATCC)를 ~ 1,000개 세포/웰의 밀도로 10% 열(heat)-불활성화된 소 태아 혈청(GIBCO-BRl) 및 1mM L-글루타민(GIBCO-BRL)을 함유하는 RPMI 배지(GIBCO-BRL)에서 성장시켰다. 상기 세포를 CO2 대기 중에서 37℃에서 72시간 동안 화합물로 항온배양한 후에, 세포 생존율은, 형광분석기를 사용하여 형광(535nm에서 여기, 590nm에서 방출)을 측정함에 의해, 10μM의 레사주린 용액(Sigma)을 첨가한 후에 측정하였다. 성장이 50%까지 억제되는 농도를 IC50 값이라 한다.
돌연변이체 생성, 내성 빈도 & 전체 게놈 서열분석 & 분석
내성 돌연변이체 균주의 생성 및 내성 빈도
자발적인 내성 돌연변이체는 단일 단계 선택 방법을 사용하여 화합물 31 & 32에 대해 발생하였다. 간단히, Mtb H37Rv의 중간-대수기 배양물을 원심분리시키고 100배 농축시켜 ~ 1010CFU/mL의 세균 수를 달성하였다. 세균 배양물의 다양한 희석물을, 화합물 함유 플레이트(4배, 8배 및 16배 MIC 농도에 상응하는 농도) 상에 플레이팅시켰다. 세균 배양물의 적절한 희석물을 또한, 약물-비함유 Middlebrook 7H11 한천 상에 플레이팅시켜 배양물 중에서 세균 수를 계수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4주 동안 항온배양하고, 약물-비함유 플레이트에서 CFU를 계수하였다. 약물-함유 플레이트를 37℃에서 6주 이하 동안 항온배양하여 자발적 내성 콜로니의 최종 수를 확인하였다. 자발적 내성 비는, 약물-비함유 플레이트 상에서 추정된 생존가능한 세균의 총 수로 나눈 약물-함유 플레이트(주어진 농도에서) 상에서 콜로니의 수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내성 콜로니를 약물 함유 플레이트로부터 무작위로 골라서 완료 7H9 브로쓰에서 성장시켜 특정 화합물 뿐만 아니라 상이한 작용 기작을 갖는 기타 표준 TB 약물에 대한 내성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전체 게놈 서열분석
전체 게놈 서열분석을 위한 총 DNA를 표준 페놀-클로로포름 방법을 사용하여 내성 Mtb 세포로부터 추출하였다. 수율은 dsDNA 광범위 검정 키트(Life Technologies, Grand Island, NY)를 사용하여 Qubit 2.0 형광측정기에서 정량하였다. 라이브러리 생성은 Nextera XT DNA 샘플 조제 키트 및 Nextera XT 인덱스 프라이머(Illumina, San Diego, C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권장되는 절차는 하기의 예외를 따랐다; DNA의 높은 초기 개시 농도를 사용하였고, 말미에서 라이브러리 정규화 단계는 qPCR 라이브러리 정량화를 위해 생략하였다. qPCR은 Kapa BioSytems(Woburm, MA) 라이브러리 정량화 키트(KK4824)를 사용하여 BioRad CFX96 사이클러(cycler) 상에서 수행하였다. 각각의 샘플(8 내지 12 샘플에 따라)의 4nM 및 2.5㎕의 표준 농도로 희석시킨 라이브러리를 합하고 1N NaOH(최종 농도 0.1N NaOH)로 5분 동안 변성시켰다. 충분한 샘플을 600㎕로 희석시켜 15 내지 20pmol의 다중 샘플(multiplexed sample)을 제공하였다. 샘플을 2×150 쌍형성(paired)-말단 단일 인덱스 리드(read)로서 Illumina MiSeq V2 장치에서 서열분석하였다. 모든 서열분석은 ~ 50배 범위를 대상으로 하였다.
어셈블리 및 서열 리드 분석은 CLCBio Genomics Workbench v 6.0(Cambridge, MA)을 사용하여 오프-장치(off-instrument)에서 수행하였다. Fastq 파일을 다음과 같이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중복 서열 리드를 제거하고, 나머지 리드를 품질과 최소 길이(50bp)를 위해 트리밍(trimming)하였다. 이어서, 리드를 디폴트 불일치/삽입/결실 비용(cost)을 사용하여 높은 엄중성(분획 길이=0.9, 유사성 분획= 0.99)하에 새로 어셈블리하였다. 돌연변이체 단리물에서 SNPs/인델(indel)의 검출은, 처리된 리드를 동일한 어셈블리 조건을 사용하여 기준 모(parent) 어셈블리로 맵핑함으로써 달성되었다. 품질 기반의 SNP는 디폴트 기준을 사용하여 80%의 최소 빈도수로 검출되었다. 관련 SNPS/인델은 직접 맵핑 어셈블리로 인해 가능한 오류를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새로운 어셈블리에 대한 영역의 BLAST 비교에 의해 입증되었다.
아자인돌 화합물의 약동학(PK):
아자인돌 화합물의 PK를 마우스(건강한 마우스와 감염된 마우스) 및 래트에서 수행하였다. 마우스를 100mg/kg ABT로 2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화합물을 투여하였다. 건강한 마우스로부터의 PK 데이타를 사용하여 효능 연구를 위한 투여 용법을 고안하고, 감염된 마우스로부터의 정보를 PK-PD 분석에 사용하였다.
BALB/c 마우스 또는 위스타 래트에 경구 위관영양법(oral gavage)을 통해 개별 그룹에서 시험 화합물 3, 4, 817을 투여하였다. 모든 경구 투여는 현탁액으로서 0.5% HPMC 및 0.1% Tween 80에서 수행하였다. 개별 그룹에서 시험 화합물 3(0.5mg/kg) 및 17(2mg/kg)을 용액(포스페이트 완충 염수 중의 20% v/v DMA)으로서 정맥내 투여하였다. 모든 혈액 샘플을 복재 정맥을 통해 리튬-헤파린으로 코팅된 Microvette CB300®(Starstedt, Germany) 튜브에서 수집하고, 혈장은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된 혈액으로부터 제조되었다.
감염된 마우스 단일 POPK: 화합물 및 참조 약물을 0.5% HPMC(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및 0.1% Tween 80 현탁액 중에서 제형화하였다. BALB/c 마우스(3마리 마우스/그룹)에 경구 위관영양법을 통해 50, 100 및 200mg/kg을 투여하였다. 약동학은 투여 24일째에 감염된 마우스에서 수행하였다(참조: Rennard, 1986). 혈액 샘플을 각각의 마우스로부터 화합물 투여 후 0.5, 1.5, 3, 5, 7 및 24시간 째에 수집하였다. 약 30㎕의 혈액 샘플을, 복재 정맥을 통해 리튬-헤파린으로 코팅된 Microvette CB300®(Starstedt, Germany) 튜브 내로 모든 그룹으로부터 일련의 샘플링에 의해 수집하고, 혈장(10㎕)은 원심분리 후 제조되었다. LC-MS/MS를 사용하여 분석할 때까지 혈장 샘플을 -20℃에서 저장하였다.
상피 라이닝 유체(ELF: Epitherlial lining fluid) PK: ELF PK는, 전술한 바와 같이(참조: Solapure et. al, 2013), 0.5% HPMC, 및 0.1% Tween 80 현탁액에서 제형화된 100mg/kg 화합물의 단일 경구 용량을 투여한 후에 건강한 마우스(3마리 마우스/그룹)에서 수행하였다. 투여 0.5, 1.5, 3, 5, 7,17 및 24시간 후에, 마우스를 이소플루란을 사용하여 마취시키고, 혈액을 레트로-오비탈 플렉서스 천자(Retro-Orbital Plexus puncture)를 통해 수집하였다. 기관지 폐포 세척(Broncho-Alveolar Lavage)(BAL)은 0.7mL의 빙냉 PBS를 사용하여 기관절개술 후에 수행하였다. 요소 추정 키트, DIUR-500(Bio-검정 시스템, U.S.A)을 혈장 및 BAL 샘플에서 요소 추정에 사용하였다. ELF의 용적은 문헌(참조: Marry et. al, 20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혈장의 요소 농도로 BAL 중의 요소 농도를 정규화한 후에 계산하였다. 혈장 및 BAL 샘플은 LC-MS/MS를 사용하여 분석할 때까지 -20℃에서 저장하였다.
혈장 및 BAL 샘플 분석: 각각의 화합물의 1mg/mL 스톡 용액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중에서 제조하고 아세토니트릴로 2배 희석하였다. 16개 지점의 검정 곡선을 각각의 분석물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표준 곡선은 0.001 내지 40㎍/mL 범위였다. 혈장/BAL 샘플을 차가운 아세토니트릴(1:10 v/v) 함유 카바마제핀을 내부 표준물(250ng/mL)로서 첨가함으로써 침전시켰다. 샘플을 볼텍싱시키고, 4000rpm에서 30분 동안 10℃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현탁액을 이동상(0.1% 포름산을 갖는 물 중의 50% 아세토니트릴)과 혼합하였다. 10㎕의 샘플을 삼중 사중극자 질량 분광계(Waters-ACQUTY-TQD; MS/MS)에 결합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Waters-ACQUTY UPLC)에 주입하였다. 샘플을 양이온 모드로 획득하였고, 다중 반응 모니터링(MRM)으로 검출하였다. 분석물의 농도를 피크 면적비에 대해 분석물의 공지된 농도를 플롯팅함으로써 수득된 표준 곡선으로부터 측정하였다(분석물/내부 표준 피크 반응).
건강한 및 감염된 PK 데이타 분석: 혈장 농도-시간 관계의 PK 분석을 WinNonlin Phoenix 소프트웨어(버전 6.2; Pharsight, US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비-구획 분석 프로그램(non-compartmental analysis program), 모델 200을 사용하여 PK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 혈장 중의 약물의 최대 농도(Cmax), Cmax에 대한 시간(Tmax), 제거 반감기(t2 /1), 및 0시간부터 무한대 까지의 AUC(AUC0 -∞)를 추정하였다. AUC는 사다리꼴 규칙(linear up and log down)을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AUC0 -∞ 값은, 외삽된 AUC가 원래 값의 20% 이하이었을 경우에만 고려되었다. 말단 기울기에서 3개의 샘플 지점의 최소를 사용하여 반감기 계산을 추정하였다.
ELF PK의 분석
BAL 샘플 중의 ELF의 용적은 문헌(참조: Solapure et. al, 2013; Marry et. al, 20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BAL 및 혈장 중의 요소 농도의 비로 곱한 BAL의 용적으로서 계산되었다. ELF 중의 화합물 농도는 BAL 샘플 중의 농도를 ELF 용적에 대한 BAL 용적의 비와 곱하여 계산하였다. 혈장 중의 AUC0-∞ 및 ELF는 비-구획 분석 WinNonlin Phoenix 소프트웨어(버젼 6.2; Pharsight, USA)에 의해 계산되었다. 유리 혈장 AUC는 각각의 시점에서의 농도와 혈장 중의 유리 분획을 곱한 후에 계산하였다. 폐 ELF 투과율은 동일한 시간 간격 동안에 ELF 중의 AUC0 -∞ 대 유리 혈장/총 혈장 중의 유리 AUC0 -∞의 비로서 계산되었다. 단일 용량 투여 후 건강한 마우스에서 측정된 이러한 비는, 감염된 마우스에서 다중 용량 효능 연구 동안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WinNonlin에서 희소 샘플 분석(sparse sample analysis)은 AUC 추정치와 관련된 표준 오차(SE)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생체내 효능 연구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감염 접종: 모든 표준 항미코박테리아제에 민감성인 Mtb H37Rv (ATCC 27294)를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성장시켰다. 7 내지 10일 후에, 세포를 원심분리에 의해 수거하고, 7H9 브로쓰 중에서 2회 세척하고, 신선한 7H9 브로쓰 중에서 재현탁시켰다. 1mL 분취액들을 분배시키고, -70℃에서 저장하였다. 냉동시킨 스톡을 동물 감염시킨 날에 해동시키고, 접종물로서 사용하였다.
윤리 진술서(Ethics statement) 및 동물: 모든 동물 실험 프로토콜 및 사용은 인도 정부 관리 및 감독 목적을 위한 위원회(Committee for the Purpose of Control and Supervision)(CPCSEA)에 등록된 기관 동물 윤리 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Ethics Committee)(IAEC)에 의해 승인되었다. 수컷 BALB/c 마우스는 RCC Hyderabad에서 구입하였고, 래트는 Bioneeds(Bangalore, India)로부터 구입하였다. 마우스 및 래트(6 내지 8주령) 8마리를 무작위로 케이지당 3 또는 4마리의 그룹으로 할당하고,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1주일의 순응 동안 보관하였다. 동물들을 12시간 낮-밤 사이클의 표준 조건 하에 수용하였다. 사료(Nutrilab®)와 물은 자유롭게 제공되었다. 감염된 마우스는 생물-안전 등급 3(BSL-3) 시설에서 개별 환기 케이지(Allentown Technologies, USA)에서 유지시켰다. 감염된 마우스에서 약동학에 대한 투약 및 혈액 샘플링을 포함하는 모든 절차는 엄격한 생물학적 봉쇄(bio-containment) 하에서 수행하였다.
에어로졸 감염: 마우스 및 래트를 개질된 Madison 에어로졸 장치를 사용하여 흡입 절차를 통해 M. 투베르쿨로시스로 감염시켰다(참조: Jayaram et. al. 2003). 급성 감염 모델을 마우스의 폐당 ~104 CFU를 주입한 고용량 에어로졸 감염으로 확립하고, 약물 처리를 감염 후 3일 째에 시작하였다(참조: Schroeder et. al, 2003; Jayaram et al. 2003). 대조적으로, 만성 감염 모델(마우스 및 래트)(참조: Schroeder et. al, 2003; Jayaram et al. 2003; Kumar et al. 2014)을 저용량 Mtb 에어로졸 감염으로 발현시키고, ~50 내지 100개 바실러스/폐를 전달하고, 약물 처리를 감염 28일 후에 시작하였다. 약물 처리 개시시에 폐에 존재하는 세균 수를 측정하였다. 처리의 말미에, 마우스를 안락사시키고, 폐를 무균 상태로 제거하고, Wheaton Teflon-Glass 조직 분쇄기를 사용하여 3.0mL 겔 염수 중에서 균질화시켰다. 폐 균질물을 10배 단계로 연속 희석시키고, 10% ADC로 보충된 Middlebrook 7H11 한천 플레이트 상에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5% CO2로 3주 동안 항온배양하여 단리된 콜로니를 수득하였다.
마우스에서의 생체내 용량-반응 연구: 감염된 마우스를 화합물 투여 2시간 전에 100mg/kg의 아미노벤조트리아졸(ABT)의 1일 경구 용량으로 전처리하여 P450 대사 효소를 차단하였다. 아자인돌 화합물 34를 0.5%(w/v) HPMC 및 0.1% Tween 80(Sigma chemical co. USA) 현탁액 중에서 제형화하고, 경구 위관영양법에 의해 전달하였다. 급성 마우스 모델에서, 동물에 50, 100mg/kg의 화합물 34와 양성 대조군으로서 3mg/kg의 이소니아지드를 투여하였다. 만성 모델에서, 30 및 100mg/kg 용량의 화합물 34가 사용되었다. 10mg/kg의 리팜피신이 참조 약물 대조군으로서 사용되었다. ABT의 존재 및 부재하의 2개의 개별 비히클 대조군 그룹을 사용하여 Mtb 감염에 대한 ABT의 임의의 부작용을 배제하였다. 모든 약물 및 시험 화합물을 주(week) 투약 형식으로 6/7일에 4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기간 완료 48시간 후에, 동물을 CO2로 안락사시키고, 폐를 무균 상태로 제거하고, CFU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플레이팅 후에 계수하였다.
래트에서의 생체내 용량-반응 연구: 아자인돌 화합물 8, 17, 3034를 0.5%(w/v) HPMC 및 0.1% Tween 80(Sigma chemical co. 미국) 현탁액 중에서 제형화하고, 경구 위관영양법에 의해 전달하였다. 만성 래트 모델에서, 동물에 화합물 8, 17, 3034를 30, 100mg/kg 투여하였다. 10mg/kg의 리팜피신을 참조 약물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모든 약물 및 시험 화합물을 주(week) 투약 형식으로 6/7일에 4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기간 완료 48시간 후에, 동물을 CO2로 안락사시키고, 폐를 무균 상태로 제거하고, CFU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플레이팅 후에 계수하였다.
통계적 분석: 플레이팅으로부터 얻은 콜로니 카운트를 Log10(X+1)으로 변형시키고, 여기서, x는 주어진 샘플에 존재하는 생존 바실루스의 총수와 같다. 프리즘 소프트웨어 버전 4(Prism software version 4)(Graph Pad Software, Inc., San Diego, California)를 약력학적 효과를 플롯팅하는데 사용하였다. 던넷 다중-비교 시험(Dunnet's multiple-comparison test)을 사용하여, 처리된 마우스 대 미처리 마우스에서 폐 CFU에서의 통계적 차이를 구별하였다.
용해도 검정
0.1M 포스페이트 완충액(pH 7.4) 중의 화합물의 용해도는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하고, 글리부리드를 검정에서 QC 표준으로서 사용하였다. 간단히, 화합물을 원하는 농도가 되도록 ACN/물(40:60) 중에 희석시키고, 샘플을 Genevac을 사용하여 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이후 800㎕의 완충액을 첨가하였다. 화합물 함유 플레이트를 750rpm에서 Eppendorf Thermomix R 상에서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화합물 농도는 UV 및 MS 분석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혈장 단백질 결합 검정
단백질 결합은 평형 투석 기술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화합물을 20μM의 농도를 제공하는 10% 혈장에 첨가하고, 37℃에서 18시간 동안 등장성 완충액으로 투석하였다. 상기 혈장 및 완충액 용액을 일반 LCUVMS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화합물에 대한 제1 겉보기 결합 상수를 유도한다. 이어서, 결합 상수를 사용하여 100% 혈장에서의 % 유리(free)를 측정한다.
대사 안정성 검정(마우스/사람 마이크로솜 Cl int )
1μM 화합물을 37℃에서 2mM NADPH 용액을 함유하는 166㎕의 완충액(100m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7.4) 중에서 1mg/mL의 마이크로솜(20mg/ml 단백질 농도로 풀링된 HLM/MLM)로 항온배양하였다. 20㎕의 항온배양 혼합물을 신선한 96 웰 플레이트에서 상이한 시점, 즉 0, 2, 5, 10, 20 및 30분에서 4 용적의 차가운 아세토니트릴로 켄칭시켰다. 상기 켄칭된 플레이트를 40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30㎕의 상청액을 물 중의 50%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300㎕ 희석시키고, LC-MS/MS를 사용하여 기질 고갈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사 안정성 검정(래트/사람 간세포 Cl int )
극저온냉동된 간세포의 생존력은 트리판 블루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세포 농도는 완충액(KHB 완충액)으로 106개 세포/mL로 조정하였다. 1μM 화합물(아세토니트릴 중; 0.01% DMSO)을 NUNC 플레이트 중에서 500㎕의 간세포 세포(100만개 세포/mL)로 항온배양하였다. 반응을 3 용적의 차가운 아세토니트릴을 100㎕의 반응 혼합물에 첨가함에 의해 상이한 시점(0, 5, 15, 30, 60, 90 및 120분)에서 정지하고, 4℃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LC-MS/MS를 사용하여 기질 고갈을 분석하였다.
logD
진탕-플라스크 원리(shake-flask principle)에 근거한 옥탄올-물 분배 계수(Log D)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사용된 수용액은 10mM 나트륨 포스페이트 완충액(pH 7.4)이었다. DMSO 중에 용해된 20㎕의 10mM 화합물을 유리 바이알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DMSO를 GeneVac를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435㎕의 옥탄올을 Tomtec를 사용하여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추가의 혼합을 25℃에서 5시간 동안 역으로 수행하고, 이후 30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수성 층과 옥탄올 층 둘 다의 LC/UV/APPI/MS 정량을 수행하였다. Log D 값을 다음 식에 따라 측정하였다
Figure pct00103
상기 방법은 -2 내지 5.0 범위의 log D에 대해 입증하였다.
hERG 검정
화합물을 배지-처리량 전기생리학(medium-throughput electrophysiology) IonWorksTM 장치를 사용하여 전압-게이트 이온 채널에서 시험하였다. IonWorksTM의 구동에 관한 상세한 방법은 문헌(참조: Schroeder 2013)에 공개되어 있다.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IonWorksTM 장치의 "셀" 위치에서의 보트를 셀 현탁액으로 로딩하고, 96-웰 PBS 지정 플레이트를 "플레이트 1" 위치에 위치시켰다. 384-웰 PatchOlateTM을 IonWorksTM 플리넘(plenum)에 위치시키고, 플리넘 클램프를 사용하여 위치에서 유지하였다. 이 지점으로부터, 실험 진행을 자동화하고 궁극적으로 시험 화합물에 대한 비-누적 농도-효과 곡선을 기록한다.
요약
개시된 화합물은, Mtb 및 미코박테리움 스메그마티스(Msm)를 사멸시키지만, 광범위한-스펙트럼 병원체에 대한 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따라서, 탁월한 표적 병원체 특이성(표 2, 도 25)을 시사한다. 일련의 화합물들은 Mtb의 약물 민감성 및 단일 약물 내성 임상 분리주에 대한 MIC를 보유하며(표 3, 도 26), 이는 약물 민감성 및 MDR TB 치료요법에 대한 이들의 잠재능을 시사한다. 시간 의존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복제 Mtb에 대한 키네틱을 없애고, MIC의 1 내지 4배의 농도에서 10일까지 콜로니 형성 단위(CFU)가 ~ 4 log10 감소된다(도 1). 화합물은 또한, 세포내 Mtb에서 활성이며, Mtb로 감염된 THP1 세포에서 MIC보다 1 내지 4배 더 큰 농도로 CFU가 ~ 1 log10 감소된다(도 2). 복제 세균에서 이들의 강력한 활성 이외에, 일련의 분자의 서브세트는 화합물 3으로 나타낸 저산소 조건(Wayne 모델에서 HBC로서 측정된 사멸성(cidality)) 하에 비-복제 Mtb에 대한 적당한 활성을 나타낸다(표 4). 일련의 화합물은 72시간 처리 후 A549 사람 폐 선암종 상피 세포에서 비-세포독성인 것으로 밝혀졌다(MIC >100μM, 표 4).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또한, 최대 32μM에서 화합물 노출 7일 후에 > 95% THP-1 대식세포 생존력을 관찰하였다(표 4).
도 25는 표 2, 병원체 특이성을 나타낸다.
도 26은 표 3, 약물 민감성 및 약물 내성 Mtb에 대한 활성을 나타낸다.
[표 4] 화합물의 미생물적 성질
Figure pct00104
1,4-아자인돌에 대한 감소된 민감성을 갖는 자발적 내성 돌연변이체는 8x MIC 농도에서 2.9×10-9의 빈도로 발생하였다(표 5). 내성 Mtb 돌연변이체의 전체 게놈 서열분석이 dprE1(Rv 3790)에서 단일 뉴클레오티드 변화를 나타내어, 관찰된 중요한 제2 표적 없이 314 위치(Tyr→His)에서 아미노산 치환을 초래하였다. 일련의 화합물이 돌연변이체 균주(Tyr314His)에 대해 교차 내성이 있지만, 내성은 BTZ043을 포함하는 참조 약물에 대해 관찰되지 않았다. BTZ043(참조: Makarov, V. et al. Science, 324, 801-804 (2009))에 내성을 부여하는 시스테인387 DprE1 돌연변이(Cys→Ser, Cys→Gly)는 1,4-아자인돌에 교차 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표 6). 추가로, 표적 특이성은 BTZ043에 대해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DprE1의 과발현에서 MIC 변조에 의해 재확인되었다(표 6).
[표 5] 내성 빈도
Figure pct00105
[표 6] 일련의 화합물 및 참조 화합물 내의 교차-내성
Figure pct00106
일련의 화합물을 시험관내 약물 대사 및 약동학(DMPK) 성질들에 대해 프로파일하고, 대표 화합물을 표 7에 나타낸다. 화합물 3, 4 및 8에 대한 무수 DMSO 용해도는 화합물 17보다 낮았고; 개선된 용해도는 하이드록시에틸 아미드 측쇄에 기인할 수 있다. 화합물 3 내지 4, 8 및 17에 대한 단백질 결합(% 유리) 값은 5% 내지 22%였다. 화합물 3 내지 4, 8 및 17에 대한 예상되는 청소율(clearance)은 4 내지 18%의 간 혈류(%LBF)에 이르며, 사람 마이크로솜, 사람 간세포 및 래트 간세포를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대조적으로, 예상되는 청소율은 마우스 마이크로솜에서 더 높았으며(표 8), 이는 종 특이적 청소율 기전을 시사한다. Caco-2 검정에 의해 측정된 투과성은, 이들 화합물이 관찰된 상당한 유출 없이 고도로 투과성임을 시사한다. 일련의 화합물들은 50μM에서 CYP 효소의 억제를 나타내지 않으며(표 7), 이는 병용 치료요법에 대한 이들의 잠재력을 시사한다. 사람 표적 및 심장 채널의 패널에 대한 화합물 3 내지 4, 8 및 17의 시험관내 안전 프로파일링은 이 시리즈와 관련된 주요 안전 책임이 없음을 나타냈다(표 7).
[표 7] 화합물의 DMPK 및 안전 성질
Figure pct00107
[표 8] 마우스 마이크로솜에 대한 높은 고유 청소율
Figure pct00108
시험관내 성질에 근거하여, 화합물 3 내지 4, 8 및 17을 마우스 및 래트에서 생체내 PK에 대해 프로파일링하여 경구 노출을 평가하였다. 마우스에서의 PK 노출은 아미노벤조트리아졸(ABT)의 존재하에 측정하였고, CYP 이소폼의 Pan-억제제를 사용하여 마우스 특이적 청소율을 차단하였다. 유의적 경구 노출은 래트와 마우스 둘 다에서 화합물 3 내지 4, 8 및 17에 대해 관찰되었다(도 3, 표 9). 래트에서, 우수한 상관관계가 화합물 17에 대한 92% 생체이용률로 시험관내 및 생체내 청소율 사이에서 관찰되었다(표 9). 2개의 대표적인 화합물의 생체내 효능(3 및 4)은 "급성" 및 "만성 TB 모델"에서 BALB/c 마우스에서 평가하였다(참조: Jayaram et al. 2003; Marry et al. 2011; Kumar et al. 2014). 급성 모델에서, 처리는 감염 후 3일에 시작한 반면, 만성 모델에서 치료는 28일째에 시작하였다. 화합물 3 및 4의 치료 4주는 폐에 부과된 세균을 > 1.5 log10 CFU까지 감소시키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용량 의존적 효능을 관찰하였다(도 1). 감염된 동물로부터 평가된 화합물 3 및 4의 경구 노출은 200 내지 700μM 범위의 AUC를 나타내고, 농도를 각각의 투여 후에 ~10시간 동안 MIC 초과로 유지하여(~10시간 %T > MIC), 만성 마우스 모델에서 효능을 초래하였다(도 4; 표 10). 흥미롭게도, 건강한 마우스 폐 상피 라이닝 유체(ELF PK)에서 측정된 화합물 3 및 4의 수준을 화합물 둘 다에 대한 유리 혈장 수준에 비교하였고(도 4, 표 11), 이는 표적 부위에 상당한 노출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우수한 상관관계가 혈장 및/또는 ELF 수준과 약력학적 효과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급성 및 만성 마우스 모델에서, 동물은 1개월 동안 투여 용량을 허용했고, 부작용은 체중 및 육안 병리학 측면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표 9] 단일 용량 투여 후 건강한 BALB/c 마우스 및 위스타 래트에서 화합물의 약동학적 파라미터(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데이타는 평균 ± S.D., n=3)
Figure pct00109
[표 10] 경구 단일 용량 투여 후 건강한 BALB/c 마우스에서 1,4-아자인돌의 ELF 투과율(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데이타는 평균 ± S.D., n=3)
Figure pct00110
[표 11] 다중 경구 투여 후 감염된 BALB/c 마우스에서 1,4-아자인돌의 약동학적 파라미터(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데이타는 평균 ± S.D., n=3)
Figure pct00111
[표 12] Mtb 감염된 수컷 위스타 래트에서 다중 경구 용량(100mg/kg) 투여 후 1,4-아자인돌 화합물의 약동학적 파라미터(평균 ± SD)
Figure pct00112
참조
Figure pct00113

Claims (20)

  1.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Figure pct00114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은 수소, 불소, 브롬, -OCH3 및 메틸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3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X는 N 또는 CR4이고;
    R4는 수소, 불소 및 -O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수소, 불소, -CF3 및 -CN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N 또는 CR6이고;
    R6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Z는 N 또는 CR7이고;
    R7은 수소, 불소, -OCH3, -OCHF2, -OCH2CF3, 및 -N(CH3)2로부터 선택되고;
    R8은 수소, 불소, 메틸 및 -OCH3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1 또는 2이고;
    R9는 불소, 사이클로프로필, -OCH3, -OH, -OCF3, CHF2, -CH(F)CH3 및 -CH(OH)CH3으로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115

    Figure pct00116

    Figure pct00117

    Figure pct00118

    Figure pct00119

    Figure pct00120

    Figure pct00121

    Figure pct00122

    Figure pct00123

    Figure pct00124
  3.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제2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5.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Mycobacterium)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6.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2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7.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 치료용 약제(medicament)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
  8.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2항에 기재된 화합물.
  9. 치료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
  10. 치료학적 유효량의 제2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함을 포함을 포함하여,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
  11.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2. 결핵 또는 미코박테리움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2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3. DprE1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4. DprE1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제2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5. DprE1 억제용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
  16. DprE1 억제용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2항에 기재된 화합물.
  17. 치료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함을 포함하여, DprE1을 억제하는 방법.
  18. 치료학적 유효량의 제2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함을 포함하여, DprE1을 억제하는 방법.
  19. DprE1을 억제하기 위한,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0. DprE1을 억제하기 위한, 제2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67004150A 2013-07-17 2014-07-10 아자인돌 화합물, 이의 합성,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301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3196/CHE/2013(1) 2013-07-17
IN3196CH2013 2013-07-17
IN3196/CHE/2013(2) 2014-04-30
PCT/US2014/046100 WO2015009525A1 (en) 2013-07-17 2014-07-10 Azaindole compounds, synthesis thereof,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757A true KR20160058757A (ko) 2016-05-25
KR102301753B1 KR102301753B1 (ko) 2021-09-15

Family

ID=5126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150A KR102301753B1 (ko) 2013-07-17 2014-07-10 아자인돌 화합물, 이의 합성,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63020B2 (ko)
EP (1) EP3021947B1 (ko)
JP (1) JP6366709B2 (ko)
KR (1) KR102301753B1 (ko)
CN (1) CN105636646B (ko)
AU (1) AU2014290598B2 (ko)
CA (1) CA2918487C (ko)
EA (1) EA028611B1 (ko)
ES (1) ES2644025T3 (ko)
WO (1) WO2015009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512197A (zh) * 2013-08-30 2015-04-01 Hoffmann La Roche 吡咯并吡啶或吡唑并吡啶衍生物
GB201317363D0 (en) * 2013-10-01 2013-11-13 Eisai Ltd Novel compounds
US11173113B2 (en) 2017-12-06 2021-11-16 Prollergy Corp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allergic response
RU2702224C2 (ru) * 2018-03-29 2019-10-0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т-Медикалс" Производные фенил формамидина, обладающие антимикобактериаль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WO2019239382A1 (en) 2018-06-15 2019-12-19 Cadila Healthcare Limited Condensed azaheteroaryl compounds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uberculosis bacteria
WO2020188405A1 (en) * 2019-03-20 2020-09-24 Foundation For Neglected Disease Research Benzimidazoles derivatives as anti-tuberculosis agents
CN111393435A (zh) * 2020-03-16 2020-07-10 青岛吉澳医药科技有限公司 氮杂吲哚酰胺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3606A1 (en) * 2010-03-18 2011-09-22 Institut Pasteur Korea Anti-infective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32980A1 (en) * 2003-11-24 2005-05-25 Novo Nordisk A/S N-heteroaryl indole carboxamides and analogues thereof, for use as glucokinase activators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KR20100066422A (ko) * 2007-08-10 2010-06-17 하. 룬트벡 아크티에 셀스카브 헤테로아릴 아미드 유사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3606A1 (en) * 2010-03-18 2011-09-22 Institut Pasteur Korea Anti-infective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753B1 (ko) 2021-09-15
JP6366709B2 (ja) 2018-08-01
WO2015009525A1 (en) 2015-01-22
EA201690227A1 (ru) 2016-07-29
AU2014290598B2 (en) 2018-11-08
CA2918487C (en) 2021-08-03
BR112016000712A2 (pt) 2022-03-22
EP3021947A1 (en) 2016-05-25
EP3021947B1 (en) 2017-08-23
ES2644025T3 (es) 2017-11-27
EA028611B1 (ru) 2017-12-29
CN105636646B (zh) 2017-12-19
US20150025087A1 (en) 2015-01-22
CN105636646A (zh) 2016-06-01
US9163020B2 (en) 2015-10-20
JP2016530242A (ja) 2016-09-29
CA2918487A1 (en) 2015-01-22
AU2014290598A1 (en)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1753B1 (ko) 아자인돌 화합물, 이의 합성, 및 이의 사용 방법
JP7086251B2 (ja) ヘテロ環式化合物およびそれらの使用
CN108473499B (zh) 新颖的吡唑并嘧啶衍生物
TWI694076B (zh) ***并嘧啶化合物及其用途
US10822339B2 (en) Pyrrolopyrimidine five-membered azacyclic derivative and application thereof
CA2921568A1 (en) Survival benefit in patients with solid tumors with elevated c-reactive protein levels
EP2927232A1 (en) Heteroaryl alkyne compound and application thereof
CN113660931A (zh) 用于治疗皮肤癌的芳基苯胺和杂芳基苯胺化合物
AU2010275375B2 (en) Spectinamides as anti-tuberculosis agents
US20230295163A1 (en) Tetracyclic derivativ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use thereof in medicine
TW201625610A (zh) 萘啶二酮(naphthyridinedione)衍生物
WO2016067009A1 (en) Compounds with activity against bacteria and mycobacteria
US20240083844A1 (en) Kin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EP3250205B1 (en) Benzimidazole sulf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tuberculosis
BR112016000712B1 (pt) Compostos de azaindol, síntese dos mesmos e métodos de uso dos mesmos
CN117545747A (zh) 具有抗疟疾活性的杂环化合物的盐及其晶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