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411A - 교량과의 상호작용 저감형 콘크리트 궤도 및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가 부설된 철도교량 - Google Patents

교량과의 상호작용 저감형 콘크리트 궤도 및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가 부설된 철도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411A
KR20160014411A KR1020140096614A KR20140096614A KR20160014411A KR 20160014411 A KR20160014411 A KR 20160014411A KR 1020140096614 A KR1020140096614 A KR 1020140096614A KR 20140096614 A KR20140096614 A KR 20140096614A KR 20160014411 A KR20160014411 A KR 20160014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oncrete slab
concrete
fixed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찬
장승엽
여인호
김성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9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4411A/ko
Publication of KR20160014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00General structure of permanent way
    • E01B2/003Arrangement of tracks on bridges or in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궤도와 교량 바닥판 간의 온도 신축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가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궤도와 교량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궤도 구조"와,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 구조에 의해 콘크리트 궤도가 부설되어 있는 "철도교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판을 가지는 교량 상부구조물 및 상기 바닥판 위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궤도부를 포함하는 철도교량으로서, 콘크리트 궤도부는, 철도 차량이 직접 주행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여 레일이 고정 설치되는 슬래브 형태의 콘크리트 궤도와, 상기 콘크리트 궤도의 하면과 바닥판의 상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콘크리트 궤도가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만드는 슬라이드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량 상부구조물의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콘크리트 궤도에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철도교량에 부설되는 콘크리트 궤도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량과의 상호작용 저감형 콘크리트 궤도 및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가 부설된 철도교량{Rail bridge with slab track reducing rail-structure interaction}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주행을 위한 콘크리트 궤도와,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가 교량 상부구조물에 부설되어 있는 철도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궤도를 이루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교량 바닥판 간의 온도 신축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가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슬래브와 교량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궤도와,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가 부설되어 있는 철도 교량에 관한 것이다.
철도 차량이 주행하게 되는 콘크리트 궤도("슬래브 궤도"라고도 칭함)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4101호에 그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는데, 선로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절감되고 내구수명이 길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궤도는 레일 좌굴과 자갈 비산의 문제가 없으며 선로 선형의 제약이 적어 선형계획에서도 더 유리할 뿐 아니라, 선로의 높이가 낮고 자중이 적기 때문에 터널이나 교량의 구조물 설계에도 유리하다.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가 교량의 상면에 설치되었을 때, 콘크리트 궤도에 설치된 레일에는 매우 큰 축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콘크리트 궤도가 교량에 설치되었을 때 콘크리트 궤도에 부설된 장대 레일에 작용하는 부가적인 축응력에 대한 그래프도(도 1)와 그에 따른 변위에 대한 그래프도(도 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각각 가로축은 거리(distance)를 의미하고, 세로축은 각각 축응력(Axial stress/ 도 1)과 레일의 변위(Displacement of rail/ 도 2)를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이듯이, 교량의 상면에 설치된 콘크리트 궤도의 경우,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온도 신축됨에 따라 레일에 큰 부가적인 압축력과 인장력을 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레일에는 큰 변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교량과 콘크리트 궤도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레일에 작용하는 부가적인 축력 및 그에 따른 변위 발생은 교량의 경간장이 길어지거나 또는 교량이 연속화될 때 더욱 심화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철도 교량에서는 교량의 경간장을 늘리는 것에 큰 제한이 있으며, 실제로도 철도 교량으로는 연속교를 사용하는 것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실제로 연약지반 구간이나 깊은 계곡 지역 또는 해안지역의 경우에는 교량의 경간장을 늘리는 것이 경제적인 노선 설계가 될 수 있으며, 단순교를 배치하는 것보다는 교량을 연속화하는 것이 교량의 구조면에서도 효율적이다. 특히 연속교를 적용하게 되며 교량 단부에서의 회전각이 크게 줄어 레일에 부가되는 상향력이 줄어들고 침목 간격의 변화로 인한 충격도 줄어들어 승차감 개선의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교량을 연속화하거나 장경간화하는 것이 여러 가지 면에서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교량과 콘크리트 궤도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부가 축력발생 등으로 인하여 현재로서는 교량의 장경간화 내지 연속화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4101호(2006. 12. 05.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철도 차량이 주행하게 되는 콘크리트 궤도가 설치되는 철도 교량으로서, 콘크리트 궤도와 교량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부가 축력 발생을 최소화시켜서 레일의 응력과 변위 변동을 감소시켜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교량의 장대화 및 연속화를 가능하게 하는 콘크리트 궤도와,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가 부설되어 있는 철도교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바닥판을 가지는 교량 상부구조물 및 상기 바닥판 위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궤도를 포함하는 철도교량으로서, 콘크리트 궤도는, 철도 차량이 직접 주행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여 레일이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면과 바닥판의 상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가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만드는 슬라이드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량 상부구조물의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콘크리트 슬래브에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철도교량에 구비된 교량 상부구조물의 바닥판에, 철도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 궤도로서, 철도 차량이 직접 주행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여 레일이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면과 바닥판의 상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가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만드는 슬라이드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량 상부구조물의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콘크리트 슬래브에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의 콘크리트 궤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궤도가 그 자체에서의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이 방지됨과 동시에, 콘크리트 궤도를 이루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에 슬라이드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교량 상부구조물에 발생하는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은 콘크리트 궤도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콘크리트 궤도에 설치된 레일에는 콘크리트 궤도와 교량 바닥판 간의 온도 신축 차이로 인한 부가 축력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레일의 뒤틀림 등의 변형을 예방하여 열차의 안전운행을 유도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레일의 응력과 변위 변동을 감소시켜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철도교량의 장대화 및 연속화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궤도가 교량에 설치되었을 때 콘크리트 궤도에 부설된 장대 레일에 작용하는 부가적인 축응력에 대한 그래프도이다.
도 2는 콘크리트 궤도가 교량에 설치되었을 때 콘크리트 궤도에 부설된 장대 레일에 작용하는 부가적인 축응력의 작용에 따른 변위에 대한 그래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철도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대한 교축방향(종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교량 상부구조물의 바닥판과 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 궤도만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 3의 원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5는 침목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궤도 위에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전단키로 이루어진 횡방향 지지구조부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상부층을 이용하여 돌출지지부를 형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궤도 하면 충전층을 형성하면서 전단키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면에 형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단경간 단순교로 이루어진 교량의 상부구조물 위에 콘크리트 궤도가 설치된 상태를 단순화시켜 도시한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다경간 단순교로 이루어진 교량의 상부구조물 위에 콘크리트 궤도가 설치된 상태를 단순화시켜 도시한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다경간 단순교로 이루어진 교량에서 콘크리트 궤도가 종방향으로 연속되지 아니한 경우를 보여주는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다경간 연속교로 이루어진 교량의 상부구조물 위에 콘크리트 궤도가 설치된 상태를 단순화시켜 도시한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철도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대한 교축방향(종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의 원 A부분 즉, 교량 상부구조물의 바닥판(210)과 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 궤도만을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로서, 콘크리트 궤도가 설치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로서, 거더(220)와 그 위에 일체로 설치되는 슬래브형태의 바닥판(210)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궤도가 설치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은 이와 같은 거더교의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에서 교량 상부구조물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철도 교량은 교량 상부구조물이 박스 거더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박스 거더 교량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기타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바닥판(210)"은 다양한 형태의 교량 상부구조물에서 철도 차량이 지나가게 될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평평한 판형상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교량은 바닥판(210)과, 그 위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궤도(100)를 포함하는데, 콘크리트 궤도(100)는 철도 차량이 직접 주행하는 레일(11)과, 상기 레일(11)의 하부에 위치하여 레일(11)이 고정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12)와, 저마찰 재료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하면과 바닥판(2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12)가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만드는 슬라이드층(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교량 상부구조물(200)의 바닥판(210)에 설치되어 철도차량이 통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량의 콘크리트 궤도(100)는, 철도 차량이 직접 주행하는 레일(11)과, 상기 레일(11)의 하부에 위치하여 레일(11)이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12)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하면과 바닥판(2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12)가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만드는 슬라이드층(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량의 콘크리트 궤도(100)에 의하면, 후술하는 것처럼, 교량 상부구조물(200)의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콘크리트 슬래브(12)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우선 레일(11)과 콘크리트 슬래브(12)에 대해 설명하면, 콘크리트 슬래브(12)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면에는 철도 차량이 주행하게 되는 한 쌍의 레일(11)이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레일(11)이 직접 체결구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1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콘크리트 슬래브(12) 상면에 침목(15)을 설치하고, 침목(15) 위에 레일(11)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이와 같이 침목(15)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12) 위에 레일(11)이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한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콘크리트 슬래브(12)는 재하 하중 및 온도 변화에 대하여 충분한 내하력과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철근콘크리트(RC) 부재 또는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PSC) 부재로 이루어지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또는 사전제작형 콘크리트(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다.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종방향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슬라이드층(13)은 콘크리트 슬래브(12)가 바닥판(210) 위에 놓일 때,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하면과 바닥판(2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종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만들어서 교량 상부구조물(200)의 온도 신축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슬래브(12)와 바닥판(210) 사이에 발생하게 되는 상호작용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드층(13)은 저마찰 재료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PE-시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슬라이드층(13)의 마찰계수는 일반적으로 0.3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마찰계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하면과 바닥판(210) 상면의 불규칙한 상태를 보상하기 위하여 부직포 또는 토목섬유를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하면과 바닥판(210) 상면에 각각 부착한 후, PE-시트와 같은 저마찰 시트를 부직포 또는 토목섬유 사이에 설치하여 슬라이드층(13)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레일(11), 콘크리트 슬래브(12) 및 슬라이드층(13), 그리고 필요에 따라 침목(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 궤도부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바닥판(210) 위에 설치된다. 바닥판(210)에는 콘크리트 궤도부의 교축직각방향(횡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횡방향 지지구조부가 구비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횡방향 양측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바닥판(2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지지부(212)의 형태로 횡방향 지지구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지지부(212)는 종방향으로 연속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종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것이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돌출지지부(212)의 횡방향 내측면과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횡방향 양측면 사이의 밀착을 보장하면서도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슬라이딩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돌출지지부(212) 사이의 횡방향 간격 내에 콘크리트 슬래브(12)가 배치된 후, 돌출지지부(212)의 횡방향 내측면과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횡방향 양측면 사이의 틈에 EDPM 포일(Foil)과 같은 탄성분리재 등의 채움재(213)를 채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바닥판(210)에 구비되는 횡방향 지지구조부는 위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횡방향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지지부(212)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전단키(216)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전단키(216)로 이루어진 횡방향 지지구조부를 가지는 실시예에 대한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슬래브(12)가 놓이는 바닥판(210)의 상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전단키(216)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하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바닥판(210) 위에 콘크리트 슬래브(12)가 놓였을 때, 전단키(216)는 오목부에 위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 때 전단키(216)가 삽입되는 콘크리트 슬래브(12) 하면의 오목부는, 전단키(216)의 횡방향 폭에 대응되는 내부 폭을 가지게 되지만, 종방향으로는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활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전단키(216)의 종방향 길이보다 더 큰 내부 길이를 가진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드층(13)은 전단키(216)의 상면에도 도포되어 형성된다.
한편, 바닥판(210) 위에 위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궤도(100)를 설치함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경우, 바닥판(210)을 제작할 때부터 이미 횡방향 지지구조부가 바닥판(2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횡방향 지지구조부를 형성할 때의 편의성을 위하여 이미 제작된 바닥판(210)의 상면에 현장타설 콘크리트 상부층(230)을 현장에서 시공하여 횡방향 지지구조부를 형성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 궤도(1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이와 같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상부층(230)을 이용하여 돌출지지부(212)를 형성한 실시예에 대한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이미 프리캐스트 형태로 제작된 바닥판(210) 위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돌출지지부(212)를 가지는 콘크리트 상부층(230)을 바닥판(210) 위에 형성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 궤도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는 것은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하면에 오목부를 형성할 때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바닥판(210)의 상면에 전단키(216)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하면에는 오목부를 형성하되, 콘크리트 슬래브(12)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경우,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하면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궤도 하면 충전층(120)을 형성하면서 전단키(216)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8에는 이와 같이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궤도 하면 충전층(120)을 형성하면서 전단키(216)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콘크리트 슬래브(12)의 하면에 형성한 실시예에 대한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에서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바닥판(210)과 콘크리트 궤도(100)의 종방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편의상 종방향으로 열차가 주행하는 방향(도 9의 화살표 S 방향)에서 앞쪽을 "전방"이라고 기재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표현한다.
본 발명에서 교량 상부구조물(200)의 바닥판(210) 위에 콘크리트 슬래브(12)를 설치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할 2가지 조건은, "이동지점부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는 이웃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 사이의 간격 및 교량 상부구조물과 노반 사이의 간격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2)가 단절되지 않고 종방향으로 연속되어야 한다"는 제1조건과, "고정지점부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12)가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고정된다"는 제2조건이다.
도 9에는 교량이 단경간 단순교로 이루어진 경우, 교량의 상부구조물 위에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설치된 상태를 단순화시켜 도시한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 바닥판을 포함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과 콘크리트 슬래브(12), 그리고 슬라이드층(13)은 단순화시켜서 도시하였으며, 콘크리트 궤도(100)를 이루는 기타 구성요소 즉, 레일, 침목 등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 9에서 교량 상부구조물(200)을 지지하는 지점부에서, 삼각형으로 표시된 것은 종방향 이동이 불가능한 고정지점부를 의미하며, 원형으로 표시된 것은 종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지점부를 의미한다.
단경간 단순교의 경우, 콘크리트 슬래브(12)는 교량의 종방향 양단에 인접한 양측 노반(300a, 300b)까지 연속되어 있다. 즉, 교량의 이동지점부와 고정지점부 모두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2)가 단절되지 않고 종방향으로 연속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교량의 종방향 전방 단부에 인접한 전방측 노반(300a)의 상부에서부터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시작되어 교량의 종방향 후방 단부에 인접한 후방측 노반(300b)의 상부까지 하나의 부재로서 길게 연속된다(제1조건 충족).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교량 상부구조물(200)의 바닥판(210)과 콘크리트 궤도(100)의 콘크리트 슬래브(12) 사이에는 슬라이드층(13)이 존재하여 바닥판(210)과 콘크리트 슬래브(12) 간에 종방향 변위의 전달을 차단하게 되므로,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온도신축 변위가 직접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12)에 전달되지 않으며, 콘크리트 슬래브(12)는 교량 상부구조물(200)의 온도신축으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거동하게 된다.
그렇지만 바닥판(210) 위에서의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종방향 위치는 고정될 필요가 있으므로 앵커(18)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12)를 교량 상부구조물(200)과 결합한다. 교량의 고정지점부에서는 온도신축이 없으므로, 콘크리트 슬래브(12)를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18)는 교량 상부구조물(200)의 고정지점부 위치 즉, 고정지점부로부터 연직 상향 위치에 구비된다. 즉, 앵커(18)가 고정지점부의 위치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2)와 바닥판(210)에 연직하게 설치됨으로써 고정지점부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12)가 바닥판(210)에 대해 종방향으로 상대적인 변위가 일어나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다(제2조건 충족). 앵커(18)는 예를 들면 볼트부재로 이루어져서 고정지점부의 위치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2)를 관통하여 그 하단이 바닥판(210)에 관입 고정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종방향 양단부는, 교량의 시점과 종점이 되는 전방측 노반(300a)과 후방측 노반(300b)을 덮고 있는데,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종방향 양단에는 정착단(12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정착단(122)이 노반(300a, 300b)에 관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종방향 양단이 각각 노반(300a, 300b)에 고정된다. 정착단(122)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종방향 양단에 구비되어 노반(300a, 300b)에 관입 고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기둥형상을 가지고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종방향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단경간 단순교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종방향 단부에 정착단(122)이 구비되어 노반에 관입 고정되어 있고, 온도신축이 없는 교량의 고정지점부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앵커(18)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슬래브(12)는 그 자체로도 온도변화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더 나아가 앞서 살펴본 것처럼 교량 상부구조물(200)과 콘크리트 슬래브(12) 사이에는 슬라이드층(13)이 존재하여 교량 상부구조물(200)과 콘크리트 슬래브(12) 간의 종방향 변위 전달을 차단하게 되므로,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콘크리트 슬래브(12)에 설치된 레일(11)에는 그로 인한 불리한 부가 축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는 교량이 다경간 단순교로 이루어진 경우, 교량의 상부구조물 위에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설치된 상태를 단순화시켜 도시한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다경간 단순교의 경우에도, 콘크리트 슬래브(12)는 교량의 종방향 양단에 인접한 양측 노반(300a, 300b)까지 연속되어 있다(제1조건 충족). 또한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 간의 간격에서도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연속되어 있다(제1조건 충족). 한편, 다경간 단순교의 경우에도 교량 상부구조물(200)의 고정지점부 위치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12)가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된다(제2조건 충족). 도 10에 도시된 예는 2경간의 단순교이므로, 2개소의 고정지점부가 존재하는데, 각각의 고정지점부에서 각각 앵커(18)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12)가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2경간의 단순교에서도 교량의 종방향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종방향 양단에 형성된 정착단(122)이 노반(300a, 300b)이 노반(300a, 300b)에 관입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종방향 양단이 각각 노반(300a, 300b)에 고정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경간 단순교의 경우도, 도 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양 단부는 정착단(122)에 의해 노반에 고정되어 있고, 온도신축이 없는 교량의 고정지점부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앵커(18)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온도변화가 발생하여도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종방향 신축이 발생하지 않으며, 교량 상부구조물(200)과 콘크리트 슬래브(12) 간의 종방향 변위 전달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이로 인하여 레일(11)에 불리한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다경간 단순교의 경우, 콘크리트 슬래브(12)는, 교량의 종방향 전방 단부에 인접한 전방측 노반(300a)의 상부에서부터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시작되어 교량의 종방향 후방 단부에 인접한 후방측 노반(300b)의 상부까지 하나의 부재로서 길게 연속되어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이동지점부의 후방으로 이웃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 사이의 간격 및 교량 상부구조물(200)과 후방측 노반(300b) 사이의 간격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12)가 단절되지도 않으며 교량 상부구조물과 일체화되지도 아니한 채 종방향으로 계속 연속되어야 하지만, 고정지점부가 존재하는 위치 또는 고정지점부와 그 전방으로 이웃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 사이의 간격 또는 전방측 노반(300a) 사이의 간격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12)가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고정되면 충분하며 반드시 연속된 상태에 있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다경간 단순교의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는 교량이 다경간 단순교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고정지점부 위치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2a, 12b)가 종방향으로 단절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한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1에서는 종방향으로 보았을 때 전방 경간 위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해서는 도면부호 12a를 기재하였으며, 종방향으로 이에 후속하여 위치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해서는 도면부호 12b를 기재하였다. 또한 각각의 콘크리트 궤도가 놓이는 각 경간의 교량 상부구조물에도 각각 200a 및 200b의 도면부호를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다경간 단순교의 경우, 복수개의 교량 상부구조물(200a, 200b)은 종방향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는데, 콘크리트 슬래브는 각각의 교량 상부구조물 상면을 개별적으로 덮도록 종방향으로 단절되어 있다. 즉,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첫 번째에 위치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a)의 상면에는 첫 번째의 콘크리트 슬래브(전방 위치 콘크리트 슬래브)(12a)가 덮여 있는 것이고, 이에 이웃하는 두 번째 위치의 교량 상부구조물(200b)의 상면에는, 첫 번째의 콘크리트 슬래브(12a)와 분리되어 있는 별도의 두 번째의 콘크리트 슬래브(후방 위치 콘크리트 슬래브)(12b)가 덮여 있는 것이다.
특히, 첫 번째의 콘크리트 슬래브(12a)는 첫 번째에 위치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a)의 고정지점부에서 앵커(18)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첫 번째의 콘크리트 슬래브(12a)는 첫 번째에 위치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a)의 이동지점부를 지나서 이웃하는 두 번째 교량 상부구조물(200b)의 고정지점부까지 연장되어 첫 번째의 콘크리트 슬래브(12a)의 종방향 후방 단부가 앵커에 의해 두 번째 교량 상부구조물(200b)의 고정지점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지점부의 위치에서는 전방으로 이웃하는 전방측 노반(300a) 사이의 위치(도 11의 원 K 위치) 및 고정지점부 위치(도 11의 원 M 위치)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12a, 12b)가 종방향으로 단절되어 있어도 무방한 것이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12a, 12b)가 종방향으로 단절된 부분에서는, 앵커(18)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12a, 12b)의 단절된 단부가 교량 상부구조물(200a, 200b)에 고정된다(제2조건 충족). 그렇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이동지점부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12a, 12b)가 단절되지 않고, 연속되어 이웃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b) 또는 이웃하는 후방측 노반(300b)까지 콘크리트 슬래브(12a, 12b)가 연속되어 이어져 있어야 한다(제1조건 충족).
도 11에서 종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여 도면부호 12a로 표시된 첫 번째 콘크리트 슬래브(12a)의 경우, 전방측 단부는 앵커(18)에 의해 전방에 위치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a)의 고정지점부에 고정되어 있고, 후방측 단부는 이웃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b)의 고정지점부에 앵커(1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부호 12a로 표시된 첫 번째의 콘크리트 슬래브(12a)는 온도변화가 발생하여도 그 자체의 종방향 신축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첫 번째의 콘크리트 슬래브(12a)가 놓인 교량 상부구조물(200a)과는 고정지점부에서만 앵커(18)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슬라이드층(13)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12a)와 교량 상부구조물(200a) 간의 종방향 변위 전달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교량 상부구조물(200a)에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콘크리트 슬래브(12a)에 설치된 레일(11)에는 그로 인한 불리한 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1에서 종방향으로 첫 번째 콘크리트 슬래브(12a)에 이웃하여 후방에 위치하며 도면부호 12b로 표시된 두 번째의 콘크리트 슬래브(12b)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로, 전방 단부는 교량 상부구조물(200b)의 고정지점부에서 앵커(1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면에서 두 번째의 콘크리트 슬래브(12b)가 종방향으로 최후방에 위치하므로, 두 번째의 콘크리트 슬래브(12b)의 후방단부는 후방측 노반(300b)에 정착단(12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슬라이드층(13)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12b)와 교량 상부구조물(200b) 간의 종방향 변위 전달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교량 상부구조물(200b)에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콘크리트 슬래브(12b)에 설치된 레일(11)에는 그로 인한 불리한 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복수개의 교량 상부구조물이 종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교량 상부구조물의 위에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개별적인 콘크리트 궤도가 설치되는데, 종방향으로 최후방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궤도의 경우, 그 후방단부는 정착단에 의해 후방측 노반에 고정된다.
도 12 및 도 13에는 각각 교량 상부구조물이 하나의 고정지점부와 복수개의 이동지점부가 존재하는 다경간 연속교로 이루어진 경우, 교량의 상부구조물 위에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설치된 상태를 단순화시켜 도시한 개략적인 횡방향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경간 연속교의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2가지의 조건 즉, "이동지점부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는 이웃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 사이의 간격 및 교량 상부구조물과 노반 사이의 간격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2)가 단절되지 않고 종방향으로 연속되어야 한다"는 제1조건과, "고정지점부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12)가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고정된다"는 제2조건만 충족하면 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경간을 가지며 각 경간이 모두 연속되어 있는 연속교에서, 교량의 종방향 전방 단부에 인접한 전방측 노반(300a)의 상부에서부터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시작되어 교량의 종방향 후방 단부에 인접한 후방측 노반(300b)의 상부까지 하나의 부재로서 길게 연속되는 형태로 콘크리트 슬래브(12)가 배치되어 있되(제1조건 충족), 고정지점부의 위치에서는 앵커(18)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12)가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고정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제2조건 충족). 또한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지점부에서는 교량 상부구조물(200)과 이에 이웃하는 전방측 노반(300a) 및 후방측 노반(300b) 사이의 간격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12)가 단절되지 않고 종방향으로 계속 이어져 있지만(도 13의 원 P 및 원 Q 부분/ 제1조건 충족), 고정지점부의 위치(도 13의 원 R 부분)에서는 앵커(18)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12)가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고정되어 있되 콘크리트 슬래브(12)가 단절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제2조건 충족).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경우에도 교량의 종방향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2)에 설치된 정착단(122)이 노반(300a, 300b)이 노반(300a, 300b)에 관입되어 고정된다.
도 12에 도시된 경우는 앞서 도 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측 노반(300a, 300b)까지 연속되어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12)의 종방향 단부 각각에는 정착단(122)이 구비되어 노반에 관입 고정되어 있고, 온도신축이 없는 교량의 고정지점부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앵커(18)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슬래브(12)는 그 자체로도 온도변화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교량 상부구조물(200)과 콘크리트 슬래브(12) 사이의 슬라이드층(13)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200)과 콘크리트 슬래브(12) 간의 종방향 변위 전달이 차단되므로,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콘크리트 슬래브(12)에 설치된 레일(11)에는 그로 인한 불리한 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경우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고정지점부에서 콘크리트 궤도가 단절되어 있다. 즉, 콘크리트 궤도는, 도 13에서 도면부호 12a로 표시되어 있고 전방측 노반(300a)에서부터 고정지점부까지 종방향으로 하나의 부재로 연속되어 있는 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12a)와, 고정지점부에서부터 후방측 노반(300b)까지 종방향으로 하나의 부재로 연속되어 있는 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12b)로 이루어져 있다.
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12a)와 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12b)의 종방향 단부에는 정착단(122)이 구비되어, 정착단(122)이 각각 노반에 관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고정지점부의 위치에서는 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12a)와 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12b) 각각이 앵커(18)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12a)의 경우, 전방측 단부는 정착단(122)에 의해 전방측 노반(300a)에 고정되고 후방측 단부는 앵커(18)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200)의 고정지점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12a)는 그 자체로도 온도변화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교량 상부구조물(200)과 콘크리트 슬래브(12a) 사이의 슬라이드층(13)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200)과 콘크리트 슬래브(12a) 간의 종방향 변위 전달이 차단되므로,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콘크리트 슬래브(12a)에 설치된 레일(11)에는 그로 인한 불리한 부가적인 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12b)는 전방측 단부는 앵커(18)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200)의 고정지점부에 고정되어 있고, 후방측 단부는 정착단(122)에 의해 후방측 노반(300b)에 고정되고 있으므로, 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12b) 역시 그 자체로도 온도변화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교량 상부구조물(200)과 콘크리트 슬래브(12b) 사이의 슬라이드층(13)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200)과 콘크리트 슬래브(12b) 간의 종방향 변위 전달이 차단되므로, 교량 상부구조물(200)에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콘크리트 슬래브(12b)에 설치된 레일(11)에는 그로 인한 불리한 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궤도는 그 자체에서의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이 방지됨과 동시에, 교량 상부구조물에 발생하는 온도신축에 의한 종방향 변위는 슬라이드층의 존재로 인하여 콘크리트 궤도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콘크리트 궤도에 설치된 레일에는 콘크리트 궤도와 교량 바닥판 간의 온도신축 차이로 인한 부가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레일의 뒤틀림 등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열차의 안전운행을 보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11: 레일
12: 콘크리트 슬래브
13: 슬라이드층
100: 콘크리트 궤도
200: 교량 상부구조물

Claims (13)

  1. 바닥판을 가지는 교량 상부구조물 및 상기 바닥판 위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궤도를 포함하는 철도교량으로서,
    콘크리트 궤도는, 철도 차량이 직접 주행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여 레일이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면과 바닥판의 상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가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만드는 슬라이드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량 상부구조물의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콘크리트 슬래브에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지점부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는 이웃하는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의 간격 및 교량 상부구조물과 노반 사이의 간격에서 콘크리트 슬래브가 단절되지 않고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고정지점부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가 앵커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
  3. 제2항에 있어서,
    교량의 시점과 종점이 되는 노반을 덮고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종방향 단부에는 정착단이 구비되어, 상기 정착단이 노반에 관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고정지점부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가 종방향으로 단절되어 있으며;
    단절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부는 앵커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
  5. 제1항에 있어서,
    교량 상부구조물은 종방향의 양단에 각각 이동지점부와 고정지점부가 존재하는 단경간 단순교로 이루어져 있고,
    콘크리트 슬래브는 종방향 양 단부가 각각 교량의 시점과 종점이 되는 노반을 덮도록 종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콘크리트 슬래브의 종방향 단부에는 정착단이 구비되어, 상기 정착단이 노반에 관입되어 고정되어 있고,
    고정지점부의 위치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가 앵커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
  6. 제1항에 있어서,
    교량 상부구조물은 종방향의 양단에 각각 이동지점부와 고정지점부가 존재하는 단순지지 형태로, 복수개의 교량 상부구조물이 종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는 다경간 단순교로 이루어져 있고,
    콘크리트 슬래브는 종방향 양 단부가 각각 교량의 시점과 종점이 되는 노반을 덮도록 종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콘크리트 슬래브의 종방향 단부에는 정착단이 구비되어, 상기 정착단이 노반에 관입되어 고정되어 있고,
    고정지점부의 위치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가 앵커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
  7. 제1항에 있어서,
    교량 상부구조물은 종방향의 양단에 각각 이동지점부와 고정지점부가 존재하는 단순지지 형태로, 복수개의 교량 상부구조물이 종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는 다경간 단순교로 이루어져 있고,
    콘크리트 슬래브는 복수개의 교량 상부구조물의 상면을 각각 개별적으로 덮도록 종방향으로 단절되어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의 교량 상부구조물을 덮는 각각의 콘크리트 슬래브는 각 교량 상부구조물의 고정지점부 위치에서 앵커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어 있으며, 각 교량 상부구조물의 이동지점부 위치에서는 이웃하는 교량 상부구조물까지 연장되어, 이웃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고정지점부 위치에서 앵커에 의해 이웃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어 있고,
    콘크리트 슬래브의 종방향 단부에는 정착단이 구비되어, 상기 정착단이 노반에 관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
  8. 제1항에 있어서,
    교량 상부구조물은 하나의 고정지점부와 복수개의 이동지점부가 존재하는 다경간 연속교로 이루어져 있고,
    콘크리트 슬래브는 종방향 양 단부가 각각 교량의 시점과 종점이 되는 노반을 덮도록 종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콘크리트 슬래브의 종방향 단부에는 정착단이 구비되어, 상기 정착단이 노반에 관입되어 고정되어 있고,
    고정지점부의 위치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가 앵커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
  9. 제1항에 있어서,
    교량 상부구조물은 하나의 고정지점부와 복수개의 이동지점부가 존재하는 다경간 연속교로 이루어져 있고,
    콘크리트 슬래브는, 전방측 노반에서부터 고정지점부까지 종방향으로 하나의 부재로 연속되어 있는 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와, 고정지점부에서부터 후방측 노반까지 종방향으로 하나의 부재로 연속되어 있는 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와 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 각각의 종방향 단부에는 정착단이 구비되어, 상기 정착단이 노반에 관입되어 고정되어 있고,
    고정지점부의 위치에서는 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와 후방 위치의 콘크리트 슬래브 각각은 앵커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
  10.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슬래브의 횡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횡방향 양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돌출지지부가 교량 상부구조물의 바닥판 상면에서 돌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
  11. 제10항에 있어서,
    돌출지지부의 횡방향 내측면과 콘크리트 슬래브의 횡방향 양측면 사이의 밀착 및 콘크리트 슬래브의 슬라이딩을 보장하기 위하여, 돌출지지부 사이의 횡방향 간격 내에 콘크리트 슬래브가 배치된 후, 돌출지지부의 횡방향 내측면과 콘크리트 슬래브의 횡방향 양측면 사이의 틈에 채움재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
  12.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판의 상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전단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단키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바닥판 위에 콘크리트 슬래브가 놓였을 때, 전단키는 오목부에 위치하게 되어, 콘크리트 궤도의 횡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
  13. 철도교량에 구비된 교량 상부구조물의 바닥판에, 철도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 궤도로서,
    상기 콘크리트 궤도는, 철도 차량이 직접 주행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여 레일이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면과 바닥판의 상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가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만드는 슬라이드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량 상부구조물의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콘크리트 슬래브에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량의 콘크리트 궤도.
KR1020140096614A 2014-07-29 2014-07-29 교량과의 상호작용 저감형 콘크리트 궤도 및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가 부설된 철도교량 KR20160014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614A KR20160014411A (ko) 2014-07-29 2014-07-29 교량과의 상호작용 저감형 콘크리트 궤도 및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가 부설된 철도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614A KR20160014411A (ko) 2014-07-29 2014-07-29 교량과의 상호작용 저감형 콘크리트 궤도 및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가 부설된 철도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411A true KR20160014411A (ko) 2016-02-11

Family

ID=5535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614A KR20160014411A (ko) 2014-07-29 2014-07-29 교량과의 상호작용 저감형 콘크리트 궤도 및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가 부설된 철도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44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7010A (zh) * 2020-07-27 2020-10-27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桩板结构的自动复位支座结构、施工及设计方法
CN114032769A (zh) * 2021-10-19 2022-02-11 中铁电气化局集团北京建筑工程有限公司 地铁车辆段装配式混凝土轨道桥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4101A (ko) 2005-05-31 2006-12-05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프리케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4101A (ko) 2005-05-31 2006-12-05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프리케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및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7010A (zh) * 2020-07-27 2020-10-27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桩板结构的自动复位支座结构、施工及设计方法
CN111827010B (zh) * 2020-07-27 2022-02-15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桩板结构的自动复位支座结构、施工及设计方法
CN114032769A (zh) * 2021-10-19 2022-02-11 中铁电气化局集团北京建筑工程有限公司 地铁车辆段装配式混凝土轨道桥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285B1 (ko) 교량 구조물의 고정 주행 트랙
KR20090100429A (ko) 콘크리트 판을 포함하는 직결 궤도
US4905896A (en) Railroad roadway for high speed rail-mounted vehicles
AU2007211764B2 (en) Ballastless track for railway vehicles
ZA200705820B (en) Concrete track for rail vehicles
CN109356597B (zh) 一种设置于有底部廊道的盾构隧道内的轨道变形控制结构
US9556565B2 (en) Train rail track structure systems
KR101266111B1 (ko) 아스팔트 노반용 탄성패드와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KR20180086961A (ko) 슬라이드층을 이용한 종방향 변위 분리에 의한 교량 상호작용 저감형 슬라이딩 콘크리트 궤도 및 이러한 슬라이딩 콘크리트 궤도가 부설된 철도 교량
KR101399839B1 (ko) 철도교량 단부 횡단 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109371765B (zh) 穿越大型活动断层的高速铁路隧道内的轨道变形控制结构
CN105155412B (zh) 一种适合桥梁的嵌入式轨道结构及施工方法
KR20160014411A (ko) 교량과의 상호작용 저감형 콘크리트 궤도 및 이러한 콘크리트 궤도가 부설된 철도교량
CN202107997U (zh) 一种桥上无砟轨道构造
KR20150111547A (ko) 아스팔트 노반상 직결궤도용 광폭침목 및 그 시공 방법
EA006338B1 (ru) Фиксированный путь дл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4650255B2 (ja) 鋼床版の補強構造及び既設鋼床版の補強方法
KR101639401B1 (ko) 철도교량 단부의 전환부 궤도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272472B1 (ko) 탄성수지 고정방식의 저진동 철도교
KR200390690Y1 (ko) 콘크리트 도상용 침목의 철골구조
KR101270942B1 (ko) 아스팔트 노반용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JP2688439B2 (ja) 軌道スラブ用パネル及び軌道スラブ用パネルによる軌道スラブの施工方法
US8459570B2 (en) Supporting arrangement
JP3884855B2 (ja) ラダーマクラギ軌道における継目構造
CN202323563U (zh) 一种后张型预应力轨道复合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