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668A - 이중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668A
KR20160009668A KR1020157035655A KR20157035655A KR20160009668A KR 20160009668 A KR20160009668 A KR 20160009668A KR 1020157035655 A KR1020157035655 A KR 1020157035655A KR 20157035655 A KR20157035655 A KR 20157035655A KR 20160009668 A KR20160009668 A KR 20160009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ayer body
cap
passage
ou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8549B1 (ko
Inventor
신야 호시노
카츠히토 쿠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37349A external-priority patent/JP60845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37451A external-priority patent/JP60548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73947A external-priority patent/JP621511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6000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9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slide valv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내용물의 수용부(S)에 연결되는 상부 개구(4b)를 구비한 내층체(4)와, 이 내층체(4)를 수용하는 동시에 내층체(4) 사이에 외기를 도입하는 개공(6)을 입구부(5a)에 구비한 외층체(5)와, 내용물의 주출구(9)를 구비하고, 외층체(5)의 입구부(5a)에 장착된 주출 캡(3)을 갖는 이중 용기(1)에, 수용부(S)와 주출구(9)를 연통시키는 주출로(16)를 구비하고, 상부 개구(4b)에 장착된 중간 마개(12)와, 주출로(16)를 개폐하는 체크 밸브(21A)를 설치하는 동시에, 주출 캡(3)의 입구부(5a)의 외주를 덮는 원통벽(7)의 하단 부분을 외층체(5)의 외주면에 결합시켜 주출 캡(3)의 내측에 통기 영역(32, 33)을 설치하고, 통기 영역(32, 33)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공(31)으로부터 통기 영역(32, 33)을 통하여 개공(6)에 도달하는 경로 중에 스로틀 통로(35)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이중 용기{DOUBLE-WALLED 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층체를 외층체의 내측에 수용한 이중 구조를 가지고, 내용물의 주출(注出)에 수반하여 내층체만을 수축시키도록 한 이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예컨대, 샴푸, 린스, 액체 비누, 화장수 등의 화장료 또는 미림, 요리술, 간장, 소스와 같은 식품 조미료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용기로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층체를 외층체의 내측에 수용한 이중 구조를 가지고, 외층체의 입구부에 장착된 주출 캡의 주출구(注出口)로부터 내용물을 주출하도록 한 이중 용기(디라미네이션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중 용기는, 내용물의 주출에 수반하여 외층체에 설치된 개공으로부터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에 외기를 도입하여 내층체를 수축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출 후에 내층체의 내부에 외기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층체와 외기의 접촉을 극력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중 용기에서는, 주출 캡에 설치된 외기 도입공과 외층체의 개공 사이의 경로 중에 체크 밸브를 설치하고, 이 체크 밸브에 의해서 내용물의 주출에 수반하여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에 도입된 외기를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에 유지하여, 외층체의 압축에 의해서 내용물을 주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서는, 주출 캡의 내측에 외부로부터 격리된 통기 영역을 구획하고, 이 통기 영역을 통하여 외층체의 입구부에 설치된 개공과 주출 캡에 설치된 외기 도입공을 연통시키는 동시에, 이 외기 도입공을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주출 캡 내에 배치한 이중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31921호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이중 용기에서는,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에 도입된 외기를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에 유지하기 위해서 체크 밸브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체크 밸브 만큼 부품수가 증가하고, 이 이중 용기의 코스트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며, 그 목적은,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에 도입된 외기를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에 유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가 필요하지 않은 코스트가 낮은 이중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 용기는, 내용물의 수용부에 연결되는 상부 개구를 구비한 내층체와, 상기 내층체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내층체 사이에 외기를 도입하는 개공을 입구부에 구비한 외층체와, 내용물의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외층체의 입구부에 장착된 주출 캡을 갖는 이중 용기로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주출구를 연통시키는 주출로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개구에 장착된 중간 마개와, 상기 주출로를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주출 캡의 내측에 통기 영역을 설치하고, 상기 통기 영역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공으로부터 상기 통기 영역을 통하여 상기 개공에 도달하는 경로 중에 스로틀 통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중 용기는, 일 형태로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공을 상기 주출 캡에 설치하고, 상기 주출 캡의 상기 입구부의 외주를 덮는 원통벽의 하단 부분을 상기 외층체의 외주면에 결합시켜 상기 통기 영역의 하단을 밀봉하고, 상기 주출 캡과 상기 중간 마개 사이에, 상기 주출 캡의 내측을, 상기 주출로와 상기 주출구를 연결하는 주출 영역과 상기 통기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설치하고, 상기 스로틀 통로를 상기 상부 개구보다도 상방에 위치하여 설치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로틀 통로를 상기 외기 도입공과 동시에 상기 주출 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로틀 통로를 상기 중간 마개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주출 캡과 상기 중간 마개의 틈을 상기 스로틀 통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중 용기는, 다른 형태로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개는, 상기 상부 개구를 덮는 천벽(天壁)에 상기 주출로를 갖는 동시에, 상기 천벽의 둘레부로부터 기립하는 내주벽을 구비하고, 상기 주출 캡의 원통벽은, 상기 입구부에 결합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입구부와 상기 중간 마개의 내주벽의 상호간에서 상기 개공에 연통하는 통기로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벽에 연결되는 정벽(頂壁)에 상기 주출구 및 상기 외기 도입공이 설치되며,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주출구와 상기 외기 도입공 사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천벽과 상기 정벽 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내주벽과의 상호 간에 상기 외기 도입공에 통하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가지고, 상기 중간 마개는, 상기 내주벽의 상면과 상기 정벽의 하면의 상호간에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통기로를 연결하는 접속로를 가지고, 상기 통기로 및 접속로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스로틀 통로를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로틀 통로는, 상기 내주벽의 외주면 및 상기 원통벽의 내주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가늘고 긴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로틀 통로는, 상기 내주벽의 상면 및 상기 정벽의 하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가늘고 긴 홈인 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내주벽 및 상기 외주벽의 한쪽은, 다른쪽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나선 형상 볼록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주출 캡은, 상기 외기 도입공과 상기 내주벽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정벽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마개는, 상기 수용부로 향해서 연장되는 통형상벽을 갖는 동시에, 상기 통형상벽 내를 상기 외층체의 자세 변경에 따라서 이동하는 구 형상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중 용기는, 또한 다른 형태로서, 상기 주출 캡의 상기 입구부의 외주를 덮는 원통벽의 하면 부분을, 상기 외층체의 외주면에 결합시켜 상기 원통벽과 상기 입구부 사이에 통기 영역을 구획 형성하고, 상기 스로틀 통로를, 상기 상부 개구보다도 하방으로 위치하여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로틀 통로를 상기 원통벽의 하단 부분의 내주면에 홈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로틀 통로를 상기 원통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중 용기는, 또한 다른 형태로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주출구와 상기 외기 도입공 사이를 구획하여 상기 주출 캡의 내측에 적어도 1 개의 상기 통기 영역을 형성하는 구획벽을 갖고, 각 통기 영역에서의 최소 단면적의 합계가, 0.11 ~ 0.19 mm2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마개의 외측 에지 및 상기 원통벽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통기 영역의 일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기 영역의 최소 단면적을 갖는 홈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홈부를, 상기 중간 마개의 외측 에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기 도입공으로부터 통기 영역을 통하여 외층체의 개공에 도달하는 경로 중에 스로틀 경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내용물의 주출에 수반하여 외기 도입공을 통하여 통기 영역에 도입된 외기를 개공으로부터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로 도입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해서 외층체를 압축할 때에는,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의 공기를 소망의 압력으로 유지하여 외층체의 압축에 의해 내용물의 주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체크 밸브가 필요하지 않아, 이 이중 용기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인 이중 용기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이중 용기의 변형례로서, 주출 캡의 정벽에 외기 도입공과 함께 스로틀 통로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이중 용기의 변형례로서, 중간 마개에 설치한 스로틀 통로를 중간 마개의 외주면에 설치한 세로 홈을 통하여 제 2 통기 영역에 연통시킨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이중 용기의 변형례로서, 중간 마개에 슬릿 형상의 스로틀 통로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이중 용기의 변형례로서, 주출 캡의 원통벽에 외기 도입공과 함께 스로틀 통로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이중 용기의 변형례로서, 주출 캡과 중간 마개의 틈을 스로틀 통로로 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인 이중 용기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이중 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인 이중 용기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이중 용기의 변형례로서, 스로틀 통로를 주출 캡의 원통벽에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인 이중 용기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이중 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예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청구범위, 요약서에 있어서, '상(上)'이라는 것은, 이중 용기를 수평면 상에 두었을 때 외층체에 대해서 주출 캡이 위치하는 측이고, '하(下)'라는 것은, 그 반대측이다.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인 이중 용기(1)는, 예컨대, 식품 조미료 등의 액체 형상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것이며, 용기 본체(2)와 주출 캡(3)을 가지고 있다. 용기 본체(2)는 내층체(4)와 외층체(5)를 가지는 적층 박리형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출 캡(3)은 외층체(5)에 설치된 입구부(5a)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2)로서는, 적층 박리형으로 한정하지 않고, 내층체(내용기)(4)와 외층체(외용기)(5)를 개별적으로 성형한 후에 조합한 조합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용기 본체(2)를 구성하는 내층체(4)는, 예컨대, 두께가 얇은 합성 수지에 의해서 가요성을 갖는 주머니를 형성하고, 그 내측은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용부(4a)로 되어 있다. 내층체(4)의 상단부는 수용부(4a)에 연결되는 상부 개구(4b)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용부(4a)에 수용한 내용물을 상부 개구(4b)로부터 주출시킬 수 있다.
외층체(5)는 용기 본체(2)의 외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술한 입구부(5a)와 이 입구부(5a)에 일체로 이어진 몸통부(5b)를 가지고 있다. 외층체(5)는 그 내측에 내층체(4)를 박리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으며, 또한, 그 입구부(5a)의 개구단에 내층체(4)의 상부 개구(4b)가 고정되어 있다.
외층체(5)의 입구부(5a)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수나사부(5c)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층체(5)의 입구부(5a)에는, 당해 입구부(5a)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개공(6)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개공(6)은 내층체(4)와 외층체(5) 사이에서 연통하고 있으며, 개공(6)으로부터 내층체(4)와 외층체(5) 사이에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개공(6)은 2 개로 한정하지 않고, 적어도 1 개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주출 캡(3)은 원통 형상의 원통벽(7)과 이 원통벽(7)의 상단에 이어진 정벽(8)을 구비한 최상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통벽(7)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7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주출 캡(3)은 암나사부(7a)가 외층체(5)의 입구부(5a)에 설치된 수나사부(5c)에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서, 외층체(5)의 입구부(5a)에 장착되어 있다. 입구부(5a)에 장착된 주출 캡(3)은, 그 원통벽(7)에 의해서 입구부(5a)의 외주를 덮는 동시에 정벽(8)에 의해서 입구부(5a)의 상방을 덮고 있다. 주출 캡(3)의 정벽(8)에는 상방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원통 형상의 단차부(8a)가 설치되며, 이 단차부(8a)에는 정벽(8)의 축심으로부터 어긋난 주출구(노즐)(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주출구(9)는 정벽(8)의 단차부(8a) 상면으로부터 나팔 형상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이 단차부(8a)의 하면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돌출하여, 정벽(8)을 관통하고 있다. 이 주출구(9)는 내층체(4)의 상부 개구(4b)에 연통되어 있으며, 내층체(4)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주출할 수 있다. 또한, 상방이라는 것은, 내층체(4)의 수용부(4a)에 대해서 상부 개구(4b)가 설치되어 있는 측이다.
주출 캡(3)에는 오버 캡(10)이 힌지(11)를 통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오버 캡(10)은 주출 캡(3)과 대략 동일한 직경의 최상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언더컷 등의 수단에 의해서 주출 캡(3)에 결합되어 주출 캡(3)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오버 캡(10)의 내면에는, 오버 캡(10)이 폐쇄될 때에 주출구(9)에 삽입되어 주출구(9)를 폐쇄하는 원통 형상의 마개체(10a)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내층체(4)의 상부 개구(4b)에는 중간 마개(12)가 장착되어 있다. 이 중간 마개(12)는, 예컨대, 합성 수지제로 제작되고, 대략 원판 형상의 본체부(13)와, 이 본체부(13)의 외주 둘레로부터 상방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원통 형상의 내주벽(스페이서부(spacer部))(14)을 구비하고 있다. 내주벽(14)은 주출 캡(3)의 원통벽(7)의 내경 치수와 대략 동일한 외경 치수를 가지고 있으며, 중간 마개(12)는 내주벽(14)의 외주면을 원통벽(7)의 내주면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내주벽(14)의 상단을 정벽(8)에 축 방향으로부터 맞닿게 한 상태로 주출 캡(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내주벽(14)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주출 캡(3)에 장착된 중간 마개(12)와 주출 캡(3)의 정벽(8) 사이에는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중간 마개(12)의 본체부(13)의 하면, 즉 내층체(4)의 수용부(4a) 측을 향한 면에는 원통 형상의 결합통부(15)가 동축이면서 일체로 설치되며, 이 결합통부(15)가 입구부(5a)의 내측에 액밀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중간 마개(12)의 본체부(13)에는 그 겉과 속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서 형성된 주출로(16)가 설치되며, 이 주출로(16)에 의해서 내층체(4)의 수용부(4a)와 주출 캡(3)의 주출구(9)가 연통되어 있다.
주출 캡(3)과 중간 마개(12) 사이의 공간에는, 예컨대, 합성 수지, 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 등에 의해 형성된 밸브 유닛(21)이 장착되어 있다. 이 밸브 유닛(21)은 원통 형상의 구획벽(21a)을 가지고 있다. 이 구획벽(21a)은 그 축 방향 일단부가 중간 마개(12)의 본체부(13)의 상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 홈(13a)에 끼워 넣어진 동시에, 그 축방향 타단부가 주출 캡(3)의 정벽(8)의 하면에 이 고리 형상 홈(13a)과 동축으로 형성된 고리 형상 홈(8b)에 끼워 넣어져, 주출 캡(3)과 중간 마개(12)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획벽(21a)에 의해서 구획된 주출 캡(3)의 내측 공간은 주출로(16)와 주출구(9)를 연결하는 주출 영역(2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출로(16)로부터 주출된 내용물은 이 주출 영역(22)을 통해서 주출구(9)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구획벽(21a)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주출로(16)로부터 내층체(4)의 수용부(4a)에 외기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체크 밸브(21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체크 밸브(21A)는 구획벽(21a)과 동축의 원판 형상의 밸브체(21b)를 가지고, 이 밸브체(21b)는, 그 외주 둘레에 있어서 탄성 변형이 자유로운 복수의 (예컨대, 3 개) 연결편(21c)에 의해서 구획벽(21a)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이들 연결편(21c)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구획벽(21a)에 대해서 그 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밸브체(21b)는 주출로(16)의 주출구(9) 측을 향해서 개구단에 배치되어 주출로(16)를 폐쇄하고 있으며, 외층체(5)가 압축되는 등에 의해서 내층체(4)에 수용된 내용물에 압력이 가해질 때 개방되어, 주출로(16)로부터 주출구(9)로 향해서 내용물을 유통시킨다. 한편, 내용물이 주출된 후, 내용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면, 밸브체(21b)는 연결편(21c)의 탄성력에 의해서 주출로(16)를 폐쇄하는 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의해서, 주출로(16)로부터 내층체(4)의 수용부(4a)로의 외기의 유입이 방지된다.
중간 마개(12)의 본체부(13)에는 주출로(16)에 인접하여 원통 형상의 통형상부(2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통형상부(23)는 내층체(4)의 수용부(4a)와 주출 캡(3)의 주출 영역(22)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예컨대, 강재나 수지 재료 등에 의해서 구형으로 형성된 볼(24)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볼(24)의 직경은 통형상부(23)의 내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으며, 통형상부(23)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통형상부(23)의 하단에는 축경부(23a)가 일체로 설치되며, 또한, 통형상부(23)의 상단에는 밸브체(21b)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서 볼(24)은 통형상부(23)의 내부에 유지되어 있다. 볼(24)은, 이중 용기(1)가 주출 캡(3)을 상측으로 한 기립 자세일 때에는 자중에 의해서 통형상부(23) 내의 수용부(4a) 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고, 이중 용기(1)가 기립 자세에 대해서 90 도 이상 기울여져서 내용물이 주출될 때에는, 도면 중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부(23)의 주출 영역(22) 측의 단부까지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내용물이 주출된 후, 이중 용기(1)가 원래의 기립 자세로 되돌아가면, 볼(24)이 통형상부(23)의 내부를 수용부(4a) 측으로 향해서 주출 영역(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당해 이동에 수반하여, 주출구(9)나 주출 영역(22)에 잔류된 내용물이 통형상부(23)의 내부로 끌려 들어오게 된다(suck back). 이에 의해서, 주출구(9)의 선단으로부터의 액 떨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외층체(5)의 입구부(5a)에 설치된 개공(6)에 외기를 도입시키기 위해서, 주출 캡(3)에는 외기 도입공(31)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경우에서는, 외기 도입공(31)은 주출 캡(3)의 정벽(8)에 설치되어 있다. 주출 캡(3)의 정벽(8)과 중간 마개(12) 사이의 구획벽(21a)보다도 외측의 공간은 제 1 통기 영역(3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기 도입공(31)은 이 제 1 통기 영역(32)에 연통하는 동시에 단차부(8a)의 측면에 있어서 주출 캡(3)의 외부로 개구하고 있다.
한편, 주출 캡(3)의 원통벽(7)과 외층체(5)의 입구부(5a) 사이의 공간은 제 2 통기 영역(3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층체(5)의 입구부(5a)에 설치된 개공(6)은 이 제 2 통기 영역(33)으로 개구하고 있다. 입구부(5a)에 설치된 수나사부(5c)에는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홈부(34)가 설치되며, 이 홈부(34)도 제 2 통기 영역(3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외층체(5)의 입구부(5a)와 몸통부(5b) 사이에는 입구부(5a) 보다도 대경인 원통 형상의 결합부(5d)가 일체로 설치되며, 이 결합부(5d)의 외주면에 주출 캡(3)의 원통벽(7)의 하단 부분이 맞닿아서, 제 2 통기 영역(33)의 하단이 밀봉되어 있다.
중간 마개(12)의 내주벽(14)에는, 내층체(4)의 상부 개구(4b) 보다도 상방(상부 개구(4b)에 대해서 수용부(4a)와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스로틀 통로(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로틀 통로(35)는, 테이퍼 형상의 내면을 갖는 확경공(35a)과 이 확경공(35a)의 저벽에 설치된 내경이 일정한 소공(35b)을 가지고 있다. 스로틀 통로(35)의 소공(35b)은 제 1 통기 영역(32)으로 개구하고, 스로틀 통로(35)의 확경공(35a)은 내주벽(14)의 외주면과 원통벽(7)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나선 형상 통로(36)로 개구하고 있다. 내주벽(14)의 외주면의 하단에는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통 홈(37)이 형성되며, 이 연통 홈(37)에 의해서 나선 형상 통로(36)가 제 2 통기 영역(33)에 연통되어 있다. 즉, 제 1 통기 영역(32)과 제 2 통기 영역(33)은, 스로틀 통로(35)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스로틀 통로(35)의 소공(35b)은 오리피스로서 기능하고, 제 1 통기 영역(32)과 제 2 통기 영역(33) 사이를 흐르는 외기(공기)에 소정의 저항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주출 캡(3)의 내측에는, 외기 도입공(31)으로부터 제 1 통기 영역(32), 스로틀 통로(35), 및 제 2 통기 영역(33)을 통하여 개공(6)에 도달하는 외기 도입을 위한 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내용물의 주출에 수반하여 내층체(4)가 감용할 때에는, 외기 도입공(31)으로부터 당해 경로를 경유하여 개공(6), 즉 내층체(4)와 외층체(5) 사이로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한편,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해서 외층체(5)가 압축되면, 내층체(4)와 외층체(5) 사이에 남아 있는 공기는, 그 압력이 높아져서 개공(6)으로부터 외기 도입공(31)으로 향해서 유출되려고 한다. 그렇지만, 개공(6)과 외기 도입공(31) 사이의 통기 경로 중에는 스로틀 통로(3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층체(5)가 압축되어 내층체(4)와 외층체(5) 사이의 공기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도, 당해 공기는 스로틀 통로(35)를 통과할 때에 큰 저항을 받게 되어 용이하게 외기 도입공(31)으로 향해서 유출될 수가 없다. 즉, 외층체(5)의 압축에 의해서 높아진 내층체(4)와 외층체(5) 사이의 공기의 압력은, 급격하게 감압되지 않고 서서히 감압되어진다. 따라서,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해서 외층체(5)를 압축할 때에, 내층체(4)와 외층체(5) 사이의 공기의 압력을, 잠깐 동안, 내층체(4)로부터 내용물을 주출시키는 정도의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외층체(5)를 압축할 때에, 내층체(4)와 외층체(5) 사이의 압력이 높아진 공기를 통하여 내층체(4)를 찌그러뜨리고, 그 수용부(4a)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 캡(3)의 주출구(9)로부터 외부로 주출시킬 수 있다.
상기 기능을 생성시키기 위해서, 스로틀 통로(35)의 소공(35b)의 내경은, 외층체(5)를 압축할 때에 내용물을 주출할 수 있도록, 내용물의 주출량이나 외층체(5)의 강성, 압축 후의 복원력 등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이와 같이, 주출 캡(3)의 내측에, 외기 도입공(31)으로부터 제 1 통기 영역(32)과 제 2 통기 영역(33)을 통하여 개공(6)에 도달하는 통기를 위한 경로를 설치하고, 이 경로 중에 스로틀 통로(35)를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내용물의 주출에 수반하여 외기 도입공(31)으로부터 당해 경로를 통하여 개공(6), 즉 내층체(4)와 외층체(5) 사이로 외기를 도입시킬 수 있는 동시에, 내용물의 주출을 위해 외층체(5)가 압축될 때에, 내층체(4)와 외층체(5) 사이의 공기를 압력이 높은 상태로 유지하여, 내층체(4)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 캡(3)의 주출구(9)로부터 외부로 주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로틀 통로(35)는 중간 마개(12)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체크 밸브와 같은 별도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 이중 용기(1)의 부품수를 감소시켜서, 그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기 도입공(31)을 주출 캡(3)의 정벽(8)에 설치하는 동시에 스로틀 통로(35)를 중간 마개(12)의 내주벽(14)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외기 도입공(31)이 주출 캡(3)에 설치되고, 스로틀 통로(35)가 내층체(4)의 상부 개구(4b) 보다도 상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 2 ~ 도 6에 나타낸 변형례에서와 같이, 이들 배치를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6에 있어서는, 전술한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였다.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변형례에서는, 스로틀 통로(35)를 주출 캡(3)의 정벽(8)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스로틀 통로(35)는 외기 도입공(31)을 겸하고 있으며, 주출 캡(3) 내측의 제 1 통기 영역(32)에 외기를 도입하는 동시에 제 1 통기 영역(3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로틀 통로(35)가 외기 도입공(31)을 겸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이 이중 용기(1)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그 코스트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스로틀 통로(35)는, 테이퍼 형상의 내면을 가지고 제 1 통기 영역(32)으로 개구하는 확경공(35a)과, 이 확경공(35a)의 저벽에 설치되어 외부로 개구하는 내경이 일정한 소공(35b)을 가진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제 1 통기 영역(32)과 제 2 통기 영역(33)을 연통시키기 위해서, 중간 마개(12)의 내주벽(14)에는, 그 내주면에 설치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홈(41)과, 그 외주면에 설치되어 세로 홈(41)과 연통하는 절결부(42)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변형례에서는, 중간 마개(12)의 내주벽(14)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세로 홈(43, 44)을 설치하고, 이들 세로 홈(43, 44)에 끼워진 얇은 원통판 부분에 스로틀 통로(35)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스로틀 통로(35)는 내경이 일정한 소공에 형성되고, 중간 마개(12)의 내주면에 설치된 세로 홈(43)을 통하여 제 1 통기 영역(32)에 연통되는 동시에, 중간 마개(12)의 외주면에 설치된 세로 홈(44)을 통하여 제 2 통기 영역(33)에 연통된다.
도 4에 나타낸 변형례에서는, 중간 마개(12)의 내주벽(14)의 내주면에 설치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홈(41)과, 내주벽(14)의 외주면에 설치된 절결부(42)를 아주 작은 범위에서 서로 연통시키고, 이들 슬릿 형상의 연통 부분을 스로틀 통로(35)로 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변형례에서는, 스로틀 통로(35)를 주출 캡(3)의 원통벽(7)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스로틀 통로(35)는 내층체(4)의 상부 개구(4b)보다도 상방으로 설치되며, 내주벽(14)의 외주면에 설치된 연통 홈(37)을 통하여 제 2 통기 영역(33)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이 변형례에 있어서는, 통기 영역은 제 2 통기 영역(33)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좋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변형례에서는, 스로틀 통로(35)는 외기 도입공(31)을 겸하고 있고, 주출 캡(3) 내측의 제 2 통기 영역(33)으로 외기를 도입할 수 있는 동시에, 제 2 통기 영역(33)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용기(1)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그 코스트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 1, 도 2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로틀 통로(35)는, 확경공(35a)과 소공(35b)을 가진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변형례에서는, 주출 캡(3)과 중간 마개(12)의 틈을 스로틀 통로(35)로 하도록 하고 있다. 도시한 경우에서는, 주출 캡(3)의 정벽(8) 내면에 직경 방향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스로틀 홈(45)이 형성되고, 이 스로틀 홈(45)의 개구가 중간 마개(12)의 내주벽(14) 상단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주출 캡(3)과 중간 마개(12) 사이에 스로틀 홈(45)에 의해서 형성된 틈이 스로틀 통로(35)로 되어 있다. 이 스로틀 통로(35)는, 그 일단이 제 1 통기 영역(32)에 직접 연통되는 동시에, 그 타단이 나선 형상 통로(36)와 연통 홈(37)을 통하여 제 2 통기 영역(33)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경우에서는, 주출 캡(3)의 정벽(8)의 내면에 스로틀 홈(45)을 설치하여 주출 캡(3)과 중간 마개(12) 사이의 스로틀 통로(35)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내주벽(14)의 주출 캡(3)에 맞닿는 선단면에 스로틀 홈(45)을 설치하여 주출 캡(3)과 중간 마개(12) 사이에 스로틀 통로(35)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주출 캡(3)의 정벽(8)의 내면과 내주벽(14)의 주출 캡(3)에 맞닿는 선단면의 양쪽에 스로틀 홈(45)을 설치하여 주출 캡(3)과 중간 마개(12) 사이에 스로틀 통로(35)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층체(5)를 압축할 때에 내용물을 주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용물의 주출량이나 외층체(5)의 강성, 압축 후의 복원량 등에 기초하여 스로틀 통로(35)의 내경을 조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외기 도입공(外氣導入孔)(31)과 개공(開孔)(6) 사이의 통기 경로 중을 유동하는 외기(공기)에 가해지는 저항을, 스로틀 통로(35) 내경만으로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스로틀 통로(35)의 내경에 더하여,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경우에서는 외기 도입공(31)의 개구 면적과 연통 홈(37)의 홈 직경을 조정하는 등, 당해 통기 경로 중에 설치된 다른 가늘고 긴 홈의 단면적이나 공(孔)의 내경 등을 맞춰서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스로틀 통로(35)가 생성하는 저항에 다른 가늘고 긴 홈의 단면적이나 공(孔)이 생성하는 저항을 복합적으로 조합하여, 당해 경로 중을 흐르는 외기(공기)에 가해지는 저항을 더욱 폭 넓게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체크 밸브(21A)는, 밸브체(21b)가 구획벽(21a)과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로 한정하지 않고, 주출로(16)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밸브체(21b)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주출로(16)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이면, 여러 가지의 형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인 이중 용기의 요부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이중 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면 부호 10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인 이중 용기를 나타낸다. 이중 용기(101)는, 용기의 외각을 형성하는 외층체(110)와, 외층체(110)의 내측에 들어가는 내층체(120)를 구비하고 있고, 그 상부에 중간 마개(130), 내용물용 체크 밸브(140), 주출 캡(주출 마개)(150), 및 오버 캡(덮개체)(160)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이중 용기(101)는, 합성 수지제의 외층체(110)와 외층체(110)에 대해서 상용성이 낮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내층체(120)를 적층시킨 것이며, 이들 합성 수지 소재를 적층하여 형성한 패리슨을, 블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외층체(110)와 내층체(120)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여 외층체(110)와 내층체(120)를 부분적으로 접합하는, 1 개 혹은 복수 개의 접착대를 설치하여도 좋다.
외층체(110)는, 원통 형상의 입구부(입구부 주벽)(111)에, 복원이 자유로운 가요성을 갖는 몸통부(112)를 연결하는 동시에, 도시를 생략한 저부를 몸통부(112)에 연결한 것이다. 입구부(11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13)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입구부(111)에는, 개공(관통공)(114)을 설치하고 있고, 또한, 개공(114)을 설치한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수나사부(113)를 절결한 홈부(115)를 설치하고 있다.
내층체(120)는, 그 내측에 내용물을 충전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충전 공간)(S)을 형성하는 동시에, 수용부(S)에 통하는 상부 개구(121)를 갖는 것이며, 적층된 외층체(110)로부터 박리되는 것에 의해서 감용 변형(減容變形)될 수 있다.
중간 마개(130)는, 내층체(120)의 상부 개구(121)를 덮는 본체부(천벽, 天壁)(131)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131)에, 수용부(S)로 향해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통형상부(통 형상 벽)(132)를 설치하고 있고, 이 통형상부(132)의 수용부(S) 측 단부는 수용부(S)로 향해서 축경하고 있으며, 통형상부(132) 내에는, 외층체(110)의 자세 변경에 따라서 그 자신의 자중으로 이동하는 볼(구 형상체)(B)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31)에는, 통형상부(132)에 인접하여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되는 단부(133)를 설치하고 있고, 이 단부(133)에, 겉과 속을 관통하는 주출로(주출 개구)(134)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체부(131)의 상면에는, 통형상부(132) 및 단부(133)를 둘러싸는 동시에, 이들과의 상호간에 내용물용 체크 밸브(140)를 결합 유지하는 고리 형상의 결합벽(135)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결합벽(135)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본체부(131)의 둘레부로부터 기립하는 원통 형상의 내주벽(스페이서부)(136)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부(131)의 하면에는, 입구부(111) 내측에 액밀하게 끼워 넣어지는 고리 형상의 결합통부(밀봉부)(137)를 설치하고 있다.
내주벽(136)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주벽(136)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홈(연통 홈)(136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주벽(136)의 상면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홈(136b)(가늘고 긴 홈(136a)과 동일한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
내용물용 체크 밸브(140)는, 그 하부가, 중간 마개(130)의 통형상부(132), 단부(133), 및 결합벽(135)에 결합 유지되는 구획벽(환상벽)(141)을 구비하고 있다. 구획벽(141)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연결편(암)(142)을 통하여 연결되는 판 형상의 밸브부(143)를 구비하고 있고, 밸브부(143)에 의해서 주출로(134)를 폐쇄하고 있다. 또한, 밸브부(143)는, 통형상부(132)의 상부 개구의 대부분도 은폐하고 있지만, 그 일부는 상시 개구되어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서 내용물용 체크 밸브(140)는, 소위 3 점 밸브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1 점 밸브 등, 종전의 다른 형태의 체크 밸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서 구획벽(141)은 원통 형상이지만, 각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주출 캡(150)은, 입구부(111)의 둘레벽[周壁]을 둘러싸는 원통벽(외주벽)(151)을 연결하고 있고, 원통벽(151)의 내주면에는, 입구부(111) 둘레벽의 수나사부(113)에 대응하는 암나사부(15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원통벽(151)의 상부에는, 중간 마개(130) 및 내용물용 체크 밸브(140)를 은폐하는 정벽(153)을 설치하고 있다. 정벽(153)에는, 내용물용 체크 밸브(140)의 개방하에서 수용부(S) 내의 내용물을 주출하는 주출구(주출통)(154)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주출구(154)는, 정벽(153)의 하방측으로도 연장되어 있고, 이에 의해서 밸브부(143)가 과도하게 들어 올려졌을 때의 스토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한, 정벽(153)의 하면에는, 구획벽(141)의 상부를 결합 유지하는 동심 이중 배치로 되는 한 쌍의 상부 결합벽(155)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부 결합벽(155)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정벽(153)을 관통하는 외기 도입공(156)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서, 내주벽(136)과 구획벽(141) 사이에는, 본체부(131)와 정벽(153)에 끼이는 동시에 외기 도입공(156)이 개구하는 내부 공간(N)이 형성된다. 또한, 외기 도입공(156)과 내주벽(136) 사이에 있어서 정벽(153)의 하면에는, 내부 공간(N)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돌기(157)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원통벽(151)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통벽(151)의 내주면 상방에는, 내주벽(136)으로 향해서 토출하는 나선 형상 볼록부(151a)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원통벽(151)의 내주면에서의 가늘고 긴 홈(136a)과의 근방 영역은, 가늘고 긴 홈(136a)을 제외하고 내주벽(136)의 외주면과 맞닿고, 정벽(153)의 하면에서의 가늘고 긴 홈(136b)과의 근방 영역은, 가늘고 긴 홈(136b)을 제외하고 내주벽(136)의 상면과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개공(114)과 외기 도입공(156) 사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통기 영역)으로서, 홈부(115) 및 가늘고 긴 홈(136a)을 경유하여 나선 형상 볼록부(151a)를 통하는 통기로(T1)와, 가늘고 긴 홈(136b)으로 구성되는 접속로(T2)와, 접속로(T2)와 외기 도입공(156)을 연결하는 내부 공간(N)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내주벽(136)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리브가 설치되어 있어, 중간 마개(130)를 주출 캡(150)에 조립하면, 이 볼록 리브가 나선 형상 볼록부(151a)를 파고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중간 마개(130)는 주출 캡(150)에 대해서 회전이 방지되어 유지된다.
또한, 외층체(110)의 입구부(111)와 몸통부(112) 사이에는 입구부(111) 보다도 대경인 원통 형상의 결합부가 일체로 설치되며, 이 결합부의 외주면에 주출 캡(150)의 원통벽(151)의 하단 부분이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통기로(T1), 접속로(T2), 및 내부 공간(N)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기 영역은, 그 하단이 밀봉되어 주출 캡(150)의 외부에 대해서 구획되어 있다.
오버 캡(덮개체)(160)은, 힌지(161)를 통하여 주출 캡(150)의 원통벽(151)에 연결되어 있으며, 힌지(161)가 절곡되는 것에 의해서, 주출구(154) 및 외기 도입공(156)을 은폐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오버 캡(160)은, 평판 형상의 상벽(上壁)(162)과, 상벽(162)의 둘레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원통벽(151)에 이어지는 형상으로 되는 덮개체 주벽(163)을 구비하고 있고, 상벽(162)에는, 오버 캡(160)을 닫을 때에 주출구(154)의 내측으로 침입하여 주출구(154)를 밀봉하는 마개체(봉체, 棒體)(16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오버 캡(160)은, 힌지(161)를 설치하지 않고 주출 캡(150)과는 별체의 것으로 하고, 나사나 언더컷에 의해서 주출 캡(150)에 장착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되는 제 2 실시 형태에 다른 이중 용기(101)로부터 내용액을 토출할 때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버 캡(160)을 개방하고, 이중 용기(101)를, 기립 자체로부터 경사 혹은 전도된 자세로 자세를 변경한다. 이에 의해서, 통형상부(132) 내의 볼(B)은, 자중에 의해서, 도 7에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주출구(154)측)로 이동한다. 그리고, 외층체(110)의 몸통부를 압압하면, 내층체(120)는, 외층체(110)와 내층체(120) 사이의 공기에 의해서 압압되어 수용부(S)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가압된 내용물이 밸브부(143)를 들어 올려, 주출로(134)로부터 내용물이 유출되어, 주출구(154)로부터 외계로 주출된다. 여기에서, 개공(114)과 외기 도입공(156) 사이는, 통기로(T1), 접속로(T2), 내부 공간(N)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시 개방된 상태이지만, 가늘고 긴 홈(136a) 및 가늘고 긴 홈(136b)의 통로 단면적(홈 폭이나 홈 깊이)은, 통기로(T1), 접속로(T2), 및 내부 공간(N)의 다른 부분보다도 작게 되어 있어 스로틀 통로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외층체(110)를 압압하여도, 외층체(110)와 내층체(120) 사이의 공기는 그렇게 많이 누출되지 않고, 내용물의 주출 기능은 종래와 동등하게 유지된다. 특히,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나선 형상 볼록부를 설치한 통기로(T1)의 연장 길이를 길게 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의 누출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소요량의 내용물을 주출한 후에는, 외층체(110)의 몸통부로의 압압을 해제하면, 수용부(S) 내의 압력이 낮아지고, 이에 수반하여 밸브부(143)가 주출로(134)를 폐쇄하기 때문에, 수용부(S) 내로의 외기의 침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외층체(110)는, 그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외층체(110)와 내층체(120)의 상호간은 음압 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서, 외기 도입공(156)으로부터 내부 공간(N), 접속로(T2), 통기로(T1)를 경유하여, 개공(114)에서 공기가 도입되어, 내층체(120)를 감용시킨 채로 외층체(110)가 복원된다. 또한, 가늘고 긴 홈(136a) 및 가늘고 긴 홈(136b)에 의해서 공기는 흐르기 어렵게 되어 있지만, 외층체(110)의 재질, 두께, 형상 등에 의해서 복원력을 조정할 수 있는 데다가, 가늘고 긴 홈(136a) 및 가늘고 긴 홈(136b)의 통로 단면적(홈 폭이나 홈 깊이)을 스로틀 기능을 유지한 채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용 체크 밸브에 경우와 동등한 시간에 외층체(110)를 복원시킬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에 의하면, 가늘고 긴 홈의 폭이나 깊이 등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소망하는 성능이 발휘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복잡한 구조로 되는 공기용 체크 밸브를 이용하는 경우보다도 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데다가, 종래 이용되었던 공기용 체크 밸브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코스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외기 도입공(156) 부근에 액체가 부착되어 있으면, 공기와 일체로 주출 캡(150) 내로 흡인되는 것이 있기는 하지만, 흡인된 액체는 내부 공간(N)에 일단 수용되며, 또한, 접속로(T2)는, 내부 공간(N)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통기로(T1)로의 액체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벽(153)의 하면에 돌기(157)를 설치하고 있고, 돌기(157)가 외기 도입공(156)과 접속로(T2) 사이로 침입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 도입공(156)으로부터의 액체가 직접적으로 접속로(T2)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통기로(T1)로의 액체의 유입을, 더욱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즉, 외기 도입공(156)으로부터 액체가 흡인되어도, 내부 공간(N)에 일단 수용되어 남아 있는 것이 가능한데다가, 접속로(T2)는 내부 공간(N)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출 캡(150)의 안쪽 혹은 외층체(110)와 내층체(120) 상호간으로의 액체의 침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내용물의 주출 후, 이중 용기(101)를 기립 자세로 되돌리면, 볼(B)은, 자중에 의해서 수용부(S)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서, 주출구(154) 내에 남은 내용물을 주출 캡(150) 내로 끌어 들일 수 있기 때문에, 주출구(154)로부터 액이 방울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용기(101)에서는, 내용물용 체크 밸브(140)에 설치된 구획벽(141)과 중간 마개(130)에 설치된 내주벽(136)의 상호간에, 외기 도입공(156)으로 통하는 내부 공간(N)을 구획하고, 이 내부 공간(N)과 통기로(T1)(외층체(110)의 입구부(111)에 설치된 개공(114)에 연결되어 있음)를 연결한 접속로(T2)를, 내주벽(136)의 상면과, 주출 캡(150)의 정벽(153) 하면의 상호간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외기 도입공(156)으로부터 액체가 흡인되어도, 내부 공간에 일단 수용되어 남아 있는 것이 가능한데다가, 접속로(T2)는 내부 공간(N)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출 캡(150)의 안쪽 혹은 외층체(110)와 내층체(120) 상호간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용기(101)에서는, 통기로(T1) 및 접속로(T2)의 적어도 한쪽을,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로틀 통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외층체(110)와 내층체(120) 사이의 공기는, 외층체(110)를 압압하여도 용기 내에서 어느 정도 유지되어, 공기용 체크 밸브 없이도 내용물을 주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로틀 통로는, 내주벽(136)의 외주면 및 원통벽(151)의 내주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가늘고 긴 홈(136a), 또는 내주벽(136)의 상면 및 정벽(153)의 하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가늘고 긴 홈(136b)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용기(101)에서는, 내주벽(136) 및 원통벽(151)의 한쪽에, 다른쪽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나선 형상 볼록부(151a)를 설치한 경우에는, 통기로(T1)의 연장 길이 보다도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외층체(110)와 내층체(120) 사이의 공기를, 외기 도입공(156)으로부터보다 누출하기 어렵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용기(101)에서는, 주출 캡(150)에, 외기 도입공(156)과 내주벽(136) 사이에 있어서, 정벽(153)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157)를 설치한 경우에는, 외기 도입공(156)으로부터 흡인된 액체가, 접속로(T2)에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주출 캡(150)의 안쪽 혹은 외층체(110)와 내층체(120) 상호간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더욱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용기(101)에서는, 중간 마개(130)에, 수용부(S)로 향해서 연장하는 통형상부(132)를 설치한 동시에, 통형상부(132) 내를 외층체(110)의 자세 변경에 따라서 이동하는 볼(B)을 설치하는 경우는, 외층체(110)를 기울여서 내용물을 주출한 후, 외층체(110)를 원래의 기립 자세로 되돌리면, 볼(B)이 수용부(S)로 향해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주출구(154) 내의 내용물을 되돌리는(suction back) 것이 가능하므로, 주출구(154)로부터의 액이 방울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성을 매우 좋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층체(110)에 설치된 홈부(115)를 통하여 공기를 개공(114)에 인도하도록 한 것이지만, 이 홈부(115)를 설치하지 않고, 수나사부(113)와 암나사부(152)의 틈을 통하여 공기를 도입하도록 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 개의 가늘고 긴 홈(136a, 136b)을 설치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에 있어도 좋다. 또한, 가늘고 긴 홈(136a)을 대신하여, 통기로(T1)를 구성하는 다른 부위의 통로 단면적을 좁게 하여도 된다. 또한, 가늘고 긴 홈(136a, 136b)은, 내주벽(136)에 설치되어 있지만, 원통벽(151)에 설치되어도 좋고, 또한 2 개로 분할되어 이들의 양쪽에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나선 형상 볼록부(151a)는, 원통벽(151)에 설치되어 있지만, 내주벽(136)에 설치되어 있어도, 또한 양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외층체(110) 및 내층체(120)는, 적층 구조의 패리슨을 블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외층체(110) 및 내층체(120)를 개별적으로 형성하고, 그 후, 내층체(120)를 외층체(110) 내에 장착하도록 한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인 이중 용기(201)는, 예컨대, 식품 조미료 등의 액체 형상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것이며, 용기 본체(202)와 주출 캡(203)을 가지고 있다. 용기 본체(202)는 내층체(204)와 외층체(205)를 가지는 적층 박리형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출 캡(203)은 외층체(205)에 설치된 입구부(205a)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202)로서는, 적층 박리형으로 한정하지 않고, 내층체(내용기)(204)와 외층체(외용기)(205)를 개별적으로 성형한 후에 조합한 조합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용기 본체(202)를 구성하는 내층체(204)는, 예컨대, 두께가 얇은 합성 수지에 의해서 가요성을 갖는 주머니를 형성하고, 그 내측은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용부(204a)로 되어 있다. 내층체(204)의 상단부는 수용부(204a)에 연결되는 상부 개구(204b)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용부(204a)에 수용한 내용물을 상부 개구(204b)로부터 주출시킬 수 있다.
외층체(205)는 용기 본체(202)의 외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술한 입구부(205a)와 이 입구부(205a)에 일체로 이어진 몸통부(205b)를 가지고 있다. 외층체(205)는 그 내측에 내층체(204)를 박리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으며, 또한, 그 입구부(205a)의 개구단에 내층체(204)의 상부 개구(204b)가 고정되어 있다.
외층체(205)의 입구부(205a)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05c)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층체(205)의 입구부(205a)에는, 당해 입구부(205a)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개공(206)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개공(206)은 내층체(204)와 외층체(205) 사이에서 연통하고 있으며, 개공(206)으로부터 내층체(204)와 외층체(205) 사이에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개공(206)은 2 개로 한정하지 않고, 적어도 1 개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주출 캡(203)은 원통 형상의 원통벽(207)과 이 원통벽(207)의 상단에 연결되는 정벽(208)을 구비한 최상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통벽(207)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07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주출 캡(203)은 암나사부(207a)가 외층체(205)의 입구부(205a)에 설치된 수나사부(205c)에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서, 외층체(205)의 입구부(205a)에 장착되어 있다. 입구부(205a)에 장착된 주출 캡(203)은, 그 원통벽(207)에 의해서 입구부(205a)의 외주를 덮는 동시에 정벽(208)에 의해서 입구부(205a)의 상방을 덮고 있다. 주출 캡(203)의 정벽(208)에는 상방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원통 형상의 단차부(208a)가 설치되며, 이 단차부(208a)에는 정벽(208)의 축심으로부터 어긋난 주출구(노즐)(209)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주출구(209)는 정벽(208)의 단차부(208a) 상면으로부터 나팔 형상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이 단차부(208a)의 하면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돌출하여, 정벽(208)을 관통하고 있다. 이 주출구(209)는 내층체(204)의 상부 개구(204b)에 연통되어 있으며, 내층체(204)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주출할 수 있다. 또한, 상방이라는 것은, 내층체(204)의 수용부(204a)에 대해서 상부 개구(204b)가 설치되어 있는 측이다.
주출 캡(203)에는 오버 캡(210)이 힌지(211)를 통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오버 캡(210)은 주출 캡(203)과 대략 동일한 직경의 최상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언더컷 등의 수단에 의해서 주출 캡(203)에 결합되어 주출 캡(203)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오버 캡(210)의 내면에는, 오버 캡(210)이 폐쇄될 때에 주출구(209)에 삽입되어 주출구(209)를 폐쇄하는 원통 형상의 마개체(210a)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내층체(204)의 상부 개구(204b)에는 중간 마개(212)가 장착되어 있다. 이 중간 마개(212)는, 예컨대, 합성 수지제로 제작되고, 대략 원판 형상의 본체부(213)와, 이 본체부(213)의 외주 둘레로부터 상방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원통 형상의 내주벽(스페이서부)(214)을 구비하고 있다. 내주벽(214)은 주출 캡(203)의 원통벽(207)의 내경 치수와 대략 동일한 외경 치수를 가지고 있으며, 중간 마개(212)는 내주벽(214)의 외주면을 원통벽(207)의 내주면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내주벽(214)의 상단을 정벽(208)에 축 방향으로부터 맞닿게 한 상태로 주출 캡(20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내주벽(214)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주출 캡(203)에 장착된 중간 마개(212)와 주출 캡(203)의 정벽(208) 사이에는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중간 마개(212)의 본체부(213)의 하면, 즉 내층체(204)의 수용부(204a) 측을 향한 면에는 원통 형상의 결합통부(215)가 동축이면서 일체로 설치되며, 이 결합통부(215)가 입구부(205a)의 내측에 액밀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중간 마개(212)의 본체부(213)에는 그 겉과 속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서 형성된 주출로(216)가 설치되며, 이 주출로(216)에 의해서 내층체(204)의 수용부(204a)와 주출 캡(203)의 주출구(209)가 연통되어 있다.
주출 캡(203)과 중간 마개(212) 사이의 공간에는, 예컨대, 합성 수지, 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 등에 의해 형성된 밸브 유닛(221)이 장착되어 있다. 이 밸브 유닛(221)은 원통 형상의 구획벽(221a)을 가지고 있다. 이 구획벽(221a)은 그 축 방향 일단부가 중간 마개(212)의 본체부(213)의 상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 홈(213a)에 끼워 넣어진 동시에, 그 축방향 타단부가 주출 캡(203)의 정벽(208)의 하면에 이 고리 형상 홈(213a)과 동축으로 형성된 고리 형상 홈(208b)에 끼워 넣어져, 주출 캡(203)과 중간 마개(212)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획벽(221a)에 의해서 구획된 주출 캡(203)의 내측 공간은 주출로(216)와 주출구(209)를 연결하는 주출 영역(22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출로(216)로부터 주출된 내용물은 이 주출 영역(222)을 통해서 주출구(209)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구획벽(221a)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주출로(216)로부터 내층체(204)의 수용부(204a)에 외기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체크 밸브(221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체크 밸브(221A)는 구획벽(221a)과 동축의 원판 형상의 밸브체(221b)를 가지고, 이 밸브체(221b)는, 그 외주 둘레에 있어서 탄성 변형이 자유로운 복수의 (예컨대, 3 개) 연결편(221c)에 의해서 구획벽(221a)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이들 연결편(221c)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구획벽(221a)에 대해서 그 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밸브체(221b)는 주출로(216)의 주출구(209) 측을 향해서 개구단에 배치되어 주출로(216)를 폐쇄하고 있으며, 외층체(205)가 압축되는 등에 의해서 내층체(204)에 수용된 내용물에 압력이 가해질 때 개방되어, 주출로(216)로부터 주출구(209)로 향해서 내용물을 유통시킨다. 한편, 내용물이 주출된 후, 내용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면, 밸브체(221b)는 연결편(221c)의 탄성력에 의해서 주출로(216)를 폐쇄하는 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의해서, 주출로(216)로부터 내층체(204)의 수용부(204a)로의 외기의 유입이 방지된다.
중간 마개(212)의 본체부(213)에는 주출로(216)에 인접하여 원통 형상의 통형상부(22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통형상부(223)는 내층체(204)의 수용부(204a)와 주출 캡(203)의 주출 영역(222)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예컨대, 강재나 수지 재료 등에 의해서 구형으로 형성된 볼(224)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볼(224)의 직경은 통형상부(223)의 내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으며, 통형상부(223)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통형상부(223)의 하단에는 축경부(223a)가 일체로 설치되며, 또한, 통형상부(223)의 상단에는 밸브체(221b)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서 볼(224)은 통형상부(223)의 내부에 유지되어 있다. 볼(224)은, 이중 용기(201)가 주출 캡(203)을 상측으로 한 기립 자세일 때에는 자중에 의해서 통형상부(223) 내의 수용부(204a) 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고, 이중 용기(201)가 기립 자세에 대해서 90 도 이상 기울여져서 내용물이 주출될 때에는, 도 9 중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부(223)의 주출 영역(222) 측의 단부까지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내용물이 주출된 후, 이중 용기(201)가 원래의 기립 자세로 되돌아가면, 볼(224)이 통형상부(223)의 내부를 수용부(204a) 측으로 향해서 주출 영역(2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당해 이동에 수반하여, 주출구(209)나 주출 영역(222)에 잔류된 내용물이 통형상부(223)의 내부로 끌려 들어오게 된다(suck back). 이에 의해서, 주출구(209)의 선단으로부터의 액 떨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주출 캡(203)의 원통벽(207)과 외층체(205)의 입구부(205a) 사이의 공간은 통기 영역(23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층체(205)의 입구부(205a)에 설치된 개공(206)은 이 통기 영역(231)으로 개구하고 있다. 입구부(205a)에 설치된 수나사부(205c)에는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홈부(232)가 설치되며, 이 홈부(232)도 통기 영역(23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외층체(205)의 입구부(205a)와 몸통부(205b) 사이에는 입구부(205a) 보다도 대경의 원통 형상의 결합부(205d)가 일체로 설치되며, 이 결합부(205d)의 외주면에 주출 캡(203)의 원통벽(207)의 하단 부분이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통기 영역(231)은, 그 하단이 밀봉되어 주출 캡(203)의 외부에 대해서 구획되어 있다. 또한, 통기 영역(231)의 상방측은, 중간 마개(212)의 하면이 입구부(205a)의 개구단(상단)에 맞닿아 있는 동시에 내주벽(214)의 상단이 주출 캡(203)의 정벽(208) 내면에 맞닿아 있는 것에 의해서 밀폐되어 있다.
외층체(205)의 입구부(205a)에 설치된 개공(206)에 외기를 도입시키기 위해서, 주출 캡(203)에는, 내층체(204)의 상부 개구(204b) 보다도 하방(상부 개구(204b)에 대해서 수용부(204a) 측)에 위치하여 스로틀 통로(233)가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B-B 단면으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로틀 통로(233)는, 외층체(205)의 결합부(205d)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원통벽(207)의 하단 부분의 내주면에 이 원통벽(207)의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단면 사각형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로틀 통로(233)는, 그 상단측에 있어서 통기 영역(231)에 연통하는 동시에 원통벽(207)의 하단측에 있어서 주출 캡(203)의 외부로 개구하여, 통기 영역(231)을 외부로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이 스로틀 통로(233)는 오리피스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고, 이 스로틀 통로(233)를 통하여 주출 캡(203)의 외부와 통기 영역(231) 사이에 흐르는 외기(공기)에 소정의 저항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내용물의 주출에 수반하여 내층체(204)가 감용할 때에는, 스로틀 통로(233)로부터 통기 영역(231)을 통하여 개공(206), 즉 내층체(204)와 외층체(205) 사이로 외기를 도입하여, 내층체(204)만을 감용시킬 수 있다.
한편,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해서 외층체(205)가 압축되면, 내층체(204)와 외층체(205) 사이에 남아 있는 공기는, 그 압력이 높아져서 개공(206)으로부터 스로틀 통로(233)를 통하여 주출 캡(203)의 외부로 유출되려고 한다. 그렇지만, 스로틀 통로(233)는 오리피스로서 기능하는 것이기 때문에, 외층체(205)가 압축되어 내층체(204)와 외층체(205) 사이의 공기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당해 공기는 스로틀 통로(233)를 통과할 때에 큰 저항을 받아서 용이하게 외부로 유출될 수가 없다. 즉, 외층체(205)의 압축에 의해서 높아진 내층체(204)와 외층체(205) 사이의 공기의 압력은, 급격하게 감압되지 않고 서서히 감압되어진다. 따라서,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해서 외층체(205)를 압축할 때에, 내층체(204)와 외층체(205) 사이의 공기의 압력을, 잠깐 동안, 내층체(204)로부터 내용물을 주출시키는 정도의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외층체(205)를 압축할 때에, 내층체(204)와 외층체(205) 사이의 압력이 높아진 공기를 통하여 내층체(204)를 찌그러뜨리고, 그 수용부(204a)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 캡(203)의 주출구(209)로부터 외부로 주출시킬 수 있다.
상기 기능을 생성시키기 위해서, 홈 형상으로 형성된 스로틀 통로(233)의 단면적은, 외층체(205)를 압축할 때에 내용물을 주출할 수 있도록, 내용물의 주출량이나 외층체(205)의 강성, 압축 후의 복원력 등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이와 같이, 주출 캡(203)에 스로틀 통로(233)를 설치하고, 이 스로틀 통로(233)를 통하여 내층체(204)와 외층체(205) 사이와, 주출 캡(203)의 외부 사이에서 외기의 도입, 배출을 행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내용물의 주출에 수반하여 스로틀 통로(233)로부터 개공(206), 즉 내층체(204)와 외층체(205) 사이로 외기를 도입시킬 수 있는 동시에, 내용물의 주출을 위해 외층체(205)가 압축될 때에, 내층체(204)와 외층체(205) 사이의 공기를 압력이 높은 상태로 유지하여, 내층체(204)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 캡(203)의 주출구(209)로부터 외부로 주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스로틀 통로(233)는 주출 캡(203)의 원통벽(207)에 홈 형상으로 일체로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체크 밸브와 같은 별도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는 없고, 따라서, 이 이중 용기(201)의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로틀 통로(233)를 내층체(204)의 상부 개구(204b) 보다도 하방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스로틀 통로(233)를 설치할 때, 중간 마개(212)나 주출 캡(203)의 홈 이외의 부분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이 이중 용기(201)의 코스트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이중 용기의 변형례로서, 스로틀 통로를 주출 캡의 원통벽에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는, 도 9에 있어서 설명한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였다.
도 10에 나타낸 변형례에서는, 스로틀 통로(233)를 주출 캡(203)의 원통벽(207)에 당해 원통벽(207)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으로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스로틀 통로(233)는 내층체(204)의 상부 개구(204b) 보다도 하방이며 개공(206) 보다도 하방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변형례에 있어서, 스로틀 통로(233)는, 테이퍼 형상의 내면을 갖는 대경 확경공(233a)과, 이 대경 확경공(233a) 보다도 소경의 테이퍼 형상의 내면을 갖는 소경 확경공(233b)을 가지고 있으며, 대경 확경공(233a)은 주출 캡(203)의 외부로 개구하고, 소경 확경공(233b)은 통기 영역(231)으로 개구하고 있다. 이 경우, 스로틀 통로(233)의 소경 확경공(233b)이 오리피스로서 기능하여, 주출 캡(203)의 외부와 통기 영역(231) 사이에 그 스로틀 통로(233)를 흐르는 외기(공기)에 소정의 저항을 생성시킨다. 이와 같은 변형례의 구성에 의해서도, 도 9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생성시킬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로틀 통로(233)를 주출 캡(203)의 원통벽(207)의 하단 부분의 내주면에 홈 형상으로 설치하고, 도 10에 나타낸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로틀 통로(233)를 주출 캡(203)의 원통벽(207)에 관통공으로서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로 한정하지 않으며, 내층체(204)의 상부 개구(204b) 보다도 하방에 설치되어 통기 영역(231)을 외부로 연통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스로틀 통로(233)를 다른 구성이나 배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로틀 통로(233)를 외층체(205)의 입구부(205a)에 설치된 개공(206) 보다도 하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로틀 통로(233)를 개공(206) 보다도 하방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주출구(209)로부터 떨어지는 내용물 등의 이물이 스로틀 통로(233)로부터 잘못하여 도입되어도, 이 이물이 통기 영역(231)을 통하여 개공(206)으로부터 내층체(204)와 외층체(205) 사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출로(216)를 개폐하는 밸브체(221b)는 구획벽(221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로 한정하지 않고, 주출로(216)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밸브체(221b)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주출로(216)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이면, 여러 가지의 형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 도면 부호 30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인 이중 용기를 나타낸다. 이중 용기(301)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층체(310)와, 내층체(310)를 내측에 수용하는 외층체(320)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중간 마개(330), 체크 밸브(340), 볼(이동 밸브)(350), 주출 캡(360), 및 오버 캡(덮개체)(370)을 구비하고 있다.
내층체(310)는, 그 내측에 내용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충전 공간)(S)을 구비하고 있다. 내층체(310)는 두께가 얇은 합성 수지제이며, 감용 변형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외층체(320)는, 도시를 생략하는 저부에 연결되는 몸통부(321)를 가지고, 몸통부(321)에, 하부가 상부 보다도 대경으로 되는 단이 부착된 원통 형상의 입구부(입구부 주벽)(322)를 일체로 연결한 것이다. 입구부(322)에는 상방으로 향해서 개구하는 상부 개구(322a)가 설치되어 있고, 입구부(32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2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입구부(322)에는, 내층체(310)와 외층체(320)의 상호간에 공기를 도입시키기 위한 개공(관통 개구)(323)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개공(323)이 위치하는 입구부(32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22b)를 상하 방향으로 절결한 홈부(3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층체(310)의 상부 개구는, 외층체(320)의 입구부(32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입구부(322)의 상부 개구(322a)와 함께 개구하고 있다.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층체(310)와 외층체(320)는, 상호 상용성(相溶性)이 낮은 합성 수재를 박리 가능하게 적층한 것이며, 이들 합성 수지 소재를 적층하여 형성한 패리슨을, 블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블로 성형 이외에도, 시험관 형상으로 형성한 프리폼을 2 축 연신 블로 성형하는 것이나, 외층체 및 내층체를 개별적으로 형성하고, 그 후, 내층체를 외층체 내에 장착하도록 한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내층체(310)와 외층체(320)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여 내층체(310)와 외층체(320)를 부분적으로 접합하는, 1 개 혹은 복수 개의 접착대를 설치하여도 좋다.
중간 마개(330)는, 외층체(320)의 상부 개구(322a)를 덮는 본체부(천벽)(331)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331)에, 상하로 관통시키는 동시에 수용부(S)로 향해서 연장하는 통형상부(통 형상 벽)(33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통형상부(332)는, 그 내주면의 횡단면 형상이 원으로 되는 원통 형상이지만, 내주면의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되는 각통(角筒)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통형상부(332)에는, 하방으로 향해서 내경이 좁아지는 축경부(332a)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331)에는, 통형상부(332)에 인접하여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되는 단부(333)를 설치하고 있고, 이 단부(333)에, 겉과 속을 관통하는 주출로(334)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체부(331)의 상면에는, 통형상부(332) 및 단부(333)를 둘러싸는 동시에, 이들과의 상호간에 체크 밸브(340)를 결합 유지하는 고리 형상의 결합벽(335)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결합벽(335)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본체부(331)의 둘레부로부터 기립하는 원통 형상의 내주벽(336)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부(331)의 하면에는, 입구부(322) 내측에 액밀하게 끼워 넣어지는 고리 형상의 결합통부(밀봉부)(337)를 설치하고 있다.
내주벽(336)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주벽(336)의 외측 에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 홈(홈부)(336a)이 설치되어 있다. 제 4 실시 형태에서의 연통홈(336a)의 횡단면 형상은, 도 12의 C-C 단면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을 이루는 것이지만, 반원 형상, 사각형 형상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 배치되어 합계 2 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주벽(336)의 상면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 홈(336b)이 설치되어 있다.
체크 밸브(340)는, 그 하부가, 중간 마개(330)의 통형상부(332), 단부(333), 및 결합벽(335)에 결합 유지되는 구획벽(환상벽)(341)을 구비하고 있다. 구획벽(341)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연결편(탄성 암(arm))(342)을 통하여 연결되는 판 형상의 밸브체(343)를 구비하고 있고, 밸브체(343)에 의해서 주출로(334)를 폐쇄하고 있다. 또한, 밸브부(343)는, 통형상부(332)의 상부 개구의 대부분도 은폐하고 있지만, 그 일부는 상시 개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체크 밸브(340)는, 소위 3 점 밸브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1 점 밸브 등, 종전의 다른 형태의 체크 밸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구획벽(341)은 원통 형상이지만, 각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이동 밸브인 볼(350)은, 통형상부(332) 내에 배치되어 그 내주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밸브로서 통형상부(332) 내에 구 형상을 이루는 볼(350)을 배치하고 있지만, 속이 찬 기둥 형상의 것이나, 통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그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 통로를 폐쇄하는 폐쇄벽을 구비하는 것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을 이동 밸브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 용기(301)를 기립 자세로 할 때, 볼(350)은 축경부(332a)에 착좌하여, 수용부(S)를 폐쇄하도록 하고 있다.
주출 캡(360)은, 입구부(322)를 둘러싸는 원통벽(외주벽)(361)을 구비하고 있고, 원통벽(361)의 내주면에는, 입구부(322)의 수나사부(322b)에 대응하는 암나사부(36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원통벽(361)의 상부에는 중간 마개(330) 및 체크 밸브(340)를 은폐하는 정벽(363)을 설치하고 있다. 정벽(363)에는, 체크 밸브(340)의 개방하에서 수용부(S) 내의 내용물을 주출하는 주출구(주출통)(364)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주출구(364)는, 정벽(363)의 하방측으로도 연장되어 있고, 이에 의해서 밸브부(343)가 과도하게 들어 올려졌을 때의 스토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한, 정벽(363)의 하면에는, 구획벽(341)의 상부를 결합 유지하는 동심 이중 배치로 되는 한 쌍의 상부 결합벽(365)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부 결합벽(365)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정벽(363)을 관통하는 외기 도입공(366)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서, 주출구(364)와 외기 도입공(366) 사이가 구획벽(341)에 의해서 구획되며, 구획벽(341)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외기 도입공(366)이 개구하는 내부 공간(N)이 형성된다.
또한, 원통벽(361)의 내주면에서의 연통홈(336a)과의 근방 영역은, 홈부로서의 연통 홈(세로 홈)(336a)을 제외하고 내주벽(336)의 외주면과 맞닿고, 정벽(363)의 하면에서의 가늘고 긴 홈(336b)과의 근방 영역은, 가로 홈(336b)을 제외하고 내주벽(336)의 상면과 맞닿아 있다. 즉, 주출 캡(360)의 내측에는, 외계로부터 내층체(310)와 외층체(320)의 상호간에 외기가 유입되는 통로로서, 외기 도입공(366)으로부터 시작하여, 순서대로, 내부 공간(N), 가로 홈(336b), 원통벽(361)과 내주벽(336)의 틈, 연통홈(336a), 및 홈부(324)를 경유하여, 개공(323)에 도달하는, 외기 도입로(통기 영역)(T3)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홈(336a)을 합계 2 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외기 도입로(T3)는 2 개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외기 도입로(T3)의 숫자는, 1 개라도, 3 개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외기 도입로(T3)에 있어서는, 연통홈(336a)이 외기 도입로(T3)의 최소 단면적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외기 도입로(T3)의 최소 단면적은, 외기 도입로(T3)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적 중에서, 외기 도입공(366)으로부터 개공(323)에 도달하는 사이에 최소로 되는 것을 말하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홈(336a)에서의 수평면에서의 단면적이, 외기 도입공(366)로부터 개공(23)에 도달하는 사이에서 최소가 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연통홈(336a)에서의 수평면에서의 단면적의 합계는, 0.11 ~ 0.19 mm2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외층체(320)의 입구부(322)와 몸통부(321) 사이에는 입구부(322) 보다도 대경인 원통 형상의 결합부가 일체로 설치되며, 이 결합부의 외주면에 주출 캡(360)의 원통벽(361)의 하단 부분이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외기 도입로(T3)로 이루어지는 통기 영역은, 그 하단이 밀봉되어 주출 캡(360)의 외부에 대해서 구획되어 있다.
오버 캡(덮개체)(370)은, 힌지(371)를 통하여 주출 캡(360)의 원통벽(361)에 연결되어 있으며, 힌지(371)가 절곡되는 것에 의해서, 주출구(364) 및 외기 도입공(366)을 은폐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오버 캡(370)은, 평판 형상의 상벽(372)과, 상벽(372)의 둘레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원통벽(361)에 이어지는 형상으로 되는 덮개체 주벽(373)을 구비하고 있고, 상벽(372)에는, 오버 캡(370)을 닫을 때에 주출구(364)의 내측으로 침입하여 주출구(364)를 밀봉하는 봉 형상의 마개체(밀봉부)(37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오버 캡(370)은, 힌지(371)를 설치하지 않고 주출 캡(360)과는 별체의 것으로 하고, 나사나 언더컷에 의해서 주출 캡(360)에 장착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되는 이중 용기(301)로부터 내용액을 토출할 때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버 캡(370)을 개방하고, 이중 용기(301)를, 기립 자체로부터 경사 혹은 전도된 자세로 자세를 변경한다. 그리고, 외층체(320)의 몸통부(321)를 압압하면, 내층체(310)는, 외층체(320)로부터 직접, 혹은 내층체(310)와 외층체(320) 사이의 공기를 통하여 압압되어 수용부(S)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가압된 내용물이 주출로(334)로부터 밸브체(343)를 밀어 올려, 주출로(334)로부터 내용물이 유출되어, 주출구(364)를 통하여 외계로 주출된다. 또한, 외기 도입로(T3)는 상시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연통홈(336a)에서의 수평면에서의 단면적의 합계를 0.11 ~ 0.19 mm2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내층체(310)와 외층체(320) 사이의 공기는, 외기 도입공(366)으로부터 그 정도로 누출되지는 않고, 내용액은 양호하게 주출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통형상부(332) 내의 볼(350), 즉 이동 밸브는, 자중이나 통형상부(332)의 하방측의 개구로부터 유입되는 내용액에 의해서, 주출구(364) 측(도 1 중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으로 이동하게 된다.
소요량의 내용액을 주출한 후에는, 외층체(320)의 몸통부(321)로의 압압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서, 수용부(S) 내의 압력이 낮아지고, 밸브체(343)가 주출로(334)를 폐쇄하기 때문에, 수용부(S) 내로의 외기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층체(320)는, 그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고 하고, 내층체(310)와 외층체(320)의 상호간은 음압 상태로 되기 때문에, 외기 도입로(T3)를 통해서 외기가 도입된다. 이에 의해서, 내층체(310)를 감용시킨 채로 외층체(320)만이 복원된다. 또한, 연통홈(336a)에서의 수평면에서의 단면적의 합계를 0.11 ~ 0.19 mm2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외기의 도입이 크게 저해되지는 않기 때문에, 외층체의 복원력 완료까지에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지는 않는다.
밸브체(343)가 주출로(334)를 폐쇄하게 되면, 주출구(364) 내에는 내용액이 잔류한 채로 남아 있지만, 이중 용기(301)를 원래의 기립 자세로 되돌리면, 볼(350)은, 그 자신의 자중이나 수용부(S) 내의 압력 저하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서, 통형상부(332)의 상방에는, 볼(50)이 이동하는 만큼의 스페이스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스페이스 만큼에 상당하는 만큼의 내용액을 주출구(364)로부터 되돌릴 수 있어(suck back 기능), 액이 방울져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방으로 이동한 볼(350)은, 통형상부(332)의 축경부(332a)에 착좌하기 때문에, 수용부(S) 내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용기(301)에서는, 주출 캡(360)의 내측에, 외기 도입공(366)으로부터 개공(323)에 도달하는 적어도 1 개의 통기 영역인 외기 도입로(T3)를 설치하고, 각 외기 도입로(T3)에서의 최소 단면적의 합계를 0.11 ~ 0.19 mm2으로 한 것에 의해서, 외층체(320)를 압압할 때에, 외층체(320)와 내층체(310) 사이의 공기가 외기 도입공(366)으로부터 그 정도로 누출되지는 않고, 수용부(S)를 충분하게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액을 양호하게 주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이라면, 외층체(320)의 복원 완료까지에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지는 않기 때문에, 실사용에 있어서의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또한,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용기(301)에서는, 외기 도입로(T3)에서의 최소 단면적의 합계를 상기 범위에 들어가게 할 때는, 예컨대, 1 개의 부재에 관통공을 설치하는 것으로 하고, 이 관통공의 개구 면적을 상기 범위에 들어가도록 하여도 실현할 수 있지만, 관통공의 내경이 작아져 버리기 때문에, 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중간 마개(330)의 외측 에지 및 주출 캡(360)의 원통벽(361)의 적어도 한쪽에, 외기 도입로(T3)의 일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외기 도입로(T3)의 최소 단면적을 갖는 구조(연통홈(336a))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부재의 외면 또는 내면에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홈부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용기(301)에서는, 중간 마개(330)에 설치된 주출로(334)는, 예컨대, 내용액의 종류에 따라서 개구 면적을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외기 도입로(T3)에서의 최소 단면적의 합계도, 이에 대응하여 상기 범위 내에서 최적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홈부를 중간 마개(330)에 설치하게 되면,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주출 캡(360)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1]
도 11, 도 12에 나타낸 이중 용기에 대해서, 외층체를 압압할 때의 내용액의 주출 성능, 및 외층체의 복원 시간에 대해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동일한 종류, 동일한 양의 내용액을 충전하는 동시에, 외기 도입로에서의 최소 단면적의 합계를 변경하기 위해, 2 개의 연통홈(336a)에 대해서, 그들의 단면적을 변경한 이중 용기를 준비하고, 외층체를 압압하여 소정량의 내용액을 반복하여 주출시키는 것에 의해서 확인하였다. 결과를, 연통홈(336a)의 단면적의 합계와 함께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중 용기의 용량은 200 ml였다.
외기 도입로에 있어서의
최소 단면적의 합계 [mm2]
내용액의
주출 성능
외층체의
복원 시간(평균) [s]
비교예 1 0.08 6.4
적합례 1 0.11 5.5
적합례 2 0.13 5.6
적합례 3 0.14 4.2
적합례 4 0.16 3.5
적합례 5 0.18 3.1
적합례 6 0.19 4.5
비교예 2 0.20 6.0
비교예 3 0.38 7.3
내용액의 주출 성능은, 외층체를 압압하여 내용액이 양호하게 주출되는지 안되는지를 확인하였다. 표 중에서 '○'는, 내용이 양호하게 주출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ⅹ'는, 외층체를 강하게 압압하여도 내용액이 주출되지 않는다거나, 강하게 압압하여도 전혀 주출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외층체의 복원 시간은, 외층체로의 압압을 해제한 이후 외층체가 복원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표 1의 결과는, 1 종류에 대해서 복수의 이중 용기에 대해서 복원 완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그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복원 시간이 평균 6 s 미만이면, 실사용에 있어서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다.
외기 도입로에서의 최소 단면적의 합계가 0.11 mm2 미만인 이중 용기(비교예 1)에서는, 외층체의 복원에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사용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고, 또한, 외기 도입로에서의 최소 단면적의 합계가 0.19 mm2 보다도 큰 이중 용기(비교예 2, 3)에서는, 외층체를 강하게 압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내용액의 주출 성능에 어려움이 있는 데다가, 외층체의 복원에도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편, 외기 도입로에 있어서의 최소 단면적의 합계가 0.11 ~ 0.19 mm2인 이중 용기(적합례 1 ~ 6)에서는, 결과가 양호하였다. 특히, 상기 수치 범위가 0.14 ~ 0.19 mm2인 이중 용기(적합례 3 ~ 6)는, 외층체의 복원 시간이 더 단축되어지므로 매우 바람직하며, 상기 수치 범위가 0.16 ~ 0.18 mm2인 이중 용기(적합례 4, 5)는, 외층체의 복원 시간이 더 단축되어지므로 더욱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더욱이, 도 11, 도 12에 나타낸 이중 용기에 대해서 동일한 구조로서, 용량을 변경한 이중 용기에 대해서, 외층체의 복원 시간에 대해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조사에 이용한 이중 용기의 용량과 함께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2 개의 연통홈(336a)에 대해서, 이들의 단면적의 합계는, 0.14 mm2였다.
이중 용기의 용량 [ml] 외층체의 복원 시간(평균) [s]
적합례 7 100 5.3
적합례 8 150 3.2
적합례 9 200 4.2
적합례 10 300 3.0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에 의하면, 용량을 변경하여도 외층체의 복원 완료에 필요한 시간은 실사용상 문제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기 도입로에서의 최소 단면적을 갖는 부위는, 중간 마개의 외측 에지로 한정되지 않고, 외기 도입공으로부터 관통 개구에 도달하는 사이에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는, 상기한 제 1 내지 제 4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 범위에 따른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 형태에서의 스로틀 통로의 최소 단면적을, 0.11 ~ 0.19 mm2로 하는 등, 상기 제 1 ~ 제 4 실시 형태에 기재된 특징적인 구성을, 상호 적용한 이중 용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Claims (17)

  1. 내용물의 수용부에 연결되는 상부 개구를 구비한 내층체와, 상기 내층체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내층체 사이에 외기를 도입하는 개공을 입구부에 구비한 외층체와, 내용물의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외층체의 입구부에 장착된 주출 캡을 갖는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주출구를 연통시키는 주출로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개구에 장착된 중간 마개와,
    상기 주출로를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주출 캡의 내측에 통기 영역을 설치하고,
    상기 통기 영역을 외부에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공으로부터 상기 통기 영역을 통하여 상기 개공에 도달하는 경로 중에 스로틀 통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공을 상기 주출 캡에 설치하고,
    상기 주출 캡의 상기 입구부의 외주를 덮는 원통벽의 하단 부분을 상기 외층체의 외주면에 결합시켜 상기 통기 영역의 하단을 밀봉하고,
    상기 주출 캡과 상기 중간 마개 사이에, 상기 주출 캡의 내측을, 상기 주출로와 상기 주출구를 연결하는 주출 영역과 상기 통기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설치하고,
    상기 스로틀 통로를 상기 상부 개구보다도 상방에 위치하여 설치한, 이중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통로를 상기 외기 도입공과 함께 상기 주출 캡에 설치한, 이중 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통로를 상기 중간 마개에 설치한, 기재의 이중 용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출 캡과 상기 중간 마개의 틈을 상기 스로틀 통로로 한, 이중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개는, 상기 상부 개구를 덮는 천벽(天壁)에 상기 주출로를 갖는 동시에, 상기 천벽의 둘레부로부터 기립하는 내주벽을 구비하고,
    상기 주출 캡의 원통벽은, 상기 입구부에 결합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입구부와 상기 중간 마개의 내주벽의 상호간에서 상기 개공에 연통하는 통기로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벽에 연결되는 정벽에 상기 주출구 및 상기 외기 도입공이 설치되며,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주출구와 상기 외기 도입공 사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천벽과 상기 정벽 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내주벽과의 상호 간에 상기 외기 도입공에 통하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가지고,
    상기 중간 마개는, 상기 내주벽의 상면과 상기 정벽의 하면의 상호간에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통기로를 연결하는 접속로를 가지고,
    상기 통기로 및 접속로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스로틀 통로를 설치한, 이중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통로는, 상기 내주벽의 외주면 및 상기 원통벽의 내주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가늘고 긴 홈인, 이중 용기.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통로는, 상기 내주벽의 상면 및 상기 정벽의 하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가늘고 긴 홈인, 이중 용기.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 및 상기 외주벽의 한쪽은, 다른쪽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나선 형상 볼록부를 갖는, 이중 용기.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캡은, 상기 외기 도입공과 상기 내주벽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정벽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를 갖는, 이중 용기.
  11.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0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개는, 상기 수용부로 향해서 연장되는 통형상벽을 갖는 동시에, 상기 통형상벽 내를 상기 외층체의 자세 변경에 따라서 이동하는 구 형상체를 갖는, 이중 용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출 캡의 상기 입구부의 외주를 덮는 원통벽의 하면 부분을, 상기 외층체의 외주면에 결합시켜 상기 원통벽과 상기 입구부 사이에 통기 영역을 구획 형성하고,
    상기 스로틀 통로를, 상기 상부 개구보다도 하방에 위치하여 설치한, 이중 용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통로를 상기 원통벽의 하단 부분의 내주면에 홈 형상으로 설치한, 이중 용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통로를 상기 원통벽에 설치한, 이중 용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주출구와 상기 외기 도입공 사이를 구획하여 상기 주출 캡의 내측에 적어도 1 개의 상기 통기 영역을 형성하는 구획벽을 갖고,
    각 통기 영역에서의 최소 단면적의 합계가, 0.11 ~ 0.19 mm2인, 이중 용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개의 외측 에지 및 상기 원통벽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통기 영역의 일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기 영역의 최소 단면적을 갖는 홈부를 설치한, 이중 용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홈부를, 상기 중간 마개의 외측 에지에 설치한, 이중 용기.
KR1020157035655A 2013-06-28 2014-06-26 이중 용기 KR101758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7349A JP6084529B2 (ja) 2013-06-28 2013-06-28 二重容器
JPJP-P-2013-137444 2013-06-28
JP2013137444 2013-06-28
JPJP-P-2013-137451 2013-06-28
JPJP-P-2013-137349 2013-06-28
JP2013137451A JP6054820B2 (ja) 2013-06-28 2013-06-28 二重容器
JP2014073947A JP6215117B2 (ja) 2014-03-31 2014-03-31 二重容器
JPJP-P-2014-073947 2014-03-31
PCT/JP2014/003428 WO2014208096A1 (ja) 2013-06-28 2014-06-26 二重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668A true KR20160009668A (ko) 2016-01-26
KR101758549B1 KR101758549B1 (ko) 2017-07-14

Family

ID=5214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655A KR101758549B1 (ko) 2013-06-28 2014-06-26 이중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69973B2 (ko)
EP (3) EP3015383B1 (ko)
KR (1) KR101758549B1 (ko)
CN (1) CN105324312B (ko)
AU (1) AU2014300355B2 (ko)
CA (1) CA2916039C (ko)
TW (1) TWI519452B (ko)
WO (1) WO2014208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5912B2 (ja) 2013-03-29 2017-05-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DE102013105760A1 (de) * 2013-06-04 2014-12-04 Krones Ag Getränkeflasche mit Zuführmöglichkeit für gasförmiges Medium
DE102013105761A1 (de) * 2013-06-04 2014-12-04 Krones Ag Verschluss für Getränkeflasche mit Zuführmöglichkeit für gasförmiges Medium
JP6489851B2 (ja) * 2015-01-30 2019-03-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537319B2 (ja) * 2015-03-30 2019-07-03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
JP6548440B2 (ja) * 2015-04-15 2019-07-24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容器及びキャップ
CN107614387B (zh) * 2015-05-28 2019-11-15 京洛株式会社 双层容器
CN109153481B (zh) * 2016-05-20 2020-06-12 东京光工业株式会社 盖和排出容器
CN105800050A (zh) * 2016-05-31 2016-07-27 上海品冠塑胶工业有限公司 便于挤压的塑料瓶和瓶盖组合
JP6656761B2 (ja) 2016-06-30 2020-03-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6840474B2 (ja) * 2016-06-30 2021-03-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752512B2 (ja) * 2016-07-28 2020-09-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6710462B2 (ja) * 2016-09-30 2020-06-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EP3608240A4 (en) 2017-04-05 2021-01-27 Kikkoman Corporation DISPOSAL BIN
JP7231818B2 (ja) * 2017-12-21 2023-03-0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積層剥離容器
CN110626623A (zh) * 2018-06-21 2019-12-31 弘人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密封作用的瓶盖的结构
JP7120944B2 (ja) * 2019-02-28 2022-08-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及びそのリーク検査方法並びにキャップの製造方法
US11807427B2 (en) * 2019-06-28 2023-11-07 Yoshino Kogyosho Co., Ltd. Double container pouring cap and double container
PL3984912T3 (pl) * 2020-10-13 2024-02-19 Henkel Ag & Co. Kgaa Przyrząd nanoszący i sposób wytwarzania przyrządu nanoszącego
US11679914B2 (en) * 2020-11-16 2023-06-20 Partha Rao Puskur Fluid dispensing device
US11751585B1 (en) 2022-05-13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647860B1 (en) 2022-05-13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738988B1 (en) 2022-11-17 2023-08-29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 valve control
US11745996B1 (en) 2022-11-17 2023-09-05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s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ers
US11634314B1 (en) 2022-11-17 2023-04-25 Sharkninja Operating Llc Dosing accuracy
US11925287B1 (en) 2023-03-22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inlet tube
US11871867B1 (en) 2023-03-22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bottom cover
US12005408B1 (en) 2023-04-14 2024-06-11 Sharkninja Operating Llc Mixing funnel
US11931704B1 (en) 2023-06-16 2024-03-19 Sharkninja Operating Llc Carbonation chamb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1921A (ja) 2009-07-31 2011-02-17 Yoshino Kogyosho Co Ltd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当該注出キャップ付き二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3647A (en) * 1990-03-09 1991-07-23 Allergan, Inc. Value controlled squeezable fluid dispenser
WO1993025319A1 (en) 1992-06-17 1993-12-23 Yoshino Kogyosho Co., Ltd. Spout hole for pump
DE4219857A1 (de) 1992-06-17 1993-12-23 Perfect Ventil Gmbh Verformbarer Behälter zum Ausbringen von Flüssigkeit
AU685110B2 (en) * 1993-07-08 1998-01-15 Monsanto Europe S.A. Improved closure for liquid containing containers
JP3741323B2 (ja) * 1996-07-30 2006-02-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JP4580524B2 (ja) * 2000-09-12 2010-11-17 株式会社日本点眼薬研究所 フィルター付き吐出容器
JP4613472B2 (ja) * 2001-10-12 2011-01-19 東洋製罐株式会社 逆止弁付チューブ容器
JP4129811B2 (ja) * 2002-04-30 2008-08-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容器
KR100921133B1 (ko) * 2002-04-30 2009-10-12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주출용기
JP4451251B2 (ja) 2004-08-31 2010-04-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容器用キャップ
JP4587824B2 (ja) 2005-01-31 2010-11-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クイズ容器用注出キャップ
JP4502846B2 (ja) 2005-02-28 2010-07-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剥離式積層容器
JP5299697B2 (ja) 2009-09-30 2013-09-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付きブロー成形壜体
KR101067748B1 (ko) * 2009-10-09 2011-09-28 (주)연우 거품분출 튜브용기
JP5538057B2 (ja) 2010-04-30 2014-07-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5667010B2 (ja) * 2011-06-09 2015-02-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5809907B2 (ja) 2011-09-28 2015-11-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5830333B2 (ja) * 2011-09-29 2015-12-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1921A (ja) 2009-07-31 2011-02-17 Yoshino Kogyosho Co Ltd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当該注出キャップ付き二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300355A1 (en) 2016-01-21
CN105324312A (zh) 2016-02-10
EP3375723A1 (en) 2018-09-19
CA2916039A1 (en) 2014-12-31
TW201507935A (zh) 2015-03-01
EP3269655B1 (en) 2019-02-27
EP3375723B1 (en) 2020-03-11
EP3269655A1 (en) 2018-01-17
AU2014300355B2 (en) 2016-12-15
US20160145015A1 (en) 2016-05-26
US9669973B2 (en) 2017-06-06
TWI519452B (zh) 2016-02-01
KR101758549B1 (ko) 2017-07-14
CN105324312B (zh) 2017-05-24
CA2916039C (en) 2017-08-29
EP3015383B1 (en) 2018-06-27
WO2014208096A1 (ja) 2014-12-31
EP3015383A1 (en) 2016-05-04
EP3015383A4 (en)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549B1 (ko) 이중 용기
JP6840012B2 (ja) 二重容器
JP6775370B2 (ja) 二重容器
JPH10120054A (ja) 注出容器
CN114007949B (zh) 双层容器用注出盖以及双层容器
JP6868445B2 (ja) 計量容器
JP7264723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CN112074466B (zh) 泡沫喷出容器
TW201943616A (zh) 噴出器及噴出裝置
JP6416042B2 (ja) 泡吐出容器
JP5603734B2 (ja) ポンプ式吐出容器
JP6839988B2 (ja) 二重容器
KR102122717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2051Y1 (ko) 플라스틱 이중 용기
KR20210006770A (ko)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JP7265416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7082483B2 (ja) 二重容器
JP5878000B2 (ja) 吐出容器
JP7181844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CN111819006A (zh) 孔口及包括其的喷雾容器
US9278794B2 (en) Small food storage container
JP2020200077A (ja) キャップ及び容器
JP6315958B2 (ja) 二重容器
JP2021006466A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2002136897A (ja) 噴射遅延部材を備えた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