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319A - 축전 소자의 온도 조절 구조 - Google Patents

축전 소자의 온도 조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319A
KR20150081319A KR1020157014154A KR20157014154A KR20150081319A KR 20150081319 A KR20150081319 A KR 20150081319A KR 1020157014154 A KR1020157014154 A KR 1020157014154A KR 20157014154 A KR20157014154 A KR 20157014154A KR 20150081319 A KR20150081319 A KR 20150081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supply passage
unit cell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6734B1 (ko
Inventor
히로타카 와타나베
츠요시 하야시
준타 가타야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08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2Closed pipes transferring heat by thermal conductivity or phase transition, e.g. heat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2/109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01M10/345Gastight metal hydrid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충방전을 행하는 발전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덮개로 구성되는 축전 소자에 있어서, 발전 요소를 사이에 두고 덮개와 대향하는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온도 조절용의 공기를 접촉시켜 양호한 효율로 축전 소자의 온도 조절을 행한다. 본 발명의 축전 소자의 냉각 구조는, 축전 소자가, 충방전을 행하는 발전 요소를 수용하고, 발전 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를 가리는 덮개를 갖고 있다. 축전 소자에 접촉하는 온도 조절용의 공기가 발전 요소를 사이에 두고 덮개와 대향하는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공급된다.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온도 조절용의 공기를 접촉시켜 양호한 효율로 축전 소자의 온도 조절을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축전 소자의 온도 조절 구조{TEMPERATURE REGULATING STRUCTURE FOR ELECTRICAL STORAGE ELEMENT}
본 발명은, 축전 소자의 온도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예를 들면, 충방전(充放電)을 행하는 발전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개구를 덮는 덮개로 구성할 수 있다. 전지를 냉각하는 경우, 전지 상측의 덮개 또는 전지 하측의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냉각 매체(예를 들면, 냉각풍)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17353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10912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9-301877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015788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192207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277863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02329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181224호 공보
그러나, 전지 상측의 덮개에 냉각 매체를 접촉시켜 전지를 냉각하는 경우, 덮개가 발전 요소와 접촉하는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열저항이 높아져, 냉각 효율이 낮은 과제가 있다.
한편, 발전 요소가 접촉하는 케이스 본체에 있어서의 바닥면은, 덮개에 비해 열저항이 낮기 때문에, 전지 하측의 바닥면에 냉각 매체를 접촉시켜 냉각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냉각 매체를 접촉시키는 것만으로는, 양호한 효율로 전지를 냉각하는 것은 어렵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본 발명은, 충방전을 행하는 발전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덮개로 구성되는 축전 소자에 있어서, 발전 요소를 사이에 두고 덮개와 대향하는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온도 조절용의 공기를 접촉시켜 양호한 효율로 축전 소자의 온도 조절을 행할 수 있는 온도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전 소자의 온도 조절 구조는, 상기 축전 소자가, 충방전을 행하는 발전 요소를 수용하고, 상기 발전 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가리는 덮개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축전 소자에 접촉하는 온도 조절용의 공기가 상기 발전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덮개와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축전 소자에 접촉하는 온도 조절용의 공기가, 축전 소자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공급되므로,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온도 조절용의 공기를 접촉시켜 양호한 효율로 축전 소자의 온도 조절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축전 소자는, 상기 덮개와 상기 바닥면이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길이가, 상기 제 1 길이에 직교하는 제 2 길이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온도 조절 구조는, 상기 공기를 상기 바닥면으로 유도하는 공급 통로와, 상기 공급 통로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상기 바닥면을 따라 외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가이드 부재를 추가로 갖는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공급 통로와 이웃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통로와 구획되어 설치되고,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공급 통로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상기 바닥면을 따라 상기 공급 통로와 이웃하는 상기 배출 통로를 향해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가이드면을 개재하여 상기 공급 통로의 양측에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공기를 대략 수직하게 유도함과 함께, 상기 배출 통로는, 상기 가이드면을 개재하여 유입되는 상기 공기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급 통로, 상기 가이드면 및 상기 배출 통로가 상기 바닥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축전 소자에 대한 상기 공기의 흡배기가, 1개의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행해진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면에 대하여 상기 바닥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면과 상기 바닥면의 사이에 상기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바닥면의 일부가 접촉하는 설치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바닥면의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 통로의 폭이, 상기 바닥면에 접근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온도 조절 구조는, 복수의 상기 축전 소자가 소정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축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가 상기 각 축전 소자 각각의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공급되는 온도 조절 구조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 구조는, 상기 공기를 상기 바닥면으로 유도하는 공급 통로와, 상기 공급 통로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상기 바닥면을 따라 외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각 축전 소자 각각의 상기 바닥면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소정의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바닥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바닥면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바닥면의 폭 방향으로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바닥면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공급 통로와 이웃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통로와 구획되어 설치되고,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 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온도 조절 구조는, 상기 공기의 흡기 경로와, 상기 흡기 경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소정의 방향에 직교하는 위치에, 상기 흡기 경로와 구획되어 설치되고, 상기 배출 통로와 삽입 통과하는 배기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축전 소자의 사이는, 절연층으로 가려져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단자와,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서 발생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전지 팩의 온도 조절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전지 팩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 단전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 단전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전지 팩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바닥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 있어서, 단전지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공기의 유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흡기 경로를 유동하는 공기가 가이드 부재에 의해 조전지(組電池)를 구성하는 각 단전지로 유도되는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1에 있어서, 단전지의 바닥면에 대한 온도 조절용의 공기의 흡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에 있어서, 단전지의 바닥면에 대하여 가이드 부재에 의해 공기가 흡기되는 태양을 나타낸 일례이다.
도 14는 실시예 1에 있어서, 단전지의 바닥면에 접촉한 공기가 가이드 부재에 의해 배기되는 태양을 나타낸 일례이다.
도 15는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제 4 변형예의 단전지의 바닥면에 대한 온도 조절용의 공기의 흡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제 5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예 2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2에 있어서, 흡기 경로를 유동하는 공기가 가이드 부재에 의해 조전지를 구성하는 각 단전지로 유도되고, 단전지의 바닥면을 길이 방향으로 흐르는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예 2에 있어서, 단전지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공기의 유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예 2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로부터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전지 팩의 온도 조절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하는 축이다. X축, Y축 및 Z축의 관계는,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직 방향에 상당하는 축을 Z축으로 하고 있다.
전지 팩(1)은, 차량에 탑재할 수 있다. 전지 팩(1)은, 차량의 플로어 패널(바디)에 고정되고, 예를 들면, 차실 내의 프론트 시트나 리어(rear) 시트 등의 시트 밑의 스페이스, 프론트 시트의 시트 사이의 스페이스, 리어 시트 후방에 위치하는 러기지(luggage) 스페이스 등에 배치할 수 있다.
전지 팩(1)은, 차량의 주행에 이용되는 에너지를 출력한다. 차량으로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가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전지 팩(1)에 추가하여, 연료 전지나 내연 기관과 같은 다른 동력원을 구비한 차량이다. 전기 자동차는, 차량의 동력원으로서, 전지 팩(1)만을 구비한 차량이다.
전지 팩(1)은, 모터·제너레이터에 접속되어 있다. 모터·제너레이터는, 전지 팩(1)으로부터의 전력을 받음으로써,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한 운동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모터·제너레이터는, 차륜에 접속되어 있고, 모터·제너레이터에 의해 생성된 운동 에너지는, 차륜에 전달된다. 차량을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거나 할 때, 모터·제너레이터는, 차량의 제동 시에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모터·제너레이터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전지 팩(1)에 축적할 수 있다.
전지 팩(1) 및 모터·제너레이터 사이의 전류 경로에는, DC/DC 컨버터나 인버터를 배치할 수 있다. DC/DC 컨버터를 이용하면, 전지 팩(10)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모터·제너레이터에 공급하거나, 모터·제너레이터로부터의 전압을 강압하여 전지 팩(1)에 공급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인버터를 이용하면, 전지 팩(1)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어, 모터·제너레이터로서, 교류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전지 팩(1)의 개략 측면도이다. 전지 팩(1)은, 어퍼(upper) 케이스(200) 및 로우어(lower) 케이스(300)를 갖는다. 조전지(100)는, 어퍼 케이스(200) 및 로우어 케이스(300)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스페이스에, 가이드 부재(50)와 함께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전지(100)는, 본 발명의 축전 장치에 상당한다. 조전지(100)는, 복수의 단전지(10)를 갖고 있고, 복수의 단전지(10)는, 소정의 방향(X방향)으로 나란히 놓여 있다. 단전지(10)는, 본 발명의 축전 소자에 상당한다. 복수의 단전지(10)는, 버스바(bus bar)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조전지(100)에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단전지(10)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단전지(10)로서는, 니켈 수소 전지나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이차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이차 전지 대신에,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콘덴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단전지(10)가 한 방향으로 나란히 놓여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2개 이상의 단전지에 의해 1개의 전지 모듈을 구성하고, 복수의 전지 모듈을 X방향으로 나란히 놓을 수 있다. 1개의 전지 모듈에 포함되는 복수의 단전지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할 수 있다.
복수의 단전지(10)가 나란히 배치되는 배치 방향(X방향)의 조전지(100)의 양단(兩端)에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01)가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01)는, 조전지(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전지(10)를 사이에 두고 있고, 복수의 단전지(10)에 대하여 구속력을 부여하기 위해 이용된다. 구속력은, X방향에 있어서, 단전지(10)를 사이에 두는 힘이다. 단전지(10)에 구속력을 부여함으로써, 단전지(10)의 팽창을 억제할 수 있고, 단전지(10)의 입출력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속 밴드(102)의 양단이,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01)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01)는, 복수의 단전지(10)에 대하여 구속력을 부여할 수 있다. 구속 밴드(102)는, 조전지(100)의 좌우 측면(Y방향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구속 밴드(102)를 배치하는 위치 및 수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구속 밴드(102)의 양단이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01)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Z방향에 있어서의 조전지(100) 상측면에, 구속 밴드(102)를 배치할 수 있다.
X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단전지(10) 사이에는, 절연 부재(30)(본 발명의 절연층에 상당함)가 설치되어 있다. 절연 부재(30)는, 단전지(10)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측면(10c)에 접촉하고, 단전지(10)끼리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본 실시예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단전지(10)의 사이가, 절연 부재(30)에 의해 가려져 있고, 온도 조절용의 공기가 유통하는 스페이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의 조전지(100)를 구성하는 각 단전지(10)는, 배치 방향에 있어서 절연 부재(30)를 개재하여 밀접되어 배치되어 있다.
블로어(blower)(400)는, 전지 팩(1) 내에 온도 조절용의 공기를 공급한다. 블로어(400)는, X방향에 있어서 조전지(100)와 이웃하여 배치된다. 즉, 블로어(400)는, 조전지(100)의 복수의 단전지(10)가 나란히 배치되는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블로어(400)의 유출구에는, 흡기 덕트(401)가 접속되어 있다. 흡기 덕트(401)는, 조전지(100)와 블로어(4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조전지(100)의 하측에 형성된 흡기 경로(S1)에 접속된다. 블로어(400)는, 블로어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차실 내의 공기를 차실 내에 면하는 흡기구(유입구)로부터 받아들이고, 흡기 덕트(401)를 통과하여 전지 팩(1)의 흡기 경로(S1)에 온도 조절 매체로서 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블로어(400)는, X방향으로 조전지(100)와 나란히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Y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블로어(400)의 유출구나 흡기 덕트(401)가 X방향으로 연장되는 흡기 경로(S1)의 단부(端部)에 접속되도록, 임의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온도 조절용의 공기는, 단전지(10)의 외면에 접촉하여, 공기 및 단전지(10)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단전지(10)가 충방전 등에 의해 발열하고 있을 때에는, 냉각용의 공기를 단전지(10)에 접촉시킴으로써, 단전지(1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단전지(10)가 과도하게 냉각되어 있을 때에는, 가열용의 공기를 단전지(10)에 접촉시킴으로써, 단전지(10)의 온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차실 내의 공기는, 차량에 탑재된 공조 장치 등에 의해, 단전지(10)의 온도 조절에 적합한 온도가 되어 있다. 따라서, 차실 내의 공기를 단전지(10)에 공급하면, 단전지(10)의 온도 조절을 행할 수 있다. 단전지(10)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단전지(10)의 입출력 특성이 열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은, 단전지(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단전지(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전지(10)는, 전지 케이스(11)와, 전지 케이스(11)에 수용된 발전 요소(20)를 갖는다. 단전지(10)는, 소위 각형(角型) 전지이고, 전지 케이스(11)는, 직방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지 케이스(11)는, 예를 들면,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고, 케이스 본체(11a) 및 덮개(11b)를 갖는다. 케이스 본체(11a)는, 발전 요소(20)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고 있고, 덮개(11b)는, 케이스 본체(11a)의 개구부를 가리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지 케이스(11)의 내부는, 밀폐 상태가 된다. 덮개(11b) 및 케이스 본체(11a)는,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정극 단자(12) 및 부극 단자(13)는, 덮개(11b)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정극 단자(12)는, 전지 케이스(11)에 수용된 정극 집전체(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정극 집전체(14)는, 발전 요소(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부극 단자(13)는, 전지 케이스(11)에 수용된 부극 집전체(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부극 집전체(15)는, 발전 요소(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덮개(11b)에는, 밸브(11c)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11c)는, 전지 케이스(11)의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했을 때에, 전지 케이스(11)의 외부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스의 발생에 수반하여 케이스(11)의 내압이 밸브(11c)의 작동압에 도달하면, 밸브(11c)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함으로써, 전지 케이스(11)의 외부로 가스를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11c)는, 소위 파괴형의 밸브이고, 덮개(11b)에 조각을 실시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11c)로서는, 소위 복귀형의 밸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복귀형의 밸브는, 전지 케이스(11)의 내압 및 외압(대기압)의 고저 관계에 따라,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의 사이에서 가역적으로 변화된다.
덮개(11b)에는, 밸브(11c)와 이웃하는 위치에, 주액구(11d)가 형성되어 있다. 주액구(11d)는, 전지 케이스(11)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해 이용된다. 여기서, 발전 요소(20)를 케이스 본체(11a)에 수용한 후에, 덮개(11b)가 케이스 본체(11a)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액구(11d)로부터, 전지 케이스(11)의 내부에 전해액이 주입된다. 전지 케이스(11)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는, 주액구(11d)가 주액 마개(11e)에 의해 가려진다.
발전 요소(20)는, 정극 소자와, 부극 소자와, 정극 소자 및 부극 소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갖는다. 정극 소자는, 집전판과, 집전판의 표면에 형성된 정극 활물질층을 갖는다. 부극 소자는, 집전판과, 집전판의 표면에 형성된 부극 활물질층을 갖는다. 세퍼레이터, 정극 활물질층 및 부극 활물질층에는, 전해액이 스며들어 있다. 또한, 전해액 대신에, 고체 전해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단전지(10)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11a)의 개구를 덮고, 정극 단자(12) 및 부극 단자(13)가 설치되는 덮개(11b)가 단전지(10)의 상면(10a)이며, Z방향에 있어서 발전 요소(20)를 사이에 두고 덮개(11b)와 대향하는 케이스 본체(11a)의 하면이 바닥면(10b)이다. 또, 단전지(10)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고, 절연 부재(30)를 개재하여 이웃하는 타방의 단전지(10)와 마주 보는 면이 제 1 측면(10c), 단전지(10)의 Y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이 제 2 측면(10d)이다.
또, 본 실시예의 단전지(10)는, Y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Y방향으로 길이(L), X방향으로 폭(D), 및 Z방향으로 높이(H)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전지(10)의 상면(10a) 및 바닥면(10b) 각각은, Y방향으로 길이(L) 및 X방향으로 폭(D)을 갖고, 제 1 측면(10c)은, Y방향으로 길이(L) 및 Z방향으로 높이(H)를 갖고 있다. 제 2 측면(10d)은, X방향으로 폭(D) 및 Z방향으로 높이(H)를 갖고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전지 팩(1)의 개략 단면도이다. 가이드 부재(50)는, 조전지(100)의 바닥면(하면) 측과 로우어 케이스(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조전지(100)의 바닥면은, 가이드 부재(50)를 개재하여 로우어 케이스(300) 상에 배치되고, 조전지(100)의 상면은, 어퍼 케이스(200)에 의해 덮여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50)는, X방향으로 유통하는 공기를, 단전지(10)의 각 케이스 본체(11a)의 바닥면(10b) 각각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공급하는 가이드부임과 함께, 단전지(10)의 바닥면(10b)과 열교환을 행한 공기를,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의 외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이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50)는, 조전지(100)의 바닥면 측에, 블로어(400)로부터 공급되는 온도 조절용의 공기가 유통하는 흡기 경로(S1) 및 단전지(10) 각각과 열교환을 행한 공기가 유통하는 배출 경로(S2)의 쌍방을 형성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부재(50)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 경로(S2)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로우어 케이스(300)에 배기구(501)를 형성할 수 있고, 배기구(501)에 배기 덕트(5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때, 배기구(501)는, 조전지(100)의 X방향 길이에 대응한 가이드 부재(50)에 따라, 로우어 케이스(300)의 X방향 단부 부근에 개별적으로 또는 연속한 배기구로서 설치할 수 있다(도 2 참조). 또, 배기구(501)는, 가이드 부재(50)의 Y방향 단부 측에 형성되는 배기 경로(S2)에 대응하여 어퍼 케이스(2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배기 경로(S2)의 X방향 단부에 배기구(501)를 설치하고, 가이드 부재(50)로부터 배기된 공기를 X방향으로 유통시켜 X방향 단부로부터 배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으로부터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단전지(10)(조전지(100))의 온도 조절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냉각용의 공기를 접촉시켜 단전지(10)를 냉각하는 태양을 일례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온도 조절 구조는, 단전지(10)의 측면(10c)에 공기를 접촉시켜 냉각하는 종래의 온도 조절 구조와는 달리,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만 공기를 접촉시켜 단전지(10)를 냉각하는 온도 조절 구조이다. 즉, 조전지(10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전지(10)의 바닥면(10b) 각각에 블로어(400)로부터 공급되어 흡기 경로(S1)를 유동하는 공기를 병렬로 유도하고,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접촉하는 공기가 열교환을 행함으로써, 조전지(100)의 온도 조절이 행해지는 온도 조절 구조이다.
예를 들면, 조전지(10)에 있어서 단전지(10)와 스페이서를 번갈아 적층 배치하고, 적층 방향에 직교하는 단전지(10) 사이의 측면(10c)을 냉각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단전지(10) 사이에 공기를 흐르게 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거나, 스페이서를 배치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조전지(10)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어 있었다.
또, 1개의 단전지(10)의 관점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단전지(10)의 측면(10c)에 대하여 온도 조절용의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전지 팩으로서 사이즈가 대형화하는 요인이 된다. 또, 조전지(100) 및 단전지(10)에 있어서, 단전지(10)의 측면(10c)에 대하여 온도 조절용의 공기가 유통하는 공간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단전지(10)의 측면(10c) 이외의 면에 공기를 접촉시켜 단전지(10)의 온도 조절을 행할 필요가 있지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단전지(10)의 상측의 덮개(11b)에 공기를 접촉시켜 냉각하는 경우, 덮개(11b)는, 발전 요소(20)가 접촉하는 케이스 본체(11a)와 별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열저항이 높아지고, 덮개(11b)로의 열전달의 효율이 저감되어, 냉각 효율이 낮다.
이것에 대하여, 발전 요소(20)가 접촉하는 케이스 본체(11a)의 측면(10d) 및 바닥면(10b)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10b)에 비해 열저항이 낮다. 이 때문에, 단전지(10)의 Y방향 측면(10d) 또는 바닥면(10b)에 공기를 접촉시켜 온도 조절을 행할 수 있지만, 측면(10d)은, 바닥면(10b)보다 열전달의 효율이 낮은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단전지(10)가 Y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조전지(100)(단전지(10))의 Z방향에 있어서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의 예와 같이, 단전지(10)의 Y방향의 길이(L)에 대하여 Z방향의 높이(H)가 짧으므로, 발전 요소(20)의 중심(케이스 본체(11a)의 중심)으로부터 측면(10d)까지의 거리가 바닥면(10b)에 대하여 길고, 측면(10d)으로의 열전달이 양호한 효율로 행해지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발전 요소(20)의 중심(케이스 본체(11a)의 중심)으로부터 바닥면(10b)까지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발전 요소(20)에서 발열한 열은, 측면(10d)보다 바닥면(10b)에 양호한 효율로 전달된다.
이 때문에,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단전지(10)를 양호한 효율로 냉각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공기를 평행하게 유통시키면, 양호한 효율로 냉각할 수 없는 과제가 있다.
예를 들면, 단전지(10)의 배열 방향으로, 똑같이 공기를 흐르게 하여 조전지(100)를 냉각하는 경우, 공기가 흐르는 방향의 하류 측에서 냉각 효율이 저하되어버린다. 이것은, 공기를 배열 방향으로 똑같이 흐르게 하여 조전지(100)의 표면과 접촉시켜 냉각하면, 온도 경계층이 하류를 향함에 따라 증가되어(두꺼워져), 조전지(100)의 냉각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상류 측에 위치하는 단전지(10)와 열교환을 행한 공기가 그대로 하류 측의 단전지(10)와 열교환을 행하면, 단전지(10) 사이에서 상류 측의 공기의 온도 상승의 영향을 받아버려, 양호한 효율로 각 단전지(10)(조전지(100))를 냉각할 수 없다.
또, 1개의 단전지(10)에 있어서도 동일하고, 바닥면(10b)에 대하여 평행하게 흐르는 공기는, 바닥면(10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온도가 낮아진다. 즉, 바닥면(10b) 표면을 유통하는 공기에 대하여 열교환이 행해지지만, 바닥면(10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통하는 공기는, 바닥면(10b)과의 직접적인 열교환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온도 경계층의 영향을 받아, 양호한 효율로 단전지(10)를 냉각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온도 조절 구조는, 조전지(10)를 구성하는 각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Z방향)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면서, 흡기 경로(S1)를 흐르는 공기를 각 단전지(10) 각각에 독립적으로 병렬로 접촉시킨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5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50)는, 조전지(100)를 구성하는 1개의 단전지(10) 각각에 대하여 설치된다. 또한, 도 1 등의 예에서는, 1개의 단전지(10)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50)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일례이다. 바꿔 말하면, 가이드 부재(50)는, 조전지(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전지(10)에 대응하여 적층 방향으로 복수 설치하거나, 적층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는 각 가이드 부재(50)를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가이드 부재(50)는,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의 폭(D)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가짐과 함께, 단전지(10)(바닥면(10b))의 Y방향의 길이(L)에 대응하여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0)는, 단전지(10)의 바닥면(10b) 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 본체(51)와, 가이드부 본체(51)와 로우어 케이스(300)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57)를 구비한다.
다리부(57)는, 가이드부 본체(51)로부터 로우어 케이스(300)를 향해 연장되고, 단부가 로우어 케이스(300)의 상면에 접촉한다. 다리부(57)는, 가이드부 본체(51)와 일체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다리부(57)는, 로우어 케이스(300)와 가이드부 본체(51)의 사이에 공기가 유통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한 쌍의 다리부(57)는, Y방향에 있어서 소정 거리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다리부(57) 사이의 공간은, 단전지(10)(조전지(100))의 X방향을 향하는 온도 조절용의 공기의 흡기 경로(S1)가 된다. 또, 다리부(57)와 어퍼 케이스(200)로 형성되는 Y방향 외측의 각 영역은, 배기 경로(S2)가 된다.
도 7은, 가이드 부재(50)의 상면도, 도 8은, 가이드 부재(50)의 바닥면도이다. 도 9는, 가이드 부재(50)의 단면도이다.
가이드부 본체(51)는, 조전지(100)를 구성하는 각 단전지(10)의 바닥면(10a)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 통로(52)와, 공급 통로(52)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X방향에 있어서 바닥면(10b)을 따라 단전지(10)의 외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면(53)과, 바닥면(10b)과 열교환을 행한 공기의 배출 통로(54)와, 배출 통로(54)와 삽입 통과하는 배출부(55)와,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는 설치면(56)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면(56)은, 가이드부 본체(51)의 상면에 설치되고,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의 Y방향 단부의 일부가 접촉하는 영역이다. 설치면(56)은, 가이드부 본체(51)의 상면에 있어서의 Y방향 단부 각각에,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의 각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공급 통로(52)는, 한 쌍의 다리부(57)에 의해 형성되는 흡기 경로(S1)를 흐르는 공기를, 바닥면(10b)으로 유도하는 통로이다. 공급 통로(52)는, 이간한 한 쌍의 벽부(53a)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가이드부 본체(51)에 있어서 Z방향으로 흡기 경로(S1)로부터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을 향해 삽입 통과하는 통로이다. 공급 통로(52)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단전지(10)의 바닥면(10b)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가이드면(53)은, 단전지(10)의 바닥면(10b)과 대향하는 면이고, 단전지(10)의 바닥면(10b)보다 Z방향 하방에 위치하는 벽부(53a)의 상면이다. 가이드면(53)은, Y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급 통로(52)를 사이에 두고 X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통로(52)는, 바닥면(10b)의 X방향 중앙 부근에 설치되고, Y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급 통로(52)로부터 바닥면(10b)으로 유도된 공기는, 가이드면(53)에 의해 바닥면(10b)의 X방향 양측으로 유도된다.
가이드면(53)은, Y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급 통로(52)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고, 또한 X방향으로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의 폭(D)에 따른 폭을 갖고 있다. 도 10은,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접촉하는 공기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Y방향으로 긴 형상인 바닥면(10b)에 대하여, 길이가 짧은 폭 방향을 따라 공급 통로(52)로부터 유도된 공기를 유통시켜 단전지(10)를 냉각한다.
즉,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길이(L)의 폭을 갖는 공기가 공급 통로(52)로부터 공급되어 바닥면(10b)의 폭 방향으로 흐른다. 이 때문에, 길이(L)를 갖는 똑같은 공기의 흐름이 바닥면(10b)을 따라 X방향으로 흘러 바닥면(10b)과 접촉하므로, 바닥면(10b)의 Y방향의 길이 방향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는 것보다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길이(L)를 갖는 똑같은 공기의 흐름은, Y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온도가 되고, 또한 유동하는 공기의 냉각 길이가 폭(D)(공급 통로(52)가 바닥면(10b)의 X방향 중앙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D/2)으로 짧다. 이 때문에, Y방향에 있어서의 열교환을 양호한 효율로 행할 수 있다.
배출 통로(54)는, 바닥면(10b)과 열교환을 행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통로이고, 서로 이간한 벽부(53a)와 벽부(54a)에 의해 형성된다. 배출 통로(54)는, 공급 통로(52)와 X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위치에, 벽부(53a)에 의해 공급 통로(52)와 구획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배출 통로(54)는, 가이드면(53)을 개재하여 공급 통로(52)와 접속되어 있고, X방향 양측에 2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면(53)은, 공급 통로(52)로부터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유입되어 바닥면(10b)과 열교환을 행한 공기를, 바닥면(10b)을 따라 공급 통로(52)와 X방향으로 이웃하는 배출 통로(54)를 향해 유도한다. 이때, 공급 통로(52)와 배출 통로(54)는 벽부(53a)에 의해 구획되고, 배출 통로(54)의 Z방향 하측은, 벽부(54a)에 의해 가려져 있으며, 흡기 경로(S1)에 대하여 구획되어 있다.
배출 통로(54)는, Y방향 단부에 있어서, 배출부(55)와 연통되어 있다. 배출구(55)는, Y방향에 있어서 다리부(57)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가이드부 본체(51)의 하면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이다. 각 배출 경로(54)는, Y방향 단부에 있어서 좌우의 배출구(55)에 접속되어 있고, 배기 통로(54)를 유통한 공기는, 배출구(55)로 유도된다. 배출구(55)는, 다리부(57)의 Y방향 외측에 형성된 배기 경로(S2)와 연통되어 있고, 배출부(55)로부터 배기된 공기는, 배기 경로(S2)를 개재하여 전지 팩(1)의 외부로 배기된다.
여기서, 가이드부 본체(51)의 가이드면(53) 및 설치면(56)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면(53)은,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이 접촉하는 설치면(56)보다 Z방향 하방에 위치하고, 바닥면(10b)과 가이드면(53)의 사이에 공기가 X방향으로 흐르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설치면(56)과 가이드면(53)의 사이에는 Z방향에 있어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설치면(56)은, 가이드면(53)의 Y방향 단부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또, 벽부(54a)의 상면은, 가이드면(53)보다 Z방향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고, 설치면(56)과 Z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X-Y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가이드면(53)은, X방향에 있어서 벽부(54a)에 의해 사이에 두어져 있고, 이웃하는 단전지(10)에 대한 가이드 부재(50)와 구획되어 있다. 또한, 벽부(54a)의 상면이, 설치면(56)보다 Z방향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부(54a)의 상부가, Z방향에 있어서 단전지(10)의 하단(下端) 측의 측면(10c)과 인접 또는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급 통로(52)는, 노즐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공급 통로(52)는, 바닥면(10b)을 향해 Z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의 폭(X방향의 폭)이, 바닥면(10b)에 접근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공급 통로(52)가 흡기 경로(S2)로부터 단전지(10)의 바닥면(11b)을 향해 노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바닥면(10b)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을 높일 수 있어, 바닥면(10b)에 대하여 공기를 충돌시키도록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바닥면(10b)에 접촉하는 공기의 열교환이 촉진되어,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노즐 선단(先端)의 폭(바닥면(10b)에 면하는 공급 통로(52)의 X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로부터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온도 조절 구조의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흡기 경로(S1)를 유동하는 공기가 가이드 부재(50)에 의해 조전지(100)를 구성하는 각 단전지(10)로 유도되는 태양을 나타내고 있고, 도 1의 X방향에 있어서의 일부 단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어(400)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한 쌍의 다리부(57)와 로우어 케이스(300)로 형성되는 흡기 경로(S1)를 X방향으로 흐른다. X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조전지(100)의 각 단전지(10)에는, 가이드 부재(50)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X방향으로 흐르는 공기가, 흡기 경로(S1)의 Z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각 공급 통로(52)에 병렬로 유입된다.
이 때문에, 흡기 경로(S1)의 상류 측과 하류 측에서 공기의 온도는 동일하고, 흡기 경로(S1)의 하류 측에서 공급 통로(52)에 유입되는 공기는, 상류 측의 단전지(10)와의 열교환에 의해 따뜻하게 된 공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공급 경로(52)는,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개구되어 있고, 바닥면(10b)에 대하여 공기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유도한다. 도 13은,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가이드 부재(50)에 의해 공기가 흡기되는 태양을 나타낸 일례이다. 공기는, 흡기 경로(S1)로부터 Z방향 상방으로 흐르고, X방향으로 평면 형상인 바닥면(10b)에 대하여 Z방향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접촉한다.
바닥면(10b)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게 접촉한 공기는, 대략 90도 방향을 변경하여, 공급 경로(52)의 X방향 양측의 가이드면(53)과 바닥면(10b) 사이의 공간을, 바닥면(10b)의 폭 방향으로 흐른다. 가이드면(53)에 의해 바닥면(10d)을 폭 방향으로 흐른 Y방향에 길이(L)를 갖는 공기는, 가이드면(53)을 개재하여 공급 통로(52)의 X방향 양측에 설치된 배출 통로(54) 각각으로 유도된다.
도 14는,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접촉한 공기가 가이드 부재(50)에 의해 배기되는 태양을 나타낸 일례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면(53)으로부터 배출 통로(54)에 유입하는 공기는, 가이드면(53)에 대하여 Z방향 하방으로 흐르고, 단전지(10)의 Y방향 단부(Y방향 외측)를 향해 흐른다. 배출 통로(54)의 Y방향 단부에는, 배출구(5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배출 통로(54)를 흘러 배출구(55)로부터 배기 경로(S2)로 배기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Z방향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공기가 흡기되고, 또한 바닥면(10b)에 대하여 Z방향 하방으로 공기가 배기된다. 이 때문에, 가이드 부재(50)는, 1개의 단전지(10)에 대하여 공급 통로(52), 가이드면(53) 및 배출 통로(54) 각각이 바닥면(10b)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단전지(10)에 대한 온도 조절용의 흡배기가, 1개의 바닥면(10b)에서 행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Z방향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공기가 흡기되고, 또한 바닥면(10b)에 대하여 Z방향 하방(덮개(11b)로부터 Z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흘러 Y방향으로 공기가 배기되므로, 흡배기가 1개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완결하고 있다.
또, 가이드 부재(50)에 의해 조전지(100)(단전지(10))의 하측에 있어서 흡기 경로(S1)와 배기 경로(S2)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 경로(S1)와 배기 경로(S2)는, Y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다리부(57)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있다. 흡기 경로(S1)로부터 단전지(10)의 바닥면(10b)으로 유도되어 열교환을 행한 공기는, 흡기 경로(S1)와 구획된 배기 경로(S2)로 흐른다.
따라서, 단전지(10)의 바닥면(10b) 각각으로 유도된 공기가, 흡기 경로(S1)를 흐르는 공기와의 접촉이 없는 구획된 배기 경로(S2)로 흐르고, 1개의 단전지(10)에 대하여 독립된 흡배기가 구성된다. 이 때문에, 흡기 경로(S1)의 하류 측에서 단전지(10)의 바닥면(10b)으로 유도되는 공기는, 예를 들면, 상류 측에서 단전지(10)의 바닥면(10b)으로 유도되는 공기와 대략 동일한 온도가 된다. 블로어(400)로부터 공급되는 온도 조절용의 공기가, 조전지(100)를 구성하는 각 단전지(10) 각각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병렬로(개별적으로) 흡배기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전지(10)에 접촉하는 온도 조절용의 공기가, 단전지(10)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11a)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공급되므로, 단전지(10)를 양호한 효율로 온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길이(L)의 폭을 갖는 공기가 공급 통로(52)로부터 공급되어 바닥면(10b)의 폭 방향으로 흐른다. 이 때문에, 길이(L)를 갖는 똑같은 공기가 열교환을 행하는 경로 길이가 짧아, 양호한 효율로 단전지(10)를 냉각할 수 있다. 또, 공급 통로(52)를 바닥면(10b)의 X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근에 설치함으로써, 길이(L)를 갖는 똑같은 공기가 열교환을 행하는 경로 길이가 더욱 짧아져(D/2), 단전지(10)를 더욱 양호한 효율로 냉각할 수 있다.
1개의 단전지(10)의 관점에 있어서, 단전지(10)의 1개의 면(바닥면)에만 공기를 접촉시키는 온도 조절 구조를 실현할 수 있어, 전지 전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 조전지(100)에 있어서는, 단전지(10)와 스페이서를 번갈아 적층 배치할 필요가 없고 단전지(10) 사이를 밀접시켜 배치할 수 있어, 조전지(1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덮개(11b)에는, 정극 단자(12) 및 부극 단자(13)나 밸브(11c)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단전지(10)의 상면 측에는, 복수의 단전지(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바나 밸브(11c)(배출부)에 대한 가스의 배출 경로(배출 덕트)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단전지(10)의 1개의 면(바닥면)만의 온도 조절 구조이기 때문에, 단전지(10)의 상면(10a) 측에 온도 조절용의 공기가 유통하는 공간이나 통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단전지(10)의 상면에 정극 단자(12) 및 부극 단자(13)나 밸브(11c)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공기를 단전지(10)의 상면 측에 유통시키면, 단전지(10)의 상면 측에는, 버스바나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경로에 추가하여, 측면(10c)에 접촉한 단전지(10)의 상면을 향하는 공기 또는 단전지(10)의 상면을 유통하는 공기의 냉각 경로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문에, 단전지(10)의 상면에 있어서 냉각 경로와 버스바나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경로가 간섭하여, 구조의 복잡화 및 전지의 조립성(예를 들면, 조립 작업의 효율)의 악화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온도 조절 구조는, 단전지(10)의 바닥면(10b)만의 온도 조절 구조이기 때문에, 조전지(100)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정극 단자(12)나 부극 단자(13), 밸브(11c)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등에 대한 온도 조절용의 공기의 간섭이 억제되어, 조전지(100) 및 전지 팩(1)의 구조의 복잡화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블로어(400)로부터 공급되는 온도 조절용의 공기가, 가이드 부재(50)에 의해, 조전지(100)를 구성하는 각 단전지(10) 각각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병렬로(개별적으로) 흡배기된다. 이 때문에, 각 단전지(10) 각각의 냉각 효율을 균일화 할 수 있어, 단전지(10) 사이에서의 온도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단전지(10) 사이가 절연 부재(30)를 개재하여 밀접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전지(10) 사이에서의 온도 편차도 억제된다.
또, 가이드 부재(50)는,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Z방향을 대략 수직으로 향하는 공기의 흡기와, 바닥면(10b)에 대하여 Z방향 하방(덮개(11b)로부터 Z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흘러 Y방향을 향하는 배기를, 각 단전지(10)의 바닥면(10b)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행함과 함께, 전지 팩(1) 내의 서로 구획된 흡기 경로(S1)와 배기 경로(S2)가 Y방향으로 나란하도록 형성한다. 이 때문에, 조전지(100)의 하측에 집약됨과 함께, 단전지(10)의 온도 조절 구조를 간략화 및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 조전지(100)(단전지(10))의 상면을 덮는 어퍼 케이스(200)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로우어 케이스(300)의 일부를 연장 설치하여 가이드 부재(50)의 Y방향 측면을 덮는 형상으로 구성하고, 가이드 부재(50)와 로우어 케이스(300)에서 조전지(100)의 하방에 있어서 흡기 경로(S1)와 배기 경로(S2)가 구획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 경우, 온도 조절 구조로서 어퍼 케이스(200)를 생략할 수 있고, 단지 조전지(100)의 상방을 덮는 커버를 설치하거나 할 수 있다.
또, 가이드 부재(50)는, 로우어 케이스(300)와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50)를 로우어 케이스(300)로 하여 조전지(100)의 하측에 배치하거나, 로우어 케이스(300)를 가이드 부재(50)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로부터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5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변형예에 있어서, 공급 통로(52), 가이드면(53) 및 배출 통로(54)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상술한 가이드 부재(50)와 동일하고,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가이드 부재(50A)는, 공급 통로(52)를 노즐 형상이 아니고, Z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성한 일례이다. 이 경우여도, 흡기 경로(S1)로부터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Z방향)으로부터 공기를 바닥면(10b)에 대하여 유도할 수 있다.
도 16은, 본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가이드 부재(50B)는, 도 15에 나타낸 가이드 부재(50A)의 Z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공급 통로(52)가,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통로(52A, 52B)가 바닥면(10b)에 대하여 X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공급 통로(52A)와 공급 통로(52B)의 사이에는, 배출 통로(54A)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 통로(52A, 52B)는, 각 가이드면(53C)을 개재하여 배출 통로(54A)와 연통되어 있다.
공급 통로(52A)는, 가이드면(53A)을 개재하여 X방향 일단(一端)부 측에 설치되는 배출 통로(54B)를 연통되어 있고, X방향에 있어서 배출 통로(54A)와 배출 통로(54B)의 사이에 두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공급 통로(52B)는, 가이드면(53B)을 개재하여 X방향 타단(他端)부 측에 설치되는 배출 통로(54C)를 연통되어 있고, X방향에 있어서 배출 통로(54A)와 배출 통로(54C)의 사이에 두어져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가이드 부재(50B)는,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의 X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큰 경우, 바닥면(10b)에 대하여 복수의 공급 통로(52A, 52B)로부터 많은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효율로 냉각을 행할 수 있다.
도 17은, 가이드 부재(50)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가이드 부재(50C)는, X방향에 있어서의 공급 경로(52)의 배치를 변경하며,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의 X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근이 아니고, 바닥면(10b)의 X방향 단부 측에 배치하고 있다. 공급 통로(52)는,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의 X방향의 일단 측에 설치되고, 배출 통로(54)는, 가이드면(53)을 개재하여 타단 측에 설치되어 있다. 공급 통로(52)로부터 바닥면(10b)으로 유도된 공기는 X방향의 일단 측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해 흐른다. 이 경우여도, 길이(L)를 갖는 똑같은 공기가 X방향으로 흘러 열교환을 행하는 경로 길이가 짧아져, 양호한 효율로 단전지(10)를 냉각할 수 있다.
도 18은, 가이드 부재(50)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의 변형예는, 조전지(100)를 구성하는 각 단전지(10)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50)를, 조전지(100)의 X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구성한 경우의 일례이다.
도 9에 나타낸 가이드 부재(50)는, X방향으로 이웃하는 가이드 부재(50) 사이에서 배출 통로(54)가 벽부(54a)에 의해 구획되어 있지만, 도 18의 변형예에서는, 벽부(54a)를 없애서, X방향으로 이웃하는 가이드 부재(50) 사이에서 배출 통로(54)가 공유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가이드 부재(50)의 구성이 간략화됨과 함께, 배출 통로(54)의 유로 면적이 커지므로, 가이드 부재(50)에 대한 공기의 흡배기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의 변형예의 가이드 부재(50) 사이에서 배출 통로(54)가 공유된 가이드 부재(50D)에 의해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한 흡배기의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공급 경로(52)는,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개구되어 있고, 바닥면(10b)에 대하여 공기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유도한다. 공기는, 흡기 경로(S1)로부터 Z방향 상방으로 흐르고, X방향으로 평면 형상인 바닥면(10b)에 대하여 Z방향으로부터 접촉한다.
바닥면(10b)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게 접촉한 공기는, 대략 90도 방향을 변경하여, 공급 경로(52)의 X방향 양측의 가이드면(53)과 바닥면(10b) 사이의 공간을 바닥면(10b)의 폭 방향으로 흐른다. 가이드면(53)에 의해 바닥면(10d)을 폭 방향으로 흐른 Y방향에 길이(L)를 갖는 공기는, 가이드면(53)을 개재하여 공급 통로(52)의 X방향 양측에 설치된 배출 통로(54) 각각으로 유도된다. 이때, 이웃하는 가이드 부재(50)에서 배출 통로(54)가 공유되고, 이웃하는 단전지(10) 사이의 각 공급 통로(52)의 사이에 1개의 배출 통로(54)가 설치되어 있다. 공유된 배출 통로(54)는, X방향 양측의 가이드면(53) 각각으로부터 유입하는 공기를, Y방향 단부 측에 설치된 배출구(55)로 유도한다.
도 20은, 방열 핀(60)이 설치된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도 15에 나타낸 가이드 부재(50A)를 적용한 일례이다. 방열 핀(60)은, 바닥면(10b)으로부터 공급 통로(52)로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고, 방열 핀(60)의 일부가 공급 통로(52)에 위치하고 있다. 바닥면(10b)에 추가하여 방열 핀(60)에 공기가 접촉함으로써, 더욱 양호한 효율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가이드 부재(50A) 이외의 다른 가이드 부재를, 방열 핀(60)이 설치된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하여, 도 21 및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 1과 다른 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단전지(10)의 바닥면(10)에 대하여 Z방향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공급되는 공기가, 단전지(10)의 길이 방향(Y방향)으로 유통하여 단전지(10)를 냉각한다. 도 21은, 본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500)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실시예의 흡기 경로(S1)를 유동하는 공기가, 가이드 부재(500)에 의해 조전지(100)를 구성하는 각 단전지(10)로 유도되고,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을 길이 방향으로 흐르는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500)는, 좌우 대칭인 2개의 가이드 부재(500A, 500B)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500)는, 상기 실시예 1에서 나타낸 가이드 부재(50)를, 한 쌍의 다리부(57) 사이의 영역에서 가이드부 본체(51)를 X방향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가이드부 본체(51A, 51B)를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한 것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가이드 부재(500A, 500B)로 구성되는 가이드 부재(500)는, Y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 부재(500A, 500B)의 각 다리부(57A, 57B) 사이에 의해, 실시예 1에서 나타낸 흡기 경로(S1)를 형성하고 있다. 또, Y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500A, 500B) 사이의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한 개구가, 공급 통로(52)를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500A, 500B)에 있어서, 가이드면(53)은, X방향에 있어서 단전지(10)의 바닥면(10b)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갖고,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가이드면(53)의 Y방향 단부에는, 배출구(55)가 설치되어 있고, Y방향을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을 따라 유통한 공기가 배출구(55)로 유도된다. 배출구(55)는, 2개의 가이드 부재(500A, 500B)의 각 다리부(57A, 57B)의 Y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흡기 경로(S1)와 구획된 배기 경로(S2)와 연통되어 있다.
또, 가이드면(53)은,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설치면(56)보다 Z방향 하방에 위치하고, 바닥면(10b)과 가이드면(53)의 사이에 공기가 Y방향으로 흐르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면(56)과 가이드면(53)의 사이에는 Z방향에 있어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설치면(56)은, 가이드면(53)의 Y방향 단부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또, 가이드면(53)의 X방향 양단에는, 가이드면(53)보다 Z방향 상방에 위치하고, 설치면(56)과 Z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X-Y 평면 상에 위치하는 벽부(58)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면(53)은, X방향에 있어서 벽부(58)에 의해 사이에 두어져 있고, 이웃하는 단전지(10)에 대한 가이드 부재(5000)와 구획되어 있다. 또한, 벽부(58)는, 실시예 1의 벽부(54a)와 마찬가지로, 설치면(56)보다 Z방향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3은, 본 실시예의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접촉하는 공기의 유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Y방향으로 긴 형상인 바닥면(10b)에 대하여, 폭 방향보다 긴 길이(L)를 갖는 바닥면(1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급 통로(52)로부터 유도된 공기를 유통시켜 단전지(10)를 냉각한다. 즉,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폭(D)과 동일한 폭을 갖는 공기가, 공급 통로(52)로부터 공급되어 바닥면(10b)의 길이 방향(Y방향)으로 흐른다. 각 가이드 부재(500A, 500B)에 있어서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을 따라 Y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의 냉각 길이는, 바닥면(10b)의 길이(L)의 대략 절반 또는 길이(L)보다 짧은 길이가 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는, 흡기 경로(S1)로부터 Z방향 상방으로 흐르고, X방향으로 평면 형상인 바닥면(10b)에 대하여 Z방향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접촉한다. 바닥면(10b)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게 접촉한 공기는, 대략 90도 방향을 변경하여, 공급 경로(52)의 Y방향 양측의 각 가이드면(53)과 바닥면(10b) 사이의 공간을, 바닥면(10b)의 길이 방향으로 흐른다. 가이드면(53)에 의해 바닥면(10d)을 길이 방향으로 흐른 X방향에 폭(D)을 갖는 공기는, 단전지(10)의 Y방향 단부를 향해 흐른다. 가이드 부재(500A, 500B)의 각 Y방향 단부에는, 배출구(5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가이드면(53)을 흘러 배출구(55)로부터 배기 경로(S2)로 배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가이드 부재(500)는, 1개의 단전지(10)에 대하여 공급 통로(52), 가이드면(53) 및 배출구(55) 각각이 바닥면(10b)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단전지(10)에 대한 온도 조절용의 흡배기가, 1개의 바닥면(10b)에서 행해진다. 또, 가이드 부재(500)에 의해 조전지(100)(단전지(10))의 하측에 있어서 흡기 경로(S1)와 배기 경로(S2)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 경로(S1)와 배기 경로(S)는, Y방향에 있어서 각 다리부(57A, 57B)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있고, 흡기 경로(S1)로부터 단전지(10)의 바닥면(10b)으로 유도되어 열교환을 행한 공기는, 흡기 경로(S1)와 구획된 배기 경로(S2)로 흐른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단전지(10)에 접촉하는 온도 조절용의 공기가, 단전지(10)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11a)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공급되므로, 단전지(10)를 양호한 효율로 온도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 1보다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접촉하는 공기의 경로 길이가 길어지지만, 양호한 효율로 단전지(10)를 냉각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온도 조정 구조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흡기 경로(S1)에 대하여 단전지(10)의 바닥면(10b)의 X방향의 폭이 길고, Y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단전지(10)에 대해서는, 실시예 1보다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비해, 가이드 부재(500)는, 배출 통로(54)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배출 통로(54)를 형성하는 벽부(리브)(53a, 54a)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구성이 간략화된다. 이 때문에, 가이드 부재(500)의 비용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 단전지(10)의 덮개(11b), 즉,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발전 요소(20)를 사이에 둔 단전지(10)의 면에, 정극 단자(12) 및 부극 단자(13)가 설치되는 태양을 일례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단전지(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 발전 요소(20)를 사이에 둔 단전지(10)의 면 이외의 단전지(10)의 각 측면(10d)에 정극 단자(12) 및 부극 단자(13)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50)는, 흡기 경로(S1)에 있어서의 X방향으로 유통하는 공기를, 단전지(10)의 각 케이스 본체(11a)의 바닥면(10b) 각각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공급하는 가이드부로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가이드부(50)에 대하여 Y방향으로 유통하는 공기를 단전지(10)의 각 케이스 본체(11a)의 바닥면(10b) 각각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공급하는 가이드부로 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50)는, 가이드 부재(50)에 대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단전지(10)의 각 케이스 본체(11a)의 바닥면(10b) 각각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공급하는 가이드부이고, 흡기 경로(S1)를 유통하는 공기의 유통 방향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Claims (17)

  1. 축전 소자의 온도 조절 구조에 있어서,
    상기 축전 소자는, 충방전을 행하는 발전 요소를 수용하고, 상기 발전 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가리는 덮개를 갖고 있으며,
    상기 축전 소자에 접촉하는 온도 조절용의 공기가 상기 발전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덮개와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소자는, 상기 덮개와 상기 바닥면이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길이가, 상기 제 1 길이에 직교하는 제 2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를 상기 바닥면으로 유도하는 공급 통로와, 상기 공급 통로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상기 바닥면을 따라 외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가이드 부재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공급 통로와 이웃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통로와 구획되어 설치되고,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공급 통로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상기 바닥면을 따라 상기 공급 통로와 이웃하는 상기 배출 통로를 향해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가이드면을 개재하여 상기 공급 통로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공기를 대략 수직하게 유도함과 함께, 상기 배출 통로는, 상기 가이드면을 개재하여 유입되는 상기 공기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통로, 상기 가이드면 및 상기 배출 통로가 상기 바닥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축전 소자에 대한 상기 공기의 흡배기가, 1개의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면에 대하여 상기 바닥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면과 상기 바닥면의 사이에 상기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바닥면의 일부가 접촉하는 설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바닥면의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 통로의 폭이, 상기 바닥면에 접근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축전 소자가 소정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축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가 상기 각 축전 소자 각각의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를 상기 바닥면으로 유도하는 공급 통로와, 상기 공급 통로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상기 바닥면을 따라 외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각 축전 소자 각각의 상기 바닥면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소정의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바닥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바닥면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바닥면의 폭 방향으로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바닥면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공급 통로와 이웃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통로와 구획되어 설치되고, 상기 바닥면과 열교환을 행하는 상기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의 흡기 경로와, 상기 흡기 경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소정의 방향에 직교하는 위치에, 상기 흡기 경로와 구획되어 설치되고, 상기 배출 통로와 삽입 통과하는 배기 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축전 소자의 사이는, 절연층으로 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단자와,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서 발생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 구조.
KR1020157014154A 2012-11-30 2012-11-30 축전 소자의 온도 조절 구조 KR101676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07715 WO2014083599A1 (ja) 2012-11-30 2012-11-30 蓄電素子の温度調節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319A true KR20150081319A (ko) 2015-07-13
KR101676734B1 KR101676734B1 (ko) 2016-11-16

Family

ID=5082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154A KR101676734B1 (ko) 2012-11-30 2012-11-30 축전 소자의 온도 조절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35046B2 (ko)
JP (1) JP6090331B2 (ko)
KR (1) KR101676734B1 (ko)
CN (1) CN104813505B (ko)
BR (1) BR112015012498B1 (ko)
DE (1) DE112012007187B4 (ko)
WO (1) WO2014083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5502A1 (de) * 2015-08-13 2017-02-16 Robert Bosch Gmbh Gehäuse für Batteriemodul sowie Batteriemodul, Batterie und Fahrzeug
CN106803556B (zh) * 2015-11-26 2019-10-18 致茂电子(苏州)有限公司 具有调温流道的电池承载装置
PL3449526T3 (pl) * 2016-04-20 2022-06-20 Corvus Energy Inc. Zespół płyty bazowej z zasilaniem oraz podstruktury chłodzenia
CN107689466A (zh) * 2016-08-04 2018-02-13 中信国安盟固利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温控装置和电池模块结构
JP6624021B2 (ja) * 2016-11-24 2019-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電池パック
DE102017202743A1 (de) * 2017-02-21 2018-08-23 Audi Ag Batterie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KR102311087B1 (ko) 2018-09-19 2021-10-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8081A (ja) * 1999-08-31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電池
JP2009301877A (ja) 2008-06-13 2009-12-24 Toyoda Gosei Co Ltd 組電池装置
JP2010015788A (ja) 2008-07-02 2010-01-21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組電池
JP2010173536A (ja) 2009-01-30 2010-08-12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
JP2010192207A (ja) 2009-02-17 2010-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池用冷却装置及び組電池
JP2010277863A (ja) 2009-05-28 2010-12-09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バッテリシステム及びこのバッテリシステムを搭載する車両
JP2011023296A (ja) 2009-07-17 2011-02-03 Furukawa Battery Co Ltd:The 組電池
KR20110044387A (ko) * 2009-10-23 2011-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냉각장치
JP2011181224A (ja) 2010-02-26 2011-09-15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冷却/加熱構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2012109126A (ja) 2010-11-17 2012-06-07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
JP2015056217A (ja) * 2013-09-10 2015-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温度調節構造及び温度調節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5958B2 (ja) * 1996-09-30 2002-1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電池の冷却方法
US20020028375A1 (en) 1995-11-22 2002-03-07 Nobuyasu Morishita Battery system
JP2993635B2 (ja) * 1996-08-12 1999-12-20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トランス接続型dc−dcコンバータ
JP2006185788A (ja) * 2004-12-28 2006-07-13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冷却装置
CN2842750Y (zh) * 2005-11-21 2006-11-29 北京有色金属研究总院 一种便于电池通风散热的电池箱体
JP5010682B2 (ja) * 2007-07-19 2012-08-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電動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および軌道系電動車両
JP5169130B2 (ja) * 2007-10-18 2013-03-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制御弁式鉛蓄電池
JP2010092722A (ja) * 2008-10-08 2010-04-22 Toyota Motor Corp 電池温度調節装置
JP4947075B2 (ja) * 2009-03-23 2012-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温度調節構造
JP5436924B2 (ja) * 2009-05-08 2014-03-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DE102010001533A1 (de) * 2010-02-03 2011-08-04 SB LiMotive Company Ltd., Kyonggi Batteriezelle mit einem Sicherheitsventil zur Entlüf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cherheitsventils in einem Batteriegehäuse
US20110206967A1 (en) 2010-02-25 2011-08-25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cooling/heating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JP5732241B2 (ja) * 2010-12-03 2015-06-10 Udトラックス株式会社 蓄電セル、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を搭載する車両
JP5654881B2 (ja) * 2011-01-19 2015-01-14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電池冷却構造
JP5606936B2 (ja) * 2011-01-24 2014-10-15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電池冷却構造
JP5583041B2 (ja) * 2011-02-04 2014-09-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5585482B2 (ja) * 2011-02-14 2014-09-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JP2012199044A (ja) * 2011-03-22 2012-10-18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6134120B2 (ja) * 2012-10-18 2017-05-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池ブロック及びそれ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8081A (ja) * 1999-08-31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電池
JP2009301877A (ja) 2008-06-13 2009-12-24 Toyoda Gosei Co Ltd 組電池装置
JP2010015788A (ja) 2008-07-02 2010-01-21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組電池
JP2010173536A (ja) 2009-01-30 2010-08-12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
JP2010192207A (ja) 2009-02-17 2010-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池用冷却装置及び組電池
JP2010277863A (ja) 2009-05-28 2010-12-09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バッテリシステム及びこのバッテリシステムを搭載する車両
JP2011023296A (ja) 2009-07-17 2011-02-03 Furukawa Battery Co Ltd:The 組電池
KR20110044387A (ko) * 2009-10-23 2011-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냉각장치
JP2011181224A (ja) 2010-02-26 2011-09-15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冷却/加熱構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2012109126A (ja) 2010-11-17 2012-06-07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
JP2015056217A (ja) * 2013-09-10 2015-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温度調節構造及び温度調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13505B (zh) 2017-10-03
JP6090331B2 (ja) 2017-03-08
BR112015012498A2 (pt) 2017-07-11
DE112012007187B4 (de) 2021-01-28
WO2014083599A1 (ja) 2014-06-05
US10135046B2 (en) 2018-11-20
US20150303420A1 (en) 2015-10-22
JPWO2014083599A1 (ja) 2017-01-05
KR101676734B1 (ko) 2016-11-16
CN104813505A (zh) 2015-07-29
BR112015012498B1 (pt) 2021-06-29
DE112012007187T5 (de)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734B1 (ko) 축전 소자의 온도 조절 구조
KR101417238B1 (ko) 축전 장치의 온도 조절 구조체
JP6079787B2 (ja) 蓄電装置
JP5527172B2 (ja) 蓄電装置
KR101682597B1 (ko) 축전장치
US10199700B2 (en) Temperature adjusting structure and temperature adjusting method for electric power storage device
KR20190066731A (ko) 셀 에지 직접 냉각 방식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4325721B2 (ja) 温度調節機構
JP5252082B2 (ja) 蓄電装置
KR20060037625A (ko) 전지 모듈
JP2006294336A (ja) 電池パック
JP2006185815A (ja) 電池パック
JP2010033799A (ja) 蓄電装置
US20220149458A1 (en) Power consumption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power consumption devic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wer consumption device
JP2008192381A (ja) 温度調節機構
KR20160078035A (ko) 배터리 모듈
US9768478B2 (en) Traction battery assembly
JP4952777B2 (ja) 蓄電装置
JP2023511596A (ja) 電気車両用の空冷式バッテリーパック
JP5761107B2 (ja) 蓄電装置及び吸気ダクト
JP7505901B2 (ja) 電池スタック構造
JP2018137191A (ja) 電池パック
JP2009181739A (ja) 蓄電装置
JP2022126974A (ja) 蓄電パック
JP2023028290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