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717A - 관 조인트 구조 - Google Patents

관 조인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717A
KR20150054717A KR1020147036644A KR20147036644A KR20150054717A KR 20150054717 A KR20150054717 A KR 20150054717A KR 1020147036644 A KR1020147036644 A KR 1020147036644A KR 20147036644 A KR20147036644 A KR 20147036644A KR 20150054717 A KR20150054717 A KR 20150054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sleeve
groove
pocket nut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이노우에 스다레 가부시키가이샤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우에 스다레 가부시키가이샤,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노우에 스다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4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2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with additional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파이프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단부에 플레어 가공하지 않고, 신속하게 강력한 접속이 가능한 관 조인트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나사 부착 조인트 본체(1)와, 조인트 본체(1)의 수나사(2)에 나사 장착되는 주머니 너트(3)를 구비하고, 알루미늄관(4)을 접속하는 관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주머니 너트(3)의 내부 수납 공간(10)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8)에 오목둘레홈(9)을 가지고, 주머니 너트(3)와 조인트 본체(1)의 수나사(2)를 나사 장착시킬 때에 조인트 본체(1)와 주머니 너트(3)부터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을 받아,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알루미늄관(4)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빠짐 방지하는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관 조인트 구조{PIPE JOINT STRUCTURE}
본 발명은 관 조인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관 조인트의 일종으로서 플레어 조인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반적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나사 부착 조인트 본체(30)의 테이퍼면(31)과, 조인트 본체(30)의 수나사(32)에 나사 장착(螺着)되는 주머니(袋) 너트(33)의 테이퍼면(34) 사이에, 구리제 파이프(35)의 단부를 직경 확대 테이퍼형상으로 소성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플레어 단부(37)를, 협지시켜 압접력에 의해 밀봉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최근, 파이프(35)의 재질로서, 고가이며 무거운 구리보다 저렴하며 가벼운 알루미늄을 사용하고자 하는 요망이 강하다. 파이프(35)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플레어 가공을 시행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물론, 구리관에 대해서도, 상기 플레어 가공을 현장에서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배관 작업 능률 상승을 저해하고 있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그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각종 관 조인트 구조가 제안되어 있지만, 부품점수가 많고,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필요로 하고, 조립시에 수고가 든다는 결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42858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알루미늄관에 플레어 가공을 시행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점이다. 또는, 구리관에 있어서도, 플레어 가공이 배관 작업 현장의 작업 능률 상승을 저해하고 있던 점이다. 또, 그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한 각종 관 조인트 구조에서는 부품점수가 많고,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필요로 하고, 조립시에 수고가 드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 조인트 구조는, 주머니 너트의 내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오목둘레홈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압축 변형용 슬리브를 구비하고, 이 압축 변형 슬리브는 상기 오목둘레홈의 안측부(奧部)에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底薄壁部)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너트의 나사 진행(螺進)에 의해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을 받아, 상기 오목둘레홈의 폭 치수가 감소하면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알루미늄관의 외주면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이 알루미늄관의 빠짐 방지를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관 조인트 구조는, 주머니 너트의 내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오목둘레홈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압축 변형용 슬리브를 구비하고, 이 압축 변형 슬리브는 상기 오목둘레홈의 안측부에는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너트의 나사 진행에 의해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을 받아, 상기 오목둘레홈의 폭 치수가 감소하면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구리관의 외주면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이 구리관의 빠짐 방지를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압축 변형 슬리브의 내주면은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 및 그 근방에 대응한 영역에 있어서, 대략 평활형상의 원주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수나사 부착 조인트 본체와, 이 조인트 본체의 수나사에 나사 장착되는 주머니 너트를 구비하고, 알루미늄관을 접속하는 관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너트의 내부 수납 공간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오목둘레홈을 가지고, 상기 주머니 너트와 상기 조인트 본체의 수나사를 나사 장착시킬 때에 상기 조인트 본체와 상기 주머니 너트로부터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을 받아,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기 알루미늄관의 외주면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빠짐 방지하는 압축 변형용 슬리브를 가지는 것이다.
또, 상기 압축 변형용 슬리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층을 피복한 구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수나사 부착 조인트 본체와, 이 조인트 본체의 수나사에 나사 장착되는 주머니 너트를 구비하고, 구리관을 접속하는 관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너트의 내부 수납 공간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오목둘레홈을 가지고, 상기 주머니 너트와 상기 조인트 본체의 수나사를 나사 장착시킬 때에 상기 조인트 본체와 상기 주머니 너트로부터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을 받아,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기 구리관의 외주면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빠짐 방지하는 압축 변형용 슬리브를 가지는 것이다.
또, 상기 압축 변형용 슬리브는 구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둘레홈이 U자형상이다.
또, 상기 압축 변형용 슬리브의 내주면에 미리 일체로 시일층을 가지고, 상기 파고들어갈 때에 밀봉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압축 변형용 슬리브가 내주면에 시일홈을 가지고, 이 시일홈 내에 시일재를 내장한 것이다.
또, 상기 주머니 너트의 내주면과, 상기 압축 변형용 슬리브의 외주면 사이에, 상대적 회전 미끄러짐 조장용 원통형상 커버 부재를 개재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주머니 너트의 내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오목둘레홈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압축 변형용 슬리브를 구비하고, 이 압축 변형 슬리브는 미압축 상태에서는, 상기 오목둘레홈의 안측부에는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는 슬리브 내주면측에 소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너트의 나사 진행에 의해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을 받아, 상기 오목둘레홈의 폭 치수가 감소하면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알루미늄관의 외주면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이 알루미늄관의 빠짐 방지를 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소돌조는 빠짐 방지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내인발력 증강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주머니 너트의 내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오목둘레홈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압축 변형용 슬리브를 구비하고, 이 압축 변형 슬리브는 미압축 상태에서는, 상기 오목둘레홈의 안측부에는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는 슬리브 내주면측에 소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너트의 나사 진행에 의해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을 받아, 상기 오목둘레홈의 폭 치수가 감소하면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구리관의 외주면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이 구리관의 빠짐 방지를 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소돌조는 빠짐 방지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내인발력 증강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소돌조는 복수의 절결부에 의해, 원호형상으로 분단 형성되고, 이 소돌조는 상기 외주면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간 상태에서, 관 회전 방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경우에 따라서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관 조인트 구조에 의하면, 소성 가공이 어려운 알루미늄 파이프의 경우, 또는 종래의 플레어 가공을 필요로 하고 있던 구리제 파이프의 경우, 모두 단부에 플레어 가공을 시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이 좋다. 게다가, 주머니 너트를 나사 진행하는 것만으로, 강력한 인발력을 발휘하고, 또한 밀봉성도 발휘하는 접속(배관)을 신속·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부품점수가 적고, 부품 형상이 심플하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특히, 냉매용 배관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파이프 접속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2는 접속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3은 압축 변형용 슬리브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4는 주머니 너트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파이프 접속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6은 접속 완료 상태를 나타낸 단면 정면도이다.
도 7은 압축 변형용 슬리브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파이프 접속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9는 접속 완료 상태를 나타낸 단면 정면도이다.
도 10은 압축 변형용 슬리브 및 커버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파이프 접속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12는 접속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13은 압축 변형용 슬리브 및 커버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14는 작용 설명도이다.
도 15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알루미늄관 접속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접속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이 관 조인트 구조는 수나사 부착 조인트 본체(1)와, 수나사(2)에 나사 장착되는 주머니 너트(3)를 구비하고, 알루미늄관(4)을 접속하는 관 조인트 구조이며, 특히, 냉매용 배관으로서 적합한 구성이다. 알루미늄관(4)의 단부(5)에 플레어 가공을 시행하지 않고, 알루미늄관(4)과 관 조인트(6)가 접속된다. 조인트 본체(1) 및 주머니 너트(3)는 예를 들면 놋쇠로 이루어진다. 알루미늄관(4) 및 관 조인트(6)의 내부를 에어컨 등의 냉매가 흐른다.
도 3(A)에 알루미늄제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나타낸다. 압축 변형용 슬리브(7)는 외주면(8)에 2개의 U자형상 오목둘레홈(9)을 가진다. 도 1·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 변형용 슬리브(7)가 주머니 너트(3)의 내부 수납 공간(10)에 수납된다.
도 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 변형용 슬리브(7)의 내주면(11)에 미리 일체로 시일층(12)을 가진다. 시일층(12)은 예를 들면 PTFE 등의 불소 수지를 도장함으로써 형성한다. 압축 변형용 슬리브(7)는 주머니 너트(3)(도 1·도 2 참조)와 조인트 본체(1)의 수나사(2)를 나사 장착시킬 때에, 도 3(B)의 자유 상태로부터,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1)와 주머니 너트(3)로부터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체결력)(F)을 받아,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U자형상으로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알루미늄관(4)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빠짐 방지한다(인발내력을 가지고, 인발을 방지한다). 이 때, 도 2와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관(4)의 내주면도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소성 변형하여 소돌조부(25)를 형성한다. 오목둘레홈(9)의 폭 치수(W)는 소성 변형시 감소한다. 또한, 폭 치수(W)가 제로가 되는 것도(즉 측면(15)끼리가 압접하는 것)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또, 도 3(C)과 같이, 파고들어갈 때에 시일층(12)에 의해 밀봉 상태가 된다.
그런데, 도 1, 도 2, 도 3(A)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미압축 상태의 슬리브(7)의 내주면(11)은 평활 원주면형상의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미압축 상태의 오목둘레홈(9)의 폭 치수(W)의 2배의 액시얼 방향 치수의 영역을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 및 그 근방에 대응한 영역(45)이라고 정의하고, 그 영역(45)이 대략 평활형상의 원주면형상으로 형성되면(내인발력을 발휘함과 아울러) 충분하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1)는 단부(16)에 테이퍼면(17)을 가진다(예를 들면 JIS B8607의 플레어 관 조인트에 사용되는 조인트 본체와 동일 형상으로 한다). 도 3(A) 및 도 1·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 변형용 슬리브(7)는 단부(18)에 조인트 본체(1)의 테이퍼면(17)에 대응한 (동일 경사 각도 θ의) 압접 시일용 테이퍼면(19)을 가진다. 테이퍼면(17)과 압접 시일용 테이퍼면(19)은 종래의 플레어 관 조인트의 관 조인트 구조와 마찬가지로 압접에 의해 밀봉 작용을 이룬다.
도 3(D)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상기 서술한) 테이퍼면(17)과 테이퍼면(19)이 강하게 압접했을 때에, 단부(18)가 (레이디얼 외방향으로) 과대한 직경 확대 소성 변형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강용 내측 플랜지부(28)를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내측 플랜지부(28)의 안쪽 높이에 상당하는 단차 치수(H)는 도 1, 도 2의 관(파이프)(4(40))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도 10에 나타낸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강용 내측 플랜지부(28)를 2점쇄선과 같이 돌출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또, 도 7(B)에 나타낸 다른 실시형태와 같이, 보강용 내측 플랜지부(28)를 돌출설치하여, 그 단차 치수(H)를 관(파이프)(4(40))의 두께 치수(T4)와 대략 동일하게 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머니 너트(3)의 적어도 내면 수구(受口)(20) 및 외단면(26)에 전식 방지를 위한 절연성 수지(21)를 도장한다. 주머니 너트가 놋쇠 등의 알루미늄과는 상이한 금속으로 이루어져도, 이종 금속의 사이에서의 전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수지(21)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알루미늄관 접속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접속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 변형용 슬리브(7)가 내주면(11)에 2개의 시일홈(22)을 가진다. 시일홈(22) 내에 O링 등의 시일재(23)가 내장된다. 압축 변형용 슬리브(7)의 내주면(11)은 시일층을 가지고 있지 않다. (압축 변형용 슬리브(7)의 액시얼 방향 길이 치수(L)는 제1 실시형태보다 길게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도 7(B)은 도 7(A), 도 5, 도 6의 변형예에 상당하는 것이며, 시일재(23)(시일홈(22))의 위치와, 오목둘레홈(9)의 위치를 액시얼 방향으로 바꾼 구성이다. 이 도 7(B)과 같이 구성하면, 배관 접속 완료 상태하(도 6 참조)에서,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관(4(40))의 외주면(14)으로의 압착에 의한 밀봉 작용이 제1 단계로 작용하고, 만일 이 밀봉 작용이 불충분한 경우에, (레이디얼 외방측의) 시일재(23)에 의해, 확실한 밀봉 작용을 이룰 수 있다.
이미 서술한 제1·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리브(7)로서는 알루미늄관(4)과 동일 재질의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망에 따라, 외표면에 (도금 가공이나 용사 등에 의해) 알루미늄층이 피복된 구리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전식을 방지할 수 있으면, 후자를 선택 가능하다.
다음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이프로서 구리관(4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슬리브(7)의 재질을 구리로 한다. 슬리브(7)의 다른 형상이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서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를 생략한다.
다음에,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5와 도 6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이프로서 구리관(4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슬리브(7)의 재질을 구리로 한다. 슬리브(7)의 다른 형상이나 구성은 도 5와 도 6에서 서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를 생략한다.
또한, 어느 실시형태의 경우도, 파이프가 구리관(40)인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주머니 너트(3)를 구리로 하여, 수지(21)의 피막을 생략 가능한 경우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알루미늄관 접속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접속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압축 변형용 슬리브(7)에 스테인레스강 등의 경질 금속(또는 경질 플라스틱)제의 커버 부재(24)가 외측에서 끼워진 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즉, 주머니 너트(3)의 내주면(3B)과, 슬리브(7)의 외주면 사이에, 커버 부재(24)가 개재(개재 장착)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24)는 슬리브(7)의 길이 치수(L)보다 약간 짧은 액시얼 방향 길이 치수의 원통부(42)와, 그 외단에 연결설치된 내측 플랜지부(41)로 이루어진다.
커버 부재(24)는 주머니 너트(3)의 내주면(3B)과, 압축 변형용 슬리브(7)의 외주면의 마찰 저항(압착에 의한 저항)을 저감하고, 미끄러짐을 조장하기 위해서 (즉, 상대적 회전 미끄러짐 조장용)의 원통형상의 것이다. 이 커버 부재(24)가 없는 도 2, 도 6에 나타낸 상태하에서, 슬리브(7)가 주머니 너트(3)의 나사 진행(도 9 화살표 M 참조)에 따라, 액시얼 방향으로 압축 변형할 때에, 슬리브(7)의 외경 치수도 증가한다(레이디얼 바깥쪽으로의) 변형을 발생시키고, 주머니 너트(3)의 내주면(3B)에 강하게 압착하여, 슬리브(7)가 주머니 너트(3)와 함께 회전하여, 그러므로 알루미늄관(4)(구리관(40))도 동시에 함께 회전하여, 비틀림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다.
커버 부재(24)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경질로 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마찰계수도 낮은 재질로 함으로써, 슬리브(7)의 외주면과, 주머니 너트(3)의 내주면이 강하게 압착하여(밀착하여) 일어나는 상기 함께 회전하는 것 및 알루미늄관(4)(구리관(4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머니 너트(3)와, 압축 변형용 슬리브(7)의 전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경우도 있다. 더욱 서술하면, 상기 내측 플랜지부(41)는 슬리브(7)의 외단면과, 주머니 너트(3)의 내측 플랜지부(3A) 사이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여, 미끄러지기 쉽게 하는 작용도 이룬다.
다음에,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 내지 도 10과 동일 부호는 대략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하, 특히, 도 1 내지 도 10과는 상이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2개의 오목둘레홈(9, 9) 중의 파이프 삽입측의 외측의 것의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에는 슬리브 내주면측에 손톱형의 소돌조(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소돌조(50)는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의 액시얼 방향 중앙 부위에 조인트 본체(1)측을 향한 단차형성면(50A)을 가지는 대략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빠짐 방지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내인발력 증강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즉, 압축력(F)을 주머니 너트(3)로부터 받아 압축 변형해가면,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의 U자형상 소성 변형과 함께, 깊게 알루미늄관(4)(또는 구리관(40))의 외주면에 파고들어가고, 홈 바닥 박벽부(13)의 내인발력을 더욱 증대시키는 내인발력 증강 기능을 발휘한다.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쪽(조인트 본체(1)측)의 홈 바닥 박벽부(13)는 U자형상으로 만곡하여, 알루미늄관(4)(또는 구리관(40))의 외주면에 파고들어가는 것에 대해, 오른쪽(바깥쪽)의 홈 바닥 박벽부(13)는 베이스의 U자형상 만곡부와, 그 정부의 소돌조(50)가 일체로 파고들어가 강력한 내인발력을 발휘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의 평활 내주면부(11A)의 내경 치수보다 미소 치수(2d)만큼 대직경으로 한 대직경 내주면부(11B)를 형성하여, 이 대직경 내주면부(11B)의 액시얼 방향 중간에 소돌조(50)를 배열설치(형성)하고, 이 소돌조(50)의 내경 치수를 평활 내주면부(11A)의 내경 치수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돌조(50)의 좌우 양측(액시얼 방향 내외 각각)에 미소 치수(d)(도 13 참조)의 릴리프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슬리브(7)의 미압축 상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미소 치수(d)의 요철이 존재하고 있어도, 「대략 평활형상」의 원주면형상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 및 그 근방에 대응한 영역(45)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14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대략 평활형상」의 원주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45)의 액시얼 방향의 폭은 미압축 상태의 오목둘레홈(9)의 2배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오목둘레홈(9, 9)의 홈 바닥 박벽부(13, 13) 및 그 근방의 영역(45)에 있어서, 내주면(11)은 미압축 상태에서는 대략 평활형상의 원주면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5에 나타낸 변형예에 있어서, 44는 소돌조(50)의 절결부(무존재부)이며, 복수의 절결부(44)에 의해, 소돌조(50)는 원호형상으로 분단 형성되고, 따라서, 이 분단 원호형상의 소돌조(50)가 외주면(14)측으로부터 알루미늄관(4)(또는 구리관(40))에 파고들어간 상태에서, 관 회전 방지 기능을 발휘한다. 즉, 도 14(B)의 파고들어간 상태에서는, 둘레 방향 위치에서 소돌조(50)가 존재하는 부위와 존재하지 않는 부위가 교대로 형성되고, 따라서 관(4, 40)과, 슬리브(7)는 상대적으로 축심 둘레를 회전하지 않고, 관(4, 40)의 회전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배관 완료 후에 회전 토크(외력)가 관(4, 40)에 작용했다고 해도, 관(4, 40)이 회전하지 않고, 이것에 의해, 도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고들어간 박벽부(13)와 관 외주면(14) 사이를 통과한 유체의 외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 내지 도 15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둘레홈(9)의 개수는 2개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11 내지 도 15에 있어서는, 적어도 1개의 오목둘레홈(9)의 홈 바닥 박벽부(13)에는 내인발력 증강 기능을 발휘하는 소돌조(50)를 구비하고 있다.
추가 설명하면, 도 11 내지 도 14의 각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1개의 오목둘레홈(9)의 경우에는, 그 홈 바닥 박벽부(13)에는 반드시 소돌조(50)를 가지고, 또, 2개의 오목둘레홈(9)의 경우에는, 1개 또는 2개가 그 홈 바닥 박벽부(13)에 소돌조(50)를 가지고, 3개의 오목둘레홈(9)의 경우에는, 1개 또는 2개 혹은 3개가 홈 바닥 박벽부(13)에 소돌조(50)를 가진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절결부(44)를 가지는 소돌조(50)를 상기 서술한 1개 또는 복수개 오목둘레홈(9)의 박벽부(13)에 형성하는 것도 자유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상기 서술한 압축 변형용 슬리브(7)는 「단원통형」인 점이 하나의 특징이며, 여기서 「단원통형」은 외경 치수를 D로 하고, 길이 치수를 L로 하면, 0.5≤L/D≤3.0을 말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는 이러한 단원통형의 원형 내주면이 압축력(F)을 받아,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하는 소성 변형을 일으켜, 삽입되어 있는 알루미늄관(4) 또는 구리관(40)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안정된 U자형상으로 파고들어가 빠짐 방지하고, 그 때, 소돌조(50)는 빠짐 방지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내인발력 증강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이다. 「단원통형」의 슬리브(7)는 미압축 상태로부터 압축 상태로, 항상 안정 자세를 유지하므로, 국부적인(작은)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는 도 1 로부터 도 2와 같이, 또는 도 5로부터 도 6과 같이, 혹은 도 11로부터 도 12 등과 같이, 또한 도 14(A)로부터 (B)와 같이, 안정된 소성 변형의 도중 자세를 유지하면서, 최종적인 관 파고들기 소성 변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오목둘레홈(9)은 U자형상이면, 도시하는 곡률이 큰 U자형상 이외에, 네모난 U자형상이나, 홈 안측부가 팽출형상 또는 V형상이어도 된다.
다음에, 도 11 내지 도 13에 있어서, 내측 플랜지부(28)의 단면형상이, 도 3(D)이나 도 7(B)과 상이하므로, 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측 플랜지부(28)의 내단면(28a)은 (관(4(40))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일한) 단차 치수(H)를 가지는 축심 직교 평면형상 단차형성면이 해당한다. 그리고, 경사 각도(θ)의 테이퍼면(19)의 경사선은 (절곡부 없이) 직선형상으로서 내측 플랜지부(28)의 외단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그 경사선의 내경 방향 단부(19C)는 축심 직교 평면부(28b)에 연결되어 있다(도 13 참조).
이와 같이, 내측 플랜지부(28)가 슬리브(7)에 부가되어 있는 것에 의해, 테이퍼면(19)이 테이퍼면(17)에 대하여 강하게(도 12와 같이) 압접했을 때에, 슬리브(7)의 단부(18)의 두께가 증가한 것에 따른 보강 작용에 의해, 과대한 직경 확대 소성 변형을 방지하고, 게다가, 추가적인 나사 진행에 의해 한층 강하게 테이퍼면(19, 17)이 압접했을 때에는, 상기 축심 직교 평면부(28b)가 조인트 본체(1)의 선단면(16A)에 맞닿아, 스토퍼 작용에 의해 주머니 너트(3)의 과대한 나사 진행을 방지하고, 또한 과대한 직경 확대 소성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즉, 도시예에서는 내측 플랜지부(28)는 그 두께(단면적) 증가에 따른 보강 작용 및 선단면(16A)에 맞닿는 단차 형상의 축심 직교 평면부(28b)에 의한 스토퍼 작용에 의해, 단부(18)의 직경 확대 소성 변형(주머니 너트(3)의 과대한 나사 진행)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U자형상 오목둘레홈(9)의 개수는 2개가 가장 바람직하다. U자형상 오목둘레홈(9)이 1개에서는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소성 변형할 때, 알루미늄관(4)과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을 발생시키기 쉬워(어긋나기 쉬워), 파이프의 축심 방향의 동일한 위치로 파고들어가게 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도 있고, 3개에서는 각 U자형상 오목둘레홈(9) 사이에 불필요한 스트레스(내부 응력)가 남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알루미늄」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또, 「구리」에는 구리계 합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계 변경 가능하며, 도 5, 도 6의 실시형태에 커버 부재(24)를 개재장착하는 것도 자유이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압축 변형용 슬리브(7)가 외주면(8)에 1개 또는 3개의 오목둘레홈(9)을 가지는 것도 좋다. 또, 압축 변형용 슬리브(7)가 내주면(11)에 1개의 시일홈(22)을 가지는 것도 좋다. 또, 주머니 너트(3)의 전체 표면에 수지(21)를 도장하는 것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주머니 너트(3)의 내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8)에 오목둘레홈(9)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구비하고, 압축 변형 슬리브(7)는 오목둘레홈(9)의 안측부에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형성되고, 주머니 너트(3)의 나사 진행에 의해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F)을 받아, 오목둘레홈(9)의 폭 치수(W)가 감소하면서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알루미늄관(4)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알루미늄관(4)의 빠짐 방지를 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신속히 강력한 접속(배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소성 가공이 어려운 알루미늄관(4)의 단부에 플레어 가공을 시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이 좋다. 또, 부품점수가 적고, 부품 형상이 심플하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주머니 너트(3)의 내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8)에 오목둘레홈(9)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구비하고, 압축 변형 슬리브(7)는 오목둘레홈(9)의 안측부에는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형성되고, 주머니 너트(3)의 나사 진행에 의해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F)을 받아, 오목둘레홈(9)의 폭 치수(W)가 감소하면서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구리관(40)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구리관(40)의 빠짐 방지를 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신속히 강력한 접속(배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구리관(40)의 단부에 플레어 가공을 시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이 좋다. 또, 부품점수가 적고, 부품 형상이 심플하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압축 변형 슬리브(7)의 내주면(11)은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 및 그 근방에 대응한 영역(45)에 있어서, 대략 평활형상의 원주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4(40))의 외주면에 대하여 안정된 소성 변형을 행할 수 있다.
또, 수나사 부착 조인트 본체(1)와, 조인트 본체(1)의 수나사(2)에 나사 장착되는 주머니 너트(3)를 구비하고, 알루미늄관(4)을 접속하는 (냉매용 등의) 관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주머니 너트(3)의 내부 수납 공간(10)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8)에 오목둘레홈(9)을 가지고, 주머니 너트(3)와 조인트 본체(1)의 수나사(2)를 나사 장착시킬 때에 조인트 본체(1)와 주머니 너트(3)로부터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F)을 받아,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알루미늄관(4)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빠짐 방지하는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가지므로, 신속히 강력한 접속(배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관(4)에 플레어 가공을 시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이 좋다. 또, 부품점수가 적고, 부품 형상이 심플하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상기 압축 변형용 슬리브(7)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층을 피복한 구리로 이루어지므로, 알루미늄관(4)에 대하여 전식의 우려가 없어 바람직하다.
또, 수나사 부착 조인트 본체(1)와, 조인트 본체(1)의 수나사(2)에 나사 장착되는 주머니 너트(3)를 구비하고, 구리관(40)을 접속하는 (냉매용 등의) 관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주머니 너트(3)의 내부 수납 공간(10)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8)에 오목둘레홈(9)을 가지고, 주머니 너트(3)와 조인트 본체(1)의 수나사(2)를 나사 장착시킬 때에 조인트 본체(1)와 주머니 너트(3)로부터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F)을 받아,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구리관(40)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빠짐 방지하는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가지므로, 종래의 구리관 단부로의 플레어 가공이 전혀 불필요하게 되어, 신속한 배관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강력한 접속 완료의 구조가 된다. 또한, 부품점수가 적고, 부품 형상도 심플하게 된다.
또, 압축 변형용 슬리브(7)는 구리로 이루어지므로, 구리관(40)에 대하여, 전식의 우려도 없어진다.
또, 압축 변형용 슬리브(7)의 내주면(11)에 미리 일체로 시일층(12)을 가지고, 파고들어갈 때에 밀봉 상태가 되도록 구성했으므로, 시일성이 양호하다.
또, 압축 변형용 슬리브(7)가 내주면(11)에 시일홈(22)을 가지고, 시일홈(22) 내에 시일재(23)를 내장했으므로, 시일성을 보다 향상·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외주면과, 주머니 너트(3)의 외단면(26)의 모서리부(Z)에는 빗물 등이 고이기 쉽지만, 절연성 수지(21)를 피복하면, 파이프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조인트 본체(1) 및 주머니 너트(3)가 놋쇠 등의 알루미늄과는 상이한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이종 금속의 사이에서의 전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주머니 너트의 내주면과, 압축 변형용 슬리브의 외주면 사이에, 상대적 회전 미끄러짐 조장용 원통형상 커버 부재를 개재시킨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머니 너트(3)의 내주면(3B)과, 슬리브(7)의 외주면 사이가 가볍게 회전하고, 최종적으로 알루미늄관(4) 또는 구리관(40)이 비틀어진다는 문제를 해결하여, 확실하게 배관 접속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주머니 너트(3)의 내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8)에 오목둘레홈(9)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구비하고, 이 압축 변형 슬리브(7)는 미압축 상태에서는, 상기 오목둘레홈(9)의 안측부에는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는 슬리브 내주면측에 소돌조(50)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너트(3)의 나사 진행에 의해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F)을 받아, 상기 오목둘레홈(9)의 폭 치수(W)가 감소하면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알루미늄관(4)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이 알루미늄관(4)의 빠짐 방지를 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소돌조(50)는 빠짐 방지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내인발력 증강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신속히 강력한 접속(배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관(4)에 플레어 가공을 시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이 좋다. 또, 부품점수가 적고, 부품 형상이 심플하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특히, 오목둘레홈 바닥 벽부(13)와 소돌조(50)의 공동 작용에 의해, 내인발력은 현저하게 강대하다.
또, 주머니 너트(3)의 내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8)에 오목둘레홈(9)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구비하고, 이 압축 변형 슬리브(7)는 미압축 상태에서는, 상기 오목둘레홈(9)의 안측부에는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는 슬리브 내주면측에 소돌조(50)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너트(3)의 나사 진행에 의해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F)을 받아, 상기 오목둘레홈(9)의 폭 치수(W)가 감소하면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구리관(40)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이 구리관(40)의 빠짐 방지를 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소돌조(50)는 빠짐 방지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내인발력 증강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종래의 구리관 단부로의 플레어 가공이 전혀 불필요하게 되어, 신속한 배관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강력한 접속 완료의 구조가 된다. 또한, 부품점수가 적고, 부품 형상도 심플하게 된다. 특히, 오목둘레홈 바닥 벽부(13)와 소돌조(50)의 공동 작용에 의해, 내인발력은 현저하게 강대하다.
또, 상기 소돌조(50)는 복수의 절결부(44)에 의해, 원호형상으로 분단 형성되고, 이 소돌조(50)는 상기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간 상태에서, 관 회전 방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F)을 받아 슬리브(7)가 소성 변형함과 동시에, 관(4, 40)의 회전이 방지되어, 밀봉성이 저하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밀봉 성능을 발휘한다.
1…(수나사 부착) 조인트 본체
2…수나사
3…주머니 너트
4…알루미늄관
7…압축 변형용 슬리브
8…외주면
9…오목둘레홈
10…내부 수납 공간
11…내주면
12…시일층
13…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
14…외주면
22…시일홈
23…시일재
24…커버 부재
40…구리관
44…절결부
45…영역
50…소돌조
F…압축력(체결력)
W…폭 치수

Claims (14)

  1. 주머니 너트(3)의 내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8)에 오목둘레홈(9)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구비하고,
    이 압축 변형 슬리브(7)는 상기 오목둘레홈(9)의 안측부에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너트(3)의 나사 진행에 의해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F)을 받아, 상기 오목둘레홈(9)의 폭 치수(W)가 감소하면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알루미늄관(4)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이 알루미늄관(4)의 빠짐 방지를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2. 주머니 너트(3)의 내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8)에 오목둘레홈(9)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구비하고,
    이 압축 변형 슬리브(7)는 상기 오목둘레홈(9)의 안측부에는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너트(3)의 나사 진행에 의해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F)을 받아, 상기 오목둘레홈(9)의 폭 치수(W)가 감소하면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구리관(40)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이 구리관(40)의 빠짐 방지를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변형 슬리브(7)의 내주면(11)은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 및 그 근방에 대응한 영역(45)에 있어서, 대략 평활형상의 원주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4. 수나사 부착 조인트 본체(1)와, 이 조인트 본체(1)의 수나사(2)에 나사 장착되는 주머니 너트(3)를 구비하고, 알루미늄관(4)을 접속하는 관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너트(3)의 내부 수납 공간(10)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8)에 오목둘레홈(9)을 가지고, 상기 주머니 너트(3)와 상기 조인트 본체(1)의 수나사(2)를 나사 장착시킬 때에 상기 조인트 본체(1)와 상기 주머니 너트(3)로부터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F)을 받아,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기 알루미늄관(4)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빠짐 방지하는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변형용 슬리브(7)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층을 피복한 구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6. 수나사 부착 조인트 본체(1)와, 이 조인트 본체(1)의 수나사(2)에 나사 장착되는 주머니 너트(3)를 구비하고, 구리관(40)을 접속하는 관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너트(3)의 내부 수납 공간(10)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8)에 오목둘레홈(9)을 가지고, 상기 주머니 너트(3)와 상기 조인트 본체(1)의 수나사(2)를 나사 장착시킬 때에 상기 조인트 본체(1)와 상기 주머니 너트(3)로부터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F)을 받아,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기 구리관(40)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빠짐 방지하는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변형용 슬리브(7)는 구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둘레홈(9)이 U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변형용 슬리브(7)의 내주면(11)에 미리 일체로 시일층(12)을 가지고, 상기 파고들어갈 때에 밀봉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1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변형용 슬리브(7)가 내주면(11)에 시일홈(22)을 가지고, 이 시일홈(22) 내에 시일재(23)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11.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너트(3)의 내주면(3B)과, 상기 압축 변형용 슬리브(7)의 외주면 사이에, 상대적 회전 미끄러짐 조장용 원통형상 커버 부재(24)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12. 주머니 너트(3)의 내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8)에 오목둘레홈(9)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구비하고,
    이 압축 변형 슬리브(7)는 미압축 상태에서는, 상기 오목둘레홈(9)의 안측부에는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는 슬리브 내주면측에 소돌조(50)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너트(3)의 나사 진행에 의해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F)을 받아, 상기 오목둘레홈(9)의 폭 치수(W)가 감소하면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알루미늄관(4)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이 알루미늄관(4)의 빠짐 방지를 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소돌조(50)는 빠짐 방지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내인발력 증강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13. 주머니 너트(3)의 내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외주면(8)에 오목둘레홈(9)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압축 변형용 슬리브(7)를 구비하고,
    이 압축 변형 슬리브(7)는 미압축 상태에서는, 상기 오목둘레홈(9)의 안측부에는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는 슬리브 내주면측에 소돌조(50)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너트(3)의 나사 진행에 의해 액시얼 방향의 압축력(F)을 받아, 상기 오목둘레홈(9)의 폭 치수(W)가 감소하면서 상기 오목둘레홈 바닥 박벽부(13)가 레이디얼 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소성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는 구리관(40)의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가 이 구리관(40)의 빠짐 방지를 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소돌조(50)는 빠짐 방지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내인발력 증강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돌조(50)는 복수의 절결부(44)에 의해, 원호형상으로 분단 형성되고, 이 소돌조(50)는 상기 외주면(14)측으로부터 파고들어간 상태에서, 관 회전 방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KR1020147036644A 2012-09-19 2013-05-13 관 조인트 구조 KR201500547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05647 2012-09-19
JPJP-P-2012-205647 2012-09-19
JP2012245025 2012-11-07
JPJP-P-2012-245025 2012-11-07
JPJP-P-2012-262696 2012-11-30
JP2012262696A JP5276215B1 (ja) 2012-09-19 2012-11-30 冷媒用管継手構造
PCT/JP2013/063279 WO2014045632A1 (ja) 2012-09-19 2013-05-13 管継手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717A true KR20150054717A (ko) 2015-05-20

Family

ID=4917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644A KR20150054717A (ko) 2012-09-19 2013-05-13 관 조인트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137517A1 (ko)
EP (1) EP2899441B1 (ko)
JP (2) JP5276215B1 (ko)
KR (1) KR20150054717A (ko)
CN (1) CN104620034B (ko)
SG (1) SG11201408371XA (ko)
WO (1) WO20140456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653B1 (ko) * 2023-02-27 2023-05-09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밸브 링크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523B1 (ko) * 2012-11-08 2013-08-12 주식회사 비엠티 벨로우즈 형상의 신축부를 가지는 후위 페럴 및 이를 포함하는 관 연결구
JP6112842B2 (ja) * 2012-11-30 2017-04-12 井上スダレ株式会社 管継手構造
JP5503797B1 (ja) * 2013-11-14 2014-05-28 井上スダレ株式会社 冷媒用管継手構造
JP5592573B1 (ja) * 2014-01-06 2014-09-17 井上スダレ株式会社 冷媒用管継手構造
JP5723470B1 (ja) * 2014-07-15 2015-05-27 井上スダレ株式会社 冷媒用管継手構造
JP5736499B1 (ja) * 2014-10-30 2015-06-17 井上スダレ株式会社 管継手構造
US10094494B2 (en) * 2015-06-26 2018-10-09 Agilent Technologies, Inc. Ferrule with features for softening ferrule crush and related methods
CN105299346A (zh) * 2015-11-27 2016-02-03 江苏省绿岛管阀件有限公司 一种具有密封管接头的pp管
CN105257925A (zh) * 2015-11-27 2016-01-20 江苏省绿岛管阀件有限公司 一种pp管用密封管接头
JP6276321B2 (ja) * 2016-04-28 2018-02-07 井上スダレ株式会社 管継手構造
JP2017223277A (ja) * 2016-06-15 2017-12-21 井上スダレ株式会社 管継手構造
CN107626008A (zh) * 2017-10-31 2018-01-26 深圳核心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人工血泵的出口连接机构及其组装方法
CN108593447A (zh) * 2018-04-20 2018-09-28 中国石油集团渤海石油装备制造有限公司 内衬管水压试验装置及试验方法
JP6777177B2 (ja) 2019-02-15 2020-10-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継手部材及び空気調和装置用ユニット
CN117738592B (zh) * 2024-02-21 2024-04-16 胜利油田胜机石油装备有限公司 一种带有密封结构的电镀防腐油管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7889A (en) * 1940-12-03 1942-06-30 Mueller Co Lock joint coupling
US2466057A (en) * 1947-02-18 1949-04-05 Somma Raymond Combined tube connector and tube flarer
US2693374A (en) * 1950-05-05 1954-11-02 Paul D Wurzburger Pipe coupling with deformable ring for flareless pipe
US2693375A (en) * 1953-01-23 1954-11-02 Paul D Wurzburger Double-biting ring pipe coupling
US2823935A (en) * 1953-01-23 1958-02-18 Paul D Wurzburger Pipe coupling with deformable ring for flareless pipe
US3120969A (en) * 1959-05-12 1964-02-11 Parker Hannifin Corp Flareless tube coupling
US3055684A (en) * 1959-09-01 1962-09-25 Parker Hannifin Corp Flareless tube coupling
US3174778A (en) * 1962-05-17 1965-03-23 Curtis Mfg Co Fitting for tubes
US3325192A (en) * 1964-11-19 1967-06-13 Parker Hannifin Corp Flareless tube coupling nut and ferrule assembly
JPS5441124B2 (ko) * 1974-02-01 1979-12-06
US3879070A (en) * 1974-04-22 1975-04-22 Carrier Corp Tube coupling mechanism
GB2071799A (en) * 1980-03-11 1981-09-23 Hepworth Plastics Ltd Pipe couplings
JPS59114718U (ja) * 1983-01-24 1984-08-02 船舶商事株式会社 船用電線貫通金物の電線抱持用パツキン
US4556242A (en) * 1983-11-25 1985-12-03 Imperial Clevite Inc. Vibration resistant high pressure tube fitting
US4867489A (en) * 1987-09-21 1989-09-19 Parker Hannifin Corporation Tube fitting
JPH01180088U (ko) * 1988-06-10 1989-12-25
JPH0243586U (ko) * 1988-09-19 1990-03-26
US4940263A (en) * 1988-10-11 1990-07-10 Dormont Manufacturing Company Fitting for tubing
WO1991008414A1 (en) * 1989-11-23 1991-06-13 Vulcan Australia Limited Conduit coupling
US5217261A (en) * 1990-04-23 1993-06-08 Aeroquip Corporation Flareless compression fitting
JPH0728462Y2 (ja) * 1992-03-04 1995-06-28 株式会社日立物流 管継手装置
DE4229502C2 (de) * 1992-09-04 1998-01-22 Froehlich Manfred Schneidring für eine Rohrverbindung
JPH07248081A (ja) * 1994-03-10 1995-09-26 Fujii Gokin Seisakusho:Kk 管接続装置
JPH07248082A (ja) * 1994-03-10 1995-09-26 Fujii Gokin Seisakusho:Kk 管接続方法及びこれを実施する管接続装置
JPH08135862A (ja) * 1994-11-04 1996-05-31 Fujii Gokin Seisakusho Co Ltd 管接続装置及び伸縮管継手
JP3041477B2 (ja) * 1996-11-05 2000-05-15 株式会社藤井合金製作所 管接続装置
JP3030497B2 (ja) * 1996-11-05 2000-04-10 株式会社藤井合金製作所 管接続装置
DE19709464C2 (de) * 1997-03-07 2000-03-09 Voss Armaturen Rohrverschraubung mit Schneidring für metallische Rohrleitungen
JPH11141760A (ja) * 1997-11-10 1999-05-28 Toyo Fitting Kk 金属管と継手との接続構造
JPH11182767A (ja) * 1997-12-24 1999-07-06 Calsonic Corp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の連結構造
KR100258025B1 (ko) * 1998-02-03 2000-06-01 박실조 파이프 연결장치
JP3592079B2 (ja) * 1998-05-21 2004-11-24 日本フレ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ルコネクタ
JP2000193157A (ja) * 1998-12-25 2000-07-14 Sankei Seisakusho:Kk 管継手
US6575501B1 (en) * 1999-03-05 2003-06-10 Valco Instruments Company, Inc. Tube sealing bushing
JP2002327876A (ja) * 2001-03-01 2002-11-15 Kitz Corp 継手とバルブの接合構造並びに薄肉管継手
JP2002340250A (ja) * 2001-05-21 2002-11-27 Hitachi Metals Ltd 金属管用メカニカル式管継手
JP4239739B2 (ja) 2003-07-24 2009-03-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レア配管継手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製品
DE102004026789B4 (de) * 2004-06-02 2008-11-06 Eaton Fluid Power Gmbh Anschlusseinrichtung
CN101379335A (zh) * 2006-01-31 2009-03-04 大金工业株式会社 卡套式管连接结构、管接头、阀、闭锁阀、冷冻循环装置、热水供应装置、卡套式管连接方法及现场配管连接方法
EP2066954A2 (en) * 2006-08-31 2009-06-10 Titeflex Corporation Crimp fitting for corrugated stainless steel tubing
JP4476263B2 (ja) * 2006-09-14 2010-06-09 智史 井上 管継手
JP5164668B2 (ja) * 2008-05-22 2013-03-2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管体の継手構造、これを備えた管継手及びます
DE102009011411B4 (de) * 2009-03-03 2014-09-18 Neoperl Gmbh Sanitäre Schlauchkupplung
US8955886B2 (en) * 2010-12-08 2015-02-17 Yokohama Industries Americas Inc. Hydraulic ducts and connecting assemblies
CN202349430U (zh) * 2011-11-05 2012-07-25 钟声远 卡环式管连接件
GB2505946B (en) * 2012-09-17 2020-07-08 Parker Hannifin Mfg Uk Limited A compressible coup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653B1 (ko) * 2023-02-27 2023-05-09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밸브 링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20034A (zh) 2015-05-13
US20150137517A1 (en) 2015-05-21
EP2899441A4 (en) 2016-05-25
JP2014111975A (ja) 2014-06-19
JP5306553B1 (ja) 2013-10-02
SG11201408371XA (en) 2015-01-29
EP2899441B1 (en) 2019-08-14
WO2014045632A1 (ja) 2014-03-27
JP2014111949A (ja) 2014-06-19
CN104620034B (zh) 2016-11-09
JP5276215B1 (ja) 2013-08-28
EP2899441A1 (en)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4717A (ko) 관 조인트 구조
JP5758640B2 (ja) チューブ継手
JP2022106818A (ja) 管状要素への連結用継手、配管連結体、および管状要素への継手連結方法
JP5592614B2 (ja) 管継手及びこの管継手を用いた配管材
JP2015007445A (ja) 管継手構造
JP5723470B1 (ja) 冷媒用管継手構造
JP2008038924A (ja) 管継手
JP5523612B1 (ja) 管継手構造
JP2014109295A (ja) 管継手構造
JP4355019B1 (ja) 管継手
JP2007146880A (ja) 管継手
JP3938931B1 (ja) 配管用継手
TWI509177B (zh) 管接頭構造
JP6404434B1 (ja) 管継手構造
JP2008190580A (ja) チューブのフレア締結構造
JP2004084754A (ja) 配管接続構造
JP5503797B1 (ja) 冷媒用管継手構造
JP5934667B2 (ja) 管継手
JP7126209B2 (ja) 管継手
WO2020262318A1 (ja) 管継手
JP5525897B2 (ja) 管継手
JP2010223291A (ja) 樹脂管継手
JP2023178212A (ja) 継手付パイプ
JP2021063581A (ja) ホース継手金具とその製造方法
JP2021063580A (ja) ホース継手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