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2196A - 조정가능한 등받이 및 착석부를 가지는 의자 - Google Patents

조정가능한 등받이 및 착석부를 가지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2196A
KR20150052196A KR1020157008352A KR20157008352A KR20150052196A KR 20150052196 A KR20150052196 A KR 20150052196A KR 1020157008352 A KR1020157008352 A KR 1020157008352A KR 20157008352 A KR20157008352 A KR 20157008352A KR 20150052196 A KR20150052196 A KR 20150052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ivot
seating
support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잠쉐드 언왈라
Original Assignee
고드레지 앤드 보이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드레지 앤드 보이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고드레지 앤드 보이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52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9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조정가능한 의자는 의자 지지부, 등받이,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을 포함하는 등받이 지지 메커니즘, 그리고 전방 및 후방 영역과 착석부 표면을 가지는 착석부를 포함한다. 의자는 착석부의 전방 영역과 조정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메커니즘 및 후방 영역과 조정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제2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은, 전방 및 후방 아암 연장부를 구비하고 수평 축 주위의 피봇 운동을 위해서 지지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을 포함한다. 후방 아암 연장부는 착석부의 후방 영역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토글 배열체는 의자 지지부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의 전방 단부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의 전방 단부 섹션과 결합한다.

Description

조정가능한 등받이 및 착석부를 가지는 의자{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AND SEAT}
본 발명은 조정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고, 특히 조정가능한 등받이 및 조정가능한 착석부를 모두를 가지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조정가능한 의자는 의자를 포함하는 가구 산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고, 의자가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하도록 하기 위해서 등받이 위치 및 착석부 위치 모두가 조정될 수 있거나 이동될 수 있다. 착석부 및 등받이가 여러 가지 동기화 메커니즘에 의해서 동시적으로 이동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동기화 메커니즘은 등받이가 조정되는 것과 동시에 착석부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998년 9월 22일에 본 출원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810,440호는 베이스, 착석부, 등받이, 후방부(back) 지지부 및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의자를 기술하며, 그러한 메커니즘은 착석부, 후방부, 후방부 지지부를 상호연결하고 미리 결정된 동기적 이동을 착석부 및 후방부로 부여하고, 예를 들어 착석부의 후방 방향 틸팅(tilting; 기울어짐) 및 동시적인 후방부의 후방 방향 틸팅을 부여한다. 의자 후방부는 의자 후방부를 후방부 지지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회전 메커니즘을 가진다. 회전은, 사람이 착석부에 착석하고 의자 후방부에 대해서 기댈 때 사람의 상부 신체를 통과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한다. 의자 후방부의 하단이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보다 전방 방향이고 더 낮은 제2 위치 사이에서 원호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의자 후방부의 하단 부분이 안내된다.
Armin Sander에게 허여된 보다 최근의 미국 특허 제6,709,057호는, 등받이 캐리어를 통해서 착석부 캐리어에 대해서 경사질 수 있는 등받이를 가지는 조정가능한 의자를 기술하고 있다. 착석부 표면은 등받이와 동시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링크를 통해서 착석부 캐리어 상에서 지지된다. 착석부와 등받이 캐리어를 연결하는 커플링 링크가 등받이의 운동과 착석부 표면의 운동 사이의 동기화를 위해서 제공된다.
좌석 산업에서 공지된 조정가능한 의자에도 불구하고,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한편 동시에 매우 튼튼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개선된 의자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여기에서, 의자에 대한 등받이의 피봇팅(pivoting) 운동이 착석부의 피봇팅량과 상이한, 조정가능한 의자가 제공된다. 의자의 특별한 예시적 실시예에서, 등받이 및 착석부에 대한 전반적인 틸팅 메커니즘은, 착석부 및 등받이가 뒤쪽으로 틸팅될 때 착석부의 후방 단부가 등받이에 대해서 뒤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고, 동시에, 등받이의 하단 엣지가 착석부의 후방 엣지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그리고 약간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며, 그에 따라 등받이와 착석부의 후방 단부 사이의 수평 및 수직 갭을 감소시킨다.
여기에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조정가능한 의자는 의자 베이스 지지부, 등받이, 베이스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등받이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arm)을 포함하는 등받이 지지 메커니즘, 그리고 전방 및 후방 영역과 전방 및 후방 영역에 의해서 형성된 착석부 표면을 제공하는 상단 표면을 구비하는 착석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또는 각각의 등받이 아암은,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반대되는 ?향들을 따라 연장하는 전방 방향 아암 섹션 및 후방 방향 아암 섹션을 구비한다. 상기의 또는 각각의 전방 방향 아암 섹션은 등받이 아암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제1 피봇 메커니즘의 제1 파트(part)를 구비한다. 착석부가 측부(side) 엣지들 사이에서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수평 축 주위로 피봇운동할 수 있고 베이스 지지부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은 착석부의 전방 영역을 베이스 지지부로 조정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은 착석부의 후방 영역을 베이스 지지부로 조정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러한 제2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은, 전방 및 후방 아암 연장부를 가지고 착석부 아암의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단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수평 축 주위의 피봇 운동을 위해서 베이스 지지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을 포함한다. 후방 아암 연장부는 그 각각의 후방 단부에서 착석부의 후방 영역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상기의 또는 각각의 전방 아암 연장부는, 각각의 아암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고 제2 수평 축으로부터 이격된 각각의 착석부 아암을 위한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1 파트를 구비한다. 토글 배열체(toggle arrangement)가 의자 베이스 지지부 상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의 전방 단부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의 전방 단부 섹션 모두와 동작적으로 결합한다. 토글 배열체는,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거리(D)로 이격된 제1 피봇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피봇 메커니즘의 제1 파트와 협력하여 완전한 등받이 아암 피봇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제1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 및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1 파트와 협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을 위한 완전한 착석부 아암 피봇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를 포함한다. 제2 피봇 메커니즘은 제2 수평 축으로부터 거리("d")로 이격된 제2 피봇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토글 배열체는 제3 수평 피봇 축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피봇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등받이 및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이 의자의 사용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과 상이한 각도량(degree amount)으로 피봇하도록, 거리(d)가 거리(D)와 상이하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가능한 의자는 의자 베이스 지지부, 등받이, 및 등받이 지지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등받이 지지 메커니즘은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에서 베이스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등받이에 결합되는 등받이 아암의 쌍을 포함한다. 각각의 등받이 아암은 그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방 방향 아암 섹션 및 그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방 방향 아암 섹션을 구비한다. 2개의 토글 장치가 각각 의자 베이스 지지부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각각이 전방 방향 아암 섹션 중 각각의 하나와 동작적으로 결합한다. 전방 방향 아암 섹션의 각각의 하나를 토글 장치의 각각의 하나에 피봇식으로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제1 피봇 메커니즘이 또한 존재한다. 의자는 전방부, 후방부, 대향 측부 엣지들, 및 상단 표면을 가지는 착석부를 포함한다. 착석부가 착석부의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축 주위로 피봇할 수 있도록 그리고 베이스 지지부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착석부 지지부는 착석부의 전방 영역을 베이스 지지부에 조정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제2 착석부 지지부는 착석부의 후방 영역을 베이스 지지부에 조정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 착석부 지지부는 2개의 착석부 아암을 포함하고, 각각의 착석부 아암은 전방 및 후방 아암 연장부를 가지고,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고 착석부 아암의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단부들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수평 축 주위의 피봇 운동을 위해서 베이스 지지부에 연결된다. 후방 아암 연장부는 각각의 후방 단부에서 착석부의 후방 영역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전방 아암 연장부 각각은, 각각의 아암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고 제2 수평 축으로부터 이격된 각각의 착석부 아암을 위한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1 파트를 구비한다. 각각의 토글 장치가 착석부 아암의 각각의 하나의 전방 아암 연장부와 동작적으로 결합하고,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1 파트와 협력하여 각각의 착석부 아암을 위한 완전한 아암 피봇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완전한 메커니즘은 제2 수평 축으로부터 거리(d)로 이격된 제2 피봇 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피봇 메커니즘은 그 각각의 전방 방향 아암 섹션 상에 위치되고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제1 파트, 및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거리(D)로 이격된 제1 피봇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피봇 메커니즘의 각각의 하나를 형성하기 위해서 제1 파트와 협력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한다. 등받이 및 그 등받이의 등받이 아암이 의자의 사용 중에 2개의 착석부 아암과 상이한 각도량으로 피봇하도록, 거리(d)가 거리(D)와 상이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토글 장치는 각각의 세장형 슬롯이 각각 형성된 2개의 이격된 분기부(branch)로 형성되고, 슬롯 중 하나는 각각의 제1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이고 다른 슬롯은 각각의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이다.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조정가능한 의자가 의자 베이스 지지부, 등받이, 및 등받이를 지지하기 위한 아암 장치를 포함한다. 아암 장치는 등받이 피봇 지점에서 베이스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등받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을 포함한다. 상기의 또는 각각의 등받이 아암은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방 방향 아암 섹션 및 그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방 방향 아암 섹션을 구비한다. 상기의 또는 각각의 전방 방향 아암 섹션은 그 상부에 장착되고 그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거리(D)로 이격된 제1 피봇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전방부, 전방 영역, 후방부, 후방 영역, 대향 측부 엣지들, 그리고 전방 및 후방 영역에 의해서 형성된 착석 표면을 제공하는 상단 표면을 구비하는 착석부가 존재한다. 착석부가 측부 엣지들 사이에서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수평 축 주위로 피봇할 수 있도록 그리고 베이스 지지부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은 착석부의 전방 영역을 베이스 지지부에 조정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의자는 착석부의 후방 영역을 베이스 지지부에 조정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의 또는 각각의 착석부 아암은, 그 각각의 착석부 피봇 지점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방 아암 연장부 및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방 아암 연장부를 가진다. 착석부 아암은 착석부에 대해서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수평 축 주위로 피봇할 수 있다. 상기의 또는 각각의 후방 아암 연장부가 착석부의 후방 영역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상기의 또는 각각의 전방 아암 연장부가 거리(d) 만큼 제2 수평 축으로부터 이격된 제2 피봇 부재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토글 장치가 의자 베이스 지지부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상기의 또는 각각의 장치가 제1 및 제2 피봇 부재와의 피봇식 결합을 위한 세장형 슬롯 배열체로 형성된다. 등받이 및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이 의자의 사용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과 상이한 각도량으로 피봇하도록, 거리(d)가 거리(D)와 상이하다.
발명은 사무용 의자로 구현된 것으로서 여기에서 도시되고 설명된다. 발명은 도시된 구체적인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데, 이는,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여러 가지 변경 및 구조적 변화가 의자에 대해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의자의 추가적인 특징, 장점 및 양태가, 첨부 도면과 관련된 특정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의자의 위쪽 및 전방으로부터 취한, 발명에 따라 구성되고 직립 위치에서 도시된 사무용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2)의 방향으로 취한, 착석부 및 등받이 지지 아암 모두의 전방 부분과 의자 착석부의 전방 영역을 위한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등받이 아암 및 착석부의 전방 부분을 도시한, 도 2의 화살표(3)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취한 다른 상세도이다.
도 4는 직립 위치에서 도시된 사무용 의자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용이한 도시를 위해서 의자의 하단 베이스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5는, 등받이 및 착석부에 대한 제2의 경사진 위치를 보여주는, 도 4의 사무용 의자의 다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6은 직립 위치에서 의자의 대안적인 버전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7은 의자가 직립 위치에서 도시된, 대안적인 의자 구성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4의 의자에서 이용된 토글 배열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분해 상세도이다.
도 9는 등받이 지지 아암 및 착석부를 위한 토글 배열체의 다른 형태의 개략적인 분해 상세도이다.
도 10은, 도 9와 유사하나, 등받이 지지 아암 및 착석부를 위한 추가적인 토글 배열체를 도시한 다른 분해 상세도이다.
도 11은 지지 아암을 위한 다른 토글 배열체를 보여주는 또 다른 분해 상세도이다.
도 1 및 4는, 용이한 도시를 위해서 도 4로부터 생략된 표준형 베이스(11)를 가지는 사무용 의자(10)를 도시한다. 이러한 표준형 베이스는, 예를 들어, 도시된 기둥(12)을 수용하는, 수직 축을 가지는 중앙 지지 실린더(17)를 포함할 수 있다. 4개 또는 5개의 스포크 또는 다리가 이러한 실린더 또는 슬리부에 강성으로(rigidly) 연결되고 그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의자가 바닥 표면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스포크 또는 다리가 주지의 이동 바퀴(caster)(미도시)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의자의 도시된 상부 부분은 등받이(13), 그리고 전방부(16) 및 후방부(18)를 가지는 착석부(14)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설명으로서, 착석부는 또한, 전체적인 착석부를 함께 형성하는 전방 영역(20) 및 후방 영역(22)을 구비한다. 착석부는, 사람을 위한 착석 표면을 제공하고 전방 및 후방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단 표면(24)을 구비한다. 상단 표면(24)이 희망하는 바에 따라서 윤곽화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참조번호 '26'으로 표시된 의자 베이스 지지부가 착석부 아래에 위치되고, 이러한 베이스 지지부는 기둥(12)의 상단에 강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베이스 지지부를 지지하는 하나 초과의 기둥 또는 다리가 존재할 수 있다. 희망하는 경우에, 설명되는 베이스 지지부 및 부착된 동작 메커니즘이 적절하게 매력적인 외장 또는 하우징(미도시)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등받이(13)는, A1에서 베이스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등받이 아암(32, 34)의 쌍을 포함할 수 있는 전체적으로 '30'으로 표시된 등받이 지지 메커니즘 상에 장착된다. 각각의 등받이 아암은, 도 2 및 3에 명확하게 도시된 전방 방향 아암 섹션(35), 및 후방 방향 아암 섹션(36)을 구비하고, 이러한 2개의 아암 섹션은 A1에 위치된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대향하는 방향들을 따라서 연장한다. 각각의 전방 방향 아암 섹션(35)은 각각의 등받이 아암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A1)으로부터 거리(D)로 이격된 제1 피봇 부재를 구비한다. 제1 피봇 부재의 예시적인 형태는 등받이 아암의 전방 섹션으로부터 연장하는 지지 핀 상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롤러(40)를 포함한다. 각각의 롤러는 2개의 토글 부재(44) 중 하나 내에 형성된 슬롯(42) 내에서 이동한다. 2개의 토글 부재는, 의자 베이스 지지부(26)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토글 배열체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토글 부재(44)는 토글 부재의 전방 방향 단부에 위치된 피봇 핀(46)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의자(10)는 또한, 추가적인 피봇 핀(52)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1 수평 축 주위로 착석부가 피봇할 수 있게 허용하는 방식으로 착석부의 전방 영역(20)을 베이스 지지부(26)에 조정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50)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1 수평 축은 착석부의 측부 엣지들(54 및 56) 사이에서 횡단 방향으로 연장한다. 피봇 핀(52)은 베이스 지지부(26) 내에 장착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제1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50)은 또한, 착석부가 핀(52) 주위로 피봇하도록 그리고 베이스 지지부(26)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의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도 4 및 5의 비교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도 1 내지 4의 실시예에서, 약간 곡선형인 슬롯(60)이 피봇 핀(52)을 따라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롯(60)은 착석부(14)의 하단에 강성으로 부착된 하향 연장 연결 플레이트(62) 내에 형성된다. 의자의 예시적인 버전에서, 2개의 슬롯형 플레이트(62)가 착석부의 대향 측부 엣지들에 인접하여 장착되나, 또한 2개의 슬롯형 플레이트를 착석부의 횡방향 중심의 대향 측부들 상에서 착석부의 횡방향 중심에 근접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착석부(14)는 또한, 착석부의 후방 영역(22)을 베이스 지지부(26)에 조정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64)에 의해서 지지된다. 제2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은 2개의 착석부 아암(66, 68)을 포함하고, 각각의 아암은 전방 아암 연장부(70) 및 후방 아암 연장부(72)를 가지고, A1에 위치될 수 있는 제2 수평 축 또는 축(A1)으로부터 오프셋된 적합한 피봇 축(A2) 주위의 피봇 운동을 위해서 베이스 지지부(26)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수평 축은 또한 제1 축과 같이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고, 각각의 착석부 아암의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단부들 사이에 위치된다. 피봇 축(A2)이 축(A1) 아래에 그리고 약간 후방 방향에 위치되도록, 도 7에 도시된 의자가 구성된다. 후방 아암 연장부는, 예를 들어 착석부의 프레임 내에 장착된 피봇 핀(74)에 의해서, 그들의 각각의 후방 단부에서 착석부의 후방 영역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전방 아암 연장부는 각각의 아암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고 제2 수평 축으로부터 거리(d)로 이격된 아암 피봇 부재를 구비한다(도 3 참조). 다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아암 피봇 부재는, 피봇 핀 상에 장착된, 경질 플라스틱 롤러와 같은, 롤러(75)를 포함한다. 플라스틱 롤러가 바람직하게 양 등받이 아암 및 착석부 아암 상에 위치되어 틸팅 메커니즘의 조용한 동작을 허용한다. 또한, 이러한 롤러를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착석부 아암 및 각각의 등받이 아암 상에서 롤러의 이용을 전체적으로 생략할 수 있고 각각의 토글 부재(44)와 결합하기 위한 금속 피봇 핀 또는 유사한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착석부 아암 및 등받이 아암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 각각의 롤러를 수용하기 위해서 하나의 넓은 슬롯 또는 2개의 인접한 슬롯(42)이 각각의 토글 부재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토글 부재 내의 2개의 슬롯(42)의 이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슬롯 또는 슬롯들은, 슬롯 내에서 이동가능한 롤러 또는 롤러들의 폭과 근접하게 상응하는 폭을 가진다. 이러한 의자(10)는, 몇 가지 상이한 형태의 공지된 편향 메커니즘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서 도 1, 4, 6 및 7에 도시된 직립 위치를 향해서 편향될 수 있다. 편향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A1 또는 A2에서 피봇 핀 주위로 장착되는 금속 또는 탄성 비틀림(torsion)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스프링은 인접한 등받이 아암(32) 또는 인접한 착석부 아암과 결합하는 하나의 단부 및 공지된 장력부여(tensioning) 메커니즘을 통해서 의자 베이스 지지부(26) 내에 결합되는 다른 단부를 가진다. 희망하는 경우에, 압축 금속 또는 탄성 밴드가 또한 편향 메커니즘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의자의 동작
의자(10)에 관한 상기 설명으로부터,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직립 위치에서 착석할 때, 사용자는, 등받이(13)에 대해서 가압하고 편향 메커니즘의 편향력을 극복하는 것에 의해서,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의자를 후방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등받이가 후방 방향으로 틸팅되는 것과 동시에, 착석부(14)가 그 후방 엣지(18)에서 아래쪽으로 또는, 다시 말해서, 의자가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을 때 시계 방향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틸팅 운동은 착석부 아암의 전방 아암 연장부(70)가 위쪽으로(즉, 의자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하게 한다. 2개의 착석부 아암의 이러한 피봇 운동은 2개의 토글 부재(44)가 도 4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된 위치까지 위쪽으로, 다시 말해서, 피봇 핀(46) 주위로 반시계방향으로 피봇하게 유도한다. 2개의 토글 부재의 이러한 피봇 운동은 2개의 등받이 아암의 전방 방향 아암 섹션(34)을 위쪽으로(아암(32)에 대해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동기적인 방식에서, 착석부(14)의 피봇팅 및 이동이 등받이(13)의 뒤쪽으로 틸팅을 유도한다. 이러한 것이 이루어지는 동안, 슬롯(60)이 핀(52)에 대해서 후방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착석부는 그 전방 단부에서 후방 방향으로 그리고 약간 아래쪽으로 그리고 그 후방 단부에서 후방 방향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의자(10)의 특별한 예시적 실시예에서, 전방 아암 섹션(70)과 전방 방향 아암 섹션(35)의 길이가 상이하고, 이는 착석부(14)와 등받이(13) 사이의 피봇 운동에 있어서의 변화를 초래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착석부 아암(66, 68)의 약 10도의 회전 각도마다, 등받이 아암(32, 34)이 약 9도로 피봇한다. 착석부와 등받이의 피봇 운동에서 희망하는 차이를 획득하도록, 전방 방향 아암 섹션(35) 및 전방 아암 연장부(70)의 길이가 셋팅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착석부의 전방 단부가 뒤쪽으로 그리고 매우 약간 아래쪽으로 효과적으로 슬라이딩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결과적인 운동은, 등받이의 틸트 각도가 착석부 각도 보다 더 빠른 레이트(rate)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등받이(13)의 각각의 틸트 각도에 대해서, 상응하는 특정 착석부 각도가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의자 운동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의자가 뒤쪽으로 틸팅됨에 따라, 착석부의 후방 단부(18)가 아래쪽으로 그리고 뒤쪽으로 이동하고, 등받이의 하단 단부가 아래쪽으로 그리고 또한 뒤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로, 의자가 뒤쪽으로 틸팅될 때, 착석부의 후방 엣지가 등받이의 하단 엣지 보다 더 빠른 레이트로 뒤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등받이의 하단 엣지가 착석부의 후방 엣지 보다 더 빠른 레이트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순수한 효과는, 의자가 틸팅될 때, 등받이와 착석부의 후방 단부 사이의 수평 및 수직 갭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그에 따라, 본 의자의 틸팅 메커니즘은 착석부의 피봇팅 운동과 등받이의 피봇팅 운동 사이의 차등적 운동을 제공하도록 셋팅된다. 또한, 이는, 의자가 틸팅된 위치로부터 직립 위치로 이동되는 반대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전방 단부 아암 섹션(70)이 등받이 지지 메커니즘의 전방 방향 아암 섹션(35) 보다 더 짧도록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가 구성되었지만, 전방 아암 연장부(70)가 전방 방향 아암 섹션(35) 보다 길도록 반대되는 배열이 또한 가능하고, 그러한 반대되는 배열은 또한 착석부와 등받이 사이의 차등적인 동기적 이동을 제공할 것이다.
비록 착석부 아암(66, 68)을 위한 그리고 등받이 아암(32)을 위한 피봇 핀이 도 2 내지 4에서 동일한 A1 위치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메커니즘에서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사실상 착석부 아암을 위한 피봇 핀이 등받이 아암(32)을 위한 피봇 핀과 정렬되지 않고 변위될 수 있다. 희망하는 경우에, 착석부 아암을 위한 피봇 핀이 등받이 아암(32)을 위한 수평 축의 위, 아래, 전방 방향, 또는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을 위한 대안적인 구성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이 '82'에 표시되어 있다. 착석부(14)가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수평 축 주위로 피봇할 수 있도록 또한 베이스 지지부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의 방향으로 그리고 반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메커니즘(82)은 다시 착석부의 전방 영역(20)을 베이스 지지부(26)로 조정가능하게 연결한다.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82)은, 이격되고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2개의 비교적 짧은 링크(84)를 포함한다. 링크는 양 단부에서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그 링크의 하단 단부는 피봇 핀(86)에 의해서 베이스 지지부에 연결된다. 링크의 상단 단부는 착석부의 전방 영역에 부착된 브래킷 또는 앵글(angle) 부재(90)에 피봇 핀(88)에 의해서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의자는 전체적으로 '100'으로 표시된 상이한 형태의 토글 배열체를 채용하고, 이러한 배열체는 다시 의자 베이스 지지부 상에 장착되고 2개의 착석부 아암(66, 68)의 전방 단부 섹션 및 등받이 아암(32, 34)의 전방 단부 섹션 모두와 동작적으로 결합한다. 토글 배열체(100)는,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2개의 토글 부재(102)를 포함한다. 토글 부재(102)는 세장형 슬롯(106)이 내부에 형성된 단일 전방 방향 섹션(104)을 가진다. 전방 방향 섹션은, 2개의 이격된 분지부부(110 및 112)를 가지는 U-형상의 후방 방향 섹션(108)에 강성으로 연결된다. 둥근 홀(114)이 분지부부(110) 내의 중심에 위치되고, 전방 아암 연장부(70)의 전방 방향 단부 상에 제공된 피봇 핀(75)을 수용하고 피봇식으로 지지하는 크기를 가진다. 피봇 핀(75)은 '120'에 위치된 착석부 아암 피봇 축으로부터 거리(d)를 두고 위치된다. '120'에서의 피봇 축이 전술한 피봇 축(A1 또는 A2)에 상응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분지부부(112) 내에는, 분지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장형 슬롯(122)이 형성된다. 전방 방향 아암 연장부(35)의 전방 단부에서의 롤러(40)가 슬롯(122) 내에 배열되고, 그러한 슬롯은 롤러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다. 롤러(40)의 축은, '120'에서 피봇 축과 정렬되거나 정렬되지 않을 수 있는 '126'에 위치되는 수평 피봇 축으로부터 거리(D)를 두고 위치된다. 베이스 지지부(26) 상에 장착된 피봇 핀(46)은 슬롯(106) 내로 연장한다. 그에 따라, 각각의 토글 부재(102)가 피봇 핀(46)에서 축을 중심을 피봇될 수 있고 또한 피봇 핀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토글 배열체(100)는, 도 8의 토글 배열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등받이 지지부의 틸팅 운동을 의자 착석부의 이동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다시, 거리(d)가 거리(D)와 상이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의자의 이용 중에 등받이 및 그 등받이 아암이 2개의 착석부 아암과 상이한 양으로 피봇될 것이다.
유사하나 상이한 토글 배열체(130)가, 토글 부재(1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토글 부재(102)와 유사하게, 이러한 토글 부재는 슬롯(134)이 내부에 형성된 전방 방향 섹션(132)을 가진다. 이러한 토글 부재는 또한, U-형상의 후방 방향 섹션의 파트인 2개의 분지부(140 및 142)를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세장형 슬롯(144)이 분지부(140) 내에 형성되는 한편, 원형 홀(146)이 분지부(142) 내에 형성된다. 피봇 핀(40) 또는 롤러가 각각의 전방 방향 아암 섹션(35)의 전방 방향 단부에 제공되고 홀(146) 내로 연장하는 것에 의해서 분지부(142)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롤러 또는 피봇 핀(75)이 전방 아암 연장부(70)의 전방 방향 단부에 제공되고 슬롯에 대한 이동을 위해서 슬롯(144) 내로 연장한다. 한 개만이 도 10에 도시된 2개의 토글 부재(130)가, 토글 배열체(100)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토글 배열체를 함께 형성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거리(d)가 거리(D)와 상이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의자의 이용 중에 등받이 및 그 등받이 아암이 2개의 착석부 아암과 상이한 양으로 피봇되어, 등받이와 착석부 사이의 희망하는 동기적 작용을 제공한다.
토글 부재(150)를 도시하는 도 11에 다른 토글 배열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시, 의자의 대향 측부들의 각각에 하나씩 위치된, 각각의 의자에 제공된 2개의 이러한 토글 부재가 존재한다. 이러한 토글 부재는, 피봇 핀을 수용하기 위해서 원형 홀(154)을 구비할 수 있는 전방 방향 섹션(152)을 가진다(도 2, 3, 4, 5 및 7에 도시된 피봇 핀(46)과 유사하다). 다시, 토글의 후방 방향 섹션이 2개의 분지부(156, 158)를 가지고, 적절한 롤러(160, 161)가 이러한 분지부의 각각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2개의 도시된 롤러가 각각의 분지부의 내측 표면 상에 위치되나, 그 롤러를 각각의 분지부의 외측 표면 상에 장착할 수도 있다. 롤러(160)가 홀(154)의 중심으로부터 거리(Z1)에 장착되는 한편, 롤러(161)는 홀(154)의 중심으로부터 거리(Z2)에 장착된다. 거리(Z1)와 거리(Z2)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등받이 아암이 피봇되는 양이 2개의 착석부 아암의 틸팅 양에 대비하여 달라질 것이다. 그에 따라, 거리(Z1)와 거리(Z2)는, 다른 실시예의 거리(d)와 거리(D)에서와 유사한 영향을 등받이 및 착석부의 피봇팅 운동에 제공한다. 세장형 슬롯(162)이 전방 아암 연장부(70)의 전방 단부 섹션 내에 위치되는 한편, 다른 슬롯(164)이 전방 방향 아암 섹션(35)의 전방 단부 섹션 내에 형성된다. 분지부(156) 상의 롤러(160)가 슬롯(162) 내에 장착되는 한편, 다른 롤러(161)가 슬롯(164) 내에 장착되고, 이러한 롤러는 그들의 각각의 슬롯 내에서 후방 및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슬롯과 그들의 롤러 사이에 상대적인 피봇 운동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토글 배열체는 또한, 등받이의 틸팅과 착석부의 운동 사이에서 희망하는 동기적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토글의 포크형(forked) 후방 단부 내의 핀 또는 슬롯과 각각 결합시키기 위해서, 슬롯 또는 핀이 후방부 아암 또는 착석부의 전방 연장부 내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토글의 다양한 조합이 또한 가능하다.
본 의자가, 의자 분야에서 잘 알려진 선택적인 또는 부가적인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등받이(13)가, 예를 들어 착석부의 후방 단부(18)와 등받이의 하단 엣지(80) 사이에서 연장하는 가요성 천 또는 가죽 스트립에 의해서, 착석부(14)에 유연하게 부착될 수 있다. 공지된 조정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착석부(14)에 착석부 깊이 조정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공지된 조정 메커니즘에 의해서, 요추(lumbar) 조정에 부가하여, 후방부 높이 조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의자를 직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편향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메커니즘 내의 장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이러한 편향 메커니즘을 조정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둥이 끼워지는 컬럼 또는 슬리브에 대한 기둥(12) 높이의 조정을 허용하는 것에 의해서, 착석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메커니즘이 의자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몇몇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즉 의자로서 특별한 용도를 가지는 실시예에서 구현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서 제시된 상세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개시된 의자 및 그 동작의 형태 및 상세 내용에 있어서 다양한 생략, 변경 및 변화가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조정가능한 의자이며:
    의자 베이스 지지부;
    등받이;
    상기 베이스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등받이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을 포함하는 등받이 지지 메커니즘으로서, 상기의 또는 각각의 등받이 아암은,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방 방향 아암 섹션 및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방 방향 아암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의 또는 각각의 전방 방향 아암 섹션은 등받이 아암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제1 피봇 메커니즘의 제1 파트를 구비하는, 등받이 지지 메커니즘;
    전방부, 전방 영역, 후방부, 후방 영역, 대향 측부 엣지들, 그리고 상기 전방 및 후방 영역에 의해서 형성된 착석 표면을 제공하는 상단 표면을 구비하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가 상기 측부 엣지들 사이에서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수평 축 주위로 피봇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부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착석부의 상기 전방 영역을 상기 베이스 지지부에 조정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
    착석부의 상기 후방 영역을 상기 베이스 지지부로 조정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제2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은, 전방 및 후방 아암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고 착석부 아암의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단부들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수평 축 주위의 피봇 운동을 위해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의 또는 각각의 후방 아암 연장부는 그 각각의 후방 단부에서 착석부의 상기 후방 영역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상기의 또는 각각의 전방 아암 연장부는, 각각의 아암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고 제2 수평 축으로부터 이격된 각각의 착석부 아암을 위한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1 파트를 구비하는, 제2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
    상기 의자 베이스 지지부 상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의 전방 아암 연장부 및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의 전방 단부 섹션과 동작적으로 결합하는, 토글 배열체로서, 상기 토글 배열체는,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거리(D)로 이격된 제1 피봇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피봇 메커니즘의 상기 제1 파트와 협력하여 완전한 등받이 아암 피봇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제1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 및 상기 제2 수평 축으로부터 거리(d)로 이격된 제2 피봇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1 파트와 협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을 위한 완전한 아암 피봇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토글 배열체는 제1 및 제2 피봇 메커니즘으로부터 이격되고 제3 수평 피봇 축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피봇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토글 배열체를 포함하며,
    등받이 및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이, 의자의 사용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과 상이한 각도량으로 피봇하도록, 상기 거리(d)가 거리(D)와 상이한, 조정가능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등받이 및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이, 상기 등받이의 조정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 보다 더 큰 범위로 피봇되는, 조정가능한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의 상기 후방 방향 아암 섹션이 상기의 또는 각각의 전방 방향 아암 섹션 보다 실질적으로 더 긴, 조정가능한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의 상기 후방 방향 아암 섹션은, 그 후방 부분이 위쪽으로 연장하도록 그리고 상기 등받이에 부착되도록 그 길이를 따라서 벤딩되는, 조정가능한 의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은 상기 착석부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형 연결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피봇 핀을 포함하고, 상기의 또는 각각의 피봇 핀이 슬롯형 연결 플레이트 또는 상기 슬롯형 연결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하고 상기 의자 베이스 지지부 상에 장착되며, 그에 의해서 상기의 또는 각각의 슬롯형 연결 플레이트가 그 각각의 피봇 핀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조정가능한 의자.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이 적어도 하나의 피봇형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의 또는 각각의 피봇형 링크가 착석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1 링크 단부 및 의자 베이스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2 링크 단부를 구비하는, 조정가능한 의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배열체가 상기 착석부와 관련하여 횡단 방향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된 2개의 토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피봇 메커니즘은 상기 토글 부재의 각각의 하나를 상기 의자 베이스 지지부에 각각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2개의 부가적인 피봇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조정가능한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글 부재가 각각의 세장형 슬롯이 각각 형성된 2개의 이격된 분지부로 형성되고, 2개의 세장형 슬롯 중 하나가 제1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이고, 2개의 슬롯 중 다른 하나가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인, 조정가능한 의자.
  9.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글 부재가 2개의 이격된 분지부로 형성되고, 2개의 이격된 분지부의 하나에 세장형 슬롯이 형성되고 2개의 이격된 분지부의 다른 하나에 둥근 피봇 홀이 형성되며, 상기 세장형 슬롯이 제1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이고, 둥근 피봇 홀이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인, 조정가능한 의자.
  10.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글 부재가 2개의 이격된 분지부로 형성되고, 각각의 분지부가 회전식으로 장착된 롤러를 구비하고, 2개의 롤러 중 하나가 제1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이고 2개의 롤러 중 다른 하나가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인, 조정가능한 의자.
  11. 조정가능한 의자이며:
    의자 베이스 지지부;
    등받이;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에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등받이에 결합되는 등받이 아암의 쌍을 포함하는 등받이 지지 메커니즘으로서, 각각의 등받이 아암이 그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방 방향 아암 섹션 및 그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방 방향 아암 섹션을 구비하는, 등받이 지지 메커니즘;
    상기 의자 베이스 지지부 상에 각각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전방 방향 아암 섹션의 각각의 하나와 동작적으로 결합하는 2개의 토글 장치;
    전방 방향 아암 섹션의 각각의 하나를 토글 장치의 각각의 하나에 피봇식으로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제1 피봇 메커니즘;
    전방부, 후방부, 대향 측부 엣지들, 및 상단 표면을 가지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가 착석부의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축 주위로 피봇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부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착석부의 전방 영역을 상기 베이스 지지부에 조정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착석부 지지 수단; 및
    착석부의 후방 영역을 상기 베이스 지지부에 조정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착석부 지지 수단으로서, 상기 제2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은 2개의 착석부 아암을 포함하고, 각각의 착석부 아암은 전방 및 후방 아암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고 각각의 착석부 아암의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단부들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수평 축 주위의 피봇 운동을 위해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후방 아암 연장부는 그들의 각각의 후방 단부에서 착석부의 후방 영역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방 아암 연장부 각각은, 각각의 아암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고 제2 수평 축으로부터 이격된 각각의 착석부 아암을 위한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1 파트를 구비하는, 제2 착석부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각각의 토글 장치가 착석부 아암의 각각의 하나의 전방 아암 연장부와 동작적으로 결합하고,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1 파트와 협력하여 각각의 착석부 아암을 위한, 제2 수평 축으로부터 거리(d)로 이격된 제2 피봇 부재를 포함하는, 완전한 아암 피봇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1 피봇 메커니즘은 그 각각의 전방 방향 아암 섹션 상에 위치되고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제1 파트, 및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거리(D)로 이격된 제1 피봇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피봇 메커니즘의 각각의 하나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 파트와 협력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며, 그리고
    등받이 및 등받이의 등받이 아암이, 의자의 사용 중에, 2개의 착석부 아암과 상이한 각도량으로 피봇하도록, 상기 거리(d)가 거리(D)와 상이한, 조정가능한 의자.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글 장치가, 각각의 세장형 슬롯이 각각 형성된 2개의 이격된 분지부로 형성되고, 2개의 세장형 슬롯 중 하나가 각각의 제1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이고, 2개의 세장형 슬롯 중 다른 하나가 각각의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인, 조정가능한 의자.
  13.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글 장치가 2개의 이격된 분지부로 형성되고, 2개의 이격된 분지부의 하나에 세장형 슬롯이 형성되고 2개의 이격된 분지부의 다른 하나에 둥근 피봇 홀이 형성되며, 상기 세장형 슬롯이 그 각각의 제1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이고, 둥근 피봇 홀이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인, 조정가능한 의자.
  14.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토글 장치가 2개의 이격된 분지부로 형성되고, 각각의 분지부가 회전식으로 장착된 롤러를 구비하고, 2개의 롤러 중 하나가 그 각각의 제1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이고 2개의 롤러 중 다른 하나가 그 각각의 제2 피봇 메커니즘의 제2 파트인, 조정가능한 의자.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수단은 2개의 슬롯형 플레이트 및 2개의 피봇 부재를 포함하고, 2개의 슬롯형 플레이트는 상기 착석부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고 착석부의 횡단 방향으로 이격되고, 2개의 피봇 부재 각각은 상기 슬롯형 연결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하고 상기 의자 베이스 지지부 상에 장착되며, 그에 의해서 각각의 슬롯형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피봇 부재의 각각의 하나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조정가능한 의자.
  16. 조정가능한 의자이며:
    의자 베이스 지지부;
    등받이;
    상기 등받이를 지지하기 위한 아암 수단으로서, 상기 아암 수단은 등받이 피봇 지점에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등받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의 또는 각각의 등받이 아암은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방 방향 아암 섹션 및 그 각각의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방 방향 아암 섹션을 구비하며, 상기의 또는 각각의 전방 방향 아암 섹션은 그 상부에 장착되고 그 등받이 피봇 지점으로부터 거리(D)로 이격된 제1 피봇 부재를 구비하는, 아암 수단;
    전방부, 전방 영역, 후방부, 후방 영역, 대향 측부 엣지들, 그리고 상기 전방 및 후방 영역에 의해서 형성된 착석 표면을 제공하는 상단 표면을 구비하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가 상기 측부 엣지들 사이에서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수평 축 주위로 피봇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부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착석부의 상기 전방 영역을 상기 베이스 지지부에 조정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
    착석부의 상기 후방 영역을 상기 베이스 지지부에 조정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으로서, 상기의 또는 각각의 착석부 아암은, 착석부 아암이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수평 축 주위로 착석부에 대해서 피봇할 수 있는 그 각각의 착석부 피봇 지점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방 아암 연장부 및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방 아암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의 또는 각각의 후방 아암 연장부가 착석부의 상기 후방 영역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상기의 또는 각각의 전방 아암 연장부가 거리(d) 만큼 제2 수평 축으로부터 이격된 제2 피봇 부재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 및
    적어도 하나의 토글 장치로서, 상기의 또는 각각의 토글 장치가 상기 의자 베이스 지지부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피봇 부재와의 피봇식 결합을 위한 세장형 슬롯 수단과 함께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글 장치를 포함하고,
    등받이 및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이, 의자의 사용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착석부 아암과 상이한 각도량으로 피봇하도록, 상기 거리(d)가 거리(D)와 상이한, 조정가능한 의자.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토글 장치가 2개의 이격된 분지부로 형성되고, 상기의 또는 각각의 토글 장치를 위한 슬롯 수단이 2개의 세장형 슬롯을 포함하고, 각각의 슬롯이 분지부의 각각의 하나 내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피봇 부재의 각각의 하나를 수용하는, 조정가능한 의자.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아암의 후방 방향 아암 섹션이 상응하는 전방 방향 아암 섹션 보다 실질적으로 더 길고, 그 후방 부분이 위쪽으로 연장하고 상기 등받이에 부착되도록 그 길이를 따라서 벤딩되는, 조정가능한 의자.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은 상기 착석부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형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형 연결 플레이트 내로 연장하고 상기 의자 베이스 지지부 상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봇 핀을 포함하며, 그에 의해서 상기의 또는 각각의 슬롯형 연결 플레이트가 그 각각의 피봇 핀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조정가능한 의자.
  20.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석부 지지 메커니즘이 적어도 하나의 피봇형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의 또는 각각의 피봇형 링크가 착석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1 링크 단부 및 의자 베이스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2 링크 단부를 구비하는, 조정가능한 의자.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봇 부재 모두가 지지 핀 상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롤러를 포함하고, 각각의 롤러의 직경은, 롤러가 내부에 장착되는 각각의 세장형 슬롯의 폭과 대략 동일한, 조정가능한 의자.
KR1020157008352A 2012-09-05 2013-08-27 조정가능한 등받이 및 착석부를 가지는 의자 KR201500521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96965P 2012-09-05 2012-09-05
US61/696,965 2012-09-05
PCT/CA2013/000744 WO2014036633A1 (en) 2012-09-05 2013-08-27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and se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196A true KR20150052196A (ko) 2015-05-13

Family

ID=5023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352A KR20150052196A (ko) 2012-09-05 2013-08-27 조정가능한 등받이 및 착석부를 가지는 의자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833075B2 (ko)
EP (1) EP2892390B1 (ko)
JP (1) JP6120190B2 (ko)
KR (1) KR20150052196A (ko)
CN (1) CN104602568B (ko)
ES (1) ES2636488T3 (ko)
MX (1) MX356358B (ko)
MY (1) MY192314A (ko)
PL (1) PL2892390T3 (ko)
SA (1) SA515360109B1 (ko)
SG (1) SG11201500879UA (ko)
WO (1) WO2014036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002288U1 (de) * 2012-03-08 2012-05-11 Walter Knoll Ag & Co. Kg Funktionsstuhl
WO2014059553A1 (de) * 2012-10-18 2014-04-24 Vitra Patente Ag Stuhl mit zueinander synchroner verstellung zwischen rücken- und sitzneigung
CN105476315B (zh) * 2015-12-15 2018-03-23 浙江安吉祥泰家具有限公司 一种改进的椅子托盘
CN106724223A (zh) * 2017-01-22 2017-05-31 湖北航宇嘉泰飞机设备有限公司 机械式大倾角座椅靠背座板联动机构
WO2018212987A1 (en) * 2017-05-15 2018-11-22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odular assembly for high leg row seating
WO2019069263A1 (en) * 2017-10-05 2019-04-11 Godrej & Boyce Mfg. Co. Ltd., ADAPTIVE POSTURE WORK CHAIR
US11021255B2 (en) * 2018-01-30 2021-06-01 Rockwell Collins, Inc. Work-and-dine aircraft seat with tilt and shift articulation
US10383448B1 (en) 2018-03-28 2019-08-20 Haworth, Inc. Forward tilt assembly for chair seat
IT201800002761U1 (it) * 2018-06-14 2019-12-14 Poltroncina per ufficio con schienale e sedile mobili in sincronia.
DE102018219885B4 (de) * 2018-11-20 2022-02-03 Comfordy Co., Ltd. Synchronmechanik für ein Sitzmöbel und Sitzmöbel
IT201900002723A1 (it) * 2019-02-26 2020-08-26 Brado S P A Sedia
CN110613255B (zh) * 2019-11-08 2022-11-11 浙江昊国家具有限公司 一种靠背可升降组合的舒适座椅
US11357329B2 (en) 2019-12-13 2022-06-14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US11197548B2 (en) * 2019-12-16 2021-12-14 Allseating Corporation Reclining control system for a chair
WO2022018644A1 (en) * 2020-07-22 2022-01-27 Formway Furniture Limited A chair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45795A5 (en) * 1979-07-23 1984-10-31 Drabert Soehne Chair, in particular visual display unit chair
DE3036993A1 (de) * 1980-10-01 1982-05-13 Wilkhahn Wilkening + Hahne GmbH + Co, 3252 Bad Münder Arbeits-sitzmoebel
US4494795A (en) * 1982-05-06 1985-01-22 Steelcase Inc. Variable back adjuster for chairs
ATE53473T1 (de) * 1984-10-24 1990-06-15 Dauphin F W Buerositzmoebel Stuhl, insbesondere buerostuhl.
DE3632131C2 (de) * 1986-06-04 2001-12-13 Hartmut S Engel Funktions-Sitzmöbel
DE3916474A1 (de) * 1989-05-20 1990-11-22 Roeder Soehne Sitzmoebelfab Stuhl, insbesondere arbeits- oder buerostuhl
DE4019876A1 (de) * 1990-06-22 1992-01-02 Simon Desanta Stuhl, insbesondere buerostuhl
DE4135948C2 (de) * 1991-10-31 1993-12-23 Rolf Voelkle Stuhl, insbesondere Bürodrehstuhl
CH690019A5 (de) * 1992-07-16 2000-03-31 Giroflex Entwicklungs Ag Traggestell für einen Stuhl, insbesondere für einen in der Höhe und Neigung verstellbaren Bürostuhl.
CN2209482Y (zh) * 1994-12-23 1995-10-11 马庆修 座椅调整装置
GB9500022D0 (en) * 1995-01-04 1995-03-01 Unwalla Jamshed Integrated seat and back and mechanism for chairs
DE19634665A1 (de) * 1996-08-28 1998-03-05 Jungjohann Thomas Sitzmöbelelement, insbesondere Polstermöbelelement, mit einer gekoppelten Rückenlehnen- und Sitzverstellung
DE19823632C1 (de) * 1998-05-27 1999-09-30 Roeder Peter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JP4500388B2 (ja) 1999-11-09 2010-07-14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の座席と背凭れの傾動装置
DE10194640B4 (de) * 2000-10-16 2008-03-27 Kokuyo Co., Ltd. Stuhl
US20020180252A1 (en) * 2000-10-16 2002-12-05 Yojiro Kinoshita Chair
DE10122948C1 (de) * 2001-05-11 2003-03-13 Armin Sander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DE10122945A1 (de) * 2001-05-11 2002-12-12 Armin Sander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DE102004050853A1 (de) * 2004-10-18 2006-04-20 Interstuhl Büromöbel GmbH & Co. KG Stuhl
JP4575183B2 (ja) * 2005-02-02 2010-11-04 株式会社イトーキ 椅子
US7857390B2 (en) * 2006-03-24 2010-12-28 Herman Miller, Inc. Piece of furniture
MX2008012254A (es) * 2006-03-24 2008-10-07 Miller Herman Inc Arreglo de asiento.
DE102006056928B3 (de) * 2006-12-04 2008-06-05 Sato Office Gmbh Sitz mit einer Sitzplatte und einer Rückenlehne
CN201123561Y (zh) * 2007-09-06 2008-10-01 陈登慧 椅子结构
JP5490004B2 (ja) * 2007-09-20 2014-05-14 ハーマン、ミラ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身体支持構造
KR100903215B1 (ko) * 2008-10-10 2009-06-18 주식회사 시디즈 틸팅 가능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92314A (en) 2022-08-17
US20150230608A1 (en) 2015-08-20
EP2892390A1 (en) 2015-07-15
PL2892390T3 (pl) 2018-01-31
ES2636488T3 (es) 2017-10-05
CN104602568B (zh) 2017-03-29
EP2892390A4 (en) 2016-04-27
SG11201500879UA (en) 2015-03-30
MX356358B (es) 2018-05-25
JP2015527146A (ja) 2015-09-17
WO2014036633A1 (en) 2014-03-13
CN104602568A (zh) 2015-05-06
EP2892390B1 (en) 2017-06-07
JP6120190B2 (ja) 2017-04-26
MX2015002808A (es) 2015-05-15
US9833075B2 (en) 2017-12-05
SA515360109B1 (ar)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2196A (ko) 조정가능한 등받이 및 착석부를 가지는 의자
KR102270286B1 (ko) 의자 구조 및 의자
US9486079B2 (en) Chair with seat depth adjustment and back support
JP6723688B2 (ja) 椅子
JP6152175B2 (ja) 椅子
US6923503B2 (en) Chair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JP4856911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101661949B1 (ko) 의자의 시트와 등받이를 동기화하는 장치
KR102226384B1 (ko) 의자 구조
JP6270307B2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JP5339548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US6955398B1 (en) Posture-adjustable rocking chair
JP5319888B2 (ja) 椅子
JP4697892B2 (ja) 椅子
JP4950486B2 (ja) 椅子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CA2379873C (en) Chair
JP2001299499A (ja) 椅子の背凭れ構造
KR102032781B1 (ko) 리클라이닝 체어
CN110558760B (zh) 座椅组成结构
JP5530545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102193999B1 (ko) 조절 가능한 요추지지부재를 갖는 의자
JP5875164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2015027588A5 (ko)
KR20130016573A (ko) 허리받침이 구비된 등받이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