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783A -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783A
KR20150016783A KR1020130092657A KR20130092657A KR20150016783A KR 20150016783 A KR20150016783 A KR 20150016783A KR 1020130092657 A KR1020130092657 A KR 1020130092657A KR 20130092657 A KR20130092657 A KR 20130092657A KR 20150016783 A KR20150016783 A KR 20150016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plate
input
us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843B1 (ko
Inventor
윤여준
곽지연
서준규
이용연
최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843B1/ko
Priority to PCT/KR2014/007195 priority patent/WO2015020389A1/en
Priority to US14/452,064 priority patent/US9507439B2/en
Priority to CN201480055022.6A priority patent/CN105637444B/zh
Publication of KR2015001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783A/ko
Priority to US15/336,180 priority patent/US991601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놓인 플레이트를 두드리는, 사용자의 노킹(knocking) 입력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노킹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METHOD FOR USER INPUT BY USING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TSP)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필요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키패드의 키 입력을 통한 사용자 입력 방법에 비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한 사용자 입력 만으로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입력 모드가 지원될 필요가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가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움직이는 다양한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입력 모드를 변경하고, 입력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놓인 플레이트를 두드리는, 사용자의 노킹(knocking)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노킹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입력 모드는, 온 핸드 모드(on-hand mode) 및 온 플레이트 모드(on-plate mode)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력 모드 중에서 상기 온 플레이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을 형성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패턴의 상기 노킹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결 정보를,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연결 정보에 기초한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될 콘텐트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격시키는, 틸팅(tilting)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틸팅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된 콘텐트를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베젤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베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베젤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된 콘텐트를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킹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두드려짐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킹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두드려짐에 따라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격시키는, 틸팅(tilt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가 이동됨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향이 변경됨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베젤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베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베젤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베젤 입력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베젤 입력 및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입력 모드의 변경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복수의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모드를 온 핸드 모드로부터 온 플레이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됨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모드를, 상기 온 플레이트 모드로부터 상기 온 핸드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변경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입력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놓여진 상태에 따라, 상기 입력 모드의 변경에 대응되는 상기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놓여진 상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상기 플레이트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상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상기 플레이트를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상태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세워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놓인 플레이트를 두드리는 사용자의 노킹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노킹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를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감지된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을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모드를 변경하며, 상기 입력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입력 모드의 변경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실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측면은, 상기 제 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측면은, 상기 제 2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노킹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이 플레이트 상에서 변경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부 또는 일부가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입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들어올린 후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플레이트 상에 내려 놓는 입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이동시키는 입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 입력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이동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을 변경하는 입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세워두는 입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이북(e-book)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실행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실행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실행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패턴의 노킹 입력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사진이 변경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입력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사진이 변경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들어올려진 후 플레이트 상에 놓임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사진이 변경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활성화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의 영역이 분할되고, 분할된 영역에 복수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객체와 관련된 다른 객체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노래를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노래를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틸팅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노래를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들어올려진 후 플레이트 상에 놓임에 따라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이동에 따라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통신을 형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서로 기능을 분배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가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화면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사진들이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화면에, 하나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스피커 기능을 분배하여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를 전송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를 전송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입력 모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의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들어 올려짐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입력 모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9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음악 재생을 제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온 핸드 모드에서 사진을 네비게이션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플레이트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놓여질 수 있는 물체를 의미한다. 플레이트는, 평판, 구부러진 판, 또는 요철을 가진 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책상, 테이블, 선반, 및 땅바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입력 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어떤 동작을 실행해야 하는 지를 해석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온 핸드(on-hand) 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모드 중 하나이며,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의 입력 모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온 플레이트(on-plate) 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모드 중 하나이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의 입력 모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입력 모드가 변경된다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 및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이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모드가 변경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센서들 중 일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입력 모드에 따라 동일한 사용자 입력을 상이하게 해석할 수 있으며, 입력 모드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노킹(knocking) 입력은,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두드림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두드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는 노킹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틸팅(tilting) 입력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부분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발생되는 입력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베젤(bezel) 입력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베젤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됨으로써 발생되는 입력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베젤 부분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측면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테두리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객체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일 수 있다. 객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콘텐트의 실행 결과, 콘텐트의 목록 및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플레이트 상에 놓여질 수 있으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플레이트 입력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플레이트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틸팅 입력, 베젤 입력 및 노킹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딩시키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활성화하거나,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객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졌는지를 판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중력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흔들리는 정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며 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후면이 플레이트를 바라보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며 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면이 플레이트를 바라보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 복수의 입력 모드는, 예를 들어, 온 핸드 모드 및 온 플레이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 핸드 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모드 중 하나이며,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의 입력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온 플레이트 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모드 중 하나이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의 입력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플레이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활성화되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플레이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핸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노킹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두드림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두드림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진동이 발생된 위치 또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를 이용하여, 소리가 발생된 위치 또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 좌측, 상측 또는 하측에서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두드렸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틸팅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일부분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중력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베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 부분에 터치 센서가 위치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베젤 부분에 위치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베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이동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이동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이 변경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변경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입력 모드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졌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동작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활성화하는 동작,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애플리케이션의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객체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동작들은, 예를 들어, 노킹 입력, 틸팅 입력, 베젤 입력,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시키는 입력, 및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을 변경하는 입력에 각각 매칭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3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졌는지를 판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중력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흔들리는 정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면 테두리 부분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후면 테두리 부분에 터치 센서 또는 압력 센서가 위치할 수 있으며, 터치 센서 또는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 값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며 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보여질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며 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보여지지 않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면이 플레이트를 바라보면서 플레이트 상에 놓였는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후면이 플레이트를 바라모변서 플레이트 상에 놓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S300),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다고 판단되면, 단계 S3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플레이트 모드를 선택한다.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노킹 입력, 틸팅 입력, 베젤 입력,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터치하는 입력,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시키는 입력, 및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플레이트 모드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S300),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S3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핸드 모드를 선택한다. 온 핸드 모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을 터치하는 입력,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을 터치하는 입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움직이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온 핸드 모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핸드 모드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노킹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4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플레이트가 두드려짐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한다.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두드리면, 플레이트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발생된 진동을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플레이트가 두드려짐에 따라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두드리면, 플레이트에서 소리가 발생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발생된 소리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감지된 진동 및 소리에 기초하여, 노킹 입력을 분석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감지된 진동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두드린 위치, 방향 및 횟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복수 회 두드렸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노킹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노킹 패턴은, 예를 들어, 노킹 횟수 및 노킹한 시간 간격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좌측, 우측, 상측 또는 우측에서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는 복수의 진동 센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진동 센서에 의해 각각 감지된 진동의 크기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진동이 어느 위치로부터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마이크에 의해 감지된 소리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좌측, 우측, 상측 또는 우측에서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는 복수의 마이크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복수의 마이크에 의해 각각 감지된 소리의 세기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소리가 어느 위치로부터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여 소리가 발생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마이크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마이크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테두리의 각 꼭지점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4개의 마이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를 이룰 수 있도록 4개의 마이크가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마이크들이 원형을 이루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0)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에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는, 예를 들어, 지향성 마이크(directional microphone)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지향성 마이크들은 각각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테두리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내에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들은, 사용자의 노킹에 의해 발생된 소리(노킹 소리)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내에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들은, 감지된 소리를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복수의 마이크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노킹에 의해 발생된 소리(노킹 소리)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마이크에 의해 노킹 소리가 감지된 시간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마이크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의 파형 및 세기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상기 비교 결과 및 복수의 마이크의 위치에 기초하여, 노킹 소리가 발생된 위치 또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노킹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두드린 위치, 방향 및 노킹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동작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활성화하는 동작,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애플리케이션의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객체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이 플레이트 상에서 변경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500에서,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플레이트 상의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들었다가 다시 플레이트 상에 놓음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움직일 수도 있다.
단계 S5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플레이트 상의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 부분을 밀거나 타격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플레이트 상의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들었다가 플레이트 상의 다른 위치에 놓음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어떠한 방법에 의해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거리가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동 거리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의 판단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이동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S5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슬라이딩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플레이트 상의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 부분을 밀거나 타격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플레이트 상의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든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을 바꾸어 플레이트 상에 놓음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플레이트 상에서 어떠한 방법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의 판단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5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제 1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음악 파일이 재생 중이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음악 파일이 재생 중이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 S510에서의 판단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이동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5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단계 S5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이 변경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S55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제 2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사진이 디스플레이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으로 이동되었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된 사진의 다음 사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56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제 3 동작을 실행한다. 제 3 동작은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3 동작은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과는 다른 동작일 수도 있다.
또한, 제 1 동작, 제 2 동작 및 제 3 동작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상태,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 중인 콘텐트,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부 또는 일부가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서, 사용자의 틸팅 입력 및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들었다 내려놓는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6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일부분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일부분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고 다른 부분이 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의 판단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일부분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지 않았다면, 단계 S6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모든 부분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620에서의 판단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모든 부분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었다면, 단계 S6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모든 부분이 이격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다시 놓여졌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630에서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지 않았다면, 단계 S6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입력 모드를 온 핸드 모드로 변경한다.
또한, 단계 S630에서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졌다면, 단계 S65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제 4 동작을 실행한다. 즉, 사용자가 플레이트 상의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들어올린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플레이트 상에 내려놓으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기 설정된 제 4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610에서의 판단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일부분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66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일부분이 이격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다시 놓여졌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660에서의 판단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일부분이 이격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다시 놓여졌다고 판단되면, 단계 S67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제 5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S660에서의 판단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일부분이 이격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다시 놓여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S68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제 6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제 4 동작, 제 5 동작 및 제 6 동작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상태,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 중인 콘텐트,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입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일부분을 플레이트로부터 이격시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틸팅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테두리 중에서, 우측 변이 플레이트에 접촉된 상태에서, 나머지 변들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기울이는 틸팅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틸팅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활성화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소정의 알림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현재 시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들어올린 후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플레이트 상에 내려 놓는 입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들어올린 후 소정 시간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플레이트 상에 내려 놓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들어 올려졌다 플레이트 상에 내려짐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화면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홈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이동시키는 입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잡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잡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좌, 우 방향으로 흔들거나(shake), 상, 하 방향으로 흔들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 입력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이동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밀거나 타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어느 위치로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을 변경하는 입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 부분을 밀거나 타격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잡은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플레이트로부터 들어올린 후,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회전시켜 플레이트 상에 내려 놓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세워두는 입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일부분을 플레이트로부터 이격시킨 후,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플레이트 상에 세워둘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다른 물체에 기대어 세워둘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일부분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다시 놓여지지 않으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세워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이북(e-book)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실행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페이지(1)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 부분을 두드리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페이지(2)가 표시될 수 있다. 페이지(2)는 페이지(1)의 다음 페이지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페이지(2)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좌측 부분을 두드리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페이지(1)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페이지(1)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하측 부분을 두드리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페이지(1)을 북마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상측 부분을 두드리면, 소정의 알림(notification)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알림 정보는, 예를 들어, 문자 수신 알림, 메시지 수신 알림, 부재중 통화 수신 알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3에서 페이지(1) 및 페이지(2)는 이북(e-book)에 포함된 페이지인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페이지(1) 및 페이지(2)는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페이지일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실행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노래가 재생되는 중에,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 부분을 두드리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재생 중인 노래의 다음 곡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노래가 재생되는 중에,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좌측 부분을 두드리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재생 중인 노래의 이전 곡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노래가 재생되는 중에,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하측 부분을 두드리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재생 중인 노래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노래에 관련된 상세 정보는, 예를 들어, 곡명, 재생 시간, 및 아티스트 및 앨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상측 부분을 두드리면, 소정의 알림(notification)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킹 입력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실행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사진(3)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 부분을 두드리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사진(4)가 표시될 수 있다. 사진(4)는 사진(3)의 다음 사진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사진(4)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좌측 부분을 두드리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사진(3)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사진(3)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하측 부분을 두드리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진(3)에 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진(3)에 관한 상세 정보는, 예를 들어, 사진(3)이 촬영된 시간, 장소, 및 사진(3)에 포함된 사람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상측 부분을 두드리면, 소정의 알림(notification)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패턴의 노킹 입력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패턴 5의 노킹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활성화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잠금 해제(unlock)를 위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비활성화된 상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 꺼져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패턴 6의 노킹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활성화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홈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패턴 7의 노킹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활성화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애플리케이션 8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사진이 변경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사진(16)이 표시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사진 (17) 및 사진 (18)이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사진 (16)이 사진 (17)로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서 사진 (16)이 사진 (17)로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사진(16) 및 사진(17)이 함께 표시된 후, 사진(17)이 표시된 영역이 점차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사진(16)이 표시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사진(15)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사진(16)이 표시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사진(12)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사진(16)이 표시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사진(20)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진(11) 내지 사진 (14)는 제 1 폴더에 저장된 사진일 수 있고, 사진(15) 내지 사진(18)은 제 2 폴더에 저장된 사진일 수 있다. 또한, 사진(19) 내지 사진(22)는 제 3 폴더에 저장된 사진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입력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사진이 변경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에서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 부분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사진(16)이 좌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사진(16)이 좌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사진(17)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8(b)에서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상측 부분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사진(16)이 하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사진(16)이 하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사진(12)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들어올려진 후 플레이트 상에 놓임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사진이 변경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사진(16)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19(b) 및 도 19(c)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사진(16)이 디스플레이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들어올린 후,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놓여있었던 위치의 오른편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내려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사진(17)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활성화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9(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틸팅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활성화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소정의 알림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후, 도 20(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플레이트에 다시 내려놓으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꺼질 수 있다.
이후, 도 20(d)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들어 올리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활성화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홈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의 영역이 분할되고, 분할된 영역에 복수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에서와 같이,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하나의 사진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 중 우측 부분을 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2(b)에서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의 영역은, 세로 방향의 경계선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영역들 내에는 복수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영역 내에는 사진의 일부분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2(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 중 상측 부분을 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2(c)에서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의 분할된 영역들은, 가로 방향의 경계선에 의해 복수 개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영역들 내에는 복수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영역 내에는 사진의 일부분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객체와 관련된 다른 객체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하나의 사진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을 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사진에 포함된 사람이 촬영된 다른 사진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사진으로부터 사람의 이미지를 추출함으로써, 사진에 포함된 사람이 촬영된 다른 사진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사진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진에 포함된 사람이 촬영된 다른 사진들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2(b)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노래를 재생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앨범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을 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재생 중인 노래의 아티스트의 다른 앨범들의 이미지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노래를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a)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노래를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3(b)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노래를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재생 중인 노래가 포함된 앨범의 이전(previous) 앨범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전 앨범에 포함된 노래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노래를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재생 중인 노래가 포함된 앨범의 다음(next) 앨범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음 앨범에 포함된 노래를 재생할 수 있다.
도 23(c)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노래를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재생 중인 노래의 이전(previous) 노래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노래를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재생 중인 노래의 다음(next) 노래를 재생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노래를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틸팅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화면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노래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노래가 재생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일부분을 플레이트로부터 이격시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재생 중인 노래의 앨범 이미지 및 가사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노래를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들어올려진 후 플레이트 상에 놓임에 따라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노래를 재생하고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재생 중인 노래의 앨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노래를 재생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들어올린 후 내려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재생 중인 노래가 포함된 폴더의 상위 폴더에 포함된 노래들의 앨범 이미지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이동에 따라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가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통화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통화를 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되면 통화 수신을 허용 또는 거절하는지를 안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두드릴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의 노킹 입력을 수신하고, 서로 통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통신을 형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8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노킹 입력을 수신하며, 단계 S2810에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노킹 입력을 수신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두드리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의 두드림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8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연결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연결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식별 값,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이용 가능한 통신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주소,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용 가능한 통신 방법은, 예를 들어,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NFC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2830에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통신 연결을 요청한다.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수신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방법을 결정하고, 결정된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식별 값 및 인증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8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통신을 형성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를 인증하고,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인증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통신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900 및 단계 S29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각각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노킹 입력을 수신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두드리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의 두드림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920에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를 기준으로 판단된 노킹 방향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한다.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두드림에 따라 사용자의 노킹 입력이 수신되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를 기준으로 플레이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두드러진 지점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좌측 부분의 플레이트를 두드렸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9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기준으로 판단된 노킹 방향에 관한 정보를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한다.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두드림에 따라 사용자의 노킹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기준으로 플레이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두드러진 지점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 부분의 플레이트를 두드렸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9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 대한 위치를 판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로부터 수신된 노킹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 부분의 플레이트가 두드려지고,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좌측 부분의 플레이트가 두드려졌음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좌측에 위치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950에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위치를 판단한다.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노킹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 부분의 플레이트가 두드려지고,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좌측 부분의 플레이트가 두드려졌음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좌측에 위치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96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콘텐트를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와 공유할 콘텐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사진들을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진들이 저장된 폴더 및 사진들의 디스플레이 순서에 관한 정보를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97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판단된 위치에 따라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가 저장된 폴더 및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순서를 고려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콘텐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2980에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판단된 위치에 따라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콘텐트가 저장된 폴더 및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순서를 고려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콘텐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서로 기능을 분배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가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3000 및 단계 S30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각각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노킹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 S3020에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를 기준으로 판단된 노킹 방향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하며, 단계 S30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기준으로 판단된 노킹 방향에 관한 정보를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한다.
단계 S30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 대한 위치를 판단하며, 단계 S3050에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위치를 판단한다.
단계 S306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기능(capability)을 서로 분배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분배될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기능을 서로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능이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좌측 스피커의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우측 스피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능이 분배될 수 있다.
단계 S307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틸팅 입력 및 베젤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08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콘텐트를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콘텐트를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화면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사진들이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좌측에 놓여질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사진(16)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화면에는 사진(18)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사진(16)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플레이트 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 표시된 사진(18)이 변경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에 놓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화면에, 하나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 베젤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좌측 베젤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사진이 두 조각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사진의 조각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 각각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가 스피커 기능을 분배하여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의 좌측에 놓여질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하나의 음악을 함께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좌측 스피커의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우측 스피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재생되는 음악을 동기화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는 서로 싱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를 전송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 중 우측 부분이 플레이트 상에 접촉된 상태에서, 베젤의 상,하,좌측 부분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면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을 향하도록 기울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에 놓인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콘텐트를 전송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 중 좌측 부분을 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에 놓인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플레이트 상에 놓여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핸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입력 모드를 온 핸드 모드로부터 온 플레이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객체가 변경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입력 모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3700에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플레이트 상에 놓여졌는지를 판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중력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흔들리는 정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며 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후면이 플레이트를 바라보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며 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명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면이 플레이트를 바라보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7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입력 모드를 온 플레이트 모드로 변경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입력 모드를 온 핸드 모드에서 온 플레이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센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단계 S37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온 플레이트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온 플레이트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예를 들어, 3차원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2차원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37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상의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들어 올려짐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입력 모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3700에서 사용자가 플레이트 상의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들어올리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들어 올려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중력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흔들리는 정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들어 올려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8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입력 모드를 온 핸드 모드로 변경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입력 모드를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온 핸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핸드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핸드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센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단계 S38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온 핸드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온 핸드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됨에 따라, 예를 들어, 2차원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3차원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38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9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a)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진 8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도 39(b)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플레이트 상에 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진 8 및 다른 사진들이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진 8은 다른 사진들 위에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음악 재생을 제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a)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온 핸드 모드에서 노래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도 40(b)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면이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플레이트 상에 내려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입력 모드를 온 플레이트 모드로 변경하고, 노래의 재생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0(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후면이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일시 정지된 노래의 재생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2차원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2차원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X 축 및 Y 축을 따라 콘텐트들이 가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X 축을 따라 소정의 폴더 내의 복수의 콘텐트들이 배열될 수 있으며, Y 축을 따라 복수의 폴더들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People 폴더 내의 사진 "People 2"가 표시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면, People 폴더 내의 다른 사진들("People 1", "People 3" 및 "People 4")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People 폴더 내의 사진 "People 2"가 표시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Car 폴더 내의 사진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People 폴더 내의 사진 "People 2"가 표시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Building 폴더 내의 사진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3차원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온 핸드 모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3차원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X 축, Y 축, 및 Z축을 따라 콘텐트들이 가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X 축 및 Y 축을 따라 복수의 폴더들이 배열될 수 있으며, Z 축을 따라 소정의 폴더 내의 복수의 콘텐트들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People 폴더 내의 사진 "People 2"가 표시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X 축 및 Y축을 따라 이동되면, 다른 폴더 내의 사진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People 폴더 내의 사진 "People 2"가 표시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Z 축을 따라 이동되거나, Z축 방향으로 기울여지면, People 폴더 내의 다른 사진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온 핸드 모드에서 사진을 네비게이션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3(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진 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43(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을 터치하면, 사진 10이 다른 사진들 상에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을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의 힘으로 누르면, 사진 10이 다른 사진들 상에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도 43(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을 터치한 채,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앞, 뒤 방향(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기울이면, 사진 10이 포함된 폴더 내의 다른 사진들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43(d)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베젤을 터치한 채,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좌, 우 방향(X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기울이면, 사진 10이 포함된 폴더와 다른 폴더에 포함된 사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통신부(1300), 메모리(1400) 및 제어부(15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상태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주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중력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틸팅 입력, 베젤 입력 및 노킹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딩시키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0)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출력부(1200)는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200)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3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 및 서버(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300)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이동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온 핸드 모드 및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동작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제어부(15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온 핸드 모드 및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통신부(1300) 및 메모리(14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졌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5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중력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500)는 플레이트 상의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들어 올려졌다가 내려 놓아졌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 복수의 입력 모드는, 예를 들어, 온 핸드 모드 및 온 플레이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는 경우에, 제어부(1500)는 온 플레이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활성화되는 경우에, 제어부(1500)는 온 플레이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면, 제어부(1500)는 온 핸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선택된 입력 모드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졌다면, 제어부(1500)는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동작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활성화하는 동작,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애플리케이션의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객체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동작들은, 예를 들어, 노킹 입력, 틸팅 입력, 베젤 입력,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시키는 입력, 및 플레이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방향을 변경하는 입력에 각각 매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0)는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와 통신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0)는 통신부(1300)를 이용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로부터의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부(1300)를 통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와 통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판단된 위치에 기초하여, 소정의 콘텐트를 출력부(120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플레이트 상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와 소정의 기능을 분배할 수 있다. 제어부(1500)는 온 플레이트 모드에서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판단된 위치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능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플레이트 상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소정의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팅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500)는 통신부(1300)를 통하여 소정의 콘텐트를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사용자 입력부(1100)는 센서(111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1120) 및 카메라(1130)를 포함하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및 음향 출력부(1220)를 포함하며, 통신부(1300)는 이동 통신부(1310) 및 근거리 통신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상태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주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110)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중력 센서, 터치 센서 및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면 및 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11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감지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여 소리가 발생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마이크(113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의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마이크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테두리의 각 꼭지점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4개의 마이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를 이룰 수 있도록 4개의 마이크가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마이크들이 원형을 이루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0)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마이크(1130)는, 예를 들어, 지향성 마이크(directional microphone)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지향성 마이크들은 각각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테두리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내에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1130)들은, 사용자의 노킹에 의해 발생된 소리(노킹 소리)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내에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1130)들은, 감지된 소리를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복수의 마이크(113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노킹에 의해 발생된 소리(노킹 소리)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마이크(1130)에 의해 노킹 소리가 감지된 시간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마이크(113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의 파형 및 세기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상기 비교 결과 및 복수의 마이크(1130)의 위치에 기초하여, 노킹 소리가 발생된 위치 또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재생되는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이동 통신부(1300) 및 근거리 통신부(1300)를 이용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 및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이동 통신부(1310) 및 근거리 통신부(1320)를 이용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2000) 및 서버(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7)

  1. 모바일 디바이스가 복수의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입력 모드의 변경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센서들 중 일부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며,
    상기 입력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이 변경되는 것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모드를 온 핸드 모드로부터 온 플레이트 모드로 변경하는 것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됨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모드를, 상기 온 플레이트 모드로부터 상기 온 핸드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변경된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입력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놓여진 상태에 따라, 상기 입력 모드의 변경에 대응되는 상기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것인,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놓여진 상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면이 상기 플레이트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상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이 상기 플레이트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상태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세워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놓인 플레이트를 두드리는, 사용자의 노킹(knocking) 입력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노킹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 모드는, 온 핸드 모드(on-hand mode) 및 온 플레이트 모드(on-plate mode) 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력 모드 중에서 상기 온 플레이트 모드를 선택하는 것인,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을 형성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패턴의 상기 노킹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결 정보를,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연결 정보에 기초한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될 객체가 결정되는 것인,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격시키는, 틸팅(tilting)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틸팅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된 콘텐트를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베젤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베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베젤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된 콘텐트를 상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두드려짐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것인, 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두드려짐에 따라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것인, 방법.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격시키는, 틸팅(tilting) 입력을 수신하는 것인,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가 이동됨을 감지하는 것인,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향이 변경됨을 감지하는 것인, 방법.
  2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베젤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베젤 입력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베젤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 입력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인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베젤 입력 및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4. 복수의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실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를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감지된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을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모드를 변경하며, 상기 입력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입력 모드의 변경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5.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놓인 플레이트를 두드리는 사용자의 노킹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플레이트 상에 놓여짐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복수의 입력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노킹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6.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7. 제 9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092657A 2013-08-05 2013-08-05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2158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57A KR102158843B1 (ko) 2013-08-05 2013-08-05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PCT/KR2014/007195 WO2015020389A1 (en) 2013-08-05 2014-08-05 Method of inputting user input by using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using the method
US14/452,064 US9507439B2 (en) 2013-08-05 2014-08-05 Method of inputting user input by using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using the method
CN201480055022.6A CN105637444B (zh) 2013-08-05 2014-08-05 通过使用移动设备输入用户输入的方法和使用其的移动设备
US15/336,180 US9916016B2 (en) 2013-08-05 2016-10-27 Method of inputting user input by using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us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57A KR102158843B1 (ko) 2013-08-05 2013-08-05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83A true KR20150016783A (ko) 2015-02-13
KR102158843B1 KR102158843B1 (ko) 2020-10-23

Family

ID=5242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657A KR102158843B1 (ko) 2013-08-05 2013-08-05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507439B2 (ko)
KR (1) KR102158843B1 (ko)
CN (1) CN105637444B (ko)
WO (1) WO20150203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677B1 (ko) * 2015-06-23 2016-12-01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모바일용 erp 애플리케이션의 작동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843B1 (ko) * 2013-08-05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US9355418B2 (en) 2013-12-19 2016-05-31 Twin Harbor Labs, LLC Alerting servers using vibrational signals
JP2017068534A (ja) * 2015-09-30 2017-04-06 富士通株式会社 分析方法、分析装置および分析プログラム
GB2560566A (en) * 2017-03-16 2018-09-19 Lucien Reginald Westaway Adrian An intuitive means of physically navigating a digital space through motion sens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917180B2 (en) * 2018-07-24 2021-02-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trolling vibration output from a computing device
CN117971154A (zh) * 2018-09-04 2024-05-03 谷歌有限责任公司 多模态响应
US10983690B2 (en) * 2019-04-02 2021-04-20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devices for precluding touch initiated control operations during three-dimensional mo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3341A1 (en) * 2007-12-13 2009-06-18 Karin Spalink Motion activated user interface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110076852A (ko) * 2008-06-19 2011-07-0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단말 장치
KR101097371B1 (ko) * 2010-08-02 2011-12-23 주식회사 에스지아이코리아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비트패턴으로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
WO2013028895A1 (en) * 2011-08-24 2013-02-28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based input mode selection for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9757B1 (en) * 2002-05-28 2014-11-12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and systems for image intra-prediction mode estimation,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
TWI281632B (en) * 2003-12-01 2007-05-21 Benq Corp Handheld device with tract sensitive input function
KR100608576B1 (ko) * 2004-11-19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51368B1 (ko) 2005-09-1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이미지 제어방법
KR100790896B1 (ko) 2006-11-17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부의 움직임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및장치
US8462109B2 (en) 2007-01-05 2013-06-11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US8423076B2 (en) 2008-02-01 2013-04-16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9582049B2 (en) 2008-04-17 2017-02-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based on user's gesture
KR101521219B1 (ko)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43123B1 (ko) 2009-05-21 201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신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들의 스트림 구성 및 처리 방법
CN102117165A (zh) * 2009-12-31 2011-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触摸输入处理方法及移动终端
JP5676131B2 (ja) * 2010-04-06 2015-02-2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KR20110123933A (ko) 2010-05-10 2011-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10310227A1 (en) * 2010-06-17 2011-12-22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based content mapping f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KR101685991B1 (ko) 2010-09-30 201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231105B1 (ko) 2010-10-08 2013-02-07 엔그램테크놀로지(주) 휴대기기의 ui를 위한 모션 센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9075523B2 (en) * 2010-12-17 2015-07-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emote control emulation methods and systems
US8890823B2 (en) * 2012-01-09 2014-11-18 Motorola Mobility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occurrences of unintended opera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KR20130028573A (ko) 2011-09-09 2013-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263861B1 (ko) 2011-09-21 2013-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8678927B2 (en) * 2011-10-04 2014-03-25 Microsoft Corporation Game controller on mobile touch-enabled devices
US8194926B1 (en) * 2011-10-05 2012-06-05 Google Inc. Motion estimation for mobile device user interaction
US20130120458A1 (en) * 2011-11-16 2013-05-16 Microsoft Corporation Detecting screen orientation by using one or more proximity sensors
US9349218B2 (en) * 2012-07-26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gmented reality
US20140062875A1 (en) * 2012-09-06 2014-03-06 Panasonic Corporation Mobile device with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to adjust state of graphical user interface or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nit, and including a hover sensing function
US20140129176A1 (en) * 2012-11-02 2014-05-08 Qualcomm Incorporated Estimating the gravity vector in a world coordinate system using an accelerometer in a mobile device
FR2998072B1 (fr) * 2012-11-12 2016-01-08 Epawn Determination de la surface d'interaction d'un dispositif mobile avec un dispositif d'accueil
FR3000817B1 (fr) * 2013-01-04 2016-04-01 Epawn Commande d'une station d'accueil par mouvement de dispositif mobile
US9367098B2 (en) * 2013-02-08 2016-06-14 Htc Corporation Power saving method for handhel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device using the same
US20150002475A1 (en) * 2013-06-27 2015-01-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aphical user interface thereof
KR102158843B1 (ko) * 2013-08-05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3341A1 (en) * 2007-12-13 2009-06-18 Karin Spalink Motion activated user interface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110076852A (ko) * 2008-06-19 2011-07-0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단말 장치
KR101097371B1 (ko) * 2010-08-02 2011-12-23 주식회사 에스지아이코리아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비트패턴으로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
WO2013028895A1 (en) * 2011-08-24 2013-02-28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based input mode selection for mobile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677B1 (ko) * 2015-06-23 2016-12-01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모바일용 erp 애플리케이션의 작동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35748A1 (en) 2015-02-05
US9916016B2 (en) 2018-03-13
CN105637444B (zh) 2019-04-26
KR102158843B1 (ko) 2020-10-23
WO2015020389A1 (en) 2015-02-12
US20170045956A1 (en) 2017-02-16
US9507439B2 (en) 2016-11-29
CN105637444A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843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1888457B1 (ko)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365592B (zh) 执行显示器上的对象的方法和设备
JP6154374B2 (ja) グラフィックオブジェクト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881925B1 (ko) 복수의 휴대 단말들을 이용하여 멀티 비전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U2605359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асанием и портативный терминал,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его
US20130009890A1 (en) Method for operating touch navigation function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201000831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 context based coordination of information among multiple devices
JP5593980B2 (ja) 電子機器及びデータ送信方法
KR101143010B1 (ko) 디지털 기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9870139B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with remote device thereof
JP2015181245A (ja) 連動機能の自動実行方法、およびそれを適用したデバイス
JP2023502326A (ja) ビデオ表示方法、電子機器及び媒体
CN105488145B (zh) 网页内容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
KR2017000121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잠금 해제 방법
KR1022197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17619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22550757A (ja) メモ情報表示方法、メモ情報送信方法及び電子機器
US1195003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WM643754U (zh) 點讀系統
KR20110074017A (ko)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JP5081952B2 (ja) 項目選択装置、項目選択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09144362A (zh) 内容共享方法和终端设备
JP5912940B2 (ja) 評価装置、評価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システム
JP5285186B2 (ja) 画面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及び画面データ送受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