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933A -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933A
KR20110123933A KR1020100043426A KR20100043426A KR20110123933A KR 20110123933 A KR20110123933 A KR 20110123933A KR 1020100043426 A KR1020100043426 A KR 1020100043426A KR 20100043426 A KR20100043426 A KR 20100043426A KR 20110123933 A KR20110123933 A KR 20110123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gesture
event
func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종성
복일근
한명환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3933A/ko
Priority to US13/103,177 priority patent/US20110273388A1/en
Publication of KR20110123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9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설정된 이벤트 입력에 따라 운용 중인 특정 모드에 의한 입력 기능은 홀드하고, 새로운 입력 영역을 생성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이 가능하며, 입력 제스처에 따른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이벤트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입력될 시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이 가능한 새로운 입력 영역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이벤트가 입력될 시 상기 특정 모드의 데이터에 의한 입력 기능을 홀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새로운 입력 영역을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포그 화면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휴대단말의 특정 기능 운용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서 소정 입력(input) 발생 시 기존 표시된 데이터에 의한 입력 홀드 및 제스처 런처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 시 포그 이펙트(fog effect)가 부여된 새로운 입력 영역(input area)을 구성하여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서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단말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단말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Television)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재생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사전 검색 기능 등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 휴대단말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휴대단말의 기능을 이용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휴대단말 이용에 따른 편의 향상 및 새로운 부가 기능 요구에 따른 새로운 기능 구현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새로운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정된 소정 입력 발생 시 기존 화면에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레이어를 생성하고 해당 레이어를 이용한 입력에 따라 기능 실행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 입력 발생 시 기존 표시된 데이터에 대한 입력 홀드 및 제스처 런처 모드로 진입하고, 제스처 런처 모드 진입 시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의 새로운 입력 영역을 제공하고, 새로운 입력 영역에 의하여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이 가능한 휴대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실행 화면에 포그 이펙트의 새로운 입력 영역을 직관적으로 제공하고, 새로운 입력 영역에서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현하여 휴대단말의 사용성 및 편의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이벤트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입력될 시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이 가능한 새로운 입력 영역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이벤트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입력될 시 상기 특정 모드의 데이터에 의한 입력 기능을 홀드하는 과정과, 제스처 런처 모드로 진입하여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포그 화면에 의한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받는 과정과, 입력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 운용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을 위한 설정된 이벤트를 입력받는 이벤트 입력부와,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 시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을 표시하고 포그 화면에서 입력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투명 방식 또는 반투명 방식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벤트 입력부에 의한 이벤트를 감지할 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에 의한 상기 포그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포그 화면 기반으로 입력되는 제스처에 따라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소정 입력 발생 시 이전에 제공된 데이터에 의한 입력 기능 홀드와 함께 새로운 입력 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 영역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기능 운용을 처리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타입에 따라 마이크, 바람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압력 센서, 모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이벤트 입력부로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간단한 이벤트 입력으로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이 가능한 새로운 입력 영역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기존 실행 데이터 운용 중에도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기능 운용 중에 사용자 제스처 기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새로운 부가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부가 기능 실행을 간단한 조작으로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새로운 입력 영역 생성 시 기존 실행 데이터에 의한 입력 기능은 홀드하고, 상기 데이터 상위에 생성된 입력 영역에 의해서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을 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새로운 입력 영역을 포그 이펙트에 의한 포그 화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 및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의 실행 화면에 포그 이펙트의 새로운 입력 영역을 직관적으로 제공하고, 새로운 입력 영역에서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 런처 모드의 실행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 런처 모드 운용에 의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소정 이벤트 입력으로 생성된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 실행을 운용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새로운 입력 영역을 제공하고 그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소정 입력(input) 발생 시 표시부에 표시된 기존 데이터에 대한 입력은 홀드(hold)하고 제스처 런처 모드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스처 런처 모드에서 포그 이펙트(fog effect)에 대응하는 포그 화면(fog screen/fog window)의 새로운 입력 영역(input area)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포그 이펙트에 의한 입력 영역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고, 사용자 제스처 입력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설정된 소정 입력이 발생할 시 기존 실행 화면에 터치 명령(touch command)의 입력이 가능한 새로운 레이어(layer)가 생성되고 해당 레이어를 통해 입력된 입력 값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포그 이펙트는 유리창에 입김을 불어 넣는 것과 같이 표시부의 화면에 포그(fog)가 서린 것과 같은 화면(예컨대, 포그 화면)이 제공되는 이펙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포그 이펙트는 표시부에 표시된 기존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홀드하고 그 상위에 오버레이 되는 새로운 입력 영역(레이어)을 통해 부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새로운 입력 영역에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화면을 포그 화면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포그 화면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을 생성하고, 그에 의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지원하는 모드를 제스처 런처 모드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포그 화면은 포그 이펙트 부여에 따라 반투명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포그 화면은 포그 이펙트의 부여 없이 투명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포그 이펙트는 제스처 런처 모드가 실행되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이 가능함을 직관적이고 감성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 1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입력부(100), 저장부(200), 표시부(300), 이벤트 입력부(400), 그리고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휴대단말은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부, 마이크(MIC, Microphone)와 스피커(SPK, Speaker)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모듈,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 모듈, 터치 기반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 등의 통상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여러 개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또는 포그 이펙트 실행) 등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운영체제, 표시부(3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표시부(300)를 이용한 입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 및 그의 운용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포그 이펙트 실행 및 그의 운용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제스처 런처 모드에서 입력된 제스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그의 운용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에 따라 생성된 입력 영역에서 운용할 수 있는 제스처의 제스처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기능정보가 매핑된 매핑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매핑테이블은 하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스처정보로 8, D, S, @,
Figure pat00002
등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정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의되거나 휴대단말에서 기본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제스처정보에 의해 실행 가능한 기능정보들이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은 사용자가 숫자 8 형태의 제스처를 입력할 시 숫자 8에 대응하는 제스처정보(8)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스처정보에 따른 기능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은 단축번호 8번에 매핑된 전화번호에 의한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휴대단말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기능, 전자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검색 기능, 통신 기능, 전자책읽기 기능(예컨대, e-book), 동영상 기능,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 사진/동영상 보기 기능,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나 DVB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 위젯 기능, 낙서 기능, 메모 기능, 포그(fog) 기능 등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3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OLED(AMOLDE,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때 가로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세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스크린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은 터치 기반의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지원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터치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00)는 포그 이펙트에 따라 운용되는 화면(예컨대, 포그 화면)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의 실행 타입(예컨대, 투명 또는 반투명)에 따라 포그 이펙트와 같은 시각적인 이펙트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포그 이펙트에 따른 포그 화면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그 이펙트에 의한 화면 운용에 대해 후술하는 동작 예시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포그 이펙트, 제스처 런처 모드, 포그 화면은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상기 이벤트 입력부(400)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상기 이벤트 입력부(400)는 상기 표시부(300)를 통해 표시된 데이터에 대한 입력 기능을 홀드하고 새로운 입력 영역(예컨대,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의 생성을 요청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이벤트 입력부(400)는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을 위한 입력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벤트 입력부(400)는 마이크(MIC), 바람 센서, 압력 센서, 모션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벤트 입력부(400)는 제스처 런처 모드에 따른 새로운 입력 영역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의 블로우(blow)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또는 바람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대표적 예시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 센서에 의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압력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스처 런처 모드에 의한 새로운 입력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션 센서에 의해 기 설정된 모션에 따른 모션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스처 런처 모드에 의한 새로운 입력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도 센서(또는 근접 센서)에 의해 특정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의 근접에 따른 근접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스처 런처 모드에 의한 새로운 입력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본 발명의 제스처 런처 모드 운용에 따른 기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이벤트 입력부(400)를 통해 소정 이벤트 입력이 발생할 시 상기 표시부(300)의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홀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에 따른 새로운 입력 영역(레이어)을 생성하여 제스처 기반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 시 상기 새로운 입력 영역을 설정 방식에 따라 투명 또는 반투명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500)는 새로운 입력 영역을 반투명 형태로 제공할 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500)는 새로운 입력 영역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후술하는 휴대단말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 밖에도 상기 제어부(500)는 휴대단말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데이터 표시 또는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제스처 런처 모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이벤트 입력부(400)에 관련된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이벤트 입력부(300)가 마이크이고 휴대단말이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수행 중인 경우 상기 이벤트 입력부(300)에 의한 이벤트 입력은 무시하고 통상적인 음성 입력과 같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튼 폰(Smart Phone)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그 이펙트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그를 이용한 기능 제공 방법은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 런처 모드의 실행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특정 화면데이터가 나타난 상태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을 위한 이벤트가 입력되고 그에 대응하여 화면(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은 대기모드에 따른 대기화면이 제공되는 상태,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모드에 따른 화면이 제공되는 상태, 또는 표시부(300)의 턴 오프(turn-off) 상태와 같이 오프 모드에 따른 화면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후술하는 동작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2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는 특정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참조번호 201과 같은 상태에서 이벤트 입력부(400)를 통해 소정 이벤트 입력이 발생할 시 제스처 런처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스처 런처 모드 운용 시 참조번호 2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반투명의 레이어(입력 영역)가 기존 표시된 화면데이터의 상위에 제공된다.
상기 참조번호 201과 같은 상태에서 휴대단말은 설정된 방법으로 제스처 런처 모드의 실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벤트 입력부(400)가 마이크(또는 바람 센서)인 경우 상기 마이크(또는 바람 센서)에 의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블로우 입력, 이벤트 입력부(400)가 압력 센서인 경우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압력 입력, 이벤트 입력부(400)가 모션 센서인 경우 상기 모션 센서에 의해 설정된 모션 입력, 이벤트 입력부(400)가 조도 센서(또는 근접 센서)인 경우 상기 조도 센서(또는 근접 센서)에 의해 특정 물체의 근접 입력 등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스처 런처 모드가 실행되면 참조번호 2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에 포그 이펙트에 의한 반투명 형태의 레이어(예컨대, 포그 화면)가 생성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참조번호 2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그 화면의 하단 레이어에는 이전에 표시된 기존 화면데이터가 포그에 의해 가려져 희미해진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때, 포그(또는 포그 화면)의 투명도 설정에 따라 기존 화면데이터의 표시가 생략되거나 또는 완전히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에서 기존 데이터에 대한 입력은 무시된다.
참조번호 20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그 이펙트는 상기 이벤트 입력부(400)의 타입 및 설정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 입력부(400)가 마이크(MIC)(또는 바람 센서)에 의해 운용될 시 마이크 또는 바람 센서가 구비된 위치(예컨대, 휴대단말의 하단부)에서 포그 이펙트가 서서히 나타나면서 표시부(300) 전체를 뒤덮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는 포그 이펙트가 표시부(300)의 중심으로부터 시작하여 표시부(300) 전체로 서서히 퍼지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벤트 입력부(300)가 압력 센서에 의해 운용될 시 압력이 발생되는 영역에서 포그 이펙트가 나타나면서 표시부(300) 전체로 퍼지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 런처 모드 운용에 의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3에서는 포그 이펙트에 의해 생성된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휴대단말의 대기모드 운용에 따른 대기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도 3에서 이벤트 입력부(400)는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이고 제스처 런처 모드는 상기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에 의한 블로우 입력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가정한다.
참조번호 301과 같이 표시부(300)에 대기화면이 나타난 상태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을 위한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가 구비된 위치에 블로우와 같은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가 입력되면 참조번호 3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새로운 레이어가 생성되어 나타난다. 도 3에서 상기 새로운 레이어는 사용자의 직관성 및 감성을 고려하여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반투명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투명도 설정에 따라 반투명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 시 포그 이펙트는 생략되고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터치 커맨드의 입력이 가능한 투명 형태의 레이어만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305와 같은 상태에서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새로운 레이어(예컨대, 포그 화면)에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그 화면에 기 설정된 특정 제스처(예컨대, 숫자 "8" 형태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3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제스처(예컨대, 숫자 "8")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그의 화면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에서 포그 화면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인식된 제스처와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을 추적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도 3에서는 숫자 8 형태의 제스처에 따라 단축번호 8번에 매핑된 전화번호에 의한 단축 다이얼링이 자동 실행되고 그의 화면이 나타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참조번호 3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그 이벤트에 의한 포그 화면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제스처 런처 모드는 자동 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런처 모드의 자동 종료는 사용자 설정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스처 런처 모드를 종료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스처 런처 모드는 백그라운드로 운용하고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기능을 운용하다가 실행 어플리케이션 종료 시 다시 제스처 런처 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참조번호 307과 같이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특정 형태의 오브젝트(예컨대, 숫자 "8")(350)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예컨대, "8" 형태)(350)를 페인트 방식 또는 투명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페인트 방식의 경우 포그 화면에서 사용자 제스처의 이동 방향에 따라 그려지는 오브젝트(예컨대, 숫자 "8")(350)에 의해 페인트가 칠해지는 것과 같은 방식을 나타낸다. 투명 방식의 경우 포그 화면에서 사용자 제스처의 이동 방향에 따른 오브젝트(예컨대, 숫자 "8")(350)가 그려지는 부분이 지워지면서 투명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과 같은 방식을 나타낸다. 투명 방식의 경우 투명한 형태의 오브젝트(예컨대, "8")(350) 부분은 하단 레이어를 통해 기존 표시된 데이터의 일부가 선명하게 투과되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참조번호 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직관성 및 감성을 고려하여 실제 오프라인적인 요소를 반영하는 투명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유리창에 입김에 의한 서리가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투명한 형태로 변경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만약 입력된 제스처에 매핑된 기능이 없을 시 어플리케이션 실행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방식에 따라 해당 제스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음을 알리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설정 방식에 따라 후술하는 도 6에서와 같은 이벤트 재입력에 의하여 포그 화면을 초기화하고 제스처를 재입력 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설정 방식에 따라 에러 메시지 출력 후 포그 화면을 자동 초기화 하고 제스처의 재입력을 대기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 런처 모드 운용에 의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4에서는 포그 이펙트에 의해 생성된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전자메일 작성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4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휴대단말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라디오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운용에 따른 화면(예컨대, 라디오 재생에 따른 재생 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도 4에서 이벤트 입력부(400)는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이고 제스처 런처 모드는 상기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에 의한 블로우 입력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가정한다.
참조번호 401과 같이 표시부(300)에 재생 화면이 나타난 상태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을 위한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4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가 구비된 위치에 블로우와 같은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가 입력되면 참조번호 4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새로운 레이어가 생성되어 나타난다. 도 4에서 상기 새로운 레이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직관성 및 감성을 고려하여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반투명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투명도 설정에 따라 반투명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 시 포그 이펙트는 생략되고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터치 커맨드의 입력이 가능한 투명 형태의 레이어만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405와 같은 상태에서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새로운 레이어(예컨대, 포그 화면)에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4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그 화면에 기 설정된 특정 제스처(예컨대, "@" 형태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4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제스처(예컨대, "@")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그의 화면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에서 포그 화면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인식된 제스처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추적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도 4에서는 @ 형태의 제스처에 따라 전자메일 작성 기능이 실행되고 그의 화면이 나타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참조번호 4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그 이벤트에 의한 포그 화면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제스처 런처 모드는 자동 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런처 모드의 자동 종료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따를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참조번호 407과 같이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특정 형태의 오브젝트(예컨대, "@")(450)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예컨대, "@" 형태)(450)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페인트 방식 또는 투명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참조번호 4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직관성 및 감성을 고려하여 실제 오프라인적인 요소를 반영하는 투명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만약 입력된 제스처에 매핑된 기능이 없을 시 어플리케이션 실행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 방식에 따라 에러 메시지 출력, 이벤트 재입력에 의한 포그 화면 초기화 및 제스처 재입력, 에러 메시지 출력 후 포그 화면의 자동 초기화 및 제스처 재입력 대기 등의 동작을 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 런처 모드 운용에 의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5에서는 포그 이펙트에 의해 생성된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징 중 즐겨찾기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휴대단말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인터넷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운용에 따른 화면(예컨대, 웹브라우징 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도 5에서 이벤트 입력부(400)는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이고 제스처 런처 모드는 상기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에 의한 블로우 입력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가정한다.
참조번호 501과 같이 표시부(300)에 웹브라우징 화면이 나타난 상태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을 위한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가 구비된 위치에 블로우와 같은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가 입력되면 참조번호 5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새로운 레이어가 생성되어 나타난다. 도 5에서 상기 새로운 레이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직관성 및 감성을 고려하여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반투명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투명도 설정에 따라 반투명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 시 포그 이펙트는 생략되고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터치 커맨드의 입력이 가능한 투명 형태의 레이어만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505와 같은 상태에서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새로운 레이어(예컨대, 포그 화면)에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5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그 화면에 기 설정된 특정 제스처(예컨대, "하트(
Figure pat00003
)" 형태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5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제스처(예컨대, "하트(
Figure pat00004
)")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그의 화면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에서 포그 화면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인식된 제스처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추적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도 5에서는 하트(
Figure pat00005
) 형태의 제스처에 따라 즐겨찾기 기능이 실행되고 그의 화면이 나타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참조번호 5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그 이벤트에 의한 포그 화면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제스처 런처 모드는 자동 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런처 모드의 자동 종료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따를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참조번호 507과 같이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특정 형태의 오브젝트(예컨대, "하트(
Figure pat00006
)")(550)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예컨대, "하트(
Figure pat00007
)" 형태)(550)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페인트 방식 또는 투명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참조번호 5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직관성 및 감성을 고려하여 실제 오프라인적인 요소를 반영하는 투명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만약 입력된 제스처에 매핑된 기능이 없을 시 어플리케이션 실행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 방식에 따라 에러 메시지 출력, 이벤트 재입력에 의한 포그 화면 초기화 및 제스처 재입력, 에러 메시지 출력 후 포그 화면의 자동 초기화 및 제스처 재입력 대기 등의 동작을 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 런처 모드 운용에 의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6에서는 포그 이펙트에 의해 생성된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낙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의 화면이 오프된 상태를 가정한다. 즉, 상기 표시부(300)가 턴 오프(turn-off) 상태인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도 6에서 이벤트 입력부(400)는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이고 제스처 런처 모드는 상기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에 의한 블로우 입력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가정한다.
참조번호 601과 같이 표시부(300)의 턴 오프 상태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을 위한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가 구비된 위치에 블로우와 같은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가 입력되면 참조번호 6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새로운 레이어가 생성되어 나타난다. 도 6에서 상기 새로운 레이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직관성 및 감성을 고려하여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반투명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투명도 설정에 따라 반투명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 시 포그 이펙트는 생략되고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터치 커맨드의 입력이 가능한 투명 형태의 레이어만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605와 같은 상태에서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새로운 레이어(예컨대, 포그 화면)에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6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그 화면에 사용자 임의의 특정 제스처(예컨대, 낙서 형태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6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제스처에 따른 오브젝트가 나타난다. 이때, 낙서 기능의 구분은 입력된 제스처가 특정 제스처의 형태를 가지지 않을 시 즉, 미리 정의된 제스처정보에 대응하지 않을 시 앞서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은 생략하고 낙서 기능으로 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607과 같은 상태에서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가 구비된 위치에 블로우와 같은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609와 같이 포그 화면에 입력된 제스처에 따른 오브젝트가 나타난 상태에서 다시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6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그 이펙트가 새롭게 부과되어 포그 화면이 초기화 상태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6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입력에 따라 참조번호 607 및 참조번호 609에서 나타난 제스처의 오브젝트가 사라지고 초기 상태의 포그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611과 같은 상태에서 참조번호 6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제스처 입력에 따라 오브젝트를 다시 나타낼 수 있다. 즉, 포그 화면을 이용하여 쓰기, 지우기 등의 동작을 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 런처 모드 운용에 의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7에서는 포그 이펙트에 의해 생성된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메모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7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의 화면이 오프된 상태를 가정한다. 즉, 상기 표시부(300)가 턴 오프 상태인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도 7에서 이벤트 입력부(400)는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이고 제스처 런처 모드는 상기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에 의한 블로우 입력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가정한다.
참조번호 701과 같이 표시부(300)의 턴 오프 상태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을 위한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7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가 구비된 위치에 블로우와 같은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가 입력되면 참조번호 7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새로운 레이어가 생성되어 나타난다. 도 7에서 상기 새로운 레이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직관성 및 감성을 고려하여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반투명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투명도 설정에 따라 반투명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 시 포그 이펙트는 생략되고 사용자가 제스처 기반의 터치 커맨드 입력이 가능한 투명 형태의 레이어만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705와 같은 상태에서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새로운 레이어(예컨대, 포그 화면)에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7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그 화면에 연속되게 입력되는 다수개의 제스처들(예컨대, A, B, C, D, 1, 2, 3, 4 형태의 제스처들)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7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그의 화면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에서 포그 화면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인식된 제스처가 다수개일 시 메모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메모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메모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인식된 제스처의 각 오브젝트들을 텍스트 변환 후 메모 창에 자동 입력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참조번호 7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제스처의 오브젝트들 A, B, C, D, 1, 2, 3, 4에 대응하여 메모 창에 A, B, C, D, 1, 2, 3, 4의 텍스트를 자동 입력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즉각적인 메모 기능 수행 및 그의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참조번호 7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전에 실행된 포그 이벤트에 의한 포그 화면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제스처 런처 모드는 자동 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런처 모드의 자동 종료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따를 수 있다.
상기에서는 참조번호 709와 같이 메모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다양한 오브젝트들이 입력되고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어떠한 입력도 발생되지 않을 시 참조번호 7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된 포그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앞서 입력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들은 메모 기능의 백그라운드 실행에 의해 텍스트 변환 및 저장되고, 실제 표시부(300)에는 새로운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대기하는 초기화된 포그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또는 메모 기능의 백그라운드 실행에 의한 텍스트 변환 및 저장 후 제스처 런처 모드를 자동 종료하고 참조번호 701과 같이 최초의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참조번호 707과 같이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특정 형태의 오브젝트들(예컨대, A, B, C, D, 1, 2, 3, 4)을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에 대응하는 각 오브젝트들(예컨대, A, B, C, D, 1, 2, 3, 4)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페인트 방식 또는 투명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참조번호 7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직관성 및 감성을 고려하여 실제 오프라인적인 요소를 반영하는 투명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8에서는 휴대단말에서 소정 이벤트 입력에 따라 포그 이펙트에 의한 입력 영역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특정 모드에 따른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8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화면이 제공되는 대기모드에 따른 운용,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라디오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등) 실행에 따른 화면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모드 운용, 표시부(300) 턴 오프에 따른 오프 모드에서의 휴대단말 동작 운용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특정 모드를 운용하는 상태에서 설정된 이벤트를 입력받는다(8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특정 모드에 의한 운용 중에 사용자가 이벤트 입력부(400)에 이벤트를 입력하면 해당 이벤트를 감지하고 그의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도 8에서 상기 이벤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를 이용하는 블로우 입력에 의한 이벤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이벤트는 휴대단말에서 본 발명의 기능 구현을 위한 이벤트 입력부(400)의 타입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는 블로우 입력에 의한 이벤트를 비롯하여,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압력 이벤트, 조도 센서(또는 근접 센서)를 이용한 근접 이벤트, 모션 센서를 이용한 모션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표시부(300)에 의한 입력 기능을 홀드 제어한다(8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이벤트 입력부(400)를 통해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시 현재 사용 중인 화면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터치 입력과 같은 입력 기능을 홀드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 진입에 의한 새로운 입력 영역을 생성한다(8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기존의 화면을 유지하면서 그 상위에 새로운 레이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 진입 시 상기 생성된 레이어를 입김이 뿌옇게 서리는 것과 같은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으로 구성하여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제스처 런처 모드 운용에 따라 제스처 입력을 대기한다(809단계). 이후, 제어부(500)는 앞서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스처 런처 모드에서 상기 포그 화면의 레이어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소정 이벤트 입력으로 생성된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 실행을 운용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특정 모드에 따른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9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모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드, 오프 모드 등에 따른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특정 모드를 운용하는 상태에서 설정된 이벤트를 입력받는다(9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모드에 의한 운용 중에 사용자가 이벤트 입력부(400)에 이벤트를 입력하면 해당 이벤트를 감지하고 그의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도 9a 및 도 9b에서 상기 이벤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MIC) 또는 바람 센서에 의한 블로우 이벤트, 압력 센서에 의한 압력 이벤트,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에 의한 근접 이벤트, 모션 센서에 의한 모션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이벤트 입력부(400)에 의한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시 표시부(300)에 의한 입력 기능을 홀드 제어할 수 있다(905단계). 이때, 표시부(300) 상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드에 따른 데이터가 표시 중인 경우, 제어부(500)는 기존 표시 중인 데이터의 화면(예컨대, 대기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을 유지하면서 상기 데이터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예컨대, 링크가 설정된 아이콘, 텍스트 등의 아이템)에 의한 터치 입력과 같은 입력 기능을 홀드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입력 기능 홀드 후 제스처 런처 모드 진입에 의한 새로운 입력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907단계). 이때, 제어부(500)는 기존 화면을 유지하면서 그 상위에 새로운 레이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 진입 시 상기 생성된 레이어를 입김이 뿌옇게 서리는 것과 같은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으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제스처 런처 모드에서 상기 포그 화면의 레이어 기반으로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9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 후 제스처 입력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 영역 즉, 생성된 레이어를 통해 소정의 제스처를 입력하면 해당 입력을 감지하고 그의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사용자는 앞서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을 제어하고 그에 따라 제공되는 포그 화면에서 사용자 희망에 따른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91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에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시 앞서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특정 형태의 오브젝트(예컨대, 숫자 "8", "@", "
Figure pat00008
", "텍스트" 등)의 표시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입력된 제스처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명령하는 제스처 입력인지 판별한다(91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 표시 후 입력된 제스처에 의해 실행 가능한 기능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입력된 제스처가 앞서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제스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입력된 제스처가 기 설정된 제스처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면 해당 제스처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제스처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입력된 제스처가 기 설정된 제스처들에 대응하지 않을 시 해당 제스처가 임의로 입력된 제스처인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된 제스처가 기 설정된 제스처들에 대응하지 않을 시 사용자의 설정 방식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의로 입력된 제스처인 것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제스처의 입력 오류로 처리하고 그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예컨대, 재입력 요청 등)을 처리하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제스처가 어플리케이션 실행이면(913단계의 Yes) 해당 제스처의 제스처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9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입력된 제스처의 분석에 따라 해당 제스처정보에 매핑된 기능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시 해당 제스처 형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제스처의 제스처정보에 매핑된 기능정보를 추출하여 그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917단계). 그리고 제어부(500)는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91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스처정보에 따라 단축번호에 의한 단축 다이얼링 기능, 전자메일 작성 기능, 즐겨찾기 기능, 메모 기능 등의 기능 동작에 따른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모 기능은 수동에 의하여 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a 및 도 9b에서 메모 기능이 수동 방식으로 운용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그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제스처가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아니면(913단계의 No) 메모 기능 요청이 있는지 판별한다(92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스처 입력에 따른 오브젝트 표시 후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실행하는 입력을 발생하면 그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 기능 실행은 설정된 터치 기반의 입력 또는 입력부(100)의 특정 버튼 기반의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메모 기능 요청이 있으면(921단계의 Yes) 레이어 상에 입력된 제스처에 따른 오브젝트 인식을 처리한다(92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메모 기능이 입력될 시 상기 제스처에 따라 입력되어 나타난 각 오브젝트들에 대한 문자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인식된 오브젝트들을 텍스트 변환할 수 있다(925단계). 그리고 제어부(500)는 변환된 텍스트를 메모 기능에 의해 메모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927단계).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메모 기능 요청이 없으면(921단계의 No) 이벤트 입력부(400) 기반의 이벤트 입력이 있는지 판별한다(931단계). 예를 들어,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벤트 입력부(400)를 통해 블루우와 같은 이벤트를 입력하면 해당 이벤트를 감지하고 그의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이벤트 입력이 있으면(931단계의 Yes) 제스처에 대응하여 표시된 오브젝트를 제거하고(933단계) 입력 영역의 초기화를 제어할 수 있다(93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성된 입력 영역(레이어)의 포그 화면을 통해 표시된 오브젝트들을 제거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포그 화면을 초기화하여 초기의 포그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이벤트 입력이 없으면(913단계의 No) 제스처 런처 모드의 종료 입력이 있는지 판별한다(937단계). 예를 들어,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스처 런처 모드를 종료하는 입력을 발생하면 그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스처 런처 모드를 종료는 설정된 터치 기반의 입력, 이벤트 입력부(400)에 의한 이벤트 입력, 입력부(100)의 특정 버튼 기반의 입력 등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 종료 입력이 있으면(937단계의 Yes) 제스처 런처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939단계). 이때,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 종료 입력이 있으면 생성된 레이어의 하단에 유지된 기존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레이어를 제거하고 이전에 실행되어 운용 중이던 특정 모드에 따른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500)는 제스처 런처 모드 종료 입력이 없으면(937단계의 No) 921단계로 진행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포그 화면에서 입력되는 제스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기능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입력부 200: 저장부
300: 표시부 400: 이벤트 입력부
500: 제어부
350, 450, 550: 오브젝트

Claims (15)

  1.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이벤트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입력될 시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입력이 가능한 새로운 입력 영역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입력될 시 상기 특정 모드의 데이터에 의한 입력 기능을 홀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하는 과정은
    상기 이벤트 입력에 대응하여 제스처 런처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 시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화면 표시 후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 운용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투명 방식 또는 반투명 방식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낙서 기능, 메모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 동작을 운용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블로우 이벤트, 압력 이벤트, 근접 이벤트, 모션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9.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이벤트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입력될 시 상기 특정 모드의 데이터에 의한 입력 기능을 홀드하는 과정과,
    제스처 런처 모드로 진입하여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포그 화면에 의한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받는 과정과,
    입력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 운용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과정은
    상기 포그 화면에서 입력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투명 방식 또는 반투명 방식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표시 후 상기 입력 제스처에 매핑된 기능정보를 추출하고 기능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표시 후 이벤트가 입력될 시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포그 화면을 초기화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오브젝트를 텍스트 변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14. 휴대단말에 있어서,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을 위한 설정된 이벤트를 입력받는 이벤트 입력부와,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 시 포그 이펙트가 부여된 포그 화면을 표시하고 포그 화면에서 입력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투명 방식 또는 반투명 방식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벤트 입력부에 의한 이벤트를 감지할 시 입력 기능을 홀드하고 제스처 런처 모드 실행에 의한 상기 포그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며, 상기 포그 화면 기반으로 입력되는 제스처에 따라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입력부는
    마이크, 바람 센서, 압력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모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100043426A 2010-05-10 2010-05-10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1239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426A KR20110123933A (ko) 2010-05-10 2010-05-10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13/103,177 US20110273388A1 (en) 2010-05-10 2011-05-09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gesture-based input in a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426A KR20110123933A (ko) 2010-05-10 2010-05-10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933A true KR20110123933A (ko) 2011-11-16

Family

ID=4490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426A KR20110123933A (ko) 2010-05-10 2010-05-10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273388A1 (ko)
KR (1) KR201101239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409A (ko) * 2012-12-11 2014-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제어방법
KR20160009976A (ko) * 2014-07-17 201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57725A1 (de) * 2009-12-10 2011-06-16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Gmbh & Co. Kg Signalgebende Vorrichtung, Signalisiervorrichtung, Signalgebungsverfahren sowie Signalisierverfahren
US9417754B2 (en) *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019218B2 (en) * 2012-04-02 2015-04-28 Lenovo (Singapore) Pte. Ltd. Establishing an input region for sensor input
US20130298071A1 (en) * 2012-05-02 2013-11-07 Jonathan WINE Finger text-entry overlay
US20140007019A1 (en) * 2012-06-29 2014-01-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ted user inputs
WO2014008656A1 (zh) * 2012-07-12 2014-01-1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和终端控制方法
KR20140008987A (ko) * 2012-07-13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2810049B (zh) 2012-07-17 2015-12-1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切换方法、装置及触摸屏电子设备
US20140143688A1 (en) * 2012-11-19 2014-05-22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navigation for touch-surface device
US20140223345A1 (en) * 2013-02-04 2014-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initiating communication in a computing device hav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and the computing device
KR20140117137A (ko) * 2013-03-26 2014-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용 펜을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20140141089A (ko) * 2013-05-31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KR20140143547A (ko) * 2013-06-07 201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객체를 변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5004496A1 (en) * 2013-07-09 2015-01-15 Google Inc. Full screen content viewing interface entry
KR102384872B1 (ko) * 2013-07-18 2022-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158843B1 (ko) 2013-08-05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GB2524473A (en) * 2014-02-28 2015-09-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ling a computing-based device using gestures
EP3859728B1 (en) 2014-07-10 2024-02-14 Intelligent Platform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labeling of electronic equipment
USD782531S1 (en) * 2014-10-22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60154555A1 (en) * 2014-12-02 2016-06-02 Lenovo (Singapore) Pte. Ltd. Initiating application and performing function based on input
US20160334959A1 (en) * 2015-05-15 2016-11-17 Fih (Hong Kong)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application launching method
WO2017019028A1 (en) * 2015-07-28 2017-02-02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Application launch state determination
US11079915B2 (en) 2016-05-03 2021-08-03 Intelligent Platforms, Llc System and method of using multiple touch inputs for controller interaction in industrial control systems
US10845987B2 (en) * 2016-05-03 2020-11-24 Intelligent Platforms, Llc System and method of using touch interaction based on location of touch on a touch screen
USD816117S1 (en) * 2016-06-13 2018-04-24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JP6784115B2 (ja) * 2016-09-23 2020-11-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675949A (zh) 2016-09-27 2020-01-10 比格福特生物医药公司 药物注射和疾病管理***、设备和方法
EP3500161A4 (en) 2016-12-12 2020-01-08 Bigfoot Biomedical, Inc. ALARMS AND WARNINGS FOR MEDICINE DELIVERY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D863343S1 (en) 2017-09-27 2019-10-15 Bigfoot Biomedical,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insulin delivery
USD889477S1 (en) 2018-03-06 2020-07-07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interface
USD858556S1 (en) 2018-05-07 2019-09-03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interface
USD894952S1 (en) * 2018-05-07 2020-09-01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interface
USD858555S1 (en) 2018-05-07 2019-09-03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interface
USD859450S1 (en) 2018-05-07 2019-09-10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interface
USD894951S1 (en) * 2018-05-07 2020-09-01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interface
USD933080S1 (en) * 2019-02-18 2021-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1647S1 (en) 2019-05-06 2021-06-08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1001S1 (en) 2019-05-06 2021-06-01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1002S1 (en) 2019-05-06 2021-06-01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interface
USD921000S1 (en) 2019-05-06 2021-06-01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00472S1 (en) * 2020-03-06 2023-10-03 Salesforc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03933S1 (en) * 2020-03-06 2023-11-07 Salesforc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8350S1 (en) * 2020-03-06 2023-06-06 Slack Technologie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04615S1 (en) * 2020-03-06 2023-11-14 Salesforc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6998B2 (en) * 2006-02-21 2010-04-13 Chrysler Group Llc Pen-based 3D drawing system with 3D orthographic plane or orthographic ruled surface drawing
US8214768B2 (en) * 2007-01-05 2012-07-03 Apple Inc.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multiple application windows
US8650505B2 (en) * 2007-02-28 2014-02-11 Rpx Corporation Multi-state unified pie user interface
US9690474B2 (en) * 2007-12-21 2017-06-27 Nokia Technologies Oy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mproved text input
KR101466027B1 (ko) * 2008-04-30 2014-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통화내용 관리 방법
KR101509007B1 (ko) * 2009-03-03 201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8698845B2 (en) * 2010-01-06 2014-04-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interactive popup view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409A (ko) * 2012-12-11 2014-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제어방법
KR20160009976A (ko) * 2014-07-17 201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3388A1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3933A (ko)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144095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494244B2 (en) Multi-window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224349B1 (ko)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10452333B2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US20190121519A1 (en) Operating method for multiple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9864504B2 (en) User Interface (UI)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touch-enabled device
KR102256702B1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7272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using graphical object
KR102367838B1 (ko) 동시에 열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20012541A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50007760A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KR20120007686A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99193B1 (ko) 핸드라이팅 정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10107143A (ko)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43361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웹 페이지 디스플레이 방법
US20180024708A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related to note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KR20110131909A (ko)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EP274381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screen of display device
KR102183445B1 (ko)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11567725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device
EP2965181B1 (en) Enhanced canvas environments
US201402889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nction contro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CN103092339B (zh) 电子装置及其页面演示方法
KR102121374B1 (ko) 벤디드 디스플레이와 커버를 갖는 휴대단말 및 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