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371B1 -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비트패턴으로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비트패턴으로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371B1
KR101097371B1 KR1020100074549A KR20100074549A KR101097371B1 KR 101097371 B1 KR101097371 B1 KR 101097371B1 KR 1020100074549 A KR1020100074549 A KR 1020100074549A KR 20100074549 A KR20100074549 A KR 20100074549A KR 101097371 B1 KR101097371 B1 KR 101097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signal
pitch
pattern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아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아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아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74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일련의 비트로 감지하고 감지된 일련의 비트를 하나의 비트패턴으로 인식하여 비트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입력장치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물체를 두드리는 일련의 비트를 감지하는 비트감지부; 일련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패턴과 비트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을 저장하는 명령저장부; 감지되는 일련의 비트를 비트패턴에 매칭하여, 매칭되는 비트패턴(이하 매칭패턴)을 검색하는 패턴검색부; 및, 매칭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을 검색하여, 검색된 명령을 처리하는 명령처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장치에 의하여, 휴대폰 등을 열거나 키패드 또는 터치화면을 누르지 않고 단지 손가락으로 두드리기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하여 수행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비트패턴으로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 { An mobile station recognizing a beat pattern from tapping signals and performing a command for the pattern}
본 발명은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일련의 비트로 감지하고 감지된 일련의 비트를 하나의 비트패턴으로 인식하여 비트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소리, 진동, 가속도 등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분석하여 단발의 피치를 갖는 신호를 하나의 비트로 인식하고 인식되는 일련의 비트를 하나의 명령으로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련의 비트 중에서 최초 2개의 피치간격을 비트길이로 설정하거나, 최초 비트의 파장 크기를 기준으로 양의 비트를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자기술뿐 아니라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노트북, 피디에이(PDA)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기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특히,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보급되고 있는 휴대폰의 경우, 전화연결 기능 외에도 사진촬영기능, 동영상촬영기능, 모바일 인터넷 기능 등 점점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저장할 데이터량이 방대해짐에 따라서 메모리 용량도 커지고, 저장된 데이터를 탐색하기 위한 기술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휴대폰이 스마트폰으로 진화하면서 더욱 강화되고 있다.
전화연결 기능, 사진촬영기능,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탐색하는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 실행 명령 등의 어떠한 정보를 입력 받아야 한다. 대표적인 정보 입력 방법은 키패드(keypad)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사용자는 구비된 숫자버튼, 방향버튼 등을 이용하여 특정 정보(예를 들어 기능 실행 명령 등)를 입력할 수 있다.
휴대폰에 구비된 전화번호 검색 및 전화연결 기능의 실행을 예로 들자면, 키패드에 구비된 메뉴 버튼을 누른 후 하위 메뉴들 중 전화번호 검색 항목을 선택하고, 전화를 걸고자 하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검색한 이후 통화버튼을 눌러 전화 연결을 시도한다. 또는, 각 전화번호에 미리 설정된 단축번호로 전화연결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해당 단축번호에 따른 하나 이상의 숫자 버튼들을 순차적으로 눌러야 한다. 마찬가지로, 카메라 기능 등의 타 부가 기능을 실행할 경우에도 대부분 버튼식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에 따른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메뉴 기능을 이용하여 기능을 검색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의 입력 방식에 따르면, 휴대폰 등의 전자장치에 부가되는 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에 따른 별도의 키버튼이 필요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메뉴를 통해 해당 기능을 검색하고 이를 실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마찬가지로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고자 할 경우, 단축번호 등을 외워야 하거나 메뉴검색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물론, 최근에는 버튼식의 키패드 외에 터치스크린 방식을 이용하는 휴대폰(또는 스마트폰)이 보급되어 키패드 방식보다는 보다 편리해지고 있다. 즉, 터치스크린 방식에 의하면, 손가락을 좌우로 긋는 행위, 두 손가락을 모았다가 펼치는 행위, 아이콘을 한참 동안 누르는 행위 등 각종 제스처에 의해 보다 직관적으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터치스크린 방식도 메뉴의 계층구조를 보다 단순하게 하거나 다양한 제스처에 의해 보다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나, 여전히 명령 아이콘을 찾아야 하거나 관련된 화면으로 이동한 후 해당되는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계층적인 명령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간단한 접촉만으로 명령을 수행시키는 기술의 일례가 [한국공개특허 제2010-0062899호(2010.06.10.공개), "터치 패턴을 이용한 입력 방법 및 장치"](이하 선행기술 1)에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터치스크린; 및 외부의 물체가 터치스크린에 접촉됨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접촉점에 상응하는 위치, 면적, 접촉된 상태로 움직이며 형성한 움직임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 패턴을 산출하고,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거나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선행기술 1은 특정 위치, 면적, 움직임 등의 특정 패턴을 갖도록 터치스크린에 간단한 접촉만 함으로써 전화연결 또는 부가 기능 실행 등을 입력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휴대폰을 켜고(활성화 시키고) 터치스크린 화면에서 화면을 통하여 입력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업무상 회의를 하는 도중 전화가 오거나 휴대폰의 녹음기능을 이용하여 회의 내용을 녹음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을 꺼내 활성화를 시킨 후, 해당되는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눌러 명령을 수행시켜야 한다. 짧은 시간이지만, 이러한 명령수행 동작이 회의를 방해하거나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명령으로 인식하여 처리함으로써 휴대폰 등을 열거나 키패드 또는 터치화면을 누르지 않은 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리, 진동, 가속도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폰에 직간접적으로 두드리는 신호를 인식하여 명령으로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련의 비트 중에서 최초 2개의 피치간격을 비트길이로 설정하거나, 최초 비트의 파장 크기를 기준으로 양의 비트를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일련의 비트로 감지하는 비트감지부; 일련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패턴과 상기 비트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을 저장하는 명령저장부; 감지되는 일련의 비트를 상기 비트패턴에 매칭하여, 매칭되는 비트패턴(이하 매칭패턴)을 검색하는 패턴검색부; 및, 상기 매칭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을 검색하여, 검색된 명령을 처리하는 명령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감지부는 소리센서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부터 일련의 비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연속적인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에서 피치의 최소크기 이상으로 증가하여 비트의 최대길이 이내에 다시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으로 작아지면, 상기 신호를 하나의 양의 비트로 인식하고, 비트의 최대길이 동안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으로 머물면, 상기 신호를 하나의 음의 비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직전의 양의 비트에서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으로 작아진 이후, 또는 직전의 양의 비트가 종료되는 이후부터 비트의 최대길이 동안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으로 머물면, 상기 신호를 하나의 음의 비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에서 피치의 최소크기 이상으로 증가하여 비트의 최대길이를 초과하여 다시 최소크기 미만으로 작아지지 않으면, 상기 신호에서 일련의 비트가 종료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신호의 크기가 상기 비트의 최대길이의 N(N은 2 이상의 자연수)배 이상동안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에서 머물면, 상기 신호에서 일련의 비트가 종료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신호의 크기가 상기 비트의 최대길이의 M(M은 2 이상의 자연수)배 이상동안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에서 머물었다가 피치의 최소크기 이상으로 증가하면, 일련의 비트가 시작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양의 비트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일련의 비트에서 최초 2개의 피치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최대길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일련의 비트에서 첫 번째 비트의 피치의 크기를 기준으로 양의 비트를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휴대폰 등을 열거나 키패드 또는 터치화면을 누르지 않고 단지 손가락으로 두드리기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하여 수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최초 비트의 피치 간격이나 파장 크기를 기준으로 이후 비트길이나 파장크기를 구분함으로써, 사용자는 절대적 박자 또는 크기가 아닌 상대적인 박자나 크기만으로 비트패턴을 입력하여 비트패턴을 쉽게 외우고 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과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비트로 인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비트패턴 및 명령의 대응 테이블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비트로 인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비트패턴 및 명령의 대응 테이블의 일례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용자 20 : 탁자 또는 책상
30 : 이동통신단말기 40 : 입력장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는 사용자(10)가 이동통신단말기(30)를 이용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30)는 무선통신에 의한 음성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등이 있다. 또한, WIPI 등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VoIP폰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PSTN망을 이용하는 일반 전화라도 전화 본체와 분리되어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무선전화기도 해당될 수 있다. 즉, 사용자(10)가 휴대가능한 이동단말은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10)는 이동통신단말기(30)를 탁자 등에 올려놓고 손가락 등으로 일정한 패턴으로 탁자를 두드린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30)는 탁자를 두드리는 소리, 또는 탁자의 진동을 감지하여, 두드리는 비트패턴을 하나의 명령으로 인식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30)는 인식된 명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10)는 다른 사람과 미팅을 할 때, 이동통신단말기(30)를 회의탁자에 올려놓는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30)에서 전화호출이 와서 벨이 울리면, 사용자(10)는 일정한 패턴으로 탁자를 두드릴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30)는 일정한 패턴을 인식하여, 전화호출을 거부하고 회의 중이라는 안내문(또는 문자메시지)을 전화송신자에게 전송한다.
이동통신단말기(30)는 탁자를 두드리는 패턴을 인식하기 위하여, 탁자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센싱하거나, 탁자를 두드리는 소리인 음성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진동센서 등을 구비한다. 소리센서로서, 이동통신단말기(30)의 마이크 등 음성입력장치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회의탁자 대신 이동통신단말기(30)의 본체를 직접 두드릴 수도 있다.
소리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10)는 탁자를 두드리지 않고 손뼉을 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사용자(10)는 이동통신단말기(30)를 손으로 흔들거나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때, 가속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 등 위치 또는 방향 등을 측정하는 센서가 이용된다. 가속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일직선 상에서 이동통신단말기(30)를 앞뒤로 흔들면, 가속도는 양과 음의 크기로 반복되는 값을 갖는다. 따라서 가속도 값을 시간상으로 표시하면 역시 하나의 파동 신호가 형성된다.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예는 사용자(10)가 컴퓨터 단말(30) 등을 이용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10)가 두드리는 패턴을 이식하는 입력장치(40)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10)는 입력장치(40)를 탁자 등에 올려놓고 손가락 등으로 일정한 패턴으로 탁자를 두드린다. 이때, 입력장치(40)는 탁자를 두드리는 소리, 또는 탁자의 진동을 감지하여, 두드리는 비트패턴을 하나의 명령으로 인식한다. 즉, 앞서 이동통신단말기(30)와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장치(40)는 인식된 명령을 수행한다.
입력장치(40)에 포함되는 센서에 따라, 앞서 설명한 이동통신단말기(30)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입력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소리센서는 탁자 또는 입력장치 본체 두드리는 방식을 가능케 한다. 진동센서는 탁자를 두드리는 방식, 가속센서는 앞뒤로 흔드는 방식,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손으로 잡고 좌우로 회전을 반복시키는 방식 등을 가능케 한다.
또한, 그 외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등 휴대용 전자기기에 상기 감지센서들을 구비하는 경우, 어느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30)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3과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비트로 인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비트패턴 및 명령의 대응 테이블의 일례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30)는 비트감지부(31), 명령저장부(32), 패턴검색부(33), 및 명령처리부(34)로 구성된다. 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비트감지부(31)는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일련의 비트로 감지한다. 특히, 비트감지부(31)는 연속적인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에서 피치의 최소크기 이상으로 증가하여 비트의 최대길이 이내에 다시 최소크기 미만으로 작아지면, 상기 신호를 하나의 양의 비트로 인식하고, 비트의 최대길이 동안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으로 머물면, 상기 신호를 하나의 음의 비트로 인식한다.
또한, 비트감지부(31)는 직전의 양의 비트에서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으로 작아진 이후, 또는 직전의 양의 비트가 종료되는 이후부터 비트의 최대길이 동안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으로 머물면, 상기 신호를 하나의 음의 비트로 인식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트감지부(31)는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수신한다. 도 3의 연속되는 신호에는 P1, P2, P3, P4 등 4개의 피치가 존재한다.
시간 T0 이전에는 연속되는 신호의 크기는 계속해서 피치의 최소크기 H 보다 작다. 시간 T0에서 처음으로 신호는 피치의 최소크기 H를 넘게 된다. 그리고 피치의 최소크기 H를 넘은 신호는 시간 T1에서 다시 피치의 최소크기 H 아래로 떨어진다. 이때, T0 - T1의 시간간격이 비트의 최대길이 L을 넘지 않는다. 따라서 피치 P1은 하나의 양의 비트 1로 인식된다.
또, 피치 P1이 피치의 최소크기 H 아래로 떨어진 T1시점에서 비트의 최대길이 L 이상동안 피치의 최소크기 H 미만에서 머문다. 따라서 T1에서 T2 사이에서의 신호는 음의 비트 0으로 인식된다.
시간 T2 다음 신호는 비트의 최대길이 L을 지나기 전 T3에서, 피치의 최소크기 H를 넘어선다. 그리고 H를 넘어선 피치 P2는 비트의 최대길이 L 이전인 T4에서 H 이하로 떨어진다. 따라서 시간 T2-T3의 신호는 무시되고, T3-T4사이의 피치신호 P2는 양의 비트 1로 인식된다.
시간 T4-T6 구간은 신호가 H 미만으로 떨어진 후 2×L 동안 H 미만으로 머물기 때문에, 2개의 연속하는 음의 비트 0으로 인식된다. 시간 T7-T9 구간은 신호가 H를 넘어서고 L 이전에 H 미만으로 떨어지나, 중간에 L 이전에 다시 H를 넘어서기 때문에, 연속적인 양의 비트 1로 인식된다.
한편, 비트감지부(31)는 신호의 크기가 상기 비트의 최대길이의 M(M은 2 이상의 자연수)배 이상동안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에서 머물었다가 피치의 최소크기 이상으로 증가하면, 일련의 비트가 시작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도 3의 예에서, M은 3이라고 설정되어 있으면, 피치 P1 이 피치의 최소크기 이상으로 증가하기 전에, 비트의 최대길이의 3배(3×L) 동안 신호는 피치의 최소크기 H 미만으로 머물러 있어야 한다. 이런 경우에만, 피치 P1 이 일련의 비트가 시작되는 첫 비트인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도 4a의 예에서 비트로 인식되지 않는 피치 P5가 발생한 후, 비트의 최대길이의 3배(=M×L 배) 이상 신호는 피치의 최소크기 H 미만으로 머물러 있으므로, 피치 P1은 일련의 비트에서 최초 비트로 인식된다. 반면, 도 4b의 예에서 피치 P5가 발생한 후, 비트의 최대길이의 3배(=M×L 배)가 되기 전에 피치 P1은 H를 넘어섰으므로, 피치 P1은 최초 비트로 인식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련의 비트 이전에는 반드시 시작패턴(52)인"000"이 나타나야 한다.
또한, 비트감지부(31)는 신호의 크기가 상기 비트의 최대길이의 N(N은 2 이상의 자연수)배 이상동안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에서 머물면, 상기 신호에서 일련의 비트가 종료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도 3의 예에서, 상기 N을 3으로 설정하면, 피치 P4 이후, 즉, 시간 T10 이후, 비트의 최대길이의 3배(3×L) 동안 신호는 피치의 최소크기 H 미만으로 머문다. 이때, 시간 T13 시점에서, 일련의 비트는 종료된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최종 입력되는 전체 일련의 비트(또는 입력패턴)(51)는 "1010011"로 인식된다. 입력패턴(51) 뒤에는 종료패턴(53)인 "000"이 나타난다.
한편, 비트감지부(31)는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에서 피치의 최소크기 이상으로 증가하여 비트의 최대길이를 초과하여 다시 최소크기 미만으로 작아지지 않으면, 상기 신호에서 일련의 비트가 종료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간 T9 이후에, 신호는 피치의 최소크기 H를 넘어섰으나, 비트의 최대길이 L(시간 T14지점)을 지나 T15까지 지속되므로, 일련의 비트가 종료된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최종 입력되는 전체 비트는 "101001"로 인식된다. 이 경우에는 종료패턴(53)인 "000"이 나타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연속적인 음의 비트 "000"이 나타나기 전에, 비트의 최대길이를 초과하여 피치의 최소크기 이상으로 연속되는 신호가 들어오면, 전체 비트 신호 자체를 폐기한다. 즉, 도 4c의 예에서, 피치 P4는 음의 비트 "000"이 나타나기 전 발생된 신호이기 때문에, 직전까지 인식한 비트 "101001"을 폐기한다. 이 실시예는 노이즈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 인식되는 입력패턴(51)의 앞과 뒤에는 반드시 시작패턴(52)과 종료패턴(53)이 나타나야 한다.
따라서 인식되는 입력패턴(51)은 항상 시작과 끝은 양의 비트 "1"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앞서 본 바와 같이, 비트감지부(31)는 소리센서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부터 일련의 비트를 감지한다. 또는, 비트감지부(31)는 진동센서로부터 진동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부터 일련의 비트를 감지한다. 또, 비트감지부(31)는 가속센서로부터 가속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부터 일련의 비트를 감지한다.
다음으로, 명령저장부(32)는 일련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패턴과 상기 비트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을 저장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명령저장부(32)는 비트패턴과 상기 비트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을 서로 대응되는 테이블을 사전에 입력받아 저장한다. 도 5의 테이블에서 비트패턴은 항상 "1"로 시작하여 "1"로 끝남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패턴(51)의 앞과 뒤에는 시작패턴(52) 또는 종료패턴(53)이 존재하나, 입력패턴(51)은 이를 제외한 비트들로 구성한다.
패턴검색부(33)는 감지되는 일련의 비트(또는 입력비트(51))를 상기 비트패턴에 매칭하여, 매칭되는 비트패턴(이하 매칭패턴)을 검색한다. 즉, 패턴검색부(33)는 비트감지부(31)에서 인식한 입력비트(51)를 명령저장부(32)에서 저장한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비트(51)와 동일한 비트패턴을 검색한다. 테이블에 동일한 비트패턴이 있으면, 그 동일한 비트패턴을 매칭패턴이라 부르기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10)가 이동통신단말기(30)를 탁자에 두고, 탁자를 두 번 연속하여 두드린다면, 입력패턴(51)은 "11"일 것이다. 이때, 테이블에서 "11"인 비트패턴을 찾으면 일련번호 2가 해당된다.
명령처리부(34)는 상기 매칭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을 검색하여, 검색된 명령을 처리한다. 명령처리부(34)는 상기 테이블에서 찾은 비트패턴과 대응되는 명령을 검색한다. 도 5의 예에서 입력패턴 "11"에 해당하는 명령은 "00에게 전화걸기"이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30)는 명령처리부(34)에 의해 자동으로 "00"의 전화번호로 전화 호출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30)의 구성을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비트로 인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비트패턴 및 명령의 대응 테이블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1 실시예의 비트감지부(31)에서 신호의 크기에 따라 비트를 여러 종류로 인식한다는 점에서만 다르다. 즉, 비트감지부(31)는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양의 비트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분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치의 크기를 제1 피치크기 H1 및, 제2 피치크기 H2로 구분한다.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H0을 넘으나, 제1 피치크기 H1 보다 작으면, 상기 피치를 "1"로 정한다. 또, 신호의 크기가 제1 피치크기 H1을 넘으나, 제2 피치크기 H2 보다 작으면, 상기 피치를 "2"로 정한다. 그리고 신호의 크기가 제2 피치크기 H2를 넘으면, 상기 피치를 "3"으로 정한다.
도 6의 예에서, 피치 P1은 피치의 최소크기 H0을 넘으나 제1 피치크기 H1 보다 작기 때문에, "1"이다. 또, 피치 P2는 제2 피치크기 H2를 넘으므로 "3"이고, 피치 P4는 H1과 H2 사이이므로 "2"이다. 따라서 전체 입력패턴(51)은 "1030012"로 인식한다.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명령저장부(32)에서 저장하는 테이블에서 비트패턴의 각 비트값은 "0", "1", "2", "3"의 4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3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비트감지부(31)에서 사전에 설정하는 비트의 최대길이를 달리 정한다는 점에서만 다르다. 즉, 비트감지부(31)는 일련의 비트에서 최초 2개의 피치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최대길이를 설정한다.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비트감지부(31)에서 사용하는 비트의 최대길이 L은 사전에 정한 수치를 이용한다. 그러나 제3 실시예의 비트감지부(31)는 최초 2개의 피치 간격으로 상기 비트의 최대길이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예에서, 최초 2개의 피치는 P1과 P2 이므로, 상기 P1과 P2의 피치 간격인 T3-T1 의 길이가 곧 비트의 최대길이 L'로 설정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는 절대적 박자를 암기하지 않아도 상대적인 박자만 알면, 템포가 빠르거나 늦더라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비트패턴의 암기가 용이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3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2 실시예의 비트감지부(31)에서 사전에 설정하는 피치의 크기를 달리 정한다는 점에서만 다르다. 즉, 비트감지부(31)는 일련의 비트에서 첫 번째 비트의 피치의 크기를 기준으로 양의 비트를 크기에 따라 구분한다.
도 6의 예에서, 제2 실시예의 비트감지부(31)에서 사용하는 제1 피치크기 H1과 제2 피치크기 H2를 사전에 정하지 않는다. 대신, 첫 번째 피치의 크기를 제1 피치크기로 정한다. 즉, 첫 번째 피치의 크기를 가장 작은 비트의 최대크기로 설정한다. 따라서 도 6의 예에서, H1의 값은 피치 P1의 크기가 된다. 그리고 나머지 H2는 H1에서 일정한 비율로 정한다. 예를 들어, H2는 H1의 2배 또는 1.5배 등으로 설정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는 절대적인 소리의 크기를 암기하지 않아도 상대적인 크기만 알면, 상대적인 세기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비트패턴의 암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통신단말기(30)에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30)는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등도 구비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30)도 하나의 컴퓨터로서 기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내장된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기록매체인 이동통신단말기(3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범용 컴퓨터와 같이 작동될 수 있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30)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스마트폰 프로그램(또는 어플)로 구성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기록매체에 저장된 어플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키패드 또는 터치화면을 누르지 않고 단지 손가락으로 두드리기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하여 수행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개발하는 데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5)

  1.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일련의 비트로 감지하는 비트감지부;
    일련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패턴과 상기 비트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을 저장하는 명령저장부;
    감지되는 일련의 비트를 상기 비트패턴에 매칭하여, 매칭되는 비트패턴(이하 매칭패턴)을 검색하는 패턴검색부; 및,
    상기 매칭패턴에 대응되는 명령을 검색하여, 검색된 명령을 처리하는 명령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감지부는 소리센서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부터 일련의 비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연속적인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에서 피치의 최소크기 이상으로 증가하여 비트의 최대길이 이내에 다시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으로 작아지면, 상기 신호를 하나의 양의 비트로 인식하고,
    비트의 최대길이 동안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으로 머물면, 상기 신호를 하나의 음의 비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직전의 양의 비트에서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으로 작아진 이후, 또는 직전의 양의 비트가 종료되는 이후부터 비트의 최대길이 동안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으로 머물면, 상기 신호를 하나의 음의 비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신호의 크기가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에서 피치의 최소크기 이상으로 증가하여 비트의 최대길이를 초과하여 다시 최소크기 미만으로 작아지지 않으면, 상기 신호에서 일련의 비트가 종료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신호의 크기가 상기 비트의 최대길이의 N(N은 2 이상의 자연수)배 이상동안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에서 머물면, 상기 신호에서 일련의 비트가 종료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신호의 크기가 상기 비트의 최대길이의 M(M은 2 이상의 자연수)배 이상동안 피치의 최소크기 미만에서 머물었다가 피치의 최소크기 이상으로 증가하면, 일련의 비트가 시작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양의 비트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일련의 비트에서 최초 2개의 피치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최대길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감지부는 일련의 비트에서 첫 번째 비트의 피치의 크기를 기준으로 양의 비트를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00074549A 2010-08-02 2010-08-02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비트패턴으로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097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549A KR101097371B1 (ko) 2010-08-02 2010-08-02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비트패턴으로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549A KR101097371B1 (ko) 2010-08-02 2010-08-02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비트패턴으로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371B1 true KR101097371B1 (ko) 2011-12-23

Family

ID=4550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549A KR101097371B1 (ko) 2010-08-02 2010-08-02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비트패턴으로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3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450B1 (ko) * 2013-04-10 2014-11-21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50016783A (ko) * 2013-08-05 2015-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20180079764A (ko) 2017-01-02 2018-07-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리를 이용하는 휴대 기기의 확장 입력 장치 및 확장 입력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450B1 (ko) * 2013-04-10 2014-11-21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50016783A (ko) * 2013-08-05 2015-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2158843B1 (ko) * 2013-08-05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20180079764A (ko) 2017-01-02 2018-07-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리를 이용하는 휴대 기기의 확장 입력 장치 및 확장 입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640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input method and operation input program
KR102009423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의 수행 방법 및 장치
JP4801503B2 (ja) 項目選択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その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331346B1 (ko) 전자기기
US8457611B2 (en) Audio file edi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JP5205457B2 (ja) キー機能のアイコン拡大表示付き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100732166B1 (ko) 컨텐츠 검색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방법
US20090189868A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i) to detect multipoint stroke and multimedia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70229473A1 (en) Terminal equipped with touch-wheel and method for entering command in the terminal
EP2555497A1 (en) Controlling responsiveness to user inputs
JP2012141978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含む装置及びその装置のスクロール方法
JP2007316732A (ja) 項目選択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項目選択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136649A (ko) 휴대단말기의 근접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090066368A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JP2013507681A (ja) 複数のタッチセンサを用いたui提供方法、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携帯端末機
JPWO2008010432A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イス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KR20100093293A (ko) 터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KR20120096047A (ko) 터치 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커맨드들을 변경하는 방법
CN102782631A (zh) 具有多个触摸屏幕的移动终端的屏幕控制方法和设备
JP2010530655A (ja) 振動入力認識を有する電子装置と方法
KR20140089224A (ko)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및 동작 실행 방법
KR101097371B1 (ko) 물체를 두드리는 신호를 비트패턴으로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
JP2014035611A (ja) テキスト編集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10010522A (ko) 드래그 동작을 활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단말기
KR102197912B1 (ko) 제스처 인식에 따른 기능 실행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