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646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646A
KR20140144646A KR1020140061582A KR20140061582A KR20140144646A KR 20140144646 A KR20140144646 A KR 20140144646A KR 1020140061582 A KR1020140061582 A KR 1020140061582A KR 20140061582 A KR20140061582 A KR 20140061582A KR 20140144646 A KR20140144646 A KR 20140144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upport
plate
support portion
connection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397B1 (ko
Inventor
데츠야 고모토
류조 시메노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4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액추에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음과 함께, 도전로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커넥터를 저배화한다. 커넥터의 금속판은, 프린트 배선 기판에 실장되는 제 1 지지부와, 제 1 지지부에 연결부를 개재하여 FPC 를 끼우는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지지부는 가동부를, FPC 에 누르는 스프링부를 갖는다. 또한, 제 2 지지부는,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FPC 의 삽입력에 의해 가동부를 제 1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1 지지부측의 접점부와 제 2 지지부측의 접점부의 간격을 넓힘과 함께, 수용 공간에 완전히 삽입된 FPC 의 빠짐을 억제하는 1 쌍의 로크편을 갖는다. 복수의 도전로의 접속부가 커넥터 좌우 방향 (LR) 의 제 1 지지부 (21) 의 양 단의 부 제 1, 제 2 돌출부에 커넥터 전후 방향 (FB) 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9 ∼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주재 (1200) 와 액추에이터 (1300) 와 전극 필름 (1400) 을 구비한 저배형 커넥터 (1100) 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10484호 (단락 0004, 단락 0012 ∼ 0021, 도 1, 도 6, 도 7, 도 8 등 참조). 커넥터 (1100) 는 도시되지 않은 기판 상에 실장된다.
커넥터 주재 (1200) 는 도 19,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평판상의 베이스부 (1210) 와 2 개의 측벽부 (1220) 와 복수의 접속부 (1240) 와 복수의 스프링부 (1250) 를 갖고 있다. 커넥터 주재 (1200) 는 금속제이고, 베이스부 (1210) 와 측벽부 (1220) 와 접속부 (1240) 와 스프링부 (1250) 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측벽부 (1220) 는 X 방향에서 베이스부 (1210) 의 양단에 위치한다 (도 19 참조). 스프링부 (1250) 는 접속부 (1240) 로부터 Y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프링부 (1250) 와 베이스부 (1210) 는 간극을 개재하여 Z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도 20 참조). 스프링부 (1250) 는, 제 1 스프링부 (1251) 와 제 2 스프링부 (1254) 와 연결부 (1253) 와 제 1 돌기 (1252) 와 제 2 돌기 (1255) 와 피조작부 (1256) 를 갖는다. 제 1 돌기 (1252), 제 2 돌기 (1255) 는 각각 베이스부 (1210) 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1300) 는 판상의 부재이고,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1320) 과 캠부 (1330) 를 갖는다. 회전축 (1320) 은 X 방향에서 액추에이터 (1300) 의 양단에 위치하고, 커넥터 주재 (1200) 의 측벽부 (1220) 에 형성된 베어링부 (1230)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부 (1330) 는 액추에이터 (1300) 를 관통하는 구멍을 갖고, 회전축 (1320) 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액추에이터 (1300) 가 닫힘 위치 (도 20 참조) 로부터 열림 위치 (도 21 참조) 로 회전할 때, 스프링부 (1250) 의 피조작부 (1256) 를 밀어 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극 필름 (1400) 은 절연체 필름 (1410) 의 일방의 면에 전극 패턴 (1420) 을 형성한 것이다 (도 19 참조). 절연체 필름 (1410) 의 타방의 면 (전극 패턴 (1420)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 은, 커넥터 주재 (1200) 에 고착되어 있다. 전극 필름 (1400) 은,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 (1250) 의 베이스부 (1210) 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접속부 (1240) 의 내측의 면, 베이스부 (1210) 의 스프링부 (1250) 와 대향하는 면, 베이스부 (1210) 의 타단 (1212) 을 거쳐, 베이스부 (1210) 의 이면 (裏面) (스프링부 (1250) 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의 면) 까지 연장되어 있다. 전극 필름 (1400) 은 커넥터 (1100) 를 X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S 자상이다.
액추에이터 (1300) 를 닫힘 위치 (도 20 참조) 로부터 열림 위치 (도 21 참조) 로 회전시키면, 피조작부 (1256) 가 캠부 (1330) 에 들어가, 캠부 (1330) 의 내주면에 의해 피조작부 (1256) 가 밀어 올려져, 스프링부 (1250) 전체가 베이스부 (1210) 로부터 멀어진다. 그 결과, 제 1 돌기 (1252) 및 제 2 돌기 (1255) 와 베이스부 (1210) 의 간극이 판상의 접속 대상물 (1500) 의 판두께보다 넓어지기 때문에, 접속 대상물 (1500) 을 스프링부 (1250) 와 베이스부 (1210)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접속 대상물 (1500) 을 스프링부 (1250) 와 베이스부 (1210) 사이에 삽입한 후, 액추에이터 (1300) 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회전시키면, 피조작부 (1256) 가 캠부 (1330) 에서 빠져 (도 22 참조), 스프링부 (1250) 전체가 베이스부 (1210) 에 가까워져, 제 1 돌기 (1252) 및 제 2 돌기 (1255) 가 전극 필름 (1400) 을 개재하여 접속 대상물 (1500) 에 눌려진다. 그 결과, 전극 필름 (1400) 의 전극 패턴 (1420) 이 접속 대상물 (1500) 의 전극 (도시 생략) 에 눌려져, 접속 대상물 (1500) 과 도시되지 않은 기판 (커넥터 (1100) 가 실장된 기판) 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서술한 저배형 커넥터 (1100) 에서는, 커넥터 주재 (1200) 에 고착된 전극 필름 (1400) 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부 (1250) 의 베이스부 (1210) 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접속부 (1240) 의 내측의 면, 베이스부 (1210) 의 스프링부 (1250) 와 대향하는 면, 베이스부 (1210) 의 타단 (1212) 을 거쳐, 베이스부 (1210) 의 이면까지 연장되어 있고, 베이스부 (1210) 의 타단 (1212) 의 주변에서는, 전극 필름 (1400) 이 급각도로 구부러져 있다 (도 20 참조). 따라서, 전극 필름 (1400) 의 전극 패턴 (1420) 이 손상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또, 커넥터 (1100) 는 그 구성 요소로서, 커넥터 주재 (1200) 와 커넥터 주재 (1200) 에 고착되는 전극 필름 (1400) 외에, 커넥터 주재 (1200) 와는 별도의 부품인 액추에이터 (1300) 를 구비하고 있어, 이것이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액추에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음과 함께, 도전로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저배화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판상 접속 대상물과 다른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도록 지지하는 금속판으로서,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실장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에 연결부를 개재하여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는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와 대향하는 가동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가동부 사이에 삽입된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에 상기 가동부를 누르는 스프링부와,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이 상기 스프링부의 복귀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가동부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가동부의 간격을 넓히고,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부의 복귀력에 의해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 1 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역점부 (力点部) 를 갖는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형성된 복수의 도전로로서, 각각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가동부 사이에 삽입된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단자부에 접촉되는 접점부와,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는 복수의 도전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가동부 사이에 삽입된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에 상기 접점부를 누르는 돌기부가,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가,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는 방향 및 커넥터 전후 방향의 양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는 방향에서 상기 제 2 지지부와 대향하고,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 상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 본체와, 상기 제 1 지지부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직교 방향에서 상기 역점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접속부가, 상기 돌출부에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직교 방향에서 상기 제 1 지지부 본체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로 중 일부의 상기 도전로의 상기 접속부가, 일방의 상기 돌출부에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로 중 나머지 상기 도전로의 상기 접속부가, 타방의 상기 돌출부에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점부는,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에서 상기 돌기부보다 전측 (前側) 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다른 판상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도록 통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지지부 본체의 상기 제 2 지지부와 대향하는 면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에서 상기 돌기부보다 전측의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도전로가 절연막에 의해 덮여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막이,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1 지지부 본체측의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도전로도 덮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제 1 지지부 본체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는 방향 및 상기 직교 방향의 양 방향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의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부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부는 상기 역점부를 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측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측의 상기 돌기부가,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는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지지부, 상기 제 2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추에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음과 함께, 도전로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저배화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술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그리고 이점은,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비스듬한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금속판의 상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도 2 의 Ⅴ-Ⅴ 선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2 의 Ⅵ-Ⅵ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개념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FPC 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와 FPC 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FPC 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와 FPC 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일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2 는, 도 10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금속판의 상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도 13 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비스듬한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3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6 은, 도 13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금속판의 상부를 절단한 것을 좌측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3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금속판의 상부를 절단한 것을 우측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9 는, 종래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0 은, 도 19 의 ⅩⅩ-ⅩⅩ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19 의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19 의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 (1) 를 도 1 ∼ 도 9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 도 8,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는, 판상 접속 대상물의 일례인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5) 와 프린트 배선 기판 (다른 접속 대상물) (6) 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이다.
도 1,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는, FPC (5) (도 8 참조) 를 사이에 끼우도록 지지하는 금속판 (2) 과, 금속판 (2) 에 절연층 (3) 을 개재하여 형성된 복수의 도전로 (4) 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판 (2) 은,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 (6) 에 실장되는 제 1 지지부 (21) 와, 제 1 지지부 (21) 에 연결부 (23) 를 개재하여 FPC (5) 를 사이에 끼우는 방향 (커넥터 (1) 의 상하 방향) (UD) 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지지부 (22) 를 구비하고 있다. 도 6, 도 7 에 있어서, 좌측이 커넥터 (1) 의 전측이고, 우측이 커넥터 (1) 의 후측이고, 상측이 커넥터 (1) 의 상측이고, 하측이 커넥터 (1) 의 하측이 된다. 또,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금속판 (2) 을 구성하는 제 1 지지부 (21), 제 2 지지부 (22), 연결부 (23) 의 각각의 범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설명의 편의상, 해칭을 생략함과 함께, 제 1 돌출부 (215) 나 위치 결정부 (217) 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제 1 지지부 (21) 와 제 2 지지부 (22) 사이에는 FPC (5) 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7)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 (2) 을 커넥터 좌우 방향 (FPC (판상 접속 대상물) (5) 을 사이에 끼우는 방향 (UD) 및 커넥터 전후 방향 (FB) 의 양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 (LR) 에서 보았을 때의 금속판 (2) 의 형상은 U 자상이다.
제 1 지지부 (21) 는, FPC (5) 를 사이에 끼우는 방향 (UD) 에서 제 2 지지부 (22) 와 대향하는 제 1 지지부 본체 (218) 와,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서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1 돌출부 (215) 와,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서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 2 돌출부 (216) 와, 수용 공간 (7) 에 삽입된 FPC (5) 에 후술하는 도전로 (4) 의 접점부 (4B) 를 누르는 돌기부 (214) 와, 수용 공간 (7) 에 삽입되는 FPC (5) 의 위치 어긋남 (커넥터 좌우 방향 (LR) 및 FPC (5) 를 사이에 끼우는 방향 (UD) 의 양 방향의 위치 어긋남) 을 억제하는 1 쌍의 위치 결정부 (217) 를 갖는다.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서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양 단부에는, 후술하는 로크편 (222) 과의 간섭을 피하는 구멍 (218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4 참조).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 (215), 제 2 돌출부 (216) 는 모두 도전로 (4) 의 접속부 (4C, 4D) 가 프린트 배선 기판 (6) 에 접촉되도록 통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단, 어느 돌출부 (215, 216) 의 단면 형상도 닫힘 루프가 아니라, 열림 루프이다. 또, 어느 돌출부 (215, 216) 도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서 로크편 (222) 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 1 돌출부 (215) 의 하면에 위치하는 접속부 (4C) 및 제 2 돌출부 (216) 의 하면에 위치하는 접속부 (4D) 는 각각 커넥터 (1) 의 상하 방향에서, 제 1 지지부 (21) 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하면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의 상하 방향에서, 제 1 돌출부 (215) 의 상단, 제 2 돌출부 (216) 의 상단은 모두 제 2 지지부 (22) 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전후 방향 (FB) 에 있어서의 제 1 돌출부 (215) 의 길이, 제 2 돌출부 (216) 의 길이는 모두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 있어서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폭의 2 분의 1 이상이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위치 결정부 (217) 는 커넥터 전후 방향 (FB) 에서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 (217) 는 L 자형으로 구부러져 있다. 위치 결정부 (217) 는 커넥터 전후 방향 (FB) 에서 제 1 돌출부 (215) 나 제 2 돌출부 (216) 보다 전측에 위치함과 함께, 제 2 지지부 (22) 의 유인부 (225) 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지지부 (22) 는, FPC (5) 를 사이에 끼우는 방향 (UD) 에서 제 1 지지부 (21) 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와 대향하는 가동부 (221) 와, 수용 공간 (7) 에 삽입된 FPC (5) 의 삽입력을 받아 가동부 (221) 를 제 1 지지부 (21)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수용 공간 (7) 에 완전히 삽입된 FPC (5) 의 빠짐을 억제하는 1 쌍의 로크편 (역점부이며 로크부이다) (222) 과, FPC (5) 가 수용 공간 (7) 에 삽입되었을 때 가동부 (221) 를 FPC (5) 에 누르는 스프링부 (223) 와, 수용 공간 (7) 에 삽입된 FPC (5) 에 도전로 (4) 의 접점부 (4A) 를 누루는 돌기부 (224) 와, 수용 공간 (7) 에 FPC (5) 를 유인하는 유인부 (225) 를 갖는다.
1 쌍의 로크편 (222) 은, FPC (5) 가 수용 공간 (7) 에 삽입되었을 때, 스프링부 (223) 의 복귀력에 저항하여 가동부 (221) 를 제 1 지지부 (21) 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1 지지부 (21) 와 가동부 (221) 의 간격을 넓힌다. FPC (5) 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1 쌍의 로크편 (222) 이 FPC (5) 의 노치 (5B) 에 들어가, 스프링부 (223) 의 복귀력에 의해 가동부 (221) 를 제 1 지지부 (21) 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1 쌍의 로크편 (222) 은,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서 가동부 (221) 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로크편 (222) 은 가동부 (221) 에 대해 하방으로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도 2 참조). 로크편 (222) 을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서 보았을 때의 로크편 (222) 의 형상은 대락 직각 삼각형이다. 로크편 (222) 의 전측 (커넥터 전후 방향 (FB) 에서 전측) 에는 경사면 (222A) 이 형성되고, 로크편 (222) 의 후측 (커넥터 전후 방향 (FB) 에서 후측) 에는 스토퍼면 (222B) 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 (222A) 은, FPC (5) 의 삽입 방향 (ID) 에 대해 비스듬하게 교차됨과 함께,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고 있다. 스토퍼면 (222B) 은, FPC (5) 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도록 FPC (5) 의 삽입 방향 (ID) 에 대해 대략 직교한다. 스토퍼면 (222B) 은, FPC (5) 가 빠지는 방향 (삽입 방향 (ID) 과 반대 방향) 의 힘을 받아들여 FPC (5) 의 빠짐을 방지하여, 로크부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FPC (5) 의 삽입 완료 상태가 유지된다.
유인부 (225) 는 가동부 (221) 보다 전측 (커넥터 전후 방향 (FB) 에서 전측) 에 위치하고 있다.
도 5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 (21) 측의 돌기부 (214) 와 제 2 지지부 (22) 측의 돌기부 (224) 는 FPC (5) 를 사이에 끼우는 방향 (UD) 에서 대향함과 함께, 제 1 지지부 (21) 측의 접점부 (4B) 와 제 2 지지부 (22) 측의 접점부 (4A) 는 FPC (5) 를 사이에 끼우는 방향 (UD) 에서 대향한다.
로크편 (222) 은 가동부 (221) 의 전측 (커넥터 전후 방향 (FB) 에서 전측) 에 위치하고, 접점부 (4A, 4B) 는 가동부 (221) 의 후측 (커넥터 전후 방향 (FB) 에서 후측) 에 위치하고 있고, 로크편 (222) 은 접점부 (4A, 4B) 보다 연결부 (23) 에서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FPC (5) 의 작은 삽입력으로 로크편 (222) 이 밀어 올려진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도전로 (4) 는 금속판 (2) 에 절연층 (3) 을 개재하여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도전로 (4) 중 일부의 도전로 (4) 는, 제 2 지지부 (22) 의 가동부 (221) 의 하면으로부터, 연결부 (23) 의 내측의 면을 거쳐,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상면에 이르고, 돌기부 (214) 를 넘는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 (214) 를 넘은 복수의 도전로 (4) 중 일부의 도전로 (4) 는 제 1 돌출부 (215) 를 향하여 연장되고, 제 1 돌출부 (215) 의 하면에 이르고 (도 2, 도 3 참조), 복수의 도전로 (4) 중 나머지 도전로 (4) 는 제 2 돌출부 (216) 를 향하여 연장되어, 제 2 돌출부 (216) 의 하면에 이른다 (도 2, 도 3 참조). 도전로 (4) 는, 제 1 지지부 (21) 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와 가동부 (221) 사이에 삽입된 FPC (5) 의 단자부 (5A) (도 8 에는 FPC (5) 의 일방의 면의 단자부 (5A) 만이 나타나 있다) 에 접촉되는 접점부 (4A, 4B) 와, 프린트 배선 기판 (6) 의 패드 (도시 생략) 에 납땜되는 접속부 (4C, 4D) 를 갖는다. 접점부 (4A) 는 절연층 (3) 을 개재하여 돌기부 (224) 를 덮는 도전로 (4) 의 일부분이고, 접점부 (4B) 는 절연층 (3) 을 개재하여 돌기부 (214) 를 덮는 도전로 (4) 의 일부분이다. 제 1 지지부 (21) 측의 접점부 (4B) 는 커넥터 좌우 방향 (LR) 을 따라 배열되고 (도 4 참조), 제 2 지지부 (22) 측의 접점부 (4A) 는 커넥터 좌우 방향 (LR) 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 2 참조). 접속부 (4C) 는 제 1 돌출부 (215) 의 하면에 위치하는 도전로 (4) 의 일부분이고, 접속부 (4D) 는 제 2 돌출부 (216) 의 하면에 위치하는 도전로 (4) 의 일부분이다. 제 1 돌출부 (215) 측의 접속부 (4C) 는 커넥터 전후 방향 (FB) 을 따라 배열되고, 제 2 돌출부 (216) 측의 접속부 (4D) 는 커넥터 전후 방향 (FB) 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 3 참조).
다음으로, 커넥터 (1) 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탄성을 갖는 평판상의 금속판 (2) 의 일방의 면에 수지를 도포하여 절연층 (3)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절연층 (3) 상에 구리 박막을 적층하고, 그 후에, 에칭에 의해 도전 패턴 (복수의 도전로 (4)) 을 형성한다.
절연층 (3) 상에 도전로 (4) 를 형성한 후, 금속판 (2) 을 소정의 형상으로 타발한다.
다음으로, 굽힘 가공에 의해 제 1 돌출부 (215), 제 2 돌출부 (216), 및 위치 결정부 (217) 를 금속판 (2) 에 형성한다.
그 후, 굽힘 가공에 의해 유인부 (225), 로크편 (222), 및 돌기부 (214, 224) 를 금속판 (2) 에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금속판 (2) 전체를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 자형으로 구부린다.
다음으로, 커넥터 (1) 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프린트 배선 기판 (6) 상에 실장된 커넥터 (1) 에 FPC (5)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려면, 커넥터 (1) 의 수용 공간 (7) 에 FPC (5) 를 삽입하면 된다.
커넥터 (1) 의 수용 공간 (7) 에 FPC (5) 가 삽입되면, 먼저, FPC (5) 의 선단이 로크편 (222) 의 경사면 (222A) 에 접촉되고, 그 경사면 (222A) 을 밀어, 로크편 (222) 이 점차 상승하므로, 가동부 (221) 는 제 1 지지부 (21) 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커넥터 (1) 의 수용 공간 (7) 에 FPC (5) 를 삽입할 때, 수용 공간 (7) 의 입구에 대해 FPC (5) 의 선단이 FPC (5) 를 사이에 끼우는 방향 (UD) 이나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서 어긋나 있었다고 해도, 그 어긋남은 위치 결정부 (217) 에 의해 억제되고, FPC (5) 의 선단은 유인부 (225) 에 의해 수용 공간 (7) 으로 유인된다.
또, 로크편 (222) 은 접점부 (4A, 4B) 보다 전측에 배치되고, 연결부 (23) 를 지점으로 하여 FPC (5) 를 사이에 끼우는 방향 (UD) 으로 변위 가능한 제 2 지지부 (22) 의 자유단측 (커넥터 전후 방향 (FB) 의 전측) 에 로크편 (222) 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FPC (5) 의 선단을 접점부 (4A, 4B) 사이의 간극에 삽입하여 접점부 (4A, 4B) 사이의 간극을 넓히는 구성의 커넥터 (도시 생략) 와 비교하여, FPC (5) 의 작은 삽입력으로 가동부 (221) 를 제 1 지지부 (21) 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용 공간 (7) 에 FPC (5) 가 삽입되어 로크편 (222) 이 FPC (5) 에 얹혀졌을 때, 접점부 (4A, 4B) 사이의 간극이 FPC (5) 의 두께보다 커지므로, 커넥터 (1) 의 사용자는 FPC (5) 를 작은 삽입력으로 접점부 (4A, 4B)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FPC (5) 의 선단부가 완전히 수용 공간 (7) 에 삽입되면, 스프링부 (223) 의 복귀력에 의해, 로크편 (222) 이 FPC (5) 의 노치 (5B) (도 8 참조) 에 들어가, 가동부 (221) 가 제 1 지지부 (21) 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접점부 (4A, 4B) 사이의 간극도 작아지고, FPC (5) 는 접점부 (4A, 4B) 사이에 끼워져, FPC (5) 와 접점부 (4A) 사이, FPC (5) 와 접점부 (4B) 사이에 각각 소정의 접촉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FPC (5) 와 프린트 배선 기판 (6) 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커넥터 (1) 의 수용 공간 (7) 에 FPC (5) 의 선단부가 완전히 삽입되어 있을 때, 로크편 (222) 이 FPC (5) 의 노치 (5B) 에 들어가 있으므로, 어떠한 원인에 의해 FPC (5) 를 커넥터 (1) 로부터 잡아 빼는 힘이 발생했다고 해도, FPC (5) 의 스토퍼부 (5C) (도 8 참조) 가 로크편 (222) 의 스토퍼면 (222B) (도 6 참조) 에 부딪혀, FPC (5) 의 빠짐이 억제된다. 그 결과, FPC (5) 의 삽입 완료 상태가 유지된다.
이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에 의하면, 액추에이터가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FPC (5) 의 선단부를 커넥터 (1) 의 수용 공간 (7) 에 삽입하는 하나의 액션에 의해 FPC (5) 를 커넥터 (1) 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9 ∼ 도 22 에 나타내는 액추에이터 (1300) 를 구비하는 커넥터 (1100) 와 비교하여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한, 로크편 (222) 을 접점부 (4A, 4B) (돌기부 (224, 214) 보다 전측 (커넥터 전후 방향 (FB) 에서 전측) 에 배치했으므로, FPC (5) 의 선단부를 접점부 (4A, 4B) 사이의 간극에 밀어넣듯이 삽입하여 접점부 (4A, 4B) 사이의 간극을 넓히는 구성의 커넥터 (도시 생략) 와 비교하여, FPC (5) 의 삽입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삽입된 FPC (5) 에 의해 로크편 (222) 이 밀어 올려져 접점부 (4A, 4B) 사이의 간극이 커지므로, 접점부 (4A, 4B) 사이의 간극에 FPC (5) 를 삽입했을 때, 도전로 (4) 와 FPC (5) 의 단자부 (5A) 사이에 큰 접촉력이 발생하지 않아, 도전로 (4) 나 FPC (5) 의 단자부 (5A) 가 잘 마모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돌출부 (215) 및 제 2 돌출부 (216) 는 모두 통상으로 구부러져 있어 (도 1 참조), 어느 돌출부 (215, 216) 의 단면 형상도 완만한 곡선을 그리므로 (도 2 참조), 제 1 돌출부 (215) 및 제 2 돌출부 (216) 를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할 때, 제 1 지지부 (21) 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로부터 제 1 돌출부 (215) 및 제 2 돌출부 (216) 의 각각의 하면에 이르는 도전로 (4) 는 잘 파손되지 않는다.
또, 커넥터 전후 방향 (FB) 에 있어서의 제 1 돌출부 (215) 및 제 2 돌출부 (216) 의 길이를 각각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 있어서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폭의 2 분의 1 이상으로 하면, 그 만큼 접속부 (4C, 4D) 의 배열 피치를 접점부 (4A, 4B) 의 배열 피치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각 도전로 (4) 의 폭은 일정하고, 제 1 돌출부 (215) 측의 접속부 (4C) 의 수와 제 2 돌출부 (216) 측의 접속부 (4D) 의 수는 동일하다.
또한, 금속판 (2) 을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서 보았을 때 U 자형으로 구부렸으므로, 금속판을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서 보았을 때 S 자형으로 구부린 커넥터 (도시 생략) 와 비교하여, 커넥터를 저배화할 수 있다. 또,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하면에는 도전로 (4) 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도 19 ∼ 도 22 에 나타내는 커넥터 (1100) 와 비교하여, 커넥터를 저배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의 커넥터 (101) 를 도 10 ∼ 도 12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의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 의 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이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1 변형예의 커넥터 (101) 에서는,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제 2 지지부 (22) 와 대향하는 면의 일부분으로서, 커넥터 전후 방향 (FB) 에서 돌기부 (214) 보다 전측의 부분과, 제 1 돌출부 (215) 의 측면 (제 1 돌출부 (215) 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측의 측면) 과, 이 측면과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서 대향하는 제 2 돌출부 (216) 의 측면 (제 2 돌출부 (216) 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측의 측면) 에, 도전로 (4) 를 덮는 절연막 (303)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변형예의 커넥터 (101) 에 의하면, 도 1 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함께, 절연막 (303) 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 본체 (218) 등의 소정의 에어리어에 형성된 도전로 (4) 를 덮기 때문에, 프린트 배선 기판 (6) 을 갖는 전자 기기 (도시 생략) 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FPC (5) 를 커넥터 (101) 에 잘못하여 삽입해도, 커넥터 (101) 의 도전로 (4) 에 의한 FPC (5) 의 단자부 (5A)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FPC (5) 의 단자부 (5A) 에 의한 커넥터 (101) 의 도전로 (4)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커넥터 (101) 에 대한 FPC (5) 의 빼고 꽂음에 의한 도전로 (4) 의 손상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절연막 (303) 을 형성하는 에어리어에 대하여, 제 1 돌출부 (215) 의 측면 및 제 2 돌출부 (216) 의 측면의 어디에도 절연막 (303) 을 형성하지 않고,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제 2 지지부 (22) 와 대향하는 면의 일부분에만 절연막 (303) 을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제 2 지지부 (22) 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도전로 (4) 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FPC (5) 의 단자부 (5A) 사이의 단락이나 커넥터 (101) 의 도전로 (4)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의 커넥터 (201) 를 도 13 ∼ 도 18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의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 의 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이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 있어서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일단부에 제 1 돌출부 (215) 가 형성되고,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타단부에 제 2 돌출부 (216) 가 형성되어 있지만, 제 2 변형예의 커넥터 (201) 에서는, 도 13 ∼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 있어서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일단부에만 돌출부 (2216) 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타단부에는, 측벽부 (2215) 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 (2215) 는, 커넥터 (201) 에 삽입되는 FPC (5) 의 선단의 어긋남 (커넥터 좌우 방향 (LR) 의 어긋남) 을 억제한다.
측벽부 (2215) 와 돌출부 (2216) 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측의 측면과는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서 대향한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전후 방향 (FB) 에 있어서의 돌출부 (2216) 의 길이는,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 있어서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제 2 변형예에서는,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 있어서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돌출부 (2216) 의 하면에, 모든 접속부 (4D) 가 커넥터 전후 방향 (FB) 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또, 도 17,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도전로 (204) 의 폭은 일정하지 않고, 도전로 (204) 의 일부 (도전로 (204) 의 접점부 (4B) 와 접속부 (4D) 사이의 부분) 의 폭이 작아져 있다. 커넥터 전후 방향 (FB) 에 있어서의 돌출부 (2216) 의 길이를 커넥터 좌우 방향 (LR) 에 있어서의 제 1 지지부 본체 (218) 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하여, 접속부 (4D) 의 배열 피치를 접점부 (4A, 4B) 의 배열 피치와 거의 동일하게 하였다.
제 2 변형예의 커넥터 (201) 에 의하면, 도 1 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변형예에서는, 로크편 (222) 이 역점부와 로크부를 겸하지만, 역점부와 로크부를 구분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가동부 (221) 를 제 1 지지부 (21)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접점부 (4A, 4B)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위한 전용 역점부 (도시 생략) 를 커넥터의 전후 방향 (FB) 에서 전측에 형성하고, FPC (5) 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용 로크부 (도시 생략) 를 커넥터의 전후 방향 (FB) 에서 후측에 형성하도록 하여, 커넥터의 전후 방향 (FB) 에서 역점부 (도시 생략) 와 로크부 (도시 생략) 를 나열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변형예에서는, 제 1 지지부 (21) 와 제 2 지지부 (22) 의 양방에 돌기부 (214, 224) 를 형성했지만, 제 1 지지부 (21) 에만 돌기부 (214) 를 형성해도 되고, 제 2 지지부 (22) 에만 돌기부 (224) 를 형성해도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설명이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20)

  1. 판상 접속 대상물과 다른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도록 지지하는 금속판으로서,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실장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에 연결부를 개재하여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는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와 대향하는 가동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가동부 사이에 삽입된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에 상기 가동부를 누르는 스프링부와,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이 상기 스프링부의 복귀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가동부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가동부의 간격을 넓히고,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부의 복귀력에 의해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 1 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역점부를 갖는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형성된 복수의 도전로로서, 각각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가동부 사이에 삽입된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단자부에 접촉되는 접점부와,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는 복수의 도전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가동부 사이에 삽입된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에 상기 접점부를 누르는 돌기부가,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가,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는 방향 및 커넥터 전후 방향의 양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는 방향에서 상기 제 2 지지부와 대향하고,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 상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 본체와, 상기 제 1 지지부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직교 방향에서 상기 역점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접속부가, 상기 돌출부에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직교 방향에서 상기 제 1 지지부 본체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로 중 일부의 상기 도전로의 상기 접속부가, 일방의 상기 돌출부에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로 중 나머지 상기 도전로의 상기 접속부가, 타방의 상기 돌출부에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점부는,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에서 상기 돌기부보다 전측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점부는,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에서 상기 돌기부보다 전측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다른 판상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도록 통상으로 구부러져 있는 커넥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다른 판상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도록 통상으로 구부러져 있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 본체의 상기 제 2 지지부와 대향하는 면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에서 상기 돌기부보다 전측의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도전로가 절연막에 의해 덮여 있는 커넥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 본체의 상기 제 2 지지부와 대향하는 면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에서 상기 돌기부보다 전측의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도전로가 절연막에 의해 덮여 있는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이,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1 지지부 본체측의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도전로도 덮고 있는 커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이,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1 지지부 본체측의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도전로도 덮고 있는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제 1 지지부 본체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는 방향 및 상기 직교 방향의 양 방향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커넥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커넥터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제 1 지지부 본체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는 방향 및 상기 직교 방향의 양 방향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커넥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의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부를 갖는 커넥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의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부를 갖는 커넥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는 상기 역점부를 겸하는 커넥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는 상기 역점부를 겸하는 커넥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측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측의 상기 돌기부가,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는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는 커넥터.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측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측의 상기 돌기부가,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사이에 끼우는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는 커넥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 상기 제 2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 상기 제 2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140061582A 2013-06-11 2014-05-22 커넥터 KR101624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22340 2013-06-11
JP2013122340A JP6016244B2 (ja) 2013-06-11 2013-06-1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646A true KR20140144646A (ko) 2014-12-19
KR101624397B1 KR101624397B1 (ko) 2016-05-25

Family

ID=5200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582A KR101624397B1 (ko) 2013-06-11 2014-05-22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56373B2 (ko)
JP (1) JP6016244B2 (ko)
KR (1) KR101624397B1 (ko)
CN (1) CN1042418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5624B (zh) * 2016-05-09 2020-02-0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和柔性电路板的连接固定装置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I828624B (zh) 2017-06-13 2024-01-11 美商山姆科技公司 電連接器系統及其使用方法
USD964291S1 (en) 2017-07-21 2022-09-20 Samtec, Inc. Electrical connector
TWI838341B (zh) 2017-07-21 2024-04-11 美商山姆科技公司 鎖扣、第一電連接器、電連接器系統,以及將電連接器配合和脫開的方法
AU2017434549B2 (en) * 2017-09-28 2022-01-06 Oxford Nanopore Technologies Plc Kit of first and second parts adapted for connection to each other
JP6942038B2 (ja) * 2017-12-05 2021-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D896183S1 (en) 2018-01-08 2020-09-15 Samtec, Inc. Electrical cabl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2538A (en) * 1967-09-07 1970-01-27 Thomas & Betts Corp Removable stack interconnection system
US4111510A (en) * 1976-01-29 1978-09-05 Hughes Aircraft Company Flexible circuit/flat cable to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for electronic wrist watches, calculators and the like
US4348071A (en) * 1980-06-11 1982-09-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Printed circuit connector
US4911643A (en) * 1988-10-11 1990-03-27 Beta Phase, Inc. High density and high signal integrity connector
US4938702A (en) * 1989-09-22 1990-07-03 Key Tronic Corporation Connector clamp for attaching flat electrical conductor leads to printed wiring boards
US5186632A (en) * 1991-09-20 1993-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elastomeric mounting and interconnection technology
JP2784169B2 (ja) * 1995-12-12 1998-08-06 山一電機株式会社 両面接触形接続器
FR2814858B1 (fr) * 2000-10-02 2002-12-20 Cit Alcatel Connecteur a ressort pour la connexion electrique de pistes d'un ecran d'affichage avec un circuit electrique
JP2002175855A (ja) * 2000-12-08 2002-06-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4276883B2 (ja) * 2003-04-30 2009-06-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構造
US7238032B2 (en) * 2003-10-29 2007-07-03 Fci Connector arrangement between a flat flex cable and a component
JP4240499B2 (ja) * 2006-02-09 2009-03-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接続部材
JP4514802B2 (ja) * 2008-02-05 2010-07-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982770B2 (ja) * 2009-12-04 2012-07-2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433481B2 (ja) 2010-03-29 2014-03-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151021A (ja) * 2011-01-20 2012-08-09 D D K Ltd コネクタ
JP5729553B2 (ja) * 2011-03-23 2015-06-03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016127B1 (ja) * 2011-07-05 2012-09-05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64426B2 (ja) * 2011-08-10 2015-08-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US8851918B2 (en) * 2012-08-27 2014-10-07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utomatic lock member
JP6008783B2 (ja) * 2013-04-03 2016-10-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41191A (ja) 2014-12-25
JP6016244B2 (ja) 2016-10-26
CN104241894B (zh) 2016-08-17
KR101624397B1 (ko) 2016-05-25
CN104241894A (zh) 2014-12-24
US20140364017A1 (en) 2014-12-11
US9356373B2 (en)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397B1 (ko) 커넥터
KR101202637B1 (ko) 콘택트의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가 제공된 기판 커넥터
KR20160117228A (ko) 커넥터
JP6008783B2 (ja) コネクタ
JP7208115B2 (ja) コネクタ
JP2013038007A (ja) 基板用コネクタ
KR100621392B1 (ko)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TWI415344B (zh) 浮動型連接器
KR20010021189A (ko)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JPH0152871B2 (ko)
JP2013012307A (ja) コネクタ
US9755339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flat circuit body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KR102143973B1 (ko) 커넥터
JP2002050423A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20068060A (ja) コネクタ
JP5216505B2 (ja) 位置決め部材、及び、位置決め構造
JP2011108483A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8022682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WO2020044654A1 (ja) コネクタ
JP4053515B2 (ja) コネクタ
JP2006048950A (ja) コネクタ
JP2009021026A (ja) コネクタ
JP2005005013A (ja)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装置
JP2003132982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