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576A - 도전막 형성 방법 및 소결 진행제 - Google Patents

도전막 형성 방법 및 소결 진행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576A
KR20140131576A KR20147027741A KR20147027741A KR20140131576A KR 20140131576 A KR20140131576 A KR 20140131576A KR 20147027741 A KR20147027741 A KR 20147027741A KR 20147027741 A KR20147027741 A KR 20147027741A KR 20140131576 A KR20140131576 A KR 20140131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tering
copper
conductive film
lay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 카와토
유스케 마에다
토미오 쿠도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하라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1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2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08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2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layers
    • B22F7/04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layers with one or more layers not made from powder, e.g. made from soli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6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workpieces or articles from parts, e.g. to form tipped tools
    • B22F7/08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workpieces or articles from parts, e.g. to form tipped tools with one or more parts not made from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26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ducting or semi-conducting layers, e.g. deposition of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using irradi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08Pretreatment of the circuit board, e.g. modifying wetting properties; Patterning by using affinity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202/00Treatment under specific physical conditions
    • B22F2202/11Use of irradi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1Treatm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e.g. heating, cooling, roughening
    • H05K2203/1157Using means for chemical redu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83After-treatment of the printed patterns, e.g. sintering or curing methods

Abstract

광소결을 이용한 도전막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전기저항이 낮은 도전막을 용이하게 형성한다. 도전막 형성 방법은, 광소결을 이용하여 도전막(5)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소결 진행제(2)로 이루어지는 층(22)을 기판 위에 형성하는 공정과, 구리 미립자 분산액으로 이루어지는 액막(3)을 소결 진행제(2)의 층(22) 위에 성막하는 공정과, 액막(3)을 건조하여 구리 미립자층(4)을 형성하는 공정과, 구리 미립자층(4)을 광소결하는 공정을 가진다. 소결 진행제(2)는, 금속 구리로부터 구리 산화물을 제거하는 화합물이다. 이에 의해, 광소결에 있어서 소결 진행제(2)가 구리 미립자(31)의 표면 산화 피막을 제거한다.

Description

도전막 형성 방법 및 소결 진행제{METHOD FOR FORMING CONDUCTIVE FILM AND SINTERING PROMOTER}
본 발명은, 광소결을 이용한 도전막 형성 방법 및 그 도전막 형성법에 있어서 광소결을 진행시키는 소결 진행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구리박(銅箔)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를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기판 위에 형성한 프린트 기판이 있다. 포토리소그래피는, 구리박을 에칭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여, 에칭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처리 등에 비용이 든다.
에칭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술로서, 구리 미립자(구리 나노 입자)를 분산매 중에 함유하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구리 잉크)을 사용하여 기판 위에 도전막(도전성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방법에서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액막이 기판 위에 성막되고, 그 액막이 건조되어, 구리 미립자층이 형성된다. 구리 미립자층은, 광 조사에 의해 광소결되어, 전기저항이 낮은 도전막이 형성된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광소결에 있어서 조사하는 광 에너지를 크게 해도 광소결이 충분히 진행하지 않고, 그 결과, 전기저항이 낮은 도전막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출원 제US2008/0286488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광소결을 이용한 도전막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전기저항이 낮은 도전막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전막 형성 방법은, 광소결을 이용하여 도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소결 진행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기판 위에 형성하는 공정과, 구리 미립자 분산액으로 이루어지는 액막을 소결 진행제의 상기 층 위에 성막하는 공정과, 상기 액막을 건조하여 구리 미립자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구리 미립자층을 광소결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소결 진행제는, 금속 구리로부터 구리 산화물을 제거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도전막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결 진행제는, 아미드류, 이미드류, 케톤류, 우레탄류, 티오에테르류, 카르본산류 및 인산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전막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결 진행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및 히드록시에틸리덴디포스폰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전막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결 진행제는, 알코올류, 당류, 알데히드류, 히드라진류, 퀴논류, 페놀류 및 아민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어도 된다.
이 도전막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결 진행제는,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로퀴논 및 실란커플링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소결 진행제는, 상기의 도전막 형성 방법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소결에 있어서, 소결 진행제가 구리 미립자의 표면 산화 피막을 제거하므로, 표면 산화 피막이 제거된 구리 미립자가 소결되어 구리 미립자층이 벌크화되어, 전기저항이 낮은 도전막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도 1(a)∼(f)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도전막 형성 방법을 따르는 도전막의 형성을 시계열 순서로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도전막 형성 방법을 도 1(a)∼(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1) 위에 소결 진행제(2)를 함유하는 용액(21)이 도포된다.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용액(21)의 용매가 건조되어, 소결 진행제(2)로 이루어지는 층(22)이 형성된다.
기판(1)은, 기재(基材)를 판상(板狀)으로 성형한 것이다. 기재는, 유리, 수지, 세라믹스, 실리콘 웨이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결 진행제(2)는, 금속 구리로부터 구리 산화물을 제거하는 화합물이다. 소결 진행제(2)는, 예를 들면, 아미드류, 이미드류, 케톤류, 우레탄류, 티오에테르류, 카르본산류 또는 인산류이며, 아미드류의 폴리비닐피롤리돈, 이미드류의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우레탄류의 폴리우레탄 수지, 티오에테르류의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인산류의 히드록시에틸리덴디포스폰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소결 진행제(2)는, 구리 산화물을 에칭에 의해 금속 구리로부터 제거된다고 생각된다.
소결 진행제(2)는, 알코올류, 당류, 알데히드류, 히드라진류, 퀴논류, 페놀류 또는 아민류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알코올류의 폴리비닐알코올, 퀴논류의 히드로퀴논, 아민류의 실란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소결 진행제(2)는, 구리 산화물을 환원함으로써 금속 구리로부터 제거된다.
이와 같은 소결 진행제(2)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2 종류 이상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도 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으로 이루어지는 액막(3)이 소결 진행제(2)의 층(22) 위에 성막된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구리 미립자(31)가 액중에 분산된 액체이며, 구리 미립자(31)와, 분산매와, 분산제를 가진다. 구리 미립자(31)는, 예를 들면, 중심 입자경이 1nm 이상 100nm 미만의 구리 나노 입자이다. 분산매는, 구리 미립자(31)를 함유하는 액상의 매체이다. 분산제는, 구리 미립자(31)를 분산매 중에서 분산시킨다. 구리 미립자(31)는,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입자 표면이 산화되기 때문에, 얇은 표면 산화막으로 덮여 있다.
액막(3)은, 예를 들면, 인쇄법으로 성막된다. 인쇄법에서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이 인쇄용의 잉크로서 사용되고, 인쇄 장치에 의해 소결 진행제(2)의 층(22) 위에 소정의 패턴이 인쇄되어, 그 패턴의 액막(3)이 성막된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잉크로서 사용되는 점에서, 구리 잉크라고도 불린다. 소결 진행제(2)는, 액막(3)과의 접촉에 의해, 액막(3) 내로 용출된다.
다음으로, 액막(3)이 건조된다. 도 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막(3)의 건조에 의해, 구리 미립자(31) 및 소결 진행제(2)가 기판(1) 위에 남아, 구리 미립자(31)로 이루어지는 구리 미립자층(4)이 기판(1) 위에 형성된다. 구리 미립자층(4)에 있어서의 구리 미립자(31)의 표면은, 소결 진행제(2)와 접촉된다. 또한, 도 1(e)에서는, 소결 진행제(2)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다음으로, 구리 미립자층(4)에 광이 조사되어, 구리 미립자층(4)이 광소결 된다. 광소결은, 대기 하, 실온에서 실시된다. 광소결에 사용되는 광원은, 예를 들면, 크세논램프이다. 광원에 레이저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광소결에 있어서, 구리 미립자(31)의 표면 산화 피막이 제거됨과 동시에, 구리 미립자(31)가 소결되어, 구리 미립자층(4)이 벌크화된다. 도 1(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리 미립자층(4)의 벌크화에 의해 도전막(5)이 형성된다.
종래, 광소결에 있어서, 구리 미립자(31)의 표면 산화 피막은, 광 에너지에 의한 광환원 반응에 의해 구리로 환원되어 제거된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발명자가 실시한 실험에 의하면,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 따라서는, 광소결에 있어서 조사하는 광 에너지를 크게 해도, 구리 미립자층(4)의 벌크화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또한, 구리 미립자층(4)에 조사하는 광 에너지가 너무 크면, 구리 미립자층(4)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광소결에 있어서 조사하는 광 에너지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원발명의 발명자는, 광 에너지만으로는 구리 미립자(31)의 표면 산화 피막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광소결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구리 미립자층(4)의 벌크화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했다.
본원발명의 발명자는, 금속 구리로부터 구리 산화물을 제거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광소결을 진행시키는 것을 실험에 의해 발견했다. 본 실시형태의 도전막 형성 방법에서는, 소결 진행제(2)는, 금속 구리로부터 구리 산화물을 제거하는 화합물이며, 구리 미립자(31)의 표면 산화 피막을 제거한다. 소결 진행제(2)가 구리 미립자(31)로부터 구리 산화물을 제거하는 화학반응은, 구리 미립자층(4)에의 광 조사에 의해 촉진된다. 표면 산화 피막이 제거된 구리 미립자(31)가 광 에너지로 소결됨으로써, 구리 미립자층(4)이 벌크화되어, 도전성의 도전막(5)이 형성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도전막 형성 방법에 의하면, 광소결에 있어서, 소결 진행제(2)가 구리 미립자(31)의 표면 산화 피막을 제거하므로, 표면 산화 피막이 제거된 구리 미립자(31)가 소결되어 구리 미립자층(4)이 벌크화되어, 전기저항이 낮은 도전막(5)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소결 진행제(2)가 구리 산화물을 에칭하는 것인 경우, 구리 미립자(31)의 표면 산화 피막이 에칭에 의해 제거된다.
소결 진행제(2)가 구리 산화물을 환원하는 것인 경우, 구리 미립자(31)의 표면 산화 피막이 환원에 의해 제거된다.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도전막 형성 방법을 사용하여 도전막(5)을 형성하고, 형성된 도전막(5)에 관하여 전기저항을 측정했다.
실시예 1
기판(1)으로서 무알칼리 유리를 사용했다. 소결 진행제(2)로서 아미드류의 폴리비닐피롤리돈(분자량 630000)을 사용하고, 물을 용매로 하여, 소결 진행제(2)를 함유하는 용액을 만들었다. 소결 진행제(2)의 농도는, 10%로 했다. 이 용액을 기판(1) 위에 소정의 막두께가 되도록 스핀 코트법에 의해 도포했다. 용액 중의 용매를 건조하기 위해, 용액을 도포한 기판(1)을 대기 분위기 하 100℃∼25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소결 진행제의 층(22)을 형성했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이시하라야쿠힌 가부시키가이샤 제, 상품명 「CJ-0104」)을 소결 진행제의 층(22) 위에 소정의 막두께가 되도록 스핀 코트법에 의해 도포했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도포한 기판(1)을 대기 분위기 하 100℃에서 30분간 건조한 후, 크세논램프를 사용한 플래시 조사 장치로 광소결을 실시하여 시험 기판을 만들었다. 이 광소결에 있어서의 광조사는, 0.5J/cm2∼30J/cm2의 에너지 범위에서 0.1ms∼10ms의 시간 실시했다. 구리 미립자층(4)은, 광소결 전에 흑색이며, 1회의 광조사에 의한 광소결 후에 표면이 구리색이 되었다. 구리색은 벌크 구리의 색이며, 광소결에 의한 색 변화로부터, 구리 미립자층(4)이 벌크화하여 도전막(5)이 형성된다는 것을 알았다. 복수회의 광조사는 불필요했다. 시험 기판 위의 도전막(5)의 시트 저항은, 200mΩ/□라는 낮은 값이었다.
실시예 2
소결 진행제(2)로서 아미드이미드류의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를 사용하고,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용매로 하여, 소결 진행제(2)를 함유하는 용액을 만들었다. 소결 진행제(2)의 농도는, 10%로 했다.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 기판을 만들었다. 구리 미립자층(4)은, 광소결 전에 흑색이며, 1회의 광조사에 의한 광소결 후에 표면이 구리색이 되었다. 시험 기판 위의 도전막(5)의 시트 저항은, 280mΩ/□라는 낮은 값이었다.
실시예 3
소결 진행제(2)로서 아민류의 실란커플링제(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를 사용하고, 물을 용매로 하여, 소결 진행제(2)를 함유하는 용액을 만들었다. 소결 진행제(2)의 농도는, 1%로 했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시험 기판을 만들었다. 구리 미립자층(4)은, 광소결 전에 흑색이며, 1회의 광조사에 의한 광소결 후에 표면이 구리색이 되었다. 시험 기판 위의 도전막(5)의 시트 저항은, 200mΩ/□였다.
실시예 4
소결 진행제(2)로서 다른 실란커플링제(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사용하고, 물을 용매로 하여, 소결 진행제(2)를 함유하는 용액을 만들었다. 소결 진행제(2)의 농도는, 1%로 했다. 그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 기판을 만들었다. 구리 미립자층(4)은, 광소결 전에 흑색이며, 1회의 광조사에 의한 광소결 후에 표면이 구리색이 되었다. 시험 기판 위의 도전막(5)의 시트 저항은, 200mΩ/□였다.
실시예 5
소결 진행제(2)로서 알코올류의 폴리비닐알코올(분자량 2000)을 사용하고, 물을 용매로 하여, 소결 진행제(2)를 함유하는 용액을 만들었다. 소결 진행제(2)의 농도는, 10%로 했다. 그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시험 기판을 만들었다. 구리 미립자층(4)은, 광소결 전에 흑색이며, 1회의 광조사에 의한 광소결 후에 표면이 구리색이 되었다. 시험 기판 위의 도전막(5)의 시트 저항은, 300mΩ/□였다.
실시예 6
소결 진행제(2)로서 우레탄류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고,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용매로 하여, 소결 진행제(2)를 함유하는 용액을 만들었다. 소결 진행제(2)의 농도는, 35%로 했다. 그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시험 기판을 만들었다. 구리 미립자층(4)은, 광소결 전에 흑색이며, 1회의 광조사에 의한 광소결 후에 표면이 구리색이 되었다. 시험 기판 위의 도전막(5)의 시트 저항은, 250mΩ/□였다.
실시예 7
소결 진행제(2)로서 티오에테르류의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를 사용하고, 2-프로판올을 용매로 하여, 소결 진행제(2)를 함유하는 용액(분산액)을 만들었다. 소결 진행제(2)의 농도는, 1%로 했다. 그 이외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 기판을 만들었다. 구리 미립자층(4)은, 광소결 전에 흑색이며, 1회의 광조사에 의한 광소결 후에 표면이 구리색이 되었다. 시험 기판 위의 도전막(5)의 시트 저항은, 170mΩ/□였다.
실시예 8
소결 진행제(2)로서 인산류의 히드록시에틸리덴디포스폰산을 사용하고, 물을 용매로 하여, 소결 진행제(2)를 함유하는 용액을 만들었다. 소결 진행제(2)의 농도는, 49%로 했다. 그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 기판을 만들었다. 구리 미립자층(4)은, 광소결 전에 흑색이며, 1회의 광조사에 의한 광소결 후에 표면이 구리색이 되었다. 시험 기판 위의 도전막(5)의 시트 저항은, 150mΩ/□였다.
실시예 9
소결 진행제(2)로서 퀴논류의 히드로퀴논을 사용하고,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용매로 하여, 소결 진행제(2)를 함유하는 용액을 만들었다. 소결 진행제(2)의 농도는, 10%로 했다. 그 이외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 기판을 만들었다. 구리 미립자층(4)은, 광소결 전에 흑색이며, 1회의 광조사에 의한 광소결 후에 표면이 구리색이 되었다. 시험 기판 위의 도전막(5)의 시트 저항은, 300mΩ/□였다.
상기와 같이, 소결 진행제(2)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저항이 낮은 도전막(5)이 형성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판(1)의 표면 형상은, 평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면이나 복수의 평면의 조합이어도 된다.
1 기판
2 소결 진행제
3 액막
31 구리 미립자
4 구리 미립자층
5 도전막

Claims (6)

  1. 광소결을 이용하여 도전막을 형성하는 도전막 형성 방법으로서,
    소결 진행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기판 위에 형성하는 공정과,
    구리 미립자 분산액으로 이루어지는 액막을 소결 진행제의 상기 층 위에 성막하는 공정과,
    상기 액막을 건조하여 구리 미립자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구리 미립자층을 광소결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소결 진행제는, 금속 구리로부터 구리 산화물을 제거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진행제는, 아미드류, 이미드류, 케톤류, 우레탄류, 티오에테르류, 카르본산류 및 인산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 형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진행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및 히드록시에틸리덴디포스폰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 형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진행제는, 알코올류, 당류, 알데히드류, 히드라진류, 퀴논류, 페놀류 및 아민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 형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진행제는,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로퀴논 및 실란커플링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 형성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전막 형성 방법에 사용되는 소결 진행제.
KR20147027741A 2012-07-03 2013-02-28 도전막 형성 방법 및 소결 진행제 KR201401315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9011 2012-07-03
JP2012149011A JP5283291B1 (ja) 2012-07-03 2012-07-03 導電膜形成方法及び焼結進行剤
PCT/JP2013/055416 WO2014006933A1 (ja) 2012-07-03 2013-02-28 導電膜形成方法及び焼結進行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576A true KR20140131576A (ko) 2014-11-13

Family

ID=4927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7741A KR20140131576A (ko) 2012-07-03 2013-02-28 도전막 형성 방법 및 소결 진행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030784A1 (ko)
EP (1) EP2871644A4 (ko)
JP (1) JP5283291B1 (ko)
KR (1) KR20140131576A (ko)
CN (1) CN104303243B (ko)
TW (1) TWI505298B (ko)
WO (1) WO2014006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5498B1 (ja) * 2012-07-03 2013-08-28 石原薬品株式会社 導電膜形成方法及び焼結進行剤
KR101785350B1 (ko) * 2014-07-18 2017-10-17 한국화학연구원 광소결을 이용한 전도성 금속박막의 제조방법
JP2018003068A (ja) * 2016-06-29 2018-01-11 Dic株式会社 金属ナノ粒子焼結膜の製造方法
US20200385587A1 (en) * 2018-03-28 2020-12-10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Conductive film format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film
US20230300980A1 (en) * 2020-07-09 2023-09-21 The University Of Hong Kong Non-immersive dry sintering strategy for realizing decent metal based electrodes
CN112524983B (zh) * 2020-10-31 2022-06-14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提高均温板传热效率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1813A (en) * 1967-10-03 1969-06-24 Monsanto Co Method of making printed circuits
JP2005177710A (ja) * 2003-12-24 2005-07-07 Seiko Epson Corp 導電性膜の形成方法及び形成装置、並びに配線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609846B2 (ja) * 2005-03-25 2011-01-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金属焼成体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金属粒子焼成用材料並びにそれにより得られる配線パターン
US10231344B2 (en) * 2007-05-18 2019-03-12 Applied Nanotech Holdings, Inc. Metallic ink
US20100000762A1 (en) * 2008-07-02 2010-01-07 Applied Nanotech Holdings, Inc. Metallic pastes and inks
JPWO2010032841A1 (ja) * 2008-09-19 2012-02-16 旭硝子株式会社 導電性フィラー、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導電膜を有する物品
JP5308768B2 (ja) * 2008-10-14 2013-10-09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透明導電膜の形成方法
WO2010044904A1 (en) * 2008-10-17 2010-04-22 Ncc Nano, Llc Method for reducing thin films on low temperature substrates
EP2411560A1 (en) * 2009-03-24 2012-02-01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Ltd. Process for sintering nanoparticles at low temperatures
KR101651932B1 (ko) * 2009-10-26 2016-08-30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카르복실산을 이용한 전도성 금속 박막의 제조방법
JP2011192947A (ja) * 2010-03-17 2011-09-29 Hitachi Cable Ltd 焼結層の製造方法及び構造体
JP2011252202A (ja) * 2010-06-02 2011-12-15 Hitachi Cable Ltd ナノ粒子焼結膜の成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05298B (zh) 2015-10-21
JP5283291B1 (ja) 2013-09-04
EP2871644A1 (en) 2015-05-13
US20150030784A1 (en) 2015-01-29
WO2014006933A1 (ja) 2014-01-09
EP2871644A4 (en) 2016-06-15
CN104303243B (zh) 2018-04-17
TW201405588A (zh) 2014-02-01
JP2014011412A (ja) 2014-01-20
CN104303243A (zh)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272B1 (ko) 도전막 형성 방법 및 소결 진행제
KR20140131576A (ko) 도전막 형성 방법 및 소결 진행제
KR101840917B1 (ko) 구리 미립자 분산액, 도전막 형성 방법 및 회로 기판
TWI425893B (zh) 銅配線圖案形成方法以及該方法所使用的氧化銅粒子分散液
TWI530963B (zh) Sheet-like silver microparticle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paste using the same and a paste
CN105210156A (zh) 铜微粒分散体、导电膜形成方法以及电路板
JP2008243946A (ja) 導電性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277751B2 (ja) 銅粒子分散ペースト、及び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
JP6562196B2 (ja) 銅微粒子焼結体と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
JP2012174374A (ja) 導電性塗膜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塗膜
JP2009088122A (ja) 導電性基板
JP2011258646A (ja) プリント配線板用基板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用基板の製造方法
JP3951722B2 (ja) 導電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8105B1 (ko) 배선 형성 방법
KR101161968B1 (ko) 전도성 향상액 및 이를 이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도전배선을 형성하는 방법
JP2020113654A (ja) 金属層形成基板の製造方法
JP5354037B2 (ja) 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
JP2017228556A (ja) 電極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2043723A (ja) 金属配線の製造方法及びキット
JP6111587B2 (ja) 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
JP2012204468A (ja) 銅配線の形成方法、配線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配線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