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285A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285A
KR20140127285A KR1020147023929A KR20147023929A KR20140127285A KR 20140127285 A KR20140127285 A KR 20140127285A KR 1020147023929 A KR1020147023929 A KR 1020147023929A KR 20147023929 A KR20147023929 A KR 20147023929A KR 20140127285 A KR20140127285 A KR 20140127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body
contact
elastic member
conductive elastic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501B1 (ko
Inventor
마사루 모리모토
토모유키 와시즈
타케카즈 코모리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18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subsequent sli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2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38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spring or other flexible shaf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with spring blade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88Actuators actuable from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0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friction, toothed, or screw-and-nut gea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cam or eccentric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조작체(30)와,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오목개소(11)에 수납되고, 피구동부(44, 44a, 44b)와 조작체(30)의 구동부(33)로부터 피구동부(44, 44a, 44b)에의 입력에 의해 신축 가능한 신축부(43a, 43b)를 갖는 가동접촉부(42a, 42b), 및 고정접촉부(41a, 41b)가 마련된 도전탄성부재(42a, 42b)를 구비하고, 가동접점(45a, 45b)이 제1 고정전극(21, 22)에 대해 개리하고 있는 제1 위치에서, 조작체(30)에 부하를 가하면, 조작체(30)를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도전탄성부재(42a, 42b)의 신축부(43a, 43b)가 압축 상태이고 가동접점(45a, 45b)이 제1 고정전극(21, 22)에 대해 접촉하고 있는 제2 위치에서, 조작체(30)에 대한 부하를 제거하면,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 자동 복귀시킨다. 박형화 및 부품 개수의 삭감을 실현한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 특히, 박형으로 부품 개수가 적은 휴대 전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용 초소형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고정접점이 마련된 원환(圓環)형상의 오목부의 저면에서 돌출하는 축부를 갖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오목부에 수납되고 조작체를 갖는 원환형상의 회전 핸들체와, 상기 하우징의 오목부의 축부에 삽입되는 개략 환형상의 복귀용 스프링체와, 상기 하우징의 축부와 상기 회전 핸들체의 내주면 사이의 구멍간에 배치된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촉 스프링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스위치에서는, 회전 핸들체나 복귀용 스프링체로서 사용하는 코일 스프링의 체적의 비율이 스위치 전체에 대해 크고, 스위치의 소형화가 곤란하였다.
특히, 가동접촉 스프링이 하우징의 오목부와 복귀용의 스프링체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동접촉 스프링의 가동접점과, 오목부의 고정접점으로 구성되는 접점 구조에 의해 스위치의 두께가 커지고, 스위치 탑재 제품의 박형화가 곤란하였다.
또한, 스위치를 구성하기 위해, 하우징, 회전 핸들체, 복귀용 스프링체, 및 가동접촉 스프링을 필요로 하여, 부품 개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특개2004-362979호 공보
본 발명은, 박형화 및 부품 개수의 삭감을 실현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스위치는, 조작부 및 구동부가 마련된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내측면에 배치된 제1 고정전극 및 제2 고정전극을 갖는 오목개소가 마련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오목개소에 수납되고, 상기 조작체의 구동부로 구동되는 피구동부와 그 피구동부에의 입력에 의해 신축 가능한 신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전극과 접속 가능한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촉부와, 상기 제2 고정전극과 접속 가능한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접촉부가 마련된 도전탄성부재(導電彈性部材)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1 고정전극에 대해 개리(開離)하고 있는 제1 위치와, 상기 도전탄성부재의 신축부가 압축 상태이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1 고정전극에 대해 접촉하고 있는 제2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조작체에 부하를 가하면, 상기 조작체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조작체에 대한 부하를 제거하면, 상기 조작체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조작부 및 구동부가 마련된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내측면에 배치된 제1 고정전극 및 제2 고정전극을 갖는 오목개소가 마련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오목개소에 수납되고, 상기 조작체의 구동부로 구동되는 피구동부와 그 피구동부에의 입력에 의해 신축 가능한 신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전극과 접속 가능한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촉부와, 상기 제2 고정전극과 접속 가능한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접촉부가 마련된 도전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1 고정전극에 대해 접촉하고 있는 제1 위치와, 상기 도전탄성부재의 신축부가 압축 상태이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1 고정전극에 대해 개리하고 있는 제2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조작체에 부하를 가하면, 상기 조작체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조작체에 대한 부하를 제거하면, 상기 조작체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점 구조와 스프링 구조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하고, 도전탄성부재를 베이스의 오목개소에 수납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치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위치 탑재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고, 전자 기기 등의 박형화가 용이해진다.
또한, 고정접촉부와 가동접촉부를 일체 성형하여 도전탄성부재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조 비용이나 조립 공수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도전탄성부재는, 전기주조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접촉부와, 상기 신축부와, 상기 피구동부와, 상기 가동접촉부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전탄성부재를 전기주조법으로 제조하고, 고정접촉부와, 신축부와, 피구동부와, 가동접촉부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함에 의해, 두께가 얇은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동일 평면상에 배치」란 고정접촉부, 신축부, 피구동부, 가동접촉부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때에 각 부분의 두께가 같은 것을 의미하지만,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가 달라도 좋고, 각 부분의 신축이나 동작의 방향이 동일 평면상에 있으면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조작체 및 상기 도전탄성부재의 윗면이, 상기 베이스의 윗면과 같은 높이(面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베이스의 두께에 의존한 크기로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위치에 대해 상기 제2 위치와 반대측에, 상기 도전탄성부재의 신축부가 상기 조작체를 상기 제1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압축 상태이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1 고정전극에 대해 접촉한 제3 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위치를 회동 범위의 중간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위치로부터의 최대 스트로크를 단축 가능하고, 또한, 3종류의 모드를 할당 가능한 자동 복귀형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위치에 대해 상기 제2 위치와 반대측에, 상기 도전탄성부재의 신축부가 상기 조작체를 상기 제1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압축 상태이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1 고정전극에 대해 개리하는 제3 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위치를 회동 범위의 중간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위치로부터의 최대 스트로크를 단축 가능하고, 또한, 3종류의 모드를 할당 가능한 자동 복귀형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전탄성부재는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품 개수, 조립 공수를 삭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작체의 구동부 및 상기 도전탄성부재의 피구동부는 치차(齒車) 기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체의 구동부의 구동력을 도전탄성부재의 피구동부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B)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의 제1 실시 형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스위치의 커버를 벋긴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스위치의 전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스위치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스위치의 커버를 벋긴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스위치의 전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9(A) 및 (B)는 제3 실시 형태의 스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 및 (B)는 제4 실시 형태의 스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 및 (B)는 제5 실시 형태의 스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스위치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2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조작체(30)와, 도전탄성부재(40)와, 커버(5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 "하" "좌" "우"라는 용어는,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기 위해 편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고, 부착의 배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베이스(10)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윗면에 ㄷ자형상의 외주연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후술하는 도전탄성부재(40)를 수납하는 수납용 오목개소(이하, 오목개소라고 한다.)(1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외주연부는, 하측 외주연부(12), 좌측 외주연부(13), 및 우측 외주연부(14)로 이루어져 있고, 개구(15)가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개구(15)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조작체(30)의 구멍(32)을 감합하는 축부(지지부1)6을 마련함과 함께, 상기 축부(16)의 양측에 조작체(30)의 축부(16) 주위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17, 17)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오목개소(11)에는, 후술하는 도전탄성부재(40)의 고정접촉부(41a, 41b)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18)를 마련하고 있다.
하측 외주연부(12)의 내측면의 양단에는, 하측 고정접점(제2 고정전극)(19, 19)를 마련하고 있다. 이 2개의 하측 고정접점(19, 19)은, 일방측이 접점의 접촉 불량이 생긴 경우라도, 타방이 접점의 접촉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마련하고 있다.
또한, 좌측 외주연부(13)의 내측면에는 좌측 고정접점(제1 고정전극)(21)을 마련하고 있는 한편, 우측 외주연부(14)의 내측면에는 우측 고정접점(제1 고정전극)(22)을 마련하고 있다. 좌측 고정접점(21) 및 우측 고정접점(22)은, 후술하는 도전탄성부재(40)의 가동접촉부(42a, 42b)의 접점부(45a, 45b)의 가동 범위내에 배치되고,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접점(19, 21, 22)은, 외주연부(12 내지 14)의 외측면부터 돌출하는 접속부(23, 24, 25)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10)의 외주연부(12 내지 14)에는, 후술하는 커버(50)의 코킹구멍(51)에 감합하는 코킹용 돌기(26)를 마련하고 있다.
조작체(30)는, 베이스(10)의 축부(16)에 감합하는 구멍(피삽입부)(32)의 일방측에 조작부(31)를 배치함과 함께, 타방측에 구동부(33)를 배치하고 있다. 조작부(31) 및 구동부(33)는, 각각 개략 이등변삼각형이다. 구멍(32)은 조작체(30)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33)의 선단 부분은 둥그스름한 모양을 띄고 있다.
구동부(33)는, 조작부(31)를 통하여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술하는 도전탄성부재(40)의 좌측의 피구동부(44a)를 가압하고,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술하는 도전탄성부재(40)의 우측의 피구동부(44b)를 가압한다.
도전탄성부재(40)는, 전기주조법으로 제조되고, 일직선형상으로 형성된 고정접촉부(41a, 41b)와, 가동접촉부(42a, 42b)를 구비하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고정접촉부(41a, 41b)의 선단에는, 하측 고정접점(19)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접점부(고정접점)(46a, 46b)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가동접촉부(42a, 42b)는, 상기 고정접촉부(41a, 41b)로부터 차례로 신축부(43a, 43b) 및 피구동부(44a, 44b)가 배치되어 있다. 신축부(43a, 43b)는, 개략 U자형상으로 만곡하고, 그 선단에서 피구동부(44a, 44b)가 상방으로 늘어나 있다. 가동접촉부(42a, 42b)는, 피구동부(44a, 44b)보다도 선단측에서, 외주연부(13, 14)에 마련된 고정접점(21, 22)을 향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만곡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접촉부(42a, 42b)의 선단에는 접점부(가동접점)(45a, 45b)를 마련하고 있다.
커버(50)는, 베이스(10)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10)의 코킹용 돌기(26)에 대응하는 위치에 코킹구멍(51)를 마련하고 있다.
베이스(10)의 하측 외주연부(12)와 위치 결정부(18, 18)의 사이에, 도전탄성부재(40)의 고정접촉부(41a, 41b)를 배치하여 위치 결정하고, 도전탄성부재(40)를 베이스(10)의 오목개소(11)에 수용한다. 그리고, 조작체(30)의 구멍(32)을 베이스(10)의 축부(16)에 감합하고, 조작체(30)의 조작부(31)를 베이스(10)의 개구(15)의 중앙에 배치하고, 조작체(30)를 오목개소(11)에 수용한다. 이 상태에서는, 피구동부(44a, 44b)는, 조작체(30)의 구동부(33)에 의해 가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피구동부(44a, 44b)는, 후술하는 제1 위치(중립 위치)의 조작체(30)의 구동부(33)와 가동접촉부(42a, 42b)가 덜커덕거림이 생기지 않도록 당접하고 있다. 그 후, 커버(50)의 코킹구멍(51)를 베이스(10)의 코킹용 돌기(26)에 감합하고, 코킹용 돌기(26)를 용융시켜서 일체화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의 용도로서는, 예를 들면, DVD 카메라의 줌 기구에 사용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우선, 도 3에 도시하는 제1 위치(중립 위치)에서, 조작체(30)의 구동부(33)는, 가동접촉부(42a, 42b)에 덜커덕거림이 생기지 않도록 가동접촉부(42a, 42b)의 피구동부(44a, 44b)에 당접하고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접점부(45a, 45b)는, 고정접점(21, 22)의 어느 것에도 접촉하지 않고, 스위치는 단락하지 않는다.
그리고, 조작부(31)를 통하여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체(30)의 구동부(33)가 가동접촉부(42a)의 피구동부(44a)를 가압하고, 조작체(30)는 제2 위치에 달한다. 상기 제2 위치에서는, 가동접촉부(42a)는, 제1 위치에 대해 가세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접점부(45a)가, 좌측 고정접점(21)에 접촉하고, 좌측 고정접점(21)과 하측 고정접점(19, 19)이 단락한다.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체(30)에 대한 부하를 제거하면, 가동접촉부(42a)는, 주로 신축부(43a)의 스프링력으로 탄성 복귀하여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에 의해, 접점부(45a)는 좌측 고정접점(21)으로부터 이간하고, 좌측 고정접점(21)과 하측 고정접점(19, 19)이 떨어진다.
한편,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도, 조작체(30)는 전술과 반대의 동작을 행한다. 즉, 접점부(45b)가 우측 고정접점(22)에 접촉하는 위치가 제3 위치이다. 상기 제3 위치에서는, 우측 고정접점(22)과 하측 고정접점(19, 19)이 단락한다.
제3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체(30)에 대한 부하를 제거한 경우도,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체(30)에 대한 부하를 제거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접촉부(41a, 41b)와, 가동접촉부(42a, 42b)를 일체 성형하여 도전탄성부재(40)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 조립 공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접점 구조와 스프링 구조를 동일 평면상에 재치하고, 얇은 도전탄성부재(40)를 판형상의 수납용 오목개소(11)에 수납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치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도전탄성부재(40)를 전기주조법으로 제조함에 의해, 두께가 얇은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위치 탑재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고, 전자 기기 등의 박형화가 용이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위치의 일방측에 배치된 제2 위치 및 타방측에 배치된 제3 위치에서 조작체(30)의 조작부(31)에 가하여진 부하가 제거되면 제1 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의 스위치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탄성부재(40)의 가동접촉부(42b)의 피구동부(44b)에 계합 오목부(60)를 마련하고, 제1 위치의 일방측에 배치된 제2 위치에서 조작체(30)의 조작부(31)에 가하여진 부하가 제거되면 제1 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한편, 제1 위치의 타방측에 배치된 제3 위치에서 조작체(30)의 구동부(33)가 도전탄성부재(40)의 계합 오목부(60)에 계합하여 자기(自己) 유지(報知)하는 스위치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 스위치에서는,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체(30)의 구동부(33)가 가동접촉부(42b)의 피구동부(44b)를 가압하고, 제3 위치에서 가동접촉부(42b)의 접점부(45b)가 우측 고정접점(22)에 접촉한다. 상기 제3 위치에서는, 우측 고정접점(22)과 하측 고정접점(19, 19)이 단락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위치에서, 조작체(30)에 대한 부하를 제거하면, 조작체(30)는, 가동접촉부(42b)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제1 위치로 밀려 되돌려진다.
한편, 상기 제3 위치에서, 조작체(30)를 더욱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체(30)의 구동부(33)는, 도전탄성부재(40)의 피구동부(44b)의 계합 오목부(60)에 계합하고, 조작체(30)는 제4 위치에 달한다. 상기 제4 위치에서는, 가동접촉부(42b)는, 제1 위치에 대해 가세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제4 위치에서도, 접점부(45b)가, 우측 고정접점(22)에 접촉하고, 우측 고정접점(22)과 하측 고정접점(19, 19)이 단락한다.
조작부(31)를 통하여 조작체(30)를 제4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전탄성부재(40)의 피구동부(44b)가 탄성 변형하고, 조작체(30)의 구동부(33)가 피구동부(44b)의 계합 오목부(60)의 단부를 타고넘어, 가동접촉부(42b)는, 주로 신축부(43b)의 스프링력으로 탄성 복귀하여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에 의해, 접점부(45b)는 우측 고정접점(22)로부터 이간하고, 우측 고정접점(22)과 하측 고정접점(19, 19)이 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4 위치로부터 회전시켜서, 조작체(30)의 구동부(33)가 도전탄성부재(40)의 피구동부(44b)의 계합 오목부(60)의 단부를 타고넘은 경우, 도전탄성부재(40)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조작체(30)를 제1 위치까지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스위치를 도시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조작체(30)의 구동부(33)는 개략 반원형이고, 그 외주연부에는, 복수의 치형(齒形)(34)이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치형(34) 및 후술하는 대응의 도전탄성부재(40)의 치형(47)은 치차(齒車)의 인벌류트 곡선과 같은 형상이라도 좋고, 도 6 내지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에 빠짐방지용 돌기부(35, 48)를 마련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구동부(33)의 치형(34)은, 조작부(31)를 통하여 조작체(30)를 회전시키면, 후술하는 도전탄성부재(40)의 피구동부(44)의 치형(47)에 맞물림에 의해, 도전탄성부재(40)를 그 하단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한다.
도전탄성부재(4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주조법으로 제조되고, 고정접촉부(41a, 41b)와, 가동접촉부(42a, 42b)를 구비하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고정접촉부(41a, 41b)는, 베이스(10)의 하측 외주연부(12)와 개략 평행하게 늘어나 있고, 베이스(10)의 위치 결정부(18)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촉부(42a, 42b)는, 신축부(43a, 43b)와, 피구동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신축부(43a, 43b)는, 고정접촉부(41a, 41b)의 접점부(46a, 46b)와 반대측의 선단부에서, 주름상자형상의 신축부(43a, 43b)가 좌우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위를 향하여 늘어나 있다. 신축부(43a, 43b)의 선단부는, 피구동부(44)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구동부(44)는, 상측이 볼록한 반원통 형상으로 외주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외주테두리부의 상측의 만곡부분에는, 복수의 치형(47)을 등간격으로 마련하고 있다. 상기 치형(47)은, 조작체(30)의 구동부(33)의 치형(34)과 맞물린다.
피구동부(44)의 좌부분부터, 가동접촉부(42a)가 좌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선단에서 또한 좌측 경사 하방으로 늘어나 있다. 피구동부(44)의 우부분부터, 가동접촉부(42b)가 우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선단에서 또한 우측 경사 하방으로 늘어나 있다.
그리고, 베이스(10)의 하측 외주연부(12)와 위치 결정부(18, 18) 사이에, 도전탄성부재(40)의 고정접촉부(41a, 41b)를 배치하여 위치 결정하고, 도전탄성부재(40)를 베이스(10)의 오목개소(11)에 수용한다. 또한, 조작체(30)의 치형(34)을 도전탄성부재(40)의 치형(47)과 맞물리게 함과 함께, 조작체(30)의 구멍(32)을 베이스(10)의 축부(16)에 감합하고, 조작체(30)를 오목개소(11)에 수용한다. 그 후, 커버(50)의 코킹구멍(51)를 베이스(10)의 코킹용 돌기(26)에 감합하고, 코킹용 돌기(26)를 용융시켜서 일체화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의 용도로서는, 예를 들면, DVD 카메라의 줌 기구에 사용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우선, 도 7에 도시하는 제1 위치(중립 위치)에서, 조작체(30)는, 조작체(30)의 구동부(33)의 치형(34)이 도전탄성부재(40)의 치형(47)과 맞물리고 상측으로 늘어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접점부(45a, 45b)는, 고정접점(21, 22)의 어느 것에도 접촉하지 않고, 하측 고정접점(19, 19)에 단락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31)를 통하여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체(30)의 구동부(33)의 치형(34)이 도전탄성부재(40)의 치형(47)과 맞물림에 의해, 도전탄성부재(40)를 그 하단 중앙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가동접촉부(42b)의 접점부(45b)가 베이스(10)의 우측 고정접점(22)에 접촉하고, 조작체(30)가 제2 위치에 달한다. 상기 제2 위치에서는, 도전탄성부재(40)의 신축부(43b)는, 압축된 상태이고, 우측 고정접점(22)과 하측 고정접점(19, 19)이 단락한다.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체(30)에 대한 부하를 제거하면, 도전탄성부재(40)는, 주로 신축부(43b)의 스프링력으로 탄성 복귀하고, 그 때, 도전탄성부재(40)의 치형(47)과 조작체(30)의 구동부(33)의 치형(34)이 맞물림에 의해, 조작부(31)가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에 의해, 접점부(45b)는 우측 고정접점(22)로부터 이간하고, 우측 고정접점(22)과 하측 고정접점(19, 19)이 떨어진다.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도, 조작체(30)는 전술과 반대의 동작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체(30)의 구동부(33)의 치형(34)과 도전탄성부재(40)의 치형(47)이 맞물림에 의해, 조작체의 구동부(33)의 구동력을 도전탄성부재(40)의 피구동부(44)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조작체(30)와, 도전탄성부재(4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커버(50)는 생략되어 있다.
베이스(10)에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윗면에 외주연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도전탄성부재(40)를 수납하는 수납용 오목개소(이하, 오목개소라고 한다.)(1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외주연부는, 하측 외주연부(12), 좌측 외주연부(13), 우측 외주연부(14), 및 상측 외주연부(20)로 이루어져 있고, 그 상측 외주연부(20)의 중앙 부분에는 개구(15)를 마련하고 있다.
도전탄성부재(40)는 전기주조법으로 제조되고, 고정접촉부(41a, 41b)와, 가동접촉부(42a, 42b)를 구비하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고정접촉부(41a, 41b)는, 베이스(10)의 하측 외주연부(12)와 개략 평행하게 늘어나 있다. 고정접촉부(41a, 41b)의 양단부는 접점부(46a, 46b)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가동접촉부(42a, 42b)는, 신축부(43a, 43b)와, 피구동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신축부(43a, 43b)는, 고정접촉부(41a, 41b)의 중앙측의 단부로부터 윗방향으로 늘어나도록,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측이 외주연부(13, 14)의 부근에서 위를 향하여 늘어나 있다.
상기 피구동부(44)에는, 조작체(30)의 구동부(33)가 활주접촉(摺接) 가능한 V자 부분이 상측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V자 부분의 상단부터 횡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선단부터 하방향으로 늘어나 개략 M자형상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개략 M자형상 부분의 선단과 상기 신축부(43a, 43b)의 선단부가 개구를 외주연부(13, 14)측에 배치한 개략 ㄷ자 부분을 통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구동부(44)의 개략 ㄷ자 부분의 하측 단부와 상기 신축부(43a, 43b)와의 연결 부분에는, 그 연결 부분부터 외주연부(13, 14)측에, 고정접점(21, 22)에 접촉할 수 있도록 접점부(45a, 45b)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피구동부(44)나 개략 M자 부분의 상하 좌우의 구석에는, 외주연부(13, 14) 측으로 돌출하는 활주용 돌기(49)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피구동부(44)는, 상기 조작체(30)의 구동부(33)에 압접하고 있다.
우선, 도 9(A)에 도시하는 제1 위치(중립 위치)에서, 조작체(30)의 구동부(33)는, 피구동부(44)와 상기 V형상의 바닥 부분에서 당접하고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접점부(45a, 45b)는, 고정접점(21, 22)의 어느 것에도 접촉하지 않고, 스위치는 단락하지 않는다.
조작부(31)를 통하여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체(30)의 구동부(33)가 피구동부(44)의 상기 V형상의 좌측의 사면을 상승하도록 활주한다. 이에 의해, 도전탄성부재(40)가 하방향으로 가압되고, 신축부(43a, 43b)가 압축된다. 이를 위해, 도전탄성부재(40)의 가동접촉부(42a, 42b)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접촉부(42a, 42b)의 접점부(45a, 45b)가 고정접점(21, 22)에 접촉하고, 조작체(30)는 제2 위치에 달한다.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신축부(43a, 43b)는, 제1 위치에 대해 가세된 상태이고, 고정접점(21, 22)과 하측 고정접점(19, 19)이 단락한다.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체(30)에 대한 부하를 제거하면, 도전탄성부재(40)는 신축부(43a)의 스프링력으로 탄성 복귀하고, 조작체(30)가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에 의해, 접점부(45a, 45b)는 고정접점(21, 22)으로부터 이간하고, 고정접점(21, 22)과 하측 고정접점(19, 19)이 떨어진다.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도,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체(30)의 조작부(31)에 가하여진 부하가 제거되면, 제1 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조작체(30)와, 도전탄성부재(4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커버(50)는 생략되어 있다.
베이스(10)에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윗면에 외주연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도전탄성부재(40)를 수납하는 수납용 오목개소(이하, 오목개소라고 한다.)(1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외주연부는, 하측 외주연부(12), 좌측 외주연부(13), 우측 외주연부(14), 및 상측 외주연부(20)로 이루어져 있고, 그 상측 외주연부(20)의 중앙 부분에는 개구(15)를 마련하고 있다.
조작체(30)의 일단부에 마련한 구동부(33)는, 도전탄성부재(40)의 피구동부(44)와 계합 가능하게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전탄성부재(40)는 전기주조법으로 제조되고, 가동접촉부(42a, 42b)와, 고정접촉부(41a, 41b)를 구비하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가동접촉부(42a, 42b)는, 조작체(30)의 구동부(33)와 계합 가능하게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피구동부(44)와, 신축부(43a, 43b)를 구비하고 있다.
도전탄성부재(40)는, 구동부(33)의 하단에서, 주름상자형상의 신축부(43a, 43b)를, 좌우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연재되고, 그 선단에서, 외주연부(13, 14)측으로 돌출한 접점부(45a, 45b)를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위를 향하여 고정접촉부(41a, 41b)를 연재하고 있다. 상기 접점부(45a, 45b)는, 조작체(3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베이스(10)의 고정접점(21, 22)과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접촉부(41a, 41b)는, 그 단부에 원환형상 접점부(46a, 46b)를 형성하고, 베이스(10)의 위치 결정부(18)에 회전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접촉부(41a, 41b)는, 베이스(10)의 고정접점(제2 고정전극)(27)과 접촉하고 있다.
도전탄성부재(40)의 원환형상 접점부(46a, 46b)를 베이스(10)의 위치 결정부(18, 18)에 각각 감합하고, 도전탄성부재(40)를 베이스(10)의 오목개소(11)에 수용한다. 그리고, 도전탄성부재(40)의 피구동부(44)에 조작체(30)의 구동부(33)를 계합하고, 조작체(30)의 구멍(32)을 베이스(10)의 축부(16)에 감합한. 그 후, 커버(50)의 코킹구멍(51)을 베이스(10)의 코킹용 돌기(26)에 감합하고, 코킹용 돌기(26)를 용융시켜서 일체화한다.
우선, 도 10(A)에 도시하는 제1 위치에서, 접점부(45a, 45b)는, 고정접점(21, 22)의 어느 것에도 접촉하지 않고, 스위치는 단락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31)를 통하여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구동부(44)도 베이스(10)의 축부(1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신축부(43a)가 압축되고, 접점부(45a)가 좌측 고정접점(21)에 접촉하고, 조작체(30)는 제2 위치에 달한다.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신축부(43a)는, 제1 위치에 대해 가세된 상태이고, 좌측 고정접점(21)과 고정접점(27, 27)이 단락한다.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체(30)에 대한 부하를 제거하면, 신축부(43a)는 탄성 복귀하여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에 의해, 접점부(45a)는 고정접점(21)으로부터 이간하고, 좌측 고정접점(21)과 고정접점(27)이 떨어진다.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도,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위치에 대한 제2 위치, 및 제1 위치에 대해 제2 위치와 반대측의 제3 위치에서도, 조작체(30)의 조작부(31)에 가하여진 부하가 제거되면, 제1 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조작체(30)와, 도전탄성부재(4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커버(50)는 생략되어 있다.
베이스(10)에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윗면에 외주연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도전탄성부재(40)를 수납하는 수납용 오목개소(이하, 오목개소라고 한다.)(1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외주연부는, 하측 외주연부(12), 좌측 외주연부(13), 우측 외주연부(14), 및 상측 외주연부(20)로 이루어져 있고, 그 상측 외주연부(20)의 중앙 부분에는 개구(15)를 마련하고 있다.
조작체(30)의 구동부(33)는 도전탄성부재(40)의 피구동부(44)와 계합 가능하게 두 갈래로 형성되어 있다.
도전탄성부재(40)는, 중앙에 배치되고, 또한, 상측으로 늘어난 피구동부(44)의 하단에서 좌우 대칭이 되도록, 주름상자 형상의 신축부(43a, 43b)가 외주연부(13, 14)측으로 늘어나고, 그 선단에서, 또한 외주연부(13, 14)측으로 늘어난 부분과 외주연부(13, 14)에 따르고 상방으로 늘어난 부분으로 분기되어 있다. 피구동부(44)의 개략 원형의 선단은, 상기 조작체(30)의 구동부(33)에 계합 가능하다.
신축부(43a, 43b)의 외주연부(13, 14)에 따라 상방으로 늘어난 부분의 선단에는, 가동접촉부(42a, 42b)가 연결되고, 그 선단에는 접점부(45a, 45b)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접점부(45a, 45b)는, 조작체(3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베이스(10)의 고정접점(21, 22)과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신축부(43a, 43b)의 상기 외주연부(13, 14)측으로 늘어난 부분의 선단에는, 베이스(10)의 좌측 외주연부(13) 및 우측 외주연부(14)에 당접하도록 고정접촉부(41a, 41b)를 상방으로 연재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탄성부재(40)의 고정접촉부(41a, 41b) 사이의 간격을 좁히도록 신축부(43a, 43b)를 압축하여 도전탄성부재(40)를 베이스(10)의 오목개소(11)에 수용한다. 또한, 도전탄성부재(40)의 피구동부(44)에 조작체(30)의 구동부(33)를 계합하고, 조작체(30)의 구멍(32)을 베이스(10)의 축부(16)에 감합한다. 그 후, 커버(50)의 코킹구멍(51)를 베이스(10)의 코킹용 돌기(26)에 감합하고, 코킹용 돌기(26)를 용융시켜서 일체화한다.
우선, 도 11(A)에 도시하는 제1 위치(중립 위치)에서, 접점부(45a, 45b)는, 고정접점(21, 22)의 어느 것에도 접촉하지 않고, 스위치는 단락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31)를 통하여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구동부(44)는 좌측으로 가압된다. 이를 위해, 피구동부(44)가 좌측으로 이동함과 함께, 신축부(43a)가 좌우 방향으로 압축되고, 신축부(43b)가 좌우 방향으로 확장된다. 이 결과, 신축부(43a)의 상기 외주연부(13, 14)측으로 늘어난 부분도 압축되고, 가동접촉부(42a)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접점부(45a)가 좌측 고정접점(21)에 접촉하고 조작체(30)는 제2 위치에 달한다.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신축부(43a)는, 제1 위치에 대해 가세된 상태이고, 좌측 고정접점(21)과 고정접점(27)이 단락한다.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체(30)에 대한 부하를 제거하면, 신축부(43a)는 탄성 복귀하여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에 의해, 접점부(45a)는 좌측 고정접점(21)으로부터 이간하고, 좌측 고정접점(21)과 고정접점(27)이 떨어진다.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도, 조작체(30)를 제1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에 제2 위치까지 회전시킨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위치에 대한 제2 위치, 및 제1 위치에 대해 제2 위치의 반대측의 제3 위치에서 조작체(30)의 조작부(31)에 가하여진 부하가 제거되면, 제1 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의 일방측에 배치된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체(30)의 조작부(31)에 가하여진 부하가 제거되면 제1 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한편, 타방측에 배치된 제3 위치에서 자기 유지 가능한 스위치를 구성하여도 좋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에서, 도전탄성부재(40)의 접점부(45a, 45b)가 제1 고정전극(21, 22)에 대해 접촉하고, 제2 위치에서, 도전탄성부재(40)의 신축부(43a)가 압축한 상태에서 도전탄성부재(40)의 접점부(45a)가 제1 고정전극(21)에 대해 개리하든지, 또는, 도전탄성부재(40)의 신축부(43b)가 압축한 상태에서 도전탄성부재(40)의 접점부(45b)가 제1 고정전극(22)에 대해 개리하도록, 스위치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제1 위치(중립 위치)로 스위치를 항상 온 상태로 하고 제2 위치에서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제1 위치의 양측에 전환 위치를 마련한 스위치를 설명하였지만, 제1 위치의 한쪽 편에만 전환 가능한 스위치를 구성하여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원 발명에 관한 스위치는 전술한 형상으로 한하지 않고, 다른 형상의 조작체와 도전탄성부재를 조합시킨 스위치라도 좋음은 물론이다.
10 : 베이스
11 : 수납용 오목개소
12 : 하측 외주연부
13 : 좌측 외주연부
14 : 우측 외주연부
15 : 개구
16 : 축부(지지부)
17 : 규제부
18 : 위치 결정부
19 : 하측 고정접점(제2 고정전극)
20 : 상측 외주연부
21 : 좌측 고정접점(제1 고정전극)
22 : 우측 고정접점(제1 고정전극)
23, 24, 25 : 접속부
26 : 코킹용 돌기
27 : 고정접점(제2 고정전극)
30 : 조작체
31 : 조작부
32 : 구멍(피삽입부)
33 : 구동부
34 : 치형
40 : 도전탄성부재
41a, 41b : 고정접촉부
42a, 42b : 가동접촉부
43a, 43b : 신축부
44, 44a, 44b : 피구동부
45a, 45b : 접점부(가동접점)
46a, 46b : 접점부(고정접점)
47 : 치형
48 : 선단부
49 : 활주용 돌기
50 : 커버
51 : 코킹구멍
60 : 계합 오목부

Claims (8)

  1. 조작부 및 구동부가 마련된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내측면에 배치된 제1 고정전극 및 제2 고정전극을 갖는 오목개소가 마련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오목개소에 수납되고, 상기 조작체의 구동부로 구동되는 피구동부와 그 피구동부에의 입력에 의해 신축 가능한 신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전극과 접속 가능한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촉부와, 상기 제2 고정전극과 접속 가능한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접촉부가 마련된 도전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1 고정전극에 대해 개리하고 있는 제1 위치와,
    상기 도전탄성부재의 신축부가 압축 상태이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1 고정전극에 대해 접촉하고 있는 제2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조작체에 부하를 가하면, 상기 조작체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조작체에 대한 부하를 제거하면, 상기 조작체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조작부 및 구동부가 마련된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내측면에 배치된 제1 고정전극 및 제2 고정전극을 갖는 오목개소가 마련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오목개소에 수납되고, 상기 조작체의 구동부로 구동되는 피구동부와 그 피구동부에의 입력에 의해 신축 가능한 신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전극과 접속 가능한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촉부와, 상기 제2 고정전극과 접속 가능한 고정접점을 갖는 고정접촉부가 마련된 도전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1 고정전극에 대해 접촉하고 있는 제1 위치와,
    상기 도전탄성부재의 신축부가 압축 상태이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1 고정전극에 대해 개리하고 있는 제2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조작체에 부하를 가하면, 상기 조작체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조작체에 대한 부하를 제거하면, 상기 조작체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탄성부재는, 전기주조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접촉부와, 상기 신축부와, 상기 피구동부와, 상기 가동접촉부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 및 상기 도전탄성부재의 윗면이, 상기 베이스의 윗면과 같은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대해 상기 제2 위치와 반대측에, 상기 도전탄성부재의 신축부가 상기 조작체를 상기 제1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압축 상태이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1 고정전극에 대해 접촉하는 제3 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대해 상기 제2 위치와 반대측에, 상기 도전탄성부재의 신축부가 상기 조작체를 상기 제1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압축 상태이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1 고정전극에 대해 개리하는 제3 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탄성부재는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구동부 및 상기 도전탄성부재의 피구동부는 치차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20147023929A 2012-03-15 2013-03-11 스위치 KR101622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59367 2012-03-15
JP2012059367A JP5867201B2 (ja) 2012-03-15 2012-03-15 スイッチ
PCT/JP2013/056668 WO2013137202A1 (ja) 2012-03-15 2013-03-11 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285A true KR20140127285A (ko) 2014-11-03
KR101622501B1 KR101622501B1 (ko) 2016-05-18

Family

ID=4916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929A KR101622501B1 (ko) 2012-03-15 2013-03-11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36971B2 (ko)
JP (1) JP5867201B2 (ko)
KR (1) KR101622501B1 (ko)
CN (1) CN104205277B (ko)
TW (1) TWI550671B (ko)
WO (1) WO2013137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15050A1 (de) * 2016-12-16 2018-06-21 Johnson Electric Germany GmbH & Co. KG Schalteinrichtung
DE102016124639B4 (de) * 2016-12-16 2022-05-2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elbstrücksetzender Strombegrenzer
DE102019115773B4 (de) * 2019-06-11 2021-11-18 Hoover Dam Technology Gmbh Schalter zum Herstellen und Trennen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921U (ko) * 1987-07-08 1989-01-20
JPH0855538A (ja) * 1994-08-11 1996-02-27 T K R:Kk 検出スイッチ
JP3870748B2 (ja) 2001-10-29 2007-0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
US6768069B1 (en) * 2003-04-08 2004-07-27 Shin Jiuh Corp. Micro switch
JP2004362979A (ja) 2003-06-05 2004-12-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装置
US6917008B1 (en) * 2004-01-06 2005-07-12 Zippy Technology Corp. Microswitch
JP2005332644A (ja) * 2004-05-19 2005-12-02 Kojima Press Co Ltd 接点装置
DE102004052413B4 (de) * 2004-10-28 2007-09-13 Cherry Gmbh Subminiaturschalter
JP2006310229A (ja) * 2005-05-02 2006-11-09 Omron Corp スイッチ
JP4618155B2 (ja) * 2006-02-17 2011-0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
JP2008078090A (ja) 2006-09-25 2008-04-03 Omron Corp 押し釦スイッチ
JP2010129336A (ja) 2008-11-27 2010-06-10 Panasonic Corp スイッチ
JP2010250944A (ja) * 2009-04-10 2010-11-04 Panasonic Corp レバースイッチ
TWM388082U (en) 2010-03-05 2010-09-01 Taiwan Misaki Electronics Co Ltd Push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96787A (ja) 2013-09-30
TWI550671B (zh) 2016-09-21
CN104205277A (zh) 2014-12-10
US20150060247A1 (en) 2015-03-05
JP5867201B2 (ja) 2016-02-24
TW201337995A (zh) 2013-09-16
US9336971B2 (en) 2016-05-10
KR101622501B1 (ko) 2016-05-18
CN104205277B (zh) 2016-12-28
WO2013137202A1 (ja)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027B1 (ko) 스위치
JP5128300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474012B1 (ko) 복합 스위치
KR20040011374A (ko) 스위치장치
KR101622501B1 (ko) 스위치
JP2006164711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US6841750B2 (en) Switch device
JP4508957B2 (ja) 押釦スイッチ
JP2010073642A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2010282882A (ja) スイッチ装置
JP202204362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5551578B2 (ja) 多方向スイッチ装置
JP5358391B2 (ja) レバースイッチ
JP6449067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3217395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EP2747112B1 (en) Switch
JP6409398B2 (ja) スイッチ
JP5722738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JPH1153980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2011028958A (ja) スライド操作型電気部品
KR20050092065A (ko) 슬라이드식 줌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