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432A - 쌍침 재봉기 - Google Patents

쌍침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432A
KR20140106432A KR1020140021437A KR20140021437A KR20140106432A KR 20140106432 A KR20140106432 A KR 20140106432A KR 1020140021437 A KR1020140021437 A KR 1020140021437A KR 20140021437 A KR20140021437 A KR 20140021437A KR 20140106432 A KR20140106432 A KR 20140106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ewing
thread
sewing machine
need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야마기시
?스케 야스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6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05B55/16Needle-bar drives with provision for disengaging individual needle ba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0Needle bars for multiple-needle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6Devices for stopping drive when abnormal conditions occur, e.g. thread breakag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 D05D2305/36Qual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중 및 동작 정지중인 바늘대에 꿰어진 실의 이동을 검지하여, 각종 이상(異常)을 검출할 수 있는 쌍침 재봉기를 실현한다.
2개의 바늘대(110, 120) 중, 조작 혹은 설정에 의해 어느 일방의 바늘대 구동으로 전환되며, 선택된 바늘대가 구비하는 재봉 바늘(11, 12)에 의해 봉제를 행하는 쌍침 재봉기(100)로서, 선택되어 구동하는 일방(一方)의 바늘대(110)의 재봉 바늘(11)과, 정지되어 구동하지 않는 타방(他方)의 바늘대(120)의 재봉 바늘(12)에, 각각 공급되는 윗실(U1, U2)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2개의 실 절단 센서(161, 162)를 구비하고, 2개의 바늘대(110, 120)의 구동 상태와, 2개의 센서(161, 162)가 검지한 각각의 윗실(U1, U2)의 움직임의 조합에 근거하여, 재봉기의 제어장치(90(CPU(91))가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쌍침 재봉기{DOUBLE NEEDLE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쌍침(二本針)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봉 바늘을 하단부에 구비한 2개의 바늘대 중, 봉제에 사용할 1개의 바늘대를 동작시키도록 전환하여, 원하는 봉제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쌍침 재봉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재봉기에서는, 각 바늘대가 구비하고 있는 재봉 바늘에 특성이 다른 2종류의 실(예컨대 다른 색의 실이나 다른 굵기의 실)이 꿰어져 있으며, 어느 하나의 바늘대를 선택하고, 그 바늘대를 동작시켜 봉제를 행한다.
또, 이러한 재봉기에 있어서의 각 바늘대의 재봉 바늘에 꿰어진 실은, 각각의 실 경로를 통해 실 와인더(thread winder)로부터 공급되어 있으며, 각 실 경로에는 실의 이동을 검지하는 실 검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그 실 검지 센서가, 봉제시에 실이 이동하지 않아 실의 공급이 행해지지 않고 있음을 검지하여, 실 절단이나 실 빠짐 등의 이상(異常) 발생을 검출하였을 경우, 재봉기의 제어장치는 재봉기의 동작을 정지시켜, 봉제 불량의 발생을 막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0-12271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선택된 일방(一方)의 바늘대의 재봉 바늘에 꿰어진 실의 이동을 실 검지 센서로 검지함으로써, 동작하는 바늘대의 재봉 바늘측에서의 실 절단이나 실 빠짐 등의 이상 발생을 검출할 수는 있다. 그러나 동작 정지중인 타방(他方)의 바늘대의 재봉 바늘에 꿰어진 실은 봉제에 제공되어 있지 않으며, 이동하지 않는다는 전제가 있기 때문에, 그 실의 이동에 대해 검지하여, 재봉기의 제어에 이용하려고는 하지 않았다.
그 결과, 동작 정지중인 타방의 바늘대의 재봉 바늘에 꿰어진 실이, 동작중인 바늘대나 그 실에 얽혀, 꿰매어짐에 따라, 봉제 불량이 발생하였다. 또, 2개의 실을 잘못 꿰어, 목적으로 하는 실과 다른 실로 봉제를 행하는 봉제 불량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중 및 동작 정지중인 바늘대에 꿰어진 실의 이동을 검지하여, 각종 이상의 검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작 정지중인 재봉 바늘에 꿰어진 실이 꿰매어진 것을 검지하거나, 실이 반대로 꿰어진 오류를 검지하거나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2개의 바늘대 중, 조작 혹은 설정에 의해 어느 일방(一方)의 바늘대 구동으로 전환되며, 선택된 바늘대가 구비하는 재봉 바늘에 의해 봉제를 행하는 쌍침 재봉기로서,
일방의 바늘대의 재봉 바늘에 공급되는 윗실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제 1 실 절단 센서와, 타방(他方)의 바늘대의 재봉 바늘에 공급되는 윗실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제 2 실 절단 센서와,
상기 2개의 바늘대의 구동 상태와, 상기 제 1 실 절단 센서와 상기 제 2 실 절단 센서가 검지한 각각의 윗실의 움직임의 조합에 근거하여,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2개의 바늘대의 구동 상태와, 상기 제 1 실 절단 센서와 상기 제 2 실 절단 센서가 검지할 수 있는 각각의 윗실의 움직임의 조합에 근거하는 복수의 봉제 이상(異常)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봉제 이상 패턴 중 하나와 일치할 때,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상기 쌍침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이상 패턴 중,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의 판단 대상으로 하는 봉제 이상 패턴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봉제 이상 패턴과 일치하는 상황일 때,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상기 쌍침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했을 때, 해당 쌍침 재봉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상기 쌍침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판단하는 봉제 이상은, 동작 정지중인 재봉 바늘에 꿰어진 윗실이 꿰매어지는 것, 및 실이 반대로 꿰어지는 오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의하면, 상기 쌍침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했을 때, 해당 쌍침 재봉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의하면, 상기 쌍침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판단한,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의하면, 상기 쌍침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했을 때, 해당 쌍침 재봉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작중 및 동작 정지중인 바늘대에 꿰어진 실의 이동을 검지하여, 쌍침 재봉기의 각종 이상을 검출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작 정지중인 재봉 바늘에 꿰어진 실이 꿰매어지는 것을 검지하거나 또는, 실이 반대로 꿰어지는 오류를 검지하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발명의 실시 형태의 재봉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재봉기의 면부(面部) 주변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본 면부 주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재봉기 아암부의 면부측 선단부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내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바늘대 전환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바늘대 전환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2개의 바늘대를 절결(切缺)하여 내부의 바늘대 정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전환 구동부의 캠 축과 바늘대 토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실 유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 유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재봉기의 제어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A)는 일방(一方)의 바늘대의 재봉 바늘을 봉제에 사용할 재봉 바늘로서 선택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B)는 타방(他方)의 바늘대의 재봉 바늘을 봉제에 사용할 바늘로서 선택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바늘대 전환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 1 실 절단 센서와 제 2 실 절단 센서가 검출하는 신호의 조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 1 실 절단 센서와 제 2 실 절단 센서가 검출하는 신호의 조합의 일례로서,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異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테이블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재봉기의 동작 상황 판단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은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다른 테이블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전환 레버의 압입(押入) 돌기의 다른 실시 형태의 정면도이다. 전환 레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실 유지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실 유지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은 실 유지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Y방향에서 본 상세도이다.
[실시 형태의 개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 1~도 2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로서 기재하는 쌍침 재봉기(100)(이하, 재봉기(100))는, 이른바 전자 사이클 재봉기로서, 봉제를 행하는 피(被)봉제물인 천을 유지하는 천 유지부로서의 유지 프레임을 가지며, 그 유지 프레임이 재봉 바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유지 프레임에 의해 유지되는 천에 소정의 봉제 데이터에 근거하는 봉제 패턴을 형성한다. 또, 본 재봉기(100)는, 2개의 바늘대(110, 120)를 보유하고 있으며, 바늘대(110, 120)를 전환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로써, 예컨대, 각 바늘대(110, 120)에 장비된 재봉 바늘(11, 12)에 색이나 굵기 등의 특성이 다른 2종류의 윗실(U1, U2)을 각각 관통 삽입하여, 봉제 패턴을 2종류의 윗실에 의해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100)의 사시도, 도 2는 재봉기(100)의 면부(105) 주변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면부(105) 주변의 확대 사시도이다.
여기서, 연직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이것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X축 방향(좌우 방향)으로 하며, Z축 방향과 X축 방향의 양방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Y축 방향(전후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재봉기(100)는, 재봉 바늘(11, 12)을 각각 하단부에 유지하여 상하 이동을 행하는 2개의 바늘대(110, 120)와, 재봉기 모터(21)를 구동원으로 하여 재봉 바늘을 상하 이동시키는 바늘 상하 이동 기구(20)와, 2개의 바늘대(110, 120) 중의 어느 일방이 상하 이동 동작을 행하도록 전환하는 바늘대 전환 기구(30)와, 재봉 바늘(11, 12)에 각각 꿰어지는 윗실(U1, U2)에 소정의 실 장력을 부여하는 실 장력조절기(131~133)와, 바늘대(110, 120)와 같은 주기로 윗실(U1, U2)을 끌어올리는(인상(引上)하는) 실채기 기구(14)와, 상하 이동을 정지시키고 있는 재봉 바늘(11 또는 12)에 꿰어진 윗실(U1 또는 U2)을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실 유지 장치(60)와, 재봉 바늘(11 또는 12)에 꿰어진 윗실(U1 또는 U2)에 밑실(도시 생략)을 엮는 단일(單一)의 북집을 구비하는 도시되지 않은 북집 기구와, 피봉제물인 천을 유지하며 X-Y 평면을 따라 임의로 이동 위치를 결정하는 이동 기구로서의 천 이동 기구(80)와, 재봉기(100)의 각 구성을 지지하는 재봉기 프레임(101)과, 바늘 낙하에 따른 천의 상하 이동을 억제하는 중심 노루발(15)과, 윗실(U1와 U2)의 조출(繰出, feeding)의 유무를 각각 검출하는 제 1 및 제 2 실 조출(thread feeding) 검출 수단으로서의 제 1 및 제 2 실 절단 센서(161, 162)와, 재봉 바늘(11 또는 12)로부터 늘어진 윗실(U1 또는 U2)의 단부의 유지를 행하는 실 단부 클램프 장치(18)와, 밑실을 보빈에 감는 실 와인더(thread winder) 기구(19)와, 작업자가 재봉기에 대한 각종 조작이나, 각종 데이터의 입력 등을 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70)과, 상기 각 구성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90)를 구비하고 있다.
[재봉기 프레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봉기(100)는, 외형이 X축 방향에서 볼 때 대략 역 ㄷ자 형상을 띄는 재봉기 프레임(10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재봉기 프레임(101)은, 재봉기(100)의 상부를 이루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기 아암부(102)와, 재봉기(100)의 하부를 이루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기 베드부(103)와, 재봉기 아암부(102) 및 재봉기 베드부(103)를 연결하는 세로 몸체부(104)를 가지고 있다.
[천 이동 기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 이동 기구(80)는, 재봉기 베드부(103)의 상면에 있어서 피봉제물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81)과, 유지 프레임(81)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아암(82)과, 지지 아암(82)을 통해 유지 프레임(81)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모터(83, 도 11 참조)와, 지지 아암(82)을 통해 유지 프레임(81)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모터(84, 도 1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천 이동 기구(80)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지 프레임(81)을 통해 피봉제물을 X-Y 평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1바늘마다 임의의 위치로 바늘 낙하를 행할 수 있어, 자유롭게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바늘 상하 이동 기구]
도 4는 재봉기 아암부(102)의 면부(105)측 선단부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내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상하 이동 기구(20)는, 상기 재봉기 아암부(102) 내에 있어서 Y축 방향을 따른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축(22)과, 상축(22)의 일단부로부터 회전력을 부여하는 재봉기 모터(21, 도 11 참조)와, 상축(22)의 타단부에 설치된 균형 추(錘)(23)와, 균형 추(2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偏心)된 위치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바늘대 크랭크를 통해 Y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연결된 크랭크 로드(24)와, 바늘대(110 또는 120)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바늘대 홀더(2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바늘 상하 이동 기구(20)는, 재봉기 모터(21)의 출력에 의해 상축(22)이 회전하며, 균형 추(23), 바늘대 크랭크 및 크랭크 로드(24)를 통해 회전 동작을 상하 이동 동작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바늘대 홀더(25)가 유지하는 어느 일방의 바늘대(110 또는 120)에 상하 이동 동작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늘대 홀더(25)와 각 바늘대(110, 120) 간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실채기 기구]
실채기 기구(1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실(U1, U2)을 각각 관통 삽입시키는 실 꿰기 구멍이 일단부에 형성된 벨 크랭크 형상의 실채기(141)와, 재봉기 아암부(102) 내에서 프레임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축 지지된 실채기 크랭크(1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실채기(141)는 그 기단부가 균형 추(2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기단부와 선단부의 중간부가 실채기 크랭크(142)의 회동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상축(22)이 회전하면, 실채기(141)의 기단부가 주회(周回) 운동을 행하며, 실채기 크랭크(142)와의 연결에 의해, 실채기(141)의 선단부는 상승 동작과 하강 동작에서 속도가 다른 소정의 상하 이동 동작을 행하게 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실 절단 센서 및 실 장력조절기]
재봉기 아암부(102)의 면부(105)를 정면으로 했을 경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스풀 홀더(spool holder)로부터 조출(繰出, feeding)되는 윗실(U1, U2)은, 재봉기 아암부(102)의 우측면부에 설치된 복수의 실 안내(171, 172)에 의해 각각의 실 경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해당 실 경로의 도중에는, 제 1 및 제 2 실 절단 센서(161, 162), 실 장력조절기(131~133), 실채기(141)가 차례로 배치되며, 이들을 통과한 윗실(U1, U2)은, 면부(105)의 하측에 설치된 실 유지 장치(60, 도 11 참조)를 거쳐 각각의 재봉 바늘(11, 12)로 안내된다.
제 1 실 절단 센서(161)에는 윗실(U1)이 관통 삽입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에는 윗실(U2)이 관통 삽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실 절단 센서(161, 162)는, 윗실(U1, U2)이 통과하는 위치에 광원과 수광(受光) 소자로 이루어지는 광학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수광 소자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윗실(U1, U2)이 이동 또는 정지 중 어느 상태인지를 검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제 1 실 절단 센서(161)는 윗실(U1)의 움직임을 검지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는 윗실(U2)의 움직임을 검지한다.
예컨대, 봉제중인 윗실(U1, U2)은, 재봉 바늘(11, 12(바늘대(110, 120))의 상하 이동에 연동(連動)하도록, 소정의 주기로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기 때문에, 실 절단 센서(161, 162)가, 이동에 수반하는 ON 신호와 정지에 수반하는 OFF 신호를 소정 주기로 반복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통상의 봉제가 행해지고 있음을 검지할 수가 있다.
즉, 봉제중인 윗실(U1, U2)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실 절단 센서(161, 162)가, 소정 주기로 반복하는 ON/OFF 신호를 검출하지 않고, ON 신호만 혹은 OFF 신호만을 검출하거나, 소정 주기가 아닌 ON/OFF 신호를 검출하거나 할 경우에는, 봉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예상된다.
또, 봉제중이 아닌 윗실(U1, U2)은, 조출되지 않고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실 절단 센서(161, 162)가, 정지에 수반되는 OFF 신호를 계속해서 검출함으로써, 윗실에 이상이 없음을 검지할 수가 있다.
즉, 봉제중이 아닌 윗실(U1, U2)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실 절단 센서(161, 162)가, 계속되는 OFF 신호를 검출하지 않고, ON 신호를 검출하여, 윗실의 움직임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봉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제 1 실 절단 센서(161)와 제 2 실 절단 센서(162)에 의해, 윗실(U1, U2)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실 장력조절기(131)에는 윗실(U1)이 걸쳐지고, 실 장력조절기(132)에는 윗실(U2)이 걸쳐져, 이들 윗실(U1, U2)마다 개별적인 장력 부여가 행해진다.
또, 실 장력조절기(133)는 윗실(U1, U2)에 대해 공용되는 것으로서, 이들에 대해 동일한 실 장력 부여가 행해진다.
상술한 실채기(141)는, 그 선단부가 재봉기 아암부(102)의 우측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실 장력조절기(133)에 걸쳐진 윗실(U1, U2)이 각각의 실 꿰기 구멍에 관통 삽입된다.
[바늘대 전환 기구:전체]
도 5는 바늘대 전환 기구(30)의 정면도, 도 6은 사시도이다. 바늘대 전환 기구(30)는, 2개의 바늘대(110, 120)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바늘대 토대(31)와, 재봉기 아암부(102)의 면부(105) 근방에 있어서의 상부에 있어서 바늘대 토대(31)를 지지하는 지지 블록(35)과, 바늘대(110, 120)를 바늘대 토대(31)에 대한 유지 상태(상하 이동 동작 상태)와 바늘대 홀더(25)에 대한 유지 상태(상사점 위치 정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바늘대 정지부(32, 32, 도 7 참조)와, 각 바늘대 정지부(32, 32)에 대해 유지 상태의 전환 동작을 행하는 정지 선택부(33)와, 사용할 바늘대(110 또는 120)의 재봉 바늘(11 또는 12)을 소정의 재봉 위치에 위치 맞춤하는 전환 구동부(전환 구동 기구; 34)를 구비하고 있다.
[바늘대 전환 기구:바늘대 토대]
바늘대 토대(31)는, 상하로 나란히 이격되는 상부 블록(311) 및 하부 블록(312)과, 이들에 가설(架設)된 상태로 연결하는 가설부(313)와, 상부 블록(311)의 상면으로부터 더욱 상방으로 연장 돌출(延出)된 판형상의 지지부(31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늘대 토대(31)는, 지지부(314)에 대해 Y축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지지 구멍에 삽입된 지지축(315)을 통해 지지 블록(35)에 의해 Y축 둘레로 요동(搖動)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블록(35)은,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해 재봉기 아암부(102)에 고정된다.
상부 블록(311)과 하부 블록(312)은, 가설부(313)에 의해 일정한 이격 거리로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며, 이들 상부 블록(311)과 하부 블록(312)에는, 모두, 바늘대(110과 120)를 삽입하는 바늘대 삽입 구멍(316, 316)과 바늘대 삽입 구멍(317, 317)이 상하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바늘대 삽입 구멍(316, 316) 및 바늘대 삽입 구멍(317, 317)은, 모두 바늘대 토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늘대 토대(31)의 길이 방향이 Z축 방향에 평행해지는 자세로 했을 경우, 각 바늘대 삽입 구멍(316, 316) 및 각 바늘대 삽입 구멍(317, 317)도 Z축 방향에 평행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일방의 바늘대 삽입 구멍(316)과 일방의 바늘대 삽입 구멍(317)은 동심(同心)이고 또한 동일 지름이며, 또, 타방의 바늘대 삽입 구멍(316)과 타방의 바늘대 삽입 구멍(317)도 동심이고 또한 동일 지름이 되도록, 각각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의 바늘대(110)는, 일방의 바늘대 삽입 구멍(316)에 그 상부가 지지되며, 일방의 바늘대 삽입 구멍(317)에 그 하부가 지지된다. 또, 타방의 바늘대(120)는, 타방의 바늘대 삽입 구멍(316)에 그 상부가 지지되며, 타방의 바늘대 삽입 구멍(317)에 그 하부가 지지된다.
또한, 이러한 바늘대 삽입 구멍(316, 316) 및 바늘대 삽입 구멍(317, 317)은, 모두 그 내측에 도시되지 않은 슬라이딩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어, 각각의 바늘대(110, 120)는 원활히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바늘대 토대(31)는, 2개의 바늘대(110, 120)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바늘대 전환 기구:바늘대 정지부]
바늘대(110)와 바늘대(120)는, 모두 내부가 중공(中空)의 관(管)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의 내부에는 바늘대 정지부(32)의 일부의 구성이 수납되어 있다. 도 7은 각 바늘대(110,120)를 절결하여 내부의 바늘대 정지부(32)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각 바늘대 정지부(32)는, 각각의 바늘대(110, 120)를 바늘대 토대(31)에 대한 유지 상태와 바늘대 홀더(25)에 대한 유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정지 선택부(33)는, 각 바늘대 정지부(32)에 대해 소정의 외부 조작을 행하여, 일방의 바늘대(110)가 바늘대 홀더(25)에 의해 유지되는 동시에 타방의 바늘대(120)가 바늘대 토대(31)에 유지된 제 1 선택 상태와, 일방의 바늘대(110)가 바늘대 토대(31)에 유지되는 동시에 타방의 바늘대(120)가 바늘대 홀더(25)에 유지된 제 2 선택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어느 일방의 바늘대(110 또는 120)만이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바늘대(110)와 바늘대(120)의 각각에 설치되는 바늘대 정지부(32)는, 모두 동일한 구성이다. 또, 바늘대 정지부(32)에 대응하여 바늘대(110)에 형성되는 핀 출몰 구멍(111), 상측 볼 출몰 구멍(112) 및 하측 볼 출몰 구멍(113)과, 바늘대(120)에 형성되는 핀 출몰 구멍(121), 상측 볼 출몰 구멍(122) 및 하측 볼 출몰 구멍(123)(모두 후술)은, 서로 동일한 구조이다.
따라서, 바늘대(110)측의 바늘대 정지부(32)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바늘대(120)측의 바늘대 정지부(32)의 설명은 생략한다.
바늘대 정지부(32)는, 바늘대(110)의 관형상의 내부에 삽입된 정지 봉(棒)(321)과, 바늘대(110)의 내부에서 정지 봉(321)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322)과, 바늘대(110)의 내부로부터 외주면으로 관통 형성된 상측 볼 출몰 구멍(112)과 하측 볼 출몰 구멍(113)에 각각 끼움 결합 가능한 바늘대 구동 볼(323) 및 바늘대 정지 볼(324)과, 바늘대 홀더(25)에 대해 바늘대(110)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외주에 고정 장비된 스토퍼(32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지 봉(321)은, 그 상단부에 정지 봉(321)의 다른 부위보다 지름이 작은 핀 형상부(321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 스프링(322)에 의한 상방으로의 가압에 의해, 통상시에는, 핀 형상부(321a)가 바늘대(110)의 상단면에 형성된 핀 출몰 구멍(111)으로부터 외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정지 봉(321)은, 상하 2곳에 제 1 및 제 2 홈 캠부(321b, 321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 캠부(321b, 321c)는, 정지 봉(321)의 다른 부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홈 캠부(321b)는 홈의 내측 하부에 원추(圓錐)형상의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홈 캠부(321c)는 홈의 내측 상부에 원추형상의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늘대(110)의 내부 벽면과 각 홈 캠부(321b, 321c)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 내에는, 바늘대 구동 볼(323)과 바늘대 정지 볼(324)이 각각 수용되어 있다.
또한, 바늘대(110)의 제 1 홈 캠부(321b) 내에 수용된 바늘대 구동 볼(323)이 면하는 위치에는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관통된 상측 볼 출몰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늘대(110)의 제 2 홈 캠부(321c) 내에 수용된 바늘대 정지 볼(324)이 면하는 위치에는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관통된 하측 볼 출몰 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볼 출몰 구멍(112)은, 바늘대(110)의 내측에서는 바늘대 구동 볼(323)보다 큰 지름이며, 외측을 향함에 따라 지름이 축소되어 바늘대(110)의 외주면에서는 바늘대 구동 볼(323)보다 약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다. 또, 하측 볼 출몰 구멍(113)의 내부 지름과 바늘대 정지 볼(324)도 같은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정지 봉(321)의 핀 형상부(321a)가 최대한으로 돌출된 상태(이하, 단순히 「돌출 상태」라 함)에 있을 때에는, 상측 볼 출몰 구멍(112)에 대해 제 1 홈 캠부(321b)가 약간 상측에 위치하고, 하측 볼 출몰 구멍(113)에 대해 제 2 홈 캠부(321c)가 합치(合致)하는 위치가 되도록 배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바늘대 구동 볼(323)은 상측 볼 출몰 구멍(112)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된 상태가 되고, 바늘대 정지 볼(324)은 하측 볼 출몰 구멍(113)으로부터 내측으로 후퇴한 상태가 된다(도 7의 바늘대(120) 참조).
또, 정지 봉(321)의 핀 형상부(321a)가 압입되면(예컨대, 핀 형상부(321a)의 돌출 길이의 반(半分)~전체 길이 정도 : 이하, 「압입 상태」라 함), 상측 볼 출몰 구멍(112)에 대해 제 1 홈 캠부(321b)가 합치하는 위치가 되고, 하측 볼 출몰 구멍(113)에 대해 제 2 홈 캠부(321c)가 약간 하측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바늘대 구동 볼(323)은 상측 볼 출몰 구멍(112)으로부터 내측으로 후퇴한 상태가 되며, 바늘대 정지 볼(324)은 하측 볼 출몰 구멍(113)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된 상태가 된다(도 7의 바늘대(110) 참조).
그리고 바늘대(110)가 상사점 높이에 위치하고, 바늘대 홀더(25)도 상사점 위치에 있을 때, 정지 봉(321)의 핀 형상부(321a)를 돌출 상태로 하면, 상측 볼 출몰 구멍(112)으로부터 일부 돌출된 바늘대 구동 볼(323)과 스토퍼(325)에 의해, 바늘대 홀더(25)를 상하로 끼워 넣을 수가 있다. 이로써 바늘대(110)를 바늘대 홀더(25)에 대한 유지 상태로 할 수가 있으며, 바늘 상하 이동 기구(20)로부터의 상하 이동 동작을 바늘대(11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 바늘대 토대(31)의 하부 블록(312)의 상면에는 볼 스토퍼(326)가 설치되어 있어, 바늘대(110)의 외주면에 돌기가 존재하면, 바늘대 토대(31)에 대한 바늘대(110)의 하강을 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핀 형상부(321a)가 돌출 상태일 때에는 바늘대 정지 볼(324)은 하측 볼 출몰 구멍(113)의 내측으로 후퇴하고 있으므로, 바늘대 토대(31)에 대한 바늘대(110)의 상하 이동이 규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늘대(110)는, 상하 이동의 동작 상태가 된다.
한편, 바늘대(110)가 상사점 높이에 위치하며, 바늘대 홀더(25)도 상사점 위치에 있을 때, 정지 봉(321)의 핀 형상부(321a)를 압입 상태로 하면, 상측 볼 출몰 구멍(112)으로부터 바늘대 구동 볼(323)이 후퇴하므로, 바늘대(110)의 바늘대 홀더(25)에 대한 유지 상태가 해제된다.
또, 핀 형상부(321a)가 압입 상태일 때에는 바늘대 정지 볼(324)이 하측 볼 출몰 구멍(113)으로부터 일부 돌출하므로, 볼 스토퍼(326)에 의해 바늘대 토대(31)에 대한 바늘대(110)의 하강이 저지된다. 또한, 상술한 스토퍼(325)는, 바늘대(110)가 상사점에 위치할 때에 바늘대 토대(31)의 상부 블록(311)의 하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바늘대 토대(31)에 대하여 바늘대(110)가 상사점 위치보다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도 저지된다.
따라서, 바늘대(110)는, 바늘대 토대(31)에 대한 유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바늘대 정지부(32)는, 바늘대(110)가 상사점에 있을 때, 정지 봉(321)의 핀 형상부(321a)의 압입 조작을 행함으로써, 바늘대(110)를 바늘대 홀더(25)에 대한 유지 상태(상하 이동 동작 상태)로부터 바늘대 토대(31)에 대한 유지 상태(상사점 위치 정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핀 형상부(321a)의 압입 조작을 해제하면, 가압 스프링(322)에 의해 바늘대 토대(31)에 대한 유지 상태로부터 바늘대 홀더(25)에 대한 유지 상태로 자동적으로 되돌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바늘대 전환 기구:전환 구동부]
바늘대 전환 기구(30)에서는, 바늘대 토대(31)를 지지축(315)을 중심으로 하여 Y축 둘레로 요동시킴으로써, 재봉 바늘(11 또는 12)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환 구동부(34)에서는, 상사점과 하사점의 중간에 위치할 때의 재봉 바늘(11)의 선단부와, 상사점과 하사점의 중간에 위치할 때의 재봉 바늘(12)의 선단부가, 지지축(315)의 중심선과 직교하여 연직 하방으로 늘어진 수선(垂線, perpendicular)과 각각 각각 일치하는 경사 각도가 되도록, 바늘대 토대(31)를 요동시킨다. 또한, 재봉 바늘(11)의 선단부와 재봉 바늘(12)의 선단부가 각각 상기 수선과 일치하는 경사 각도에 있는 상태를, 재봉 바늘(11) 또는 재봉 바늘(12)이 「재봉 위치」라 하기로 한다. 그리고 각 재봉 바늘(11, 12)이, 하나의 중심 노루발(15)과 하나의 북집을 공용하여 바늘땀을 형성한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구동부(전환 구동 기구; 34)는, 바늘대 토대(31)의 요동 동작의 구동원이 되는 에어 실린더(341)와, 에어 실린더(341)의 플런저에 일방의 회동 아암이 연결된 벨 크랭크(342)와, 벨 크랭크(342)의 타방의 회동 아암에 일단부가 연결된 링크체(343)와, 링크체(343)의 일단부가 연결된 입력 아암(346)과, 입력 아암(346)에 일단부가 고정 연결된 캠 축(344)과, 캠 축의 타단 측에 설치된 편심 캠(344a)과, 편심 캠(344a)이 장착되는 스퀘어다이(square die, 角駒)(347, 도 8에 도시함)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 실린더(341)의 플런저가 진퇴 동작을 행하면, 벨 크랭크(342)가 회동하며, 링크체(343)가 진퇴 이동을 행한다. 해당 링크체(343)의 타단부는 입력 아암(346)의 회동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에어 실린더(341)의 작동에 의해 입력 아암(346)에 회동 동작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제 2 액추에이터; 341)는, 재봉기 프레임(101)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플런저의 진퇴 동작에 있어서, 벨 크랭크(342)와의 연결부에 발생하는 X축 방향의 변위(變位)를 요동에 의해 허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입력 아암(346)에 고정 연결된 캠 축(344)은, 회동 중심에 대해 편심된 원형의 편심 캠(344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해당 편심 캠(344a)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퀘어다이(347)의 구멍(347a)에 삽입된다. 스퀘어다이(347)는 바늘대 토대(31)의 하부 블록(312)에 형성된 끼움 결합 홈(318)에 끼움 결합하여 있다. 끼움 결합 홈(318)은, 바늘대 토대(31)의 하부에 있어서, 그 길이 방향(바늘대 토대(31)의 요동 반경 방향과 평행)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 실린더(341)의 구동에 의해, 입력 아암(346)을 통해 캠 축(344)이 회동하면, 스퀘어다이(347)가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바늘대 토대(31)를 요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전환 구동부(34)의 각 구성은, 에어 실린더(341)의 플런저가 전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재봉 바늘(11)이 재봉 위치에 있는 상태가 되고, 에어 실린더(341)의 플런저가 후퇴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재봉 바늘(12)이 재봉 위치에 있는 상태가 되도록, 각 부의 치수가 설계되어 있다. 또, 바늘대 토대(31) 또는 전환 구동부(34)의 구성 중 어느 하나가, 재봉 바늘(11)이 재봉 위치가 되는 위치와 재봉 바늘(12)이 재봉 위치가 되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하도록 2개의 스토퍼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그 경우에는, 각 스토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재봉 바늘(11, 1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바늘대 전환 기구:정지 선택부]
정지 선택부(정지 선택 기구; 33)는, 바늘대(110)와 바늘대(120)의 각각의 바늘대 정지부(32, 32)에 대하여 각각의 핀 형상부(321a, 321a)에 대한 압입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 1 선택 상태(일방의 바늘대(110)가 바늘대 홀더(25)에 유지되고, 타방의 바늘대(120)가 바늘대 토대(31)에 유지된 상태)와 제 2 선택 상태(일방의 바늘대(110)가 바늘대 토대(31)에 유지되고, 타방의 바늘대(120)가 바늘대 홀더(25)에 유지된 상태)간의 상태 전환을 행하는 기구이다.
정지 선택부(33)는,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대(110)와 바늘대(120)의 상태 전환 동작의 구동원이 되는 에어 실린더(액추에이터; 331)와, 에어 실린더(331)의 플런저에 입력 아암(332a)이 연결된 전환 레버(전환 부재; 33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블록(35)은, 재봉기 아암부(102)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315)은, 지지 블록(35)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315)은, 바늘대 토대(31)와 전환 레버(332)를 Y축 둘레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또, 전환 레버(332)는, 2개의 바늘대(110, 120)의 상측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환 레버(332)는, 지지축(315)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입력 아암(332a)과, 모두 입력 아암(332a)과는 다른 반경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2개의 압입 돌기(332b, 332c)를 구비하고 있다.
전환 레버(332)는, 입력 아암(332a)이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지지축(31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입력 아암(332a)은, 지지 블록(35)에 지지된 에어 실린더(331)의 플런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331)는, 지지 블록(3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플런저의 진퇴 동작에 있어서, 전환 레버(332)의 입력 아암(332a)과의 연결부에 발생하는 Z축 방향의 변위를 요동에 의해 허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2개의 압입 돌기(332b, 332c)는 모두 대략 하방을 향하고 있으며, 에어 실린더(331)의 플런저의 후퇴 동작에 따라 일방의 압입 돌기(332b)가 바늘대(110)로부터 돌출된 핀 형상부(321a)와의 대향 위치로 전환되고, 에어 실린더(331)의 플런저의 전진 동작에 따라 타방의 압입 돌기(332c)가 바늘대(120)로부터 돌출된 핀 형상부(321a)와의 대향 위치로 전환되게 되어 있다.
또, 각 압입 돌기(332b, 332c)의 돌출 길이는, 각각의 바늘대(110, 120)가 상사점 높이까지 상승했을 때에, 각각의 핀 형상부(321a, 321a)가 각각의 바늘대(110, 120)의 유지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압입량으로 압입이 행해지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전환 구동부(34)에 의한 바늘대 토대(31)의 요동 동작과 정지 선택부(33)에 의한 제 1 또는 제 2 선택 상태로의 전환 동작은 연동(連動)하여 행해진다.
즉, 정지 선택부(33)의 전환 레버(332)에 의해, 바늘대(110, 120)를 제 1 선택 상태(바늘대(110)가 상하 이동을 행하는 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전환 구동부(34)는, 바늘대 토대(31)의 바늘대(110)가 재봉 위치가 되도록 요동 동작을 행하고, 정지 선택부(33)의 전환 레버(332)에 의해, 바늘대(110, 120)를 제 2 선택 상태(바늘대(120)가 상하 이동을 행하는 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전환 구동부(34)는, 바늘대 토대(31)의 바늘대(120)가 재봉 위치가 되도록 요동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전환 레버(332)의 각각의 압입 돌기(332b, 332c)를 각 바늘대(110, 120)의 핀 형상부(321a, 321a)에 대향하는 위치로 회동시킬 때에는, 바늘대 토대(31)의 요동 각도를 고려하여 적정한 위치가 되도록, 전환 레버(332)의 입력 아암(332a) 및 압입 돌기(332b, 332c)의 치수 및 에어 실린더(331)의 스트로크(stroke)가 설정되어 있다.
또, 에어 실린더(331)의 작동시에, 전환 레버(332)의 각각의 압입 돌기(332b, 332c)가 적정한 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하도록, 2개의 스토퍼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그 경우에는, 각 스토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압입 돌기(332b, 332c)의 정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실 단부 클램프 장치]
실 단부 클램프 장치(18)는, 재봉 바늘(11, 12)의 바늘 구멍으로부터 늘어지는 윗실 단부를 제거할 수 있는 와이퍼와, 와이퍼가 유도한 윗실 단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인 포트와, 흡인 포트로 안내된 윗실 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볼과, 볼을 흡인 포트 측으로 이동시키는 에어 실린더(181, 도 11에 나타냄)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재봉하기 시작할 때, 좌우 양방의 재봉 바늘(11, 12)에 윗실을 꿴 후, 작업자는 도시가 생략된 조작 패널을 조작해, 와이퍼를 구동하여, 좌우의 윗실(U1, U2)을 흡인 포트로 안내한다. 봉제 개시시, 좌우의 윗실 단부는 흡인 포트에 흡입되어 있다. 그러나 실에 대한 흡인력은 약하기 때문에, 일방의 바늘이 상하 이동하여 바늘땀을 형성하면, 일방의 실에 대한 흡인이 해제된다. 바늘땀이 여러 바늘 형성되면, 볼이 이동하여 바늘땀을 형성하지 않고 있는 타방의 바늘의 윗실을 끼움 지지하기 때문에, 타방의 바늘의 윗실이 말려 들어가, 꿰매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실 절단 후에는, 자동적으로 와이퍼가 구동하여, 윗실 단부를 흡인한다.
[실 유지 장치]
도 9는 실 유지 장치(60)의 정면도, 도 10은 사시도이다. 실 유지 장치(60)는, 봉제를 행하는 재봉 바늘로서 선택되지 않은 재봉 바늘(11 또는 12)에 관통 삽입된 윗실(U1 또는 U2)이, 실채기(141)의 인상(引上) 동작에 따라 재봉 바늘(11 또는 1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실 유지 장치(60)는, 바늘대 토대(31)의 전방측 하단부에 장비된 가동 유지 부재(61)와, 가동 유지 부재(61)에 대하여 바늘대 토대(31)의 요동 방향의 양측에서 근접하여 대향되는 2개의 대향부(621, 622)를 구비한 고정 유지 부재(62)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유지 부재(61)는, 바늘대 토대(31)의 하부(지지축(315)에 대하여 재봉 바늘(11, 12)측)에 고정 장비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실 유지부(611)가 형성되어 있다. 실 유지부(611)는, X-Y 평면을 따른 직사각형 평판 형상을 이루며, 그 좌우의 양 측가장자리부(側緣部)(611a, 611b)는 모두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 유지 부재(62)는, 면부(105)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대향부(621, 622)는 모두 Y-Z 평면에 평행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유지 부재(61)는, 실 유지부(611)가 고정 유지 부재(62)의 대향부(621와 622)의 사이에 헐겁게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실 유지부(611)의 일방의 측가장자리부(611a)에 대하여 고정 유지 부재(62)의 일방의 대향부(621)가 X축 방향 좌측에 있어서 근접하여 대향되며, 실 유지부(611)의 타방의 측가장자리부(611b)에 대하여 고정 유지 부재(62)의 타방의 대향부(622)가 X축 방향 우측에 있어서 근접하여 대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 유지부(611)의 일방의 측가장자리부(611a)와 고정 유지 부재(62)의 일방의 대향부(621)간의 틈새는, 재봉 바늘(11)에 관통 삽입되는 윗실(U1)을 관통 삽입하는 제 1 실 꿰기부로 되어 있으며, 실채기(141)로부터 재봉 바늘(11)에 이르는 도중의 윗실(U1)이 관통 삽입된다.
또, 실 유지부(611)의 타방의 측가장자리부(611b)와 고정 유지 부재(62)의 타방의 대향부(622)간의 틈새는, 재봉 바늘(12)에 관통 삽입되는 윗실(U2)을 관통 삽입하는 제 2 실 꿰기부로 되어 있으며, 실채기(141)로부터 재봉 바늘(12)에 이르는 도중의 윗실(U2)이 관통 삽입된다.
가동 유지 부재(61)는,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요동을 행하는 바늘대 토대(31)에 장비되어 있으며, 바늘대 토대(31)는 봉제를 행할 재봉 바늘(11, 12)을 선택할 때에 바늘대 전환 기구(30)의 전환 구동부(34)에 의해 요동 동작이 부여된다.
그리고 재봉 바늘(11)의 선택시에는, 전환 구동부(34)는 바늘대 토대(31)의 하단부를 우측으로 요동시키기 때문에, 가동 유지 부재(61)의 실 유지부(611)의 타방의 측가장자리부(611b)가 고정 유지 부재(62)의 타방의 대향부(622)측에 접촉한다. 그 결과, 사용하지 않는 재봉 바늘(12)측의 윗실(U2)이 이들에 끼움 지지된 상태가 되어, 실채기(141)의 인상 동작에 대항하여 윗실(U2)이 재봉 바늘(1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재봉 바늘(12)의 선택시에는, 전환 구동부(34)는 바늘대 토대(31)의 하단부를 좌측으로 요동시키기 때문에, 가동 유지 부재(61)의 실 유지부(611)의 일방의 측가장자리부(611a)가 고정 유지 부재(62)의 일방의 대향부(621) 측에 접촉한다. 그 결과, 사용하지 않는 재봉 바늘(11)측의 윗실(U1)이 이들에 끼움 지지된 상태가 되어, 실채기(141)의 인상 동작에 대항하여 윗실(U1)이 재봉 바늘(1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중심 노루발]
중심 노루발(15)은, 봉제시에 선택되어 있는 재봉 바늘(11 또는 12)을 헐겁게 끼울 수 있는 프레임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해당 프레임 형상부가 재봉 바늘(11 또는 12)과 동기하여 작은 스트로크로 상하 이동을 행하여, 재봉 바늘(11 또는 12)과의 마찰에 의해 천이 크게 상하로 흔들리지 않도록 억제하는 동시에 천으로부터의 재봉 바늘(11 또는 12)의 빠짐을 보다 확실히 행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중심 노루발(15)은, 재봉기 아암부(102) 내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중심 노루발 구동 기구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해당 중심 노루발 구동 기구는, 상축(22)으로부터 동력을 얻어 중심 노루발(15)의 상하 이동 동작을 부여하고 있다.
[실 와인더(thread winder) 기구]
실 와인더 기구(19, 도 2 참조)는, 북집의 내부에 장비되는 보빈에 밑실을 감기 위한 기구이다. 실 와인더 기구(19)는, 보빈을 세팅하는 보빈 유지대(19a)와, 상축(22)으로부터 동력을 얻어 보빈 유지대(19a)에 회전 동작을 부여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해당 동력 전달 기구는, 보빈 유지대(19a)에 보빈이 세팅되었음을 검지하는 검지 레버(19b)를 구비하고 있으며, 검지 레버(19b)에 의한 보빈의 검지시에 상축(22)으로부터 보빈 유지대(19a)로의 동력 전달을 행하게 되어 있다. 또, 검지 레버(19b)는, 보빈에 소정량의 밑실이 감기면, 상축(22)으로부터 보빈 유지대(19a)로의 동력 전달이 단절되도록 되어 있기도 하다.
[조작 패널]
조작 패널(70, 도 11 참조)은, 터치 패널(71)과 액정 패널(7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작 패널(70)과 재봉기의 제어장치(9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회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터치 패널(71)은, 액정 패널(72)의 표시 화면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액정 패널(72)의 표시 화면에 대한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액정 패널(72)은, 각종 키나 버튼을 갖는 조작 키 그룹이나, 각종 봉제 데이터나 각종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표시부이다.
즉, 조작 패널(70)은, 액정 패널(72)에 표시되는 조작 키 그룹 등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예컨대, 전자 유도식, 자기왜식(磁氣歪式), 정전 용량식, 감압식(感壓式) 등의 위치 판독 원리에 의해 터치 패널(71)이 터치 지시된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위치에 따라, 재봉기의 각종 조작이나 각종 데이터의 입력 등을 행하거나, 각종 표시 화면을 표시하거나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예컨대, 조작 패널(70)은, 후술하는 기억 수단(데이터 메모리(94))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이상 패턴 중,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의 판단 대상으로 하는 봉제 이상 패턴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설정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재봉기의 제어계:제어장치]
도 11은 재봉기(100)의 제어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재봉기(100)는, 상술한 각 부, 각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9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90)는, 봉제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92)과, 연산 처리의 작업 영역지가 되는 RAM(93)과, 봉제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서의 불휘발성의 데이터 메모리(94)와, ROM(92) 내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91)를 구비하고 있다.
또, CPU(91)는, 도시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봉기 모터 구동 회로(21a), X축 모터 구동 회로(83a), Y축 모터 구동 회로(84a)와 접속되며, 이들을 통해 재봉기 모터(21), X축 모터(83), Y축 모터(84)의 구동을 제어한다.
재봉기 모터(21)는, 도시되지 않은 인코더가 병설된 서보 모터이며, 그 검출 각도가 CPU(91)에 출력된다.
또, 상기 X축 모터(83) 및 Y축 모터(84)는 스테핑 모터이며, 이들의 도시되지 않은 원점 검색 수단이 CPU에 접속되고, 그 출력으로부터 CPU(91)는 각 모터(83, 84)의 원점 위치를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 CPU(91)는, 도시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바늘대 전환 기구(30)의 정지 선택부(33)의 에어 실린더(331), 바늘대 전환 기구(30)의 전환 구동부(34)의 에어 실린더(341) 및 실 단부 클램프 장치(18)의 에어 실린더(181)의 각각을 작동시키는 전자 밸브(333, 347, 182)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회로(333a, 347a, 182a)와 접속되어 있다.
또, 상술한 실 장력조절기(131~133) 중의 실 장력조절기(133)만은, 솔레노이드를 내장하며, 제어장치(90)의 제어에 의해, 실 장력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 장력조절기(133)의 구동 회로(133a)도 도시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CPU(91)와 접속되어 있다.
또, 봉제시 그 이외의 경우에, 윗실(U1, U2)의 상태를 검출하는 제 1 및 제 2 실 절단 센서(161, 162)는 센서 드라이버(160a)를 통해 CPU(91)와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메모리(94)에 저장되어 있는 봉제 데이터에는, 소정의 봉제 패턴을 봉제하기 위한 매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로 천을 이동시키기 위한 X축 모터(83) 및 Y축 모터(84)의 천 이송량을 정한 천 이송 데이터, 어떠한 재봉 바늘(11 또는 12)을 사용할지를 정한 선택 재봉 바늘 데이터, 실 장력을 정한 실 장력 데이터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CPU(91)는, 봉제시에는, 1바늘마다 상기 봉제 데이터의 설정 내용을 판독하여, 재봉기의 각 구성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
예컨대, CPU(91)가 매 바늘의 천 이송 데이터를 판독하였을 경우에는, 소정의 상축 각도가 되는 타이밍으로 X축 모터(83) 및 Y축 모터(84)를 구동하여, 천을 목표가 되는 바늘 낙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또, CPU(91)가 실 장력 데이터를 판독하였을 경우에는, 소정의 상축 각도가 되는 타이밍으로 실 장력조절기(133)의 내장 솔레노이드를 구동하여, 목표가 되는 실 장력이 되도록 구동시킨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94)에는, 2개의 바늘대(110, 120)의 구동 상태와, 2개의 실 절단 센서(161, 162)가 검지할 수 있는 각각의 윗실(U1, U2)의 움직임의 조합에 근거하는 복수의 봉제 이상 패턴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상기 봉제 이상 패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CPU(91)가 봉제중에 선택 재봉 바늘 데이터를 판독하였을 경우에는, 「재봉기 모터 정지」→「상하 실 절단」→「사용할 재봉 바늘의 전환」을 차례로 실행한다.
즉, 「재봉기 모터 정지」에서는, CPU(91)는, 소정의 상축 각도로 재봉기 모터(21)를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하 실 절단」에서는, CPU(91)는, 도시되지 않은 실 절단 모터를 제어하여 그때까지 봉제를 하고 있던 윗실과 밑실의 실 절단을 실행한다.
또한, 「사용할 재봉 바늘의 전환」에서는, CPU(91)는, 바늘대 전환 기구(30)의 정지 선택부(33)의 에어 실린더(331)와 전환 구동부(34)의 에어 실린더(341)를 작동시켜, 전환 레버(332) 및 바늘대 토대(31)를 요동시킨다.
이로써, 전환 레버(332)에 의한, 바늘대(110 또는 12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핀 형상부(321a)의 압입 위치가 전환된다. 또, 바늘대 토대(31)가 요동하여 재봉 바늘(11 또는 12)이 재봉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사용할 재봉 바늘의 전환 동작]
상술한 「사용할 재봉 바늘의 전환」 동작에 대해 도 12의 동작 설명도에 근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장치(90)의 CPU(91)는, 봉제 패턴을 형성하는 재봉의 도중에 봉제 데이터로부터 선택 재봉 바늘 데이터를 판독하였을 경우, 예컨대, 그때까지 재봉을 하고 있던 재봉 바늘로부터 다른 재봉 바늘로 전환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재봉 바늘(12)로부터 재봉 바늘(11)로 전환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우선, CPU(91)는, 소정의 상축 정지 각도인 상(上) 정지 위치에서 상축(22)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재봉기 모터(21)의 정지를 행한다. 예컨대, 상 정지 위치의 상축 각도는 실채기(141)의 상사점으로 한다(예컨대, 바늘대 상사점을 상축 각도 0°로 했을 경우, 상축 각도 30~50°의 범위). 이때, 바늘대 상사점을 통과한 위치에서 재봉기 모터(21)를 정지시키므로, 그때까지 재봉을 하고 있던 재봉 바늘(12)을 유지하는 바늘대(120)는 상사점 위치보다 약간 하강 동작을 일으킨다. 또한, 도 12(A)에서는 바늘대(120)를 크게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바늘대(110)와 상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바늘대(120)의 높낮이 차는 도 12(A)의 경우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정지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실 절단 모터를 제어하여 그때까지 봉제를 행하고 있던 윗실과 밑실의 실 절단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실 단부 클램프 장치(18)의 와이퍼를 구동하여, 좌우의 재봉 바늘(11, 12)의 윗실 단부를 흡인 포트로 안내해, 흡인한다.
그 후,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대 전환 기구(30)의 전환 구동부(34)의 에어 실린더(341)를 작동시켜, 바늘대 토대(31)를 하단부가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이로써, 재봉 바늘(12)이 재봉 위치(지지축(315)의 수직 하방(直下) 위치)로부터 벗어나고 나서 재봉 바늘(11)이 재봉 위치로 전환된다.
또, 정지 선택부(33)의 에어 실린더(331)를 작동시켜, 전환 레버(332)의 압입 돌기(332c)가 요동 후의 바늘대 토대(31)의 바늘대(120)의 핀 형상부(321a)와 대향하는 위치가 되도록 전환 레버(332)를 회동시킨다.
이 시점에서는, 바늘대(12)가 약간 하강하고 있으므로, 압입 돌기(332c)와 바늘대(120)의 핀 형상부(321a)가 간섭을 일으키는 일 없이 전환 레버(332)를 회동시킬 수가 있다.
상기 전환 레버(332)의 회동에 의해, 압입 돌기(332b)가 바늘대(110)의 핀 형상부(321a)와의 대향 위치로부터 벗어나므로, 바늘대(110)의 내부의 정지 봉(321)은 가압 스프링(322)에 눌려 상방으로의 이동이 발생한다. 이로써, 홈 캠부(321c)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바늘대 정지 볼(324)이 하측 볼 출몰 구멍(113)에 있어서 내측으로 퇴피한다(도 7 참조). 따라서, 바늘대(110)가 바늘대 토대(31)에 유지된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상축 각도가 바늘대 상사점을 통과한 위치에서 상축(22)은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바늘대 홀더(25)는 약간 하강한 상태에 있으며, 이 때문에, 이 시점에서는, 바늘대(110)의 바늘대 구동 볼(323)은 상측 볼 출몰 구멍(11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없으며, 바늘대(110)는 바늘대 홀더(25)에 유지된 상태로는 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CPU(91)는, 재봉기 모터(21)를 역회전으로 구동시켜, 상 정지 위치(실채기 상사점)로부터 바늘대 상사점까지 되돌리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바늘대(120) 및 바늘대 홀더(25)는 상승하며, 바늘대(120)의 핀 형상부(321a)가 전환 레버(332)의 압입 돌기(332c)에 맞닿아 하방으로 압입된다. 이 때문에, 바늘대(120) 내부의 정지 봉(321)의 홈 캠부(321b)가 하강하여, 바늘대 구동 볼(323)은 상측 볼 출몰 구멍(122)으로부터 내측으로 후퇴한다. 또, 홈 캠부(321c)도 하강하여, 바늘대 정지 볼(324)이 하측 볼 출몰 구멍(123)으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바늘대(120)는, 바늘대 홀더(25)의 유지 상태가 해제되고, 바늘대 토대(31)에 유지된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바늘대(110) 내에서는, 바늘대 구동 볼(323)이 상측 볼 출몰 구멍(112)으로부터 돌출되어, 바늘대 홀더(25)에 유지된 상태가 된다.
또, 바늘대 토대(31)가 도 12(A)의 상태로부터 도 12(B)의 상태로 회동하면, 실 유지 장치(60)에서는, 가동 유지 부재(61)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그 실 유지부(611)의 좌측의 측가장자리부(611a)가 대향부(621)와의 사이에서 유지하고 있던 윗실(U1)을 해방한다. 또, 가동 유지 부재(61)의 실 유지부(611)의 우측의 측가장자리부(611b)가 대향부(622)에 맞닿아, 이들의 사이에서 윗실(U2)의 유지를 행한다.
그 후, 재봉기 모터(21)는 통상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을 재개하여, 재봉 바늘(11)에 의한 바늘 낙하가 행해지지만, 재봉 바늘(12)의 윗실(U2)은 실 유지부(611)의 측가장자리부(611b)와 대향부(622)에 끼움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실채기(141)에 의해 상방으로 끌어올려져도(인상(引上)되어도) 재봉 바늘(12)로부터의 빠짐의 발생은 방지된다. 또, 봉제 개시 후, 바늘땀이 여러 바늘 형성되면, 실 단부 클램프 장치(18)의 볼이 이동하여, 바늘땀을 형성하지 않고 있는 재봉 바늘(12)의 윗실을 끼움 지지하기 때문에, 재봉 바늘(12)의 윗실이 재봉 바늘(11)에 말려 들어가, 꿰매어지는 경우가 방지된다.
또한, 봉제 데이터 중의 선택 재봉 바늘 데이터의 판독에 수반하여, 「사용할 재봉 바늘의 전환」을 행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조작 패널(70)에 있어서의 「선택 재봉 바늘」 키(도시 생략)를 누르는 조작 입력을 행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할 재봉 바늘의 전환」을 행하여, 원하는 재봉 바늘(11, 12(바늘대(110, 120)) 측의 윗실(U1, U2)에 의한 봉제를 행할 수도 있다.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 판단]
다음으로, 재봉기(100)에 있어서의 제 1 실 절단 센서(161)와 제 2 실 절단 센서(162)를 이용한, 재봉기의 동작 상황 판단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 절단 센서(161)와 제 2 실 절단 센서(162)를 총칭하여, 윗실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2개의 센서라 부른다.
여기에서는, 일방의 바늘대(110)가 선택되고, 그 바늘대(110)가 구비하는 재봉 바늘(11)에 의한 봉제를 행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타방의 바늘대(120)가 구비하는 재봉 바늘(12)에 의한 봉제를 행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예컨대, 일방의 바늘대(110)의 구동으로 전환하여, 그 선택된 바늘대(110)의 재봉 바늘(11)에 의한 봉제를 행할 때에, 봉제 이상 없이, 통상의 봉제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 도 13의 「No. 1」 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윗실(U1)의 이동에 수반되는 ON 신호와 정지에 수반하는 OFF 신호를 소정 주기로 반복하는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윗실(U2)의 정지에 수반되는 OFF 신호를 계속해서 검출한다.
즉, 바늘대(110)의 재봉 바늘(11)을 이용한 봉제를 행할 때에, 제 1 실 절단 센서(161)와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도 13의 「No. 1」 부분에 나타내는 신호를 각각 검출함으로써, 통상의 봉제가 행해지고 있음을 검지할 수가 있다.
또, 일방의 바늘대(110)의 구동으로 전환하여, 그 선택된 바늘대(110)의 재봉 바늘(11)에 의한 봉제를 행할 때에, 봉제중이 아닌 윗실(U2)이 봉제중인 윗실(U1)에 끌어 들여져 꿰매어지는 봉제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도 13의 「No. 3」 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윗실(U1)의 이동에 수반되는 ON 신호와 정지에 수반되는 OFF 신호를 소정 주기로 반복하는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봉제중인 윗실(U1)과 동기(同期)한 주기로 조출(繰出)되는 윗실(U2)의 ON/OFF 신호를 검출한다.
즉, 바늘대(110)의 재봉 바늘(11)을 이용한 봉제를 행할 때에, 제 1 실 절단 센서(161)와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도 13의 「No. 3」 부분에 나타내는 신호를 각각 검출함으로써, 봉제 중이 아닌 윗실(U2)이 꿰매어지고 있는 봉제 이상을 검지할 수가 있다.
또, 일방의 바늘대(110)의 구동으로 전환하여, 그 선택된 바늘대(110)의 재봉 바늘(11)에 의한 봉제를 행할 때에, 봉제 중인 윗실(U1)이 실 절단되는 봉제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도 13의 「No. 2」 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윗실(U1)이 이동하지 않음에 따른 OFF 신호를 계속해서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윗실(U2)의 정지에 수반되는 OFF 신호를 계속해서 검출한다.
즉, 바늘대(110)의 재봉 바늘(11)을 이용한 봉제를 행할 때에, 제 1 실 절단 센서(161)와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도 13의 「No. 2」 부분에 나타내는 신호를 각각 검출함으로써, 봉제중인 윗실(U1)이 실 절단되어 있는 봉제 이상을 검지할 수가 있다.
또, 일방의 바늘대(110)의 구동으로 전환하여, 그 선택된 바늘대(110)의 재봉 바늘(11)에 의한 봉제를 행할 때에, 봉제 중이 아닌 윗실(U2)이 실채기(141)에 감기는 봉제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도 13의 「No. 4」 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윗실(U1)의 이동에 수반되는 ON 신호와 정지에 수반되는 OFF 신호를 소정 주기로 반복하는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윗실(U2)이 계속해서 조출되는 ON 신호나, 소정 주기가 아닌 ON/OFF 신호를 검출한다.
즉, 바늘대(110)의 재봉 바늘(11)을 이용한 봉제를 행할 때에, 제 1 실 절단 센서(161)와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도 13의 「No. 4」 부분에 나타내는 신호를 각각 검출함으로써, 봉제중이 아닌 윗실(U2)이 실채기(141)에 감겨, 윗실(U2)이 조출되는 봉제 이상을 검지할 수가 있다.
또한, 일방의 바늘대(110)가 선택되고, 그 바늘대(110)가 구비하는 재봉 바늘(11)에 의한 봉제를 행할 때에, 2개의 실 절단 센서(161, 162)가 각각 검지하는 윗실(U1, U2)의 움직임의 조합은, 상기의 No. 1~No. 4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4의 테이블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10가지 패턴의 조합이 있다. 단, 이러한 10가지 패턴 중, No. 7~No. 9의 3가지 패턴은, 재봉 바늘(11)에 의한 봉제시가 아닌, 실 와인더 기구(19)에 의해 보빈에 밑실을 감을 때의 이상(異常) 검지에 관한 윗실(U1, U2)의 움직임의 조합 패턴이다.
또, 도 14의 테이블에 나타내는 No. 1~No. 4는, 도 13의 「No. 1」~ 「No. 4」에 상당하는 패턴이다.
이하에, 도 14의 테이블에 나타내는, 2개의 실 절단 센서(161, 162)가 각각 검지하는 윗실(U1, U2)의 움직임의 조합인, 2개의 실 절단 센서(161, 162)가 각각 검출하는 신호의 조합과, 그 조합에 근거하여 판단할 수 있는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상 검지)을 예시한다.
예컨대,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소정 주기의 ON/OFF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OFF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통상의 봉제가 행해지고 있음을 검지할 수가 있다(No. 1)(통상 봉제).
또,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OFF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OFF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봉제중인 윗실(U1)이 실 절단되어 있는 봉제 이상을 검지할 수가 있다(No. 2)(실 절단 검지).
또,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소정 주기의 ON/OFF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소정 주기의 ON/OFF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봉제중이 아닌 윗실(U2)(동작 정지중인 재봉 바늘(12)에 꿰어진 윗실(U2))이 꿰매어져 있는 봉제 이상을 검지할 수가 있다(No. 3)(정지 실이 꿰매어진 것에 대한 검지).
또,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소정 주기의 ON/OFF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계속되는 ON 신호나, 소정 주기가 아닌 ON/OFF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봉제 중이 아닌 윗실(U2)이 실채기(141)에 감긴 봉제 이상을 검지할 수가 있다(No. 4).
또,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계속되는 ON 신호나, 소정 주기가 아닌 ON/OFF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OFF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봉제중인 윗실(U1)이 실채기(141)에 감긴 봉제 이상을 검지할 수가 있다(No. 5).
또,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계속되는 ON 신호나, 소정 주기가 아닌 ON/OFF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계속되는 ON 신호나, 소정 주기가 아닌 ON/OFF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봉제중인 윗실(U1)과, 봉제중이 아닌 윗실(U2)이 함께 실채기(141)에 감긴 봉제 이상을 검지할 수가 있다(No. 6).
또,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OFF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소정 주기의 ON/OFF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윗실(U1)과 윗실(U2)이 반대로 꿰어지는 봉제 이상(윗실(U1)이 재봉 바늘(12)에 관통 삽입되고, 윗실(U2)이 재봉 바늘(11)에 관통 삽입되어 있는 오류)을 검지할 수가 있다(No. 10)(실이 반대로 꿰어진 오류에 대한 검지).
또, 도 14의 테이블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실 와인더 기구(19)에 의한 밑실의 실 감기 동작중, 통상의 실 감기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OFF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OFF 신호를 검출한다.
실 와인더 기구(19)에 의한 밑실의 실 감기 중,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OFF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계속되는 ON 신호나, 소정 주기가 아닌 ON/OFF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윗실(U2)이 실채기(141)에 감긴 봉제 이상을 검지할 수가 있다(No. 7).
또, 실 와인더 기구(19)에 의한 밑실의 실 감기 동작중,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계속되는 ON 신호나, 소정 주기가 아닌 ON/OFF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OFF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윗실(U1)이 실채기(141)에 감긴 봉제 이상을 검지할 수가 있다(No. 8).
또, 실 와인더 기구(19)에 의한 밑실의 실 감기 동작중, 제 1 실 절단 센서(161)가 계속되는 ON 신호나, 소정 주기가 아닌 ON/OFF 신호를 검출하고, 제 2 실 절단 센서(162)가 계속되는 ON 신호나, 소정 주기가 아닌 ON/OFF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윗실(U1)과 윗실(U2)의 양방이 실채기(141)에 감긴 봉제 이상을 검지할 수가 있다(No. 9).
상기 예시한 바와 같은, 제 1 실 절단 센서(161)의 검출 신호와 제 2 실 절단 센서(162)에 의한 검출 신호의 조합인, 복수의 봉제 이상 패턴에 관한 데이터(No. 2~No. 10)와, 통상의 봉제 상태에 관한 데이터(No. 1)를 포함하며,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테이블(도 14 참조)이 데이터 메모리(94)에 기억되어 저장되어 있다. 또한, 타방의 바늘대(120)가 구비하는 재봉 바늘(12)에 의한 봉제를 행하는 경우에 판단 기준으로 하는 마찬가지의 테이블도 데이터 메모리(94)에 기억되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90)의 CPU(91)가 ROM(92)에 저장되어 있는 봉제 이상 검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장치(90(CPU(91))는, 2개의 바늘대(110, 120)의 구동 상태와, 2개의 실 절단 센서(161, 162)가 검지한 각각의 윗실(U1, U2)의 움직임의 조합에 근거하여, 해당 쌍침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예컨대, 제어 수단(90)은, 데이터 메모리(94)에 기억되어 있는 테이블(도 14 참조)을 참조하여,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이 그 테이블에 있어서의 봉제 이상 패턴 중 하나와 일치할 때,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 수단은, 데이터 메모리(94)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봉제 이상 패턴 중, 조작 패널(70)을 통해 선택된 봉제 이상 패턴을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의 판단 대상으로서 설정하는 동시에,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이 그 설정된 봉제 이상 패턴과 일치할 때,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 수단이,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제어장치(90(CPU(91))는 재봉기 모터(21)를 정지시켜, 재봉기(10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 수단이,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재봉기(100)를 정지시켰을 때, 제어장치(90(CPU(91))는, 조작 패널(70)에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재봉기의 동작 상황 판단 처리]
다음으로,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 판단 처리를, 도 15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조작 패널(70)을 통해, 이상 검지에 관한 설정을 행한다(단계 S1).
예컨대, 일방의 바늘대(110)가 구비하는 재봉 바늘(11)에 의한 봉제를 행하는 경우, 도 14에 나타내는 테이블의 No. 2~No. 6, No. 10에 대응하는 봉제 이상의 검출을 유효하게 하는 설정을 행하는 동시에, 봉제 이상임을 확정하는 이상 검지 바늘 수(예컨대, 5바늘)를 설정한다. 또한, 실 와인더 기구(19)에 의한 밑실의 실 감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테이블의 No. 7~No. 9에 관한 이상(異常)의 검출을 유효하게 하는 설정을 하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재봉기(100)로 봉제를 행하는 경우와, 밑실의 실 와인딩을 행하는 경우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이상 검지에 관한 설정을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조작 패널(70)의 시작 스위치를 눌러 봉제를 실행함으로써, 재봉기(100)의 봉제 동작을 개시한다(단계 S2).
이어서, 제어장치(90(CPU(91))는, 조작, 또는 설정, 또는 봉제 데이터(선택 재봉 바늘 데이터)에 의해 선택되어 구동하고 있는 바늘대가 좌측의 바늘대(일방의 바늘대; 110)인지 우측의 바늘대(타방의 바늘대; 120)인지를 확인하여(단계 S3), 2개의 실 절단 센서(161, 162)가 각각 검지하는 윗실(U1, U2)의 움직임을 확인한다(단계 S4).
그리고 제어장치(90(CPU(91))는, 2개의 바늘대(110, 120)의 구동 상태와, 2개의 실 절단 센서(161, 162)가 검지한 각각의 윗실(U1, U2)의 움직임의 조합에 근거하여, 재봉기(100)의 동작 상황을 판단하여, 봉제 이상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 S5). 이러한 봉제 이상의 유무에 대한 판정은, 단계 S1에서 설정된, 도 14의 테이블의 No. 2~No. 6, No. 10에 대응하는 봉제 이상 패턴에 근거하여 판정된다.
그리고 제어장치(90(CPU(91))가 봉제 이상을 검지했을 경우(단계 S6;YES), 이상 검지의 바늘 수를 플러스 1, 카운트 한다(단계 S7). 또한, 바늘 수는 재봉기 주축 모터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카운트한다.
이어서, 제어장치(90(CPU(91))는, 이상 검지의 바늘 수가 단계 S1에서 설정된 바늘 수(예컨대, 5 바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
제어장치(90(CPU(91))가, 이상 검지의 바늘 수가 단계 S1에서 설정된 바늘 수(5바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단계 S8;NO), 단계 S3으로 복귀한다.
한편, 제어장치(90(CPU(91))가, 이상 검지의 바늘 수가 단계 S1에서 설정된 바늘 수(5바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단계 S8;YES), 제어장치(90(CPU(91))는 재봉기 모터(21)를 멈추고, 재봉기(100)를 긴급 정지한다(단계 S9). 또한, 긴급 정지에 맞추도록, 제어장치(90(CPU(91))는, 조작 패널(70)의 표시부에, 이상 검지의 판정 결과를 표시한다. 예컨대, 봉제 이상 패턴 No. 2의 경우, 조작 패널(70)의 표시부에 「좌측 바늘대(재봉 바늘)의 윗실의 실 절단 검지」라는 표시를 한다.
또, 단계 S6에 있어서, 제어장치(90(CPU(91))가 봉제 이상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단계 S6;NO), 이상 검지의 바늘 수를 0(제로)으로 리셋(reset)한다(단계 S10).
그리고 제어장치(90(CPU(91))가, 소정의 봉제 패턴의 봉제를 종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단계 S11;NO), 단계 S3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어장치(90(CPU(91))가, 소정의 봉제 패턴의 봉제를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면(단계 S11;Yes), 제어장치(90(CPU(91))는 재봉기 모터(21)를 멈추어, 재봉기(100)를 통상 정지하고(단계 S12), 봉제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재봉기의 동작 상황 판단 처리는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봉제 이상(異常)의 바늘 수는, 출하시에 초기값으로서 미리 설정하여도 무방하고, 작업자가 새롭게 이상 검지 바늘 수를 설정했을 경우, 차회(次回) 봉제시에는 그 설정이 적용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계 S6에서 이상을 검지했을 경우, 단계 S7에서 이상 검지 바늘 수를 카운트하고, 단계 S8에서 이상 검지 바늘 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이상을 검지했을 경우, 유지 프레임(81)을 이동시키는 X축 모터(83), Y축 모터(84) 중 적어도 일방의 이송량을 카운트하여, 이상 검지 이송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도 무방하다. 또, 이상을 검지했을 경우, 시간을 계측하여, 예컨대 3초간 이상이 계속되었을 경우에 이상 검지 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이상 검지 바늘 수, 이상 검지 이송량, 이상 검지 시간을 총칭하여, 이상 검지 기준이라 부른다.
또, 도 14는,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테이블이다. 이 테이블에서는, 봉제 중인 윗실의 움직임이 정상적인 경우, 센서(161, 162)는 소정 주기의 ON, OFF 신호를 검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되는 센서(161, 162)의 응답 속도가 느린 경우나, 봉제 속도가 고속인 경우, 봉제 중인 윗실의 움직임이 정상이어도, 센서(161, 162)는 소정 주기의 ON, OFF가 아닌, 계속해서 조출되는 ON 신호나, 소정 주기가 아닌 ON/OFF 신호를 검출한다. 그 결과, 도 14의 No. 1, No. 2, No. 3, No. 10과, No. 4 ~ No. 10과의 구분을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오(誤)판정을 회피하기 위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재봉기의 동작 상황 기준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상황 기준 테이블은, No 1, No 2, No 3, No 10으로만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의 「ON, 또는 ON-OFF 주기」란, 계속해서 조출되는 ON 신호나, 소정 주기의 ON/OFF 신호나, 소정 주기가 아닌 ON/OFF 신호를 검출한 상태를 의미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재봉기의 동작 상황 기준 테이블을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게 봉제 이상의 동작 상황을 판단할 수가 있다.
또, 봉제 이상의 동작 상황으로서, 정지 실이 꿰매어지는 것에 대한 검지, 및 실이 반대로 꿰어지는 오류에 대한 검지 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실 와인더 기구(19)의 구동은, 조작 패널(70)의 터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제어장치(90)는 조작 패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받아 실 감기 중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실 감기 중이라는 신호로부터, 도 16의 테이블에, 도 14의 No. 7, No. 8, No. 9를 추가하여, 제어장치(90)가 실 감기 중의 실채기에 대한 실의 감김을 인식할 수 있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상기 재봉기(100)는, 2개의 바늘대(110, 120) 중, 조작 혹은 설정에 의해 어느 일방의 바늘대 구동으로 전환되며, 선택된 바늘대가 구비하는 재봉 바늘에 의해 봉제를 행하는 쌍침 재봉기(100)로서, 일방의 바늘대의 재봉 바늘에 공급되는 윗실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제 1 실 절단 센서(161)와, 타방의 바늘대의 재봉 바늘에 공급되는 윗실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제 2 실 절단 센서(162)와, 상기 2개의 바늘대의 구동 상태와, 상기 2개의 센서가 검지한 각각의 윗실의 움직임의 조합에 근거하여,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 수단(90)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제어 수단(90)은,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했을 때, 해당 쌍침 재봉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2개의 바늘대의 구동 상태와, 상기 2개의 센서(161, 162)가 검지할 수 있는 각각의 윗실의 움직임의 조합에 근거하는 복수의 봉제 이상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94)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90)은,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기억 수단(94)에 기억된 봉제 이상 패턴 중 하나와 일치할 때,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이상 패턴 중,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의 판단 대상으로 하는 봉제 이상 패턴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설정 수단(90)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90)은,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설정 수단(90)에 의해 설정된 봉제 이상 패턴과 일치할 때,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어 수단(90)이 판단하는 봉제 이상은, 동작 정지중인 재봉 바늘에 꿰어진 윗실이 꿰매어지는 것, 및 실이 반대로 꿰어지는 오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어 수단(90)이 판단한,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재봉기(100)는, 종래 기술과 같은 실 절단에 관한 이상의 검출을 행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2개의 실 절단 센서(161, 162)가 각각 검지하는 윗실(U1, U2)의 움직임의 조합에 근거하여, 다양한 봉제 이상을 검지할 수 있으므로, 새롭게 센서를 추가하는 일 없이, 각종 이상의 검지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기타]
또한, 상술한 바늘대 전환 기구(30)는, 전자 사이클 재봉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른바 본봉(本縫) 재봉기 등의 각종 재봉기에 적용해 탑재하여도 무방하다. 본봉 재봉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바늘대(110, 120)의 전환의 실행을 재봉기의 제어장치(90)에 대해 지시 입력하는 입력 수단(조작 패널(70)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정지 선택부(33)의 전환 레버(332)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압입 돌기(332b, 332c)를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사용할 재봉 바늘의 전환」 동작에 있어서의 각 바늘대(110, 120)의 유지 상태를 전환할 때에는, 각 바늘대(110, 12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된 핀 형상부(321a, 321a)와 압입 돌기(332b, 332c)가 간섭하지 않도록, 바늘대 홀더(25)에 유지된 상태의 바늘대(110 또는 120)가 상사점을 통과한 상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전환 레버(332)의 회동을 수행하고, 그 후에 상축(22)을 역회전시켜 상사점 위치로 되돌려 핀 형상부(321a)의 압입을 행하고 있다.
여기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332)의 압입 돌기(332b와 332c)의 사이를 완만하게 지름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부(332d)에 의해 연결하여, 외주 캠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로써, 바늘대 홀더(25)에 유지된 상태의 바늘대(110 또는 120)의 핀 형상부(321a)와 압입 돌기(332b 또는 332c)가 간섭하는 일 없이 전환 레버(332)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할 재봉 바늘의 전환」 동작시에는, 재봉기 모터(21)를 상 정지 위치가 아닌, 바늘대 상사점에서 정지시키고, 그 상태에서, 실 절단, 바늘대 토대(31)의 회동, 전환 레버(332)의 회동을 행하며, 바늘대(110, 120)를 전환하여, 그대로 봉제를 재개(再開)할 수 있게 된다. 즉, 재봉기 모터(21)의 역회전 동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바늘대 전환 동작을 신속히 행할 수 있게 된다.
[실 유지 장치의 다른 예]
또, 도 9에 나타내는 실 유지 장치(60) 대신에 도 18~도 20에 나타내는 실 유지 장치(60A)를 재봉기(100)에 장비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실 유지 장치(60A)는, 바늘대 토대(31)의 우측의 측면 근방에 고정 장비된 가동 유지 부재(61A)와, 가동 유지 부재(61A)에 대하여 바늘대 토대(31)의 요동 방향의 양측에서 근접하여 대향되는 2개의 대향부(621A, 622A)를 구비한 고정 유지 부재(62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동 유지 부재(61A)는, 그 상단부가 바늘대 토대(31)의 전면(前面)의 우측 단부에 있어서 2개의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유지 부재(61A)의 하단부는 Y축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을 향해 굴곡 형성된 실 유지부(611A)가 형성되어 있다. 실 유지부(611A)는 Y축 방향을 따른 환봉(丸棒) 형상이다.
그리고 실 유지부(611A)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좌우의 양 측가장자리부(611Aa, 611Ab)는, 각각, 고정 유지 부재(62A)의 대향부(621A, 622A)에 대향되어 있다.
고정 유지 부재(62A)는, 바늘대 토대(31)의 우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유지 부재(62A)의 2개의 대향부(621A, 622A)는, 모두 Y축 방향에 평행하며 Z축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평판 형상을 이루고, Y축 방향에서 볼 때 대략 역 U자 형상이 되도록 서로의 상부가 일체적으로 연접(連接)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유지 부재(62A)는, 지지부(625A)에 의해 면부(105)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또, 2개의 대향부(621A, 622A)의 연접부(連接部)는 반(半)원통형상을 이루며, 해당 연접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재봉 바늘(11)측 윗실(U1)을 관통 삽입하는 실 꿰기 구멍(623A)과 재봉 바늘(12)측 윗실(U2)을 관통 삽입하는 실 꿰기 구멍(624A)이 형성되어 있다.
실 꿰기 구멍(623A, 624A)은 모두 X축 방향을 따른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 꿰기 구멍(623A)은 대향부(621A, 622A)의 연접부로부터 대향부(621A)에 이르는 범위에서 형성되며, 실 꿰기 구멍(624A)은 대향부(621A, 622A)의 연접부로부터 대향부(623A)에 이르는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실 꿰기 구멍(623A)은 상방으로부터 관통 삽입된 윗실(U1)을, 대향부(621A)와 실 유지부(611A)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가장자리부(611Aa)와의 사이의 제 1 실 꿰기부로 안내하고, 실 꿰기 구멍(624A)은 상방으로부터 관통 삽입된 윗실(U2)을, 대향부(622A)와 실 유지부(611A)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가장자리부(611Ab)와의 사이의 제 2 실 꿰기부로 안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동 유지 부재(61A)는,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요동하는 바늘대 토대(31)에 장비되어 있으므로, 전환 구동부(34)에 의한 재봉 바늘(11)의 선택시에 있어서, 바늘대 토대(31)의 하단부가 우측으로 요동하면, 가동 유지 부재(61A)의 실 유지부(611A)의 우측의 측가장자리부(611Ab)가 고정 유지 부재(62A)의 대향부(622A)측에 접촉한다. 그 결과, 사용하지 않는 재봉 바늘(12)측 윗실(U2)이 이들에 끼움 지지된 상태가 되어, 실채기(141)의 인상 동작에 대항하여 윗실(U2)이 재봉 바늘(1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전환 구동부(34)에 의한 재봉 바늘(12)의 선택시에는, 바늘대 토대(31)의 하단부가 좌측으로 요동하므로, 가동 유지 부재(61A)의 실 유지부(611A)의 일방의 측가장자리부(611Aa)가 고정 유지 부재(62A)의 일방의 대향부(621A)측에 접촉한다. 그 결과, 사용하지 않는 재봉 바늘(11)측 윗실(U1)이 이들에 끼움 지지된 상태가 되어, 실채기(141)의 인상 동작에 대항하여 윗실(U1)이 재봉 바늘(1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실 유지 장치(60A)의 경우, 장치 전체를 바늘대 토대(31)의 우측에 배치할 수 있어, 실채기(141)로부터 재봉 바늘(11, 12)의 근방에 설치된 바늘대 실 안내(36)에 이르는 윗실 경로의 도중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윗실(U1, U2)을 원활히 안내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21; 재봉기 모터
22; 상축
25; 바늘대 홀더
30; 바늘대 전환 기구
31; 바늘대 토대(土臺)
32; 바늘대 정지부
33; 정지 선택부
34; 전환 구동부
70; 조작 패널(설정 수단, 표시부)
90; 제어장치(제어 수단, 설정 수단)
91; CPU
92; ROM
93; REAM
94; 데이터 메모리(기억 수단)
100; 재봉기
11, 12; 재봉 바늘
110, 120; 바늘대
14; 실채기 기구
161; 제 1 실 절단 센서
162; 제 2 실 절단 센서
19; 실 와인더 기구
U1; 윗실
U2; 윗실

Claims (7)

  1. 2개의 바늘대 중, 조작 혹은 설정에 의해 어느 일방(一方)의 바늘대 구동으로 전환되며, 선택된 바늘대가 구비하는 재봉 바늘에 의해 봉제를 행하는 쌍침(二本針) 재봉기로서,
    일방의 바늘대의 재봉 바늘에 공급되는 윗실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제 1 실 절단 센서와, 타방(他方)의 바늘대의 재봉 바늘에 공급되는 윗실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제 2 실 절단 센서와,
    상기 2개의 바늘대의 구동 상태와, 상기 제 1 실 절단 센서와 상기 제 2 실 절단 센서가 검지한 각각의 윗실의 움직임의 조합에 근거하여,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2개의 바늘대의 구동 상태와, 상기 제 1 실 절단 센서와 상기 제 2 실 절단 센서가 검지할 수 있는 각각의 윗실의 움직임의 조합에 근거하는 복수의 봉제 이상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봉제 이상 패턴 중 하나와 일치할 때,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異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침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이상 패턴 중,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의 판단 대상으로 하는 봉제 이상 패턴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봉제 이상 패턴과 일치할 때,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침 재봉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했을 때, 해당 쌍침 재봉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침 재봉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판단하는 봉제 이상은, 동작 정지중인 재봉 바늘에 꿰어진 윗실이 꿰매어지는 것, 및 실이 반대로 꿰어지는 오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침 재봉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했을 때, 해당 쌍침 재봉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침 재봉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판단한,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침 재봉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해당 쌍침 재봉기의 동작 상황이 봉제 이상인 것으로 판단했을 때, 해당 쌍침 재봉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침 재봉기.
KR1020140021437A 2013-02-25 2014-02-24 쌍침 재봉기 KR20140106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34098A JP6031380B2 (ja) 2013-02-25 2013-02-25 二本針ミシン
JPJP-P-2013-034098 2013-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432A true KR20140106432A (ko) 2014-09-03

Family

ID=5136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437A KR20140106432A (ko) 2013-02-25 2014-02-24 쌍침 재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31380B2 (ko)
KR (1) KR20140106432A (ko)
CN (1) CN1040051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8672B (zh) * 2016-03-30 2019-11-26 周家祥 一种缝纫线异常检测方法
CN107099951B (zh) * 2017-05-25 2020-05-05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及其跳针检测装置与检测方法
WO2019043813A1 (ja) * 2017-08-30 2019-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ミシン
CN107894732A (zh) * 2017-11-28 2018-04-10 长乐万达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花边机用的双针型控制器
JP7224199B2 (ja) * 2019-02-12 2023-02-17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制御方法及びミシンの制御装置
CN111188134B (zh) * 2020-03-12 2022-05-17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控制方法、缝纫控制***、双针缝纫机
CN112359508B (zh) * 2020-11-05 2021-08-06 浙江农林大学暨阳学院 一种用于绣花机的霍尔式断线检测设备
CN113604984B (zh) * 2021-07-29 2022-04-01 河北奔发制衣有限公司 一种链双针合缝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2242B2 (ja) * 1992-03-06 2002-10-07 株式会社バルダン ミシンの制御装置
JP3389262B2 (ja) * 1992-06-17 2003-03-24 ビ.ティ.エッセ.エルレ.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ソチエタ ペル アチオーニ 光学センサの前での糸の動きを検出することによって、繊維機械に送られる糸の状態を判定する方法、及びこれを実施する装置
JP3123264B2 (ja) * 1992-11-18 2001-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頭式刺繍ミシン
JPH1033868A (ja) * 1996-07-26 1998-02-10 Brother Ind Ltd ミシンの糸切れ検出装置
JPH1190077A (ja) * 1997-09-16 1999-04-06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縫い目検査装置
JP3494002B2 (ja) * 1998-03-25 2004-02-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糸切れ検知装置
JP2000116974A (ja) * 1998-10-13 2000-04-25 Barudan Co Ltd ミシンの糸無し検知装置
JP2000328424A (ja) * 1999-05-18 2000-11-28 Barudan Co Ltd 複数本の上糸を集合して縫い付けるミシン装置及び複数本の上糸を集合して縫い付ける方法
JP2001286690A (ja) * 2000-04-10 2001-10-16 Jaguar International Corp ミシンの上糸検知装置
JP2002369990A (ja) * 2001-06-15 2002-12-24 Brother Ind Ltd ミシンの糸切れ検出装置
JP3795384B2 (ja) * 2001-12-03 2006-07-12 株式会社バルダン 多針ミシンの糸保持装置
IT1391048B1 (it) * 2008-07-04 2011-10-27 Vi Be Mac Spa Macchina da cuc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05189A (zh) 2014-08-27
JP2014161461A (ja) 2014-09-08
JP6031380B2 (ja) 2016-11-24
CN104005189B (zh)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6432A (ko) 쌍침 재봉기
US8738168B2 (en) Sewing machine
CN105908395B (zh) 缝纫机
KR20080045071A (ko) 재봉기
US8893631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JP6045392B2 (ja) ミシン
JP2014189938A (ja) ミシン及びミシン縫製動作制御プログラム
US8042479B2 (en) Sewing machine
JP7156821B2 (ja) ミシン
US7905190B2 (en) Sewing machine
US7280886B2 (en) Sewing machine capable of embroidering
JP2006187417A (ja) ミシン
US7926434B2 (en) Thread cutting device of sewing machine
US9212438B2 (en) Sewing machine and upper feed device
WO2020054555A1 (ja) コード材を縫着可能なミシン及びコードカット装置
JP2006102399A (ja) ミシン
JP4913292B2 (ja) 下糸糸巻き装置付き刺繍ミシン
EP3889334A1 (en) Defect determination device
JP6374661B2 (ja) ミシン
JP4576547B2 (ja) ミシン
JP2005137694A (ja) ミシン
US8191491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executable on sewing machine
JP2009160263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H07148377A (ja) ミシンの制御装置
US9416473B2 (en) Upper feed device and s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