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216A - 스킨패스 밀 유닛 - Google Patents

스킨패스 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216A
KR20140081216A KR1020120150753A KR20120150753A KR20140081216A KR 20140081216 A KR20140081216 A KR 20140081216A KR 1020120150753 A KR1020120150753 A KR 1020120150753A KR 20120150753 A KR20120150753 A KR 20120150753A KR 20140081216 A KR20140081216 A KR 20140081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teel sheet
detector
work rolls
lower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605B1 (ko
Inventor
한상태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2015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6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9/00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e.g. backing rolls ; Roll bending devices, e.g. hydraulic actuators acting on roll shaft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9/00Roll bending or shifting
    • B21B2269/12Axial shifting the rolls
    • B21B2269/18Back-up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킨패스 밀 유닛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강판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강판에 기설정된 압하력을 제공하여 상기 강판의 형상을 고정하는 상부 및 하부 워크롤;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과 각각 맞닿아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을 상기 강판을 향해 가압하는 상부 및 하부 백업롤; 상기 강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강판의 일면을 기설정된 높이로 지지하여 상기 강판에 장력을 제공하는 후방롤; 상기 강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강판의 일면을 기설정된 높이로 지지하여 상기 강판에 장력을 제공하는 전방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킨패스 밀 유닛 {SKIN PASS MILL UNIT}
본 발명은 스킨패스 밀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킨패스 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승강가능한 전방롤과 후방롤을 설치하여 열연강판의 표면결함이 탐지기를 통해 탐지될 경우 전방롤과 후방롤의 높이를 변경하여 열연강판의 표면결함을 방지하는 스킨패스 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곱쇠결함은 열연소재 품질결함 중 저탄소강(C:0.10%이하)에서 주로 발생하며 코일표면의 압연방향에 직각으로 나타나는 주름형태의 결함이다. 저탄소강 연질소재의 곱쇠결함 발생원인은 항복점 연신현상으로 나타나는 결함으로서 고탄소강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다. 이러한 이유는 페라이트 만으로 된 저탄소강과는 달리 2상인 세멘타이트 등이 존재하여 많은 전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냉간압연등의 가공시 연속변형을 하기 때문이다.
저탄소강에서 나타나는 항복점 연신현상은 일반적으로 스트립을 권취시 발생하는 현상으로 초기 스트립을 권취시에는 변형량이 증가하지만 스트립이 권취기 멘드렐에 완전히 감기는 순간에는 곡률반경이 최소가 되어 변형량은 최대가 된다. 이때 변형속도는 제로가 되고 순간적으로 굽힘 모멘트를 따라 변형속도가 느린 경우의 곡선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항복점이 저하되고 그 감소분이 과포화 변형에너지로 강판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과포화 변형에너지가 곱쇠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렇게 발생된 곱쇠현상은 열간압연 이후의 냉간압연 가공 과정에서 압연두께가 불균일해지는 등의 냉연강판의 표면 불량등을 야기시켜 고객사로부터의 품질불만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열간압연에서 원일을 제공하는 곱쇠결함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는 제강공정에서 전위를 고착시키는 원소인 C, N 과 같은 화학원소를 안정한 탄화물이나 질화물로 형성시켜서 용질원소의 고용량을 줄이는 기술을 들 수 있다. 그러나, C, N 은 규격에 따른 수요가의 요구조건이 있기 때문에 상기한 기술은 성분의 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간압연 공정에서는 사상압연 이후의 런 아웃 테이블 상에서 스트립의 탑 부분에 물을 뿌려서 냉각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탑 부분의 온도하락으로 인한 권취오작 및 권취형상 불량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902829호. 2009. 06. 12.
본 발명의 목적은 강판의 결함이 발생할 경우 강판을 향해 스킨패스 밀 유닛의 압하력을 높여 강판의 결함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판의 표면결함을 탐지기를 통해 탐지할 경우 전방롤 및 후방롤의 높이 차이를 감소하여 강판의 결함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킨패스 밀 유닛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강판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강판에 기설정된 압하력을 제공하여 상기 강판의 형상을 고정하는 상부 및 하부 워크롤;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과 각각 맞닿아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을 상기 강판을 향해 가압하는 상부 및 하부 백업롤; 상기 강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강판의 일면을 기설정된 높이로 지지하여 상기 강판에 장력을 제공하는 후방롤; 상기 강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강판의 일면을 기설정된 높이로 지지하여 상기 강판에 장력을 제공하는 전방롤을 포함한다.
상기 스킨패스 밀 유닛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백업롤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백업롤을 승강하는 백업롤 승강부재;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롤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강판의 결함을 탐지하는 탐지기; 및 상기 탐지기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백업롤 승강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탐지기를 통해 상기 강판의 결함을 탐지한 경우, 상기 상부 및 하부 백업롤 승강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압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탐지기를 통해 상기 강판의 결함을 탐지한 경우, 상기 강판의 연신율을 0.7 %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킨패스 밀 유닛은, 상기 후방롤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롤을 승강하는 후방롤 승강부재; 및 상기 전방롤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롤을 승강하는 전방롤 승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킨패스 밀 유닛은,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롤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강판의 결함을 탐지하는 탐지기; 및 상기 탐지기와 상기 전방롤 및 후방롤 승강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탐지기를 통해 상기 강판의 결함을 탐지한 경우, 상기 전방롤 및 상기 후방롤 승강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롤의 직경은 상기 전방롤의 직경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강판과 접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의 일측과 상기 강판과 접하는 상기 후방롤 및 상기 전방롤의 일측은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판의 결함이 발생할 경우 강판을 향해 스킨패스 밀 유닛의 압하력을 높여 강판의 표면결함을 방지가능하며, 강판의 표면결함을 탐지기를 통해 탐지될 경우 전방롤 및 후방롤의 높이 차이를 감소시켜 강판의 결함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코일 제조장치에서 곱쇠결함의 발생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스킨패스 밀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탐지기를 통해 곱쇠결함 발생을 탐지할 경우 스킨패스 밀 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스킨패스 밀 유닛과 제어기의 연결상태는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곱쇠결함이 발생하는 저탄소강 열연강판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중탄소강 및 고탄소강 열연강판 또는 냉연강판을 포함한 다른 소재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업자로서 당연하다.
열간압연하여 고온으로 권취된 열연코일 제조장치는 페이오프릴에 의해 권취된 코일을 풀어 이송하면서 열연강판 상태에서 냉각수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급속 냉각한 후 연속하여 형상교정 공정과의 연속화를 통해 저탄소강 열연강판의 형상을 교정하는 동시에 저탄소강 열연강판의 산화스케일(산화막)의 박리성을 향상시킨 후 연속하여 초고압수를 이용한 산화막 제거기를 통과시키며 저탄소강 열연강판의 산화스케일을 제거한 후 건조하여 텐션릴을 통해 재권취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저탄소강 열연강판의 산화스케일을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열연코일의 제조공정은 가열된 저탄소강 열연강판을 연속식 열간압연기를 통해 제품의 두께로 압연한 다음 수냉각대에서 적정온도까지 수냉각하여 권취기에서 코일 형태로 권취하게 된다. 권취 직후의 열연코일의 온도는 대략 500-600도 정도로 이를 코일야드에 3-5일간 적치하여 상온까지 자연냉각 시킨다. 자연냉각된 열연코일은 필요에 따라 정정(교정)공정 예를 들어 스킨패스 롤 유닛을 이용하여 형상교정을 한다.
이와 같은 저탄소강 열연강판은 최종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품화가 되는데 예를 들어 열연코일 상태로 바로 제품화 되어 출하되기도 하고, 산세공정을 거쳐 저탄소강 열연강판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한 후 도유하여 PO 제품이 되기도 하며, 산세 후 도금등의 표면처리를 거쳐 표면처리 제품 혹은 냉연공정을 거쳐 냉연제품이 되기도 한다.
도 1 및 도 2는 코일 제조장치에서 곱쇠결함의 발생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형태로 권취된 저탄소강 열연강판(S)은 페이오프릴(110)에 의해 풀어지며, 풀어진 저탄소강 열연강판(S)은 표면에 형성된 산화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스케일 브레이커(120) 및 숏블라스터(130)를 거친다. 스케일 브레이커(120)는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스케일에 균열을 발생시키며, 숏블라스터(130)는 작은 알갱이 형태의 숏볼을 저탄소강 열연강판(S)을 향해 분사하여 산화스케일을 제거한다. 또한, 숏블라스터(130)를 거친 저탄소강 열연강판(S)은 선택적으로 염산, 황산 등의 강산 수용액에 침적하거나 산 수용액을 분무하여 산화막을 용해시켜 제거한 후 산을 씻어내는 수세를 거쳐 건조하는 산세설비(140)를 거쳐 잔존하는 산화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산화스케일이 제거된 저탄소강 열연강판(S)은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형상을 교정하는 스킨패스 밀 유닛(1)으로 이송된다. 스킨패스 밀 유닛(1)은 저탄소강 열연강판(S)을 향해 기설정된 압하력을 가함으로써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형상을 교정한다. 스킨패스 밀 유닛(1)을 통과한 저탄소강 열연강판(S)은 선택적으로 오일러(160) 또는 도금설비(도시안함), 냉연설비(도시안함)등을 거쳐 텐션릴(170)에 의해 코일형태로 권취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연코일 제조장치(100)는 스킨패스 밀 유닛(1)에 진입하기 전(A)과 텐션 릴(170)에 되감기 전(B)의 저탄소강 열연강판(S)을 비교해 본 결과, 스킨패스 밀 유닛(1)을 통과하여 형상교정을 마친 저탄소강 열연강판(S) 상에 곱쇠결함이 발견됨(도 2의 b)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어지는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인 스키패스 밀 유닛(1)과 스킨패스 밀 유닛(1)을 구비한 코일 제조장치(100)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통해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생략하기로 하며,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제조장치(100)는 코일형태로 권취된 저탄소강 열연강판(S)은 페이오프릴(110)에 의해 풀어지며, 풀어진 저탄소강 열연강판(S)은 절단기(120)를 통과하여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된다.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저탄소강 열연강판(S)은 표면에 형성된 산화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스케일 브레이커(130) 및 숏블라스터(140)를 거친다. 숏블라스터(140)를 거친 저탄소강 열연강판(S)은 선택적으로 염산, 황산 등의 강산 수용액에 침적하거나 산 수용액을 분무하여 산화막을 용해시켜 제거한 후 산을 씻어내는 수세를 거쳐 건조하는 산세설비(150)를 거쳐 잔존하는 산화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탄소강 열연강판(S)은 최종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품화가 되는데 예를 들어 열연코일 상태로 바로 제품화 되어 출하되기도 하고, 산세공정을 거쳐 저탄소강 열연강판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한 후 도유하여 PO 제품이 되기도 하며, 산세 후 도금등의 표면처리를 거쳐 표면처리 제품 혹은 냉연공정을 거쳐 냉연제품이 되기도 한다. 스킨패스 밀 유닛(1)은 일련의 산화스케일 제거설비를 통과한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형상을 교정하기 위한 설비이다. 이어지는 도 4를 통해 스킨패스 밀 유닛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은 도 3에 도시한 스킨패스 밀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킨패스 밀 유닛(1)은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형상을 고정하는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과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과 각각 맞닿아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을 저탄소강 열연강판(S)을 향해 기설정된 압하력을 제공하는 상부 및 하부 백업롤(20, 10)을 포함한다.
또한, 스킨패스 밀 유닛(1)은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의 후방에 배치되며,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일면을 기설정된 높이(d1)로 지지하는 후방롤(50) 및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의 전방에 배치되며,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일면을 기설정된 높이로 지지하는 전방롤(60)을 포함한다. 후방롤(50)과 전방롤(60)은 같은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스킨패스 밀 유닛(1)은 저탄소강 열연강판(S)을 교정압연하며, 스킨패스 밀 유닛(1)을 이용하여 저탄소강 열연강판(S)에 수 % 미만의 소성변형을 가하여 열간압연 및 냉각 시 전 공정에서 냉각시 도입된 저탄소강 열연강판(S) 형상 왜곡의 교정 및 잔류응력의 교정 등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스킨패스 밀 유닛(1)은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형상 및 잔류응력의 교정 목적 이외에도 표면에 잔존하는 산화 스케일에 기계적인 변형을 가하여 저탄소강 열연강판(S) 표면의 산화 스케일에 균열을 생성시킴으로써 산화 스케일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킨패스 밀 유닛(1)에 의해 전단변형이 집중되는 표면의 기지금속이 가공 경화되어 이어지는 초고압수에 의한 산화막 박리 시 기지금속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스킨패스 밀 유닛(1)의 주요한 역할인 형상불량 교정과 곱쇠 방지작용을 설명하면,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상하부에 각각 맞닿아 저탄소강 열연강판(S)을 가압하는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의 외측에는 상부 및 하부 백업롤(20, 10)이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 백업롤(20, 10)은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상부 및 하부 백업롤 실린더(28, 18)와 각각 연결되어 상부 및 하부 백업롤(20, 10)이 저탄소강 열연강판(S)을 향해 이동하면,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 또한 함께 저탄소강 열연강판(S)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저탄소강 열연강판(S)에 기설정된 압하력을 제공한다.
상부 백업롤(20)의 회전축(25) 상에는 상부 및 하부 백업롤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대(도시안함)를 포함하며, 탐지기(80)는 지지대에 연결되어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백업롤(2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탐지기(80)는 저탄소강 열연강판(S)이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을 통과하여 장력이 형성되면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표면형상을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지기(80)는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웨이브를 측정하여 그 형상 불량 정도를 측정하여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길이방향 불량 정도인 파장,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높이 방향 불량 정도인 파고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탐지기(80)는 카메라일 수 있다. 즉, 탐지기(80)가 탐지한 값 중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결함부의 파장 및 파고를 인식하여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결함이 발생할 경우, 상부 및 하부 백업롤 실린더(28, 18)를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을 향해 가압하여 압하력을 증가시켜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형상 교정 및 곱쇠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두께 및 폭을 고려하여 적정 이상의 압하력을 가하며,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은 통과한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연신률이 0.7% 이상이 되도록 유지하도록 압하력을 제공한다.
저탄소강 열연강판(S)이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의 후방과 전방에는 각각 후방롤(50)과 전방롤(60)이 설치된다. 탐지기(80)를 통해 곱쇠결함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된 높이(d1)의 후방롤(50)과 전방롤(60)의 높이차이를 줄여 곱쇠결함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전방롤(50)과 후방롤(60)은 각각 전방롤 회전축(52)과 후방롤 회전축(62)에 각각 연결되며, 전방롤 회전축(52)과 후방롤 회전축(62)은 각각 전방롤 승강부재(55) 및 후방롤 승강부재(65)와 연결되어 승강가능하며, 전방롤 승강부재(55) 및 후방롤 승강부재(65)는 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후방롤(50)의 이동은 진입하는 저탄소강 열연강판(S)을 기준으로 약 40도를 유지하여 승강할 수 있으며, 전방롤(50)과 후방롤(60)은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을 기준으로 대칭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후방롤 회전축(52)과 전방롤 회전축(62)은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 사이에 접하는 저탄소강 열연강판(S)으로부터 약 150mm 상승된 상태에서 저탄소강 열연강판의 형상교정 압연을 실시하나, 탐지기(80)를 통해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곱쇠결함이 탐지된 경우, 후방롤(50) 및 전방롤(60)이 저탄소강 열연강판(S)과 접하는 일측과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 사이에 저탄소강 열연강판(S)이 접하는 일측의 높이 차이를 감소하여 곱쇠결함의 저감 및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방롤(50) 및 전방롤(60)이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최소높이는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 사이에 접하는 저탄소강 열연강판(S)으로부터 약 50mm 상승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방롤(60) 및 후방롤(50)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바닥면을 각각 지지하여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장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전방롤(60) 및 후방롤(50)은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면을 각각 지지하여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방롤(50)의 직경은 전방롤(60)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후방롤의 직경이 전방롤의 직경보다 더 클 경우,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을 향해 진입하는 저탄소강 열연강판(S)에 더 큰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에 의해 형상 교정압연을 수행함으로써 곱쇠결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탐지기를 통해 곱쇠결함 발생을 탐지할 경우 스킨패스 밀 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스킨패스 밀 유닛과 제어기의 연결상태는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압하력으로 저탄소강 열연강판(S)을 가압하는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과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일면을 각각 지지하여 장력을 부여하는 후방롤(50)과 전방롤(60)은 기설정된 높이(d1)에 배치된다.
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탐지기(80)를 통해 곱쇠결함이 감지된 경우, 작동실린더를 가압하여 상부 및 하부 백업롤(20, 10)은 저탄소강 열연강판(S)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 또한 상부 및 하부 백업롤(20, 10)과 함께 저탄소강 열연강판(S)을 향해 더 큰 압하력을 제공한다. 또한, 탐지기(80)가 저탄소강 열연강판(S) 표면의 곱쇠결함을 탐지한 경우,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일면을 각각 지지하는 후방롤(50) 및 전방롤(60)에 연결된 후방 승강부재(55) 및 전방 승강부재(65)를 하강위치(d2)로 하강하여 곱쇠결함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90)는 상부 및 하부 백업롤 실린더(28, 18)와 전방롤 및 후방롤 승강부재(65, 55), 그리고 탐지기(80)와 각각 연결되어 탐지기(80)를 통해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곱쇠결함을 탐지한 경우, 상부 및 하부 백업롤 실린더(28, 18)와 전방롤 및 후방롤 승강부재(65, 55)를 구동하여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이 저탄소강 열연강판(S)을 향한 압하력을 증가시키고, 상부 및 하부 워크롤(40, 30)과 전방롤(50) 및 후방롤(60)의 높이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곱쇠결함을 방지하고 저탄소강 열연강판(S)의 형상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스킨패스 밀 유닛 10 : 하부 백업롤
18 : 하부 백업롤 실린더 20 : 상부 백업롤
28 : 상부 백업롤 실린더 30 : 하부 워크롤
35 : 하부 워크롤 회전축 40 : 상부 워크롤
45 : 상부 워크롤 회전축 50 : 후방롤
52 : 후방롤 회전축 55 : 후방롤 승강부재
60 : 전방롤 62 : 전방롤 회전축
65 : 전방롤 승강부재 80 : 탐지기
90 : 제어기 100 : 코일 제조장치
110 : 페이오프릴 120 : 절단기
130 : 스케일 브레이커 140 : 숏블라스터
150 : 산세설비 160 : 오일러
170 : 텐션릴

Claims (7)

  1.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강판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강판에 기설정된 압하력을 제공하여 상기 강판의 형상을 고정하는 상부 및 하부 워크롤;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과 각각 맞닿아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을 상기 강판을 향해 가압하는 상부 및 하부 백업롤;
    상기 강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강판의 일면을 기설정된 높이로 지지하여 상기 강판에 장력을 제공하는 후방롤;
    상기 강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강판의 일면을 기설정된 높이로 지지하여 상기 강판에 장력을 제공하는 전방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패스 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패스 밀 유닛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백업롤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백업롤을 승강하는 백업롤 승강부재;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롤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강판의 결함을 탐지하는 탐지기; 및
    상기 탐지기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백업롤 승강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탐지기를 통해 상기 강판의 결함을 탐지한 경우, 상기 상부 및 하부 백업롤 승강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압하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패스 밀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탐지기를 통해 상기 강판의 결함을 탐지한 경우, 상기 강판의 연신율을 0.7 %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패스 밀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패스 밀 유닛은,
    상기 후방롤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롤을 승강하는 후방롤 승강부재; 및
    상기 전방롤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롤을 승강하는 전방롤 승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패스 밀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패스 밀 유닛은,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롤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강판의 결함을 탐지하는 탐지기; 및
    상기 탐지기와 상기 전방롤 및 후방롤 승강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탐지기를 통해 상기 강판의 결함을 탐지한 경우, 상기 전방롤 및 상기 후방롤 승강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장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패스 밀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롤의 직경은 상기 전방롤의 직경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패스 밀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과 접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워크롤의 일측과 상기 강판과 접하는 상기 후방롤 및 상기 전방롤의 일측은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패스 밀 유닛.
KR20120150753A 2012-12-21 2012-12-21 스킨패스 밀 유닛 KR101481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0753A KR101481605B1 (ko) 2012-12-21 2012-12-21 스킨패스 밀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0753A KR101481605B1 (ko) 2012-12-21 2012-12-21 스킨패스 밀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216A true KR20140081216A (ko) 2014-07-01
KR101481605B1 KR101481605B1 (ko) 2015-01-12

Family

ID=5173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0753A KR101481605B1 (ko) 2012-12-21 2012-12-21 스킨패스 밀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6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967A (ko)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
CN108020514A (zh) * 2018-01-18 2018-05-11 广东嘉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铜箔表面色差检测与修复装置
KR101982988B1 (ko) * 2018-11-14 2019-05-27 이동희 강판코일용 슬리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827B1 (ko) * 1996-08-13 2000-04-01 에모또 간지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
KR100762432B1 (ko) 2001-12-18 2007-10-0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양 엣지부 형상불량 교정장치
KR20030052421A (ko) * 2001-12-21 2003-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질압연기에서 스트립의 형상 측정 및 개선을 위한보조장치
JP2004154799A (ja) * 2002-11-05 2004-06-03 Nippon Steel Corp 調質圧延ラインにおけるストリップの蛇行抑制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967A (ko)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
CN108020514A (zh) * 2018-01-18 2018-05-11 广东嘉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铜箔表面色差检测与修复装置
CN108020514B (zh) * 2018-01-18 2023-09-05 广东嘉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铜箔表面色差检测与修复装置
KR101982988B1 (ko) * 2018-11-14 2019-05-27 이동희 강판코일용 슬리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605B1 (ko) 201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5022B2 (en)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ot-rolled steel strip
RU265351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ыстрой выгрузки толстых стальных листов из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CN105013860B (zh) 一种热轧高强钢头部稳定卷取的控制方法
KR101481605B1 (ko) 스킨패스 밀 유닛
KR20200008549A (ko) 금속 스트립을 위한 연속주조 및 열간압연 복합장치
JP2585529B2 (ja) 高温の薄板鋳片を減厚圧延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322090B1 (ko) 스크랩 처리장치와, 이를 구비한 연연속 압연장치 및, 그 방법
JP5353260B2 (ja) 高強度厚肉熱延鋼板の巻き取り設備および巻き取り方法
CA2986646C (en) Method for stepped rolling of a metal strip
KR101431023B1 (ko) 교정압연방법 및 강판 제조방법
JP6922873B2 (ja) 調質圧延方法、調質圧延装置および鋼板の製造方法
KR101984372B1 (ko) 평탄화가 가능한 리코일러 장치
JP2008264786A (ja) 厚鋼板の製造方法
JP2000246309A (ja) 高強度鋼板の圧延設備列
JP5609366B2 (ja) 熱延鋼板の巻き取り方法
JP2010253482A (ja) 高強度厚肉熱延鋼板の巻き取り・搬出方法
JP5353259B2 (ja) 高強度厚肉熱延鋼板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巻き取り装置
CN202779157U (zh) 一种不锈钢带轧制***
KR20110103459A (ko) 스테인레스 강 스트립을 풀림 및 스케일 제거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JP5614177B2 (ja) 厚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列
JP6172118B2 (ja) 酸洗材の製造方法
KR101474780B1 (ko) 강스트립 리와인더 장치
KR101373137B1 (ko) 강판의 엔드마크 방지용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강판 권취장치
JP2019077004A (ja) 金属帯のベルト研削装置および方法
JP2010005656A (ja) マグネシウム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