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485A -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485A
KR20140035485A KR1020147000492A KR20147000492A KR20140035485A KR 20140035485 A KR20140035485 A KR 20140035485A KR 1020147000492 A KR1020147000492 A KR 1020147000492A KR 20147000492 A KR20147000492 A KR 20147000492A KR 20140035485 A KR20140035485 A KR 20140035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heave
lower car
suspending
uppe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4583B1 (ko
Inventor
다카오 니시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66B11/0213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 B66B11/022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with changeable inter-deck d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상부 엘리베이터칸과, 상부 엘리베이터칸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부 엘리베이터칸이 승강로 내를 승강 가능한 메인프레임의 내측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인프레임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쉬브를 가지고,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을 상하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엘리베이터칸에는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및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가, 하부 엘리베이터칸에는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및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가, 메인프레임의 상부에는 상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은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접속된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서스펜딩 바디에 의해 메인프레임에 대해서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서스펜딩 바디는 일단부로부터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상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쉬브,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하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및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의 순서로 감겨져, 타단부에 이르러 있다.

Description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DOUBLE-DECK ELEVATOR}
본 발명은 상부 엘리베이터칸과 하부 엘리베이터칸과의 사이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부 엘리베이터칸과 하부 엘리베이터칸과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서, 메인프레임에 마련된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의 권상기(卷上機)의 구동쉬브에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로프를 감고, 구동쉬브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메인프레임에 대해서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을 상하이동시키도록 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가 알려져 있다. 로프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로프는 구동쉬브와 로프의 일단부와의 사이에서 상부 엘리베이터칸의 서스펜딩 쉬브에 감겨지고, 구동쉬브와 로프의 타단부와의 사이에서 하부 엘리베이터칸의 서스펜딩 쉬브에 감겨져 있다. 따라서, 로프에 의한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의 매닮 방식은 2 : 1 로핑 방식으로 되어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7-33187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0-309482호 공보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의 승차정원이 증가하면,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의 권상기에 걸리는 부하가 커지므로,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의 권상기가 대형화해 버린다. 이것에 의해,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전체가 대형화해 버림과 아울러, 비용도 증대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의 승차정원이 증가해도 대형화 및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를 승강 가능한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의 내측에서 상하이동 가능한 상부 엘리베이터칸, 메인프레임의 내측에서 상부 엘리베이터칸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하이동 가능한 하부 엘리베이터칸,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쉬브를 가지고,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을 상하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 상부 엘리베이터칸에 각각 마련된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및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하부 엘리베이터칸에 각각 마련된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및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마련된 상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및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접속된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가지고, 일단부로부터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상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쉬브,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하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및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의 순서로 감겨져, 타단부에 이르러 있으며,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을 메인프레임에 대해서 매다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서스펜딩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서스펜딩 바디가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접속된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가지고, 일단부로부터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상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쉬브,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하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및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의 순서로 감겨져, 타단부에 이르러 있으므로,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의 승차정원이 증가해도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의 승차정원의 증가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고,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전체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비용의 증대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VII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하부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하부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메인구동쉬브(2a)를 가지는 권상기(메인구동장치)(2)와, 메인구동쉬브(2a)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디플렉팅(deflecting) 쉬브(3)가 마련되어 있다. 메인구동쉬브(2a) 및 디플렉팅 쉬브(3)에는 복수 개의 메인로프(예를 들면 로프나 벨트 등)(4)가 감겨져 있다. 메인로프(4)에는 승강로(1) 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칸 장치(5) 및 균형추(6)가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칸 장치(5)는 메인로프(4)의 일단부에 접속되고, 균형추(6)는 메인로프(4)의 타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로프(4)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장치(5) 및 균형추(6)의 매닮 방식은 1 : 1 로핑 방식으로 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 장치(5)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장치 가이드레일과, 균형추(6)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다(모두 도시생략). 권상기(2)의 구동력에 의해서 메인구동쉬브(2a)가 회전되면, 엘리베이터칸 장치(5)는 각 엘리베이터칸 장치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면서 승강되고, 균형추(6)는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면서 승강된다.
엘리베이터칸 장치(5)는 메인로프(4)에 접속된 메인프레임(7)과, 메인프레임(7)의 내측에서 상하이동 가능한 상부 엘리베이터칸(8)과, 메인프레임(7)의 내측에서 상부 엘리베이터칸(8)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하이동 가능한 하부 엘리베이터칸(9)을 가지고 있다.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은 각각의 폭방향을 엘리베이터칸 장치(5)의 폭방향에 일치시켜 메인프레임(7)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메인프레임(7)은 한 쌍의 세로프레임(10)과, 상부 엘리베이터칸(8)의 위쪽에 배치되고, 각 세로프레임(10)의 상단부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부 빔(beam)(11)과,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각 세로프레임(10)의 하단부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된 하부 빔(12)과, 상부 엘리베이터칸(8)과 하부 엘리베이터칸(9)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각 세로프레임(10)의 중간부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된 중간 빔(13)을 가지고 있다. 메인로프(4)는 상부 빔(11)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프레임(7)에는 상부 엘리베이터칸(8)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상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가이드레일)(14)과,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가이드레일)(15)이 고정되어 있다. 각 상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4)은 상부 엘리베이터칸(8)의 폭방향에 대해서 상부 엘리베이터칸(8)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은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폭방향에 대해서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빔(11)의 상부(즉, 메인프레임(7)의 상부)에는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을 상하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16)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16)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쉬브(17)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쉬브(17)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16)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쉬브(17)의 회전축은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깊이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상부 엘리베이터칸(8)의 상부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엘리베이터칸(8)의 폭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8)와, 상부 엘리베이터칸(8)의 폭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9)가 장착되어 있다. 각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8) 및 각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9)의 각각의 회전축은 상부 엘리베이터칸(8)의 깊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8)와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9)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즉, 승강로(1)를 상하방향에 따라서 투영했을 때의 수평면) 내에서, 각 상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4) 사이를 잇는 직선(A)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8)와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9)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서 각 상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4) 사이를 잇는 직선(A)에 관해서 대칭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하부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폭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0)와,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폭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1)가 장착되어 있다. 각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0) 및 각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1)의 각각의 회전축은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깊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0)와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서, 각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 사이를 잇는 직선(B)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0)와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1)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서, 각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 사이를 잇는 직선(B)에 관해서 대칭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빔(11)(메인프레임(7)의 상부)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22)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23)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22)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23)의 각각의 회전축은 엘리베이터칸 장치(5)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은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로프(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서스펜딩 바디)(24)에 의해 메인프레임(7)에 대해서 매달려 있다. 또한,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을 매다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서스펜딩 바디는 벨트라도 된다. 상부 빔(11)(메인프레임(7)의 상부)에는 제1 로프멈춤장치(25) 및 제2 로프멈춤장치(26)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로프(24)는 제1 로프멈춤장치(25)를 통하여 상부 빔(11)에 접속된 일단부(24a)와, 제2 로프멈춤장치(26)를 통하여 상부 빔(11)에 접속된 타단부(24b)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로프(24)는 일단부(24a)로부터 각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8), 상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22), 각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9),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쉬브(17), 각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0), 하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23), 각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1)의 순서로 감겨져, 타단부(24b)에 이르러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로프(24)에 의한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이 매닮 방식은 4 : 1 로핑 방식으로 되어 있다.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은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쉬브(17)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부 엘리베이터칸(8)과 하부 엘리베이터칸(9)과의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방향으로 각각 상하이동된다.
상부 엘리베이터칸(8)은 상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27)과, 상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27)에 지지되고, 상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27)에 둘러싸인 상부 엘리베이터칸 실(28)을 가지고 있다. 각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8) 및 각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9)는 상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27)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하부 엘리베이터칸(9)은 하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29)과, 하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29)에 지지되고, 하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29)에 둘러싸인 하부 엘리베이터칸 실(30)을 가지고 있다. 각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0) 및 각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1)는 하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29)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27)의 하부(상부 엘리베이터칸(8)의 하부)에는 각 상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4)을 파지하는 것에 의해 상부 엘리베이터칸(8)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서, 각 상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4) 사이를 잇는 직선(A)상에 배치되어 있다.
하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29)의 하부(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하부)에는 각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을 파지하는 것에 의해 하부 엘리베이터칸(9)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2)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0)와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1)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각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 사이를 잇는 직선(B)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도 4의 VII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 도 8은 도 7의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하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9는 도 7의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하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2)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0)와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2)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안내부(33)와, 각 안내부(33)의 각각과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과의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쐐기(wedge)(제동부재)(34)와,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을 피하여 각 안내부(33) 사이에 배치된 탄성스프링(35)을 가지고 있다.
각 안내부(33)는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에 따른 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안내부(33)의 일단부 사이의 거리는 각 안내부(33)의 타단부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각 안내부(33)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커지고, 각 안내부(33)의 타단부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각 안내부(33)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작아진다. 각 안내부(33)의 일단부 사이에는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이 통과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쐐기(34)가 배치되어 있다. 각 안내부(33)의 타단부 사이에는 탄성스프링(35)이 배치되어 있다.
각 안내부(33)에는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과의 거리가 아래쪽을 향하여 넓어지면서 경사지는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다. 쐐기(34)는 안내부(33)의 경사부와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쐐기(34)는 안내부(33)의 경사부를 따라서 안내되면서 하부 엘리베이터칸(9)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쐐기(34)는 하부 엘리베이터칸(9)에 대한 위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에 접촉하고, 하부 엘리베이터칸(9)에 대한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로부터 떨어진다. 하부 엘리베이터칸(9)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각 쐐기(34)가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에 접촉하면, 각 쐐기(34)는 각 안내부(33)의 일단부 사이의 거리를 넓히면서 각 안내부(33)의 각각과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과의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탄성스프링(35)은 각 쐐기(34)가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 신축하고 있지 않은 자연길이의 상태로 되어 있다. 또, 탄성스프링(35)은 각 쐐기(34)가 각 안내부(33)의 각각과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과의 사이에 물려 들어가 각 안내부(33)의 일단부가 넓어지면, 각 안내부(33)의 타단부끼리의 변위에 의해서 수축되어 탄성반발력을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각 쐐기(34)는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에 양측으로부터 밀어붙여져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을 파지한다.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2)는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을 각 쐐기(34)에 의해 파지하는 것에 의해 제동력을 부여한다.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1)의 구성은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2)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1)는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1)의 각 쐐기로 상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4)을 파지하는 것에 의해 상부 엘리베이터칸(8)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1)에는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1)의 쐐기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작동레버(도시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2)에는 쐐기(34)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작동레버(도시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작동레버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작동레버 사이에는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이 메인프레임(7)에 대해서 동시에 아래쪽으로 변위했을 때에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작동레버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작동레버를 조작하는 비상멈춤 조작장치(도시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1)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2)는 비상멈춤 조작장치에 의한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작동레버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동작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칸 장치(5) 및 균형추(6)는 권상기(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에서 승강된다.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은 상하로 인접한 승강장 층에 동시에 착상(着床)되지만, 건물의 층 간격은 반드시 일정하지 않고, 층에 따라서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16)의 구동력에 의해서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이 메인프레임(7)에 대해서 승강되고,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 사이의 간격이 층 간격에 따라 조정된다. 즉, 상부 엘리베이터칸(8)이 상승하고 하부 엘리베이터칸(9)이 하강하는 것에 의해,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 사이의 간격이 확대한다. 또, 상부 엘리베이터칸(8)이 하강하고 하부 엘리베이터칸(9)이 상승하는 것에 의해,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 사이의 간격이 축소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로프(24)가 파단(破斷)되면,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각각이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각각이 아래쪽으로 변위되면,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1)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2)의 각각이 동작되고,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에 제동력이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낙하가 방지된다.
이와 같은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이 메인프레임(7)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로프(24)에 의해 매달리고,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로프(24)에 의한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이 매닮 방식이 4 : 1 로핑 방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승차정원이 증가해도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16)에 걸리는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승차정원의 증가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16)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어,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전체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16)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비용의 증대도 억제할 수 있다.
또,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 내에서,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8) 및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9)가 각 상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4) 사이를 잇는 직선(A)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1)가 직선(A)상에 배치되고,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0) 및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1)가 각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 사이를 잇는 직선(B)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2)가 직선(B)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1)의 무게중심과 상부 엘리베이터칸(8)의 매닮중심(center of suspension)을 일치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32)의 무게중심과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매닮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4)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의 각각이 상부 엘리베이터칸(8)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9)로부터 받는 편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상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4)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의 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4)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5)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16)가 상부 빔(11)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지만, 상부 빔(11)의 하부에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16)를 마련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8) 및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9)가 상부 엘리베이터칸(8)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지만,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8) 및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9)를 상부 엘리베이터칸(8)의 하부에 마련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0) 및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1)가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지만,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0) 및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1)를 하부 엘리베이터칸(9)의 상부에 마련해도 된다.
1 승강로, 7 메인프레임,
8 상부 엘리베이터칸, 9 하부 엘리베이터칸,
14 상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가이드레일),
15 하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가이드레일),
16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
17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쉬브,
18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19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20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21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22 상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23 하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24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로프(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서스펜딩 바디),
24a 일단부, 24b 타단부,
31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 32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

Claims (2)

  1. 승강로 내를 승강 가능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에서 상하이동 가능한 상부 엘리베이터칸,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상부 엘리베이터칸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하이동 가능한 하부 엘리베이터칸,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쉬브를 가지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상기 하부 엘리베이터칸을 상하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장치,
    상기 상부 엘리베이터칸에 각각 마련된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및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상기 하부 엘리베이터칸에 각각 마련된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및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마련된 상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및 하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접속된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가지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상기 상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상기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상기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구동쉬브, 상기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상기 하부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 및 상기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의 순서로 감겨져, 상기 타단부에 이르러 있으며, 상기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상기 하부 엘리베이터칸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서 매다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서스펜딩 바디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상기 하부 엘리베이터칸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엘리베이터칸 및 상기 하부 엘리베이터칸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가이드레일,
    상기 상부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되고, 각 상기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가이드레일을 파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 엘리베이터칸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 및
    상기 하부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되고, 각 상기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가이드레일을 파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하부 엘리베이터칸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및 상기 제2 상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는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서 각 상기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가이드레일 사이를 잇는 직선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및 상기 제2 하부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는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서 각 상기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가이드레일 사이를 잇는 직선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상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 및 상기 하부 엘리베이터칸용 비상멈춤부는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서 각 상기 엘리베이터칸 위치조정용 가이드레일 사이를 잇는 직선상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KR1020147000492A 2011-06-27 2011-06-27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KR101494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4650 WO2013001587A1 (ja) 2011-06-27 2011-06-27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485A true KR20140035485A (ko) 2014-03-21
KR101494583B1 KR101494583B1 (ko) 2015-02-17

Family

ID=4742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492A KR101494583B1 (ko) 2011-06-27 2011-06-27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93723B2 (ko)
KR (1) KR101494583B1 (ko)
CN (1) CN103619746B (ko)
DE (1) DE112011105384T5 (ko)
WO (1) WO2013001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1144B (zh) * 2009-12-15 2016-02-10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双层的升降机***
JP6172082B2 (ja) * 2014-07-29 2017-08-0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CN104444725A (zh) * 2014-12-09 2015-03-25 重庆富士电梯有限责任公司 一种电梯及其轿顶
WO2018029986A1 (ja) * 2016-08-10 2018-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8382942B (zh) * 2018-04-11 2023-09-19 浙江速捷电梯有限公司 一种双层轿厢电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04886U1 (de) * 1997-03-20 1997-05-15 Boll, Rainer, 79541 Lörrach Aufzug
FI109468B (fi) * 1998-11-05 2002-08-15 Kone Corp Vetopyörähissi
JPWO2002038482A1 (ja) 2000-11-08 2004-03-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FI4928U1 (fi) * 2001-01-25 2001-05-23 Kone Corp Hissi
CN1289379C (zh) * 2002-01-30 2006-12-1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2005263490A (ja) * 2004-03-15 2005-09-29 Inventio Ag 大荷重用エレベータ
JP2007331871A (ja) * 2006-06-14 2007-12-27 Mitsubishi Electric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5103366B2 (ja) 2008-11-26 2012-1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1587A1 (ja) 2013-01-03
CN103619746A (zh) 2014-03-05
CN103619746B (zh) 2016-01-13
JP5693723B2 (ja) 2015-04-01
JPWO2013001587A1 (ja) 2015-02-23
KR101494583B1 (ko) 2015-02-17
DE112011105384T5 (de)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0224C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JP5577275B2 (ja) 床高さ調節機構付きエレベーター
JP200625676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94601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537720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据付方法
JP2014526427A (ja) エレベータの懸架構造およびガイドシュー構造
KR20140035485A (ko)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KR201701023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구성부
KR20120130087A (ko) 이단 승강기 장치
JP616926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5151230A (ja) エレベータ用主ロープ振れ止め装置
KR101016079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03626B2 (ja) かご位置調整ロープの交換方法
CN110498322B (zh) 双层轿厢电梯的修整作业方法
JP6818909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2013129493A (ja) エレベータの移動ケーブル装置
JP546802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7003954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WO2023084721A1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及び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コンペンロープの延長方法
JP6576599B1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釣合車ガイドシュー
CN108883897B (zh) 电梯装置
JP200414285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151625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30093129A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