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019A - POF3 또는 PF5로부터의 LiPO2F2 제조법 - Google Patents

POF3 또는 PF5로부터의 LiPO2F2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019A
KR20130099019A KR1020137005253A KR20137005253A KR20130099019A KR 20130099019 A KR20130099019 A KR 20130099019A KR 1020137005253 A KR1020137005253 A KR 1020137005253A KR 20137005253 A KR20137005253 A KR 20137005253A KR 20130099019 A KR20130099019 A KR 20130099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
lipf
solvent
reaction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프 슐츠
플라시도 가르시아-후안
Original Assignee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30099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0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9/00General methods of preparing halides
    • C01B9/08Fluo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0Halides or oxyhalides of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6Oxyacids of phosphorus; Salts thereof
    • C01B25/26Phosphates
    • C01B25/455Phosphate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15/00Lithium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3Liquid materials, e.g. for Li-SOCl2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POF3, PF5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Li3PO4의 반응에 의해 LiPO2F2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여, 배터리용 전해질염 첨가제인 LiPO2F2를 제조한다. POF3을 적용한 경우, LiPO2F2만 본질적으로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은, 바람직하게, 리튬 이온 배터리용 용매로도 적용가능한 용매를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로부터 추출된다. PF5를 적용한 경우에는, PF5 및 Li3PO4의 몰비에 따라, 반응 혼합물은 LiF 및/또는 LiPF6도 함유한다. LiF로부터 순수 LiPO2F2를 단리시키기 위해, 본질적으로 LiPO2F2 및 LiF만 함유한 반응 혼합물을 예를 들면 디메톡시에탄, 아세톤, 디메틸 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LiPF6으로부터 순수 LiPO2F2를 단리시키기 위해, 본질적으로 이들 성분만 함유한 반응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LiPF6을 위한 용매로도 적용가능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LiPF6이 용해되어 제거된다.

Description

POF3 또는 PF5로부터의 LiPO2F2 제조법{MANUFACTURE OF LiPO2F2 FROM POF3 OR PF5}
본 발명은 2010년 8월 4일자로 출원된 유럽특허출원 제10171881.5호 및 2010년 10월 19일자로 출원된 유럽특허출원 제10188108.4호의 우선권 이점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사실상 본원에 통합한다. 본 발명은 LiPO2F2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P-F 결합을 가지며, 포스포러스 펜타플루오라이드(5불화인, PF5), 포스포릴 플루오라이드(POF3)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리튬 오르소포스페이트(Li3PO4)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LiPO2F2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LiPO2F2의 제조에서 POF3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리튬 디플루오로포스페이트 LiPO2F2는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전해질염으로, 또는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전해질염을 포함하는 전해질 조성물을 위한 첨가제로 유용하다. 이에 따라, WO 2008/111367은 불화물이 아닌 할로겐화물, LiPF6 및 물로부터 LiPF6와 LiPO2F2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법에 대해 개시한다. 이렇게 생성된 염 혼합물을 비양성자성 용매에 용해시켜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전해질 용액으로 사용한다. EP-A-2 061 115는 당시의 선행기술로서 P2O3F4 및 Li 화합물로부터의 LiPO2F2 제조법과; 발명으로서는 LiPF6 및 Si-O-Si 결합을 가진 화합물(예컨대, 실록산)로부터의 LiPO2F2 제조법에 대해 기재한다. US 2008-305402 및 US 2008/102376은 탄산염 화합물을 함유한 LiPF6으로부터의 LiPO2F2 제조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때 US 2008/102376에 따르면 LiPF6은 50℃ 이상에서 분해되어 PF5를 형성하고, 다른 공개문헌에 따르면 LiPF6의 융점(~190℃) 이상에서는 PF5만 형성된다. EP-A-2 065 339는 불화물이 아닌 할로겐화물, LiPF6 및 물로부터 LiPF6와 LiPO2F2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법에 대해 개시한다. 이렇게 생성된 염 혼합물을 비양성자성 용매에 용해시켜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전해질 용액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위의 방법들은 기술적으로 어려운데다, 산업적으로 관심 밖인 LiF와 같은 부산물을 다량 생성하므로 폐기물 처리용 추가 비용을 발생시킨다. 게다가, 출발물질인 LiPF6은 고가이므로 이를 사용하게 되면 생산비가 늘어난다. 따라서, 위에 지적된 단점들을 피할 수 있는 신규 방법을 개발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하면서 경제적인 방식으로 LiPO2F2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과 기타 목적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LiPO2F2는 P-F 결합을 가지며 POF3, PF5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과, Li3PO4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이렇게 얻은 반응 혼합물은 LiPO2F2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LiPO2F2는 PF5 및 Li3PO4로부터 제조된다. PF5 및 Li3PO4 둘 다 저렴한 출발물질이다. PF5 및 Li3PO4의 몰비에 따라, 반응 혼합물은 하기 반응식에 의해 LiF 및/또는 LiPF6을 포함할 수 있다:
PF5 + Li3PO4 → 2 LiPO2F2 + LiF (I)
2 PF5 + Li3PO4 → 2 LiPO2F2 + LiPF6 (II)
특히 반응식(II)에 따른 반응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생성된 LiPF6 자체가 가치있는 생성물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LiPO2F2는 포스포릴 플루오라이드(POF3) 및 리튬 오르소포스페이트(Li3PO4)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2 POF3 + Li3PO4 → 3 LiPO2F2 (III)
이상적으로는 상기 반응으로부터 어떠한 부산물도 생성되지 않으므로, LiPO2F2의 순도는, 반응 혼합물이 LiF와 같은 부산물을 1종 이상 함유하게 되는 선행기술 방법과 비교하여, 정제처리 없이도 매우 높다.
포스포릴 플루오라이드(POF3)는 예컨대 ABCR GmbH & Co. KG로부터 구입하거나,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OF3은 포스포릴 클로라이드를 HF 및/또는 다른 불소화제(가령, ZnF2)를 사용하여 불소화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대안으로는, H3PO4/P2O5, HF/H2O 및 SO3/H2SO4의 반응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때때로, 수득된 POF3에는 PF5가 불순물로서 함유되어 있거나, 역으로 PF5에는 POF3가 불순물로서 함유되어 있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장점은 수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기 혼합물들 역시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이다.
PF5는 예컨대 Praxair사로부터 구입하거나, 또는 PCl5 및 HF로부터 제조하거나, 또는 EP-A-0 081628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PCl3, Cl2 및 HF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Li3PO4는 미국 뉴베리포트에 소재한 Strem Chemicals, Inc., 또는 독일의 Chemetall GmbH가 시판 중이다. Li3PO4는 융점이 1000℃가 훨씬 넘는 고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반응은 기체-고체 반응이거나; 또는 POF3이나 PF5를 위한 용매를 각각 적용시킨 경우에는 기체-액체-고체 반응 또는 액체-고체 반응이다.
바람직하게, PF5 - Li3PO4간의 반응, POF3 -  Li3PO4간의 반응, 및 POF3과 PF5, 혼합물 각각 - Li3PO4간의 반응은 물 또는 수분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반응의 지속기간 중 적어도 일부 동안 반응이 비활성 가스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으며; 건조 질소가 매우 적합하지만 기타 건조한 비활성 가스도 적용할 수 있다. 반응은 오토클레이브형 용기 또는 기타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강철 또는 내부식성을 띠는 기타 소재로 만들어진 장치, 예컨대, 모넬 금속으로 만들어지거나 모넬 금속으로 합판된 반응기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3PO4는 바람직하게 소립자 형태로, 예컨대, 분말 형태로 적용된다. 원한다면, POF3, PF5 및 이들의 혼합물과의 반응에 도입하기 전에 Li3PO4를 건조할 수 있다.
반응물질 POF3 또는 PF5는 각각 기체 형태 또는 적합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에 용해된 용액 형태로 반응에 도입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는, 예를 들어, 에테르 화합물(이를테면, 디에틸 에테르), 및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용매로 유용한 유기 용매이며; 이러한 용매의 많은 예로, 특별히 유기 탄산염뿐만 아니라, 락톤, 포름아미드, 피롤리디논, 옥사졸리디논, 니트로알칸, N,N-치환 우레탄, 설포란, 디알킬 설폭사이드, 디알킬 설파이트, 아세테이트, 니트릴, 아세트아미드, 글리콜 에테르, 디옥솔란, 디알킬옥시에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하기에 제공하였다.
기타 구현예에 의하면, POF3은 착물 형태로, 특히는 POF3-아민 착물과 같은 공여체-수용체 착물 형태로 반응기에 도입된다. 이러한 착물로는, POF3-피리딘, POF3-트리에틸아민, POF3-트리부틸아민, POF3-DMAP(4-(디메틸아미노) 피리딘), POF3-DBN(1,5-디아자바이사이클로[4.3.0]논-5-엔), POF3-DBU(1,8-디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덱-7-엔), 및 POF3-메틸이미다졸이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는,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여 POF3을 반응 용기에 공급할 수 있다. PF5도 이러한 방식으로 반응기에 도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OF3, PF5 및 이들의 임의 혼합물을 기체 형태로, 또는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에 용해된 용액 형태로 반응기에 도입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POF3, PF5 및 이들의 임의 혼합물을 기체 형태로 반응기에 도입한다.
바람직하게는, 반응 혼합물에 HF를 전혀 첨가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반응 혼합물에 디플루오로인산을 전혀 첨가하지 않는다. 생성된 LiPO2F2 내 P 함량의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 100%는 반응식(I), (II) 및 (III)에 따른 반응에 도입된 PF5 또는 POF3, 및 Li3PO4로부터 유래하며; 생성된 LiPO2F2 내 P 함량의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은 첨가한 LiPF6로부터 유래하는데; LiPF6을 전혀 첨가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원하는 전환도를 달성하도록 선택한다. 종종, 1초 내지 5시간의 반응 시간이 POF3, PF5 및 이들의 혼합물과, Li3PO4간의 반응에 양호한 결과를 제공한다. POF3과 Li3PO4간의 반응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시간의 반응 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시간의 반응 시간이 양호한 결과를 제공한다. PF5와 Li3PO4간의 반응, 또는 PF5 및 POF3의 혼합물과 Li3PO4간의 반응에 대해서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시간의 반응 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시간의 반응 시간이 양호한 결과를 제공한다. 반응 속도는 매우 빠르다.
반응 온도는 0℃ 이상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반응 온도는 100℃ 이하이다.
PF5와 Li3PO4가 반응할 때의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미만이다. 유리하게, PF5와 Li3PO4의 반응은 15℃ 내지 35℃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기 온도에서 수행된다.
POF3과 Li3PO4가 반응할 때의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 대기 온도(2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상기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 1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다. 바람직한 온도 범위는 50℃ 내지 90℃이다.
원한다면, 반응기에 내부 가열 혹은 냉각 수단, 또는 외부 가열 혹은 냉각 수단을 적용시킬 수 있다. 반응기는,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열전달제가 포함된 라인 또는 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POF3, PF5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Li3PO4간의 반응은 대기압(1 bar의 절대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POF3, PF5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Li3PO4간의 반응은 1 bar의 절대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3 bar의 절대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5 bar의 절대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 수행된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POF3 및 PF5 각각이 소모되며, 이에 따라 가령 오토클레이브 내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반응시 압력의 상한치는 중요하지 않다. 종종, 현실적인 이유로, 압력을 30 bar 이하의 절대압력으로 한다.
POF3 및 PF5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Li3PO4의 반응은 예를 들면 오토클레이브에서 회분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기에는 내부 수단(예컨대, 교반기)이 구비되어 있어, Li3PO4의 고체 입자들의 표면에 기계적 충격을 가함으로써 표면으로부터 반응 생성물을 분리시키고, 미반응된 새로운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반응기 자체를 흔들거나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으로, 반응은 예를 들면 흐름 반응기(flow reactor)에서 연속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령, Li3PO4를 층(bed)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POF3, PF5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상기 층에 통과시키되, 반응의 끝을 표시하는 POF3 또는 PF5의 "분해(breakthrough)"가 관찰될 때까지 통과시킬 수 있다. 원한다면, 반응이 수행되기 전에 질소 또는 희가스와 같은 건조 비활성 가스를 Li3PO4층에 통과시켜 산소, 수분 또는 둘 다를 제거할 수 있다.
반응이 예를 들어 연속식으로 수행되는 경우, Li3PO4는 흐름 반응기 내에 층 형태로(예컨대, 유동층으로서) 유지될 수 있으며, POF3 또는 PF5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상기 층에 통과시킨다. 연속적으로 POF3 및/또는 PF5, 그리고 미반응된 Li3PO4를 반응기에 도입할 수 있으며, 그러면 연속적으로 반응 생성물이 반응기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동식 부품, 예컨대 교반기와 같은 수단이 반응기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단은 고체 입자의 표면에 기계적 충격을 가하여, 입자 표면으로부터 반응 생성물을 분리시키고, 미반응된 Li3PO4를 제공한다.
원한다면, 반응이 용매 내에서, 예컨대 반양성자성 극성 유기 용매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i3PO4를 용매에 분산시킨다. 이러한 용매에 상당한 양의 Li3PO4가 용해될 것이라 기대하지 않지만, 적어도 용매는 LiF 또는 LiPF6과 같은 반응 생성물을 용해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LiPO2F2를 더 쉽게 단리(isolation)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원한다면, POF3 및 PF5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각각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에, 예를 들면 에테르(이를테면, 디에틸 에테르 같은 디알킬 에테르), 또는 기타 용매, 그리고 특히 하기에 언급되는 리튬 이온 배터리용 용매 중 하나에 용해된 반응물에 도입할 수 있다. LiPF6은 LiPO2F2보다 훨씬 더 잘 이들 용매에 용해될 수 있기 때문에, POF3 또는 PF5와, Li3PO4간의 반응 및 후속으로는 형성된 LiPF6의 제거 조작을 같은 반응기에서 일종의 "단일 반응기 공정(1-pot process)"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POF3과 Li3PO4간의 반응을 수행할 때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상적으로 부산물이 전혀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PF5와 Li3PO4간의 반응을 위해서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PF5:Li3PO4를 비교적 높은 몰비로, 예컨대 2 내지 4로 제공함으로써) 부산물로서 LiF의 형성은 억제되지만, 부산물로서 LiPF6의 형성은 증가되도록 반응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원한다면, 반응이 완료된 후에, 진공압을 인가하거나, 질소 또는 희가스와 같은 건조 비활성 가스를 LiPO2F2층에 통과시켜 용매나, 남아있는 POF3 또는 PF5를 제거할 수 있다.
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경우, 생성된 반응 혼합물은 고형물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고형물의 성분들을 용해시키고자 하는 경우, 원한다면, 상기 고형물을 가루로 분쇄(예컨대, 밀링)시켜 더 큰 접촉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원한다면, LiF 및/또는 LiPF6을 포함할 수 있는 상기 생성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LiPO2F2를 단리시킬 수 있다.
이하, PF5와 Li3PO4의 반응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PF5 대 Li3PO4의 몰비는 바람직하게 0.9:1 이상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몰비는 1:1 이상이다.
LiF 또는 LiPF6이 바람직한 부산물로서 형성된다는 것을 미루어 볼 때, Li3PO4와의 반응은 PF5 대 Li3PO4의 몰비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PF5 대 Li3PO4의 몰비는 2:1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1이다. PF5 대 Li3PO4의 몰비가 0.9:1(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1인 경우에는, LiF 및 LiPF6이 형성되어 반응 혼합물 내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PF5 대 Li3PO4의 몰비가 2:1에 더 가까울수록, 더 많은 LiPF6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 생성물로서의 LiPF6의 존재는, 대다수의 유기 용매에서 LiPF6의 용해도가 LiPO2F2의 용해도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아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우 쉽게 LiPO2F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LiPF6의 단점은 LiF보다 훨씬 더 수분에 민감하다는 것이다. LiF로부터 LiPO2F2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LiPO2F2를 위한 용매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되는 반응 혼합물을 가열시켜 LiPF6을 분해시킴으로써 LiF 및 PF5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일부 구현예에서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LiF 및 LiPF6 둘 다 불순물로서 존재한다면, LiF를 단일 불순물로서 제공함으로써 후처리가 더 쉬워지도록 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PF5 대 Li3PO4의 몰비는 2:1 이상이다. 상기 몰비는 바람직하게 4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본 구현예에서, LiPO2F2는 부산물로서의 LiPF6을 함유한 상태로 형성된다. 위에 언급한 대로, 용매를 사용한 추출법으로 LiPF6을 LiPO2F2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POF3 대 Li3PO4의 몰비는 일반적으로 1.8:1 이상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몰비는 2:1 이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몰비는 5:1 이하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POF3 대 Li3PO4의 몰비는 4:1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POF3 대 Li3PO4의 몰비는 2 이상 4 이하이다.
원한다면, Li3PO2F2 및 LiPF6을 임의의 원하는 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Li3PO4와 LiF와 충분한 PF5를 반응에 도입한다. PF5는 도입된 LiF와 함께 LiPF6을 형성하며, 반응에 도입된 Li3PO4와 함께는 LiPO2F2(및 약간의 LiPF6)를 형성한다.
정리하자면,
a) 반응식(I)에 따른 Li3PO4와 PF5의 반응은 LiPO2F2 및 LiF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반응 생성물을 제공한다.
b) 반응식(II)에 따른 Li3PO4와 PF5의 반응은 LiPO2F2 및 LiPF6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반응 생성물을 제공한다.
c) 반응식(III)에 따른 Li3PO4와 POF3의 반응은 최소량의 불순물(예컨대, LiF)이 함유된 LiPO2F2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반응 생성물을 제공한다.
d) Li3PO4 및 LiF를 포함하는 출발물질과, PF5의 반응은 LiPO2F2 및 LiPF6을 임의의 원하는 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공한다.
a) 및 b)에 따른 주요 부산물은 각각 LiF 및 LiPF6이며; LiF 및 LiPF6 중 하나만, 또는 둘 다 존재할 수 있다. 위에 개략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산물로서의 LiF 및 LiPF6의 존재에 영향을 주기 위해, 반응 조건, 특히는 출발 화합물들의 몰비(Li3PO4에 대한 POF3 및 PF5 각각의 몰비)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의 경우, LiF 또는 LiPF6의 존재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는 추가 정제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기타 구현예의 경우, LiF 또는 LiPF6을 함유하지 않은 정제된 LiPO2F2를 얻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원한다면, 반응 혼합물을 처리하여, 정제된 LiPO2F2를 얻을 수 있으며, 정제된 LiPO2F2를 얻는 데 있어서 두 가지 구현예가 바람직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반응 생성물을 용매로 추출시키는 단계를 통해 LiPO2F2를 정제시킬 수 있다. LiPO2F2의 단리는 용매를 사용하거나, 바람직하게는 LiPO2F2를 용해시키는 용매 혼합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LiPO2F2 불순물로서 LiF가 함유되어 있는 혼합물로부터 LiPO2F2를 분리시키기에 바람직한 방식이며, 예컨대 상기 혼합물을 앞서 a) 및 c)에 언급된 반응으로 얻은 경우에 그러하다. 용해된 LiPO2F2를 용매로부터 회수하는 것은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예컨대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적합한 용매에 용해된 LiPO2F2의 용액을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전해질 제조에 직접 적용시킬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불순물로부터의 LiPO2F2 정제는 상기 불순물을 선택적으로(우선적으로) 용해시키는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적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는 LiPO2F2 및 LiPF6을 분리시키기에 바람직한 방식이며, 예컨대 LiPO2F2 및 LiPF6 둘 다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앞서 b)에 언급된 반응으로 얻은 경우에 그러하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하면, 형성된 LiPF6은 리튬 이온 배터리에 적용가능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다. 하기에서는, LiPO2F2를 선택적으로 용해시킴으로써 LiPO2F2 및 LiF를 분리시키기에 바람직한 특정 용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반응 혼합물이 본질적으로 LiPO2F2 및 LiF만 포함하고 있다면, 이들의 분리는 선택적으로 LiPO2F2를 용해시키는 용매와 상기 반응 혼합물을 접촉시킴으로써 가장 잘 달성된다. 양성자성 및 비양성자성의 유기 및 무기 용매가 적합하며, 특히 극성 용매가 적합하다. 바람직한 무기 용매는 물이다. 양성자성 또는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를 추출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적합한 양성자성 유기 용매는 알코올이다. 분자 내에 1개, 2개 또는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진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프로판올, 글리콜 및 글리세린이 바람직한 알코올이다. 글리콜 알킬 에테르(예컨대, 디글리콜 메틸 에테르) 역시 적합하다. 또한, 호변이성체 형태의 아세톤은 양성자성 용매로 간주될 수 있다.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 역시 반응 혼합물로부터 LiPO2F2를 추출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는 (선형) 디알킬 카보네이트, (환형) 알킬렌 카보네이트, 케톤, 니트릴 및 포름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데, 이때 "알킬"이란 용어는 바람직하게 C1 내지 C4 알킬기를 가리키고, "알킬렌"이란 용어는 바람직하게, 비닐리덴기를 포함하는, C2 내지 C7 알킬렌기를 가리키며, 상기 알킬렌기는 바람직하게 -O-C(O)-O기의 산소 원자들 사이에 두 탄소 원자들의 브릿지를 포함한다. 디메틸 포름아미드, 카복실산 아미드(예컨대, N,N-디메틸 아세타미드 및 N,N-디에틸 아세타미드),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선형 디알킬 카보네이트(예컨대,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메틸 에틸 카보네이트), 환형 알킬렌 카보네이트(예컨대,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비닐리덴 카보네이트가 적합한 용매이다.
물과 1종 이상의 양성자성 또는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를 함유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출용으로 사용되는 물의 pH와 추출용으로 적용되는 물-함유 유기 용매의 pH와, 반응에서 형성되는 LiPO2F2의 pH는, LiPO2F2의 원하지 않는 가수분해를 막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수분해를 막기 위해 pH를 7 이하로 한다. 형성된 LiPO2F2가 물과 접촉하거나, 또는 물과 유기 용매(들)의 혼합물과 접촉하는 동안 pH를 7 이하의 값에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과 양성자성 용매의 혼합물, 가령, 1개, 2개 또는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진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글리콜, 글리세린 또는 디글리콜과, 물의 혼합물)을 LiPO2F2의 단리용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물과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의 혼합물, 특히는 물과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의 혼합물, 가령 물과 위에 언급한 용매들 중 하나(예컨대, 에틸렌 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의 혼합물을 적용시킬 수도 있다.
물론, 물, 1종 이상의 양성자성 유기 용매 및 1종 이상의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i-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 및 니트릴(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적용시킬 수 있다. 이들 혼합물 내 물의 함량은 바람직하게 1 내지 99 중량%이다.
PF5와 Li3PO4로부터 LiPO2F2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수용액 또는 양성자성 용매를 적용시킬 수 있다.
LiPO2F2 및 LiF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반응 혼합물을 위한 바람직한 용매 중 디메틸 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가 있는데, 그 이유는 LiPO2F2는 적어도 상당히 이들 용매에 용해될 수 있는 반면에 LiF는 본질적으로 이들 용매에 불용성이기 때문이다. POF3, PF5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Li3PO4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 LiF를 주요 불순물로 포함하고 있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LiPO2F2를 추출하기에 매우 적합한 기타 용매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MC), 에틸 아세테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의 혼합물(PC),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및 아세톤이 있다. 대기 온도에서 이들 용매에서의 LiPO2F2의 용해도를 아래의 표 1에 정리하였다.
특정 용매에서의 LiPO2F2의 용해도
용매 LiPO2F2의 용해도 [g/100g 용매]
디에틸 카보네이트 0.4
디메틸 카보네이트/프로필렌 카보네이트(1:1 v/v) 0.4
아세토니트릴 2.8
디메톡시에탄 37
아세톤 20
LiPO2F2의 용해도는 아세토니트릴에서, 특히 디메톡시에탄 및 아세톤에서 현저하게 높다. 아세톤은 리튬 이온 배터리용 용매로서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지만, LiPO2F2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용해능력을 갖는 한편 LiF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용해능력을 가지므로 LiPO2F2 정제용으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LiF와 LiPO2F2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아세톤에 LiPO2F2를 용해시킨 후 여과시켜 고형물 LiF를 제거함으로써 쉽게 분리가능하며, LiPO2F2는 예를 들어 아세톤을 증발시킴으로써 아세톤 내 용액으로부터 회수가능하다.
디메톡시에탄에서의 LiPO2F2의 용해도는 아세톤에서보다 훨씬 더 높다. 디메톡시에탄은 리튬 이온 배터리용 용매 또는 용매 첨가제로 여겨졌다. 따라서, LiF도 기껏해야 무시할만한 양으로 용해시키는 디메톡시에탄은 아세톤의 용도 관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LiPO2F2 정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리튬 이온 배터리 용매에서의 LiPO2F2의 용해도를 높이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LiF를 기껏해야 무시할만한 양으로 용해시키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에 용해된 LiPO2F2 용액은 배터리 전해질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LiF 또는 LiPF6으로부터 LiPO2F2를 단리시키기고자 하는 경우, 그리고 특히 반응 혼합물이 LiPO2F2 및 LiPF6을 주요 불순물로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무수(water-free) 용매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POF3, PF5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Li3PO4간의 반응에서 수득된 반응 혼합물을 후처리하기 위해 본질적으로 무수 상태인 용매를 사용하는 상기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해 이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반응 혼합물이 본질적으로 LiPO2F2 및 LiF만 함유하고 있다면, LiPO2F2를 선택적으로 용해시키는 용매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혼합물이 본질적으로 LiPO2F2 및 LiPF6만 함유하고 있다면, LiPF6을 선택적으로 용해시키는 용매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놀랍게도 이들 두 목적 모두를 위해, 즉 LiF가 주요 불순물로서 존재할 때는 LiPO2F2를 용해시키는 목적, 그리고 LiPO2F2를 주요 생성물로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에 LiPF6이 주요 불순물로서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LiPF6을 선택적으로 용해시키는 목적을 위해 특정 용매를 성공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LiF는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에 아주 적게만 용해될 수 있고, LiPF6은 비교적 양호한 용해도를 가진 한편, LiPO2F2의 용해도는 그 둘 사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 목적 모두를 위한 용매는 일반적으로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라는 것이 알려졌다.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전해질 용매로 유용한 용매를 적용시킬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배터리 전해질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기 않거나, 배터리 전해질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들 용매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전해질 용매로 적합한 용매를 적용시켜 LiPF6을 추출한다.
이하, 반응 혼합물의 후처리에 바람직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를 상세히 소개하기로 한다.
유기 카보네이트, 특히 디알킬 카보네이트(예컨대, 디메틸 카보네이트 또는 디에틸 카보네이트, 메틸 에틸 카보네이트), 알킬렌 카보네이트(예컨대, 에틸렌 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불소화 용매(예컨대, 모노-, 디-, 트리- 및/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가 매우 적합하다. LiF를 함유한 혼합물로부터의 LiPO2F2 추출, 또는 LiPO2F2를 포함한 혼합물로부터의 LiPF6 추출은 각각 기타 용매를, 예를 들면 M. Ue et al.의 공개문헌인 J. Electrochem. Soc. Vol. 141(1994), 2989 - 2996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락톤, 포름아미드, 피롤리디논, 옥사졸리디논, 니트로알칸, N,N-치환 우레탄, 설포레인, 디알킬 설폭사이드, 디알킬 설파이트; 또는 DE-A 1001681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리알킬포스페이트 또는 알콕시에스테르를, 대용으로 또는 추가로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선형 알킬기와 분지형 알킬기를 가진 알킬 카보네이트, 및 알킬렌 카보네이트, 예를 들면,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메틸 에틸 카보네이트(EMC), 디에틸 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는, LiF를 포함한 혼합물 중의 LiPO2F2를 선택적으로 용해시키고, LiPO2F2를 포함한 혼합물 중의 LiPF6을 선택적으로 용해시키는 각각의 목적에 특히 적합하다. EP-A-0 643 433을 참조한다. 피로카보네이트 역시 유용하다. US-A 5,427,874를 참조한다. 알킬 아세테이트(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 N,N-이치환 아세타미드, 설폭사이드, 니트릴, 글리콜 에테르 및 에테르류도 유용하다. EP-A-0 662 729를 참조한다. 종종, 이들 용매의 혼합물이 적용된다. 디옥솔란은 유용한 용매이다. EP-A-0 385 724를 참조한다.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를 위해, 1,2-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에탄 및 N,N-디메틸 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드가 용매로 적용가능하다. ITE Battery Letters Vol. 1 (1999), 105 - 109 페이지를 참조한다. 전술된 내용에서, 바람직하게 "알킬"이란 용어는 포화된 선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4 알킬기를 가리키고; 바람직하게 "알킬렌"이란 용어는 비닐리덴기를 포함하는 C2 내지 C7 알킬렌기를 가리키며, 이때 알킬렌기는 바람직하게 -O-C(O)-O기의 산소 원자들 사이에 두 탄소 원자들의 브릿지를 포함하여 5원 환을 형성한다.
불소치환 화합물, 예를 들면, 불소치환 에틸렌 카보네이트, 불소치환 디메틸 카보네이트, 불소치환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 및 불소치환 디에틸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불소화 탄산 에스테르류 또한 LiPO2F2 또는 LiPF6 각각을 용해시키는데 적합한 용매이다. 이들은 비-불소화 용매와의 혼합물 형태로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비-불소화 유기 카보네이트가 매우 적합하다.
바람직한 불소치환 카보네이트는 모노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4,4-디플루오로 에틸렌 카보네이트, 4,5-디플루오로 에틸렌 카보네이트, 4-플루오로-4-메틸 에틸렌 카보네이트, 4,5-디플루오로-4-메틸 에틸렌 카보네이트, 4-플루오로-5-메틸 에틸렌 카보네이트, 4,4-디플루오로-5-메틸 에틸렌 카보네이트, 4-(플루오로메틸)-에틸렌 카보네이트, 4-(디플루오로메틸)-에틸렌 카보네이트, 4-(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렌 카보네이트, 4-(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 에틸렌 카보네이트, 4-(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 에틸렌 카보네이트, 4-플루오로-4,5-디메틸 에틸렌 카보네이트, 4,5-디플루오로-4,5-디메틸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4,4-디플루오로-5,5-디메틸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유도체, 이를테면, 플루오로메틸 메틸 카보네이트, 디플루오로메틸 메틸 카보네이트,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틸 카보네이트, 비스(플루오로메틸) 카보네이트, 비스(디플루오로)메틸 카보네이트, 및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카보네이트;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 유도체, 이를테면, 2-플루오로에틸 메틸 카보네이트, 에틸 플루오로메틸 카보네이트, 2,2-디플루오로에틸 메틸 카보네이트, 2-플루오로에틸 플루오로메틸 카보네이트, 에틸 디플루오로메틸 카보네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틸 카보네이트, 2,2-디플루오로에틸 플루오로메틸 카보네이트, 2-플루오로에틸 디플루오로메틸 카보네이트, 및 에틸 트리플루오로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 유도체, 이를테면, 에틸 (2-플루오로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2,2-디플루오로에틸) 카보네이트, 비스(2-플루오로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카보네이트, 2,2-디플루오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카보네이트, 비스(2,2-디플루오로에틸) 카보네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카보네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2',2'-디플루오로에틸 카보네이트, 및 비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 카보네이트이다.
불포화 결합과 불소 원자 둘 다 가진 탄산 에스테르(이하, "불소화 불포화 탄산 에스테르"로 약칭함)는 LiPF6과 LiPO2F2의 혼합물로부터 LiPF6을 제거하거나, 또는 LiPO2F2를 용해시킴으로써 LiPO2F2를 불순물(예컨대, LiF와 같은 불순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용매로도 사용가능하다. 불소화 불포화 탄산 에스테르는 본 발명의 장점을 현저하게 악화시키지 않는 모든 불소화 불포화 탄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불소화 불포화 탄산 에스테르의 예로는 불소치환 비닐렌 카보네이트 유도체, 방향족 고리 또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불소치환 에틸렌 카보네이트 유도체, 및 불소치환 알릴 카보네이트가 있다.
불소치환 비닐렌 카보네이트 유도체의 예로는 플루오로비닐렌 카보네이트, 4-플루오로-5-메틸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4-플루오로-5-페닐비닐렌 카보네이트가 있다.
방향족 고리 또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불소치환 에틸렌 카보네이트 유도체의 예로는 4-플루오로-4-비닐에틸렌 카보네이트, 4-플루오로-5-비닐에틸렌 카보네이트, 4,4-디플루오로-4-비닐에틸렌 카보네이트, 4,5-디플루오로-4-비닐에틸렌 카보네이트, 4-플루오로-4,5-디비닐에틸렌 카보네이트, 4,5-디플루오로-4,5-디비닐에틸렌 카보네이트, 4-플루오로-4-페닐에틸렌 카보네이트, 4-플루오로-5-페닐에틸렌 카보네이트, 4,4-디플루오로-5-페닐에틸렌 카보네이트, 4,5-디플루오로-4-페닐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4,5-디플루오로-4,5-디페닐에틸렌 카보네이트가 있다.
불소치환 페닐 카보네이트의 예로는 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보네이트, 2-플루오로에틸 페닐 카보네이트, 2,2-디플루오로에틸 페닐 카보네이트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틸 페닐 카보네이트가 있다.
불소치환 비닐 카보네이트의 예로는 플루오로메틸 비닐 카보네이트, 2-플루오로에틸 비닐 카보네이트, 2,2-디플루오로에틸 비닐 카보네이트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비닐 카보네이트가 있다.
불소치환 알릴 카보네이트의 예로는 플루오로메틸 알릴 카보네이트, 2-플루오로에틸 알릴 카보네이트, 2,2-디플루오로에틸 알릴 카보네이트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틸 알릴 카보네이트가 있다.
LiF가 불순물로 함유되어 있는 혼합물로부터의 LiPO2F2 추출, 및 LiPO2F2 또한 함유되어 있는 혼합물로부터 불순물로서의 LiPF6 추출은 각각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면, 반응기에서 반응 혼합물을 용매(추출용 용매)와 함께 직접 교반시키거나, 반응기로부터 반응 혼합물을 분리한 후 적합한 용기(예컨대, 속실렛(Soxhlet) 용기)에서 선택적으로는 분쇄 또는 밀링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추출액은 Li염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추가 처리될 수 있다.
LiPF6을 LiPO2F2로부터 제거시키고자 분리 공정이 수행되었다면, 용매에 용해된 LiPF6-함유 액상을 미용해된 LiPO2F2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을 필터에 통과시키거나, 기울여 따라 버리거나, 원심분리법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원한다면, 용매를 예컨대 증발법으로 제거함으로써 LiPF6을 회수할 수 있다.
남아있는 미용해된 LiPO2F2는 저장하거나, 또는 추가 정제시켜 순수 고형물 LiPO2F2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공지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들러붙어 있는 용매(adhering solvent)를 증발법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이러한 증발법은 들러붙어 있는 용매(들)의 비점에 따라 진공 하에 수행될 수 있다.
LiPO2F2를 용해시키고자 분리 공정이 수행되었다면, 추출 후에 남아있는 고상을 용해된 LiPO2F2-함유 추출 용매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LiPO2F2-함유 용액을 필터에 통과시키거나, 기울여 따라 버리거나, 원심분리법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미용해된 잔류물에는 본질적으로 모든 LiF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LiF를 예컨대 재결정화법에 의해 순수 형태로 회수할 수 있다.
순수 고형물 LiPO2F2를 얻기 위해, 용해된 LiPO2F2를 용매 증발법에 의해 용액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이는 공지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들러붙어 있는 용매를 증발법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이러한 증발법은 들러붙어 있는 용매(들)의 비점에 따라 진공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이 LiPO2F2와, 상당량의 LiF 및 LiPF6 둘 다 함유하는 경우에는, LiPF6을 선택적으로 용해시키는 용매를 사용하여 먼저 LiPF6을 제거하고, 그런 후에는 LiF보다 LiPO2F2를 선택적으로 용해시키는 용매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용매를 적용시키고, 단계적인 정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단계에서는, 반응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위에 언급한 용매들 중 하나로 처리하여 LiPF6을 용해시킨다. LiPF6의 우수한 용해도 덕분에, LiPF6은 먼저 용해되어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거될 것이다. 그런 후, 제1 처리 단계로부터 회수된 반응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위에 언급한 용매들 중 하나로 다시 처리한다. 이제는 LiPO2F2가 선택적으로 용해된다. LiF는 고체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이어서, 용해된 LiPO2F2를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용액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단리된 LiPO2F2를 리튬 이온 배터리 제조를 위한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리튬-황 배터리 및 리튬-산소 배터리용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단리된 고형물 LiPO2F2를 임의의 적합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에 재용해시킬 수 있다. 아세톤 및 디메톡시에탄을 비롯하여, 위에 언급한 용매가 매우 적합하다. 리튬 이온 배터리 분야에서의 전해질염 또는 염 첨가제가 주요 용도이므로, 단리된 고형물 LiPO2F2를 리튬 이온 배터리의 전해질 용액 제조용 무수 용매에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용매를 위에 개시하였다.
예를 들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에 용해된 LiPO2F2의 용액은, 표준 조건(25℃, 1 Bara) 하에서, 용액의 총 중량에 대해 최대 약 3 중량%의 LiPO2F2를 함유한다. 다른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의 경우, 주어진 온도에서 용해되는 LiPO2F2의 양은 다양하겠지만, 간단한 시험을 통해 쉽게 구할 수 있다.
LiPO2F2에 대해 매우 높은 용해력을 가진 기타 매우 적합한 용매(예컨대, 디메톡시에탄 및 아세토니트릴)를 위에 제공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장점은 반응 속도가 대기 온도에서도 매우 높다는 것이다. 순수 결정형 LiPO2F2를 저렴한 출발물질로부터 얻을 수 있는데, 이때는 예를 들어 LiPO2F2 및 LiF가 함유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디메틸 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용매로 사용하여 LiPO2F2를 추출한 후, 예컨대 진공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을 경우이다.
POF3 사용의 장점은 염소-불소 교환 반응에서도 본질적으로 HCl이 함유되지 않게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POF3의 비점(b.p.)인 -40℃는 PF5(비점이 -84.4℃로, HCl의 비점과 비슷함)와 대조적으로 HCl의 비점(HCl의 b.p.는 -85.1℃임)보다 높기 때문에, PO3 중간생성물의 정제용으로 가압 하에서의 단순증류 또는 응축 기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방법을 보다 경제적으로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LIPO2F2의 제조를 위한 POF3의 용도이다.
여기에 참조로 통합된 모든 특허, 특허출원, 및 공개문헌의 개시물과 본원의 명세서가 상반되어 어떤 용어의 의미를 불명확하게 할 수 있을 정도인 경우, 본 명세서가 우선해야 할 것이다.
하기 실시예들을 참조로 본 발명을 이제 설명하기로 하며, 이들 실시예의 목적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실시예 1: P-F 결합 함유 화합물로 PF5를 사용한 LiPO2F2의 합성 및 단리
5g의 Li3PO4를 오토클레이브에 넣었다. 기체 PF5를 상기 반응기에 유입하였다. LiPO2F2 및 LiF를 형성시키는 Li3PO4와의 반응에서 PF5가 소모되는 것에 충당된 즉각적인 압력 강하가 관찰되었다. 압력이 약 3 내지 4 bar의 절대압력에 유지되면서 추가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표시될 때까지 추가 PF5를 오토클레이브에 유입하였다. 기체상을 제거하자, 중량 12g의 고형물이 남았으며, 이를 XRD로 분석하였다. LiPO2F2, LiF 및 LiPF6의 특징적 신호들을 확인하였다. LiPO2F2를 단리시키기 위해, 상기 고형물을 약 200℃까지 가열시켜 모든 LiPF6을 분해함으로써 LiF 및 PF5를 형성할 수 있으며; PF5가 제거된 후 남아있는 고형물은 LiPO2F2 및 LiF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 이 고형물을 속실렛 용기에 넣고,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회전식 증발기에서의 증발법을 통해 용매를 조합 용액으로부터 제거하고, 이렇게 얻은 고형물을 XRD, F-NMR 및 P-NMR로 분석하였다.
LiPO2F2에 대한 분석 자료:
·XRD: 2-θ값: 21.5(강함); 22.0; 23.5; 27.0(강함); 34.2; 43.2
·19F-NMR(470.94 MHz: D-아세톤 용액): -84.25 ppm(이중선, -83.3 ppm 및 -85.2 ppm에서 2개의 선, 결합상수 926 Hz)
·31P-NMR(202.61 MHz: D-아세톤 용액): -19.6 ppm(삼중선, -12.3 ppm, -16.9 ppm 및 -21.5 ppm에서 3개의 선, 결합상수 926 Hz).
실시예 2: 리튬 이온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 및 리튬-산소 배터리용 전해질 용액
1 리터의 총 부피를 얻도록 23g의 LiPO2F2, 117g의 LiPF6, 50g의 모노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F1EC")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P")를 혼합하였다. 이렇게 얻은 용액은 0.77몰의 LiPF6과 0.23몰의 LiPO2F2를 함유하였다. 이와 같이, 리튬 화합물의 양은 1 리터 당 약 1 몰이며, 이는 배터리, 특히 리튬 이온 배터리용으로 흔히 사용되는 리튬염의 농도와 일치한다.
실시예 3: P-F 결합 함유 화합물로 POF3을 사용한 LiPO2F2의 합성 및 단리
3.5g의 Li3PO4를 오토클레이브에 넣었다. 기체 POF3을 상기 반응기에 유입하였다. LiPO2F2를 형성시키는 Li3PO4와의 반응에서 POF3이 소모되는 것에 충당된 즉각적인 압력 강하가 관찰되었다. 계속 감소되는 압력의 최종 압력이 약 6 atm이도록 별도의 금속 용기로부터 추가 POF3을 유입하였다. 용기의 온도를 한 시간 동안 80℃까지 끌어올리고, 가스 연결을 중단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는 동시에, 과량의 기체상을 펌프-오프 처리하였다.
기체상을 제거하자, 중량 5.7g의 백색 고형물이 남았으며, 이를 XRD로 분석하였다. LiPO2F2의 특징적 신호들을 확인하였다. 상기 고형물을 속실렛 용기에 넣고,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회전식 증발기에서의 증발법을 통해 용매를 조합 용액으로부터 제거하고, 이렇게 얻은 고형물을 XRD, F-NMR 및 P-NMR로 분석하였다.
실시예 3에서 얻은 LiPO2F2의 분석 자료는 실시예 1에서 얻은 LiPO2F2의 분석 자료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4: 리튬 이온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 및 리튬-산소 배터리용 전해질 용액
총 1리터의 부피를 얻도록 117g의 LiPF6, 실시예 3과 유사하게 얻은 23g의 LiPO2F2, 50g의 모노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F1EC"), 그리고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P")를 혼합하였다. 그 결과로 생성된 용액은 0.77몰의 LiPF6과 0.23몰의 LiPO2F2를 함유하였다. 이와 같이, 리튬 화합물의 양은 1 리터 당 약 1 몰이며, 이는 배터리, 특히 리튬 이온 배터리용으로 흔히 사용되는 리튬염의 농도와 일치한다.

Claims (15)

  1. P-F 결합을 가지며 POF3, PF5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과 Li3PO4의 반응에 의해, LiPO2F2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인 LiPO2F2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PF5를 Li3PO4와 반응시켜 LiPO2F2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Li3PO4에 대한 PF5의 몰비는 1 이상 2 미만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Li3PO4에 대한 PF5의 몰비는 2 이상 4 미만인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F5와 Li3PO4간의 반응을 대기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POF3을 Li3PO4와 반응시켜 LiPO2F2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Li3PO4에 대한 POF3의 몰비는 2 이상 4 이하인 방법.
  8.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OF3과 Li3PO4간의 반응을 50℃ 내지 9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성된 LiPO2F2를, 디메틸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아세톤, 및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여, LiPO2F2와 LiF가 포함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추출하는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LiPO2F2를 추출하기 전에, 형성된 LiPF6을 분해시켜 LiF 및 PF5를 형성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성된 LiPF6을, 용매를 사용하여, LiPO2F2와 LiPF6이 포함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추출하는 것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전해질 용매로 적합한 용매를 적용시켜 LiPF6을 추출하는 것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용매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메틸 에틸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아세톤, 및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iPO2F2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정제된 LiPO2F2를 단리시키는 것인 방법.
  15. LiPO2F2의 제조를 위한 POF3의 용도.
KR1020137005253A 2010-08-04 2011-07-29 POF3 또는 PF5로부터의 LiPO2F2 제조법 KR201300990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71881 2010-08-04
EP10171881.5 2010-08-04
EP10188108 2010-10-19
EP10188108.4 2010-10-19
PCT/EP2011/063106 WO2012016924A1 (en) 2010-08-04 2011-07-29 Manufacture of lipo2f2 from pof3 or pf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019A true KR20130099019A (ko) 2013-09-05

Family

ID=4446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253A KR20130099019A (ko) 2010-08-04 2011-07-29 POF3 또는 PF5로부터의 LiPO2F2 제조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89091B2 (ko)
EP (1) EP2611731A1 (ko)
JP (1) JP5795634B2 (ko)
KR (1) KR20130099019A (ko)
CN (1) CN103052592B (ko)
TW (1) TW201210932A (ko)
WO (1) WO20120169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851B1 (ko) 2005-10-20 2015-09-01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2 차 전지 및 그것에 사용하는 비수계 전해액
WO2012146525A1 (en) 2011-04-26 2012-11-01 Solvay Sa Lithium air battery cell
KR20140054228A (ko) * 2011-08-16 2014-05-08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LiPO2F2 및 LiPF6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제조 방법
KR20150018513A (ko) 2012-05-11 2015-02-23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비수 전해액 및 그것을 이용한 축전 디바이스
EP2705893A1 (en) 2012-09-05 2014-03-12 Solvay SA Process for separating acid-containing gas mixtures
EP2712843A1 (de) * 2012-09-28 2014-04-02 LANXESS Deutschland GmbH Herstellung von hochreinem Lithiumdifluorphosphat
JP5715725B2 (ja) * 2013-06-07 2015-05-13 ステラケミファ株式会社 ジフルオロリン酸塩の精製方法
EP2842908A1 (en) 2013-08-28 2015-03-04 Solvay SA Production of metal difluorophosphates in liquid phase
WO2015028346A1 (en) * 2013-08-28 2015-03-05 Solvay Sa Production of metal difluorophosphates in an inorganic solvent
US10093688B2 (en) 2014-08-25 2018-10-09 Ube Industries, Ltd. Non-aqueous liquid electrolyte, electricity storage device using same, and phosphorus compound used therein
JP6520064B2 (ja) * 2014-11-19 2019-05-29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用電解液及びリチウム非水電解液電池
JP6428222B2 (ja) * 2014-12-09 2018-11-28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ジフルオロリン酸リチウム粉体の製造方法およびジフルオロリン酸リチウム
WO2018066896A2 (ko) * 2016-10-06 2018-04-12 임광민 디플루오로인산리튬의 제조방법
CN106829908B (zh) * 2016-12-23 2018-10-23 山东海容电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及含有二氟磷酸锂的锂离子电池非水电解液
CN110198915A (zh) * 2017-01-20 2019-09-03 三井化学株式会社 二氟磷酸锂的制造方法
WO2018143057A1 (ja) * 2017-01-31 2018-08-09 三井化学株式会社 ジフルオロリ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
CN106882782B (zh) * 2017-03-25 2019-02-12 山东永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二氟磷酸锂的合成方法
CN109133023B (zh) * 2017-06-27 2021-12-31 天津金牛电源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二氟磷酸锂制备过程中非水溶剂的循环利用方法
WO2019018999A1 (zh) * 2017-07-25 2019-01-31 江苏长园华盛新能源材料有限公司 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
WO2019061802A1 (zh) * 2017-09-27 2019-04-04 惠州市大道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
CN108178139A (zh) * 2018-02-09 2018-06-19 天津金牛电源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在制备二氟磷酸锂过程中提高产品收率的方法
US20210234200A1 (en) 2018-05-04 2021-07-29 Umicore Ni BASED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FLUORINATED ELECTROLYTE
US20210234199A1 (en) 2018-05-04 2021-07-29 Solvay Sa Non-aqueous liquid electrolyte composition
US20210135291A1 (en) 2018-05-04 2021-05-06 Umicore A lithium cobalt oxid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fluorinated electrolyte and a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high voltage applications
CN108408711B (zh) * 2018-05-16 2020-02-04 如鲲(山东)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
CN111646453B (zh) * 2020-06-08 2021-09-10 苏州固锂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和纯化工艺
CN112028047A (zh) * 2020-09-14 2020-12-04 湖南博信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
CN112456465A (zh) * 2020-12-11 2021-03-09 安阳工学院 一种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
CN112537763B (zh) * 2020-12-23 2023-08-22 九江天赐高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气固液三相合成二氟磷酸锂的方法
CN113148970A (zh) * 2021-03-12 2021-07-23 九江天赐高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纯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
CN115285964A (zh) * 2022-08-03 2022-11-04 多氟多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
CN115571900A (zh) * 2022-11-21 2023-01-06 东营领仕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二氟磷酸锂联产六氟磷酸锂的制备方法
CN117023549B (zh) * 2023-08-05 2024-06-25 湖北百杰瑞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0714A (en) 1989-02-27 1989-11-14 Duracell Inc. Method for preparing non-aqueous electrolytes
JP3173225B2 (ja) 1993-05-26 2001-06-04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CA2104718C (en) 1993-08-24 1999-11-16 Huanyu Mao Simplified preparation of lipf6 based electrolyte for non-aqueous batteries
JPH07254415A (ja) 1993-12-20 1995-10-03 Wilson Greatbatch Ltd 電気化学電池およびその電圧遅延を減少させる方法
US6645451B1 (en) 1996-06-26 2003-11-11 Solvay Fluor Und Derivate Gmbh Method of preparing inorganic pentafluorides
EP1017188A3 (en) 1998-12-30 2001-12-1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high speed data access from remote locations
JP2000201086A (ja) 1999-01-07 2000-07-18 Sony Corp デ―タ受信装置およびデ―タ受信方法
DE10016816A1 (de) 2000-04-05 2001-10-11 Solvay Fluor & Derivate Verwendung von Alkoxyestern
JP4604505B2 (ja) * 2004-02-09 2011-01-05 三菱化学株式会社 ジフルオロリ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ならびに、非水系電解液及びこれを用いた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KR101227445B1 (ko) * 2004-10-19 2013-01-29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디플루오로인산염의 제조 방법, 이차전지용 비수계 전해질용액 및 비수계 전해질 이차전지
JP5228270B2 (ja) 2004-10-19 2013-07-03 三菱化学株式会社 ジフルオロリン酸塩の製造方法、二次電池用非水系電解液及び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KR101285000B1 (ko) 2005-06-20 2013-07-10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디플루오로인산염의 제조 방법, 2 차 전지용 비수계 전해액및 비수계 전해액 2 차 전지
JP4952080B2 (ja) * 2005-06-20 2012-06-13 三菱化学株式会社 二次電池用非水系電解液及び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KR20150045528A (ko) 2006-08-22 2015-04-28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2 불화 인산 리튬, 2 불화 인산 리튬 함유 전해액, 2 불화 인산 리튬의 제조 방법, 비수계 전해액의 제조 방법, 비수계 전해액 및 그것을 사용한 비수계 전해액 2 차 전지
JP5277550B2 (ja) * 2007-03-12 2013-08-28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ジフルオロリ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電池
EP2354089B1 (en) 2008-12-02 2014-02-12 Stella Chemifa Corporation Production process of difluorophosphate
KR20130041184A (ko) 2010-07-08 2013-04-24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LiPO2F2의 제조법
JP2013534511A (ja) 2010-07-08 2013-09-05 ソルヴェイ(ソシエテ アノニム) LiPO2F2及び結晶質LiPO2F2の製造
KR20140054228A (ko) 2011-08-16 2014-05-08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LiPO2F2 및 LiPF6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52592A (zh) 2013-04-17
JP5795634B2 (ja) 2015-10-14
CN103052592B (zh) 2016-02-24
EP2611731A1 (en) 2013-07-10
US8889091B2 (en) 2014-11-18
WO2012016924A1 (en) 2012-02-09
JP2013534205A (ja) 2013-09-02
TW201210932A (en) 2012-03-16
US20130129595A1 (en)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9019A (ko) POF3 또는 PF5로부터의 LiPO2F2 제조법
US20140205916A1 (en) Manufacture of mixtures comprising lipo2f2 and lipf6
KR20130041184A (ko) LiPO2F2의 제조법
KR20130041183A (ko) LiPO2F2의 제조법 및 결정형 LiPO2F2
EP2660196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fluorosulfonylimide ammonium salt
EP3231769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ithium difluorophosphate powder, and lithium difluorophosphate
JP4810867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解液の製造方法
JP6226643B2 (ja) ジフルオロリ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
KR101684377B1 (ko) 디플루오로인산리튬의 제조방법
KR101848399B1 (ko) 테트라플루오로(옥살라토)인산염 용액의 제조 방법
EP3176129A1 (en) Method for producing difluorophosphate
JP2010168308A (ja) フルオロスルホニルイミド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99117B2 (ja) ジフルオロリン酸塩の製造方法
JP2010189372A (ja) フルオロスルホニルイミド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829908B (zh) 一种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及含有二氟磷酸锂的锂离子电池非水电解液
JP5151121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解液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EP288136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aPO2F2
JP2017001953A (ja) 3,3,3−トリフルオロプロピオネート基を有するエステルとその製造方法
TW201318972A (zh) 含有LiPO2F2和LiPF6之混合物的製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