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652A - 횡편기에 의한 편성방법 및 편성데이터의 편집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에 의한 편성방법 및 편성데이터의 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652A
KR20130028652A KR1020120088710A KR20120088710A KR20130028652A KR 20130028652 A KR20130028652 A KR 20130028652A KR 1020120088710 A KR1020120088710 A KR 1020120088710A KR 20120088710 A KR20120088710 A KR 20120088710A KR 20130028652 A KR20130028652 A KR 20130028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cam system
width
needle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7960B1 (ko
Inventor
가쓰지 미나카타
히로후미 야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28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6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구성)
니들베드와 캐리지와 캐리어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캐리지는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캠시스템을 구비하고 또한 캠시스템에 의하여 캐리어로부터의 실을 사용하여 편성을 한다. 캐리어로부터 실을 니들베드의 바늘에 급사하지 않고 또한 편성폭이 1캠 시스템의 폭을 넘는 캐리지의 코스에 대하여 편성폭을, 사용하는 캠시스템이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함과 아울러, 캐리지의 진행방향에 있어서의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과의 합이 1캠 시스템의 폭 이상이 되도록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을 설정하고, 최초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고, 최후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한다.
(효과)
캐리지의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편기에 의한 편성방법 및 편성데이터의 편집장치{KNITTING METHOD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EDITING OF KNITTING DATA}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서의 편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성효율의 향상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에서는 예를 들면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 상을 캐리지(carriage)를 왕복주행시켜서, 캐리지에 내장된 캠시스템(cam system)에 의하여 니들베드의 바늘을 조작한다. 캠시스템은 예를 들면 앞쪽 니들베드용과 뒤쪽 니들베드용에 각각 2개 혹은 3개 등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이 많다. 또 캠시스템은 전후의 니들베드에 동수(同數)씩 설치되기 때문에,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에 대한 캠시스템의 개수에 의하여 캠시스템의 수를 나타내는 것이 많다. 예를 들면 전후 각각 2개의 캠시스템을 구비한 캐리지는 2캠(시스템)의 캐리지라고 불린다. 바늘은 니들베드에 존재하고, 바늘에는 캐리어로부터 급사(給絲)하고, 바늘을 캠시스템의 선침부(選針部)에 의하여 선택하고, 캠시스템의 편성캠(編成 cam)에 의하여 바늘을 조작하여 니트(knit), 턱(tuck), 트랜스퍼(transfer) 등의 조작을 한다. 캐리지의 1회의 이동을 1코스라고 부르고, 캐리지의 이동방향을 따른 1열분의 스티치도 1코스라고 부르고, 캐리지의 코스인가 스티치의 코스인가는 논의의 전후관계로부터 판별된다. 캐리지에 복수의 캠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은, 캐리지의 1코스에 의하여 스티치를 복수 코스분 편성하거나, 일방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스티치를 형성하고 타방(他方)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트랜스퍼를 하는 등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횡편기에서는, 1코스의 편성은 동일한 캠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트랜스퍼를 하는 코스이면, 캠시스템을 복수 구비하고 있는 캐리지에 의해서도 동일한 캠시스템에 의하여 1코스 모두의 트랜스퍼를 한다. 이것은 횡편기에서의 편성의 상식이다.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캐리지의 스트로크(stroke)가 늘어나는 만큼 길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WO2008/078415)은, 예비선침(豫備選針)에 필요한 스트로크를 단축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1에 기재된 예를 도10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편성하는 것으로 하고, S2는 선행(先行)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 등의 조작을 하고, S1은 후행(後行)의 캠시스템이며, 여기에서는 정지되어 있다. 선행/후행은 코스에서의 캐리지의 이동방향에 따라 정해지고, 정지라는 것은 편성캠을 동작시키지 않는 것이다. W는 편성폭(編成幅)이며, 캐리지의 진행방향에 있어서의 최초에 조작되는 편침으로부터 최후에 조작되는 편침까지의 구간의 폭이다. L은 캐리지의 스트로크이다. 캠시스템(S1, S2)은 편성캠(2)과 선침부(4)를 구비하고, 선침부(4)는 편성캠(2)의 전후에 1쌍 설치되어 있다. 바늘을 선침하기 위해서는, 미스(miss)하는 바늘과 니트, 턱, 트랜스퍼 등의 조작을 하는 바늘에 예비선침을 하고, 이어서 니트 또는 트랜스퍼 하는 바늘과, 턱하는 바늘에 본선침(本選針)한다. 선침부(4)는 1단계의 선침밖에 할 수 없기 때문에, 코스의 끝에서 선행의 캠시스템(S2)의 선침부(4b)에 의하여 예비선침을 하고, 캐리지가 반전되면 다시 동일한 선침부(4b)에 의하여 본선침을 하여, 캠시스템(S2)의 편성캠에 의하여 편성한다. 코스의 끝의 예비선침을 캠시스템(S1)의 선침부(4a)에 의하여 하면, 도10에서의 쇄선의 길이만큼 스트로크가 길어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다음 코스의 시작에 대한 예비선침과 본선침을 함께 캠시스템(S2)의 선침부(4b)에 의하여 하면,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코스분의 편성은 모두 캠시스템(S2)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1코스의 도중에서 캠시스템(S2)을 정지시키고, 대신에 캠시스템(S1)을 동작시키는 것은, 특허문헌1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 캠시스템(S1)에 의하여 1코스분의 편성을 하여도 좋지만, 그 경우에는 캠시스템(S2)은 정지된다.
WO2008/078415
본 발명의 과제는, 캐리지의 스트로크를 단축하여 횡편기의 편성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니들베드(needle bed)와 캐리지(carriage)와 캐리어(carrier)와 컨트롤러(controller)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캠시스템(cam system)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캠시스템에 의하여 캐리어로부터의 실을 사용하여 편성을 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한 편성방법에 있어서,
캐리어로부터 실을 니들베드의 바늘에 급사(給絲)하지 않고 또한 편성폭(編成幅)이 1캠 시스템의 폭을 넘는 캐리지의 코스(course)에 대하여,
상기 편성폭을, 사용하는 캠시스템이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함과 아울러, 캐리지의 진행방향에 있어서의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과의 합이 1캠 시스템의 폭 이상이 되도록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을 설정하고,
상기 최초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후행(後行)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고, 상기 최후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선행(先行)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캐리지의 코스의 편성폭이라는 것은, 캐리지의 진행방향에 있어서의 최초에 조작되는 편침으로부터 최후에 조작되는 편침까지의 구간의 폭이다. 최초 부분의 편성폭이라는 것은, 캐리지의 진행방향에 있어서,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최초에 조작되는 편침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속하여, 후행 이외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조작되는 편침까지의 임의의 구간의 폭이다. 최후 부분의 편성폭이라는 것은, 캐리지의 진행방향에 있어서,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최후에 조작되는 편침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속하여, 선행 이외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조작되는 편침까지의 임의의 구간의 폭이다.
또 본 발명은, 니들베드와 캐리지와 캐리어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캠시스템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캠시스템에 의하여 캐리어로부터의 실을 이용하여 편성을 하는 횡편기용의 편성데이터를 편집하는 장치로서,
편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캐리어로부터 실을 니들베드의 바늘에 급사하지 않고 또한 편성폭이 1캠 시스템의 폭을 넘는 캐리지의 코스를 식별하는 코스식별수단(course 識別手段)과,
코스식별수단에 의하여 식별한 코스의 편성폭을, 사용하는 캠시스템이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였을 때의 캐리지의 진행방향에 있어서의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과의 합이 1캠 시스템의 폭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기 최초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고, 상기 최후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도록 자동으로 캠시스템을 할당하는 할당수단(割當手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최초 부분의 편성폭은, 상기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니들베드의 바늘이 조작되는 구간 이외에, 어느 쪽의 캠시스템에 의해서도 니들베드의 바늘이 조작되지 않는 구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최후 부분의 편성폭은, 상기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니들베드의 바늘이 조작되는 구간과, 어느 쪽의 캠시스템에 의해서도 니들베드의 바늘이 조작되지 않는 구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즉 최초 부분의 편성폭이라는 것은, 후행의 캠시스템이 바늘을 조작하는 구간과, 그 구간에 연속하는 어느 쪽의 캠시스템도 바늘을 조작하지 않는 구간의 합계의 폭이다. 마찬가지로 최후 부분의 편성폭이라는 것은, 선행의 캠시스템이 바늘을 조작하는 구간과, 그 구간에 연속하는 어느 쪽의 캠시스템도 바늘을 조작하지 않는 구간의 합계의 폭이다. 또한 상기 최초 부분과 최후 부분과의 사이의 편성폭에 대하여 니들베드의 바늘을 조작하는 경우에, 상기 선행의 캠시스템 또는/및 상기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바늘을 조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스는 스티치의 트랜스퍼를 하는 코스이다. 캐리어로부터 실을 급사하지 않고 즉 스티치의 형성을 하지 않고 편성을 하는 것은, 케이블 패턴(cable pattern)의 편성, 폭 줄임(narrowing), 코 늘임(widening), 스티치 이동(stitch move) 등에 의하여 트랜스퍼를 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도5에 케이블 패턴의 편성코스를 나타내지만, 캐리지는 스티치의 형성을 3코스 하면, 트랜스퍼를 3코스 하고 있다. 여기에서 트랜스퍼를 하는 코스에서의 스트로크를 1캠 시스템의 폭만큼 단축하면, 예를 들면 몇 %정도 편성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트랜스퍼 이외에 스티치를 바늘로부터 캐스트 오프(cast-off)하는 조작에서도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고 캐리지가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1~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지의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과 도10을 비교하면, 2개의 캠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캐리지에서는 1개의 캠시스템의 폭만큼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다. 또 도3과 같이 3개의 캠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캐리지에서는, 2개분의 캠시스템의 폭만큼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다. 이것은 후행의 캠시스템(S1) 등에 의하여 코스의 최초 부분을 편성하고, 선행의 캠시스템(S2) 등에 의하여 코스의 최후 부분을 편성하기 때문이다.
캐리지가 3개 이상의 캠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최후행(最後行)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을 시작하고, 최선행(最先行)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최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을 시작하고, 중앙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을 종료하여도 좋다. 또 중앙의 캠시스템은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편성데이터의 편집장치는 예를 들면 횡편기 혹은 니트 디자인 장치에 내장되어 있다. 편집장치를 횡편기에 내장하면, 기존의 편성데이터를 횡편기가 편집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편집장치를 니트 디자인 장치에 내장하면, 편성포를 디자인하여 편성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본 발명을 실시하도록 편성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성방법에 관한 기재는 그대로 편성데이터의 편집장치에 적합하고, 편성데이터의 편집장치에 관한 기재는 그대로 편성방법에도 적합하다. 코스의 최초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고, 코스의 최후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는 경우에, 최초 부분과 최후 부분의 사이는 선행/후행 중에서 어느 하나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여도 좋고 혹은 선행/후행의 쌍방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여도 좋다. 1캠 시스템의 폭이라는 것은, 1캠 시스템이 1개의 바늘에 대하여 선침을 포함하는 편성조작을 시작한 후에 종료할 때까지의 길이이다. 또 코스의 편성폭이 1캠 시스템의 폭 이하인 경우에 모든 편성폭을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면 효율적이다. 그러나 편성폭이 1캠 시스템의 폭 이하인 경우는 적기 때문에 예를 들면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을 시작하고,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을 종료하여도 좋다.
도6은 본 발명과 종래예에 있어서 스트로크가 동일하게 되는 예를 나타내며, 이 경우의 편성폭(W)은 1캠 시스템의 폭과 동일하게 된다. 여기에서 편성폭이 1캠 시스템의 폭 미만인 경우에 본 발명을 실시하는 의미가 없고, 편성폭이 1캠 시스템의 폭과 동일한 경우에 본 발명을 실시하더라도 하지 않더라도 스트로크는 동일하다. 다만 편성폭이 1캠 시스템의 폭 미만인 것은 적기 때문에, 편성폭에 의하지 않고 본 발명과 동일하게 하여 편성하여도 좋다.
또 도5의 코스(C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행/후행 중 어느 캠시스템에 의해서도 편성폭의 최초 부분을 편성할 수 있는 경우에, 실시예를 적용하더라도 하지 않더라도 캐리지의 스트로크는 동일하게 된다. 그래서 실시예를 적용하는 조건으로서,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해서만 편성폭의 최초 부분을 편성할 수 있는 것을 추가하여도 좋다.
도1은 실시예에서의 캠시스템의 할당과 캐리지의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에서의 캠시스템의 ON/OFF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1)은 캠시스템(S1)의 ON/OFF를, 2)는 캠시스템(S2)의 ON/OFF를 나타낸다.
도3은 3개의 캠시스템을 구비한 캐리지에서의 캠시스템의 할당과 캐리지의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도2에서의 캠시스템의 ON/OFF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1)은 캠시스템(S1)의 ON/OFF를, 2)는 캠시스템(S2)의 ON/OFF를, 3)은 캠시스템(S3)의 ON/OFF를 나타낸다.
도5는 실시예와 종래예에 대하여 케이블 패턴의 편성에서의 캐리지의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종래예와 실시예에서 스트로크가 동일하게 되는 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1)은 실시예에서의 스트로크를, 2)는 종래예에서의 스트로크를 나타낸다.
도7은 실시예에서의 캠시스템의 할당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8은 실시예의 니트 디자인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9는 실시예의 횡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종래예에서의 캐리지의 할당과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1~도9에 실시예를 나타내며, 화살표는 캐리지(carriage)의 이동방향을 나타내고, ON은 캠시스템(cam system)이 편성을 하는 것을, OFF는 정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1은 트랜스퍼(transfer)만의 편성에 대한 캠시스템(S1, S2)의 할당을 나타내고, 도2는 그 때의 캠시스템(S1, S2)의 온/오프를 나타낸다. 편성폭(W)의 최초 부분은 후행(後行)의 캠시스템(S1)에 의하여 편성하고, 최후 부분은 선행(先行)의 캠시스템(S2)에 의하여 편성한다. 도중의 부분은 캠시스템(S1, S2) 중 어느 일방 혹은 쌍방에 의하여 편성할 수 있다. 또 도1, 도2의 예에서는,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은 각각 1캠 시스템의 폭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2에서의 실선은 캠시스템(S2)을 우선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파선은 캠시스템(S1)을 우선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며, 어느 쪽의 경우에도 캠시스템(S1, S2)이 함께 사용되고 있는 기간이 있다. 또 도1, 도2와 같이 편성폭(W)이 긴 경우에, 캐리지의 스트로크(stroke)(L)와 편성폭(編成幅)(W)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도10과 비교하면 스트로크는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른 1개의 캠시스템의 폭만큼 단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은 트랜스퍼가 많은 편성에서 특히 유리하지만, 트랜스퍼 이외에 스티치의 캐스트 오프(cast-off)에서도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3은, 3개의 캠시스템(S1, S2, S3)을 구비한 캐리지에서의, 트랜스퍼만의 코스에 대한 캠시스템(S1, S2, S3)의 할당을 나타낸다. 도4는 도3의 코스에 대한 캠시스템(S1, S2, S3)의 할당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실선은 캠시스템(S2)을 우선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파선은 캠시스템(S1)을 우선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3, 도4의 경우에 스트로크(L)는 편성폭(W)보다 짧아지게 되어, 편성폭의 시작 부분은 캠시스템(S1)을 사용하고, 편성폭의 끝 부분은 캠시스템(S3)을 사용한다. 편성폭의 중앙부에서는 캠시스템(S1, S2, S3) 중 적어도 1개를 사용하고, 캠시스템(S1, S2, S3)을 2개 혹은 3개 사용하여도 좋다. 중앙부와 편성폭의 시작 부분의 사이에서는 캠시스템(S1, S2) 중 적어도 한 개를 사용하고, 중앙부와 편성폭의 끝 부분의 사이에서는 캠시스템(S2, S3) 중 적어도 한 개를 사용한다. 이 예에서는, 캠시스템(S1, S2)이 함께 사용되는 기간과, 캠시스템(S2, S3)이 함께 사용되는 기간이 있다.
도5는 케이블 패턴(cable pattern)의 편성코스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코스(C1~C6)를 반복함으로써 케이블 패턴이 편성된다. 캐리지는 2개의 캠시스템을 구비하고, 코스(C1~C3)에서는 1코스마다 스티치열을 2열씩 합계 6열 편성한다. 코스(C4)에서 스티치를 트랜스퍼 하고, 코스(C5)의 전에 뒤쪽 니들베드를 좌측으로 래킹(racking)하고, 트랜스퍼 한 스티치의 반 정도를 앞쪽 니들베드로 이동시켜서 되돌린다. 그리고 코스(C6)의 전에 뒤쪽 니들베드를 우측으로 래킹하고, 트랜스퍼 한 스티치의 나머지를 앞쪽 니들베드로 이동시켜서 되돌린다.
코스(C4)에서는 편성폭의 끝 부분은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1캠 시스템의 폭 이상 편성되지 않으면 스트로크가 연장되어 버린다. 1캠 시스템의 폭 미만밖에 편성폭의 끝 부분을 선행의 캠시스템에 할당하지 않으면, 후행의 캠시스템은 할당된 부분을 편성하기 때문에 종래에서도 좌측으로 스트로크가 연장되기 때문이다. 또 편성폭의 시작은 선행/후행 중 어느 캠시스템에 의해서도 편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실시예를 적용하더라도 하지 않더라도 스트로크는 변경되지 않아,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해서만 편성폭의 시작 부분을 편성할 수 있을 때에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다.
코스(C5, C6)에서는, 실시예에서는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을 시작하고,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을 끝낸다. 이에 대하여 종래예에서는 예를 들면 코스(C5)를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일관하여 편성하고, 코스(C6)를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일관하여 편성한다. 이렇게 하면 코스(C5, C6)에 있어서 실시예에서는 1캠 시스템의 폭만큼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다. 캐리지의 6코스에 대하여 합계의 스트로크를 캠시스템의 폭의 2배분 단축할 수 있으면, 편성시간은 몇 % 단축된다.
도6에, 실시예에 의하여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는 편성폭의 하한을 나타낸다. 도6에서의 1)은 실시예에서의 스트로크를 나타내고, 2)는 종래예에서의 스트로크를 나타낸다. 도6에서의 1)에서는, 후행의 캠시스템(S1)에 의하여 편성되는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선행의 캠시스템(S2)에 의하여 편성되는 최후 부분의 편성폭과의 합이 1캠 시스템의 폭과 동일하게 되고, 이 때에 실시예에서도 종래예에서도 스트로크가 동일하게 된다. 또 도6에서의 1)에서는,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과의 합이 편성폭(W)과 동일하게 된다.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과의 합이 1캠 시스템의 폭과 동일한 경우에 실시예에서는, 편성폭에 대한 캐리지의 초기위치에 의하여 캠시스템의 할당이 변화된다. 그러나 어느 쪽의 경우에도 캐리지의 스트로크(L1)는 캠시스템의 폭의 2배인 2W이다. 종래예에서는 편성폭(W)을 편성하는 경우에, 캐리지는 편성폭(W) + 1캠 시스템의 폭만큼의 스트로크를 이동하지 않으면 안 되어, 스트로크는 이 경우에 2W이다. 따라서 편성폭(W)이 1캠 시스템의 폭과 동일한 경우에, 실시예와 종래예에 있어서 캐리지의 스트로크가 동일하게 된다.
도7은 스트로크의 단축에 관한 처리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8의 니트 디자인 장치(10) 혹은 도9의 횡편기(30)에 의하여 실시한다. 도7의 스텝1에서 편성데이터를 1코스분 읽어내고, 스텝2에서 캐리어를 사용하는 코스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는 코스 예를 들면 트랜스퍼 혹은 캐스트 오프를 하는 코스이면, 편성을 미할당의 캠시스템이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 조사한다(스텝3). 그리고 캐리지의 진행방향에서의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과의 합이 1캠 시스템 이상의 폭이 되고, 최초 부분과 최후 부분에서 사용하는 캠시스템이 다르게 되도록 편성폭을 분할할 수 있을지를 판별한다(스텝4). 분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동일한 캠시스템에 의하여 1코스 모두의 트랜스퍼를 한다. 분할할 수 있는 경우에, 스텝5에서 실시예를 따라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을 시작하고,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을 끝내도록 캠시스템을 할당한다. 편성의 최초 부분과 최후 부분과의 사이에서는, 선행의 캠시스템과 후행의 캠시스템 중 어느 일방 혹은 쌍방에 의하여 편성하고, 다음의 코스가 없으면 처리를 종료한다(스텝6). 이에 따라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다. 또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해서도 편성을 시작할 수 있는 위치로부터 코스가 시작되는 경우에 실시예를 적용하더라도 하지 않더라도 좋다.
도8은 실시예의 니트 디자인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12는 마우스이며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이더라도 좋고, 14는 키보드, 16은 예를 들면 컬러의 프린터, 18은 예를 들면 컬러의 모니터이다. 20은 디자인 지원부(design 支援部)이며, 마우스(12), 키보드(14), 입출력(26) 등으로부터 유저가 입력한 편물의 디자인을 편집함과 아울러, 디자인을 쉽게 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22는 데이터 변환부(data 變換部)이며, 편물의 디자인을 편성데이터로 변환하고, 24는 스트로크 단축부(stroke 短縮部)이며, 도7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는 코스에 대하여 편성데이터를 변경한다. 스트로크 단축부(24)는, 편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캐리어로부터 실을 니들베드의 바늘에 급사(給絲)하지 않고 또한 편성폭이 1캠 시스템의 폭을 넘는 코스를 식별하는 코스식별수단(course 識別手段)과, 식별한 코스의 편성폭을, 사용하는 캠시스템이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였을 때의 캐리지의 진행방향에 있어서의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과의 합이 1캠 시스템의 폭 이상이 되는 경우에 최초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고, 최후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도록 자동으로 캠시스템을 할당하는 할당수단(割當手段)을 갖추고 있다. 26은 입출력이며, 편물의 디자인을 입력하여 편성데이터를 출력한다. 프린터(16)는 없어도 좋다. 또 캐리어로부터 실을 니들베드의 바늘에 급사하지 않는 코스에 대하여, 유저가 디자인 장치 등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캠시스템이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처리를 미리 하여도 좋고 또는 그 코스를 캠시스템이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함과 아울러, 캐리지의 진행방향에 있어서의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과의 합이 1캠 시스템의 폭 이상이 되도록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을 설정하는 설정수단(設定手段)을 스트로크 단축부(24)에 구비하여도 좋다.
도9에서의 30은 실시예의 횡편기로서 예를 들면 앞쪽 니들베드(32)와 뒤쪽 니들베드(34)를 구비하고, 전후상하의 4매의 니들베드 등을 구비하여도 좋다. 36은 캐리지이며 예를 들면 앞쪽 니들베드(32)에 대하여 2개의 캠시스템(S1, S2)과, 뒤쪽 니들베드(34)에 대하여 2개의 캠시스템(S1', S2')을 구비하고, 모터(38)에 의하여 니들베드(32, 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40은 컨트롤러(controller)이며, 횡편기(30)를 제어하여 입출력(42)으로부터 편성데이터를 접수하여, 인터프리터(interpreter)(44)에 의하여 도7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는 코스에 대하여 편성데이터를 변경한다. 46은 캐리지 구동부(carriage 驅動部)이며, 캐리지(36)와 모터(38)를 구동한다. 컨트롤러(40)는 이 이외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캐리어의 연동과 연동 해제의 제어, 사용하는 실 길이의 제어, 편성포를 감아내리는 기구의 제어, 니들베드(32, 34)의 래킹의 제어 등을 한다.
2 : 편성캠
4 : 선침부
10 : 니트 디자인 장치
12 : 마우스
14 : 키보드
16 : 프린터
18 : 모니터
20 : 디자인 지원부
22 : 데이터 변환부
24 : 스트로크 단축부
26 : 입출력
30 : 횡편기
32 : 앞쪽 니들베드
34 : 뒤쪽 니들베드
36 : 캐리지
38 : 모터
40 : 컨트롤러
42 : 입출력
44 : 인터프리터
46 : 캐리지 구동부
S1, S2, S3 : 캠시스템
W : 편성폭
L : 스트로크
C1~C5 : 캐리지의 코스

Claims (6)

  1. 니들베드(needle bed)와 캐리지(carriage)와 캐리어(carrier)와 컨트롤러(controller)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캠시스템(cam system)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캠시스템에 의하여 캐리어로부터의 실을 사용하여 편성을 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한 편성방법에 있어서,
    캐리어로부터 실을 니들베드의 바늘에 급사(給絲)하지 않고 또한 편성폭(編成幅)이 1캠 시스템의 폭을 넘는 캐리지의 코스(course)에 대하여,
    상기 편성폭을, 사용하는 캠시스템이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함과 아울러, 캐리지의 진행방향에 있어서의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과의 합이 1캠 시스템의 폭 이상이 되도록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을 설정하고,
    상기 최초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후행(後行)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고, 상기 최후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선행(先行)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의한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부분의 편성폭은, 상기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니들베드의 바늘이 조작되는 구간과, 어느 쪽의 캠시스템에 의해서도 니들베드의 바늘이 조작되지 않는 구간을 포함하고, 또는/및 상기 최후 부분의 편성폭은, 상기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니들베드의 바늘이 조작되는 구간과, 어느 쪽의 캠시스템에 의해서도 니들베드의 바늘이 조작되지 않는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의한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부분과 최후 부분과의 사이의 편성폭에 대하여 니들베드의 바늘을 조작하는 경우에, 상기 선행의 캠시스템 또는/및 상기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바늘을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의한 편성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는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를 하는 코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의한 편성방법.
  5. 니들베드와 캐리지와 캐리어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캠시스템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캠시스템에 의하여 캐리어로부터의 실을 이용하여 편성을 하는 횡편기용의 편성데이터를 편집하는 장치로서,
    편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캐리어로부터 실을 니들베드의 바늘에 급사하지 않고 또한 편성폭이 1캠 시스템의 폭을 넘는 캐리지의 코스를 식별하는 코스식별수단(course 識別手段)과,
    코스식별수단에 의하여 식별한 코스의 편성폭을, 사용하는 캠시스템이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였을 때의 캐리지의 진행방향에 있어서의 최초 부분의 편성폭과 최후 부분의 편성폭과의 합이 1캠 시스템의 폭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기 최초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후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고, 상기 최후 부분을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따라 선행의 캠시스템에 의하여 편성하도록 자동으로 캠시스템을 할당하는 할당수단(割當手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데이터의 편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데이터의 편집장치가 횡편기 혹은 니트 디자인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데이터의 편집장치.
KR1020120088710A 2011-09-09 2012-08-14 횡편기에 의한 편성방법 및 편성데이터의 편집장치 KR101387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7451 2011-09-09
JP2011197451A JP5828723B2 (ja) 2011-09-09 2011-09-09 横編機による編成方法及び編成データの編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652A true KR20130028652A (ko) 2013-03-19
KR101387960B1 KR101387960B1 (ko) 2014-04-22

Family

ID=4685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710A KR101387960B1 (ko) 2011-09-09 2012-08-14 횡편기에 의한 편성방법 및 편성데이터의 편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568068B1 (ko)
JP (1) JP5828723B2 (ko)
KR (1) KR101387960B1 (ko)
CN (1) CN10299525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239A (ko) * 2021-06-11 2022-12-2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의 캠시스템에 대한 편성 데이터의 할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8226A (ja) 2013-07-30 2015-02-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CN105624909B (zh) * 2015-12-31 2018-05-04 福建睿能科技股份有限公司 横机的机头运动控制方法及***
JP7460477B2 (ja) * 2020-08-05 2024-04-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糸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9801A (en) * 1979-09-28 1983-10-18 Shima Idea Center Co., Inc. Needle selecting method and apparatus in flat knitting machine
DE3532943A1 (de) * 1985-09-14 1987-03-26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DE3702050A1 (de) * 1987-01-24 1988-08-04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mit datenverarbeitungseinrichtung
DE4140282A1 (de) * 1991-12-06 1993-06-09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De Verfahren zum formstricken von intarsien-jacquardware
US5628209A (en) * 1994-09-01 1997-05-13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Method of forming a knot on a flat knitting machine
RU2144582C1 (ru) * 1999-05-28 2000-01-20 Улья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рупнорельефного эффекта перекрестным переплетением на двухфонтурных плосковязальных машинах
US6308538B1 (en) * 1999-07-22 2001-10-30 Berkshi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dividual wipers having finished edges
JP4965960B2 (ja) * 2006-10-11 2012-07-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タンデム編成方法および横編機
JP5079298B2 (ja) * 2006-10-11 2012-11-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CN101553609B (zh) * 2006-12-25 2011-09-14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筒状编织物的编织方法及横编机
JP5161108B2 (ja) * 2006-12-26 2013-03-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選針方法および横編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239A (ko) * 2021-06-11 2022-12-2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의 캠시스템에 대한 편성 데이터의 할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68068A1 (en) 2013-03-13
JP5828723B2 (ja) 2015-12-09
EP2568068B1 (en) 2015-06-03
CN102995259B (zh) 2014-08-20
KR101387960B1 (ko) 2014-04-22
CN102995259A (zh) 2013-03-27
JP2013057149A (ja)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294B2 (en) Method for knitting intarsia pattern knitting fabric and knitting program producing device therefor
KR101387960B1 (ko) 횡편기에 의한 편성방법 및 편성데이터의 편집장치
CN109667049B (zh) 横机
KR101129238B1 (ko) 인타샤 패턴의 편성방법과 편성포, 니트 디자인 장치및 편성 프로그램
KR101523498B1 (ko)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EP2634299A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with fringe
EP1990451A1 (en) Method of forming increase and knitted fabric where increases are formed inner side of knitting width direction end of knitted fabric
EP2327818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EP2154280A1 (en) Fabric having yarn-finished portion, treating method therefor, and design device
EP2290141A1 (en) Method of knitting a tubular fabric and tubular fabric
EP2292819B1 (en) Design device and design method for knitted fabric using intarsia jacquard
JP5881412B2 (ja) 横編機用の編成データの生成方法とその装置
JP5905347B2 (ja) 編地の編成方法
JP2004332191A (ja) 丸編み機
KR19990077454A (ko) 코늘이기방법
EP2546399A1 (en)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2005060857A5 (ko)
EP2636778B1 (en)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KR102679576B1 (ko)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의 캠시스템에 대한 편성 데이터의 할당장치
CN103668734B (zh) 嵌花编织方法及***
JP2020133009A (ja) 歯口隙間の大きさが変更可能な横編機構造
CN100335701C (zh) 带给油装置的平板针织机
JP2003003352A (ja) リブ編地の増目方法及び当該方法で増目されたリブ編地
JP2009013546A (ja) ウェール方向にスリットを有する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KR20150014856A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