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411A -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 Google Patents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411A
KR20120121411A KR1020127024657A KR20127024657A KR20120121411A KR 20120121411 A KR20120121411 A KR 20120121411A KR 1020127024657 A KR1020127024657 A KR 1020127024657A KR 20127024657 A KR20127024657 A KR 20127024657A KR 20120121411 A KR20120121411 A KR 2012012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hite
reflective film
backlight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6332B1 (ko
Inventor
요시히코 사카구치
유지 가와타
오사무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506706&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12141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08Mirrors having a single reflecting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회로 등을 배치하는 요철부를 갖는 케이스에 겹쳐서 이용되거나 LED와 함께 이용되거나 하는 경우라도, 휘기 어려워 휘도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도광판과의 불균일한 밀착이나 도광판의 흠집을 방지할 수 있는 백색 반사 필름으로 하기 위해서, 다음의 (ⅰ) 내지 (ⅲ)을 만족시키는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으로 한다. (ⅰ) 강성도가 2 내지 10 mNㆍm임. (ⅱ) 적어도 한쪽의 면 (A)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의 최대 높이가 15 내지 60 ㎛임. (ⅲ) 상기 면 (A)와는 반대측의 면 (B) 측의 쿠션율이 12% 이상임.

Description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WHITE REFLECTIVE FILM FOR EDGE-LIT BACKLIGHT AND BACKLIGHT USING THE AFOREMENTIONED}
본 발명은, 액정 백라이트의 휘도 불균일 개선을 도모하는 백색 반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엣지 라이트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및 간판ㆍ자동 판매기 등의 조명용 면광원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백색 반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액정 셀을 비추는 백라이트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 액정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서, 비교적 작은 액정 모니터에서는 엣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 그것에 대하여 비교적 큰 액정 텔레비젼에서는 직하형의 백라이트가 채용되고 있었다. 이들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으로서는, 기포에 의해 형성된 다공질의 백색 필름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또한, 냉음극관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한 필름의 황변색을 막기 위해서 자외선 흡수층을 적층한 백색 필름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3). 또한, 특히 프리즘 형상을 부가한 도광판과 함께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것으로서, 연질 비드를 포함하는 층을 기재 시트층에 적층한 반사 시트도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 4, 5).
그러나, 최근에, 액정 TV의 박형화에 의해, 액정 텔레비젼에서도 엣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가 채용되고, 그것과 동시에 엣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에 관한 개발이 정력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또한 저소비 전력화 및 수은 프리화를 위해서, 발광 다이오드(이하, LED로 약칭)가 광원으로서 채용되고 있다.
액정 TV에서는, 노트북 컴퓨터나 데스크탑 모니터와 달리, 고휘도가 요구되어, LED를 다수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열전도 계수가 높은 알루미늄을 사용한 케이스를 제조하여, 방열 대책을 취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알루미늄을 채용한 경우, 기계 강도가 부족해지기 쉽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로잉 성형에 의해 배면 케이스(4)에 요철을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상기 요철은, 박형화를 위해서 오목부(7)에 회로 등을 배치하여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도 의도되었다.
또한, 엣지 라이트 타입의 백라이트에는, 광학 부재로서 도광판이 필수로 된다. 도광판에 관해서는,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나 데스크탑 모니터에서는, 25인치형 정도까지의 크기로 충분하였지만, TV에서는 30 내지 60인치형이 필요로 된다. 그 때문에, 주로 아크릴판(3 내지 4 ㎜ 두께)에 도트 인쇄를 실시한, 볼록상부를 갖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이나 UV 전사법에 의한 오목상부를 갖는 도광판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평)8-2622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6629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920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2008-512719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대형ㆍ박형의 엣지 라이트 백라이트의 개발에 있어서는, 반사 시트의 문제점으로서 주로 하기 (1) 내지 (6)을 들 수 있다.
(1) 배면 케이스의 요철부에서 반사 시트가 휘어,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문제.
(2) LED 광원 근방이 고온화됨으로써 반사 시트가 휘어,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문제.
(3) 도광판과 반사 시트가 불균일하게 밀착하여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문제.
(4) 배면 케이스의 성형 불량에 의해 발생한 국소적인 볼록부에 의해 반사 시트가 융기하여, 도광판과 강하게 접촉한 결과, 도광판에 흠집이 생겨,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문제.
(5) TV의 진동 시험에서, 도광판과 반사 시트가 서로 스치는 것에 의해 도광판에 흠집이 생겨,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문제.
(6) 오목형 도광판을 사용한 백라이트에 있어서 백점 불균일(점상으로 밝게 시인되는 부분)이 발생하는 문제.
도광판에 흠집이 생겨 휘도 불균일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에 관해서는, 상기한 특허문헌 4, 5에 기재된 반사 시트도 어느 정도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 반사 시트라도, 박형화ㆍ대형화되는 액정 TV 용도에 필요로 되는 강성도ㆍ볼록부의 최대 높이ㆍ쿠션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회로 등을 배치하는 요철부를 갖는 케이스에 겹쳐서 이용되거나 LED와 함께 이용되거나 하는 경우라도, 휘기 어려워 휘도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도광판과의 불균일한 밀착이나 도광판의 흠집을 방지할 수 있는 백색 반사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의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채용한다.
(1) 다음의 (ⅰ) 내지 (ⅲ)을 만족시키는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ⅰ) 강성도가 2 내지 10 mNㆍm임.
(ⅱ) 적어도 한쪽의 면 (A)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의 최대 높이가 15 내지 60 ㎛임.
(ⅲ) 상기 면 (A)와는 반대측의 면 (B) 측의 쿠션율이 12% 이상임.
(2) 기재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구상 입자를 함유한 도포층을 갖고 있고, 상기 구상 입자의 압축 강도가 0.1 내지 2.0 kgf/㎟인 상기 (1)에 기재된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3) 상기 구상 입자가 나일론인 상기 (2)에 기재된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4) 상기 나일론이 나일론 12, 및/또는 나일론 6과 나일론 12의 공중합체인 상기 (3)에 기재된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5) 상기 구상 입자의 비중이 0.8 내지 1.10인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과,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또한, 백라이트 크기가 76.2 ㎝(30인치) 이상인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7) 표면 요철이 10 ㎛ 이상인 도광판을 더 갖고, 상기 도광판에 상기 면 (A)의 볼록부가 대향하도록 상기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6)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본 발명에 따르면, 백색 반사 필름의 강성도를 특정한 범위로 하고, 적어도 한쪽의 면 (A)(사용 시에서의 반사면측, 도광판에 대향하는 측)에 특정한 크기의 볼록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A)와는 반대측의 면 (B) 측의 쿠션율을 특정한 크기 이상으로 함으로써, 특히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있어서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는 데에 바람직한 백색 반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백색 반사 필름은, LED 광원을 구비한 엣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 및 조명용 면광원에 이용하였을 때에(특히 크기가 76.2 ㎝(30인치) 이상의 백라이트에 이용하였을 때에), 지금까지 이상으로 휘도 불균일을 적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1은 LED를 광원으로 한 대형의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의 일 실시 양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볼록부를 갖는 도광판과 백색 반사 필름과 배면 케이스와의 관계 모식도.
도 3은 오목부를 갖는 도광판과 백색 반사 필름과 배면 케이스와의 관계 모식도.
본 발명은, 상기 과제, 즉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있어서 휘도 불균일이나 백점 불균일이 적은 백색 반사 필름에 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백색 반사 필름의 강성도, 적어도 한쪽의 면 (A)에 형성된 볼록부의 최대 높이, 및 상기 면 (A)와는 반대측의 면 측의 쿠션율이 특정한 범위의 경우에, 상기 과제가 일거에 해결되는 것을 구명한 것이다.
또한, 휘도 불균일이란, 백라이트를 점등하였을 때에 육안으로 관찰되는 하기에 기재하는 불균일을 의미한다.
(ⅰ) 줄무늬 모양의 불균일
(ⅱ) 물웅덩이 모양의 불균일
(ⅲ) 암부로 되어 보이는 불균일
또한, 백점 불균일이란, 백라이트를 점등하였을 때에 육안으로 관찰되는 장경(長徑) 5 ㎝ 미만의 타원체의 점 모양의 불균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백색 반사 필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백색 반사 필름의 기본 구성]
ㆍ백색 반사 필름의 강성도
본 발명에 관한 백색 반사 필름은, 강성도가 2 내지 10 mNㆍm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mNㆍm이다. 강성도가 2 mNㆍm 미만이면,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이 커진다. 반대로 강성도가 10 mNㆍm을 초과하면,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이 커지고, 또한 백색 반사 필름을 롤체로부터 권출하였을 때에 상기 필름에 남는 컬링이 커져, 백라이트 조립 시의 작업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백색 반사 필름의 강성도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다.
(ⅰ) JIS P8125(2000)에 준하여, 시험 환경 23 ℃, 50% RH에서 타버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TARBER INSTRUMENT corp.) 제조 "STIFFNESS TESTER" V5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ⅱ) 백색 반사 필름의 반사면측 및 비반사면측의 양방향에서 각 3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강성도」로 한다.
ㆍ반사면측의 볼록부
본 발명에 관한 백색 반사 필름은, 적어도 한쪽 면(반사면으로 되는 측의 면, 이하, 면 (A)라 칭함)에 볼록부를 갖고 있다. 상기 볼록부는, 최대 높이가 15 내지 60 ㎛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 이다. 15 ㎛ 미만의 경우,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이 커진다. 한편, 60 ㎛보다도 큰 경우, 도광판에 깎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된 볼록부의 최대 높이의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다.
(ⅰ) 우선, 백색 반사 필름의 표면에 관하여, 탑콘사 제조 주사형 전자 현미경 ABT-32를 이용하여, 임의의 5개소(각 개소가 2 ㎜×2 ㎜의 범위)를 관찰한다. 5개소 관찰한 것 중에서 가장 큰 볼록부를 선택한다.
(ⅱ) 이어서, 상기 선택한 볼록부를 닛본마이크로톰 겡큐쇼(주) 제조 로터리식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나이프 경사 각도 3°로 필름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한다. 얻어진 필름 단면을 탑콘사 제조 주사형 전자 현미경 ABT-32를 이용하여 관찰한다.
(ⅲ) 얻어진 필름 단면 사진의 2 ㎜×2 ㎜의 범위에서 가장 두께가 작은 오목부를 5개소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볼록부와의 차를 산출하고, 그 수평균을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된 볼록부의 최대 높이」로 한다.
ㆍ비반사면측의 쿠션율
본 발명에 관한 백색 반사 필름은, 상기 면 (A)와는 반대측의 면(이하, 면 (B)라 칭함), 즉 백라이트에 조립되었을 때에 비반사면으로 되는 측의 쿠션율이, 12% 이상이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를 초과하면, 백색 반사 필름의 강성도도 저하되고,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12% 미만이면, 배면 케이스의 성형 불량에 의해 발생한 국소적인 케이스 볼록부에 의한 반사 시트가 도광판과 강하게 접촉한 결과, 볼록부의 융기의 응력을 흡수할 수 없어, 도광판에 흠집을 내어, 휘도 불균일이 발생한다.
백색 반사 필름의 쿠션율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ⅰ) 시험 환경 23 ℃, 50% RH에서 (주)미쯔토요 제조 다이얼 게이지의 스핀들 상부에 10 g의 다이 시트를 부착하고, 스핀들을 들어올려 측정대에 세트한 샘플 위에 내려놓는다. 이때에 스핀들측에 비반사면측을 배치한다.
(ⅱ) 다이 시트 위에 50 g의 분동을 올려놓고, 5초 후에 판독하며, 이때의 값을 a ㎛로 한다.
(ⅲ) 다이 시트의 분동을 500 g의 분동으로 바꾸고, 5초 후의 두께를 판독하며, 이때의 값을 b ㎛으로 하고, 하기 수학식에 의해 구해지는 값을 「쿠션율 c」로 하였다.
쿠션율 c (%)=100×(a-b)/a
[백색 반사 필름의 기본적인 제조 방법]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관한 백색 반사 필름은, 예를 들면 이하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Ⅰ) 기재 백색 필름의 양면에 특정한 수지층이나 도포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특징을 갖는 백색 반사 필름으로 하는 방법.
(Ⅱ) 용융 압출에 의해 백색 필름을 제조할 때에, 특정한 원료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특징을 갖는 백색 반사 필름으로 하는 방법.
(Ⅲ) 상기 (Ⅰ), (Ⅱ)의 방법을 혼합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특징을 갖는 백색 반사 필름을 얻는 방법.
상기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제조 방법 중, 각종 특성을 원하는 범위로 하는 수법으로서는, 각각 이하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ㆍ강성도의 제어 방법
백색 반사 필름의 강성도를 상기 범위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의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ⅰ) 백색 반사 필름의 두께를 예를 들면 200 내지 450 ㎛의 범위 등으로 설계함으로써 강성도를 제어하는 방법.
(ⅱ) 백색 반사 필름을, 후술하는 바와 같은 기포를 함유하지 않는 층을 포함하는 2층 또는 3층 구조의 필름으로 하고, 상기 기포를 함유하지 않는 층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강성도를 제어하는 방법.
ㆍ반사면측의 볼록부의 형성 방법
면 (A)측에 최대 높이가 상기 범위로 되도록 하는 볼록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ⅰ) 상기 (Ⅰ) 또는 (Ⅲ)의 제조 방법에 의해 백색 반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적당한 결합제 수지와 구상 입자를 적당한 용매(유기 용제 등)에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기재 백색 필름에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볼록부를 형성하는 방법.
(ⅱ) 상기 (Ⅱ) 또는 (Ⅲ)의 제조 방법에 의해 백색 반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용융 압출에 의해 백색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압출하는 수지 내에 볼록부로 되는 입자를 사전에 이겨 넣어, 연신 공정에서 볼록부를 형성하는 방법.
(ⅲ) 상기 (Ⅰ) 또는 (Ⅲ)의 제조 방법에 의해 백색 반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기재 필름에 UV 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 주형 성형과 동시 혹은 잇따르는 공정에서 UV 조사를 실시하여, 볼록부를 형성하는 방법.
(ⅳ) 상기 (Ⅱ) 또는 (Ⅲ)의 제조 방법에 의해 백색 반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2성분 이상의 중합체,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혼합하고, 용융 압출한 후, 용매 추출에 의해 적어도 한 성분을 용해하고, 백색 필름 표층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방법.
이 중에서도, 경제적으로 고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점에서 (ⅰ)의 코팅에 의한 방법이 바람직하다.
ㆍ비반사면측의 쿠션율의 제어 방법
쿠션율을 상기 범위 내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의 방법을 들 수 있다.
(ⅰ) 상기 (Ⅱ) 또는 (Ⅲ)의 제조 방법에 의해 백색 반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백색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폴리메틸펜텐이나 환상 폴리올레핀 등의 비상용 중합체를 첨가하거나, 황산바륨 등의 무기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쿠션율을 제어하는 방법.
(ⅱ) 상기 (Ⅰ) 또는 (Ⅲ)의 제조 방법에 의해 백색 반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기재 백색 반사 필름의 비반사면측에 응력을 흡수하는 수지층 또는 도포층을 적층하거나, 기재 백색 반사 필름 자체에 황산바륨 등의 무기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쿠션율을 제어하는 방법.
[백색 반사 필름의 바람직한 양태]
상기 (Ⅰ) 또는 (Ⅲ)의 제조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얻는 경우, 예를 들면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ㆍ구상 입자의 압축 강도
기재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도포층 중의 구상 입자의 압축 강도는,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 내지 2.0 kgf/㎟(0.98 내지 19.6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kgf/㎟(0.98 내지 14.7 ㎫),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2 kgf/㎟(0.98 내지 11.8 ㎫)이다. 압축 강도가 0.1 kgf/㎟(0.98 ㎫) 미만으로 되면, 구상 입자를 교반하여 도료를 제조할 때의 혼련 쉐어에 의해 수지 입자가 붕괴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압축 강도가 2 kgf/㎟(19.6 ㎫)를 초과하면, 도광판의 깎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구상 입자의 압축 강도의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다.
(ⅰ) 백색 반사 필름의 도포층으로부터 유기 용제를 이용하여 결합제 수지를 추출하고, 유기 용제를 증류 제거한 후, 도포층 중의 구상 입자를 채취한다.
(ⅱ) 시마즈 세이사꾸쇼(주) 제조의 미소 압축 시험기 MCTM2000을 이용하여, 얻어진 구상 입자 1개에 대하여, 일정한 부하 속도로 1 gf의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수지 입자의 변형량과 하중을 측정하고, 입경이 10% 변형되었을 때의 하중과 압축 전의 입자 반경을 다음 식:
압축 강도(kgf/㎟)=2.8×하중(kgf)/{π×(입자 반경(㎜))2}
에 산입한다.
(ⅲ) (ⅰ) (ⅱ)를 임의로 채취한 5샘플에 관하여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구상 입자의 압축 강도」로 한다.
또한, 결합제 수지를 추출할 때에 이용하는 유기 용제로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도포층을 구성하는 결합제 수지 및 구상 입자와 혼합시키는 용제로서 예시한 것을 이용하면 된다.
ㆍ구상 입자의 조성
구상 입자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기계, 무기계,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유기계 구상 입자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입자, 실리콘계 수지 입자, 나일론계 수지 입자, 스티렌계 수지 입자, 폴리에틸렌계 수지 입자, 벤조구아나민계 수지 입자, 우레탄계 수지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계 구상 입자로서는,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황화바륨,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포층의 결합제 수지로서, 후술하는 아크릴 단량체와 자외선 흡수제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결합제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결합제 수지와 구상 입자의 굴절률차의 관계, 입자 분산성, 도공성 등으로부터, 아크릴계 수지 입자, 실리콘계 수지 입자, 나일론 수지 입자, 우레탄 수지 입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광판에의 흠집 발생성으로부터 나일론 수지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12 수지 입자 및/또는 나일론 6과 나일론 12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입자이다. 나일론 12 수지 입자로서는, 나일론 미립자 SP500, SP10(도레이(주) 제조)이나 "간쯔펄"(등록상표) GPA550(간쯔가세이(주)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일론 6과 나일론 12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입자로서는, SP20(도레이(주) 제조)을 사용할 수 있다.
ㆍ구상 입자의 비중
구상 입자의 비중은,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다. 그러나, 후술하는 결합제 수지 및 유기 용제와의 분산성으로부터, 0.8 내지 1.10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05이다. 구상 입자의 비중이 1.10을 초과하면, 구상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도포 줄무늬나 도포 누락이 빈발하여, 수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하한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바람직한 유기 용제의 비중(유기 용제의 비중 : 아세트산에틸 : 0.9, 톨루엔 : 0.9, 메틸에틸케톤 : 0.8)보다 낮은 0.8 미만으로 되면, 분산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구상 입자의 비중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ⅰ) 백색 반사 필름의 도포층으로부터 유기 용제를 이용하여 결합제 수지를 추출하고, 유기 용제를 증류 제거한 후, 도포층 중의 구상 입자를 채취한다.
(ⅱ) 진밀도 측정기(예를 들면 (주)세이신기교 제조, 오토트루덴서 MAT-7000)를 이용하여, 임의로 채취한 5샘플에 관하여 측정을 실시하고, 그 수평균을 「구상 입자의 비중」으로 한다.
ㆍ결합제 수지의 조성
기재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는 도포층을 구성하는 결합제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기 성분을 주체로 하는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수지가 내열성, 입자 분산성, 도포성, 광택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포층의 내광성이라는 점에서는, 결합제 수지층 중에서도,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로서는, 무기계와 유기계로 대별된다. 함유하는 형태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도포층을 형성하는 수지와 혼합하는 등의 방법이어도 되고, 이러한 도포층으로부터 블리딩 아웃되는 것을 막고자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도포층을 형성하는 수지와 공중합하는 등의 방법이어도 된다.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 등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그 중에서도 산화아연, 산화티탄 및 산화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블리딩 아웃되지 않아, 경제성, 내광성, 자외선 흡수성, 광 촉매 활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는, 필요에 따라서 여러 종류 병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 중에서도 산화아연 또는 산화티탄이 경제성, 자외선 흡수성, 광 촉매 활성이라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벤조트리아졸은 구조 내에 질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난연제로서의 작용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을 흡수할 뿐이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유기 라디칼을 포착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라디칼에 의해 연쇄적으로 기재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들 라디칼 등을 포착하기 위해서 광 안정화제가 바람직하게 병용되고, 이러한 광 안정화제로서는 입체장애 아민(HALS)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이러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를 고정시키는 공중합 단량체로서는, 아크릴계, 스티렌계 등의 비닐계 단량체가 범용성이 높고,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 단량체 중에서도, 스티렌계 비닐 단량체는 방향족환을 갖고 있어 황변하기 쉽기 때문에, 내광성이라는 점에서는, 아크릴계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벤조트리아졸로서는, 상기 벤조트리아졸에 반응성 비닐 단량체가 치환된 것으로서,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상품명: RUVA-93); 오오쓰카가가꾸(주) 제조)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입체장애 아민계 화합물에 있어서도, 이것에 반응성 비닐 단량체가 치환된 것으로서, 4-메타크릴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아데카 스타브 LA-82」; (주)ADEKA 제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등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 또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반응성 단량체를 공중합한 수지, 또한 이들에 입체장애 아민(HALS)계 반응성 단량체 등의 광 안정제를 함유 및/또는 공중합한 수지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반응성 단량체를 공중합한 수지, 또한 이들에 입체장애 아민(HALS)계 반응성 단량체를 공중합한 수지 등을 포함하는 유기 자외선 흡수 수지는 박층이며 자외선 흡수 효과가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 그 중 벤조트리아졸은 구조 내에 질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난연제로서의 작용도 갖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제조 방법 등에 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의 단락〔0019〕 내지 〔0039〕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 단량체와 자외선 흡수제의 공중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주)닛본쇼꾸바이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ㆍ기재 백색 필름
기재 백색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나 조명 용도의 반사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선 반사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좋다. 이 때문에, 내부에 기포 및/또는 비상용 입자를 함유하는 필름, 구체적으로는 백색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백색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공질의 미연신 또는 2축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나, 다공질의 미연신 또는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계나 폴리에스테르계의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특히 성형성이나 생산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들 백색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등에 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평)8-262208호 공보의 단락〔0034〕 내지 〔0057〕,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의 단락 〔0007〕 내지 〔0018〕,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8150호 공보의 단락 〔0008〕 내지 〔0034〕 등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 중에 개시되어 있는 다공질 백색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상술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의 기재 백색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열성이나 반사율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의 혼합 및/또는 공중합한 다공질 백색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고, 특히, 백색 열가소성 수지 필름 자체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다공질 백색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백색 열가소성 수지 필름 중에 함유하는 무기 입자의 함유율은, 백색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에 관한 기재 백색 필름의 구성은, 사용하는 용도나 요구하는 특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1층 이상의 구성을 갖는 단층 및/또는 2층 이상의 복합 필름을 예시할 수 있고, 그 적어도 1층 이상에 기포 및/또는 무기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층 구성(즉 1층)의 필름이란, 단일 층(이하, A층이라 칭함)만으로 이루어진 필름이며, 상기 A층에 무기 입자 및/또는 기포가 함유된다.
또한, 2층 구성의 필름이란, 상기 A층에 B층을 적층한, A층/B층의 구성을 갖는 필름이며, 이들 A층 및 B층 중 적어도 1층 중에, 무기 입자 및/또는 기포가 함유된다. 또한, 무기 입자의 함유율은, 기재 백색 필름의 전체 질량, 즉 2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다.
또한, 3층 구성의 필름이란, 상기와 마찬가지로, A층/B층/A층이나 A층/B층/C층의 구조를 갖는 필름이며, 이들 각 층 중 적어도 1층 중에, 무기 입자 및/또는 기포가 함유된다. 또한, 무기 입자의 함유율은, 2층 구성의 필름과 동일하게, 기재 백색 필름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다. 3층 구성의 경우, 생산성의 관점에서 B층이 기포를 함유하는 층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 백색 필름에 함유하는 무기 미립자의 수평균 입경은, 0.3 내지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무기 입자로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아연,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화아연, 인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마이카, 운모 티탄, 탈크, 클레이, 카올린, 불화리튬, 불화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기재 백색 필름 중 3층 구성의 백색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비상용 중합체로서 폴리메틸펜텐을, 저비중화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과의 공중합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넣는다. 그것을 충분히 혼합ㆍ건조시켜 270 내지 300 ℃의 온도로 가열된 압출기 B에 공급한다. BaSO4, CaCO3, TiO2 등의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 첨가제를 포함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통상법에 의해 압출기 A에 공급한다. 그리고, T 다이 3층 구금 내에서 압출기 B의 중합체가 내층(B층)에, 압출기 A의 중합체가 양쪽 표층(A층)에 배치되도록 하여, A층/B층/A층인 구성의 3층으로 적층한다.
이 용융 적층 시트를, 드럼 표면 온도 10 내지 60 ℃로 냉각된 드럼 상에서 정전기력으로 밀착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는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80 내지 120 ℃로 가열된 롤 군으로 유도하여, 길이 방향으로 2.0 내지 5.0배 세로 연신하고, 20 내지 50 ℃의 롤 군으로 냉각한다. 계속해서, 이 세로 연신한 필름의 양끝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로 유도하여 90 내지 140 ℃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로 연신한다. 이 경우, 연신 배율은, 세로, 가로 각각 2.5 내지 4.5배로 연신하지만, 그 면적 배율(세로 연신 배율×가로 연신 배율)은 9 내지 16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면적 배율이 9배 미만이면 얻어지는 필름의 백색도가 불량으로 되기 쉽다. 또한, 면적 배율이 16배를 초과하면, 연신 시에 찢어짐이 발생하기 쉬워져, 제막성이 불량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하여 2축 연신된 필름에 평면성,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텐터 내에서 150 내지 230 ℃의 열 고정을 행하고, 균일하게 서냉하고, 또한, 실온까지 냉각한 후, 권취기로 권취하여, 기재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얻는다. 또한, 기재 백색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면 200 내지 450 ㎛의 범위 등으로 설계한다.
또한, 단층 구성의 기재 백색 필름으로서는, "루미러"(등록상표) E20(도레이(주) 제조), SY64, SY74(SKC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2층 구성의 기재 백색 필름으로서는, "테트론"(등록상표) 필름 UXZ1, UXSP, UXG(데이진듀퐁필름(주)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3층 구성의 기재 백색 필름으로서는, "루미러"(등록상표) E6SL, E6SR, E6SQ, "테트론"(등록상표) 필름 UX, UXH(데이진듀퐁필름(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ㆍ도포층의 제조 방법
기재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볼록부를 형성할 때에는,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제 수지와 구상 입자를 용제에 함유시켜 이루어지는 도액을 그라비아 코팅, 롤 코팅, 스핀 코팅, 리버스 코팅, 리버스키스 코팅, 바 코팅, 스크린 코팅, 블레이드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슬릿다이 코팅, 립 코팅 및 디핑 등의 각종 도포 방법을 이용하여, 기재 백색 필름 제조 시에 도포(인라인 코팅)하거나, 결정 배향 완료 후의 기재 백색 필름 상에 도포(오프라인 코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공 유효 폭에 제한이 적어, 제품 폭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경우에는, 리버스키스 코팅을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ㆍ결합제 수지 및 구상 입자를 함유시키는 용제
도포층을 구성하는 결합제 수지 및 구상 입자와 혼합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용제는, 결합제 수지를 용해하는 성질을 갖는 유기 화합물로서, 기재 백색 필름 표면에 도포된 후에는 건조된다. 구체적으로는, 톨루엔, 크실렌, 스티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클로르벤젠, 오르토디클로르벤젠 등의 염화 방향족 탄화수소류, 모노클로르메탄 등의 메탄 유도체, 모노클로르에탄 등의 에탄 유도체 등을 포함하는 염화지방족 탄화수소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에틸에테르, 1,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노르말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방향족 탄화수소계, 케톤계, 에스테르계의 유기 용제가 바람직하다.
결합제 수지 등을 용해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최근의 VOC(휘발성 유기 화합물) 규제 등으로부터, 톨루엔, 크실렌의 사용은 피하는 쪽이 바람직하고, 용해성, 범용성, 비용의 관점에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비점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ㆍ기재 백색 필름 및 도포층에 이용할 수 있는 그 밖의 첨가제
이러한 기재 백색 필름 및 도포층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및/또는 무기 미립자, 형광 증백제, 가교제, 내열 안정제, 내산화 안정제, 유기 윤활제, 대전 방지제, 핵제, 염료, 충전제, 분산제, 난연제 및 커플링제 등을 첨가ㆍ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백색 반사 필름의 용도]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이용되지만, 그 중에서도, 엣지 라이트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및 간판이나 자동 판매기 등의 조명용 면광원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각종 면광원을 구성하는 반사판이나, 반사 특성이 요구되는 태양 전지 모듈의 밀봉 필름이나 백시트로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 종이 대체, 즉 카드, 라벨, 실(seal), 택배 전표, 비디오 프린터용 수상지, 잉크젯, 바코드 프린터용 수상지, 포스터, 지도, 무진지, 표시판, 백판, 감열 전사, 오프셋 인쇄, 텔레폰 카드, IC 카드 등의 각종 인쇄 기록에 이용되는 수용 시트의 기재, 벽지 등의 건재, 옥내외에서 사용하는 조명 기구나 간접 조명 기구, 자동차ㆍ철도ㆍ항공기 등에 탑재하는 부재, 회로 재료용 등의 전자 부품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ㆍ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의 구성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는, 예를 들면 요철을 갖는 케이스에,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 도광판이 이 순서로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백색 필름은, 상기 면 (A) 측이 도광판에 대향하도록 조립된다. 또한, 도광판의 엣지 부분에는, LED 등의 광원이 설치된다. 또한, 도광판의 전방면(백색 반사 필름과는 반대측)에는, 확산판, 프리즘 등이 설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휘도 불균일 발생이 없고, 도광판의 흠집 발생도 경감된 양질의 백라이트를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개발이 눈부신 LED 광원을 사용한 TV용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있어서는, 백라이트 면적이 대면적이지만,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이용하면 어셈블리 시의 컬링이나 LED 광원의 발열에 의한 주름도 적어, 양질의 백라이트를 수율 좋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의 크기(직사각형의 대각선 길이)로서는, 76.2 ㎝(30인치)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8.9 ㎝(35인치)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6 ㎝(40인치)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7 ㎝(50인치) 이상이다.
ㆍ도광판
본 발명에 관한 백색 반사 필름의 효과가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도광판의 표면에 3 ㎛ 이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0 ㎛ 이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광판 표면의 요철은 이하와 같이 정의된다.
(ⅰ) 액정 텔레비젼에서 백색 반사 필름 상부에 배치된 도광판을 취출한다.
(ⅱ) 상기 도광판을 5 ㎝ 모서리로 컷트하고, 임의의 5매를 취출한다.
(ⅲ) 기엔스사 제조 레이저 현미경 VK-9700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의 배율을 20배로 설정하여 관찰을 행하고, 높이 또는 깊이가 1 ㎛ 이상으로 검출되는 부분을 표면 요철로 한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판(3 내지 4 ㎜ 두께)에 도트 인쇄를 실시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볼록부를 갖는 도광판이나, UV 전사법에 의한 도 3에 도시한 오목부를 갖는 도광판이, 생산 능력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저 가공에 의한 오목부를 갖는 도광판은 백라이트 휘도가 높고, 또한 백색 반사 필름에 의한 도광판 깎임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광판 표면의 요철보다 백색 반사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된 볼록부의 최대 높이쪽이 큰 쪽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을 더욱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도광판과 백색 반사 필름의 밀착에 의한 휘도 불균일이 상관이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되며, 기재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된 볼록부는 휘도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한 스페이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또한, 도광판 표면의 요철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ⅰ) 액정 텔레비젼 제품에서 샘플을 취출하는 경우에는, 백색 반사 필름 상부에 배치된 도광판을 취출하여, 측정 샘플로 한다.
(ⅱ) 도광판을 5 ㎝ 모서리로 컷트한다.
(ⅲ) 기엔스사 제조 레이저 현미경 VK-9700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의 배율을 20배로 설정하여 관찰을 행하고, 높이 또는 깊이가 1 ㎛ 이상으로 검출되는 부분을 표면 요철로 하였다.
(ⅳ) 부속의 해석 소프트의 프로파일 기능으로부터 요철의 높이 또는 깊이를 산출한다.
(ⅴ) 임의로 채취한 5샘플에 관하여 상기 측정을 실시하고, 그 수평균을 「도광판 표면 요철」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법 및 평가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 강성도
(ⅰ) JIS P8125(2000)에 준하여, 시험 환경 23 ℃, 50% RH에서 타버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제조 "STIFFNESS TESTER" V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ⅱ) 백색 반사 필름의 반사면측 및 비반사면측의 양방향에서 각 3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강성도」로 하였다.
(2) 볼록부의 최대 높이
(ⅰ) 백색 반사 필름의 볼록부측 표면의 범위(2 ㎜×2 ㎜)를 탑콘사 제조 주사형 전자 현미경 ABT-32를 이용하여, 임의의 5개소를 관찰하였다. 5개소 관찰한 것 중에서 가장 큰 볼록부를 선택하였다.
(ⅱ) 이어서, 상기 선택한 볼록부를 닛본마이크로톰 겡큐쇼(주) 제조 로터리식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나이프 경사 각도 3°로 필름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였다. 얻어진 필름 단면을 탑콘사 제조 주사형 전자 현미경 ABT-32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ⅲ) 얻어진 필름 단면 사진의 2 ㎜×2 ㎜의 범위에서, 가장 두께가 작은 부분(오목부)을 5개소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볼록부와의 차를 산출하고, 그 수평균을 「볼록부의 최대 높이」로 하였다.
(3) 비반사면측의 쿠션율
(ⅰ) 시험 환경 23 ℃, 50% RH에서 (주)미쯔토요 제조 다이얼 게이지의 스핀들 상부에 10 g의 다이 시트를 부착하고, 스핀들을 들어올려 측정대에 세트한 샘플 위에 내려놓았다. 이때에 스핀들측에 비반사면측을 배치하였다.
(ⅱ) 다이 시트 위에 50 g의 분동을 올려놓고, 5초 후에 판독하고, 이때의 값을 a ㎛로 하였다.
(ⅲ) 다이 시트의 분동을 500 g의 분동으로 바꾸고, 5초 후의 두께를 판독하고, 이때의 값을 b ㎛로 하고, 하기 수학식에 의해 구해지는 값을「쿠션율 c」로 하였다.
쿠션율 c(%)=100×(a-b)/a
(4) 구상 입자의 압축 강도
(ⅰ) 백색 반사 필름의 도포층으로부터 유기 용제를 이용하여 결합제 수지를 추출하고, 유기 용제를 증류 제거한 후, 도포층 중의 구상 입자를 채취하였다.
(ⅱ) 시마즈 세이사꾸쇼(주) 제조의 미소 압축 시험기 MCTM2000을 이용하여 얻어진 구상 입자 1개에 대하여, 일정한 부하 속도로 1 gf의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수지 입자의 변형량과 하중을 측정하고, 입경이 10% 변형되었을 때의 하중과 압축 전의 입자 반경을 다음 식 :
압축 강도(kgf/㎟)=2.8×하중(kgf)/{π×(입자 반경(㎜))2}
에 산입하였다.
(ⅲ) 상기 (ⅰ) (ⅱ)를 임의로 채취한 5샘플에 관하여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구상 입자의 압축 강도」로 하였다.
(5) 구상 입자의 비중
본 발명에 관한 구상 입자의 비중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ⅰ) 백색 반사 필름의 도포층으로부터 유기 용제를 이용하여 결합제 수지를 추출하고, 유기 용제를 증류 제거한 후, 도포층 중의 구상 입자를 채취하였다.
(ⅱ) 진밀도 측정기((주)세이신기교 제조, 오토트루덴서 MAT-7000)를 이용하여, 임의로 채취한 5샘플에 관하여 측정을 실시하고, 그 수평균을 「구상 입자의 비중」으로 하였다.
(6) 도광판의 표면 요철
(ⅰ) 액정 텔레비젼에서 백색 반사 필름 상부에 배치된 도광판을 취출하였다.
(ⅱ) 상기 도광판을 5 ㎝ 모서리로 컷트하였다.
(ⅲ) 기엔스사 제조 레이저 현미경 VK-9700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의 배율을 20배로 설정하여 관찰을 행하고, 높이 또는 깊이가 1 ㎛ 이상으로 검출되는 부분을 표면 요철로 하였다.
(ⅳ) 부속의 해석 소프트의 프로파일 기능으로부터 요철의 높이 또는 깊이를 산출하였다.
(ⅴ) 임의로 채취한 5샘플에 관하여 상기 측정을 실시하고, 그 수평균을 「도광판 표면 요철」로 하였다.
(7)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 평가
17인치 액정 텔레비젼(파나소닉(주) 제조, VIERA TH-L17F1)을 분해하여, LED를 광원으로 하는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백라이트 A로 함)를 취출하였다. 백라이트 A의 발광면의 크기는, 37.5 ㎝×21.2 ㎝이고, 대각의 길이는 43.1 ㎝이었다. 또한 백라이트 A로부터 광학 필름 3매, 도광판(아크릴판, 3.5 ㎜ 두께, 볼록부 12 ㎛) 및 반사 필름을 취출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반사 필름을 탑재되어 있던 반사 필름과 동일 형상, 크기로 재단하였다. 탑재되어 있던 반사 필름 대신에 재단한 반사 필름을 볼록부가 형성된 면이 도광판측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도광판 및 광학 필름 3매를 분해 전과 동일 순서 및 방향으로 설치하였다.
또한, 40인치 액정 텔레비젼(삼성(Samsung)사 제조, PAVV UN40B7000WF)에 관해서도 분해하여, LED를 광원으로 하는 엣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백라이트 B로 함)를 취출하였다. 백라이트 B의 발광면의 크기는, 89.0 ㎝×50.2 ㎝이고, 대각의 길이는 102.2 ㎝이었다. 또한 백라이트 B로부터 광학 필름 3매, 도광판(아크릴판, 4 ㎜ 두께, 볼록부 15 ㎛) 및 반사 필름을 취출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반사 필름을 탑재되어 있던 반사 필름과 동일 형상, 크기로 재단하였다. 탑재되어 있던 반사 필름 대신에 재단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반사 필름을 볼록부가 형성된 면이 도광판측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도광판 및 광학 필름 3매를 분해 전과 동일 순서 및 방향으로 설치하였다.
그리고, 이들 백라이트에 관하여, 육안에 의해 휘도 불균일의 유무를 하기에 의해 판정하였다. 17, 40인치 모두 A, B급이면 합격으로 하고, 17, 40인치 중 어느 한쪽에 있어서 C급이 있는 경우는 불합격으로 하였다.
A급 : 어느 각도에서 보아도 휘도 불균일을 시인할 수 없음.
B급 : 정면 방향에서는 휘도 불균일을 시인할 수 없지만, 경사 45° 방향에서 보면 휘도 불균일이 시인됨.
C급 : 정면 방향에서 국소적으로 휘도 불균일이 시인됨.
D급 : 정면 방향에서 화면 전체적으로 휘도 불균일이 시인됨.
(8) 도광판 깎임의 평가
상기 40인치 액정 텔레비젼(삼성사 제조, PAVV UN40B7000WF)을 분해하여 얻어진 도광판 상에 백색 반사 필름의 볼록부가 접촉되도록 적층시킨 후, 200 gf/㎠(0.0196 ㎫), 100 gf/㎠(0.0098 ㎫) 및 50 gf/㎠(0.0049 ㎫)의 하중 하에서 반사 시트시료를 1m/분의 선속도로 끌어올려, 상기 도광판의 표면 상에 발생한 스크래치의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동샘플에 관하여 각각의 하중에서 3회 실시하고, 육안 판정하였다.
A급 : 어느 하중 하에서도 흠집이 보이지 않음.
B급 : 200 gf/㎠의 하중 하에서는 흠집이 보이지만, 100 gf/㎠의 하중 하, 50 gf/㎠의 하중 하에서는 흠집이 보이지 않음.
C급 : 200 gf/㎠, 100 gf/㎠의 하중 하에서는 흠집이 보이지만, 50 gf/㎠의 하중 하에서는 흠집이 보이지 않음.
D급 : 50 gf/㎠의 하중 하에서 흠집이 보임.
(9) 백점 불균일 평가
52인치 액정 텔레비젼(소니사 제조, 브라비아 KDL-52EX700)을 분해하여, LED를 광원으로 하는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백라이트 C로 함)를 취출하였다. 백라이트 C의 발광면의 크기는, 116 ㎝×65.5 ㎝이고, 대각의 길이는 133.2 ㎝이었다. 또한 백라이트 C로부터 광학 필름 3매, 오목형 도광판(아크릴판, 4 ㎜ 두께, 오목부 깊이 55 ㎛) 및 반사 필름을 취출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반사 필름을 탑재되어 있던 반사 필름과 동일 형상, 크기로 재단하였다. 탑재되어 있던 반사 필름 대신에 재단한 반사 필름을 볼록부가 형성된 면이 도광판측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도광판 및 광학 필름 3매를 분해 전과 동일 배향 및 방향으로 설치하였다.
A급 : 백점이 보이지 않음.
B급 : 백점이 보임.
(10) 구상 입자의 분산성 평가
JIS K5600-2-6(1999)에 준하여 시험 환경 23 ℃, 50% RH에서 도료가 2층으로 분리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에 의해 판정하였다. 시간이 긴 쪽이 바람직하다.
A급 : 45분 이상
B급 : 30분 이상 45분 미만
C급 : 15분 이상 30분 미만
D급 : 15분 미만
(11) 컬링 평가
백색 반사 필름을 10 ㎜ 폭×150 ㎜ 길이의 직사각형으로 잘라내고, 직경 1인치(2.54 ㎝)의 종이관에 권취하고, 상온, 상대 습도 55%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박리시켰다. 그 후, 위로 오목하게 되도록 평판에 놓고, 24 시간 정치한 후, 관찰되는 부상(필름 단부와 평판과의 거리)을 측정하고,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종이관에의 권취는, 반사층을 내면측으로 하여 감는 것 3개, 외면측으로 하여 감는 것 3개로 하여, 합계 6샘플에 관하여 측정하고, 부상이 큰 쪽으로부터 3샘플의 평균을 취하였다.
A급 : 20 ㎜ 미만
B급 : 20 내지 30 ㎜
C급 : 30 초과 내지 40 ㎜
D급 : 40 ㎜ 초과
(실시예 1)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5.25 g, 아세트산에틸 : 3.85 g,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플라스틱(주) 제조 "TECHPOLYMER"(등록상표) BM30X-8, 굴절률 1.49, 부피 평균 입경 8.0 ㎛, 변동 계수 35%) : 0.9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폴리메틸펜텐을 함유하는, 30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기재 백색 필름,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5.25 g, 아세트산에틸 : 3.85 g,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플라스틱(주) 제조 "TECHPOLYMER"(등록상표) BM30X-15, 굴절률 1.49, 부피 평균 입경 15 ㎛, 변동 계수 35%) : 0.9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4.50 g, 아세트산에틸 : 4.30 g,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플라스틱(주) 제조 "TECHPOLYMER"(등록상표) BM30X-30, 굴절률 1.49, 부피 평균 입경 30 ㎛, 변동 계수 35%) : 1.20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4)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액 중의 구상 입자의 종류를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플라스틱(주) 제조 "TECHPOLYMER"(등록상표) MBX-30, 굴절률 1.49, 부피 평균 입경 40 ㎛, 변동 계수 3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3.0 g, 아세트산에틸 : 5.2 g,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플라스틱(주) 제조 "TECHPOLYMER"(등록상표) MBX-40, 굴절률 1.49, 부피 평균 입경 40 ㎛, 변동 계수 35%) : 1.8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6)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6.0 g, 아세트산에틸 : 3.4 g, 나일론 6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TR-1, 굴절률 1.53, 부피 평균 입경 13 ㎛, 변동 계수 48%) : 0.6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7)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5.25 g, 아세트산에틸 : 3.85 g, 나일론 12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SP10, 굴절률 1.53, 부피 평균 입경 10 ㎛, 변동 계수 48%) : 0.9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8)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5.25 g, 아세트산에틸 : 3.85 g, 나일론 6과 나일론 12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SP20, 굴절률 1.52, 부피 평균 입경 40 ㎛, 변동 계수 29%) : 0.9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9)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3.0 g, 아세트산에틸 : 5.2 g, 나일론 6과 나일론 12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SP20, 굴절률 1.52, 부피 평균 입경 40 ㎛, 변동 계수 29%) : 0.18 g,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플라스틱(주) 제조 "TECHPOLYMER"(등록상표) MBX5, 굴절률 1.49, 부피 평균 입경 5 ㎛, 변동 계수 35%) : 1.62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0)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5.25 g, 아세트산에틸 : 3.85 g, 나일론 12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SP10, 굴절률 1.53, 부피 평균 입경 10 ㎛, 변동 계수 48%) : 0.9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25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1)
기재 백색 필름을, 환상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30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80B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2)
기재 백색 필름을, 황산바륨을 함유하는, 225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데이진듀퐁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테트론"(등록상표) 필름 UXSP)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3)
기재 백색 필름을, 폴리메틸펜텐을 함유하는, 40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4)
(ⅰ)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5.25 g, 아세트산에틸 : 3.85 g, 나일론 12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SP10, 굴절률 1.53, 부피 평균 입경 10 ㎛, 변동 계수 48%) : 0.9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황산바륨을 함유하는, 188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데이진듀퐁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테트론"(등록상표) 필름 UX)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여, 볼록면을 갖는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ⅱ)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고교(주) 제조 드라이 라미네이트제 "딕 드라이"(등록상표) LX-903을 16부, 경화제로서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고교(주) 제조 KL-75를 2부, 및 아세트산에틸을 29.5부 계량하여 취하고, 15분간 교반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20%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얻었다. 폴리메틸펜텐을 함유하는, 188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접착제를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ⅲ) 상기 (ⅰ)에서 얻어진 백색 반사 필름의 볼록면의 반대면과 (ⅱ)에서 얻어진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의 도포면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기재 백색 필름으로서, 30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을 준비하였다. 이 백색 필름에는 볼록부를 형성하지 않고, 그대로 반사 필름으로서 평가하였다.
(비교예 2)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3.0 g, 아세트산에틸 : 5.2 g,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플라스틱(주) 제조 "TECHPOLYMER"(등록상표) MBX50, 굴절률 1.49, 부피 평균 입경 50 ㎛, 변동 계수 35%) : 1.8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3)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6.0 g, 아세트산에틸 : 3.4 g,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플라스틱(주) 제조 "TECHPOLYMER"(등록상표) BM30X-5, 굴절률 1.49, 부피 평균 입경 5 ㎛, 변동 계수 35%) : 0.6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4)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5.25 g, 아세트산에틸 : 3.85 g, 나일론 12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SP10, 굴절률 1.53, 부피 평균 입경 10 ㎛, 변동 계수 48%) : 0.9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188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데이진듀퐁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테트론"(등록상표) 필름 UX)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5)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5.25 g, 아세트산에틸 : 3.85 g, 나일론 12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SP10, 굴절률 1.53, 부피 평균 입경 10 ㎛, 변동 계수 48%) : 0.9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188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6)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고교(주) 제조 드라이 라미네이트제 "딕 드라이"(등록상표) LX-903을 16부, 경화제로서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고교(주) 제조 KL-75를 2부, 및 아세트산에틸을 29.5부 계량하여 취하고, 15분간 교반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20%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얻었다. 188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루미러"(등록상표) E6SQ)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접착제를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층을 형성하고, 실시예 7에서 얻어진 백색 반사 필름의 볼록면의 반대면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7)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고교(주) 제조 드라이 라미네이트제 "딕 드라이"(등록상표) LX-903을 16부, 경화제로서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고교(주) 제조 KL-75를 2부, 및 아세트산에틸을 29.5부 계량하여 취하고, 15분간 교반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20%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얻었다. 188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데이진듀퐁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테트론"(등록상표) 필름 UX)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접착제를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층을 형성하고, 비교예 5에서 얻어진 백색 반사 필름의 볼록면의 반대면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8)
"할스 하이브리드"(등록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굴절률 1.58, (주)닛본쇼꾸바이 제조) : 6.0 g, 아세트산에틸 : 3.4 g, 나일론 12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SP500, 굴절률 1.53, 부피 평균 입경 5 ㎛, 변동 계수 48%) : 0.9 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188 ㎛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백색 필름(데이진듀퐁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테트론"(등록상표) 필름 UX)의 한쪽 면에, 메타바#16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실시예 1 내지 14의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에 있어서, 휘도 불균일 평가는 「합격」이었다. 다만, 백색 필름의 강성도가 3 미만인 실시예 10, 11, 12에서는, 40인치의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이 실시예 1 내지 9보다 약간 뒤떨어져 있다. 실시예 13에서는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은 양호하지만, 컬링 특성이 실시예 1 내지 7보다 저하되어 있다.
또한, 구상 입자로서 나일론 수지 입자를 사용하고 있는 실시예 6 내지 14는, 아크릴 수지 입자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5보다, 도광판 깎임의 관점에서 양호하다. 그 중에서도 나일론 12 또는 나일론 6과 나일론 12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입자를 이용한 실시예 7 내지 14가, 특히 도광판 깎임의 관점에서 양호하다. 한편, 아크릴 수지 입자 중에서도 백색 반사 필름의 최대 볼록부가 작은 쪽이 도광판 깎임도 적고(실시예 1 내지 3), 또한 동일 볼록부의 높이에 있어서 구상 입자의 압축 강도가 작은 쪽이 도광판 깎임이 경감되어 있다(실시예 3, 4).
오목부를 갖는 도광판을 사용한 백라이트에서의 백점이라는 점에서는, 비교적 입경이 큰 나일론 6과 나일론 12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입자에, 비교적 입경이 작은 아크릴 입자를 혼합하면, 도광판과 주로 접촉하는 것이 상기 나일론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입자로 되어, 도광판 깎임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나일론의 그림자에 가려져 있는 아크릴 입자에 의해 백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광판 깎임의 방지 및 백점의 방지를 양립시킬 수 있다.
(실시예 9)
구상 입자의 분산성이라는 점에서는, 입자 조성이 나일론 수지 입자 단독인 실시예 6 내지 8, 10 내지 13이 아크릴 수지 입자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5, 9보다 양호하고, 용제인 아세트산에틸에 가까운 비중을 갖는 나일론 12 및 나일론 6과 나일론 12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입자가 가장 양호하게 되었다.
한편, 강성도 및 비반사면측의 쿠션율을 일정하게 하고 볼록부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는, 특히 40인치의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에 있어서 상당히 뒤떨어지는 결과로 되었다(비교예 1). 또한, 볼록부의 최대 높이가 너무 큰 경우 및 너무 작은 경우도, 특히 40인치의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에 있어서 뒤떨어지는 것으로 되었다(비교예 2, 3).
또한, 볼록부의 최대 높이 및 비반사면측의 쿠션율을 일정하게 하고, 강성도를 너무 높게 하거나, 너무 낮게 한 경우는,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이 악화되었다(비교예 5, 6). 또한, 볼록부 최대 높이를 동일하게 하면서 비반사면측의 쿠션율을 너무 낮게 해도,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이 악화되었다(비교예 4, 7).
또한, 백색 필름을 접착제로 적층한 것은, 컬링의 관점에서 가장 나쁜 결과이었다(비교예 6, 7).
그리고, 도광판 깎임에 있어서, 입자 조성을 나일론 12로 일정하게 하여, 볼록부의 최대 높이를 검토한 결과, 비교예 7은 비교예 8보다 양호하고, 의외로 볼록부가 작은 쪽이 나쁜 결과로 되었다.
1 : 백색 반사 필름
2 : 도광판
3 : 발광 다이오드
4 : 배면 케이스
5 : 볼록부(도광판)
6 : 오목부(도광판)
7 : 오목부(배면 케이스)

Claims (7)

  1. 다음의 (ⅰ) 내지 (ⅲ)을 만족시키는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ⅰ) 강성도가 2 내지 10 mNㆍm임.
    (ⅱ) 적어도 한쪽의 면 (A)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의 최대 높이가 15 내지 60 ㎛임.
    (ⅲ) 상기 면 (A)와는 반대측의 면 (B) 측의 쿠션율이 12% 이상임.
  2. 제1항에 있어서,
    기재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구상 입자를 함유한 도포층을 갖고 있고, 상기 구상 입자의 압축 강도가 0.1 내지 2.0㎏f/㎟인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입자가 나일론인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이 나일론 12, 및/또는 나일론 6과 나일론 12의 공중합체인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입자의 비중이 0.8 내지 1.10인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과,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또한, 백라이트 크기가 76.2 ㎝(30인치) 이상인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표면 요철이 10 ㎛ 이상인 도광판을 더 갖고, 상기 도광판에 상기 면 (A)의 볼록부가 대향하도록 상기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KR1020127024657A 2010-02-24 2011-02-18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KR101796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38261 2010-02-24
JPJP-P-2010-038261 2010-02-24
JP2010226193 2010-10-06
JPJP-P-2010-226193 2010-10-06
PCT/JP2011/053485 WO2011105294A1 (ja) 2010-02-24 2011-02-18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白色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442A Division KR20170109697A (ko) 2010-02-24 2011-02-18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KR1020177026441A Division KR20170109696A (ko) 2010-02-24 2011-02-18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411A true KR20120121411A (ko) 2012-11-05
KR101796332B1 KR101796332B1 (ko) 2017-11-09

Family

ID=4450670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657A KR101796332B1 (ko) 2010-02-24 2011-02-18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KR1020177026441A KR20170109696A (ko) 2010-02-24 2011-02-18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KR1020177026442A KR20170109697A (ko) 2010-02-24 2011-02-18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441A KR20170109696A (ko) 2010-02-24 2011-02-18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KR1020177026442A KR20170109697A (ko) 2010-02-24 2011-02-18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17160B2 (ko)
EP (1) EP2541285B1 (ko)
JP (4) JP5578177B2 (ko)
KR (3) KR101796332B1 (ko)
CN (1) CN102713692B (ko)
MX (1) MX2012009190A (ko)
TW (1) TWI499793B (ko)
WO (1) WO20111052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143A (ko) * 2012-12-28 2014-07-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적층형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40086142A (ko) * 2012-12-28 2014-07-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적층형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332B1 (ko) * 2010-02-24 2017-11-0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JP5744484B2 (ja) * 2010-11-15 2015-07-08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反射フィルム
JP5739178B2 (ja) * 2011-01-31 2015-06-24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反射フィルム
JP5771064B2 (ja) * 2011-05-17 2015-08-2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反射フィルム
JP5973145B2 (ja) * 2011-09-15 2016-08-23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光反射体、及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6051589B2 (ja) * 2012-05-11 2016-12-27 東レ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3062708A (zh) 2013-01-11 2013-04-2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反射膜及应用其的背光源
WO2014196534A1 (ja) * 2013-06-07 2014-12-11 東レ株式会社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
KR20170081765A (ko) * 2013-08-07 2017-07-12 데이진 필름 솔루션스 가부시키가이샤 백색 반사 필름
JP6352613B2 (ja) * 2013-10-24 2018-07-04 帝人フィ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JP6336266B2 (ja) * 2013-11-29 2018-06-06 帝人フィ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JP6679930B2 (ja) 2014-03-27 2020-04-15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WO2015163363A1 (ja) 2014-04-25 2015-10-29 東レ株式会社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CN106461822B (zh) 2014-05-30 2019-12-13 东丽株式会社 反射膜及使用了该反射膜的边光型背光源单元
WO2015183822A1 (en) * 2014-05-30 2015-1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ghting devices
CN106661254B (zh) * 2014-07-31 2019-04-09 东丽株式会社 聚酯膜
WO2016042992A1 (ja) * 2014-09-17 2016-03-24 東レ株式会社 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6518057B2 (ja) * 2014-11-13 2019-05-22 株式会社きもと 光拡散性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18063749A (ja) * 2015-03-04 2018-04-19 株式会社きもと 有機el用散乱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発光装置
JP2017044718A (ja) * 2015-08-24 2017-03-02 東レ株式会社 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
US10224445B2 (en) * 2015-11-02 2019-03-05 S-Energy Co., Ltd. Back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olar cell modul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olar cell
KR20180044474A (ko) 2016-10-21 2018-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재귀반사층을 갖는 컬러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33257B1 (ko) 2018-07-13 2023-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시트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20011430A (ja) * 2018-07-17 2020-01-2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反射材
WO2020196760A1 (ja) 2019-03-28 2020-10-0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反射材
WO2023054591A1 (ja) 2021-09-30 2023-04-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紫外線、可視光線および/または赤外線を拡散反射する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016018B (zh) * 2021-11-05 2023-07-04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具有复合涂层的工件及其制造方法
CN114428416B (zh) * 2021-12-31 2023-09-19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背光模块用高抗压高亮度涂布型聚酯反射膜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7680A (en) * 1945-03-02 1946-09-17 Minnesota Mining & Mfg Reflex light reflector
US2948191A (en) * 1956-06-06 1960-08-09 Cataphote Corp Retroreflecting surface
JP3683965B2 (ja) 1995-01-27 2005-08-17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反射体及びそれを用いた光反射装置
US6579606B1 (en) * 1995-08-30 2003-06-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ck light reflection sheet for liquid crystal
JP2000066013A (ja) * 1998-08-25 2000-03-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反射光学シート及び面光源装置
JP2000214792A (ja) * 1999-01-26 2000-08-04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バックライト及びそれに用いるスペ―スシ―ト
JP2000258612A (ja) * 1999-03-05 2000-09-22 Daicel Chem Ind Ltd 光散乱シート
JP3531668B2 (ja) * 1999-10-01 2004-05-31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
JP2001166295A (ja) 1999-12-03 2001-06-22 Cosmo Tec:Kk 液晶表示装置バックライト用ランプリフレクター
JP3870731B2 (ja) 2000-07-12 2007-01-24 東レ株式会社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フィルム
JP2002138150A (ja) 2000-11-02 2002-05-14 Teijin Ltd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6683720B2 (en) * 2000-12-14 2004-01-27 Mitsui Chemicals, Inc. Reflector, sidelight type backlighting apparatus and reflector substrate
JP4945032B2 (ja) * 2001-05-08 2012-06-06 恵和株式会社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6906761B2 (en) * 2001-09-19 2005-06-14 Keiwa Inc. Reflection sheet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JP4712252B2 (ja) 2001-09-19 2011-06-29 恵和株式会社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681791B2 (ja) * 2002-08-22 2011-05-11 恵和株式会社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WO2003032073A1 (ja) * 2001-09-27 2005-01-27 株式会社ツジデン 反射フイルム
TW583084B (en) * 2001-10-15 2004-04-11 Tsujiden Co Ltd Light diffusion film
JP4090283B2 (ja) * 2002-06-07 2008-05-28 三井化学株式会社 反射体及びそれを用いたサイド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装置
KR100926299B1 (ko) * 2002-11-13 200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반사판 및 이를 사용하는 백라이트어셈블리
WO2006031043A1 (en) 2004-09-13 2006-03-23 Skc Co., Ltd. Reflection sheet and backlight unit employing the same
KR100719482B1 (ko) * 2004-09-13 2007-05-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반사시트 및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닛
GB0602105D0 (en) * 2006-02-02 2006-03-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License plate assembly
TWI274901B (en) * 2006-03-13 2007-03-01 Exploit Technology Co Ltd Oriented diffusion reflection sheet
JP2007293289A (ja) * 2006-03-30 2007-11-08 Chisso Corp 光反射シート
JP2007298678A (ja) * 2006-04-28 2007-11-15 Toyobo Co Ltd 反射部材用支持体フィルム
KR101474890B1 (ko) * 2006-06-23 2014-12-1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백색 반사 필름
US7905650B2 (en) * 2006-08-25 2011-03-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cklight suitable for display devices
KR101117147B1 (ko) * 2007-05-08 2012-03-0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백색 반사 필름
KR101488042B1 (ko) * 2007-05-20 2015-01-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재순환 유형의 얇은 중공 공동 백라이트의 설계 파라미터
JP2009093863A (ja) * 2007-10-05 2009-04-30 Fujifilm Corp 面状照明装置
JP2011032169A (ja) * 2007-12-11 2011-02-17 Genecare Research Institute Co Ltd 4−アミノピリミジン誘導体およ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WO2009075227A1 (ja) * 2007-12-11 2009-06-18 Toray Industries, Inc. 積層フィルム
JP2009179037A (ja) * 2008-02-01 2009-08-13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
JP2009244509A (ja) 2008-03-31 2009-10-22 Mitsubishi Rayon Co Ltd 反射シート
JP5138493B2 (ja) * 2008-07-31 2013-02-0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796332B1 (ko) * 2010-02-24 2017-11-0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143A (ko) * 2012-12-28 2014-07-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적층형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40086142A (ko) * 2012-12-28 2014-07-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적층형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13692A (zh) 2012-10-03
JP6017475B2 (ja) 2016-11-02
CN102713692B (zh) 2014-12-10
JPWO2011105294A1 (ja) 2013-06-20
US20120314450A1 (en) 2012-12-13
EP2541285A1 (en) 2013-01-02
JP6355204B2 (ja) 2018-07-11
US9817160B2 (en) 2017-11-14
KR20170109696A (ko) 2017-09-29
JP2014112251A (ja) 2014-06-19
JP2018018085A (ja) 2018-02-01
JP6485758B2 (ja) 2019-03-20
TWI499793B (zh) 2015-09-11
MX2012009190A (es) 2012-08-31
EP2541285A4 (en) 2014-04-30
EP2541285B1 (en) 2021-10-20
KR20170109697A (ko) 2017-09-29
KR101796332B1 (ko) 2017-11-09
TW201131195A (en) 2011-09-16
WO2011105294A1 (ja) 2011-09-01
JP2015163986A (ja) 2015-09-10
JP5578177B2 (ja)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332B1 (ko) 엣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KR101375917B1 (ko) 엣지 라이트형 백 라이트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 라이트
TW201131212A (en) Light diffusing sheet and backlight using same
JPWO2008114820A1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部材
TWI697698B (zh) 白色反射薄膜及液晶顯示器用背光
US20110007494A1 (en) Optical Member And Backlight Device Using The Same
KR102350562B1 (ko)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JP2017134380A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2019045779A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白色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6880521B2 (ja)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
JP2017134146A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