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868A - Lxr 조절자 - Google Patents

Lxr 조절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868A
KR20120047868A KR1020117031397A KR20117031397A KR20120047868A KR 20120047868 A KR20120047868 A KR 20120047868A KR 1020117031397 A KR1020117031397 A KR 1020117031397A KR 20117031397 A KR20117031397 A KR 20117031397A KR 20120047868 A KR20120047868 A KR 20120047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ropa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lxr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1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6704B1 (ko
Inventor
브레트 비. 부쉬
윌리엄 씨. 주니어 스티븐스
엘렌 케이. 킥
하이잉 창
벤카타이아 볼루
리차드 마르틴
라주 모한
Original Assignee
엑셀리시스 페이턴트 컴퍼니 엘엘씨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223342&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4786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엑셀리시스 페이턴트 컴퍼니 엘엘씨,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filed Critical 엑셀리시스 페이턴트 컴퍼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04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e.g. hist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61P5/5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for increasing or potentiating the activity of insu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Abstract

본 발명은 간 X 수용체(LXR)의 활성의 조절자로서 유용한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성질체, 또는 프로드러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XR 조절자{LXR MODULATORS}
본 발명은 간 X 수용체(liver X receptor, LXR)의 활성을 조절하는 화합물과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과 간 X 수용체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이미다졸 이성질체 및 유도체가 LXR의 활성을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핵 수용체( Nuclear Receptor )
핵 수용체는 구조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관련이 있는 조절 단백질의 수퍼패밀리(superfamily)이며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 레티노이드, 비타민 D와 갑상선 호르몬에 관한 수용체이다(참조예: Evans (1988) Science 240:889-895). 이러한 단백질은 이들의 타깃(target) 유전자의 프로모터내 시스-작용 엘리먼트(cis-acting elements)에 결합하며 상기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에 반응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핵 수용체는 이들의 DNA 결합 특성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 있다(참조예: Evans, 전게서 및 Glass (1994) Endocr. Rev. 15:391-407). 예를 들어, 한 부류의 핵 수용체는 역 반복단위(inverted repeats)로서 조직화된 호르몬 반응 엘리먼트(hormone response elements, HREs)에 동형이합체(homodimers)로서 결합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프로게스틴 및 미네랄로코르티코이드(mineralocorticoid) 수용체를 포함한다(참조예: Glass, 전게서). 레티노산, 갑상선 호르몬, 비타민 D, 지방산/퍼옥시좀 증식자(peroxisome proliferators)(즉, PPARs(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및 엑디손(ecdysone)에 의해 활성화되는 그러한 수용체를 포함하는, 두번째 부류의 수용체는, 이형이합체(heterodimers)로서 공통 파트너, 레티노이드 X 수용체(즉, RXR, 이것은 9-cis 레티노산 수용체로도 공지되어 있음; 참조예: Levin et al. (1992) Nature 355:359-361 및 Ileyman et al. (1992) Cell 68:397-406)와 함께 HRE에 결합한다.
RXR은 이들이 동형이합체로서 DNA에 결합하고 DNA에 결합하기 위해 다수의 추가 핵 수용체에 관한 이형이합체 파트너로서 요구된다는 점에서 핵 수용체 중에서 독특하다(참조예: Mangelsdorf et al. (1995) Cell 83:841-850). 클래스 II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로 명명된, 전자의 수용체는 유전자 발현의 중요한 조절자로서 확립되거나 연루된 다수 수용체를 포함한다.
RXRα, β, 및 γ를 코딩하는 3가지 RXR 유전자가 존재하는데(참조예: Mangelsdorf et al. (1992) Genes Dev. 6:329-344), 상기 유전자 모두는 비록 생체내에서(in vivo) 파트너 수용체에 의해 독특한 RXR 아형에 대한 선호인 것으로 보이지만, 클래스 II 수용체 중 임의의 수용체와 이형이합체화할 수 있다(참조예: Chiba et al. (1997) MoI. Cell. Biol. 17:3013-3020). 성체 간에서, RXRα는 상기 3가지 RXR 중 가장 풍부한데(참조예: Mangelsdorf et al. (1992) Genes Dev. 6:329-344), 이는 이것이 클래스 II 핵 수용체에 의한 조절에 관여하는 간 기능에 현저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문헌[Wan et al. (2000) MoI. Cell. Biol. 20:4436-4444]을 참조하라.
LXR α LXR β
LXRα는 간에서 현저하게 발견되며, 신장, 내장, 지라 및 부신 조직에서 더 낮은 수준으로 발견된다(참조예: Willy, et al. (1995) Gene Dev. 9(9):1033-1045). LXRβ는 포유동물내에 편재하며 검사된 거의 모든 조직에서 발견되었다. LXR은 특정한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콜레스테롤의 산화된 유도체에 의해 활성화된다(참조예: Lehmann, et al. (1997) J. Biol. Chem. 272(6):3137-3140). LXRα는 옥시콜레스테롤에 의해 활성화되며 콜레스테롤 대사를 촉진한다(Peet et al. (1998) Cell 93:693-704). 따라서, LXR은,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대사에서 소정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참조예: Janowski, et al. (1996) Nature 383:728-731).
핵 수용체 LXR은 지질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기 위해 담즙산,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대사의 협조된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LXR 및 담즙산/옥시스테롤-조절 유전자는 혈청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를 저하시키고 심혈관 및 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유력한 타깃이다. LXR에 활성을 지니는 화합물은 지질 항상성에 대한 심오한 효과를 지닐 수 있으며, LXR이 연루된 질환 상태를 더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효소 사이토크롬 p450 패밀리의 일원인 Cyp7a1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항상성 및 담즙산 합성시 속도 제한 단계에 포함되는 다수의 유전자, 및 ABC 막 수송체 ABCA1, ABCG1, ABCG5 및 ABCG8의 조절을 통해 달성된다. ABCA1은 ApoA-I와 같은 소량의 지질만 존재하는 지단백질(lipid-poor lipoprotein)에 대해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을 유출시키는데 중요하며, 이에 따라 혈장 HLD 수준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 또한, ABCG5 및 ABCG8은 콜레스테롤의 감소된 장 흡수를 매개하고, 간 세포로부터 담즙으로의 콜레스테롤 유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불행히도, LXR 효능제(agonists)의 항-동맥경화성(anti-atherogenic) 효과와 더불어, 세포 배양물과 동물 모델 시스템에서의 연구는 LXR 효능제가 혈장 트리글리세리드 수준 및 간의 지질생성을 증가시키고 VLDL 리포프로테인 입자의 증가된 생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Schultz et al., Genes & Development 14:2831-2838 (2000); Repa et al. Genes & Development 14:28119-2830 (2000)). 바람직하지 않은 지질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은 또한 부분적 효능제인 LXRβ 선택적 화합물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부분적 효능제는 유방 조직에서 에스트로겐 신호화 길항제 및 자궁에서 효능제로서 작용하는, 항-에스트로겐 타목시펜에 대해 입증된 바와 같은 핵 수용체의 조직-특이적 활성화 또는 퇴행을 나타낼 수 있다. LXR 이소형 특이적 유전자결핍 마우스(LXR isoform-specific null mouse)의 특징화는 LXRα가 간에서 LXR 활성의 우세한 매개물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마크로파지에서, LXRβ 단독으로도 표적 유전자 발현에 대한 LXR 리간드의 효과를 이루어내기에 충분하다. 그러므로, 제한된 LXRα 활성을 갖는 화합물은 원치 않는 간 효과를 제한하면서 항-동맥경화 활성을 가져야 한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증가된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준 및 간의 지질생성 증가로부터 콜레스테롤 대사 및 동맥경화증에 대한 바람직한 효과를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LXR 핵 수용체의 활성을 조절하는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LXR의 완전 효능제가 바람직한 효과 및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 둘 모두를 유발하지만, 본 발명은 두 효과 사이를 유리하게 분리하며, 이에 따라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와 LDL-콜레스테롤에 대한 불리한 효과와 증가된 콜레스테롤 역수송 효과 간에 개선된 치료 지수(therapeutic index)를 갖는 화합물을 기재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간 X 수용체(LXR)의 활성 조절자로서 유용한, 화합물, 또는 이의 개개의 이성질체 또는 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핵 수용체의 활성을 조절하기 위한 조성물과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이 제공된다. 특히, 간 X 수용체, LXRα 및 LXRβ, 특히 LXRβ를 조절하는데 유용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서 제시되는 화합물은 LXR의 효능제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서 제시되는 화합물의 LXR의 길항제이다. 특정 양태에서 낮은 효율을 나타내는 효능제는 길항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LXR 활성에 의해 조절되거나 달리 이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LXR 활성이 연루되어 있는, 질병 또는 질환의 증상을 치료, 예방, 억제, 또는 경감시키는 방법으로서,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개별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콜레스테롤 대사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피검체에서 콜레스테롤 대사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유효 콜레스테롤 대사-조절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개별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동맥경화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필요가 있는 피검체에서 동맥경화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유효 콜레스테롤 수준 감소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개별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LXR 활성 조절을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 LXR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핵 수용체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개별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저콜레스테롤혈증(hypocholesterolemia)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억제하거나 경감시킬 필요가 있는 피검체에서 저콜레스테롤혈증(hypocholesterolemia)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억제하거나 경감시키는 방법으로서,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개별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콜레스테롤 유출 증가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의 세포로부터 콜레스테롤 유출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콜레스테롤 유출을 증가시키는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개별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TP-결합 카세트 A1(ABCA1) 및 ATP-결합 카세트 G1(ABCG1)의 발현 증가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의 세포 내 ATP-결합 카세트 A1(ABCA1) 및 ATP-결합 카세트 G1(ABCG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ABCA1 및 ABCG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개별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콜레스테롤 또는 담즙산 수준에 의해 영향받는 질병 또는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억제하거나 경감시키는 방법으로서, 콜레스테롤 또는 담즙산 수준에 의해 영향받는 질병 또는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억제하거나 경감시킬 필요가 있는 피검체에게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개별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개별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하나 이상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죽성동맥경화증 및 관련 질환, 예컨대,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및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을 포함하는 사람 질환 병리에 연루된 콜레스테롤 역수송 및 염증 신호전달 경로의 조절이 필요한 피검체에서 이러한 사람 질환 병리에 연루된 콜레스테롤 역수송 및 염증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콜레스테롤 역수송 및 염증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는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개별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비만, 고혈압 및 인슐린 내성을 포함하는 신체 대사의 질환의 합병증 및 아테롬성 경화증 및 당뇨를 포함하는 저하된(compromized) 대사 및 면역성에서 기인하는 질환의 치료를 포함하는 당뇨를 비롯한 자가면역질환 및 질병을 포함하는 대사성 증후군의 치료가 필요한 피검체에서 이러한 대사성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개별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인슐린 내성, 골관절염(osteoarthritis), 뇌졸중, 고혈당증(hyperglycemia),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건선(psoriasis), 연령 및 UV 노출 의존성 피부 주름형성, 당뇨, 암, 알츠하이머병, 염증, 면역학적 장애(immunological disorders), 지질 장애(lipid disorders), 비만, 황반 변성, 교란된 표피 장벽 기능이 특징인 상태, 표피 또는 점막의 방해된 분화 또는 과도한 증식의 상태, 또는 심혈관 장애(cardiovascular disorders)의 치료가 필요한 피검체에서 죽상동맥경화증, 인슐린 내성, 골관절염, 뇌졸중, 고혈당증, 이상지질혈증, 건선, 연령 및 UV 노출 의존성 피부 주름형성, 당뇨, 암, 알츠하이머병, 염증, 면역학적 장애, 지질 장애, 비만, 황반 변성, 교란된 표피 장벽 기능이 특징인 상태, 표피 또는 점막의 방해된 분화 또는 과도한 증식의 상태, 또는 심혈관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개별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클로로, 플루오로, 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2는 H 또는 메틸이고;
R3는 H 또는 메틸이고;
R4는 H, 클로로, 플루오로, 또는 메틸이고;
n은 1, 또는 2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R2 및 R3가 메틸인 화합물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R1이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인 화합물이다. 이러한 몇몇 구체예에서, R2 및 R3는 메틸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R4가 플루오로인 화합물이다. 이러한 몇몇 구체예에서, R1는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이고, R2 및 R3는 메틸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R2 및 R3는 H이다. 이러한 몇몇 구체예에서, R1은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R2가 메틸이고, R3가 H인 화합물이다. 이러한 몇몇 구체예에서, n은 2이고, R1은 클로로이고, R4는 플루오로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와 함께 상기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학 구조식(1)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와 함께 치료학적 유효량의 상기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학 구조식(1)의 화합물(a), 또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와 함께 상기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학 구조식(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을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피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러한 질병 또는 질환은 죽상동맥경화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방단백혈증, 고중성지방혈증, 지방이영양증, 고혈당증,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죽상동맥경화증, 담석질환, 여드름, 여드름모양 피부 상태, 당뇨, 파킨슨병, 암, 알츠하이머병, 염증, 면역학적 장애, 지질 장애, 비만, 황반 변성, 교란된 표피 장벽 기능이 특징인 상태, 표피 또는 점막의 방해된 분화 또는 과도 증식의 상태, 또는 심혈관 장애인 방법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치료하기 위한 질병 또는 질환은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방단백혈증, 고중성지방혈증, 지방이영양증, 고혈당증, 죽상동맥경화증, 당뇨 또는 이상지질혈증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4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5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6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2-(1-(3-클로로-3'-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인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2-(2-(2-(2-클로로-3-플루오로페닐)프로판-2-일)-1-(3'-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인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2-(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3'-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인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2-(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인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2-{2-[1-(2,6-디클로로페닐)에틸]-1-[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인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R)- 또는 (S)-로, 또는, 아미노산의 경우 (D)- 또는 (L)-로 정의될 수 있는,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기타 입체이성질체 형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모든 가능한 이성질체를 비롯한, 이들의 라세미 형태 및 선택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려는 의도이다. 선택적으로 활성있는 (+) 및 (-), (R)- 및 (S)-, 또는 (D)- 및 (L)- 이성질체는 키랄 중간체(chiral synthons) 또는 키랄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되거나, 관용적인 기술, 예컨대, 역상 HPLC를 사용하여 분해(resolusion)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이 올레핀계 이중 결합 또는 기하학적 비대칭의 다른 중심을 함유하며,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이것은 해당 화합물이 E 및 Z 기하 이성질체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이상의 원자가 동일 원자 번호를 가지나, 원자 질량 또는 질량 수가 일반적으로 본래 발견되는 원자 질량 또는 질량 수와 상이한, 원자에 의해 치환되는, 본 발명의 동위원소 표지된(isotopically-labeled)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포함되기에 적합한 동위체의 예로는 수소의 동위체, 예컨대 2H 또는 D 및 3H 또는 T, 탄소의 동위체 11C, 13C, 및 14C, 염소의 동위체, 예컨대 36Cl, 불소의 동위체, 예컨대 18F, 아이오드의 동위체, 예컨대 123I 및 125I, 질소의 동위체, 예컨대, 13N 및 15N, 산소의 동위체, 예컨대 15O, 17O, 및 18O, 인의 동위체, 예컨대 32P, 및 황의 동위체, 예컨대 35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온도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드러그 및/또는 기질 조직 분포 연구에 유용하다. 방사성 동위원소인 삼중 수소, 3H, 및 탄소-14, 14C는 혼입 용이성 및 즉각적인 검출 수단에 비추어 볼때 이러한 용도에 특히 유용하다. 중수소, 2H 또는 D와 같은 보다 무거운 동위원소로의 치환은 예를 들어 생체내 반감기 증가 또는 감소된 용량 요건과 같은, 보다 큰 대사 안정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특정 치료적 이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몇몇 상황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양전자 방출 동위원소(positron emitting isotope), 예컨대, 11C, 18F, 15O, 및 13N은 기질 수용체 점유도(substrate receptor occupancy)를 조사하기 위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pography(PET)) 연구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은 다르게는 비표지된 시약이 사용되는 대신에 적합한 동위원소 표지된 시약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또는 본원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하기 용어 및 표현은 하기 지시된 의미를 갖는다.
"핵 수용체"는 전형적으로 다른 전사 인자와 연계하여, 핵내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키거나 억제시키는 수용체이다(그러나, 또한 제 2 메신저 신호전달 작용을 지닐 수 있음). 상기 핵 수용체는 수용체에 대한 천연 동족(cognate) 리간드에 의해 활성화된다. 핵 수용체는 막에 결합되어 존재하기 보다, 세포질 또는 핵내에서 보통 발견된다. 핵 수용체는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 레티노이드, 비타민 D 및 갑상선 호르몬에 대한 수용체인 조절 단백질의 수퍼패밀리의 일원이다. 이들 단백질은 이들의 타깃 유전자의 프로모터내 cis-작용 엘리먼트에 결합하며 그에 따라 리간드에 반응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핵 수용체는 이들의 DNA 결합 특성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프로게스틴 및 미네랄로코르티코이드 수용체는 역전된 반복체(inverted repeats)로서 조직화된 호르몬 반응 엘리먼트(hormone response elements, HREs)에 동형이합체로서 결합한다. 또 다른 일예는 공통 파트너인, 레티노이드 X 수용체(retinoid X 수용체, RXR)과 함께 이형이합체로서 HRE에 결합하는, 레티노산, 갑상선 호르몬, 비타민 D3, 지방산/퍼옥시좀 증식자(peroxisome proliferators) 및 엑디손(ecdysone)에 이해 활성화된 그러한 수용체를 포함하는, 수용체이다. 전자 수용체 중에 LXR이 있다.
"간 X 수용체" 또는 "LXR"은 콜레스테롤 생합성에 연루된 핵 수용체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LXR은 LXRα 및 LXRβ 둘 모두를 의미하는데, 상기 2가지 형태의 단백질은 포유동물에서 발견된다. 간 X 수용체-α 또는 LXRα는 미국 특허 제 5,571,696호, 제5,696,233호 및 제5,710,004호, 및 윌리 등의 문헌[Willy et al. (1995) Gene Dev. 9(9): 1033-1045]에 기재된 수용체를 의미한다. 간 X 수용체-β 또는 LXRβ는 하기 문헌들에 기재된 수용체를 의미한다: Peet et al. (1998) Curr. Opin. Genet. Dev. 8(5):571-575; Song et al. (1995) Ann. N.Y. Acad. Sci. 761:38-49; Alberti et al. (2000) Gene 243(1-2):93-103; 및 상기 문헌들내에서 인용된 참고문헌들; 및 미국 특허 제 5,571,696호, 제5,696,233호 및 제5,710,004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과도한 독성, 자극, 알러지 반응, 또는 타당한 이점/위험성 대비에 상응하는 다른 문제점 또는 합병증 없이 정상학적 의학적 판단 범위 내에서 사람 및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기에 적합하거나, 다르게는 사람 또는 가축에서 사용에 허용되는 것으로 미국 식품 의약품 안전청에 의해 승인된, 그러한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또는 투여형을 나타낸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산 및 염기 부가 염 둘 모두를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 염"은,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비바람직하지 않은, 유리 염기의 생물학적 유효성(effectiveness) 및 특성을 유지하며, 염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 및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레산, 말론산, 석신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되는, 그러한 염을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부가 염"은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비바람직하지 않은, 유리 산의 생물학적 유효성 및 특성을 보유하는 그러한 염을 의미한다. 이러한 염은 유리 산에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의 부가로 제조된다. 무기 염기로부터 유래된 염은, 이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망간, 알루미늄 염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무기 염은 암모늄, 나트륨, 칼륨, 칼슘, 및 망간 염이다. 유리 염기에서 유래된 염은, 이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차, 2차, 및 3차 아민, 천연적으로 생성된 치환된 아민을 포함하는 치환된 아민, 고리 아민 및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디시클로헥실아민,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카페인, 프로카인, 히드라바민(hydrabamine), 콜린, 베타인, 에틸렌디아민, 글루코사민, 메틸글루코사민, 테오브로민, 퓨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등과 같은 염기 이온 교환 수지의 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유기 염기는 이소프로필아민, 디에틸아민, 에탄올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콜린 및 카페인이다.
"치료학적 유효량"은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 투여될 때, 핵 수용체 활성과 연관된 질병-상태를 위하여, 하기 정의된 것과 같은,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데 충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분량을 의미한다. "치료학적 유효량"을 구성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은 화합물, 상태 및 이의 극심도, 및 치료되어야 하는 포유동물의 연령에 따라 달라질 것이나,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갖고 있는 그 자신의 지식 및 이의 교시내용을 참조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관행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조절하는(Modulating)" 또는 "조절하다(modulate)"는 기능, 상태 또는 질환의 치료, 예방, 억제, 증강 또는 유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사람에서 죽상동맥경화증 병변으로부터 콜레스테롤 제거를 촉진시킴으로써 죽상동맥경화증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피검체, 바람직하게는 사람에서, 본원에서 기술되는 질병 또는 질환 치료를 포함하며, 하기를 포함한다:
i. 질병 또는 질환을 억제시킴, 즉, 이의 진행을 저지함; 또는
ii. 질병 또는 질환을 경감시킴, 즉, 질환의 퇴행을 야기시킴.
"피검체"는 본원에서 기술된 하나 이상의 질병 또는 질환이 걸린, 또는 걸릴 가능성이 있는 온혈 동물, 예컨대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 또는 어린이를 나타낸다.
용어 "죽상동맥경화증"은 동맥경화(atherosclerotic) 플라크가 동맥벽의 안감(inner lining) 내부에서 형성되어 동맥경화 심혈관 질환을 야기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동맥경화 심혈관 질환은 적절한 의료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내과의사에 의해 인지되고 이해될 수 있으며, 이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재협착(restenosis), 관상동맥질환(관상동맥심장질환)(또는 관상 동맥 심장 질환 또는 허혈성 심장 질환으로도 공지됨), 허혈성 뇌졸중을 포함하는 뇌혈관 질환, 다발-뇌경색 치매(multi-infarct dementia), 및 말초 혈관 질환(간헐성 파행증(intermittent claudication)을 포함함), 및 발기 부전(erectile dysfunction)을 포함한다.
용어 "이상지질혈증"은 지단백질의 억제되고/거나 상승된 수준 둘 모두(예를 들어, 저밀도지단백질(Low Density Lipoprotein, LDL), 초저밀도지단백질(Very Low Density Lipoprotein, VLDL)의 상승된 수준, 및 고 밀도 지단백질(High Density Lipoprotein, HDL)의 억제된 수준)을 포함하는 혈장내 지단백질의 비정상적 수준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EC50"은 특정 시험 화합물에 의해 유도되거나, 자극되거나. 약효가 증가되는 특정 반응의 최대 발현의 50%로 용량-의존적 반응을 개시시키는 특정 시험 화합물의 용량, 농도 또는 분량을 의미한다.
용어 "콜레스테롤"은 세포막과 수초(myelin sheaths)의 필수 성분인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이의 일반적인 용법(usage)으로 통합된다. 콜레스테롤은 또한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담즙산의 전구체로서 역할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트리글리세리드(들)"("TGs")은 이의 일반적인 용법으로 통합된다. TG는 글리세롤 분자로 에스테르화된 3개의 지방산 분자로 구성되며 에너지 생산을 위한 근육 세포에 의해 사용되거나 지방 조직에 흡수되고 저장되는 지방산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IC50"은 반응을 측정하는 검정에서, LXRα 또는 LXRβ 활성을 포함하는, 핵 수용체의 조절과 같은, 최대 반응의 50% 억제를 달성하는 특정 시험 화합물의 분량, 농도 또는 용량을 의미한다.
"LXR" 또는 "LXRs"는 LXRα 및 LXRβ 둘 모두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LXRα"(LXR 알파)는 예를 들어, 대안적인 스플라이스 이소형 및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이소형을 포함하는, 그러한 수용체의 모든 포유동물 형태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LXRα 종은, 이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래트(Genbank 수탁번호 NM_031627), 마우스(Genbank 수탁번호 BC012646), 및 사람(GenBank 수탁번호 U22662) 수용체 형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LXRβ"(LXR 베타)는, 예를 들어, 대안적인 스플라이스 이소형 및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이소형을 포함하는, 그러한 수용체의 모든 포유동물 형태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LXRβ 종은, 이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래트(GenBank 수탁번호 NM_031626), 마우스(Genbank 수탁번호 NM_009473), 및 사람(GenBank 수탁번호 U07132) 수용체 형태를 포함한다.
용어 "비반의" 및 "비만"은 남자의 경우 27.8kg/㎡를 초과하는 체 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및 여성의 경우 27.3kg/㎡를 초과하는 체 질량 지수를 의미한다(BMI는 체중(kg)/(키)2(㎡)와 같다).
유용성
본 발명의 화합물은 포유동물에서 값진 약학적 특성을 나타내며, LXR 효능제, 길항제, 역(inverse) 효능제, 부분 효능제 및 길항제로서 특히 유용하고, LXRα 또는 LXRβ에 대해 선택적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변형된 콜레스테롤 수송, 콜레스테롤 역 수송, 지방산 대사, 콜레스테롤 흡수, 콜레스테롤 재흡수, 콜레스테롤 분비, 콜레스테롤 배출(excretion), 또는 콜레스테롤 대사와 연관된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complications)으로부터 야기된 증상들의 치료에 유용하다.
이들 질환은, 예를 들어, 죽상동맥경화증, 죽상동맥 심혈관 질환, (참조예: 국제 공개 공보 WO 00/57915 및 WO 00/37077), 이상지질혈증, 고혈당증, 인슐린 내성, 당뇨, 비만, 증후군 X(미국 특허 공개 공보 20030073614호, 국제 공개 특허 WO 01/82917호), 피부와 같은 주변 조직내 과도한 지질 축적(황색종(xanthomas))(참조예: 미국 특허 6,184,215호 및 6,187,814호), 뇌졸중, 말초 폐사슬성 질환(peripheral occlusive disease), 기억 상실(Brain Research (1997), Vol. 752, pp. 189-196), 시신경 및 망막 병리(즉, 황반 변성, 망막색소 변성(retintis pigmentosa))), 중추 또는 말초 신경계에 대한 트라우마성 손상의 회복(Trends in Neurosciences (1994), Vol. 17, pp. 525- 530), 노화로 인한 퇴행 과정의 예방(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997), Vol. 151, pp. 1371-1377), 알츠하이머병 (참조예: 국제 공개 특허 WO 00/17334호; Trends in Neurosciences (1994), Vol. 17, pp. 525-530), 당뇨병성 신경장해와 같은 질환에서 발생하는 퇴행성 신경장해의 예방(참조예: 국제 공개 특허 WO 01/82917),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Annals of Clinical Biochem. (1996), Vol. 33, No.2, pp. 148-150), 및 자가면역 질환(J Lipid Res. (1998), Vol. 39, pp. 1740-1743)을 포함한다.
또한, 청구된 화합물 및 조성물을 사용하여, ATP-결합 카세트(ABCA1)의 발현을 증가시켜(참조예: 국제 공개 특허 WO 00/78972호), 그 결과 포유동물 세포내에서 역 콜레스테롤 수송을 증가시키는, ATP-결합 카세트(ABCA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해당 질환의 임상적 징후에 의해 나타나는 죽상동맥경화증 또는 죽상동맥 심혈관 질환을 지니는 피검체에서 조직 침적물(tissue deposits), 예컨대, 죽상동맥 플라크 또는 황색종으로부터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방법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본 방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피검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허혈성 심장 질환, 허혈성 뇌졸중, 다발경색성 치매, 및 간헐성파행증을 포함하는, 죽상동맥 심혈관 질환 사건의 첫번째 또는 후속 발병의 위험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와 같은 사건에 관한 위험에 처한 피검체에게 예방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고혈당증 및 인슐린 내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즉, 치료가 필요한 피검체에게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여, "증후군 X"(미국 특허 출원 제20030073614호 참조)를 구성하는 질환 상태, 조건 또는 장애의 무리를 포함하는, 당뇨, 고혈당증 또는 인슐린 내성의 합병증으로 야기되거나, 당뇨, 고혈당증 또는 인슐린 내성과 관련이 있는 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 방법 및 당뇨 치료 방법(국제 공개 특허 WO 01/82917)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피검체내에서 달중인 고혈당증, 인슐린 내성, 당뇨 또는 증후군 X의 위험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와 같은 사건에 처할 위험이 있는 피검체에게 예방학적으로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흔히 당뇨라 불리우는, 당뇨병은 다수의 원인성 인자(multiple causative factors)로부터 유래되며 증가된 혈장 글루코오스의 수준에 의해 규명되는 질병 과정을 의미하는데, 고혈당증으로 지칭된다. 참조예: LeRoith, D. et al, (eds.), DIABETES MELLITUS(Lippincott-Raven Publishers, Philadelphia, Pa. U.SA. 1996). 미국 당뇨 협회에 따르면, 당뇨병은 전세계 인구의 대략 6%가 앓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있다. 비조절된 고혈당증은 신장병(nephropathy), 신경장해(neuropathy), 망막증(retinopathy), 고혈압, 뇌혈관 질환 및 관상동맥심장질환(coronary heart disease)을 포함하는 대혈관(macrovascular) 및 대혈관 질환에 관한 위험 증가로 인한 사망 증가 및 조기 사망(premature mortality)과 연관이 있다. 따라서, 글루코스 항상성의 조절은 당뇨의 치료를 위한 매우 중요한 접근법이다.
2가지 주요한 형태의 당뇨가 존재한다: 타입 1 당뇨(이전에 인슐린 의존성 당뇨 또는 IDEM(insulin-dependent diabetes)로 지칭됨); 및 타입 2 당뇨(이전에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 또는 NIDDM(noninsulin dependent diabetes)로 지칭됨). 타입 2 당뇨는 절대적이라기 보다 상대적인, 인슐린 결핍을 동반하는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 특성규명된 질환이다. 타입 2 당뇨는 약간의 인슐린 저항성을 동반하면서 상대적인 인슐린 결핍 내지 현저한 인슐린 결핍을 나타낸다. 인슐린 저항성은 넓은 범위의 농도에 걸쳐 인슐린의 생물학적 활동을 발휘하도록 하는 인슐린의 감소된 활성이다.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개체에서, 신체는 이의 결손을 보충하기 위해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인슐린을 분비한다. 부적당한 양의 인슐린이 인슐린 저항성 및 적절한 글루코오스 조절을 보충하기 위해 존재할 때, 손상된 글루코오스 내성 상태가 발달된다. 상당한 수의 개체에서, 인슐린 분비는 더 감퇴되며 혈장 글루코오스 수준을 높아지고, 그 결과 당뇨의 임상 상태가 야기된다. 타입 2 당뇨는 주요 인슐린-민감성 조직내에서 글루코오스 및 지질 대사에 관한 인슐린 자극 조절 효과에 대한 심오한 저항성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다: 근육, 간 및 지방 조직. 이러한 인슐린 반응성에 대한 저항성은 결과적으로 글루코오스 섭취의 불충분한 인슐린 활성화, 근육내 산화와 저장 및 지방 조직내 지방분해의 부적당한 인슐린 억제 및 간내 글루코오스 생산 및 분비의 부적당한 인슐린 억제를 초래한다. 타입 2 당뇨에서, 유리 지방산 수준은 종종 비만 및 일부 비비만 피검체에서 증가되며 지질 산화는 증가된다.
죽상동맥경화증의 조기 발달 및 심혈관 및 말초 혈관 질환의 발병율(rate) 증가는 당뇨를 지닌 피검체의 특징적인 특징들이다. 고지질혈증은 이러한 질환들에 관한 중요한 촉진 인자(precipitating factor)이다. 고지질혈증은 일반적으로 혈류내의 혈청 지질,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에서의 비정상저인 증가에 의해 특성규명되며, 발달중인 죽상동맥경화증과 심장 질환에서 중요한 위험 인자이다. 지질 대사 장애에 관한 검토를 위해, 예를 들어, 하기 문헌을 참조하라: Wilson, J. et al, (ed.), Disorders of Lipid Metabolism, Chapter 23, Textbook of Endocrinology, 9th Edition, (W. B. Sanders Company, Philadelphia, Pa. U.S.A. 1998). 고지질혈증은 일반적으로 원발성 또는 2차성 고지질혈증으로 분류된다. 원발성 고지질혈증은 일반적으로 유전자 결합에 의해 초래되며, 반면 2차성 고지질혈증은 일반적으로 다른 인자들, 예컨대, 다양한 질환 상태, 약물, 및 식이 인자에 의해 초래된다. 달리, 고지질혈증은 원발성 및 2차성 고지질혈증 둘 모두의 조합된 원인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다. 격상된 콜레스테롤 수준은 관상동맥질환, 협심증(angina pectoris), 경동맥질환(carotid artery disease), 뇌졸중, 뇌동맥경화증, 및 황색종을 포함하는 다수의 질병 상태와 연관된다.
이상지질혈증, 또는 혈장내 비정상적 수준의 지단백질은, 당뇨병 환자에서 흔한 사건이며, 당뇨 환자들에서 관상동맥 사건 및 사망의 발생률 증가에 주요한 기여자 중 하나인 것으로 드러났다(참조예: Joslin, E. Ann. Chim. Med. (1927), Vol.5, pp. 1061-1079). 그 이후의 역학적 연구는 연관성을 확증하였고 비당뇨병 환자와 비교하여 당뇨병 환자에서 관상동맥질환 사망에서 수배의 증가를 보여주었다(참조예: Garcia, M. J. et al., Diabetes (1974), Vol.23, pp. 105-11 (1974); 및 Laakso, M. and Lehto, S., Diabetes Reviews (1997), Vol.5, No.4, pp.294-315). 몇몇 지단백질 비정상성이 당뇨병 환자들에서 소개되었다(Howard B., et al., Arteriosclerosis (1978), Vol. 30, pp. 153-162).
비만을 비롯한, 비만의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추가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비만은 당뇨와 고지질혈증을 포함하는 다양한 의학적 상태와 연계되어 있다. 비만은 또한 타입 2 당뇨의 발달에 관한 공지된 위험 인자이다(참조예: Barrett-Conner, E., Epidemol. Rev. (1989), Vol. 11, pp. 172-181; 및 Knowler, et al., Am. J Clin. Nutr. (1991), Vol. 53, pp. 1543-1551).
투여 및 제형
본 발명의 화합은 임의의 허용되는 투여 경로에 의해 이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허용되는 투여 경로는 이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협측, 피부, 자궁경관, 동 내(endotracheal), 장내(enteral), 경막외(epidural), 간질내(interstitial), 복막내(intra-abdominal), 동맥내(intra-arterial), 기관지내(intrabronchial), 점액내(intrabursal), 뇌내(intracerebral), 낭내(intracisternal), 관상동맥내(intracoronary), 피내(intradermal), 관강내(intraductal), 십이지장내(intraduodenal), 경막내(intradural), 표피내(intraepidermal), 식도내(intraesophageal), 위내(intragastric), 치은내(intragingival), 회장내(intraileal), 림프관내(intralymphatic), 골수내(intramedullary), 뇌막내(intrameningeal), 근내(intramuscular), 난소내(intraovarian), 복강내(intraperitoneal), 전립선내(intraprostatic), 폐내(intrapulmonary), 인트라시널(intrasinal), 척수내(intraspinal), 활막내(intrasynovial), 고환내(intratesticular), 난포막내(intrathecal), 세뇨관내(intratubular), 종양내(intratumor), 자궁내(intrauterine), 혈관내(intravascular), 정막내(intravenous), 비내(nasal), 비강내(nasogastric), 경구(oral), 비경구(parenteral), 경피적(percutaneous), 경막주변(peridural), 직장(rectal), 호흡기(흡입), 피하, 설하, 점막하, 국소(topical), 경피(transdermal), 경점막(transmucosal), 경기관(transtracheal), 요관(ureteral), 요도(urethral) 및 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의 허용되는 고체, 반고체, 액체 또는 기체성 투여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허용되는 투여형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어로졸, 캡슐, 크림, 에멀젼, 가스, 겔, 과립(grain), 도포제(liniment), 로션, 연고, 페이스트, 분말,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정제를 포함한다. 허용되는 전달 시스템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생분해성 임플란트(예를 들어, 폴리(DL-락타이드),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코폴리머 및 락타이드/카프롤락톤 코폴리머), 캡슐, 도우치(douch), 관장기, 흡입기, 자궁내 장치(intrauterine device), 분무기, 패치, 펌프 및 좌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투여형은 본 발명의 화합물 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부형제, 약제학적 담체, 애주번트, 및/또는 그 밖의 의약 또는 약학적 제제와 함께 제형될 수 있다. 허용되는 부형제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a) 부착방지제(antiadherent), 예컨대, 크로스카르멜로스 소듐, 크로스프로비돈,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미정질 셀룰로스, 전분 및 탈크; (b) 결합제, 예컨대, 셀룰로스, 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락토스, 말티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소르비톨, 전분, 당, 수크로스 및 자일리톨; (c) 코팅제, 예컨대 셀룰로스, 쉘락(shellac), 제인(zein) 및 장용 제제(enteric agent); (d) 붕해제, 예컨대, 셀룰로스, 가교된 폴리비닐 피롤리돈,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및 전분; (e) 충전제, 예컨대, 칼슘 카르보네이트, 셀룰로스, 이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 글루코스, 락토스, 만니톨, 소르비톨 및 수크로스; (f) 착향제; (g) 착색제; (h) 활택제, 예컨대, 칼슘 스테아레이트, 콜로이드 실리콘 디옥사이드,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드, 광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디옥사이드, 전분,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탈크, 소듐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나트륨 벤조에이트 및 아연; (i) 윤활제, 예컨대, 칼슘 스테아레이트,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스테아린, 스테아르산 및 탈크; 및 (j) 보존제, 예컨대, 클로로부탄올, 시트르산, 시스테인, 메티오닌, 메틸 파라벤, 페놀, 프로필 파라벤, 레티닐 팔미테이트, 셀레늄, 소듐 시트레이트, 소르브산, 비타민 A, 비타민 C 및 비타민 E를 포함한다. 캡슐은 앞서 열거된 부형제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할 수 있으며, 추가로 반고체 또는 액체 담체,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식물성 기반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약제학적 담체는 가용성 폴리머, 불용성 또는 생분해성 천연 및 합성 폴리머로 제조된 마이크로입자; 마이크로캡슐, 또는 마이크로구체, 지단백질, 리포좀 및 미셀을 포함한다.
약제 조성물은 액체, 예를 들어, 일릭서(elixir), 시럽, 용액, 에멀젼, 현탁액, 또는 그 밖의 유사한 형태로 존재하거나, 사용 전에 물 또는 그 밖의 적합한 비히클로 재구성하기 위한 건조된 생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액체 제조물은 통상적인 첨가제, 예컨대 (a) 액체 희석제, 예컨대, 물, 염수, 링거액, 고정유(fixed oil), 예컨대,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그 밖의 용매; (b) 계면활성제, 현탁화제, 또는 에멀젼화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포화된 폴리글리콜화된 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지방산 에스테르,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블록 코폴리머, 폴리옥실 스테아레이트, 에톡실화된 캐스터 오일, 및 에톡실화된 히드록시스테아르산; (c) 완충제, 예컨대,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d) 킬레이트화제, 예컨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 항균제, 예컨대, 벤질 알코올 또는 메틸 파라벤; (f)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또는 소듐 비설파이트; (g) 등장성 제제, 염화나트륨 또는 덱스트로스; 및 감미제 및 착향제, 염료 및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개개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할 것이며, 약제 조성물의 나머지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로 이루어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구 투여를 위해, 개개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의 1 내지 99중량%를 차지할 것이며, 조성물의 나머지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로 이루어질 것이다. 전형적으로, 개개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의 5 내지 75중량%를 차지할 것이며, 조성물의 나머지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로 이루어질 것이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 개개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의 0.01 내지 1중량%를 차지할 것이다. 본 발명의 투여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거나,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990)]을 참조하라.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화합물의 활성; 화합물의 대사 안정성, 분비율 및 작용 기간; 피검체의 연령, 체중, 전반적인 건강, 성별, 식이, 및 종; 화합물의 투여 형태 및 시간, 조성물 중의 애주번트 또는 추가의 치료적 활성 성분의 존재, 및 치료 효과가 요구되는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사람 피검체에게 일당 약 0.1㎎ 내지 약 10,000㎎ 범위의 용량 수준으로 투여될 수 있다. 약 70킬로그램의 체중을 갖는 정상적인 성인은 일당 약 0.15㎍ 내지 약 150mg/체중kg 범위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정상 성인은 일당 약 0.1mg 내지 약 25mg/체중kg, 또는 0.5mg 내지 10mg/체중kg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단위 투여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단위 용량은 일일 1회 내지 4회, 또는 일일 2회, 또는 일일 1회 투여될 수 있다. 효과적인 용량을 기술하는 또 다른 방법에 있어서, 경구 단위 용량은 피검체에서 약 0.05 내지 20㎍/ml 또는 약 1 내지 20㎍/ml의 혈액 혈청 수준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이다. 특정 피검체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최적의 용량은 당업자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개개의 이성질체 또는 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용성에서 상기한 하나 이상의 치료 작용제의 투여와 동시에, 이에 앞서, 또는 이후에 투여될 수 있다. 그러한 병용 요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작용제를 함유한 단일 약제학적 용량 제형의 투여를 비롯한 그 자신의 별개 약제학적 용량 제형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각각의 활성 작용제의 투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정제 또는 캡슐과 같은 단일 경구 용량 조성물, 또는 별개의 경구 용량 제형으로 투여되는 각각의 작용제와 함께 피검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별개 용량 제형이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추가 활성 작용제는 본질적으로 동시에, 즉, 동시적으로(concurrently), 또는 별개로 시차가 있는 시간, 즉,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병용 요법은 이러한 모든 섭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죽상동맥경화증 치료시 하기 치료제 중 하나 이상과 병용하여 사용된다: 항고지질혈증제, 혈장 HDL-상승제, 항고콜레스테롤증제, 콜레스테롤 생합 억제제(예컨대, HMG CoA 환원효소 억제제, 예컨대, 로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를루바스타틴, 아톨바스타틴, 안드리바스타틴), 아실-코엔자임 A: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퍼라아제(ACAT) 억제제, 프로부콜, 라록시펜( raloxifene), 니코틴산, 니아신아미드,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 담즙산 결합제(bile acid sequestrants)(예컨대, 음이온 교환 수지, 또는, 4급화 아민(예를 들어, 콜레스티라민, 또는 콜레스티폴)), 저 밀도 지단백질 수용체 유도제, 클로피브레이트, 페노피브레이트, 벤조피브레이트, 시포피브레이트, 젬피브리졸, 비타민 B6, 비타민 B12, 항산화제 비타민, β-차단제, 항당뇨제, 안지오텐신 II 길항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혈소판 응집 억제제, 피브리노겐 수용체 길항제, 아스피린 또는 피브르산 유도체.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제, 특히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처리시 하기 치료제 중 하나 이상과 병용하여 사용된다. 용어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활성을 갖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에스테르, 유리 산 및 락톤 형태의 화합물을 모두 포함하려는 의도이고, 따라서, 그러한 염, 에스테르, 유리 산 및 락톤 형태는 본 발명의 영역내에 포함된다. HMG-CoA 환원효소에 대한 억제제 활성을 지니는 화합물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검정법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검정법은 미국 특허 제4,231,938호 및 WO 84/02131호에 기재되거나 개시되어 있다. 적합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의 일예는, 이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로바스타틴(MEVACOR®; 미국 특허 제4,231,938호 참조); 심바스타틴(ZOCOR®; 미국 특허 제4,444,784호 참조); 프라바스타틴 소디움(PRAVACHOL®; 미국 특허 제4,346,227호 참조); 플루바스타틴 소디움 (LESCOL®; 미국 특허 제5,354,772호 참조); 아토르바스타틴 칼슘(LIPITOR®; 미국 특허 제5,273,995호 참조) 및 리바스타틴(세리바스타틴으로도 알려져 있음; 미국 특허 제5,177,080호 참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상기의 것들 및 추가의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의 구조식은 엠. 얄파니의 문헌[M. Yalpani, "Cholesterol Lowering Drugs," Chemistry & Industry, pp. 85-89 (5 February 1996)]의 87쪽에 기재되어 있다. 현재 선호되는 구체예에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로바스타틴 및 심바스타틴 중에서 선택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요망되는 타깃 요법에 좌우되어 하기 하나 이상의 추가 활성 당뇨 작용제와 병용하여 사용된다(참조예: Turner, N. et al. Prog. Drug Res. (1998) 51:33-94; Haffner, S. Diabetes Care (1998) 21 : 160-178; 및 DeFronzo, R. et al. (eds.), Diabetes Reviews (1997) Vol. 5 No. 4). 다수의 연구들은 경구 작용제와의 병용 요법의 이점들을 조사하였다(참조예: Mahler, R., J. Clin. Endocrinol. Metab. (1999)84:1165-71;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Group: UKPDS 28, Diabetes Care (1998)21 :87-92; Bardin, C.W.(ed.), CURRENT THERAPY IN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6th Edition (Mosby-Year Book, Inc., St. Louis, Mo. 1997); Chiasson, J. et al., Ann. Intern. Med. (1994) 121 : 928-935; Coniff, R. et al., Clin.Ther. (1997) 19: 16-26; Coniff, R. et al., Am. J. Med. (1995) 98: 443-451; and Iwamoto, Y. et al, Diabet. Med. (1996)13: 365-370; Kwiterovich, P. Am. J. Cardiol (1998) 82(12A):3U-17U). 이러한 연구들은 당뇨 및 고 지질혈증 조절이 치료 섭생에 대한 제 2 작용제의 부가에 의해 추가로 개선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뇨 치료에 있어서 하기 치료제 중 하나 이상과 병용하여 사용된다: 설포닐우레아(예컨대, 클로로프로파미드, 톨부타미드, 아세토헥사미드, 토라자미드, 글리부라이드, 글리클라지드(gliclazide), 글리나제, 글리메피라이드(glimepiride), 및 글리피자이드), 비구아니드(예컨대, 메트포민), 티아졸리딘디온(예컨대, 시클리타존(ciglitazone), 피오글리타존, 트로글리타조, 및 로시글리타존), 및 관련 인슐린 감작제(sensitizers), 예컨대, PPARα, PPARβ 및 PPARγ의 선택적 및 비선택적 활성화제; 데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DHEA로도 지칭됨)(또는 이의 컨주게이션된 설페이트 에스테르, DHEA-SO4); 항글루코코르티코이드; TNFα억제제;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예컨대, 아카르보즈, 미글리톨, 및 보글리보즈), 프람린타이드(pramlintide)(사람 호르몬 아밀린의 합성 유사체), 다른 인슐린 분비촉진제(secretogogues)(예컨대, 레파글리나이드(repaglinide), 글리퀴돈, 및 나테글리나이드), 인슐린을 비롯한, 죽상동맥경화증 치료와 관련하여 위에 논의된 치료제.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만 또는 비만-관련 장애의 치료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기 치료제와 병용하여 사용된다. 그러한 제제는, 이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페닐프로판올아민, 펜테르민(phentermine), 디에틸프로피온, 마진돌, 펜플루라민(fenfluramine), 덱스펜플루라민, 펜티라민, β3 아데노리셉터 효능제; 시부트라민, 위장관 리파아제 억제제(예컨대, 오르리스타트(orlistat)), 및 렙틴. 비만 또는 비만-관련 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기타 작용제는 뉴로펩티드 Y, 엔테로스타틴, 콜레시토키닌, 봄베신, 아밀린, 히스타민 H3 수용체, 도파민 D2 수용체 조절자,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 크로티코트로핀 방출 인자, 갈라닌(galanin) 및 감마 아미노 부티르산(gamma 아미노 부티르산, GABA)을 포함한다.
합성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하기 기술되는 방법을 포함하는 당업자들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다수의 방법, 또는 유기 합성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표준 기술을 적용시킴으로써 이러한 방법의 변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합물은 Chemdraw Ultra 9.0 또는 10.0(Cambridgesoft)를 사용하여 명명되었다. 시약 및 출발 물질은 구입가능하거나, 당업자들에 의해 널리 공지된 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합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학식의 치환기 및/또는 변수의 조합은 안정한 화합물을 양산하는 경우에만 허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달리 지적하지 않는 한, NMR 및/또는 질량 스펙트럼 데이터와 관련된 모든 화합물들이 제조되었으며 상기 NMR과 질량 스펙트럼은 측정되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7
(a) Me3Al, 톨루엔, 0℃-80℃; (b) i. 에틸 브로모피루베이트, NaHCO3, THF, 70-80℃; ii. AcOH 톨루엔 또는 TFA, EtOH, 80℃; (c) R3MgBr, THF 또는 THF/CH2Cl2, 0℃-rt; (d) K2CO3, PdCl2(dppf), DME/H2O, 80℃
일반적으로, 화학식(0036)의 화합물은 먼저 화학식(0032)의 아닐린을 트리메틸알루미늄의 존재 하에 2-(페닐)-2-메틸프로판니트릴 (0031)과 반응시켜 표준 분리 절차 후에 화학식(0033)의 화합물을 얻음으로써 제조된다(반응식 1). 이후 단계에서, 상승된 조건 하에서의 염기성 조건 후 에탄올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같은 탈수 조건 하에서 아미딘(0033)의 할로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α-브로모피루베이트로의 노출은 표준 분리 절차 후 화학식(0034)의 1H-이미다졸을 제공한다. 이후, 화학식(0034)의 화합물은 에스테르에서 카르비놀로와 같은 작용기 변환 처리된다. 이후, 팔라듐 매개 커플링 반응, 예를 들어, 스즈키(Suzuki) 반응에서, 화학식(0035)의 화합물은 (2-플루오로-6-(설포닐)-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메탄올(0017)와 반응하여(하기 반응식 2 참조) 표준 분리 절차 후 화학식(0036)의 화합물을 얻었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8
a) i. THF 중의 1.0 M LHMDS; ii. R4SNa, 환류; b) BH3-THF, 0℃-환류; c) mCPBA, CH2Cl2; d) PdCh(dppf),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KOAc, DMSO, 80℃
반응식 2: 단계 2a
4-브로모-2-플루오로-6-(메틸티오)벤조산의 제조
Figure pct00009
응축기가 부착된 50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4-브로모-2,6-디플루오로벤조산 (16.0 g, 67.5mmol) 및 무수 THF (110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1.0 M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74mL, 1.1당량)를 적가하기 전에 얼음 배쓰에서 냉각시켰다. 반응 현탁액을 나트륨 티오메톡사이드 (5.21g, 74.2mmol)를 첨가하기 전에 2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되게 하였다. 희석된 HCl 수용액으로 반응 분취물을 켄칭하고, GCMS를 수행하여 반응이 완료되는 것을 측정하였다: 측정치 m/z = 265,267 모 이온.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H2O로 켄칭하고, EtOAc (200mL)로 희석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분별 깔때기로 옮기고, 1.0 N aq. HCl를 첨가하여 pH = 2-3 용액을 얻었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분리시키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14.6g (81% 수율)의 중간체 6-플루오로-4-브로모-2-메틸설파닐-벤조산을 왁시(waxy) 화이트 고형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18 (s, 1H), 7.12 (dd, J= 8 Hz, 1H), 2.49 (s, 3H); GCMS m/z = 265, 267 [M]+.
다르게는, 중간체 6-플루오로-4-브로모-2-메틸설파닐-벤조산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2OL 플라스크에 디메틸 포름아미드 (14.5 L, 10.0 vol)를 충전한 후, 수산화나트륨(293.7g, 1.2 eq)을 충전하고, 반응 물질을 -15 내지 -10℃로 냉각시켰다. 4-브로모-2,6-디플루오로벤조산 (1450g, 1.0당량)을 -15 내지 -10℃에서 10 내지 15분의 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추가로 10-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나트륨 티오메톡사이드 (514.6g, 1.2당량)를 5-10분의 시간 동안 -10 내지 -5℃에서 첨가하였다. 첨가 완료시 반응 온도를 45 내지 60분의 시간에 걸쳐 25-28℃로 상승시키고, 그 온도를 1.5-2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이후, 반응 온도를 30-60분의 시간에 걸쳐 60-65℃로 상승시키고, 반응물이 완료된 것으로 보일 때까지 5시간 동안 60-65℃에서 유지시켰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20-25℃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5-10℃) 2N HCl (30.3 L 물 중의 12N HCl 5.045L)의 용액으로 켄칭시켰다. 이러한 켄칭 후, 에틸 아세테이트 (14.5 L, 10 v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0-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을 분리시키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7.25 L, 5 vol)로 추출하였다. 두개의 상을 분리시키고, 합한 유기 층을 염수 용액(3.625 L 물 중의 725g의 NaCl)으로 세척하였다. 상을 분리시키고, 유기 층을 물(5.0 vol, 7.25 L)로 세척하였다. 상을 분리시키고,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1450g)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층을 여과하여 황산나트륨을 제거하고, 이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 (2.9 L, 2 vo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45-50℃/30-40mm Hg에서 감압 하에 ~1 내지 1.2 vol로 농축시키고, 석유 에테르 (7.25 L, 5 vol)를 40-45℃에서 15-20 분의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20-25℃에서 20-25 분의 시간에 걸쳐 냉각시켰다. 고형물을 여과하고, 석유 에테르 (2.9 L, 2.0 vol)로 세척하고, 생성물을 25-28℃, 0.4 내지 0.7 mbar에서 진공 하에 건조시켜 1410g (87%, 99.40 면적 %)의 중간체 6-플루오로-4-브로모-2-메틸설파닐-벤조산을 얻었다.
단계 2b
(4-브로모-2-플루오로-6-(메틸티오)페닐)메탄올의 제조
Figure pct00010
응축기가 부착된 N2 퍼어징된 50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6-플루오로-4-브로모-2-메틸설파닐-벤조산 (14.6g, 55.0mmol) 및 무수 THF (70mL)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THF 중 1.0 M BH3-THF (83mL, 1.5당량) 용액을 적가하기 전에 0℃로 냉각되게 하였다. 이후, 반응 용액을 추가의 2시간 동안 환류 하에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1:1 H2O/THF 용액으로 켄칭시키기 전에 냉각시켰다. 반응 용액을 EtOAc (100mL)와 함께 분별 깔때기에 옮기고, K2CO3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상을 분리시키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100 % Hx 내지 55% EtOAc의 용매 구배를 사용하는 11Og SiO2 컬럼을 통해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정제된 표제 생성물을 백색의 고형물 왁스로서 얻었다(13.7g, 99 % 수율). 1H NMR (400 MHz, CDCl3) δ 7.13 (s, 1H), 7.06 (dd, J1 = 8 Hz, J2 = 2 Hz, 1H), 4.77 (s, 2H), 2.51 (s, 3H), 2.20-2.05 (br s, 1H); GCMS m/z = 251, 253 [M]+.
다르게는, 중간체 (4-브로모-2-플루오로-6-(메틸티오)페닐)메탄올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20 L 플라스크에 질소 하에 4-브로모-2-플루오로-6-(메틸티오)벤조산 (1400g, 1.0 eq)을 충전한 후 THF (14 L, 10 vol)를 충전하였다. 이 용액에 보란-디메틸 설파이드 착물(802.41g, 1000mL)을 25-28℃에서 30-45분의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온도를 30-45분의 시간에 걸쳐 60-65℃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를 HPLC가 1 % 미만의 4-브로모-2-플루오로-6-(메틸티오)벤조산을 보일 때까지(~ 3-4 h) 유지시켰다. 반응 완료시 혼합물을 30-40분의 시간에 걸쳐 10-15℃로 냉각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1 내지 1½의 시간에 걸쳐 10-15℃에서 메탄올 (2.1 L, 1.5 vol)로 켄칭시켰다. 이후, 반응 물질을 40-50℃/0.4 내지 0.7 mbar에서 진공 하에 1 내지 1.5 vol로 농축시켰다. 형성된 혼합물을 DCM (8.4 L, 6 vol)에 용해시켰다. 유기 층을 염화암모늄 용액(2.8 L 물 중의 560g NH4Cl, 2 vol)으로 세척하였다. 상을 분리시키고, 유기 층을 10% NaHCO3 용액 (2.8 L, 2 vol), 포화된 염수 용액 (2.1 L, 1.5 vol) 및 물 (4.2 L, 3 vo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시키고, 황산나트륨(700g) 상에서 건조시켰다. 이 황산나트륨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DCM (2.8 L, 2 vo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40-45℃/0.4 내지 0.7 mbar에서 진공 하에 1 내지 1.2 vol로 농축시켜서 생성물을 얻었으며, 이를 45-50℃/0.4 내지 0.7 mbar에서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표제 생성물을 90.07 면적%와 함께 90% 수율 (1200g)로 얻었다.
단계 2c
(4-브로모-2-플루오로-6-(메탄설포닐)페닐)-메탄올의 제조
Figure pct00011
500mL 플라스크에 (4-브로모-2-플루오로-6-(메틸티오)페닐)메탄올 (13.7g, 54.6mmol) 및 무수 디클로로메탄 (125m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3-클로로퍼벤조산 (77% max., Aldrich) (18.8g, 2당량)을 적가하기 전에 얼음 배쓰에서 0-3℃로 냉각시켰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되게 하고, 이 온도를 18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이후, 반응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고, 잔류물을 분별 깔때기로 에틸 아세테이트 및 1 M aq. NaOH를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분리시키고, 1 M aq. NaOH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65 x 200 mm SiO2 컬럼, 100% 헥산 내지 90 %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 용리)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반결정 고형물로서 얻었다. 수율: 8.1g (52%). 1H NMR (400 MHz, DMSO-d6) δ 7.98 (dd, J= 8 Hz, 1H), 7.91 (s, 1H), 5.45 (t, J= 8 Hz , 1H), 4.88 (dd, J1 = 8 Hz, J2 = 2 Hz, 2H), 3.42 (s, 3H); 19F NMR (400 MHz, DMSO-d6) δ -111.8 ppm; GCMS m/z = 283, 285 [M]+.
단계 2d
(2-플루오로-6-(메틸설포닐)-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메탄올의 제조
Figure pct00012
무수 N2로 퍼어징된 10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4-브로모-2-플루오로-6-(메탄설포닐)페닐)-메탄올 (1.98g, 6.99mmol),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2.13g 1.2당량), 디클로로[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 (II) 디클로로메탄 부가물 (560mg, 10mol%), 탄산칼륨(2.06g, 3당량), 및 DMSO (25mL)을 칭량 도입하였다. 형성된 현탁액을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되게 하였다. 반응 용액의 분취물은 LCMS 분석에 의해 측정하여 더 이상 출발 브로마이드를 함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각된 반응 현탁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50mL) 및 물 (50mL)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패드가 있는 뷰흐너 깔때기(Celite padded Buchner Funnel)를 통해 여과하였다. 형성된 여액을 분별 깔때기에 옮기고, 유기 상을 분리시켰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I, 4Og SiO2 컬럼, 100% 헥산 내지 60 %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 용리)에 의해 정제하여 등명한 점성 오일을 얻었다. 생성물을 디클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헥산 첨가시 일어난 재침전에 의해 무정형 백색 분체로서 분리시켰다. 표제 화합물이 백색의 고형 분말로 분리되었다. 수율: 1.9g (82 % 수율). 1H NMR (400 MHz, CDCl3) δ 8.28 (s, 1H), 7.79 (d, J= 8 Hz, 1H), 5.03 (d, J = 8 Hz, 2H), 3.23 (s, 3H) 3.05 (t, J= 8 Hz, 1H), 1.35 (s, 6H); 19F NMR (400 MHz, CDCl3) δ-116.3 ppm.
다르게는, 중간체 (2-플루오로-6-(메틸설포닐)-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메탄올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교반 막대, 온도 프로브, 환류 응축기 및 질소 유입구가 구비된 500mL 재킷 반응기에 메틸 테트라히드로란(MeTHF) (75mL, 5 vol)을 충전한 후, 포타슘 아세테이트 (5.2g, 52.98mmol, 1당량) 및 (옥시디-2,1-페닐렌)비스(디페닐포스핀) (322mg; 597.3mmol, 0.01125당량) 및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란 (17.51g, 68.95mmol, 1.3당량)을 충전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150 Torr 미만으로 소기시킨 후, 다시 질소를 충전시켰다. 이러한 탈기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Pd(OAc)2 (94.2mg; 419.6mmol, 0.0075당량)을 반응기에 충전하고, 반응 플라스크를 150 Torr 미만으로 소기시킨 후, 다시 질소를 충전시키고, 이 순서를 3회 반복하였다. 형성된 슬러리를 20-25℃에서 15분 동안 에이징되게 하였다. 15분 에이징 완료시, 슬러리를 80℃의 내부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기내 혼합물이 상기 온도로 가열될 때, 별개의 플라스크에 (4-브로모-2-플루오로-6-(메탄설포닐)페닐)-메탄올 (15.03g, 53.09mmol, 1당량)를 충전한 후, MeTHF (75ml, 5 vol)를 충전하였다. 형성된 용액을 사용 전 15분 이상 동안 질소 표면 하 버블링에 의해 탈기시켰다. 촉매 혼합물이 환류에 도달하면, MeTHF 중의 (4-브로모-2-플루오로-6-(메탄설포닐)페닐)-메탄올의 탈기된 용액을 한번에 반응에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기질 첨가 후 완료되기까지 ~20 시간이 소요된다. 완료 시(일반적으로 출발 물질의 <0.75 RAP), 반응물을 20-25℃로 냉각시켰다. 일단 RT에서 반응물을 MeTHF (75ml, 5 vol)로 희석하고, 15분 이상 동안 5 wt% NaCl 용액 (7.5 vol, 110ml)으로 세척하였다. 상을 분리시키고, 상부 생성물이 풍부한 MeTHF 스트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여 불용성 팔라듐 잔류물을 제거하였다. 셀라이트 케익을 MeTHF (75ml, 5 vol)로 세척하였다. 반응물을 작용성화된 실리카(30당량)로 처리하여 팔라듐 및 색상을 제거하였다. 슬러리를 60분 이상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실리카를 제거하였다. 사용된 실리카를 MeTHF (5 vol, 75ml)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물(5 vol, 75ml)로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5 vol (75ml)로 진공 (60-70 Torr, 배쓰 온도 30℃) 하에 증류시켰다. 5ml 표식에 도달되면, 증류를 중단하고, 헵탄(75ml, 5 vol)을 반응 용액에 적가하였다. ~35ml의 헵탄이 첨가된 후, 생성물은 용액으로부터 결정화되기 시작하였다. 첨가 완료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분리시키고, 습윤 케익을 MeTHF-헵탄(1:9) 용액 (2 x 75ml)으로 세척하고, 50℃에서 건조시켰다. 표제 생성물을 백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13.64g, 99.58면적% (78% 수율).
실시예 1
2-(1-(3-클로로-3'-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2-(2-(2-플루오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
Figure pct00013
실시예 1a
2-(2-플루오로페닐)-2-메틸프로판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014
무수 N2로 퍼어징된 추가의 깔때기가 부착된 500mL 3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2-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 (11.0g, 81.4mmol) 및 무수 THF (70mL)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THF 중의 1.0 M 포타슘 3차-부톡사이드 용액 (195mL, 2.4몰당량)을 적가하기 전에 -10℃로 냉각시켰다. 반응 용액을 아이오도메탄 (15.2mL, 244mmol)을 첨가하기 전에 20분 동안 -1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4시간 동안 실온으로 가온하면서 교반되게 하였다. 반응 용액을 NH4Cl 수용액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EtOAc (200mL)로 희석시켰다. 유기 상을 분배시키고, NH4Cl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100 % Hx 내지 50 % EtOAc의 용매 구배를 사용하는 Biotage SP-1 상의 240g SiO2 컬럼을 통해 크로마토그래피하여 10.1g(76% 수율)의 표제 생성물을 얻었다. GCMS m/z = 163 [M]+.
실시예 1b
N-(4-브로모페닐)-2-(2-플루오로페닐)-2-메틸프로판이미다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15
부가 깔대기가 부착된, 오븐 건조되고, N2 퍼어징된 2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4-브로모아닐린 (7.31g, 42.5mmol) 및 무수 톨루엔 (40mL)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에, 0℃에서 2.0 M Me3Al (32mL, 1.5몰당량)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톨루엔 (25mL) 중의 2-(2-플루오로페닐)-2-메틸프로판니트릴 (7.62g, 46.7mmol) 용액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90℃에서 5시간 동안 교반되게 하였다. 냉각된 반응 용액을 소듐 포타슘 타르트레이트 용액으로 켄칭시켰다. 20분 방치 후, 유기 상을 분배시키고, 소듐 포타슘 타르트레이트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용액을 1N HCl 수용액(100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HCl 수용액을 1N NaOH 수용액을 첨가하여 중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 (200mL x 2)로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 생성물 용액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5.5g, 39 % 수율)을 얻었다. GCMS m/z = 334, 336 [M]+.
실시예 1c
에틸 1-(4-브로모페닐)-2-(2-(2-플루오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16
응축기가 부착된 2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N-(4-브로모페닐)-2-(2-플루오로페닐)-2-메틸프로판이미다미드 (5.0g, 15mmol), 무수 THF (80mL), NaHCO3 (2.52g, 30mmol), 및 90% 에틸 브로모피루베이트 (1.90mL, 15.1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LCMS로 분석하기 전에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따라내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톨루엔 (65mL) 및 아세트산(1.8mL)에 취해지게 하였다. 용액을 1시간 동안 환류 하에 교반하였다. 냉각된 용액을 H2O (150mL x 3)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100 % Hx 내지 70 % EtOAc 구배를 사용하여 SiO2 컬럼을 통해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된 표제 화합물(4.3g, 67 % 수율)을 얻었다. LCMS (ES) : m/z = 431.3, 433.3 [M+H]+.
실시예 1d
2-(1-(4-브로모페닐)-2-(2-(2-플루오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의 제조
Figure pct00017
추가의 깔때기가 부착되어 있고, 무수 N2로 퍼어징된 2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Et2O 중의 3.0M MeMgBr (12mL, 3.7당량) 용액을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무수 디클로로메탄 (80mL) 용액 중의 에틸 1-(4-브로모페닐)-2-(2-(2-플루오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카르복실레이트 (4.22g, 9.78mmol)를 적하기 전에 0℃로 냉각시켰다. 반응 용액을 1시간 동안 실온으로 가온하면서 교반되게 하였다. 반응 용액을 NH4Cl 수용액을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분별 깔대기에 붓고, 디클로로메탄 층을 분배시키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100 % Hx 내지 70 % EtOAc의 구배를 사용하는 40g SiO2 컬럼을 통해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 (3.19g, 78 % 수율)을 얻었다. LCMS (ES): m/z = 417.3, 419.3 [M+H]+.
실시예 1
2-(1-(3'-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2-(2-(2-플루오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의 제조
Figure pct00018
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2-(1-(4-브로모페닐)-2-(2-(2-플루오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 (380mg, 911mmol), DME (25mL) 및 H2O (6m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2-플루오로-6-(메틸설포닐)-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메탄올 (360mg, 1.09mmol), 탄산칼륨(380mg, 2.73mmol), 및 디클로로[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 (II) 디클로로메탄 부가물 (74mg, 91mmol)을 첨가하기 전에 10분 동안 N2로 살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게 하였다. 냉각된 반응 용액을 EtOAc (30mL)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패드가 있는 뷰흐너 깔대기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NH4Cl 수용액(150mL x 2)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I, 25g SiO2 컬럼, 5 % EtOAc 내지 100 % EtOAc의 구배 용리)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0mg, 20 % 수율)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8.02 (d, J = 2 Hz, 1H), 7.51 (dd, J1 = 2 Hz, J2 = 10 Hz, 1H), 7.29 (d, J= 9 2H), 7.08-7.16 (mult, 1H), 6.85-6.92 (mult, 3H), 6.77-6.84 (mult, 2H), 6.65 (s, 1H), 5.09 (d, J= 6 Hz, 2H), 3.35 (s, 1H), 3.30 (2, 3H), 3.02 (t, J= 6 Hz, 1H), 1.72 (s, 6H), 1.62 (s, 6H); 19F NMR (400 MHz, CDCl3) δ -112.1, -113.5 ppm; LCMS (ES) m/z = 541.3 [M+H]+, 563.2 [M+Na]+.
실시예 2-8
하기 모든 화합물을 적합한 아닐린 및 2-(페닐)-2-메틸프로판니트릴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구입가능하지 않는 경우, 니트릴을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화합물 2는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2 (s, 1H), 7.56 - 7.49 (m, 1H), 7.35 (d, J= 2.0, 1H), 7.12 - 6.96 (m, 3H), 6.68 (d, J= 8.2, 1H), 6.66 - 6.60 (m, 1H), 6.56 (s, 1H), 5.08 (d, J= 5.4, 2H), 3.36 (s, 1H), 3.29 (s, 3H), 2.92 (t, J= 7.0, 1H), 2.07 (s, 3H), 1.97 (d, J= 2.4, 3H), 1.72 (d, J= 7.4, 3H), 1.59 (s, 6H).
화합물 3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0 (m, 1H), 7.57 (d, J= 2.1, 1H), 7.55 - 7.49 (m, 1H), 7.13 (s, 1H), 7.11 (s, 1H), 7.07 (dd, J= 8.3, 2.1, 1H), 7.01 - 6.95 (m, 1H), 6.81 (d, J= 8.3, 1H), 6.59 (s, 1H), 5.09 (d, J = 5.4, 2H), 3.30 (s, 3H), 3.26 (m, 1H), 2.89 (t, J= 7.0, 1H), 2.06 (s, 3H), 1.92 (s, 3H), 1.61 (s, 3H), 1.59 (s, 3H).
화합물 4는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7 (s, 1H), 7.47 (dd, J= 10.0, 1.8, 1H), 7.31 - 7.20 (m, 2H), 7.00 (d, J= 8.3, 2H), 6.92 - 6.71 (m, 3H), 6.65 (s, 1H), 5.08 (dd, J= 7.0, 1.6, 2H), 3.29 (s, 3H), 3.27 (s, 1H), 2.90 (t, J= 7.0, 1H), 1.82 (s, 6H), 1.60 (s, 6H).
화합물 5는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NMR (400 MHz, DMSO-d6) δ 7.89-7.90 (mult, 1H), 7.82-7.85 (mult, 1H), 7.52 (d, J= 8.6 Hz,2H), 7.16 (d, J = 8.6 Hz 2H), 7.07-7.09 (mult, 2H), 6.94-6.98 (mult, 1H), 6.80 (s, 1H), 5.55 (t, J= 5.2 Hz, 1H), 4.93-4.95 (mult, 2H), 4.65 (s, 1H), 3.45 (s, 3H), 1.96 (s, 6H), 1.45 (s, 6H).
화합물 6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7 (s, 1H), 7.46 (dd, J= 9.9, 1.8, 1H), 7.23 - 7.18 (m, 1H), 7.12 (dd, J= 10.3, 1.9, 1H), 6.97 (ddd, J= 23.4, 9.0, 4.0, 2H), 6.88 - 6.79 (m, 2H), 6.61 (s, 1H), 5.08 (d, J= 5.4, 2H), 3.30 (s, 3H), 3.27 - 3.23 (m, 1H), 2.92 (t, J= 6.9, 1H), 1.61 (s, 12H).
화합물 7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DMSO-d6, 400 MHz) δ 7.95-7.90 (m, 2H), 7.62 (dd, 1H, J= 11, 1.5 Hz), 7.33 (dd, 1H, J= 9.5, 1.5 Hz), 7.13-7.08 (m, 3H), 6.85 (s, 1H), 6.80-6.70 (m, 1H), 5.57 (t, 1H, J= 5.3 Hz), 4.95 (d, 2H, J= 4.3 Hz), 4.71 (s, 1H), 3.47 (s, 3H), 1.85 (s, 6H), 1.46 (s, 6H).
화합물 8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DMSO-d6, 400 MHz) δ 7.96-7.90 (m, 2H), 7.49 (dd, 1H, J= 11, 1.5 Hz), 7.34 (dd, 1H, J= 9.5, 1.5 Hz), 7.20-7.10 (m, 1H), 7.05-6.94 (m, 2H), 6.90-6.75 (m, 3H), 5.57 (t, 1H, J= 5.3 Hz), 4.94 (d, 2H, J = 4.3 Hz), 4.70 (s, 1H), 3.47 (s, 3H), 1.68 (s, 6H), 1.47 (s, 6H).
실시예 9
2-(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
Figure pct00021
실시예 9a
2-(2 ,6-디클로로페닐)-2-메틸프로판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022
포타슘 3차-부톡사이드(403mL, 403mmol) 1 M 용액에 -66℃(아세톤/드라이 아이스)에서 무수 THF (150mL) 중의 2-(2,6-디클로로페닐)아세토니트릴 (25.0g, 134mmo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6℃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아이오도메탄 (33.6mL, 538mmol)을 25분에 걸쳐 -66℃에서 적가하였다. 이 단계에서, 발열이 있었으며, 다량의 연황색 침전물이 관찰되었다. 현탁액을 -60℃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0mL 빙수로 켄칭시키고, 에테르 (3 x 150mL)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질을 합하고, 150mL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회전 증발기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 (30g, 황색 오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ISCO, 330g 실리카, 헥산 중의 2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2,6-디클로로페닐)-2-메틸프로판니트릴 (28.2g, 132mmol, 98% 수율)을 연황색 빛깔의 오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400 MHz) δ 7.35 (d, 2H, J = 8.03 Hz ), 7.16 (t, 1H, J= 8.0 Hz), 2.09 (s, 6H); 13C-NMR (CDCl3, 126 MHz) δ 134.6, 133.8, 131.4, 129.0, 124.1, 38.6, 29.2; MS m/e 214.10 (M+H+); HPLC (XBridge 5μ C18 4.6x50 mm, 4m/min, 용매 A: 10 % MeOH/0.2 % H3PO4을 함유하는 물, 용매 B: 90 % MeOH/0.2 % H3PO4을 함유하는 물, 4분에 걸쳐 0-100 % B 구배): 3.16 분.
실시예 9b
N-(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6-디클로로페닐)-2-메틸프로판이미다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23
2-(2,6-디클로로페닐)-2-메틸프로판니트릴 (20g, 93mmol) 및 4-브로모-2-플루오로아닐린 (28.4g, 149mmol)을 무수 o-자일렌 (200mL) 중에 용해시키고, N2 하에서 10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교반하면서 톨루엔 (140mL, 280mmol) 중의 트리메틸알루미늄 (2 M)을 2.5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분당 ~0.9mL).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5℃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포타슘 소듐 타르트레이트 (100mL 물 중 20g)로 매우 주의하여 켄칭시켰다(주의: 가스 및 열 형성). 반응 혼합물을 Celite 545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1N HCl (4 X 70mL)로 세척하였다. 수성 물질을 2N NaOH로 중화시키고, EtOAc (4 X 100mL)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질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회전 증발기로 농축시켜 24g의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미정제 생성물을 72mL의 MTBE 및 240mL의 헥산로 재결정화시켜 N-(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6-디클로로페닐)-2-메틸프로판이미다미드 (17.5g, 43.3mmol, 46.4% 수율)를 백색 고형물로서 얻었다(순도: 99%). 1H-NMR (MeOD, 400 MHz) δ 7.42 (d, 2H, J= 8.0 Hz), 7.30 (m, 2H), 7.16 (t, 1H, J= 8.0 Hz), 6.93 (t, 1H, J= 8.0 Hz), 2.11 (s, 6H); 13C-NMR (DMSO-d6, 100 MHz) δ 166.5, 156.1, 153.7, 140.6, 138.5, 135.9, 131.4, 128.6, 128.0, 125.7, 119.5, 112.9, 50.0, 29.2; MS m/e 403.09 (M+H+); HPLC (XBridge 5μ C18 4.6x50 mm, 4mL/min, 용매 A: 10 % MeOH/0.2 % H3PO4을 함유하는 물, 용매 B: 90 % MeOH/0.2 % H3PO4을 함유하는 물, 4분에 걸쳐 0-100 % B로 구배): 2.32 분.
실시예 9c
에틸 1-(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4-히드록시-4,5-디히드로-1H-이미다졸-4-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24
톨루엔 (180mL) 및 THF (180mL) 중의 N-(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6-디클로로페닐)-2-메틸프로판이미다미드 (48.0g, 119mmol), K2CO3 (41.0g, 297mmol)의 혼합물에, 55℃에서 24mL의 THF 중의 에틸 3-브로모-2-옥소프로파노에이트(23.3mL, 166mmol) 용액을 50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5℃에서 1.5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백색 슬러리가 관찰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5℃로 냉각시켰다. HCl (0.5N, 450mL)을 적가하였다(종말점 pH = 9-10). 첨가 후, 현탁액을 0℃로 냉각시켰다. 고형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물 (2 x 50mL)로 세척한 후, 진공 오븐에서 밤새 60℃에서 건조시켰다. 에틸 1-(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4-히드록시-4,5-디히드로-1H-이미다졸-4-카르복실레이트 (59g, 114mmol, 96% 수율)을 백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400 MHz) δ 7.11 (m, 3H), 6.96 (m, 2H), 6.72 (t, 1H, J= 8.28 Hz), 4.35 (m, 2H), 4.25 (d, 1H, J= 10.5 Hz), 3.80 (d, 1H, J= 10.8 Hz), 1.98 (s, 3H), 1.93 (s, 3H), 1.38 (t, 3H, J= 7.03 Hz); 13C-NMR (CDCl3, 126 MHz) δ 173.0, 171.5, 159.8, 157.8, 137.3, 135.7, 132.1, 131.1, 128.1, 127.4, 125.6, 122.2, 120.1, 93.5, 62.5, 45.5, 30.2, 14.0; MS m/e 517.05 (M+H+); HPLC (XBridge 5μ C18 4.6x50 mm, 4mL/min, 용매 A: 10 % MeOH/0.2 % H3PO4을 함유하는 물, 용매 B: 90 % MeOH/0.2 % H3PO4을 함유하는 물, 4분에 걸쳐 0-100 % B로 구배): 2.74 분.
실시예 9d
에틸 1-(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25
EtOH (200mL) 중의 에틸 1 -(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4-히드록시-4,5-디히드로-1H-이미다졸-4-카르복실레이트 (38g, 73mmol)의 혼합물에 TFA (25.0g, 220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95℃로 가열하였다. 2.5시간 후 HPLC 분석으로 1% 미만의 알코올 중간체가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물을 300mL의 CH2Cl2로 희석하고, 얼음 배쓰로 대략 5℃로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1N NaOH (120mL)로 중화시키고, 유기 층을 분리시켰다. 수성 층을 CH2Cl2 (2 x 10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회전 증발기에서 농축시켜 미정제 물질을 얻었다. EtOH (5mL/1g) 중에서 재결정화시켜 32g의 에틸 1-(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카르복실레이트를 오프-화이트(off-white) 고형물(86% 수율)로서 얻었다. 1H-NMR (DMSO-d6, 400 MHz) δ 7.92 (s, 1H), 7.16 (d, 1H, J= 8.0 Hz), 7.22 (m, 3H), 7.1 l(m, 1H), 7.04 (t, 1H, J= 12.0 Hz), 4.25 (q, 2H, J= 8.0 Hz), 1.94 (s, 6H), 1.27 (t, 3H, J= 8.0 Hz); MS m/e 502.68 (M+H+); HPLC (XBridge 5μ C18 4.6x50 mm, 4mL/min, 용매 A: 10 % MeOH/0.2 % H3PO4을 함유하는 물, 용매 B: 90 % MeOH/0.2 % H3PO4을 함유하는 물, 4분에 걸쳐 0-100 % B로 구배): 3.87 분.
실시예 9e
2-(1-(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의 제조
Figure pct00026
얼음/염 배쓰로 냉각된 (-15 내지 -17℃) THF 120ml 중의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60.0mL, 180mmol, 에테르 중 3M)의 혼합물에 65mL의 CH2Cl2 및 87mL의 THF 중의 에틸 1-(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카르복실레이트 (30g, 60mmol)의 용액을 45 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였다. 내부 온도를 0℃ 미만으로 조심스럽게 유지시켰다. 추가의 2 X 20mL의 CH2Cl2를 사용하여 잔류 물질에 대해 세척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온도를 교반하면서 1시간 동안 0℃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100mL의 CH2Cl2로 희석하고, 포화된 NH4C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형성된 혼합물을 CH2Cl2 (2 X 80mL)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질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회전 증발기로 농축시켜 2-(1-(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 (28.5g, 58.6mmol, 98% 수율)을 백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400 MHz) δ 7.13 (dd, 1H, J= 9.03, 2.01 Hz), 7.09 (s, 1H), 7.07 (s, 1H), 6.93 (m, 2H), 6.75 (t, 1H, J= 8.16 Hz ), 6.55 (s, 1H), 3.18 (s, 1H), 2.00 (s, 6H), 1.58 (s, 6H); 13C-NMR (CDCl3, 126 MHz) δ 158.1, 156.1, 154.5, 147.8, 139.3, 135.7, 131.3, 130.3, 127.8, 126.9, 122.7, 119.8, 115.1, 68.7, 44.8, 31.1, 29.9; MS m/e 485.05 (M+H+); HPLC (XBridge 5μ C18 4.6x50 mm, 4mL/min, 용매 A: 10 % MeOH/0.2 % H3PO4을 함유하는 물, 용매 B: 90 % MeOH/0.2 % H3PO4을 함유하는 물, 4분에 걸쳐 0-100 % B로 구배): 2.78 분.
실시예 9
2-(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의 제조
Figure pct00027
1L 삼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질소 하에 2-(1-(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 (12.0g, 24.7mmol), [2-플루오로-6-메탄설포닐-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메탄올 (9.78g, 29.6mmol), K2CO3 (10.2g, 74mmol), DME (120mL) 및 물 (12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로 가열한 후,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 (II) 클로라이드 착물(4.06g, 4.94mmol)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80℃로 가열하였다. 형성된 진한 색상의 혼합물을 얼음배쓰로 냉각시키고, 200mL의 CH2Cl2과 200mL의 물로 분배시켰다. 유기 층을 합하고, Na2SO4로 건조시켰다. 농축 후,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ISCO, 33Og 실리카, 헥산 중 0% 내지 10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2.79g의 미정제 생성물(85% 수율)을 연황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65℃에서 아세톤 (80mL)에 9.5g의 미정제 생성물을 용해시킴으로써 재결정화를 수행하였다. 형성된 용액을 5시간에 걸쳐 25℃로 서서히 냉각시킨 후, 추가 30분 동안 0℃로 냉각시켰다. 45℃에서 결정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고형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차가운 아세톤으로 헹구었다. 45℃에서 진공 하에 14시간 동안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4.9g의 순수한 생성물이 얻어졌다. 추가의 결정성 생성물을 회수하기 위해, 모액을 10mL로 농축시키고, 실리카 패드를 통과시켰다. EtOAc (100mL)를 사용하여 화합물을 용리시켰다. 여액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미정제 고형물을 얻었다. 미정제 고형물을 아세톤으로 재결정화시킨 후, 상기 절차를 수행하여 추가의 2.5g의 생성물을 얻었다. 재결정화 후 두 수득물을 합한 회수율은 78% 수율이었다. 1H-NMR (DMSO-d6, 400 MHz) δ 7.94 (m, 2H), 7.63 (dd, 1H, J= 11.29, 1.51 Hz), 7.34 (d, 1H, J= 9.54 Hz), 7.14 (m, 3H), 7.05 (m, 1H), 6.83 (s, 1H), 5.58 (t, 2H, J= 5.27 Hz), 4.96 (d, 2H, J= 4.27 Hz), 4.70(s, 1H), 3.46 (s, 3H), 1.96 (s, 6H), 1.45 (s, 6H); MS m/e 609.16 (M+H+); HPLC (XBridge 5μ C18 4.6x50 mm, 4mL/min, 용매 A: 10 % MeOH/0.2 % H3PO4을 함유하는 물, 용매 B: 90 % MeOH/0.2 % H3PO4을 함유하는 물, 4분에 걸쳐 0-100 % B로 구배): 2.56 분.
다르게는, 실시예 9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1L 삼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MeTHF", 6.9kg), 2-(1-(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 (1.994kg, 4.1mol) 및 (2-플루오로-6-(메틸설포닐)-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메탄올 (1.38kg, 4.19mol)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모든 고형물이 용해될 때까지 23℃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기간의 종결시, (옥시디-2,1-페닐렌)비스(디페닐포스핀) (0.022kg, 0.041mol) 및 Pd(OAc)2 (0.01kg, 0.045mol)을 표면 아래 라인(subsurface line)을 통해 슬러리로서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의 MeTHF (1.65kg)로 헹구었다. 형성된 혼합물을 80 Torr 미만으로 소기시키고, 질소로 다시충전시켰다. 이 과정은 두 번 더 반복하였다. 일련의 탈기가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15분 이상 동안 교반하자, 등명한 금색이 관찰되었다. 별도의 반응 용기에서, 물 (10.00kg) 중의 수산화칼륨(0.352kg) 용액을 제조하고, 이 용액을 사용 전에 15분 이상 동안 질소 가스로 살포시킴으로써 탈기시켰다. KOH 용액 (10.35kg)을 진공에 의해 상기 반응기로 옮겼다. 반응 온도는 20℃ 내지 29℃로 기지의 발열을 나타내었다. 첨가가 완료된 후, 형성된 이상 혼합물을 일련의 압력 스윙(swing)에 의해 탈기시켰다. 혼합물을 45-50℃로 가온시키고, 이때 2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였다. 이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HPLC로 분석하였으며, 이는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반응 혼합물을 23℃로 냉각시키고, 교반을 멈추었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분리되게 하고, 보다 낮은 소비된 KOH 스트림을 제거하였다. 생성물이 풍붕한 유기물질을 티오우레아 작용성화된 실리카 겔 (0.782kg) (Silicycle)의 컬럼을 통해 분당 ~0.1kg로 통과시켜 팔라듐을 제거하였다. 생성물이 풍부한 유기 상을 5% NaHCO3 용액 (5 vol)로 세척하고, 상을 분리시켰다. 유기 상을 물 (5 vol)로 세척하고, 유기 및 수성 상을 분리시켰다.
생성물이 풍부한 유기 상을 깨끗한 반응기로 폴리시(polish) 여과한 후, 진공 (80 Torr, Tjacket = 60℃) 하에 ~8 vol (~16 L)로 농축시켰다. 기재된 vol에 도달하면, 반응 혼합물을 25℃로 냉각되게 하였다. 기재된 온도에 도달하면, 반응 혼합물을 2-(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 (0.5%, 0.008kg)로 시딩(seeding)하였다. 형성된 슬러리를 25℃에서 약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시간이 종결시, 반응 혼합물을 진공 (150 Torr, Tjacket = 60℃) 하에 ~8 L로 농축시켰다. 기재된 vol에 도달되면,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IPAc, 13.90kg)를 90분의 기간 동안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반응 혼합물을 3시간의 기간 동안 25℃로 냉각시켰다. 기술된 온도가 되자마자,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약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기간의 종결시,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탈액시키고, 추가의 IPAc (10.4kg)로 세척하였다. 여과 케익을 무수 질소 스트림 하에서 필터 상에서의 흡입을 통해 건조시켜 백색 고형물을 얻었다. 백색 고형물을 건조기에 옮기어, 완전 진공 하에 50℃에서 건조시켜 2.03kg의 생성물(81% 수율, 99.40 AP, 98 wt%)을 얻었다.
실시예 10
2-(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13CD3)2]프로판-2-올
Figure pct00028
2-(1-(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일[(13CD3)2]프로판-2-올의 제조
Figure pct00029
오븐-건조된 마그네슘 (86mg, 3.52mmol) 및 무수 디에틸 에테르 (3.20mL)를 아르곤 하에서 오븐 건조된 25mL 14/20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옮겼다. [13CD3]-아이오도메탄 (467mg, 3.20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33℃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그나르드 시약(Grignard reagent)이 형성되는, 시각적 징후가 나타났다(등명한 현탁액이 거품 및 발열과 함께 혼탁한 혼합물로 변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아르곤 하에서 캐뉼라를 통해 무수 디클로로메탄 (2.60mL)중의 에틸 1-(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카르복실레이트 (400mg, 0.800mmol)의 차가운 용액(얼음/물 배쓰)으로 옮겼다. 그리그나르드 시약이 제조된 플라스크를 무수 에테르 (2 x 400㎕)로 헹구고, 캐뉼라를 통해 에틸 에스테르-함유 플라스크로 옮겼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되게 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 분석에 의해 0.3% 미만의 출발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물을 0℃로 냉각하고, 무수 디클로로메탄 (800㎕)로 희석하고,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8mL)을 서서히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두 층을 분리시키고,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 (3 x 4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443.5mg의 미정제 생성물을 백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상기 기술된 미정제 생성물을 유사한 반응으로부터 얻은 244.3mg (백색 고형물)과 합하였다. 합한 생성물을 헥산 중 10 내지 20% EtOAc 로 용리되는, 실리카 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Isco RediSep cartridge, 12g)에 의해 정제하였다. 30mL 분획을 수거하였다. 분획을 TLC (실리카, 50% EtOAc, 50% 헥산, Rf = 0.41) 및 HPLC로 조사하였다. 순수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531.2mg의 생성물을 백색 고형물로서 얻었다(90% 수율): 1H-NMR (400 MHz, CD3OD) δ ppm: 6.47-7.58(m, 7H), 2.01(br s, 6H). HPLC: (YMC ODS-AQ, 3μM, 150 x 4.6 mm, 이동상 A = H2O 중 0.05% TFA, 이동상 B = ACN 중 0.05% TFA, 0 min 50% B, 9 min 95% B, 15 min 95% B, 15.5 min 50%B. 유속 = 1ml /min) Tr= 9.23 min (220 nm에서, 화학적 순도 = 98.8%), LCMS (+ 이온) m/z = 487(0%), 493(59%), 495(100%), 497(47%), 498(8%).
2-(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13CD3)2]프로판-2-올의 제조
Figure pct00030
25mL 14/20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이미 아르곤으로 살포된, 2-(1-(4-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일)[(13CD3)2]프로판-2-올 (0.283g, 0.572mmol), (2-플루오로-6-(메틸설포닐)-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메탄올 (0.227g, 0.686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착물(0.094g, 0.114mmol), 탄산칼륨(0.237g, 1.716mmol), DME (4.30ml) 및 물 (0.215ml)을 아르곤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80℃로 가열하였다. HPLC 및 LCMS 분석에 의해 출발 물질이 소비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 배쓰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 (10mL)과 물 (10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 (3 x 1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643.6mg을 진한 반고형물로서 얻었다.
상술된 바와 같이, 2-(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13CD3)2]프로판-2-올의 제조를 위해 유사한 반응을 완료하고, 462.3mg의 진한 고형물을 얻었다. 두 실험으로부터의 미정제 생성물을 합하고,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 예비-흡수시킨 후 실리카 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Isco RediSep cartridge, 80g)에 의해 정제하였다. 플래시 컬럼을 헥산 중 25 - 50% EtOAc로 용리시켰다. 30mL 분획을 수거하였다. 분획을 TLC (실리카, 50% EtOAc, 50% 헥산, Rf = 0.09) 및 HPLC로 조사한 후, 순수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468.3mg의 2-(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13CD3)2]프로판-2-올을 황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이 물질을 65℃에서 아세톤 (4mL) 중에서 재결정화시켜 추가로 정제하고, 5시간에 걸쳐 25℃로 서서히 냉각시킨 후(40℃에서 결정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음), 추가 30분 동안 0℃로 냉각시켰다. 고형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차가운 아세톤으로 헹구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66.2mg의 표제 화합물을 오프-화이트 고형물로서 얻었다.
상기 첫번째 재결정화로부터의 모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상기 기술된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최소량의 아세톤 (1mL)으로부터 재결화시켜 제 2 수득물의 276.4mg의 결정성 생성물을 오프-화이트 고형물로서 얻었다.
상기 두번째 재결정화로부터의 모액을 농축시키고,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Tr = 15.0 min (Prep HPLC 조건: Synergi Hydro-RP 컬럼, 4 μ, 80Å, 21.2 x 250 mm, 이동상 A = H2O, 이동상 B = ACN, 0 min 30% B, 25 min 100% B. 유속 = 16.0ml/min. 220 nm에서 UV)
3가지 정제된 분리물을 합하여 401.1mg의 2-(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13CD3)2]프로판-2-올을 담황색 고형물로서 얻었다(64% 수율). 1H-NMR (400 MHz, DMSO-d6)) δ ppm: 7.86-7.96(m, 2H), 7.62 (dd, J=I 1.33 Hz, 2.01 Hz, 1H), 7.33(dd, J=8.31 Hz, 1.76 Hz, 1H), 7.09-7.19(m, 3H), 6.99- 7.09(m, 1H), 6.81(s, 1H), 5.53-5.62(m, 1H), 4.89-4.99(m, 2H), 4.67(t, J=3.15 Hz, 1H), 3.45 (s, 3H), 2.08 (잔류 아세톤, 8mol%), 1.95(s, 6H). 13C-NMR (400 MHz, d6-DMSO) 29.61(t, J=109.88 Hz)
HPLC: (YMC ODS-AQ, 3μM, 150 x 4.6 mm, 이동상 A = H2O 중 0.05% TFA, 이동상 B = ACN 중 0.05% TFA, 0 min 50% B, 9 min 95% B, 15 min 95% B, 15.5 min 50% B. 유속 = 1ml /min) Tr= 9.66 min (220 nm에서, 화학적 순도 = 99.8%). LCMS (+ 이온) m/z = 609(0%), 617(100%), 618(31%), 619(74%), 620(22%), 621(16%), 622(4.3%), 623(1.3%).
실시예 11-20
출발 물질로서 2-(페닐)-2-메틸프로판니트릴 대신에 여러가지 페닐 아세토니트릴 시약을 대체함으로써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하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실시예 21
화합물 21에 대한 실시예
Figure pct00035
1L 플라스크에 25.0g (134mmol)의 2,6-디클로로페닐아세토니트릴 및 250mL의 무수 THF를 칭량 도입하였다. 형성된 용액을 -70℃로 냉각시키고, THF 중의 134mL의 1.0 M 포타슘 3차-부톡사이드 (1.0 M)를 첨가한 후, 8.4mL의 아이오도메탄 (1.0 eq)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3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되게 하였다. 반응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THF를 제거한 후, 분별 깔때기로 에틸 아세테이트 및 1 M HCl를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분리시키고, 바이설파이트,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Na2SO4),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300g SiO2, 1시간에 걸쳐 100% 헥산 내지 1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 용리)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요망하는 생성물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 99% 순수(GC에 의해), 수율: 12.2g (45%). 1H NMR (CDCl3, 400 MHz) δ 7.36(d, J= 8 Hz, 2H), 7.22(t, J= 8 Hz, 1H), 4.84(q, J= 7 Hz, 1H), 1.07(d, J= 7 Hz, 3H).
출발 물질로서 적합한 아닐린 및 2-(페닐)프로판니트릴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21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36
화합물 11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0 (d, J= 1.2, 1H), 7.59 (dd, J= 9.9, 1.8, 1H), 7.47 - 7.37 (m, 2H), 7.24 (dd, J = 5.3,3.2, 2H), 7.13 (dd, J= 8.3, 2.1, 1H), 7.05 (d, J= 8.4, 1H), 6.89 (s, 1H), 5.10 (d, J= 4.4, 2H), 4.09 (s, 2H), 3.30 (s, 3H), 3.25 (d, J= 17.4, 1H), 2.86 (s, 1H), 1.63 (s, 6H).
화합물 12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DMSO) δ 8.06 (d, J= 8.7, 2H), 7.99 - 7.86 (m, 1H), 7.70 (d, J= 8.3, 1H), 7.58 (m, 3H), 7.40 (t, J= 7.6, 1H), 7.21 (d, J= 7.7, 1H), 7.13 (s, 1H), 5.57 (t, J= 5.3, 1H), 4.95 (d, J= 4.7, 2H), 4.81 (s, 1H), 4.13 (s, 2H), 3.45 (s, 3H), 1.46 (s, 6H).
화합물 13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0 (s, 1H), 7.71 (d, J= 2.0, 1H), 7.60 (dd, J= 9.9, 1.8, 1H), 7.49 (dd, J= 8.2, 2.1, 1H), 7.22 (d, J= 8.2, 1H), 7.12 (dd, J= 8.6, 6.1, 1H), 6.96 (dd, J= 8.5, 2.6, 1H), 6.89 - 6.78 (m, 2H), 5.10 (s, 2H), 4.05 (s, 2H), 3.31 (s, 3H), 3.00 (s, 1H), 2.77 (s, 1H), 1.63 (2, J= 5.5, 6H).
화합물 14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DMSO) δ 7.85 (t, J= 4.5, 2H), 7.70 (dd, J= 11.4, 1.8, 1H), 7.50 (dd, J= 8.3, 1.7, 1H), 7.35 (t, J= 8.2, 1H), 7.09 (dd, J= 8.8, 2.6, 1H), 7.03 - 6.80 (m, 3H), 5.35 (t, J= 5.3, 1H), 4.73 (d, J= 4.1, 2H), 4.56 (s, 1H), 3.80 (s, 2H), 3.38 (t, J= 6.4, 1H), 3.23 (s, 3H), 1.21 (s, 6H).
화합물 15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CDCl3) 5 8.11 (d, J= 1.2, 1H), 7.72 - 7.53 (m, 3H), 7.28 (dd, J= 18.0, 4.9, 5H), 7.15 (dd, J = 8.3, 2.1, 1H), 7.05 (d, J= 8.4, 1H), 6.96 (s, 1H), 5.09 (s, 2H), 4.12 (s, 2H), 3.30(s, 3H), 3.28 (s, 1H), 2.93 (s, 1H), 1.64 (s, 6H).
화합물 16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9 (s, 1H), 7.60 (dd, J= 9.9, 1.8, 1H), 7.39 (m, 2H), 7.23 (t, J= 8, 1H), 7.18 - 7.06 (m, 2H), 7.00 (m, 1H), 6.89 - 6.81 (m, 2H), 5.10 (dd, J= 7.0, 1.6, 2H), 4.06 (s, 2H), 3.30 (s, 3H), 2.92 (t, J= 7.0, 1H), 2.70 (s, 1H), 1.64 (s, 6H).
화합물 17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0 (s, 1H), 7.64 - 7.55 (m, 3H), 7.25 (m, 2H), 7.16 - 7.00 (m, 3H), 6.92 (s, 1H), 6.81 (d, J= 7.5, 1H), 5.08 (dd, J= 7.1, 1.7, 2H), 4.02 (s, 2H), 3.28 (s, 3H), 2.90 (t, J= 7.1, 1H), 2.76 (s, 1H), 2.16 (d, J= 8.6, 3H), 1.64 (s, 6H).
화합물 18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2 (s, 1H), 7.70 - 7.59 (m, 3H), 7.45 (d, J= 8.4, 2H), 7.24 (d, J= 8.0, 2H), 7.16 - 7.07 (m, 1H), 6.85 (s, 1H), 5.10 (d, J= 5.6, 2H), 4.31 (s, 2H), 3.30 (s, 3H), 3.07 (s, 1H), 2.94 (t, J= 7.0, 1H), 1.55 (s, 6H).
화합물 19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1 (d, J= 1.1, 1H), 7.62 (ddd, J= 12.0, 8.4, 1.8, 3H), 7.28-7.26 (m, 3H), 6.97 (s, 1H), 6.93 - 6.76 (m, 2H), 5.09 (s, 2H), 4.14 (s, 2H), 3.29 (br s, 4H), 2.91 (s, 1H), 1.65 (s, 6H).
화합물 20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8 (d, J= 1.1, 1H), 7.57 (dd, J= 9.9, 1.8, 1H), 7.38 (ddd, J= 10.3, 9.2, 2.0, 2H), 7.23 - 7.17 (m, 2H), 7.18 - 7.01 (m, 3H), 6.89 (d, J= 0.7, 1H), 5.09 (s, 2H), 4.14 (s, 2H), 3.37 (s, 1H), 3.30 (s, 3H), 2.92 (s, 1H), 1.64 (s, 6H).
화합물 21은 하기 NMR 특징을 갖는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7 (s, 1H), 7.47 (dd, J= 9.8, 1.6, 1H), 7.18 (d, J= 10.6, 1H), 7.12 - 7.04 (m, 2H), 6.96 (d, J= 7.9, 2H), 6.90 - 6.81 (m, 1H), 6.79 (s, 1H), 5.13 (s, 2H), 4.94 (q, J= 7.0, 1H), 3.82 (s, 1H), 3.39 (d, J= 24.5, 1H), 3.36 (s, 3H), 1.81 (d, J= 7.1, 3H), 1.63 (s, 6H).
표준 생리학, 약학 및 생화학 절차가 LXR(LXRα 및 LXRβ)의 활성을 조절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지닌 화합물을 확인하기 위해 화합물을 시험하는데 활용가능하다. 그러한 검정법은, 예를 들어, 결합 검정, 형광 편광 검정(fluorescence polarization assays), FRET 기반 공동활성자(coactivator) 모집 검정(일반적으로, 하기 문헌 참조: Glickman et al, J. Biomolecular Screening (2002), Vol. 7, No. 1, pp. 3-10)과 같은 생화학 검정 뿐만 아니라, 코-트랜스펙션 검정을 포함하는 세포 기반 검정, LBD-Gal 4 키메라의 사용 및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검정(참조: Lehmann. et al., J. Biol Chem. (1997), Vol.272, No. 6, pp. 3137-3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PCT 공개 번호 WO 2007/002563에 기술된 것들과 같은 당해 이미 개시되어 있는 화합물에 비해 예상치 못한 이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기재되는 것과 같은 검정에서 사람 전혈에서 증가된 효능을 갖는 바람직한 부분 LXR 효능제 특징과 낮은 LXRα 효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사람 간 마이크로좀 검정에서 대사 안정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화합물은 본원에서 논의되는 하나 이상의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 억제 또는 경감에 더욱 유용하다.
실시예 A
섬광근접측정법( Scintillation proximity assay : SPA )
SPA 측정법은 3H-24,25-에폭시콜레스테롤이 LXRα-RXRα 또는 LXRβ-RXRα에 결합하여 생성되는 방사능 시그널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법은, 수용체에의 결합이 표지된 리간드를 비드(bead)에 가까이 접근시킬 때, 표지로부터의 에너지가 섬광물질를 자극하여 빛을 방출되게 하는, 그러한 섬광물질을 포함하는 SPA 비즈(beads)의 사용에 기초하고 있다. 빛은 표준 마이크로플레이트 섬광 판독기(standard microplate scintillation reader)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리간드가 수용체에 결합하는 능력은 화합물이 수용체에 대한 알려진 친화도를 가진 방사성동위원소로 표지된 리간드와 경합할 수 있는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요구되는 물질:
1. 표지: 3H-24,25-에폭시-콜레스테롤(NEN Life Science Products/Perkin Elemer)
2. LXRα 용해물질: 미정제 용해물질로 생성된 6-HIS 태그를 지니면서, LXRα/RXR 헤테로다이머를 발현하는 배큘로바이러스(Baculovirus)
3. LXRβ 용해물질: 미정제 용해물질로 생성된 6-HIS 태그를 지니면서, LXRβ/RXR 헤테로다이머를 발현하는 배큘로바이러스
4. SPA 비즈: Ysi 코퍼(copper) 히스티딘-태그 SPA 비즈(Amersham)
5. 플레이트: 비결합 표면 96-웰 플레이트(Corning)
6. 단백질 용해 희석 완충액: (20mM 트리스-염산 pH 7.9, 500mM 염화나트륨, 5mM 이미다졸).
7. 2x SPA 완충액: (40mM K2HPO4/KH2PO4 pH7.3, 100mM NaCl, 0.05% 트윈(Tween) 20, 20% 글리세롤, 4mM EDTA)
8. 2x SPA 완충액 w/o EDTA: (40mM K2HPO4/KH2PO4 pH7.3, 100mM NaCl, 0.05% 트윈 20, 20% 글리세롤)
스톡 ( stock ) 용액
0.5 M K2HPO4/KH2PO4 pH 7.3
0.5 M EDTA pH 8.0
5 M NaCl
10% 트윈-20
글리세롤
단백질 용해물질의 제조
사람 RXRα(수탁번호 NM_002957), LXRα(수탁번호 U22662), LXRβ (수탁번호 U07132)에 대한 배큘로바이러스 발현 플라스미드를 표준 절차를 따라 적합한 전장 길이의 cDNA를 pBacPakhis1 벡터(Clontech, CA)로 클로닝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cDNA를 pBacPakhis1 벡터 폴리링커(polylinker)에 삽입하여 pBacPakhis1 내에 존재하는 N-말단 폴리-히스티딘 태그에 cDNA의 인프레임(in frame) 융합을 생성하였다. 정확한 클로닝은 제한효소 맵핑(restriction mapping) 및/또는 시퀀싱(sequencing)에 의해 확인되었다.
세포 용해물질은 1L 크기의 스피너 플라스크(spinner flask) 당 전체 부피 500㎖ 내에서 27℃로 대략 1.25x106/㎖의 밀도로 건강한 Sf9 곤충세포를 감염시켜 제조하고, 표준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LXRα 용해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곤충세포에 LXRα 발현 카세트를 M.O.I 2.0으로 코-트랜스펙션시키고, RXR 발현 카세트를 대략 M.O.I 1.0으로 코-트랜스펙션시켰다. LXRβ 용해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곤충세포에 LXRβ 발현 카세트를 M.O.I 대략 2.0으로 코-트랜스펙션시키고 RXR 발현 카세트를 M.O.I 대략 1.0으로 코-트랜스펙션시켰다. 두 경우에 있어서, 세포들을 회수하기 전에 일정하게 진탕시키면서 27℃에서 4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세포들은 원심분리로 회수하여 펠릿으로 제조하였다. 세포 펠릿을 얼음으로 냉각시켜 신선하게 제조된 2 vol의 추출 완충액에 재현탁시켰다(20mM 트리스 pH 8.0, 10mM 이미다졸, 400mM NaCl, 10㎖의 추출 완충액 당 하나의 프로테아제 반응 억제 테블릿(Roche Catalog No: 1836170)을 포함함).
80-90%의 세포 용해를 하기 위해서 다운서(Douncer)를 사용하여 얼음 위에서 느리게 균질화하였다. 균질물은 4℃에서 30분 동안 45,000rpm으로, 미리 냉각한 로터(rotor)(Ti50 또는 Ti70, 또는 동등물) 내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의 분취물을 건조된 얼음 위에서 냉동시키고, 양적 및 질적 조정을 할 때까지 -80℃로 냉동 보관하였다. 로트 일정성(lot consistency)를 확인하기 위해 용해 물질의 분취물을 SPA 측정법으로 시험하고, Ni-NTA 수지(Qiagen)을 사용하여 정제한 후 SDS-PAGE 분석법을 통하여 시험하였으며, 단백질 농축 및 발현 조절을 위해 조정한 다음 스크리닝 분석법에 사용하였다.
스크리닝 시약의 제조
[3H] 24,25 에폭시콜레스테롤(EC) 용액: 하나의 384-웰 플레이트(또는 400 웰)에 대하여, 200 nM의 최종 농도를 제조하기 위해 [3H] EC 21㎕(비활성도(specific activity) 76.5 Ci/mmol, 농도 3.2mCi/㎖)를 2x SPA 완충액 4.4㎖에 첨가하였다. 각각의 추가적인 384-웰 플레이트에 대하여, 추가의 [3H] EC 19.1㎕를 추가의 2xSPA 완충액 4.0㎖에 첨가하였다. 상기 웰 내의 [3H] EC의 최종 농도는 50 nM 이었다.
LXRα 용해물질(상기에서와 같이 제조됨)을 단백질 용해 희석 완충액으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LXRα 용해물질 1400㎕를 384-웰 플레이트(또는 200 웰) 대해 제조하고, 희석된 LXRα 용해물질 1120㎕를 각각의 추가 384-웰 플레이트 대해 제조하였다.
LXRβ 용해물질(상기에서와 같이 제조됨)을 단백질 용해 희석 완충액으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LXRβ 용해물질 1400㎕를 384-웰 플레이트(또는 200 웰)에 대해 제조하고, 희석된 LXRβ 용해물질 1120㎕를 각각의 추가의 384-웰 플레이트에 대해 제조하였다.
SPA 비드 용액: 384-웰 플레이트(또는 400 웰)에 대하여, 3.75㎖의 2x SPA 완충액 유중수(w/o) EDTA, 2.25㎖의 물, 및 1.5㎖의 Ysi 히스티딘-태그 SPA 비즈(회수하기 전에 웰을 저었다)를 함께 혼합하였다. 각각의 추가적인 384-웰 플레이트에 대하여, 추가의 3.5㎖의 2x SPA w/o EDTA, 2.1㎖의 H2O, 및 1.4㎖의 Ysi 히스티딘-태그 SPA 비즈를 함께 혼합하였다.
과정:
각각의 혼합물들을 적당히 희석하여 제조하고, 멀티웰 플레이트의 적당한 웰 내에 피펫을 이용하여 넣었다.
9.1㎕의 [3H] EC를 멀티웰 플레이트의 2-23 칸의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희석된 LXRα 용해물질 5㎕를 멀테웰 플레이트의 홀수 행에서의 세로 2-23의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희석된 LXRβ 용해물질 5㎕를 멀테웰 플레이트의 짝수 행에서의 2-23 칸의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SPA 비드 용액 17.5㎕를 멀티 웰 플레이트의 2-23 칸의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들을 클리어 실러(clear sealer)로 덮고, 주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터에 방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플레이트들을 프로그램 n ABASE 3H_384DPM를 사용하는 발광 플레이트 판독기(luminescent plate reader(MicroBeta, Walla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n ABASE 3H_384DPM을 위한 세팅은 다음과 같았다:
카운팅 모드: DPM;
샘플 타입: SPA;
파라룩스(ParaLux) Mode: 낮은 백그라운드;
카운트 타임: 30 sec.
LXRα 및 LXRβ에 대한 분석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결정된 Ki는 최소 두 개의 독립된 투여량 반응(dose response)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결합 친화도는 하기 식의 IC50을 결정하기 위해 한 지점에서의 경쟁 방식을 사용한 비선형 회귀분석으로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37
Ki는 하기의 쳉과 프루소프 방정식(Cheng and Prusoff equation)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Ki = IC50/(1 + [리간드의 농도]/리간드의 Kd)
이 분석에 대하여, 전형적으로 리간드의 농도는 50 nM이고, 수용체에 대한 EC의 Kd는 포화 결합으로 결정된 바와 같이 200 nM 이다.
이 분석법으로 테스트하였을 때,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LXRα 및/또는 LXRβ에 결합하는 능력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B
코- 트랜스펙션 ( Co - Transfection )
세포 기초 분석에서 LXR의 전사 활성(transcriptional activity)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화합물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코-트랜스펙션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분석법은 LXR이 RXR과 함께 이형이합체로 기능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상기 코-트랜스펙션 분석에 대하여, LXRα 및 LXRβ에 대한 발현 플라스미드는 LXR-RXR 이형이합체(LXRE; Willy, P. 외. 1995)로 결합하는 DNA 시퀀스의 한 카피를 포함하는 루시페라제 리포터 플라스미드(luciferase reporter plasmid)를 갖는 포유류 세포 내로 일시적 트랜스펙션을 통해 도입된다. LXR 효능제(LXR agonist)로 트랜스펙션된 세포의 처리는 LXR의 전사 활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LXR의 전사 활성은 루시페라제 활성에서의 증가로 측정된다. 유사하게, LXR 길항제(LXR antagonist) 활성은 LXR의 효능제 활성을 경쟁적으로 방해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결정하여 측정할 수 있다.
요구되는 물질
CV-1 아프리카 녹색 원숭이 신장 세포
전장 LXRα(pCMX-h LXRα), LXRβ(pCMX-hLXRβ), 리포터 플라스미드(LXREx1-Tk-루시페라제), 및 대조군(pCMX-갈락토시다제 발현 벡터)(Willey 외. Genes & Development 9 1033-1045 (1995))
FuGENE6(Roche)와 같은 트랜스펙션 시약
1x 세포 용해 완충액:
22.4 mM 트리신 pH 8.0
0.56 mM EGTA pH 8.0
5.6 mM MgSO4
0.6% 트리톤 X-100
5.6% 글리세롤
10x 루시페라제 기질 용액:
1O mM HEPES pH 6.5
2.75 mM D-루시페린
0.75 mM 코엔자임-A
3.7 mM ATP
96 mM DTT
스크리닝 시약의 제조
CV-1 세포는 트랜스펙션을 하는 날에 70∼80%의 컨플루언시(confluency)를 얻기 위해 상기 물질을 T-175 플라스크 또는 500 ㎠ 접시에 실험을 하기 전 24시간 동안 놓아 두었다. 트랜스펙션된 세포의 수는 스크린될 플레이트의 수에 의해 결정되었다. 각각의 384 웰 플레이트는 ~ 8000 세포를 요구한다. DNA 트랜스펙션 시약은 시약과 함께 제공되는 사용설명서에 따라 양이온 지질 트랜스펙션 시약 FuGENE6(Roche)와 요구되는 플라스미드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최적의 DNA 양은 트랜스펙션될 세포 라인 및 용기(vessel)의 크기에 따라 실험적으로 결정되었다. 각각의 T175cm2 플라스크에 대해, 총 20㎍의 DNA, 60㎕의 Fugene 6 및 1mL의 Opimem을 혼합하고, 첨가하였다. 이후, 스크리닝 셀(screening cell)을 제조하기 위해 세포를 37℃에서 최소한 5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루시페라제 분석 시약을, 사용하기 전에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10 x 루시페라제 기질 용액 1부;
1X 세포 용해 완충액 9부.
과정
10μM의 최종 화합물 농도 및 0.5% 이하의 DMSO를 얻기 위해 384 웰 플레이트의 웰 당 5㎕의 화합물을 투여하여 분석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배지를 스크리닝 셀로부터 제거하였고, 상기 셀을 트립신 처리후, 원심분리기로 셀을 회수하고, 개수를 세었으며, 약 45㎕의 부피에 위에서 제조한 384 웰 분석 플레이트 내의 웰 당 대략 8,000 셀의 밀도로 평판 배양하였다. 화합물 및 스크리닝 셀(전체 부피 내 50㎕) 모두를 포함하는 분석 플레이트를 37℃에서 20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화합물과 함께 인큐베이션한 후, 배지를 세포로부터 제거하고, 루시페라제 분석 완충액(30㎕/웰)을 첨가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2분 후, 분석 플레이트를 루미노미터(luminometer)(PE 온-보드 인젝터(on-board injectors)를 장착한 Biosystems Northstar 측정기, 또는 이에 상당하는 장비)로 판독하였다.
LXR/LXRE 코-트랜스펙션 분석은 효능에 대한 EC50/IC50 값 및 효능에 대한 퍼센트 활성 또는 억제를 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효능은 높은 대조군((N-(3-((4-플루오로페닐)-(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필)-2,2-디메틸프로피온아미드)) 또는 낮은 대조군(DMSO/비히클)에 대한 화합물의 활성을 규정한다. 용량 반응 곡선은 ½ LOG 유닛에 의해 다른 농도를 가진 10 포인트 커브로부터 생성된다. 각각의 포인트는 384 웰 플레이트로부터 데이터의 4 웰의 평균을 나타낸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의 데이터는 다음 방정식에 적용시키면, EC50 값을 구할 수 있다:
Y = Bottom + (Top-Bottom)/(1+10(( logEC50 -X)* HillSlope )).
따라서 EC50/IC50은 작용제 또는 길항제가 Top(최고값) 및 Bottom(기준선) 값 사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반응을 개시시키는 농도로 정의된다. 제시된 EC50/IC50 값은 최소 3개의 독립 실험의 평균값이다. 효능제에 대한 상대 효능 또는 퍼센트 컨트롤은 각각의 투약 반응 실험에서 개별적으로 측정된 ((N-(3-((4-플루오로페닐)-(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필)-2,2-디메틸프로피온아미드)에 의해 얻어진 최대 반응과의 비교로 결정된다.
길항제 분석에 관하여, LXR 효능제가 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해 384 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첨가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길항제에 대한 퍼센트 억제는 CDCA의 활성 억제를 측정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100% 억제는 특정 농도의 LXR 효능제의 활성이, DMSO만 존재시의 이 검정의 활성으로 정의되는, 기준선 수준으로 감소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상기 바로 앞에서 기술된 LXRα 분석으로 시험하였으며, 대조군 화합물의 25% 미만 또는 이와 같은 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상기 바로 앞에서 기술된 LXRβ 분석으로 시험하였으며, 대조군 화합물의 30% 초과 또는 이와 같은 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C
사람 전혈 검정
사람 전혈을 EDTA 함유 튜브로 수거하고, 0.5mL 분취액을 0.5% DMSO 중의 적합하게 희석된 일련의 시험 화합물과 96 웰 블록에서 즉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4시간 동안 일정하게 흔들어주면서 37℃에서 혈액과 함께 인큐베이션시켰다. 인큐베이션 후, 세포를 ABI 핵산 정제 용해 용액(ABI Nucleic Acid Purification Lysis Solution)(Applied Biosystems catalog # 4305895)에 용해시키고, -80℃에서 동결시켰다. 세포 용해 후, 총 RNA을 제조업자에 의해 제공된 프로토콜에 따라 ABI 6100 RNA prep 스테이션(station)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cDNA가 합성되었으며, mRNA를 ABI Prism 7900HT Sequence Detection System에서 SYBR-Green Quantitative PCR(Q-PCR) 및 Quanta Bioscience Inc로부터의 시약(Quanta Bioscience catalog # 95047 및 95055)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Figure pct00038
각각의 mRNA의 양을 △△CT 방법(Michael W. Pfaffl. A new mathematical model for relative quantification in real-time RT-PCR. Nucleic Acids Research, 2001, Vol. 29, No. 9 e45)에 의해 측정하고, 두개의 대조군 mRNA, 즉 리보좀 단백질 L-30 (1-30) 및 베타-2-마이크로글로불린(B2M)의 양을 표준화하였다. 시험 화합물에 의한 ABCA1 및 ABCG1의 유도율을 기준 화합물, 2-(4-(5-(5-시아노-1-(2,4-디플루오로벤질)-6-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6-디히드로피리딘-2-일)티오펜-2-일)-3-메틸페닐)아세트산의 %, 및 효능(EC50)으로 그래프를 작성하고, 활성(% MAX)을 식 y = A + ((B-A)/(l+((C/x)^D)))에 따라 XLFi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로그 변환된 화합물 농도에 따라 시그모이드 반응 곡선을 피팅(fitting)함으로써 산출하였다. 완전 LXRα 및 LXRβ pan 효능제 2-(4-(5-(5-시아노-1-(2,4-디플루오로벤질)-6-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l,6-디히드로피리딘-2-일)티오펜-2-일)-3-메틸페닐)아세트산, (EC50 1-2μM)을 기준 화합물로서 사용하였으며, 이의 최대 활성을 100%로서 규정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바로 앞에서 기재된 검정으로 시험하였으며, 일반적으로 1,000 n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n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nM 미만의 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D
사람 마이크로좀에서의 고효율(High Throughput: HT) 대사 안정성
대사 안정성 검정은 10분 인큐베이션 후 사람 간 마이크로좀을 사용하여 생체내 CYP-매개된 대사 안정성을 평가한다.
시험 화합물을 100% DMSO 중의 3.5mM 스톡 용액으로서 수용하였다. 화합물을 희석하여 1.4% DMSO를 함유하는 50μM 아세토니트릴 (ACN) 용액을 생성하고, 이후, 이를 사람 간 마이크로좀과 함게 인큐베이션하기 위한 10Ox 스톡으로서 사용하였다. 각각의 화합물을 2회 시험하였다. 화합물, NADPH 및 간 마이크로좀 용액을 인큐베이션하기 위해 3단계로 배합하였다:
1) 152㎕의 간 마이크로좀 현탁액(100mM NaPi 중의 1.1mg/ml의 단백질 농도, pH 7.4, 5mM MgCl2 완충액)을 37℃에서 예비가온시켰다.
2) 1.7㎕의 50μM 화합물 (98.6% ACN, 1.4% DMSO)을 동일한 투브에 첨가하고, 37℃에서 5 분 동안 예비인큐베이션시켰다.
3) 17㎕의 예비 가온된 10mM NADPH 용액(100mM NaPi 중, pH 7.4)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시켰다.
반응 성분들을 잘 혼합하고, 75㎕를 즉시 150㎕ 켄칭/정지(quench/stop) 용액 (제로-타임 포인트, T0)으로 옮겼다. 반응물을 37℃에서 1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추가의 75㎕ 분취물을 150㎕ 켄칭 용액으로 옮겼다. 100μM DMN (주입 품위 대조를 위한 UV 표준물)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을 켄칭 용액으로서 사용하여 대사 반응을 종결시켰다.
켄칭된 혼합물을 15분 동안 1500 rpm (-500 Xg)으로 Allegra X-12 원심분리기, SX4750 로터(Beckman Coulter Inc., Fullerton,CA)에서 펠릿 변성된 마이크로좀으로 원심분리하였다. 이후, 모화합물 및 이의 대사물질을 함유하는, 90㎕ 부피의 상액층 추출물을 UV-LC/MS-MS 분석을 위한 별도의 96웰 플레이트로 옮겨서 혼합물 중에 잔류하고 있는 모화합물의 %를 측정하였다.
UV - LC / MS - MS 샘플 분석 - 구조적 무결성 예비 분석
대사 안정성 구조적 무결성 예비 분석은 검정되는 화합물의 순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험 화합물을 57㎕의 3.5mM DMSO 용액으로서 96웰 플레이트에 수용하였다. 3.5mM 화합물 DMSO 스톡 용액을 동일 부피의 아세토니트릴, 이소프로판올, 및 MiIIiQ-H2O를 GKADGBK는 용액으로 18배 희석하였다. 형성된 용액 (200μM)을 Waters XBridge C 18(5μM, Waters Sentry 2.1 mm 가아드(guard) 컬럼을 지닌 2 x 50 mm 컬럼), 및 5㎕ 주입, 및 1ml/min의 유속과 함께 하기 표에 기재된 LC 조건을 사용하여, Thermo LCQ Deca XP Plus 이온 트랩 질량 스펙트로미터(ion trap mass spectrometer)에서 LC-UV/MS에 의해 구조적 무결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획득된 데이터는 220 nm에서의 흡광도에 의해 순도를 반영한다. 50% 초과의 순도를 갖는 화합물에 대한 결과만이 보고된다.
Figure pct00039
* 구조적 무결성 예비-분석을 위한 이동상: (A) 98% 물, 10mM 암모늄 아세테이트을 지닌 2% 아세토니트릴; (B) 10% 물, 10mM 암모늄 아세테이트를 지닌 90% 아세토니트릴
샘플 분석- 인큐베이션된 샘플
SRM 전이 및 이의 상응하는 충돌 에너지 값을 얻기 위해 자동화 주입에 의해 가열된 전기 분무(H-ESI) 소스가 구비된 Thermo TSQ Quantum 트리플-쿼드로폴 질량 분석기(triple-quadropole mass spectrometer)에서 MS/MS 조건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1:1 메탄올:물 중의 20μM 농도의 화합물 용액을 90㎕/min의 유속으로 주입한 후, 상기 소스에 도입하기 전에 50㎕/분 유속으로 이동상과 합하였다. 모든 화합물을 먼저 이동상 A 및 B (50% A 및 50% B)를 사용하여 최적화하고, 필요에 따라 이동상 C 및 D (또한, 50:50 조성을 지님)를 사용하여 최적화하였다. 극성, SRM 전이 및 충돌 에너지를 포함하는 최적화된 파라미터가 Microsoft Acces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다.
자동 주입으로부터 얻은 질량 분석 조건을 사용하여 대사 안정성 검정으로부터의 인큐베이션 샘플을 분석하였다. 주입 용량은 5㎕이었으며, 유속은 0.8ml/min이었다. 사용된 구배는 하기 표에 기재된다. 모든 샘플을 먼저 이동상 A 및 B를 사용하는 구배로 주입하였다. 필요에 따라(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적이유로), 샘플을 동일한 구배이나, 이동상 C 및 D를 사용하여 재주입하였다. 모든 LC-MS/MS 분석 파라미터를 로우 데이터 파일(raw data file)에서 전자적으로 캡쳐(capture)하였다.
Figure pct00040
* 반응 샘플 분석을 위한 이동상: (A) 98% 물, 0.1% 포름산을 지닌 2% 아세토니트릴; (B) 2% 물, 0.1% 포름산을 지닌 98% 아세토니트릴; (C) 수중 0.1% 수산화암모늄; (D) 아세토니트릴 중 0.1% 수산화암모늄
Xcalibur™ 소프트웨어로 피크 적분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샘플에 대해 T0분 샘플로부터의 LC-MS/MS 피크 면적으로부터 T10분 샘플로부터의 LC-MS/MS 피크 면적으로부터 비교함으로써 잔류 % 계산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상술된 검정으로 시험하였으며, 80% 초과의 모 화합물이 10분에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기 표 1은 LXRα EC50 및 효능을 측정하는 LXR/LXRE 코-트랜스펙션 검정, 기준 화합물에 비교하여 화합물이 LXR에 결합하고, ABCA1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사람 전혈 검정(hWBA), 및 마이크로좀 대사 안정성 검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EC50 값은 A가 ≤ 100 nM이고, B가 101 nM 내지 < l,000nM이고, C가 > 1,000 nM인 범위로 제시된다.
표 1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상기 대표적인 데이터는 PCT 공개 번호 WO 2007/002563와 같은 이전에 개시된 화합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사람 간 마이크로좀 검정에서의 예상치 못한 바람직한 부분적 LXR 효능제 특성, 사람 전혈에서의 증가된 효능, 낮은 LXRα 효율 및 대사 안정성을 보여준다.
실시예 E
필리핀 원숭이(Cynomolgus Monkey)의 생체내 효능 및 최대 ABCG1 유도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필리핀 원숭이에 경구 투여되는 경우 혈액 세포 중 LXR 타깃 유전자 ABCG1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mRNA 유도 능력에 대해 시험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분쇄에 의해 0.5%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CMC, Sigma) 및 2% Tween 80 (Sigma)으로 제형하였다. 각각의 처리 군은 3마리의 수컷 원숭이를 포함하였으며, 각각의 연구 개시 시에 3.0-6.0kg의 체중을 가졌다. 시험 화합물은 아침마다 비히클 중에 새롭게 제형하고, 전날 밤 단식한 동물에게 7시와 7시 30분 사이에 경구 위관영양(po gavage)에 의해 투여하였다. 바탕선 혈액 세포 mRNA 측정을 위해, 1ml의 정맥 혈관을 EDTA 건조-코팅된 튜브로 수거하고, 칼슘 또는 마그네슘이 없는 1 vol의 둘베코 인산염 완충 염수(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및 2 vol의 핵산 정제 용해 용액(Nucleic Acid Purification Lysis Solution)(Applied Biosystems, Inc.)을 첨가하였다. RNA 분리 및 분석 전에 샘플을 -80℃에서 동결시켰다. 시험 화합물을 바탕선 샘플 수집 후에 투여하였다. 투여 후 5시간 후에, 정맥 혈액을 수거하고, 상기와 같이 RNA 측정을 위해 처리하였다. 또한, 추가의 0.5ml의 혈액을 수거하고, 화합물 혈장 농도에 대해 측정하였다.
RNA 분리. 동결된 샘플을 실온에서 해동되게 한 후, 얼음 위에 두었다. 총 RNA를 제조업자의 지시(ABI Manual #4332809 Rev. B)에 따라 사전-로딩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ABI 6100으로 분리하였다.
cDNA 합성 및 Q-PCR 반응. Quanta Biosciences, Inc.로부터의 qScript cDNA Synthesis Kit를 사용하여 각각의 총 RNA 샘플로부터 제1-가닥 cDNA를 생성하였다. MJ Research, Inc. model PTC-200 DNA Engine 상의 96-웰 Eppendorf AG twin-tec PCR 플레이트에서 20㎕ 반응물을 PCR 수행하였다. 대략 500 ng의 총 RNA을 각 반응에 대해 사용하였다. 반응물은 하기와 같이 구성되었다: 4μl 5X q-Script 반응 믹스 플러스 3-5㎕ 누클레아제 비함유 물 플러스 1㎕ q-Script 역전사효소 플러스 10-12㎕ 도입 RNA. 혼합 후, 반응물을 실온에서 2분 동안 3750 rpm에서 원심분리시키고, "q-Script" 프로토콜(25℃ for 5 분, followed by 42℃ for 30 분, and then 85℃ for 5 분)을 MJ Research 써모싸이클러(thermocycler)에서 수행하였다. 각 반응물을 30㎕의 누클레아제 비함유 물로 희석하고, SYBR-그린 Q-PCR을 위해 즉시 사용하거나 -2O℃에서 저장하였다. SYBR-그린 Q-PCR 반응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LXR 타깃 유전자, ABCG1, 및 내부 표준 표준화 유전자 리보좀 단백질 L30에 대한 반응 혼합물을 전방향/역방향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ABCG1 (X-Mmul-ABCG1-Fl 및 X-Mmul-ABCG1-Rl); 리보좀 단백질 L30 (SYBR-hL30-Fl 및 SYBR-hL30-Rl)]. 이러한 프라이머 세트의 서열에 대한 정보는 L30 (Primer Bank # 450663IaI)에 대해 "Primer Bank" Web Site (http://pga.mgh.harvard.edu/primerbank/index.html)로부터, 그리고 ABCG1 (Mmul ABCG1.TaqMan Fl/Rl)에 대해서는 Exelixis, Inc. (South San Francisco, California, USA)로부터 입수하였다.
프라이머 서열
Mmul_ ABCG1.TaqMan.F1 5'-ACGCAGACAGCACTGGTGAA-S'
Mmul_ABCG1.TaqMan.R1 5'-CTTCCCTCCACCTGGAACCT-S'
hL30-F1 5'-GCTGGAGTCGATCAACTCTAGG-S'
hL30-R2 5'-CCAATTTCGCTTTGCCTTGTC-S'
SYBR-Green 반응물을 하기와 같이 구성하였다: 반응당, 10㎕ 2X PowerSYBR® Green Supermix (Applied Biosystems Catalog # 4367659) 플러스 2㎕의 10μM Gene Specific Forward/Reverse Primer Mix (프라이머의 최종 농도는 각각 500 nM 임) 플러스 4㎕ 물을 4㎕의 희석된 RT 반응물과 함께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분 동안 3750 rpm로 원심분리시키고, Applied Biosystems model 7900HT SDS-Taqman System을 작동시켰다.
상대적 mRNA 양의 산출, 및 생체내 화합물 효능 및 최대 활성. ABCG1 mRNA 의 상대적 양을 2차 도함수 비교 Ct 방법(second derivative comparative Ct method)(2-△△ Ct)를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리보좀 단백질 L30 mRNA에 대한 표준화 후에 정량화를 얻었다. 각각의 샘플을 2회 시험하고, 산출을 위해 평균 Ct를 사용하였다.
필리핀 원숭이에서의 화합물의 생체내 효능 산출. 투여 후 5시간 후에 각각의 개별 동물로부터 혈장 내 시험 화합물 농도를, 모든 투여 군에 대해 투여 후 5시간 후 각 동물에 대한 혈액 세포 중 ABCG1 mRNA의 바탕선 대 유도 배율(fold induction)에 대해 플로팅하였다. 모든 투여 군으로부터의 데이터는 각 화합물에 대해 동일한 플롯 상에 포함되었다. 각 화합물에 대한 생체내 효능(EC50) 및 ABCG1 mRNA의 최대 유도율을 시그모이드 투여 반응 식(Graphpad Prism 4.03 software)을 사용하여 비-선형 곡선 피팅에 의해 측정하였다.
LC/MS/MS에 의한 혈장 화합물 농도의 정량화. 하기는 필리핀 원숭이 혈장에서 시험 화합물을 정량화하는데 사용되는 탄뎀 질량 분석기(LC/MS/MS)-기반 생체시료분석 방법과 함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자세히 기술된다.
시험 화합물의 LC/MS/MS 분석은 1 내지 5000 nM 범위의 표준 곡선에 대해 수 행되었다. 표준 곡선을 부동 소수점(reciprocal squared)(1/x2) 가중 선형 회귀법으로 피팅하였다. 표준을 단일 복제물로 분석하였다. 품질 대조 샘플을 표준 곡선 범위 내 3가지 농도로 블랭크 생물학적 매트릭스로 제조하고, 각각의 분석 세트 내에서 복제물로서 분석하였다. 측정된 75% 초과의 QC 농도는 이의 공칭 값의 20% 내에 있었다.
샘플 제조를 Janus 8-tip 및 Janus Mini 96-tip 자동화 액체 핸들러(automated liquid handler)에서 수행하였다. 생체내 연구 및 표준/QC 샘플로부터의 생물학적 매트릭스(혈장)의 분취물(50㎕)을, 200nM의 두 개의 내부 표준물(IS)을 함유하는, pH 9.2 비조절된 수중 1M 탄산암모늄(50㎕)으로 처리한 후, 300μL의 메틸 t-부틸 에테르 (MTBE)로 처리하고, 대략 3분 동안 40회 필-익스펠 팁(fill-expel tip) 반복을 사용하여 액체-액체 추출(LLE)에 의해 분배하였다. 이후, 수성층 및 유기 층을 2분동안 3900 rpm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부 유기층 추출 용매 MTBE (250㎕)를 다른 깨끗한 96-웰 플레이트로 옮기고, 15분 동안 4O℃에서 질소 증발기에 두어 건조시켰다. 분취물(100㎕)을 1:1 아세토니트릴/물로 이루어진 이동상으로 건조 추출물을 재구성하는데 사용하였다. 10㎕ 분취물을 먼저 고성능 터보플로우(Turboflow)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TLC) 추출 컬럼 상에 주입한 후, LC/MS/MS-기반 분석을 위해 제 2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컬럼 상에서 용리하였다.
모든 분석을 위해 사용된 LC 시스템은 2 SCL-10AVP System Controllers (Columbia, MD, USA) 및 샘플을 분석 동안에 10℃로 유지시키는 냉각 스택(cooling stack)이 구비된 이중 아암 CTC Analytics HTS PAL 오토샘플러(Switzerland)와 함께 8 Shimadzu LClOAD 펌프로 구성된 Aria TX-2 (Thermo Scientific, Waltham, MA, USA) HPLC 시스템이었다. HPLC 온-라인 추출 컬럼은 실온에서 유지되는 Cyclone-P 혼합된 폴리머(0.5 x 50 mm, 50μM 입자, Thermo Scientific, Waltham, MA, USA)였다. 사용된 HPLC C18 분석 컬럼은 실온에서 유지되는 XBridge C18 (2.1 mm x 50 mm, 5μM 입자, Waters Corporation, Milford, MA, USA)이었다. 수중 0.1% 포름산 (A) 및 아세토니트릴 중 0.1% 포름산(B)으로 이루어진 이동상은 1.5mL/min의 유속으로 HTLC 온-라인 추출 컬럼에 전달되었고, 0.5mL/min의 유속으로 HPLC C18 분석 컬럼에 전달되었다. 이들 유속은 이동 단계 동안 0.5 내지 1.0 분 사이로 변한다. 시험 화합물 및 내부 표준물에 대한 머무름 시간을 기록하였다. 총 분석 시간은 5.0 분이었다. 구배는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HPLC C18 XBridge 분석 컬럼에 대한 이동상 구배
Figure pct00045
HTLC 온-라인 추출 사이클론-P 컬럼에 대한 이동상 구배
Figure pct00046
HPLC C18 XBridge 분석 컬럼에 대한 이동상 구배
Figure pct00047
모든 분석에 대해 사용된 질량 분석기는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이온화 모드로 작동하는 가열된 정전분사 인터페이스(electrospray interface)가 구비된 Finnigan Quantum Ultra 탄뎀 질량 분석기(Thermo Scientific, Waltham, MA, USA)였다. 초고순도 (UHP) 질소가 시스(sheath) 및 보조 가스로서, 시스에 대해 55 psi의 유속으로 보조 가스에 대해 25 유닛으로 사용되었다. 탈용매화 온도는 35O℃였고, 소스 온도는 35O℃였다. 각 분석물의 검출은 선택된 반응 모니터링(SRM)을 통해 달성되었다. 포지티브 이온화 모드를 사용하여 시험 화합물 및 내부 표준물을 정량화하였다. 1.5x10-3 torr의 압력에서 UHP 아르곤을 쿼드로폴 2의 충돌 셀에서 유지시켰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의 내부 표준물에 대해 모니터링된 변이를 기록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필리핀 원숭이에서의 생체내 효능, 및 투여 후 5시간 후에서의 mRNA 유도 배율 대 투여 후 5시간 후의 혈장 화합물 농도의 플롯으로부터 유도된 최대 ABCG1 유도율이 하기 표 2에 보여진다.
표 2
Figure pct00048
본 발명의 실시예 4 및 9는 필리핀 원숭이에 투여한 후 당해 공지된 화합물보다 약 4배 및 60배 효능이 있다. 유사하게, 실시예 4 및 9는 공지된 화합물에 대한 약 12배와 비교하여 최고 약 6배 및 9배로 혈액 중 ABCG1 mRNA을 유도하며, 따라서 필리핀 원숭이 혈액 중 부분적 LXR 활성을 입증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 구체예들은 예시의 목적으로만 기술된 것이고, 이러한 견지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단순한 변경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고려될 것이고, 본 출원 명세서의 사상과 범위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영역 내에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출원서는 모든 목적을 위한 인용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15)

  1.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49

    Figure pct00050
  2.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51
  3.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52
  4.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53
  5. 2-(1-(3-클로로-3'-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인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6. 2-(2-(2-(2-클로로-3-플루오로페닐)프로판-2-일)-1-(3'-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인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7. 2-(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3'-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인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8. 2-(2-(2-(2,6-디클로로페닐)프로판-2-일)-1-(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인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9. 2-{2-[1-(2,6-디클로로페닐)에틸]-1-[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5'-(메틸설포닐)바이페닐-4-일]-1H-이미다졸-4-일}프로판-2-올인 화합물, 이의 동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합물을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질병 또는 질환이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인슐린 내성, 골관절염(osteoarthritis), 뇌졸중, 고혈당증(hyperglycemia),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건선(psoriasis), 연령 및 UV 노출 의존성 피부 주름형성, 당뇨, 암, 알츠하이머병, 염증, 면역학적 장애(immunological disorders), 지질 장애(lipid disorders), 비만, 황반 변성, 교란된 표피 장벽 기능이 특징인 상태, 표피 또는 점막의 방해된 분화 또는 과도한 증식의 상태, 또는 심혈관 장애(cardiovascular disorders)인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죽상동맥경화증, 당뇨, 알츠하이머병 또는 이상지질혈증인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죽상동맥경화증인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당뇨인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알츠하이머병인 방법.
KR1020117031397A 2009-05-28 2010-05-26 Lxr 조절자 KR101676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173609P 2009-05-28 2009-05-28
US61/181,736 2009-05-28
PCT/US2010/036211 WO2010138598A2 (en) 2009-05-28 2010-05-26 Lxr modula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868A true KR20120047868A (ko) 2012-05-14
KR101676704B1 KR101676704B1 (ko) 2016-11-16

Family

ID=4322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397A KR101676704B1 (ko) 2009-05-28 2010-05-26 Lxr 조절자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US (4) US8618154B2 (ko)
EP (1) EP2435410B1 (ko)
JP (1) JP5625050B2 (ko)
KR (1) KR101676704B1 (ko)
CN (1) CN102648184B (ko)
AR (1) AR078049A1 (ko)
AU (1) AU2010254082B2 (ko)
BR (1) BRPI1013259B8 (ko)
CA (1) CA2761934C (ko)
CL (1) CL2011002972A1 (ko)
CO (1) CO6470826A2 (ko)
CY (1) CY1119407T1 (ko)
DK (1) DK2435410T3 (ko)
EA (1) EA019960B1 (ko)
ES (1) ES2620451T3 (ko)
HR (1) HRP20170194T1 (ko)
IL (1) IL216176A (ko)
LT (1) LT2435410T (ko)
MX (1) MX2011012559A (ko)
MY (1) MY153958A (ko)
NZ (1) NZ596330A (ko)
PE (1) PE20120797A1 (ko)
PL (1) PL2435410T3 (ko)
PT (1) PT2435410T (ko)
SG (1) SG176247A1 (ko)
SI (1) SI2435410T1 (ko)
TN (1) TN2011000585A1 (ko)
TW (1) TWI488844B (ko)
WO (1) WO2010138598A2 (ko)
ZA (1) ZA2011081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849A (ko) 2015-05-29 2016-12-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iR-7, miR-18a 또는 miR-18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20451T3 (es) * 2009-05-28 2017-06-28 Exelixis Patent Company Llc Moduladores de los LXR
AR088728A1 (es) 2011-03-25 2014-07-02 Bristol Myers Squibb Co Moduladores de lxr como prodroga de imidazol
HUE040231T2 (hu) 2012-03-02 2019-02-28 Ralexar Therapeutics Inc Máj X receptor (LXR) modulátorok bõrbetegségek, rendellenességek és állapotok kezelésére
JP6320382B2 (ja) * 2012-08-13 2018-05-09 ザ ロックフェラー ユニヴァーシティ メラノーマの処置および診断
JP6456909B2 (ja) 2013-03-15 2019-01-23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Bristol−Myers Squibb Company Lxr調節因子
US9834542B2 (en) 2013-03-15 2017-12-05 Bristo-Myers Squibb Company LXR modulators
ES2804304T3 (es) 2013-09-04 2021-02-05 Ellora Therapeutics Inc Moduladores del receptor X hepático (LXR)
CA2923178A1 (en) 2013-09-04 2015-03-12 Alexar Therapeutics, Inc. Liver x receptor (lxr) modulators for the treatment of dermal diseases, disorders and conditions
AU2015204572B2 (en) 2014-01-10 2020-07-30 Inspirna, Inc. LXR agonists and uses thereof
EP3402477A4 (en) 2016-01-11 2019-08-21 The Rockefeller University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DISORDERS ASSOCIATED WITH SUPPRESSIVE CELLS DERIVED FROM MYELOID CELLS
WO2019104062A1 (en) 2017-11-21 2019-05-31 Rgenix, Inc. Polymorphs and uses thereof
EP3999055A1 (en) 2019-07-15 2022-05-25 Novartis AG Methods for treating meibomian gland dysfunction with liver x receptor agonists
CN110305141B (zh) * 2019-07-18 2022-01-11 深圳市三启药物开发有限公司 一种螺(3,3’-异丙基吡咯烷氧化吲哚)类肝x受体调节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174220B2 (en) 2019-12-13 2021-11-16 Inspirna, Inc. Metal salts and use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2563A1 (en) * 2005-06-27 2007-01-04 Exelixis, Inc. Imidazole based lxr modulator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1938A (en) 1979-06-15 1980-11-04 Merck & Co., Inc. Hypocholesteremic fermentation products and process of preparation
US4444784A (en) 1980-08-05 1984-04-24 Merck & Co., Inc. Antihypercholesterolemic compounds
MX7065E (es) 1980-06-06 1987-04-10 Sankyo Co Un procedimiento microbiologico para preparar derivados de ml-236b
AU570021B2 (en) 1982-11-22 1988-03-03 Novartis Ag Analogs of mevalolactone
US5354772A (en) 1982-11-22 1994-10-11 Sandoz Pharm. Corp. Indole analogs of mevalonolactone and derivatives thereof
FI94339C (fi) 1989-07-21 1995-08-25 Warner Lambert Co Menetelmä farmaseuttisesti käyttökelpoisen /R-(R*,R*)/-2-(4-fluorifenyyli)- , -dihydroksi-5-(1-metyylietyyli)-3-fenyyli-4-/(fenyyliamino)karbonyyli/-1H-pyrroli-1-heptaanihapon ja sen farmaseuttisesti hyväksyttävien suolojen valmistamiseksi
US5177080A (en) 1990-12-14 1993-01-05 Bayer Aktiengesellschaft Substituted pyridyl-dihydroxy-heptenoic acid and its salts
DE69232537T2 (de) 1991-09-17 2002-10-24 Salk Inst For Biolog Studies L Rezeptoren der steroid/thyroid superfamilie von rezeptoren
JP2001509165A (ja) 1997-01-24 2001-07-10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バリヤ機能の回復、表皮の分化の促進及び増殖の抑制のためのFXR、PPARα及びLXRαの活性剤の使用
EP1115853A2 (en) 1998-09-23 2001-07-18 Ludmila Solomin Analysis of ligand activated nuclear receptors in vivo
DE69940958D1 (de) 1998-12-23 2009-07-16 Glaxo Group Ltd Bestimmungsmethode fur liganden der nuklearen rezeptoren
CA2368234A1 (en) 1999-03-26 2000-10-05 City Of Hope Method of affecting cholesterol catabolism using nuclear bile acid receptor
JP2003506097A (ja) 1999-06-18 2003-02-18 スィーヴィー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tp結合カセット輸送体蛋白質abc1を用いるコレステロール流出を増加させhdlを上昇させ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20020048572A1 (en) 2000-05-03 2002-04-25 Bei Shan Treatment of hypertriglyceridemia and other conditions using LXR modulators
US6924311B2 (en) 2001-10-17 2005-08-02 X-Ceptor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affecting various diseases utilizing LXR compounds
US7482366B2 (en) * 2001-12-21 2009-01-27 X-Ceptor Therapeutics, Inc. Modulators of LXR
WO2004011446A1 (en) * 2002-07-26 2004-02-05 Bayer Pharmaceuticals Corporation Indane, dihydrobenzofuran, and tetrahydronaphthale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ntidiabetics
TWI324596B (en) * 2002-08-26 2010-05-11 Nat Health Research Institutes Imidazolamino compounds
PT1638943E (pt) * 2003-05-27 2008-11-14 Conseils De Rech S Et D Aplica Novos derivados de imidazoles, sua preparação e sua utilização como medicamento
US8969372B2 (en) * 2003-11-14 2015-03-03 Aptose Boisciences Inc. Aryl imidazoles and their use as anti-cancer agents
AU2005211809B2 (en) * 2004-02-11 2009-02-12 Irm Llc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LXR modulators
CN101248049B (zh) * 2005-06-27 2013-08-28 埃克塞利希斯专利有限责任公司 咪唑类lxr调节剂
CN101679297B (zh) 2006-12-08 2012-01-11 埃克塞利希斯股份有限公司 Lxr和fxr调节剂
ES2620451T3 (es) * 2009-05-28 2017-06-28 Exelixis Patent Company Llc Moduladores de los LX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2563A1 (en) * 2005-06-27 2007-01-04 Exelixis, Inc. Imidazole based lxr modulat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849A (ko) 2015-05-29 2016-12-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iR-7, miR-18a 또는 miR-18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8598A2 (en) 2010-12-02
EP2435410B1 (en) 2017-01-18
JP2012528180A (ja) 2012-11-12
MX2011012559A (es) 2012-06-08
EA019960B1 (ru) 2014-07-30
US20140163081A1 (en) 2014-06-12
IL216176A0 (en) 2012-01-31
TN2011000585A1 (en) 2013-05-24
TW201109308A (en) 2011-03-16
CL2011002972A1 (es) 2012-08-17
BRPI1013259B1 (pt) 2021-04-13
SG176247A1 (en) 2012-01-30
CA2761934A1 (en) 2010-12-02
HRP20170194T1 (hr) 2017-05-19
CY1119407T1 (el) 2018-03-07
AR078049A1 (es) 2011-10-12
SI2435410T1 (sl) 2017-06-30
LT2435410T (lt) 2017-04-10
PE20120797A1 (es) 2012-07-08
JP5625050B2 (ja) 2014-11-12
US20160280661A1 (en) 2016-09-29
EA201171488A1 (ru) 2012-07-30
US8618154B2 (en) 2013-12-31
PL2435410T3 (pl) 2017-07-31
TWI488844B (zh) 2015-06-21
ES2620451T3 (es) 2017-06-28
CO6470826A2 (es) 2012-06-29
AU2010254082A1 (en) 2011-12-08
CN102648184A (zh) 2012-08-22
PT2435410T (pt) 2017-05-03
MY153958A (en) 2015-04-30
BRPI1013259B8 (pt) 2021-05-25
ZA201108181B (en) 2013-01-30
EP2435410A2 (en) 2012-04-04
AU2010254082B2 (en) 2015-01-29
NZ596330A (en) 2013-07-26
IL216176A (en) 2015-10-29
BRPI1013259A2 (pt) 2016-04-05
CA2761934C (en) 2018-01-09
CN102648184B (zh) 2015-09-30
WO2010138598A3 (en) 2011-07-28
KR101676704B1 (ko) 2016-11-16
US20120071534A1 (en) 2012-03-22
US20150299136A1 (en) 2015-10-22
DK2435410T3 (da) 201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704B1 (ko) Lxr 조절자
JP5685532B2 (ja) 新しい治療用作用物質
EP1572660B1 (en) Isoquinolino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therapeutic agents
US6194454B1 (en) Cyano containing oxamic acids and derivatives as thyroid receptor ligands
WO2019144835A1 (zh) 取代的哒嗪酮化合物
JP2018519249A (ja) イソオキサゾリル置換ベンズイミダゾール類
JP2010280732A (ja) Lxrのモジュレーター
JP6293266B2 (ja) 高血圧及び/又は線維症の処置用組成物
Strong et al.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a tetrahydroisoquinoline class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 modulators that potentiates GluN2B-containing N-methyl-d-aspartate receptors
WO2010098286A1 (ja) ミネラルコルチコイド受容体拮抗薬を含有する医薬
JP2022527916A (ja) アンドロゲン受容体のn末端ドメインの阻害剤
JP6518692B2 (ja) 多環式herg活性化剤
US7122543B2 (en) Substituted benzoic acid derivatives having NF-κB inhibiting action
ZA200506328B (en) 2-(butyl-1sylfonylamino)-N-Ä1(R)-6methoxy-pyridin-3-yl)-propylÜ-benzamid, the use thereof in the form of drug an pharmaceutical preperations containing said compound
KR102647513B1 (ko) Fxr 활성효과를 가지는 시나믹아마이드 유도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209066B (zh) 氨基-芳基-苯甲酰胺化合物及其使用方法
US20060142350A1 (en) 2-(Butyl-1-sulfonylamino)-N-[1(R)-(6-methoxypyridin-3-yl)propyl] benzamide, its use as a medicament,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mprising it
PL243517B1 (pl) Pochodne (benzyloksy)benzenu nadające się do stosowania w immunoterapii nowotworów oraz zawierająca je kompozycja farmaceutycz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