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549A -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 Google Patents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549A
KR20120025549A KR1020117030863A KR20117030863A KR20120025549A KR 20120025549 A KR20120025549 A KR 20120025549A KR 1020117030863 A KR1020117030863 A KR 1020117030863A KR 20117030863 A KR20117030863 A KR 20117030863A KR 20120025549 A KR20120025549 A KR 20120025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ounting state
thin film
container body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5171B1 (ko
Inventor
다카히코 구니시게
요시히코 고바시
라이타 우에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25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61J1/12Bag-type containers with means for holding sample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6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the screw-thread or the like being formed by conforming the cap-skirt to the thread or the like formation on a containe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69Tubes feeding directly to the intestines, e.g. to the jejun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5Non-rigid or collapsible feeding-bott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영양제용 용기(10)의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유출시키는 용기 본체부의 구부에 장착되는 캡(13)으로서, 용기 본체부는, 구부에 부착되어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16)을 포함하고, 캡은, 구부에 대해, 제1 장착 상태와 제2 장착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제1 장착 상태에서는, 캡의 중공 노즐(22)의 단면이, 박막에 접하지 않거나, 또는, 박막에 접하나 박막을 가압하지 않는 위치에서, 구부에 대한 캡의 장착 상태가 유지되고, 제2 장착 상태에서는, 중공 노즐에 의해 박막이 뚫리고 중공 노즐이 구부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부에 대한 상기 캡의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Description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CAP AND NUTRITIONAL SUPPLEMENT CONTAINER USING SAME}
본 발명은, 영양제용 용기의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유출시키는 구부에 장착되는 캡, 및 당해 캡이 용기 본체부에 장착된 영양제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경구에 의하지 않고 환자에게 영양이나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경장(經腸) 영양 요법이나 정맥 영양 요법이 알려져 있다. 경장 영양 요법에서는, 환자의 비강부터 위 또는 십이지장에까지 통과시켜진 튜브(일반적으로 「경비(經鼻) 튜브」라고 함) 또는 환자의 배에 형성된 위루(胃瘻)(위루를 형성하는 시술을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라고 함)에 삽입된 튜브(일반적으로 「PEG 튜브」라고 함)를 통해 영양제, 유동식, 또는 약제 등의 액상물(일반적으로 「경장 영양제」라고 함)이 투여된다. 또, 정맥 영양 요법에서는, 환자의 정맥에 삽입된 수액 라인(송액 회로)을 통해 포도당 등의 영양 성분이나 약제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물(일반적으로 「수액」이라고 함)이 투여된다.
도 22에, 종래의 경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경장 영양 세트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영양제용 용기(100)의 용기 본체(101) 내에는, 영양제가 충전되어 있다. 용기 본체(101)의 영양제를 유출시키는 구부(102)에는 박막(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되어, 용기 본체(101) 내가 밀폐되어 있다. 체내로 영양제를 투여할 때에는, 플라스틱제 접속 바늘(104)을 구부에 장착된 캡(105)에 찔러 상기 박막을 뚫는다. 이에 의해, 접속 바늘(104)에 접속된 튜브를 통해 체내로 영양제를 보낼 수 있다.
도 23에, 종래의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수액 세트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백(110)의 백 본체(111) 내에는, 영양 성분이나 약제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물이 충전되어 있다. 체내에 액상물을 투여할 때에는, 접속 바늘(114)을 접속 바늘용 포트(113)에 천자(穿刺)한다. 이에 의해, 접속 바늘(114)에 접속된 튜브를 통해 체내로 액상물을 보낼 수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 공개 2000?176023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장 영양 요법에 있어서는, 정맥 영양 요법과 동일하게, 선단이 예리한 접속 바늘을 접속 대상에 찌름으로써, 영양제를 체내로 보내는 수법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캡(105)에 접속 바늘(114)을 천자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접속 바늘(114)은, 캡(105) 및 박막을 관통하여, 구부(102)의 내부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오접속이 행해지면, 위나 장에 공급되어야 할 영양제 등이 정맥으로 잘못 공급되게 되어, 의료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오접속의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영양제 등의 액상물의 공급이 간단한 조작으로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는 영양제용 용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캡은,
영양제용 용기의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유출시키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구부에 장착되는 캡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상기 구부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이 상기 구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구부의 개구를 막는 천정면부와 상기 구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기부(基部)와,
상기 천정면부의 외측 주면으로부터 돌출한 관형상부를 포함하고, 커넥터가 접속될 수 있는 접속부와,
상기 천정면부의 내측 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그 관통 구멍이 상기 관형상부의 관통 구멍과 연통한 중공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구부에 대해 제1 장착 상태와 제2 장착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상기 제1 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중공 노즐의 단면이, 상기 박막에 접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박막에 접하나 상기 박막을 가압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구부에 대한 상기 캡의 장착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 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중공 노즐에 의해 상기 박막이 뚫리고, 상기 중공 노즐이 상기 구부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부에 대한 상기 캡의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는,
구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와,
용기 본체부 내에 충전된 액상물과,
상기 구부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과,
상기 구부에 장착된 본 발명의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제1 장착 상태에서 상기 구부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송액 회로가 영양제용 용기에 잘못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영양제 등의 액상물의 공급이 간단한 조작으로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는 영양제용 용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영양제용 용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영양제용 용기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캡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캡을 구성하는 접속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영양제용 용기에 대해, 송액 회로가 접속되기 직전의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영양제용 용기에 대해, 송액 회로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는, 제1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도 3에 나타난 캡의 도 2에 나타난 구부에 대한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일부 단면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A는, 제2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도 3에 나타난 캡의 도 2에 나타난 구부에 대한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일부 단면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A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캡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캡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영양제용 용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난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난 영양제용 용기의 구부를 개구 단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나타난 영양제용 용기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캡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A는, 제1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도 16에 나타난 캡의 도 14에 나타난 구부에 대한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부분 단면 개념도이다.
도 18은, 도 17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A는, 제1 장착 상태에서 제2 장착 상태에 이르는 도중의, 도 16에 나타난 캡의 도 14에 나타난 구부에 대한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일부 단면 개념도이다.
도 20A는, 제2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도 16에 나타난 캡의 도 14에 나타난 구부에 대한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의 일부 단면 개념도이다.
도 21은, 도 20A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22는, 종래의 경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경장 영양 세트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수액 세트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용기 본체부의 구부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선단측 통형상부와, 상기 선단측 통형상부보다 외경이 크고 그 외주면에 제1 돌기가 형성된 기단측 통형상부를 포함한다. 한편, 캡의 측벽부는, 제2 장착 상태일 때에 선단측 통형상부에 대향하고, 그 내주면에 수나사에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소경 통형상부와, 제2 장착 상태일 때에 기단측 통형상부에 대향하고, 그 내주면에 제2 돌기가 형성된 대경 통형상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돌기가 제1 돌기를 넘도록 캡 내에 구부를 밀어 넣음으로써 제1 장착 상태가 얻어지고, 제1 장착 상태의 캡을 회전시켜 암나사를 수나사에 결합시키면서, 중공 노즐에 의해 박막을 뚫고, 캡을 그 회전 한계까지 회전시킴으로써 제2 장착 상태가 얻어진다.
상기 대경 통형상부에는, 캡의 개구측단으로부터 천정면부측을 향해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돌기가 제1 돌기를 넘도록 캡 내에 구부를 밀어 넣는 조작이 행해지기 쉽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용기 본체부의 구부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캡에 대해서는, 측벽부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측벽부의 내주면의 절결부보다도 천정면부측의 개소에는, 제2 장착 상태일 때에 수나사에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측벽부의 내주면 중의,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보다도 천정면부로부터 떨어진 개소에는 제3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돌기가 수나사를 넘도록 캡 내에 구부를 밀어 넣음으로써 제1 장착 상태가 얻어지고, 제1 장착 상태의 캡을 회전시켜 암나사를 수나사에 결합시키면서, 중공 노즐에 의해 박막을 뚫고, 캡을 그 회전 한계까지 회전시킴으로써 제2 장착 상태가 얻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캡에서는, 제3 돌기가 수나사를 넘은 것을 확인하기 쉬워, 제1 장착 상태가 얻어졌음을 확인하기가 쉽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접속부가, 관형상부의 주위에 형성된 대좌부와, 대좌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한, 커넥터에 걸어 맞춰질 수 있는 클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캡에서는, 커넥터의 관형상부에 대한 빠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캡의 천정면부의 내측 주면 상에 배치된 시일재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캡에서는, 제2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캡과 구부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캡의 천정면부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통기 구멍을 피복하도록 천정면부에 통기 필터가 부착되고, 제2 장착 상태일 때, 통기 필터에 의해, 용기 본체부 밖의 공기의 용기 본체부 내로의 유입이 행해진다. 이러한 형태의 캡에서는, 용기 본체부가 경질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체내에 영양제를 한창 공급하고 있는 중에, 용기 본체부에 바늘 등을 찔러 용기 본체부에 통기용 구멍을 형성하는 등 하지 않아도, 용기 본체부로부터의 액상물의 유출을 계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관형상부의 관통 구멍을 구획하는 리브를 구비하고, 통형상부를 그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관형상부의 관통 구멍이 리브에 의해, 적어도 3개로 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캡에서는, 접속 바늘의 관형상부 내로의 진입이 리브에 의해 방해되므로, 오접속의 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이하, 도 1?도 1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캡의 일례, 및 당해 캡을 이용한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제용 용기(10)는, 용기 본체부인 보틀 본체(11)와, 보틀 본체(11) 내에 충전된 영양제를 포함하는 액상물(도시하지 않음)과, 보틀 본체(11)의 구부(12)(도 2 참조)에 장착된 캡(13)을 포함한다. 보틀 본체(11)의 저부에는, 보틀 본체(11)를 스탠드 등에 매달기 위한 매달기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보틀 본체(11)는, 예를 들면, 경질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별히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외형 형상은 유지되어 있다. 보틀 본체(11)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구부(12)는, 그 선단측으로부터, 선단측 통형상부(12a)와, 기단측 통형상부(12b)를 그 순서대로 포함하고 있다. 선단측 통형상부(12a)의 외주면에는, 캡(13)의 암나사(19)(도 3 참조)와 결합시키기 위한 수나사(12c)가 형성되어 있다. 기단측 통형상부(12b)는 선단측 통형상부(12a)보다도 외경이 크다. 기단측 통형상부(12b)의 외주면에는, 환상의 제1 돌기(12d)가 형성되어 있다.
구부(12)에는, 구부(12)의 개구를 막도록 박막(16)이 부착되어, 보틀 본체(11) 내가 박막(16)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박막(16)이 부착된 보틀 본체(11)를, 구부(12)가 아래가 되도록 향하게 해도, 보틀 본체(11) 내의 액상물은, 보틀 본체(11) 내로부터 새어나오지 않는다.
박막(16)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박, 종이와 알루미늄 박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막, 보틀 본체(11)에 포함되는 수지와 같은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막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막은, 단층막,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막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열용착에 의한 박막(16)의 보틀 본체(11)에 대한 높은 접착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보틀 본체(11)에 접하는 면에 보틀 본체(11)에 포함되는 수지와 같은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막이 바람직하다.
박막(16)은, 구부(12)의 개구 단면(12f)에 접착되고, 또한, 그 주연부(16a)가 구부(12)의 개구 단면(12f)의 근방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있어도 되지만, 박막(16)은, 구부(12)의 개구 단면(12f)에만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박막(16)의 구부(12)로의 접착 방법은, 박막(16)의 재료 및 구부(12)의 재료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13)은, 기부(23)와 접속부(21)와 중공 노즐(22)(도 3 참조)을 포함한다. 기부(23)는, 보틀 본체(11)의 구부(12)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중공 노즐(22)의 관통 구멍(22b)은, 후술하는 기부(23)의 관형상부(21a)의 관통 구멍(212)(도 4 참조)과 연통하고 있다. 기부(23)는, 캡(13)이 구부(12)에 장착되었을 때에, 구부(12)의 개구를 막도록 당해 개구에 대향하는 천정면부(17)와 구부(1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측벽부(18)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벽부(18)는, 소경 통형상부(18a)와 대경 통형상부(18b)를 포함한다. 소경 통형상부(18a)의 내주면에는, 수나사(12c)에 결합하는 암나사(19)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 통형상부(18b)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제2 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돌기(24)는, 예를 들면, 기부의 개구 단면 부근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속부(21)는, 천정면부(17)의 외측 주면으로부터 돌출한 관형상부(21a)와, 관형상부(21a)의 주위에 형성된 대좌부(21b)와, 대좌부(21b)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방향으로 돌출한 클로부(21c)를 포함한다. 대좌부(21b)는, 천정면부(17)의 외측 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데, 그 상면은 관형상부(21a)의 선단 단면보다도 낮다(천정면부(17)의 외측 주면에 가깝다). 클로부(21c)의 천정면부(17)측의 면의 반대면은, 대좌부(21b)의 상면과 동일 평면 내에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형상부(21a)의 선단측의 외주면은, 관형상부(21a)의 선단으로부터 기부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을 크게 한 테이퍼면(211)을 포함하고 있다. 관형상부(21a)의 내강(內腔)은, 관통 구멍(212)을 구획하는 리브(213)를 구비하고 있고, 관통 구멍(212)은 리브(213)에 의해 4분할되어 있다. 즉, 리브(213)의 형성 부분에서는, 관통 구멍(212)은 4개의 작은 구멍(214)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접속부(21)에 대해. 커넥터(25)와 커넥터(25)에 접속된 가요성 튜브(26)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27)가 접속되기 직전의 양태를 나타내고, 도 6에, 접속부(21)에 대해, 송액 회로(27)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속부(21)는, 커넥터(25)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27)에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로지, 선단이 예리한 접속 바늘을 접속 대상으로 찌름으로써 액상물을 체내로 보내는 정맥 영양 요법용의 송액 회로가, 잘못해서, 경장 영양 요법에 사용되는 영양제용 용기(10)에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속부(21)가, 관형상부(21a)의 관통 구멍을 구획하는 리브(213)를 구비하고 있으면, 상기 오접속의 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송액 회로(27)의 가요성 튜브(26)는, 도 5 및 도 6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커넥터(25)측의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25)를 관형상부(21a)에 압입한 후, 커넥터(25)를 회전시키면, 클로부(21c)가 커넥터(25)에 형성된 개구부(25a)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클로부(21c)와, 클로부(21c)의 하측(천정면부(17)의 외측 주면에 가까운 쪽)에 배치된 커넥터(25)의 볼록부(도시하지 않음)가 걸어 맞춰지므로, 커넥터(25)는 접속부(21)에 고정되어, 커넥터(25)의 빠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접속부(21)와 커넥터(25)의 접속은, 결합 구조, 끼워 맞춤 구조, 또는 걸어 맞춤 구조 등의 각종 공지의 접속 구조에 의해 행해지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천정면부(17)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통기 구멍(29)이 형성되어 있고, 통기 구멍(29)을 피복하도록 천정면부(17)의 내측 주면에 통기 필터(28)(도 3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통기 필터(28)는, 천정면부(17)의 내측 주면에 설치된 환상벽(28a)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통기 필터(28)는, 소수성의 통기 필터이며, 기체는 통과시키나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는다. 보틀 본체(11) 내에 충전된 액상물이 구부(12)로부터 유출함에 따라, 보틀 본체(11) 내의 압력은 낮아진다. 보틀 본체(11)가 연질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액상물의 유출에 따라 보틀 본체(11)가 변형되고, 액상물의 유출은 계속된다. 그러나, 경질재로 형성된 보틀 본체(11)의 변형은 곤란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상물의 유출에 따라, 통기 필터(28)를 거쳐, 공기가 보틀 본체(11) 내로 빨려 들어가, 이에 의해, 체내로 영양제를 한창 공급하고 있는 중에, 보틀 본체(11)에 바늘 등을 찔러 보틀 본체(11)에 통기용 구멍을 형성하는 등 하지 않아도, 보틀 본체(11)로부터의 액상물의 유출을 계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통기 필터(28)로는, 예를 들면, 병침(甁針) 등의 접속 바늘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소수 필터이면, 그 재료 등에 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다.
다음에, 도 7A?도 10을 이용하여, 캡(13)의 구부(12)에 대한 접속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B, 도 9B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보틀 본체(11)의 구부(12)에 부착되어 보틀 본체(11) 내를 밀폐하는 박막(16)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또, 도 7B, 도 9B, 도 10에서는, 접속부(21), 중공 노즐(22), 통기 필터(28)를 둘러싸는 환상벽(28a)에 대해서는, 이들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단면으로 나타내지 않고, 게다가, 실제로는 보이지 않아도 기재하고 있다.
캡(13)은, 구부(12)에 대해 제1 장착 상태와 제2 장착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는, 제1 장착 상태일 때의 캡(13)과 구부(12)가 나타나 있다. 제1 장착 상태에서는, 중공 노즐(22)의 단면(22a)이, 박막에 접하지 않는 위치에서, 구부(12)에 대한 캡(13)의 장착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제1 장착 상태의 유지는 하기와 같이 하여 이루어져 있다. 캡(13)의 대경 통형상부(18b)의 제2 돌기(24)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에서의 최대 내경(R1)은, 구부(12)의 선단측 통형상부(12a)의 최대 외경보다도 크고, 기단측 통형상부(12b)의 환상의 제1 돌기(12d)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보다도 기단측(선단측의 반대측)에서의 최대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그러나, 최대 내경(R1)은, 기단측 통형상부(12b)의 환상의 제1 돌기(12d)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에서의 최대 외경보다도 약간 작다. 이 때문에, 캡(13)을 회전시키지 않고, 캡(13) 내에 구부(12)를 밀어 넣으면, 제2 돌기(24)가 제1 돌기(12d)를 넘는다. 이에 의해, 구부(12)에 장착된 캡(13)이 구부(12)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소경 통형상부(18a)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9)는, 선단측 통형상부(12a)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2c)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캡(13)을 구부(12)에 대해 회전시키지 않으면, 캡(13)의 천정면부(17)의 내측 주면이 구부(12)의 개구 단면측으로 눌러지는 그러한 힘이, 캡(13)에 부여되어도,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암나사(19)의 결합 개시측에서의 수나사(12c)와 마주 보는 면(191)이, 수나사(12c)의 결합 개시측에서의 암나사(19)와 마주 보는 면(121)이 충돌함으로써, 캡(13)이 구부(12)측으로 더 밀어 넣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캡(13)을 구부(12)에 대해 회전시키지 않으면, 중공 노즐(22)에 의해 박막이 뚫려버릴 일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제1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제1 장착 상태에서는, 캡(13)이 구부(12)로부터 용이하게 빠지지 않고, 또한, 중공 노즐(22)에 의해 박막이 뚫리지 않으면, 캡(13)은 구부(12)에 대해, 상하로 이동해도 된다.
제2 장착 상태의 유지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다. 제1 장착 상태에 있는 캡(13)을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암나사(19)와 수나사(12c)를 결합시킨다. 이에 수반하여, 제1 장착 상태에서는, 박막에 접하지 않는 위치, 즉, 구부(12)의 밖에 배치되어 있던 중공 노즐(22)이, 박막에 가까워져, 이어서, 박막(16)(도 2 참조)을 뚫으면서 구부(12) 내에 진입한다. 이어서, 캡(13)을 그 회전 한계까지 회전시킴으로써, 도 9A?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제2 장착 상태가 얻어진다. 제2 장착 상태에서는, 캡의 소경 통형상부(18a)는, 선단측 통형상부(12a)에 대향하고, 대경 통형상부(18b)는 기단측 통형상부(12b)에 대향한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박막(16)이 뚫림으로써, 보틀 본체(11)를, 구부(12)가 아래가 되도록 향하게 하면, 중공 노즐(22) 및 통기 필터(28)는 액상물에 접하게 된다.
캡(13)의 회전 한계는, 예를 들면, 캡(13)의 천정면부(17)의 내측 주면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즉, 구부(12)의 개구 단면(12f)(도 2 참조)이 캡(13)의 천정면부(17)의 내측 주면에 맞닿으면, 캡(13)은 회전시킬 수 없게 되므로, 캡(13)이 더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나사(12c)의 길이는, 나사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나, 중공 노즐(22) 및 통기 필터(28) 둘 다 액상물에 접하는 것이 가능해지나 박막(16)의 일부가 탈락하지 않도록, 중공 노즐(22)에 의해 박막(16)이 뚫릴 수 있고, 또한, 수나사(12c)와 암나사(19)의 결합에 의해, 캡(13)과 구부(12)의 높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수나사는 1줄 나사이지만, 나사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줄 나사이어도 되고, 그 줄 수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제2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송액 회로가 잘못해서 경장 영양 요법에 이용되도록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것뿐만 아니라, 캡(13)이, 구부(12)에 대해 제1 장착 상태와 제2 장착 상태의 양방을 취할 수 있으므로, 박막(16)의 일부 또는 전부를 손으로 벗기거나, 손가락으로 박막(16)에 구멍을 내거나 하는 등은 하지 않아도, 보틀 본체(11) 내의 액상물의 유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영양제 등의 액상물의 공급이 간단한 조작으로,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출하시에 제1 장착 상태에서 캡(13)이 구부(12)에 장착되어 있으면, 작업자는, 접속부(21)에 송액 회로(27)를 접속한 후, 캡(13)을 회전 한계까지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환자에게 액상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캡(13)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들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캡의 다른 일례, 및 당해 캡을 이용한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의 다른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13)은, 천정면부(17)의 내측 주면(17A) 상에 배치된 환상의 시일재(171)를 더 포함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캡(13)이 구부(12)에 제2 장착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경우, 시일재(171)가 천정면부(17)의 내측 주면(17A)과 구부(12)의 개구 단면(12f)(도 2 참조) 사이에 끼워져, 캡(13)과 구부(12)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환자에게 액상물을 한창 공급하고 있는 중에, 액상물이, 캡(13)과 구부(12)의 간극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도시의 편의상, 시일재(171)에는 해칭을 실시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캡은, 시일재(171)을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형태 1에서의 캡과 같은 구성을 하고 있으며, 본 실시형태의 캡이 장착되는 용기 본체부의 구성도, 실시형태 1에서의 용기 본체부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각 부의 설명은 생략한다.
시일재(171)의 재료는, 이소프렌 고무, 부틸렌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에, 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캡의 또 다른 일례, 및 당해 캡을 이용한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의 또 다른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13)의 대경 통형상부(18b)에는, 캡(13)의 개구측단(13a)으로부터 천정면부(17)측을 향해 슬릿(181)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돌기(24)가 제1 돌기(12d)(도 2 참조)를 넘도록 캡(13) 내에 구부(12)를 밀어 넣는 작업이 행해지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캡(13)은, 슬릿(181)이 대경 통형상부(18b)에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실시형태 1에서의 캡과 같은 구성을 하고 있으며, 본 실시형태의 캡이 장착되는 용기 본체부의 구성도, 실시형태 1에서의 용기 본체부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각 부의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4)
다음에, 도 13?도 2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캡의 또 다른 예, 및 당해 캡을 이용한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의 또 다른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제용 용기(40)는, 용기 본체부인 보틀 본체(41)와, 보틀 본체(41) 내에 충전된 영양제를 포함하는 액상물(도시하지 않음)과, 보틀 본체(41)의 구부(42)(도 14 참조)에 장착된 캡(43)을 포함한다. 보틀 본체(41)의 저부에는, 보틀 본체(41)를 스탠드 등에 매달기 위한 매달기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보틀 본체(41)는, 실시형태 1에서의 보틀 본체(41)와 동일하게 경질재로 형성되어 있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보틀 본체(41)의 구부(42)의 외주면에는, 캡(43)의 암나사(49)(도 16 참조)와 결합시키기 위해 수나사(42c)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42c)는 4줄 나사이며, 부분(421c), 부분(422c), 부분(423c), 부분(424c)을 포함한다.
도 15에, 구부(42)를 개구 단면(42f)측으로부터 본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나사(42)가, 구부(42)의 둘레 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존재하도록, 부분(421c), 부분(422c), 부분(423c), 및 부분(424c)이 형성되어 있다. 이웃하는 상기 부분은, 구부(42)를 그 개구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서로 겹쳐지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부(12)의 기단측의 외주면에는, 환상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구부(42)의 개구단에는, 구부(42)의 개구를 막도록 박막(46)이 부착되어, 보틀 본체(41) 내가 박막(46)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박막(46)의 재료로는, 실시형태 1에서의 박막(16)의 재료와 같으면 된다. 박막(46)의 구부(42)로의 접착 양태도, 실시형태 1에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행할 수 있고, 주연부(46a)가, 구부(42)의 개구 단면(42f)의 근방의 외주면과 개구 단면(42f)에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박막(46)이 구부(42)의 개구 단면(42f)에만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박막(46)의 구부(42)로의 접착 방법도, 실시형태 1에서의 경우와 같으면 된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43)은, 기부(45)와 접속부(51)와 중공 노즐(52)(도 16 참조)을 포함한다. 기부(45)는, 보틀 본체(41)의 구부(42)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기부(45)는, 캡(43)이 구부(42)에 장착되었을 때에, 구부(42)의 개구를 막도록 당해 개구에 대향하는 천정면부(47)와 구부(4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측벽부(48)를 포함한다.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벽부(48)에는, 1쌍의 절결부(48a)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48)의 내주면 중의, 절결부(48a)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보다도 천정면부(47)측의 개소에는, 수나사(42c)에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49)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49)도 4줄 나사이다. 한편, 측벽부(48)의 내주면 중의, 암나사(49)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보다도 천정면부(47)로부터 떨어진 개소에는, 복수의 제3 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3 돌기(54)는, 예를 들면, 기부(45)의 개구 단면(43a)의 부근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돌기(54)의 수는 수나사(42c)의 줄 수와 동일한 수이며,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4개이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속부(51)은, 실시형태 1에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관형상부(51a)와, 관형상부(51a)의 주위에 형성된 대좌부(51b)와, 대좌부(51b)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방향으로 돌출한 클로부(51c)와, 관형상부(51a)의 관통 구멍을 구획하는 리브(513)를 포함한다. 대좌부(51b)는, 천정면부(47)의 외측 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데, 그 상면은 관형상부(51a)의 선단 단면보다도 낮다(천정면부(47)의 외측 주면에 가깝다). 클로부(51c)의 천정면부(47)측의 면의 반대면은, 대좌부(51b)의 상면과 동일 평면 내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부(51)가 실시형태 1에서의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부터, 접속부(51)와 송액 회로의 접속은, 실시형태 1에서의 경우와 같다. 즉, 접속부(51)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가 접속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오로지, 선단이 예리한 접속 바늘을 접속 대상에 찌름으로써 영양제를 체내로 보내는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송액 회로가, 경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영양제용 용기에 잘못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접속부(51)가, 관형상부(51a)의 관통 구멍을 구획하는 리브(51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오접속의 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천정면부(47)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1쌍의 통기 구멍(59)이 형성되어 있고, 통기 구멍(59)을 피복하도록 천정면부(47)의 내측 주면에 통기 필터(58)(도 16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통기 필터(58)의 재료는, 실시형태 1에서의 통기 필터(28)와 같으면 된다.
다음에, 도 17A?도 21을 이용하여, 캡(43)의 구부(42)에 대한 접속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7B, 도 19B, 도 20B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용기 본체부(41)의 구부(42)에 부착되어 용기 본체부(41) 내를 밀폐하는 박막(46)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또, 도 17B, 도 19B, 도 20B, 도 21에서는, 접속부(51), 중공 노즐(52), 통기 필터를 둘러싸는 환상벽(58a)에 대해서는, 이들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단면으로 표시하지 않고, 게다가, 실제로는 안보여도 기재하고 있다.
캡(43)은, 구부(42)에 대해 제1 장착 상태와 제2 장착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에는, 제1 장착 상태일 때의 캡(43)과 구부(42)가 나타나 있다. 제1 장착 상태에서는, 중공 노즐(52)의 단면이, 박막(46)(도 14)에 접하지 않는 위치에서, 구부(42)에 대한 캡(43)의 장착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제1 장착 상태의 유지는 하기와 같이 되어 있다. 캡(43)의 제3 돌기(54)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에서의 최대 내경은, 구부(42)의 수나사(42c)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에서의 최대 외경보다도 약간 작다. 그러나,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절결부(48a) 사이에 배치된 측벽부(48)의 일부(48c)의 내면을 포함하고, 캡(43)의 중심축(222)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의 직경(도 16 참조)은, 구부(42)의 수나사(42c)가 형성된 개소에서의 최대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이 때문에, 캡(43)을 회전시키지 않고, 캡(43) 내에 구부(42)를 밀어 넣는 것는, 도 1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3 돌기(54)가 수나사(42c)를 넘는다. 이에 의해, 캡(43) 내가 구부(42)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측벽부(48)의 절결부(48a)보다도 천정면부(47)측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암나사(49)는, 구부(4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42c)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캡(43)을 회전시키지 않으면, 캡(43)의 천정면부(47)의 내측 주면이 구부(42)의 개구 단면(42f)측으로 눌러지는 그러한 힘이 캡(43)에 부여되어도,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암나사(49)의 결합 개시측에서의 수나사(42c)와 마주 보는 면(491)이, 수나사(42c)의 결합 개시측에서의 암나사(49)와 마주 보는 면(421)이 충돌함으로써, 캡(43)이 구부(42)측으로 더 밀어 넣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중공 노즐(52)에 의해 박막이 뚤리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제1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제2 장착 상태의 유지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다. 제1 장착 상태에 있는 캡(43)을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암나사(49)와 수나사(42c)를 결합시킨다. 이에 수반하여, 제1 장착 상태에서는, 박막에 접하지 않는 위치, 즉, 구부(42)의 밖에 배치되어 있던 중공 노즐(52)이, 박막에 가까워지고, 이어서, 박막을 뚫으면서 구부(42) 내로 진입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제1 장착 상태에서 제2 장착 상태에 이르는 도중의, 캡(43)의 구부(42)에 대한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이어서, 캡(43)을 그 회전 한계까지 회전시킴으로써, 제2 장착 상태가 얻어진다(도 20A, 도 20B, 도 21 참조). 박막(46)이 뚫림으로써, 보틀 본체(41)을, 구부(42)가 아래가 되도록 향하게 하면, 중공 노즐(52) 및 통기 필터(58)는 액상물에 접하게 된다.
캡(43)의 회전 한계는, 예를 들면, 캡(43)의 천정면부(47)의 내측 주면에 의해 규제할 수 있으나, 환상 돌기(44)를 소정의 위치에 형성하여, 환상 돌기(44)에 의해 캡(43)의 회전 한계를 규제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수나사(42c) 및 암나사(49)의 길이는, 중공 노즐(52) 및 통기 필터(58) 양방이 액상물에 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나 박막(46)의 일부가 탈락하지 않도록, 중공 노즐(52)에 의해 박막(46)을 뚫을 수 있고, 또한, 수나사(42c)와 암나사(49)의 결합에 의해, 캡(43)과 구부(42)의 높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제2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송액 회로가 잘못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것뿐만 아니라, 영양제 등의 액상물의 공급을 간단한 조작으로,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출하시에 제1 장착 상태에서 캡(43)이 구부(42)에 장착되어 있으면, 작업자는, 접속부(51)에 송액 회로를 접속한 후, 캡(43)을 회전 한계까지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환자에게 액상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이유로부터, 캡(43)은, 천정면부(47)의 내측 주면 상에 배치된 환상의 시일재(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수나사가 4줄 나사이나, 나사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1줄 나사여도 되고, 4줄 나사 이외의 다줄 나사여도 된다. 암나사에 대해서도, 수나사에 상응하여 1줄 나사여도 되고, 4줄 나사 이외의 다줄 나사여도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나 있는 송액 회로(27)는, 도시의 편의상, 커넥터(25)와 가요성 튜브(26)의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는데, 실시형태 1?4에서의 캡에 접속되는 송액 회로는, 가요성 튜브(26)를 가압하여 가요성 튜브(26)를 흐르는 액상물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정기, 점적통, 환자에 고정된 경비 튜브 등에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 당해 커넥터의 커버 등, 종래 공지의 경장 영양 요법에 사용되는 송액 회로가 구비하는 구성 부품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경장 영양 요법에 적절한, 영양제용 용기의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영양제용 용기의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유출시키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구부(口部)에 장착되는 캡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상기 구부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이 상기 구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구부의 개구를 막는 천정면부와 상기 구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기부(基部)와,
    상기 천정면부의 외측 주면으로부터 돌출한 관형상부를 포함하고, 커넥터가 접속될 수 있는 접속부와,
    상기 천정면부의 내측 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그 관통 구멍이 상기 관형상부의 관통 구멍과 연통한 중공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구부에 대해 제1 장착 상태와 제2 장착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상기 제1 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중공 노즐의 단면이, 상기 박막에 접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박막에 접하나 상기 박막을 가압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구부에 대한 상기 캡의 장착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 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중공 노즐에 의해 상기 박막이 뚫리고, 상기 중공 노즐이 상기 구부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부에 대한 상기 캡의 장착 상태가 유지되는,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부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선단측 통형상부와, 상기 선단측 통형상부보다도 외경이 크고 그 외주면에 제1 돌기가 형성된 기단측 통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제2 장착 상태일 때에 상기 선단측 통형상부에 대향하고, 그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에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소경 통형상부와, 상기 제2 장착 상태일 때에 상기 기단측 통형상부에 대향하고, 그 내주면에 제2 돌기가 형성된 대경 통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제1 돌기를 넘도록 상기 캡 내에 상기 구부를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제1 장착 상태가 얻어지고,
    상기 제1 장착 상태의 상기 캡을 회전시켜 상기 암나사를 상기 수나사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중공 노즐에 의해 상기 박막을 뚫고, 상기 캡을 그 회전 한계까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장착 상태가 얻어지는, 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경 통형상부에는, 상기 캡의 개구측단에서 상기 천정면부측을 향해 슬릿이 형성된, 캡.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부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의 상기 절결부보다도 상기 천정면부측의 개소에는, 상기 제2 장착 상태일 때에 상기 수나사에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 중의, 상기 암나사가 형성된 개소보다도 상기 천정면부로부터 떨어진 개소에는 제3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돌기가 상기 수나사를 넘도록 상기 캡 내에 상기 구부를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제1 장착 상태가 얻어지고,
    상기 제1 장착 상태의 상기 캡을 회전시켜 상기 암나사를 상기 수나사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중공 노즐에 의해 상기 박막을 뚫고, 상기 캡을 그 회전 한계까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장착 상태가 얻어지는, 캡.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관형상부의 주위에 형성된 대좌부와, 상기 대좌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한 클로(claw)부를 더 포함하는, 캡.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면부의 상기 내측 주면 상에 배치된 시일재를 더 포함하는, 캡.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면부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통기 구멍을 피복하도록 상기 천정면부에 통기 필터가 부착되고,
    상기 제2 장착 상태일 때, 상기 통기 필터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부 밖의 공기의 상기 용기 본체부 내로의 유입이 행해지는, 캡.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의 상기 관통 구멍을 구획하는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부를 그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관형상부의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리브에 의해, 적어도 3개로 분할되어 있는, 캡.
  9. 구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와,
    용기 본체부 내에 충전된 액상물과,
    상기 구부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과,
    상기 구부에 장착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제1 장착 상태에서 상기 구부에 장착되어 있는, 영양제용 용기.
KR1020117030863A 2009-06-04 2010-06-02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KR101775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5266 2009-06-04
JP2009135266 2009-06-04
PCT/JP2010/059374 WO2010140630A1 (ja) 2009-06-04 2010-06-02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549A true KR20120025549A (ko) 2012-03-15
KR101775171B1 KR101775171B1 (ko) 2017-09-05

Family

ID=4329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863A KR101775171B1 (ko) 2009-06-04 2010-06-02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67459A1 (ko)
EP (1) EP2438899A4 (ko)
JP (1) JP5810913B2 (ko)
KR (1) KR101775171B1 (ko)
CN (2) CN104367476B (ko)
HK (2) HK1170657A1 (ko)
SG (1) SG176671A1 (ko)
WO (1) WO2010140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3473B2 (ja) * 2008-09-12 2013-08-2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注出口及び注出口付き液体収容体
JP5920340B2 (ja) * 2011-04-14 2016-05-1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ポ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ITBS20120034A1 (it) * 2012-03-09 2013-09-10 Guala Pack Spa Cannuccia per imballi flessibili, in particolare per liquidi per nutrizione enterale
US9625434B2 (en) 2013-05-21 2017-04-18 Hach Company Dripless, permanent sealing assembly for container
US20150232235A1 (en) * 2014-02-20 2015-08-20 William Eugene LLOYD Gas-Tight Pharmaceutical Bottle Closure
JP7254281B2 (ja) * 2019-01-31 2023-04-10 シロウマサイエンス株式会社 スパウトキャップ、スパウト、及び、スパウト付き容器
JP2023546374A (ja) 2020-10-09 2023-11-02 アイシーユー・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流体移送デバイスおよびそれのための使用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2994A (en) * 1972-01-05 1974-05-28 Dairy Cap Corp Tamper-proof closure cap
CH669575A5 (ko) * 1985-08-20 1989-03-31 Alfatechnic Ag
US4997429A (en) * 1988-12-28 1991-03-05 Sherwood Medical Company Enteral bottle cap with vent valve
US4934545A (en) * 1989-01-19 1990-06-19 Abbott Laboratories Closure with microbial filter
US5314084A (en) * 1992-08-21 1994-05-24 The West Company, Incorporated Two piece all plastic seal
JP3148021B2 (ja) * 1992-10-23 2001-03-19 株式会社ミツカングループ本社 ごま含有低粘度調味料
US5817082A (en) * 1996-11-08 1998-10-06 Bracco Diagnostics Inc. Medicament container closure with integral spike access means
US6012596A (en) * 1998-03-19 2000-01-11 Abbott Laboratories Adaptor cap
JP2000176023A (ja) 1998-12-17 2000-06-27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導入針脱落防止用クリップ
US7225949B2 (en) * 2002-04-04 2007-06-05 Nipro Corporation Liquid drug container
KR101006921B1 (ko) * 2003-02-14 2011-01-10 노희권 자동으로 실링 부재가 제거되는 뚜껑
DE10311154A1 (de) * 2003-03-14 2004-09-23 Helvoet Pharma Belgium N.V. Für pharmazeutische Verwendung dienende Überkappe mit Verschlussstopfen
US7611502B2 (en) * 2005-10-20 2009-11-03 Covidien Ag Connector for enteral fluid delivery set
US7896859B2 (en) * 2005-10-20 2011-03-01 Tyco Healthcare Group Lp Enteral feeding set
US8070014B2 (en) * 2007-08-24 2011-12-06 Seaquist Closures L.L.C. Liner piercing twist closure
JP3148021U (ja) * 2008-11-12 2009-01-29 株式会社トーメー 密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171B1 (ko) 2017-09-05
CN104367476B (zh) 2017-04-26
SG176671A1 (en) 2012-01-30
EP2438899A4 (en) 2013-02-13
JP5810913B2 (ja) 2015-11-11
HK1170657A1 (en) 2013-03-08
CN102458341A (zh) 2012-05-16
HK1206586A1 (en) 2016-01-15
CN102458341B (zh) 2014-10-29
JPWO2010140630A1 (ja) 2012-11-22
WO2010140630A1 (ja) 2010-12-09
EP2438899A1 (en) 2012-04-11
CN104367476A (zh) 2015-02-25
US20120067459A1 (en)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5549A (ko)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ES2215359T3 (es) Procedimiento de transferencia de fluido.
JP4775638B2 (ja) 連通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容器、並びに輸液調剤用具セット
KR101699090B1 (ko)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JP5310731B2 (ja) 注出口及び注出口付き液体収容体
US20130037509A1 (en) Closure cap for a receptacle for receiving medical liquids, and receptacle
JP5920340B2 (ja) 医療用ポ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KR101775176B1 (ko)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WO2011046210A1 (ja)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JPWO2008056631A1 (ja) コネクタおよび輸液チューブセット
KR20120087960A (ko) 의료용 용기의 커넥터 세트
JP5920339B2 (ja) 医療用ポ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US20200198845A1 (en) Discharge cap for a container
TWI587883B (zh) Medical connector, container for nutrient container and nutrient supply container using the same
JP2010126250A (ja) メス型コネクタおよび接続具
KR20240005683A (ko) 유체 용기용 캡, 이러한 캡을 포함하는 유체 용기 및 이러한 캡을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