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622A -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 - Google Patents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622A
KR20110116622A KR1020100036146A KR20100036146A KR20110116622A KR 20110116622 A KR20110116622 A KR 20110116622A KR 1020100036146 A KR1020100036146 A KR 1020100036146A KR 20100036146 A KR20100036146 A KR 20100036146A KR 20110116622 A KR20110116622 A KR 20110116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tion metal
carbon nanotube
titanium oxide
mixed solution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587B1 (ko
Inventor
김광범
김현경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587B1/ko
Priority to CN201180015799.6A priority patent/CN102971891B/zh
Priority to US13/635,872 priority patent/US9640796B2/en
Priority to EP11772220.7A priority patent/EP2562854B1/en
Priority to PCT/KR2011/002830 priority patent/WO2011132932A2/ko
Publication of KR20110116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0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19/122Incoherent waves
    • B01J19/126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C01B32/174Derivatisation; Solubilisation; Dispersion in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서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a)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용매에 첨가한 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와; (c) 상기 용액에 전이금속 염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d) 상기 혼합 용액에 마이크로파를 인가하여, 상기 혼합 용액과 그 용액 중의 탄소나노튜브를 가열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전이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를 형성함으로써,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뷰브 복합체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METHOD OF MANUFACTURING TRANSITION METAL OXIDE/CARBON NANOTUBE COMPOSITE AND THE COMPOSITE}
본 발명은 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재료로 사용 가능한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에 따라 Ni-수소 이차 전지나 리튬 이차 전지 등의 소형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리튬과 비수용매 전해액을 사용하는 리튬은 소형, 경량 및 고에너지 밀도의 전지를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cathode) 재료로는 LiCoO2, LiNiO2, LiMn2O4 등의 전이금속 산화물이 사용되며, 음극(anode) 재료로는 리튬(lithium) 금속 또는 탄소(carbon) 등이 사용되고, 두 전극 사이에 전해질로서 리튬 이온이 함유되어 있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구성한다. 그러나, 리튬 금속을 음극으로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는 충방전을 반복하는 경우에 수지상(dendrite)의 결정이 발생하기 쉽고, 이로 인한 단락(쇼트)의 위험성이 크다. 따라서, 음극 재료로서 탄화 또는 흑연화된 탄소재료를 이용하고, 리튬 이온을 함유하는 비수용매를 전해질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가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탄소계 음극 재료는 비가역용량이 크므로, 초기 충방전 효율이 낮고,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리튬 이차 전지의 음극 재료로서 전이금속 산화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전이금속 산화물로 전극을 제조할 때, 도전재로 사용되는 카본 블랙과 같은 탄소 입자의 경우, 입자 자체의 크기 때문에 균일한 혼합이 어렵고,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을 첨가해야 하므로, 전극 물질의 전체 질량 중 전극 활물질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고 전기화학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도전재의 양이 증가하여, 축전 용량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경우, 탄소나노튜브(CNT)는 준 일차원적인 양자구조를 가지고 있어, 저차원에서 특이한 여러 양자 현상이 관측되며, 특히 역학적 견고성, 화학적 안정성, 열전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구조에 따라 도체 또는 반도체의 성질을 띠는 독특한 특성을 나타낸다. 전이금속이 탄소나노튜브에 부착되는 경우, 탄소나노튜브가 가지는 우수한 재료 특성의 향상, 전이금속 산화물의 전도성 경로(path)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탄소나노튜브 상에 전이금속 산화물의 나노화 및 분포 제어가 산화물의 비표면적 증대에 필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의 경우, 금속산화물의 코팅 이전에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산처리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데, 산처리를 거치지 않은 CNT 분말의 표면은 소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용매 중에서 분산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산처리 과정은 실제 응용성의 관점에서 시간적/경제적 한계 요인으로 작용하고, 더욱이 CNT 성장 상태의 구조에 손상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 리튬 이온 전지의 음극 재료로서 스피넬(spinel) 구조의 Li4Ti5O12가 각광받고 있는데, 이는 상기 재료가 충방전 과정 중에 부피 변화가 작아, 장기간의 안정된 수명 특성(사이클)을 가능케 하고, 전극 표면에서의 전해질 감소를 피할 수 있도록 해주는 등 여러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의 스피넬 구조의 Li4Ti5O12는 그 제조상의 한계로 인해 나노화가 어렵고, 전도성이 좋지 않아, 리튬 전지 음극 재료로서의 용량 및 레이트 특성(rate capability)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성에 많은 시간(예컨대, 24 시간)이 소요되고 있어, 실제 리튬 이차 전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선결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한 가지 목적은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재료로 사용되는 전이금속 산화물을 나노입자의 형태로 CNT 표면에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전이금속 산화물/CNT 복합체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산처리하는 공정 없이 전이금속 산화물을 나노입자의 형태로 CNT 복합체 표면에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전이금속 산화물/CNT 복합체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시간 내에 전이금속 산화물을 나노입자의 형태로 CNT 복합체 표면에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전이금속 산화물/CNT 복합체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복합체로 이루어져 높은 용량 및 레이트 특성을 제공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소재와 이러한 음극 소재로 이루어진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a)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용매에 첨가한 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와; (c) 상기 용액에 전이금속 염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d) 상기 혼합 용액에 마이크로파를 인가하여, 상기 혼합 용액과 그 용액 중의 탄소나노튜브를 가열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전이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를 형성함으로써,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인가된 마이크로파에 의해, 상기 혼합 용액 중의 탄소나노튜브를 상대적으로 더 고온으로 가열하여, 그 표면에서 전이금속 산화물의 선택적 불균일 핵생성 및 성장을 야기함으로써, 상기 혼합 용액 중의 전이금속 염을 수열합성 과정에 따라 상기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전이금속 산화물 나노입자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합성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는 상기 혼합용액의 용매의 분자 구조를 해체하지 않는 크기의 에너지를 갖는 진동수의 마이크로파일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는 2.45~60 GHz의 진동수를 갖고 있을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는 10분 내지 30분 동안 상기 혼합 용액에 인가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한 혼합 용액의 가열은 그 혼합 용액의 비등점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상기 용매 중에 균일 분산시킬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e) 상기 (d) 단계에서 합성된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세정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에탄올 혹은 아세톤을 이용하여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세정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염은 철 염이고 암모니아를 상기 혼합 용액에 추가로 혼합하며,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철 염과 암모니아가 혼합된 혼합 용액에 마이크로파를 인가하여, 상기 나노튜브의 표면에 철 산화물 나노입자를 형성함으로써, Fe3O4/CNT 복합체를 합성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철 산화물 나노입자는 그 입경이 약 2~10 nm일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염은 티타늄 염이고,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염이 혼합된 혼합 용액에 마이크로파를 인가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티타늄 산화물 나노입자를 형성함으로써, TiO2/CNT 복합체를 합성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산화물 나노입자는 그 입경이 약 2~10 nm일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합성된 TiO2/CNT 복합체 분말을 용매에 첨가한 후 교반하여 용액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TiO2/CNT 복합체 분말이 분산된 용액에 리튬염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상기 리튬염이 혼합된 혼합 용액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리튬이 TiO2/CNT 복합체 표면에서 티타늄 산화물과 결합하도록 하여, 나노크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 입자가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형성된 리튬 티타늄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2.45~60 GHz의 진동수를 갖는 마이크로파를 약 10~30분 동안 상기 리튬염이 혼합된 혼합 용액에 조사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타늄 산화물 나노입자는 그 입경이 약 5~30 nm일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에 대하여 수소를 포함하는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상기 리튬 티타늄 산화물의 나노구조를 붕괴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리튬 티타늄 산화물이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Li4Ti5O12)로 구조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온도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약 500~900℃의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Li4Ti5O12)과 탄소나노튜브 복합체가 제공되는데, 상기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은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나노크기의 입자 형태로 적층되어, 높은 비표면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은 그 입경이 약 10~20 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Li4Ti5O12)/탄소나노튜브 복합체로 이루어진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소재가 제공된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극 소재는 50C-rate에서 약 100 mAh/g 이상의 용량을 갖고 있을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극 소재는 1C-rate에서 100 사이클 방전 후 초기 방전 용량의 95% 이상의 방전 용량값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음극 소재로 이루어진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이금속 산화물/CNT 복합체를 단시간, 예컨대 10~30분 내에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복합체에서 전이금속 산화물은 CNT 표면에 나노크기의 입자 형태로 적층되어, 이차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TiO2/CNT 복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TiO2/CNT 복합체에 티타늄 산화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XRD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TiO2/CNT 복합체의 FETEM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Fe3O4/CNT 복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Fe3O4/CNT 복합체에 철 산화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XRD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4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Fe3O4/CNT 복합체의 FETEM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예에 따라 스피넬 구조의 Li4Ti5O12/CNT 복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스피넬 구조의 Li4Ti5O12/CNT 복합체에 리튬 티타늄 산화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XRD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7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스피넬 구조의 Li4Ti5O12/CNT 복합체에 리튬 티타늄 산화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Raman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7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스피넬 구조의 Li4Ti5O12/CNT 복합체의 FETEM 사진이다.
도 11은 충전, 방전 용량 특성 평가를 통해 얻어낸 전극의 단위 무게 당 활물질의 용량을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에 의해 기존에 보고된 값보다 용량 및 레이트 특성과 관련하여 더 높은 전기화학적 성능이 얻어진 것을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의 우수한 수명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이금속 산화물/CNT 복합체 제조와 관련하여, 당업계에서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당업자라면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및 효과 등을 특별한 어려움 없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는 전이금속 산화물을 CNT 표면에 나노입자의 형태로 선택적 불균일 핵생성을 통해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CNT 표면에 전이금속 산화물을 별도의 산처리 없이 그리고 단시간 내에 나노입자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험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실험 예 1 - TiO2/CNT 복합체의 제조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CNT 분말을 준비하였다(S110). 본 발명에서 CNT 분말이라 함은 단층 탄소나노튜브 혹은 다층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서, 본 발명은 CNT의 특정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어서, 상기 준비한 CNT 분말을 용매, 즉 증류수에 첨가하여 분산시켰다(S120).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용매로서 증류수를 이용하였지만, 에탄올, 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증류수에 분말 상태의 CNT를 첨가한 다음, 초음파를 이용하여 CNT를 증류수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한편, 초음파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교반(stirring)을 통해 CNT를 증류수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초음파 처리하여 CNT가 균일하게 분산된 증류수 용액에 티타늄 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S130), 수열합성을 위한 전 단계 과정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티타늄 염은 Titanium ethoxide라는 Ti4 +염을 사용하였는데, 이 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가 조사되면 용매, 즉 물에서 쉽게 석출되어, CNT 표면에 티타늄 산화물을 형성하였다. 한편, 용매로서 다이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티타튬 염의 석출을 위해 에탄올을 함께 첨가하여 혼합하면 된다.
다음에, 상기 혼합 용액을 마이크로파 합성 장치 내에 배치한 다음,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수열합성을 진행하였다(S140). 즉,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 장치에서 상기 혼합 용액을 2.45~60 GHz로 반응시켰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이, 마이크로파를 상기와 같이 준비한 혼합 용액에 적용한 결과 놀라운 결과를 발견하였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 적용 결과, CNT 표면에 티타늄 산화물이 선택적으로 나노입자의 형태로 균일하게 형성되었는데,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그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파가 혼합 용액 중에 인가됨에 따라, 혼합 용액 전체가 균일하게 그리고 빠르게 가열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파를 이용함으로써, 반응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한편, 혼합 용액 중에는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CNT가 존재하는데, 그 탄소나노튜브 내에 존재하는 자유 전자가 마이크로파의 흡수를 가속화하는 역할을 한다. 자유 전자가 가속됨에 따라, 탄소 격자 역시 빠르게 진동되어, 마이크로파 가열 하에서 용액 중의 탄소나노튜브는 주변의 용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가열된다. 결국, 마이크로파의 조사에 따른 용액 가열 분위기에서, 탄소나노튜브 표면에서 전이금속 산화물의 핵생성이 촉진되어 선택적 불균일 핵생성 성장이 야기되어, 혼합 용액 중의 티타늄 염이 상기 과정에 따라 티타늄 산화물(TiO2) 형태로 CNT 표면에 빠르게 형성되며, 나노입자의 형태로 고르게 형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모든 과정이 단시간, 즉 10분 내지 30분 내에 완결될 수 있었다. 한편,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혼합 용액을 가열하여, 그 용액에 존재하는 금속 염을 산화물 형태로 바꾸는 과정, 즉 수열 합성 과정은 혼합 용액의 끓는점 이상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마이크로파를 혼합 용액에 인가할 때, 그 마이크로파는 단지 혼합 용액을 가열하는 역할만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매의 분자 구조의 결합을 해체하는 것과 같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파는 그 양자 에너지가 용매 분자들의 화학적 결합 에너지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2.45~60 GHz의 진동수를 갖는 마이크로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컨대, 2.45 GHz의 마이크로파의 양자 에너지는 약 0.0016 eV이고, 용매, 즉 물 분자의 화학적 결합 에너지는 약 0.21 eV로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인가되는 에너지는 혼합 용액을 가열할 뿐, 용매의 분자 결합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어서, 상기 마이크로파-수열합성 과정의 결과 합성된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를 세척하고 건조하였다(S150). 즉, 상기 혼합 용액 중 일부 용액이 상기 복합체에 남아 있을 수 있고 또 부가적으로 화합물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복합체를 세정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세척 과정에서, 세척 용액으로는 에탄올 혹은 아세톤을 이용하였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탈이온수(DI)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혹시 남아 있을 수 있는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해 에탄올이나 아세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탄올이나 프로판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세척 과정은 상기 복합체에 남아 있는 용액 혹은 화합물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건조는 일반 건조, 예컨대 상온~70℃에서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실시 예에 따라 제조한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의 XRD 분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제조한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의 FETEM(Field 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sroscope) 사진으로서, 도 3의 (b)는 (a)의 확대 사진이다.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소나노튜브 상에 나노크기의 티타늄 산화물이 나노입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태가 모두 구형이다(그 입경은 약 2~10 nm). 즉, 본 발명에 따라 CNT 표면에 전이금속 산화물을 나노크기의 입자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법에 따라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 형성 시, 마이크로파를 단지 10~30분 정도 용액에 조사하기만 하면, 상기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복합체 제조 시간을 대폭 줄일 수가 있다. 또한, 복합체 제조시 CNT 표면에 어떠한 산처리를 하지 않고도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어, CNT 표면을 산처리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CNT 표면에 적층되는 티타늄 산화물이 나노입자 형태로 적층되기 때문에, 높은 비표면적을 구현할 수 있고, 따라서 이차 전지에 적용시 전해질을 용이하게 침투시킬 수가 있으며, 우수한 충방전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탄소나노튜브 상의 티타늄 산화물의 적층량은 초기 용액 제조시 티타늄 염의 농도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2. 실험 예 2 - Fe3O4/CNT 복합체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이금속 산화물/CNT 복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실험 예와 비교하여, 전이금속 염, 즉 철 염과 암모니아를 CNT 분산 용액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험 예에서 철염은 FeCl2 , FeCl3를 사용하였는데, 이 두 염(2가, 3가)을 섞은 뒤 pH 조절을 하면 Fe3O4가 형성되며, 이러한 pH 조절을 위해 암모니아를 사용하였다.
도 1에 도시한 실험 예와 마찬가지로, 철 염과 암모니아 및 CNT 분산 용액의 혼합용액에 마이크로파를 약 10분간 적용하여 반응 프로세스를 수행한 결과, CNT 표면에 철 산화물(Fe3O4) 나노입자를 형성할 수 있었다.
도 5에는 상기 실시 예에 따라 제조한 철 산화물/CNT 복합체의 XRD 분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철 산화물/CNT 복합체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제조한 철 산화물/CNT 복합체의 FETEM 사진으로서, 도 6의 (b)는 (a)의 확대 사진이다. 도 6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소나노튜브 상에 나노크기의 철 산화물이 입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태가 모두 구형이고(그 입경은 약 2~10 nm) 또 표면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CNT 표면에 전이금속 산화물(철 산화물)을 나노입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철 산화물/CNT 복합체 형성 시, 마이크로파를 단지 10분 정도 혼합 용액에 조사하기만 하면, 상기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복합체 제조 시간을 대폭 줄일 수가 있다. 또한, 복합체 제조시 CNT 표면에 어떠한 산 처리를 하지 않고도 철 산화물/CNT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어, CNT 표면을 산 처리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CNT 표면에 적층되는 철 산화물이 나노입자 형태로 적층되기 때문에, 높은 비표면적을 구현할 수 있고, 이차 전지에 적용시 전해질을 용이하게 침투시킬 수가 있으며, 우수한 충방전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탄소나노튜브 상의 철 산화물의 적층량은 초기 용액 제조시 철 염의 농도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3. 실험 예 3 - 스피넬 구조의 Li4Ti5O12/CNT 복합체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이금속 산화물을 나노크기의 입자 형태로 CNT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최근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재료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스피넬 구조의 Li4Ti5O12/CNT 복합체를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다음과 같이 실험하여, 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피넬 구조의 Li4Ti5O12/CNT 복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스피넬 구조의 Li4Ti5O12/CNT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에 따라 제조한 티타늄 산화물(TiO2)/CNT 복합체 분말을 준비하였다(S310).
이어서, 상기 준비한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 분말을 용매, 즉 증류수에 첨가한 후 교반하여 용액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S320). 즉 증류수에 분말 상태의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 분말을 첨가한 다음, 초음파를 조사하여 상기 분말 복합체를 증류수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초음파 처리하여 티타늄 산화물/CNT 분말 복합체가 균일하게 분산된 증류수 용액에 0.2몰(0.2M)의 리튬염(LiOH)과 리튬퍼클로로레이트(LiClO4)를 혼합하고 교반하여(S330), 수열합성을 위한 전 단계 과정을 수행하였다.
다음에, 상기 혼합 용액을 마이크로파 합성 장치 내에 배치한 다음,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수열합성을 진행하였다(S340). 즉, 한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 장치에서 상기 혼합 용액을 2.45~60 GHz로 10~30분간 반응시켰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이, 마이크로파를 상기와 같이 준비한 혼합 용액에 적용한 결과 놀라운 결과를 발견하였다. 즉, 마이크로파 적용 결과,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 표면에서 리튬이 티타늄 산화물과 결합되어, 리튬 티타늄 산화물이 형성됨과 아울러, CNT 표면에 선택적으로 나노 입자 형태로 균일하게 형성되었다. 그 형성 메커니즘은 실험 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상기 마이크로파-수열합성 과정의 결과 합성된 리튬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를 세척하여 건조하였다(S350). 즉, 상기 혼합 용액 중 일부 용액이 상기 복합체에 남아 있을 수 있고 또 부가적으로 화합물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복합체를 세정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세척 과정에서, 세척 용액으로는 에탄올 혹은 아세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합체에 남아 있는 용액 혹은 화합물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반복하여 세척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건조는 일반 건조, 예컨대 상온~70℃에서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복합체에 대하여 열처리를 수행하여,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Li4Ti5O12)/CNT 복합체를 형성하였다(S360). 이때, 열처리는 리튬 티타늄 산화물의 나노구조를 붕괴시키지 않으면서, 리튬 티타늄 산화물이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나튬 산화물(Li4Ti5O12)로 구조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온도 범위에서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아르곤 분위기(수소 5 wt% 포함) 하에서 약 500℃~900℃의 온도에서 약 4시간 내지 6시간의 열처리를 수행한다.
도 8에는 상기 실시 예에 따라 제조한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의 XRD 분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는 상기 형성한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의 Raman data인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라 형성한 리튬 티타늄 산화물이 스피넬 구조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XRD 및 Raman data를 통해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을 확인하는 방법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예컨대, Martin Kalvac et. al "Phase-pure nanocrystalline Li4Ti5012 for a lithium ion battery", J Solid State Electrochem (2003) 8; 2-6 참조).
도 10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제조한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의 FETEM 사진으로서, 도 10의 (b)는 (a)의 확대 사진이다. 도 10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소나노튜브 상에 나노크기의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Li4Ti5O12)이 입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입경은 약 5~30 nm이다. 즉, 본 발명에 따라 CNT 표면에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재료로 각광받고 있는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을 입자 형태로 그리고 나노크기로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법에 따라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 형성 시, 마이크로파를 단지 10~30분 정도 용액에 조사하기만 하면, 단시간에 상기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합체 제조시 CNT 표면에 어떠한 산처리를 하지 않고도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어, CNT 표면을 산처리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CNT 표면에 적층되는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이 CNT 표면에 선택적으로 나노 입자 형태로 적층되기 때문에, 높은 비표면적을 구현할 수 있고, 이차 전지에 적용시 전해질을 용이하게 침투시킬 수가 있으며, 우수한 충방전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탄소나노튜브 상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의 적층량은 초기 용액 제조시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의 양과 리튬 염의 농도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4. 전기 화학적 특성
본 발명자는 상기 실시 예에 따라 제조한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의 전기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를 음극재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을 위해, 반전지(half-cell)에서 전극의 충전, 방전 용량 특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 80 중량부에 도전제로 카본블랙 10 중량부와 바이던로 PVDF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NMP(N-methyl-2-pyrrolidone)에 첨가하여 전극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티타늄(Ti) 집전체 상에 2~3 mg 도포 및 건조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기준 전극 및 상대 전극으로 리튬 금속을 사용하였고, 전해질로는 1M의 LiClO4 in PC(polycarbonate)를 사용하였다. 전압 범위는 1~3V로 하였고, 충전 방전 속도를 1C-rate(1시간)로부터 50C-rate(72초)까지 변화시켰다. 도 11은 충전, 방전 용량 특성 평가를 통해 얻어낸 전극의 단위 무게당 활물질의 용량을 보여주는데, 기존에 보고된 용량 값보다 더 나은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1C-rate에서 이론용량(175 mAh/g)을 모두 발현하였고, 특히 50C-rate에서도 용량이 약 100 mAh/g 이상, 즉 약 104 mAh/g의 값을 가졌는데, 이는 기존에 보고된 리튬 이차 전지와 비교하여 매우 큰 값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로 음극 소재를 구성하여 리튬 이차 전지에 적용한다면, 종래와 비교하여 충방전 특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충방전 특성의 개선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복합체에서 전이금속 산화물이 나노입자의 형태로 CNT 표면에 형성되어, 즉 산화물의 나노화로 비표면적을 증대시키고 또 CNT가 전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충방전 특성(용량 및 레이트 특성)을 개선한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CNT 복합체의 수명 특성을 보여준다. 1C-rate 기준으로, 100 사이클 후에 초기 방전 용량의 약 95% 이상, 즉 약 97%의 방전 용량값을 유지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 구성이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이금속으로서 티타늄과 철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이들 티타늄과 철을 제외한 다른 전이금속을 이용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5)

  1. (a)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용매에 첨가한 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와;
    (c) 상기 용액에 전이금속 염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d) 상기 혼합 용액에 마이크로파를 인가하여, 상기 혼합 용액과 그 용액 중의 탄소나노튜브를 가열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전이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를 형성함으로써,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인가된 마이크로파에 의해, 상기 혼합 용액 중의 탄소나노튜브를 상대적으로 더 고온으로 가열하여, 그 표면에서 전이금속 산화물의 선택적 불균일 핵생성 및 성장을 야기함으로써, 상기 혼합 용액 중의 전이금속 염을 수열합성 과정에 따라 상기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전이금속 산화물 나노입자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합성하는 것인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는 상기 혼합용액의 용매의 분자 구조를 해체하지 않는 크기의 에너지를 갖는 진동수의 마이크로파인 것인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는 2.45~60 GHz의 진동수를 갖는 것인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는 10분 내지 30분 동안 상기 혼합 용액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한 혼합 용액의 가열은 그 혼합 용액의 비등점 이상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상기 용매 중에 균일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 상기 (d) 단계에서 합성된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세정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에탄올 혹은 아세톤을 이용하여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염은 철 염이고 암모니아를 상기 혼합 용액에 추가로 혼합하며,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철 염과 암모니아가 혼합된 혼합 용액에 마이크로파를 인가하여, 상기 나노튜브의 표면에 철 산화물 나노입자를 형성함으로써, Fe3O4/CNT 복합체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철 산화물 나노입자는 그 입경이 약 2~1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염은 티타늄 염이고,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염이 혼합된 혼합 용액에 마이크로파를 인가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티타늄 산화물 나노입자를 형성함으로써, TiO2/CNT 복합체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산화물 나노입자는 그 입경이 약 2~1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합성된 TiO2/CNT 복합체 분말을 용매에 첨가한 후 교반하여 용액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TiO2/CNT 복합체 분말이 분산된 용액에 리튬염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상기 리튬염이 혼합된 혼합 용액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리튬이 TiO2/CNT 복합체 표면에서 티타늄 산화물과 결합하도록 하여, 나노크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 입자가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형성된 리튬 티타늄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2.45~60 GHz의 진동수를 갖는 마이크로파를 약 10~30분 동안 상기 리튬염이 혼합된 혼합 용액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타늄 산화물 나노입자는 그 입경이 약 5~3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에 대하여 수소를 포함하는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상기 리튬 티타늄 산화물의 나노구조를 붕괴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리튬 티타늄 산화물이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Li4Ti5O12)로 구조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온도 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약 500~900℃의 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20.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Li4Ti5O12)과 탄소나노튜브 복합체로서,
    상기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은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나노크기의 입자 형태로 적층되어, 높은 비표면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Li4Ti5O12)/탄소나노튜브 복합체.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은 그 입경이 약 5~3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Li4Ti5O12)/탄소나노튜브 복합체.
  22. 청구항 20에 따른 스피넬 구조의 리튬 티타늄 산화물(Li4Ti5O12)/탄소나노튜브 복합체로 이루어진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소재.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음극 소재는 50C-rate에서 약 100 mAh/g 이상의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소재.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음극 소재는 1C-rate에서 100 사이클 방전 후 초기 방전 용량의 95% 이상의 방전 용량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소재.
  25.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극 소재로 이루어진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100036146A 2010-04-20 2010-04-20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 KR101250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146A KR101250587B1 (ko) 2010-04-20 2010-04-20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
CN201180015799.6A CN102971891B (zh) 2010-04-20 2011-04-20 制备过渡金属氧化物和碳纳米管复合材料的方法及其复合材料
US13/635,872 US9640796B2 (en) 2010-04-20 2011-04-20 Preparation method of transition metal oxide and carbon nanotube composite, and composite thereof
EP11772220.7A EP2562854B1 (en) 2010-04-20 2011-04-20 Preparation method of transition metal oxide and carbon nanotube composite, and composite thereof
PCT/KR2011/002830 WO2011132932A2 (ko) 2010-04-20 2011-04-20 전이금속 산화물 및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146A KR101250587B1 (ko) 2010-04-20 2010-04-20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622A true KR20110116622A (ko) 2011-10-26
KR101250587B1 KR101250587B1 (ko) 2013-04-03

Family

ID=4483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146A KR101250587B1 (ko) 2010-04-20 2010-04-20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40796B2 (ko)
EP (1) EP2562854B1 (ko)
KR (1) KR101250587B1 (ko)
CN (1) CN102971891B (ko)
WO (1) WO2011132932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864B1 (ko) * 2012-03-28 2013-12-12 비나텍주식회사 활성탄-전이금속산화물 복합체 전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3720A (ko) * 2012-12-06 2014-06-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이금속 산화물/그래핀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9595B1 (ko) * 2012-04-06 2014-09-1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로서 칼륨-철산화물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605146B1 (ko) * 2014-12-31 2016-03-22 주식회사 이아이지 리튬이차전지용 cnt-lto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및 cnt-lto 복합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WO2016099231A1 (ko) * 2014-12-19 2016-06-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기 나노입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51099A (ko) * 2016-11-08 2018-05-16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과립형 아나타제-브론즈형 이산화티타늄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80066615A (ko) * 2016-12-09 2018-06-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그래핀/탄소나노튜브/무기산화물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
US10276870B2 (en) 2013-07-31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e cathode active material,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1448690A (zh) * 2017-10-09 2020-07-24 科学与工业研究理事会 阴极材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391A2 (ko) * 2009-12-04 2011-06-09 주식회사 루트제이제이 나노 중공 섬유형 탄소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전구체,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CN103187575B (zh) * 2011-12-28 2015-11-25 清华大学 薄膜锂离子电池的制备方法
CN103508449B (zh) * 2012-06-29 2016-01-20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修饰有金属纳米粒子的石墨烯复合材料的制备方法
CA2794290A1 (en) * 2012-10-22 2014-04-22 Hydro-Quebec Method of producing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using such electrode material
CN103794382A (zh) * 2012-10-31 2014-05-14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石墨烯-碳纳米管复合薄膜及电化学电容器的制备方法
CN103043642A (zh) * 2013-01-17 2013-04-17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镍纳米颗粒功能化碳纳米管的制备方法和装置
CN103151495B (zh) * 2013-03-20 2015-03-25 河南师范大学 一种锂离子电池复合负极材料的制备方法
US10018583B2 (en) * 2013-03-21 2018-07-10 Cornell University Carbon material supported hollow metal oxide nanoparticles, methods and applications
CN103400889B (zh) * 2013-07-02 2016-03-30 宁国市龙晟柔性储能材料科技有限公司 全固态纤维状同轴聚合物太阳电池和超级电容器集成器件及其制备方法
CN103482614B (zh) * 2013-09-09 2015-11-11 东南大学 一种石墨烯-ZnO纳米颗粒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1437390B1 (ko) 2013-12-05 2014-09-04 대한민국 마이크로파 조사로 만든 자성을 띈 활성탄 및 그 제조방법
KR101785268B1 (ko) * 2013-12-10 2017-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및 상기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CN103721752B (zh) * 2013-12-20 2016-04-06 江苏大学 一种双导电磁性印迹光催化剂的制备方法
CN105439116B (zh) * 2014-08-13 2017-12-29 清华大学 一种碳纳米管催化剂自循环利用的方法
CN104617261B (zh) * 2015-01-23 2017-01-18 福建翔丰华新能源材料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硅碳纳米管复合负极材料制备方法
US20170214038A1 (en) * 2016-01-25 2017-07-27 Ford Cheer International Limited Lithium titanate electrode material, producing method and applications of same
CN106047290B (zh) * 2016-06-24 2018-07-24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纳米四氧化三铁磁性粒子均匀包覆碳纳米管的方法
CN108666538A (zh) * 2017-04-01 2018-10-16 清华大学 锂离子电池
CN108735969B (zh) 2017-04-24 2020-09-29 清华大学 锂离子电池负极及柔性锂离子电池
CN108735979B (zh) 2017-04-24 2020-12-04 清华大学 锂离子电池负极的制备方法
CN107275614A (zh) * 2017-06-26 2017-10-20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MoS2碳纳米管钛酸锂复合负极材料及其制备和锂电池
KR102244906B1 (ko) 2017-09-28 2021-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티타니아-탄소나노튜브-황(TiO2-x-CNT-S)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342493B (zh) * 2018-04-03 2021-07-30 清华大学 过渡金属氧化物/碳纳米管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461307A (zh) * 2018-05-11 2018-08-28 西北民族大学 锂离子混合电容器用二氧化钌@碳纳米管复合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301206B (zh) * 2018-09-26 2020-05-22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基于微波合成的ncm/lmo复合材料、制备方法及其用途
CN109698342B (zh) * 2018-12-28 2022-08-19 廊坊绿色工业技术服务中心 一种金属氧化物-有序碳纳米管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880589B (zh) * 2019-11-25 2021-04-06 浙江理工大学 一种纳米碳管@二氧化钛纳米晶@碳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41316B1 (ko) 2020-03-30 2021-12-22 한국과학기술원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산화물의 코팅량이 조절된 탄소나노튜브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545437B (zh) * 2020-05-09 2022-08-05 江苏匀超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与碳基材料电极表面碳纳米管涂层及其制备方法
KR102379667B1 (ko) 2020-06-10 2022-03-29 한국과학기술원 이산화티타늄이 층별 코팅된 탄소나노튜브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008090B (zh) * 2020-09-01 2023-04-07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一种链状金属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853004A (zh) * 2022-04-25 2022-08-05 蜂巢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2959B2 (ja) 2000-01-26 2011-03-02 東邦チタニウム株式会社 チタ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
JP4139135B2 (ja) 2002-05-14 2008-08-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0558966B1 (ko) * 2003-07-25 2006-03-10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가 강화된 금속 나노복합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100740860B1 (ko) 2005-01-26 2007-07-19 김영희 수처리제 및 그것을 이용한 알칼리 환원수의 제조 방법
US20090304923A1 (en) 2005-03-11 2009-12-10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wave Synthesis of Metal-Carbon Nanotube Composites
KR100696361B1 (ko) * 2005-03-15 2007-03-19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고체상의 탄소를 탄소소스로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CN1971780B (zh) * 2005-11-23 2010-04-21 北京化工大学 纳米四氧化三铁包覆碳纳米管磁性复合材料的制备方法
US7820137B2 (en) * 2006-08-04 2010-10-26 Enerdel, Inc. Lithium titanat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200421511Y1 (ko) 2006-04-25 2006-07-14 박초자 알칼리수 생성기
KR101310668B1 (ko) 2007-07-25 2013-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단계 기판 식각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테라헤르츠 발진기
KR100886082B1 (ko) 2007-10-25 2009-02-2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성 천연광물 가공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3503B1 (ko) * 2007-11-02 2009-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그 음극활물질을 구비한 리튬이차전지
KR100888685B1 (ko) * 2007-11-05 2009-03-13 주식회사 코캄 코어-쉘형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과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0931095B1 (ko) 2008-03-06 200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금속산화물을 양극 및 음극에 적용한 비대칭 하이브리드커패시터
KR101100745B1 (ko) * 2008-05-29 2011-12-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웨이브-폴리올 합성법을 이용한 전이금속 산화물및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
JP2012502467A (ja) 2008-09-08 2012-01-26 ナンヤン テクノロジカル ユニヴァーシティー 電極材料としてのナノ粒子修飾ナノ構造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0052950A1 (ja) * 2008-11-04 2010-05-14 国立大学法人岩手大学 不定比チタン化合物、その炭素複合体、それら化合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化合物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並びに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864B1 (ko) * 2012-03-28 2013-12-12 비나텍주식회사 활성탄-전이금속산화물 복합체 전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1439595B1 (ko) * 2012-04-06 2014-09-1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로서 칼륨-철산화물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40073720A (ko) * 2012-12-06 2014-06-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이금속 산화물/그래핀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10276870B2 (en) 2013-07-31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e cathode active material,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6099231A1 (ko) * 2014-12-19 2016-06-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기 나노입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05146B1 (ko) * 2014-12-31 2016-03-22 주식회사 이아이지 리튬이차전지용 cnt-lto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및 cnt-lto 복합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180051099A (ko) * 2016-11-08 2018-05-16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과립형 아나타제-브론즈형 이산화티타늄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80066615A (ko) * 2016-12-09 2018-06-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그래핀/탄소나노튜브/무기산화물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
CN111448690A (zh) * 2017-10-09 2020-07-24 科学与工业研究理事会 阴极材料
US11621416B2 (en) 2017-10-09 2023-04-04 Csir Campus Cathode material
CN111448690B (zh) * 2017-10-09 2024-01-05 科学与工业研究理事会 阴极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40796B2 (en) 2017-05-02
WO2011132932A3 (ko) 2012-03-08
EP2562854B1 (en) 2022-03-02
KR101250587B1 (ko) 2013-04-03
EP2562854A4 (en) 2015-04-08
WO2011132932A2 (ko) 2011-10-27
US20130037758A1 (en) 2013-02-14
EP2562854A2 (en) 2013-02-27
CN102971891A (zh) 2013-03-13
CN102971891B (zh)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587B1 (ko) 전이금속 산화물/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
Li et al. Structural and electrochemical study of hierarchical LiNi1/3Co1/3Mn1/3O2 cath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Wang et al. All-manganese-based Li-ion batteries with high rate capability and ultralong cycle life
Chou et al. Rapid synthesis of Li4Ti5O12 microspheres as anode materials and its binder effect for lithium-ion battery
JP5326567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材料、それを備え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法
Park et al. Carbon-coated magnetite embedded on carbon nanotubes for rechargeable lithium and sodium batteries
Roh et al. In situ synthesis of chemically bonded NaTi 2 (PO 4) 3/rGO 2D nanocomposite for high-rate sodium-ion batteries
JP6237617B2 (ja) 正極活物質−グラフェン複合体粒子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材料
Xin et al. Enhanc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Fe0. 74Sn5@ reduced graphene oxide nanocomposite anodes for both Li-ion and Na-ion batteries
JP6241480B2 (ja) 高分散性グラフ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高分散性グラフェン組成物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
Tang et al. Mn-doped ZnFe2O4 nanoparticles with enhanced performances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Liu et al. One-step microwave synthesis of micro/nanoscale LiFePO4/graphene cathode with high performance for lithium-ion batteries
Ding et al. Octagonal prism shaped lithium iron phosphate composite particles as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for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y
JP2020100556A (ja) グラフェン分散液の製造方法
JP5083866B2 (ja) リチウム電池用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活物質を用いたリチウム電池
Chaudhary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cathode materials for energy storage devices: A review
Wu et al. Inducing [001]-orientation in Nb2O5 capsule-nanostructure for promoted Li+ diffusion process
Kim et al. Improved lithium ion behavior properties of tio2@ graphitic-like carbon core@ shell nanostructure
JP2012006821A (ja) リチウムマンガン酸化物−炭素ナノ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Sun et al. Outstanding Li-storage performance of LiFePO4@ MWCNTs cathode material with 3D network structure for lithium-ion batteries
Huo et al. Self‐supporting and binder‐free anode film composed of beaded stream‐like Li4Ti5O12 nanoparticles for high‐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Sundriyal et al. Revealing the effect of oxygen defects and morphology on Li-storage performance of calcium iron oxide
Xu et al. Hydrothermal synthesis of manganese oxides/carbon nanotubes composites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Kim et al. Synthesis of reduced graphene oxide-modified LiMn0. 75Fe0. 25PO4 microspheres by salt-assisted spray drying for high-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Xin et al. Organic solvent-assisted free-standing Li 2 MnO 3· LiNi 1/3 Co 1/3 Mn 1/3 O 2 on 3D graphene as a high energy density cath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