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847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847A
KR20110066847A KR1020100115100A KR20100115100A KR20110066847A KR 20110066847 A KR20110066847 A KR 20110066847A KR 1020100115100 A KR1020100115100 A KR 1020100115100A KR 20100115100 A KR20100115100 A KR 20100115100A KR 20110066847 A KR20110066847 A KR 20110066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housing
side wall
terminal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미도리카와
쇼헤이 호소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6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하우징 측벽의 외면과 실드판 사이에서 적정한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단자와 실드판 사이의 적정한 절연 거리를 유지하고, 양호한 실드 상태를 실현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복수의 단자 (20) 와, 단자 (20) 를 배열 유지하는 직육면체 외형의 하우징 (10) 과, 금속판을 굴곡시켜 형성되고 하우징에 장착된 실드판 (30) 을 구비하는 커넥터 (1) 에 있어서, 실드판 (30) 은, 단자 배열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향하는 하우징 (10) 의 2 개의 측벽 (14) 중, 1 개의 측벽 (14) 의 외면을 따라 측벽 (14) 의 외면을 길이 방향 전역에 걸쳐 덮는 실드부 (31) 와, 실드부 (31) 의 양 단에서 굴곡되고, 하우징 (10) 의 측벽 (14) 의 양 단에 위치하는 단벽 (15) 에 형성된 유지부에서 유지되는 피유지부를 갖고 있고, 실드부 (31) 는, 그 실드부 (31) 의 일부에서 하우징 (10) 측벽 (14) 의 외면에 맞닿을 수 있는 규제부 (31C) 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는, 그 하우징의 주벽면을 덮는 실드판이 장착되는 경우가 많다. 그 실드판을 갖는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과 같은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는, 대략 직육면체 외형을 이루고 상방으로부터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중앙에 형성된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연장되는 2 개의 측벽의 각각에 배열 형성된 복수의 단자 유지홈 (단자 수용 캐비티) 내에서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그 측벽의 외면을 덮는 2 개의 실드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각 실드부재는, 하우징 측벽의 외면을 덮는 실드부 (본체부) 와, 그 실드부의 양 단측에서 굴곡되어 형성된 2 개의 피유지부를 갖고 있다. 하우징 측벽의 양 단에 위치하는 단벽에는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유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실드부재는 그 유지홈에서 피유지부가 유지됨에 따라서 그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실드부재가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단자와 실드부재의 실드부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형성되고, 이로써 절연 거리, 즉 단자와 실드부의 최단 거리가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26477
상기 특허문헌 1 과 같이 실드판이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서는, 적정한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단자와 실드부 간에 소정 거리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 측벽의 외면과 실드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실드부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 측벽의 외면과 실드부 사이에 간극이 있을 때, 그 중간부가 제조 오차, 조립 오차 혹은 불의의 외력 등에 기인하여 하우징의 측벽을 향하여 젖혀지도록 휨 변위되는 경우가 있다. 실드판은, 상하 방향에서는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절연 거리에 영향을 주는 것은, 실드부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실드부와 하우징의 측벽 사이의 거리 변동, 즉 실드부의 휨 변위가 된다. 따라서, 이 실드부의 휨 변위에 의하여, 그 실드부가 상기 측벽에 가까워져 단자와 실드부의 최단 거리가 과잉되게 작아지면, 적정한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요컨대, 상기 절연 거리는 그 측벽의 외면과 실드부의 거리, 즉 상기 간극의 치수에 의하여 정해진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측벽의 외면과 실드판 사이에서 적정한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단자와 실드판 사이의 적정한 절연 거리를 유지하고, 양호한 실드 상태를 실현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와, 그 단자를 배열 유지하는 직육면체 외형의 하우징과, 금속판을 굴곡시켜 형성되어 그 하우징에 장착되는 실드판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드판은, 단자 배열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2 개의 측벽 중, 1 개의 측벽의 외면을 따라 그 측벽의 외면을 그 길이 방향 전역에 걸쳐 덮는 실드부와, 그 실드부의 양 단에서 굴곡되고, 상기 하우징 측벽의 양 단에 위치하는 단벽에 형성된 유지부에서 유지되는 피유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실드부는, 그 실드부의 일부에서 하우징 측벽의 외면에 맞닿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드판의 실드부는, 그 실드부의 일부에서 하우징 측벽의 외면에 맞닿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제조 오차, 조립 오차 혹은 불의의 외력 등에 기인하여 실드부가 판두께 방향으로 하우징의 측벽을 향하여 변위되었을 때, 그 실드부의 규제부가 하우징 측벽의 외면에 맞닿기 때문에, 실드부의 그 이상의 휨 변위가 규제된다. 이 결과, 단자와 실드부 사이에 소정 거리의 간극이 유지되어 적정한 절연 거리가 확보된다.
실드판은,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하우징에 장착되기 전의 자유 상태보다, 길이 방향에서의 피유지부끼리 사이의 간격이 넓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드판이 하우징에 장착되기 전의 자유 상태에서, 그 실드판의 피유지부가 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방향, 바꾸어 말하면, 그 실드판의 굴곡 각도가 정확하지 않으면, 실드판이 유지부에서 정규 형태로 교정되어 유지되었을 때, 그 교정시의 변형의 영향으로, 적정한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그 실드판의 굴곡 각도가 정규 각도인 90 도이지만, 실제로는 장착 전의 자유 상태시의 굴곡 각도가 90 도보다 크게 만들어졌을 경우, 즉 양 피유지부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양 피유지부 사이의 거리가 서서히 증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유지부를 하우징의 유지홈 내에 삽입하기 위하여, 그 피유지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90 도가 되도록 실드판의 장착시의 각도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결과, 실드부는 하우징 측벽의 외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만곡 변형되기 때문에, 그 측벽의 외면과 그 실드부의 간격이 넓어져 적정한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또, 실드부가 상기 측벽의 외면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만곡 변형됨으로써, 그 실드판이 커넥터에 인접하는 다른 전자 기기에 간섭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실드판은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하우징에 장착되0기 전의 자유 상태보다, 길이 방향에서의 피유지부끼리 사이의 간격이 넓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드판을 하우징에 장착하면, 길이 방향에서의 피유지부끼리 사이의 간격이 넓어짐으로써, 실드부의 중간부가 하우징 측벽의 외면을 향하여 만곡되어 젖혀지도록 변위된다. 그러나, 만일, 그 중간부의 변위량이 과대해진다고 해도, 실드부의 규제부가 측벽의 외면에 맞닿기 때문에, 실드부의 소정량 이상의 변위가 규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드부가 하우징 측벽의 외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경우 그리고 그 측벽의 외면에 지나치게 가까워지는 경우가 없이, 그 측벽의 외면과 실드부 사이에 소정 거리가 유지되므로 적정한 절연 거리가 확실하게 확보된다. 또, 그 실드부가 하우징 측벽의 외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커넥터에 인접하는 다른 전자 기기에 그 실드부가 간섭하는 경우도 없다.
또, 본 발명에서는, 동일 형상의 2 개의 실드판이 서로 대칭을 이루어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2 개의 실드판을 하우징에 장착하면, 그 하우징의 양 측벽이 덮이기 때문에, 편방의 측벽만을 실드판으로 덮는 경우와 비교하여 실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2 개의 실드판은 동일 형상이므로, 각 실드판마다 별개의 금형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실드판의 제조 비용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규제부는, 실드부의 길이 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드부의 변위가 가장 큰 위치인 길이 방향 중앙에 규제부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의 측벽을 향한 실드부의 소정량 이상의 변위를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드판의 실드부가 하우징 측벽의 외면에 맞닿을 수 있는 규제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제조 오차, 조립 오차 혹은 불의의 외력에 기인하여 하우징의 측벽을 향하여 실드부가 젖혀지도 변위되어도, 측벽의 외면에 실드부의 규제부가 맞닿음으로써 그 실드부의 소정량 이상의 변위가 규제되므로, 그 측벽의 외면과 실드부 사이에 소정 거리가 유지되어 적정한 절연 거리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양호한 실드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전기 커넥터의 실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하우징에 장착되기 전의 자유 상태에 있는 실드판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의 II-II 단면도로서, 단자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 (1)(이하, 간단히 「커넥터 (1) 」라고 한다) 는 상방으로부터 상대 커넥터 (도시 생략) 를 수용하여 그 상대 커넥터와 끼워 맞추는 커넥터이다. 그 커넥터 (1) 는, 직육면체 외형을 이루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으로 그 하우징 (10) 에 배열 유지되는 금속판제의 복수의 단자 (20) 와, 그 하우징 (10) 에 장착되는 금속판제의 2 개의 실드판 (30) 을 갖고 있다. 단자 (20) 는 2 열로 배열 되어 있고, 양 열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즉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 (도 2 의 지면에 직각인 방향) 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이하,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 그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 (도 2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을 「단자 대향 방향」이라고 한다.
하우징 (10) 은, 상방으로 개구되어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 (11) 를 갖고 있다. 그 수용 오목부 (11) 는, 하우징 (10) 의 주벽 (12) 의 내벽면, 바닥벽 (13) 의 상면 및 후술하는 중앙 벽부 (16) 의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하우징 (10) 의 주벽 (12) 은, 그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측벽 (14) 과, 그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되어 그 2 개의 측벽 (14)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 개의 단벽 (15) 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도 1 및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벽 (13) 의 상면으로부터는, 중앙 벽부 (16) 가 돌출되어 있고,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중앙 벽부 (16) 는, 수용 오목부 (l1) 의 중앙에서 섬 형상을 이루고 있어, 수용 오목부 (11) 에 둘러싸여 있다.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은, 중앙 벽부 (16) 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도 2 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우측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하우징 (10) 에는,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진 단자 (20) 의 후술하는 접촉부 (22) 및 연결부 (23)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부 (17) 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수용홈부 (17) 는 중앙 벽부 (16) 의 측면 및 바닥벽 (13) 의 상면에 있어서, 단자 (20) 의 판두께와 거의 동일한 치수의 홈폭을 갖고 도 2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및 하방향으로 몰입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수용홈부 (17) 는 중앙 벽부 (16) 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 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용홈부 (17A) 와, 바닥벽 (13) 을 따라 좌우 방향 (단자 대향 방향) 으로 연장되는 하측 수용홈부 (17B) 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0) 은 단자 (20) 를 유지하기 위한 단자 유지부 (14A) 가 측벽 (14) 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단자 유지부 (14A) 는, 그 벽면이 측벽 (14) 의 외면보다, 후술하는 단자 (20) 의 역 U 자 형상의 단자 피유지부 (21) 를 받아들이는 깊이 만큼 몰입된 형상을 이루고, 그 몰입 공간을 유지홈부 (14A-1) 로 하고 있다. 또, 몰입 공간으로서 형성된 유지홈부 (14A-1) 는, 단자 (20) 의 폭과 거의 동일한 치수인 홈 깊이로 형성되고 있고, 상기 단자 피유지부 (21) 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그 단자 피유지부 (21) 가 단자 유지부 (14A) 에 유지된다.
측벽 (14) 의 양 단에 위치하는 단벽 (15) 은, 단자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단벽 (15A) 과, 그 단자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그 주단벽 (15A) 의 양 단으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벽 (14) 으로 이어지는 부단벽 (15B) 으로 이루어져 있고, 2 개의 측벽 (14)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즉, 그 단벽 (15) 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U 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단벽 (15) 은 측벽 (14) 보다 상하 방향의 치수가 크고, 그 단벽 (15) 의 상면은 측벽 (14) 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U 자 형상을 이루는 단벽 (15) 의 상면에는, 대략 U 자 형상 부분의 내측 가장자리부의 전역에 걸쳐서, 수용 오목부 (11) 를 향하여 내려가도록 경사진 유입(誘入) 경사면 (15C) 이 형성되어 있다. 그 유입 경사면 (15C) 은 상대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일 때, 그 상대 커넥터를 수용 오목부 (11) 를 향하여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이다. 그 유입 경사면 (15C) 은 단자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면 (15C-1),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면 (15C-2), 그 경사면 (l5C-1) 과 경사면 (15C-2) 사이를 연결하여 단자 배열 방향 및 단자 대향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 (15C-3) 을 갖고 있다. 그 경사면 (15C-1) 은 단자 배열 방향으로, 경사면 (15C-2) 은 단자 대향 방향으로, 경사면 (15C-3) 은 단자 배열 방향 및 단자 대향 방향으로 상대 커넥터를 안내한다.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단벽 (15A) 에는 실드판 (30) 을 유지하는 위한 유지부 (15A-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유지부 (15A-1) 는 단자 대향 방향에서, 주단벽 (15A) 의 중앙 (중점) 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유지부 (15A-1) 는 주단벽 (15A) 의 상반부에서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고 상방 그리고 단자 대향 방향 외방으로 개구되는 슬릿 형상부와, 그 슬릿 형상부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2 개의 구멍부 (도시 생략) 으로 이루어져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유지부 (15A-1) 는 슬릿 형상부에서 실드판 (30) 의 피유지부 (32) 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됨과 함께, 2 개의 구멍부에서 그 피유지부 (32) 의 2 개의 압입 다리부 (32A) 가 상방으로부터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 유지부 (15A-1) 의 상측 가장자리 (3 변) 에는 실드판 (30) 의 피유지부 (32) 를 안내하기 위한 유입 경사면 (15A-2) 이 형성되어 있다.
부단벽 (15B) 은 후술하는 실드판 (30) 의 그랜드편 (31A) 을 수용하기 위한 그랜드편 수용홈 (15B-1) 이 형성되어 있다. 그 그랜드편 수용홈 (15B-1) 은 부단벽 (15B) 의 상면, 경사면 (15C-2), 부단벽 (15B) 의 내벽면에 걸쳐서 연장되는 상기 그랜드편 (31A) 의 부분을 수용하는 깊이 만큼 몰입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그랜드 수용홈 (15B-1) 은 상기 그랜드편 (31A) 보다 폭 치수가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단자 (20) 는 금속판을 타발 (打拔) 가공하여 평탄한 판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 2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누운 S 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단자 (20) 의 판면은 도 2 에 있어서 지면과 평행하다. 서로 좌우 방향에서 대향하는 단자 (20) 는,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있어서의 좌측에 위치하는 단자 (20) 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도의 우측에 위치하는 단자 (20)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도에 있어서의 좌측의 단자 (20) 는, 좌우 방향 (단자 대향 방향) 에서의 커넥터 외방에 가까운 위치에서, 하우징 (10) 의 단자 유지부 (14A) 에 걸쳐 유지되는 역 U 자 형상의 단자 피유지부 (21) 와, 내측 수용홈부 (17A) 내에서 그 중앙 벽부 (16) 와의 사이에 좌우 방향에서 약간의 간극을 형성하면서 상하 방향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 으로 연장되는 가요성을 갖는 접촉부 (22) 와, 상기 단자 피유지부 (21) 의 2 개의 다리부 중 중앙 벽부 (16) 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하단과 상기 접촉부 (22) 의 하단을 연결하여 하측 수용홈부 (17B)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23) 와, 상기 단자 피유지부 (21) 의 2 개의 다리부 중에서 중앙 벽부 (16) 로부터 떨어진 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하단으로부터 단자 대향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속부 (24) 를 갖고 있다.
상기 단자 피유지부 (21) 는 중앙 벽부 (16) 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상단으로부터 그 중앙 벽부 (16) 를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 (21C)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부 (21C) 는 상대 커넥터와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의 단자 (이하, 「상대 단자」라고 한다) 에 오목부로서 형성된 피계지부와 상하 방향으로 걸려, 상대 커넥터의 불의의 탈락을 억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접촉부 (22) 의 하단에는 중앙 벽부 (16) 를 향하여 돌출되는 스토퍼부 (22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스토퍼부 (22A) 는 커넥터 (1) 와 끼워 맞춤 상태에 있는 상대 커넥터를 발출할 때, 중앙 벽부 (16) 에 맞닿아 커넥터 (1) 의 단자 (20) 가 상방 (커넥터 발출 방향) 으로 부상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 그 접촉부 (22) 의 상단에는 상대 단자의 대응 접촉부와 탄성 접촉하는 접촉 돌기부 (22B) 가 단자 유지부 (14A)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 (1) 의 실드판 (30) 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4 는 하우징 (10) 에 장착되기 전의 자유 상태에 있는 실드판 (30) 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1, 도 2 와 함께 도 3, 도 4 도 이용하여 실드판 (30) 의 구성을 설명한다.
실드판 (30) 은 타발 가공된 금속판을 굴곡시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 형상의 2 개의 실드판 (30) 이 단자 대향 방향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어 하우징 (10) 에 장착되어 있다.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드판 (30) 은,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10) 의 하나의 측벽 (14) 의 외면을 따라 그 측벽 (14) 의 외면을 그 단자 배열 방향 전역에 걸쳐서 덮는 실드부 (31) 와, 그 실드부 (31) 의 양 단에서 굴곡되어 하우징 (10) 의 유지부 (15A-1) 에서 유지되는 2 개의 피유지부 (32) 를 갖고 있다. 그 실드부 (31) 의 길이 방향의 치수 R1 (도 4 참조) 는,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위치하는 유지부 (15A-1) 끼리의 거리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실드판 (30) 을 하우징 (10) 에 장착함으로써, 그 하우징 (10) 의 양측벽 (14) 이 실드부 (31) 에 의하여 덮이기 때문에 실드 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다.
실드부 (31) 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있어서, 상측 가장자리부로부터 그랜드편 (31A) 이 연장되어 있다. 그 그랜드편 (31A) 은,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의 그랜드 단자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그랜드편 (31A) 은 그 기부가 상기 상측 가장자리부에서 피유지부 (32) 가 연장되는 것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음과 함께, 중간부가 2 지점에서 굴곡되어 그 선단부가 하방을 향하고 있다.
상기 그랜드편 (31A) 은,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중간부가 2 지점에서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 (10) 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하우징 (10) 의 그랜드편 수용홈 (15B-1) 에 수용되고, 그 그랜드편 수용홈 (15B-1)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 그 그랜드편 (31A) 과 그 그랜드편 수용홈 (15B-1) 의 내벽면 사이에는 폭 방향으로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 그랜드편 (31A) 은 유입 경사면 (15C) 의 경사면 (15C-2)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 (1) 가 상대 커넥터를 수용할 때, 그 상대 커넥터가 그랜드편 (31A) 과 간섭하지 않고, 그 경사면 (15C-2) 에서의 그 상대 커넥터의 안내가 용이해진다.
또, 실드부 (31) 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하측 가장자리부로부터 2 개의 그랜드 다리부 (31B) 가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 그랜드 다리부 (31B) 는 커넥터 (1) 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상의 그랜드 회로부에 땜납 접속되는 부분이다. 그 그랜드 다리부 (31B) 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범위 외에 위치하고 있고, 양 그랜드 다리부 (31B) 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체 단자의 접속부 (24) 는, 회로 기판의 면과 평행한 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실드부 (31) 에 덮여있지 않다. 따라서, 하우징 (10) 에 실드판 (30) 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단자 (20) 의 접속부 (24) 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의 땜납 접속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드부 (31) 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피유지부 (32) 가 연장되는 측으로, 즉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의 하우징 (10) 의 측벽 (14) 을 향하여 돌출되는 규제부 (31C) 가, 예를 들어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규제부 (31C) 는 실드판 (30) 이 하우징 (10) 에 장착될 때, 상하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측벽 (14) 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드판이 정규 상태, 즉 제조 오차나 조립 오차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우징 (10) 에 장착된 최초에,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규제부 (31C) 와 상기 측벽 (14) 의 외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력 등을 받아 실드부 (31) 가 측벽 (14) 의 외면을 향하여 휨 변위되었을 때에는, 그 규제부 (31C) 가 그 측벽 (14) 의 외면에 맞닿아 실드부 (31) 의 그 이상의 휨 변위를 규제하여 그 실드부 (31) 가 과잉 변형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실드부 (31) 와 단자 (20) 의 최단 거리, 즉 도 2 에 있어서의 실드부 (31) 의 하측 가장자리와 단자 (20) 의 접속부 (24) 의 좌단부의 상측 가장자리를 직선으로 연결한 거리 P 는 이른바 절연 거리로서, 적정한 절연 거리 P 가 확보됨으로써 양호한 실드 상태가 얻어진다. 상기 접속부 (24) 의 위치는 상하 방향으로나 좌우 방향으로나 고정적인 것에 반하여, 상기 실드부 (31) 의 위치는 상하 방향에서만 고정적이다. 따라서, 적정한 절연 거리 P 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드부 (31) 와 접속부 (24) 의 단부의 좌우 방향에서의 거리 Q1 을 적정치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 거리 Q1 을 적정치로 하는 것은, 실드부 (31) 와 그 측벽 (14) 의 외면의 거리 Q2 를 적정치로 하는 것과 동등하다. 그리고, 그 거리 Q2 를 적정치의 허용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하여, 실드부 (31) 로부터의 규제부 (31C) 의 돌출량, 바꾸어 말하면 그 규제부 (31C) 의 정상부에서 측벽 (14) 의 외면까지의 거리 Q3 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거리 Q3 을 적정치로 함으로써 적정한 절연 거리 P 가 얻어진다.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유지부 (32) 는 하측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압입 다리부 (32A) 를 갖고 있다. 그 압입 다리부 (32A) 는, 하우징 (10) 에 실드판 (30) 이 상방으로부터 장착될 때에, 하우징 (10) 의 유지부 (15A-1) 내에 형성된 2 개의 구멍부에 압입되는 부분이다.
도 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드판 (30) 이 하우징 (10) 에 장착되기 전, 즉 실드판 (30) 이 자유 상태에 있을 때, 2 개의 피유지부 (32) 끼리는 서서히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자유 상태에서의 굴곡각이 장착시의 각도 (정규 각도) 인 90 도보다 작게 되어 있다. 즉, 실드부 (31) 의 길이 방향에서의 피유지부 (32) 끼리 사이의 거리 R2 가, 그 길이 방향에서의 실드부 (31) 의 치수 R 보다 작게 되어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실드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치수는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으로의 유지부 (15A-1) 끼리의 거리와 동등하기 때문에, 상기 거리 R2 는 그 유지부 (15A-1) 끼리의 거리보다 작다.
이와 같은 구성의 커넥터 (1) 는 이하의 요령으로 조립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 (10) 에 단자 (20) 를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단자 피유지부 (21) 의 역 U 자 형상의 부분이 하방으로 개방되고, 또한 접속부 (24) 의 단부가 단자 대향 방향에서 커넥터 외방을 향한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그 단자 (20) 를 도 2 에 있어서의 하우징 (10) 의 상방으로부터 그 하우징 (10) 의 단자 유지부 (14A) 에 장착한다. 즉, 단자 피유지부 (21) 의 2 개의 다리부 사이로 단자 유지부 (14A) 를 삽입한다. 이 결과, 접촉부 (22) 및 연결부 (23) 가 내측 수용홈부 (17A) 및 하측 수용홈부 (17B) 의 각각에 들어간다. 그리고, 걸림부 (21C) 및 접촉 돌기부 (22B) 가 유지홈부 (14A-1) 및 내측 수용홈부 (17A) 의 각각으로부터 돌출된다.
다음으로, 2 개의 실드판 (30) 을 하우징 (10) 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피유지부 (32) 의 압입 다리부 (32A) 가 하방을 향한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그 피유지부 (32) 를 하우징 (10) 의 유지부 (15A-1) 내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한다. 그 피유지부 (32) 의 삽입은, 유입 경사면 (15A-2) 에 의하여 안내된 후, 상기 압입 다리부 (32A) 가 하우징 (10) 의 상기 유지부 (15A-1) 내에 형성된 2 개의 구멍부에 압입될 때까지 행해진다. 여기서,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 단자 배열 가까이에 위치하는 유입 경사면 (15A-2) 을 크게 형성해 둠으로써 피유지부 (32) 가 안내되기 쉬워지므로, 그 피유지부 (32) 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자유 상태에 있는 실드판 (30) 에 있어서, 실드부 (31) 와 피유지부 (32) 가 이루는 굴곡 각도는, 하우징 (10) 에 대한 실드판 (30) 의 장착시의 각도 (정규 각도) 보다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실드판 (30) 의 피유지부 (32) 를 하우징 (10) 의 상기 유지부 (15A-1) 내에 삽입할 때에는, 피유지부 (32) 끼리의 간격이 정규 각도까지 넓어진다. 따라서, 실드부 (31) 의 길이 방향 중간부가 하우징 (10) 측벽 (14) 의 외면을 향하여 만곡되어 젖혀지도록 변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실드부 (31) 가 어떠한 요인에 의하여 상기 측벽 (14) 의 외면을 향하여 변위되어도, 그 실드판 (30) 의 규제부 (31C) 와 상기 측벽 (14) 의 외면 사이에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한 간극이 확보된다.
또한, 실드판 (30) 의 그랜드편 (31A) 은 하우징 (10) 의 그랜드편 수용홈 (15B-1) 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드판 (30) 이 하우징 (10) 에 장착됨으로써 커넥터 (1) 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10) 측벽 (14) 의 외면에 맞닿을 수 있는 규제부 (31C) 를 실드판 (30) 의 실드부 (31) 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오차, 조립 오차 혹은 불의의 외력 등에 기인하여 실드부 (31) 가 하우징 (10) 의 측벽 (14) 을 향하여 변위되었을 때, 그 실드부 (31) 의 규제부 (31C) 가 하우징 (10) 측벽 (14) 의 외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실드부 (31) 의 그 이상의 휨 변위가 규제되므로, 실드부 (31) 와 측벽 (14) 의 외면 사이에 필요한 거리의 간극이 유지되어 적정한 절연 거리가 확보된다. 이 결과, 양호한 실드 상태가 실현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실드판 (30) 의 자유 상태에서의 굴곡각이 하우징 (10) 에 대한 실드판 (30) 의 장착시의 각도 (정규 각도) 보다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실드판 (30) 을 하우징 (10) 에 장착하면, 실드부 (31) 의 중간부가 하우징 (10) 측벽 (14) 의 외면을 향하여 변위된다. 따라서, 그 실드부 (31) 가 상기 측벽 (14) 의 외면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변위되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 (1) 에 인접하는 다른 전자 기기에 실드부 (31) 가 간섭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만일, 실드부 (31) 의 변위량이 과대해지려고 해도, 실드부 (31) 의 규제부 (31C) 가 상기 측벽 (14) 의 외면에 맞닿기 때문에, 실드부 (31) 의 소정량 이상의 변위가 규제된다. 따라서, 실드부 (31) 가 상기 측벽 (14) 의 외면에 지나치게 가까워지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그 측벽 (14) 의 외면과 실드부 (31) 사이에서 소정 거리가 유지되어, 적정한 절연 거리가 확실하게 확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0) 에 장착되는 2 개의 실드판 (30) 을 동일 형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각 실드판마다 별개의 금형을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드판의 제조 비용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드판 (30) 의 규제부 (31C) 는, 외력 등을 받았을 때에 있어서의 실드부 (31) 의 변위가 가장 큰 위치인 길이 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 (10) 의 측벽 (14) 을 향한 실드부 (31) 의 소정량 이상의 변위를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 실드판의 굴곡각이 90 도보다 작게 되어 있고,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의 유지부에 그 실드판의 피유지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그 실드판 및 하우징의 유지부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드판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하우징에 장착하기 전의 자유 상태보다, 길이 방향에서의 피유지부끼리 사이의 간격이 넓게 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드판의 규제부는 실드부에 하나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그 규제부를 복수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규제부를 복수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의 측벽을 향하는 실드부의 과대한 휨 변위를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드판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실드판의 규제부는 하우징 측벽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간극이 형성되는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고 있었으나, 실드판이 하우징에 장착된 최초의 상태에서 측벽의 외면과 맞닿는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실드판의 규제부가 실드부의 일부를 되접어 꺾여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규제부가 실드부의 판면의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차이점인 규제부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단자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로서,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동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규제부 (31C') 는, 실드판 (30) 의 실드부 (31) 의 길이 방향 중앙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기를 단자 (20) 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되접어 꺾어서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규제부 (31C') 는 그 판면에서 하우징 (10) 측벽 (14) 의 외면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상기 규제부 (31C') 이외의 부분에서는, 실드부 (31) 와 상기 측벽 (14) 의 외면 사이에 규제부 (31C') 의 판두께 분만큼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조 오차, 조립 오차, 혹은 불의의 외력에 기인하여 상기 측벽 (14) 을 향한 휨 변위를 초래하는 힘이 실드부 (31) 에 작용해도, 규제부 (31C') 가 그 측벽 (14) 의 외면에 맞닿아 있음으로써 그 실드부 (31) 의 휨 변위가 규제된다. 이 결과, 실드부 (31) 와 측벽 (14) 의 외면 사이의 간극이 유지되어 적정한 절연 거리가 확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드판이 하우징에 장착된 최초의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가 하우징 측벽의 외면에 맞닿아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 대신에 그 규제부와 상기 측벽의 외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실드판의 규제부가 실드부의 일부를 직각으로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규제부가 실드부의 판면의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차이점인 규제부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단자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로서,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동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규제부 (31C") 는, 실드판 (30) 의 실드부 (31) 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절결 부분의 랜싱에 의하여 돌기부를 단자 (20) 측을 향하여 직각으로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규제부 (31C") 는 선단 면에서 하우징 (10) 측벽 (14) 의 외면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상기 규제부 (31C") 이외의 부분에서는, 실드부 (31) 와 상기 측벽 (14) 의 외면 사이에 규제부 (31C") 의 길이 치수에 상당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조 오차, 조립 오차, 혹은 불의의 외력에 기인하여, 상기 측벽 (14) 을 향한 휨 변위를 가져오는 힘이 실드부 (31) 에 작용해도, 규제부 (31C") 가 그 측벽 (14) 의 외면에 맞닿아 있음으로써 그 실드부 (31) 의 휨 변위가 규제된다. 이 결과, 실드부 (31) 와 측벽 (14) 의 외면 사이의 간극이 유지되어 적정한 절연 거리가 확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드판이 하우징에 장착된 최초의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가 하우징 측벽의 외면에 맞닿아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 대신에 그 규제부와 상기 측벽의 외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1 커넥터 10 하우징
14 측벽 15 단벽
15A-1 유지부 20 단자
30 실드판 31 실드부
31C 규제부 32 피유지부

Claims (4)

  1. 복수의 단자와, 그 단자를 배열 유지하는 직육면체 외형의 하우징과, 금속판을 굴곡시켜 형성되고 그 하우징에 장착된 실드판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판은, 단자 배열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2 개의 측벽 중, 1 개의 측벽의 외면을 따라 그 측벽의 외면을 그 길이 방향 전역에 걸쳐 덮는 실드부와, 그 실드부의 양 단에서 굴곡되고, 상기 하우징 측벽의 양 단에 위치하는 단벽에 형성된 유지부에서 유지되는 피유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실드부는, 그 실드부의 일부에서 하우징 측벽의 외면에 맞닿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실드판은,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하우징에 장착되기 전의 자유 상태보다, 길이 방향에서의 피유지부끼리 사이의 간격이 넓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동일 형상의 2 개의 실드판이 서로 대칭을 이루어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규제부는, 실드부의 길이 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00115100A 2009-12-03 2010-11-18 전기 커넥터 KR201100668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5240 2009-12-03
JP2009275240A JP4901944B2 (ja) 2009-12-03 2009-12-03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847A true KR20110066847A (ko) 2011-06-17

Family

ID=4408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100A KR20110066847A (ko) 2009-12-03 2010-11-18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05112B2 (ko)
JP (1) JP4901944B2 (ko)
KR (1) KR20110066847A (ko)
CN (1) CN102157858B (ko)
TW (1) TWI45819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75B1 (ko) * 2012-01-31 2014-01-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쉘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KR101531867B1 (ko) * 2014-01-13 2015-06-2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실드형 보드 커넥터
KR20200008840A (ko) * 2018-07-17 2020-01-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09112U (zh) * 2011-01-25 2011-10-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JP5786228B2 (ja) * 2012-08-08 2015-09-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5896959B2 (ja) * 2013-06-14 2016-03-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JP5747953B2 (ja) * 2013-06-27 2015-07-15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16803B2 (ja) 2013-09-20 2015-05-1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72855B2 (ja) * 2013-12-24 2016-08-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3794959B (zh) * 2013-12-31 2016-02-17 宁波君柏电子有限公司 装配式墙面插座
JP6167997B2 (ja) * 2014-06-05 2017-07-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JP6269558B2 (ja) * 2014-06-05 2018-01-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WO2015199157A1 (ja) * 2014-06-24 2015-12-30 矢崎総業株式会社 Fot及び光通信モジュール
JP6207469B2 (ja) * 2014-06-24 2017-10-04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実装部品
JP6279989B2 (ja) * 2014-06-25 2018-02-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KR101602745B1 (ko) * 2014-07-30 2016-03-1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체결방식 보드 커넥터
KR101610746B1 (ko) 2014-07-31 2016-04-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81539B2 (ja) * 2015-07-29 2018-02-2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6179564B2 (ja) * 2015-07-29 2017-08-16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6256426B2 (ja) 2015-07-29 2018-01-10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US10084265B2 (en) 2015-07-29 2018-09-25 Dai-Ichi Seiko Co., Ltd. Board-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device
US9893480B2 (en) * 2015-09-04 2018-02-13 Tyco Electronics Japan G.K. Connector
JP6145529B2 (ja) * 2016-03-01 2017-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JP6628685B2 (ja) * 2016-05-16 2020-01-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と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1579147S (ko) * 2016-09-07 2017-06-19
CN207925768U (zh) * 2017-01-11 2018-09-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6573135B2 (ja) * 2017-11-06 2019-09-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装置
US10439333B2 (en) * 2018-01-30 2019-10-08 Te Connectivity Shielded vertical header
JP7202937B2 (ja) * 2018-12-19 2023-01-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7245052B2 (ja) * 2019-01-07 2023-03-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109861034B (zh) * 2019-04-09 2023-12-05 四川华丰科技股份有限公司 屏蔽板、带有该屏蔽板的模块结构及电连接器
WO2021000152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多极连接器
JP7411882B2 (ja) * 2019-08-08 2024-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TWI760873B (zh) * 2019-10-18 2022-04-1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6910A (en) 1995-11-22 1998-04-07 Stewart Connector Systems, Inc. Modular jack connector with a flexible laminate capaci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CN2351866Y (zh) * 1998-12-29 1999-12-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端头连接器
US6464515B1 (en) * 2001-11-28 2002-10-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spe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US6551139B1 (en) * 2001-12-07 2003-04-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hielding plate
TWM250386U (en) * 2003-08-08 2004-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250431U (en) * 2003-08-08 2004-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251313U (en) * 2003-08-13 2004-11-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689500Y (zh) * 2004-01-16 2005-03-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CN2736999Y (zh) * 2004-09-23 2005-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4301414B2 (ja) * 2006-12-06 2009-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912187B2 (ja) 2007-03-08 2012-04-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面実装コネクタ
JP4454036B2 (ja) * 2007-06-06 2010-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雄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TWM339133U (en) * 2008-01-14 2008-08-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75B1 (ko) * 2012-01-31 2014-01-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쉘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KR101531867B1 (ko) * 2014-01-13 2015-06-2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실드형 보드 커넥터
KR20200008840A (ko) * 2018-07-17 2020-01-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230019919A (ko) * 2018-07-17 2023-02-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230145310A (ko) * 2018-07-17 2023-10-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26834A (en) 2011-08-01
JP4901944B2 (ja) 2012-03-21
CN102157858A (zh) 2011-08-17
TWI458199B (zh) 2014-10-21
US20110136379A1 (en) 2011-06-09
CN102157858B (zh) 2013-12-25
US8105112B2 (en) 2012-01-31
JP2011119119A (ja)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6847A (ko) 전기 커넥터
KR101985141B1 (ko) 커넥터
JP6591251B2 (ja) コネクタ
US11158968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5270703B2 (ja) 電気コネクタ
JP5972855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567356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101169242B1 (ko) 전기 커넥터
TWI521805B (zh)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socket connector
JP7207975B2 (ja) コネクタ
KR101232437B1 (ko) 보드간 컨넥터
KR101155814B1 (ko) 단자 및 이것을 사용한 커넥터
KR20150027710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TWI578626B (zh)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plug connector
US20140315419A1 (en) Substrate connection structure using substrate connector
KR20050013948A (ko) 커넥터 조립체
CN107799932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JP4883670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80076901A (ko) 전기 커넥터
JP2008146888A (ja) 電気コネクタ
CN114514657A (zh) 连接器及连接器组件
KR101625691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877990B1 (ko) 전기커넥터
JP2012199106A (ja) コネクタ
JP6814051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