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262A -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 - Google Patents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262A
KR20110044262A KR1020117004494A KR20117004494A KR20110044262A KR 20110044262 A KR20110044262 A KR 20110044262A KR 1020117004494 A KR1020117004494 A KR 1020117004494A KR 20117004494 A KR20117004494 A KR 20117004494A KR 20110044262 A KR20110044262 A KR 20110044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jib
escape
boom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212B1 (ko
Inventor
겐지 다나카
가즈히로 고바야시
도시아키 아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ublication of KR2011004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6Outer or upper end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8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locking devices for telescopic 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과제)
지브를 격납 자세에서 장출 작업을 실시할 때, 및 지브를 장출 자세에서 격납작업을 실시할 때의 두 작업시에 각각 오조작에 따른 지브 낙하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지브 (2) 측에,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과,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과,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과,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과, 제 1 관련 수단 (91) 과, 제 2 관련 수단 (94) 을 각각 형성하고,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이 지점 핀 (30) 의 탈출 상태를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제 1 관련 수단 (91) 을 개재하여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6) 으로 연결 핀 (40) 의 탈출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이 연결 핀 (40) 의 탈출 상태를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제 2 관련 수단 (94) 을 개재하여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으로 지점 핀 (30) 의 탈출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지브 장출과 지브 격납의 두 작업시에 오조작을 행하여도 지점 핀 (30) 과 연결 핀 (40) 이 모두 (동시에) 탈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JIB ENCLOSURE FOR JIB CRANE}
본원 발명은,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에서는, 지브 사용시에는 지브를 신축 붐의 선단 붐의 선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장출 (張出) 시키는 한편, 지브 미사용시에는 지브를 신축 붐의 기단 붐의 측방에 격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에서는, 지브의 장출 조작 및 격납 조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지브 격납 자세에서는, 선단 붐 선단부의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와 지브 기단부의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가 연결 해제되어 있고, 또한 지브가 기단 붐의 측방을 따른 자세로 기단 붐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 1 격납 수단과 기단 붐 기단측에 위치하는 제 2 격납 수단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지브를 격납 자세에서 장출 자세로 하기 위해서는, 신축 붐을 전체 축소시키고, 기단 붐 기단측의 제 2 격납 수단을 연결 해제하고, 선단 붐 선단부의 일측부의 보스와 지브 기단부의 일측부의 보스를 중합시키고, 그들 보스를 공통된 지점 핀으로 연결시킨 후, 기단 붐 선단측의 제 1 격납 수단을 연결 해제하고, 상기 지점 핀을 지축으로 하여 지브를 선단 붐 선단부의 전방으로 회전 이동시켜, 선단 붐 선단부의 타측의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와 지브 기단부의 타측의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를 중합시켜 두 보스를 연결 핀으로 연결시킨다.
한편, 지브를 장출 자세에서 격납 자세로 하기 위해서는, 신축 붐을 전체 축소시키고, 선단 붐 선단부와 지브 기단부 사이의 비지점측의 연결 핀을 뽑아서 분리하고, 선단 붐 선단부의 일측부의 보스와 지브 기단부의 일측부의 보스를 연결하고 있는 지점 핀을 지축으로 하여 지브를 신축 붐의 측방영역으로 회전 이동시켜 그 지브를 기단 붐 측면부를 따르게 하고, 기단 붐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 1 격납 수단으로 지브 측면부를 기단 붐 측면부에 연결시키고, 계속해서 선단 붐 선단부와 지브 기단부를 연결하고 있는 지점 핀을 뽑아서 분리하고, 그 후에 기단 붐 기단측에 위치하는 제 2 격납 수단으로 지브 선단측을 기단 붐 기단측에 연결시킨다.
그런데, 지브를 격납 자세에서 선단 붐 선단부의 전방으로 장출시킬 때에, 선단 붐 선단부의 보스와 지브 기단부의 보스가 상기 지점 핀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잘못해서 제 1 격납 수단을 연결 해제시키면, 지브가 낙하될 우려가 있어 매우 위험하다. 특히, 제 1 격납 수단을 지브의 하방에서부터 수동으로 조작하는 구조의 것에서는, 지브가 낙하될 우려가 있으면 인명 사고의 위험이 있다.
그래서, 본건 출원인은, 선단 붐 선단부의 보스와 지브 기단부의 보스가 상기 지점 핀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1 격납 수단을 연결 해제할 수 없도록 구성한 지브 격납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26486호). 이 특허문헌 1 의 지브 격납 장치는, 도 12 ∼ 도 15 에 나타낸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이 공지예 (특허문헌 1) 의 지브 격납 장치는, 도 12 ∼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붐 (1) 의 선단 붐 (12) 의 선단부 (13) 의 일측부에 형성된 핀 구멍을 갖는 보스 (14a, 14b) 와 지브 (2) 의 기단부 (23) (지브 서포트) 의 일측부에 형성된 핀 구멍을 갖는 보스 (24a, 24b) 를 지점 핀 (30)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으로 자유롭게 감탈 (嵌脫) 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한편, 신축 붐 (1) 의 기단 붐 (11) 의 측면부의 선단측 위치와 지브 (2) 의 측면부의 기단측 위치의 사이에 제 1 격납 수단 (A) 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지브 (2) 의 선단 근처 측면부와 기단 붐 (11) 의 기단 근처 측면부의 사이에는, 지브 선단측을 기단 붐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 2 격납 수단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 붐 선단부 (13) 의 보스 (14a, 14b) 및 지브 기단부 (23) 의 보스 (24a, 24b) 는,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상하로 이간된 2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선단 붐 선단부 (13) 의 보스는, 상측 보스 (14a) 와 하측 보스 (14b) (각각 1매) 를 가지고, 지브 기단부 (23) 의 보스는, 상측 보스 (24a) 와 하측 보스 (24b) (각각 2 매) 를 갖고 있다.
지점 핀 (30) 은,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봉 (33) 의 상ㆍ하부에 각각 암나사통으로 이루어지는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을 나사 결합시킨 것이다. 나사봉 (33) 의 상반부와 하반부에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이 각각 역 (逆) 나사 부분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봉 (33) 의 하단부를 회전구로 우회전 또는 좌회전시킴으로써, 상하의 지점 핀 (31, 32) 을 동시에 근접 방향 (핀 탈출 방향) 또는 이간 방향 (핀 감삽 (嵌揷) 방향) 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지점 핀 (30) 은, 지브 기단부 (23) 측의 상하 각 보스 (24a, 24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브 격납 상태에 있어서, 상하의 지점 핀 (31, 32) 을 근접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측 지점 핀 (31) 및 하측 지점 핀 (32) 이 각각 선단 붐 선단부 (13) 측의 상측 보스 (14a) 및 하측 보스 (14b) 로부터 탈출되는 한편 (선단 붐 선단부 (13) 와 지브 기단부 (23) 의 연결이 해제됨), 상하의 지점 핀 (31, 32) 을 이간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측 지점 핀 (31) 및 하측 지점 핀 (32) 이 각각 선단 붐 선단부 (13) 측의 상측 보스 (14a) 및 하측 보스 (14b) 에 감삽된다 (선단 붐 선단부 (13) 와 지브 기단부 (23) 가 연결됨).
제 1 격납 수단 (A) 은,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 붐 (11) (도 12) 의 측면부의 상하 2 위치에 형성된 상측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17a) 및 하측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17b) 와, 지브 (2) 의 측면부의 상하 2 위치에 형성된 상측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27a) 및 하측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27b) 와, 상하 각 측의 보스끼리 (17a 와 27a, 17b 와 27b) 를 각각 연결ㆍ연결 해제하는 상하의 연결 핀 (41, 42) 과, 그 상하의 연결 핀 (41, 42) 을 서로 근접ㆍ이간시키는 유압 실린더 (45) 를 갖고 있다. 유압 실린더 (45) 는, 그 튜브 (46) 가 위가 되고 로드 (47) 가 아래가 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튜브 (46) 의 상단부에 상측 연결 핀 (41) 이 부착되어 있는 한편, 로드 (47) 의 하단부에 하측 연결 핀 (42) 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 (45) 및 상하의 연결 핀 (41, 42) 은 기단 붐 (11) 측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브 (2) 를 기단 붐 (11) 의 측방을 따르게 하면,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 붐 (11) 측의 상측 보스 (17a) 와 지브 (2) 측의 상측 보스 (27a), 및 기단 붐 (11) 측의 하측 보스 (17b) 와 지브 (2) 측의 하측 보스 (27b) 가 각각 중합되고, 그 상하 보스끼리 각각 중합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 (45) 를 신장시킴으로써, 상측 연결 핀 (41) 이 각 상측 보스 (17a, 27a) 에 감삽됨과 동시에, 하측 연결 핀 (42) 이 각 하측 보스 (17b, 27b) 에 감삽된다 (제 1 격납 수단 (A) 이 연결 상태로 됨). 한편,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이 상하의 각 보스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유압 실린더 (45) 를 축소시키면, 그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이 지브측의 상하 각 보스 (27a, 27b) 로부터 탈출되어 제 1 격납 수단 (A) 이 연결 해제 상태로 된다.
또, 이 공지예의 지브 격납 장치에는,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이 선단 붐 선단부 (13) 측의 상하 각 보스 (14a, 14b) 에 대해 감삽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과, 제 1 격납 수단 (A) 의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이 지브 (2) 측의 상하 각 보스 (27a, 27b) 로부터 탈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과, 상기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과 상기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을 관련짓는 관련 수단 (컨트롤 케이블) (91)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관련 수단이 되는 컨트롤 케이블 (91) 은, 아우터 케이싱 (92) 내에 이너 케이블 (93) 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통과시킨 것이다.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에는, 상측 지점 핀 (31) 에 고정된 돌기 (51) 가 채용되어 있고, 상측 지점 핀 (31) 의 상하 이동에 따라 그 돌기 (51) 가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의 감탈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공지예의 것에서는,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은, 나사봉 (33) 에 의해 동시에 근접 또는 이간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한쪽 지점 핀 (상측 지점 핀 (31)) 의 상하 이동을 검출함으로써, 두 지점 핀 (31, 32) 의 감탈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이 되는 돌기 (51) 에는, 컨트롤 케이블 (91) 의 이너 케이블 (93) 의 일단 (93a) 이 연결되어 있고, 그 돌기 (51) 가 상하 이동함으로써 이너 케이블 (93) 을 아우터 케이싱 (92) 에 대해 밀고 당김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은,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 (45) 의 튜브 (46) 의 하단과 하측 연결 핀 (42) 의 상단 사이의 간격 (S) 내에 자유롭게 진출할 수 있도록 진입하는 규제 부재 (81) 를 갖고 있다. 이 규제 부재 (81) 의 상하 길이는, 유압 실린더 (45) 가 신장될 때의 실린더 튜브 (46) 의 하단과 하측 연결 핀 (42) 의 상단의 간격 (S) 보다 약간 짧은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이 규제 부재 (81) 는, 제 1 격납 수단 (A) 부분에 있어서의 지브 (2) 측에 형성된 부착대 (26) 에 축 (82) 에 의해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도록 피벗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 규제 부재 (81) 는, 스프링 (85) (도 14) 에 의해 도 14 에 실선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 방향 (실린더 로드 (47) 에 근접하는 방향) 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다. 한편, 이 규제 부재 (81) 에는 컨트롤 케이블 (91) 의 이너 케이블 (93) 의 타단 (93b) 이 연결되어 있어, 그 이너 케이블 (93) 이 상기 돌기 (51) 의 상부로 이동에 의해 인장됨으로써, 그 규제 부재 (81) 가 스프링 (85)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도 14 에 쇄선으로 도시 (부호 81') 하는 바와 같이 규제 해제 위치까지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 ∼ 도 14 에 나타낸 공지예의 지브 격납 장치는, 도 15 의 (A),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한다.
먼저,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이 선단 붐 선단부 (13) 의 상하 각 보스 (14a, 14b) 에 감삽되어 있지 않은 상태 (지점 핀 (30) 이 축소 상태) 에서는, 도 1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 (51) 가 하부로 이동 위치에 있어 규제 부재 (81) 에 대해 컨트롤 케이블 (91) (이너 케이블 (93)) 에 의한 당김 작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규제 부재 (81) 가 스프링 (85) 의 탄성 지지력으로 실린더 튜브 (46) 의 하단과 하측 연결 핀 (42) 의 상단 사이의 간격 (S) 내에 진입한다. 이 도 15(A) 의 상태에서는, 규제 부재 (81) 가 상기 간격 (S) 내에 진입하므로, 만일 유압 실린더 (45) 를 축소측으로 조작해도, 그 간격 (S) 내에 규제 부재 (81) 가 개재하고 있으므로, 그 유압 실린더 (45) 의 축소가 불가능해져, 그 결과,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이 지브 (2) 측의 상하 각 보스 (17a, 17b) 로부터 탈출되는 경우는 없다 (제 1 격납 수단 (A) 부분의 연결 상태가 유지됨).
한편, 도 1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이 각각 선단 붐 선단부 (13) 의 상하 각 보스 (14a, 14b) 에 감삽되어 있는 상태 (지점 핀 (30) 이 신장 상태) 에서는, 돌기 (51) 가 상부로 이동하고 있음으로써 규제 부재 (81) 에 대해 컨트롤 케이블 (91) (이너 케이블 (93)) 에 의한 당김 작용이 발생하여, 규제 부재 (81) 가 스프링 (85)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실린더 튜브 (46) 의 하단과 하측 연결 핀 (42) 의 상단 사이의 간격 (S) 으로부터 탈출된다 (도 14 의 부호 81' 의 상태). 이 도 15(B) 의 상태에서는, 유압 실린더 (45) 의 축소 동작이 가능해져, 그 유압 실린더 (45) 를 축소 조작함으로써, 상하의 각 연결 핀 (41, 42) 을 지브 (2) 측의 상하 각 보스 (27a, 27b) 로부터 탈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공지예 (도 12 ∼ 도 15) 의 지브 격납 장치에 있어서, 지브 (2) 를 기단 붐 (11) 을 따르게 한 격납 상태 (도 15(A) 의 상태) 로부터 그 지브 (2) 를 전방으로 장출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도 1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을 선단 붐 선단부 (13) 의 상하 각 보스 (14a, 14b) 에 감삽시킨 후에 제 1 격납 수단 (A) 부분에서의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을 지브 (2) 측의 상하 각 보스 (27a, 27b) 로부터 탈출시키지만, 잘못해서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이 탈출 상태인 채로 제 1 격납 수단 (A) 측의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을 탈출 (유압 실린더 (45) 를 축소) 시키려고 해도, 규제 부재 (81) 가 규제 위치에 있음으로써 그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의 탈출 (발출) 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공지예의 지브 격납 장치에서는, 지브 장출 작업시에 지점 핀 (31, 32) 과 연결 핀 (41, 42) 이 동시에 탈출되는 (발출되는) 경우가 없어져, 지브 장출 작업시의 안전성이 확보된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26486호
그런데, 상기한 공지예 (도 12 ∼ 도 15) 의 지브 격납 장치에서는, 지브 격납 상태에서 장출 조작할 때의 오조작에 대해 안전성이 확보되지만, 지브 장출 상태에서 격납 조작할 때에는, 상기 각 구성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관련 수단 (91) 등) 은 안전성 면에서 전혀 기능하지 않는다.
즉, 지브 장출 상태에서 격납 조작할 때에는, 상기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을 선단 붐 선단부 (13) 의 상하 각 보스 (14a, 14b) 에 감삽시킨 상태에서, 지브 (2) 를 기단 붐 (11) 의 측면부를 따른 위치까지 회전 이동시켜, 제 1 격납 수단 (A) 의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을 지브 (2) 측의 상하 각 보스 (27a, 27b) 에 감삽시키고, 그 후에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을 붐 선단부 (13) 의 상하 각 보스 (14a, 14b) 로부터 탈출시키지만, 제 1 격납 수단 (A) 의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이 감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잘못해서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을 뽑아서 분리할 수 있고, 그 경우에는 지브 (2) 가 신축 붐 (1) 으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지브를 기단 붐 측방의 격납 자세에서 선단 붐 선단부의 전방으로 장출시키는 작업 및 그 지브를 전방 장출 자세에서 기단 붐 측방에 격납시키는 작업의 두 작업시에 있어서, 각각 오조작에 따른 지브 낙하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원의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는, 차량 상에 설치된 신축 붐의 선단 붐의 선단부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지브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신축 붐은, 차량 상에 형성된 선회대에 대해 자유롭게 기복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1 발명]
본원 청구항 1 발명의 지브 격납 장치는, 선단 붐 선단부의 일측부에 형성된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와 지브 기단부의 일측부에 형성된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를 서로 중합시켜 그들 보스에 공통된 지점 핀을 자유롭게 감탈할 수 있도록 감삽시키고, 신축 붐의 전체 축소 상태에서 지점 핀을 지축으로 하여 지브를 신축 붐의 측방영역을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지브를 선단 붐 선단부의 전방으로 장출한 장출 자세와 신축 붐의 기단 붐의 측방을 따르게 한 격납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단 붐과 지브 사이에 격납 수단을 설치하고, 그 격납 수단으로 지브를 기단 붐의 측면부에 격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지점 핀 또는 연결 핀의 「감삽」이란, 붐측의 보스와 지브측의 보스를 핀으로 연결시키는 것이고, 지점 핀 또는 연결 핀의 「탈출」이란, 붐측의 보스와 지브측의 보스가 연결 해제되는 것이다.
기단 붐과 지브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격납 수단은, 상기의 공지예와 같이 기단 붐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 1 격납 수단과 기단 붐의 기단 측에 위치하는 제 2 격납 수단을 갖는 것이 지브를 2 지점에서 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한데, 그 격납 수단은, 기단 붐의 중앙 근처 (지브의 중심 부근) 의 1 지점에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격납 수단은, 기단 붐의 측면부에 형성된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와, 지브의 측면부에 형성된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와, 그들 보스에 자유롭게 감탈할 수 있도록 감삽되는 연결 핀을 갖고 있다.
지브측에는, 지점 핀이 감삽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과, 지점 핀의 탈출측으로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규제하는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과, 연결 핀이 감삽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과, 연결 핀의 탈출측으로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규제하는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과,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과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을 기계적으로 관련짓는 제 1 관련 수단과,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과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을 기계적으로 관련짓는 제 2 관련 수단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원 청구항 1 의 지브 격납 장치는,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이 지점 핀의 탈출 상태를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제 1 관련 수단을 개재하여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에 의한 연결 핀의 탈출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편,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지점 핀의 감삽 상태를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제 1 관련 수단을 개재하여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에 의한 연결 핀의 탈출측으로의 이동 규제를 해제하고,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연결 핀의 탈출 상태를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제 2 관련 수단을 개재하여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에 의한 지점 핀의 탈출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편,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연결 핀의 감삽 상태를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제 2 관련 수단을 개재하여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에 의한 지점 핀의 탈출측으로의 이동 규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1 의 지브 격납 장치에서는, 상기 구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작용 을 얻을 수 있다.
먼저, 지브를 기단 붐 측방의 격납 상태에서 장출 조작할 때에는, 선단 붐 선단부의 일측부의 보스와 지브 기단부의 일측부의 보스에 지점 핀을 감삽시킨 후, 격납 수단 부분의 연결 핀을 탈출시키지만, 지점 핀이 탈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과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과 제 1 관련 수단에 의해, 격납 수단 부분의 연결 핀이 탈출 불가능해진다. 이로써, 지점 핀이 탈출 상태 (비연결 상태) 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못해서 격납 수단 부분의 연결 핀을 탈출 조작해도, 그 연결 핀이 탈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연결 핀에 의한 연결 상태가 유지된 상태임). 따라서, 지브 장출 조작시에, 오조작 (잘못 생각함) 이 있어도, 지점 핀과 연결 핀이 모두 (동시에) 탈출되는 경우가 없다.
한편, 지브를 선단 붐 선단부 전방의 장출 상태에서 기단 붐 측방으로 격납 조작할 때에는, 지점 핀을 지축으로 하여 지브를 기단 붐 측방으로 회전 이동시켜, 격납 수단 부분의 연결 핀을 감삽시킨 후에 지점 핀을 탈출시키지만, 연결 핀이 탈출 상태에 있을 때는,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과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과 제 2 관련 수단에 의해, 지점 핀이 탈출 불가능해진다. 이로써, 연결 핀이 탈출 상태 (비연결 상태) 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못해서 지점 핀을 탈출 조작해도, 그 지점 핀이 탈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지점 핀에 의한 연결 상태가 유지된 상태임). 따라서, 지브 격납 조작시에, 오조작 (잘못 생각함) 이 있어도, 연결 핀과 지점 핀이 모두 (동시에) 탈출되는 경우가 없다.
또, 본원 청구항 1 의 지브 격납 장치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기의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제 1 관련 수단, 및 제 2 관련 수단은, 각각 지브측에 집약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브 격납 상태 (지브가 선단 붐에 대해 분리 상태) 에서 신축 붐만으로 크레인 작업 (붐 신축) 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상기 각 수단이 붐 신축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각 수단은, 각각 기계적으로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전기나 유압에 의한 것과 같이, 신축 붐측과 지브측의 사이에 동력원 접속용의 커넥터를 형성하거나 제어용 컨트롤러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본원 청구항 2 발명]
본원 청구항 2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의 지브 격납 장치에 있어서, 격납 수단의 연결 핀을 기단 붐측에 형성하는 한편, 지브측의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은 연결 핀에 대해 자유롭게 걸림 이탈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는 것이며, 지브를 기단 붐 측방에 격납시켰을 때에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이 연결 핀에 걸어맞춰져,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으로 연결 핀의 감탈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격납 수단의 연결 핀을 예를 들어 도 12 ∼ 도 15 에 나타낸 공지예와 같이 유압 실린더로 감탈 조작시키도록 한 것에서는, 연결 핀 조작용의 유압 실린더를 유압원에 접속시키는 필요 때문에, 그 유압 실린더 및 연결 핀을 기단 붐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연결 핀을 기단 붐측에 형성하고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을 지브측에 형성한 것에서는, 지브가 기단 붐에 대해 격납 위치와 이간 위치로 변위되므로, 연결 핀과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을 걸림 이탈 가능하게 걸어맞출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원 청구항 2 의 지브 격납 장치에서는, 연결 핀을 기단 붐측에 형성한 것이어도, 상기와 같이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을 연결 핀에 대해 자유롭게 걸림 이탈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그 연결 핀의 감탈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지브 격납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원 청구항 1 발명의 효과]
본원 청구항 1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지브를 격납 상태에서 장출 조작할 때, 및 지브를 장출 상태에서 격납 조작할 때의 두 조작시에, 상기 지점 핀 또는 상기 연결 핀 중 어느 한쪽이 탈출 상태 (비연결 상태) 일 때에는, 잘못해서 지점 핀 또는 연결 핀 중 다른 한쪽을 탈출 조작해도, 당해 탈출 조작된 핀이 탈출되는 (발출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지브 격납 조작과 지브 장출 조작의 두 조작시에, 오조작을 해도 지점 핀과 연결 핀이 모두 발출된다는 트러블을 미연에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지브의 격납 및 장출의 두 조작시에, 각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브가 탈락될 우려가 없어짐) 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의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제 1 관련 수단, 및 제 2 관련 수단을, 각각 지브측에 집약적으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지브 격납 상태 (지브가 선단 붐에 대해 분리 상태) 에서 신축 붐만으로 크레인 작업 (붐 신축) 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상기 각 수단이 붐 신축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각 수단은, 각각 기계적으로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전기나 유압에 의한 것과 같이, 신축 붐측과 지브측의 사이에 동력원 접속용의 커넥터 (탈착 작업이 필요) 를 형성하거나 제어용 컨트롤러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간단한 구성으로 지브의 격납 및 장출의 두 조작시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본원 청구항 2 발명의 효과]
본원 청구항 2 발명은, 격납 수단의 연결 핀을 기단 붐에 형성하고, 그 연결 핀의 감탈 상태를 지브측의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을 연결 핀에 대해 자유롭게 걸림 이탈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으로써, 지브 격납 상태에서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연결 핀의 감탈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청구항 2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 의 지브 격납 장치의 효과에 추가하여, 격납 수단의 연결 핀을 기단 붐측에 형성한 것이어도, 그 연결 핀의 감탈 상태를 지브측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청구항 1 과 같이, 격납 수단의 연결 핀의 감탈 상태에 의해 지점 핀의 탈출규제를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연결 핀을 기단 붐측에 설치한 것이어도, 상기 지점 핀의 탈출규제를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원 실시예의 지브 격납 장치를 채용한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상태 변화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IV-I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는 도 4 의 V-V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상태 변화도 (상하 각 지점 핀의 탈출 불가능 상태 설명도) 이다.
도 8 은 도 5 의 상태 변화도 (상하 각 지점 핀의 탈출 상태도) 이다.
도 9 는 도 4 의 IX-IX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4 의 X-X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원 실시예의 지브 격납 장치의 기능 설명도이다.
도 12 는 공지된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상태를 나타낸 일부 평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의 XIII-XIII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XIV-XIV 단면도이다.
도 15 는 공지된 지브 격납 장치의 기능 설명도이다.
이하, 도 1 ∼ 도 11 을 참조하여 본원 실시예의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는, 차량 상에 장비한 선회대 상에 신축 붐 (1) 을 자유롭게 기복할 수 있도록 설치함과 함께, 그 신축 붐 (1) 의 선단 붐 (12) 의 선단부 (13) 에 지브 (2) 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신축 붐 (1) 은, 기단 붐 (11) 과 선단 붐 (12) 의 사이에 복수의 중간 붐을 가지고, 그들 붐을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도록 연속시킨 것이다. 또, 지브 (2) 는, 이 실시예에서는 기단 지브 (21) 에 선단 지브 (22) 를 자유롭게 출몰 (出沒) 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 있음과 함께, 기단 지브 (21) 의 기단부에 지브 서포트 (23) 를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지브 (2) 에서는, 지브 서포트 (23) 부분이 지브 기단부가 된다.
선단 붐 (12) 의 선단부 (13) 와 지브 기단부 (이하, 지브 서포트라고 함) (23) 는, 도 2 ∼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붐 선단부 (13) 의 일측부에 형성된 상하의 각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14a, 14b) 와 지브 서포트 (23) 의 일측부에 형성된 상하의 각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24a, 24b) 에 지점 핀 (30)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을 감삽시킴으로써 연결된다. 또한, 선단 붐 선단부 (13) 측의 상하 각 보스 (14a, 14b) 는 1 매씩이며, 지브 서포트 (23) 측의 상하 각 보스 보스 (24a, 24b) 는 상하로 작은 간격을 두고 2 매씩 갖고 있다.
그리고, 지점 핀 (30)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이 각 측의 보스 (14a 와 24a, 14b 와 24b) 에 감삽된 상태에서, 그 지점 핀 (30) 을 지축으로 하여 지브 (2) 를 신축 붐 (1) 의 측방영역을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그 지브 (2) 를 기단 붐 (11) 의 측방을 따른 격납 위치 (도 2) 와 선단 붐 선단부 (13) 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출위치 (도시 생략) 의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단 붐 (11) 과 지브 (2) 사이에는, 지브 (2) 를 기단 붐 (11) 의 측면부에 격납하기 위한 격납 수단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그 격납 수단으로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 붐 (11) 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 1 격납 수단 (A) (상세한 구성은 후술함) 과 기단 붐 (11) 의 기단 측에 위치하는 제 2 격납 수단 (B) 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도 1 에 나타낸 지브 격납 상태에서는, 지점 핀 (30)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을 상하 각 측의 보스 (14a 와 24a, 14b 와 24b) 로부터 탈출시킨 상태에서, 제 1 격납 수단 (A) 과 제 2 격납 수단 (B) 에 의해 지브 (2) 가 기단 붐 (11) 의 측면부에 지지된다.
또, 기단 붐 (11) 과 지브 (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격납 수단은, 이 실시예와 같이 기단 붐 (11) 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 1 격납 수단 (A) 과 기단 붐 (11) 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제 2 격납 수단 (B) 을 가진 것이 지브 (2) 를 2 지점에서 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격납 수단으로서 기단 붐 (11) 의 중앙 근처 (지브 (2) 의 중심 부근) 의 1 지점에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 (1 지점의 경우) 의 격납 수단은, 상기 제 1 격납 수단 (A) 의 구성이 된다.
지점 핀 (30) 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봉 (33) 의 상ㆍ하부에 각각 암나사통으로 이루어지는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을 나사 결합시킨 것을 사용하고 있다. 나사봉 (33) 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반부에 우나사 (33a) 를 형성하고, 하반부에 좌나사 (33b) 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하단부에 나사봉 회전용의 회전구를 연결시키기 위한 회전구 연결부 (34) 를 형성하고 있다. 또, 이 나사봉 (33) 에는, 상반부의 우나사 (33a) 부분에 상측 지점 핀 (31) 이 나사 결합되어 있는 한편, 하반부의 좌나사 (33b) 부분에 하측 지점 핀 (32) 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지점 핀 (30) 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브 서포트 (23) 측의 상하 각 보스 (24a, 24b) 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점 핀 (30) 의 상측 지점 핀 (31) 및 하측 지점 핀 (32) 에는, 각각 핀 외측면에 세로홈 (31a, 32a) 을 형성하고 있고, 그 각 세로홈 (31a, 32a) 에 상하 각 보스 (24a, 24b) 측으로부터 각각 회전방지 핀 (볼트) (38, 38) 을 삽입하고 있음으로써, 상측 지점 핀 (31) 및 하측 지점 핀 (32) 이 나사봉 (33) 과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지점 핀 (30) 은, 수동으로 나사봉 (33) 을 우회전 또는 좌회전시킴으로써,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을 동시에 선단 붐 선단부 (13) 측의 상하 각 보스 (14a, 14b) 에 대해 탈출시키거나 감삽시키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나사봉 (33) 하단부의 회전구 연결부 (34) 를 회전구로 우회전 (하방에서 볼 때) 시키면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이 동시에 근접 방향 (핀 탈출측) 으로 이동하는 한편, 그 회전구를 좌회전 (하방에서 볼 때) 시키면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이 동시에 이간 방향 (핀 감삽측) 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5 의 상태는,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이 각각 선단 붐 선단부 (13) 측의 상하 각 보스 (14a, 14b) 에 감삽되어 있는 상태이고, 이 때에는 나사봉 (33) 의 외측이며 상측 지점 핀 (31) 의 하단과 하측 지점 핀 (32) 의 상단 사이에 상당한 길이의 간격 (T) 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간격 (T) 내에 후술하는 규제 부재 (71) 가 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격납 수단 (A) 은, 도 4 및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 붐 (11) 의 측면부의 상하 2 위치에 형성된 상측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17a) 및 하측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17b) 와, 기단 지브 (21) 의 측면부의 상하 2 위치에 형성된 상측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27a) 및 하측 보스 (핀 구멍이 형성됨) (27b) 와, 상하 각 측의 보스끼리 (17a 와 27a, 17b 와 27b) 를 연결ㆍ연결 해제하는 연결 핀 (40) 을 갖고 있다.
기단 붐 (11) 측의 상하 각 보스 (17a, 17b) 는, 기단 붐 (11) 측면부에 설치된 부착대 (16) 에 횡방향 자세로 형성되어 있다. 또, 기단 지브 (21) 측의 상하 각 보스 (27a, 27b) 는, 기단 지브 (21) 측면부에 설치된 부착대 (26) 에 횡방향 자세로 형성되어 있다. 또, 기단 붐 (11) 측의 상하 각 보스 (17a, 17b) 는 상하로 작은 간격을 두고 2 매씩 갖고 있고, 기단 지브 (21) 측의 상하 각 보스 (27a, 27b) 는 상하 1 매씩이다.
연결 핀 (40) 은, 상기 지점 핀 (30) 과 동일한 구조의 것이 채용된다. 즉, 이 연결 핀 (40) 은, 나사봉 (43) 의 상ㆍ하부에 각각 암나사통으로 이루어지는 상측 연결 핀 (41) 과 하측 연결 핀 (42) 을 나사 결합시킨 것을 사용하고 있다. 나사봉 (43) 은,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반부에 우나사 (43a) 를 형성하고, 하반부에 좌나사 (43b) 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하단부에 나사봉 회전용의 회전구를 연결시키기 위한 회전구 연결부 (44) 를 형성하고 있다. 또, 이 나사봉 (43) 에는, 상반부의 우나사 (43a) 부분에 상측 연결 핀 (41) 이 나사 결합되어 있는 한편, 하반부의 좌나사 (43b) 부분에 하측 연결 핀 (42) 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연결 핀 (40) 은,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 붐 (11) 측의 부착대 (16) 의 상하 각 보스 (17a, 17b) 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 핀 (40) 의 상측 연결 핀 (41) 및 하측 연결 핀 (42) 에는, 각각 핀 외측면에 세로홈 (41a, 42a) 을 형성하고 있고, 그 각 세로홈 (41a, 42a) 에 상하 각 보스 (17a, 17b) 측으로부터 각각 회전방지 핀 (볼트) (48, 48) 을 삽입하고 있음으로써, 상측 연결 핀 (41) 및 하측 연결 핀 (42) 이 나사봉 (43) 과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연결 핀 (40) 은, 수동으로 나사봉 (43) 을 우회전 또는 좌회전시킴으로써, 상측 연결 핀 (41) 과 하측 연결 핀 (42) 을 동시에 기단 지브 (21) 측의 상하 각 보스 (27a, 27b) 에 대해 탈출시키거나 감삽시키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나사봉 (43) 하단부의 회전구 연결부 (44) 를 회전구로 우회전 (하방에서 볼 때) 시키면 상측 연결 핀 (41) 과 하측 연결 핀이 동시에 근접 방향(핀 탈출측) 으로 이동하는 한편, 그 회전구를 좌회전 (하방에서 볼 때) 시키면 상측 연결 핀 (41) 과 하측 연결 핀 (42) 이 동시에 이간 방향 (핀 감삽측) 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에서는, 지브의 장출 조작 및 격납 조작은 다음과 같이 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지브 격납 자세에서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붐 선단부 (13) 의 보스 (14a) (하방에 하측 보스 (14b) 가 있음) 와 지브 서포트 (23) 의 보스 (24a) (하방에 하측 보스 (24b) 가 있음) 가 연결 해제되어 있고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이 도 8 과 같이 근접하고 있음), 또한 지브 (2) 가 기단 붐 (11) 의 측방을 따른 자세로 기단 붐 (11)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 1 격납 수단 (A) 과 기단 붐 (11) 기단측에 위치하는 제 2 격납 수단 (B) 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 때, 제 1 격납 수단 (A) 의 연결 핀 (40) 은,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연결 핀 (41) 과 하측 연결 핀 (42) 이 이간되어 상하의 보스끼리 (17a 와 27a, 17b 와 27b) 를 각각 연결하고 있다. 또한, 이 지브 격납 상태에서는, 지브 (2) 를 기단 붐 (11) 측면부에 격납한 상태에서 신축 붐 (1) 을 신축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지브 (2) 를 격납 자세 (도 1) 에서 장출 자세로 하기 위해서는, 신축 붐 (1) 을 전체 축소시킨 상태에서, 기단 붐 기단측의 제 2 격납 수단 (B) 을 연결 해제하고 (지브 (2) 가 제 1 격납 수단 (A) 의 연결 핀 (40) 을 지축으로 하여 요동할 수 있음),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붐 선단부 (13) 의 일측부의 보스 (14a (14b)) 와 지브 서포트 (23) 의 일측부의 보스 (24a (24b)) 를 중합시키고 (도 8 의 상태), 지점 핀 (30) 의 나사봉 (33) 의 회전구 연결부 (34) 를 좌회전시켜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이 서로 이간됨), 상측 지점 핀 (31) 으로 상측의 각 보스 (14a, 24a) 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하측 지점 핀 (32) 으로 하측의 각 보스 (14b, 24b) 를 연결시킨다. 그 후, 제 1 격납 수단 (A) 의 연결 핀 (40) 의 나사봉 (43) 을 우회전시켜 상측 연결 핀 (41) 과 하측 연결 핀 (42) 을 기단 지브 (21) 측의 상하 각 보스 (27a, 27b) 로부터 탈출시키면, 지브 (2) 전체를 지점 핀 (30) (상측 지점 핀 (31) 과 하측 지점 핀 (32)) 을 지축으로 하여 신축 붐 (1) 의 측방영역을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지브 (2) 를 선단 붐 선단부 (13) 의 전방 위치까지 회전 이동시켜, 선단 붐 선단부 (13) 의 비지점측의 보스에 지브 서포트 (23) 의 비지점측의 보스를 중합시키고, 그 두 보스에 다른 연결 핀을 감삽시킴으로써 지브 (2) 를 장출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지브 (2) 를 격납 자세에서 장출 자세로 이동시킬 때, 또는 지브 (2) 를 장출 자세에서 격납 자세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지점 핀 (30) 과 상기 연결 핀 (40) 을 교대로 감탈 조작할 필요가 있는데, 일반적인 지브 격납 장치에서는, 상기 [배경 기술] 의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조작에 따라 지점 핀 (30) 과 연결 핀 (40) 이 모두 탈출될 우려가 있어, 그 때에는 지브 탈락의 위험이 있었다.
그래서, 본원 실시예의 지브 격납 장치에는, 지브 (2) 의 장출 조작시 및 격납 조작시에, 지점 핀 (30) 과 연결 핀 (40) 이 모두 탈출되는 경우가 없도록 하기 위한 안전 기구를 형성하고 있다.
즉, 이 안전 기구는, 상기 구성을 갖는 지브 격납 장치에 있어서, 지브 (2) 측에, 지브 회전 이동시의 지축이 되는 지점 핀 (30) 이 감삽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과, 그 지점 핀 (30) 의 탈출측으로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규제하는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과, 제 1 격납 수단 (A) 측의 연결 핀 (40) 이 감삽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과, 그 연결 핀 (40) 의 탈출측으로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규제하는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과,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과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을 기계적으로 관련짓는 제 1 관련 수단 (91) 과,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과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을 기계적으로 관련짓는 제 2 관련 수단 (94) 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들 수단 (5, 6, 7, 8, 91, 94) 에 있어서, 「기계적」이란 전기나 유압 등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수단 (5, 6, 7, 8, 91, 94) 은, 이 실시예에서는 각각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상기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에는, 도 3 ∼ 도 6 및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지점 핀 (31) 에 고정된 돌기 (51) 가 채용되어 있고, 상측 지점 핀 (31) 의 상하 이동에 따라 그 돌기 (51) 가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의 감탈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은, 나사봉 (33) 에 의해 동시에 근접 또는 이간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한쪽 지점 핀 (상측 지점 핀 (31)) 의 상하 이동을 검출함으로써, 두 지점 핀 (31, 32) 의 감탈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에는, 도 3 ∼ 도 6 및 도 11 (특히 도 5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점 핀 (30) 의 근방 위치에 있어서 지점 핀 (30) 의 나사봉 (33) 에 대해 근접ㆍ이간 방향으로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도록 피벗 지지된 규제 부재 (71) 를 갖고 있다. 이 규제 부재 (71) 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두 지점 핀 (31, 32) 이 각각 선단 붐 선단부 (13) 측의 상하 각 보스 (14a, 14b) 에 감삽된 상태에서의, 상측 지점 핀 (31) 의 하단과 하측 지점 핀 (32) 의 상단 사이의 간격 (T) 보다 약간 짧은 정도의 높이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규제 부재 (71) 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브 서포트 (23) 에 형성된 부착대 (29) 측에 축 (72) 에 의해 피벗 지지되고 있다.
또, 이 규제 부재 (71) 에는, 대향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아암 (73, 74) 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한쪽 아암 (74) 을 스프링 (75) 에 의해, 규제 부재 (71) 가 지점 핀 (30) 의 나사봉 (33) 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또한, 규제 부재 (71) 의 다른 한쪽 아암 (73) 에는, 후술하는 제 2 관련 수단 (컨트롤 케이블) (94) 의 이너 케이블 (96) 의 일단 (96a) 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규제 부재 (71) 의 자유 상태에서는, 스프링 (75)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그 규제 부재 (71) 가 도 6 에 쇄선으로 도시 (부호 71') 하는 바와 같이 나사봉 (33) 의 외면에 맞닿는 (또는 근접하는) 위치까지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5 와 같이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이 각각 선단 붐 선단부 (13) 측의 보스 (14a, 14b) 에 감삽되어 있는 상태에서, 규제 부재 (71) 가 자유 상태로 되면, 스프링 (75)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그 규제 부재 (71) 가 상측 지점 핀 (31) 의 하단과 하측 지점 핀 (32) 의 상단 사이의 간격 (T) 내에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규제 부재 (71) 는, 각각 감삽 상태에 있는 상측 지점 핀 (31) 의 하단과 하측 지점 핀 (32) 의 상단 사이의 간격 (T) 내에 상하 여유를 갖고 진입하지만, 그 규제 부재 (71) 가 그 간격 (T) 내에 진입하는 상태에서, 나사봉 (33) 을 지점 핀 탈출측으로 조작 (좌회전) 시키면,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이 선단 붐 선단부 (13) 측의 상하 각 보스 (14a, 14b) 로부터 탈출되기 전에 상측 지점 핀 (31) 의 하단 및 하측 지점 핀 (32) 의 상단이 규제 부재 (71) 의 상하 각 면에 충합(衝合)되도록 되어 있고, 그 충합 시점 이후에는 나사봉 (33) 을 지점 핀 탈출측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 의 상태에서는, 상측 지점 핀 (31) 의 하단과 하측 지점 핀 (32) 의 상단이 규제 부재 (71) 의 상하 각 면에 동시에 충합되도록 기재하고 있는데, 상측 지점 핀 (31) 또는 하측 지점 핀 (32) 중 어느 한쪽만을 규제 부재 (71) 에 충합시키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에는, 도 4 및 도 9 ∼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연결 핀 (41) 의 상하 이동에 따라 요동하는 L 형 레버 (61) 가 채용된다. 이 L 형 레버 (61) 는, 지브 격납 상태에서의 상측 연결 핀 (41) 의 근방 위치에서, L 형의 모서리부를 기단 지브 (21) 측의 부착대 (26) 에 축 (62) 으로 피벗 지지하고 있다. 또, 그 L 형 레버 (61) 의 한쪽 레버단에는, 상측 연결 핀 (41) 측을 향하여 돌기 (63) 를 돌출시키고 있다. 한편, 상측 연결 핀 (41) 의 외면에는, 그 돌기 (63) 에 충합되는 누름판 (64) 을 부착하고 있다.
또, 기단 지브 (21) 측의 L 형 레버 (61) 와 상측 연결 핀 (41) 측의 돌기 (63) 는, 지브 (2) 가 기단 붐 (11) 으로부터 이간되면 L 형 레버 (61) 가 누름판 (64) 에 대해 이탈되는 한편, 지브 (2) 가 기단 붐 (11) 측방의 격납 위치에 위치하면 L 형 레버 (61) 의 돌기 (63) 가 상측 연결 핀 (41) 측의 누름판 (64) 에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은, 상측 연결 핀 (41) 의 상하 이동에 따라 누름판 (64) 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돌기 (63) 를 개재하여 L 형 레버 (61) 의 다른 한쪽 레버단을 지브 길이 방향으로 요동시키고, 그 다른 한쪽 레버단의 요동량에 따라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의 감탈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결 핀 (40) 의 경우에도,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이 나사봉 (43) 에 의해 동시에 근접 또는 이간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한쪽 연결 핀 (상측 연결 핀 (41)) 의 상하 이동을 검출함으로써, 두 연결 핀 (41, 42) 의 감탈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에는, 도 3 ∼ 도 4 및 도 9 ∼ 도 11 (특히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격납 수단 (A) 의 연결 핀 (40) 의 근방 위치에 있어서 연결 핀 (40) 의 나사봉 (43) 에 대해 근접ㆍ이간 방향으로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도록 피벗 지지된 규제 부재 (81) 를 갖고 있다. 이 규제 부재 (81) 는,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두 연결 핀 (41, 42) 이 각각 기단 지브 (21) 측의 상하 각 보스 (27a, 27b) 에 감삽된 상태에서의, 상측 연결 핀 (41) 의 하단과 하측 연결 핀 (42) 의 상단 사이의 간격 (S) 보다 약간 짧은 정도의 높이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규제 부재 (81) 는,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 지브에 형성된 부착대 (26) 측에 축 (82) 으로 피벗 지지하고 있다. 또, 이 규제 부재 (81) 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아암 (84)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아암 (84) 을 스프링 (85) 에 의해, 규제 부재 (81) 가 연결 핀 (40) 의 나사봉 (43) 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규제 부재 (81) 의 자유 상태에서는, 스프링 (85) 에 의해 그 규제 부재 (81) 가 도 10 에 쇄선으로 도시 (부호 81') 하는 바와 같이 나사봉 (43) 의 외면에 맞닿는 (또는 근접하는) 위치까지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9 와 같이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이 각각 기단 지브 (21) 측의 보스 (27a, 27b) 에 감삽되어 있는 상태에서, 규제 부재 (81) 가 자유 상태로 되면, 스프링 (85)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그 규제 부재 (81) 가 상측 연결 핀 (41) 의 하단과 하측 연결 핀 (42) 의 상단 사이의 간격 (S) 내에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관련 수단 (91) 및 제 2 관련 수단 (94) 에는, 각각 컨트롤 케이블이 채용된다. 이 각 컨트롤 케이블 (91, 94) 은, 아우터 케이싱 (92) 내에 이너 케이블 (93) 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통과시킨 것이다.
제 1 관련 수단이 되는 컨트롤 케이블 (91) 은, 아우터 케이싱 (92) 의 양 단부가 각각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이너 케이블 (93) 의 일단 (93a) 이 도 5 ∼ 도 6 및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이 되는 돌기 (51) 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그 이너 케이블 (93) 의 타단 (93b) 이 도 9 ∼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의 규제 부재 (81) 의 아암 (84) 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관련 수단 (컨트롤 케이블) (91) 은, 지점 핀 (30) 의 상측 지점 핀 (31) 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돌기 (51)) 및 이너 케이블 (93) 을 개재하여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의 규제 부재 (81) 를 규제 해제 위치 (도 10 의 부호 81 의 위치) 와 규제 위치 (도 10 의 부호 81' 의 위치) 의 사이에서 요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5 및 도 11(B) 및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지점 핀 (31) 이 상부로 이동하고 있으면 (상하 두 지점 핀 (31, 32) 이 감삽 상태), 이너 케이블 (93) 이 인장되어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의 규제 부재 (81) 가 스프링 (85)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도 10 에 실선 도시하는 규제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한편, 도 8 및 도 1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지점 핀 (31) 이 하부로 이동하고 있으면 (상하 두 지점 핀 (31, 32) 이 탈출 상태), 이너 케이블 (93) 이 눌려 (인장력이 해제되어)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의 규제 부재 (81) 가 스프링 (85)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도 10 에 쇄선으로 도시 (부호 81') 하는 규제 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관련 수단이 되는 컨트롤 케이블 (94) 은, 아우터 케이싱 (95) 의 양 단부가 각각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이너 케이블 (96) 의 일단 (96a) 이 도 5 ∼ 도 6 및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의 규제 부재 (71) 의 아암 (73) 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그 이너 케이블 (96) 의 타단 (96b) 이 도 9 ∼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의 L 형 레버 (61) 의 한쪽 레버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 관련 수단 (컨트롤 케이블)(94) 은, 연결 핀 (40) 의 상측 연결 핀 (41) 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L 형 레버 (61)) 및 이너 케이블 (96) 을 개재하여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의 규제 부재 (71) 를 규제 해제 위치 (도 6 의 부호 71 의 위치) 와 규제 위치 (도 6 의 부호 71' 의 위치) 의 사이에서 요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9 및 도 11(A) 및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연결 핀 (41) 이 상부로 이동하고 있으면 (상하 두 연결 핀 (41, 42) 이 감삽 상태), 누름판 (64) 및 돌기 (63) 를 개재하여 L 형 레버 (61) 가 이너 케이블 인장측으로 요동하고 있어 그 이너 케이블 (96) 이 인장됨으로써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의 규제 부재 (71) 가 스프링 (75)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도 6 에 실선 도시하는 규제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한편, 도 11(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연결 핀 (41) 이 하부로 이동하고 있으면 (상하 두 연결 핀 (41, 42) 이 탈출 상태), 이너 케이블 (96) 이 눌려 (인장력이 해제되어)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의 규제 부재 (71) 가 스프링 (75)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도 6 에 쇄선으로 도시 (부호 71') 하는 규제 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지브 격납 장치에서는, 상기 각 수단 (5, 6, 7, 8, 91, 94) 에 의해, 지브 (2) 의 장출 조작시 및 격납 조작시에, 각각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또한, 지브 (2) 의 장출 조작시 및 격납 조작시의 각 작동 변화 및 그 때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11(A), (B) 및 (C) 를 병용하여 설명한다.
[지브 장출 조작]
지브 (2) 를 도 1 에 나타낸 격납 상태에서 장출 조작하는 경우에는, 먼저 제 2 격납 수단 (B) 을 연결 해제한 후, 제 1 격납 수단 (A) 의 연결 핀 (40) 을 지축으로 하여 지브 (2) 를 요동시켜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브 기단부 (지브 서포트) (23) 의 일측부의 상하 각 보스 (24a, 24b) 를 선단 붐 선단부 (13) 의 일측부의 상하 각 보스 (14a, 14b) 에 중합시킨다. 이런 상태에서는, 도 1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이 감삽 상태에 있고,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및 제 2 관련 수단 (컨트롤 케이블) (94) 을 개재하여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의 규제 부재 (71) 가 규제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한편,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이 각각 근접측 (탈출측) 에 있으며,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의 규제 부재 (81) 가 스프링 (85)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규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 핀 (40)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은 탈출 조작이 불가능해진다 (나사봉 (43) 을 연결 핀 탈출측으로 조작할 수 없음).
다음으로, 도 11(A) 및 도 8 의 상태에서 지점 핀 (30) 의 나사봉 (33) 을 좌회전시키고, 상측 지점 핀 (31) 을 상부로 이동시킴과 함께 하측 지점 핀 (32) 을 하부로 이동시키고,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을 각각 상하 각 측의 중합 보스 (14a 와 24a, 14b 와 24b) 에 감삽시킨다 (도 11(B) 의 상태로 됨). 이 도 11(B) 의 상태에서는, 상측 지점 핀 (31) 이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돌기 (51)) 및 제 1 관련 수단 (컨트롤 케이블) (91) 이 작용하여,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의 규제 부재 (81) 가 규제 해제 위치에 위치한다 (나사봉 (43) 에 의한 연결 핀 탈출 조작이 가능).
다음으로, 도 2 의 상태에서 지브 (2) 를 기단 붐 (11) 으로부터 이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연결 핀 (40) 측의 나사봉 (43) 을 연결 핀 탈출측으로 조작하여 도 11(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을 탈출시키는데, 그 나사봉 (43) 의 연결 핀 탈출측 조작은 도 11(B) 에 나타낸 지점 핀 (30) 의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이 감삽 상태일 때에만 행할 수 있다. 즉, 지점 핀 (30) 이 도 11(A) 에 나타낸 탈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잘못해서 연결 핀 (40) 측의 나사봉 (43) 을 연결 핀 탈출측으로 조작하려고 해도 그 조작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연결 핀 탈출 조작시에 지점 핀 (30) 과 연결 핀 (40) 이 모두 탈출된다는 상태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1(C) 와 같이, 연결 핀 (40) 의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이 탈출 상태로 되면,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및 제 2 관련 수단 (컨트롤 케이블) (94) 에 의한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의 규제 부재 (71) 에 대한 규제 해제측 작용이 해제되고, 그 규제 부재 (71) 가 스프링 (75) (도 6) 의 탄성 지지력으로 규제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지브 (2) 는, 선단 붐 선단부 (13) 의 전방까지 회전 이동시킨 후, 지브 서포트 (23) 의 타측의 보스 (상하 2 지점에 있음) 와 선단 붐 선단부 (13) 의 타측의 보스 (상하 2 지점에 있음) 를 중합시켜, 그들 중합 보스에 다른 연결 핀을 감삽시킴으로써, 지브 장출 작업이 완료된다.
[지브 격납 조작]
지브 (2) 를 장출 상태에서 격납 조작하는 경우에는, 지브 기단부 (지브 서포트) (23) 와 선단 붐 선단부 (13) 를 지점 핀 (30) 만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지브 (2) 를 도 2 에 나타낸 기단 붐 (11) 의 측방을 따른 위치까지 회전 이동시켜, 기단 지브 (21) 측의 상하 각 보스 (27a, 27b) 를 기단 붐 (11) 측의 상하 각 보스 (17a, 17b) 에 각각 중합시킨다. 이 때, 지브측의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이 되는 L 형 레버 (61) 의 돌기 (63) 가 상측 연결 핀 (41) 측의 누름판 (64) 에 걸어맞춰진다. 그리고, 기단 지브 (21) 측과 기단 붐 (11) 측의 상하 각 중합 보스 (17a 와 27a, 17b 와 27b) 에 제 1 격납 수단 (A) 의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을 각각 감삽시킨다 (도 11(B) 의 상태가 됨). 이 도 11(B) 의 상태에서는,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측의 규제 부재 (71) 와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측의 규제 부재 (81) 가 모두 규제 해제 위치에 있고, 각 측의 나사봉 (33, 43) 은 각각 핀 탈출측 조작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11(B) 의 상태에서, 지점 핀 (30) 의 나사봉 (33) 을 지점 핀 탈출측으로 조작하여, 도 1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을 탈출시키지만, 그 나사봉 (33) 의 지점 핀 탈출측 조작은 도 11(B) 에 나타낸 연결 핀 (40) 의 상하 각 연결 핀 (41, 42) 이 감삽 상태일 때에만 행할 수 있다. 즉, 연결 핀 (40) 이 도 11(C) 에 나타낸 탈출 상태에 있을 때는,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의 규제 부재 (71) 가 규제 위치에 있으므로, 잘못해서 지점 핀 (30) 측의 나사봉 (33) 을 지점 핀 탈출측으로 조작하려고 해도 그 조작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점 핀 탈출 조작시에 지점 핀 (30) 과 연결 핀 (40) 이 모두 탈출되는 상태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1(A) 와 같이, 지점 핀 (30) 의 상하 각 지점 핀 (31, 32) 이 탈출 상태로 되면,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및 제 1 관련 수단 (컨트롤 케이블) (91) 에 의한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의 규제 부재 (81) 에 대한 규제 해제측 작용이 해제되고, 그 규제 부재 (81) 가 스프링 (85) (도 10) 의 탄성 지지력으로 규제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11(A) 에 나타낸 상태에서, 연결 핀 (40) 을 지축으로 하여 지브 선단측을 기단 붐 (11) 의 측면부에 근접시키고,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브 선단측을 제 2 격납 수단 (B) 으로 기단 붐 (11) 측에 연결시킴으로써, 지브 격납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예의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에서는, 지브 (2) 를 격납 상태에서 장출 조작할 때, 및 지브 (2) 를 장출 상태에서 격납 조작할 때의 두 조작시에, 상기 지점 핀 (30) 또는 상기 연결 핀 (40) 중 어느 한쪽이 탈출 상태 (비연결 상태) 일 때에는, 잘못해서 지점 핀 (30) 또는 연결 핀 (40) 중 다른 한쪽을 탈출 조작해도, 당해 탈출 조작된 핀이 탈출되는 (발출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지브 격납 조작과 지브 장출 조작의 두 조작시에, 오조작을 해도 지점 핀 (30) 과 연결 핀 (40) 이 모두 발출된다는 트러블을 미연에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지브 (2) 의 격납 및 장출의 두 조작시에, 각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브가 탈락될 우려가 없어진다).
또,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5),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7),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8), 제 1 관련 수단 (91), 및 제 2 관련 수단 (94) 을, 각각 지브측에 집약적으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지브 격납 상태 (지브 (2) 가 선단 붐 (12) 에 대해 분리 상태) 에서 신축 붐 (1) 만으로 크레인 작업 (붐 신축) 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상기 각 수단 (5, 6, 7, 8, 91, 94) 이 붐 신축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각 수단 (5, 6, 7, 8, 91, 94) 은, 각각 기계적으로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전기나 유압에 의한 것과 같이, 신축 붐 (1) 측과 지브 (2) 측 사이에 동력원 접속용의 커넥터 (탈착 작업이 필요) 를 형성하거나 제어용 컨트롤러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간단한 구성으로 지브의 격납 및 장출의 두 조작시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와 같이,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L 형 레버 (61)) 을 상측 연결 핀 (41) (돌기 (63)) 에 대해 자유롭게 걸림 이탈할 수 있도록 걸어맞출 수 있게 하면, 연결 핀 (40) 을 기단 붐 (11) 측에 형성하고 또한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을 기단 지브 (21) 측에 형성한 것이어도, 지브 (2) 를 기단 붐 (11) 측방을 따르게 했을 때에 상기 L 형 레버 (61) 가 상기 돌기 (63) 에 걸어맞춰지고,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으로 연결 핀 (상측 연결 핀 (41)) 의 감탈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하의 각 연결 핀 (41, 42) 을 유압 실린더로 감탈 조작하는 것 같이 연결 핀 (40) 을 기단 붐 (11) 측에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지브측으로부터 연결 핀 (40) 의 감탈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관련 수단 (91) 및 제 2 관련 수단 (94) 에 각각 컨트롤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는데,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제 1 관련 수단 (91) 및 제 2 관련 수단 (94) 으로서 컨트롤 케이블 대신에 링크 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1 : 신축 붐
2 : 지브
5 :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6 :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
7 :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
8 :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
11 : 기단 붐
12 : 선단 붐
13 : 선단 붐 선단부
14a, 14b : 선단 붐 선단부의 보스
17a, 17b : 제 1 격납 수단 부분의 기단 붐측의 보스
21 : 기단 지브
23 : 지브 기단부 (지브 서포트)
24a, 24b : 지브 기단부측의 보스
27a : 27b : 제 1 격납 수단 부분의 지브측의 보스,
30 : 지점 핀
31 : 상측 지점 핀
32 : 하측 지점 핀
33 : 나사봉
40 : 연결 핀
41 : 상측 연결 핀
42 : 하측 연결 핀
43 : 나사봉
51 : 돌기
61 : L 형 레버
71 :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의 규제 부재
81 :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의 규제 부재
91 : 제 1 관련 수단 (컨트롤 케이블)
94 : 제 2 관련 수단 (컨트롤 케이블)
A : 제 1 격납 수단
B : 제 2 격납 수단

Claims (2)

  1. 차량 상에 설치된 신축 붐의 선단 붐의 선단부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지브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 붐 선단부의 일측부에 형성된 보스와 지브 기단부의 일측부에 형성된 보스를 서로 중합시켜 그들 보스에 공통된 지점 핀을 자유롭게 감탈할 수 있도록 감삽시키고, 신축 붐의 전체 축소 상태에서 상기 지점 핀을 지축으로 하여 상기 지브를 신축 붐의 측방영역을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브를 상기 선단 붐 선단부의 전방으로 장출한 장출 자세와 신축 붐의 기단 붐의 측방을 따르게 한 격납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기단 붐과 상기 지브 사이에 격납 수단을 설치하고, 그 격납 수단으로 지브를 기단 붐의 측면부에 격납 가능하게 한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로서,
    상기 격납 수단은, 상기 기단 붐의 측면부에 형성된 보스와, 상기 지브의 측면부에 형성된 보스와, 그들 보스에 자유롭게 감탈할 수 있도록 감삽되는 연결 핀을 가지고,
    상기 지브측에, 상기 지점 핀이 감삽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지점 핀의 탈출측으로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규제하는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과, 상기 연결 핀이 감삽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연결 핀의 탈출측으로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규제하는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과, 상기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을 기계적으로 관련짓는 제 1 관련 수단과, 상기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을 기계적으로 관련짓는 제 2 관련 수단을 각각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지점 핀의 탈출 상태를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관련 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에 의한 연결 핀의 탈출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편, 상기 지점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지점 핀의 감삽 상태를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관련 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연결 핀 탈출규제 수단에 의한 연결 핀의 탈출측으로의 이동 규제를 해제하고, 상기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연결 핀의 탈출 상태를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관련 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에 의한 지점 핀의 탈출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편, 상기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연결 핀의 감삽 상태를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관련 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지점 핀 탈출규제 수단에 의한 지점 핀의 탈출측으로의 이동 규제를 해제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격납 수단의 연결 핀을 기단 붐측에 형성하는 한편,
    지브측의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연결 핀에 대해 자유롭게 걸림 이탈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는 것이며,
    상기 지브를 상기 기단 붐 측방에 격납시켰을 때에 상기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연결 핀에 걸어맞춰져, 그 연결 핀 감탈 상태 검출 수단으로 연결 핀의 감탈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
KR1020117004494A 2008-08-29 2009-08-18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 KR101590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20907A JP5248952B2 (ja) 2008-08-29 2008-08-29 ジブ付きクレーン車のジブ格納装置
JPJP-P-2008-220907 2008-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262A true KR20110044262A (ko) 2011-04-28
KR101590212B1 KR101590212B1 (ko) 2016-01-29

Family

ID=4172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494A KR101590212B1 (ko) 2008-08-29 2009-08-18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22988B2 (ko)
JP (1) JP5248952B2 (ko)
KR (1) KR101590212B1 (ko)
CN (1) CN102137809B (ko)
BR (1) BRPI0917376B1 (ko)
WO (1) WO2010024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5674B2 (en) * 2013-02-21 2017-11-14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Pin puller for crane connections
US9139409B2 (en) * 2013-03-12 2015-09-22 Oshkosh Corporation Weighted boom assembly
CN103303820A (zh) * 2013-07-08 2013-09-18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伸缩臂式起重机及其臂销装置
CN103601085B (zh) * 2013-11-27 2015-08-12 三一汽车起重机械有限公司 伸缩臂装置及工程车辆
JP6520270B2 (ja) * 2015-03-20 2019-05-29 株式会社タダノ ジブ連結構造
JP6569311B2 (ja) * 2015-06-05 2019-09-04 株式会社タダノ ジブ張出格納機構
JP6160660B2 (ja) * 2015-07-16 2017-07-1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アタッチメントの連結装置
CN105217492B (zh) * 2015-09-23 2017-03-29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连接装置、起重臂和起重机
US10647552B1 (en) * 2015-09-25 2020-05-12 Link-Belt Cranes, L.P., Lllp Fly connection system for a crane boom
CN106395645B (zh) * 2016-12-02 2018-10-02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风电臂翻转方法及起重机
DE202017101042U1 (de) 2017-02-24 2017-03-24 Manitowoc Crane Group France Sas Verbolzungseinheit
US10589966B2 (en) * 2017-03-02 2020-03-17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Jib coupling system for jib stowage
CN108756781B (zh) * 2018-05-23 2023-07-04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车载钻机起重臂控制装置
DE102020118261B4 (de) * 2020-07-10 2024-05-16 Liebherr-Werk Ehingen Gmbh Fahrbarer Kran mit Klappspitzenfangvorrichtung sowie Klappspitze für einen solchen Kran
DE102020131617B4 (de) * 2020-11-30 2022-06-23 Liebherr-Werk Ehingen Gmbh Mobilkran umfassend einen Oberwagen mit wenigstens einer Lagerstelle zum Anbolzen eines Auslegers
CN113120782B (zh) * 2021-04-29 2024-02-13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副臂、起重机、副臂展开方法以及副臂回缩方法
EP4299502A1 (en) * 2021-02-23 2024-01-03 Xuzhou Heavy Machinery Co., Ltd. Jib, crane, jib unfolding method, and jib retrac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079A (ja) * 1995-11-30 1997-06-10 Komatsu Ltd ジブ張出、格納における安全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1111877A (ja) * 1997-06-24 1999-01-19 Tadano Ltd 車両搭載クレーンのジブ格納装置
JP2001328793A (ja) * 2000-05-19 2001-11-27 Kato Works Co Ltd クレーン装置
JP2003226486A (ja) 2002-02-01 2003-08-12 Tadano Ltd クレーン車のジブ格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1771A (en) * 1973-02-16 1974-08-27 Harnischfeger Corp Mobile crane with telescopic boom and jib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latter
JPS562715Y2 (ko) * 1976-04-13 1981-01-21
US4141455A (en) * 1977-07-14 1979-02-27 Harnischfeger Corporation Means for storing and connecting jib on telescopic crane boom
JPS562715A (en) 1979-06-22 1981-01-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Transistor voltage amplifying circuit
US4318488A (en) * 1980-07-28 1982-03-09 Harnischfeger Corporation Method of extending a jib of a telescopic crane
US4621742A (en) * 1985-01-25 1986-11-11 Harnischfeger Corporation Boom extension storage means and mechanisms
JPS6327396A (ja) * 1986-07-21 1988-02-05 株式会社タダノ 伸縮ブ−ムに継ぎ足されるジブ
US5193698A (en) * 1990-09-13 1993-03-1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Jib stretching and folding device for use in a crane
US5111945A (en) * 1991-09-13 1992-05-12 Kidde Industries, Inc. Boom extension alignment device
US5673805A (en) * 1995-02-28 1997-10-07 National Crane Corporation Jib pin alignment jack assembly
JP2883860B2 (ja) * 1996-04-05 1999-04-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クレーンのジブ張出、格納装置及びその張出、格納方法
CN1242337A (zh) * 1998-07-01 2000-01-26 美国格若沃责任有限公司 移动式吊车
ITMI20010116A1 (it) * 2001-01-23 2002-07-23 San Marco Internat S R L Gru a torre a struttura composita automontante con torre ripiegabile e sfilabile e braccio a piu' porzioni
DE10139827A1 (de) * 2001-08-14 2003-03-13 Infineon Technologies Ag Speicherzelle mit Grabenkondensator und vertikalem Auswahltransistor und einem zwischen diesen geformten ringförmigen Kontaktierungsberei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079A (ja) * 1995-11-30 1997-06-10 Komatsu Ltd ジブ張出、格納における安全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1111877A (ja) * 1997-06-24 1999-01-19 Tadano Ltd 車両搭載クレーンのジブ格納装置
JP2001328793A (ja) * 2000-05-19 2001-11-27 Kato Works Co Ltd クレーン装置
JP2003226486A (ja) 2002-02-01 2003-08-12 Tadano Ltd クレーン車のジブ格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52911A (ja) 2010-03-11
KR101590212B1 (ko) 2016-01-29
CN102137809A (zh) 2011-07-27
WO2010024151A1 (ja) 2010-03-04
CN102137809B (zh) 2013-03-27
JP5248952B2 (ja) 2013-07-31
BRPI0917376A2 (pt) 2015-11-17
BRPI0917376B1 (pt) 2020-11-24
US8522988B2 (en) 2013-09-03
US20110147331A1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4262A (ko)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
US5773771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nintended movement of elevator car
JP2010052911A5 (ko)
RU248890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хвата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зажим и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ая система
CN101700850B (zh) 电梯制停装置
US20190300340A1 (en) Mobile crane
KR100812031B1 (ko)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오작동 방지 장치
CN103842594B (zh) 驾驶室出口的安全阻挡
CN112262097B (zh) 改进的管道吊具
JP6493649B1 (ja) アウトリガ装置
KR950012718B1 (ko) 크레인의 지브 신장 및 격납장치
JP3566418B2 (ja) ラフィングジブ付き移動式クレーン
RU2600216C2 (ru) Судно-укладчик для укладк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на дно водоема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судна-укладчика
JP2834411B2 (ja) ホイール式クレーンのジブ張出し、格納装置
CN2298236Y (zh) 塔式起重机伸缩式起重臂
CN103924504B (zh) 登船桥遮篷装置及其驱动方法
CN218708766U (zh) 一种用于吊臂的拔销互锁连杆装置
CN105934620B (zh) 具有托管架操纵***的船
CN213056831U (zh) 一种侧翻半挂车安全支撑装置
CN210620042U (zh) 一种龙门吊防风装置
CN116605771A (zh) 一种防风抗摆起重机
JP6255149B2 (ja) ジブ間固定装置
JP7292851B2 (ja) ジブ起伏機構およびジブ起伏機構を備えたクレーン車
JP4820675B2 (ja) コンテナクレーンのブーム固定装置
JP3074479U (ja) 退避機構付き船舶連絡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