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890A -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890A
KR20110023890A KR1020117001610A KR20117001610A KR20110023890A KR 20110023890 A KR20110023890 A KR 20110023890A KR 1020117001610 A KR1020117001610 A KR 1020117001610A KR 20117001610 A KR20117001610 A KR 20117001610A KR 20110023890 A KR20110023890 A KR 20110023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mass
content
molten steel
r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606B1 (ko
Inventor
마사후미 미야자끼
요오스께 구로사끼
다까히데 시마즈
가즈오 오오누끼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specific alloys
    • B22D11/002Stainless stee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06Adding metall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37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by injecting powdered material
    • C21C7/0043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by injecting powdered material into the falling stream of molten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Deoxidising, e.g. k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Abstract

질량%로, Si:0.1% 이상 7.0% 이하, Mn:0.1% 이상, Al:0.% 이상 5.% 이하 및 Cr:0.% 이상 1% 이하 등을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용강을 제작한다. 상기 용강에, REM:0.000% 이상 0.0% 이하를 첨가한다. 상기 REM이 첨가된 용강의 주조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을 제조한다.

Description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및 그 제조 방법{CAST SLAB OF NON-ORIENTED MAGNETIC STEE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주파 영역에서 사용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에 적합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절약을 위해, 냉난방 기구의 모터 및 전기 자동차의 메인 모터 등에 대해 소비 전력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 모터는, 고회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모터의 철심에 사용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에 대해, 상용 주파수인 50㎐ 내지 60㎐보다도 높은 주파 영역에 있어서의 철손의 개선 및 강도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강도의 향상은, 고속 회전시의 변형 및 파괴를 피하기 위함이다.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고주파 영역에서의 철손의 개선에는, Si 또는 Al의 함유량의 증가에 의한 전기 저항의 상승 및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 자체의 두께의 저감이 유효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Si 또는 Al의 함유량이 증가하면, 취성이 현저하게 악화된다. 이로 인해, 제조시에 강판의 파단 등의 조업 이상이 다발하여, 생산성 및 비용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을 얇게 하면,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져 고속 회전시에 크게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고주파 영역에서의 철손의 개선을 위해, Cr을 첨가하여 전기 저항을 상승시키는 것에 대해서도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Cr을 함유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을, Cr을 함유하지 않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면, 용강(溶鋼) 중의 용존 질소량이 증가하여, 어닐링시에 미세한 AlN 개재물이 다량으로 석출되기 쉽다. 이 결과, 피닝 효과에 의해 결정립의 성장이 저해되어, 결정립이 미세한 것으로 된다. 이 결과, 전기 저항이 상승해도 철손을 충분히 개선할 수 없다.
이것은, Cr을 함유하는 용강의 질소 용해도가, Cr을 함유하지 않는 용강의 질소 용해도보다도 높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5질량% 정도의 Cr을 함유하는 용강의 질소 용해도는, Cr을 함유하지 않는 용강의 질소 용해도보다도 수 10% 높다.
용존 질소량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대기와 용강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Cr을 함유하지 않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제조에서도, 용강과 대기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채용되어 있지만, 접촉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Cr을 함유하지 않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제조 설비 및 제조 방법에 개량을 더하여, 분위기의 조정 등을 강화하면 접촉을 보다 억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충분히 억제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을 필요로 한다. 또한, 미세한 AlN 개재물의 석출을 억제하기 위해 어닐링 온도를 저온화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장시간의 어닐링을 행할 필요가 발생하여, 생산성의 저하 및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2909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64-226호 공보
일본 철강협회편, 철강 편람 제3판 I 기초편, p.159
본 발명은,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고주파 영역에서의 철손 및 강도를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질량%로,
Si:0.1% 이상 7.0% 이하,
Mn:0.1% 이상,
Al:0.2% 이상 5.0% 이하,
Cr:0.1% 이상 10% 이하 및
REM:0.0005% 이상 0.03% 이하
를 함유하고,
C의 함유량이 0.005% 이하,
P의 함유량이 0.2% 이하,
S의 함유량이 0.005% 이하,
N의 함유량이 0.005% 이하,
O의 함유량이 0.005% 이하
이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2) Mn 함유량이 2.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3) REM의 함유량이 0.001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4) REM의 함유량이 0.002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5) 질량%로,
Cu:1.0% 이하,
Ca 및 Mg:총량으로 0.05% 이하,
Ni:3.0% 이하 및
Sn 및 Sb:총량으로 0.3%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6) 질량%로,
Si:0.1% 이상 7.0% 이하,
Mn:0.1% 이상,
Al:0.2% 이상 5.0% 이하 및
Cr:0.1% 이상 10% 이하
를 함유하고,
C의 함유량이 0.005% 이하,
P의 함유량이 0.2% 이하,
S의 함유량이 0.005% 이하,
N의 함유량이 0.005% 이하,
O의 함유량이 0.005% 이하
이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용강을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용강에, REM:0.0005% 이상 0.03% 이하를 첨가하는 공정과,
상기 REM이 첨가된 용강의 주조를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7) 상기 용강에 REM을 첨가하는 공정과 상기 용강의 주조를 행하는 공정 사이에, 상기 REM이 첨가된 용강을 레이들로부터 턴디쉬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8) 상기 REM이 첨가된 용강을 이동시키는 공정 전에, 상기 턴디쉬 내의 질소 농도를 1체적% 이하로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9) 상기 용강의 Mn 함유량이 2.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또는 (8)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10) 상기 REM의 첨가량이 0.001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11) 상기 REM의 첨가량이 0.002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12) 상기 용강은, 질량%로,
Cu:1.0% 이하,
Ca 및 Mg:총량으로 0.05% 이하,
Ni:3.0% 이하 및
Sn 및 Sb:총량으로 0.3%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적량의 Cr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전기 저항의 상승에 의해 철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Cr이 함유되어 있어도, REM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질소의 침입이 억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에 어닐링을 행해도, 결정립의 성장을 저해하는 AlN 개재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강도를 손상시키는 박판화를 하지 않아도 양호한 철손의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설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험 1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우선,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에 사용하는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설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설비에는, 레이들(1), 턴디쉬(2), 주형(鑄型)(3) 및 반송 롤러(4) 등이 설치되어 있다. 턴디쉬(2)에는, 주형(3)까지 연장되는 침지 노즐(2a)이 설치되어 있다. 전로에 있어서의 정련 및 2차 정련 장치에 있어서의 탈가스 처리 등이 행해진 무방향성 전자기 강의 용강(11)이 레이들(1)에 주입된다. 그리고 레이들(1)로부터 용강(11)이 턴디쉬(2)로 배출되고, 턴디쉬(2)로부터 유량 및 유속을 조정하면서 침지 노즐(2a)을 통해 용강(11)이 주형(3)에 공급된다. 그리고 주형(3)에 있어서, 용강(11)이 응고되어 무방향성 전자기 강의 주조편(12)이 배출된다. 주조편(12)은 반송 롤러(4)에 의해 반송된다.
이러한 제조 설비에 있어서, 레이들(1)에 주입되는 용강(11)의 표면은 용융 플럭스 등의 피복재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턴디쉬(2)에 덮개가 설치되고, 턴디쉬(2) 내의 공간이 Ar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로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강(11)의 대기와의 접촉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단, 이들에 의해서도 용강(11)의 대기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는 없어, 용강(11)이 질소를 흡수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용강(11)의 유동에 난류가 발생하여 피복재에 의한 용강(11)의 표면의 피복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레이들(1)과 턴디쉬(2)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여, 여기로부터 턴디쉬(2) 내로 대기가 혼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방법에서는, Cr을 함유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의 용강 중의 용존 질소량이 높아져 있는 것이다.
특히, 철손의 개선을 위해 Al을 0.2질량% 이상 함유하는 용강을 사용하여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을 제조하는 경우, 어닐링시에 Al이 용존 질소와 결합하여, 원상당 직경이 0.1㎛ 내지 10㎛ 정도인 미세한 AlN 개재물이 석출된다. 0.2질량% 이상이라고 하는 Al 농도는, AlN 개재물의 석출에 충분한 정도로 높기 때문에, AlN 개재물의 개수는 강 중의 용존 질소량에 지배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AlN 개재물이 다수 석출되면, 피닝 효과에 의해 어닐링시의 결정립의 성장이 저해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제조 설비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조시에 용강에 적량의 희토류 금속(REM)이 함유되어 있으면, 탈가스 처리 후의 용존 질소량의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용존 질소량의 증가의 억제에 의해, AlN 개재물의 석출을 억제하여, 결정립을 적절하게 성장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양호한 철손값을 얻기 위해서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에 있어서의 평균 결정 입경이 50㎛ 내지 2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너(Zener)에 따르면, 750℃ 내지 1100℃, 5초간 내지 5분간의 일반적인 어닐링을 행하여 50㎛ 내지 200㎛ 정도의 평균 결정 입경을 얻기 위해서는, 미세한 AlN 개재물의 개수 밀도는 1011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압연 후의 것도 포함함) 중의 용존 질소 전부가 미세한 AlN 개재물의 생성에 사용된다고 하면, 미세한 AlN 개재물의 개수 밀도를 1011개/㎤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주조편 중의 용존 질소량을 0.005질량%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주조편 중의 용존 질소는, 탈가스 처리 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던 것과, 탈가스 처리 이후에 혼입되어 온 것으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해서도, 탈가스 처리 전부터 용존하고 있는 질소의 양을 탈가스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낮게 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0.001질량% 미만까지 낮추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해진다. 또한, 0.001질량% 미만으로 하였다고 해도,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후에 용강이 대기에 접촉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특히, 용강이 Cr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기와의 접촉에 의해 용존 질소가 증가하기 쉽다. 이로 인해, 탈가스 처리에 의해 용강 중의 용존 질소량을 0.001질량% 미만까지 낮추는 것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탈가스 처리에 의해 용강 중의 용존 질소량이 0.001질량%라도, 탈가스 처리 후로부터 주조까지 혼입되어 오는 용존 질소의 양을 0.004질량% 이하로 억제할 수 있으면, 주조편 중의 용존 질소량은 0.005질량% 이하로 된다. 즉, 탈가스 처리 후의 용존 질소량의 증가를 0.004질량% 이하로 억제할 수 있으면, 막대한 비용을 들인 탈가스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AlN 개재물의 석출을 억제하여, 결정립을 충분히 성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탈가스 처리 후의 용존 질소량의 증가를 0.004질량%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용강이 적량의 REM을 함유시키는 것에 상도하였다. 여기서, REM이라 함은, 원자 번호가 57인 란탄으로부터 71인 루테튬까지의 15 원소에 원자 번호가 21인 스칸듐과 원자 번호가 39인 이트륨을 추가한 합계 17 원소의 총칭이다.
REM은 강한 탈산 원소로, 적량의 REM이 용강에 함유되어 있는 경우, REM의 일부는 용강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REM 산화물로 되고, 다른 일부는 용존 REM으로서 용강 중에 용존한다.
이 용강이 대기와 접촉하면, 용존 REM은 용강의 표면에 있어서 대기 중의 산소와 결합한다. 이 결과, 용강의 표면에 산화물 피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용융 플럭스 등의 피복재에 의한 피복이 불충분해진 경우라도, 대기 중으로부터의 질소의 용강(11)에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REM의 작용에 의해 탈가스 처리 후의 용존 질소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작용을 얻기 위해서는, 탈가스 처리 후의 대기에 접촉하기 쉬운 시점에서, 용강 중에 REM이 용존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특히, 레이들(1)로부터 턴디쉬(2)에 주입되는 시점에서, 용강 중에 REM이 용존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용강에 함유되는 REM의 양에는 하한치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Al을 0.2질량% 이상 함유하는 용강 중의 용존 산소량은 0.002질량% 이하이다. 이 경우, 용강 중에 REM을 용존시키기 위해서는, 탈산 평형 관계에 의해, 0.0005질량% 이상의 REM이 함유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용존 REM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강 중에 0.0002질량% 이상의 용존 REM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05질량% 이상의 용존 REM이 존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용존 REM의 양을 증가시켜 질소의 침입을 저해하는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REM의 함유량은 0.0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2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REM이 지나치게 많으면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용강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침지 노즐의 폐색을 야기하여, 주조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REM의 함유량은 0.03질량% 이하로 한다. 또한, REM의 작용 및 비용을 고려하면, REM의 함유량은 0.01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강의 주조시의 성분 조성의 한정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C:0.005질량% 이하
C는, 자기 특성에 유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C의 석출에 의한 자기 시효가 현저하다. 이로 인해, C 함유량의 상한은 0.005질량%로 한다. 또한, C 함유량은 0.004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3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25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Si:0.1질량% 내지 7.0질량%
Si는 철손을 감소시키는 원소로, Si 함유량이 0.1질량% 미만이면, 양호한 철손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Si 함유량의 하한은 0.1질량%로 한다. 철손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Si 함유량은, 0.3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7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Si 함유량이 7.0질량%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이로 인해, Si 함유량의 상한은 7.0질량%로 한다. 특히 냉간 압연성을 고려하면, Si 함유량은, 4.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Mn:0.1질량% 이상
Mn은,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경도를 증가시켜, 펀칭성(punchability)을 개선한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 Mn 함유량의 상한은 0.1질량% 이상으로 한다. 또한, 비용을 고려하여, Mn 함유량은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P:0.2질량% 이하
P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강도를 높여, 가공성을 개선한다. 이 효과는, P 함유량이 미량이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P 함유량이 0.2질량%를 초과하면, 냉간 압연성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P 함유량의 상한은 0.2질량%로 한다.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다.
S:0.005질량% 이하
S는, 필수 원소인 Mn과 결합하여 MnS 개재물을 생성한다. 또한, Ti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Ti와 결합하여 TiS 개재물을 생성한다. 또한, 다른 금속 원소와 결합하여 황화물 개재물을 생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결과, 어닐링시의 결정립의 성장이 저해되어, 철손이 커진다. 이로 인해, S 함유량의 상한은, 0.005질량%로 한다. 또한, S 함유량은, 0.003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Al:0.2질량% 내지 5.0질량%
Al은, Si와 마찬가지로, 철손을 감소시키는 원소로, Al 함유량이 0.2질량% 미만이면, 양호한 철손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Al 함유량의 하한은 0.2질량%로 한다. 철손을 더욱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Al 함유량은, 0.3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Al 함유량이 5.0질량%를 초과하면, 비용의 증가가 현저하다. 이로 인해, Al 함유량의 상한은 5.0질량%로 한다. 또한, AlN 개재물의 석출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Al 함유량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Al 함유량은 4.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r:0.1질량% 내지 10질량%
Cr은, 고유 저항을 높여 철손을 개선하고, 또한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Cr 함유량이 0.1질량% 미만이면, 이들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이로 인해, Cr 함유량의 하한은 0.1질량%로 한다. 또한, 보다 높은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Cr 함유량은 0.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Cr 함유량이 높을수록 용강의 질소 용해도가 증가하므로, 이것에 수반하여 REM에 의한 질소의 흡수를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해진다. 특히, Cr 함유량이 0.5질량% 이상인 경우에 효과가 현저해지고, 1.0질량%인 경우에 보다 현저해지고, 2.0질량% 이상인 경우에 더욱 현저해진다. 한편, Cr 함유량이 10질량%를 초과하면, 용강의 질소 용해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여, 용강에 질소가 흡수되는 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한다. 이로 인해, REM이 함유되어 있어도, 질소의 흡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게 되어, 용강 중의 질소 함유량이 증가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어닐링시에 AlN 개재물이 대량으로 석출되어 결정립의 성장이 저해된다. 이로 인해, Cr 함유량의 상한은 10질량%로 한다. 또한, Cr 함유량이 5질량% 이하이면, 질소의 흡수 속도가 보다 작기 때문에, 질소 증가를 보다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자속 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Cr 함유량은 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N:0.005질량% 이하
N은, AlN 등의 질화물로 되어 피닝 효과에 의해 어닐링시의 결정립의 성장을 저해하여, 철손을 악화시킨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미세한 AlN 개재물의 개수 밀도는 1011개/㎤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N 함유량의 상한은0.005질량%로 한다. 또한, AlN 개재물의 개수를 보다 저감시켜 결정립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N 함유량은 0.003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2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2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N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REM:0.0005질량% 내지 0.03질량%
용존 REM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용강의 표면에서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로 되어, 용강에의 질소의 흡수를 억제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REM 함유량의 하한은 0.0005질량%로 한다. 또한, REM 함유량은, 0.0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2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용강 중에 0.0002질량% 이상의 용존 REM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05질량% 이상의 용존 REM이 존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REM 함유량의 상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조의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0.03질량%로 한다. 또한, REM 함유량은, 0.01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REM은 어떠한 형태로 용강에 첨가되어도 좋고, 예를 들어 미시 메탈(Misch metal) 등의 합금의 형태로 첨가해도 좋다. 이 경우, REM으로서 예를 들어 란탄 및 세륨이 첨가된다. 또한, REM으로서는, 그 양이 적절한 범위 내에 있으면, 1종의 원소만을 첨가해도, 2종 이상의 원소를 첨가해도, 기본은 막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O:0.005질량% 이하
O가 용강 중에 0.005질량%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으면, 다수의 산화물이 생성되고, 이 산화물에 의해 자벽(磁壁)의 이동 및 결정립의 성장이 저해된다. 이로 인해, O 함유량의 상한은 0.005질량%로 한다. O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원소가 용강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Ti:0.02질량% 이하
Ti는, 약간 포함되는 용존 질소와 결합하여 TiN 개재물을 생성한다. 또한, S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S와 결합하여 TiS 개재물을 생성한다. 또한, 다른 원소와 결합하여 화합물 개재물을 생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결과, 어닐링시의 결정립의 성장이 저해되어, 철손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Ti 함유량은 0.02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5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i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Cu:1.0질량% 이하
Cu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고유 저항을 높여 철손을 개선한다. 이 효과는, Cu 함유량이 미량이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Cu 함유량이 1.0질량%를 초과하면,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표면에 스캡(scab) 등이 발생하여 표면 품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Cu 함유량은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다.
Ca 및 Mg:총량으로 0.05질량% 이하
Ca 및 Mg는 탈황 원소로, 용강 중의 S와 반응하여 황화물로 되어, S를 고정한다. Ca 및 Mg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탈황 효과가 높아진다. 이 효과는, Ca 및 Mg의 함유량이 미량이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Ca 및 Mg의 총 함유량이 0.05질량%를 초과하면, 황화물의 수가 많아져, 결정립의 성장이 저해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Ca 및 Mg의 함유량은 총량으로 0.0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다.
Ni:3.0질량% 이하
Ni는, 자기 특성에 유리한 집합 조직을 발달시켜, 철손을 개선한다. 이 효과는, Ni 함유량이 미량이라도 얻을 수 있다. 단, 3.0질량%를 초과하면, 비용이 상승하는 한편, 철손의 개선의 효과가 포화되기 시작한다. 이로 인해, Ni 함유량은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다.
Sn 및 Sb:총량으로 0.3질량% 이하
Sn 및 Sb는, 편석 원소로, 자기 특성을 악화시키는 (111)면의 집합 조직을 저해하여, 자기 특성을 개선한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Sn 또는 Sb 중 적어도 한쪽이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이 효과는 Sn 및 Sb의 함유량이 미량이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Sn 및 Sb의 함유량이 총량으로 0.3질량%를 초과하면, 냉간 압연성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Sn 및 Sb의 함유량은 총량으로 0.3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다.
Zr:0.01질량% 이하
Zr은 미량이라도 결정립의 성장을 저해하여, 변형 제거 어닐링 후의 철손을 악화시킨다. 이로 인해, Zr 함유량은 가능한 한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1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Zr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V:0.01질량% 이하
V는, 질화물 및 탄화물로 되어 자벽의 이동 및 결정립의 성장을 저해한다. 이로 인해, V 함유량은 0.01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V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B:0.005질량% 이하
B는 입계 편석 원소이며, 또한 질화물로 된다. 질화물이 발생하면, 입계의 이동이 방해되어, 철손이 악화된다. 이로 인해, B 함유량은 가능한 한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0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크게 방해하는 것이 아니면, 이들 원소 이외에 각종 원소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자기 특성을 개선하는 원소인 Bi 및 Ge 등이 용강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전술한 용강을 사용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예를 들어 전로를 사용한 정련 및 2차 정련로를 사용한 탈가스 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한 성분으로부터 Al 및 REM을 제외한 원소를 함유하는 용강(11)을 제작한다. 탈가스 처리 후의 용존 질소량은 0.005질량% 이하로 하고, 예를 들어0.001질량%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용강(11)에 Al을 첨가한다. 탈산 원소인 Al의 첨가를 탈가스 처리 후에 행하는 것은, 높은 수율을 얻기 위함이다. Al의 첨가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0.2질량% 내지 5.0질량%이다. 이 결과, 용강(11) 중에 용존하는 산소의 양은, Al의 탈산 평형에 의해 0.002질량% 이하로 된다. 그 후, 용강(11)에 REM을 첨가한다. 이 결과, REM의 일부는 산화물로 되고, 다른 일부는 용존 REM으로 된다.
계속해서, 이 용강(11)을 레이들(1)에 주입한다. 계속해서, 용강(11)을 턴디쉬(2)로 배출한다. 그 후, 침지 노즐(2a)을 통해 주형(3) 내에 용강(11)을 공급한다. 그리고 주형(3)에 의해 주조를 행하여, 주조편(12)을 형성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하는 데 있어서, 용강(11)의 조성이 상기한 것으로 되어 있으면, 주조시의 용강(11) 중의 용존 질소량은 0.005질량% 이하로 되고, 얻어지는 주조편(12)의 용존 질소량도 0.005질량% 이하로 된다. 다른 성분의 함유량은 주조의 전후에서 불변이다. 따라서, 제조된 주조편(12)의 Al 함유량, Si 함유량, Cr 함유량 및 REM 함유량 등은, 용강(11)의 것과 일치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턴디쉬(2)에 덮개가 설치되고, 턴디쉬(2) 내의 공간이 Ar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로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턴디쉬(2) 내의 질소 농도를 1체적%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조편(12) 중의 N 함유량을 0.005질량% 이하로 하기 위해, 탈가스 처리 후의 용강(11) 중의 용존 질소량은 0.005질량% 이하로 한다.
또한, 용강 중의 REM의 함유량은, 다음과 같이 조정해도 좋다. 우선, 실험 등에 의해, 용강 중의 REM 함유량과 당해 용강에 있어서의 용존 질소의 증가량의 관계를 구한다. 그리고 주조편의 제작에 있어서, 2차 정련로 등을 사용한 탈가스 처리 후의 용강 중의 용존 질소량을 측정하여, 주조까지에 허용되는 용존 질소의 증가량을 구하고, 이 허용 증가량에 기초하여 REM의 함유량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조정하면, 고가인 REM을 필요 이상으로 소비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을 사용하여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우선 주조편을 열간 압연하고, 필요에 따라서 어닐링을 행하여, 냉간 압연을 행한다. 냉간 압연은 1회만 행해도 좋고, 중간 어닐링을 끼우면서 2회 이상 행해도 좋다. 그리고 냉간 압연 후에, 마무리 어닐링을 행하여 절연 피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용존 질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원하는 크기의 결정립을 얻을 수 있어, 양호한 철손을 구비한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및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에 있어서의 개재물(석출물) 및 결정 입경의 조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석출물의 조사에서는, 우선 시료(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및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를 경면 연마하고, 구로사와 외의 방법[구로사와 후미오, 다구찌 이사무, 마쯔모또 료타로 : 일본 금속학회지, 43(1979), p.1068]에 의해, 비수용 용매액 중에서 시료를 전해 부식한다. 이 결과, 모재만이 용해되어, AlN 개재물이 추출된다. 그리고 추출된 AlN 개재물을, SEM(주사형 전자 현미경)-EDX(에너지 분산형 형광 X선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한다. 또한, 레플리카를 채취하여, 레플리카에 전사된 개재물을 필드 에미션형 투과 전자 현미경에 의해 조사한다. 결정 입경의 조사에서는, 경면 연마한 시료를, 나이탈을 사용하여 에칭하고,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자들이 행한 실험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 1)
실험 1에서는, 우선 전로 및 진공 탈가스 장치를 사용하여 용강을 제작하고, 레이들에 주입하였다. 용강으로서는, 질량%로, C:0.002%, Si:2.0%, Mn:0.3%, P:0.05%, S:0.0019%, Al:2.0%, Cr:2.0% 및 O:0.001%를 함유하고, 또한 다양한 양의 REM을 함유하여,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작하였다. 또한, REM으로서는, 란탄 및 세륨을 사용하였다. 용강 중의 REM의 양을 표 1에 나타낸다. 레이들 내의 용강의 질소 함유량은 0.002질량%였다.
계속해서, Ar 가스 퍼지에 의해 분위기 질소 농도를 0.5체적%로 한 턴디쉬 내에 용강을 주입하였다. 그 후, 침지 노즐을 사용하여, 용강을 턴디쉬로부터 주형 내에 공급하고, 연속 주조법에 의해 주조편을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주조편을 열간 압연하고, 어닐링을 행하여, 0.3㎜의 두께로 냉간 압연하였다. 그 후, 1000℃에서 30초간의 마무리 어닐링을 행하고, 절연 피막을 도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에 있어서의 AlN 개재물 및 결정 입경의 조사를, 전술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또한,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철손의 측정도 행하였다. 철손의 측정에서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을 25㎝의 길이로 절단하여, JIS-C-2550에 나타내는 엡스타인법에 의한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질소 함유량을 컨트백(Quantvac)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표 1 및 도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및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강의 REM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 내에 있는 실시예 No.1 내지 No.4에서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질소 함유량이, 0.0028질량% 내지 0.0044질량%로, 0.005질량% 이하로 되었다. 이로 인해,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평균 결정 입경은 120㎛ 내지 160㎛로 되고, 철손 W10/800이 38.7W/㎏ 내지 39.5W/㎏으로 충분히 낮아졌다. 또한, 연속 주조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었다.
한편, 용강의 REM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하한 미만인 비교예 No.5 및 No.6에서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질소 함유량이, 0.0063질량%, 0.0069질량%로 높아졌다. 이로 인해, 원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인 AlN 개재물이 다수 관찰되어, 결정 입경이 현저하게 작아지고, 철손 W10/800이 현저하게 커졌다. 피닝 효과에 의해 결정립의 성장이 저해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용강의 REM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는 비교예 No.7에서는, 주조시에 침지 노즐의 폐색이 발생하여, 연속 주조를 중단하였다.
(실험 2)
실험 2에서는, 우선 전로 및 진공 탈가스 장치를 사용하여 용강을 제작하여 레이들에 주입하였다. 용강으로서는, 질량%로 C:0.002%, Si:2.2%, Mn:0.2%, P:0.1%, S:0.002%, Al:2.0%를 함유하고, 또한 다양한 양의 Cr 및 REM을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작하였다. 또한, REM으로서는 란탄 및 세륨을 사용하였다. 용강 중의 Cr 및 REM의 양을 표 2에 나타낸다. 레이들 내의 용강의 질소 함유량은 0.002질량%였다.
계속해서, Ar 가스 퍼지에 의해 분위기 질소 농도를 0.5체적%로 한 턴디쉬 내에 용강을 주입하였다. 그 후, 침지 노즐을 사용하여, 용강을 턴디쉬로부터 주형 내에 공급하고, 연속 주조법에 의해 주조편을 제조하였다.
또한, 주조편을 열간 압연하여, 어닐링을 행하고, 0.3㎜의 두께로 냉간 압연하였다. 그 후, 1000℃에서 30초간의 마무리 어닐링을 행하여, 절연 피막을 도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험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결정 입경, 철손 W10/800 및 N 함유량의 측정을 행하였다. 이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강의 Cr 함유량 및 REM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 내에 있는 실시예 No.11 내지 No.14에서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질소 함유량이 0.005질량% 이하로 되었다. 이로 인해,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평균 결정 입경이 커지고, 철손 W10 /800이 충분히 낮아졌다.
한편, 용강의 Cr 함유량 및/또는 REM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비교예 No.15 내지 No.20에서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질소 함유량이 0.005질량%를 초과하였다. 이로 인해, 평균 결정 입경이 작아지고, 철손 W10/800이 현저하게 커졌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모터 등의 고주파 영역에서 사용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제조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질량%로,
    Si:0.1% 이상 7.0% 이하,
    Mn:0.1% 이상,
    Al:0.2% 이상 5.0% 이하,
    Cr:0.1% 이상 10% 이하 및
    REM:0.0005% 이상 0.03% 이하
    를 함유하고,
    C의 함유량이 0.005% 이하,
    P의 함유량이 0.2% 이하,
    S의 함유량이 0.005% 이하,
    N의 함유량이 0.005% 이하,
    O의 함유량이 0.005% 이하
    이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2. 제1항에 있어서, Mn 함유량이 2.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3. 제1항에 있어서, REM의 함유량이 0.001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4. 제1항에 있어서, REM의 함유량이 0.002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5. 제1항에 있어서, 질량%로,
    Cu:1.0% 이하,
    Ca 및 Mg : 총량으로 0.05% 이하,
    Ni:3.0% 이하 및
    Sn 및 Sb : 총량으로 0.3%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6. 질량%로,
    Si:0.1% 이상 7.0% 이하,
    Mn:0.1% 이상,
    Al:0.2% 이상 5.0% 이하 및
    Cr:0.1% 이상 10% 이하
    를 함유하고,
    C의 함유량이 0.005% 이하,
    P의 함유량이 0.2% 이하,
    S의 함유량이 0.005% 이하,
    N의 함유량이 0.005% 이하,
    O의 함유량이 0.005% 이하
    이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용강을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용강에, REM:0.0005% 이상 0.03% 이하를 첨가하는 공정과,
    상기 REM이 첨가된 용강의 주조를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에 REM을 첨가하는 공정과 상기 용강의 주조를 행하는 공정 사이에, 상기 REM이 첨가된 용강을 레이들로부터 턴디쉬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EM이 첨가된 용강을 이동시키는 공정 전에, 상기 턴디쉬 내의 질소 농도를 1체적% 이하로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의 Mn 함유량이 2.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EM의 첨가량이 0.001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EM의 첨가량이 0.002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은, 질량%로,
    Cu:1.0% 이하,
    Ca 및 Mg : 총량으로 0.05% 이하,
    Ni:3.0% 이하 및
    Sn 및 Sb : 총량으로 0.3%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의 제조 방법.
KR1020117001610A 2008-07-24 2009-07-03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6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90871A JP4510911B2 (ja) 2008-07-24 2008-07-24 高周波用無方向性電磁鋼鋳片の製造方法
JPJP-P-2008-190871 2008-07-24
PCT/JP2009/062193 WO2010010801A1 (ja) 2008-07-24 2009-07-03 無方向性電磁鋼鋳片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890A true KR20110023890A (ko) 2011-03-08
KR101266606B1 KR101266606B1 (ko) 2013-05-22

Family

ID=4157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610A KR101266606B1 (ko) 2008-07-24 2009-07-03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210231B2 (ko)
EP (1) EP2316978B1 (ko)
JP (1) JP4510911B2 (ko)
KR (1) KR101266606B1 (ko)
CN (1) CN102105615B (ko)
BR (1) BRPI0916956B1 (ko)
RU (1) RU2467826C2 (ko)
TW (1) TWI394183B (ko)
WO (1) WO20100108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585A (ko) 2022-10-06 2024-04-16 현대제철 주식회사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2690A1 (de) * 2008-04-28 2009-11-05 Inventio Ag Verfahren zum benutzen eines aufzugssystems, aufzugssystem für ein solches verfahren und verfahren zur nachrüstung eines solchen aufzugssystems
EP2540853B1 (en) * 2010-02-25 2015-05-2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BR112013002583B1 (pt) * 2010-08-04 2018-07-10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Método de fabricação de chapa de aço para fins elétricos de grão não orientado
JP2012036459A (ja) * 2010-08-09 2012-02-23 Sumitomo Metal Ind Ltd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443734B (zh) * 2010-09-30 2013-06-1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无瓦楞状缺陷的无取向电工钢板及其制造方法
PL2778244T3 (pl) * 2011-11-11 2020-08-10 Nippon Steel Corporation Sposób wytwarzania blachy cienkiej z niezorientowanej stali elektrotechnicznej
CN103305659B (zh) * 2012-03-08 2016-03-3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磁性优良的无取向电工钢板及其钙处理方法
TWI487796B (zh) * 2012-10-12 2015-06-11 China Steel Corp Non - directional electromagnetic strip annealing method
TWI504752B (zh) * 2012-10-12 2015-10-21 China Steel Corp Non - directional electromagnetic steel sheet with tissue - optimize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I487795B (zh) * 2012-10-12 2015-06-11 China Steel Corp Non - directional electromagnetic steel sheet for compressor mo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170065460A1 (en) * 2015-09-03 2017-03-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hree-dimensional substrate
RU2694299C1 (ru) * 2015-10-02 2019-07-11 ДжФЕ СТИЛ КОРПОРЕЙШН Лист нетекстурированной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стали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2095142B1 (ko) 2016-01-15 2020-03-30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무방향성 전기강판과 그 제조 방법
KR102364477B1 (ko) 2016-07-29 2022-02-16 잘쯔기터 플래시슈탈 게엠베하 무방향성 전기 강을 제조하기 위한 강 스트립 및 이러한 강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WO2018079059A1 (ja) * 2016-10-27 2018-05-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053574B2 (en) 2017-01-16 2021-07-06 Nippon Steel Corporation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CN110121567B (zh) * 2017-01-16 2021-07-27 日本制铁株式会社 无方向性电磁钢板及无方向性电磁钢板的制造方法
KR102528345B1 (ko) * 2018-10-02 2023-05-0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무방향성 전자 강판 및 그의 소재가 되는 슬래브 주편의 제조 방법
KR102176347B1 (ko) * 2018-11-30 2020-11-09 주식회사 포스코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1106484A1 (ja) 2019-11-29 2021-06-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鋼の鋳造方法、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及び軸受用鋼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625B2 (ja) 1987-03-11 1994-11-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抗張力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RU2092605C1 (ru) * 1991-10-22 1997-10-10 Поханг Айрон энд Стил Ко., Лтд. Листы изотропной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стали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JPH064226A (ja) 1992-06-23 1994-01-14 Kawasaki Steel Corp 外部記憶装置
JP4018790B2 (ja) 1998-02-10 2007-12-0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周波用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154544C1 (ru) * 1999-01-19 2000-08-2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оволипец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стали
KR100435480B1 (ko) * 1999-12-27 2004-06-10 주식회사 포스코 자성이 우수한 세미프로세스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JP2001303212A (ja) * 2000-04-20 2001-10-31 Kawasaki Steel Corp 高周波磁気特性に優れかつ占積率の高い無方向性電磁鋼板
KR100544750B1 (ko) * 2001-12-26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무방향성전기강판의 자장열처리방법
KR20100072376A (ko) * 2002-05-08 2010-06-30 에이케이 스틸 프로퍼티즈 인코포레이티드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연속 주조방법
DE602004031219D1 (de) * 2003-05-06 2011-03-10 Nippon Steel Corp As bezüglich eisenverlusten hervorragend ist,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KR100912974B1 (ko) * 2004-11-04 2009-08-20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저철손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
JP4280223B2 (ja) * 2004-11-04 2009-06-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鉄損に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
JP4280224B2 (ja) * 2004-11-04 2009-06-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鉄損に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
JP2006169577A (ja) 2004-12-15 2006-06-29 Jfe Steel Kk 鉄損特性に優れたセミプロセス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4648910B2 (ja) 2006-10-23 2011-03-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磁気特性の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585A (ko) 2022-10-06 2024-04-16 현대제철 주식회사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94183B (zh) 2013-04-21
US8210231B2 (en) 2012-07-03
CN102105615A (zh) 2011-06-22
JP2010024531A (ja) 2010-02-04
EP2316978B1 (en) 2016-03-30
RU2011106761A (ru) 2012-08-27
JP4510911B2 (ja) 2010-07-28
BRPI0916956A2 (pt) 2015-11-24
EP2316978A4 (en) 2014-04-30
WO2010010801A1 (ja) 2010-01-28
CN102105615B (zh) 2013-05-08
EP2316978A1 (en) 2011-05-04
BRPI0916956B1 (pt) 2017-12-26
RU2467826C2 (ru) 2012-11-27
KR101266606B1 (ko) 2013-05-22
US20110094699A1 (en) 2011-04-28
TW201009861A (en) 2010-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606B1 (ko) 무방향성 전자기 강 주조편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7864B1 (ko) 무방향성 전자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3166869B (zh) 无方向性电磁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457839B1 (ko) 무방향성 전자 강판
EP2910658B1 (en) Hot-rolled steel sheet for production of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0678568A (zh) 无方向性电磁钢板及其制造方法
KR20190077025A (ko) 무방향성 전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3462B1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제조 방법
JP6816516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
JP4259177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484048B (zh) Non - directional electromagnetic steel plate
JP2004277760A (ja) 無方向性電磁鋼板
KR102528345B1 (ko) 무방향성 전자 강판 및 그의 소재가 되는 슬래브 주편의 제조 방법
WO2023149249A1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3149248A1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4317475A1 (en) Non-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