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259A - 회로 기판용 수컷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수컷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259A
KR20080107259A KR1020080048517A KR20080048517A KR20080107259A KR 20080107259 A KR20080107259 A KR 20080107259A KR 1020080048517 A KR1020080048517 A KR 1020080048517A KR 20080048517 A KR20080048517 A KR 20080048517A KR 20080107259 A KR20080107259 A KR 20080107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nector
solder
terminal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584B1 (ko
Inventor
가즈야 미도리카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7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8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flowing or wicking of solder or flux in parts not desi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3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applying s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단자에 있어서의 땜납 부풀어오름에 의한 상대 커넥터인 암 (female)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의 지장을 회피할 수 있는 수 (male) 커넥터 및 이것과 암커넥터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회로 기판 (P1) 에 장착되고 그 회로 기판 (P1) 의 면에 대해 직각인 끼워 맞춤 방향에서 암커넥터 (30) 와 끼워 맞추어 접속되는 수커넥터 (10) 로서, 단자 (20) 가 회로 기판 (P1) 의 면에 평행하게 하우징 (11) 외로 연장되어 있고, 회로 기판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 (23) 를 갖고, 커넥터의 끼워 맞춤시에, 단자 접속부 (23) 가 암커넥터 (30) 의 하우징 (31) 둘레벽의 (34) 상면 (34A) 과 끼워 맞춤 방향에서 대면하는 대면역(對面域)을 갖는 회로 기판용 수컷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20) 의 접속부 (23) 는, 대면역 중, 적어도, 상기 감압 방향에서 상기 둘레벽 (34) 의 상면 (34A) 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최근접 대면역에 땜납 배리어층 (24) 이 형성되어 있다.
회로기판, 전기 커넥터, 전기 커넥터 조립체.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수컷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MALE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수컷 전기 커넥터 (이하 「수커넥터」), 그리고 그 수커넥터와 다른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암컷 전기 커넥터 (이하 「암커넥터」) 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이하 「커넥터 조립체」) 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용 커넥터 조립체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체가 알려져 있다. 이 특허 문헌 1 에서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가 각각 회로 기판에 장착되고, 회로 기판의 면에 직각 방향으로 서로 끼워 맞추어 접속된다. 따라서, 커넥터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회로 기판끼리는 평행이다. 수커넥터의 단자는, 회로 기판의 면을 따라 하우징 밖으로 연장(延出) 되는 부분에서 접속부를 형성하고,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그 접속부가 땜납으로 접속된다.
암커넥터는, 상기 수커넥터의 끼워 맞춤 부분에 대해 하우징의 둘레벽이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그 둘레벽의 상면이 상기 수커넥터의 접속부와 대면하게 된 다. 이 둘레벽의 상면은, 수커넥터의 단자 접속부와 근접하여 대면한다.
수커넥터의 단자는 접속부에서 회로 기판의 회로부와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용융 땜납은, 표면 장력에 의해, 접속부의 땜납 접속면으로부터 기어올라, 회로부와 접면하는 땜납 접속면 이외의 면에도 도달하여, 이른바 땜납 오름이라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땜납 오름에 의해, 용융 땜납은 접속부의 측단면으로도 기어올라, 이 측단면과 회로부의 면 사이에 피렛 형상 부분을 형성하고, 이로써 땜납 접속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땜납 오름은 접속부의 측단면에 머무르지 않고, 더욱 진행하여, 땜납 접속면과는 반대측의 면, 즉, 상대측인 암커넥터 둘레벽의 상면과 대면하는 대면역(對面域)에까지 도달하여, 여기에서 부풀어오름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땜납 오름에 의해, 접속면의 땜납 접속이 확실하게 실시되고 있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그 한편에서는, 접속부의 상기 대면역에서의 땜납 부풀어오름에 의해, 그 접속부가 상기 암커넥터의 하우징 둘레벽의 상면에 부딪쳐, 커넥터 끼워 맞춤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특허 문헌 1 에서는, 수커넥터에 접속부에서의 땜납의 부풀어오름이 있어도, 커넥터를 끼워 맞추는 데 지장이 없도록, 암커넥터의 하우징 둘레벽의 상면에 몰입된 공간을 도피부로서 형성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055703호
특허 문헌 1 에 의하면, 암커넥터의 도피부에 의해, 수커넥터의 단자 접속부에 있어서의 땜납의 부풀어오름에 의한 지장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확실하게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예상되는 땜납의 부풀어오름량보다 충분히 깊은 도피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큰 도피부를 형성한다는 것은, 단자의 크기 그리고 배치에 대하여 각별히 연구하지 않는 한, 끼워 맞춤 방향에서의 커넥터의 대형화로 이어진다.
또, 땜납 오름에 의한 문제는, 상기의 부풀어오름에 의한 커넥터의 끼워 맞춤이 불충분한 것 이외에도, 자동 정량 땜납을 실시할 때, 땜납이 부풀어오르는 분만큼 땜납 접속부에서의 땜납의 양이 부족하여 접속 강도가 저하된다는 것도 된다. 상기 암커넥터의 도피부는 전자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어도, 후자의 문제 해결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땜납 오름을 최대한 작게 억제하여, 피렛 형상 부분에서의 접속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끼워 맞춤 불충분, 혹은 땜납 접속부에서의 땜납 양의 부족이라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회로 기판용 수커넥터 및 이것과 암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서술한 과제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수커넥터, 그리고 이것과 암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에 의해 해결된다.
<수커넥터>
본 발명에 관련된 수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장착되고 그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해 직각인 끼워 맞춤 방향에서 암커넥터와 끼워 맞추어 접속되고, 단자가 회로 기판의 면에 평행하게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어 있어, 회로 기판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커넥터의 끼워 맞춤시에, 단자의 접속부가 암커넥터의 하우징 둘레벽의 상면과 끼워 맞춤 방향에서 대면하는 대면역을 갖는다.
이러한 수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자의 접속부는, 대면역 중, 적어도,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서 상기 둘레벽의 상면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최근접 대면역에 땜납 배리어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땜납 배리어층이란, 용융 땜납의 단자에 대한 젖음 특성이 나쁜 영역으로서 형성된 단자의 표층이다. 통상적으로 단자에는, 하지로서 니켈 도금이 실시되지만, 이 니켈 도금층은 땜납의 젖음 특성이 나쁘기 때문에, 단자의 땜납 접속부에는 부적합하고, 게다가 양호한 땜납 젖음 특성을 나타내는 구리 도금이나 금 도금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구리 도금이나 금 도금이 실시되지 않은 영역을 만들면, 이 영역에서 니켈 도금층이 표층이 되고, 여기에서 땜납 배리어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땜납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도금의 재질 자체 그리고 땜납 배리어층의 형성 방법 자체에는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공지된 형성 방법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땜납 배리어층으로서, 산화 피막이나 레지스트 잉크 등으로 표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요점은, 단자가 땜납 접속되는 부분보다 땜납 젖음 특성이 나쁜 재질의 층을 상기 최 근접 대면역에 땜납 배리어층으로서 형성하면 이것으로 충분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수커넥터의 단자 접속부가 암커넥터에 대한 대면역 중 적어도 최근접 대면역에서 땜납 배리어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땜납 오름에 의한 이 최근접 대면역에서의 땜납 부풀어오름이 없어진다. 따라서, 암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이 규정 깊이까지 확실하게 실시됨과 함께 땜납 접속면에서의 땜납 부족에 따른 영향이 작아진다. 이것과 함께, 접속부의 측단면에서는, 땜납 배리어층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땜납 오름이 허용되므로, 여기에서는 피렛 형상 부분에서 땜납 접속 강도는 충분히 확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최근접 대면역의 땜납 배리어층은, 접속부의 연장 방향에서 기부측에 위치하는 일부로부터 단자의 둘레면에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둘레면을 주회하는 띠 형상의 땜납 배리어층은, 단자 둘레 방향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단자의 접속부로부터 기부측을 향한 땜납의 기어오름을 저지한다. 게다가, 이 띠 형상의 땜납 배리어층은, 상기 연장 방향에서 기부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접속부의 대부분의 범위에서 필요 부분에 있어서의 땜납 젖음이 양호하여 땜납 강도가 확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최근접 대면역이 접속부의 연장 방향에서의 기부측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최근접 대면역이 존재하는 부분보다 접속부 연장 방향 내측 범위에서의 땜납 부풀어오름이 방지되므로, 이 범위에서의 커넥터 끼워 맞춤 깊이가 충분히 확보된다. 상기 범위보다 외측에서는 암커넥터와의 대면 방향 거리가 상기 범위에 있어서의 대면 방향 거리보다 크기 때문에, 만일 상기 외측에서 땜납 부풀어오름이 있어도 커넥터를 끼워 맞추는 데 지장을 주지 않아 끼워 맞추기에 불충분해지지는 않는다. 오히려, 땜납 접속부에서의 땜납의 양이 부족하지 않을 정도이고, 또한, 땜납 오름에 의한 접속 강도 향상으로 연결됨과 함께 육안에 의한 땜납 확인을 용이하게 한다.
<커넥터 조립체>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는, 2 장의 회로 기판의 각각에 장착되고 그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해 직각인 끼워 맞춤 방향에서 끼워 맞추어 접속되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수커넥터의 단자가 회로 기판의 면에 평행하게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어 있어 회로 기판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양 커넥터의 끼워 맞춤시에, 그 수커넥터의 단자 접속부가 암커넥터의 하우징 둘레벽의 상면과 끼워 맞춤 방향에서 대면하는 대면역을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커넥터의 단자 접속부는 대면역 중, 적어도,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서 상기 둘레벽 상면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최근접 대면역에 땜납 배리어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수커넥터의 단자 접속부에 있어서의 최근접 대면역에 땜납 배리어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역에서의 땜납 부풀어오름이 없고, 커넥터 조립체의 끼워 맞춤이 규정 깊이까지 확실하게 행해져 양 커넥터의 양호한 접속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커넥터 조립체의 끼워 맞춤 방향의 높이 치수를, 땜납 부풀어오름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과대하게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동일 방향에서의 커넥터의 소형화에도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암커넥터의 하우징 둘레벽의 상면은, 수커넥터의 단자 접속부의 대면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최근접 대면역에 대응하는 근접 부분과 잔여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끼워 맞춤 방향에서 잔여 부분은 근접 부분에 대해 내려앉아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커넥터의 단자의 접속부는, 최근접 대면역에서 땜납 배리어층이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서의 땜납 부풀어오름은 없기 때문에, 커넥터의 끼워 맞춤이 아무런 지장도 없이 규정 깊이까지 행해지지만, 최근접 대면역 이외에서는 땜납 배리어층은 반드시 실시되어 있는 것은 아니어서 땜납 부풀어오름의 가능성도 있고, 이에 대하여 암커넥터에서 상기 잔여 부분이 근접 부분보다 내려앉아 있으면, 용이하게 상기 부풀어오름에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커넥터의 단자는 금속 띠체(帶體)를 그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만들어져 있고, 암커넥터의 단자는 금속판을 그 평탄한 판면을 유지한 채로 만들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에 있어서는, 수커넥터의 단자 접속부의 판 두께 방향이 커넥터의 끼워 맞춤 방향이 되므로, 판면이 땜납 접속면이 되어 그 면적이 크고, 따라서 땜납 접속 강도가 커짐과 함께, 땜납 배리어층 형성에 의한 끼워 맞춤 방향에서의 커넥터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되는 수커넥터의 단자의 접속부에, 땜납 접속면과 반대측이 되는, 암커넥터와 대면하는 대면역 중 최근접 대면역에 땜납 배리어층을 실시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이 최근접 대면역에 대한 땜납 오름이 방지되어 땜납 부풀어오름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 역에 서, 암커넥터의 하우징 둘레벽과 충분히 근접 혹은 맞닿음시킬 수도 있어, 커넥터의 끼워 맞춤 깊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저배화를 가능하게 함과 함께, 땜납 오름이 없어지는 분만큼 땜납 접속부에서의 땜납 양에 부족을 일으키지 않아 땜납 접속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추가하여 땜납 배리어층이 실시되지 않은 접속부의 측단면에는, 땜납 접속면으로부터의 땜납 오름이 발생하므로, 여기에서 피렛 형상 부분을 형성하여, 땜납 접속 강도는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끼워 맞추어 접속되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로 이루어지지만, 모두 회로 기판에 장착되고, 회로 기판의 면끼리가 평행이 되도록 하여,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해 직각인 방향에서 끼워 맞춰진다. 여기에서, 수커넥터란,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단자의 접촉부가 위치하는 하우징 부분을 볼록한 형상으로 하고 있는 측의 커넥터이고, 이것에 대해, 암커넥터란,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단자의 접촉부가 위치하는 하우징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하고 있는 측의 커넥터로서, 양 커넥터가 상기 볼록한 형상 그리고 오목한 형상의 부분에서 끼워 맞추어 접촉부끼리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 에는, 일 실시형태로서의 수커넥터 (10) 가 나타나 있는데, 동 도면에서는 그 수커넥터 (10) 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그 수커넥터 (10) 는, 평형이고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하우징 (11) 의 중 앙부에 몰입부 (12) 가 형성되어 돌출하는 둘레벽 (13)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벽 (13) 은, 하우징 (11) 의 길이 방향의 두 개의 측벽 (14) 그리고 길이 방향 양단에서 측벽 (14) 끼리를 연결하는 단벽 (15) 을 갖고 있다. 상기 측벽 (14) 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정 간격으로 복수의 단자 (20) 가 배열 유지되어 있다. 이 복수 단자 (20) 의 배열 범위 양단의 단자 (20) 에 인접하여 고정 금구 (26) 도 장착되어 있다. 이 단자 (20) 그리고 고정 금구 (26)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하우징 (11) 의 단벽 (15) 의 중앙 위치에는, 측벽 (14) 이 연장되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패임부 (15A) 가 상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커넥터 (10) 는, 대향하는 단벽 (15) 의 패임부 (15A) 끼리를 연결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에 대해 대칭이며, 또 이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중앙선에 대해서도 대칭이다.
도 1 에 있어서 회로 기판 (P1) 에 장착되어 있는 수커넥터 (10) 의 단자 (20) 는, 평띠 형상 금속재를 그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 (11) 의 측벽 (14) 에 정 간격으로 배열 유지되어 있다.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 3 에 있어서의 이 수커넥터 (10) 는, 상대방인 암커넥터 (30) 에 대한 끼워 맞춤 방향에서의 자세를 취하고 있고, 도 1 에 대해 상하 반전된 자세로 나타나 있다.
단자 (20) 는, 하우징 (11) 측벽 (14) 의 상면 (도 1 에 있어서 상면, 도 3(A) 에 있어서 하면) 으로부터 이 측벽 (14) 의 내외 벽면에 연장되어 형성된 단 자 유지 홈 (16) 에 끼워 장착되는 피장착부 (21) 와, 그 피장착부 (21) 의 내측 그리고 외측의 면에서 형성되는 접촉부 (22) 와, 측벽 (14) 외에서 L 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회로 기판 (P1) 의 면을 따라 연장되는 접속부 (23) 를 갖고 있다. 상기 접촉부 (22)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벽 (14) 의 내측, 즉 몰입부 (12) 를 향한 내측의 면에서 형성되는 제 1 접촉부 (22A) 와, 측벽 (14) 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접촉부 (22B) 를 가지고 있다. 제 1 접촉부 (22A) 와 제 2 접촉부 (22B) 에는, 상대방인 암커넥터 단자의 대응 접촉부와 안정적인 접촉 위치를 유지하도록, 약간 몰입되어 형성된 계지부 (22A-1, 22B-1)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 (23) 는, 수커넥터 (10) 가 후술하는 암커넥터 (30) 에 끼워 맞추어 접속되었을 때, 회로 기판 (P1) 에 접면하고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상기 암커넥터 (30) 의 하우징과 대면하는 역을 갖게 된다. 이 역을, 본 발명에서는, 대면역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대면역의 표면이, 다른 부분의 표면보다 땜납 젖음이 나쁜 표층 (24) 으로 되어 있다. 이 땜납 젖음이 나쁜 표층을 땜납 배리어층 (24) 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면역이 대면하는 암커넥터의 하우징의 대응 부분이 단 형상의 면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가 있고, 본원에서는, 상기 대면역 중 가장 상기 대응 부분에 가까운 역을 최근접 대면역이라는 것으로 하고 있다. 접속부가 단 형상면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서로 가장 근접하고 있는 역을 최근접 대면역이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20) 는 하지(下地) 로서 니켈 도금이 실시되고, 다음으로 그 위에 구리 도금이나 금 도금이 실시된다. 구리 도금이나 금 도금 이 양 전도성을 가짐과 함께 땜납 젖음도 양호한 것에 대해, 니켈 도금은 땜납 젖음이 양호하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면역의 필요 부분에, 금 도금이나 금 도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하지인 니켈 도금을 노출시킴으로써, 땜납 배리어층 (24) 을 형성하고 있다.
도 4 에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속부 (23) 는 평 띠 형상의 소재 (23A)의 전체면에 하지인 니켈 도금 (23B) 이 실시되고, 추가로, 대면역을 제외하고 그 위에 금 도금 (23C) 이 실시되고 있다. 상기 대면역은, 하지로서의 니켈 도금 (23B) 이 실시된 후에, 필요 부분에 마스킹이 이루어지고, 그러한 후에 단자에 금 도금이 실시된다. 마스킹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대면역의 필요 부분에 상기 니켈 도금 (23B) 이 땜납 배리어층 (24) 을 형성하게 된다. 이 도 4 의 땜납 배리어층 (24) 은, 또한, 도 5 와 같이, 접속부 (23) 의 둘레면에도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주회 땜납 배리어층 (24A) 을 갖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1) 의 측벽 (14) 에서 배열 유지된 일련의 단자 (20) 의 배열 범위에 대해 양외측 위치에, 고정 금구 (26) 가 단자 (20) 와 나열되어 상기 측벽 (14) 에 장착되어 있다. 이 고정 금구 (26) 는, 상기 단자 (20) 와 동일하게 하여 만들어져 있는데, 접촉부를 갖지 않는 점에서 단자 (20) 와는 상위하다. 그 고정 금구 (26) 는, 그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L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11) 의 측벽의 (14) 외면에 형성된 유지 홈에 장착되어 유지되는 피장착부 (26A) 와, 단자 (20) 의 접속부 (23) 와 평행하게 나열되어 연장되는 고정부 (26B) 를 갖고 있다. 이 고정부 (26B) 는, 상기 단자 (20) 의 접속부 (23) 와 동일하게, 회로 기판 (P1) 에 접하는 면에서 그 회로 기판 (P1) 에 땜납 접속되고, 이 면과 반대측의 면이 암커넥터와 대면하는 대면역이 된다. 따라서, 이 대면역은, 단자 (20) 의 경우와 동일하게, 땜납 배리어층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커넥터 (10) 를 수용하는 암커넥터 (30) 는, 도 2 에 나타나는 외관, 그리고 도 3(A) 에 나타나는 단면을 갖고 있다.
도 2 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암커넥터 (30) 는, 회로 기판 (P2 ; 도 2 에서는 도시를 생략) 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하우징 (31) 에 단자 (50) 와 고정 금구 (58) 가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 (31) 은 둘레벽 (33) 의 내부에 수용 오목부 (3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벽 (33) 은, 단자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측벽 (34) 과, 길이 방향 양단에 있어서의 단벽 (35) 을 갖고 있다. 또, 하우징 (31) 은 상기 수용 오목부 (32) 에 의해 둘러싸인 섬 형상의 볼록부 (36) 를 갖고 있고, 그 볼록부 (36) 는 상기 길이 방향 양단에서 단벽 (35) 과 연결부 (37) 에 의해 보강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용 오목부 (32) 는 수커넥터 (10) 의 둘레벽 (13) 을 수용하고, 볼록부 (36) 는 수커넥터 (10) 의 몰입부 (12) 에 끼워 넣어진다. 그 때, 연결부 (37) 는 수커넥터 (10) 의 패임부 (15A) 에 진입한다. 또, 상기 단벽 (35) 의 상면 (35A) 에 대해 측벽 (34) 의 상면 (34A) 은, 단 형상으로 내려앉아 있고, 수커넥터 (10) 와 암커넥터 (30) 가 끼워 맞춰지면, 수커넥터 (10) 의 단자 (20) 접속부 (23) 의 대면역이 암커넥터 (30) 의 상기 측벽 (34) 상면 (34A) 에 거의 접면하게 된다.
암커넥터 (30) 의 단자 (50) 는, 금속판의 평탄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가공한 외형을 갖고, 도 3(A) 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에서 수커넥터 (10) 의 단자 (2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우징 (31)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단자 (50) 는, 도 3(A) 에서, 하우징 (31) 의 하면에 위치하여 그 하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기부 (51) 와, 이 기부 (51) 가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중간부에서 기부 (51)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접촉 아암 (52) 그리고 제 2 접촉 아암 (53) 과, 이들의 제 1 접촉 아암 (52) 그리고 제 2 접촉 아암 (53) 에 대해 양측 위치에서 기부 (51)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피장착 아암 (54), 제 2 피장착 아암 (55) 그리고 제 3 피장착 아암 (56), 나아가서는 기부 (51) 가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접속부 (57) 를 가지고 있다. 제 1 접촉 아암 (52) 과 제 2 접촉 아암 (53) 에는, 그들의 상단에서 서로 대향하여 돌출하는 제 1 접촉부 (52A) 와 제 2 접촉부 (53A)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피장착 아암 (54) 은 제 1 접촉 아암 (52) 의 배후에 있어 커넥터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 2 피장착 아암 (55) 과 제 3 피장착 아암 (56) 은 제 2 접촉 아암 (53) 의 배후에 있어 커넥터의 외측을 따라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 1 접촉 아암 (52) 과 제 2 접촉 아암 (53) 은, 제 1 접촉부 (52A) 와 제 2 접촉부 (53A) 에서 상대 커넥터인 수커넥터 (10) 의 단자 (20) 로부터 접압(接壓)을 받아 양 접촉부 (52A, 53A) 가 이간되는 방향으로 휘도록 탄성을 갖고 있다.
또, 단자 (50) 의 배열 범위 외에는, 고정 금구 (58) 가 하우징 (31) 의 대 응 홈에 장착되어 있다. 그 고정 금구 (58) 는 판 형상으로 하부 가장자리가 커넥터 바닥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회로 기판에 땜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단자 (50) 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31) 에는 단자 유지 홈 (38) 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유지 홈 (38) 은, 하우징 (31) 의 길이 방향으로 수커넥터 (10) 의 각 단자 (20) 에 대응한 위치에 있고, 이곳에서 상기 단자 (50) 를 유지한다. 상기 단자 유지 홈 (38) 은, 도 3(A) 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31) 의 하면에서 볼록부 (36) 로부터 측벽 (34) 의 범위로까지 바닥 홈 (39) 이 미치고 있어, 분기된 각종 홈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A) 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 (32) 의 벽부 내면에는, 상기 단자 유지 홈 (38) 의 상기 바닥 홈 (39) 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유지 홈 (40) 과 외측 유지 홈 (41) 이 대향하여 상기 수용 오목부 (32) 를 향해 개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유지 홈 (40) 에 대해 상기 수용 오목부 (32) 와 반대측에는, 섬 형상의 볼록부 (36) 내에 연장되어 상방으로 관통하는 하나의 제 1 유지 홈 (42), 측벽 (34) 내에 연장되는 하나의 제 2 유지 홈 (43), 그리고 측벽 (34) 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유지 홈 (44) 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 유지 홈 (38) 의 내측 유지 홈 (40) 그리고 외측 유지 홈 (41) 에 단자 (50) 의 제 1 접촉 아암 (52) 그리고 제 2 접촉 아암 (53) 이 수용되고, 제 1 유지 홈 (42) 에 제 1 피장착 아암 (54) 이 수용되며, 제 2 유지 홈 (43) 그리고 제 3 유지 홈 (44) 에 제 2 피장착 아암 (55) 그리고 제 3 피장착 아암 (56) 이 수용된다. 상기 제 1 피장착 아암 (54) 은 제 1 유지 홈 (42) 에 헐겁게 끼워지고, 제 2 피 장착 아암 (55) 은 제 2 유지 홈 (43) 에 압입되며, 제 3 피장착 아암 (56) 은 제 3 유지 홈 (44) 의 바닥면에 가압되어 단자 (50) 는 유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의 수커넥터 (10) 와 암커넥터 (30) 는, 다음의 요령으로 사용된다.
먼저, 수커넥터 (10) 와 암커넥터 (30) 의 양자를 각각 대응하는 회로 기판 (P1, P2) 에 장착한다. 즉, 단자 (20) 의 접속부 (23) 그리고 단자 (50) 의 접속부 (57) 에서, 각각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되고, 이것과 함께, 수커넥터 (10) 의 고정 금구 (26) 그리고 암커넥터 (30) 의 고정 금구 (58) 도,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 고정된다.
수커넥터 (10) 는, 그 단자 (20) 가 접속부 (23) 에서 회로 기판 (P1) 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될 때, 용융 땜납은 접속부 (23) 와 대응 회로부의 접면역에서 양자를 땜납 접속하지만, 접속부 (23) 의 측면에도 미치고 여기에서 대응 회로부와의 사이에서 피렛부를 형성하여 접속부 (23) 와 대응 회로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커넥터의 회로 기판에서의 유지력을 강고하게 한다. 용융 땜납은, 접속부 (23) 의 측면으로부터 더욱 기어올라, 상기 접면역과 반대측의 자유 표면, 즉 대면역으로, 그리고 이 자유 표면에서 접속부 (23) 의 기부로 기어올라 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도 3(A), 도 4 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 (23) 의 자유 표면인 대면역에는 땜납 배리어층 (24)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부 (23) 의 측면으로부터 용융 땜납이 기어올라도, 그 용융 땜납은 대면역에 도달하지 않아, 이 대면역에 땜납이 부착되지 않는다. 더욱이, 부착에 의해 부풀어오르는 경우도 없다. 또, 수커넥터의 고정 금구 (26) 의 고정부 (26B)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이 고정부 (26B) 에서의 땜납 부풀어오름은 없다.
또, 도 5 와 같이 주회 땜납 배리어층 (24A) 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용융 땜납은 이 주회 땜납 배리어층 (24A) 보다, 하우징측으로는 계속 기어오르는 것이 없어진다.
이렇게 하여, 회로 기판 (P1) 에 장착된 수커넥터 (10) 와 회로 기판 (P2) 에 장착된 암커넥터 (30) 는, 도 3(B) 과 같이, 서로의 회로 기판 (P1, P2) 끼리가 평행해지도록, 그 회로 기판 (P1, P2) 의 면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끼워 맞춰진다.
수커넥터 (10) 는 측벽 (14) 으로 지지되고 있는 단자 (20) 의 두 개의 접촉부 (22), 즉 제 1 접촉부 (22A) 와 제 2 접촉부 (22B) 가 암커넥터 (30) 의 수용 오목부 (32) 내에 진입하고, 암커넥터 (30) 의 섬 형상의 볼록부 (36) 가 수커넥터 (10) 의 몰입부 (12) 에 진입한다. 이렇게 하여, 단자 (50) 의 두 개의 접촉 아암, 즉 제 1 접촉 아암 (52) 과 제 2 접촉 아암 (53) 각각의 제 1 접촉부 (52A) 와 제 2 접촉부 (53A) 와 탄압력을 갖고 접촉한다. 수커넥터 (10) 단자 (20) 의 접속부 (23) 가 암커넥터 (30) 의 측벽 (34) 상면과 대면하는 대면역은 그 상면과 접촉 혹은 지근(至近) 하여, 커넥터의 끼워 맞춤은 소정 깊이까지 충분히 행해진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 의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먼저, 수커넥터 (10) 에 관해서는, 도 6 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20) 의 접속부 (23) 의 대면역은, 그 접속부 (23) 가 길게 연장되어 있고, 선단역 (23C) 이 상대 커넥터인 암커넥터 (30) 의 하우징 (31) 의 측벽 (34) 상면 (34A) 과는 대면하고 있지 않는 경우, 이 선단역 (23C) 에는 땜납 배리어층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땜납 배리어층 (24) 은, 상기 선단역 (23C) 을 제외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 선단역 (23C) 에서는, 땜납 부풀어오름이 발생하므로, 그 만큼, 접속부 (23) 에서의 땜납 접속이 강고해짐과 함께, 이 땜납 부풀어오름의 존재에 의해 땜납 접속이 이루어진다는 확인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선단역 (23C) 을 제외하고 땜납 배리어층 (24) 을 형성하는 경우, 도 5 의 경우와 동일한 주회 땜납 배리어층 (24A) 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주회 땜납 배리어층 (24A) 은, 가능한 한 제 2 접촉부 (22B) 와의 경계 위치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회 땜납 배리어층 (24A) 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선단역 (23C) 에 땜납 배리어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예를 도 7 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암커넥터 (30) 에 관해서는, 수커넥터 (10) 의 단자 (20) 의 접속부 (23) 가 그 접속부 (23) 의 연장 방향에서 기부측의 일 부분에만 땜납 배리어층 (24) 이 형성되어 있을 때, 도 8(A) 와 같이, 하우징 (31) 의 측벽 (34) 상면 (34A) 을 단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땜납 배리어층 (24) 에 대응하는 부분을 그 땜납 배리어층 (24) 에 대한 근접 부분 (34A-1) 으로 하고, 이 근접 부분 (34A-1) 에 대해 잔여 부분 (34A-2) 이 내려앉도록 한다. 수커넥터 (10) 로부터 보면, 이 근접 부분 (34A-1) 의 범위에 대응하는 역이 최근접 대면역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커넥터 (10) 의 단자 (20) 접속부 (23) 는, 땜납 배리어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선단역을 넓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땜납 부풀어오름에 의해 땜납 접속 강도를 향상시켜 땜납의 육안 확인도 용이해진다. 그리고, 그 때, 땜납 부풀어오름이 있어도, 상기 암커넥터 (30) 의 하우징 (31) 측벽 (34) 에서, 상기 선단역에 대응하는 잔여 부분 (34A-2) 이 근접 부분 (34A-1) 보다 내려앉아 있으므로, 커넥터 끼워 맞춤시에, 도 8(B)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땜납 부풀어오름이 측벽 (34) 의 상면 (34A) 에 맞닿는 경우가 없어, 커넥터를 끼워 맞추는 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수커넥터의 커넥터 끼워 맞춤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수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암커넥터의 커넥터 끼워 맞춤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수커넥터와 도 2 의 암커넥터의 단자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도 3(A)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전, 도 3(B) 는 커넥터 끼워 맞춤 후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1 의 수커넥터의 단자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수커넥터의 단자 접속부에 관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접속부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1 의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8(A)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전, 도 8(B) 는 커넥터 끼워 맞춤 후를 나타낸다.
부호의 설명
10 수커넥터 11 하우징
20 단자 23 접속부
24 땜납 배리어층 30 암커넥터
31 하우징 34 둘레벽
34A 상면 34A-1 근접 부분
34A-2 잔여 부분 50 단자
P1 회로 기판 P2 회로 기판

Claims (6)

  1. 회로 기판에 장착되고 그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끼워 맞춤 방향에서 암커넥터와 끼워 맞추어 접속되는 수커넥터로서, 단자가 회로 기판의 면에 평행하게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어 있어 회로 기판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커넥터의 끼워 맞춤시에, 단자의 접속부가 암커넥터의 하우징 둘레벽의 상면과 끼워 맞춤 방향에서 대면하는 대면역(對面域)을 갖는 회로 기판용 수컷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접속부는, 대면역 중, 적어도,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서 상기 둘레벽의 상면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최근접 대면역에 땜납 배리어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수컷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최근접 대면역의 땜납 배리어층은, 접속부의 연장 방향에서 기부측에 위치하는 일부로부터 단자의 둘레면에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수컷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최근접 대면역이 접속부의 연장 방향에서의 기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수컷 전기 커넥터.
  4. 2 장의 회로 기판의 각각에 장착되고 그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해 직각인 끼워 맞춤 방향에서 끼워 맞추어 접속되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 립체로서, 적어도 수커넥터의 단자가 회로 기판의 면에 평행하게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어 있어 회로 기판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양 커넥터의 끼워 맞춤시에, 그 수커넥터의 단자 접속부가 암커넥터의 하우징 둘레벽의 상면과 끼워 맞춤 방향에서 대면하는 대면역을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의 단자 접속부는 대면역 중, 적어도,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서 상기 둘레벽의 상면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최근접 대면역에 땜납 배리어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암커넥터 하우징의 둘레벽 상면은, 수커넥터의 단자 접속부의 대면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최근접 대면역에 대응하는 근접 부분과 잔여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끼워 맞춤 방향에서 잔여 부분은 근접 부분에 대해 내려앉아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수커넥터의 단자는 금속 띠체(帶體)를 그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만들어져 있고, 암커넥터의 단자는 금속판을 그 평탄한 판면을 유지한 채로 만들어져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080048517A 2007-06-06 2008-05-26 회로 기판용 수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032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50054A JP4454036B2 (ja) 2007-06-06 2007-06-06 回路基板用雄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JP-P-2007-00150054 2007-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259A true KR20080107259A (ko) 2008-12-10
KR101032584B1 KR101032584B1 (ko) 2011-05-06

Family

ID=3965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517A KR101032584B1 (ko) 2007-06-06 2008-05-26 회로 기판용 수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25244B2 (ko)
EP (1) EP2001084B1 (ko)
JP (1) JP4454036B2 (ko)
KR (1) KR101032584B1 (ko)
CN (1) CN101320859B (ko)
TW (1) TW2008497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4050B2 (ja) * 2007-12-20 2012-06-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端子及びコネクタ
US20100130068A1 (en) * 2008-11-25 2010-05-27 Yung-Chi Peng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2011029111A (ja) * 2009-07-29 2011-02-10 Molex Inc コネクタ
JP4887412B2 (ja) * 2009-09-18 2012-02-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901944B2 (ja) * 2009-12-03 2012-03-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479406B2 (ja) * 2011-06-30 2014-04-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CN203180152U (zh) * 2013-02-07 2013-09-0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US9124011B2 (en) * 2013-02-27 2015-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to be used in the same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M520732U (zh) * 2015-09-25 2016-04-21 Advanced Connectek Inc 插頭電連接器與插座電連接器
JP6807218B2 (ja) 2016-11-18 2021-01-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08232526B (zh) * 2016-12-21 2020-04-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CN108258484B (zh) * 2016-12-28 2020-02-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CN108933365B (zh) * 2017-05-26 2021-06-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6582083B2 (ja) * 2018-03-09 2019-09-25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19244549A1 (ja) * 2018-06-22 2019-12-26 株式会社フジクラ 電気コネクタ
TWI823997B (zh) * 2018-08-28 2023-12-0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卡緣連接器
JP2020077490A (ja) * 2018-11-06 2020-05-21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7202866B2 (ja) * 2018-12-03 2023-0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JP6986039B2 (ja) * 2019-03-15 2021-12-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209571614U (zh) * 2019-04-18 2019-11-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对接连接器
US11095059B2 (en) * 2019-04-25 2021-08-17 Molex, Llc Connector
WO2021000152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多极连接器
JP7196028B2 (ja) * 2019-07-04 2022-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1663235S (ko) 2020-02-13 2020-07-06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703U (ko) 1988-10-18 1990-04-23
JPH0355703A (ja) 1989-07-25 1991-03-11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蛍光ランプ装置
JP3617220B2 (ja) * 1996-11-26 2005-02-02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008753A (ja) * 2000-06-16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2004185866A (ja) * 2002-11-29 2004-07-02 Toshiba Corp コネクタ装置およびコネクタ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US6881075B2 (en) * 2003-07-08 2005-04-1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JP3860823B2 (ja) * 2004-08-19 2006-12-20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JP4526428B2 (ja) * 2005-04-18 2010-08-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694275B2 (ja) * 2005-06-13 2011-06-0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545062B2 (ja) * 2005-08-03 2010-09-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WO2007061233A1 (en) * 2005-11-24 2007-05-31 Yoon-Sik Choi Connector
JP4817818B2 (ja) 2005-11-29 2011-11-16 Towa株式会社 樹脂封止装置及びチェイスユニットの取り出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305603A (ja) 2008-12-18
KR101032584B1 (ko) 2011-05-06
US7625244B2 (en) 2009-12-01
TW200849741A (en) 2008-12-16
EP2001084B1 (en) 2013-08-14
TWI371893B (ko) 2012-09-01
CN101320859A (zh) 2008-12-10
CN101320859B (zh) 2010-11-10
JP4454036B2 (ja) 2010-04-21
US20080305657A1 (en) 2008-12-11
EP2001084A1 (en)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584B1 (ko) 회로 기판용 수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0985643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접속체
US7131875B2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US8235733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JP4782741B2 (ja) 低背コネクタ
JP4676502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20080005274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JP4912187B2 (ja) 面実装コネクタ
CN108963497B (zh) 电连接器
JP4851510B2 (ja) 電気コネクタ
CN109586063B (zh) 基板用连接器及其组合
TWI837329B (zh) 電連接器組裝體
CN212011334U (zh) 电连接器
TWI437769B (zh)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CN115775999A (zh) 连接器
JP4384193B2 (ja) コネクタ
JP2004296419A (ja) コネクタ
JP2011060479A (ja) コネクタの基板表面実装構造
CN219659023U (zh) 线缆连接器
CN216055446U (zh) 一种板对板母座连接器
TWI392164B (zh) 連接器
JP2010123468A (ja) 電気コネクタ
JP2024013564A (ja) 電気コネクタ、電気コネクタ連結体、ユニットおよびユニット連結体
JP2019153528A (ja) コネクタ装置
JP2012009345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