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160A -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160A
KR20080068160A KR1020070005481A KR20070005481A KR20080068160A KR 20080068160 A KR20080068160 A KR 20080068160A KR 1020070005481 A KR1020070005481 A KR 1020070005481A KR 20070005481 A KR20070005481 A KR 20070005481A KR 20080068160 A KR20080068160 A KR 20080068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aging
aging cosmetic
herbal medicine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042B1 (ko
Inventor
송영숙
김형만
최재환
박선규
이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05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0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68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모, 유산균 또는 세균 배양시 한약재를 첨가, 배양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비자극성이고 피부에 안전하여 피부질환의 유발 문제가 없으며, 항산화능, 세포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능,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및 면역 강화 기능이 우수하여 노화방지 효과가 우수하고, 그 효과가 단시간 내에 나타나며, 오래 지속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방지, 화장료, 한약재 발효 추출물

Description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자극성이고 피부에 안전하여 피부질환의 유발 문제가 없으며, 항산화능, 세포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능,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및 면역 강화 기능이 우수하여 노화방지 효과가 우수하고, 그 효과가 단시간 내에 나타나며, 오래 지속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아름다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마음, 즉 아름다움을 가꾸고 젊음을 유지하려는 욕망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인간의 본능이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피부미용이라는 용어가 탄생하였고 그 역사 또한 오래 되었으며, 피부미용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본능 이외에도 외부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려는 피부보호라는 두 가지 개념이 중시되어 왔다.
피부미용의 역사를 살펴보면 고조선 시대의 피부미용은 단군신화에 나와 있듯이 쑥과 마늘을 이용하여 흰 피부에 대한 갈망을 해결하였고, 한반도 동북방 추운 지역에서 거주했던 읍루 사람들은 돼지기름을 이용하여 추위를 피해 피부를 보호하고 동상을 예방하였다고 하며, 말갈 사람들은 피부를 희게 가꾸기 위해 오줌으 로 세수를 하였다고 전해지며, 삼국시대에는 물감을 만드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연분이 발달되었다. 또한 고려시대에서는 백분으로 얼굴을 치장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오이꼭지, 꿀 등을 이용하여 미안수를 만들었고, 특히 "규합총서"에서 여러 가지 두발의 형태, 눈썹을 그리는 열 가지 방법, 갖가지 입술연지를 찍는 법 등이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미모에 대한 가치기준을 영육일치사상에 두어 외면미와 더불어 내면미의 아름다움을 중시하였다. 특히 피부는 기혈과 경락을 통하여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오장육부의 각 기혈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는 몸과 마음의 상태를 그대로 살필 수 있는 거울이며, 건강은 고운 피부, 윤택한 피부와 직결한다고 보았다.
최근 화장품 분야에도 한약재의 사용이 두드러져 보습력과 노화방지 기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피부 노화 개선 효과 면에서 우수하다고 보고된 후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한 한약재 추출물들을 사용한 한약재 조성물들은 원하는 미백, 주름개선, 항산화 등의 효과가 미미할 뿐 아니라, 이러한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실용성이 높지 않았다.
한편, 발효액 추출물은 다른 어떠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한약재 속에 있는 당성분이 알콜로 변화하여 발효와 숙성과정을 거쳐 한약재 속에 들어있는 플라보노이드, 비타민C, 비타민P, 아미노산, 카테킨 등의 유효성분 함량 추출율이 현저히 높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훨씬 뛰어난 주름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한약재 발효액 추출물을 통한 피부에 자극이 없이 안정하고, 주름개선 효과가 극대화된 새로운 피부 노화 방지제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비자극성이고 피부에 안전하여 피부질환의 유발 문제가 없으며, 항산화능, 세포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능,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및 면역 강화 기능이 우수하여 노화방지 효과가 우수한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화방지 효과가 단시간 내에 나타나며, 오래 지속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효모, 유산균 또는 세균 배양시 한약재를 첨가, 배양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한약재를 발효시켜 수득한 한약재 발효액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한 결과, 한약재 속에 들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비타민C, 비타민P, 아미노산, 카테킨 등의 유효성분 함량 추출율이 현저히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주름 방지 등의 효과가 탁월하며, 사람의 피부에 안전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효모, 유산균 또는 세균 배양시 한약재를 첨가, 배양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효모는 Saccharomyces sp., Schizosaccharomyces sp., Klureromyces sp., 등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Saccharomyces cerevisiae, Schizosaccharomyces pombe, Klureromyces lactis, Saccharomyces boulardii 또는 Klureromyces lacti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sp., Bacillus sp 등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helveticus 또는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 sp bulgaricu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균은 Weissella sp., Gluconobacter sp., Bacillus sp 등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Bacillus subtiris(1102), Bacillus subtiris(1104), Bacillus coagulans, Weissella hanii, Weissella cibana, Gluconobacter cerinus, Gluconobactor oxydans sub sp oxydans, Gluconobacter oxydans 또는 Acetobacter orleaninsi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모, 유산균 또는 세균 배양시 첨가되는 상기 한약재는 인삼, 생지황 및 복령이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 천문동, 맥문동 또는 지골피 등을 더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약재는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문동 및 지골피를 0.5 내지 12 : 4 내지 100 : 3 내지 200 : 0.5 내지 5.0 : 0.5 내지 5.0 : 0.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인삼(Panax ginseng)은 오가피과 인삼속 식물인 인삼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신농본초경에서는 기를 크게 보하고 비장과 페장의 기운을 북돋우며, 갈증을 멎게하고, 정신을 평안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현대 약리학적으로는 중추신경계 조절, 면역증강, 강심, 혈당강하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한다.
상기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var. purpurea)은 현삼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지황 또는 그 밖의 도속식물의 신선한 뿌리이다. 신농본초경에서는 열을 내려주고 음을 생성하며, 갈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현대 약리학적으로는 진정, 소염, 면역증강, 지혈 등의 작용이 있다고 한다.
상기 복령(Poria cocos)은 구멍쟁이버섯과에 속한 진균인 복력균의 균핵을 건조한 것으로 바깥층을 거의 제거한 것이다. 신농본초경에서는 체내의 습기를 제거하고 비장의 기운을 도와주며, 정신을 편안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현대 약리학적으로는 이뇨, 면역증강, 진정, 항암 등의 작용이 있다고 한다.
상기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은 백합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천문동의 코르크층을 벗긴 덩이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신농본초경에서는 폐장의 열을 내리고 음을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현대 약리학적으로는 항균, 항아며, 면역증강 등의 작용이 있다고 한다.
상기 맥문동(Lyriope platyphylla)은 백합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맥문동 또는 소엽맥문동의 괴근을 건조한 것으로, 신농본초경에서는 심장의 열을 내려주고, 음을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현대 약리학적으로는 면역증강, 혈당강하, 항균 등의 작용이 있다고 한다.
상기 지골피(Lycium chinense)는 가지과에 속하는 낙엽소관목인 구기자나무의 뿌리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신농본초경에서는 폐장의 열을 내려주고 혈액의 열을 내려주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현대 약리학적으로는 해열, 혈압강하, 혈당다강하, 면역조절 등의 작용이 있다고 한다.
상기와 같은 한약재들은 상기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한 가루 상태를 물, 알코올, 에틸에테르 등의 용매에서 5∼40 중량%로 냉침 또는 온침하여 추출한 후 여과 분리하여 제조되는 추출물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상기 한약재들을 효모, 유산균 또는 세균 배양시 기본 배지에 첨가, 배양하여 발효시켜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약재는 기본 배지에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미생물로 효모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생약 분말이 함유된 기본 배지에 효모를 접종한 후, pH 5.5∼6.5, 온도 25∼35 ℃, 통기량 0.05∼0.5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30∼120 시간 동안 배양한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가 제거된 최종 한약재 발효액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미생물로 유산균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생약 분말이 함유된 기본 배지에 효모를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통기량 1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24∼96 시간 동안 배양한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가 제거된 최종 한약재 발효액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로 세균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생약 분말이 함유된 기본 배지에 세균를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통기량 1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24∼96 시간 동안 배양한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균체가 제거된 최종 한약재 발효액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본 발명의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실질적인 노화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부외용연고는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 외에 바셀린 50∼97 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0.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 크림은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 유화형 화장료에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증식 효과,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 증대 효과, 피부결 개선 효과, 보습효과, 주름개선 효과 및 피 부 자극성이 낮아 비자극성이면서도 활성도가 뛰어나며, 노화개선 효과 지속성에 기인하여 화장품의 모든 형태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한약재 발효 추출물 제조
건조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문동 및 지골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중량비로 혼합하여 세절한 후, 다시 호모믹서로 분쇄, 교반하여 미세 분말상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분말화된 생약을 다시 오토마이저(Atomizer, ISA)로 분쇄하여 스크린(파이 0.8 ㎜, Round hall)에 통과시켰다. 이 과정을 반복한 후 직경 0.3 ㎜의 스크린에 통과시키고, 체(타일로 표준체, 200 메쉬)로 걸러 초미립 분말상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한약재 분말을 1.5 L의 정제수에 3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탄소원, 질소원, 인산염, 무기염류, 미량영양성분 등을 기본 조성으로 하고,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pH가 5.0∼7.5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상기 배지에 Sacchomyces boulardii를 106 cells/mL로 접종하고, pH 5.5∼6.5, 온도 25∼35 ℃, 통기량 0.05∼0.5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3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발효액을 10,000 × g에서 30 분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가 제거된 최종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사용한 한약재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들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한약재 발효 추출물 혼합비(중량비) 항산화능 (%)
인삼 56.2
생지황 21.3
복령 24.5
인삼, 생지황, 복령 9:96:118 63.6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9:96:118:3 70.1
인삼, 생지황, 복령, 맥골동 9:96:118:3 69.1
인삼, 생지황, 복령, 지문피 9:96:118:3 68.7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지문피 9:96:118:3:3:3 76.7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삼, 생지황 및 복령을 혼합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보다 항산화능이 우수하였으며, 상기 인삼, 생지황 및 복령에 천문동, 맥문동, 지골피를 각각 하나씩 추가한 경우 항산화능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특히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문동 및 지골피를 모두 사용한 경우 항산화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건조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문동 및 지골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 중량비로 혼합하여 세절한 후, 추출용매로 증류수를 넣어 한약재 추출물이 30 중량%가 되도록 추추하였다. 이를 3 일간 냉침한 후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0.2 ㎛의 필터로 여과하고, 살균효과를 위해 3 일간 UV 자외선을 쪼여 최종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한약재 추출물 혼합비(중량비) 항산화능 (%)
인삼 23.7
생지황 12.4
복령 15.8
인삼, 생지황, 복령 9:96:118 24.7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9:96:118:3 27.7
인삼, 생지황, 복령, 맥골동 9:96:118:3 24.9
인삼, 생지황, 복령, 지문피 9:96:118:3 28.8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지문피 9:96:118:3:3:3 36.8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비교예의 한약재 추출물과 비교하여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생물의 종류와 배지의 종류에 따른 항산화능과 상기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미생물을 사용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배지는 LB(리터당 Tryptone 10 g, Yeast extract 5 g, NaCl 5 g), Mannitol medium/YPM medium(리터당 Yeast extract 5 g, Peptone 3 g, Mannitol 25 g), YPD medium(리터당 Yeast extract 10 g, Peptone 20 g, Glucose 20 g), MRS medium/Lactobacillus를 사용하였다.
미생물 배지 항산화능 (%)
Bacillus subtiris(1102) LB 64.5
Bacillus subtiris(1104) LB 44.1
Leuconostoc inhae MRS -
Weissella cibana MRS 76.6
Weissella hanii MRS 73.4
Tetragenococcus koreensis MRS -
Acetobacter sp. YTM -
Saccharomyces cerevisiae YPD 72.2
Saccharomyces boulardii YPD -
SchizoSaccharomyces pombe YPD 75.9
Klureromyces lactis YPD 76.8
Klureromyces fragilis YPD -
Bacillus coagulans LB 64.3
Saccharomyces boulardii YPD 76.7
Lactobacillus brevis MRS 73.1
Lactobacillus casei MRS 74.8
Lactobacillus plantarum MRS 73.3
Lactobacillus acidophilus MRS 74.5
Lactobacillus helveticus MRS 73.3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 sp bulagaricus MRS 67.1
Gluconobacter cerinus YPM 77.5
Gluconobacter oxydans sub sp oxydans YPM 78.3
Gluconobacter oxydans YPM 77.1
Acetobacter orleanensis YPM 62.2
한약재 추출물 36.8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과 비교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추출물 및 비타민E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능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는 중량%를 의미한다)
구분 항산화능 (%)
비타민 E 0.12 % 78.6
0.012 % 27.5
0.0012 % 18.9
실시예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0.25 % 76.3
0.025 % 27.5
0.0025 % 14.2
비교예의 한약재 추출물 0.25 % 36.8
0.025 % 11.4
0.0025 % 9.23
상기 표 4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통상 항산화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비타민E와 유사한 정도의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한약재 추출물보다는 월등히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 효과 및 세포증식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합성 효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인간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실험하였다. 생합성된 콜라겐 측정은 POCP EIA ket(Procollagen Type Ⅰ C-e Enzyme Immuno 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과 비교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추출물을 각각 2.0 중량%, 1.0 중량% 및 0.1 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하여 각각 인간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1 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ECP EIA Kit로 각 농도에서 콜라겐 생합성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타민 C를 첨가한 배양액과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도 상기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능은 대조군(무첨가)에 대한 상대적인 합성능으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의 실험값은 6 회 반복하여 실시한 평균값이다.
구분 콜라겐 합성 증가율 (%)
대조군 (무혈청 배지) 100
비타민 C (최종농도 52.8 ㎍/mL) 118.4
실시예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2.0 % 125.9
1.0 % 119.8
0.1 % 117.7
비교예의 한약재 추출물 2.0 % 101
1.0 % 101
0.1 % 101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증식)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의 섬유아 세포(human fibroblast cell)를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과 비교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추출물을 각각 10 중량% 및 1 중량%의 농도로 2 일간 적용하고, MTT 시험 방법을 수행하여 세포증식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무혈청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비교군으로는 혈청(serum) 1 %를 부가하여 사용하였다.
구분 2일후 세포증식율 (%)
대조군 (무혈청 배지) 100
serum 1 % 146
실시예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10 % 246
1 % 175
비교예의 한약재 추출물 10 % 152
1 % 100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세포증식을 통한 세포활성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3 및 비교예 2∼3
하기 표 7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2 및 3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배합하였다. 한편, 비교예 2는 하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시료이고, 비교예 3은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시료로, 수상과 유상을 각각 70∼75 ℃로 가열, 용해한 후, 유상을 수상에 첨가하고 호모믹서 6,000 rpm 조건하에서 10 분간 유화시킨 후 30 ℃까지 냉각하여 수중유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7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2 비교예 3
수 상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0.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1 15 15 15 15
진한 글리세린 6 6 6 6
프로필렌글리콜 4 4 4 4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0.2 0.2 0.2
한약재 발효 추출물 1.0 5.0 - -
한약재 추출물 - - - 5.0
유 상 세토스테아릴알콜 1 1 1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1 1 1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2 1 1 1 1
POE(20)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0.1 0.1 0.1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5 5 5 5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3 5 5 5 5
스쿠알란 5 5 5 5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주] 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미국 비.에프.굿리치(B.F.Goodrich)사의 카보폴 941(Carbopol 941) 1 중량% 수용액 2.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 영국 아이시아이(ICI)사이 아라셀 60(Arlacel 60) 3.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 일본 니혼 고쿄 알코올(Nihon KoKyu Alcohol)사의 아 이시이에이치(ICEH)
(피부 표면 보습 및 탄력도 증가 효과)
상기 실시예 2∼3과 비교예 2∼3에서 제조한 수중유형 유화물을 건강한 35∼50 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피부 보습 및 탄력 효과를 측정하였다.
35∼50 세까지의 여성 40 명을 20 명씩 2 개의 군으로 나누어 그룹 1은 오른쪽 얼굴에는 비교예 2를 왼쪽 얼굴에는 실시예 2를, 그룹 2는 오른쪽 얼굴에는 비교예 3을 왼쪽 얼굴에는 실시예 3을 안면부에 1 일 2 회씩 1 개월간 도포하도록 하였다. 피부 탄력성을 Cutometer SEM575로 측정하고 피부 보습은 Corneometer CM 825에 의해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탄력성 및 보습 측정은 초기에 비해 증가한 탄력성 및 보습력을 값을 %로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보습효과 (%) 피부탄력도 효과 (%)
실시예 2 29 29
실시예 3 39 47
비교예 2 6 7
비교예 3 15 14
(미백 효과)
상기 실시예 2∼3과 비교예 2∼3에서 제조한 수중유형 유화물을 건강한 35∼50 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피부 미백 효과를 측정하였다.
35∼50 세까지의 여성 20 명을 오른쪽 얼굴에는 비교예 3을 왼쪽 얼굴에는 실시예 3을, 그룹 2는 왼쪽 얼굴는 비교예 3을 왼쪽 눈가에는 실시예 3을 안면부에 1 일 2 회씩 2 개월간 도포하도록 하였다. 미백 평가를Mexameter MX-18로 측정하여 초기 대비 감소한 값을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값이 클수록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구분 2 주 4 주 6 주 8 주
실시예 3 △19 △40 △47 △52
비교예 3 △10 △25 △31 △38
(주름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2∼3과 비교예 2∼3에서 제조한 수중유형 유화물을 건강한 35∼50 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35∼50 세까지의 여성 40 명을 20 명씩 2 개의 군으로 나누어 그룹 1은 오른쪽 눈가에는 비교예 2를 왼쪽 눈가에는 실시예 2를, 그룹 2는 오른쪽 눈가에는 비교예 3을 왼쪽 눈가에는 실시예 3을 안면부에 1 일 2 회씩 3 개월간 도포하도록 하였다.
3 개월 후 주름의 개선정도를 피시험자의 설문 및 주름의 영상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시험자의 설문은 주름개선 및 탄력증진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 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
실시예 2 7 11 2
실시예 3 3 12 5
비교예 2 14 6 0
비교예 3 10 10 0
상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 한약재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독성)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로서의 1차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에 대하여 V79-4세포(차이니스 햄스터, 폐조직 섬유아세포의 연속 세포주)를 배양하여 MTT 시험법(Mossma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 survival :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1983, 65, 55-63)을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 SLS(소듐라우릴설페이트)와 안정성이 우수한 유용성 원료인 스쿠알란,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시료 IC50 (%, w/v)
SLS 0.005
스쿠알란 0.05
한약재 발효 추출물 10.00
한약재 추출물 1.00
[주]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 - 50 %의 세포를 사멸시키는 농도
상기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의 IC50 값은 10.00 %로 SLS에 비하여 2,000 배 이상 세포독성이 낮게 나타났고, 안전성이 우수한 유용성 원료인 스쿠알란에 비해서도 200 배 이상 낮게 나타났으며, 비교예의 한약재 추출물에 비해서도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여 세포독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러지 테스트(LLNA))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의 알러지 유발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운반매개물로 에탄올:물(6:4)을 사용하는 실험법(Kimber I(1990): Identification of contact allergens using the murine local lymph node assay, J. Appl. Toxicol. 10(3) ; 173-180)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각각 20 중량%, 40 중량%, 60 중량% 용액으로 제조하여, 생쥐(Balb/c)의 양쪽 귀에 50 ㎕씩 3 일간 발라준 후, 쥐로부터 이개임파절(Auricular lymph node)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임파절을 분쇄하여 단일세포 상태로 만든 후, 방사성 동위원소 [3H]-메틸티미딘(methyl thymidine)을 첨가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β-신틸레이션 계수기(Beckman LS 6000 TA, USA)를 이용하여 평균(cmp) 및 세포의 증폭도(dpm, disintegrations per minute)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구분 임파절세포 수 (107 세포/mL) cmp (평균) 증폭도
60 % 에탄올 2.13 2481 운반매개물
한약재 발효 추출물 20 % 1.87 1530 0.6
한약재 발효 추출물 40 % 1.88 2337 0.9
한약재 발효 추출물 60 % 1.87 2336 0.9
상기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증폭도가 2 이하로서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자극성)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의 피부자극성 시험을 위하여, 기니아 피그(Guinea Pig)를 이용한 첩포시험(Patch test)(① Draize, J.H.(1959) : Dermal toxicity. Assoc. Food and Drug officials, US. Appraisal of the safety of chemicals in Food, Drugs and Cosmetics., pp46-59, Texas State Dept of Health, Austin, Texas. ② Federal Register(1973) : Method of testing primary irritant substances 38(187) : pp1500-1541)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시료는 여러 농도로 증류수로 희석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시료 도포 부위(등)의 털을 제거하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헤 24 시간 동안 환경에 적응시켰다. 그 다음, 시료 도포 부위를 설정(1.5 ㎝ × 1.5 ㎝)하여 실시예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과 비교예에서 제조한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골동 및 지문피를 모두 사용하여 수득한 한약재 추출물 각각 0.2 중량%, 5.0 중량%, 10.0 중량%와 가아제를 적용한 후, 시료의 증발 및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고형 재질의 박지로 밀봉하고, 탄력 붕대로 48 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48 시간 동안 고정한 후, 폐쇄첩포를 제거하고, 2 시간, 24 시간(첩포 후 48 시간, 72 시간)째 자극 정도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구분 자극지수 (PII*) 자극도
대조군 0.47 미세자극
한약재 발효 추출물 0.2 % 0.25 미세자극
5.0 % 0.40 미세자극
10.0 % 0.40 미세자극
한약재 추출물 0.2 % 0.51 미세자극
5.0 % 0.76 미세자극
10.0 % 0.96 미세자극
[주] * PII - Primary cutaneous Irritation Index
상기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매우 안전하며, 비교예의 한약재 추출물보다도 더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자극성이고 피부에 안전하여 피부질환의 유발 문제가 없으며, 항산화능, 세포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능, 코라겐 합성 증진 효과 및 면역 강 화 기능이 우수하여 노화방지 효과가 우수하고, 그 효과가 단시간 내에 나타나며, 오래 지속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효모, 유산균 또는 세균 배양시 한약재를 첨가, 배양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인삼, 생지황 및 복령이 0.5 내지 12 : 4 내지 100 : 3 내지 20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천문동, 맥문동 및 지골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한약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인삼, 생지황, 복령, 천문동, 맥문동 및 지골피를 0.5 내지 12 : 4 내지 100 : 3 내지 200 : 0.5 내지 5.0 : 0.5 내지 5.0 : 0.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기본 배지에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가 Saccharomyces sp., Schizosaccharomyces sp.Klureromyces sp.,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sp. Bacillus sp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BWeissella sp., Gluconobacter sp. Bacillus sp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또는 오일젤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 지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05481A 2007-01-18 2007-01-18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481A KR101456042B1 (ko) 2007-01-18 2007-01-18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481A KR101456042B1 (ko) 2007-01-18 2007-01-18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160A true KR20080068160A (ko) 2008-07-23
KR101456042B1 KR101456042B1 (ko) 2014-11-03

Family

ID=3982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481A KR101456042B1 (ko) 2007-01-18 2007-01-18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0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15B1 (ko) * 2009-01-02 2009-04-30 꽃뫼영농조합법인 맥문동 함유 마스크 팩
KR20100066754A (ko) * 2008-12-10 2010-06-1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1629B1 (ko) 2008-01-25 2010-07-22 코스맥스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988199A (zh) * 2012-11-30 2013-03-27 唯美度科技(北京)有限公司 嫩肤抗敏精华液
WO2014017717A1 (ko) * 2012-07-27 2014-01-30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시 중온추출 및 발효 공정을 이용한 천연물의 생리활성 물질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KR101494664B1 (ko) * 2013-01-23 2015-02-23 의성농산영농조합법인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101625A (zh) * 2019-06-14 2019-08-09 芳香世家化妆品(广州)有限公司 一种营养修护面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928B1 (ko) * 2016-02-19 2018-07-1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524B1 (ko) * 2018-11-21 2020-06-05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새싹삼 잎, 줄기 발효액 또는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04383B1 (ko) * 2020-05-27 2022-06-07 주식회사 피토메카 와이셀라 시바리아 세포 용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941A (ko) * 1998-01-12 1999-08-16 최은집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020044266A (ko) * 2000-12-05 2002-06-15 양봉철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72052B1 (ko) * 2003-02-24 2005-02-21 (주)애지바이오화장품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20060000488A (ko) * 2004-06-29 2006-01-06 홍림통산(주)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 그의 유산균 발효물 및 그의장내세균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인삼 추출물 소양증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29B1 (ko) 2008-01-25 2010-07-22 코스맥스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6754A (ko) * 2008-12-10 2010-06-1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5515B1 (ko) * 2009-01-02 2009-04-30 꽃뫼영농조합법인 맥문동 함유 마스크 팩
WO2014017717A1 (ko) * 2012-07-27 2014-01-30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시 중온추출 및 발효 공정을 이용한 천연물의 생리활성 물질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KR101479105B1 (ko) * 2012-07-27 2015-01-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동시 중온 추출 및 발효 공정을 이용한 천연물의 생리활성 물질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CN102988199A (zh) * 2012-11-30 2013-03-27 唯美度科技(北京)有限公司 嫩肤抗敏精华液
KR101494664B1 (ko) * 2013-01-23 2015-02-23 의성농산영농조합법인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101625A (zh) * 2019-06-14 2019-08-09 芳香世家化妆品(广州)有限公司 一种营养修护面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042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052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42B1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66820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7939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9605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20170100832A (ko)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6800A (ko) 화장료 조성물
KR101292274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4345B1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4340B1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1985381B1 (ko) 포도, 오렌지, 사과, 레몬 및 라임을 발효하여 만든 과일 발효액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33811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5522B1 (ko) 발효 만주자작나무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9679A (ko) 콩 발효액으로 발효시킨 한방약재 추출물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64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7231B1 (ko)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33243B1 (ko) 한약재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한약재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62972B1 (ko) 목주름 및 입술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1166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2657790B1 (ko) 천연추출물이 함유된 피부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7436B1 (ko) 어린탱자, 어린녹차 및 비터오렌지꽃의 혼합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1456056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2791B1 (ko) 한방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