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4152A - 진동 감쇠 유닛, 특히 듀얼-매스 플라이휠 - Google Patents

진동 감쇠 유닛, 특히 듀얼-매스 플라이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4152A
KR20080024152A KR1020077030499A KR20077030499A KR20080024152A KR 20080024152 A KR20080024152 A KR 20080024152A KR 1020077030499 A KR1020077030499 A KR 1020077030499A KR 20077030499 A KR20077030499 A KR 20077030499A KR 20080024152 A KR20080024152 A KR 20080024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orming
regions
dual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트무트 멘드
빈 초우
라이너 키스트너
Original Assignee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filed Critical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24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14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6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6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 F16F15/165Sea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4Wound springs
    • F16F15/1343Wound springs characterised by the spring mounting
    • F16F15/13453Additional guiding means for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피동 샤프트(driven shaft)에 연결될 수 있는 1차 매스 그리고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의 입력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는 2차 매스로 이루어진 듀얼-매스 플라이휠(dual-mass flywheel)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두 가지 매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설정 장치에 의하여 동심으로 그리고 축 방향으로 상호 관련하여 위치 설정되었고, 에너지 저장 장치를 갖춘 감쇠 장치의 작용에 대항하여 적어도 제한적으로 상호 관련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상기 1차 매스의 부품들에 의해서 형성된 그리고 점성 매체를 함유하는 링과 같은 환상(annular) 챔버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진동 감쇠 유닛, 듀얼-매스 플라이휠

Description

진동 감쇠 유닛, 특히 듀얼-매스 플라이휠 {VIBRATION DAMPING UNIT, IN PARTICULAR A DUAL-MASS FLYWHEEL}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의 엔진과 구동 체인(drive train) 사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소위 듀얼-매스 플라이휠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특히 엔진의 피동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는 1차 매스 그리고 트랜스미션의 입력부에 연결될 수 있는 2차 매스로 이루어진 듀얼-매스 플라이휠과 관련이 있으며, 상기 두 가지 매스들은 동심으로 그리고 축 방향으로 상호 관련하여 위치 설정되었고, 에너지 저장 장치, 특히 나선형 스프링을 갖춘 감쇠 장치의 작용에 대항하여 적어도 제한적으로 상호 관련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바람직하게 상기 1차 매스의 부품들에 의해서 형성된 그리고 점성 매체를 함유하는 링과 같은 환상(annular) 챔버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부품들 그리고 다른 매스들은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를 위한 공급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감쇠 장치 또는 듀얼-매스 플라이휠은 예를 들어 DE 37 45 156 C5호, DE 37 21 712 C2호, DE 41 17 582 A1호 그리고 DE 41 17 579 A1호에 의해서 공지되어 있다.
듀얼-매스 플라이휠로서 형성된 상기와 같은 토크 전달 장치들은 자동차의 경우에 중간 클래스부터, 특히 디젤 엔진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나, 소형 차량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장치들이 여러 가지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가격 때문에 언제나 폭 넓게 보급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매우 저렴한 구조로 형성되고 또한 콤팩트하면서도 공간 절약적인 구성 방식을 가짐으로써, 엔진과 트랜스미션이 가로로 배치되어 있는 소형 차량들의 경우에서와 같이 내부 설치 공간이 매우 제한된 차량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토크 전달 장치를 제작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토크 전달 장치, 특히 듀얼-매스 플라이휠은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어야 하고, 저렴한 제조를 가능케 해야만 한다.
듀얼-매스 플라이휠로서 형성된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토크 전달 장치의 경우에 본 발명의 과제는 다른 무엇보다도, 2차 매스가 강철로 이루어진 시트 성형부로서 형성될 수 있고, 직접 클러치 디스크의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을 위한 마찰면을 형성함으로써 해결되며, 이 경우 상기 마찰면의 방사 방향 외부에는 상기 마찰면에 대하여 축을 따라 변위된, 마찰 클러치의 하우징을 위한 고정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마찰면의 방사 방향 내부에는 상기 마찰면에 대하여 축을 따라 변위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품을 위한 연결 영역이 존재하며, 이 경우 상기 고정 영역 및 연결 영역은 마찰면을 기준으로 축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다. 상기 시트 성형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개구를 형성하는 환상의 부착물을 방사 방향 내부에 갖는 경우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개구의 외부면은 슬라이딩 베어링을 형성할 목적으로 또는 하나의 슬라이딩 베어링을 수용할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마찰면의 방사 방향 외부에 둘레에 걸쳐서 각도에 따라 분배된 고정 영역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영역들이 특히 2차 매스에 연결될 수 있는, 마찰면에 대하여 축을 따라 변위된 클러치 하우징을 위한 지지면을 형성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정 영역들은 제 1 형태의 영역 및 제 2 형태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두 가지 영역들은 원주 방향으로 변위 배치된 그리고 적어도 쌍으로 상호 할당된 단부 영역을 형성하며, 이 경우 상기 두 가지 영역들은 원주 방향으로 타원형으로 형성되었고, 방사 방향 내부에서는 분리 단면에 의해 인접하는 시트 영역에 대하여 분리되었으며, 제 1 영역의 단부 영역은 - 원주 방향으로 볼 때 - 제 2 영역의 이웃하는 단부 영역과 교차한다. 상기 두 가지 영역들을 형성하는 분리 단면들은 바람직하게 둘레에 적합하게 교차할 수 있다. 상기 두 가지 영역들의 단부 영역들은 이 영역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영역은 상기 영역을 방사 방향으로 더 안에 배치된 시트 섹션에 연결하는, 마찰면을 형성하는 단부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에 이어지는 단부 섹션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러치 디스크의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을 위한 마찰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부품은 2차 매스의 구성 부분이고, 강철로 이루어진 시트 성형부로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시트 성형부는 상기 마찰면의 방사 방향 외부에서 둘레에 걸쳐 분배된 고정 영역을 갖고, 상기 고정 영역은 마찰면에 대하여 축을 따라 변위 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정 영역은 제 1 형태의 영역 및 제 2 형태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두 가지 영역들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적어도 쌍으로 상호 할당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영역들은 적어도 하나의 분리 단면에 의해 상기 영역의 방사 방향 내부에 존재하는, 마찬가지로 마찰면을 형성하는 시트 영역에 의하여 분리되었으며, 이 경우에는 또한 - 원주 방향으로 볼 때 -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는 두 가지 영역들 사이에 상기 두 가지 영역들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연결 영역은 마찰면에 대하여 상기 시트의 재료 두께보다 작은 정도로 축을 따라 변위 되며, 이 경우 상기 방사 방향 변위는 단지 시트 재료의 부분적인 관통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이때 시트 재료가 단 한 번만 관통한 영역들은 원주 방향으로 마찰면에 연결되는 한 고정 영역의 영역들, 즉 분리 단면에 의해서 형성된 영역들보다 상기 마찰면에 대하여 더 적은 정도로 축을 따라 변위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상 챔버는 적어도 두 개의 부품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는데, 상기 두 개의 부품들은 에너지 저장 장치의 방사 방향 외부에 마주 놓인 링과 같은 평탄한 영역들을 가지며, 상기 영역들 사이에는 평탄한 환상 밀봉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밀봉부는 특히 간단하고도 저렴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환상 챔버의 완벽한 밀봉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밀봉부를 사용함으로써, 부품의 전체 둘레에 걸쳐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용접 결합은 생략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챔버 내부에 수용된 점성 매체의 특성들의 부정적인 영향은 용접부 형성의 경우에 발생하는 높은 온도로 인하여 피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듀얼-매스 플라이휠의 특히 저렴한 제조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 바람직하게는 두 가지 부품들이 강철로 이루어진 시트 성형부로서 형성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완벽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환상 밀봉부가 상기 밀봉부의 폭과 상기 밀봉부를 형성하는 재료의 두께 간에 큰 비율을 갖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큰 비율은 바람직하게 10 내지 100의 크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의 크기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의 두께가 0.5 mm인 경우에는 링의 폭이 7.5 내지 30 mm의 크기 범위에 놓이게 된다. 상기 환상 밀봉부는 별도의 밀봉부로서, 즉 고유한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환상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환상 영역에도 페이스트 밀봉 재료가 도포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밀봉 재료는 자체 경화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초음파 또는 UV-방사선에 의해서 활성화될 수 있다.
환상 영역들을 포함하는 부품들 간의 연결 과정이 상기 환상 밀봉부의 연장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두툼한 구성 방식을 가능케 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은 연결을 보장해주는 수단을 위한 추가의 공간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은 환상 면들 사이에 수용된 밀봉부의 방사 방향 연장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두 가지 부품들 간의 연결은 바람직하게 리벳 연결부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리벳 연결부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상 영역들 또는 환상 밀봉부의 연장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다른 연결 방식도 가능한데, 예를 들자면 점 용접에 의한 연결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용접 점들 및/또는 용접 돌기들도 마찬가지로 상기 환상 밀봉부의 방사 방향 연장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연결부들 또는 적어도 개별 연결부들은 상기 환상 밀봉부의 방사 방향 내부에 그리고/또는 방사 방향 외부에도 제공될 수 있다.
환상 영역들을 포함하는 부품들 간에 이루어지는 특히 경제적인 연결은 리벳 소자들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리벳 소자들은 상기 환상 영역들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벳 소자들은 소위 리벳 돌기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리벳 돌기들은 링과 같은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시트 성형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벳 돌기들은 다른 시트 성형부의 리세스를 축 방향으로 통과하여 삽입되고,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들을 하나의 리벳 헤드로 변형시킨다. 상기 환상 영역들 또는 환상 밀봉부 내부에 제공된 연결부들, 특히 리벳 연결부들은 상응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이한 반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들은 바람직하게 상이한 반경으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그룹의 연결부들은 다른 그룹의 연결부들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상호 변위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들이 상기와 같은 형태로 변위 배치된 경우, 상기 연결부들은 원주 방향으로 볼 때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들 및 밀봉부는, 연결부들 자체를 제외하고는 연결할 부품들 사이에서 금속 접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도록 배치되고 형성될 수 있다.
환상 밀봉부를 형성하는 재료가 적어도 축 방향으로 탄성적인 특성들을 갖고, 탄성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챔버를 형성하는 부품들의 환상 영역들 사이에 제공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환상 밀봉부의 저렴한 제조는 셀룰로오스를 기본으로 하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셀룰로오스를 기본으로 하여 제조되는 밀봉 링은 라텍스 연결부 및/또는 라텍스 코팅을 가질 수 있다.
밀봉 링이 두 개의 시트 성형부를 연결하는 고정 수단, 특히 리벳 소자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축 방향 컷-아웃(cut-out)을 갖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통부 또는 컷-아웃 영역에서는 전술한 점 용접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환상 밀봉부는 상기 점 용접부를 형성하기 전에 적어도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된다. 그럼으로써, 적어도 방사 방향 외부로 챔버의 완벽한 밀봉이 보장된다.
상기 링과 같은 챔버를 제한하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걸쳐 연장되는 한 벽에 적어도 원심력의 작용하에서 지지되는 코일을 갖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기능을 하는 나선형 스프링을 구비한 듀얼-매스 플라이휠의 경우에는, 상기 코일이 적어도 이 코일을 방사 방향으로 지지하는 벽과의 접촉 영역에 평탄한 지지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체로 형성된 부분을 갖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코일과 이 코일을 지지하는 벽 사이의 접촉 영역을 상기와 같이 확대시킴으로써, 적어도 특정 작동 상태에서는 상기 코일이 상응하는 벽을 따라 미끄러질 때에 형성되는 비틀림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아마도 그 원인은, 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인하여 윤활 막의 형성이 조장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스프링 코일과 상기 코일을 지지하는 벽 사이에 평탄한 접촉을 형성함으로써, 점 형태의 접촉이 피해지고, 그에 따라 형성되는 표면 압착도 현저히 줄어든다. 이와 같이 벽과 코일 사이의 접촉 영역에서 표면 압착을 줄이는 것도 마찬가지로 윤활제 막의 구성을 조장한다.
코일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은 엠보싱(embossing) 공정에 의해서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엠보싱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 엠보싱은 - 나선형 스프링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 곡률 반지름을 갖고, 상기 곡률 반지름은 코일을 지지하는 벽의 곡률 반지름에 적어도 거의 일치한다. 이 경우 코일을 방사 방향으로 지지하는 벽은 상기 코일의 외부 반지름보다 더 큰 반지름을 갖는 횡단면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 코일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은 바람직하게 DE 44 06 826호 및 DE 43 06 895 C1호에 기술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응하는 스프링 코일들도 상기 간행물들에 공지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일체로 형성된 부분은 상응하는 나선형 스프링의 완벽한 충격 하중을 가능케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코일에 일체로 형성된 부분들이 단지 상기 코일들 그리고/또는 이 코일을 방사 방향으로 지지하는 벽 사이에 있는 접촉 영역에만 제공되는 경우가 바람직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적용례들에서는 상기와 같은 일체로 형성된 부분이 나선형 스프링을 형성하는 스프링 와이어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경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체로 형성된 부분은 벽에 의해서 형성되는 지지면의 둘레에 적합한 곡률 반지름에 적어도 거의 적응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의 횡단면 파형은 방사 방향 외부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방사 방향 외부 영역은 나선형 스프링의 외부 코일 반지름과 같거나 또는 더 크다. 스프링 코일을 위한 지지면은 링과 같은 챔버의 외부 영역에 배치된, 쉘(shell) 형태의 삽입부에 의해서 간단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나선형 스프링의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삽입부는 아래로 꺾여진 또는 지붕 모양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횡단면에서는 코일이 축을 따라 이격된 두 개의 지지점 또는 지지 영역에 인접하게 된다.
두 가지 매스들 중에 한 매스의 부품들에 의하여 환상으로 형성된 그리고 점성 매체를 함유하는 링과 같은 챔버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부품들 및 다른 매스들이 상기 나선형 스프링을 위한 작동 영역들을 구비하고,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부품들이 적어도 시트 성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성형부가 상기 작동 영역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링과 같은 챔버 내부로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엠보싱을 갖도록 구성된, 나선형 스프링을 갖춘 듀얼-매스-플라이휠의 경우에는,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는 재료의 영역에 상기 엠보싱을 보강하거나 또는 상기 엠보싱에 의해서 형성되는 작동 영역들을 보강하는 성형부가 제공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 성형부는 예를 들어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는 재료의 영역에 삽입된 비드(bead)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보강 성형부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원주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삽입된 비드 모양의 일체 형성부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성형부는 엠보싱을 형성하는 재료의 영역에 지붕 모양으로 축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 모양 일체 형성부의 릿지(ridge)는 방사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기능 특징들 그리고 구조적으로 및 기능적으로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아래의 도면 설명부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진동 감쇠 장치의 한 단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세부 사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회전 진동 감쇠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밀봉 링의 한 가지 가능한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회전 진동 감쇠 장치의 추가 세부 사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회전 진동 감쇠 장치의 추가 세부 사항을 도시한 추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회전 진동 감쇠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스프링용 방사 방향 지지 쉘의 대안적으로 가능한 한 가지 실시예이다.
도 7 및 도 8은 나선형 스프링을 위한 두 가지 특히 바람직한 와이어 횡단면이다.
도 9는 2차 매스의 한 가지 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10 및 도 11은 2차 균형추의 추가로 가능한 실시예이다.
도 12는 나선형 스프링을 위한 시트 성형부의 작동 영역들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13은 나선형 스프링을 위한 작동 영역들의 다른 한 가지 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14 및 도 15는 환상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시트 성형부의 횡단면으로서, 도 14는 나선형 스프링을 위한 작동 영역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16은 듀얼-매스 플라이휠의 한 가지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1에 도시된 회전 진동 감쇠 장치(1)는 소위 듀얼-매스 플라이휠(2)을 형성하고, 상기 듀얼-매스 플라이휠은 1차 매스(3) 및 2차 매스(4)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가지 매스들은 하나의 위치 설정 장치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중앙에 위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설정 장치(5)는 소위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서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슬라이딩 베어링의 기능 및 가능한 형상과 관련해서는 DE 198 34 728 A1호가 참조되기 때문에, 본 출원서의 범위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1차 매스(3) 및 2차 매스(4)는 바람직하게 스탬핑 부분 및/또는 엠보싱 부분으로서 구현된 시트 성형부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부분들은 실제로 공구 없이도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추후의 절삭 가공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상황에 따라 반드시 필요한 나사 결합용 나선홈이 경우에 따라 추후에 형성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추후의 작업 과정도 나선홈을 절단하는 나사 또는 나선홈을 만드는 나사를 사용함으로써 생략될 수 있다. 나선홈을 만드는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나선홈이 절단 과정에 의해서 만들어지지 않고 오히려 재료 편차에 의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나선홈 경로의 강도가 상승할 수 있다.
1차 매스(3)는 엔진의 피동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는 시트 성형부(6)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 성형부는 방사 방향으로 진행하는 영역(7)을 가지며, 상기 영역은 방사 방향 내부에 나사 결합 개구(8)를 갖는다. 시트 성형부로서 형성된 부품(6)은 내부에 축 방향 부착물(9)을 가지며, 상기 부착물은 부시 형태로 또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었고, 본 경우에는 상기 부품(6)과 일체로 형성되었다. 상기 부품(6)은 방사 방향 외부에서는 링 모양의 축 방향 부착물(10)로 변환되고, 상기 부착물도 마찬가지로 본 경우에는 상기 부품(6)과 일체로 구현되었다. 상기 축 방향 부착물(10) 상에는 스타터 기어 림(11)이 올려져 있다. 상기 축 방향 부착물(10)은 재차 본 경우에는 방사 방향 외부로 향하는, 링 모양의 영역(12)으로 변환된다. 상기 링 모양의 영역(12)은 경우에 따라서는 둘레에 삽입된 마커(marker), 예컨대 엔진 관리를 위해서 이용되는 홈 또는 톱니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엔진 쪽을 향하고 있는 상기 부품(6)의 측면에 특별한 검출기 시트(13)가 제공되어 있다.
1차 매스(3)는 또한 시트 성형부(6)보다 훨씬 더 작은 재료 두께를 갖는 시 트 성형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 성형부(14)의 재료 두께는 상기 시트 성형부(6)의 재료 두께의 20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의 크기 범위 안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대적으로 가느다란 시트 성형부(14)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마모 또는 닳아서 헤지는 상황에 대하여 훨씬 더 높은 저항이 보장되었다.
시트 성형부(14)는 방사 방향 섹션(16) 그리고 축 방향 섹션(17)을 포함하는 포트 모양의 영역(15)을 형성한다. 상기 축 방향 섹션(17)은 링 모양의 영역(18)으로 변환되며, 상기 링 모양의 영역은 방사 방향 외부로 진행하고, 방사 방향 벽(7)의 링 모양 섹션(19)에 이웃한다. 상기 링 모양의 영역(18)은 본 경우에는 축을 따라 진행하는 영역(20)으로 변환되고, 상기 영역(20)은 내부에서 링 모양의 스텝(step)에 접한다. 상기 축 방향 영역(20)과 상기 링 모양 부착물(10) 사이에는 방사형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영역들을 통해 상기 부품(6 및 14)을 중앙에 배치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링 모양의 스텝(10) 및 축 방향 영역(20)은 압착 연결부를 통해서도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부품(14)은 부품(6) 내부로 축 방향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의 연결은 경우에 따라 압착 연결부와 조합될 수 있는 수축 연결부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조립 전에 부품(6)이 가열되고/가열되거나 부품(14)이 냉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연결을 만드는 경우에는, 필요하다면, 상기 영역들(20과 10) 사이에 그리고/또는 상기 영역들(18과 19) 사이에 밀봉 수단 또는 밀봉 재료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밀봉 재료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을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밀봉 재료는 동시에 접착 특성도 가질 수 있다. 밀봉 재료가 도포 가능한 코팅 재료를 형성하는 경우도 또한 바람직하다. 밀봉 재료들은 자체 경화될 수 있거나 또는 방사선에 의해서, 예컨대 UV-광선에 의해서 활성화될 수 있다. 밀봉 재료들은 또한 소위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상응하는 부품들을 조립할 때에 또는 방사선(UV- 및/또는 열 방사선)에 의해서 파괴되어 활성체 및/또는 촉매를 방출한다.
하지만,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상응하게 적응된 표면들 또는 영역들 사이에 고정되는 밀봉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
2차 매스(2)도 마찬가지로 본 경우에는 시트 성형부(21)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시트 성형부는 실제로 방사 방향으로 진행하고, 본 경우에는 방사 방향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축 방향 부착물(22)을 갖는다. 상기 축 방향 부착물(22)은 축을 따라 상기 방사형 영역(7)의 방향으로 방향 설정되어 있고, 슬라이딩 베어링 부시(24)가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원통형의 수용부(23)를 형성한다.
시트 성형부(21)는 일체로 형성된 러그(lug) 형태의 고정 영역(25)을 가지며, 상기 고정 영역은 시트 성형부(6)의 방사형 영역(7)의 방향으로, 상기 시트 성형부(21)의 이웃하는 영역들에 대하여 축을 따라 변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도에 적합하게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상기와 같은 유형의 다수의 고정 영역들(25)이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와 같은 유형의 고정 영역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높은 토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세 개 이상의 상기와 같은 유형의 고정 영역들(25)도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고정 영역들(25)은 부품(21)을 형성하는 시트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형성되었다. 이 경우 러그(25)로서 형성된 고정 영역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간단히 둘로 나눔으로써 그리고/또는 시트 재료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변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성 과정은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상기 도시된 변형예의 장점은, 고정 러그(25)를 분리하거나 또는 주변 절단함으로써 2차 균형추(4) 내부에 축 방향 통로가 형성된다는 것이며, 상기 축 방향 통로는 토크 전달 장치, 특히 2차 매스(4)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 순환을 가능케 한다. 상기 축 방향 통로 또는 냉각 개구(26) 및 고정 러그(25)는 2차 매스(4)에 의해 형성된 마찰면(27)의 방사 방향 내부에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을 위하여 제공되었다.
도면에 도시된 2차 매스(4)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에서는, 축을 따라 방사형 영역(7)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영역(25)이 엠보싱 공정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엠보싱 공정은, 축을 따라 마찰면(27)의 방향으로부터 볼 때, 주머니 모양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냉각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원주 방향으로 엠보싱들 사이에 상응하게 형성된 축 방향 개구들 그리고/또는 방사 방향 개구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구들에 이웃하는 영역들은 원하는 공기 순환을 조장하는,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환기용 베인(vane) 형태로 작용하거나 또는 블레이드 형태로 작용하는 성형부를 가질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시트 재료가 상응하게 엠보싱 처리되고 그리고/또는 상응하는 시트 영역들이 꼬이며 그리고/또는 축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영역(25)은 디스크 형태의 또는 플랜지 형태의 부품(28)을 회전 불가능하게 커플링하고 위치 설정할 목적으로 이용되며, 상기 부품은 스프링(30)을 작동시킬 목적으로 이용되는 방사형 브래킷(bracket)(29)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은 두 개의 균형추(3과 4)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대적인 비틀림(torsion)을 저지한다. 상기 링 모양의 부품(28)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벳 연결부(31)를 통해 고정 영역(25)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리벳 연결부(31)를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리벳 소자(31a)가 제공되었다. 하지만 상기 고정 영역(25) 및/또는 상기 플랜지 형태의 혹은 디스크 형태의 부품(28)으로부터 축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리벳 소자들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벳 소자들의 충분한 길이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상기 리벳 소자들이 축을 따라 중공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리벳 소자들은 완전하게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상기와 같은 리벳 소자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출발 시트 재료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를 형성하는 스프링(30)은 링 모양의 공간(32) 안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은 두 개의 부품(6 및 14)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링 모양의 공간(32)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윤활재 또는 점성 매체, 예컨대 지방으로 채워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링과 같은 챔버(32)의 방사 방향 외부 영역에는 마모 방지부(33)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마모 방지부는 나선형 스프링(30)에 의해서 형성된 에너지 저장 장치와 축 방향 섹션(17)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본 경우에 상기 마모 방지부(33)는 쉘 형태의 삽입부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쉘 형태의 삽입부는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나선형 스프링(30)의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모 방지용 쉘(33)은, 횡단면으로 볼 때, 스프링 코일의 외부 직경에 적어도 거의 적응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마모 방지용 쉘(33)의 횡단면은 다른 형태, 예컨대 지붕 모양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횡단면 또는 횡단면 반지름의 설계에 상응하게, 개별 코일들은 단 하나의 접촉점 혹은 접촉 영역을 갖거나 또는 이와 같은 다수의 접촉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는 마모 방지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횡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개별 스프링 코일을 위하여 두 개의 접촉점 혹은 접촉 영역(153, 154)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마모 방지용 쉘(33)에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롤링 슈(rolling shoe) 및/또는 슬라이딩 슈로서 형성될 수 있는 지지 소자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슈 혹은 롤링 슈의 가능한 실시예 및 상기 슈들의 기능은 DE 102 41 879 A1호 및 DE 10 2004 006 879 A1호를 참조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30)에 의해서 형성된 개별 에너지 저장 장치들은 단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부러진 파형을 갖는 단 하나의 나선형 스프링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유형의 에너지 저장 장치는 연이어 배치된, 상대적으로 짧은 다수의 나선형 스프링 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나선형 스프링들은 직접 인접하여 지지되거나 또는 중간에 배치된, 바람직하게는 쐐기 모양의 중간 부재를 통하여 상호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파워 저장 장치는 예를 들어 DE 197 49 678 A1호 및 DE 198 10 550 C2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나선형 스프링 혹은 에너지 저장 장치의 형상 및 배열 상태 또는 가이드와 관련해서는 DE 199 09 044 A1호, DE 196 03 248 A1호, DE 196 48 342 A1호, DE 102 09 838 A1호 및 DE 102 41 879 A1호가 참조될 수 있다.
충격에 의해서 하중을 받는 나선형 스프링의 경우에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이 바람직하게는 코일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코일은 적어도 충격이 가해지는 영역에는 평탄부를 갖는다. 이와 같은 형태의 나선형 스프링 그리고 상기와 r같은 나선형 스프링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DE 44 06 826 A1호 및 DE 43 06 895 C1호에 제안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상기 나선형 스프링(30) 각각은 WO 99/49234호에 따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된 나선형 스프링의 수명을 늘리거나 또는 상기 스프링의 마지막 코일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마지막 코일이 DE 42 29 416 A1호에 따라 형성되는 경우도 바람직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나선형 스프링(3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대체로 원형의 와이어 횡단면을 갖는 스프링 와이어가 사용되지만, 다수의 적용례들을 위해서는 예컨대 달걀 모양 혹은 타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다른 와이어 횡단면 또는 예컨대 대체로 직사각형의 횡단면과 같은 다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다른 와이어 횡단면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횡단면들을 갖는 스프링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스프링 코일 내에서 발생하는 응력 비율은 필요에 따라 추가로 더 최적화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스프링 코일과 상기 스프링 코일을 원심력의 작용하에서 지지하는 영역들 사이에 존재하는 접촉면 혹은 지지면도 확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면의 확대에 의해서는, 적어도 코일에서 나타나는 마모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접촉면의 제공에 의해서는 윤활 막의 구성도 촉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은 조치에 의해서는, 코일이 방사형 지지면에 선 형태로 접촉하거나 또는 점 형태로 접촉하는 경우가 방지되어야만 한다.
코일 상에 존재하는 전술한 평탄부 또는 성형부를 나선형 스프링을 형성하는 스프링 와이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공하는 경우는 바람직할 수 있으나, 단지 다른 코일 또는 다른 부품과 접촉하는 코일 영역에만 상기와 같은 평탄부 또는 성형부를 제공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혹은 장소에 따라 제공된 상기 성형부 또는 평탄부는 DE 44 06 826 A1호 및 DE 43 06 895 C1호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현을 위해서는 상응하는 성형 공구 또는 성형 롤러가 반드시 필요하다.
둥글지 않은 횡단면을 갖는 사용 가능한 와이어 횡단면들은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한 2-38528호, FR 2 678 035호, 일본 실용신안 60-175922호 또는 JP 60-241535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나선형 스프링(30)에 의해 가해진 원심력으로 인하여 적어도 한 번의 횡단면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 쉘(33)을 형성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마모 쉘(33)을 상기와 같이 탄성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스프링 코일과 상기 마모 쉘(33) 간의 접촉점 또는 접촉 영역은 회전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쉘(33)을 상응하게 형성함으로써, 회전수가 더 높은 경우에 스프링 코일과 쉘(33) 사이에서 작용하는 접촉면의 크기는 회전수가 더 낮은 경우보다 더 크다.
나선형 스프링(30)은 링 형태를 벗어나는 코일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코일은 삼각형으로 또는 타원형으로 또는 달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달걀 모양으로 혹은 타원형으로 형성된 코일의 주축은 방사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때 다수의 적용례들을 위해서는 상기 주축이 전술한 두 가지 위치들 사이에 있는 비스듬한 위치를 갖는 경우도 바람직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3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시트 부품들(6 및 14)은 축 방향 성형부(34, 35)를 가지며, 상기 축 방향 성형부에는 상기 스프링(30)의 마지막 코일이 지지된다. 상기 성형부는 예를 들어 엠보싱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형부의 형상과 관련해서는 이미 앞에서 언급된 선행 기술들이 참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챔버(32)의 방사 방향 밀봉은 링 모양의 평탄한 밀봉부(36)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밀봉부는 도 2에 따른 상세한 사시도에서도 볼 수 있고, 도 3에는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링형 밀봉부(38)는 상기 부품(14)의 링 모양 영역(18)과 상기 부품(6)의 링 모양 섹션(19) 사이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 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경우에 부품들(6과 14) 간의 축 방향 연결은 리벳 연결부(37)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리벳 연결부는 본 경우에는 밀봉 링(36)의 방사 방향 연장 영역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리벳 연결부(37)는 부품(6)으로부터 축을 따라 성형된 리벳 소자(38)에 의해서 형성된다. 롤러 형태의 리벳 소자(38)의 축 방향 돌출 영역은 리벳 헤드(39)로 변형되었다. 리벳 소자(38)는 동일한 직경으로 둘레에 걸쳐 분배될 수 있지만,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벳 소자(38)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본 경우에 선택된, 리벳 소자(38)를 둘레에 적합하게 분배하는 배열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홀 패턴을 참조하여 알 수 있다. 각각의 홀 혹은 리세스(40)는 도 3에 도시된 분포 상태에서는 두 그룹으로 세분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한 그룹은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그룹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으로 배치되어 있다.
둘레에 분포된 개별 개구들(40) 간의 간격 치수는, 두 개의 부품(6 및 7)을 연결할 때에 상기 부품들이 특히 영역(18 및 19) 안에서는 전혀 변형되지 않도록 설정되었으며, 그 결과 공간(32)의 완벽한 밀봉이 보장된다.
반드시 필요하다면, 밀봉 링(36)은 조립용 마커(41)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마커는 부품(6) 및/또는 부품(14)에 있는 상응하는 대응 마커에 할당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마커(41)는 특히 리세스(40)가 원주 방향으로 비대칭적으로 혹은 균일하지 않게 분포된 경우에 바람직하다.
일체로 형성된 리벳 롤러(38) 대신에 분리된 리벳 소자도 사용될 수 있다.
환상 밀봉부(36)는 온도에 잘 견디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제작 재료로 제조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제작 재료는 실리콘을 기본으로 하거나 혹은 고무를 기본으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밀봉부(36)의 특히 저렴한 구현예는 셀룰로오스를 기본으로 하는 재료, 즉 라텍스 연결부 및/또는 라텍스 코팅을 가질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36)의 방사 방향 연장에 의해서는 큰 밀봉면이 얻어진다.
둘레에 분포된 두 개 연결 포인트들(37) 간의 간격은 3 내지 10 cm의 크기 범위 안에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리벳 헤드(39)를 형성하기 전에 두 개의 부품(6 및 14) 혹은 두 개의 영역(18 및 19)이 상호 축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경우는 특히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때 하중의 크기는 밀봉 링(36)의 소정의 축 방향 탄성 변형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정도이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변형에 의해서 완벽한 밀봉 그리고 허용 오차의 보상이 성취된다.
리벳 헤드(39)를 형성하기 전에는 적어도 두 개의 리벳 소자(38)가 다른 리벳 소자들보다 축 방향으로 약간 더 큰 연장부를 갖는 경우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럼으로써 리벳 소자(38) 상에 부품(14)을 연결하는 과정이 간단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두 개 또는 세 개의 상기와 같은 리벳 소자들은 약간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리벳 소자들과 상호 작용하는 상기 밀봉 링(36) 안에 있는 리세스(40) 또는 시트부(14) 안에 있는 리세스(42)가 마커를 가짐으로써, 필요한 경우 부품(6)에 대한 상기 부품들(36 및 14)의 정확하 게 각이 진(angled) 조립이 보장될 수 있는 경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아직까지 변형되지 않은 리벳 소자들(38)은 축 방향 삽입 경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밀봉 링(36)의 두께는 0.25 내지 0.8 mm의 크기 범위 안에 있을 수 있다. 방사 방향 폭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cm의 크기 범위 안에 있을 수 있다.
리벳 연결부(37) 대신에 또는 리벳 연결부(37)에 추가로, 상기 두 개의 부품(6과 14) 사이에서는 코킹(caulking)에 의해서도 축 방향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축을 따라 진행하는 영역(20)이 더 짧게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영역은 축 방향 부착물(10)의 축 방향 연장부 안에서 종료된다. 그 경우 상기 축 방향 부착물(10)에는 둘레에 걸쳐 분포된 다수의 일체 형성부 혹은 코킹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체 형성부 혹은 코킹은 축을 따라 진행하는 영역(20)의 자유 단부와 상호 작용하여 부품(14)을 부품(6)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안전하게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저렴한 환상 밀봉부(36)를 사용하면, 챔버(32)의 전체 둘레에 걸쳐 뻗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용접 연결부가 생략될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너지 저장 장치 혹은 나선형 스프링(30) 그리고 상기 장치 혹은 스프링을 수용하는 챔버 영역들은 적어도 실제로는 2차 매스(4)의 마찰면(27)의 방사 방향 연장 영역 안에 제공되어 있다. 하지만 적용례에 따라서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30)이 더 작은 직경에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결국 상기 스프링은 예컨대 마찰면(27)의 방사 방향 내부에 배치된다. 하지만 상기 나선형 스프링(30)을 더 큰 직경으로 변위시키는 것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때 방사 방향 내부에서 형성되는 공간 안에는 추가의 감쇠 수단들이 제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자면 상기 스프링(30)과 병렬로 또는 직렬로 접속될 수 있는 스프링- 및/또는 마찰 수단을 구비한 제 2 댐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진동 감쇠 장치(1)는 본 경우에는 나사(43)에 의해서 형성된 통합된 고정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나사(43)를 방사 방향으로 가이드 하기 위하여, 부품(21) 내부에는 개구(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는 부품(6) 내에 있는 개구(8)와 일직선상에 존재한다. 상기 리세스(44)의 외부 윤곽이 적어도 나사 헤드(45)에 적응된 영역들을 가짐으로써, 상기 나사(43)의 방사 방향 가이드는 상기 리세스(44)의 외부 윤곽에 의해서 보장된다. 이와 같은 방사 방향 가이드는 약간의 간극을 두고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리세스(44)의 영역 안에도 상기 나사 헤드(45)에 코킹 작용 혹은 억제 작용을 가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음으로써, 나사(43)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뒤로 물러난 위치에 해체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나사(43)가 회전 진동 감쇠 장치(1)로부터 축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나사 헤드(45)를 위한 축 방향 스토퍼(46)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축 방향 스토퍼(46)는 본 경우에 개구(44) 내부로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는 노즈(nose) 형상부(47)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노즈 형상부는 상기 부품(21)을 형성하는 시트의 소성 변형에 의해서 구현되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개구(44)에 각각 세 개의 상기와 같은 노즈 형상부(47)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플랜지(28)의 방사 방향 내부 영역도 마찬가지로 나사 헤드(45)의 방사 방향 가이드를 보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히 도 1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러그 모양의 고정 영역(25)이 방사 방향 외부에서는 분리 단면(49)에 의해서 그리고 측면에서는 컷-아웃(50)에 의해서, 주변을 둘러싸는 시트 재료에 대하여 분리됨으로써, 상기 러그 모양의 고정 영역(25)은 시트 성형부(21)로부터 성형되었다. 방사 방향 내부에서는 상기 러그(25)가 시트 성형부(21)와 일체로 존재한다. 상기 러그(25) 내부에는 리벳 연결부(31)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51)가 제공되어 있다. 도 1, 4 및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자유롭게 절단된 러그(25)가 축 방향으로 변형됨으로써, 상기 러그는 부품(21)의 이웃하는 시트 영역들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러그(25)는 방사 방향 외부에도 부품(21)과의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추가의 한 변형예에 따르면 러그(25)는 또한 180 °만큼 회전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좀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방사 방향 외부에서는 일체로 시트 성형부(21)로 변형될 수 있고, 방사 방향 내부에는 분리 단면(49) 혹은 컷-아웃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한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 단면(49) 혹은 컷-아웃에 의해서 형성된 한 러그(25)의 단부는 원주 방향으로 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실시예에서는, 컷-아웃(50)이 상기와 같은 러그의 방사 방향 내부 및 방사 방향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기본적으로는 컷-아웃 혹은 자유 단면(50) 대신에 분리 단면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가능 실시예에서는, 러그(25) 의 푸트 영역, 다시 말해 상기 러그(25)가 부품(21)으로 변형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크기가 작은 컷-아웃이 존재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며, 상기 크기가 작은 컷-아웃으로부터 분리 단면이 출발한다.
이미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경우에 러그(25)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28)를 위한 고정 영역들도 단지 주머니 모양의 축 방향 엠보싱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필요한 경우에는 고정 포인트(본 경우에 리벳 연결부(31))의 영역에서 더욱 높은 강도 혹은 강성이 보장되었다. 이와 같은 형성예의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반드시 필요한 환기용 개구들이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엠보싱들 사이에 혹은 고정 영역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플랜지 형태의 부품(28)과 시트 성형부(14) 사이에 연결부(31)를 만들기 위하여 플랜지 형태의 부품(28)에도 러그 모양의 고정 영역(25) 및/또는 부품(14)의 방향으로 축을 따라 변위된 축 방향 엠보싱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러그 모양의 고정 영역(25) 및/또는 축 방향 엠보싱은 시트 성형부(21)와 관련하여 기술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고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성형부(14)에 뿐만 아니라 플랜지 형태의 부품(28)에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즉 축을 따라 서로를 향하거나 혹은 상호 축을 따라 지지되어 서로 연결된 고정 영역들(러그 및/또는 엠보싱)을 제공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다른 한 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소수의 방사형 암을 형성하는 러그 모양의 고정 영역(25)은 스프링(30)을 작동시킬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그와 동시에 플랜지 형태 부품(28)의 방사 방향 연장 암(29)의 기능까지 담당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따라 플랜지 형태의 부품(28)을 완전히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특히 단지 두 개 또는 세 개의 긴 스프링(30)이 둘레에 걸쳐 분포 배치되는 경우에 장점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실시예는 특히 스프링(30)이 비교적 작은 직경에 배치된 경우에 바람직하다. 스프링(3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러그 모양의 고정 영역(25)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고정 영역은 그에 상응하게 방사 방향 외부로 더 길게 실현될 수 있다. 스프링(3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러그 모양의 영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개구(51)가 생략될 수 있다. 스프링(30)이 2차 매스(4)의 마찰면(27)과 관련하여 비교적 작은 직경에 배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러그의 형성을 위해 상기 부품(21) 내부로 삽입되는 컷-아웃이 더 이상 상기 마찰면(27)의 방사 방향 연장 영역으로 연장되지 않거나 또는 단지 비교적 작은 정도로만 연장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도 1에서 더 알 수 있는 사실은, 마찰면(27)을 형성하는 상기 시트 성형부(21)의 영역이 상기 마찰면(27)의 방사 방향 내부에 제공된 영역들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는 것이다.
시트 성형부(21)는 방사 방향 외부에 마찰 클러치의 덮개 혹은 하우징을 위한 고정 영역(52)을 갖는다. 상기 고정 영역(52)은 본 경우에 분리 단면 및/또는 자유 단면에 의해서, 상기 시트 성형부(21)의 인접하는 내부 영역에 대하여 방사 방향으로 분리되어 축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듀얼-매스 플라이휠(2)은 전체 유닛으로서 균형이 맞추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균형 맞춤은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디스크 및 클러치로 이루어지고 2차 매스(2) 상에 장착된 클러치 장치와 공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황에 따라서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자체의 균형이 먼저 맞추어질 수 있고, 그 다음에 비로소 전체 장치의 균형이 맞추어질 수 있다.
듀얼-매스 플라이휠의 조립 전에 두 가지 매스들(3, 4) 중에 적어도 하나의 매스의 균형을 먼저 맞추는 경우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조립된 듀얼-매스 플라이휠의 균형을 추후에 맞출 수도 있다.
매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강철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균형을 맞추는 과정이 간단한 방식으로, 절삭 가공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재료 제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특히 2차 매스(4) 내부에는 보어 또는 밀링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보어 또는 밀링부는 단지 재료 두께의 일부분에 걸쳐서만 연장되거나 또는 전체 재료에 걸쳐서 연장된다. 이 경우 재료 제거는 예를 들어 마찰면(27)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 놓인 상기 2차 매스(4)의 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재료 제거가 상응하는 부품,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시트 성형부(14)의 외부 에지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둘레에 분포된 다수의 특별한 영역들도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역들은 예를 들어 돌출하는 개별 설형부(舌形部) 또는 캠에 의하여 상기 시트 성형부(14 또는 6)의 외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축 방향 돌출부, 예컨대 롤러 형태의 엠보싱 또는 주머니 모양 혹은 비드 모 양의 엠보싱도 상기 목적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재료 제거 과정은 분리 단면을 이용해서 혹은 잘라내는 과정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특히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제거될 재료 영역들이 상응하는 부품의 외부 둘레에 제공된 경우에 바람직하다.
도 6에는 나선형 스프링(130)을 위한 지지 쉘(133)의 대안적인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지 쉘(133)은 도 1에 도시된 쉘(33) 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인접하는 부품들, 예컨대 부품들(6 및 14)이 상응하게 적응되어야만 한다. 도 6에서는, 상기 지지 쉘(133)이 아래로 꺾인 영역(153, 154)을 갖는다는 것 그리고 지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쉘(133)의 성형에 의해서는, 한 스프링(130)의 다수 코일들의 방사 방향 지지 동작이 두 개의 지지점 혹은 지지 영역(155, 156)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와이어 횡단면(157 및 257)은 적어도 하나의 일체 형성부(159, 259)를 가지며, 상기 일체 형성부들은 코일(160, 260)과 방사 방향 지지면(158, 258) 사이에 존재하는 접촉부의 확대를 가능케 한다.
일체 형성부 혹은 평탄부(159)의 존재로 인하여, 한 스프링(130)의 다수의 코일과 방사 방향 지지면(158) 사이에 존재하는 접촉면은 훨씬 더 확대될 수 있다(도 6). 그럼으로써, 스프링 코일(160) 및/또는 지지면(158)에서의 마모가 줄어들 수 있다. 코일(160)과 지지면(158) 사이의 접촉면을 확대시킴으로써, 표면 엠보싱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일체 형성부(159)의 제공에 의해서는, 코일(160)과 지지 면(158) 사이에서 윤활 막의 형성도 촉진될 수 있다. 코일(160)이 지지면(158)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경우에 윤활 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일체 형성부(159)의 곡률 반지름이 상기 지지면(158)의 곡률 반지름보다 약간 더 작은 경우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일체 형성부(159)를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면(158)의 세로 방향 혹은 원주 방향에서 관찰할 때에 두 개의 약간 이격된 지지 영역들이 코일(160) 상에 형성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목한 형상으로 인하여, 상기 두 개의 지지 영역들 사이에는 소량의 지방이 흡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와이어 횡단면(157)은 방사 방향 외부에 뿐만 아니라 방사 방향 내부에도 평탄한 일체 형성부(159)를 가지며, 상기 일체 형성부는 본 경우에는 동일하게 형성되었으나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마모를 줄이고 윤활 막의 형성을 개선하는 것과 같은 바람직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단지 도면 부호 (159)로 기재된 일체 형성부만을 제공하고, 와이어의 나머지 외부 윤곽들은 실제로 링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더 나아가, 상기 와이어 횡단면(157)은 적어도 하나의 둘레 측에 추가의 일체 형성부, 예컨대 평탄부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평탄부에 의해서는, 상기와 같은 와이어 횡단면으로 형성된 나선형 스프링의 차단 특성 또는 차단 강도가 확대된다. 이와 관련해서는 특히 DE 44 06 826 A1호 및 DE 43 06 895 C1호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간행물들에는 상응하는, 적어도 측면 일체 형성부를 갖는 스프링 그리고 이와 같은 스프링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일체 형성부(159)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8에는 라운딩 처리된 에지를 갖춘 직사각형의 기본 형상을 갖는 와이어 횡단면(257)이 도시되어 있다. 코일(260)은 도 7에서 코일(160)과 관련하여 기술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하나의 마모 방지 쉘(33 혹은 133)에 지지된다. 상기 코일(260)의 표면(259)은 도 7에 따른 표면(159)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코일(260)의 측면(261)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앞에서 언급된 선행 기술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 스프링의 특성들을 갖는 하나의 라운드 와이어에 상기 일체 형성부들(159, 259 및 261)이 압착될 수 있더라도, 예비 프로파일링 된 와이어를 스프링을 감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된 선행 기술에 기술된 바와 같이, 추후에 상기 일체 형성부들(159 또는 161 혹은 259)을 갖게 되는, 단지 부분적으로만 예비 프로파일링 된 와이어도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2차 매스(304)의 방사 방향 내부 영역은 도 4 및 5에 따른 2차 매스(4)와 유사하게 형성되었다. 상기 2차 매스는 또한 상응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을 내연 기관의 피동 샤프트에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리세스(344) 그리고 러그 모양의 고정 영역(325)을 구비한다. 강철 시트로부터 성형된 부품(321)은 클러치 디스크를 위한 마찰면(327)의 방사 방향 외부에, 둘레에 걸쳐 분포된 다수의 축 방향 융기부(352)를 가지며, 상기 융기부는 예를 들어 클러치 하우징 혹은 클러치 덮개의 에지 영역을 위한 고정 영역(353)으로서 이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융기부들(352)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고, 또한 동일하게 형성되었다. 하지만 상기 융기부들은 상이한 각도의 연장부도 가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마찰면(327)에 대해서도 상이한 축 방향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축 방향 융기부들(325)은 예를 들어 펀칭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362)를 가진다. 상기 개구(362)는 예를 들어 클러치 하우징을 위한 고정 나사를 수용할 목적으로 형성되었다. 하지만 상기 리세스(362)는 상응하게 적응된 클러치 하우징 내부의 리세스와 상호 작용하는 센터링 핀 혹은 위치 설정 핀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센터링 수단은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부착물을 융기부(352) 및/또는 클러치 덮개로부터 성형함으로써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방향 융기부들(352) 사이에 남아 있는 홈들(363)은 마찰 클러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냉각 공기를 순환시킬 목적으로 이용된다.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은, 융기부(352)가 쟁반과 유사한 표면(364)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이 마찰면(327)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필요한 간격만큼 변위 되었다는 것이다. 도 9로부터 더 알 수 있는 사실은, 상기 간격이 강철 시트의 출발 재료 두께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축 방향 융기부(352)는 분리 단면(365)에 의해서 그리고 시트 재료를 동시에 축을 따라 엠보싱함으로써 형성된다. 분리 단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시트 재료가 단지 둘로만 나누어지는데, 다시 말하자면 상기 단면에 인접하는 영역들이 시트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되어 분리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재료 이동은, 특히 상기 재료 이동의 크기가 재료 두께보다 작은 경우에는, 시트를 양분하지 않고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 단면(365)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도시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실제로 원형으로 형성된 추가의 자유 단면(366)이 더 제공되었다. 상기 개구 혹은 자유 단면들(366)은 융기부(352)의 원주 방향으로 볼 때 상기와 같은 융기부(352)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었다.
분리 단면(365)의 사용은 적어도 2차 매스(304)의 두툼한 방사형 구조를 가능케 하는데, 그 이유는 마찰면이 실제로 상기 융기부(352)의 내부 영역까지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축 방향 융기부(352)는 단지 엠보싱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으나, 그 경우에는 방사 방향으로 볼 때 이때에 사용된 분리 단면(365)의 영역에 소정의 시트 재료 두께가 남을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표면(327)의 외부 마찰 반지름은 상기 재료 두께만큼 상응하게 축소되거나, 또는 2차 매스(304)의 외부 반지름이 상기 재료 두께만큼 상응하게 확대되어야만 하지만, 이와 같은 축소 또는 확대는 근래의 자동차 구조에서 존재하는, 매우 제한된 내부 장착 상황에서는 대부분의 경우에 불가능하다.
2차 매스를 강철 시트 부품으로 형성하면, 상기 강철 시트 부품을 실제로 공구 없이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되며, 결국 프레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엠보싱 과정 및 절단 과정 후에는 적어도 추후 절삭 가공은 필요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사실은 상기와 같은 균형추 혹은 클러치 부품의 매우 저렴한 제조를 보장해준다.
클러치 하우징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2차 매스(4, 304)는 또한 일체로 형성된 리벳 롤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리벳 롤러는 클러치 하우징 내에 있는 상응하는 리세스를 통해 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된 리벳 헤드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리벳 롤러는 예를 들어 리세스(362)를 대신하여 융기부(352)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벳 롤러는 리벳 연결부(37)를 형성하기 위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제조될 수 있다. 리셋 롤러는 또한 클러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2차 매스(404)의 변형 실시예에도 마찬가지로 축 방향 융기부(452, 467)가 존재하며, 상기 축 방향 융기부들은 마찰면(427)의 평면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축 방향 돌출부 혹은 융기부(452)는 도 9에 따른 융기부(352)와 유사하게 제조되고 형성되었다.
하지만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는 소수의 융기부(452) 쌍들 사이에는, 둘레에 적합하게 더 길게 형성된 융기부(467)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축 방향 융기부(467)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분리 단면(468)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분리 단면은 하중 경감 개구로서 기능을 하는 개구(469) 안에 있는 단부 영역 내부와 통한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들(469)은 융기부(452)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466)의 방사 방향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들(469 및 466)이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어 있음으로써, 각각 하나의 개구(469)와 하나의 개구(466)는 실제로 방사형으로 위·아래로 겹쳐서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분리 단면들(465 및 468)의 소정의 중첩 부분이 원주 방향으로 존재한다. 상기 분리 단면들(465와 468) 사이에 그리고/또는 개구들(466, 469) 사이에는 방사 방향으로 바아 형태의 영역(471)이 남는다.
도 10에서 더 알 수 있는 사실은, 융기부(452 및 467)가 방사 방향으로 상이한 폭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융기부(452 및 467)에 의해 형성된 표면(453, 470)과 상기 마찰면(427)의 평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축 방향 변위량은 도 9의 경우보다 더 크다. 본 경우에 이와 같은 축 방향 변위량은 2차 매스(404)를 형성하기 위한 출발 강철 시트의 재료 두께의 적어도 2배다.
융기부(452 및/또는 467)의 영역에는 도 9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같은 리세스 및/또는 일체 형성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에는 선행 도면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러그 모양의 고정 영역(예컨대 325) 및 나사 결합용 개구(예컨대 344)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2차 매스(404)의 방사 방향 내부 영역은 예를 들어 도 9의 경우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2차 매스(504)도 마찬가지로, 클러치 하우징을 위한 고정 영역을 형성하는 외부 에지에 융기부(552, 567)를 갖는다. 상기 융기부(552, 567)는 도 10에 따른 융기부(452 및 467)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배치되었다. 중요한 차이점은, 연속하는 융기부들(552와 567) 사이에 존재하는 연결 영역(572)의 형상에서 나타난다. 분리 단면(565 및 568) 혹은 자유 단면(566 및 569)의 서로를 향하고 있는 단부들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결국에는 연결 핀(571)이 남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연결 핀(571)은 상기 영역(572)을 방사 방향으로 더 안에 배치된, 마찰면(527)을 형성하는 영역과 연결한다.
자유 단면들(466, 469, 566, 569)은 분리 단면들(465, 468, 565, 568)이 형성되기 전에 시트 재료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연결부(571)의 영역에서는 시트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두께를 초과하여 설정될 수 있음으로써, 재료 두께의 나머지 영역이 방사 방향 연결부(57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영역(572)은 마찰면(527)에 대하여 고정 영역을 형성하는 융기부(552 및 567)보다 작은 양만큼 축 방향으로 변위된다.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기술된 와이어 횡단면(157, 257)은 바람직하게, 외부 스프링 코일의 방사 방향 내부에 삽입되는 나선형 스프링의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더 큰 코일을 갖는 외부 스프링 및 적어도 하나의 더 작은 코일을 갖는 내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상기와 같이 조합된 에너지 저장 장치들은 예를 들어 DE 196 03 248 A1호 및 DE 196 48 342호에 의해서 그리고 이미 언급된 선행 기술에 의해서 공지되어 있다.
축 방향 엠보싱에 의해서 형성된 작동 영역들, 예컨대 도 1에서 스프링(30)을 위한 작동 영역들(34, 35)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상기 스프링(30)을 위한 작동 영역 혹은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시트 섹션에서는 일체 형성부에 의하여 보강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는 상기와 같은 두 가지 조치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치들은 특히 두께가 약 1.5 내지 3 mm인 비교적 가느다란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강철로 이루어진 가느다란 시트 재료는 예를 들어 환상 챔버 혹은 환상 공간(32)을 제한하는 시트 성형부(14)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었 다.
도 12에 도시된 시트 성형부(614)는 축 방향으로 엠보싱 처리된 환상 영역(672)을 갖고, 상기 영역은 환상의 리세스를 형성하며, 상기 리세스 안에는 예컨대 나선형 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저장 장치가 도 1에서 나선형 스프링(30) 및 환상의 시트 형성부(14)와 관련하여 기술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용되어 가이드 된다. 상기 환상 리세스(673)의 방사 방향 연장 영역 안에서 상기 환상의 시트 성형부(614) 내부로는, 상기 환상 리세스(673) 내부에 축 방향으로 도달하는 축 방향 엠보싱(635)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엠보싱(635)은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두 개의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엠보싱(635)은 상응하는 스프링 단부와 상호 작용하는 지지 영역 혹은 작동 영역(674)을 형성한다. 상기 주머니 모양의 엠보싱(635)은 - 원주 방향으로 볼 때 - 방사형 비드(676)를 형성하는 재료 편차(675)를 갖는다. 상기 비드(676)는 본 경우에 평탄한 비드로서 형성되었고, 축을 따라 상기 환상 리세스(67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시트 성형부(614)의 외부면 혹은 후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엠보싱(635) 및 이웃하는 재료 영역들의 둘레에 적합한 파형은 도 12에서 해칭된 표면 영역으로 나타나 있다. 상기 엠보싱(635) 영역에 재료를 두께에 따라 분배하는 방식은 엠보싱 공구를 상응하게 형성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자면 재료 두께를 비드(676) 영역에서는 더 가늘게 형성하는 것 그리고 변위된 재료를 이웃하는 영역, 특히 작동 영역(674)의 확장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엠보싱(635) 영역에 보강 조치들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작동 영역(674) 그리고 인접하는 재료 영역의 탄성 혹은 강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보강 조치들에 의해서는, 작동 영역(674)의 보강 그리고 그와 더불어 스프링을 위한 제동 강도의 증가를 성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축 방향 엠보싱(735)이 시트 성형부(714)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축 방향 엠보싱(735)은 나선형 스프링의 단부 영역을 위한 지지 영역 혹은 작동 영역(774)을 형성한다. 도 13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엠보싱(735)의 원주 방향으로 볼 때, 시트 재료가 엠보싱(735)의 중심 방향으로 지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붕 모양의 형상은 도 13에 해칭 표면으로 표시된 원주 방향으로의 재료 파형을 참조해서도 알 수 있다. 상기 지붕 모양의 엠보싱(776)은 시트 성형부(714)의 후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도 12에 따른 방사형 비드 모양의 엠보싱(676)과 동일한 방향으로 축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635, 735) 영역에서의 재료 분포 및/또는 특성의 보강 혹은 변경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비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다른 일체 형성부 혹은 홈 및/또는 융기부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방사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원주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상호 교차된 상태로 진행할 수 있는 다수의 비드도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보강부들은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원호 형태로 혹은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형성된 타원형의 엠보싱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는, 도 1에 따른 시트 성형부(14)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 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는 둘레에 적합한 엠보싱(72) 영역에서의 쉘 형상 시트 성형부(14)의 횡단면 파형을 보여주며, 상기 엠보싱 영역에서는 스프링(30)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4는 스프링(30)을 위한 둘레에 적합한 작동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시트 성형부(14) 내부에 삽입된, 축 방향 엠보싱 혹은 일체 형성부(35)의 영역에서의 횡단면 파형을 보여준다. 도 14 및 15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축 방향 일체 형성부(35) 영역에서 시트 재료의 방사 방향 기본 형태는 일체 형성부 혹은 엠보싱(72) 영역에서의 방사 방향 재료 파형의 기본 형태와 유사하다는 것이다. 상기 일체 형성부(35)의 방사 방향 파형과 상기 엠보싱(72)의 방사 방향 파형 간의 축 방향 편차는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만 하는데, 다시 말하자면 실제로는 일체 형성부(35) 혹은 엠보싱(72)을 형성하는 시트 재료의 평행한 파형이 존재해야만 한다. 그럼으로써, 시트 재료의 실제로 동일한 변형율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듀얼-매스 플라이휠의 구조에서는, 2차 매스가 마찬가지로 시트 성형부(721)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시트 성형부는 전술된 실시예들에 대하여 특별히 고정 영역(752)이 축을 따라 설치된 러그 모양의 시트 섹션들에 의해서 형성되었다는 점 그리고 상기 시트 섹션들이 방사 방향 외부에서는 상기 시트 성형부(721)를 형성하는 나머지 시트 섹션들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상기 고정 영역(752)은 예컨대 고정 영역(25)과 관련하여 기술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분리 단면 및 주변 절단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본 공개문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많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특별히 일반적인 상세한 설명부 및 도면 설명부 그리고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고 도면에 포함되어 있는 개별 특징들 혹은 소자들 또는 방법 단계들의 조합 또는 변경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 다수의 변형예들이 가능하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회전 진동 감쇠 장치 2: 듀얼-매스 플라이휠
3: 1차 매스 4: 2차 매스
5: 위치 설정 장치 6: 시트 성형부, 부품
7: 방사 방향으로 뻗는 영역 8: 나사 결합용 개구
9: 축 방향 부착물, 영역 10: 축 방향 부착물
11: 스타터 기어 림 12: 환상 영역
13: 검출기 시트 14: 시트 성형부, 부품
15: 포트 모양의 영역 16: 방사 방향 섹션
17: 축 방향 섹션 18: 환상 영역
19: 환상 섹션, 영역 20: 축 방향으로 뻗는 영역
21: 시트 성형부 22: 축 방향 부착물
23: 원통형 수용부 24: 슬라이딩 베어링 부시
25: 고정 영역(주머니 모양) 26: 축 방향 통로 또는 냉각 개구
27: 마찰면 28: 플랜지 형태의 부품
29: 방사형 브래킷 30: 스프링
31: 리벳 연결부 32: 환상 공간
33: 마모 방지부 34: 축 방향 일체 형성부
35: 축 방향 일체 형성부 36: 환상 밀봉부
37: 리벳 연결부 38: 리벳 소자
39: 리벳 헤드 40: 리세스
41: 조립용 마커 42: 밀봉 링
43: 나사 44: 리세스
45: 나사 헤드 46: 축 방향 스토퍼
47: 노즈 형상부 48: -
49: 분리 단면 50: 컷-아웃
51: 개구 52: 고정 영역
72: 둘레에 적합한 엠보싱
130: 스프링 133: 지지 쉘
153 - 156: 지지 포인트 혹은 지지 영역
157: 와이어 횡단면 158: 방사 방향 지지면
159: 일체 형성부 160: 코일
161: 일체 형성부
257: 와이어 횡단면 259: 표면
260: 코일 261: 측면
304: 2차 매스 321: 부품
327: 마찰면 344: 리세스
352: 축 방향 융기부 353: 고정 영역
362: 리세스 363: 홈
365: 분리 단면 366: 자유 단면 혹은 개구
404: 2차 매스 427: 마찰면
452: 축 방향 융기부 453: 표면
466: 개구 467: 축 방향 융기부
468: 분리 단면 469: 개구
470: 표면 471: 바아 형태의 영역
504: 2차 매스 552: 융기부
565: 분리 단면 566: 자유 단면
567: 융기부 568: 분리 단면
569: 자유 단면 571: 연결 핀
614: 시트 성형부 672: 환상 영역
673: 환상 리세스 674: 작동 영역
676: 방사형 비드
714: 시트 성형부 735: 축 방향 엠보싱
774: 지지- 혹은 작동 영역 776: 지붕 모양의 엠보싱

Claims (35)

  1. 엔진의 피동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는 1차 매스 그리고 트랜스미션의 입력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는 2차 매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가지 매스들이 동심으로 그리고 축 방향으로 상호 관련하여 위치 설정되었고, 에너지 저장 장치를 갖춘 감쇠 장치의 작용에 대항하여 적어도 제한적으로 상호 관련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듀얼-매스 플라이휠에 있어서,
    상기 2차 매스는 강철로 이루어진 시트 성형부로 형성되고, 클러치 디스크의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을 위한 마찰면을 직접 형성하며, 상기 마찰면(27)의 방사 방향 외부에는 상기 마찰면에 대하여 축을 따라 변위된, 마찰 클러치의 하우징을 위한 고정 영역(52)이 존재하고, 상기 마찰면의 방사 방향 내부에는 상기 마찰면에 대하여 축을 따라 변위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품(28)을 위한 연결 영역(25)이 존재하며, 상기 고정 영역(52) 및 연결 영역(25)이 상기 마찰면(27)을 기준으로 축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성형부는 방사 방향 내부에 환상 부착물(22)을 가지며, 상기 환상 부착물은 슬라이딩 베어링을 형성할 목적으로 또는 슬라이딩 베어링 부시를 수용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개구(2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의 방사 방향 외부에는 둘레에 걸쳐 분배된 고정 영역들(452, 467)이 존재하며, 상기 고정 영역들은 2차 균형추에 연결될 수 있는 클러치 하우징을 위한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마찰면(427)에 대하여 축을 따라 변위 되었으며, 상기 고정 영역들은 제 1 형태의 영역(452) 및 제 2 형태의 영역(467)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가지 영역들은 원주 방향으로 변위 배치된 그리고 적어도 쌍으로 상호 할당된 단부 영역들을 형성하며, 상기 두 가지 영역들(452, 267)은 원주 방향으로 타원형으로 형성되었고, 방사 방향 내부에서는 분리 단면(465, 468)에 의해 인접하는 시트 영역들에 대하여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452)의 단부 영역이 이웃하는 상기 제 2 영역(467)의 단부 영역과 - 원주 방향으로 볼 때 -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452)의 분리 단면(465)은 이웃하는 상기 제 2 영역(467)의 분리 단면(468)과 - 원주 방향으로 볼 때 -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가지 단부 영역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 방향으로 위·아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면들의 적어도 한 단부는 자유 단면(466, 469) 내부와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균형추는 상기 마찰면(527)의 방사 방향 외부에 둘레에 걸쳐 분배된 고정 영역들(552, 567)을 갖고, 상기 고정 영역들은 마찰면에 대하여 축을 따라 변위 되었으며, 상기 고정 영역들은 제 1 형태의 영역(552) 및 제 2 형태의 영역(567)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가지 영역들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적어도 쌍으로 상호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영역들(552, 567)은 적어도 하나의 분리 단면(565, 568)에 의해 상기 영역들의 방사 방향 내부에 존재하는 시트 영역들로부터 분리되었고, - 원주 방향으로 볼 때 -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는 두 가지 영역들(552, 567) 사이에는 상기 두 가지 영역들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572)이 존재하며, 상기 연결 영역은 마찰면에 대하여 축을 따라 변위되고, 상기 변위량은 시트의 재료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방사 방향 변위는 단지 시트 재료의 부분적인 관통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8. 제 7 항에 있어서,
    시트 재료의 관통부가 단 하나만 존재하는 영역(572)은 원주 방향으로 상기 영역에 이어지는, 분리 단면에 의해 형성된 고정 영역의 영역들(552, 567)보다 마찰면(527)에 대하여 더 적게 축을 따라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9. 에너지 저장 장치가 1차 매스의 부품들에 의해서 형성된 그리고 점성 매체를 함유하는 링과 같은 환상 챔버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부품들 그리고 2차 매스가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를 위한 작동 영역을 갖도록 구성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듀얼-매스 플라이휠에 있어서,
    상기 링과 같은 챔버가 적어도 두 가지 부품들, 즉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방사 방향 외부에 서로 마주 놓인 평탄한 환상 영역들을 갖는 부품들에 의해서 형성되었고, 상기 두 가지 부품들 사이에 하나의 평탄한 환상 밀봉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부품들은 강철로 이루어진 시트 성형부들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11. 제 9 항 또는 제 10 에 있어서,
    상기 환상 밀봉부는 상기 밀봉부를 형성하는 재료의 링 폭과 두께 간의 비율 로서 10 내지 100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밀봉부는 별도의 밀봉 링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밀봉부는 도포된 밀봉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영역들을 포함하는 부품들 간의 연결이 상기 환상 밀봉부의 연장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표면들을 포함하는 부품들 간의 연결부가 상기 부품들 사이에 수용된 밀봉 링의 방사 방향 연장 영역 안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영역들은 리벳 연결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17. 제 16 항에 있어서,
    리벳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트 성형부가 일체로 형성된 리벳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리벳 롤러는 상기 환상 밀봉부의 연장 영역 안에 있는 다른 시트 성형부의 리세스를 통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연결부들은 상이한 반지름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연결부들은 원주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20. 제 9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밀봉부를 형성하는 재료는 적어도 축 방향으로 탄성적인 특성을 갖고, 탄성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두 개 시트 성형부의 환상 영역들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21. 제 9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밀봉부는 셀룰로오스를 기본으로 하여 제조된 밀봉 링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를 기본으로 하는 밀봉부는 라텍스 연결부 및/또는 라텍스 코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23. 제 12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링은 상기 두 가지 시트 성형부들을 연결하는 고정 수단을 관통시키기 위한 축 방향 컷-아웃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24.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가 나선형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두 가지 매스들 중에 한 매스의 부품들에 의해서 형성된 그리고 점성 매체를 함유하는 링과 같은 환상 챔버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부품들 및 다른 매스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을 위한 작동 영역들을 갖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코일들은 적어도 원심력의 작용하에서, 상기 링과 같은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세로 연장부에 걸쳐 연장되는 한 벽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듀얼-매스 플라이휠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코일들은 적어도 상기 코일들을 방사 방향으로 지지하는 벽과의 접촉 영역에 평탄 지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일체 형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 형성부는 나선형 스프링을 형성하는 스프링 와이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 형성부는 상기 벽에 의해서 형성된 지지면의 곡률 반지름에 적어도 거의, 둘레에 적합하게,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27.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코일들은 - 나선형 스프링의 세로 연장부에서 볼 때 - 적어도 한 면에 추가의 일체 형성부를 갖고, 상기 일체 형성부는 나선형 스프링에 충격 하중이 가해질 때에 이웃하는 스프링 코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28. 제 24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에 의해서 형성된, 스프링 코일들을 위한 지지면이 횡단면으로 볼 때에는 방사 방향 외부 영역을 갖고, 상기 방사 방향 외부 영역의 반지름은 나선형 스프링의 외부 코일의 반지름과 같거나 또는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29.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코일들을 위한 지지면은 상기 링과 같은 챔버의 외부 영역에 배치된 쉘 모양의 삽입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스프링의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횡단면으로 볼 때 아래로 꺾어진, 둔각을 형성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장치가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나선형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두 가지 매스들 중에 한 매스의 부품들에 의해서 형성된 그리고 점성의 매체를 함유하는 링과 같은 환상 챔버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부품들 그리고 다른 매스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을 위한 작동 영역들을 갖고, 또한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부품들은 적어도 하나의 시트 성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성형부는 작동 영역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링과 같은 챔버 내부로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엠보싱을 가지며,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는 재료의 영역에는 상기 엠보싱을 보강하는 성형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성형부는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는 재료의 영역에 삽입된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3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성형부는 방사 방향으로, 원주 방향으로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드 모양의 일체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34.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성형부가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는 재료의 축 방향으로 형성된 지붕 모양 일체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모양 일체 형성부의 릿지(ridge)가 방사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매스 플라이휠.
KR1020077030499A 2005-07-14 2006-06-29 진동 감쇠 유닛, 특히 듀얼-매스 플라이휠 KR200800241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2765 2005-07-14
DE102005032765.6 2005-07-14
DE102006016567 2006-04-06
DE102006016567.5 2006-04-06
DE102006026989 2006-06-10
DE102006026974 2006-06-10
DE102006026974.8 2006-06-10
DE102006026989.6 2006-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152A true KR20080024152A (ko) 2008-03-17

Family

ID=3708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499A KR20080024152A (ko) 2005-07-14 2006-06-29 진동 감쇠 유닛, 특히 듀얼-매스 플라이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207338A1 (ko)
EP (1) EP1904759B1 (ko)
JP (1) JP2009500581A (ko)
KR (1) KR20080024152A (ko)
AT (1) ATE554308T1 (ko)
BR (1) BRPI0613431B1 (ko)
DE (1) DE112006001527A5 (ko)
WO (1) WO200700625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862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댐퍼 플라이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3869A1 (de) 2007-06-13 2008-12-2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orrichtung zur Dämpfung von Schwingungen, insbesondere einen Torsionsschwingungsdämpfer
DE102009009146A1 (de) 2008-03-03 2009-09-1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Schwingungsdämpfungseinrichtung, insbesondere Zweimassenschwungrad
DE102008027203A1 (de) * 2008-06-06 2009-12-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Zweimassenschwungrad mit radial angeordnetem Drahtkissenkörper
DE102009036883A1 (de) 2008-08-28 2010-03-0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Mitnehmerscheibe
US8057310B2 (en) * 2008-09-26 2011-1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grated damper and starter ring gear for a hybrid vehicle
DE102010014677A1 (de) * 2009-04-27 2011-01-1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Schwingungsdämpfer
US8292747B2 (en) * 2009-07-27 2012-10-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Grease filled spring retainer
KR101500147B1 (ko) * 2013-09-24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dmf 장치
DE102014220899A1 (de) * 2014-10-15 2016-04-21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reduzierungseinrichtung
DE102017213225A1 (de) * 2017-08-01 2019-02-07 Zf Friedrichshafen Ag Startervorrichtung und Antriebsstrang mit einer Startervorrichtung
CN109424696B (zh) * 2017-08-29 2024-02-09 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扭转减振器及使用该扭转减振器的车辆
US10900511B2 (en) * 2018-07-06 2021-01-26 Hollywood Bed & Spring Mfg. Co., Llc Bed base with locking corner
JP7286804B2 (ja) 2019-05-06 2023-06-05 アグファ・ナー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樹脂を含む水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WO2021001230A1 (en) 2019-07-04 2021-01-07 Agfa Nv Encapsulated amine blocked isocyanates
DE102019118222A1 (de) * 2019-07-05 2021-01-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schwingungsdämpfer
FR3116093B1 (fr) * 2020-11-06 2022-12-16 Valeo Embrayages Dispositif pour une chaine de transmission de vehicule automobile
CN112682474A (zh) * 2021-01-06 2021-04-20 常州数加机械有限公司 双质量飞轮
DE102021209244A1 (de) * 2021-08-24 2023-03-02 Zf Friedrichshafen Ag Drehschwingungsdämpfungs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1158A1 (de) * 1998-07-11 2000-01-13 Freudenberg Carl Fa Schwungrad
DE10004125A1 (de) * 2000-01-31 2001-08-02 Mannesmann Sachs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ATE347059T1 (de) * 2003-07-28 2006-12-15 Luk Lamellen & Kupplungsbau Drehschwingungsdämpfer
DE102004012425A1 (de) * 2004-03-13 2005-09-29 Zf Friedrichshafen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862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댐퍼 플라이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07338A1 (en) 2008-08-28
ATE554308T1 (de) 2012-05-15
WO2007006254A2 (de) 2007-01-18
BRPI0613431A2 (pt) 2011-01-11
EP1904759A2 (de) 2008-04-02
JP2009500581A (ja) 2009-01-08
WO2007006254A3 (de) 2007-04-26
BRPI0613431B1 (pt) 2018-08-14
DE112006001527A5 (de) 2008-04-03
EP1904759B1 (de)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4152A (ko) 진동 감쇠 유닛, 특히 듀얼-매스 플라이휠
US5794750A (en) Torque transmitting apparatus
JP3624020B2 (ja) 摩擦クラッチと共働するトルク伝達装置
US7500416B2 (en) Vibration filter for a transmission with automatic, continuous or discontinuous, gearchang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JP6840483B2 (ja) 自動車のトルク伝達装置
ITMI941273A1 (it) Dispositivo di trasmissione della coppia con almeno due masse volaniche ruotanti l'una rispetto all'altra
US9127721B2 (en) Torsional damper for clutch
JP2017075694A5 (ko)
CN106838075B (zh) 特别地用于机动车辆的摩擦盘
US5384948A (en) Method of assembling a transverse plate with a crown ring of a torsion damper
JP2003505652A (ja) 自動車用流体動力結合装置
US9255610B2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US6264018B1 (en) Lockup device of a torque converter
EP1904760B1 (de) Schwingungsdämpfungseinrichtung, insbesondere zweimassenschwungrad
JPH01220745A (ja) 自動車用振動吸収型二重フライホイール
US5836216A (en) Flywheel or inertial mass device for a motor vehicle, the flywheel having indentations as toothing of a planetary gear train
US6014912A (en) Flywheel arrangement with an added mass
US5769721A (en) Torsion damper with a control ring,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friction clutch
JP7014775B2 (ja) クラッチ係合を円滑にするための緩衝器を有する自動車クラッチアッセンブリ
CN110050145B (zh) 扭转阻尼装置
CN106468328B (zh) 离心力摆和具有离心力摆的液力变矩器
WO2021078238A1 (zh) 具有扭转减振器的液力变矩器和包括其的机动车辆
CN113494563A (zh) 扭振减振器及装配扭振减振器的方法
US9689461B2 (en) Damper assebmly sealing arrangement
US20080261706A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