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142U - 화물운반용 카트 - Google Patents

화물운반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142U
KR20080004142U KR2020070004733U KR20070004733U KR20080004142U KR 20080004142 U KR20080004142 U KR 20080004142U KR 2020070004733 U KR2020070004733 U KR 2020070004733U KR 20070004733 U KR20070004733 U KR 20070004733U KR 20080004142 U KR20080004142 U KR 200800041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cargo
frame
car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099Y1 (ko
Inventor
여길호
Original Assignee
여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길호 filed Critical 여길호
Priority to KR2020070004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09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1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1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0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 화물운반용 카트는 각종 화물을 싣고 이동하기 편리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적재된 화물이 이동 간에 충격에도 옆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져 전도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화물 적재박스의 깊이에 따라 적재 프레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물운반용 카트는 화물 적재박스를 적재하여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이 용이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후방 중앙에는 적재부가 기울어져 이동할 때 적재부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적재부가 상·하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힌지 타입의 체결편으로 체결되어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지지부와; 상기 적재부의 후방 상부와 지지부의 상면 후단 사이에 경사지게 양단이 힌지 체결되어 적재부의 각도를 임으로 조절하여 고정하는 각도 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물운반용 카트, 지지대, 적재부, 각도 조절부, 화물 적재박스

Description

화물운반용 카트{Cart for freight}
도 1은 본 고안 화물용 카트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화물용 카트에서 제2 적재 프레임이 회동된 상태를 도시해보인 사시도.
도 3a, b는 본 고안 화물용 카트의 적재부가 각도 조절된 것을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화물용 카트의 각도 조절부를 도시해 보인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 화물 운반용 카트에 있어 제1 적재 프레임의 회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6a, b은 본 고안 화물용 카트의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화물운반용 카트 2: 지지부
3: 적재부 4: 각도 조절부
5: 수직 프레임 6: 수평프레임
7: 수평플레이트 8: 손잡이
9: 쏠림 방지 가이드 10: 지지 프레임
11: 고정편 12: 제1 적재 프레임
13: 제2 적재 프레임 14: 주 바퀴
15: 보조 바퀴 16: 소음 및 충격 완충부
17: 제1 고정 브라켓 18: 제2 고정 브라켓
19: 체결편 20: 고정핀
21: 체결공 22: 슬라이드관
23: 고정관 24: 화물 적재박스
25: 회동축 26: 스톱퍼
본 고안은 화물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을 적재하는 카트는 각종 화물을 싣고 이동하기 편리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적재된 화물이 이동 간에 충격에도 옆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져 전도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화물 적재박스의 깊이에 따라 적재 프레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물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이용하여 장거리를 운반한 물건은 차량으로부터 창고나 근거리의 화물운반을 위하여 카트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카트는 통상 한 쌍의 바퀴들과 이 바퀴들의 전방부로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판이 구성되며, 그 뒤편으로 적재된 화물들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프레임이 가 입설되어 있다.
이 수직프레임은 적재판과 대략 수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잡고 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물운반용 카트는 화물을 적재부상에 적재하면서 뒤편의 수직프레임에 기대서 쌓아 올리게 되며, 이렇게 화물을 적재한 다음 손잡이를 잡고 카트를 기울여서 적재판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이격시킨 후 밀어 이동시킨다.
그러나 화물 운반용 카트에 화물을 적재하고 이동할 때 일체화된 적재판이 수직프레임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이 바퀴들의 전방에 형성됨에 의해 앞으로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여 카트 운전시 손잡이를 위로 큰 힘을 주어 들면서 밀어야 되므로 무거운 화물의 하중이 작업자의 허리에 무리를 주어 사용시 힘이 들뿐만 아니라, 화물 운반에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화물 운반용 카트를 밀고 갈 때 작업자는 화물 운반용 카트의 각도가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운반거리에 비례하여 화물의 하중이 그대로 전달되어 화물 운반용 카트의 각도가 지면과 점점 작아지면서 이동시 단턱이나 작은 물체에 카트의 바퀴가 걸리면 하중의 뒤 쏠림으로 인해 적재된 화물이 이탈하거나 전도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로 인해 작업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해지고 화물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우체국 등에서 화물 적재박스에 우편물을 담고 이동하는 화물 적재박스는 깊이가 낮거나 높은 박스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화물 운반용 카트 처럼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부가 판 형상일 경우에는 화물적재 박스를 적층하여 안전하게 이동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우체국에 사용하는 화물 적재박스를 사용하기 위해 화물 운반용 카트의 적재판이 지게차의 포크 구조로 사용할 경우 화물 적재박스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높이가 고정된 적재판에 가장자리를 거치하는 방식으로 적재할 경우 높이가 깊은 박스는 지면에 닿거나 높이가 낮은 박스를 사용하면 적재할 수 있는 량이 작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물 운반용 카트를 사용할 때 작업자가 화물의 적재가 용이함은 물론 화물을 운반할 때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화물의 하중이 손잡이를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되지않기 때문에 이동이 편리하고, 이동시 단턱이나 작은 물체에 카트의 바퀴가 걸리면 하중의 쏠림으로 인해 적재된 화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쏠림 방지 가이드를 부착한 화물운반용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물운반용 카트는 우체국에서 사용하는 화물 적재박스의 높이에 맞게 적재 프레임의 높이를 선택하여 용이하게 적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물 적재박스를 적재하여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이 용이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후방 중앙에는 적재부가 기울어져 이동할 때 적재부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적재부가 상·하로 기울어질 수 있 도록 힌지 타입의 체결편으로 체결되어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지지부와; 상기 적재부의 후방 상부와 지지부의 상면 후단 사이에 경사지게 양단이 힌지 체결되어 적재부의 각도를 임으로 조절하여 고정하는 각도 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화물운반용 카트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다.
본 고안 화물운반용 카트(1)는 화물 적재박스(24)를 적재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적재부(3)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각도 조절부(4)와 상기 각도 조절부(4)와 체결하여 각도가 기울여진 적재부(3)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재부(3)는 수평 프레임(4)의 저면 양쪽에는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한 쌍의 주 바퀴(14)를 부착하고, 수평 프레임(6)의 전방에는 높이가 낮은 화물 적재박스(24)를 적재하도록 하부 양측에 제1 적재 프레임(12)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6)의 상부 양측에는 제1 고정 브라켓(17)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브라켓(17)에는 회동축(25)이 수평 하게 힌지 체결된다.
또한, 상기 회동축(25)과 함께 연동하여 상·하로 회동하도록 전방으로 제1 적재 프레임(12)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2 적재 프레임(13)의 일측 끝단이 용접 고정된다.
상기 수평 프레임(6)의 상면에는 제2 적재 프레임(13) 안쪽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입설되어 적재되는 화물 적재박스(24)를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5)이 용접 고 정된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5)의 상부 사이에는 지지 프레임(10)이 수평 하게 설치되어 수직 프레임(5)을 지지하면서 각도 조절부(4)의 상측과 힌지 체결할 수 있도록 제2 고정 브라켓(18)이 설치된다.
상기 수직 프레임(5)의 상부 후방에는 카트(1)를 이동시킬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8)가 부착된다.
상기 수직 프레임(5)의 상부 양쪽에는 적재된 화물 적재박스(24)가 한쪽으로 쏠려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쏠림 방지 가이드(9)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쏠림 방지 가이드(9)의 하부 수직 프레임(5)에는 상부로 회동하는 제2 적재 프레임(13)을 고정하도록 양측에 고정편(11)이 부착된다.
상기 고정편(11)은 금속재질인 제2 적재 프레임(13)을 자력에 의해 고정하기 위해 자석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는 판형상의 수평 플레이트(7) 저면 하단에는 적재부(3)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 바퀴(15)가 설치되고, 상면 상단에는 적재부(3)와 힌지 체결되는 간도 조절부(4)의 하부가 힌지 체결되도록 제2 고정 브라켓(18)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부(4)는 적재부의 제2 고정 브라켓(18)에는 상부 끝단이 체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각도로 체결공(21)이 형성된 슬라이드관(22)과, 상기 슬라이드관(22)의 하부가 상부로 삽입되도록 슬라이드관(22)의 하부에는 고정관(23)이 위치하고, 상기 고정관(23)의 하부는 지지부(2)의 제2 고정 브라켓(18)에 힌지 체결되며 표면에는 슬라이드관(22)의 체결공(21)과 일치하게 체결공(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관(22)을 고정관(23)에 삽입하여 적재부(3)를 소정의 각도로 조절한 상태에서 일치된 체결공(21)에 고정핀(20)을 꽂아 적재부(3)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고안 화물용 카트에서 제2 적재 프레임이 회동된 상태를 도시해보인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 화물용 카트에 있어 제1 적재 프레임의 회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본 고안 화물 운반용 카트(1)는 적재부(3)에 높이가 낮은 화물 적재박스(24)를 거치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높이가 깊은 화물 운반용박스(24)를 주로 적재하는 제2 적재 프레임(13)을 수직 프레임(5) 쪽으로 회동하면 수직 프레임(5)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편(11)에 밀착된다.
상기 고정편(11)에 밀착된 제2 적재 프레임(13)이 강제로 분리하기 전까지는 분리되지않도록 고정편(11)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자력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2 적재 프레임(13)이 수평 하게 원위치할 때에는 수평 프레임(6)과 부딪치면서 소음이 발생하지않도록 충격을 흡수 완충하기 위해 수평 프레임(6)의 상면 양측에는 소음 및 충격 완충부(16)가 부착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축(25)의 회동에 따라 연동하는 제2 적재 프레임(13)이 90°이상 회동하지않게 수평 프레임(6)의 후면을 간섭하도록 회동축(25)에 용접 고정되는 스톱퍼(26)가 부착된다.
도 3a, b는 본 고안 화물용 카트의 적재부가 각도 조절된 것을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본 고안 화물 운반용 카트(1)에 화물 적재박스(24)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우선 적재부(3)를 각도 조절부(4)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조절하여 고정해야한다.
상기 화물 운반용 카트(1)는 화물 적재박스(24)를 적재하기 전에는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 바퀴(14)와 보조 바퀴(15)가 지면에서 높이를 달리하여 위치한다.
즉 화물 운반용 카트(1)가 적재부(3)에 화물 적재박스(24)를 적재하지않고 수평 상태일 때는 적재부(3)의 주 바퀴(14)는 지면에 닿고, 지지부(2)의 보조 바퀴(15)는 지면에 안 닿은 상태로 제작한다.
왜냐하면, 적재부(3)에 화물 적재박스(24)를 적재하기 위해 각도 조절부(4)를 통해 소정의 각도로 조절할 때 적재부(3)의 수평 프레임(6) 하단에 위치한 주 바퀴(14)가 적재부(3)의 기울어지는 각도만큼 비례하게 전방으로 위치하면서 자연스럽게 주 바퀴(14)와 보조 바퀴(15)가 함께 지면에 닿아 이동이 용이한 것이다.
한편, 화물 운반용 카트(1)는 적재부(3)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이 되기 때문에 화물 적재박스(24)를 적재하면 화물 적재박스(2)의 하중은 각도 조절부(4)를 통해 지지부(2)로 전달되기 때문에 화물 적재박스(24)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업자에게 전달되지않아 손잡이(8)만 밀고 가면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 화물 운반용 카트의 각도 조절부를 도시해 보인 배면도 이다.
본 고안 화물 운반용 카트(1)는 각도 조절부(4)를 통해 적재부(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10)의 제2 고정 브라켓(18)에는 각도 조절부(4)를 구성하는 슬라이드관(22)의 상부 끝단이 힌지 체결되고, 또한 상기 고정관(23)의 하부는 수평 플레이트(7)의 상부에 형성된 제2 고정 브라켓(18)에 힌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관(22)의 하부는 고정관(23)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서 슬라이드관(22)의 하부가 고정관(23)으로 많이 슬라이딩 삽입되면 적재부(3)의 기울어지는 각도는 점점 커지고, 반대로 슬라이드관(22)이 고정관(23)으로 많이 인출될수록 적재부(3)의 기울어지는 각도는 점점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각도 조절부(4)는 고정관(23)으로 슬라이드관(22)을 삽입 및 인출하는 과정에 의해 체결공(21)을 서로 일치시킨 후 체결공(21)에 고정핀(20)을 꽂아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도 6a, b은 본 고안 화물 운반용 카트의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 도면으로, 도 6a는 화물 적재박스(24)중 박스(24)의 높이가 깊은 박스(24)를 적재할 때에는 수평 프레임(6)에서 제2 적재 프레임(13)을 전방으로 회동하여 수평 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 적재 프레임(13)의 상부로 화물 적재박스(24)를 적재하면 맨 밑에 있는 화물 적재박스(24)의 바닥은 지면과 닿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b는 화물 적재박스의 높이가 낮은 박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2 적재 프레임(13)을 회동하여 고정편(1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 적재 프레임(12)의 상부에는 높이가 낮은 화물 적재박스(24)를 적재하여도 바닥면이 지면에 닿지않아 원활하게 적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화물운반용 카트 작업자가 화물의 적재가 용이함은 물론 화물을 운반할 때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화물의 하중이 손잡이를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되지않기 때문에 이동이 편리하고, 이동시 단턱이나 작은 물체에 카트의 바퀴가 걸려도 하중의 쏠림현상이 없기 때문에 적재된 화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화물운반용 카트는 화물 적재박스의 깊이가 달라도 제1, 2 적재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고, 화물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화물 적재박스(24)를 적재하여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이 용이한 적재부(3)와;
    상기 적재부(3)의 후방 중앙에는 적재부(3)가 기울어져 이동할 때 적재부(3)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적재부(3)가 상·하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힌지 타입의 체결편(19)으로 체결되어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지지부(2)와;
    상기 적재부(3)의 후방 상부와 지지부(2)의 상면 후단 사이에 경사지게 양단이 힌지 체결되어 적재부(3)의 각도를 임으로 조절하여 고정하는 각도 조절부(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2)는 수평 프레임(6)의 저면 양쪽에는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한 쌍의 주 바퀴(14)와,
    수평 프레임(14)의 전방에는 높이가 낮은 화물 적재박스(24)를 적재하도록 하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적재 프레임(12)과;
    수평 프레임(6)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고정 브라켓(17)에 힌지 체결된 회동축(25)과;
    상기 회동축(25)과 함께 연동하여 상·하로 회동하도록 전방으로 제1 적재 프레임(12)과 동일한 형상으로 일측 끝단이 용접 고정된 제2 적재 프레임(13)과;
    상기 수평 프레임(6)의 상면에는 제2 적재 프레임(13) 안쪽에 수직으로 입설 되어 적재되는 화물 적재박스(24)를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5)과;
    상기 수직 프레임(5) 상부 사이에는 수직 프레임(5)을 지지하면서 각도 조절부(4)의 상측을 힌지 체결할 수 있도록 제2 고정 브라켓(18)이 설치된 지지 프레임(10)과;
    상기 수직 프레임(5)의 상부 후방에는 카트(1)를 이동시키는 손잡이(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는 판형상의 수평 플레이트(7) 저면 하단에는 보조 바퀴(15)와 상면 상단에는 적재부(3)와 힌지 체결되는 각도 조절부(4)를 힌지 체결하도록 제2 고정 브라켓(18)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4)는 적재부(3)의 제2 고정 브라켓(18)에 상부가 힌지 체결되고, 표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체결공(21)이 형성된 슬라이드관(22)과;
    지지부(2)의 제2 고정 브라켓(18)에 하부가 힌지 체결되며 표면에는 슬라이드관(22)의 체결공(21)과 일치하게 체결공(21)이 형성된 고정관(23)과;
    상기 슬라이드관(22)의 하부는 고정관(23)의 상부로 삽입하여 일치된 체결공(21)에 고정핀(20)을 꽂아 적재부(3)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카트.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3)의 수직 프레임(5) 상부 양쪽에는 적재된 화물 적재박스(24)가 한쪽으로 쏠려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쏠림 방지 가이드(9)와;
    상기 쏠림 방지 가이드(9)의 하부 수직 프레임(5)에는 상부로 회동하는 제2 적재 프레임(13)을 고정하도록 양측에 고정편(1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카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11)에 제2 적재 프레임(13)을 자력에 의해 고정하기 위해 자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카트.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25)의 회동에 따라 연동하는 제2 적재 프레임(13)이 90°이상 회동하지않게 수평 프레임(6)의 후면에 간섭되도록 회동축(25)에 용접고정되는 스톱퍼(26)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카트.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재 프레임(13)이 상·하로 회동할 때 소음을 방지하도록 제2 적재 프레임(13)과 대응하는 수평 프레임(6)의 상면 양측에는 소음 및 충격 완충부(16)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카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3)와 지지부(2)의 운송수단인 주 바퀴(14)와 보조 바퀴(15)가 수평상태일 때는 지면에서 높이를 달리하여 적재부(3)의 주 바 퀴(14)는 지면에 닿고, 지지부(2)의 보조 바퀴(15)는 지면에 안닿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카트.
KR2020070004733U 2007-03-22 2007-03-22 화물운반용 카트 KR200445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733U KR200445099Y1 (ko) 2007-03-22 2007-03-22 화물운반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733U KR200445099Y1 (ko) 2007-03-22 2007-03-22 화물운반용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142U true KR20080004142U (ko) 2008-09-25
KR200445099Y1 KR200445099Y1 (ko) 2009-06-29

Family

ID=4132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733U KR200445099Y1 (ko) 2007-03-22 2007-03-22 화물운반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0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567B1 (ko) * 2014-02-12 2014-05-27 이장섭 다용도 손수레
KR101628078B1 (ko) * 2016-01-29 2016-06-08 전백수 수레용 보조받침장치
KR20170003307U (ko) 2016-03-15 2017-09-25 이윤경 운반 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567B1 (ko) * 2014-02-12 2014-05-27 이장섭 다용도 손수레
KR101628078B1 (ko) * 2016-01-29 2016-06-08 전백수 수레용 보조받침장치
KR20170003307U (ko) 2016-03-15 2017-09-25 이윤경 운반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099Y1 (ko)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21749A1 (en) Freight rack
US6471237B1 (en) Wheeled container cart
KR20070012774A (ko) 화물용 래크
US6880837B2 (en) Dolly for moving articles including lateral filing cabinets
JP5364283B2 (ja) 運搬台車
US7500683B2 (en) Filing cabinet dolly
KR20080004142U (ko) 화물운반용 카트
KR101243973B1 (ko) 운반 대차
KR200431212Y1 (ko)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US3826512A (en) Cart
CN216611266U (zh) 手推车
KR101486011B1 (ko)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KR200485301Y1 (ko) 다용도 손수레
JP2014148310A (ja) 貨物用ラック
JP5827501B2 (ja) 運搬用台車及び荷下ろし小運搬方法
JPH06344917A (ja) 手押し運搬車
JP3137180U (ja) 重量物搬送台車
KR100821119B1 (ko) 석재 운반용 카트
CN211365839U (zh) 一种实现仓储笼快速上下高位货架的装置
JP3234260U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3194428U (ja) 台車
KR102597259B1 (ko)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JP3140447U (ja) 二輪台車
CN211075989U (zh) 一种自动翻转航弹尾舱转运车
JP4952512B2 (ja) 搬送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