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301Y1 - 다용도 손수레 - Google Patents

다용도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01Y1
KR200485301Y1 KR2020160005390U KR20160005390U KR200485301Y1 KR 200485301 Y1 KR200485301 Y1 KR 200485301Y1 KR 2020160005390 U KR2020160005390 U KR 2020160005390U KR 20160005390 U KR20160005390 U KR 20160005390U KR 200485301 Y1 KR200485301 Y1 KR 200485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frame
coupled
wheel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림
Original Assignee
최경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림 filed Critical 최경림
Priority to KR2020160005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onvertible from a one-axled vehicle to a two-axle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보조바퀴의 구조변경으로 수납성이 증가하고 높은 중량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다용도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용도 손수레는 플레이트 형상의 일부는 상부를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 적재부, 상기 제1 적재부의 일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제2 적재부, 일단은 상기 제2 적재부의 후방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지면을 따라 연장되어 제1 바퀴들과 결합되며,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적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동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손수레{MULTIPURPOSE CAR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보조바퀴의 구조변형을 통해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다용도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비닐봉지의 사용이 제한되면서 대형마트 및 산업체에서 물품이나 적재물을 운반하는 경량의 손수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한 수납성이 좋은 손수레들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의 적재물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강도와 전체적인 부피가 상대적으로 높아야 하므로 수납성이 감소될 수 있고, 늘어나는 부피와 중량에 비해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11721호는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이 설치된 화물 운반용 손수레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56175호는 적은 힘으로 섬세한 손수레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개량 손수레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수납성 및 편의성을 개선시키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나 높은 중량의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발명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보조바퀴의 구조변경으로 수납성이 증가하고 높은 중량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다용도 손수레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레이트 형상의 일부는 상부를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 적재부, 상기 제1 적재부의 일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제2 적재부, 일단은 상기 제2 적재부의 후방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지면을 따라 연장되어 제1 바퀴들과 결합되며,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적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동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지지부는 타단이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지지부와 상기 제2 적재부는 서로 밀착되고 타단이 하부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지지부와 상기 제2 적재부 사이를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용도 손수레는 후방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마디들과 마디들 사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바퀴들을 통해 안정적으로 적재물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마디들은 적재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수납성이 증가하고 다용도 손수레의 손잡이를 지면을 향해 회전시켜 차량 운반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전방에 위치한 로봇 바퀴에 활용되는 옴니(Omni) 바퀴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바퀴는 전방에 위치한 바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다용도 손수레가 차량용으로 활용되기 위해 보조바퀴와 전방바퀴가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손잡이의 위치를 지면을 향해 회전시키면 차량과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중량의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정적인 적재물의 적재, 수납성 및 편의성 증가 등의 열거된 효과들 외에 다른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손수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3들은 도 1의 다용도 손수레의 구동을 나타낸 측면도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손수레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손수레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손수레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손수레(100)는 제1 적재부(200), 제2 적재부(400), 구동지지부(600), 제1 가이드부(700), 제2 가이드부(740) 및 고정부(800)를 포함한다.
제1 적재부(200)는 하부에 복수의 삼각형 홀들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높은 중량의 적재물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적재부(400)는 제1 적재부(200)의 일부분과 평행하게 상부로 연장되도록 결합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사각형 형태의 홀들이 형성되며, 제1 적재부(200)에 적재된 적재물이 후방을 향해 기대도록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적재물을 지지한다.
제1 가이드부(70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적재부(400)의 일측에 결합되고, 측면을 관통하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홀(720)들과 상기 원형의 홀(720)들 각각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두께로 상기 홀들 각각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결홀(730)들이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74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적재부(400)의 타측에 결합되고, 측면을 관통하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홀(760)들과 상기 원형의 홀(760)들 각각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두께로 상기 홀들 각각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결홀(770)들이 형성된다.
구동지지부(600)는 일단이 제2 적재부(40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단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후방으로 일부분이 연장되고, 다시 절곡되어 상부로 연장된다.
구동지지부(600)의 타단은 제1 가이드부(700) 및 제2 가이드부(74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가이드부(700) 및 제2 가이드부(740)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적재부(200)는 하부프레임(210) 및 하부홀(220)을 포함한다.
하부프레임(210)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의 모서리들은 곡선 처리되며, 하부프레임(210)을 관통하는 삼각형 형태의 하부홀(220)들이 형성된다.
하부프레임(210)의 후방에 위치한 일부분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적재부(400)의 일단과 결합된다.
제2 적재부(400)는 제1 적재프레임(410), 제2 적재프레임(420), 제1 가로프레임(430), 제2 가로프레임(440), 수직프레임(450) 및 손잡이(460)를 포함한다.
제1 적재프레임(410)은 제2 적재부(4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단은 제1 적재부(200)의 일부분의 일측 및 구동지지부(600)의 일측과 결합되며, 타단은 상부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손잡이(460)의 일단과 결합된다.
제2 적재프레임(420)은 제2 적재부(400)의 타측에 배치되고, 일단은 제1 적재부(200)의 일부분의 타측 및 구동지지부(600)의 타측과 결합되며, 타단은 상부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손잡이(460)의 타단과 결합된다.
손잡이(460)는 일단이 제1 적재프레임(410)의 타단과 결합되고,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절곡되거나 곡선을 이루며 제2 적재프레임(420)의 타단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은 제2 적재프레임(420)의 타단과 결합된다.
제1 가로프레임(430)은 제1 적재프레임(410)과 제2 적재프레임(420)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일단은 제1 적재프레임(410)과 결합되며, 타단은 제2 적재프레임(420)과 결합된다.
제1 가로프레임(430)은 제1 적재프레임(410)과 제2 적재프레임(4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적재프레임(410)과 제2 적재프레임(420)이 적재물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가로프레임(440)은 제1 가로프레임(430)과 서로 이격되도록 제1 적재프레임(410)과 제2 적재프레임(4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상단에 배치되고, 일단은 제1 적재프레임(410)과 결합되며 타단은 제2 적재프레임(420)과 결합된다.
제2 가로프레임(440)은 제2 적재부(400)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1 적재프레임(410)과 제2 적재프레임(420)의 타단들 각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대적으로 길고 높은 적재물을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수직프레임(450)은 일단이 제1 적재부(2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적재부(400)를 따라 상부로 제1 가로프레임(430)을 가로지르면서 연장되고, 제2 가로프레임(440)과 결합된다.
따라서, 수직프레임(450)은 제1 가로프레임(430)과 제2 가로프레임(440)에 접촉되는 상대적으로 높은 중량의 적재물이 제1 가로프레임(430) 및 제2 가로프레임(440)을 휘게하거나 파손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제1 가이드부(700)는 제1 가이드판(710), 홀(720) 및 연결홀(730)을 포함하고, 제2 가이드부(740)는 제2 가이드판(750), 홀(760) 및 연결홀(770)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판(710)은 제1 적재프레임(410)의 측면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고, 적재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적재프레임(41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홀(720)은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홀(720)들이 제1 적재프레임(410)과 평행하도록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연결홀(730)은 복수의 홀(720)들 사이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고, 두께는 홀(720)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제2 가이드판(750)은 제2 적재프레임(420)의 측면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고, 적재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적재프레임(42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홀(760)은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홀(760)들이 제2 적재프레임(420)과 평행하도록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연결홀(770)은 복수의 홀(760)들 사이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고, 두께는 홀(760)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구동지지부(600)는 제1 지지프레임(610), 제2 지지프레임(620), 제1 바퀴(630), 제2 바퀴(640), 제1 지지프레임(650), 제2 지지프레임(660) 및 제1 바퀴(670)를 포함한다.
제1 지지프레임(610)은 'ㄷ'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제1 적재프레임(410)의 일단과 볼트(611), 지지판(612) 및 너트(613)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 측면에는 제2 바퀴(64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지지프레임(610)은 지면과 평행하도록 연장되고 제1 지지프레임(610)의 타단은 제2 지지프레임(620)의 일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 측면에는 제1 바퀴(63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지지프레임(620)은 'ㄷ'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제1 지지프레임(610)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어 홀(720)과 고정 결합된다.
고정부(800)는 제2 적재부(400)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2 적재프레임(410)의 측면에서 제2 가이드부(740)와 제2 지지프레임(660)의 타단을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다용도 손수레(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800)는 제2 지지프레임(620)의 타단과 홀(720)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고정부(800)의 고정볼트(810)를 당기면 홀(720)과 홀(720)에 형성된 제1 가이드판(710)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고정볼트(810)의 일단이 측면을 향해 이탈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는 나사산이 드러난다.
상기 나사산은 연결홀(7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고정볼트(810)를 잡고 연결홀(730)을 따라 상부로 이동시키면, 고정부(800)에 결합된 제2 지지프레임(620)의 타단이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리고 고정볼트(810)를 놓으면 스프링(820)의 탄성복원력으로 고정볼트(810)가 상부에 배치되는 홀(720)을 향해 이동하여 제1 가이드판(71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제2 지지프레임(620)은 슬라이딩 이동을 멈추고 고정된다.
따라서, 제2 지지프레임(620)의 타단은 고정부(800)를 통해 홀(720)과 연결홀(730)을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제1 지지프레임(610)은 제2 지지프레임(620)의 이동에 따라 제1 적재부(200)와 제2 적재부(400) 사이에 공간(601)을 형성시키거나 제1 적재프레임(410)과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고정부(800)가 하부에 형성된 홀(720)에 고정되어 제1 적재부(200)와 제2 적재부(400) 사이에 공간(601)이 형성되는 경우, 제1 바퀴(630)와 제2 바퀴(640)는 지면과 밀착되고, 제2 적재부(400)는 상부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반면에 고정부(800)가 상부에 형성된 홀(720)에 고정되어 제2 적재부(400)에 제1 지지프레임(610)과 제2 지지프레임(620)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 바퀴(630)는 제1 적재프레임(410)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제2 지지프레임(620)의 이동에 따라 상부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 지지프레임(650), 제2 지지프레임(660), 제1 바퀴(670) 및 제2 바퀴(680)는 각각이 제1 지지프레임(610), 제2 지지프레임(620), 제1 바퀴(630) 및 제2 바퀴(640)와 각각 동일한 구조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제2 지지프레임(660)과 제2 가이드부(740)가 연결되는 구조 또한 제2 지지프레임(620)과 제1 가이드부(700)의 연결구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바퀴(630)와 제1 바퀴(670) 사이에는 제1 바퀴(630)와 제1 바퀴(670)를 연결시키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제2 바퀴(640)와 제2 바퀴(680) 사이에는 제2 바퀴(640)와 제2 바퀴(680)를 연결시키는 회전축이 형성된다.
제1 바퀴(630)는 제2 바퀴(670)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크도록 형성되고, 제2 바퀴(640, 680)들은 로봇 바퀴로 활용되는 옴니(Omni) 바퀴를 사용하여, 제2 바퀴(640, 680)들이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방향전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2 및 3들은 도 1의 다용도 손수레의 구동을 나타낸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손수레(100)는 제2 적재부(400)가 상부를 향해 비스듬히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제2 지지프레임(620)의 타단이 고정부(800)를 통해 하단에 형성되는 홀(720)에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제1 바퀴(630) 및 제2 바퀴(640)는 지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제1 바퀴(630)는 제2 바퀴(640)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크도록 형성되며, 제2 바퀴(640)는 로봇에 흔히 사용되는 옴니(Omni) 바퀴 형태로 형성되어 방향이 수시로 전환되는 제2 바퀴(640)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제1 바퀴(630)는 후방 하부에 배치되어 제2 지지프레임(620)과 제1 지지프레임(610)에 전달되는 적재물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안정적으로 적재물을 지지한다.
고정부(800)를 측면을 향해 당겨서 연결홀(730)을 따라 고정부(800)를 상부에 배치된 홀(720)에 고정시키면, 제2 지지프레임(620) 및 제1 지지프레임(610) 각각은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각각이 제1 적재프레임(410)과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바퀴(630)는 제1 적재프레임(410)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상부로 이동하고, 손잡이(460)를 지면으로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 하부프레임(210)은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제1 바퀴(630)와 제2 바퀴(640)는 지면과 밀착된다.
이 경우, 해당 사용자는 제2 적재부(400)에 적재물을 배치시키고 손잡이(460)를 당겨서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으며, 손잡이(460)에 차량이나 자전거를 연결시켜 다용도 손수레(100)를 차량 운반용 손수레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용도 손수레(100)는 고정부(800)를 제1 가이드부(700)에 배치되는 홀(720)들을 따라 단계적으로 상부로 이동시켜 결합시키면, 손잡이(460)는 단계적으로 제1 방향을 향해 하강하므로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기 적합한 높이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800)의 이동으로 제1 바퀴(630) 및 제1 바퀴(670)가 제1 적재프레임(410)의 측면으로 배치되면, 다용도 손수레(100)가 차지하는 부피가 감소되므로, 다용도 손수레(100)를 용이하게 수납가능하고 공간절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적재물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제1 바퀴(630) 및 제1 바퀴(670)를 탈착시키고, 고정부(800)를 상부로 이동시켜 제1 지지프레임(610) 및 제2 지지프레임(620)을 제1 적재프레임(410)과 밀착되도록 배치시키면, 제1 바퀴(630, 670)의 탈착으로 전체적인 무게가 감소되어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800)를 제1 가이드부(700)의 상부에 배치되는 홀(720)에 고정시키고, 손잡이(46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바퀴(630, 670) 및 제2 바퀴(640, 680)들을 동시에 지면에 밀착시키면, 차량과 손잡이(460)를 연결시켜 제2 적재부(400)를 하부 지지부로 활용할 수 있는 차량용 손수레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손수레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손수레(120)는 손잡이(461), 관절부(900) 및 시트(910)를 제외하면, 도 1의 다용도 손수레(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손수레(120)는 손잡이(461), 관절부(900), 거치대(910) 및 시트(920)를 더 포함한다.
손잡이(461)는 제1 적재프레임(4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타단과 제2 적재프레임(420)의 상부에 배치되는 타단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되고, 제1 적재프레임(410)과 제2 적재프레임(420)의 타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관절부(900)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461)는 관절부(900)를 축으로 하부프레임(210)을 향해 회전이 가능하고, 다시 지면을 향해 회전하여 원위치로 회전하여 제2 적재부(400)와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면 거치대(910)가 손잡이(461)의 회전을 차단하여 지면을 향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손잡이(461)가 하부프레임(210)과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관절부(900)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장치를 별도로 부착시켜 손잡이(461)가 회전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적재프레임(410)의 타단 및 제2 적재프레임(420)의 타단과 각각 결합되는 손잡이(461)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는 손잡이(461)가 상승할 수 있도록 실린더 내부에 배치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실린더를 상부로 연장시켜 길이를 연장시키는 안테나 형태의 연장부가 형성되고, 손잡이(461)를 당기면 관절부(900)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손잡이(461)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반면에 손잡이(461)를 하강시켜 관절부(900)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손잡이(461)의 길이를 짧게 축소시킬 수 있고, 손잡이(461)의 길이를 유지하기 위해서 손잡이(461)를 관통하는 일단은 원형으로 휘어지고 타단은 길게 연장되는 지팡이 형태의 금속막대를 삽입시켜 손잡이(461)의 연장되거나 축소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시트(920)는 일단이 제1 적재프레임(410)의 일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적재프레임(410)을 따라 손잡이(461)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해당 사용자는 시트(920)에 착석하여 쉴 수 있다.
그리고 시트(920)는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면 하부프레임(210)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하부프레임(210)을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제2 적재부(400)를 일으켜 세울 경우 착석하여 의자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920)가 회전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손잡이(461)의 위치 및 높낮이를 변경시켜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다용도 손수레(120)를 사용할 수 있고, 시트(920)의 위치를 변경시켜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461)를 회전시켜 손잡이(461)와 연결되는 차량의 연결부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다양도 손수레(120)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제1 바퀴(630) 및 제2 바퀴(640)를 통해 안정적으로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다용도 손수레 200: 제1 적재부
400: 제2 적재부 600: 구동지지부
700: 제1 가이드부 740: 제2 가이드부
800: 고정부 900: 관절부

Claims (9)

  1. 플레이트 형상의 일부는 상부를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 적재부;
    상기 제1 적재부의 일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결합되고,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제2 적재부;
    일단은 상기 제2 적재부의 후방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적재부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바퀴들이 양측에 결합되는 구동지지부;
    복수의 원형의 홀들 및 상기 홀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두께로 각각의 상기 홀들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적재부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들; 및
    상기 구동지지부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홀을 둘러싸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과 밀착 고정되고, 측면을 향해 당기면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는 일부분이 상기 연결홀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지지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면 상기 제2 적재부와 인접하거나 이격되는 제1 바퀴들 및 상기 구동지지부의 일단 양측면에 상기 제1 바퀴들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2 바퀴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수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지지부는,
    타단이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지지부와 상기 제2 적재부는 서로 밀착되고, 타단이 하부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지지부와 상기 제2 적재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수레.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퀴가 상기 제2 적재부의 양측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후방 하부로 끌어당겨, 상기 제1 및 제2 바퀴들은 지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손잡이는 차량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수레.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재부는,
    상기 가이드부 상단에 상기 제2 적재부의 상단 일부가 상기 제1 적재부를 향해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관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수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측면을 따라 연장되거나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수레.






KR2020160005390U 2016-09-13 2016-09-13 다용도 손수레 KR200485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390U KR200485301Y1 (ko) 2016-09-13 2016-09-13 다용도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390U KR200485301Y1 (ko) 2016-09-13 2016-09-13 다용도 손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301Y1 true KR200485301Y1 (ko) 2018-01-26

Family

ID=6128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390U KR200485301Y1 (ko) 2016-09-13 2016-09-13 다용도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237B1 (ko) * 2020-06-03 2020-09-21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구조물 안전진단용 초음파 접촉매질 도포장치
WO2022234912A1 (ko) * 2021-05-01 2022-11-10 주식회사 마이크로디스플레이 이동이 편리한 접이식 전동 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9348A (ja) * 1984-02-13 1985-09-02 Nissan Motor Co Ltd シヨツピングカ−兼用トノカバ−
KR940001908Y1 (ko) * 1991-11-28 1994-03-26 권오승 손수레
KR101628078B1 (ko) * 2016-01-29 2016-06-08 전백수 수레용 보조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9348A (ja) * 1984-02-13 1985-09-02 Nissan Motor Co Ltd シヨツピングカ−兼用トノカバ−
KR940001908Y1 (ko) * 1991-11-28 1994-03-26 권오승 손수레
KR101628078B1 (ko) * 2016-01-29 2016-06-08 전백수 수레용 보조받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237B1 (ko) * 2020-06-03 2020-09-21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구조물 안전진단용 초음파 접촉매질 도포장치
WO2022234912A1 (ko) * 2021-05-01 2022-11-10 주식회사 마이크로디스플레이 이동이 편리한 접이식 전동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289B2 (ja) 貨物用ラック
US8651500B2 (en) Dolly transport systems
US6053515A (en) Handy carrier
US8776932B1 (en) Foldable electric cart
US8413999B2 (en) Wheeled apparatus having multiple wheelbase configurations
US10213667B2 (en) Collapsible transport carriage
US20170072978A1 (en) Swivelable and unidirectional platform truck
KR200485301Y1 (ko) 다용도 손수레
CH615122A5 (ko)
KR200463603Y1 (ko) 접이식 운반대차의 손잡이 브래킷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접이식 운반대차
US8235401B1 (en) Lever assist for a transport dolly
CN210707487U (zh) 一种折叠式载物车
US9156485B1 (en) Leverage cart assembly
JP6289994B2 (ja) 電動カート装置
US20170232986A1 (en) Keg Transporter
KR20150029142A (ko) 운반용 카트
JP6664626B2 (ja) タイヤ運搬台車
JP6223390B2 (ja) 貨物用ラック
EP2151365A1 (en) Vehicle
JP2010100240A (ja) スタッキング椅子の移動保管用台車
KR102158423B1 (ko) 물품 운반용 카트
EP2946994B1 (fr) Remorque pour véhicule à deux roues
JP2017202786A (ja) 運搬用車両
JP2010264889A (ja) 台車
CN219172437U (zh) 一种物料输送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