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2364A -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2364A
KR20070122364A KR1020070052230A KR20070052230A KR20070122364A KR 20070122364 A KR20070122364 A KR 20070122364A KR 1020070052230 A KR1020070052230 A KR 1020070052230A KR 20070052230 A KR20070052230 A KR 20070052230A KR 20070122364 A KR20070122364 A KR 20070122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body
substrate
switching means
key top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후미 코이즈미
사토시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2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6Rotat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3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the operating member being rotatable around wobbling axis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회전형 스위치를 사용하여 장치 높이를 저감할 수 있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저판부(110) 상에 적재되는 플렉시블 기판(200)과, 플렉시블 기판(20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체(300)와, 제 1 조작체(300)의 주위에 배치된 환상 부재이며, 경동 조작 및 회전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체(400)와, 제 1 조작체(300)의 이동에 의해 동작하는 제 1 스위칭 수단(700a)과, 제 2 조작체(400)의 경동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700b)과, 제 2 조작체(4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하는 로터리 스위치(800)를 구비하고, 제 1, 제 2 스위칭 수단(700a, 700b) 및 로터리 스위치(800)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840)이 플렉시블 기판(200)의 동일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장치의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장치의 개략적 분해도이다.
도 4는 동 장치의 조작부를 분리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a)부분이 동 장치를 상측으로부터 나타낸 도면, (b)부분이 동 장치를 하측으로부터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동 장치의 플렉시블 기판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a)부분이 동 기판을 상측으로부터 나타낸 도면, (b)부분이 동 기판을 하측으로부터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동 장치의 제 2 조작체의 하면측으로부터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장치의 키 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부분이 상면측으로부터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b)부분이 하면측으로부터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장치의 회전체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부분이 상면측으로부터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b)부분이 하면측으로부터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스 110 : 저판부
120 : 외벽부 121 : 노치부
122a : 접촉부 112a, 112b : 리브
200 : 플렉시블 기판 300 : 제 1 조작체
400 : 제 2 조작체 500 : 키 톱
510 : 돌기부 600 : 판스프링
700a : 제 1 스위칭 수단 710a : 제 1 고정 접점부
720a : 제 1 스냅판 700b : 제 2 스위칭 수단
710b : 제 2 고정 접점부 720b : 제 2 스냅판
본 발명은, 연직방향으로의 누름 조작 입력, 경동 조작 입력 및 회전 조작 입력이 가능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로서는, 연직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체와, 이 제 1 조작체의 주위에 배치된 환상 부재이며, 경동 조작 및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체와, 상기 제 1 조작체의 이동에 의해 동작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조작체의 경동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하는 로터리 스위치와, 제 1, 제 2 스위칭 수단이 설치된 제 1 기판과, 로터리 스위치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이 형성된 제 2 기판을 구비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별도의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로서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 대신에, 상기 제 2 조작체에 부착된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환상의 마그넷과, 이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검출하는 자계 검출소자로 이루어지는 자기센서를 사용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1-32585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6-73311호 공보
그런데, 전자는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이 케이스의 내저면(상기 제 1 기판) 상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이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기판(상기 제 2 기판) 상에 형성된다. 즉 전자는, 제 1,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로터리 스위치가 다른 높이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장치가 커진다는 본질적인 결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저면 상의 제 1, 제 2 스위칭 수단에 저촉되지 않도록, 상기 내저면 상에 상기 기판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상기 기판의 설치가 대단히 곤란해진다고 하는 별도의 결점도 갖고 있다.
한편, 후자는,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자기센서의 자계 검출소자가 상기 기판의 동일면 상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지만, 상기 자기센서는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 상승으로 된다는 본질적인 결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저렴한 회전형 스위치를 사용하여, 장치 높이를 저감할 수 있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기판과, 이 기판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체와, 이 제 1 조작체의 주위에 배치된 환상 부재이며, 경동 조작 및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체와, 상기 제 1 조작체의 이동에 의해 동작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조작체의 경동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로터리 스위치를 구비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는 상기 제 2 조작체에 부착된 접촉자와,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접촉자가 미끄럼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점 패턴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 및 로터리 스위치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이 상기 기판의 동일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의 주위에 환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은 상기 기판의 제 1, 제 2 스위칭 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상기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있고, 이 케이스는, 상기 기판이 적재되는 대략 원형의 저판부, 및 이 저판부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세워서 설치된 외벽부를 갖고, 이 외벽부의 제 2 조작체 대향면에는 상기 제 2 조작체에 접촉 가능한 복수의 돌기상의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접촉부가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제 2 조작체를 회전 조작할 때에, 기판의 방향을 향해서 부하가 작 용하면 상기 복수의 접촉부 중, 상기 제 2 조작체의 조작된 부분에 가장 가까운 접촉부의 선단부가 상기 제 2 조작체의 키톱 대향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조작체를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조작체가 제 2 스위칭 수단을 동작시키는 정도로 경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회전 조작시의 제 2 스위칭 수단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상기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은, 상기 기판의 상기 면 상에 설치된 한쌍의 제 1 고정 접점부, 및 이 한쌍의 제 1 고정 접점부 중 한쪽의 제 1 고정 접점부에 접촉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조작체의 접촉에 의해 변형하여 다른쪽의 제 1 고정 접점부에 접촉하는 제 1 가동 접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은, 상기 기판의 상기 면 상에 설치된 한쌍의 제 2 고정 접점부, 및 이 한쌍의 제 2 고정 접점부 중 한쪽의 제 2 고정 접점부에 접촉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조작체의 접촉에 의해 변형되어 다른쪽의 제 2 고정 접점부에 접촉하는 제 2 가동 접점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기판이 적재되는 저판부를 갖고, 이 저판부에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의 제 1, 제 2 가동 접점부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복수의 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상기 리브 사이에 상기 제 1, 제 2의 스위칭 수단의 제 1, 제2 가동 접점부를 셋트하면, 상기 제 1, 제 2 가동 접점부가 한쪽의 제 1, 제 2 고정 접점부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의 제 1, 제 2 가동 접점부의 위치결정 및 조립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 브가 기판을 관통하기 때문에 상기 기판의 케이스 내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도 있다.
상기 기판으로서는 플렉시블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저판부의 일면은 절연 처리하고,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의 한쌍의 제 1, 제 2 고정 접점부가 형성되는 상기 기판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수의 저감 및 장치 높이를 저감하는 점에서 매우 메리트가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상기 제 2 조작체와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 사이에 경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또한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환상의 키 톱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는, 대략 원형의 상기 저판부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세워서 설치된 외벽부를 갖고, 이 외벽부에는, 상기 키 톱의 복수의 돌기부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케이스의 외벽부의 노치부에 상기 키 톱의 돌기부가 가이드되면, 상기 키 톱이 제 2 조작체의 경동 조작에 따라 경동하고, 제 2 스위칭 수단을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 즉 제 2 조작체를 경동 조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키 톱이 회전하거나 해서 제 2 스위칭 수단을 누를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키 톱의 제 2 조작체 대향면에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조작체의 키 톱 대향면에는 상기 요철면 상을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에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경우, 상기 제 2 조작체와 상기 키 톱 사이에 상기 판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공극을 형성하는 볼록부가, 상기 제 2 조작체의 키 톱 대향면 또는 키 톱의 제 2 조작체 대향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조작체의 키 톱 대향면에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키 톱의 제 2 조작체 대향면에는 상기 요철면 상을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에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조작체와 상기 키 톱 사이에 상기 판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공극을 형성하는 볼록부가, 상기 제 2 조작체의 키 톱 대향면 또는 키 톱의 제 2 조작체 대향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볼록부가 상기 키 톱의 제 2 조작체 대향면 또는 제 2 조작체의 키 톱 대향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 2 조작체와 상기 키 톱 사이에 상기 판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공극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저렴한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요철면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조작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대신에 가변 저항기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가변 저항기는, 상기 제 2 조작체에 부착된 접촉자와, 상기 기판의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이 형성된 면과 동일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접촉자가 미끄럼 접촉하는 저항 패턴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동장치의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동 장치의 개략적 분해도, 도 4는 동 장치의 조작부를 뗀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a)부분이 동 장치를 상측으로부터 나타낸 도, (b)부분이 동 장치를 하측으로부터 나타낸 도, 도 5는 동 장치의 플렉시블 기판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a)부분이 동 기판을 상측으로부터 나타낸 도, (b)부분이 동 기판을 하측으로부터 나타낸 도, 도 6은 동 장치의 제 2 조작체의 하면측으로부터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7은 동 장치의 키 톱을 도시한 도면이며, (a)부분이 상면측으로부터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b)부분이 하면측으로부터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동 장치의 로터리 스위치의 회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며, (a)부분이 상면측으로부터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b)부분이 하면측으로부터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케이스(100)와, 이 케이스(100)의 저판부(110) 상에 적재되는 플렉시블 기판(200)과, 이 플렉시블 기판(20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체(300)와, 이 제 1 조작체(300)의 주위에 배치된 환상 부재이며, 경동 조작 및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체(400)와, 이 제 2 조작체(400)의 하면에 대향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 2 조작체(400)의 경동에 따라 경동하는 환상의 키 톱(500)과, 제 2 조작체(400)의 하면에 부착된 판스프링(600)과, 제 1 조작체(300)의 이동에 의해 동작하는 제 1 스위칭 수단(700a)과, 제 2 조작체(400) 및 키 톱(500)의 경동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700b)과, 제 2 조작체(4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하는 로터리 스위치(80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00)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형상의 수지성형품이며, 원형의 판형상체인 저판부(110)와, 이 저판부(110)의 상면의 외주 가장 자리부에 세워서 설치된 외벽부(120)를 갖는다.
외벽부(120)는 90°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직사각형상의 노치부(121)와, 이 노치부(121)에 의해 분할된 4개의 원호상의 벽부(122)를 갖고 있다. 이 벽부(122)의 상면의 중앙부(즉 키 톱 대향면의 제 2 스위칭 수단(700b)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산형의 접촉부(12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촉부(122a)의 최상부가 후술하는 제 2 조작체(400)의 누름 이동 및 경동시에, 제 2 조작체(400)의 천판부(410)의 하면에 접촉한다.
또한 4개의 벽부(122) 중 1개의 벽부(122)의 하단부의 중앙부에는, 플렉시블 기판(200)의 외부 접속부(220)를 케이스(100) 밖으로 도출하기 위한 개구(122b)가 형성되어 있다. 나머지의 벽부(122) 중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벽부(122)의 하단부의 중앙부 및 저판부(110)의 상기 중앙부에 연속하는 부분에는, 키 톱(500)의 결합부(560)가 결합되는 결합 오목부(1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저판부(110)의 상면의 중심부에는, 4개의 원호상의 가이드 돌기(111)가 상기 저판부(11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해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돌기(111)의 상면에는, 그 중심부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원기둥형상의 돌기(1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판부(110)의 상면의 외벽부(120)의 노치부(121)의 내측 부분에는 4개의 리브군이 설치되어 있다. 이 리브군은 외벽부(120)의 벽부(122)의 내벽면의 양단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2개의 대략 L자형상의 리브(112a)와, 2개의 리브(112a)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2개의 대략 L자형상의 리브(112b)를 갖는다.
플렉시블 기판(200)은, 도 2,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본체부(210)와, 이 본체부(210)에 설치된 직사각형상의 외부 접속부(220)를 갖는다.
본체부(210)의 중심부의 케이스(100)의 저판부(110)의 4개의 가이드 돌기(111)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11)가 삽입되는 4개의 원호상의 제 1 구멍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10)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케이스(100)의 리브(112b)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리브(112b)가 삽입되는 대략 L자형상의 제 2 구멍부(212)가, 본체부(210)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리브(112a)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리브(112a)가 끼워넣어지는 대략 L자형상의 제 1 노치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10)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케이스(100)의 결합 오목부(123)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결합 오목부(123)를 노출시키기 위한 대략 직사각형상의 제 2 노치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스위칭 수단(700a)은, 도 2, 도 3 및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200)의 제 1 구멍부(211)의 사이에 설치된 한쌍의 제 1 고정 접점부(710a)와, 한쪽의 제 1 고정 접점부(710a)에 접촉하는 돔형상의 제 1 스냅판(720a)(제 1 가동 접점부)을 갖는다.
제 1 스냅판(720a)은 후술하는 탄성체(900)를 개재해서 제 1 조작체(300)에 눌려짐으로써, 상기 제 1 스냅판(720a)의 중심부가 반전해서 다른쪽의 제 1 고정 접점부(710a)에 접촉하는 주지의 것이다.
제 2 스위칭 수단(700b)은, 도 2, 도 3 및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200)의 제 2 구멍부(212)와 제 1 노치부(213) 사이에 설치된 한쌍의 제 2 고정 접점부(710b)와, 한쪽의 제 2 고정 접점부(710b)에 접촉하는 단면으로 볼 때 아치형상의 제 2 스냅판(720b)(제 2 가동 접점부)과, 이 제 2 스냅판(720b)의 최상부 상에 배치되는 스페이서(730b)(붕소제(등록상표)의 것 등)와, 제 2 스냅판(720b)을 그 최상부에 스페이서(730b)를 실은 상태에서 플렉시블 기판(200)에 부착하기 위한 테이프(740b)를 갖는다.
제 2 스냅판(720b)은 키 톱(500)의 누름 볼록부(540)에 눌려짐으로써, 상기 제 2 스냅판(720b)의 중심부가 반전해서 다른쪽의 제 2 고정 접점부(710b)에 접촉하는 주지의 것이다.
스페이서(730b)는 제 2 스냅판(720b)과 키 톱(500)의 누름 볼록부(540)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확보하여, 제 2 조작체(400)의 회전 조작시에 부주의하게 제 2 스냅판(720b)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조작체(300)는 도 2, 도 3 및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볼 때 대략 역 볼록자 형상의 부재이며, 원반상의 조작부(310)와, 이 조작부(310)의 하면에 형성된 각기둥상의 누름부(320)를 갖고 있다.
조작부(310)의 지름은 제 2 조작체(400)의 개구부(411)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즉 조작부(310)가 제 2 조작체(400)의 개구부(411)에 동심원상으로 끼워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조작부(310)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볼록한 플랜지(3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311)가 제 2 조작체(400)의 개구 부(411)의 안쪽 가장자리부에 접촉함으로써, 제 1 조작체(300)의 빠짐방지로서 기능한다.
탄성체(9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체(300)의 누름부(320)와 제 1 스위칭 수단(700a)의 제 1 스냅판(720a) 사이에 개재하는 단면으로 볼 때 대략 볼록자 형상의 고무이다. 이 탄성체(900)를 개재해서 제 1 조작체(300)가 제 1 스위칭 수단(700a)을 누를 수 있게 되어 있다(이 상태가 제 1 조작체(300)의 조작 전의 초기 상태이다.).
제 2 조작체(400)는 도 2,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00)에 씌어지는 단면에서 볼 때 대략 오목자 형상의 환상 부재이며, 환상의 천판부(410)와, 이 천판부(410)의 하면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세워서 설치된 외벽부(420)와, 천판부(410)의 하면의 외벽부(420)의 내측부분에 세워서 설치된 내벽부(430)와, 천판부(410)의 하면의 외벽부(420)와 내벽부(430) 사이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형성된 한쌍의 설치 볼록부(440)와, 내벽부(430)에 부착되는 고정판(450)을 갖고 있다.
천판부(410)는 그 지름이 케이스(100)의 저판부(110)의 지름보다 크고 또한 제 2 조작체(400)를 케이스(100)에 씌운 상태에서, 제 2 조작체(400)의 외벽부(410)가 케이스(100)의 외벽부(120)의 외측에 위치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 천판부(410)의 중심부에는, 제 1 조작체(300)가 끼워넣어지는 원형의 개구부(4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411)의 지름은 제 1 조작체(300)의 조작부(310)의 지름보다 약간 크고 또한 그 조작부(310)의 플랜지(311)의 외형보다 작 게 되어 있다. 또한 천판부(410)의 상면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천판부(41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기부(4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412)는 조작시의 유저의 손가락의 미끄럼 방지로서의 역활을 다한다.
내벽부(430)는 링형상의 내벽 본체(431)와, 이 내벽 본체(431)에 서로 대향하도록 내측을 향해서 설치된 직사각형상의 한쌍의 끼워맞춤 볼록부(432)와, 내벽 본체(431)의 하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8개의 부착부(433)를 갖는다.
끼워맞춤 볼록부(432)는 로터리 스위치(800)의 회전체(810)의 끼워맞춤부(812)에 끼워맞추어진다. 부착부(433)는 중앙부에서 선단부를 향해서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기둥형상의 볼록부이며, 고정판(450)의 설치 구멍부(451) 및 설치 오목부(45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고정판(45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벽 본체(431)의 하면보다 폭이 넓은 환상의 판체이다. 이 고정판(450)의 안쪽 가장자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는, 2개의 설치 구멍부(4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판(450)의 안쪽가장자리부의 2개의 설치 구멍부(451) 사이의 2개의 영역에는, 3개의 설치 오목부(452)가 소정 간격을 두고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설치 구멍부(451) 및 설치 오목부(452)가 부착부(433)를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판(450)의 안쪽 가장자리부가 내벽 본체(431)의 하면에 부착되고, 고정판(450)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내벽 본체(43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설치 볼록부(44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서 선단부를 향해서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기둥형상의 볼록부이다.
키 톱(500)은, 도 2, 도 3,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외벽부(120)와 제 2 조작체(400)의 내벽부(430) 사이에 수용되는 환상의 판형상체이며, 외주면에 90°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돌기부(510)와, 상면의 안쪽 가장자리부에 세워서 설치된 환상의 볼록부(520)와, 상면의 볼록부(520)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 요철면(530)과, 하면에 돌기부(510)와 동 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누름 볼록부(540)와, 하면의 안쪽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550)와, 하면의 누름 볼록부(540)의 사이에 형성된 2개의 결합부(560)를 갖고 있다.
누름 볼록부(540)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볼록부이다. 4개의 누름 볼록부(540)는 제 2 스위칭 수단(700b)의 4개의 제 2 스냅판(720b) 상의 스페이서(730b)에 적재된다. 이것에 의해 키 톱(500)이 케이스(100)에 수평상태에서 수용된다. 또한 누름 볼록부(540)의 선단면은 대략 산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누름 볼록부(540)의 최상부를 지점으로 해서 키 톱(500)이 경동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550)는 키 톱(500)의 제 2 조작체(400)의 고정판(450)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550)의 면 상에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90°간격으로 4개의 제 1 돌기(5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돌기(551)는 대략 타원형을 하고 있고, 제 2 조작체(400)의 고정판(450)의 바깥쪽 가장자리부 상에 적재되게 되어 있다.
볼록부(520)는 제 2 조작체(400)의 천판부(410)의 하면에 접촉하고, 상기 하면과의 사이에 판스프링(600)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돌기부(510)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부위이며, 케이스(100)의 외벽부(120) 의 노치부(121)에 끼워넣어 가이드된다. 이것에 의해 키 톱(500)이 제 2 회전체(400)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누름 볼록부(540)가 위치 어긋나지 않도록 제 2 스냅판(720b)을 누를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돌기부(510)의 선단면에는 대략 타원형의 제 2 돌기(5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돌기(511)의 최상부와 볼록부(520)의 최상면은 높이 위치가 대략 같게 되어 있다.
결합부(560)는 케이스(100)의 결합 오목부(123)에 경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키 톱(500)의 빠짐 방지부로서 기능한다.
판스프링(600)은 도 2, 도 3 및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의 판체부(610)와, 이 판체부(610)에 90°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된 한쌍의 설치구멍(620) 및 하방을 향해서 볼록의 반원형상의 만곡부(630)를 갖고 있다.
설치구멍(620)은 제 2 조작체(400)의 설치 볼록부(44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멍이다. 즉 판스프링(600)은 제 2 조작체(400)에 부착됨으로써 제 2 조작체(400)와 함께 경동 및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만곡부(630)는 제 2 조작체(400)의 회전에 의해 키 톱(500)의 요철면(530) 상을 슬라이딩하고, 회전 조작의 조작감을 발생시킨다.
로터리 스위치(800)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조작체(400)와 함께 회전가능한 회전체(810)와, 이 회전체(810)에 부착되는 접촉체(820)와, 회전체(810)를 케이스(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830)와, 플렉시블 기판(200)의 제 1 구멍부(211)의 주위에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840)을 갖고 있다.
회전체(81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의 베이스판의 가장자리부에 외벽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안쪽 가장자리부에 내벽부가 하방을 향해서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회전체(810)의 중심부에는 개구(8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811)에는, 케이스(100)의 저판부(110)의 4개의 가이드 돌기(111)가 끼워넣어진다. 즉 4개의 가이드 돌기(111)를 지점으로 회전체(810)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810)의 베이스판의 가장자리부 및 외벽부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오목형상으로 절개된 한쌍의 끼워맞춤부(8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부(812)에 제 2 조작체(400)의 내벽부(430)의 끼워맞춤 볼록부(432)가 끼워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회전체(810)가 제 2 조작체(40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전체(810)의 하면의 한쌍의 끼워맞춤부(812)와 90°위치 어긋난 부분에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체(820)를 부착하기 위한 설치 돌기(81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 돌기(813)는 중앙부에서 선단을 향해서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기둥형상의 볼록부이다. 한편, 회전체(810)의 상면의 안쪽 가장자리부에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체(83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814)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체(8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810)보다 폭이 좁은 링형상의 평판상의 베이스부(821)와, 이 베이스부(821)에 180°피치 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설치구멍(822)과, 베이스부(821)의 설치구멍(822)과 90°위치 어긋난 위치에 설치된 한쌍의 접촉부(823)를 갖고 있다.
설치구멍(822)은 회전체(810)의 설치 돌기(813)가 삽입되어 끼워맞춘다. 이 것에 의해 접촉체(820)가 회전체(810)의 하면에 부착된다.
접촉부(823)은 원호형상으로 2개소 절개되어 있고, 3개로 분할되어 있다. 이 접촉부(823)의 중앙부가 하방을 향해서 만곡되어 있고, 이 만곡부가 슬라이딩 접점 패턴(840) 상을 슬라이딩하는 접촉자(823a)가 된다.
고정체(830)는 지름이 회전체(810)의 개구(811)의 지름보다 크게 설정된 원반상의 부재이며, 그 중앙부에 직사각형상의 삽입 구멍부(8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구멍부(831)에 제 1 조작체(300)의 누름부(320)가 삽입되어, 상기 제 2 조작체(300)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고정체(830)의 삽입 구멍부(831)의 주위에는 4개의 설치구멍(8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치구멍(832)에는 가이드 돌기(111)의 돌기(111a)가 삽입되어 끼워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고정체(830)가 4개의 가이드 돌기(111)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체(830)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가이드 돌기(111)에 부착된 회전체(810)의 수용 오목부(814)에 수용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의 조립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플렉시블 기판(200)의 외부 접속부(220)를 케이스(100)의 개구(122b)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하고, 상기 케이스(100) 밖으로 도출한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저판부(110) 상의 가이드 돌기(111)를 플렉시블 기판(200)의 본체부(210)의 제 1 구멍부(211)에, 케이스(100)의 저판부(110) 상의 리브(112b, 112a)를 플렉시블 기판(200)의 본체부(210)의 제 2 구멍부(212), 제 1 노치부(213)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200)의 본체부(210)가 가이드 돌 기(111), 리브(112a, 112b)에 가이드되어, 케이스(100)의 저판부(110) 상에 셋트된다.
그 후에 제 1 스위칭 수단(700a)의 제 1 스냅판(720a)을 케이스(100)의 4개의 가이드 돌기(111)의 사이에 삽입하고, 플렉시블 기판(200) 상의 한쪽의 고정 접점부(710a) 상에 셋트한다. 그리고, 4개의 가이드 돌기(111)의 사이에 탄성체(900)를 삽입한다. 그러자, 탄성체(900)가 제 1 스냅판(720a) 상에 셋트된다.
한편, 4개의 제 2 스위칭 수단(700b)의 제 2 스냅판(720b)의 최상부에 테이프(740b)로 스페이서(730b)를 각각 붙인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냅판(720b)을 케이스(100)의 리브(112a, 112b)(즉 상기 리브군) 사이에 테이프(740b)로 각각 붙인다. 이 때, 제 2 스냅판(720)이 리브(112a, 112b)에 가이드되어, 플렉시블 기판(200) 상의 한쪽의 고정 접점부(710b) 상에 셋트된다.
그 후에 접촉체(820)가 부착된 회전체(810)의 개구(811)에 케이스(100)의 4개의 가이드 돌기(111)를 끼워맞추게 한다. 그러면, 접촉체(820)의 접촉자(823a)가 한쌍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840)에 접촉한다.
그 후에 고정체(830)를 4개의 가이드 돌기(111)에 부착한다. 그리고, 제 1 조작체(300)의 누름부(320)를 고정체(830)의 삽입 구멍부(831) 및 4개의 가이드 돌기(111)의 사이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하고, 탄성체(900) 상에 셋트한다.
그 후에 제 2 조작체(400)에 판스프링(600)을 부착한다. 그리고, 제 2 조작체(400)의 외벽부(420)와, 내벽부(430) 사이에 키 톱(500)을 수용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조작체(400)의 내벽부(430)의 하면에 고정판(450)을 부착한다.
이 상태의 제 2 조작체(400)를 케이스(100)에 씌운다. 이 때, 제 2 조작체(400)의 개구부(411)에 케이스(100)의 가이드 돌기(111)에 셋트된 제 1 조작체(300)의 조작부(310)를 위치맞춤을 하면서 끼워 넣음과 아울러, 상기 제 2 조작체(400)의 내벽부(430)의 끼워맞춤 볼록부(432)를 회전체(810)의 끼워맞춤부(812)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끼워 넣음과 동시에, 키 톱(500)의 돌기부(510)를 케이스(100)의 외벽부(120)의 노치부(121)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끼워 넣는다. 그러면 키 톱(500)의 누름 볼록부(540)가 플렉시블 기판(200) 상의 제 2 스냅판(720b)의 스페이서(730b) 상에 적재되어, 상기 키 톱(500)이 케이스(100)의 외벽부(120)와 제 2 조작체(400)의 내벽부(430) 사이에 수평상태에서 수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제 1 조작체(300)를 초기 상태로부터 누름 조작하면, 탄성체(900)를 통해서 제 1 스위칭 수단(700a)의 제 1 스냅판(720a)이 눌려진다. 그러면, 제 1 스냅판(720a)가 반전하여 다른쪽의 고정 접점부(710a)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스위칭 수단(700a)이 온 상태가 되고, 그 출력 신호가 플렉시블 기판(200)의 외부 접속부(220)를 통해서 도면 밖의 전자기기에 입력된다.
그 후에 제 1 조작체(300)가 해방되면, 제 1 스냅판(720b) 및 탄성체(900)의 북원력에 의해, 제 1 조작체(300)가 밀어올려지고, 초기 상태에 복귀한다.
상기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의 제 2 조작체(400)가 수평상태로부터 경동 조작되면, 상기 제 2 조작체(400)의 천판부(410)의 조작측의 부분이 키 톱(500)의 조작측의 돌기부(510) 및 볼록부(520)의 일부를 밀어내린다. 한편, 제 2 조작체(400)의 고정판(450)의 바깥쪽 가장자리부의 반조작측의 부분이 키 톱(500)의 안쪽 가장자리부의 반조작측의 제 1 돌기(551)를 밀어올린다. 이것에 의해 제 2 조작체(400) 및 키 톱(500)이 경동한다. 이 때, 키 톱(500)의 돌기부(510)가 케이스(100)의 외벽부(120)의 노치부(121)에 가이드되어 경동한다.
그리고, 키 톱(500)의 누름 볼록부(540)가 제 2 스위칭 수단(700b)의 제 2 스냅판(720b)을 누른다. 그러면, 제 2 스냅판(720b)가 반전하고, 다른쪽의 고정 접점부(710b)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스위칭 수단(700b)이 온 상태가 되고, 그 출력 신호가 플렉시블 기판(200)의 외부 접속부(220)를 통해서 도면 밖의 전자기기에 입력된다.
그 후에 제 2 조작체(400)가 개방되면, 제 2 스냅판(720b)의 북원력에 의해 키 톱(500) 및 제 2 조작체(400)가 밀어올려지고, 수평상태에 복귀한다.
상기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의 제 2 조작체(400)가 회전 조작되면, 상기 제 2 조작체(400)의 끼워맞춤 볼록부(432)가 회전체(810)의 끼워맞춤부(812)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체(81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체(810)에 부착된 접촉체(820)의 접촉부(823)의 한쌍의 접촉자(823a)가 한쌍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840) 상을 슬라이딩하여, 그 출력 신호가 제 2 조작체(4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플렉시블 기판(200)의 외부 접속부(220)를 통해서 도면 밖의 전자기기에 입력된다.
또한 제 2 조작체(400)의 회전 조작의 때에, 하방향의 부하가 걸렸을 경우(즉 제 2 조작체(400) 경사 하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었을 경우), 제 2 조작체(400) 의 천판부(410)의 하면이 케이스(100)의 벽부(122)의 제 2 조작체(400)의 조작된 부분에 가장 가까운 접촉부(122a)에 접촉해서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조작체(400)가 제 2 스위칭 수단(700b)을 동작시킬 정도로 경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 2 조작체(400)의 제 2 스위칭 수단(700b)의 상측부분 이외의 부분이 누름 조작되었을 경우도, 제 2 조작체(400)의 천판부(410)의 하면이 케이스(100)의 벽부(122)의 제 2 조작체(400)의 조작된 부분에 접촉부(122a)에 접촉해서 지지되어, 제 2 조작체(400)가 제 2 스위칭 수단(700b)을 동작시킬 정도로 경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700a, 700b) 및 로터리 스위치(800)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840)이 플렉시블 기판(200)의 동일면 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치 높이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주지의 제 1, 제 2 스위칭 수단(700a, 700b) 및 로터리 스위치(800)을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200)을 관통한 가이드 돌기(111) 및 리브(112a, 112b)가, 제 1, 제 2 스위칭 수단(700a, 700b)의 제 1, 제 2 스냅판(720a, 720b)을 위치 결정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돌기(111) 및 리브(112a, 112b)를 별도 설치할 경우와 비교해서 장치 높이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스냅판(720a, 720b)의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제 1, 제 2 스냅판(720a, 720b)의 장착도 용이하게 되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2 조작체(400)가 경사 하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었을 경우 및 제 2 조 작체(400)의 제 2 스위칭 수단(700b)의 상측부분 이외의 부분이 누름 조작되었을 경우, 케이스(100)의 외벽부(120)의 벽부(122)에 설치한 산형의 접촉부(122a)가, 상기 제 2 조작체(400)에 접촉해서 지지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에 의해 제 2 조작체(400)가 경동하여 제 2 스위칭 수단(700b)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기판과, 이 기판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체와, 이 제 1 조작체의 주위에 배치된 환상 부재이며, 경동 조작 및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체와, 상기 제 1 조작체의 이동에 의해 동작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조작체의 경동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하는 로터리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는 상기 제 2 조작체에 부착된 접촉자와,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에 따라 접촉자가 미끄럼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점 패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 및 로터리 스위치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이 상기 기판의 동일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한 어떻게 설계 변경해도 관계없다. 이하, 상세하게 말한다.
케이스(100)에 대해서는, 상기 각 구성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을 이용하여도 관계없다. 따라서, 케이스(100)의 외벽부(120)에 노치부(121), 벽부(122) 및/또는 접촉부(122a)를 설치할 것인지의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케이스(100)의 저판부(110)에 가이드 돌기(111) 및 리브(112a, 112b)를 설치할 것인지의 여부는 임의이다.
접촉부(122a)는 대략 산형으로 했지만, 돌기상이면 어떤 형상으로 설계 변경해도 좋다. 또한 접촉부(122a)는 외벽부(120)의 상면의 제 2 스위칭 수단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면, 어떤 개소에 설치해도 관계없다. 예를 들면 벽부(122)의 상면의 중앙부에서 위치 어긋난 개소에 설치하는 것도 일단 가능하다. 또, 접촉부(122a)는 경동 조작 및 회전 조작이 가능한 입력장치(즉 제 1 조작체(300) 및 제 1 스위칭 수단(700a)을 생략한 입력장치)에도 적응 가능하다.
플렉시블 기판(200)에 대해서는, 인쇄 기판 등의 그 밖의 기판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저판부(110)의 면 상을 절연 처리하고, 상기 저판부(110) 상에 제 1, 제 2 스위칭 수단(700a, 700b)의 고정 접점부(710a, 710b)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기판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판의 두께 만큼 장치 높이를 저감할 수 있다.
제 1 조작체(300)에 대해서는, 제 1 스위칭 수단(700a)을 누르고,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700b)을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상의 것을 이용하여도 관계없다. 또한 탄성체(900)를 개재해서 제 1 스위칭 수단(700b)을 누른다고 했지만, 상기 탄성체(90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 2 조작체(400)에 대해서는, 제 1 조작체(300)의 주위에 배치되어 경동 조작 및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환상 부재인 한, 어떤 형상의 것을 이용하여도 관계없다. 이 제 2 조작체(400)에 대해서도, 키 톱(500)을 개재하지 않고 제 2 스위칭 수단(700b)을 직접 누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1, 제 2 스위칭 수단(700a, 700b)은 제 1, 제 2 스냅판(720a, 720b)을 갖 는다고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탄성체(900)로서 도전성의 고무를 사용하거나, 탄성체(900)의 선단면에 가동 접점부를 형성하거나 해서, 플렉시블 기판(200) 상의 한쌍의 고정 접점부에 접촉시키도록 해도 좋다. 물론, 탄성체(900)를 생략할 경우에는, 제 1 조작체(400)의 선단면에 가동 접점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판스프링(600)은 키 톱(500)의 요철면(530) 상을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그 형상은 묻지 않는다. 또한 판스프링(600)을 키 톱(500)에 부착하고, 요철면을 제 2 조작체(400)의 천판부(410)의 하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키 톱(500)의 볼록부(520)를 제 2 조작체(400)의 천판부(410)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판스프링(600) 및 요철면(530)은, 제 2 조작체(400)의 회전 조작에 조작감을 발생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로터리 스위치(800)에 대해서는 접촉자와, 이 접촉자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접점 패턴을 갖는 한 어떤 것을 사용해도 된다. 따라서, 회전체(810), 고정체(830) 등을 설치하는 것은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접촉자를 제 2 조작체(400)에 직접 부착하도록 하면 된다. 또, 슬라이딩 접점 패턴의 개수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로터리 스위치(800) 대신에 가변 저항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터리 스위치(800)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840) 대신에 저항 패턴을 플렉시블 기판(200) 상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 및 로터리 스위치(혹은 가변 저항기)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이 상기 기판의 동일면 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예와 비교해서 장치 높이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작 입력용으로서 저렴한 로터리 스위치나 가변 저항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저비용화를 꾀할 수 있다.

Claims (10)

  1. 기판;
    이 기판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체;
    이 제 1 조작체의 주위에 배치된 환상 부재이며, 경동 조작 및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체;
    상기 제 1 조작체의 이동에 의해 동작하는 제 1 스위칭 수단;
    상기 제 2 조작체의 경동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로터리 스위치를 구비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는,
    상기 제 2 조작체에 부착된 접촉자, 및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접촉자가 미끄럼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점 패턴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 및 로터리 스위치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이 상기 기판의 동일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의 주위에 환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은 상기 기판의 제 1, 제 2 스위칭 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있고;
    이 케이스는,
    상기 기판이 적재되는 대략 원형의 저판부, 및
    이 저판부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세워서 설치된 외벽부를 갖고;
    이 외벽부의 제 2 조작체 대향면에는 상기 제 2 조작체에 접촉 가능한 복수의 돌기상의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접촉부가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은,
    상기 기판의 상기 면 상에 설치된 한쌍의 제 1 고정 접점부, 및
    이 한쌍의 제 1 고정 접점부 중 한쪽의 제 1 고정 접점부에 접촉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조작체의 접촉에 의해 변형하여 다른쪽의 제 1 고정 접점부에 접촉하는 제 1 가동 접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은,
    상기 기판의 상기 면 상에 설치된 한쌍의 제 2 고정 접점부, 및
    이 한쌍의 제 2 고정 접점부 중 한쪽의 제 2 고정 접점부에 접촉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조작체의 접촉에 의해 변형되어 다른쪽의 제 2 고정 접점부에 접촉하는 제 2 가동 접점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기판이 적재되는 저판부를 갖고;
    이 저판부에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의 제 1, 제 2 가동 접점부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복수의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렉시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판부는 그 한면이 절연 처리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의 한쌍의 제 1, 제 2 고정 접점부가 형성되는 상기 기판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체와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 사이에 경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또한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환상의 키 톱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는, 대략 원형의 상기 저판부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세워서 설치된 외벽부를 갖고, 이 외벽부에는 상기 키 톱의 복수의 돌기부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톱의 제 2 조작체 대향면에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조작체의 키 톱 대향면에는 상기 요철면 상을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에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조작체와 상기 키 톱 사이에 상기 판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공극을 형성하는 볼록부가, 상기 제 2 조작체의 키 톱 대향면 또는 키 톱의 제 2 조작체 대향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체의 키 톱 대향면에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키 톱의 제 2 조작체 대향면에는 상기 요철면 상을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에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조작체와 상기 키 톱 사이에 상기 판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공극을 형성하는 볼록부가, 상기 제 2 조작체의 키 톱 대향면 또는 키 톱의 제 2 조작체 대향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 대신에 가변 저항기를 구비하고 있고;
    이 가변 저항기는,
    상기 제 2 조작체에 부착된 접촉자,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수단이 설치된 면과 동일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접촉자가 미끄럼 접촉하는 저항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KR1020070052230A 2006-06-26 2007-05-29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KR200701223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75671 2006-06-26
JP2006175671A JP4353964B2 (ja) 2006-06-26 2006-06-26 複合操作型入力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364A true KR20070122364A (ko) 2007-12-31

Family

ID=3846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230A KR20070122364A (ko) 2006-06-26 2007-05-29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98527B2 (ko)
EP (1) EP1873803B1 (ko)
JP (1) JP4353964B2 (ko)
KR (1) KR20070122364A (ko)
CN (1) CN101097814B (ko)
TW (1) TW2008024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62Y1 (ko) * 2010-02-22 2012-03-27 (주)엠쓰리모바일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5620B2 (ja) * 2007-04-18 2011-06-08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KR20090028944A (ko) * 2007-09-17 2009-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입력장치
JP4990811B2 (ja) 2008-02-08 2012-08-01 ホシデン株式会社 回転スイッチ
JP4311495B1 (ja) * 2008-03-17 2009-08-12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539787B1 (ja) * 2009-04-27 2010-09-08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および携帯端末
JP4886816B2 (ja) * 2009-06-02 2012-02-29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スイッチ
JP2011044345A (ja) * 2009-08-21 2011-03-03 Omron Corp 操作検出装置
JP2011187406A (ja) * 2010-03-11 2011-09-22 Omron Corp スイッチユニット、操作スイッチ、および携帯端末
JP5070310B2 (ja) * 2010-03-30 2012-11-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TWI450292B (zh) * 2010-04-02 2014-08-21 Hon Hai Prec Ind Co Ltd 開關裝置
CN102054617A (zh) * 2011-01-06 2011-05-11 余正明 一种fpc开关
JP6166165B2 (ja) * 2013-12-04 2017-07-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6204232B2 (ja) * 2014-03-11 2017-09-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CN109683731A (zh) * 2017-10-18 2019-04-2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多向控制器
TWI661337B (zh) * 2017-10-18 2019-06-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行動裝置之多向控制器
WO2021193307A1 (ja) 2020-03-27 2021-09-30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回転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4230A (en) 1980-02-13 1981-09-08 Pioneer Electronic Corp Mode selection switch
EP0587406B1 (en) * 1992-09-09 1997-11-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bination push switch device
JP3149581B2 (ja) 1992-12-11 2001-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ジョグエンコーダ
JP4019515B2 (ja) * 1998-08-21 2007-1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圧・回動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端末機器
JP2001325859A (ja) 2000-05-16 2001-11-22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3717373B2 (ja) 2000-06-07 2005-11-16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取付構造
JP2002093278A (ja) 2000-09-19 2002-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多方向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2343192A (ja) 2001-05-14 2002-11-29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3820548B2 (ja) 2001-06-01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093283A (ja) 2001-09-26 2003-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3346609A (ja) 2002-05-28 2003-12-05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4338364B2 (ja) * 2002-07-02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携帯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115233A (ja) 2002-08-09 2003-04-18 Brother Ind Ltd キースイッチ装置
US6784384B2 (en) * 2002-12-03 2004-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tation ke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599285B1 (ko) * 2004-06-15 2006-07-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스티어링휠 리모콘 스위치
JP4061626B2 (ja) * 2004-07-16 2008-03-19 Smk株式会社 回転入力装置
JP2006073311A (ja) 2004-09-01 2006-03-16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FR2878646B1 (fr) * 2004-11-26 2007-02-09 Itt Mfg Enterprises Inc Commutateur electrique a voies de commutation multiples
JP4487821B2 (ja) * 2005-03-25 2010-06-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子部品
US7288732B2 (en) * 2005-07-06 2007-10-30 Alps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4819518B2 (ja) * 2006-02-09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62Y1 (ko) * 2010-02-22 2012-03-27 (주)엠쓰리모바일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98527B2 (en) 2009-03-03
CN101097814B (zh) 2010-12-29
JP2008004504A (ja) 2008-01-10
TWI314749B (ko) 2009-09-11
CN101097814A (zh) 2008-01-02
EP1873803B1 (en) 2011-10-12
EP1873803A3 (en) 2008-08-13
JP4353964B2 (ja) 2009-10-28
TW200802464A (en) 2008-01-01
EP1873803A2 (en) 2008-01-02
US20080041709A1 (en)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22364A (ko)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US7550685B2 (e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JP3789733B2 (ja) 複合操作スイッチ
EP1693872B1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s using the same
US7507919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US7652217B2 (en) Rotary type pulse switch
JP430131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70112003A (ko)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US20040226810A1 (en) Switching device including stopper surface-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
JP2000243187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1345031A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4101592B2 (ja) 押下スイッチ及び多方向入力装置
KR20010039648A (ko) 복수개의 수동 스위치를 구비하는 다방향 스위치
US6396016B1 (en) Electronic component incorporating push switch and rotary encoder
JP2002170461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EP0918344B1 (en)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devices using the switch device
JP2008071589A (ja) 多方向押圧形スイッチ
JP2005302348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4522376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2170462A (ja) 揺動操作型電気部品
JP2005302347A (ja) 複合操作スイッチ
JP5727829B2 (ja) 回転式電子部品
JP2000082365A (ja) 電子機器の押釦取付構造
JP6165573B2 (ja) 電子部品
JP5323669B2 (ja) クリック機能付き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