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462Y1 -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462Y1
KR200459462Y1 KR2020100001861U KR20100001861U KR200459462Y1 KR 200459462 Y1 KR200459462 Y1 KR 200459462Y1 KR 2020100001861 U KR2020100001861 U KR 2020100001861U KR 20100001861 U KR20100001861 U KR 20100001861U KR 200459462 Y1 KR200459462 Y1 KR 200459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utton
pair
pushbutton
butt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378U (ko
Inventor
진 박
Original Assignee
(주)엠쓰리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쓰리모바일 filed Critical (주)엠쓰리모바일
Priority to KR2020100001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46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3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3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4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버튼으로 전자 장치에 다양한 입력이 가능한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제1 푸시버튼과, 제1 푸시버튼의 작동에 의해 단속되는 제1 접점쌍과, 통공의 내부에 제1 푸시버튼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2 푸시버튼과, 제2 푸시버튼의 작동에 의해 단속되는 제2 접점쌍을 포함하는 통합버튼 스위치와, 제1 접점쌍의 제1 접점신호가 입력되면 제1 동작이, 제2 접점쌍의 제2 접점신호가 입력되면 리셋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하나의 통합버튼 스위치를 통해 숫자 입력과 같은 제1 동작과 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Electronic apparatus with integrated button switch}
본 고안은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버튼으로 전자 장치에 다양한 입력이 가능한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기기들(예를 들어, 휴대폰, PDA, 엠피쓰리)은 기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버튼,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한 통화버튼, 휴대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버튼, 휴대폰의 동작을 초기화하는 리셋버튼 등을 포함한다. 이 같은 입력버튼과 통화버튼 그리고 리셋버튼은 전자기기에 각각 설치된다. 특히, 리셋버튼은 전자기기의 동작을 초기화하는 입력버튼임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혹은 실수로 누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 버튼과 달리 매우 작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리셋버튼이 외부에 닿지 않도록 전자기기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이상이 발생시, 해당 전자기기의 동작을 초기화하는 리셋버튼을 찾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며, 특히, 어두운 곳에서는 리셋버튼을 찾는데 평소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뿐만 아니라, 리셋버튼은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리셋버튼을 누르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버튼을 하나로 통합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하나로 통합된 다기능 버튼으로 쉽고 편리하게 동작을 제어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후술하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양상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은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제1 푸시버튼과, 제1 푸시버튼의 작동에 의해 단속되는 제1 접점쌍과, 통공의 내부에 제1 푸시버튼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2 푸시버튼과, 제2 푸시버튼의 작동에 의해 단속되는 제2 접점쌍을 포함하는 통합버튼 스위치와, 제1 접점쌍의 제1 접점신호가 입력되면 제1 동작이, 제2 접점쌍의 제2 접점신호가 입력되면 리셋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1 푸시버튼은 통공이 형성되며, 제1 접점쌍 중 하나의 제1 접점이 형성되는 제1 버튼캡과, 제1 버튼캡의 상부가 노출되게 제1 버튼캡을 지지하며, 제1 접점쌍 중 나머지 제1 접점이 제1 버튼캡에 형성된 제1 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제1 접점쌍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제1 버튼캡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1 버튼캡은 통공이 형성된 상면 중앙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탄력 재질의 박막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하우징은 제2 접점쌍 중 하나의 제2 접점이 형성되고, 제2 푸시버튼은 제1 버튼캡의 통공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고, 제1 버튼캡의 하부보다 높이가 낮게 돌출된 하단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제2 접점쌍 중 나머지 제2 접점이 하우징에 형성된 제2 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버튼캡과, 제2 접점쌍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제2 버튼캡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하나의 통합버튼 스위치를 통해 숫자 입력과 같은 제1 동작과 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푸시버튼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고탄력 재질의 박막에 의해 제1 푸시버튼의 상면 중앙부에 삽입된 제2 푸시버튼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1 접점쌍의 제1 접점신호와 제2 접점쌍의 제2 접점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제 2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1 접점쌍의 제1 접점신호와 제2 접점쌍의 제2 접점신호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모두 입력되면 전원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본 고안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하나의 통합버튼 스위치를 통해 숫자 입력과 같은 제1 동작과 리셋 동작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통화 입력과 같은 제2 동작과 전자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는 하나의 통합버튼 스위치를 통해 전자 장치에 다양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합버튼 스위치를 통해 숫자 입력과 같은 제1 동작과 전자 장치의 초기화를 위한 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합버튼 스위치를 통해 통화 입력과 같은 제2 동작과 전자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통합버튼 스위치의 제1 푸시버튼의 상면 중앙부에 고탄력 재질의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제1 푸시버튼의 상면 중앙부에 삽입된 제2 푸시버튼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통합버튼 스위치 인식에 따른 동작에 필요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버튼 스위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버튼 스위치의 각 구성들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버튼 스위치의 각 구성들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푸시버튼이 동작하는 통합버튼 스위치의 예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푸시버튼이 동작하는 통합버튼 스위치의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푸시버튼과 제2 푸시버튼이 동작하는 통합버튼 스위치의 예시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고안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통합버튼 스위치 인식에 따른 동작에 필요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다양한 입력이 가능한 통합버튼 스위치(100)와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다양한 입력이 가능한 통합버튼 스위치(100)는 상면 중앙부에 통공(103)이 형성된 제1 푸시버튼(101)과 제1 푸시버튼(101)의 작동에 의해 단속되는 제1 접점쌍과, 통공(103) 내부에 제1 푸시버튼(101)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2 푸시버튼(102) 및 제2 푸시버튼(102)의 작동에 의해 단속되는 제2 접점쌍을 포함한다. 이 같은 통합버튼 스위치(100)는 도 2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버튼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버튼 스위치(100)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합버튼 스위치(100)가 사각기둥 또는 삼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통합버튼 스위치(100)의 제1 푸시버튼(101)의 상면 중앙부는 통공(103)이 형성되며, 통공(103)이 형성된 중앙부 내에는 제2 푸시버튼(102)이 삽입된다. 제1 푸시버튼(101)의 상면 중앙부의 통공(103) 내에 삽입되는 제2 푸시버튼(102)는 제1 푸시버튼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제2 푸시버튼(102)은 리셋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버튼으로써, 제1 푸시버튼(101)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쉽게 눌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합버튼 스위치(100)는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통합버튼 스위치(1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버튼 스위치의 각 구성들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버튼 스위치의 각 구성들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버튼 스위치(100)는 제1 푸시버튼(101), 제2 푸시버튼(102)을 포함하며, 제1 푸시버튼(101)은 제1 버튼캡(300), 하우징(302), 제1 탄성부재(304)를 포함한다. 제1 버튼캡(300)은 상면 중앙부에 통공(103)이 형성되며, 전술한 제1 접점쌍 중 하나의 제1 접점(301)이 형성된다. 이 같은 제1 버튼캡(300)의 하단은 하우징(300) 내부에 포함되며, 하우징(300)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턱의 양 측면에 제1 접점(301)이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하우징(302)은 제1 버튼캡(300)의 상부가 노출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1 버튼캡(300)을 지지하며, 제1 접점쌍 중 나머지 제1 접점(303)이 제1 버튼캡(30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 같이, 제1 버튼캡(30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접점(303)은 하우징(302)의 전체 높이에서 걸림턱으로 형성된 제1 버튼캡(300)의 하단의 높이만큼 뺀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 탄성부재(304)는 탄성 성질을 가진 스프링으로써, 제1 접점쌍(301, 303)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제1 버튼캡(300)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제1 버튼캡(300)의 하부면 양측과 하우징(302)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버튼캡(300)의 하단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된 제1 접점(301)과, 제1 접점(301)과 대응되어 하우징(302)에 설치된 또다른 제1 접점(303)은 서로 단속될 수 있다. 이 같이, 양 측면 각각에 서로 대응되어 설치되는 제1 접점쌍(301, 303)은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접점(301)과 또다른 제1 접점(303) 간에 마모로 인해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접점(301) 또는 또다른 제1 접점(303)은 제1 버튼캡(300) 또는 하우징(302)과 탄성 성질을 가진 재질로 연결되어 제1 접점(301)과 또다른 제1 접점(303) 간에 마모로 인해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1 버튼캡(300)은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103)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와 같은 고탄력 재질의 박막(305)이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푸시버튼(102)은 제2 버튼캡(310)과 제2 탄성부재(313)를 포함한다. 제2 버튼캡(310)은 제1 버튼캡(300)의 통공(103)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고, 제1 버튼캡(300)의 하부보다 높이가 낮게 돌출된 하단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전술한 제2 접점쌍 중 하나의 제2 접점(311)이 제2 버튼캡(310)의 걸림턱 하부면 중앙 위치에 형성된다.
이 같은 제2 버튼캡(310)은 본 고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도 4와 같이 제2 버튼캡(310)의 상단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고탄력 재질의 박막(305)이 없거나 혹은 찢어지게 될 경우, 제1 버튼캡(300)과 제2 버튼캡(310) 사이에는 일정 높이의 통공을 형성하게 되며, 이 통공을 통해 제2 버튼캡(310)의 상단에 이물질이 낄 수 있다. 이때, 제2 버튼캡(310)의 상단이 오목한 형태의 곡면으로 처리됨에 따라, 제2 버튼캡(310)의 상단에 생기는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제2 접점쌍 중 나머지 하나의 제2 접점(312)은 하우징(302)의 하부면에 형성되되, 제2 버튼캡(310)의 걸림턱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접점(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 탄성부재(313)는 탄성 성질을 가진 스프링으로써, 제2 접점쌍(311, 312)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제2 버튼캡(310)에 탄성을 가하도록 제2 버튼캡(310)의 하부면 양측과 하우징(302)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2 버튼캡(310)의 제2 접점(311)과 하우징(302)의 제2 접점(312)이 서로 단속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제1 접점(301, 303)쌍의 제1 접점신호가 입력되면, 제1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1 동작은 예를 들면, 숫자가 입력되는 동작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2 접점(311, 312)쌍의 제2 접점신호가 입력되면, 리셋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버튼 스위치(100)의 제1 푸시버튼(101)과 제2 푸시버튼(102)의 동작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푸시버튼이 동작하는 통합버튼 스위치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1 푸시버튼(101)이 눌러지면, 제1 푸시버튼(101)의 제1 버튼캡(300)에 형성된 제1 접점(301)과 하우징(302)에 형성된 제1 접점(303)은 서로 접촉되어 제1 접점신호를 출력한다. 즉, 사용자는 제2 푸시버튼(102)의 제2 버튼캡(310)에 형성된 제2 접점(311)이 하우징(302)에 형성된 제2 접점(312)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푸시버튼(101)을 누른다. 이에 따라, 제1 푸시버튼(101)의 제1 버튼캡(300)에 형성된 제1 접점(301)과 하우징(302)에 형성된 제1 접점(303)만이 서로 접촉되어 제1 접점신호를 출력한다. 제1 접점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110)는 제1 감지부(120)를 통해 제1 접점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감지하고, 제1 동작 처리부(121)를 통해 숫자 입력과 같은 제1 동작이 수행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숫자와 같은 제1 동작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6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푸시버튼이 동작하는 통합버튼 스위치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2 푸시버튼(102)이 눌러지면, 제2 푸시버튼(102)의 제2 버튼캡(310)에 형성된 제2 접점(311)과 하우징(302)에 형성된 제2 접점(312)은 서로 접촉되어 제2 접점신호를 출력한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푸시버튼(101)의 제1 접점쌍이 접촉되지 않도록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제2 푸시버튼(102)을 누른다. 이에 따라, 제2 푸시버튼(102)의 제2 버튼캡(310)에 형성된 제2 접점(311)과 하우징(302)에 형성된 제2 접점(312)만이 서로 접촉되어 제2 접촉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제2 감지부(130)를 통해 제2 접점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고, 제2 감지부(130)를 통해 제2 접점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면, 리셋 처리부(131)를 통해 리셋 동작이 수행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전체 동작이 초기화처리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푸시버튼과 제2 푸시버튼이 동작하는 통합버튼 스위치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1 푸시버튼(102)이 하우징(302)의 상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눌러진다. 이에 따라, 제1 푸시버튼(101)의 제1 버튼캡(300)에 형성된 제1 접점(301)과 하우징(302)에 형성된 제1 접점(303)이 서로 접촉되어 제1 접점신호가 출력된다. 이후, 제2 푸시버튼(102)의 제2 버튼캡(310)에 형성된 제2 접점(311)과 하우징(302)에 형성된 제2 접점이 서로 접촉되어 제2 접점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1 푸시버튼(102)이 하우징(302)의 상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눌러짐에 따라, 제1 버튼캡(300)의 하단의 걸림턱에 의해 제2 버튼캡(310)이 하우징(302)의 하단쪽으로 내려간다. 이에 따라, 제2 버튼캡(310)에 형성된 제2 접점(311)과 하우징(302)에 형성된 제2 접점(312)이 서로 접촉되어 제2 접점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제3 감지부(140)를 통해 제1 접점신호와 제2 접점신호가 모두 입력되는지를 감지한다. 제1 접점신호와 제2 접점신호가 모두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체크부(141)를 통해 제1 접점신호와 제2 접점신호가 기설정된 시간만큼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제1 접점신호와 제2 접점신호가 기설정된 시간만큼 기설정된 시간만큼 입력된 것으로 체크되면, 제어부(110)는 온오프 처리부(143)를 통해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제1 접점신호와 제2 접점신호가 기설정된 시간만큼 기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된 것으로 체크되면, 제어부(110)는 온오프 처리부(143)를 통해 예를 들면, 통화 입력과 같은 제2 동작이 수행되도록 처리한다. 이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통합버튼 스위치(100)를 통해 전자 장치 제1 동작 또는 제2 동작 또는 리셋 동작 또는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통합 버튼 스위치 101 : 제1 푸시버튼
102 : 제2 푸시버튼 103 : 통공
110 : 제어부 120 : 제1 감지부
121 : 제1 동작 처리부 130 : 제2 감지부
131 : 리셋 처리부 140 : 제3 감지부
141 : 체크부 142 : 제2 동작 처리부
143 : 온오프 처리부 300 : 제1 버튼캡
301, 303 : 제1 접점 302 : 하우징
304 : 제1 탄성부재 305 : 박막
310 : 제2 버튼캡 311, 312 : 제2 접점
313 : 제2 탄성부재

Claims (10)

  1. 상면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제1 푸시버튼과, 상기 제1 푸시버튼의 작동에 의해 단속되는 제1 접점쌍과, 상기 통공의 내부에 상기 제1 푸시버튼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2 푸시버튼과, 상기 제2 푸시버튼의 작동에 의해 단속되는 제2 접점쌍을 포함하는 통합버튼 스위치와;
    상기 제1 접점쌍의 제1 접점신호가 입력되면 제1 동작이, 상기 제2 접점쌍의 제2 접점신호가 입력되면 리셋 동작이, 상기 제1 접점쌍의 제1 접점신호와 상기 제2 접점쌍의 제2 접점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제 2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시버튼은:
    상기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점쌍 중 하나의 제1 접점이 형성되는 제1 버튼캡과;
    상기 제1 버튼캡의 상부가 노출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버튼캡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접점쌍 중 나머지 제1 접점이 상기 제1 버튼캡에 형성된 제1 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접점쌍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버튼캡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1 버튼캡은:
    상기 통공이 형성된 상면 중앙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탄력 재질의 박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접점쌍 중 하나의 제2 접점이 그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푸시버튼은
    상기 제1 버튼캡의 통공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제1 버튼캡의 하부보다 높이가 낮게 돌출된 하단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점쌍 중 나머지 제2 접점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 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버튼캡과;
    상기 제2 접점쌍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버튼캡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접점쌍의 제1 접점신호와 상기 제2 접점쌍의 제2 접점신호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모두 입력되면 전원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7. 상면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제1 푸시버튼과;
    상기 제1 푸시버튼의 작동에 의해 단속되는 제1 접점쌍과;
    상기 통공의 내부에 상기 제1 푸시버튼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2 푸시버튼과;
    상기 제2 푸시버튼의 작동에 의해 단속되는 제2 접점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푸시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제1 접점쌍에 의해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접점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제2 푸시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제2 접점쌍에 의해 리셋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접점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제1 푸시버튼과 제2 푸시버튼이 동시에 눌려지면 상기 제1 접점쌍에 의해 제1 접점신호와 상기 제2 접점쌍에 의해 제2 접점신호가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시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버튼 스위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시버튼은:
    상기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점쌍 중 하나의 제1 접점이 형성되는 제1 버튼캡과;
    상기 제1 버튼캡의 상부가 노출되게 상기 제1 버튼캡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접점쌍 중 나머지 제1 접점이 상기 제1 버튼캡에 형성된 제1 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접점쌍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버튼캡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버튼 스위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제1 푸시버튼은:
    상기 통공이 형성된 상면 중앙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탄력 재질의 박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버튼 스위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접점쌍 중 하나의 제2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푸시버튼은
    상기 제1 버튼캡의 통공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제1 버튼캡의 하부보다 높이가 낮게 돌출된 하단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점쌍 중 나머지 제2 접점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 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버튼캡과;
    상기 제2 접점쌍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버튼캡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버튼 스위치.
KR2020100001861U 2010-02-22 2010-02-22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KR200459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861U KR200459462Y1 (ko) 2010-02-22 2010-02-22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861U KR200459462Y1 (ko) 2010-02-22 2010-02-22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378U KR20110008378U (ko) 2011-08-30
KR200459462Y1 true KR200459462Y1 (ko) 2012-03-27

Family

ID=4559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861U KR200459462Y1 (ko) 2010-02-22 2010-02-22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4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98B1 (ko) * 2015-11-16 2016-07-14 조경민 범죄예방 스마트 반지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스마트 알림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411Y1 (ko) * 1989-03-30 1991-07-25 주식회사 신창전기 다접점 푸시 스위치 장치
KR970019630U (ko) * 1995-10-31 1997-05-26 대우전자주식회사 이중 스위치 구조
KR20070122364A (ko) * 2006-06-26 2007-12-31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KR20090059050A (ko) * 2007-12-05 2009-06-10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푸시 스위치 및 가동 접점이 부착된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411Y1 (ko) * 1989-03-30 1991-07-25 주식회사 신창전기 다접점 푸시 스위치 장치
KR970019630U (ko) * 1995-10-31 1997-05-26 대우전자주식회사 이중 스위치 구조
KR20070122364A (ko) * 2006-06-26 2007-12-31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KR20090059050A (ko) * 2007-12-05 2009-06-10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푸시 스위치 및 가동 접점이 부착된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98B1 (ko) * 2015-11-16 2016-07-14 조경민 범죄예방 스마트 반지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스마트 알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378U (ko)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45724B (zh) 具有防止误触功能的电容式按键模块
AU2014308618B2 (en) Remote control device
JP5561043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020604A (ja) 操作受付装置
CN204424128U (zh) 空心轴开关和空心轴键盘
KR100996664B1 (ko) 고정형 마우스
CN103311034B (zh) 按键及应用其的键盘
KR20140129812A (ko) 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
US20210141425A1 (en) Patch type controller
JP6122192B2 (ja) 電子機器
CN104076962A (zh) 一种触摸输入装置的状态控制方法及装置
KR200459462Y1 (ko) 통합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TWI550666B (zh) 按鍵
JP6464626B2 (ja) 操作キー
US20120006666A1 (en) Keyswitch and keyboard
KR20150031968A (ko) 단말기
JP2010262483A (ja) 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
JP6230119B2 (ja) 入力装置
JP3212436U (ja) キースイッチ、キーユニット及びコンピューターキーボード
KR20130092267A (ko) 태블릿 피씨용 입력장치
WO2018068538A1 (zh) 一种弹性按键及其终端设备
KR20140063149A (ko) 태블릿 피씨용 입력장치
KR20090018377A (ko) 키 패드 버튼 구조
TW201629708A (zh) 鍵盤
CN2922091Y (zh) 按键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