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433A - 점착제 및 첩부제 - Google Patents

점착제 및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433A
KR20070110433A KR1020077023057A KR20077023057A KR20070110433A KR 20070110433 A KR20070110433 A KR 20070110433A KR 1020077023057 A KR1020077023057 A KR 1020077023057A KR 20077023057 A KR20077023057 A KR 20077023057A KR 20070110433 A KR20070110433 A KR 20070110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oil
patch
ketoprofen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네히코 히라노
미유키 신무라
기요미 츠루다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0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4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7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rosin or other plant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hydrocarbon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Botan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점착성을 갖는 기제, 오일 및 케토프로펜을 함유하는 점착제로서, 상기 점착제는 L-멘톨을 함유하고 있지 않고, 상기 기제는, 적어도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 및/또는, 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로 구성되고, 상기 오일은, 상기 점착성 조성물 및 상기 점착성 고분자와 상용성이 있는 오일이고, 당해 오일의 함유량은, 상기 점착성 조성물 및 상기 점착성 고분자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0 ∼ 175 질량부인 점착제.

Description

점착제 및 첩부제{ADHESIVE AND ADHESIVE PATCH}
본 발명은 점착제 및 첩부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토프로펜을 함유하는 점착제 및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계 점착제에, 비스테로이드 소염 진통제를, 그 용해제 (로진에스테르 유도체와 L-멘톨로 구성된다) 와 함께 첨가한 소염 진통 첩부제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그런데,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첩부제에서는, 제조 중이나 보관 중에 L-멘톨과 약물의 반응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또, L-멘톨 특유의 악취를 좋아하지 않는 사용자도 있기 때문에, L-멘톨을 첨가하지 않아도 적당한 약물 방출성을 발휘하는 첩부제가 검토되어 왔다. 이러한 첩부제로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계 점착제에, 고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및 분산제 등을 소정량 첨가한 첩부제가 최근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공보 제2816765호
특허 문헌 2 : 국제공개공보 WO01/078690호 팜플렛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L-멘톨을 사용하지 않는 계에 있어서, 종래보다 증가되어, 약물의 흡수 효율이 높아 부착성도 우수하고, 또, 자극이 발생하기 어려운 첩부제가 요망되고 있고, 이러한 요구는 약물로서 케토프로펜을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현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L-멘톨을 함유하지 않는 케토프로펜 함유 점착제 및 첩부제로서, 경피 흡수성이 높고,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자극의 발생이 충분한 레벨까지 저감된 점착제 및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L-멘톨을 사용하지 않는 계에 있어서 약물로서 케토프로펜을 사용하였을 때에, 점착성 기제의 소정 성분과, 그 성분에 상용(相溶)성이 있는 오일을 소정 비로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점착성을 갖는 기제, 오일 및 케토프로펜을 함유하는 점착제로서, 상기 점착제는 L-멘톨을 함유하고 있지 않고, 상기 기제는, 적어도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 및/또는, 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로 구성되고, 상기 오일은, 상기 점착성 조성물 및 상기 점착성 고분자와 상용성이 있는 오일이고, 당해 오일의 함유량은, 상기 점착성 조성물 및 상기 점착성 고분자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0 ∼ 175 질량부인 점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 및 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에 대하여, 이들과 상용성을 갖는 오일을 소정량 사용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이로써, 높은 경피 흡수성, 우수한 피부에 대한 부착성, 자극의 효과적인 방지를 모두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 각질 박리를 막아 박리시의 통증이 저감된다.
이러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원인은 반드시 분명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다 많은 소정량의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점착 기제가 적당히 연화되고, 이것이 피부에 대한 밀착성을 높여, 충분한 경피 흡수성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추찰된다. 또, 점착 기제의 적당한 연화는, 사용시의 피부에 대한 추수성 (追隨性) 을 높임과 함께 박리시의 점착제의 변형 용이성을 초래하기 때문에, 밀착성 향상과 박리시의 통증 저감이 양립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추찰된다. 또, 점착제와 피부 계면에 있어서의 오일의 존재에 의해, 박리력이 저감됨과 함께 각질의 보호가 이루어져, 박리시의 각질 박리를 최저한으로 멈추어 통증이 저감되고, 자극도 방지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점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엘라스토머로는,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가 적합하고, 특히, 스티렌 함유량이 10 ∼ 30 질량% 또한 디블록체 함유량이 40 질량% 이하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엘라스토머로서, 이러한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를 사용하면, 경피 흡수성, 피부에 대한 부착성, 자극 방지 모두에 있어서 보다 현저한 개선이 도모되게 된다.
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 22 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가 적합하다. 여기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의미이다.
점착성 조성물 및 점착성 고분자와 상용성이 있는 오일은, 아몬드유, 올리브유, 동백유, 퍼식유, 땅콩유 및 유동 파라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일을 사용하면, 경피 흡수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나 자극의 개선 효과도 우수해진다.
케토프로펜의 함유량은 점착제 전체 질량 기준으로 0.5 ∼ 3 질량% 로 하면 좋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약물을 경피 흡수시킬 수 있게 된다.
케토프로펜의 함유량은 점착제 전체 질량 기준으로 2 질량% 로 하면 더욱 좋다. 이러한 값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케토프로펜의 혈중 농도가 얻어진다.
상기 서술한 점착제는 지지체를 수반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지지체 상에 상기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약물층을 구비하는 첩부제 (지지체 첨부 점착제) 도, 본 발명의 효과 (높은 경피 흡수성, 우수한 피부에 대한 부착성, 자극의 효과적인 방지, 각질 박리 방지에 기초하는 박리시의 통증 저감) 를 나타낸다.
이러한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기 위하여, 상기 약물층은, 지지체 상에 80 ∼ 210g/㎡ 의 도고량 (塗膏量) 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지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80 ∼ 150g/㎡ 의 직포 또는 부직포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직포란, 편포 (編布) 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경피 흡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시간 0 ∼ 72 시간에서의 케토프로펜의 혈중 농도 - 시간 곡선 하면적 (AUC(0-72 hr )) 을 1000 ∼ 3000ng·hr/㎖ 로 할 수 있고,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케토프로펜의 최고 혈중 농도 (Cmax) 를 50 ∼ 150ng/㎖ 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 상에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약물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점착제는, 점착성을 갖는 기제, 오일 및 케토프로펜을 함유하고, 또한 L-멘톨을 함유하고 있지 않고, 상기 기제는, 적어도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 및/또는, 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로 구성되고, 상기 오일은, 상기 점착성 조성물 및 상기 점착성 고분자와 상용성이 있는 오일이고, 상기 지지체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 섬유의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피부에 접하게 될 상기 약물층의 면적은 50 ∼ 150㎠ 이고, 또한, 상기 약물층을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시간 0 ∼ 72 시간에서의 케토프로펜의 혈중 농도 - 시간 곡선 하면적 (AUC(0-72 hr )) 이 1000 ∼ 3000ng·hr/㎖ 가 되는 첩부제이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상기 약물층을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케토프로펜의 최고 혈중 농도 (Cmax) 가 50 ∼ 150ng/㎖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L-멘톨을 함유하지 않는 케토프로펜 함유 점착제 및 첩부제로서, 경피 흡수성이 높고,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자극의 발생이 충분한 레벨까지 저감된 점착제 및 첩부제가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점착제 및 첩부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점착성을 갖는 기제, 오일 및 케토프로펜을 함유하는 점착제로서, L-멘톨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다.
점착제가 L-멘톨을 함유하지 않음으로써, 케토프로펜과 같은 카르복실기를 갖는 약물과 L-멘톨이 공존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약물의 에스테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약물 중 경피 침투하여 실제로 약물로서 기능하는 분량이 감소하지 않고, 약물의 실질적인 방출량이 증가한다. 또, 에스테르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지방산 금속염 등의 에스테르화 억제제 등을 첨가할 필요가 없고, 처방에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케토프로펜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도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구체예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디에틸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는 피부에 첩부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점착성을 갖는 기제 (이하 간단히「기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가 필수 성분으로 된다. 여기서「점착성」이란, 적어도 적용 온도 (피부에 첩부하는 온도) 에 있어서 택을 갖고 있는 것을 말하고, 당해 온도에서 1Hz 에 있어서의 탄성률 E' 가 0.1MPa 이하 (Dahlquist's criterion) 이면 된다. 기제로는, 이러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면,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대표적인 기제로는, 엘라스토머에 점착 부여 수지를 첨가한 점착성 조성물과,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엘라스토머란, 고분자, 저분자에 관계없이, 폴리이소부틸렌을 제외한 것을 가리킨다.
점착성 조성물에는, 천연 고무에 점착 부여제를 첨가하여 점착성을 발현시킨 점착성 조성물, 합성 고무에 점착 부여제를 첨가하여 점착성을 발현시킨 점착성 조성물, 이들의 블렌드물 등을 들 수 있는데, 처방의 용이성에서, 합성 고무에 점착 부여제를 첨가하여 점착성을 발현시킨 점착성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성물로서 보다 바람직한 것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점착 부여제를 첨가한 것이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에 점착 부여제를 첨가한 점착성 조성물이다.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로는, 스티렌-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EPS) 를 들 수 있다. 이들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는, 리니어 (linear) 체, 디블록 (diblock) 체, 래디얼 (radial) 체, 스타 (star) 체 중 어느 골격을 갖고 있어도 되지만, 리니어체가 바람직하다. 리니어체는 합성 경로상 디블록체를 일부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디블록체를 일부 함유한 리니어체를 사용해도 된다. 또,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는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의 조합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의 구체예로는, 크레이톤 D-1112, D-1111, D-1107 (상품명, 크레이톤 폴리머 (주) 제조), JSR5000 또는 JSR5002 (상품명, 니혼 합성 고무 (주) 제조), 퀸택 3530, 3421 또는 3570C (상품명, 니혼 제온 (주) 제조), 크레이톤 D-KX401CS 또는 D-1107CU (상품명, 크레이톤 폴리머 (주) 제조) 등의 리니어 트리블록 코폴리머나, 크레이톤 D-1124 (상품명, 크레이톤 폴리머 (주) 제조), 솔푸렌 418 (상품명, 필립 패트롤리엄 (주) 제조) 등의 분기 블록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로서 바람직한 것은, 스티렌 함유량이 10 ∼ 30 질량% 또한 디블록체 함유량이 40 질량% 이하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이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스티렌 함유량이 15 ∼ 30 질량% 또한 디블록체 함유량이 30 질량% 이하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이다. 스티렌 함유량은 15 ∼ 25 질량% 가, 디블록체 함유량은 2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경피 흡수성 및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보다 우수해지고, 자극의 발생도 보다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20 질량% 이상이라는 높은 스티렌 함유량이나, 20 질량% 이하라는 낮은 디블록체의 함유량은,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의 경도를 향상시키고, 점착 부여제와 혼합하여 얻어지는 점착성 조성물의 경도도 향상시키지만, 이러한 딱딱한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를 굳이 사용하고, 종래 사용되고 있는 것보다 많은 함유량의 오일을 사용하면, 처음부터 부드러운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를 사용하고 거기에 소량의 오일을 첨가한 경우와 비교하여, 경피 흡수성, 피부에 대한 부착성, 자극 방지의 모두에 있어서 보다 현저한 개선이 도모되게 된다.
점착 부여제는, 엘라스토머에 점착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로진계 수지 또는 석유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로진계 수지로는, 천연 수지 로진, 변성 로진, 로진에스테르 (로진글리세린에스테르, 로진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등), 수소첨가 로진에스테르 (수소첨가 로진글리세린에스테르, 수소첨가 로진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등) 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피부 자극성, 내노화성의 관점에서 수소첨가 로진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수소첨가 로진글리세린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석유계 수지로는, C5 계 합성 석유 수지 (이소프렌, 시클로펜타디엔, 1,3-펜타디엔, 1-펜텐 중 적어도 2 종의 공중합체 ; 2-펜텐, 디시클로펜타디엔 중 적어도 2 종의 공중합체 ; 1,3-펜타디엔 주체의 수지 등), C9 계 합성 석유 수지 (인덴, 스티렌, 메틸인덴, α-메틸스티렌 중 적어도 2 종의 공중합체 등),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합성 석유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을 주체로 하는 이소프렌 및/또는 1,3-펜타디엔의 공중합체 등) 등을 들 수 있고, 내후성 및 점착 기제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C9 계 합성 석유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석유계 수지로는, 다른 분류의 관점에서, 지환족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계 수소첨가 석유 수지, 지방족계 석유계 수지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계 수소첨가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점착력, 점착 기제와의 상용성, 내노화성의 관점에서 지환족 석유 수지, 지환족계 수소첨가 석유 수지가 바람직하고, 지환족계 수소첨가 석유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석유계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알콘-P70, 알콘-P90, 알콘-P100, 알콘-P115, 알콘-P125 (상품명,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 에스코레츠 8000 (상품명, 엣소 석유 (주)) 등을 들 수 있고,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의 조합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의 배합 비율은, 적어도 적용 온도 (피부에 첩부하는 온도) 에 있어서 택이 발생하도록 결정하면 된다. 전형적인 배합량은,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점착 부여제는 10 ∼ 100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50 ∼ 20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5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120 질량부) 이다.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 외에, 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도 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 22 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를 들 수 있고, 이 고분자는 점착 부여제의 첨가 없이도 점착성을 갖고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4 ∼ 22 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는,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의 조합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의 점착성 고분자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 22 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뿐만 아니라, 다른 모노머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코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다른 모노머로는 단독 중합하였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 (DSC 로 승온 5℃ 에서 측정) 가 50℃ 이상이 되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코폴리머인 경우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4 ∼ 22 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다른 모노머의 질량비는, 폭스식을 사용하여 유리 전이 온도 (Tg) 가 점착제의 사용 온도 (전형적으로는 25℃ 정도의 실온) 미만이 되도록 산출하거나, 중합물의 동적 점탄성 (주파수 1Hz 정도) 을 측정하여 사용 온도 (전형적으로는 25℃ 정도의 실온)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106dyne/㎠ 인 오더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전자 : 후자로 질량비 90 ∼ 98 : 2 ∼ 10 이다.
기제는 복수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의 2 종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블렌드물, 혹은 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의 2 종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블렌드물이어도 된다. 또한,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과,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의 블렌드물이어도 된다. 이 경우의 블렌드비 (질량비) 는, 전자 : 후자가 10 ∼ 90 : 90 ∼ 10 이 바람직하고, 20 ∼ 80 : 80 ∼ 20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기제는 상기 점착성 조성물과 점착성 고분자 이외의 점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점착제는, 상기 서술한 점착성 조성물 및 점착성 고분자와 상용성이 있는 오일을 함유하고, 그 오일의 함유량은, 점착성 조성물 및/또는 점착성 고분자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0 ∼ 175 질량부이다.
여기서 오일로는, 아몬드유, 올리브유, 동백유, 퍼식유, 땅콩유 및 유동 파라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유동 파라핀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오일의 함유량은, 기제 중에 함유되는「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및/또는「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만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기제 중에 이들 이외의 화합물 (예를 들어, 총 탄소가 4 인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폴리이소부틸렌) 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그것이 점착성이라도 오일 함유량의 산출 기준으로는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L-멘톨 비함유 또한 케토프로펜 함유라는 조건 아래,「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및「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0 ∼ 175 질량부의 오일을 사용하였을 때에, 경피 흡수성, 피부에 대한 부착성, 자극의 모두를 개선할 수 있다는 신규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오일의 함유량이 150 질량부 미만에서는, 약물 방출성이나 경피 흡수성이 감소하고, 175 질량부를 초과하면 끈적임이 발생하기 쉬워 피부에 대한 부착성도 저하되고, 박리 중에 점착제가 응집 파괴되는 경우가 있다. 오일의 함유량은, 상기 특성이 최적화되는 점에서, 150 ∼ 17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55 ∼ 165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제 전체로서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이하와 같다. 먼저, 케토프로펜은 점착제 전체 질량 기준으로 0.5 ∼ 3 질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 2.5 질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질량%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케토프로펜 이외의 약물의 첨가를 금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케토프로펜의 약효는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점착성을 갖는 기제 및 오일의 합계 중량은, 점착제로부터 케토프로펜의 함유량을 제외한 잔여의 80 ∼ 100 질량% (바람직하게는 90 ∼ 100 질량%, 나아가서는 95 ∼ 99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값이 100 질량% 일 때에는, 점착제는 점착성을 갖는 기제, 오일 및 케토프로펜만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100 질량% 미만일 때에는 후술하는 다른 첨가 성분을 함유하게 된다. 또한, 점착성을 갖는 기제는,「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및/또는「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합이 용이하고 무용제에서의 배합이 가능한 점에서,「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점착제가, 점착성을 갖는 기제, 오일 및 케토프로펜을 함유하고, 또한 L-멘톨을 함유하고 있지 않고, 상기 기제는, 적어도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 및/또는, 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로 구성되고, 상기 오일은, 상기 점착성 조성물 및 상기 점착성 고분자와 상용성이 있는 오일임으로써, 점착제 중의 케토프로펜을 용해시킨 상태로 존재시킬 수 있게 된다.
통상, 약물을 점착제 중에 용해 상태로 존재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용해제가 필요하다. 종래의 케토프로펜 함유 첩부제에 있어서는, L-멘톨 등이 용해제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놀랍게도 용해제를 존재시키지 않고, 상기 엘라스토머나 오일에 의해 케토프로펜을 점착제 중에 용해 상태로 존재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게다가, 이러한 용해 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점착제를 피부에 첩부하였을 때의, 시간 0 ∼ 72 시간에서의 케토프로펜 혈중 농도 - 시간 곡선 하면적 (AUC(0-72hr)) 이 1000 ∼ 3000ng·hr/㎖ 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점착제에 첨가할 수 있는 필수 성분 이외의 성분으로는, 항산화제, 충전제, 가교제,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흡수 촉진제, 각종 폴리머 (점착성 또는 비점착성)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로는, 토코페롤 및 그 에스테르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스테아르산에스테르, 노르디히드로구아야레틴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이 바람직하다.
충전제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염 (예를 들어,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등), 규산, 황산바륨, 황산칼슘, 아연산칼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등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는, 열경화성 수지 (아미노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같은 유기계 가교제나,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과 같은 무기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이 바람직하고, 자외선 흡수제로는, p-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안트라닐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아미노산계 화합물, 이미다졸린 유도체, 피리딘 유도체, 디옥산 유도체 등이 바람직하다.
흡수 촉진제로는, d-리모넨 등의 테르펜유,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세바스산디에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에이존, 1-[2-(데실티오)에틸]아자시클로펜탄-2-온 등의 아자시클로알칸류, 올레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등의 고급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폴리머로는, 총 탄소수 2 ∼ 4 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고분자 (예를 들어 폴리이소부틸렌) 를 들 수 있고, 당해 고분자는 점착성이어도 되고 비점착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폴리머 성분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이 함유량을 점착제 전체 질량 기준으로 5 ∼ 15 질량% 로 하고, 점착성을 갖는 기제 및 오일의 합계 중량을 동일 기준으로 80 ∼ 90 질량% 로 하고, 케토프로펜을 0.5 ∼ 3 질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이소부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도 평균 분자량 (스타우딩거) 이 10,000 ∼ 20,000 (바람직하게는 10,000 ∼ 15,000) 인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과, 점도 평균 분자량 (스타우딩거) 이 50,000 ∼ 150,000 (바람직하게는 60,000 ∼ 120,000) 인 고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점착제는 그것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지지체 상에 도고하여 약물층으로 하고, 첩부제 (지지체 첨부 점착제) 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체 상에 80 ∼ 210g/㎡ 의 도고량이 되도록 약물층을 형성하면 된다. 도고량은 바람직하게는 100 ∼ 200g/㎡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180g/㎡ 이다.
상기 지지체는 단층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적층 구조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이한 수지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직포 (편포를 포함한다) 또는 부직포를 적층한 구조이어도 된다. 직포 또는 부직포는, 통상적인 첩부제에 사용하는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 섬유의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약물과의 상호 작용이 적은 폴리에스테르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직포가 바람직하다.
또, 지지체의 겉보기 중량은 80 ∼ 150g/㎡ 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범위라면 점착제를 지지체에 도포할 때에 점착제가 지지체의 그물코를 통하여 배어 나오지 않고, 또한 점착제와의 투묘성 (投錨性) 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지지체는, 첩부제로서의 충분한 신축성을 고려하면, 세로 방향 (장축 방향) 50% 모듈러스가 2 ∼ 12N/5㎝, 가로 방향 (단축 방향) 50% 모듈러스가 2 ∼ 8N/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법 : JIS L1018)
또한, 약물층 상에는 이것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적층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점착제는,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에, 시간 0 ∼ 72 시간에서의 케토프로펜의 혈중 농도 - 시간 곡선 하면적 (AUC(0-72 hr )) 이 1000 ∼ 3000ng·hr/㎖ 이면 된다. 이러한 범위의 AUC(0-72 hr ) 이면, 충분한 소염 진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간 0 ∼ 72 시간에서의 케토프로펜의 혈중 농도 - 시간 곡선 하면적은, 1200 ∼ 2800ng·hr/㎖ 가 보다 바람직하고, 1300 ∼ 2500ng·hr/㎖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서술한 점착제는,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에, 최고 혈중 농도 (Cmax) 가, 50 ∼ 150ng/㎖ 이면 더욱 좋다. 이러한 범위의 Cmax 이면, 충분한 소염 진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최고 혈중 농도는 60 ∼ 150ng/㎖ 가 보다 바람직하고, 65 ∼ 140ng/㎖ 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최고 혈중 농도는, 점착제를 피부에 72 시간 접촉시킨 후의 채혈 샘플로부터 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혈중에 있어서의 AUC 및 Cmax 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제는, L-멘톨을 배합하지 않고도 충분한 소염 진통 효과를 갖는다.
상기 첩부제는, 이하의 (1) 및 (2) 중 적어도 일방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되고, 그 면적 (사이즈) 은 한정되지 않는다.
(1) 약물층을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에, 시간 0 ∼ 72 시간에서의 케토프로펜의 혈중 농도 - 시간 곡선 하면적 (AUC(0-72 hr )) 이 1000 ∼ 3000ng·hr/㎖
(2) 약물층을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에, 케토프로펜의 최고 혈중 농도 (Cmax) 가 50 ∼ 150ng/㎖
그러나, 자극을 더욱 유효하게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피부에 접하게 될 상기 약물층의 면적은 50 ∼ 150㎠ 가 바람직하고, 60 ∼ 80㎠ 가 보다 바람직하고, 70㎠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약물층은, 1㎠ 당 8 ∼ 21㎎ 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 18㎎ 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5㎎ 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점착제 및 첩부제는, 모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성을 갖는 기제, 오일 및 케토프로펜을 유기 용제 중에서 충분히 교반시킴으로써 점착제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것을 지지체 상에 도포하여 유기 용제를 제거하면 첩부제가 얻어진다. 특히, 점착성을 갖는 기제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베이스로 한 것을 채용하면,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열 용융시켜 혼합하는 방법에 의해 점착제 및 첩부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부」란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질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표 1, 실시예 1 의 조성으로,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 첩부제를 제조하였다. 즉, 상기 처방 중의 케토프로펜 이외의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로 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가열 교반하여 용해물로 하였다. 이어서, 이 용해물 중에 케토프로펜을 첨가하고, 가열 교반하여 균일한 용해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해물을 지지체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상에,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두께가 150㎛ 가 되도록 전연 (展延) 한 후에, 박리 피복물 (폴리에스테르 필름) 로 덮고, 냉각 후에 원하는 크기로 재단하여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2 ∼ 6, 비교예 1 ∼ 3)
조성을 표 1, 실시예 2 ∼ 6 및 비교예 1 ∼ 3 의 조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의 제조 방법에 따라 각 첩부제를 제조하였다.
조성(질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점착성 조성물 엘라스토머-[스티렌-이소프로렌-스티레블록코폴리머(스티렌/이소프로렌비: 22/78, 디블록량:18% 용액점도:1000cps (25%톨루엔 용액, 25℃))] 17.34 17.34 18.89 17.83 18.61 17.58 18.34 15.8 21.04
점착 부여제 [수소첨가 로진 글리세린 에스테르] 16.01 16.01 14.53 13.71 15.75 14.88 16.93 20.3 9.16
오일 유동파라핀 55.31 55.31 54.41 56.86 53.62 56.07 52.86 52.49 59.33
약물 케토프로펜 2 2 2 2 2 2 2 2 2
기타 폴리머 폴리이소부틸렌 9.34 9.34 10.17 9.6 10.02 9.47 9.87 9.41 8.47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첩부제에 있어서, 엘라스토머 및 점착 부여제의 합계 (점착성 조성물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한 오일의 양은, 표 2 와 같았다.
점착성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한 오일의 양 (질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오일 160.0 160.0 156.5 173.9 150.0 166.7 144.0 140.0 190.0
[케토프로펜의 혈중 농도 - 시간 곡선 하면적 및 최고 혈중 농도의 측정]
실시예 1 의 첩부제 (피부에 접하게 될 약물층의 면적 70㎠, 1g 도포 두께) 를 건강한 성인에 부착하여, 24 시간 후에 박리하고, 박리 후 72 시간까지 채혈 샘플을 채취하였다. 각 채혈 샘플을 처리하고, 얻어진 혈장 중의 케토프로펜 농도를 LC/MS 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 결과, 실시예 1 의 혈중 농도 - 시간 곡선 하면적 (AUC(0-72 hr )) 은 1450ng·hr/㎖, 최고 혈중 농도 (Cmax) 는 77ng/㎖ 이었다.
[첩부제의 점착력 평가]
실시예 2 ∼ 6 및 비교예 2 ∼ 3 의 첩부제에 대하여, 하기 프로브 택 시험법에 따라, 첩부제의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 3 과 같이, 실시예 2 ∼ 6 의 첩부제가 양호한 점착력을 나타낸 것에 반하여, 비교예 2 의 첩부제는 실시예 2 ∼ 6 의 점착제에 비해 점착력이 높고, 비교예 3 의 첩부제는 실시예 2 ∼ 6 의 점착제에 비해 점착력이 낮았다. 각 실시예의 첩부제가 양호한 점착력을 갖고, 또, 점착성 조성물과 오일의 비를 바꿈으로써, 첩부제의 점착력 (택) 을 적절한 힘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프로브 택 시험법>
첩부제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고, ASTM D 2979 에 준거하고, 프로브 택 시험기를 사용하여, 직경 5㎜ 의 베이클라이트제 원주 (프로브) 의 일방의 저면과, 시험편의 점착제층 표면을 접촉 가중 0.98N/㎠, 접촉 시간 1.0 초로 접촉시킨 후, 프로브를 점착제층 표면의 수선 방향으로 떼어 놓아 속도 5㎜/s 로 떼어 놓을 때에 필요로 하는 힘 [gf] 를 측정한다. 첩부제는, 5 개의 시험편에 대하여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프로브 택치로 하였다.
[첩부제의 점착력 평가 2]
실시예 2 및 비교예 2, 3 의 첩부제에 대해서는, 하기 필 시험법에 따라 첩부제의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점착성 조성물과 오일의 비를 바꿈으로써, 첩부제의 점착력 (필) 도 대응하여 변화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필 시험법>
첩부제를 폭 20㎜, 길이 약 100㎜ 의 시험편으로 하고, 페놀 수지제의 시험판에 롤러로 점착시켜, 인스트롱 인장 시험기로 300㎜/min 의 속도로 180 도 박리할 때의 하중을 구하였다.
[첩부제의 부착성 평가]
실시예 2 및 비교예 2 ∼ 3 의 첩부제에 대하여, 하기의 부착성 평가법에 따라, 첩부제의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의 첩부제는 박리가 관찰되지 않고 양호한 부착성을 갖고 있었음에 반하여, 비교예 3 의 첩부제는 그 외연 부분이 피부로부터 박리되기 쉬워, 부착성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부착성의 평가 방법>
첩부제를 폭 10㎝, 길이 14㎝ 의 시험편으로 하고, 건강한 성인의 전완 내측에 6 시간 첩부한 후, 첩부제의 부착 상태를 관찰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 : 박리 부분이 없고, 양호한 부착성을 갖는다.
B : 첩부제의 외연 부분이 박리되어, 부착성이 충분하지 않다.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2 비교예3
프로브택 시험(gf) 65.4 68.8 64.0 71.8 68.0 95.2 52.2
필 시험(N) 0.44 - - - - 0.58 0.34
부착성 A - - - - A B
[첩부제에 의한 피부 각질 박리의 평가]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의 첩부제를, 건강한 성인의 전완 내측에 6 시간 첩부한 후, 이것을 박리하여, 첩부제의 점착층의 표면에 부착된 각질 (세포) 을 하기의 방법으로 청색으로 염색 처리하고, 전체 점착면에서 차지하는 각질의 부착 부분의 비율을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 의 첩부제는, 피부로부터의 각질의 박리가 비교적 적었던 것에 반하여, 비교예 2 의 첩부제는, 피부로부터의 각질이 거의 전체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즉, 실시예 2 의 첩부제는, 첨부 후에도 피부 상태가 유지되는 데 반하여, 비교예 2 의 첩부제는, 피부로부터 각질층이 박리되고, 이것이 첩부제에 의한 피부 자극의 한 요인이 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염색 및 평가 방법>
닛토 기보 Vol.28, No.1, p50-57, July 1990 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성인으로부터 박리한 첩부제를 염색액 (Gentian Violet 1.0%, Brilliant Green 0.5%, Distilled Water 98.5%) 중에 1 분간 침지시킨 후, 증류수로 세정하고, 점착제면의 염색 상태에 따라 피부로부터의 각질의 박리 정도를 평가한다. 또한, 각질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점착면은, 염색되지 않는다.
[첩부제로부터의 약제 방출성의 평가]
실시예 2 ∼ 5 의 첩부제에 대하여, 하기 수방출 시험에 의해, 첩부제로부터의 약제 (케토프로펜) 의 방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 4 와 같이, 각 실시예의 첩부제는 양호한 약제 방출성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수방출 시험>
미국 약국방 방출 시험법에 기재된 회전 실린더에 의한 수방출 시험에 준하여, 하기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시험액 = 증류수, 액온 = 37℃, 실린더 하단과 용기 바닥 내면의 거리 = 12㎜, 회전수 = 50rpm 의 조건으로 시험편을 실린더에 유지하고, 시험 개시로부터 0 시간, 0.5 시간, 1.5 시간 및 4 시간 후에 시험액을 채취하고, HPLC 법에 따라 방출된 케토프로펜의 양을 정량하여, 이론 함량에 대한 방출량을 % 로 구하였다 (n = 6).
방출률(%)
시간(hr)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0 0 0 0 0 0
0.5 26.5 24.9 25.4 22.6 24.3
1.5 46.9 46.6 47.8 42.6 46.0
4.0 80.2 75.9 77.1 70.7 74.7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제 및 첩부제는 양호한 피부 부착성을 갖고, 자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약물의 흡수 효율이 높은, 우수한 점착제 및 첩부제이다.

Claims (15)

  1. 점착성을 갖는 기제, 오일 및 케토프로펜을 함유하는 점착제로서,
    상기 점착제는 L-멘톨을 함유하고 있지 않고,
    상기 기제는 적어도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 및/또는, 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로 구성되고,
    상기 오일은 상기 점착성 조성물 및 상기 점착성 고분자와 상용(相溶)성이 있는 오일이고, 당해 오일의 함유량은 상기 점착성 조성물 및 상기 점착성 고분자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0 ∼ 175 질량부인 점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인 점착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스티렌 함유량이 10 ∼ 30 질량% 또한 디블록체 함유량이 40 질량% 이하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인 점착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 22 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 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인 점착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아몬드유, 올리브유, 동백유, 퍼식유, 땅콩유 및 유동 파라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점착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토프로펜의 함유량은 점착제 전체 질량 기준으로 0.5 ∼ 3 질량% 인 점착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토프로펜의 함유량은 점착제 전체 질량 기준으로 2 질량% 인 점착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시간 0 ∼ 72 시간에서의 케토프로펜의 혈중 농도 - 시간 곡선 하면적 (AUC(0-72 hr )) 이 1000 ∼ 3000ng·hr/㎖ 가 되는 점착제.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케토프로펜의 최고 혈중 농도 (Cmax) 가 50 ∼ 150ng/ ㎖ 가 되는 점착제.
  10. 지지체 상에,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약물층을 구비하는 첩부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층이 상기 지지체 상에 80 ∼ 210g/㎡ 의 도고량(塗膏量) 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첩부제.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첩부제.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80 ∼ 150g/㎡ 의 직포인 첩부제.
  14. 지지체 상에,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약물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점착제는 점착성을 갖는 기제, 오일 및 케토프로펜을 함유하고, 또한 L-멘톨을 함유하고 있지 않고,
    상기 기제는 적어도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조성물, 및/또는, 총 탄소수 5 이상의 불포화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점착성 고분자로 구성되고,
    상기 오일은 상기 점착성 조성물 및 상기 점착성 고분자와 상용성이 있는 오일이고,
    상기 지지체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 섬유의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피부에 접하게 될 상기 약물층의 면적은 50 ∼ 150㎠ 이고,
    또한, 상기 약물층을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시간 0 ∼ 72 시간에서의 케토프로펜의 혈중 농도 - 시간 곡선 하면적 (AUC(0-72 hr )) 이 1000 ∼ 3000ng·hr/㎖ 가 되는 첩부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층을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케토프로펜의 최고 혈중 농도 (Cmax) 가 50 ∼ 150ng/㎖ 가 되는 첩부제.
KR1020077023057A 2005-03-10 2006-03-09 점착제 및 첩부제 KR200701104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6006505P 2005-03-10 2005-03-10
US60/660065 2005-03-10
JP2005067750 2005-03-10
JPJP-P-2005-00067750 2005-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433A true KR20070110433A (ko) 2007-11-16

Family

ID=3695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057A KR20070110433A (ko) 2005-03-10 2006-03-09 점착제 및 첩부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864655B1 (ko)
KR (1) KR20070110433A (ko)
CN (1) CN101137356B (ko)
AU (1) AU2006221389B2 (ko)
BR (1) BRPI0607464B8 (ko)
CA (1) CA2599290C (ko)
HK (1) HK1114775A1 (ko)
WO (1) WO200609582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039A (ko) * 2015-02-05 2017-09-27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첩부제
KR20180038018A (ko) * 2015-09-29 2018-04-13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투명점착시트,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
US11447662B2 (en) 2015-11-26 2022-09-20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laminated body, and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US11466185B2 (en) 2015-05-08 2022-10-11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laminate and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49142A (en) 2006-08-04 2013-07-15 Hisamitsu Pharmaceutical Co Adhesive preparation
CA2713946C (en) 2008-01-31 2015-12-15 Tomomi Okada Adhesive patch
ES2897696T3 (es) * 2013-06-12 2022-03-02 Km Transderm Ltd Hoja adhesiva para aplicación sobre la piel y preparación de absorción percutánea que utiliza la misma
WO2015129808A1 (ja) 2014-02-27 2015-09-03 久光製薬株式会社 ケトプロフェン含有パップ剤
CN106692110B (zh) * 2015-08-19 2019-12-17 天津市山佳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芳基丙酸类非甾体抗炎药贴剂及其制备方法
AU2017205773B2 (en) * 2016-01-04 2020-07-02 Zoetis Services Llc Drug release device and use
BR112020024923A2 (pt) * 2018-06-19 2021-03-09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Sistema terapêutico transdérmico contendo rivastigmina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28313T2 (de) * 1991-08-30 1999-09-2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Entzündungshemmendes, analgetisches pflaster
DE69535737T2 (de) * 1994-09-16 2009-04-09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Tosu-shi Pflaster zur externen anwendung
JP3499247B2 (ja) * 1996-12-06 2004-02-23 久光製薬株式会社 フェルビナク含有貼付剤
EP1269999B1 (en) * 2000-03-17 2013-05-0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Ultraviolet-shielding patch
DK1277466T3 (da) * 2000-04-18 2011-10-17 Hisamitsu Pharmaceutical Co Plaster indeholdende et antiinflammatorisk middel
AU2001264256B2 (en) * 2000-06-13 2006-05-1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laster
US7988991B2 (en) * 2001-03-07 2011-08-0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patch
JP4157018B2 (ja) * 2003-11-10 2008-09-24 久光製薬株式会社 消炎鎮痛貼付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039A (ko) * 2015-02-05 2017-09-27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첩부제
US10292941B2 (en) 2015-02-05 2019-05-21 Hit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patch
US11466185B2 (en) 2015-05-08 2022-10-11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laminate and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KR20180038018A (ko) * 2015-09-29 2018-04-13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투명점착시트,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
US11530337B2 (en) 2015-09-29 2022-12-20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Optically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laminate, process for producing laminate, and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US11447662B2 (en) 2015-11-26 2022-09-20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laminated body, and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99290A1 (en) 2006-09-14
BRPI0607464A2 (pt) 2009-09-08
CN101137356B (zh) 2012-10-10
CN101137356A (zh) 2008-03-05
EP1864655A4 (en) 2012-10-24
EP1864655B1 (en) 2016-11-30
HK1114775A1 (en) 2008-11-14
AU2006221389A1 (en) 2006-09-14
BRPI0607464B1 (pt) 2018-05-22
AU2006221389B2 (en) 2011-04-28
CA2599290C (en) 2013-11-12
WO2006095820A1 (ja) 2006-09-14
BRPI0607464B8 (pt) 2021-06-22
EP1864655A1 (en)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0433A (ko) 점착제 및 첩부제
US6669953B1 (en) Block copolymer
EP0922453B1 (en) Percutaneous absorption type preparation containing tulobuterol
KR20090009235A (ko) 탐스로신 함유 경피흡수형 제재
EP2324860A2 (en) Med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20090004741A (ko) 패치 및 패치 제제
JP5185509B2 (ja) 貼付剤
US20100249236A1 (en) Adhesive and plaster
KR101080656B1 (ko) 첩부제
JP2007015963A (ja) 貼付剤
US20100092544A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patch and use thereof
JP5089376B2 (ja) 粘着剤及び貼付剤
KR20010049901A (ko) 펠비낙 함유 첩부제
AU2010331355B2 (en) Piroxicam-containing endermic preparation
KR101829920B1 (ko) 펜타닐 함유 외용 패치
US10828264B2 (en) Adhesive skin patch
JP5226230B2 (ja) 貼付剤用粘着剤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2015071591A (ja) ビソプロロール含有貼付製剤
AU2010331264B2 (en) Transdermal preparation containing basic anti-inflammatory agent
JP4792406B2 (ja) 経皮吸収型製剤
JP2018057611A (ja) 多層積層体
JP2004002246A (ja) 経皮吸収製剤用粘着剤
DE102011119043A1 (de)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TDS) mit Rotigotin
CZ9904757A3 (cs) Blokový kopoly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311

Effective date: 2011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