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114A - 재생 장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장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114A
KR20070053114A KR1020060112152A KR20060112152A KR20070053114A KR 20070053114 A KR20070053114 A KR 20070053114A KR 1020060112152 A KR1020060112152 A KR 1020060112152A KR 20060112152 A KR20060112152 A KR 20060112152A KR 20070053114 A KR20070053114 A KR 20070053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pherical aberration
aberration correction
focus bias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이치 사가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3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offset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 G11B7/13925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 G11B7/13927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during transducing, e.g. to correct for variation of the spherical aberration due to disc tilt or irregularities in the cover layer thickne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2007/13727Compound lenses, i.e. two or more lenses co-operating to perform a function, e.g. compound objective lens including a solid immersion lens, positive and negative lenses either bonded together or with adjustable spa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Abstract

본 발명은 평가치 특성의 등고선이 왜곡된 형상으로 얻어지는 경우에도,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가 적정하게 필요마진 센터 위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는, 미리 정해진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중심점을 소정의 검색 범위에서 이동한 때의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 내의 소정 복수점에서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을 각 이동점마다 얻고, 그들 각 이동점마다 상기 소정 복수점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 중 최악치를 대표치로 하고, 이들 각 이동점마다의 대표치중 상기 평가신호의 값이 소정 이상 양호하게 되는 어느 하나의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의거하여, 상기 구면수차 보정 수단과 상기 포커스 바이어스 수단에 설정되어야 할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조정되도록 하였다. 이로써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필요마진 센터 위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변환기, 포커스 서보 연산부, D/A 변환기, 가산기, 구면수차 보정 드라이버

Description

재생 장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방법{PLAYBACK EQUIPMENT, SPHERICAL ABERRATION REVISION VALUE AND FOCUS BIAS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실시 형태로서의 재생 장치의 내부 구성에 관해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가 구비하는 구면수차 보정 기구의 구성에 관해 예시한 도면.
도 3은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가 구비하는 서보 회로의 내부 구성에 관해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실시 형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의 기본 사상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 1의 실시 형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동작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마찬가지로 ,제 1의 실시 형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동작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 1의 실시 형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 동작에 관해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8은 제 1의 실시 형태의 다른 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제 2의 실시 형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동작에서의 2차함수의 생성 동작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마찬가지로, 제 2의 실시 형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동작에서의 2차함수의 생성 동작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마찬가지로, 제 2의 실시 형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동작에서의 2차함수의 생성 동작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제 2의 실시 형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동작에서 생성한 2차함수에 의거하여 행하여지는 각 측정점의 지터값 계산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제 2의 실시 형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 동작에 관해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4는 제 3의 실시 형태의 제 1예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동작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제 3의 실시 형태의 제 1예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 동작에 관해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6은 제 3의 실시 형태의 제 2예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동작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제 3의 실시 형태의 제 2예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 동작에 관해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8은 종래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구면수차 보정치를 횡축, 포커스 바이어스를 종축에 취한 경우에 있어서의 평가신호의 값(지터값)의 특성의 등고선을 2차원에 의해 도시한 도면.
도 19는 마찬가지로 구면수차 보정치를 횡축, 포커스 바이어스를 종축에 취한 경우에 있어서의 평가신호의 값(지터값)의 특성의 등고선을 3차원에 의해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10 : DSP
11, 21 : A/D 변환기 12 : 포커스 서보 연산부
13, 23, 25 : D/A 변환기 14 : 포커스 드라이버
15 : 가산기 16 : 포커스 바이어스 설정부
20 : 구면수차 보정치 설정부 22 : 트래킹 서보 연산부
24 : 트래킹 드라이버 26 : 구면수차 보정 드라이버
51 : 픽업 52 : 스핀들 모터(SPM)
53 : 스레드 기구 54 : 매트릭스 회로
55 : 리더/라이터(RW) 회로 55a : 평가기
56 : 변복조 회로 57 : ECC 인코더/디코더
58 : 워블 회로 59 : 어드레스 디코더
60 : 시스템 컨트롤러 61 : 서보 회로
62 : 스핀들 서보 회로 63 : 레이저 드라이버
87 : 엑스팬더 120 : AV 시스템
본 발명은, 광디스크 기록 매체에 대한 적어도 신호의 재생을 행하는 재생 장치와,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2-352449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10-269611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0-285484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평9-251645
특허 문헌 5 : 일본 특개2000-11388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CD(Compact Disc), MD(Mini-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광디스크(광자기 디스크를 포함한다)를 기록 미디어로 이용한 데이터 기록 기술이 있다. 광디스크란, 금속 박판을 플라스틱으로 보호한 원반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의 변화로 신호를 판독하는 기록 미디어의 총칭이다.
광디스크에는, 예를 들면 CD, CD-ROM, DVD-ROM 등으로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재생 전용 타입의 것과, MD, CD-R, CD-RW, DVD-R, DVD-RW, DVD+RW, DVD-RAM 등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유저 데이터가 기록 가능한 타입이 있다. 기록 가능 한 타입의 것은, 광자기 기록 방식, 상(相)변화 기록 방식, 색소막(色素膜) 변화 기록 방식 등이 이용됨으로써, 데이터가 기록 가능하게 된다. 색소막 변화 기록 방식은 라이트 원스 기록 방식이라고도 불리고, 한번만 데이터 기록이 가능하고 재기록 불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 보존 용도 등에 알맞게 된다. 한편, 광자기 기록 방식이나 상변화 기록 방식은,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하고, 음악, 영상,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을 위시하여 각종 용도에 이용된다.
또한 근래,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라고 불리는 고밀도 광디스크가 개발되어 현저한 대용량화가 도모되어 있다.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고밀도 디스크에 관해서는, 디스크 두께 방향으로 0.1㎜ 정도의 커버층을 갖는 디스크 구조에 있어서, 파장 405㎚의 레이저(이른바 청색 레이저)와 NA(Numerical Aperture)가 0.85의 대물 렌즈의 조합이라는 조건하에서, 데이터를 재생(기록)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광디스크에 대한 기록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레이저광의 초점 위치를 디스크 기록면에 제어하는 포커스 서보 동작이나, 레이저광이 디스크상의 트랙(피트 열이나 그루브(홈)에 의한 트랙)을 트레이스하도록 제어하는 트래킹 서보 동작이 행하여진다.
포커스 서보에 관해서는, 포커스 루프에 적정한 포커스 바이어스를 가하는 것이 적정한 서보 동작을 위해 필요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특히 고밀도 디스크의 경우, 커버층의 두께 오차나, 다층 구조의 기록 층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구면수차 보정을 행함이 필요하게 되어, 예를 들면 광픽업 내에 엑스팬더나 액정 소자를 이용한 구면수차 보정 기구를 구비한 것이 개발되어 있고, 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고 NA의 렌즈를 구비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포커스 바이어스/구면수차의 마진이 좁기 때문에, 포커스 바이어스 및 구면수차의 자동 조정이 필수로 된다.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의 수법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3이 알려져 있다.
또한 구면수차 조정의 수법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4가 알려져 있다.
또한, 포커스 바이어스/구면수차를 동시에 조정하는 수법이 상기 특허 문헌 5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의 특허 문헌 3 내지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수법에서는, 포커스 바이어스와 구면수차 보정치를 순서대로 바꾸면서 신호의 판독을 행하고, 이로써 얻어지는 평가신호의 값이 최량(最良)이 되는 포커스 바이어스와 구면수차 보정치의 조합을 산출하여 내도록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산출된 포커스 바이어스와 구면수차 보정치를 설정하여 신호의 기록 재생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법에 의하면, 실측한 평가신호치에 의거하여 포커스 바이어스 설정과 구면수차 보정을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경시변화 등에 의해 포커스 에러 신호가 오프셋 되어 버린 경우나, 광디스크의 커버 두께가 고체마다 또는 디스크 면내에서 다들 것 등에 의해 구면수차가 생기는 경우에도, 신호의 기록 재생 품질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평가치가 최량이 되는 값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조정 후에 있어서 온도 변화나 디스크의 면(面) 편차 등에 의해 포커스나 구면수차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기에서는 조정 후에 있어서 온도 변화나 디스크의 면 편차 등에 의해 포커스나 구면수차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에 관해 언급하였지만, 이와 같은 것을 고려하면,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조정은, 다음의 도 18,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필요마진 범위를 고려한 조정으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고려된다.
도 18은, 구면수차 보정치를 횡축, 포커스 바이어스를 종축에 취한 경우에 있어서의 평가신호의 값(여기서는 지터값이라고 하다)의 특성의 등고선을 2차원에 의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마찬가지로 구면수차 보정치를 횡축, 포커스 바이어스를 종축에 취한 경우에 있어서의 평가신호의 값(지터값)의 특성의 등고선을 3차원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상기 필요마진 범위(W)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온도 변화나 디스크의 면 편차 등에 의해 포커스나 구면수차가 어긋날 가능성이 있는 범위를 정의하는 것이다. 즉, 이 필요마진 범위(W)의 센터 위치(도면중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에 구 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조정함으로써, 조정 후에 있어서의 구면수차·포커스의 어긋남에 대해서도 항상 상정(想定) 내의 신호 기록 재생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필요마진 범위(W)에 입각하여, 앞서 설명한 종래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의 수법에서는, 평가신호의 값이 최량이 되는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조정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가신호의 값이 최량이 되는 점으로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조정한 경우, 평가치의 등고선이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 또는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으로 늘어나는 깨끗한 타원형으로 된 경우에는, 조정점이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와 등가가 되고, 상기한 바와 같은 온도 변화나 면 편차 등에 의한 포커스와 구면수차의 어긋남에 대해서도 양호한 신호 기록 재생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등고선이 깨끗한 타원형이라면, 평가치의 최량점, 즉 등고선의 정점(頂点)이 마진을 고려하고 나서의 최량점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가치 특성의 등고선이 왜곡된 형상으로 얻어지는 경우, 등고선의 정점으로 조정을 행하는 종래 수법에서는, 조정 후의 포커스나 구면수차의 어긋남에 대해 충분한 마진을 얻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즉, 상기 도 18의 특성에 있어서, 등고선의 정점으로 조정을 행하는 경우의 조정점은, 예를 들면 도면중의 조정점(Pm1)이 되지만, 이 조정점(Pm1)으로 조정이 행하여진 경우, 예를 들면 도면중 화살표 Y방향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등고선의 간격이 좁아져 있는 방향으로 조정 후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 급격하게 특성이 악화하게 되고, 이 결과 온도 변화나 면 편차 등에 대해 충분한 신호 기록 재생 품질을 확보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마진을 상정한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조정을 행하는 수법으로서는,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각각 1차원 방향씩, 마진 센터로 조정하는 수법도 고려된다.
즉,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과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과의 1차원 방향씩으로부터, 각각 온도 변화나 디스크의 면 편차 등에 의한 어긋남에 대한 마진을 고려한 값으로 설정한다는 것이다(도면중 조정점(Pm2)).
그러나 이 수법에 의해서도,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가치 특성의 등고선이 왜곡되어 얻어지는 경우에는, 필요마진 범위(W)의 센터 위치(Pm-cent)에 조정점을 맞출 수 없고, 이 경우도 도면중 화살표 Y방향으로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 급격하게 특성이 악화하게 되어, 충분한 신호 기록 재생 품질을 확보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평가치 특성의 등고선의 왜곡은, 수차가 있는 광학 픽업이 사용된 경우나, 재생 신호의 2치화에 PRML(Partial Response Maximum Likelihood)이 채용되어 평가치로서 이상치(理想値)로부터의 오차나 편차의 값이 채용되는 경우에 커지는 일이 있고, 그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보다 현저하게 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재생 장치로서 이하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재생 장치는, 광디스크 기록 매체에 관해 적어도 재생을 행하는 재생 장치로서, 우선, 적어도 데이터의 판독을 위해 상기 광디스크 기록 매체에 대한 레이저 조사 및 반사광 검출을 행함과 함께, 레이저광의 포커스 서보 기구, 및 구면수차 보정 기구를 갖는 헤드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헤드 수단에서 얻어지는 반사광에 의거하여, 재생 신호 품질의 지표가 되는 평가신호를 생성하는 평가신호 생성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헤드 수단에서 얻어지는 반사광에 의거한 신호로서 생성되는 포커스 에러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포커스 서보 기구를 구동하여 포커스 서보를 실행하는 포커스 서보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구면수차 보정치에 의거하여 상기 구면수차 보정 기구를 구동하여 구면수차 보정을 실행하는 구면수차 보정 수단과, 상기 포커스 서보 수단을 포함하는 포커스 루프에 포커스 바이어스를 가산하는 포커스 바이어스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와 상기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중심점이 소정의 검색 범위에서 이동한 때의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 내의 소정 복수점에서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을 각 이동점마다 얻고, 그들 각 이동점마다 상기 소정 복수점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중 최악치(最惡値)를 대표치로 하고, 이들 각 이동점마다의 대표치중 상기 평가신호의 값이 소정 이상 양호하게 되는 어느 하나의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의거하여, 상기 구면수차 보정 수단과 상기 포커스 바이어스 수단에 설정되어야 할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마진 상정범위는, 앞서 기술한 필요마진 범위와 마찬가지로, 구면수차 보정치·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조정 후에 구면수차와 포커스가 어긋나는 범위를 상정하여 결정된 범위이다. 즉, 필요마진 범위와 동형상(同形狀)·동면적(同面積)을 갖도록 하여 결정된 범위이다.
상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마진 상정범위를, 그 중심점을 소정의 검색 범위 내에서 이동시키도록 하여 이동시키고, 각 이동점에서 필요마진 상정범위 내의 가장 평가신호치가 나쁜 값을 대표치로 하고, 그들의 대표치중 평가신호치가 소정 이상 양호하게 되는 어느 하나의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이동점으로서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의거하여,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가 조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복수의 위치로 이동시킨 필요마진 상정범위중, 예를 들면 그 대표치가 가장 양호하게 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위치로서는, 최적의 필요마진 범위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가 된다. 즉, 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대표치가 소정 이상 양호하게 되는 어느 하나의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위치에 있어서, 그 중심점으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조정하면,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필요마진 센터 위치로서의, 조정 후의 포커스·구면수차 어긋남에 대해 가장 마진이 얻어지는 위치에 소정 이상 접근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법에 의하면, 필요마진 상정범위를 옮겨서 2차원적으로 최적이 되는 필요마진 범위 위치에 피팅을 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2차원적인 피팅을 행함으로써, 종래의 단지 등고선의 정점으로 조정하는 수법, 또는 1차원 방향씩 마진을 고려한 센터 위치에 맞추는 수법이 채택되는 경우와는 달리, 평가신호치의 등고선이 왜곡된 형상으로 얻어진 경우에도 확실하게 필요마진 센터 위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한다)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재생 장치의 구성
2. 실시 형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의 기본 사상
3. 제 1의 실시 형태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4. 제 2의 실시 형태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5. 제 3의 실시 형태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5-1. 제 1예
5-1. 제 2예
1. 재생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서 실시 형태로서의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 다.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재생 장치로서, 광디스크 기록 매체에 관해 신호의 재생음과 함께 기록도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를 예로 든다.
도 1에서, 우선 디스크(1)는, 예를 들면 상 변화 방식으로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는 광디스크(라이터블 디스크)인 것으로 한다. 또한 디스크상에는 워블링(사행)된 그루브가 형성되고, 이 그루브가 기록 트랙으로 된다. 그루브의 워블링에 의해서는 이른바 ADIP 정보로서 어드레스 정보 등이 매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1)는, 도시하지 않은 턴테이블에 적재되고, 기록/재생 동작시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52)에 의해 일정 선속도(CLV)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광학 픽업(광학 헤드)(51)에 의해 디스크(1)상의 그루브 트랙의 워블링으로서 매입된 ADIP 정보의 판독이 행하여진다.
또한 기록시에는 광학 픽업(51)에 의해 트랙에 유저 데이터가 페이즈 체인지 마크로서 기록되고, 재생시에는 광학 픽업에 의해 기록된 페이즈 체인지 마크의 판독이 행하여진다.
픽업(51) 내에는, 레이저 광원이 되는 레이저 다이오드나,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포토 디텍터, 레이저광의 출력단이 되는 대물 렌즈, 레이저광을 대물 렌즈를 통하여 디스크 기록면에 조사하고, 또한 그 반사광을 포토 디텍터에 유도하는 광학계(후술한다)가 형성된다.
픽업(51) 내에 있어서, 대물 렌즈는 2축 기구에 의해 트래킹 방향 및 포커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픽업(51) 전체는 스레드 기구(53)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픽업(51)에 있어서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레이저 드라이버(63)로부터의 드라이브 신호(드라이브 전류)에 의해 레이저 발광 구동된다.
또한, 후술하지만 픽업(51) 내에는 레이저광의 구면수차를 수정하는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시스템 컨트롤러(60) 및 서보 회로(61)의 제어에 의해 구면수차 보정이 행하여진다.
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 정보는 포토 디텍터에 의해 검출되고, 수광 광량에 따른 전기 신호로 되어 매트릭스 회로(54)에 공급된다.
매트릭스 회로(54)에는, 포토 디텍터로서의 복수의 수광 소자로부터의 출력 전류에 대응하여 전류 전압 변환 회로, 매트릭스 연산/증폭 회로 등을 구비하고, 매트릭스 연산 처리에 의해 필요한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재생 데이터에 상당하는 고주파 신호(재생 데이터 신호 또는 RF 신호라고도 한다),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래킹 에러 신호 등을 생성한다.
또한, 그루브의 워블링에 관한 신호, 즉 워블링(워블 진폭)을 검출하는 신호로서 푸시풀 신호를 생성한다.
매트릭스 회로(54)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데이터 신호는 리더/라이터(RW) 회로(55)에,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는 서보 회로(61)에, 푸시풀 신호는 워블 회로(58)에, 각각 공급된다.
리더/라이터 회로(55)는, 재생 데이터 신호(RF 신호)에 대해 2치화 처리, PLL에 의한 재생 클록 생성 처리 등을 행하고, 페이즈 체인지 마크로서 판독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변복조 회로(56)에 공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이 리더/라이터 회로(55)에는, RF 신호에 관한 지터(Jitter)값을 측정하는 평가기(55a)가 구비되어 있다. 이 평가기(55a)에 의해 측정된 지터값은 시스템 컨트롤러(60)에 공급된다.
변복조 회로(56)는, 재생시의 디코더로서의 기능 부위와, 기록시의 인코더로서의 기능 부위를 구비한다.
재생시에는 디코드 처리로서, 재생 클록에 의거하여 런렝스 리미티드 코드의 복조 처리를 행한다.
또한 ECC 인코더/디코더(57)는, 기록시에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하는 ECC 인코드 처리와, 재생시에 에러 정정을 행하는 ECC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재생시에는, 변복조 회로(56)에서 복조된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받아들여서, 에러 검출/정정 처리 및 디인터리브 등의 처리를 행하여, 재생 데이터를 얻는다.
ECC 인코더/디코더(57)에서 재생 데이터로까지 디코드된 데이터는, 시스템 컨트롤러(60)의 지시에 의거하여 판독되고, AV(Audio-Visual) 시스템(120)에 전송된다.
그루브의 워블링에 관한 신호로서 매트릭스 회로(54)로부터 출력되는 푸시풀 신호는, 워블 회로(58)에서 처리된다. ADIP 정보로서의 푸시풀 신호는, 워블 회 로(58)에서 ADIP 어드레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 복조되어 어드레스 디코더(59)에 공급된다.
어드레스 디코더(59)는, 공급되는 데이터에 관한 디코드를 행하여 어드레스 값을 얻고, 이것을 시스템 컨트롤러(60)에 공급한다.
또한 어드레스 디코더(9)는 워블 회로(58)로부터 공급되는 워블 신호를 이용한 PLL 처리로 클록을 생성하고, 예를 들면 기록시의 인코드 클록으로서 각 부분에 공급한다.
기록시에는, AV 시스템(120)으로부터 기록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지만, 그 기록 데이터는 ECC 인코더/디코더(57)에서의 메모리(도시 생략)에 보내져서 버퍼링된다.
이 경우 ECC 인코더/디코더(57)는, 바파링된 기록 데이터의 인코드 처리로서, 에러 정정 코드 부가나 인터리브, 서브 코드 등의 부가를 행한다.
또한 ECC 인코드된 데이터는, 변복조 회로(56)에서 예를 들면 RLL(1-7)PP 방식 등의 소정의 런렝스 리미티드 부호화 처리(변조 처리)가 시행되고, 리더/라이터 회로(55)에 공급된다.
기록시에 있어서 이들의 인코드 처리를 위한 기준 클록이 되는 인코드 클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워블 신호로부터 생성한 클록을 이용한다.
인코드 처리에 의해 생성된 기록 데이터는, 리더/라이터 회로(55)에서 기록 보상 처리로서, 기록층의 특성, 레이저광의 스폿 형상, 기록 선속도 등에 대한 최적 기록 파워의 미조정이나 레이저 드라이브 펄스 파형의 조정 등이 행하여진 후, 레이저 드라이브 펄스로서 레이저 드라이버(63)에 보내진다.
레이저 드라이버(63)에서는 공급된 레이저 드라이브 펄스를 픽업(51) 내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주어, 레이저 발광 구동을 행한다. 이로써 디스크(1)에 기록 데이터에 따른 피트(페이즈 체인지 마크)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레이저 드라이버(63)는, 이른바 APC(Auto Power Control) 회로를 구비하고, 픽업(51) 내에 마련된 레이저 파워의 모니터용 디텍터의 출력에 의해 레이저 출력 파워를 모니터하면서 레이저의 출력이 온도 등에 의하지 않고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한다.
기록시 및 재생시의 레이저 출력의 목표치(기록 레이저 파워/재생 레이저 파워)는 시스템 컨트롤러(60)로부터 주어지고, 기록시 및 재생시에는 각각 레이저 출력 레벨이, 그 목표치가 되도록 제어한다.
서보 회로(61)는, 매트릭스 회로(54)로부터의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래킹 에러 신호로부터, 포커스, 트래킹, 스레드의 각종 서보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하고 서보 동작을 실행시킨다.
즉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래킹 에러 신호에 따라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 트래킹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하고, 픽업(51) 내의 2축 기구의 포커스 코일, 트래킹 코일을 구동하게 된다. 이로써 픽업(51), 매트릭스 회로(54), 서보 회로(61), 2축 기구에 의한 트래킹 서보 루프 및 포커스 서보 루프가 형성된다.
또한 서보 회로(61)는, 시스템 컨트롤러(60)로부터의 트랙 점프 지령에 따라, 트래킹 서보 루프를 오프로 하고, 점프 드라이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트랙 점프 동작을 실행시킨다.
또한 서보 회로(61)는, 트래킹 에러 신호의 저역(低域) 성분으로서 얻어지는 스레드 에러 신호나, 시스템 컨트롤러(60)로부터의 액세스 실행 제어 등에 의거하여 스레드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하고, 스레드 기구(53)를 구동한다. 스레드 기구(53)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픽업(51)을 지지하는 메인 샤프트, 스레드 모터, 전달 기어 등에 의한 기구를 가지고, 스레드 드라이브 신호에 따라 스레드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픽업(51)의 소요되는 슬라이드 이동이 행하여진다.
스핀들 서보 회로(62)는 스핀들 모터(2)를 CLV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스핀들 서보 회로(62)는, 워블 신호에 대한 PLL 처리에서 생성되는 클록을, 현재의 스핀들 모터(52)의 회전 속도 정보로서 얻고, 이것을 소정의 CLV 기준 속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스핀들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재생시에서는, 리더/라이터 회로(55) 내의 PLL에 의해 생성되는 재생 클록(디코드 처리의 기준이 되는 클록)이, 현재의 스핀들 모터(52)의 회전 속도 정보가 되기 때문에, 이것을 소정의 CLV 기준 속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스핀들 에러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핀들 서보 회로(62)는, 스핀들 에러 신호에 따라 생성한 스핀들 드라이브 신호를 출력하고, 스핀들 모터(62)의 CLV 회전을 실행시킨다.
또한 스핀들 서보 회로(62)는, 시스템 컨트롤러(60)로부터의 스핀들 킥/브레이크 제어 신호에 따라 스핀들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키고, 스핀들 모터(2)의 기동, 정지, 가속, 감속 등의 동작도 실행시킨다.
이상과 같은 서보계 및 기록 재생계의 각종 동작은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는 시스템 컨트롤러(60)에 의해 제어된다.
시스템 컨트롤러(60)는, AV 시스템(120)으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AV 시스템(120)으로부터 기록 명령(라이트 커맨드)이 나와지면, 시스템 컨트롤러(60)는, 우선 기록하여야 할 어드레스에 픽업(51)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ECC 인코더/디코더(57), 변복조 회로(56)에 의해, AV 시스템(120)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데이터(예를 들면 MPEG2 등의 각종 방식의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등)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인코드 처리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리더/라이터 회로(55)로부터의 레이저 드라이브 펄스가 레이저 드라이버(63)에 공급됨으로써, 디스크(1)에 대한 기록이 실행된다.
또한, 예를 들면 AV 시스템(120)으로부터, 디스크(1)에 기록되어 있는 어떤 데이터(예를 들면 MPEG2 비디오 데이터 등)의 전송을 요구하는 리드 커맨드가 공급된 경우는, 우선 지시된 어드레스를 목적으로 하여 시크 동작 제어를 행한다. 즉 서보 회로(61)에 지령을 내고, 시크 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를 타겟으로 하는 픽업(51)의 액세스 동작을 실행시킨다.
그 후, 그 지시된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를 AV 시스템(120)에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 제어를 행한다. 즉 디스크(1)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을 행하고, 리더/라이터 회로(55), 변복조 회로(56), ECC 인코더/디코더(57)에서의 디코드/버퍼링 등을 실행시키고, 요구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이들의 페이즈 체인지 마크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재생시에는, 시스템 컨트롤러(60)는, 워블 회로(58) 및 어드레스 디코더(59)에 의해 검출되는 AD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액세스나 기록 재생 동작의 제어를 행하도록 된다.
그런데, 이 도 1의 예에서는 AV 시스템(120)에 접속되는 기록 재생 장치로 하였지만, 본 발명의 재생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등과 접속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나아가서는 다른 기기에 접속되지 않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 그 경우는, 조작부나 표시부가 마련되거나, 데이터 입출력의 인터페이스 부위의 구성이, 도 1과는 다른 것으로 된다. 즉, 유저의 조작에 따라 기록이나 재생이 행하여짐과 함께,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단자부가 형성되면 좋다.
계속해서, 도 2는, 픽업(51)이 구비하는 구면수차 보정 기구의 한 예에 관해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도 2에서는, 픽업(51) 내의 광학계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반도체 레이저(레이저 다이오드)(81)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은, 콜리메이터 렌즈(82)에서 평행광으로 되고, 빔 스플리터(83)를 투과하여, 구면수차 보정 렌즈군으로서의 가동 렌즈(87), 고정 렌즈(88)를 통하여 진행하고, 대물 렌즈(84)로부터 디스크(1)에 조사된다. 그리고 구면수차 보정 렌즈군(87, 88)에 대해서는 엑스팬더라고 불린다. 가동 렌즈(87)를 구동함으로써 구면수차 보정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이하, 특히 엑스팬더(87)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은, 대물 렌즈(84), 고정 렌즈(88), 가동 렌즈(87)를 통과하여 빔 스플리터(83)에서 반사되고, 콜리메이터 렌즈(집광 렌즈(85))를 통 하여 디텍터(86)에 입사된다.
이와 같은 광학계에서는, 대물 렌즈(84)가 2축 기구(91)에 의해 포커스 방향 및 트래킹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포커스 서보, 트래킹 서보 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구면수차 보정 렌즈(87, 88)는, 레이저광의 파면(波面)을 디포커스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가동 렌즈(87)는 액추에이터(90)에 의해 광축 방향인 J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이동에 의해, 대물 렌즈(84)의 물점(物点)을 조정한다.
즉, 액추에이터(90)에 대해 전후 이동을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구면수차 보정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이른바 엑스팬더에 의해 구면수차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 대응한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그 밖에도 액정 패널을 이용하여 구면수차 보정을 행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즉, 반도체 레이저(81)로부터 대물 렌즈(84)까지의 광로중에 삽입한 액정 패널에 있어서, 레이저광을 투과시키는 영역과 차폐하는 영역의 경계를 가변 조정함으로써, 레이저광의 지름을 가변하여 구면수차 보정을 행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액정 드라이버에 대해, 투과 영역을 가변시키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
또한, 다음의 도 3에는, 도 1에 도시한 서보 회로(6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서, 도 1에 도시한 매트릭스 회로(54)로부터의 포커스 에러 신호(FE), 트래킹 에러 신호(TE)는, 서보 회로(61) 내에서, 각각 A/D 변환기(11, 2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DSP(10)에 입력된다.
DSP(10)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포커스 서보 연산부(12)나 트래킹 서보 연산부(22) 등이 구비되어 있다.
A/D 변환기(11)로부터의 포커스 에러 신호(FE)는, DSP(10) 내의 가산기(15)를 통하여 포커스 서보 연산부(12)에 입력된다.
포커스 서보 연산부(12)에서는, 디지털 데이터로 되어 입력되는 포커스 에러 신호(FE)에 대해 위상 보상 등을 위한 필터링이나 루프 게인 처리 등의 소정의 연산을 행하여 포커스 서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포커스 서보 신호는, D/A 변환기(13)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PWM이나 PDM 등도 포함한다), 포커스 드라이버(14)에 입력되고, 포커스 액추에이터를 구동한다. 즉 광픽업(51)에서 대물 렌즈(84)를 지지하는 2축 기구(91)의 포커스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고, 포커스 서보 동작을 실행시킨다.
트래킹 서보 연산부(22)에서는, 디지털 데이터로 되어 입력되는 트래킹 에러 신호(TE)에 대해 위상 보상 등을 위한 필터링이나 루프 게인 처리 등의 소정의 연산을 행하여 트래킹 서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트래킹 서보 신호는, D/A 변환기(23)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PWM이나 PDM 등도 포함한다), 트래킹 드라이버(24)에 입력되고, 트래킹 액추에이터를 구동한다. 즉 광픽업(51)에서 대물 렌즈(84)를 지지하는 2축 기구(91)의 트래킹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고, 트래킹 서보 동작을 실행시킨다.
또한, DSP(10)에서는, 포커스 바이어스 가산, 구면수차 보정치 설정, 및 포커스 바이어스나 구면수차 보정치의 조정을 위한 기능 부위가 마련된다.
가산기(15)는 포커스 에러 신호(FE)에 포커스 바이어스를 가산한다. 가산하는 포커스 바이어스값은 포커스 바이어스 설정부(16)에 설정된다. 포커스 바이어스 설정부(16)가, 후술하는 조정 처리에서 도 1에도 도시한 시스템 컨트롤러(60)에 의해 설정된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출력함으로써, 포커스 서보 루프에 적정한 포커스 바이어스가 가산되게 된다.
구면수차 보정치 설정부(20)에는, 시스템 컨트롤러(60)에 의해 구면수차 보정치가 설정된다. 설정된 구면수차 보정치는 D/A 변환기(25)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되고, 구면수차 보정 드라이버(26)에 공급된다.
구면수차 보정 드라이버(26)는, 예를 들면 도 2와 같은 구면수차 보정 기구의 경우는, 엑스팬더(87)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90)에 구동 신호(Sd)를 공급하는 회로가 된다. 또는, 액정 패널을 이용한 구면수차 보정 기구의 경우는, 액정 드라이버에 대해, 액정 패널의 소요되는 셀에 전압 인가를 지시하는 신호(Sd)를 공급하는 회로가 된다.
따라서, 구면수차 보정 드라이버(26)가, 구면수차 보정치 설정부(20)로부터 공급된 구면수차 보정치에 의거하여, 픽업(51) 내의 구면수차 보정 기구를 구동하는 구성이 된다.
이상과 같이 DSP(10)에서 형성되는 포커스 서보 연산부(12), 트래킹 서보 연 산부(22), 나아가서는 포커스 바이어스/구면수차 보정치의 조정에 관한 동작은, 시스템 컨트롤러(6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60)에 의해 행하여지는, 본 실시 형태로서의 포커스 바이어스/구면수차 보정치의 조정에 관한 제어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2. 실시 형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의 기본 사상
실시 형태는, 지금까지의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설명하여 온 구성에 의한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 포커스 바이어스와 구면수차 보정치를 필요마진 센터 위치로서의 최적치로 조정하려고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필요마진 센터 위치란, 앞서의 도 18, 도 19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조정 후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온도 변화나 디스크(1)의 면 편차 등에 의해 생기게 되는 포커스나 구면수차의 어긋남에 대해, 가장 마진이 얻어지는 위치이다. 즉, 상기 필요마진 센터 위치에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조정함으로써, 조정 후에 있어서의 구면수차·포커스의 어긋남에 대해서도 항상 상정 내의 신호 기록 재생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필요마진의 생각에 입각하여, 앞서 설명한 종래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의 수법에서는, 평가신호의 값이 최량이 되는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 값으로 조정이 행하여지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평가신호의 값이 최량이 된 점에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조정한 경우, 평가치의 등고선이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 또는 포커스 바이 어스값 방향으로 늘어나는 깨끗한 타원형이 되는 경우에는, 조정점이 필요마진 센터 위치와 등가로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온도 변화나 면 편차 등에 의한 포커스와 구면수차의 어긋남에 대해서도 양호한 신호 기록 재생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등고선이 깨끗한 타원형이라면, 평가치의 최량점, 즉 등고선의 정점이 마진을 고려한 상태에서의 최적점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서의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가치 특성의 등고선이 왜곡된 형상으로 얻어지는 경우, 등고선의 정점으로 조정을 행하는 종래 수법에서는, 조정 후의 포커스나 구면수차의 어긋남에 대해 충분한 마진을 얻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즉, 이 도 18의 특성이 얻어지는 경우에 있어서, 등고선의 정점으로 조정을 행한 경우의 조정점은, 예를 들면 도면중의 조정점(Pm1)이 되는데, 이 조정점(Pm1)에 조정이 행하여진 경우, 예를 들면 도면중 화살표 Y방향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등고선의 간격이 좁아저 있는 방향으로 조정 후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 급격하게 특성이 악화하게 되고, 이 결과 온도 변화나 면 편차 등에 대해 충분한 신호 기록 재생 품질을 확보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마진을 상정한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조정을 행하는 수법으로서는,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각각 1차원 방향씩, 마진 센터로 조정하는 수법도 고려된다.
즉,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과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의 1차원 방향씩으로부터, 각각 온도 변화나 디스크의 면 편차 등에 의 한 어긋남에 대한 마진을 고려한 값으로 설정한다는 것이다(도면중 조정점(Pm2)).
그러나 이 수법에 의해서도,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가치 특성의 등고선이 왜곡되어 얻어지는 경우에는, 필요마진 범위(W)의 센터 위치(Pm-cent)에 조정점을 맞출 수 없고, 이 경우도 도면중 화살표 Y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 급격하게 특성이 악화하게 되어, 온도 변화나 면 편차 등에 대해 충분한 신호 기록 재생 품질이 확보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평가치 특성의 등고선의 왜곡은, 수차가 있는 광학 픽업이 이용된 경우나, 재생 신호의 2치화에 PRML이 채용되어 평가치로서 이상치로부터의 오차나 편차의 값이 채용되는 경우에 커지는 일이 있고, 그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보다 현저해진다.
그래서, 실시 형태로서는, 이와 같이 수차가 있는 광학 픽업이 이용된 경우나, 재생 신호의 2치화에 PRML이 채용되어 평가치로서 이상치로부터의 오차나 편차의 값이 채용되는 등에 의해, 평가치 특성의 등고선이 왜곡된 형상으로 얻어지는 경우에도, 적정하게 필요마진 센터 위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수법에 의거하여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필요마진 센터 위치에 조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의 조정에 관해 그 기본적인 수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의 (a)는 필요마진 상정범 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횡축에 구면수차 보정치, 종축에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취한 경우의 지터 특성을 등고선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a)에서,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필요마진 범위를 고려한 조정을 행함에 있어서, 우선 도시하는 바와 같은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정의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이 필요마진 상정범위(W)는, 도 18의 필요마진 범위(W)와 마찬가지로, 어떤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조정 후에 그 중심점으로부터 포커스·구면수차가 어긋날 가능성이 있는 범위를 정의함으로써, 이 필요마진 상정범위(W)와 필요마진 범위(W)는, 동형상·동면적을 갖도록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필요마진 범위(W)와 필요마진 상정범위(W)는 동형상·동면적을 갖도록 됨으로써, 여기서는 각각에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요마진 범위(W)의 한쪽의 변(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의 길이가 2α(α+α), 또 한쪽의 변(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의 길이가 2β(β+β)라고 하면,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한쪽의 변의 길이로서도 2α(α+α), 또 한쪽의 변의 길이로서도 2β(β+β)가 된다.
이것에 의하면, 필요마진 상정범위(W)로서는, 중심점으로서 어떤 좌표점(구면수차 보정치,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주어짐으로써, 그 범위 내의 모든 좌표점(구면수차 보정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특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가령,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이 (1, 1)이였다고 하면, 그 경우의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4귀퉁이의 단점(端点)의 좌표는, 각각 (1+α, 1+β), (1-α, 1+β), (1-α, 1-β), (1+α, 1-β)에 의해 특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정의할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예를 들면 다음의 도 4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중심점(Pcent)을 소정의 검색 범위(Ars) 내에서 이동시키도록 하여 이동시켜 가고, 각 이동처(先)에서 예를 들면 그 외주상의 각 점(이 도 4의 (b)의 예에서는 Pa 내지 Pd의 4귀퉁이의 단점)에서 측정되는 지터값을 얻고, 그 중 최대(최악)의 지터값을 대표치로 한다. 그리고 나서, 이와 같이 각 이동점에서 얻어진 대표치중 지터값이 소정 이상 양호하게 되는, 즉 지터값이 소정 이하가 되는 어느 하나의 대표치를 특정하고, 그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에 의거하여,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조정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단함을 위해, 지터값이 최소(최량)가 되는 대표치를 특정하고, 그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도면의 예에서는 Wdec의 중심점(Pdec))으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이 도면의 예에서는, 상기 검색 범위(Ars)가, 포커스 바이어스 방향으로 m치분(値分),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으로 l치분의 m×l의 범위이고, 그 속에 m×l=n치의 이동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이 경우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Pcent)을, 구면수차 보정치의 1행(行)에서 포커스 바이어스 방향으로 m치분 이동시키고, 이 1행분의 이동을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의 l행째까지 행하도록 되는 것이고, 이에 수반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 전체의 이동 범위는, 도시한 W1 내지 Wn까지의 범위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W1 내지 Wn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각 이동점에서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외주상의 점(Pa 내지 Pd)에서 측정되는 지터값을 얻도록 하고, 게다가 이들 Pa 내지 Pd의 지터값중 최대치(최악치)를 그 이동점에서의 대표치로 하도록 하여 둔다.
그리고, 각 이동점에서 얻어지는 대표치중, 지터값이 최소(최량)의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특정하고, 그 중심점에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조정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소정 범위에서 복수의 위치로 이동시킨 필요마진 상정범위(W)중, 그 대표치가 가장 양호한 값이 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위치로서는, 최적인 필요마진 범위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것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대표치가 최량이 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위치(도면의 예에서는 Wdec의 위치)에서 그 중심점에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조정함으로써,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실시 형태로서의 수법은, 필요마진 범위와 동형상·동면적에 의할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정의하고, 이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옮겨서 2차원적으로 최적의 필요마진 범위의 위치에 피팅을 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2차원적인 피팅을 행함으로써, 종래의 단지 등고선의 정점으로 조정하는 수법, 또는 1차원 방향씩 마진을 고려한 센터 위치에 맞추는 수법이 채택되는 경우와는 달리, 평가신호치의 등고선이 왜곡된 형상으로 얻어진 경우에도 확실하게 필요마진 센터 위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 형태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의 수법을 이용하면, 평가신호 값의 등고선이 왜곡된 형상에 의해 얻어지는 경우에도,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즉, 이로써, 예를 들면 수차가 있는 광학 픽업이 이용된 경우나, PRML 복호가 채용되는 경우에서 평가신호로서 이상치로부터의 오차나 편차에 의거한 평가신호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 후에 있어서 온도 변화나 디스크의 면 편차 등에 의해 포커스나 구면수차가 어긋난 경우에도, 항상 상정범위 내의 신호 기록 재생 품질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도 4의 (b)에 도시한 검색 범위(Ars)로서는, 그 범위 내에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포함되도록 하여 설정되어야 할 범위가 된다.
여기서,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의 대략적인 위치는, 미리 그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해 구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화시킨 때의 지터값(평가신호치) 특성의 등고선을 조사함으로써 알 수 있다. 즉, 상기 검색 범위(Ars)로서는, 이와 같이 하여 조사한 대략적인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의 정보로부터, 이것을 포함하는 비교적 넓은 범위를 정의하여 두는 것으로 하면 좋다.
또한, 여기서는, 각 이동점에 있어서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외주상의 복수점에서 지터값을 측정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지터값 특성의 등고선의 나타나는 방식에 의해서는 외주상에서 최악치를 얻을 수 없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와 같은 경우 등에는, 지터값의 측정점은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외주상으로 한하지 않고, 필요마진 상정범위(W) 내의 다른 점으로 할 수도 있다.
3. 제 1의 실시 형태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 형태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의 기본 사상에 의거하면, 평가치의 등고선이 왜곡된 경우에도 필요마진 센터 위치가 되도록 조정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서 설명한 수법을 그대로 실천하는 것에 의해서는, 매우 많은 점에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조정시킬 필요가 나와 버려, 조정 시간의 단축화가 도모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나와 버린다.
즉, (도 4의 (b)에서 예시한 수법을 그대로 실천하려고 하면, 각 이동점에서 Pa 내지 Pd의 4점의 지터값을 측정할 필요가 있고, 이에 수반하여 각 이동점에서는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각각 4회 설정할 필요가 나온다. 그리고 도 4의 (b)의 수법에서는 이것을 n점(点)분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설정 및 그 점에서의 지터값의 측정을 매우 많은 회수 반복하여야 하게 되어 버린다.
이 경우, 특히 구면수차 보정치의 설정은, 앞서의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익스팬더(87)의 구동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교적 설정 시간을 장시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이것을 다수회 반복하는 것은 조정 시간 단축화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의 제 1의 실시 형태로서는, 평가치 특성의 등고선이 왜곡되어 얻어지는 경우에도 적정하게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다가, 조정 시간의 단축화도 도모되도록, 이하와 같은 수법을 제안한다.
도 5, 도 6은, 제 1의 실시 형태로서의 조정 수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각 도면에서는 횡축에 구면수차 보정치, 종축에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취한 경우의 지터 특성을 등고선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제 1의 실시 형태의 수법은, 우선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그 중심점을 도 5에 도시되는 소정의 경사(A)방향에서의 소정 범위(도면중 범위(A)) 내에서 이동시키도록 하여 이동시키고, 각각의 이동점에서의 대표치 보존, 각 이동점에서의 대표치중 최소의 대표치가 얻어진 필요마진 상정범위(W)(도면의 예에서는 WAdec)의 특정을 행한다.
그리고 나서, 이 특정된 최소의 대표치가 얻어진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을 기점으로 하여, 중심점을 도 6에 도시되는 소정의 경사(B)방향의 소정 범위(도면중 범위(B)) 내에서 이동시키도록 하여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이동시키 고, 마찬가지로 각 이동점에서의 대표치 보존, 각 이동점에서의 대표치중 최소의 대표치가 얻어진 필요마진 상정범위(W)(도면의 예에서는 WBdec)의 특정을 행한다. 그리고, 이 특정된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Pdec)으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우선 전제로서, 도 5에 도시하는 초기 위치(Pfrst)는, 예를 들면 디스크(1)가 장전된 후에 트래킹 서보가 걸리도록 하여 조정된 점, 또는 디스크(1) 등에 기록된 초기치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설정된 점이다. 즉, 조정 시작 전에는, 이 초기 위치(Pfrst)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설정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의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이동은, 중심점을 이 초기 위치(Pfrst)로부터 경사(A)방향으로 범위(A)분 이동시키도록 하여 행하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의 상기 경사(A)방향은, 지터값 특성에 있어서 등고선이 늘어나도록 왜곡되는 방향으로서 정의한 방향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경사(B)방향은, 역으로 지터값 특성의 등고선이 줄어들도록 하여 왜곡되는 방향으로서 정의한 방향이다.
이들 등고선이 늘어나도록 왜곡되는 방향, 줄어들도록 왜곡되는 방향은, 그 기록 재생 장치에서 미리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화시켜 구한 지터값 특성을 조사함에 의해 알 수 있다. 즉, 상기 경사(A)방향, 경사(B)방향은, 이와 같이 하여 지터값 특성으로부터 미리 조사한 각 방향에 의거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경사(A)방향에서의 상기 범위(A)로서는, 초기 위치(Pfrst)를 기점으로 하여 경사(A)방향상의 어떤 길이 범위를 규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모두(冒頭)의 동작 설명에 의하면, 이 범위(A) 내에서 중심점을 이동시켜 각 이동점에서 얻은 대표치중에서, 최소의 대표치가 되는 때의 필요마진 상정범위를 특정하도록 된다. 즉, 이와 같은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 범위(A)로서는, 미리 이와 같이 경사(A)방향상에서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때의 중심점이 포함되도록 하여 설정되는 범위이다.
이때, 상기 초기 위치(Pfrst)의 대략적인 위치와, 이 초기 위치(Pfrst)로부터 중심점을 경사(A)방향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이동시킨 때에 그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때의 중심점이 대략적인 위치란, 미리 그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해 구한 지터값 특성을 조사함으로서 알 수 있다. 즉, 상기 범위(A)는, 이와 같이 하여 미리 지터값 특성으로부터 조사한 초기 위치(Pfrst)의 대략적인 위치와, 이 초기 위치(Pfrst)로부터 중심점을 경사(A)방향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이동시킨 때에 그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때의 중심점의 대략적인 위치에 의거하여, 이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중심점의 위치가 포함되는 범위를 특정한 결과에 의거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되는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따른 지터값 특성도가 얻어져 있다고 하고, 이 특성도 상에서의 초기 위치(Pfrst)의 대략적인 위치를 알고 있다고 한다면, 이 초기 위치(Pfrst)의 위치로부터 경사(A)방향상으로 중심점을 이동시키도록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이동시킨 때에, 필요마진 상정범위(W)가 어떤 궤적으로 이동하는지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 시뮬레이션의 결과로부터, 중심점을 초기 위치(Pfrst)로부터 경사(A)방향위로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움직이면,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때의 중심점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는지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이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범위(A)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범위(B)로서는, 그 범위 내에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포함되어야 할 범위가 된다. 이 범위(B)로서도, 상기한 범위(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리 얻어진 지터값 특성도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의 결과에 의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지터 특성도를 얻을 수 있으면,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의 대략적인 위치를 특정할 수 있고, 또한 도 5의 동작에서 결정된 중심점(P-Adec)도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이 결과,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와 중심점(P-Adec)이 경사(B)방향상에 있어서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를 어느 정도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거리에 의거하여 상기 범위(B)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확인을 위해 기술하여 두면,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따른 지터값 특성으로서는, (동일한 미디어 종류별에 의한 디스크(1)가 장전되는 조건하에서는) 같은 광학계의 구성을 갖는 기록 재생 장치 사이에서 거의 동등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수반하여 상기 범위(A), 범위(B)로서는, 이들의 기록 재생 장치 사이에서 공통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이들 범위(A), 범위(B)로서는, 광학계의 구성이 다른 기록 재생 장치 사이에서는 각각의 특성에 따른 다른 범위가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된다.
이들의 전제에 입각하여, 제 1의 실시 형태의 조정 수법에 관해 보다 구체적 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5에서, 이 경우,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외주상의 지터값 측정점으로서는, 외주상의 4귀퉁이의 단점(端点)(Pw1, Pw3, Pw5, Pw7)과 함께, 각각 이웃하는 단점 사이의 중간점(Pw2, Pw4, Pw6, Pw8)을 추가한 합계 8점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이 경우는 각 이동점에 있어서, 이들 외주상의 8점에서 각각 지터값을 측정하여 그 중의 대표치(최대치 : 최악치)를 구하도록 된다.
즉, 실제의 기록 재생 장치의 동작으로서는, 우선 초기 위치(Pfrst)에서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설정치를 기초로, 필요마진 상정범위(WA1)에서의 각 측정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각각 구한다. 예를 들면, 초기 위치(Pfrst)에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포커스 바이어스값)를 (S Afrst, F Bfrst)라고 하면, 측정점(Pw1)에 관해서는 (S Afrst+α, F Bfrst+β)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측정점(Pw4)에 관해서는 (S Afrst-α, F Bfrst)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구해지는 각 측정점(Pw1 내지 Pw8)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구면수차 보정치 설정부(20)와 포커스 바이어스 설정부(16)(도 3 참조)에서 순서대로 설정하고, 그들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설정하에서 측정되는 지터값을 얻는다. 그리고 나서, 이들 각 설정하에서 얻어진 지터값으로부터 최대의 지터값을 특정하고 이것을 보존함으로써, 각 측정점(Pw1 내지 Pw8)에서의 지터값중 최악치, 즉 대표치를 보존하도록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나의 이동점에서의 대표치를 보존하면, 경사(A)방향으 로 중심점을 이동시키도록 하여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경사(A)방향으로의 이동은, 예를 들면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의 1step씩 행한다. 즉, 예를 들면 경사(A)가 「1」이라면, 중심점 및 각 측정점(Pw)을, 구면수차 보정치를 +1step분, 포커스 바이어스값도 +1step분만큼 이동시킨다. 또는, 예를 들면 경사(A)가 「2」라면, 중심점 및 각 측정점(Pw)을, 구면수차 보정치 +1step분에 대해, 포커스 바이어스값은 +2step분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경사(A)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행하여져야할 동작으로서는, 우선,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A)의 값에 따라 결정되는 이동 후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구하도록 된다. 그리고, 이 이동 후의 중심점의 각 값을 기초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α, β를 이용한 연산에 의해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각 측정점(Pw1 내지 Pw8)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구한 각 측정점(Pw1 내지 Pw8)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구면수차 보정치 설정부(20)와 포커스 바이어스 설정부(16)에 순서대로 설정하고, 그들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설정하에서 측정되는 지터값을 얻는다. 그리고 나서, 이들 각 설정하에서 얻어진 지터값으로부터 최대의 지터값을 특정하고 이것을 보존함으로써, 각 측정점(Pw1 내지 Pw8)에서의 지터값중 최악치인 대표치를 보존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중심점이 범위(A)의 종단점에 위치할 때까지(즉 도면중 필요마진 상정범위(WAn)의 위치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행한다. 이로써, 중심점을 범위(A) 내에서 이동시키도록 하여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이동시킨 때의, 각각의 이동점에서의 대표치가 보존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 이동점에서 보존된 대표치중, 지터값이 최소(최량)의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을 특정한다. 이 도 5의 예에서는,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위치가, 도면중 필요마진 상정범위(WAdec)의 위치가 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이에 수반하여 그 중심점(P-Adec)이 특정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경사(A)방향에서의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에 관한 검색을 행하면, 다음의 도 6에 도시되는 경사(B)방향에서, 마찬가지 검색을 행한다. 즉, 특정된 최소의 대표치가 얻어진 필요마진 상정범위(WAdec)의 중심점(P-Adec)을 기점으로 하여, 중심점을 경사(B)방향에서의 범위(B) 내에서 이동시키도록 하여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이동시키는(도면중 필요마진 상정범위(WBn)까지 이동시킨다) 이외는, 도 5에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검색을 행하도록 된다. 확인을 위해 기술하여 두면,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각 이동점에서의 대표치 보존, 각 이동점에서의 대표치중 최소의 대표치가 얻어진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의 특정을 행한다.
이 도 6에서는,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위치가 도면중 필요마진 상정범위(Wdec)가 되고, 그 중심점(Pdec)이 특정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경사(B)방향의 검색에 의해 최소의 대표치가 얻어진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Pdec)이 특정되면, 그 중심점으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 커스 바이어스값을 설정한다.
이와 같은 도 5→도 6의 일련의 동작으로서의, 제 1의 실시 형태의 수법에 의한 조정이 행하여짐으로써,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되도록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의 실시 형태의 수법에서는, 경사(A)방향(등고선이 늘어나도록 왜곡되는 방향)과 경사(B)방향(등고선이 줄어들도록 왜곡되는 방향)을 정의하고, 이들 경사(A)방향, 경사(B)방향의 각 방향으로 중심점을 이동시키도록 하여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위치를 특정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이것은, 최적인 필요마진 범위의 중심점(즉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을, 경사(A)방향축(A축)과 경사(B)방향축(B축)의 2축으로 정의되는 2차원 평면상의 점으로서 취급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도 5에 도시한 동작에 의해 특정되는, A방향으로 이동시킨 필요마진 상정범위(W)중에서 그 대표치가 최소가 되었을 때의 중심점(P-Adec)의 위치로서는,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의 A축방향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게 된다. 즉, 이로써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의 A축방향에서의 위치가 특정되는 것이다.
게다가, 도 6에 도시한 동작에 의해서는, 이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의 A축방향에서의 위치는 유지한 채로, B축방향에서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중심점의 위치를 검색하고 있는 것으로 되고, 이로써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의 B축방향에서의 위치가 특정되고, 이 결과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특정된다는 것 이다.
게다가, 이 제 1의 실시 형태의 수법으로서도, 앞서의 도 4에 도시한 기본 수법에 따른 것으로서,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옮겨서 2차원적으로 적정한 필요마진 범위에 피팅을 행하는 것에 변함없기 때문에, 등고선이 왜곡되어 얻어지는 경우에도 적정하게 필요마진 센터 위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1의 실시 형태로서의 수법에 의하면, 도 4에 도시한 평면에 의한 검색 범위(Ars) 내를 빠짐없이 검색한 수법과는 달리, A방향과 B방향의 2개의 직선상의 소정의 범위에 관해서만 검색을 행하면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로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도 4의 경우보다도 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설명에 의하면, 제 1의 실시 형태의 수법에서는, 우선 최초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A방향에서의 최소의 대표치가 얻어지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의 검색을 행하지 않으면,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의 B축방향에서의 위치를 특정할 수 없고, B방향에서의 최종적인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의 검색을 행하기 위한 적정한 범위(검색 범위)를 특정할 수 없게 된다.
즉, 이것을 환언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A방향에서 최소의 대표치가 얻어지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와 그 중심점을 특정한 동작은, 도 6에 도시하는 B방향에서 최종적인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의 검색을 행하기 위한 적정한 검색 범위를 특정하기 위해 행하여지는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우선 경사(A)방향(즉 등고선이 늘어나도록 왜곡되는 방향)으로부터 우선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중심점을 특정하고, 그 후에 이 특정된 중심점을 기점으로 하여 경사(B)방향(등고선이 줄어들도록 왜곡되는 방향)에 관해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와의 그 중심점을 특정함으로써,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를 특정하도록 하였지만, 역으로, 초기 위치(Pfrst)를 기준으로 하여 경사(B)방향에서 우선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중심점을 특정하고, 그 후에 이 특정된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A)방향에 관해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와의 그 중심점을 특정함으로써,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를 특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역으로 경사(B)방향에서의 검색이,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 특정을 위한 경사(A)방향에서 최종적인 검색 범위를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검색 동작이 된다.
계속해서, 다음의 도 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상기에 의해 설명한 제 1의 실시 형태로서의 조정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실행되어야 할 처리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 도면에 도시하는 처리 동작은, 도 1(및 도 3)에 도시한 시스템 컨트롤러(60)가, 예를 들면 자신이 구비하는 ROM 등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실행한 것이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해 디스크(1)가 장전되고, 이미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도 5에 설명한 초기 위치(Pfrst)로서의 값으로 설정된 상태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7에서, 우선 스탭 S101에서는, 8점 지터 측정 처리를 실행한다. 즉, 현재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중심점에 갖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외주상의 각 측정점(Pw1 내지 Pw8)의 8점에 관해, 각각에서의 지터 측정치를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첫회에 행하여지는 스탭 S101에서, 상기 현재의 값은, 초기 위치(Pfrst)로서의 값이 된다.
이 스탭 S101의 처리로서는, 우선 현재의 중심점으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기초로, 미리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의 길이와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의 길이를 정의하기 위해 설정된 α, β의 값을 이용한 연산을 행함으로써, 측정점(Pw1 내지 Pw8)의 각각에서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구한다. 구체적으로, 현재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가령 (SAx, FBy)라고 하면, Pw1=(SAx+α, FBy+β), Pw2=(SAx, FBy+β), Pw3=(SAx-α, FBy+β), Pw4=(SAx-α, FBy), Pw5=(SAx-α, FBy-β), Pw6=(SAx, FBy-β), Pw7=(SAx+α, FBy-β), Pw8=(SAx+α, FBy)에 의해, 각 측정점에서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구한 각 측정점(Pw1 내지 Pw8)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구면수차 보정치 설정부(20)와 포커스 바이어스 설정부(16)에 순서대로 설정되도록 지시를 행하고, 그들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설정하에서 도 1에 도시한 평가기(55a)에 순서대로 측정된 지터값을 각각 입력한다.
그리고, 스탭 S102에서는, 그 중 지터 최대치(대표치)와 함께, 중심점의 구 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보존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각 값의 설정하에서 얻어진 지터값으로부터 최대의 지터값을 특정하여 이것을 보존함과 함께, 그때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대응시켜서 보존한다.
계속되는 스탭 S103에서는, 검색 범위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별 처리를 실행한다. 즉, 경사(A)방향에 관해 설정된 범위(A) 내의 모든 이동점에 관해 검색을 행하였는지의 여부에 관해 판별하는 것이다.
이 경우, 앞서의 도 5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중심점의 이동은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행하기 때문에, 이 스탭 S103의 판별 처리로서는, 초기 위치(Pfrst)에서의 구면수차 보정치에 대해, 범위(A)로서 설정된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에의 길이의 값을 가산한 구면수차 보정치까지, 중심점을 이동시켜서 8점 지터 측정을 행하였는지의 여부에 관해 판별 처리를 행하도록 된다.
A방향에서의 검색 범위가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는, 스탭 S104로 나아가서, 미리 정해진 경사(A)방향으로 중심점을 이동시킨다. 즉, 지금까지의 중심점으로 되어 있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SAx, FBy)로 하고, 경사(A)를 예를 들면 「2」라고 하면, 중심점으로서 (SA x+1, FBy+2)를 연산하여 구한다는 것이다.
또한, 확인을 위해 기술하여 두면, 여기서 말하는 「중심점의 이동」은, 실제로 그 중심점으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설정할 필요는 없고, 어디까지 그 이동점에서의 각 측정점(Pw)의 값을 산출하기 위한 중심점의 값을 선 택하면 충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스탭 S105에서 중심점을 이동시키면(선택하면), 앞서의 스탭 S102로 되돌아와, 상기 선택한 중심점의 값을 기초로 재차 8점 지터 측정 처리를 실행하도록 된다.
또한, 스탭 S103에서, 경사(A)방향에서의 검색 범위가 종료되었다고 하여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는, 스탭 S105에서, 보존한 대표치중 지터값이 최소의 대표치인 때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특정한다.
다음의 스탭 S106에서는, 특정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이동한다. 즉, 이와 같이 하여 특정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다음의 스탭 S107에서의 8점 지터 측정에 이용하는 중심점의 값으로서 선택한다.
스탭 S107에서는, 앞서의 스탭 S101과 마찬가지의 8점 지터 측정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계속되는 스탭 S108에서, 그 중의 지터 최대치(대표치)와 그때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보존하면, 다음의 스탭 S109에서, 경사(B)방향에서의 검색 범위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별 처리를 실행한다. 즉, 경사(B)방향에 관해 설정된 범위(B) 내의 모든 이동점에 관해 검색을 행하였는지의 여부에 관해 판별하는 것이다.
이 스탭 S109의 판별 처리로서는, 앞서의 스탭 S105에 특정된 구면수차 보정치에 대해, 범위(B)로서 설정된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에의 길이의 값을 감산(미리 범위(B)로서의 길이의 값을 부의 값으로 설정한 경우는 가산)한 구면수차 보정치까 지, 중심점을 이동시켜서 8점 지터 측정을 행하였는지의 여부에 관해 판별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스탭 S109에서, 경사(B)방향에 관한 검색 범위가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는, 스탭 S110으로 나아가서 미리 정해진 경사(B)방향으로 중심점을 이동시킨다. 즉, 앞서의 경사(A)방향으로의 이동 처리(S10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금까지의 중심점으로 되어 있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과 경사(B)로서 설정된 값에 의거한 연산을 행함으로써, 이동 후의 중심점으로서의 값을 구하고 나서, 이 경우는 그 값을 계속되는 8점 지터 측정 처리(S107)에서 이용하는 중심점의 값으로서 선택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 스탭 S109에서, 경사(B)방향에 관한 검색 범위가 종료되었다고 하여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는, 스탭 S111에서, 보존한 대표치중 지터값이 최소의 대표치인 때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특정한다.
그리고, 계속되는 스탭 S112에서, 이 특정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조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이들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구면수차 보정치 설정부(20)와 포커스 바이어스 설정부(16)에 각각 지시함으로써, 특정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조정이 행하여지도록 한다.
또한, 지금까지에서 설명한 제 1의 실시 형태에서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측정점(Pw)을 8점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조정 시간의 더한층의 단축화를 도모한다고 한 경우에는, 다음의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여 측정점(Pw)을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4귀퉁이의 단점(도면중 Pw1 내지 Pw4)만으로 할 수도 있다.
다만, 제 1의 실시 형태의 수법과 같이, 등고선이 늘어나도록 왜곡되는 방향/줄어들도록 왜곡되는 방향에서 검색 범위를 조이는 경우, 측정점(Pw)의 수를 삭감하면,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외주상의 최악점(대표치가 얻어지는 점)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 즉, 많은 경우에,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대표치가 얻어지는 점은 4귀퉁이의 단점이 되는 것이 예상되지만, 지터 특성의 등고선의 왜곡 방식에 따라서는 이들 4귀퉁이의 단점 각각의 중간점(도 5에서 말하면 Pw2, Pw4, Pw6, Pw8)이 대표치로 얻어지는 점이 될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이것을 고려하여, 도 5, 도 6의 예에서는, 측정점을 8점으로 비교적 많이 설정하고,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로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제 1의 실시 형태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이, 디스크(1)가 장전된 타이밍에서 실행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지만, 실시 형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은, 예를 들면 재생중, 시크 전후, 또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실행하거나, 디스크(1)상의 트레이스 위치(내외 주(周))에 따라 실행한 것도 고려된다. 예를 들면 재생중이라면,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의 버퍼링의 여유가 있는 타이밍에서 행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동작중의 소요되는 타이밍에서 실행됨으로써, 세트의 온도 변화(특히 온도 상승)에 의한 광학 특성의 변화에 의해 최적치로부터 설정치가 어 긋난 경우에도, 이에 추종하도록 포커스 바이어스 및 구면수차 보정치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경사(A)방향, 경사(B)방향으로 중심점을 이동시키는 범위로서, 각각 범위(A), 범위(B)를 규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들을 규정하지 않고 조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초기 위치(Pfrst)를 기준으로 하여 중심점을 A방향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대표치는 상승 또는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우선은 중심점을 A방향에서의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보고, 대표치의 지터값이 내려가는 방향으로 중심점을 순서대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각 이동점에서의 대표치를 얻어 간다. 이때, 중심점이 A방향에서의 중심점(PAdec)(도 5 참조)을 통과하여 지나치면, 대표치는 상승하기 시작하게 된다. 그래서, 이와 같이 중심점을 이동시켜 가서 얻어지는 대표치가 상승으로 바뀐 때에, 그 직전의 이동점에서의 중심점을 중심점(PAdec)으로서 결정된다.
또한, B방향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중심점을 이동시켜 보고, 대표치가 저하되는 방향으로 중심점을 이동시켜 가서 각각 대표치를 얻어 간다. 그리고, 대표치가 상승으로 바뀐 때에, 그 직전의 이동점에서의 중심점을 중심점(Pdec)(즉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된다 : 도 6 참조)으로서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미리 범위(A), 범위(B)를 규정하여 두지 않더라도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되도록 조정을 행할 수 있다.
4. 제 2의 실시 형태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계속해서, 제 2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제 2의 실시 형태로서도, 제 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앞서의 도 4에 도시한 수법보다도 조정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도록 하기 위한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수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 2의 실시 형태에서는, 미리 설정한 소정 복수의 측정점(함수 생성용 측정점)에서 측정한 지터값에 의거하여, 지터값에 대해 구면수차 보정치 또는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수로 하는 2차함수를 생성하고, 이 2차함수에 의거하여, 도 4의 (a)에 도시한 검색 범위(Ars) 내에서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Pcent)을 이동시킨 때의, 각 측정점(Pa 내지 Pd)에서의 지터값을 계산에 의해 구하도록 한다. 즉, 이와 같이 함으로써, 중심점을 각 이동점으로 이동시킨 때의 각 측정점의 SA·FB값을 실제로 설정하여 그때의 지터값을 측정하지 않아도 끝날 수 있고, 이로써 조정 시간의 단축화가 도모되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제 2의 실시 형태로서의 조정 수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의 도면에서, 도 9 내지 도 11의 각 (a)도에서는, X축에 구면수차 보정치, Y축에 포커스 바이어스값, Z축에 지터값을 취하고,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따른 지터값 특성을 3차원에 의해 입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X축, Y축, Z축은, 각각 도면중 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에 의해 정의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터값 특성은, 입체적으로는 지터값의 최소 위치측을 바닥으로 하는 주발모양의 형상에 의해 나타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의 각 (b)도에서는, 각 (a)도에 도시되는 함수 생성용 범위(Ar1)를 추출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주로 2차함수의 생성 수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생성한 2차함수에 의거한 실제의 조정 동작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9에서, 제 2의 실시 형태로서도, 조정 시작 전의 상태에서는,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어떤 초기 위치(Pfrst)로서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 초기 위치(Pfrst)를 중심으로 하여,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과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으로 격자형상으로 각각 3점씩 합계 9점이 되도록, 함수 생성용 측정점(P1 내지 P8)을 정의한다. 즉, 도 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초기 위치(Pfrst)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부터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으로 +J가 되는 위치에서, 초기 위치(Pfrst)의 구면수차 보정치(+K)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갖는 점을 함수 생성용 측정점(P1), 초기 위치(Pfrst)와 같은 구면수차 보정치를 갖는 점을 함수 생성용 측정점(P2), 초기 위치(Pfrst)의 구면수차 보정치(-K)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갖는 점을 함수 생성용 측정점(P3)으로서 정의한다.
또한, 초기 위치(Pfrst)와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갖는 2점으로서, 초기 위치(Pfrst)로부터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으로 +K만큼 떨어진 점을 함수 생성용 측정점(P8),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으로 -K만큼 떨어진 점을 함수 생성용 측정점(P4)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초기 위치(Pfrst)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부터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으로 -J가 되는 위치에서, 초기 위치(Pfrst)의 구면수차 보정치(-K) 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갖는 점을 함수 생성용 측정점(P5), 초기 위치(Pfrst)와 같은 구면수차 보정치를 갖는 점을 함수 생성용 측정점(P6), 초기 위치(Pfrst)의 구면수차 보정치(-K)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갖는 점을 함수 생성용 측정점(P7)으로서 정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초기 위치(Pfrst)도 포함하여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과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으로 격자형상으로 각각 3점이 얻어지도록 됨으로써, 각각이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갖는 3점의 측정점이 3열과, 각각이 같은 구면수차 보정치를 갖는 3점의 측정점이 3열 각각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정의되는 함수 생성용 측정점(P1 내지 P8)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범위인 것을, 함수 생성용 범위(Ar1)라고 부른다.
또한, 초기 위치(Pfrst)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함수 생성을 위한 9점의 함수 생성용 측정점중 1점을 담당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함수 생성용 측정점(P9)으로도 나타낸다.
그리고, 제 2의 실시 형태로서의 조정 동작으로서는, 우선은 이들 9점으로의 함수 생성용 측정점에서의 지터값을 측정하도록 된다. 즉, 우선, 현재의 설정치인 초기 위치(Pfrst)(P9)에서 지터값을 측정한다. 그 후는, 앞서 설명한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각 측정점(Pw)에 관한 지터값 측정과 마찬가지로, 순서대로 함수 생성용 측정점(P1 내지 P8)으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설정하여 각각의 측정점에서의 지터값을 측정한다.
각 함수 생성용 측정점(P1 내지 P9)에 관한 지터값을 측정하면, 다음의 도 10에 도시되는 2차함수의 생성을 행한다.
도 10에서, 우선 2차함수로서는, 도 10(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여 각각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고정으로 하였을 때의, 지터값에 대해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로 하는 2차함수를 3종 생성하도록 된다.
여기서, 함수 생성용 측정점(P1 내지 P9)으로서는, 상술한 바와도 같이 각각이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갖는 3점의 측정점이 3열과, 각각이 같은 구면수차 보정치를 갖는 3점의 측정점이 3열 각각 얻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우선 각각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갖는 P1, P2, P3의 3점의 측정점에서의 지터값과, 각각의 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에 의거함으로써, P1 내지 P3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고정으로 한 경우에서 있어서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로 한 지터값에 관한 2차함수를 근사하여 구할 수 있다.
즉, P1, P2, P3의 각 측정점에서, 다음의 [수식 1]에 의한 2차함수(2차 곡선)f(x)에 근사할 수 있다.
f(x)=ax2+bx+c … [수식 1]
이와 같이 하여 측정점(P1 내지 P3)에 근사한 2차함수f(x)에 관해서는, 도 10(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fh(x)라고 표기한다.
또한, 각각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갖는 P4, P9, P8의 3점의 측정점에서의 지터값과 각각의 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에 의거함으로써, 이들 P4, P9, P8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고정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로 한 2차함수를 마찬가지로 근사하여 구할 수 있다.
이들 측정점(P4, P9, P8)에서 근사한 2차함수에 관해서는 2차함수fm(x)라고 표기한다.
또한, 각각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갖는 P5, P6, P7의 3점의 측정점에 관해서도, 그들의 지터값과 구면수차 보정치에 의거함으로써, P5, P6, P7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고정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로 한 2차함수를 마찬가지로 구할 수 있다.
이 측정점(P5, P6, P7)에 근사한 2차함수에 관해서는 2차함수fl(x)라고 표기한다.
이와 같이 하여, 3종의 다른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각각 고정으로 한 경우에서 있어서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로 하는 2차함수(fh(x), fm(x), fl(x))가 구해지면, 다음의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이번에는 어떤 구면수차 보정치로 고정으로 한 경우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수로 하는 2차함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3종의 2차함수f(x)가 구해지면, 이들 2차함수f(x)에 각각 임의의 변수(x)(즉 구면수차 보정치)를 대입함으로써, 그 구면수차 보정치(SAx)와, 각각의 2차함수f(x)가 고정으로 한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특정되는 점에서의 지터값을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2차함수fh(x)의 변수(x)로서 어떤 구면수차 보정치(SAx)를 대입하였다고 하면, 도 11(b)에서 Ph로 나타나는, 측정점(P1, P2, P3)과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과, 이 구면수차 보정치(SAx)로 특정되는 점에서의 지터값을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2차함수fm(x)의 변수(x)로서 구면수차 보정치(SAx)를 대입하였다고 하면, 도면중 Pm로 나타나는, 측정점(P4, P9, P8)의 포커스 바이어스값과 구면수차 보정치(SAx)로 특정되는 점에서의 지터값을 얻을 수 있고, 또한, 2차함수fl(x)의 변수(x)로서 구면수차 보정치(SAx)를 대입하였다고 하면, 도면중 Pl로 나타나는, 측정점(P5, P6, P7)의 포커스 바이어스값과 구면수차 보정치(SAx)로 특정되는 점에서의 지터값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x)로 한 3종의 다른 2차함수f(x)로부터, 각각 같은 구면수차 보정치를 갖는 다른 3점에서의 지터값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각 같은 구면수차 보정치를 갖는 다른 3점에서의 지터값이 구해지면, 앞서의 2차함수f(x)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들 3점에서 근사에 의해 이번에는 어떤 구면수차 보정치로 고정으로 한 경우에서 있어서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수로 하는 2차함수f(y)(도면중 fL(y))를 구할 수 있다.
확인을 위해 나타내어 두면, 이와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수(y)로 한 2차함수f(y)로서는, 다음의 [수식 2]에 의한 것으로 된다.
f(y)=ay2+by+c … [수식 2]
상기 설명과 같이 하여,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x)로 한 3종의 2차함수f(x)로부터, 임의의 구면수차 보정치로 고정으로 하였을 때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수(y)로 한 2차함수f(y)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의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임의의 구면수차 보정치로 고정으로 한 때의 2차함수f(y)를 이용함으로써, 앞서의 도 4의 (b)에서 설명한 각각의 이동점일 때의,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각 단점(Pa, Pb, Pc, Pd)에서의 지터값을 계산에 의해 구함으로써, 실제로 이들 각 단점으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설정하지 않고도 각 점에서의 지터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조정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한다.
도 12에 의해, 이와 같은 제 2의 실시 형태로서의 실제의 조정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이 도 12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함수 생성용 측정점(P1 내지 P9)에 의해 형성되는 함수 생성용 범위(Ar1)와, 앞서의 도 4의 (b)에 도시한 검색 범위(Ars)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b)에도 도시되어 있는, 이 검색 범위(Ars)에서의 검색의 선두 위치에 중심점(Pcent)을 위치시킨 때의 필요마진 상정범위(W1)도 도시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각 함수 생성용 측정점(P)에 의거하여 생성된 2차함수(2차 곡선)(fh(x), fm(x), fl(x))도 나타나 있다.
도 12에서, 앞서의 도 4의 (b)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로서의 기본적인 조정 동작에 의하면,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그 중심점(Pcent)을 검색 범위(Ars) 내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이동시킨 때의 각 측정점(Pa 내지 Pd)에서의 지터값을 계측하고, 그 중에서 최악치를 대표치로서 보존하여 가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면, 이 경우에 있어서 지터값을 얻을 필요가 있는 것은, 중심점(Pcent)을 검색 범위(Ars) 내의 각 이동점으로 이동시킨 때의, 각 이동 처에서의 필요마진 상정범위(W)에서의 각 측정점(Pa 내지 Pd)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응하여, 우선 제 2의 실시 형태의 조정 동작으로서는, 함수 생성용 측정점(P1 내지 P9)에 의거하여 얻어진 2차함수f(x)로부터, 각 이동점의 필요마진 상정범위(W)에서의 각 측정점(Pa 내지 Pd)에서의 지터값을 얻기 위한 2차함수f(y)를 생성하도록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중심점(Pcent)이 검색 범위(Ars) 내의 선두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도시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1)의 위치로부터,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중심점(Pcent)을 이동시킨 때의, 각 이동점으로서의 측정점(Pa 내지 Pd)의 지터값을 계산한다고 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면, 우선, 이 경우는 도시하는 2차함수fL(y), 2차함수fR(y)를 생성함으로써, 각 이동처에서의 각 측정점(Pa 내지 Pd)에서의 지터값을 계산할 수 있다.
즉, 필요마진 상정범위(W)에서의 측정점(Pa)과 측정점(Pc)을 포함하는 라인상(즉 Pa, Pc의 구면수차 보정치로 고정으로 하였을 때)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수(y)로 한 2차함수fL(y)에 의해, 이 라인상의 임의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일 때의 지터값을 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필요마진 상정범위(W)에서의 측정점(Pb)과 측정점(Pd)을 포함하는 라인상(즉 Pb, Pd의 구면수차 보정치로 고정으로 하였을 때)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수(y)로 한 2차함수fR(y)에 의해, 이 라인상의 임의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일 때의 지터값을 구할 수 있다.
도시하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1)(선두 위치)에서, 측정점(Pa), 측정점(Pc)의 구면수차 보정치로서는, 중심점(Pcent)의 구면수차 보정치로부터, 앞서의 도 4의 (a)에 도시한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의 폭을 정의하기 위한 「α」를 감산한 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 2차함수fL(y)에 관해서는, 이 「중심점(Pcent)의 구면수차 보정치-α」에 의한 구면수차 보정치를, 각각 2차함수(fh(x), fm(x), fl(x))에 대입하여 도면중 PhL, PmL, PlL에서의 지터값을 구하고, 이들 PhL, PmL, PlL에서 근사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측정점(Pb), 측정점(Pd)의 구면수차 보정치로서는, 중심점(Pcent)의 구면수차 보정치에 대해 「α」를 가산한 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 2차함수fR(y)에 관해서는, 「중심점(Pcent)의 구면수차 보정치+α」에 의한 구면수차 보정치를, 각각 2차함수(fh(x), fm(x), fl(x))에 대입하여 도면중 PhL, PmL, PlL에서의 지터값을 구하고, 이들 PhL, PmL, PlL에서 근사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이들 2차함수fL(y), 2차함수fR(y)가 얻어지면, 이들에 각각 측정점(Pa, Pc), 측정점(Pb, Pd)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대입하여 이것을 풀음으로써, 측정점(Pa, Pb, Pc, Pd)에서의 지터값을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점(Pa)에 관해서는, 「중심점(Pcent)의 포커스 바이어스값+β」를 2차함수fL(y)의 변수(y)로서 대입하여 이것을 풀음으로써 구해진다. 또한, 측정점(Pc)에 관해서는, 「중심점(Pcent)의 포커스 바이어스값-β」를 2차함수fL(y)의 변수(y)로서 대입하여 이것을 풀음으로써 구해진다.
또한, 측정점(Pb)에 관해서는, 「중심점(Pcent)의 포커스 바이어스값+β」를 2차함수fR(y)의 변수(y)로서 대입하고, 측정점(Pd)에 관해서는 「중심점(Pcent)의 포커스 바이어스값-β」를 2차함수fR(y)의 변수(y)로서 대입하여 그것들을 풀음으 로써, 각각 구할 수 있다.
여기서, 2차함수fL(y)에 의해서는, 상술한 바와도 같이 측정점(Pa)와 측정점(Pc)을 포함하는 라인상의 임의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일 때의 지터값을 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차함수fR(y)에 의해서는, 측정점(Pb)과 측정점(Pd)을 포함하는 라인상의 임의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일 때의 지터값을 구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2차함수fL(y), 2차함수fR(y)로서는, 검색 범위(Ars)의 선두 위치로서의 도면중 필요마진 상정범위(W1)의 중심점(Pcent)을,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의 단점까지 이동시킨 때의, 각 이동처에서의 각 측정점(Pa 내지 Pd)에서의 지터값을 계산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즉, 중심점(Pcent)을 도면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으로만 1step 이동시킨 때의, 각 측정점(Pa 내지 Pd)의 지터값에 관해, 우선 측정점(Pa)의 지터값으로서는, 2차함수fL(y)에 대해, 직전의 이동점(이 경우는 선두 위치)에서의 측정점(Pa)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서 대입한 값으로부터 1step분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감산한 값을 대입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측정점(Pc)의 지터값은, 2차함수fL(y)에 대해, 직전의 이동점으로서의 측정점(Pc)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서 대입한 값으로부터 1step분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감산한 값을 대입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측정점(Pb), 측정점(Pd)의 지터값에 관해서는, 2차함수fR(y)에 대해, 직전의 이동점으로서의 측정점(Pb), 측정점(Pd)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서 대입한 값으로부터 1step분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감산한 값을 각각 대입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후 마찬가지로, 대입하는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경하여 지터값을 각각 계산하여 감으로써, 도면중 선두 위치의 중심점(Pcent)을 검색 범위(Ars)에서의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의 단점까지 이동시킨 때의, 각 이동점으로서의 측정점(Pa 내지 Pd)에서의 지터값을 구할 수 있다. 즉, 이로써 우선 선두 위치에서의 중심점(Pcent)의 구면수차 보정치의 1행분에 관해(즉 도 4의 (b)에서 말하면 W1 내지 Wm까지의 이동에 관해), 각각의 이동점으로서의 측정점(Pa 내지 Pd)에서의 지터값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앞에서 도 4의 (b)의 설명에 의하면, 이 경우의 검색 동작으로서는, 각 이동점으로 각 측정점(Pa 내지 Pd)에서의 지터값을 구한 때에, 그 중에서 최악의 지터값을 대표치로서 보존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 경우로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각 이동점마다의 각 측정점(Pa 내지 Pd)에서의 지터값 계산의 과정에서는, 이와 같이 각 이동점마다 대표치를 보존하는 동작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은 구면수차 보정치의 1행분에 관한 각 이동점에서의 지터값 계산 및 대표치 보존을, 검색 범위(Ars)에서 다른 구면수차 보정치의 행에 대해서도 행한다. 즉, 도 4의 (b)에서 말하면, 구면수차 보정치의 l행째까지 반복하여 행한다.
확인을 위해, 예를 들면 도면중 선두 위치로서의 중심점(Pcent)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서 있어서의, 그 다음의 구면수차 보정치의 행에 관해서는, 우선, 이 다음의 구면수차 보정치의 행으로의 중심점(Pcent)의 구면수차 보정치로부터 「α」를 감산한 구면수차 보정치를, 2차함수(fh(x), fm(x), fl(x))의 변수(x)로서 대입 하고, 이 「중심점(Pcent)의 구면수차 보정치-α」에 의한 구면수차 보정치와, 함수 생성용 측정점(P1 내지 P3, P4 내지 P8, P5 내지 P7)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특정되는 3점에서의 지터값을 구하고 나서, 이 3점에서 근사하여 2차함수fL(y)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다음의 구면수차 보정치의 행으로의 중심점(Pcent)의 구면수차 보정치에 대해 「α」를 가산한 구면수차 보정치를, 2차함수(fh(x), fm(x), fl(x))의 변수(x)로서 대입하고, 이 「중심점(Pcent)의 구면수차 보정치+α」에 의한 구면수차 보정치와, 함수 생성용 측정점(P1 내지 P3, P4 내지 P8, P5 내지 P7)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특정되는 3점에서의 지터값을 구하고 나서, 이 3점에서 근사하여 2차함수fR(y)를 생성한다.
그리고 나서, 이와 같이 다음의 구면수차 보정치의 행에 관해 새롭게 생성한 2차함수fL(y), 2차함수fR(y)에 대해, 앞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각 이동점에 따른 측정점(Pa 내지 Pd)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대입하고, 각 이동점으로서의 측정점(Pa 내지 Pd)에서의 지터값을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2차함수fL(y), 2차함수fR(y)의 생성, 및 이들의 2차함수f(y)를 이용한 각 측정점(Pa 내지 Pd)에서의 지터값 계산, 또한 각 이동점에서의 대표치 보존을, 검색 범위(Ars)에서의 구면수차 보정치의 최종행(l행째)까지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검색 범위(Ars) 내의 모든 이동점에 중심점(Pcent)을 이동시킨 때의, 각 이동점에서의 대표치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각 이동점에서의 대표치중에서, 최소(최량) 의 대표치를 특정하고, 이 특정된 최소의 대표치일 때의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Pcent)으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조정한다. 이로써, 앞서의 도 4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도 4의 (b)에서는 중심점(Pdec)의 위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앞서의 도 4의 (b)에서는, 필요마진 상정범위(W)를 W1 내지 Wn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보존한 각 이동점에서의 대표치에 관해, 모든 이동점에서의 대표치를 얻고 나서, 그들 중에서 최소(최량)의 대표치를 특정한다고 하여 설명을 행하였다.
기본적인 사상으로서는 이것으로 문제는 없지만, 실제에 있어서, 이와 같이 모든 이동점에서의 대표치를 보존하는 것은, 메모리의 삭감이 도모되지 않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그래서 제 2의 실시 형태로서는, 실제로는, 각 구면수차 보정치의 행마다, 그 행에서의 최소 대표치를 특정하고, 그 최소 대표치만을 보존하여 두는 것으로 한다. 즉, 최종적으로는, 이와 같이 각 구면수차 보정치의 행마다 얻어지는 최소 대표치중에서, 지터값이 최소의 최소 대표치(극소 대표치이라고도 한다)를 특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최종적인 극소 대표치를 특정하기 위해 보존되어야 할 대표치는, 각 은행에서의 최소 대표치를 특정하기 위한 구면수차 보정치의 1행분의 대표치와, 각 행에서 특정한 최소 대표치만으로 삭감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의한 제 2의 실시 형태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의 수법에 의하면,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되도록 조정함에 있어서 필요한, 각 이동점으로서의 각 측정점(Pa 내지 Pd)의 지터값을, 실제로 이들의 이동점에 따른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설정하는 일 없이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각 2차함수(f(x), f(y))의 생성에 필요한, 각 함수 생성용 측정점으로서의 9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설정하여 그들의 지터값을 측정하기만 하면, 후에는 계산에 의해 각 이동점으로서의 각 측정점(Pa 내지 Pd)의 지터값을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설정한 지터값 측정의 필요 회수를 적어도 9회라는 비교적 적은 회수로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에의 조정을 보다 단시간에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는, 다음의 도 1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에 의한 제 2의 실시 형태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실행되어야 할 처리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 도 13에 도시하는 처리 동작으로서도, 도 1(및 도 3)에 도시한 시스템 컨트롤러(60)가, 예를 들면 자신이 구비하는 ROM 등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 도면에서도,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해 디스크(1)가 장전되고, 이미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도 9에서 설명한 초기 위치(Pfrst)로서의 값으로 설정된 상태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13에서, 우선 스탭 S201에서는, 함수 생성용 범위(Ar1)에서의 9점 지터 측정 처리를 실행한다. 즉, 우선은 설정중인 초기 위치(Pfrst)에서의 지터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 초기 위치(Pfrst)로부터 앞서의 도 9(b)에 도시한 「J」 「K」를 가감산하여 계산할 수 있는 각 함수 생성용 측정점(P1 내지 P8)의 값을 구하고, 이들의 값이 구면수차 보정치 설정부(20)와 포커스 바이어스 설정부(16)에 순서대로 설정되도록 지시를 행하고, 그들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설정하에서 도 1에 도시한 평가기(55a)에 순서대로 측정된 지터값을 각각 입력한다.
이로써 함수 생성용 측정점(P1 내지 P9)의 9점에서의 지터값이 얻어진다.
계속되는 스탭 S202에서는, 측정된 지터값에 의거하여, 2차함수(fh(x), fm(x), fl(x))를 생성한다. 즉, 각각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갖는 측정점(P1, P2, P3)의 3점에서의 지터값과, 각각의 측정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에 의거하여, 이들 측정점(P1 내지 P3)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고정으로 한 경우에서 있어서의, 앞서의 [수식 1]에 표시한 바와 같은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x)로 한 2차함수fh(x)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각각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갖는 측정점(P4, P9, P8)의 3점에서의 지터값과 각각의 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에 의거하여, 이들 측정점(P4, P9, P8)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고정으로 한 경우에서 있어서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x)로 한 2차함수fm(x)를 생성한다.
또한, 각각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갖는 측정점(P5, P6, P7)의 3점에서의 지터값과 구면수차 보정치에 의거함으로써, 측정점(P5, P6, P7)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고정으로 한 경우에서 있어서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x)로 한 2차함수fl(x)를 생성한다.
그리고, 스탭 S203에서는, SA(구면수차 보정치) 선두치를 선택한다. 즉,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Pcent)의 구면수차 보정치로서, 미리 검색 범위(Ars) 내에서 검색의 시작점으로서 설정된 구면수차 보정치를 선택한다. 앞서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 선두치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의 행부터 차례로 중심점(Pcent)을 이동시키도록 하여, 검색이 시작되게 된다.
스탭 S204에서는, 선택된 SA값과 필요마진 상정범위(W)에 의거하여 2차함수fL(y), 2차함수fR(y)를 생성한다.
즉, 2차함수fL(y)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선택된 중심점(Pcent)의 SA값이 「SAx」,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의 폭이 2α라고 하면, 「SAx-α」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각각 2차함수(fh(x), fm(x), fl(x))의 변수(x)로서 대입하여 이들을 풀음으로써, 측정점(P1, P2, P3)과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과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SAx-α)로 특정되는 점(예를 들면 도 12의 PhL)에서의 지터값, 측정점(P4, P9, P8)의 포커스 바이어스값과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SAx-α)로 특정되는 점(예를 들면 도 12의 PmL)에서의 지터값, 측정점(P5, P6, P7)의 포커스 바이어스값과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SAx-α)로 특정되는 점(예를 들면 도 12의 PlL)에서의 지터값을 각각 얻는다.
그리고 나서, 이들 3점에서 근사하여,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SAx-α)로 고정으로 하였을 때의, 앞서의 [수식 2]에 표시한 바와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수(y)로 한 2차함수fL(y)를 생성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2차함수fR(y)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선택된 중심점(Pcent)의 SA값이 「SAx」,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의 폭이 2α라고 하면, 「SAx+α」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각각 2차함수(fh(x), fm(x), fl(x))의 변수(x)로서 대입하여 이들을 풀음으로써, 측정점(P1, P2, P3)과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과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SAx+α)로 특정되는 점(예를 들면 도 12의 PhR)에서의 지터값, 측정점(P4, P9, P8)의 포커스 바이어스값과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SAx+α)로 특정되는 점(예를 들면 도 12의 PmR)에서의 지터값, 측정점(P5, P6, P7)의 포커스 바이어스값과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SAx+α)로 특정되는 점(예를 들면 도 12의 PlR)에서의 지터값을 각각 얻는다.
그리고 나서, 이들 3점에서 근사하여,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SAx+α)로 고정으로 하였을 때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수(y)로 한 2차함수fR(y)를 생성한다.
계속되는 스탭 S205에서는, FB(포커스 바이어스값) 선두치를 선택한다. 즉,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Pcent)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서, 미리 검색 범위(Ars) 내에서 검색의 시작점으로서 설정된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선택한다. 이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선두치로부터 순서로, 각 구면수차 보정치의 행에서 중심점(Pcent)을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으로 이동시킨 검색이 행하여진다.
스탭 S206에서는, 4점 지터 계산 처리를 실행한다. 즉, 선택된 구면수차 보 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중심점(Pcent)을 위치시킨 때의,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각 측정점(Pa 내지 Pd)에서의 지터값을 계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의 폭이 2β이고, 선택된 중심점(Pcent)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가령 「FBy」라고 하면, 측정점(Pa)=「FBy+β」, 측정점(Pc)=「FBy-β」, 측정점(Pb)=「FBy+β」, 측정점(Pd)=「FBy-β」에 의해, 각 측정점(Pa 내지 Pd)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구한다.
그리고 나서, 2차함수fL(y)의 변수(y)로서, 각각 상기 「FBy+β」 「FBy-β」를 대입하여 이것을 풀음으로써, 측정점(Pa), 측정점(Pc)에서의 지터값을 계산에 의해 구한다. 또한, 한쪽의 2차함수fR(y)의 변수(y)로서 각각 상기 「FBy+β」 「FBy-β」를 대입하여 이것을 풀음으로써, 측정점(Pb), 측정점(Pd)에서의 지터값을 계산에 의해 구한다.
그리고, 스탭 S207에서는, 계산된 지터값중 최대치(대표치)와, 선택된 SA(구면수차 보정치), FB(포커스 바이어스값)의 값을 보존한다. 즉, 계산된 지터값중 최대(최악)치를 특정하고, 이 특정한 대표치에 대해 그 때 선택한(즉 그때의 중심점(Pcent)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대응시켜서 보존한다.
계속되는 스탭 S208에서는, FB값이 full이 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해 판별 처리를 행한다. 즉, 현재 선택되어 있는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미리 검색 범위(Ars)의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의 단점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서 설정된 값(FB측 단점치 : 도 4의 (b)에서 말하면 「m」열째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되었는의 여부에 관해 판별 처리를 행한다. 이로써 어떤 구면수차 보정치의 1행분의 이동이 완료 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별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또한, 검색 범위(Ars)는 고정된 범위이기 때문에, 검색 범위(Ars)에 몇 열의 FB열이 포함되는지(이 경우는 m열)는 미리 알 수 있다. 그래서, 이 스탭 S208의 판별 처리로서는, FB값의 이동(선택)을 소정회 행하였는지를 판별함으로서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스탭 S208에서, 예를 들면 현재 선택되어 있는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상기 FB측 단점치로는 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는, 스탭 S209로 나아가서 FB+1step을 선택한다. 즉, 현재 선택되어 있는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대해 1step분 가산한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선택한다.
그리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앞서의 스탭 S206으로 되돌아와, 이와 같이 선택된 새로운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의거하여, 재차 4점 지터값 계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 스탭 S208에서, 예를 들면 현재 선택되어 있는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상기 FB측 단점치가 되었다고 하여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는, 스탭 S210에서, 보존한 대표치중 지터값이 최소의 대표치를 그 SA행의 최소 대표치로서 설정한다.
또한, 앞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하여 각 SA행마다 최소 대표치를 보존하는 것은, 모든 이동점에서의 대표치를 보존하는 경우보다도 메모리의 삭감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이 의미에서, 실제의 스탭 S210의 처리로서는, 설정한 최소 대표치 이외의 대표치와 그때의 SA, FB의 값을 소거하는, 또는 재기록 가능하 게 하는 처리를 추가한다. 이로써, 메모리(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60)가 구비하는 RAM 등)에는 적어도 각 SA행에서의 최소 대표치(와 그때의 중심점(Pcent)의 SA, FB의 값)만이 보존되면 충분한 것으로 되고, 모든 이동점에서의 대표치(와 그때의 중심점(Pcent)의 SA, FB의 값)를 보존하는 경우보다도 메모리 용량의 삭감이 도모된다.
또한, 확인을 위해 기술하여 두면, 이와 같이 하여 각 SA행마다 최소 대표치를 보존하고, 각 SA행의 최소 대표치중에서 최종적인 최소의 대표치(극소 대표치)를 특정하도록 한 경우에도, 최종적으로는 모든 이동점에 관해 보존한 대표치로부터 최소의 대표치를 특정하는 경우와 같은 대표치가 특정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각 SA행마다 최소 대표치를 보존하고, 각 SA행의 최소 대표치중에서 최종적인 극소 대표치를 특정하도록 한 경우도, 모든 이동점에서 대표치를 얻고 그중에서 최소의 대표치를 특정하고 있는 것에 변함은 없는 것이다.
계속해서, 스탭 S211에서는, SA값이 full이 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해 판별 처리를 행한다. 즉, 현재 선택되어 있는 구면수차 보정치가, 미리 검색 범위(Ars)의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의 단점의 구면수차 보정치로서 설정된 값(SA측 단점치 : 도 4의 (b)에서 말하면 「l」행째의 구면수차 보정치)으로 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해 판별 처리를 행한다. 이로써 검색 범위(Ars) 내의 모든 구면수차 보정치 행에 관해 이동이 완료되었는지에 관한 판별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또한, 구면수차 보정치의 행 수로서도, 고정에 의한 검색 범위(Ars)로부터 미리 알 수 있기(이 경우는 l행) 때문에, 이 스탭 S211의 판별 처리로서도, SA값의 이동(선택)을 소정 회수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 것으로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스탭 S211에서, 예를 들면 현재 선택되어 있는 구면수차 보정치가 상기 SA측 단점치로는 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는, 스탭 S212로 나아가서 SA+1step를 선택한다. 즉, 현재 선택되어 있는 구면수차 보정치에 대해 1step분 가산한 구면수차 보정치를 선택한다.
그리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앞서의 스탭 S204로 되돌아와, 이와 같이 선택된 새로운 구면수차 보정치에 의거하여, 새로운 2차함수fL(y)와 2차함수fR(y)를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 스탭 S211에서, 예를 들면 현재 선택되어 있는 구면수차 보정치가 상기 SA측 단점치가 되었다고 하여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는, 스탭 S213에서, SA행마다 보존한 최소 대표치중 지터값이 최소의 극소 대표치를 특정한다.
그리고, 계속되는 스탭 S214에서, 특정된 극소 대표치인 때의 중심점(Pcent)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조정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이들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구면수차 보정치 설정부(20)와 포커스 바이어스 설정부(16)에 각각 지시함으로써, 특정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조정이 행하여지도록 한다.
이로써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에서 설명한 제 2의 실시 형태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으로서도, 디스크(1)가 장전된 타이밍에서 실행되는 이외에도, 예를 들면 재생중, 시크 전후, 또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실행하거나, 디스크(1)상의 트레이스 위치(내외 주)에 따라 실행하는 것도 고려된다.
예를 들면 재생중이라면,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의 버퍼링의 여유가 있는 타이밍에서 행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동작중 소요되는 타이밍에서 실행됨으로써, 세트의 온도 변화(특히 온도 상승)에 의한 광학 특성의 변화에 의해 최적치로부터 설정치가 어긋난 경우에도, 이에 추종하도록 포커스 바이어스 및 구면수차 보정치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의 실시 형태에서는, 함수 생성용 측정점은 P1 내지 P9의 9점만으로 하였지만, 이 함수 생성용 측정점으로서는,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도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과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으로 격자형상으로 각각 3점 이상이 얻어지도록 9점 이상이 설정됨으로써, 각각이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갖는 3점 이상의 측정점이 3렬 이상과, 각각이 같은 구면수차 보정치를 갖는 3점 이상의 측정점이 3렬 이상 각각 얻어지게 되어,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로 한 2차함수f(x)를 적어도 3종 생성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적어도 3종의 2차함수f(x)가 생성됨으로써, 최종적으로 검색 범위(Ars) 내에서 중심점(Pcent)을 이동시킨 때의 각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각 측정점의 지터값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2차함수f(y)(제 2의 2차함수)를 얻는데 있어서 필요한, 제 1의 2차함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함수 생성용 측정점으로서는, 이와 같이 하여 적어도 3점×3점의 9점이 설정됨으로써, 상기 제 2의 2차함수를 얻기 위한 제 1의 2차함수를 생성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보다 실제의 지터값 특성에 가까운 2차함수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 측정점을 4점×4점, 5점×5점 등 보다 많이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당연한 일이지만 함수 생성용 측정점을 늘린 경우는, 그만큼 제 1의 2차함수 생성을 위한 지터값 측정에 시간을 필요로 하여, 조정 시간의 단축화의 관점에서 보아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함수 생성용 측정점으로서는, 예를 들면 3점×3점으로 한 경우에도, 각 측정점의 간격을 충분히 넓게 취함으로써, 실제의 지터값 특성에 보다 가까운 제 1의 2차함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이 경우, 함수 생성용 범위(Ar1)를 너무 넓게 취하면 트래킹 서보가 벗어나 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함수 생성용 범위(Ar1)로서는(즉 도 9에 도시한 「K」와 「J」의 값으로서는), 이것을 고려하여, 트래킹 서보가 벗어나지 않는 범위이며 또한 각 측정점의 간격이 충분히 넓게 되는 범위가 되도록 설정되어야 할 것이 된다.
또한, 제 2의 실시 형태에서는, 검색 범위(Ars) 내에서 중심점(Pcent)을 각 SA행의 FB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검색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 1의 2차함수로서, 우선은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로 한 2차함수f(x)를 3종 생성한 후에, 이들 3종의 2차함수f(x)에 의거하여 상기 제 2의 2차함수로서의 2차함수f(y)를 생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역으로 검색 범위(Ars) 내에서 중심점(Pcent)을 각 FB열의 SA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검색을 행하도록 한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2차함수로서, 우선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수로 한 2차함수f(y)를 3종 생성한 후에, 이들 3종의 2차함수f(y)에 의거하여, 상기 제 2의 2차함수로서 2차함수f(x)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2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 1의 2차함수를 생성한 후, 중심점(Pcent)의 위치하는 SA행마다(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FB열마다의 검색을 행하는 경우는 FB열마다)에 순서대로 제 2의 2차함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제 1의 2차함수로부터 미리 모든 SA행(FB열)에 관한 제 2의 2차함수를 생성한 다음, 각 SA행(각 FB열)에서의 지터값 계산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메모리 용량 삭감을 위해 SA행마다의 최소 대표치를 얻음에 있어서, SA행의 1행분의 대표치를 순서대로 보존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하와 같이 함으로써, 보존하여야 할 대표치는 항상 하나만으로 할 수 있다.
즉, 대표치가 얻어질 때마다, 직전의 이동점에서의 대표치와 비교하고, 직전의 대표치의 쪽이 값이 크면 새롭게 얻어진 대표치로 갱신하고, 직전의 대표치의 쪽이 값이 작으면 값의 갱신은 행하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대표치는 하나만을 보존함으로써 그 SA행의 최소 대표치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이 생각에 의거하면, 극소 대표치를 구하는데 있어서도, 보존하여 두어야 할 대표치의 수는 하나만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대표치가 얻어질 때마다 직전의 이동점에서의 대표치와 비교하고, 직전의 대표치의 쪽이 값이 크면 새롭게 얻어진 대표치로 갱신하고, 직전의 대표치의 쪽이 값이 작으면 값의 갱신은 행하지 않는다는 동작을 모든 SA행에 걸쳐서 행한다. 이로써, 최종적 으로 보존되어 있는 대표치가 극소 대표치가 되고, 극소 대표치를 구하는데 있어서도 보존하여 두어야 할 대표치의 수는 하나만으로 할 수 있다.
5. 제 3의 실시 형태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그런데, 지금까지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어떤 검색 범위 내에서 측정된 대표치중, 지터값이 최량이 된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중심점으로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를 조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실시 형태로서는, 이와 같이 지터값이 최량이 된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중심점으로 조정하는 것은 물론, 지터값이 어떤 값보다도 낮은(즉 평가신호치가 소정 이상 양호한) 어느 하나의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중심점의 값에 의거하여, SA, FB를 조정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지금까지에서 설명하여 온 바와 같이 하여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를 조정하는 수법에서는, 평가치를 취득할 때의 측정 편차 등에 의해, 실제의 평가치와는 다른 값이 취득되어 버리는 것도 고려된다. 이와 같이 측정 편차 등으로 실제와는 다른 평가치가 얻어져 버린 경우, 단지 지터값이 최량이 되는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중심점으로 조정하여 버리면 조정치에도 편차이 생겨 버린다.
그래서, 최량의 대표치로 한하지 않고, 어떤 임계치 이하의 양호한 대표치의 어느 하나일 때의 중심점의 SA값, FB값에 의거하여,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조정되도록 한 것이 제 3의 실시 형태이다.
이와 같은 제 3의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로서, 이하의 제 1예 및 제 2예를 든다.
<5-1. 제 1예>
도 14는, 제 3의 실시 형태의 제 1예로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 14에서는, 횡축을 구면수차 보정치, 종축을 지터값으로 한 경우에서의, 각 SA행마다의 최소 대표치의 분포를 흰 원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제 1예로서는, 최량의 대표치(극소 대표치)를 구하기까지의 동작이 앞서의 제 2의 실시 형태와 같게 된다. 이와 같은 극소 대표치를 얻기까지의 동작에 관해서는 제 2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되기 때문에 여기서 다시 설명은 하지 않다.
우선, 이 제 1예에서는, 극소 대표치를 구한 후에, 극소 대표치(+△)에 의한 지터값에 관한 임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SA행마다 구한 최소 대표치중, 지터값이 이 임계치가 되는 최소 대표치일 때의 중심점을 특정한다. 도 14에서는, 이들 특정된 중심점에서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각각 SA_M, SA_P로 나타내고 있다.
이들 구면수차 보정치(SA_M), 구면수차 보정치(SA_P)를 특정하면, 「(SA_M+SA_P)/2」에 의해 구면수차 보정치(SA_C)를 산출한다.
그리고,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이 구면수차 보정치(SA_C)로 고정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FB방향으로 검색을 행하여, 대표치의 지터값이 최소가 되는 때의 중심점의 포커스 바이어스값(FB_x)을 구한다.
그리고 나서, 이들 구면수차 보정치(SA_C)와 포커스 바이어스값(FB_x)에 조정을 행한다.
이로써, 지터값의 측정 편차가 생긴 경우에도, 이것을 흡수하여 조정치의 편 차도 적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의 조정점은 대표치가 어떤 임계치 이하가 되는 점에 의거하여 설정된 것이기 때문에,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 부근으로서의, 조정 후의 포커스나 구면수차의 어긋남에 관한 마진을 고려한 적정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즉,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되도록 조정을 행하고 있는 것에 다름은 없다.
도 15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예로서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실행되어야 할 처리 동작에 관해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도면에 도시하는 처리 동작으로서도, 도 1(및 도 3)에 도시한 시스템 컨트롤러(60)가 예를 들면 자신이 구비하는 ROM 등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 도면에서도,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해 디스크(1)가 장전되고, 이미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도 9에서 설명한 초기 위치(Pfrst)로서의 값으로 설정된 상태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우선,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스탭 S301 내지 S313의 처리 동작은, 앞서의 도 13에서 도시한 제 2의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최량의 대표치(극소 대표치)를 특정하기까지의 처리 동작이 된다. 또한, 이들의 처리 동작은 도 13에서 스탭 S201 내지 S213과 같게 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스탭 S314에서는, 우선 극소 대표치(+△)에 의한 임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스탭 S315에서는, 지터값=임계치가 되는 최소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SA_M, SA_P)를 특정한다.
또한, 이와 같이 지터값=임계치가 되는 최소 대표치와 그 중심점의 정보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이 경우의 메모리로서는, 적어도 SA행의 수와 동수분의 용량이 필요해진다.
또한, 스탭 S316에서는, 「(SA_M+SA_P)/2」에 의해 구면수차 보정치(SA_C)를 산출한다.
계속되는 스탭 S317에서는, SA_C를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로 고정으로 하여 FB방향에의 검색을 행한다. 즉, 앞서의 제 2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수로 하는 2차함수f(y)를 이용한 계산 결과에 의해,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를 상기 SA_C로 고정으로 한 경우의 FB방향에의 각 이동점에서의 대표치를 얻도록 된다.
그리고, 스탭 S318에서는, 대표치가 최소가 되는 중심점의 포커스 바이어스값(FB_x)을 특정한다.
그리고 나서 스탭 S319에서, 구면수차 보정치(SA_C)와 포커스 바이어스값(FB_x)으로 조정이 행하여지도록 한다. 즉, 이들 구면수차 보정치(SA_C)와 포커스 바이어스값(FB_x)을 구면수차 보정치 설정부(20)와 포커스 바이어스 설정부(16)에 각각 지시함으로써, 이들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조정이 행하여지도록 한다.
또한, 이 제 1예에서, 임계치는 극소 대표치(+△)로서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미리 정해진 고정된 임계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극소 대표치를 특정하는 동작은 생략할 수 있다. 즉, 각 SA행에서의 최소 대표치를 구하기까지의 처 리를 행한 다음, 스탭 S315 이후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또한, 여기서는 앞서의 도 13을 모방하고 SA행마다의 최소 대표치를 구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SA방향만을 기준으로 하여 1차원적으로 편차를 흡수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역으로 FB열마다의 최소 대표치를 구하는 것으로 한 경우에 대응하여서는, FB방향에 관해 얻어진 최소 대표치를 기초로 같은 동작을 행함으로써, FB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1차원적으로 편차를 흡수하도록 할 수도 있다.
<5-1. 제 2예>
도 16은, 제 3의 실시 형태의 제 2예로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앞서의 도 4의 (b)와 마찬가지로 횡축을 구면수차 보정치, 종축을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검색 범위(Ars)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면중 복수의 동그라미에 의해, 이 검색 범위(Ars) 내에서의 각 이동처에서의 필요마진 상정범위(W)의 중심점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제 2예로서도, 극소 대표치를 구하기까지의 동작이 제 2의 실시 형태의 경우와 공통으로 되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2예는, 제 1예와 같이 SA방향만, 또는 FB방향만이라는 것과 같이 1차원적으로 편차를 흡수하는 것은 아니라, SA방향 및 FB방향의 2차원적으로 편차를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도 극소 대표치를 특정하면, 극소 대표치(+△)에 의한 임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이 경우는 2차원적인 편차의 흡수를 행하기 위해, 각 SA행의 최소 대표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대표치를 대상으로 하여, 임계치 이하가 되는 대표치를 특정한다. 도 16에서는, 이와 같은 임계치 이하가 되는 대표치의 중심점의 분포예를, 세로선을 그은 원의 분포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이들 임계치 이하가 되는 대표치의 중심점이 N개 있다고 하고, 그들의 중심점의 값을 SA_1, FB_1 … SA_N, FB_N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나서, 이들 임계치 이하가 되는 대표치의 중심점(SA_1, FB_1 … SA_N, FB_N)을 특정하면, 이들 SA_1, FB_1 … SA_N, FB_N에 의해 형성되는 2차원 평면의 중심이 되는 위치로 구면수차 보정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조정한다.
즉, 이하의 [수식 3]에 의한 연산을 행하여 상기 중심이 되는 위치의 구면수차 보정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구한다.
Figure 112006083183575-PAT00001
...[수식 3]
그리고, 이들의 구면수차 보정치,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조정을 행하는 것.
상기 제 2예에 의해서도, 지터값의 측정 편차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치의 편차도 적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도 조정점은 대표치가 어떤 임계치 이하가 되는 점에 의거하여 설정된 것이기 때문에,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 부근으로서의, 조정 후의 포커스나 구면수차의 어긋남에 관한 마진을 고려한 적정한 위치에 조정할 수 있다. 즉, 필요마진 센터 위치(Pm-cent)가 되도록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도 17은, 이와 같은 제 2예로서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 동작을 도시하 고 있다.
또한, 이 도면에 도시하는 처리 동작으로서도, 도 1(및 도 3)에 도시한 시스템 컨트롤러(60)가 예를 들면 자신이 구비하는 ROM 등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 도면에서도,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해 디스크(1)가 장전되고, 이미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도 9에서 설명한 초기 위치(Pfrst)로서의 값으로 설정된 상태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우선, 이 경우도 스탭 S401 내지 S413의 처리 동작은, 앞서의 도 13에서 도시한 제 2의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은 최량의 대표치(극소 대표치)를 특정하기까지의 처리 동작이 된다. 이들의 처리 동작으로서도 앞서의 스탭 S201 내지 S213과 같게 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스탭 S414에서는, 우선 극소 대표치(+△)에 의한 임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스탭 S415에서는, 지터값이 임계치 이하가 되는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중심점의 SA, FB(SA_1, FB_1 … SA_N, FB_N)를 특정한다.
또한, 이 설명으로부터도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2예에서는 지터값이 임계치 이하가 되는 대표치와 그 중심점의 정보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메모리로서는, 검색 범위(Ars) 내의 모든 이동 점분의 용량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나서, 스탭 S416에서는, SA_1, FB_1 … SA_N, FB_N로 형성되는 2차원 평면의 중심이 되는 위치로 SA와 FB를 조정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즉, SA_1, FB_1 … SA_N, FB_N의 값에 의거하여, 앞서의 [수식 3]을 연산함 으로써 상기 중심이 되는 위치의 구면수차 보정치,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얻는다. 그리고, 이들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구면수차 보정치 설정부(20)와 포커스 바이어스 설정부(16)에 각각 지시함으로써, 상기 중심이 되는 위치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으로 조정이 행하여지도록 한다.
또한, 이 제 2예에서도 임계치는 극소 대표치(+△)로서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경우에서도 미리 정해진 고정의 임계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SA행마다의 최소 대표치, 및 극소 대표치를 특정하는 동작은 생략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검색 범위(Ars) 내의 모든 이동점에서의 대표치를 구한 처리를 행하고 나서, 스탭 S415 이후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여기서, 본 발명으로서는 지금까지 설명하여 온 실시 형태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각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의 구면수차 보정 기구로서, 빔 엑스팬더, 액정 소자에 의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들 이외에도, 예를 들면 변형 미러를 이용한 것 등, 다른 수법에 의한 보정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재생 장치가, 상 변화 방식으로 데이터의 기록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라이터블 디스크)에 대응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 장치로서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재생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피트/랜드의 조합으로 데이터가 기록된 재생 전용의 광디스크에 대응하여 데이터의 재생만을 행하는 재생 전용 장치로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평가신호의 값으로서는 지터값을 채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 이외에도 예를 들면 워블 신호의 진폭치, RF 신호의 진폭치, 차(差) 메트릭에 관한 평가치로 하는 것(2치화 처리에 PRML이 채용되는 경우로서, 이상치로부터의 오차나 편차를 나타낸 값)으로 할 수도 있다.
어느 것이든, 본 발명에서 평가신호로서는,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에 의거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재생 신호 품질의 지표가 되는 것이면, 다른 평가신호의 값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 메트릭에 관한 평가치를 채용하는 경우, 앞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등고선이 크게 왜곡되는 일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수법은 특히 유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블 신호 진폭치나 RF 신호 진폭치를 채용한 경우, 평가치의 최대치가 최량치로 되고, 최소치가 최악치로 되어, 지터값을 채용한 실시 형태와는 평가치의 최대와 최소와의 취급이 역전한다. 이 때문에, 이들 워블 신호 진폭치나 RF 신호 진폭치를 채용한 경우는, 도 7, 도 13, 도 15, 도 17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에서 「최소」는 「최대」로, 「최대」는 「최소」로 치환하는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으로 된다. 또한, 도 15, 도 17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에서는, 「극소 대표치(+△)」가 아니라 「극소 대표치-△」가 되고, 「임계치 이하가 되는 대표치」(S415)는 「임계치 이상이 되는 대표치」로 치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평가신호의 값의 등고선 형상이 왜곡되어 얻어지는 경우에도,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필요마진 센터 위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즉, 이로 인해, 예를 들면 수차가 있는 광학 픽업이 이용된 경우나, PRML(Partial Response Maximum Likelihood) 복호(復號)가 채용되는 경우에 평가신호로서 이상치로부터의 오차나 편차에 의거한 평가신호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필요마진 센터 위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필요마진 센터 위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 후에 있어서 온도 변화나 디스크의 면 편차 등에 의해 포커스나 구면수차가 어긋난 경우에도, 항상 상정범위 내의 신호 기록 재생 품질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8)

  1. 기록 매체에 관해 적어도 재생을 행하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데이터의 판독을 위해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한 레이저 조사 및 반사광 검출을 행함과 함께, 레이저광의 포커스 서보 기구 및 구면수차 보정 기구를 갖는 헤드 수단과,
    상기 헤드 수단에서 얻어지는 반사광에 의거하여, 재생 신호 품질의 지표가 되는 평가신호를 생성하는 평가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헤드 수단에서 얻어지는 반사광에 의거한 신호로서 생성되는 포커스 에러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포커스 서보 기구를 구동하여 포커스 서보를 실행하는포커스 서보 수단과,
    구면수차 보정치에 의거하여 상기 구면수차 보정 기구를 구동하여 구면수차 보정을 실행하는구면수차 보정 수단과,
    상기 포커스 서보 수단을 포함하는 포커스 루프에 포커스 바이어스를 가산하는 포커스 바이어스 수단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와 상기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중심점이 소정의 검색 범위에서 이동한 때의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 내의 소정 복수점에서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을 각 이동점마다 얻고, 그들 각 이동점마다 상기 소정 복수점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중 최악치를 대표치로 하고, 이들 각 이동점마다의 대표치중 상기 평가신호의 값이 소정 이상 양호하게 되는 어느 하 나의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의거하여, 상기 구면수차 보정 수단과 상기 포커스 바이어스 수단에 설정되어야 할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소정의 제 1의 경사 방향에서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중심점이 이동한 때의 상기 소정 복수점에서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을 각 이동점마다 얻음과 함께, 그들 각 이동점의 상기 소정 복수점에서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중 최악치를 제 1의 대표치로서 각각 보존하고,
    또한, 보존된 각각의 제 1의 대표치중 상기 평가신호의 값이 소정 이상 양호하게 되는 제 1의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중심점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제 1의 경사 방향과는 다른 소정의 제 2의 경사 방향에서의 소요 범위를 상기 검색 범위로 하고,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중심점을 이동시킨 때의 상기 소정 복수점에서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을 각 이동점마다 얻음과 함께, 그들 각 이동점마다 상기 소정 복수점에서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중 최악치를 제 2의 대표치로서 각각 보존하고,
    상기 보존된 제 2의 대표치중 상기 평가신호의 값이 소정 이상 양호하게 되는 제 2의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 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각각 상기 구면수차 보정 수단과 상기 포커스 바이어스 수단에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의 경사 방향에서 상기 중심점이 이동한 때의 상기 소정 복수점에서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을 각 이동점마다 얻음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경사 방향에서 상기 중심점이 이동한 때의 상기 소정 복수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각각 구면수차 보정 수단과 포커스 바이어스 수단에 순서대로 설정되도록 제어를 행하고, 각각의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설정하에서 순서대로 상기 평가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상기 평가신호의 값을 입력하도록 되고,
    또한, 상기 제 2의 경사 방향으로 상기 중심점이 이동한 때의 상기 소정 복수점에서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을 각 이동점마다 얻음에 있어서는, 상기 제 2의 경사 방향에서 상기 중심점이 이동한 때의 상기 소정 복수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각각 구면수차 보정 수단과 포커스 바이어스 수단으로 순서대로 설정되도록 제어를 행하고, 각각의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설정하에서 순서대로 상기 평가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상기 평가신호의 값을 입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복수의 함수 생성용 측정점으로서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조가 순서대로 상기 구면수차 보정 수단과 포커스 바이어스 수단에 설정되도록 제어를 행하고, 그들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설정하에서 순서대로 상기 평가신호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평가신호의 값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함수 생성용 측정점에서의 평가신호의 값을 각각 얻고 나서,
    이들의 평가신호의 값과 각각의 측정점의 포커스 바이어스값, 또는 이들의 평가신호의 값과 각각의 측정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의 어느 한쪽에 의거하여, 상기 평가신호의 값에 대해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로 하는 2차함수나, 또는 상기 평가신호의 값에 대해 상기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수로 하는 2차함수의 어느 하나에 의한 제 1의 2차함수를 생성함과 함께,
    상기 제 1의 2차함수에 의거하여,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 또는 포커스 바이어스값중 또 한쪽을 변수로 한 상기 평가신호의 값에 관한 제 2의 2차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 2의 2차함수에 의거하여, 상기 검색 범위에서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중심점이 이동한 때의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상기 소정 복수점에서의 평가신호의 값을 계산에 의해 얻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구면수차 보정치 방향과 포커스 바이어스값 방향의 2방향에서 격자형상으로 적어도 각각 3점씩이 얻어지도록 설정되는 9점 이상의 함수 생성용 측정점에 관해, 각각의 측정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조가 상기 구면수차 보정 수단과 포커스 바이어스 수단으로 순서대로 설정되도록 제어를 행하고, 그들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의 설정하에서 순서대로 상기 평가신호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평가신호의 값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함수 생성용 측정점에서의 각각의 평가신호의 값을 얻고 나서,
    상기 함수 생성용 측정점중 적어도 9점의 함수 생성용 측정점에 관해, 각각의 측정점에서의 평가신호의 값과 포커스 바이어스값, 또는 각각의 측정점에서의 평가신호의 값과 구면수차 보정치의 어느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평가신호의 값에 대해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를 변수로 하는 적어도 3종의 2차함수나, 또는 상기 평가신호의 값에 대해 상기 포커스 바이어스값을 변수로 하는 적어도 3종의 2차함수의 어느 하나에 의한 제 1의 2차함수를 생성함과 함께,
    이들 제 1의 2차함수에 의거하여,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 또는 포커스 바이어스값중 또 한쪽을 변수로 한 상기 평가신호의 값에 관한 제 2의 2차함수를 생성하고, 이 제 2의 2차함수에 의거하여, 상기 검색 범위에서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중심점이 이동한 때의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소정 복수점에서의 평가신호의 값을 계산에 의해 얻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복수점은,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4귀퉁이의 단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복수점은,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4귀퉁이의 단점과, 각각 이웃하는 상기 단점 사이의 중간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8. 기록 매체에 관해 적어도 신호의 재생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해 조사한 레이저광의 반사광에 의거하여 재생 신호 품질의 지표가 되는 평가신호를 생성 가능하게 구성됨과 함께, 포커스 바이어스와 구면수차 보정치를 가변 설정 가능한 재생 장치에서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방법으로서,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와 상기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필요마진 상정범위의 중심점이 소정의 검색 범위에서 이동한 때의 상기 필요마진 상정범위 내의 소정 복수점에서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을 각 이동점마다 얻고, 그들 각 이동점마다 상기 소정 복수점의 상기 평가신호의 값중 최악치를 대표치로 하고, 이들 각 이동점마다의 대표치중 상기 평가신호의 값이 소정 이상 양호하게 되는 어느 하나의 대표치가 얻어진 때의 중심점의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에 의거하여, 상기 구면수차 보정치와 포커스 바이어스값이 조정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방법.
KR1020060112152A 2005-11-18 2006-11-14 재생 장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방법 KR200700531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34137A JP4407623B2 (ja) 2005-11-18 2005-11-18 再生装置、球面収差補正値及びフォーカスバイアス調整方法
JPJP-P-2005-00334137 2005-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114A true KR20070053114A (ko) 2007-05-23

Family

ID=3807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152A KR20070053114A (ko) 2005-11-18 2006-11-14 재생 장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68880B2 (ko)
JP (1) JP4407623B2 (ko)
KR (1) KR20070053114A (ko)
CN (1) CN100511444C (ko)
TW (1) TW2007330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5579B2 (ja) * 2006-05-23 2011-1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装置
JP4231072B2 (ja) * 2006-09-26 2009-02-25 ソニーNecオプティアーク株式会社 光記録媒体駆動装置、球面収差調整方法
JP4420920B2 (ja) * 2006-11-08 2010-02-24 ソニーオプティアーク株式会社 光記録媒体駆動装置、フォーカスオン方法
JP4823114B2 (ja) * 2007-03-23 2011-11-24 三洋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4994163B2 (ja) * 2007-09-07 2012-08-08 太陽誘電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5143031B2 (ja) * 2008-01-22 2013-02-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ドライブ、光ディスクシステム、光ディスクシステムを搭載した移動体、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031569B2 (en) * 2008-05-09 2011-10-04 Apple Inc. Playing data from an optical media drive
US20100034061A1 (en) * 2008-08-11 2010-02-11 Chih-Ching Yu Optical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 chip for accessing an optical disc and method thereof
US8638646B2 (en) * 2008-12-10 2014-01-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3499505B1 (en) * 2009-03-02 2024-03-2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Optical disk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5564188B2 (ja) * 2009-03-02 2014-07-3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光ディスク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5564189B2 (ja) 2009-03-02 2014-07-3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光ディスク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5051178B2 (ja) * 2009-05-21 2012-10-17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5453976B2 (ja) * 2009-07-21 2014-03-26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TWI406275B (zh) * 2010-08-20 2013-08-21 Sunplus Technology Co Ltd 光碟機中尋找最佳聚焦偏壓及球差補償值的方法與裝置
JP5724546B2 (ja) * 2011-03-31 2015-05-27 富士通オプティカル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光送信機および光波形補償方法
JP2012256381A (ja) 2011-06-07 2012-12-27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WO2013140933A1 (ja) * 2012-03-22 2013-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光情報処理装置及び光情報処理方法、並びに光情報処理装置の調整装置、調整方法、及び調整プログラム
JP6554668B2 (ja) * 2015-03-11 2019-08-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CN111597597B (zh) * 2020-05-11 2023-03-28 内蒙古京泰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pdms天圆地方结构体设备模型的创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645A (ja) 1996-03-15 1997-09-22 Sony Corp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
JPH10269611A (ja) 1997-03-27 1998-10-09 Pioneer Electron Corp 光ピックア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多層ディスク再生装置
US6151154A (en) * 1998-03-12 2000-11-21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Optical pickup, aberration correction unit and astigmatism measurement method
JP2000011388A (ja) 1998-06-19 2000-01-14 Sony Corp 光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光情報記録再生方法
JP2000285484A (ja) 1999-03-31 2000-10-13 Toshiba Corp フォーカスバランス調整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EP1288927A4 (en) * 2001-03-12 2003-07-09 Sony Corp OPTICAL HEAD, OPTICAL DEVICE, AND ABERRATION CORRECTION ELEMENT
JP2002324328A (ja) * 2001-04-25 2002-11-08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再生装置および光学式記録媒体
JP2002352449A (ja) 2001-05-23 2002-12-06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WO2003005352A1 (fr) * 2001-07-05 2003-01-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a disque optique
US7277365B2 (en) * 2001-12-07 2007-10-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optical information
JP4727971B2 (ja) * 2004-11-11 2011-07-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3095A (en) 2007-09-01
US20070159951A1 (en) 2007-07-12
CN1967676A (zh) 2007-05-23
JP4407623B2 (ja) 2010-02-03
JP2007141369A (ja) 2007-06-07
CN100511444C (zh) 2009-07-08
US7768880B2 (en) 2010-08-03
TWI330840B (ko) 201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3114A (ko) 재생 장치, 구면수차 보정치 및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방법
US7843788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driving device and spherical aberration adjustment method
KR20060082424A (ko) 광픽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및 광디스크 장치
US7782722B2 (en) Method of adjusting spherical aberration and focus offset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7122815A (ja) 光ディスク装置の球面収差及びフォーカスオフセット調整方法、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US7545709B2 (en) Optical disk apparatus having servo parameter setting unit
JP2014053054A (ja) 傾き検出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4264653B2 (ja) 光ディスク装置、フォーカスバイアス及び球面収差補正値調整方法
JP2008112514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2000222747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サーボパラメータ調整装置
US8085629B2 (en) Optical focus error offset to reduce radial to vertical crosstalk
KR100640584B1 (ko) 광디스크 장치 및 광디스크의 틸트 보정방법
US81599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cking error balance in optical disc apparatus
US20090296548A1 (en) Method for measuring and optimizing radial to vertical crosstalk
KR100624266B1 (ko) 홀로그래픽 롬 디스크의 트랙 서보 제어 방법
JP4988458B2 (ja) 光記録媒体装置
KR100948145B1 (ko) 포커스 서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광 디스크드라이브
JP2007200381A (ja) 光ディスク装置運転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4087127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8084400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6155716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チルト補正方法
JP2005158206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チルト制御方法
JP2001256645A (ja) 信号記録再生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3123296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レーザー出力制御方法
JP2006012339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レーザパワー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