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591A - 충격흡수기구 - Google Patents

충격흡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591A
KR20070049591A KR1020060110029A KR20060110029A KR20070049591A KR 20070049591 A KR20070049591 A KR 20070049591A KR 1020060110029 A KR1020060110029 A KR 1020060110029A KR 20060110029 A KR20060110029 A KR 20060110029A KR 20070049591 A KR20070049591 A KR 20070049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er
striker
rotating body
groove
standby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유키 도미오카
가츠야스 도미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70049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rack-and-pinion transmission between driving shaft and piston within the close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7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top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closer housings, covers, end caps or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7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with clos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9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with a single cylinder and of single-tub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과제) 회동체의 회동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그 힘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상적으로 회동체를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시킬 때의 소정의 회동위치에서의 저항이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한다.
(해결수단) 회동체(D)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본체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회동체(D)를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했을 때에 전방측에서 이동되어 오는 스트라이커(1)를 포착하는 캐쳐(catcher)(2)와, 하중(荷重) 응답형의 제동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캐쳐(2)는 대기위치와 수납위치의 사이에서 왕복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대기위치에서 스트라이커(striker)(1)를 포착하여 수납위치까지 왕동(往動)회동하게 되어 있고, 이 캐쳐(2)의 수납위치를 향한 회동에 제동장치(6)의 제동이 작용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기구{SHOCK ABSORBING MECHANISM}
도 1은 충격흡수기구를 구비시킨 회동체(D)의 사시 구성도
도 2는 동 요부 사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의 충격흡수기구의 요부 사시 구성도
도 4는 충격흡수기구를 구비시킨 회동체(D)의 사시 구성도
도 5는 동 요부 사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의 충격흡수기구의 요부 사시 구성도
도 7은 오동작상태를 복귀시킬 때의 캐쳐(2)를 구성하는 래치체(210)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8은 캐쳐(2)의 저면도
도 9는 캐쳐(2)의 분해 사시 구성도
도 10은 캐쳐(2)의 분해 사시 구성도(도 9의 반대방향에서 본 도면)
도 11은 충격흡수기구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충격흡수기구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3은 충격흡수기구의 또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4는 충격흡수기구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요부 저면 구성도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 있어서의 요부 사시 구성도
도 16은 도 14의 상태에 있어서의 요부 저면 구성도
도 17은 다른 구성예에 관한 충격흡수기구의 요부 저면 구성도
도 18은 도 17의 상태에 있어서의 요부 사시 구성도
도 19는 도 17의 상태에 있어서의 요부 저면 구성도
도 20은 다른 구성예에 관한 충격흡수기구의 요부 저면 구성도
도 21은 도 20의 상태에 있어서의 요부 사시 구성도
도 22는 도 20의 상태에 있어서의 요부 저면 구성도
도 23은 다른 구성예에 관한 충격흡수기구의 캐쳐의 분리 사시 구성도
도 24는 다른 구성예에 관한 오동작상태를 복귀시킬 때의 스트라이커(1)를 구성하는 핀체(14)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면중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D - 회동체 H - 개구부
F - 전방측 1 - 스트라이커(striker)
2 - 캐쳐(catcher) 205 - 회동축(Dc)
208 - 걸림홈 208a - 도입구
208b - 일측 홈벽 208c - 타측 홈벽
209 - 베이스면 210 - 래치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5-127527호 (단락번호 0080, 0081, 도 30 내지 32 참조)
본 발명은 전개위치에 있는 회동체를 기준위치로 회동시킬 때의, 예를 들면, 도어가 폐색될 때 등의 충격을 흡수하는 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어에 구비된 인입핀과, 케이스체측에 구비된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개폐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이 있다. 회전판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회전판을 회전지점에서 떨어진 위치에 일단을 고정시키고, 또 케이스체에 타단을 고정시킨 스프링에 의해, 나선홈의 입구를 전방측을 향한 회동위치(대기위치)와, 내측을 향한 수납위치(회동위치)에 있어서 각각 안정적으로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어를 폐색위치를 향해 회동조작시키면 인입핀은 대기위치에 있는 회전판의 나선홈에 인입되고, 회전판이 수납위치를 향해 회동되어 스프링의 중성점을 넘어서면, 회전판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수납위치까지 강제적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는 폐색위치, 요컨데 케이스체의 개구를 폐색하는 위치까지 회동되어 이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에 있어서는, 첫째로 도어가 폐색위치로의 회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시키기 위해 회전감쇠수단의 제동을 크게 하면, 도어를 폐색위치로 회동시키기 위한 저항이 증가하고, 이 저항을 줄이려고 하면 도어의 회동에 힘이 가해졌을 때의 충격을 완전히 흡수할 수 없다는 딜레마를 가지는 것이었다. 또, 둘째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어떠한 원인에 의해 회전판이 수납위치로 회동되면, 도어를 폐색해도 이와 같이 회동된 회전판의 나선홈에 인입핀을 삽입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회전판를 대기위치로 되돌릴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첫째로, 이러한 종류의 도어 등의 회동체를 구비한 기구에 있어서, 회동체가 폐색위치를 향한 회동속도에 따라 (요컨데, 운동 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그것이 클 때에는 상기 회동체의 회동에 큰 제동력을 작용시키고, 그것이 작을 때에는 상기 회동체의 회동에 작용시키는 제동력도 상응하여 작게 해서, 회동체의 회동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그 힘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통상적으로 회동체를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시킬 때의 소정의 회동위치에서의 저항이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하는 점에 있다.
또, 두번째로, 회동체측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특허문헌 1에서는 인입핀)를 포착하는 캐쳐(동 문헌에서는 회전판)가 회동체가 전개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기치 않게 수납위치에 회동위치결정된 경우에도, 회동체를 기준위치로 회동시키 는 것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를 캐쳐에 적절하게 포착시켜서 소기의 상태로의 복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충격흡수기구를 이하의 (1) 내지 (5)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
(1) 회동체 및 이 회동체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본체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와,
(2) 상기한 회동체 및 상기한 스트라이커의 타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회동체를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했을 때 전방측에서 이동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오는 스트라이커를 포착하는 캐쳐와,
(3) 하중 응답형의 제동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4) 상기한 캐쳐가 대기위치와 수납위치의 사이에서 왕복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대기위치에 있어서 스트라이커를 포착하여 수납위치까지 왕동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5) 상기 캐쳐의 수납위치를 향한 회동에 상기 제동장치의 제동이 작용되게 되어 있다.
회동체를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해 가면, 소정의 회동위치에서, 회동체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는 대기위치에 있는 캐쳐에 포착된다. 스트라이커를 포착한 캐쳐는 회동체의 회동력에 의해 수납위치까지 회동된다. 상기 캐쳐 의 회동에는 제동장치에 의해, 회동체의 회동속도가 빠르고 캐쳐의 회동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그에 따른 비교적 큰 제동력이 작용되고, 회동체의 회동속도가 느리고 캐쳐의 회동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그에 따른 비교적 작은 제동력이 작용된다. 이것에 의해 회동체의 회동에 힘이 가해졌을 때 그 힘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상적으로 회동체를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시킬 때의 소정의 회동위치에서의 저항을 과대하게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제동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피스톤과 실린더를 구비하고 피스톤의 압입이동에 실린더에 봉입(封入)된 점성유체의 저항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피스톤에 가해지는 하중이 크면 클수록(피스톤의 압입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피스톤이 점성유체의 저항을 강하게 받도록 구성한 것(본 출원인이 출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5-188693호에 나타낸 댐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동장치는, 피스톤과 실린더를 구비하고, 피스톤의 압입이동에 실린더에 봉입된 점성유체의 저항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캐쳐에 피니언형상부가 형성되고, 또 이 피니언형상부에 맞물리는 래크를 가진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라이더를 제동장치의 피스톤에 조립시켜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수납위치를 향해 회동되는 캐쳐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통해서, 상기 캐쳐의 회동에 제동장치에 의한 제동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캐쳐의 측방에 제동장치를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충격흡수기구는, 적어도 2개소의 설치용 면(面)을 단차를 두고서 구비한 케 이스를 가지고 있고, 이 케이스를 통해서 본체측에 부착해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본체에서의 충격흡수기구의 설치 개소에 단차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단차에 케이스의 2개소의 설치용 면을 정합시키도록 한 설치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캐쳐는 대기위치와 수납위치의 사이의 중간위치보다 대기위치측에 있을 때에는 이 대기위치를 향한 탄지를 받고,
또, 중간위치보다 수납위치측에 있을 때에는 이 수납위치를 향한 탄지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회동축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는 면부에, 대기위치에 있어서 도입구를 전방측으로 향하게 한 스트라이커 걸림홈을 가지고 있고,
상기 걸림홈의 일측 홈벽은 상기 면부의 베이스면에서 탄지에 의해 돌출되는 래치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캐쳐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걸림홈의 일측 홈벽이 타측 홈벽보다 전방측에 있고, 또 래치체가 스트라이커의 이동궤적상에 적어도 그 일부를 위치시키도록 해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회동체를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해 가면, 소정의 회동위치에서 회동체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는 대기위치에 있는 캐쳐의 걸림홈에 인입되어 포착된다. 스트라이커를 포착한 캐쳐는 기준위치를 향한 회동체의 회동력에 의해 중간위치를 넘어서 회동(왕동)되고, 탄지에 의해 수납위치까지 회동된다. 스트라이커를 캐쳐에 포착시킨 회동체는 상기 캐쳐의 회동에 의해 기준 위치까지 강제적으로 회동된다. 한편, 이와 같이 기준위치에 위치결정된 회동체를 전개위치를 향해 회동조작하면, 수납위치에서 스트라이커를 포착하고 있는 캐쳐가 스트라이커의 이동에 의해 중간위치를 넘어서 회동{복동(復動)}되고, 탄지에 의해 대기위치에 도달한다. 대기위치에서는 걸림홈의 도입구가 전방측을 향하게 되기 때문에, 스트라이커는 걸림홈으로부터 빠져나가서 캐쳐에서 해방된다. 이것에 의해 회동체는 자유롭게 된다. 그와 함께, 캐쳐는 다음에 회동체가 기준위치를 향해 이동되어 올 때까지 탄지에 의해 대기위치에 계속해서 위치결정된다. 회동체가 기준위치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캐쳐가 예기치 않게 수납위치에 회동위치결정된 경우(오동작상태)에는, 회동체를 기준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스트라이커가 걸림홈의 일측 홈벽을 구성하는 래치체에 맞닿고, 이 래치체를 탄지에 저항하여 압입하게 된다. 이어서 스트라이커가 래치체보다 내측으로 인입된 위치에서의 래치체의 탄발/돌출에 의해 수납위치에 있는 캐쳐의 걸림홈에 스트라이커를 포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정상인 동작상태로의 복귀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캐쳐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의 래치체의 외측부에 있어서, 스트라이커의 이동궤적상에 위치되는 일부에, 래치체의 정상부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높아지는 전방측을 향한 경사면을 형성시켜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상기 오동작상태에 있어서, 회동체를 기준위치까지 이동시켰을 때, 수납위치에 있는 캐쳐의 래치체의 경사면에 스트라이커가 전방측에서 맞닿고, 이 경사면의 경사에 의해 래치체를 탄지에 저항하여 부드럽게 압입할 수 있다.
상기 래치체에, 외곽형상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한 대좌부(臺座部)를 구비시키고, 이 대좌부의 외곽형상을 따르는 내곽형상을 구비한 가이드구멍에 상기 대좌부를 상기 가이드구멍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여 캐쳐에 구비시킴과 아울러,
상기 대좌부의 길이방향이, 캐쳐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스트라이커의 이동궤적에 대략적으로 따르도록 해두는 것도 있다.
또, 상기 캐쳐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전방측에 위치되는 래치체의 대좌부의 전단측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면부에 각각, 대좌부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리브를 형성시켜 둠과 아울러,
가이드구멍에 상기 리브가 수납되는 가이드홈을 형성시켜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상기 오동작상태에 있어서, 회동체를 기준위치까지 이동시켰을 때, 수납위치에 있는 캐쳐의 래치체에 스트라이커가 전방측에서 맞닿아서 탄지에 저항하여 래치체가 압입되게 되는데, 이 때에 래치체의 대좌부에 기울어짐 등이 가능한 한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래치체를 확실하게 압입시킬 수 있다.
대좌부의 양단부에 각각 대좌부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보조 리브를 형성시켜 둠과 아울러,
가이드구멍에 상기 보조 리브가 수납되는 보조 가이드홈을 형성시켜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상기 오동작상태에 있어서, 회동체를 기준위치까지 이동시켰을 때, 수납위치에 있는 캐쳐의 래치체에 스트라이커가 전방측에서 맞닿은 경 우에, 래치체의 대좌부에 그 폭방향에 있어서도 기울어짐 등이 가능한 한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래치체를 확실히 압입시킬 수 있다.
상기 캐쳐는 대기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의 중간위치보다 대기위치측에 있을 때에는 이 대기위치를 향한 탄지를 받고,
또, 중간위치보다 수납위치측에 있을 때에는 이 수납위치를 향한 탄지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주(主) 부재와 부(副) 부재를 조립시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주 부재와 부 부재의 사이에, 대기위치에 있어서 도입구를 전방측으로 향하게 한 스트라이커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캐쳐의 대기위치로의 복동회동에 수반하여 부 부재가 걸림홈의 도입구를 넓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해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캐쳐의 인입위치에서는 걸림홈의 홈폭을, 스트라이커를 덜거덕거림이 적게 수납하는 치수로 설정시키면서, 캐쳐의 대기위치에서는 스트라이커의 이동궤적이 약간 어긋나거나 오차가 생긴 경우에도, 상기 도입구에서 걸림홈내로 스트라이커를 적절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부 부재는, 캐쳐의 회동축이 관통되는 긴 구멍과, 상기 회동축의 측방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의 지지체에 형성된 원호형상으로 연속되는 트레이스홈에 안내되는 슬라이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트레이스홈과 회동축 사이의 피치(pitch, 간격)의 변화에 의해 캐쳐의 대기위치로의 복동회동에 수반하여 긴 구멍의 길이범위 내에서 부 부재가 슬라이드 상태로 이동되도록 해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수납위치에서 복동회동되는 캐쳐에 있어서의 부 부재를, 대기위치에 이르기 직전까지는 상기 긴 구멍의 일측에 회동축을 위치시키도록 하고, 또 대기위치에 도달하면 트레이스홈을 따라 슬라이드자가 이동되어 상기 긴 구멍의 타측에 회동축이 위치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고, 이 이동에 의해 대기위치에 있어서 캐쳐의 걸림홈의 도입구를 넓히게 할 수 있다.
상기 캐쳐의 주 부재에, 슬라이더의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형상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캐쳐가 적어도 중간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주 부재와 다른 위치에서 슬라이더의 래크에 맞물리는 기어부를 구비한 어시스트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어시스트부재에 의해, 중간위치에 있는 캐쳐에 맞물리는 슬라이더에 대해 탄지력을 작용시켜서, 수납위치를 향한 캐쳐의 회동을 보조하도록 해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캐쳐가 중간위치까지 왕동회동되어 왔을 때, 어시스트부재에 의해 슬라이더에 탄지력을 작용시켜서, 상기 중간위치를 넘어서 수납위치를 향해 캐쳐를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고, 회동체를 기준위치까지 확실히 회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스트라이커를, 탄지에 의해 스트라이커 베이스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상기 탄지에 저항하여 인입 가능하게 스트라이커 베이스에 조립한 핀체에 의해 구성시켜 둠과 아울러,
캐쳐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의 부 부재의 외연부가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궤적상에 위치되도록 해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회동체가 기준위치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캐쳐가 예기치 않게 수납위치에 회동위치결정되었을 때(오동작상태)에는, 회동체를 기준위치까지 회동조작하면, 스트라이커를 구성하는 핀체는 부 부재의 외연부에 맞닿아서 탄지에 저항하여 인입되고, 핀체가 부 부재를 타고 넘는 것을 허용시킬 수 있다. 핀체가 부 부재를 타고 넘으면 핀체는 탄지에 의해 다시 돌출되고 수납위치에 있는 캐쳐의 걸림홈에 스트라이커를 포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와 같은 경우에서도 정상적인 동작상태로의 복귀를 행할 수 있다.
상기한 회동체가 주택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건구(建具), 또는 주택에 구비되는 비품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부재라면, 특히, 이들이 바람에 흔들리는 경우에도 상기 건구 등이 기준위치에서, 즉, 폐색위치에서 충격 및 충격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 이러한 건구 등에 고급감을 부여시킬 수 있다.
상기한 회동체가 전기기구를 구성하는 전기기구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부재라면, 특히, 이러한 부재가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를 향해 강하게 회동된 경우에도 기준위치에서 충격 및 충격음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것에 기인한 전기기구 내외부품 등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재의 동작에 고급감을 부여시킬 수 있다.
상기한 회동체가 사무기기를 구성하는 사무기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부재라면, 특히, 이러한 부재가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를 향해 강하게 회동된 경우에도 기준위치에서 충격 및 충격음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것에 기인한 사무기기의 내외부품 등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재의 동작에 고급감을 부여시킬 수 있다.
상기한 회동체가 자동차를 구성하는 자동차 본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외장부재, 또는 내장부재라면, 특히, 외장부재에 있어서는 이들이 바람에 흔들리는 경우에서도 상기 외장부재 등이 기준위치에서 충격 및 충격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 내장부재에 있어서는 그것이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를 향해 강하게 회동된 경우에도 기준위치에서 충격 및 충격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것에 기인한 자동차의 내외부품 등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재의 동작에 고급감을 부여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24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3은 충격흡수기구를 구성하는 캐쳐(2)가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쳐(2)에 스트라이커(1)가 포착되는 소정의 회동위치로 회동체(D)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회동체(D)의 상부(Db)측을, 도 2는 상기 상부(Db)측을 확대한 것을, 도 3은 상기한 상태에서의 충격흡수기구의 요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 내지 도 6은 충격흡수기구를 구성하는 캐쳐(2)가 수납위치에 있고, 이 위치에 있는 캐쳐(2)에 스트라이커(1)를 포착시켜서 기준위치에 회동체(D)를 회 동위치결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는 회동체(D)의 상부(Db)측을, 도 5는 상기 상부(Db)측을 확대한 것을, 도 6은 상기한 상태에서의 충격흡수기구의 요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은 회동체(D)가 기준위치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캐쳐(2)가 수납위치로 회동된 경우에, 회동체(D)를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했을 때의 캐쳐(2)와 스트라이커(1)의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동 도면에서 (a), (b), (c), (d)의 순서로 회동체(D)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가 내측으로 이동되고, 캐쳐(2)의 래치체(210)를 타고 넘어서 최종적으로는 걸림홈(208)에 인입된다.
또, 도 8은 캐쳐(2)를 그 하면부(202)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도 8에 있어서는 캐쳐(2)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회동체(D)를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한 경우의 스트라이커(1)의 이동궤적을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 및 도 10은 각각, 캐쳐(2)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분리한 상태로 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 및 도 12는 회동체(D)가 트렁크덮개(T)인 경우의 충격흡수기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트렁크덮개(T)가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되어, 자동차 본체측에 설치된 대기위치에 있는 캐쳐에 포착된 순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3은 회동체(D)가 글러브박스(G)인 경우의 충격흡수기구의 사용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4 내지 도 24는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충격흡수기구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 내지 도 16은 캐쳐(2)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 17 내지 도 19는 캐쳐(2)가 중간위치를 약간 넘은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 20 내지 도 22는 캐쳐(2)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또, 도 14, 도 17, 도 20은 충격흡수기구를 하측에서 보았을 때, 도 15, 도 18, 도 21은 캐쳐(2)의 상태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도 16, 도 19, 도 22은 캐쳐(2)를 구성하는 부 부재(218)와 회동축(205)의 위치관계를 주 부재(217) 등을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3은 주 부재(217)와 부 부재(218)를 분리시킨 상태이고, 또 도 24는 수납위치로의 오동작에 의해 캐쳐(2)가 위치결정된 경우에, 회동체(D)를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시켰을 때의 스트라이커(1)를 구성하는 핀체(14)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동 도면(a), (b), (c)의 순서로 전방측(F)에서 핀체(14)가 이동되어 수납위치에 위치결정된 캐쳐(2)의 걸림홈(208)에 포착 걸어맞춤된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충격흡수기구는 전개위치에 있는 회동체(D)가 기준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또, 그와 함께,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되어 온 회동체(D)를 소정의 회동위치에서 강제적으로 상기 기준위치까지 인입하여 그 기준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결정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회동체(D)로서는 전형적으로 이하의 것 등을 예정하고 있다.
(1) 주택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건구, 및 주택에 설치되는 비품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부재
현관이나 방 입구 등의 건물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도어(문)
시스템 키친이나 식기 선반 등의 집기의 도어
변기의 변좌(便座)나 변기 덮개
(2) 전기기구를 구성하는 전기기구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부재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밥솥, 식기세척기, 가열조리기의 도어
밥솥, 전기 포트, 전기 청소기의 덮개
휴대전화 디스플레이부
에어컨디셔너의 그릴
파칭코나 슬롯머신 등의 업무용 유기기(遊技機)의 전방 도어
(3) 사무기기를 구성하는 사무기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부재
프린터나 복사기를 구성하는 각종 회동 가동부재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
(4) 자동차를 구성하는 자동차 본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외장부재 또는 내장부재(컵 홀더의 홀더부 등의 내장부재의 일부를 포함한다)
좌우 도어, 후부 도어
회동전개식 루프(roof)
회동전개식 어시스트 그립
접이식 테이블
회동전개식 훅(hook)
선 바이저(sun visor)
도어 미러(mirror)
카오디오장치나 네비게이션장치의 회동 기립식 디스플레이부
회동전개식 컵 홀더의 홀더부
급유구의 덮개
트렁크의 덮개
엔진룸의 덮개
글러브박스의 덮개
회동전개식 암레스트(arm rest)
러기지(luggage) 커버
시트의 등받이부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상기한 회동체(D)의 일예로서, 상기 회동체(D)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본체측, 여기에서는 개구부(H)측에 일단부를 경첩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회동지지측(Da)에 대향하는 타단부를 도어 프레임(Ha)의 도어 맞닿음부(Hb) 등에 맞닿은 위치에서 상기한 개구부(H)를 폐색하는 도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충격흡수기구는 스트라이커(1)와 그 캐쳐(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스트라이커(1)는 회동체(D)측(도시한 예에서는 도어측)에 설치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Ha)의 상측 프레임부(Hc)의 하면에 있어서, 회동체(D)의 회동지지측(Da)에서 약간 간격을 둔 위치에 캐쳐(2)를 구비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스트라이커(1)는 회동체(D)의 상부(Db)에 있어서, 회동체(D)의 회동지지측(Da)에서 약간 간격을 둔 위치에 설치되 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스트라이커(1)는 L자형상체(10)의 일측 암(11)의 단부에 있어서, 그 굴곡 외측의 면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축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스트라이커(1)는 L자형상체(10)의 타측 암(12)에 의해서 회동체(D)의 일면에 상기 L자형상체(10)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체(D)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캐쳐(2)는 상기 회동체(D)에 의해 폐색되는 개구부(H)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캐쳐(2)는 개방되어 있는 회동체(D)를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했을 때에 전방측(F)(이 실시예에서는 맞은편)에서 이동되어 오는 스트라이커(1)를 상기 회동체(D)의 소정의 회동위치에 있어서 포착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캐쳐(2)는 도어 프레임(Ha)의 상측 프레임부(Hc)의 하면에 있어서, 회동체(D)의 회동지지측(Da)에서 약간 간격을 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하면이 개방된 대략 직사각형의 상자형상을 이루는 케이스(3) 내에 캐쳐(2)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의 상면부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3)를 도어 프레임(Ha)의 상측 프레임부(Hc)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도어 프레임(Ha)의 상측 프레임부(Hc)에 캐쳐(2)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케이스(3)의 상면부에는 상기 케이스(3)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단차를 사이에 둔 양측을 각각 상측 프레임부(Hc)에 대한 설치용 면(33, 34)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2개소의 설치용 면(33, 34) 중, 단차의 하측의 설치용 면(33)을 도어 맞닿음부(Hb)의 돌출면에 접하게 하고, 또 단차의 상 측의 설치용 면(34)을 도어 맞닿음부(Hb)의 내측(R)에 있는 상측 프레임부(Hc)의 하면에 접하도록 해서, 상기 케이스(3)를 개재하고 개구부(H)측에 충격흡수기구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도어 맞닿음부(Hb)에 의한 단차와 케이스(3)를 정합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충격흡수기구의 개구부(H) 내측을 향한 돌출 치수를 최소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케이스(3)의 일단측에 캐쳐(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의 타단측을 회동체(D)의 회동지지측(Da)을 향하게 하고, 또 케이스(3)의 길이방향이 상측 프레임부(Hc)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한 상태에서, 상측 프레임부(Hc)에 케이스(3)를 부착시키고 있다. 이 케이스(3)에 있어서의 캐쳐(2)의 일단측에 있는 전방측(F)을 향한 측부에는 절결부(30)가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대기위치에 있을 때, 캐쳐(2)의 일부가 상기 절결부(30)에서 케이스(3)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동체(D)의 소정의 회동위치에 있어서, 상기 대기위치에 있는 캐쳐(2)의 걸림홈(208)에 스트라이커(1)가 인입된 후, 중간위치를 넘어서 캐쳐(2)가 수납위치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스트라이커(1)가 케이스(3)내에 인입되고, 회동체(D)가 기준위치에 위치결정되어 도어가 완전히 닫힌다. 또, 도면중 부호 31로 나타낸 것은 내측(R)에 있어서 케이스(3)의 개방부를 폐색하는 커버이다.
또, 상기한 캐쳐(2)는 대기위치와 수납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대기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의 중간위치보다 대기위치측에 있을 때에는 이 대 기위치를 향한 탄지를 받고,
또, 중간위치보다 수납위치측에 있을 때에는 이 수납위치를 향한 탄지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캐쳐(2)는 반원형상 판부(203)와, 이 반원형상 판부(203)의 현(弦)의 대략 중앙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원호형상 돌출부(20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반원형상 판부(203)의 외주연을 포함하는 가상의 원의 중심에 회동축(205)을 위치시키도록 하고, 캐쳐(2)는 그 상면측에서 케이스(3)의 상부(32)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에서는 캐쳐(2)의 상면에 원형상 홈(206)에 의해 낮은 높이의 원주형상 돌조부(207)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3)의 상부(32)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 구멍부에 상기 낮은 높이의 원주형상 돌조부(207)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대략 연직으로 회동축(205)을 위치시키도록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반원형상 판부(203)의 일부를 케이스(3)의 상기 절결부(30)에서 전방측(F)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이 반원형상 판부(203)의 외주연과 원호형상 돌출부(204)의 사이에 남겨진 2개소인 상기 현이 되는 가장자리의 일측{이하, 상기 2개소의 가장자리의 일측을 제 1 현 가장자리(203a)라고 하고,2개소의 가장자리의 타측을 제 2 현 가장자리(203b)라고 한다}을 절결부(30)에 있어서의 케이스(3)의 일단측에 있는 개구 가장자리에 접하게 한 위치가 캐쳐(2)의 대기위치로 되어 있다(도 3의 위치). 캐쳐(2)의 하면부(202)에는 후술하는 걸림홈(208)이 상기 대기위치에 있어서 케이스(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반원형상 판부(203)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208)은 상기 제 1 현 가 장자리(203a)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반원형상 판부(203)의 외주연에서 회동축(205)을 향해 연장되고, 또 상기 외주연에 있어서 개방되며, 그곳을 스트라이커(1)의 도입구(208a)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캐쳐(2)는 상기 회동축(205)을 중심으로, 상기한 대기위치와 상기 걸림홈(208)의 도입구(208a)를 내측(R)으로 향하게 하는 수납위치(도 6의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걸림홈(208)과 제 2 현 가장자리(203b)측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208)의 폐색된 내측단의 측방에 스프링 전단(40)을 부착시키고, 또 케이스(3) 타단측에 스프링 후단(41)을 부착시키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3)내에 수납된 인장 코일스프링(4)에 의해 캐쳐(2)가 상기한 바와 같은 탄지를 받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스프링(4)의 스프링 전단(40)은 캐쳐(2)의 회동축(205)보다 반원형상 판부(203)의 외주연에 약간 가까운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스프링(4)의 스프링 전단(40)이 케이스(3)의 일단측에 위치되고, 또 상기한 스프링(4)의 스프링 전단(40)과, 캐쳐(2)의 회동축(205)과, 상기한 스프링(4)의 스프링 후단(41)이 가상의 동일 선상에 위치된 캐쳐(2)의 상기 중간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4)은 가장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캐쳐(2)는 상기 대기위치 및 상기 수납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한 스프링(4)의 탄지에 의해, 상기한 대기위치 및 수납위치에 각각 안정적으로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캐쳐(2)는 상기 회동축(205)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는 면부{도시한 예에서는 캐쳐(2)의 하면부(202)}에, 대기위치에 있어서 도입구(208a)를 전방측(F)으로 향하게 하는 스트라이커(1)의 걸림홈(208)을 가지고 있다. 그와 함께, 상기 걸림홈(208)의 일측 홈벽(208b)은 상기 면부{하면부(202)}의 베이스면(209){도시한 예에서는 반원형상 판부(203)의 하면}에서 탄지에 의해 돌출되는 래치체(2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반원형상 판부(203)의 제 1 현 가장자리(203a)와 상기 스프링(4)의 스프링 전단(40)이 부착되는 개소의 사이에, [1] 제 1 현 가장자리(203a)측에 있어서, 반원형상 판부(203)의 외주연에서 회동축(205)측으로 길게 계속되는 래치구멍(211)과, [2] 상기 래치구멍(211)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반원형상 판부(203)의 외주연에서 회동축(205)측으로 길게 이어지는 제 1 리브(212)와, [3] 캐쳐(2)의 회동축(205)측에 위치되는 제 1 리브(212)의 단부와 캐쳐(2)의 회동축(205)측에 위치되는 래치구멍(211)의 단부의 사이에 걸쳐서 제 1 리브(212)에서 연속되는 제 2 리브(213)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리브(213)는 걸림홈(208)의 내측을 향한 측을 만곡 내측으로 하도록 만곡되어 있고, 상기 제 2 리브(213)에 의해 걸림홈(208)의 홈 내측벽이 형성되어 있다.
또, 캐쳐(2)의 상면부(201)측에는 래치구멍(211)과 연이어 통하는 가이드구멍(2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구멍(214)은 래치구멍(21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긴 구멍의 내곽형상을 가지고 래치구멍(211)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래치구멍(211)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가이드구멍(214)의 구멍 저부의 일부에 의해, 후술하는 래치체(210)의 대좌부(210a)의 맞닿음면(214a)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체(210)는, 외곽형상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한 대좌부(210a)를 가지고 있고, 상기 대좌부(210a)의 외곽형상을 따르는 구멍 내곽형상을 구비한 상기 가이드구멍(214)에 상기 대좌부(210a)를 상기 가이드구멍(214)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수납되어 캐쳐(2)에 구비되어 있다. 대좌부(210a)의 하면부(202)에는 상기 대좌부(210a)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긴 두부(頭部, 210b)가 상기 대좌부(210a)와 교차하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래치체(210)의 두부(210b)가 상기 래치구멍(211)에서 돌출되도록, 상기한 래치구멍(211)과 연이어 통하는 가이드구멍(214)에 두부(210b)를 선단으로 하여 대좌부(210a)을 삽입하고, 또 이와 같이 삽입된 래치체(210)의 대좌부(210a)의 상측을 캐쳐(2)의 상면부(201)에 부착되는 이탈방지 플레이트(215)에 의해 덮음과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215)와 대좌부(210a)의 사이에 압축 코일스프링(216)을 탄성 변형한 상태로 수납하는 것에 의해, 대좌부(210a)을 상기 맞닿음면(214a)에 맞닿도록 해서 상기 래치구멍(211)에서 두부(210b)가 하측으로 탄발/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이와 같이 돌출되는 래치체(210)의 두부(210b)에 의해 걸림홈(208)의 일측 홈 벽(208b)을 형성시키고, 또 상기 제 1 리브(212)에 의해 상기한 걸림홈(208)의 타측 홈벽(208c)을 형성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캐쳐(2)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걸림홈(208)의 일측 홈벽(208b)이 타측 홈 벽(208c) 보다 전방측(F)에 위치하고, 또 래치체(210)는 스트라이커(1)의 이동궤적상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캐쳐(2)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래치체(210)의 두부(210b)에 있어서, 캐쳐(2)의 회 동축(205)측 걸림홈(208)의 외측에 위치되는 개소가, 회동체(D)의 회동조작에 의한 상기 회동체(D)의 회동지지개소를 중심으로 한 스트라이커(1)의 이동궤적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회동체(D)를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해 가면, 소정의 회동위치에서 회동체(D)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가 대기위치에 있는 캐쳐(2)의 걸림홈(208)에 인입되어 포착된다. 스트라이커(1)를 포착한 캐쳐(2)는 기준위치를 향한 회동체(D)의 회동력에 의해 중간위치를 넘어서 회동(왕동)되고, 탄지에 의해 수납위치까지 회동된다. 스트라이커(1)를 캐쳐(2)에 포착시킨 회동체(D)는 상기 캐쳐(2)의 회동에 의해 기준위치까지 강제적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된 회동체(D)를 확실히 닫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기준위치에 위치결정된 회동체(D)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수납위치에서 스트라이커(1)를 포착하고 있는 캐쳐(2)는 스트라이커(1)의 이동에 의해 중간위치를 넘어서 회동(복동)되고, 탄지에 의해 대기위치에 도달한다. 대기위치에서는 걸림홈(208)의 도입구(208a)가 전방측(F)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라이커(1)가 걸림홈(208)에서 빠져나가 캐쳐(2)에서 해방된다. 이것에 의해 회동체(D)는 자유롭게 되어 개방된다. 그와 함께, 캐쳐(2)는 다음에 회동체(D)가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될 때까지 탄지에 의해 대기위치에 계속해서 위치결정된다. 회동체(D)가 기준위치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캐쳐(2)가 예기치 않게 수납위치에 회동위치결정된 경우{예를 들면, 케이스(3)의 절결부(30)에서 대기위치에 있어서의 전방측(F)으로 돌출되어 있는 캐쳐(2)의 일부를 압압하는 경우 등, 이하, 오동작상태라고 한다}에는, 회동체(D)를 기준위치까지 회 동조작하면, 스트라이커(1)가 걸림홈(208)의 일측 홈벽(208b)을 구성하는 래치체(210)에 맞닿아서 이 래치체(210)를 탄지에 저항하여 압입하고{도 7(a) 내지 (c)}, 이어서, 스트라이커(1)가 래치체(210)보다 안쪽으로 인입된 위치에서의 래치체(210)의 탄발/돌출에 의해 수납위치에 있는 캐쳐(2)의 걸림홈(208)에 스트라이커(1)를 포착시킬 수 있다{도 7(d)}. 이것에 의해 이와 같은 경우에서도 정상적인 동작상태로의 복귀를 행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캐쳐(2)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의 래치체(210)의 외측부{걸림홈(208)의 외측이 되는 개소}에 있어서의 스트라이커(1)의 이동궤적상에 위치되는 일부에, 래치체(210)의 정상부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높아지는 전방측(F)을 향한 경사면(210c)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래치체(210)의 두부(210b)에 있어서의 캐쳐(2)의 회동축(205)을 향한 단부에는, 캐쳐(2)를 저면에서 본 상태에서 상기 제 1 현 가장자리(203a)와 대략 평행을 이루는 코너(210d)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코너(210d)에 상기 경사면(210c)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오동작상태에 있어서, 회동체(D)를 기준위치까지 회동조작했을 때에, 수납위치에 있는 캐쳐(2)의 래치체(210)의 경사면(210c)에 스트라이커(1)가 전방측(F)에서 맞닿고, 이 경사면(210c)의 경사에 의해 래치체(210)를 탄지에 저항하여 부드럽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캐쳐(2)에 있어서의 래치체(210)의 대좌부(210a)의 길이방향이, 캐쳐(2)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스트라이커의 이동궤적에 대략적으로 따르도록 되어 있다(도 8).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캐쳐(2)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전방측(F)에 위치되는 래치체(210)의 대좌부(210a)의 전단(210e)측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210a)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면부에 각각, 대좌부(210a)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리브(210f)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가이드구멍(214)에 상기 리브(210f)가 수납되는 가이드홈(2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오동작상태에 있어서, 회동체(D)를 기준위치까지 회동조작했을 때, 수납위치에 있는 캐쳐(2)의 래치체(210)에 스트라이커(1)가 전방측(F)에서 맞닿아서 탄지에 저항하여 래치체(210)가 압입되게 되는데, 이 때 래치체(210)의 대좌부(210a)에 기울어짐 등이 가능한 한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래치체(210)를 확실하게 압입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대좌부(210a)의 양단부에 각각 대좌부(210a)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보조 리브(210g)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가이드구멍(214)에 상기 보조 리브(210g)가 수납되는 보조가이드홈(214c)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오동작상태에 있어서, 회동체(D)를 기준위치까지 회동조작했을 때, 수납위치에 있는 캐쳐(2)의 래치체(210)에 스트라이커(1)가 전방측(F)에서 맞닿은 경우에, 래치체(210)의 대좌부(210a)에 그 폭방향에 있어서도 기울어짐 등이 가능한 한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래치 체(210)를 확실히 압입시킬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또, 캐쳐(2)의 걸림홈(208)과 제 2 현 가장자리(203b) 사이의 반원형상 판부(203)의 외주연이 피니언형상부(203c)로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스(3)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캐쳐(2)의 내측(R)에 케이스(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또 캐쳐(2)의 피니언형상부(203c)에 맞물리는 래크(50)를 전방측(F)을 향한 가장자리부에 구비한 슬라이더(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캐쳐(2)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5)가 케이스(3)의 일단측으로 맞닿고, 캐쳐(2)가 수납위치로 이동되면 이것에 수반하여 슬라이더(5)가 케이스(3)의 타단측을 향해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과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를 봉입한 실린더(6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피스톤로드(60)의 실린더(61)내로의 압입에 상기 점성유체의 저항에 의해 제동을 부여하는 제동장치(6)가, 케이스(3)의 길이방향을 따라 피스톤로드(60)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방향으로 케이스(3)내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5)에 있어서의 케이스(3)의 타단측을 향한 단부에 케이스(3)의 일단측을 향한 피스톤로드(60)의 선단이 조립되어 있음과 아울러, 캐쳐(2)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5)에 의해 피스톤로드(60)가 가장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캐쳐(2)는 수납위치를 넘어서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시한 예에서는, 캐쳐(2)의 대기위치에서 수납위치를 향한 회동에 제동을 부여시킬 수 있고, 회동체(D)의 기준위치를 향한 회동의 최종 국면에 있어서 그 회동이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캐쳐(2)의 측방에 상기한 제동장치(6)를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제동장치(6)는 소위 하중 응답형의 것으로 되어 있다. 즉, 피스톤로드(60)에 접속된 피스톤이 빠르게 이동되도록 하면 할수록 피스톤이 점성유체의 저항을 강하게 받도록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한 제동장치(6)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일본국 특허공개번호 제2005-188693호 공보에 나타낸 댐퍼를 사용하고 있다.
회동체(D)를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해 가면, 소정의 회동위치에서, 회동체(D)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는 대기위치에 있는 캐쳐(2)에 포착된다. 스트라이커(1)를 포착한 캐쳐(2)는 회동체(D)의 회동력에 의해 수납위치까지 회동된다. 이 캐쳐(2)의 회동에는 제동장치(6)에 의해, 회동체(D)의 회동속도가 빠르고 캐쳐(2)의 회동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이에 대응한 비교적 큰 제동력이, 회동체(D)의 회동속도가 느리고 캐쳐(2)의 회동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이에 대응한 비교적 작은 제동력이 작용된다. 이것에 의해 회동체(D)의 회동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그 힘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상적으로 회동체(D)를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시킬 때의 소정의 회동위치에서의 저항을 과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캐쳐(2)를 탄지시키는 스프링(4)의 스프링 하중을 필요최소한의 것으로 해 둘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회동체(D)의 회동축(Dc)이 상기 회동체(D)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에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예에서는 회동체 주 체(Dd)에 있어서의 자유단측과 반대측에 암(arm)형상부(De)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암형상부(De)에 전개위치에 있는 회동체(D)를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시켰을 때, 상기 회동의 종료 직전에 본체측에 구비된 캐쳐(2)에 포착되는 스트라이커(1)가 구비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의 예에서는 회동체 주체(Dd)를 트렁크덮개(T)(자동차의 외장부재)로 하고 있다. 암형상부(De)는 트렁크덮개(T)의 전단에 일단을 접속시키고 있고, 그 타단에 자동차의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축형상을 이루는 스트라이커(1)가 구비되어 있다. 캐쳐(2)를 구비한 케이스(3)는 자동차의 자동차 본체측, 이 실시예에서는 트렁크룸(Ta)의 내측의 상벽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트렁크덮개(T)는 암형상부(De)의 중간부가 트렁크룸(Ta)의 개구측에 있어서의 자동차 본체측에 회동축(Dc)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트렁크덮개(T)가 개방된 위치(전개위치)에서는 스트라이커(1)가 캐쳐(2)의 전방측(도시한 예에서는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트렁크덮개(T)를 폐색한 위치(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시키면 대기위치에 있는 캐쳐(2)에 상기 스트라이커(1)가 포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3의 예에서는 회동체 주체(Dd)를 글러브박스(G)(자동차의 내장부 재)로 하고 있다. 암형상부(De)는 글러브박스(G)의 하단에 일단을 접속시키고 있고, 그 타단에 글러브박스(G)의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축형상을 이루는 스트라이커(1)가 구비되어 있다. 캐쳐(2)를 구비한 케이스(3)는 자동차의 자동차 본체측, 이 실시예에서는 글러브박스(G)의 수납부(Ga)의 측벽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글러브박스(G)는 암형상부(De)의 전단부가 수납부(Ga)의 개구(Gb)측에 있어서 자동차 본체측에 회동축(Dc)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글러브박스(G)가 개방된 위치(전개위치)에서는 스트라이커(1)가 캐쳐(2)의 전방측(도시한 예에서는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글러브박스(G)를 폐색하는 위치(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시키면 대기위치에 있는 캐쳐(2)에 상기 스트라이커(1)가 포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24는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충격흡수기구의 구성중 일부를 변경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4 내지 도 24에 나타낸 예에서는 주로, 스트라이커(1)와 캐쳐(2)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예와 다르게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트라이커(1)가 스트라이커 베이스(13)에 출몰 가능하게 조립된 핀체(1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트라이커 베이스(13)가 선단에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통형상 지지부(13a)를 구비한 암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라이커 베이스(13)가 그 후단측에 있어서 회동체(D)(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예와 같이 도어의 상부)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핀체(14)는 상기한 통형상 지지부(13a)의 상부 개방단(13b)에서 상기 통형상 지지부(13a)내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의 탄지수단에 의해 항시 그 상단을 외측으로 돌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통형상 지지부(13a)에 조립되어 있다. 그와 함께, 상기한 핀체(14)는 상기 스프링의 탄지에 저항하여 압입에 의해 통형상 지지부(13a)내로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부(14a)을 인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핀체(14)의 상기 돌출부(14a)에 있어서, 전개위치에 있는 회동체(D)를 기준위치로 회동시켰을 때의 회동방향측에, 상기 핀체(14)의 선단을 향할수록 상기 핀체(14)의 지름이 가늘어지도록 경사지어진 경사면(14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캐쳐(2)를 구성하는 부 부재(218)의 암부(218f)의 외연부(218g){부 부재(218)의 암부(218f)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가장자리부 중에서 걸림홈(208)에 면하지 않는 가장자리부)에는, 전방측(F)을 향하고 또, 상기 부 부재(218)의 내연부측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상기 부 부재(218)의 두께 치수가 커지도록 경사진 안내면(218h)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쳐(2)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부 부재(218)의 외연부(218g)가 스트라이커(1)의 이동궤적(Ⅹ)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회동체(D)가 기준위치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캐쳐(2)가 예기치 않게 수납위치에 회동위치결정된 경우(오동작상태)에 회동체(D)를 기준위치까지 회동조작하면, 스트라이커(1)를 구성하는 핀체(14)가 부 부재(218)의 외연부(218g)에 맞닿아서 탄지에 저항하여 인입되어{도 24(a)~(b)} 핀체(14)의 부 부재(218)를 타고 넘는 것이 허용된다. 핀체(14)가 부 부재(218)를 타고 넘으면 핀체(14)는 탄지에 의해 다시 돌출되고 수납위치에 있는 캐쳐(2)의 걸림홈(208)에 스트라이커(1)를 포착시킬 수 있다{도 24(c)}. 이것에 의해 이와 같은 경우에서도 정상적인 동작상태로의 복귀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예와 다르게, 캐쳐(2)의 두께 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억제하면서 상기 오동작상태의 해소를 이룰 수 있다. 상 기한 핀체(14)의 탄지에 저항한 인입은 핀체(14)의 상기 경사면(14b)과 부 부재(218)의 안내면(218h)에 의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상기 도 14 내지 도 24에 나타낸 예에서도 캐쳐(2)는 하면이 개방된 대략 직사각형의 상자형상을 이루는 케이스(3)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 상부(32)의 외면에 의해 상기 케이스(3)를 도어 프레임(Ha)의 상측 프레임부(Hc)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도어 프레임(Ha)의 상측 프레임부(Hc)에 캐쳐(2)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도 케이스(3)의 일단측에 캐쳐(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3)에 있어서의 캐쳐(2)의 일단측에 있는 전방측(F)을 향한 측부에는 절결부(30)가 형성되어 있고, 대기위치에 있을 때, 캐쳐(2)의 일부가 상기 절결부(30)에서 케이스(3)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동체(D)의 소정의 회동위치에 있어서, 상기 대기위치에 있는 캐쳐(2)의 걸림홈(208)에 스트라이커(1)가 인입되고, 그 후, 중간위치를 넘어서 캐쳐(2)가 수납위치(도 20의 위치)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스트라이커(1)는 케이스(3)내에 인입되고, 회동체(D)는 기준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완전히 닫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캐쳐(2)는 대기위치와 수납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대기위치와 수납위치의 사이의 중간위치보다 대기위치측에 있을 때에는 상기 대기위치를 향한 탄지를 받고,
또, 중간위치보다 수납위치측으로 있을 때에는 상기 수납위치를 향한 탄지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한 캐쳐(2)가 주 부재(217)와 부 부재(218)를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 부재(217)는 대략 부채형의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채형상을 이루는 주 부재(217)의 부채의 손잡이 위치에는 축구멍(217a)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체(33)로서의 케이스(3)에 상하방향의 축선을 따르도록 부착된 축하단에 두부를 구비한 회동축(205)을 상기 축구멍(217a)에 관통시켜서 주 부재(217)가 상기 회동축(205)에 조립되어 있다. 상기 주 부재(217)의 원호형상 가장자리부(217b)에는 피니언형상부(217c)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피니언형상부(217c)가 슬라이더(5)의 래크(50)에 맞물리게 되어 있다. 상기한 슬라이더(5) 및 제동장치(6)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예와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부 부재(218)는 원판형상을 이루는 기부(218a)와, 이 기부(218a)에 기단을 일체로 연접시켜서 상기 기부(218a)에서 돌출되는 암부(218f)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218a)에는 긴 구멍(218b)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218b)의 폭 치수는 상기 회동축(205)의 외경과 대략 같고, 또 그 지름의 치수는 상기 회동축(205)의 외경보다 약간 크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부 부재(218)는 그 기부(218a)가 케이스(3) 상부(32)의 내면과 주 부재(217) 상면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긴 구멍(218b)에 회동축(205)이 관통되어 상기 회동축(205)에 조립되어 있다. 또, 상기한 부 부재(218)는 상기 암부(218f)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일측의 가장자리부와, 주 부재(217)의 축구멍(217a) 형성 개소와 원호형상 가장자리부(217b)의 사 이에 이르는 직선형상 가장자리부(217d)의 일측의 사이에, 가늘고 긴 틈새를 개방하도록 주 부재(217)에 조립되어 있고, 상기 틈새에 의해 캐쳐(2)가 대기위치에 있어서 도입구(208a)를 전방측(F)으로 향하게 하는 스트라이커(1)의 걸림홈(208)을 구비하고 있다. 대기위치에 있어서, 부 부재(218)의 암부(218f)는 주 부재(217)의 직선형상 가장자리부(217d)의 전방에 위치되고, 또 암부(218f)의 선단은 스트라이커(1)의 이동궤적(Ⅹ)의 측방에 위치되고, 또 주 부재(217)의 직선형상 가장자리부(217d)의 외단측이 스트라이커(1)의 이동궤적(Ⅹ)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도 14).
주 부재(217)의 하면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208)의 도입구(208a)에 근접한 개소에는 스프링 전단(40)의 부착부(217e)가 형성되어 있고,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예와 같이 케이스(3)의 타단측에 스프링 후단(41)을 부착시키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3)내에 수납된 인장 코일스프링(40)에 의해, 캐쳐(2)는 상기한 바와 같은 탄지를 받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스프링(40)의 스프링 전단(40)과, 캐쳐(2)의 회동축(205)과, 상기한 스프링(40)의 스프링 후단(41)이 가상 동일 선상에 위치된 캐쳐(2)의 상기 중간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40)이 가장 연장되도록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캐쳐(2)는 상기 대기위치(도 14) 및 걸림홈(208)의 도입구(208a)를 내측으로 향하게 한 수납위치(도 20) 중 어디에 있더라도, 상기한 스프링(40)의 탄지에 의해 상기한 대기위치와 수납위치에 각각 안정적으로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캐쳐(2)를 구성하는 부 부재(218)의 기부(218a)에는, 주 부 재(217)의 축구멍(217a)의 근방에 형성된 연계구멍(217f)에 인입되는 연계돌조부(218e)가 형성되어 있다. 연계구멍(217f)은 연계돌조부(218e)를 약간의 틈새를 가지고 수납하록 되어 있다. 회동체(D)를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해 가면, 소정의 회동위치에서 회동체(D)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는, 대기위치에 있는 캐쳐(2)를 구성하는 주 부재(217)의 걸림홈(208)에 위치한 직선형상 가장자리부(217d)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스트라이커(1)가 맞닿게 되면 주 부재(217)는 회동축(205)을 중심으로 회동 압입되고, 상기 연계구멍(217f)과 연계돌조부(218e)에 의해 주 부재(217)에 연계된 부 부재(218)도 주 부재(217)와 함께 회동되고, 걸림홈(208)의 도입구(208a)는 점차 내측으로 향하게 되고 스트라이커(1)가 캐쳐(2)에 포착된다. 스트라이커(1)를 포착한 캐쳐(2)는 기준위치를 향한 회동체(D)의 회동력에 의해 중간위치를 넘어서 회동(왕동)되고, 탄지에 의해 수납위치까지 회동된다. 스트라이커(1)를 캐쳐(2)에 포착시킨 회동체(D)는 상기 캐쳐(2)의 회동에 의해 기준위치까지 강제적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 된 회동체(D)를 확실히 완전히 닫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기준위치에 위치결정된 회동체(D)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수납위치에서 스트라이커(1)를 포착하고 있는 캐쳐(2)는 스트라이커(1)의 이동에 의해 중간위치를 넘어서 회동(복동)되고, 탄지에 의해 대기위치에 이른다. 대기위치에서는 걸림홈(208)의 도입구(208a)가 전방측을 향하고 있으므로, 스트라이커(1)가 걸림홈(208)에서 빠져나가고 캐쳐(2)에서 해방된다. 이것에 의해 회동체(D)는 자유롭게 되어 개방된다. 이와 함께, 캐쳐(2)는 다음에 회동체(D)가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될 때까지 탄지에 의해 대기위치에 계속해서 위치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특히, 수납위치에 있는 캐쳐(2)의 대기위치로의 복동회동에 수반하여 부 부재(218)가 걸림홈(208)의 도입구(208a)를 넓히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캐쳐(2)의 인입위치에서는 걸림홈(208)의 홈폭을 스트라이커(1)가 덜거덕거리는 것을 적게하여 수납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시키면서, 캐쳐(2)의 대기위치에서는 스트라이커(1)의 이동궤적에 약간의 흔들림이나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한 도입구(208a)에서 걸림홈(208)내로 스트라이커(1)를 적절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충격흡수기구를 도어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어 프레임의 뒤틀림이나 외력 등에 의해 충격흡수기구의 설치후에 스트라이커(1)의 이동궤적에 약간의 흔들림이나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캐쳐(2)의 걸림홈(208)의 도입구(208a)를 대기위치에서 약간 넓히는 것에 의해, 회동체(D)를 기준위치로 회동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스트라이커(1)가 부 부재(218)의 외연부(218g)에 맞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부 부재(218)는 상기 긴 구멍(218b)에 관통되는 회동축(205)의 측방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205)의 지지체(33)에 형성된 원호형상으로 연속되는 트레이스홈(33c)에 안내되는 슬라이드자(218i)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트레이스홈(33c)과 회동축(205) 사이의 피치의 변화에 의해 캐쳐(2)의 대기위치로의 복동회동에 수반하여 긴 구멍(218b)의 길이 범위내에서 부 부재(217)는 슬라이드형상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슬라이드자(218i)는 연계돌조부(218e)와 동축을 이루도록 부 부재(218)의 기부(218a) 상면측에 형성된 돌기형상체(218j)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스홈(33c)은 케이스(3) 상부(32)의 내면을 따르도록 상기 케이스(3)의 내면에 구비된 플레이트체(33a)의 회동축(205) 관통구멍(33f)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다(도 23). 회동축(205)은 상기 관통구멍(33f)을 관통하여 케이스(3)의 상부(32)에 고정된다. 트레이스홈(33c)은 상기 회동축(205)의 내측에 위치되고, 또 상기 회동축(205)측을 만곡 내측으로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자(218i)는 캐쳐(2)의 수납위치에 있어서는, 트레이스홈(33c)의 일단측의 홈단부(33d), 도시한 예에서는 트레이스홈(33c)에 있어서의 피스톤이 구비된 측의 홈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자(218i)는 캐쳐(2)의 대기위치에 있어서는, 트레이스홈(33c)의 타단측의 홈단부(33e)에 위치되어 있다. 트레이스홈(33c)과 회동축(205) 사이의 피치는, 상기 일단측의 홈단부(33d)에서 타단측의 홈단부(33e)에 이르기 직전까지의 사이에서는 거의 일정하고 그 사이에서 트레이스홈(33c)은 회동축(205)을 중심으로 한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르고 있지만, 타단측의 홈단부(33e)측에서는 상기 원의 반경보다 좁혀져 있다.
이것에 의해 도시한 예에서는, 수납위치에서 복동회동되는 캐쳐(2)에 있어서의 부 부재(218)는 대기위치에 이르기 직전까지는 그 긴 구멍(218b)의 일측(218c)에 회동축(205)을 위치시키도록 하지만, 대기위치에 이르면 트레이스홈(33c)을 따라 슬라이드자(218i)가 이동되어 상기 긴 구멍(218b)의 타측(218d)에 회동축(205)이 위치되도록 이동되고, 이 이동에 의해 대기위치에 있어서 캐쳐(2)의 걸림홈(208)의 도입구(208a)가 넓어진다(도 17 내지 도 14).
대기위치에 있는 캐쳐(2)에 있어서의 주 부재(217)의 직선형상 가장자리부(217d)에 스트라이커(1)가 맞닿게 되면, 캐쳐(2)의 왕동회동에 의해 트레이스홈(33c)을 따라 슬라이드자(218i)가 이동되고 회동축(20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장되며, 이것에 의해 부 부재(218)는 상기 긴 구멍(218b)의 일측(218c)에 회동축(205)을 위치시키도록 다시 이동되고, 이 이동에 의해 캐쳐(2)의 걸림홈(208)의 도입구(208a)는 좁아진다(도 14 내지 도 17). 도시한 예에서는, 부 부재(218)의 상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암부(218f)의 기부가 되는 개소에, 상기 가상의 원과 동심을 이루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 리브(218k)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플레이트체(33a)에는 상기 리브(218k)를 따르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르는 홈(33b)이 형성되어 있고, 부 부재(218)가 상기 긴 구멍(218b)의 일측(218c)에 회동축(205)을 위치시키도록 다시 이동된 후에, 상기 리브(218k)가 홈(33b)에 인입되는 것에 의해, 부 부재(218)가 회동축(205)을 중심으로 흔들림 없어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스(3)의 일단측에, 캐쳐(2)가 적어도 대기위치와 중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5)의 래크(50)에 맞물리는 기어부(34c)를 일단(34a)측에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일단(34a)과 타단(34b)의 사이에 있어서 케이스(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어시스트부재(34)가 구비되어 있다. 이 어시스트부재(34)의 타단(34b)에는 스프링의 일단(34e)을 케이스(3)에 고정하고, 또 비틀림부(34g)를 자유롭게 한 비틀림 코일스프링(34d)의 스프링 타단(34f)이 고정되어 있다. 캐쳐(2)가 대기위치에서 수납위치를 향하여 회동되기 시작하면 상기 어시스트부재(34)는 슬라이더(5)의 이동에 의해 일단(34a)이 실린더(61)측에 접근하는 방 향으로 회동되는데, 상기 어시스트부재(34)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스프링(34d)의 양단(34e, 34f) 사이는 캐쳐(2)가 중간위치에 다다르기 직전에 가장 좁아지고, 캐쳐(2)가 중간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34d)은 어시스트부재(34)의 일단(34a)을 거듭 실린더(61)측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예에서는 캐쳐(2)가 중간위치까지 왕동회동되어 왔을 때에, 어시스트부재(34)에 의해 슬라이더(5)에 이 슬라이더(5)를 케이스(3)의 타단측으로 압입하는 방향의 탄지력을 작용시켜서, 상기 중간위치를 넘어서 수납위치를 향해 캐쳐(2)가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캐쳐(2)는 왕동회동시에 중간위치에서 멈추는 일이 없고, 상기 캐쳐(2)에 스트라이커(1)를 포착시킨 회동체(D)는 기준위치까지 확실히 회동된다. 회동체(D)의 전개위치로의 복동에 의해 캐쳐(2)가 복동회동되어 중간위치를 넘으면 스프링(34d)의 양단(34e, 34f)의 사이는 일단 가장 좁아진 후 넓어지고, 또 상기 스프링(34d)은 어시스트부재(34)의 일단(34a)을 실린더(61)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도록 케이스(3)내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충격흡수기구에 의하면, 첫째로, 회동체의 기준위치를 향한 회동속도에 따라 이것이 클 때에는 상기 회동체의 회동에 큰 제동력을 작용시키고, 이것이 작을 때에는 상기 회동체의 회동에 작용시키는 제동력도 상응하여 작게 하도록 해서, 회동체의 회동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그 힘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상적으로 회동체를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시킬 때의 소정의 회동위치에서의 저항이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회동체가 평소에 없는 빠른 회동을 했을 때에는 그 회동체의 기준위치를 향한 회동속도를 효과적으로 감쇠시킴과 아울러, 평상시에는 이 회동체의 기준위치를 향한 회동에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두번째로, 회동체측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를 포착하는 캐쳐가, 회동체가 전개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기치 않게 수납위치로 회동위치결정된 경우에도, 회동체를 기준위치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를 캐쳐에 적절하게 포착시켜서 소기의 상태로의 복귀를 꾀할 수 있다.

Claims (20)

  1. 회동체 및 이 회동체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본체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striker)와,
    그 타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회동체를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를 향해 회동조작했을 때 전방측에서 이동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오는 스트라이커를 포착하는 캐쳐(catcher)와,
    하중 응답형의 제동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캐쳐는 대기위치와 수납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왕복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대기위치에서 스트라이커를 포착하여 수납위치까지 왕동(往動)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캐쳐의 수납위치를 향한 회동에 상기 제동장치의 제동이 작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는, 피스톤과 실린더를 구비하며, 피스톤의 압입이동에 실린더에 봉입된 점성유체의 저항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캐쳐에 피니언형상부가 형성되고, 또 이 피니언형상부에 맞물리는 래크를 가진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라이더가 제동장치의 피스톤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2개소의 설치용 면(面)을 단차를 두고서 구비한 케이스를 가지고 있고, 상기 케이스를 통해서 본체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2개소의 설치용 면을 단차를 두고서 구비한 케이스를 가지고 있고, 상기 케이스를 통해서 본체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쳐는, 대기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의 중간위치보다 대기위치측에 있을 때에는 상기 대기위치를 향한 탄지를 받고,
    또, 중간위치보다 수납위치측에 있을 때에는 상기 수납위치를 향한 탄지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회동축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는 면부에 대기위치에 있어서 도입구를 전방측으로 향하게 한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을 가지고 있고,
    상기 걸림홈의 일측 홈벽은 상기 면부의 베이스면에서 탄지에 의해 돌출하는 래치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캐쳐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걸림홈의 일측 홈벽이 타측 홈벽보다 전방측에 있고, 또 래치체가 스트라이커의 이동궤적상에 적어도 그 일부를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캐쳐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의 래치체의 외측부에 있어서 스트라이커의 이동궤적상에 위치되는 일부에, 래치체의 정상부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높아지는 전방측을 향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래치체는, 외곽형상을 직사각형상으로 한 대좌부를 가지고 있고, 이 대좌부의 외곽형상을 따르는 내곽형상을 구비한 가이드구멍에 상기 대좌부를 상기 가이드구멍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여 캐쳐에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대좌부의 길이방향이, 캐쳐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스트라이커의 이동궤적을 대략적으로 따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래치체는, 외곽형상을 직사각형상으로 한 대좌부를 가지고 있고, 이 대좌부의 외곽형상을 따르는 내곽형상을 구비한 가이드구멍에 상기 대좌부를 상기 가이드구멍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여 캐쳐에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대좌부의 길이방향이, 캐쳐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스트라이커의 이동궤적을 대략적으로 따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캐쳐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전방측에 위치되는 래치체의 대좌부의 전단측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면부에 각각, 대좌부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구멍에 상기 리브가 수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의 양단부에 각각 대좌부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보조 리브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구멍에 상기 보조 리브가 수납되는 보조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쳐는, 대기위치와 수납위치의 사이의 중간위치보다 대기위치측에 있을 때에는 상기 대기위치를 향한 탄지를 받고,
    또, 중간위치보다 수납위치측에 있을 때에는 이 수납위치를 향한 탄지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주(主) 부재와 부(副) 부재를 조립시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주 부재와 부 부재의 사이에, 대기위치에 있어서 도입구를 전방측으로 향하게 한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캐쳐의 대기위치로의 복동(復動)회동에 수반하여 부 부재가 걸림홈의 도입구를 넓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부 부재는, 캐쳐의 회동축이 관통되는 긴 구멍과, 상기 회동축의 측방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의 지지체에 형성된 원호형상으로 연속되는 트레이스홈에 안내되는 슬라이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트레이스홈과 회동축의 사이의 피치(pitch)의 변화에 의해, 캐쳐의 대기위치로의 복동회동에 수반하여 긴 구멍의 길이의 범위내에서 부 부재가 슬라이드형상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캐쳐의 주 부재에 슬라이더의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형상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캐쳐가 적어도 중간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주 부재와 다른 위치에서 슬라이더의 래크에 맞물리는 기어부를 구비한 어시스트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어시스트부재에 의해, 중간위치에 있는 캐쳐에 맞물리는 슬라이더에 대해 탄지력을 작용시켜서, 수납위치를 향한 캐쳐의 회동을 보조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캐쳐의 주 부재에 슬라이더의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형상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캐쳐가 적어도 중간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주 부재와 다른 위치에서 슬라이더의 래크에 맞물리는 기어부를 구비한 어시스트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어시스트부재에 의해, 중간위치에 있는 캐쳐에 맞물리는 슬라이더에 대해 탄지력을 작용시켜서, 수납위치를 향한 캐쳐의 회동을 보조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가, 탄지에 의해 스트라이커 베이스에서 돌출된 돌출부분이 상기 탄지에 저항하여 인입 가능하게 스트라이커 베이스에 조립된 핀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캐쳐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의 부 부재의 외연부가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궤적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16.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가, 탄지에 의해 스트라이커 베이스에서 돌출된 돌출부분이 상기 탄지에 저항하여 인입 가능하게 스트라이커 베이스에 조립된 핀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캐쳐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의 부 부재의 외연부가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궤적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가 주택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건구(建具) 또는 주택에 설치되는 비품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가 전기기구를 구성하는 전기기구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가 사무기기를 구성하는 사무기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가 자동차를 구성하는 자동차 본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외장부재, 또는 내장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
KR1020060110029A 2005-11-08 2006-11-08 충격흡수기구 KR200700495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23901 2005-11-08
JPJP-P-2005-00323901 2005-11-08
JPJP-P-2006-00177115 2006-06-27
JP2006177115 2006-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591A true KR20070049591A (ko) 2007-05-11

Family

ID=3802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029A KR20070049591A (ko) 2005-11-08 2006-11-08 충격흡수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7743464B2 (ko)
EP (1) EP1959082A4 (ko)
JP (2) JP4912318B2 (ko)
KR (1) KR20070049591A (ko)
CN (1) CN101305150B (ko)
HK (1) HK1125988A1 (ko)
WO (1) WO20070552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283B1 (ko) * 2008-04-24 2011-04-1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래치장치
KR101028272B1 (ko) * 2008-04-24 2011-04-1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래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909661A (en) 2006-12-08 2009-03-01 Nifco Inc Retracting mechanism and fixing structure
DE202007012603U1 (de) * 2007-09-07 2009-01-22 Hettich-Oni Gmbh & Co. Kg Türscharnier eines Haushaltsgerätes
JP5046837B2 (ja) * 2007-10-02 2012-10-10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CN101952533B (zh) * 2008-01-17 2014-05-07 株式会社利富高 引入机构
DE102008019385A1 (de) * 2008-04-17 2009-10-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höhenverstellbarem Absteller
CN102016213B (zh) * 2008-04-24 2013-11-27 株式会社利富高 闩锁装置
JP5248917B2 (ja) * 2008-05-28 2013-07-31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扉体閉止装置
JP5377923B2 (ja) 2008-10-20 2013-12-25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機構
JP5308131B2 (ja) * 2008-11-25 2013-10-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ア開閉駆動装置
JP2010174599A (ja) * 2009-02-02 2010-08-12 Nifco Inc 押出装置
JP5193115B2 (ja) 2009-04-01 2013-05-08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動作機構
TWM366110U (en) * 2009-06-09 2009-10-01 Quanta Comp Inc Electronic device
CN102472071B (zh) * 2009-08-20 2014-07-09 世嘉智尼工业株式会社 门窗开闭***和门窗开闭***用承座
DE102009053714A1 (de) * 2009-10-19 2011-04-28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Haushaltsgerät
US8307497B2 (en) * 2010-01-14 2012-11-13 Door & Window Hardware Co. Soft-clos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JP4895317B2 (ja) * 2010-02-24 2012-03-14 株式会社中尾製作所 引込装置
JP2011196015A (ja) * 2010-03-17 2011-10-06 Nifco Inc 摺動補助装置
JP5433466B2 (ja) * 2010-03-17 2014-03-05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装置
IT1399631B1 (it) * 2010-04-21 2013-04-26 Elettrotecnica Rold Srl Dispositivo di chiusura "push-pull"
DE102010039898A1 (de) * 2010-08-27 2012-03-0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teil mit Beschleunigungseinrichtung
DE102010061160B4 (de) * 2010-12-10 2023-10-26 Hettich-Heinze Gmbh & Co. Kg Schließ- und Dämpfungsvor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US9301080B2 (en) 2011-05-31 2016-03-29 Brian M. Duga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cellular telephone radiation exposure
DE102011052756B4 (de) * 2011-08-16 2024-06-13 Hettich-Heinz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Einziehen eines bewegbaren Möbelteils in eine Mittelstellung
WO2013162001A1 (ja) * 2012-04-27 2013-10-31 株式会社ニフコ 扉のアシスト機構
JP5297554B2 (ja) * 2012-10-15 2013-09-25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扉体閉止装置
US8745821B2 (en) * 2012-10-24 2014-06-10 Door & Window Hardware Co. Auto-clos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JP6034172B2 (ja) * 2012-12-17 2016-11-30 岡本 耕一 回転機構と減速機構とそれを備えたドア等の移動装置
US9904625B2 (en) 2013-03-15 2018-02-27 Inte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the way of a set associative cache
KR101755144B1 (ko) * 2013-04-15 2017-07-06 중산 오파이크 하드웨어 프로덕트 컴퍼니.,리미티드. 이중댐퍼 튀어오름 방지 상부휠 장치
US10455590B2 (en) * 2013-08-22 2019-10-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boundaryless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with cooperative transmission points
JP6227370B2 (ja) * 2013-10-16 2017-11-08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GB201411062D0 (en) * 2014-06-20 2014-08-06 Lama D D Dekani Improvements in movement control devices
EP3015802B1 (en) 2014-08-12 2018-03-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E102015003415B3 (de) * 2015-03-17 2016-02-25 Günther Zimmer Beschleunigungs- und Verzögerungsvorrichtung mit geräuscharmer Bewegung
US20160333608A1 (en) * 2015-05-15 2016-11-17 Michael Earl Ingle Anti-Bumping Impact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Solenoid-Operated Locking Containers
ITUB20152915A1 (it) * 2015-08-05 2017-02-05 C M I Cerniere Mecc Industriali Srl Dispositivo a cerniera con lunga traslazione di un pannello frontale
RU2610320C1 (ru) * 2015-10-06 2017-02-09 Серик Хабибович Бегишев Ударный механизм
CN105587199B (zh) * 2016-02-25 2017-06-06 希美克(广州)实业有限公司 一种气压闭门器
DE112019001488T5 (de) * 2018-03-23 2021-01-07 Sugatsune Kogyo Co., Ltd. Rückholvorrichtung und Rückholvorrichtungssatz
KR20200079866A (ko) *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조명장치
US11864651B2 (en) 2019-06-05 2024-01-09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Closing device for drawers
EP3848546B1 (en) * 2020-01-09 2023-11-22 Abloy Oy A door closer arrangement
EP3848547B1 (en) * 2020-01-09 2022-09-14 Abloy Oy Door closer arrangement
US11503909B2 (en) * 2020-06-11 2022-11-22 Cis Global Llc Self closing drawer assembly with dual-cam closing mechanism
CN113216776B (zh) * 2021-04-30 2022-12-0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门锁装置及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669A (en) * 1932-02-04 1935-06-04 Yale & Towne Mfg Co Door closer
JPS4945086Y1 (ko) * 1970-02-25 1974-12-10
IL49611A (en) * 1976-03-12 1980-09-16 Malone L Anti-foulant composition for marine coatings
FR2469542A1 (fr) * 1979-11-15 1981-05-22 Pont A Mousson Ferme-porte a double action
US5343593A (en) * 1993-02-24 1994-09-06 Emhart Inc. Door closer
US5502874A (en) * 1994-08-11 1996-04-02 Schlage Lock Company Speed regulating valve for fluid filled door closers
JP4016148B2 (ja) * 1997-01-20 2007-12-05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閉鎖緩衝装置
DE19729900C1 (de) * 1997-07-12 1998-10-01 Daimler Benz Ag Dämpfungseinrichtung
DE19901033C2 (de) * 1999-01-14 2002-08-08 Dorma Gmbh & Co Kg Drehtürantrieb
AT410504B (de) * 2000-01-14 2003-05-26 Blum Gmbh Julius Schliess- und/oder einzugsvor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JP2001262931A (ja) * 2000-03-22 2001-09-26 Enomoto Co Ltd ブレーキ装置付引戸
KR100380374B1 (ko) * 2000-12-14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US6848759B2 (en) * 2002-04-03 2005-02-01 Illinois Tool Works Inc. Self-closing slide mechanism with damping
US20040034968A1 (en) * 2002-06-14 2004-02-26 Hufcor, Inc. 360 Degree hinge and door closure apparatus
US6811193B2 (en) * 2002-07-10 2004-11-02 Delphi Technologies, Inc. Quiet vehicle door latch
JP3630417B2 (ja) 2002-07-23 2005-03-16 株式会社ベスト 開き戸制動装置
DE10301418A1 (de) * 2003-01-16 2004-07-29 Grass Gmbh Brems- und Dämpfungsvorrichtung
JP3864948B2 (ja) 2003-10-21 2007-0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
KR100535763B1 (ko) * 2003-11-19 2005-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의 로드 작동장치
JP4511168B2 (ja) 2003-12-26 2010-07-28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
JP4344252B2 (ja) * 2004-01-14 2009-10-14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緩衝装置
GB2412405B (en) * 2004-03-24 2006-11-01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La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283B1 (ko) * 2008-04-24 2011-04-1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래치장치
KR101028272B1 (ko) * 2008-04-24 2011-04-1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래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45993B2 (en) 2011-05-24
HK1125988A1 (en) 2009-08-21
JP4912318B2 (ja) 2012-04-11
CN101305150B (zh) 2012-02-29
EP1959082A4 (en) 2013-10-30
JP5571051B2 (ja) 2014-08-13
US7743464B2 (en) 2010-06-29
US20080263819A1 (en) 2008-10-30
EP1959082A1 (en) 2008-08-20
CN101305150A (zh) 2008-11-12
US20100223754A1 (en) 2010-09-09
WO2007055204A1 (ja) 2007-05-18
US8001654B2 (en) 2011-08-23
JP2011256711A (ja) 2011-12-22
JPWO2007055204A1 (ja) 2009-04-30
US20100005621A1 (en)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9591A (ko) 충격흡수기구
US7621419B2 (en) Door operating mechanism and unit
US11319740B2 (en) Multi-link hinge device
KR101317534B1 (ko) 힌지
US6817062B2 (en) Door hinge apparatus having a door checking function
US20070096489A1 (en) Hinge structure of glove box for vehicle
US20140237901A1 (en) Linear center rail link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US8430440B1 (en) Console door that pivots and stows
JP2002067697A (ja) 自動車の屈曲式テールゲート装置
JP4245528B2 (ja) 車両用収納装置
CN211054915U (zh) 油箱门总成及车辆
KR100612562B1 (ko)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
KR200280813Y1 (ko)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JPH0235107B2 (ja) Jidoshayodoahandorusochi
KR200464986Y1 (ko)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JP5139875B2 (ja) ラッチ機構
JP4825486B2 (ja) リッド開閉機構
CN220955160U (zh) 用于车辆的后备箱盖的铰链结构
JP2020084583A (ja) 蓋開閉構造
KR20060011700A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
KR200390088Y1 (ko) 힌지 움직임 방지 리브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힌지조립체
KR200266489Y1 (ko) 상부 도어 완충장치를 구비한 김치 냉장고
KR101673714B1 (ko) 잠금장치
KR20070030980A (ko)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CN116831397A (zh) 一种带防护结构的智能防潮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