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8719A - 플러싱 디바이스 및 카테테르 세트 - Google Patents

플러싱 디바이스 및 카테테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8719A
KR20070048719A KR1020077002981A KR20077002981A KR20070048719A KR 20070048719 A KR20070048719 A KR 20070048719A KR 1020077002981 A KR1020077002981 A KR 1020077002981A KR 20077002981 A KR20077002981 A KR 20077002981A KR 20070048719 A KR20070048719 A KR 20070048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guide wire
tube
main body
cathe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호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무.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무.에스
Publication of KR2007004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5Flush valves, i.e. bypass valves for flushing 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카테테르에 있어서 일반적인 토크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카테테르 튜브 내에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한 채로 플러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플러싱 디바이스(100)는, 가이드 와이어(30)가 관통하는 본체관부(110)와, 본체관부(110)에 통하도록 접속된 측주관부(120)로 구성된다.
본체관부(110)의 슬릿부분을 가이드 와이어(30)의 측면에 가압하여 본체관부를 가이드 와이어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본체관부(110)의 선단부(111)를 허브(20)의 오목부(24)에 끼워 넣음으로써 플러싱 디바이스(100)가 장착된다.
측주관부의 선단부(121)에 형성된 오목부(122)에 시린지(50)의 노즐(52)을 삽입하고 생리식염수를 주입함으로써 플러싱한다.

Description

플러싱 디바이스 및 카테테르 세트{FLUSHING DEVICE AND CATHETER SET}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삽입하는 카테테르(catheter)를 플러싱(flushing)하기 위한 플러싱 디바이스 및 카테테르에 플러싱 디바이스를 조합시킨 카테테르 세트에 관한 것이다.
혈관 내에 마이크로 카테테르를 삽입하여 혈관 내의 수술을 하는 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카테테르로서, 카테테르 튜브와, 카테테르 튜브의 단부에 접속된 카테테르 허브와, 카테테르 튜브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를 구비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 카테테르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의 기단부(基端部)에 토크 디바이스(torque device)를 접속하여 가이드 와이어를 카테테르 튜브의 내강(內腔)에 삽입함으로써 체외로부터 혈관 내에 카테테르 튜브를 삽입한다. 그리고 토크 디바이스로 가이드 와이어를 조작하고 허브에서 카테테르 튜브를 조작함으로써, 카테테르 튜브의 선단(先 端)을 가는 혈관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목적부위에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허브의 기단부에는 카테테르 튜브의 내강과 통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루어(luer) 등을 삽입하여 약액(藥液) 등을 카테테르 튜브에 주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카테테르를 혈관 내에 삽입하기 전에 카테테르 튜브의 내강에 생리식염수 등을 충전하는 플러싱을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를 카테테르 튜브로부터 일단 빼내고, 카테테르 튜브의 내부에 플러싱액(생리식염수 등)을 충전하고, 가이드 와이어도 생리식염수 등으로 적셔서 카테테르 튜브 내에 재삽입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1이나 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카테테르 조립체와 같이 토크 디바이스의 기단측에서 플러싱액을 주입하여 선단측으로 송출하는 회로를 형성하고 토크 디바이스의 선단측을 카테테르 허브에 접속 가능하게 한 것도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카테테르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를 카테테르 튜브에 삽입한 채로 플러싱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4-2074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37351호 공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토크 디바이스의 기단측에서 플러싱액을 주입하여 플러싱하는 경우는 플러싱액을 유통시키는 회로를 토크 디바이스에 형성할 필요가 있어 일반적인 토크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카테테르에 있어서 일반적인 토크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카테테르 튜브 내에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한 채로 플러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카테테르 튜브와, 카테테르 튜브에 접속되고 카테테르 튜브와 통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허브와, 카테테르 튜브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를 구비하는 카테테르에 장착하는 플러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플러싱 디바이스를,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는 본체관부(本體管部)와, 본체관부에 통하도록 접속된 측주관부(側注管部)로 구성하고, 본체관부에는 오목부에 끼우는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를 형성하고, 측주관부에는 플러싱액을 주입하는 노즐이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플러싱 디바이스에 있어서, 본체관부의 관벽에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쳐서 가는 홈(슬릿)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체관부에는 슬릿과 접하는 부분에 본체관부의 재료보다도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를 부착하여도 좋다.
상기 플러싱 디바이스에 있어서, 본체관부의 기단부를 덮개부로 폐쇄하고 상기 덮개부에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 가능한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덮개부에는, 구멍과 접하는 부분에 당해 덮개부의 재료보다도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를 부착하여도 좋다.
덮개부는 본체관부의 관벽보다도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플러싱 디바이스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는 본체관부에는 허브의 오목부에 끼우는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테테르 튜브 및 허브에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한 채로 가이드 와이어를 둘러싸도록 본체관부를 끼워 넣고 본체관부의 선단부를 허브의 오목부에 끼울 수 있다.
또한 측주관부에는 플러싱액을 주입하는 노즐이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선단부에 플러싱액을 주입하는 노즐을 삽입하여 측주관부 내로 플러싱액을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측주관부는 본체관부에 통하도록 접속되어 있으므로, 측주관부 내에 주입된 플러싱액은 본체관부로 흐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러싱 디바이스를 카테테르 튜브 및 허브에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한 채로 장착하고 측주관부의 선단에 노즐을 삽입하여 측주관부 내에 플러싱액을 주입하면, 주입된 플러싱액은 본체관부, 허브의 오목부를 경유하여 카테테르 튜브로 흐르고 플러싱이 된다.
플러싱 종료 후는 플러싱 디바이스를 가이드 와이어로부터 떼어내고 가이드 와이어에 통상의 토크 디바이스를 장착하면 플러싱 디바이스에 의하여 토크 디바이스의 조작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상기 플러싱 디바이스에 있어서, 본체관부의 관벽(管壁)에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쳐서 슬릿을 형성하면, 상기 슬릿을 경유하여 가이드 와이어의 측면으로부터 본체관부를 끼우거나 떼어내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착탈성이 우수하게 되어 가이드 와이어에 토크 디바이스를 장착한 채로 토크 디바이스와 허브의 사이에 플러싱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본체관부에 있어서의 슬릿과 접하는 부분에 본체관부의 재료보다도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를 부착하면, 플러싱 시에 있어서 슬릿으로부터 플러싱액이 누설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플러싱 디바이스에 있어서, 본체관부의 기단부를 덮개부로 폐쇄하고 상기 덮개부에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가능한 구멍을 형성하면, 플러싱 시에 있어서 기단부로부터 플러싱액이 누설되기 어려워진다. 여기에서 덮개부에 있어서의 구멍과 접하는 부분에 당해 덮개부의 재료보다도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를 부착하면, 플러싱 시에 있어서 상기 구멍으로부터 플러싱액이 누설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덮개부를 본체관부의 관벽보다도 두껍게함으로써도 플러싱 시에 있어서 상기 구멍으로부터 플러싱액이 누설되기 어려워진다.
도1은 실시예에 관한 카테테르의 구성 및 그것에 장착하는 플러싱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상기 플러싱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3은 플러싱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플러싱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4는 변형예에 관한 플러싱 디바이스의 기단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테테르 10 카테테르 튜브
12 카테테르 튜브의 선단부 20 허브
23 허브의 기단부 24 오목부
30 가이드 와이어 40 토크 디바이스
50 시린지 52 노즐
100 플러싱 디바이스 110 본체관부
111 본체관부의 선단부 112 본체관부의 기단부
113 슬릿 114 덮개부
114a 구멍 115 밸브체
120 측주관부 121 측주관부의 선단부
122 오목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카테테르 및 플러싱 디바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카테테르)
도1은 카테테르의 구성과 그것에 장착하는 플러싱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카테테르1은 유연성을 가진 튜브로 구성된 카테테르 튜브10과, 상기 카테테르 튜브10의 기단에 장착된 허브20과, 카테테르 튜브10 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가이드 와이어30과, 가이드 와이어30의 기단부에 부착된 토크 디바이스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테테르1과 이것에 장착하는 플러싱 디바이스100을 합쳐서 카테테르 세트가 구성된다.
카테테르 튜브10은 혈관을 비롯한 생체관강(生體管腔)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연성을 가진 튜브체이다.
카테테르 튜브10의 기단부와 허브20의 선단부는 액체가 새지 않도록 접속되어 있다.
카테테르 튜브10은 유연성을 가진 수지재료(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불소계 수지) 또는 탄성 중합체로 구성되어 있고, 선상체(線狀體)나 메쉬(mesh)로 보강층(補强層)을 구비하고 있는 것도 들 수 있다.
허브20은 가이드 와이어30이 삽입되는 관상체(管狀體)로서 그 선단부21에 카테테르 튜브10의 기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허브20의 선단부21에는 카테테르 튜브10의 기단부를 커버하는 가늘고 긴 캡2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허브20의 기단부23에는 시린지의 루어 등을 삽입하기 위한 오목부24(도3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24는 카테테르 튜브10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허브20은, 카테테르 튜브10 내에 가이드 와이어30을 삽입할 때의 삽입구로서, 혹은 카테테르 튜브10 내에 약액 등의 액체를 주입하는 주입구로서, 조작자가 카테테르 튜브10을 조작할 때의 조작부로서 기능한다.
오목부24의 내벽은 기단방향을 향하여 그 내경이 점차 증가하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루어를 끼워 넣기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가이드 와이어30의 삽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허브20의 측부에는 복수의 손잡이25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어서 조작자가 허브20을 파지(把持)하여 카테테르 튜브10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25를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30으로는 Ni-Ti계 합금선, 스테인레스선, 피아노선 등이 사용된다. 또는, 이들을 심재(芯材)로 하여 그 외주를 각종 수지나 탄성 중합체로 피복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가이드 와이어30의 선단부31은 만 곡(彎曲)되어 있다.
토크 디바이스40은, 조작자가 파지하여 조작하는 조작부41과, 조작부41의 선단측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30의 기단부분을 파지하는 척 헤드부42로 이루어지고, 척 헤드부42는 척 클로(chuck claw)43과 척 클로43을 단단히 죄는 스크루 캡44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루 캡44의 내주면(內周面)에는 조작부41의 선단에 형성된 볼트41a와 결합하는 너트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크루 캡44를 체결하면 당해 스크루 캡44가 척 클로43을 주위로부터 가압하여 가이드 와이어30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액체 주입기구로서의 시린지50에는 플러싱액(생리식염수 등)이 충전되어 플런저51을 조작함으로써 노즐52로부터 플러싱액을 주입시킬 수 있다.
(플러싱 디바이스100의 구성)
도2는 플러싱 디바이스100의 사시도이다.
플러싱 디바이스100은 가이드 와이어30이 관통하는 본체관부110과, 본체관부110에 통하도록 접속된 측주관부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주관부120은 본체관부110의 중앙부(즉 선단부111과 기단부112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본체관부110과 측주관부120의 각도에 관하여는 측주관부120이 본체관부110에 대하여 수직방향보다도 기단부112 측으로 기울어서 접속되어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측주관부120으로부터 본체관부110으로 유입되는 액이 선단부111 방향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본체관부110은 상기 선단부111이 오목부24에 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부111을 오목부24에 끼워 넣음으로써 본체관부110과 허브20은 액체가 새지 않도록 접속되고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본체관부110의 기단부112는 가이드 와이어30과의 간격이 작아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관부110의 기단부112에는 관을 폐쇄하는 덮개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114의 중앙부분에 가이드 와이어30이 관통하는 구멍114a가 형성되어 있다.
측주관부120은 그 선단부121에 시린지50의 노즐52를 삽입 가능한 오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22는 기단방향을 향하여 그 내경이 점차 증가하는 테이퍼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노즐52를 측주관부120에 확실하고 용이하게 끼워 넣어서 접속할 수 있다.
플러싱 디바이스100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탄성 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을 재료로 하고 상기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본체관부110의 관벽에는 선단부111로부터 기단부112에 걸쳐서 가이드 와이어30을 측면으로부터 삽입시키기 위한 슬릿1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113은 상기한 구멍114a와 이어져 있어 삽입한 가이드 와이어30을 상기한 구멍114a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러싱 조작)
카테테르1에 플러싱 디바이스100을 장착하여 플러싱하는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플러싱 디바이스100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30은 카테테르 튜브10에 삽입되고 가이드 와이어30의 기단부에 토크 디바이스40이 연결된 상태에서 카테테르1에 플러싱 디바이스100을 장착하는 것으로 한다.
플러싱 디바이스100 장착시에는 본체관부110의 슬릿113 부분을 가이드 와이어30의 측면에 가압하여 본체관부110을 가이드 와이어30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본체관부110의 선단부111을 오목부24에 끼워 넣음으로써 플러싱 디바이스10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플러싱 디바이스100은 상기 본체관부110에 슬릿11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와이어30이 카테테르 튜브10에 삽입되고 토크 디바이스40이 부착된 상태에서 가이드 와이어30에 있어서 허브20과 토크 디바이스40의 사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3은 카테테르1에 플러싱 디바이스100이 장착되어 플러싱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주관부120의 오목부122에 노즐52를 삽입하여 시린지50을 측주관부120에 접속한다. 그리고 플런저51을 조작하여 시린지50 내의 플러싱액을 측주관부120에 주입한다.
측주관부120에 주입된 플러싱액은 측주관부120으로부터 본체관부110으로 유입되어 가이드 와이어30의 표면을 타고 허브20 내를 거쳐서 카테테르 튜 브10 내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카테테르 튜브10의 내강과 함께 가이드 와이어30의 표면도 플러싱된다.
플러싱이 끝나면 시린지50을 측주관부120으로부터 빼고 플러싱 디바이스100을 카테테르1로부터 분리한다. 이러한 분리조작은 상기한 장착조작과 역조작으로 하면 된다.
본체관부110에 슬릿11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관부110을 가이드 와이어3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러싱 디바이스100을 장착한 채로 토크 디바이스40을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토크 디바이스40의 조작성이 플러싱 디바이스100에 의하여 방해받는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플러싱의 종료 후에 플러싱 디바이스100을 카테테르1로부터 분리하면 토크 디바이스40의 조작성은 방해받지 않는다.
(카테테르의 혈관으로의 삽입)
플러싱 후에 카테테르1을 혈관에 삽입한다. 이 때에는 카테테르 튜브10을 필요에 따라 가이딩 카테테르나 조영(造影) 카테테르 내에 삽입하여 혈관에 삽입한다. 그리고 토크 디바이스40을 조작하면서 카테테르 튜브10의 선단부12를 목적부위까지 도달시킨다.
카테테르 튜브10의 선단부12가 목적부위에 도달하면 카테테르 튜브10으로부터 가이드 와이어30을 빼낸다.
그 후에 허브20의 오목부24에 시린지 등의 주입기구를 접속하고 조 영제(造影劑)나 약액을 주입한다. 이에 따라 조영제나 약액은 허브20로부터 카테테르 튜브10을 거쳐서 카테테르 튜브10의 선단부12로부터 혈관 내로 주입된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한 후에는 가이딩 카테테르(조영 카테테르) 마다 카테테르 튜브10을 혈관으로부터 빼낸다.
(슬릿113, 덮개부114에 관한 상세)
슬릿113의 틈의 폭이 클수록 플러싱 디바이스100을 가이드 와이어30에 착탈하기 쉽지만, 플러싱 시에 플러싱액이 슬릿113으로부터 누설(漏泄)되기 쉬우므로, 일반적으로는 슬릿113의 폭은 가이드 와이어30의 지름과 같은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가이드 와이어30의 지름이 0.46mm인 경우 슬릿113의 폭은 0.3∼0.6mm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슬릿113의 폭으로서 적당한 범위는 플러싱 디바이스100을 형성하는 재료에 따라서도 달라서, 탄력성이 큰 재료이면 슬릿113의 폭을 상당히 작게 설정하여도 플러싱 디바이스100을 가이드 와이어30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본체관부110에 있어서 슬릿113의 근방만 관벽을 두껍게 형성하여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슬릿113의 관벽에 있어서 두께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플러싱액이 누설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덮개부114의 두께에 대하여는 본체관부110의 관벽보다도 두껍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멍114a의 크기에 대하여는 가이드 와이어30의 지름과 같은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설정하면 플러싱 디바이스100이 가이드 와이어30에 장착된 상태(구멍114a에 가이드 와이어30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플러싱액이 구멍114a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등)
이상 카테테르1과 그것에 장착하는 플러싱 디바이스100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와 같은 것이어도 좋다.
(1) 플러싱 디바이스100의 변형예로서, 전체를 같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슬릿113의 근방만을, 또는 슬릿113과 구멍114a의 근방만을 유연성이 풍부한 재료로 형성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러싱 디바이스100을, 기본적으로는 상기한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탄성 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이라는 수지로 형성하고, 슬릿113 및 구멍114a에 접하는 부분에 유연성을 구비하는 재료(탄성 중합체계의 재료)로 형성된 밸브체를 부착한다.
도4는 변형예에 관한 플러싱 디바이스100의 기단부112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당해 도면에는 플러싱 디바이스100에 있어서 덮개부114의 두께가 두껍게 설정되고, 덮개부114에 있어서의 구멍114a에 접하는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 탄성 중합체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체 115가 끼워져 있는 모양이 나타나 있지만, 동일한 밸브체를 덮개부114에 있어서의 구멍114a에 접하는 부분에 접합하여도 좋다. 또한 본체관부110의 슬릿113에 접하는 부분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밸브체를 끼우거나 접합하거나 하여 부착하면 좋다.
이와 같이 슬릿113 및 구멍114a와 접하는 부분에 밸브체를 부착함으로써 당해 밸브체는 가이드 와이어30이 슬릿113을 통과하거나 구멍114a에 끼워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슬릿113이나 구멍114a를 폐쇄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슬릿113이나 구멍114a로부터 플러싱액이 누설되지 않게 된다.
(2) 상기의 플러싱 디바이스100에 있어서는 측주관부120이 본체관부110의 중앙부에 접속되어 있었지만, 측주관부120이 본체관부110의 기단부112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3) 플러싱 디바이스100에 있어서 반드시 본체관부110에 슬릿113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 가이드 와이어30에 토크 디바이스40을 부착하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 와이어30의 기단부로부터 본체관부110을 끼워 넣고 선단부111을 오목부24에 삽입함으로써 플러싱 디바이스100을 장착한다. 그리고 노즐52를 오목부122에 삽입하여 시린지50을 측주관부120에 접속하고 플러싱한다.
플러싱 후에 플러싱 디바이스100을 가이드 와이어30의 기단부로부터 빼내고 그 후에 토크 디바이스40을 가이드 와이어30의 기단부에 장착한다.
(4) 플러싱 디바이스100에 있어서, 본체관부110에 슬릿113을 형성하는 대신에 본체관부110의 선단으로부터 기단에 걸쳐서 관벽의 두께가 얇은 부분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미리 가이드 와이어30에 플러싱 디바이스100 및 토크 디바이스40을 장착하여 둔다. 그리고 노즐52를 오목부122에 삽입하여 시린지50을 측주관부120에 접속하고 플러싱한다.
그리고 플러싱 후에 플러싱 디바이스100의 두께가 얇은 부분을 찢어서 가이드 와이어30으로부터 플러싱 디바이스100을 분리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플러싱 디바이스는, 카테테르 튜브와, 카테테르 튜브에 접속된 허브와, 카테테르 튜브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를 구비하는 카테테르를 플러싱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고, 특히, 혈관 등에 삽입하는 의료용의 마이크로 카테테르를 플러싱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Claims (9)

  1. 카테테르 튜브(catheter tube)와, 상기 카테테르 튜브에 접속되고 당해 카테테르 튜브와 통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허브(hub)와, 상기 카테테르 튜브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를 구비하는 카테테르(catheter)에 장착하는 플러싱 디바이스(flushing device)로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는 본체관부(本體管部)와, 상기 본체관부에 통하도록 접속된 측주관부(側注管部)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관부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 넣는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주관부는, 플러싱액을 주입하는 노즐이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싱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관부의 관벽에는 상기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쳐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싱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관부에는 상기 슬릿과 접하는 부분에 당해 본체관부의 재료보다도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싱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관부의 기단부는 덮개부로 폐쇄되고 상기 덮개부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 가능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싱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구멍과 접하는 부분에 당해 덮개부의 재료보다도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싱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관부의 관벽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싱 디바이스.
  7. 카테테르 튜브와, 상기 카테테르 튜브에 접속되고 당해 카테테르 튜브와 통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허브와, 제1항의 플러싱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테르 세트.
  8. 카테테르 튜브와, 상기 카테테르 튜브에 접속되고 당해 카테테르 튜브와 통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허브와, 상기 카테테르 튜브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와, 제1항의 플러싱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테르 세트.
  9. 카테테르 튜브와, 상기 카테테르 튜브에 접속되고 당해 카테테르 튜브와 통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허브와, 상기 카테테르 튜브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와, 당해 가이드 와이어를 조작하는 토크 디바이스와, 제1항의 플러싱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테르 세트.
KR1020077002981A 2004-08-31 2005-08-30 플러싱 디바이스 및 카테테르 세트 KR200700487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52645A JP4710280B2 (ja) 2004-08-31 2004-08-31 フラッシングデバイス及びカテーテルセット
JPJP-P-2004-00252645 2004-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719A true KR20070048719A (ko) 2007-05-09

Family

ID=3600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981A KR20070048719A (ko) 2004-08-31 2005-08-30 플러싱 디바이스 및 카테테르 세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10280B2 (ko)
KR (1) KR20070048719A (ko)
CN (1) CN100584408C (ko)
WO (1) WO2006025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2082B2 (ja) * 2010-05-31 2012-03-07 クリエートメディック株式会社 フラッシング可能なトルクデバイス
JP5414775B2 (ja) * 2011-12-08 2014-02-12 クリエートメディック株式会社 フラッシング可能なトルクデバイス
US9132238B2 (en) * 2012-06-26 2015-09-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ow fill seal luer syringe
CN106580375B (zh) * 2016-12-15 2020-09-22 杭州启明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导丝调节器以及输送***控制手柄
CN113301940B (zh) * 2019-02-18 2024-04-09 泰尔茂株式会社 插件、医疗用长尺寸体组件以及插件的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0613A (en) * 1993-01-06 1994-06-14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lumen flushing and guide wire loading device and method
US6371944B1 (en) * 1999-04-26 2002-04-16 Xuanli Liu Percutaneous needle with entry for insertion of a wire
US6605075B1 (en) * 1999-12-21 2003-08-12 Ethicon, Inc. Flushable hu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84408C (zh) 2010-01-27
JP2006068100A (ja) 2006-03-16
WO2006025370A1 (ja) 2006-03-09
JP4710280B2 (ja) 2011-06-29
CN101010116A (zh)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8258B1 (en) A vascular access device
EP1898988B1 (en) Autoflush syringe
KR20070048719A (ko) 플러싱 디바이스 및 카테테르 세트
WO2005051464A1 (ja) 内視鏡用処置具、および内視鏡用注射針
JP2007089607A (ja) イントロデューサシース
JP6280373B2 (ja) 医療用体外回路との接続に利用される留置針
US5421334A (en) Pre-filled imaging catheter
CN209933656U (zh) 一种可封堵的静脉导管装置
JP5903875B2 (ja) 内視鏡用注射針
KR102156610B1 (ko) 약물 주입용 안전 캡
JP4809707B2 (ja) カテーテル導入用具および薬液注入システム
JP2009142492A (ja) 留置針装置
CN214181353U (zh) 注射装置以及注射***
JP4343730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04248987A (ja) ガイドワイヤ挿入具
JP4315734B2 (ja) 探触子の針誘導路内挿入用バルーン付き穿刺針および探触子の針誘導路内挿入用バルーン付き穿刺針組立体
JPH11347131A (ja) カテーテルイントロデューサ
JP2009160031A (ja) 医療用コネクタ及び医療用具セット
US6042566A (en) Intravenous injection apparatus
JP3488349B2 (ja) カテーテル用プライミング器具およびプライミング器具を備えたカテーテル装置
CN114269408B (zh) 医疗用针及医疗用针的制造方法
KR100517200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JP7440541B2 (ja) 薬液注入装置
WO2021210484A1 (ja) 針組立体
JP2007089605A (ja) イントロデューサシ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