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993A - Ppar 조절제로서의 화합물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Ppar 조절제로서의 화합물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993A
KR20070034993A KR1020067023769A KR20067023769A KR20070034993A KR 20070034993 A KR20070034993 A KR 20070034993A KR 1020067023769 A KR1020067023769 A KR 1020067023769A KR 20067023769 A KR20067023769 A KR 20067023769A KR 20070034993 A KR20070034993 A KR 20070034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phenoxy
dichloro
acetic acid
isoxaz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에플
로즈 루소
미하이 아지미오아라
용핑 씨에
Original Assignee
아이알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알엠 엘엘씨 filed Critical 아이알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7003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9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 C07D26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 C07D26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61/14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 C07D26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61/1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Abstract

본 발명은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및 페록시좀 증식제-활성화 수용체 (PPAR) 류의 활성, 특히 PPARδ의 활성과 연관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페록시좀 증식제-활성화 수용체 (PPAR), PPARδ 조절제, 항-당뇨병제, 저지혈증제, 항-비만증제, 항-고혈압제

Description

PPAR 조절제로서의 화합물 및 조성물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PPAR MODULATOR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원은 2004년 5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571,003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청구한다. 상기 출원의 전체 기재내용은 본원에 전문으로 또한 모든 목적을 위해 참고로 도입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화합물, 그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및 페록시좀 증식제-활성화 수용체 (PPAR) 류의 활성, 특히 PPARδ의 활성과 연관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페록시좀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 (PPAR)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리간드-활성화 전사 인자인 핵 호르몬 수용체 상과의 일원이다. 특정 PPAR은 이상지혈증,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맥경화증, 동맥경화발생, 고트리글리세리드혈증, 심부전, 심근경색증,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고혈압, 비만증, 염증, 관절염, 암, 알츠하이머병, 피부 장애, 호흡기 질환, 안과 장애, IBD (과민성 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을 비롯한 다수의 질환 상태와 연관이 있다. 따라서, PPAR, 특히 PPARδ의 활성을 조절하는 분자는 상기 질환의 치료시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발명의 요약]
제1 국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N-옥시드 유도체, 전구약물 유도체, 보호된 유도체, 개별적 이성질체 및 이성질체들의 혼합물; 및 상기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C1 - 6알킬, C3 - 12시클로알킬,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1의 임의의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된-C1-6알킬, 할로-치환된-C1-6알콕시, -XC(O)YR5 및 -XYC(O)R5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X는 결합 또는 C1 - 4알킬렌이고, Y는 결합, O, S 및 NR6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C1 - 6알킬, C3 - 12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수소, C1 - 6알킬, C3 - 12시클 로알킬,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2는 -XOXOR5, -XOR5, -C(O)OR5, -C(O)NR4R4, -C(O)NR4XOR4, -C(O)OXOR5, -C(O)XOR5, -C(O)NR4XOR5, -C(O)NR4R5 및 -C(O)NR4XR5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X는 결합 또는 C1 - 4알킬렌이고, R4는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5는 C1 - 6알킬, C3 - 12시클로알킬,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또는 C5-10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여기서, R2의 임의의 알킬렌기는 할로, C1 - 6알킬 및 페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R2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된-C1 - 6알킬 및 할로-치환된-C1 - 6알콕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고;
R3은 C3 - 12시클로알킬,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3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된-C1 - 6알킬, 할로-치 환된-C1-6알콕시, -XOXC(O)OR5, -XC(O)OR5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X는 결합 및 C1 - 4알킬렌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5는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제2 국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N-옥시드 유도체, 개별적 이성질체 및 이성질체들의 혼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하나 이상의 적합한 부형제와 혼합하여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3 국면에서, 본 발명은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N-옥시드 유도체, 개별적 이성질체 및 이성질체들의 혼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PPAR, 특히 PPARδ 활성의 조절로 질환의 병리 및/또는 증상을 예방, 억제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동물에서의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제4 국면에서, 본 발명은 PPAR, 특히 PPARδ 활성이 질환의 병리 및/또는 증상의 원인인 동물에서의 질환 치료용 약제 제조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제5 국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N-옥시드 유도체, 전구약물 유도체, 보호된 유도체, 개별적 이성질체 및 이성질체들의 혼합물, 및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정의]
하나의 기로서 및 다른 기의 구조적 요소로서의 "알킬", 예를 들어 할로-치환된-알킬 및 알콕시는 직쇄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C1 - 6알콕시는 메톡시, 에톡시 등을 포함한다. 할로-치환된-알킬은 트리플루오로메틸, 펜타플루오로에틸 등을 포함한다.
"아릴"은 6 내지 10개 고리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된 비시클릭 방향족 고리 조립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 바람직하게는 페닐일 수 있다. "아릴렌"은 아릴기로부터 유래한 2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은 고리 원 중 하나 이상이 헤테로원자인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아릴이다. 예를 들어, 헤테로아릴은 피리딜, 인돌릴, 인다졸릴, 퀴녹살리닐, 퀴놀리닐, 벤조푸라닐, 벤조피라닐, 벤조티오피라닐, 벤조[1.3]디옥솔, 이미다졸릴, 벤조-이미다졸릴, 피리미디닐, 푸라닐,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라졸릴, 티에닐 등을 포함한다. "C6 - 10아릴C0 - 4알킬"은 알킬렌기를 통해 결합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아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6 - 10아릴C0 - 4알킬은 페네틸, 벤질 등을 포함한다.
"시클로알킬"은 제시된 숫자의 고리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모노시클릭, 융합된 비시클릭 또는 가교된 폴리시클릭 고리 조립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3 - 10시클로알킬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을 포함한다.
"헤테로시클로알킬"은 본 명세서에 정의한 바와 같은 시클로알킬을 의미하며, 단 제시된 고리 탄소 중 하나 이상이 -O-, -N=, -NR- (R은 수소, C1 - 4알킬 또는 질소 보호기임), -C(O)-, -S-, -S(O)- 또는 -S(O)2-로부터 선택되는 잔기로 대체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을 기술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은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닐,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피페리디닐론, 1,4-디옥사-8-아자-스피로[4.5]데크-8-일 등을 포함한다.
"할로겐" (또는 할로)은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를 나타내며, 브로모 또는 요오도일 수도 있다.
"치료하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질환 및/또는 이의 수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경감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설명]
본 발명은 화합물, 조성물, 및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PPARδ 활성의 조절로 질환의 병리 및/또는 증상을 예방, 억제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R1은 C1 - 6알킬, C3 - 12시클로알킬, C5 - 10헤테로아릴 및 C6-10아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1의 임의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할로, 니트로, C1-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된-C1-6알킬 및 -XC(O)OR5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X는 결합 또는 C1-4알킬렌이고, R5는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2는 -XOXOR5, -XOR5, -C(O)NR4XOR4, -C(O)NR4XOR5, -C(O)OXOR5, -C(O)XOR5, -C(O)NR4R4, -C(O)NR4R5 및 -C(O)NR4XR5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X는 결합 또는 C1 - 4알킬렌이고, R4는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5는 C3 - 12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이거나, 또는 R4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또는 C5 - 10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여기서, R2의 임의의 알킬렌기는 C1 - 6알킬 및 페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R2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은 할로, 니트로, C1 - 6알킬, C1-6알콕시, 할로-치환된-C1 - 6알킬 및 할로-치환된-C1 - 6알콕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고;
R3은 할로, C1 - 6알킬, C1 - 6알콕시, -OXC(O)OR5 및 -XC(O)OR5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된 C6 - 10아릴이고; 여기서, X는 결합 또는 C1-4알킬렌이고, R5는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한 것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R1은 할로, 메틸, 니트로, 메톡시, 카르복시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2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된, 메틸, 에틸, t-부틸, 프로필, 시클로프로필, 이소프로필, 피리디닐, 푸라닐, 티에닐 및 페닐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R2는 -C(O)NHR4, -C(O)NHR5, -C(O)N(CH3)CH2R5, -CH2O(CH2)2OR5, -CH2OR5, -C(O)NH(CH2)2OR5, -C(O)O(CH2)2OR5, -C(O)(CH2)3OR5, -C(O)NH(CH2)1-3R5, -C(O)NH(CH2)2OR4 및 -C(O)N(CH3)(CH2)2OR5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4는 메틸 및 부틸로부터 선택되고, R5는 페닐, 시클로펜틸, 푸라닐, 피리디닐 및 나프틸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을 형성하고; 여기서, R2의 임의의 알킬렌기는 메틸 및 페닐로부터 선택되는 1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R2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은 할로, 니트로,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및 메톡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R3은 할로, 메틸, 메톡시, -OCH2C(O)OH, -(CH2)2C(O)OH 및 -CH2C(O)OH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q, m 및 n이 0, 1 및 2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0, R11 및 R12가 각각 할로, C1 - 6알킬, 니트로, C1 - 6알콕시 및 할로-치환된-C1-6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학식 Ia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02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 및 표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5-{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p-톨릴-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플루오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니트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5-(2-클로로-페닐)-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5-(4-클로로-페닐)-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2-메톡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3-메톡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메톡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p-톨릴-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플루오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니트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5-(2-클로로-페닐)-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5-(3-클로로-페닐)-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이속 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5-(4-클로로-페닐)-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2-메톡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3-메톡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메톡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o-톨릴-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및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m-톨릴-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 및 표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약리학 및 효용성]
본 발명의 화합물은 PPAR의 활성을 조절하며, 그 자체로서, PPAR이 질환의 병리 및/또는 증상의 원인인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은 추가로 PPAR, 특히 PPARδ가 질환의 병리 및/또는 증상의 원인인 질환 또는 장애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이상지혈증,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맥경화 증, 동맥경화발생, 고트리글리세리드혈증, 심부전, 심근경색증,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고혈압, 비만증, 악액질, HIV 소모성 증후군, 염증, 관절염, 암, 알츠하이머병, 식욕부진, 신경성 식욕부진, 거식증, 피부 장애, 호흡기 질환, 안과 장애, IBD (과민성 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상지혈증,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맥경화증, 동맥경화발생, 고트리글리세리드혈증, 심혈관 질환, 고혈압, 비만증, 염증, 암, 피부 장애, IBD (과민성 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치명적 장기 질병의 치료, 근육량 및/또는 근력의 증가, 제지방량의 증가, 노년층에서 근력 및 근기능의 유지, 근지구력 및 근기능의 증진, 및 노년층에서의 허약함의 역전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손상된 내당력, 고혈당증 및 인슐린 내성과 관련된 상태, 예컨대 1형 및 2형 당뇨병, 당대사 장애 (Impaired Glucose Metabolism: IGM), 내당력 장애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공복혈당 장애 (Impaired Fasting Glucose: IFG) 및 X 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혈당강하제로서 포유동물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형 및 2형 당뇨병, 당대사 장애 (IGM), 내당력 장애 (IGT) 및 공복혈당 장애 (IFG)이다.
상기에 따라, 본 발명은 추가로 치료 유효량 (하기 "투여 및 제약 조성물" 참조)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상기 기술된 임의의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대 상체에서 상기 기술된 질환 또는 장애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임의의 상기 용도에 대해, 요구되는 투여량은 투여 방식, 치료될 특정 상태 및 목적하는 효과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i) 약제로서 유용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ii) 상기 기술된 임의의 질환 또는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제조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투여 및 제약 조성물]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제와 조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일반적 및 허용가능한 방식을 통해 치료 유효량으로 투여될 것이다. 치료 유효량은 질환의 중증도, 대상체의 나이 및 상대적 건강, 사용되는 화합물의 효능, 및 다른 인자에 따라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는 체중 kg 당 약 0.03 내지 2.5 mg의 일일 투여량에서 전신적으로 획득되는 것으로 제시된다. 1일 4회 이상의 분할 투여량 또는 지연방출 형태로 편리하게 투여되는, 보다 큰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에서의 지시된 일일 투여량은 약 0.5 mg 내지 약 100 mg 범위이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단위 투여 형태는 약 1 내지 50 mg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제약 조성물로서 임의의 통상적 경로에 의해, 특히 경장,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경구로, 또는 주사액제 또는 현탁액제 형태의 비경구로, 로션, 젤, 연고 또는 크림 형태의 국소로, 또는 비내 또는 좌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유리 형태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 물을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은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한 통상적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조성물은 활성 성분을 a) 희석제, 예를 들어,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스 및/또는 글리신; b) 윤활제, 예를 들어, 실리카, 탤컴, 스테아르산, 이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 염 및/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정제의 경우 또한 c) 결합제,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트,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필요한 경우 d) 붕해제, 예를 들어,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이의 나트륨 염, 또는 발포성 혼합물; 및/또는 e)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와 함께 포함하는 정제 또는 젤라틴 캡슐제일 수 있다. 주사가능한 조성물은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고, 좌제는 지방 유탁액 또는 현탁액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화될 수 있고/있거나,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와 같은 보조제, 용액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액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다른 치료적으로 중요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경피 적용에 적합한 제제는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담체를 포함한다. 담체는 수용자의 피부를 통한 통과를 보조하는 약리학상 허용되는 흡수가능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피 장치는 베이킹원, 화합물 및 임의의 담체를 함유하는 저장용기, 임의로는 화합물을 수용자의 피부로 장기간에 걸쳐 제어되고 예정된 속도로 전달하기 위한 속도 제어 차단벽, 및 장치를 피부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붕대 형태이다. 매트릭스 경피 제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국소 적용, 예를 들어 피부 및 눈에 적합한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 익히 공지된 수용액제, 연고, 크림 또는 젤이다. 상기 제제는 가용화제, 안정화제, 긴장성 증진제, 완충액 및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 (제약 조합물)와 조합하여 치료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1)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2) a) 항-당뇨병제, 예컨대, 인슐린, 인슐린 유도체 및 의사체; 인슐린 분비촉진제, 예컨대 술포닐우레아 (예를 들어, 글리피지드, 글리부리드 및 아마릴); 인슐린자극 술포닐우레아 수용체 리간드, 예컨대 메글리티니드 (예를 들어, 나테글리니드 및 레파글리니드); 인슐린 감작제, 예컨대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제-1B (PTP-1B) 억제제 (예를 들어, PTP-112); GSK3 (글리코겐 합성효소 키나제-3) 억제제, 예컨대 SB-517955, SB-4195052, SB-216763, NN-57-05441 및 NN-57-05445; RXR 리간드, 예컨대 GW-0791 및 AGN-194204; 나트륨-의존성 글루코스 공동-수송체 억제제, 예컨대 T-1095;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제 A 억제제, 예컨대 BAY R3401; 비구아니드, 예컨대 메트포르민;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예컨대 아카르보스; GLP-1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GLP-1 유사체 (예를 들어, 엑센딘-4) 및 GLP-1 의사체; DPPIV (디펩티딜 펩티다제 IV) 억제제, 예컨대 DPP728, LAF237 (빌다글립틴 - WO 00/34241의 실시예 1), MK-0431, 삭사글립틴, GSK23A; AGE 파쇄제; 티아졸리돈 유도체 (글리타존), 예컨대 피오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 또는 특허 출원 WO 03/043985에 실시예 4의 화합물 19로서 기술되어 있는 (R)-1-{4-[5-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사졸-4-일메톡시]-벤젠술포닐}-2,3-디히드로-1H-인돌-2-카르복실산, 비-글리타존 유형 PPARγ 효능제, 예컨대 GI-262570;
b) 저지혈증제, 예컨대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 조효소 A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예를 들어, 로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세리바스타틴, 메바스타틴, 벨로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달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및 리바스타틴); 스쿠알렌 합성효소 억제제; FXR (파르네소이드 X 수용체) 및 LXR (간 X 수용체) 리간드; 콜레스티라민; 피브레이트; 니코틴산 및 아스피린;
c) 항-비만증제 또는 식욕조절제, 예컨대 펜테르민, 렙틴, 브로모크립틴, 덱삼페타민, 암페타민, 펜플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시부트라민, 오를리스타트, 마진돌,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 플루옥세틴, 부프로피온, 토피라메이트, 벤즈페타민, 페닐프로판올아민 또는 에코피팜, 에페드린, 슈도에페드린 또는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길항제;
d) 항-고혈압제, 예컨대 루프성 이뇨제 (예를 들어, 에타크린산, 푸로세미드 및 토르세미드); 이뇨제, 예컨대 티아자이드 유도체, 클로리티아자이드, 히드로클로로티아자이드, 아밀로라이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ACE) 억제제, 예컨대 베나 제프릴, 캅토프릴, 에날라프릴, 포시노프릴, 리시노프릴, 모엑시프릴, 페리노도프릴, 퀴나프릴, 라미프릴 및 트란돌라프릴; Na-K-ATPase 막 펌프의 억제제, 예컨대 디곡신; 뉴트랄렌도펩티다제 (NEP) 억제제, 예컨대 티오르판, 테르테오-티오르판, SQ29072; ECE 억제제, 예컨대 SLV306; ACE/NEP 억제제, 예컨대 오마파트릴라트, 삼파트릴라트 및 파시도트릴; 안지오텐신 II 길항제, 예컨대 칸데사르탄, 에프로사르탄, 이르베사르탄, 로사르탄, 텔미사르탄 및 발사르탄, 특히 발사르탄; 레닌 억제제, 예컨대 알리스키렌, 테를라키렌, 디테키렌, RO-66-1132, RO-66-1168; β-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차단제, 예컨대 아세부톨롤, 아테놀롤, 베탁솔롤, 비소프롤롤, 메토프롤롤, 나돌롤, 프로프라놀롤, 소탈롤 및 티몰롤; 수축 촉진제, 예컨대 디곡신, 도부타민 및 밀리논; 칼슘 통로 차단제, 예컨대 암로디핀, 베프리딜, 딜티아젬, 펠로디핀, 니카르디핀, 니모디핀, 니페디핀, 니솔디핀 및 베라파밀; 알도스테론 수용체 길항제; 및 알도스테론 합성효소 억제제;
e) HDL 증가시키는 화합물;
f) 콜레스테롤 흡수 조절제, 예컨대 제티아® (Zetia®) 및 KT6-971;
g) 아포-A1 유사체 및 의사체;
h) 트롬빈 억제제, 예컨대 자이멜라가트란;
i) 알도스테론 억제제, 예컨대 아나스트라졸, 파드라졸, 에플레레논;
j) 혈소판 응집 억제제, 예컨대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비술페이트;
k)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선택적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제;
l) 화학치료제, 예컨대 아로마타제 억제제 (예를 들어, 페마라), 항-에스트로겐, 토포이소머라제 I 억제제, 토포이소머라제 II 억제제, 미세관 활성제, 알킬화제, 항암성 대사억제제, 플라틴 화합물, 단백질 키나제 활성을 감소시키는 화합물 (예를 들어, PDGF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바람직하게는 유럽 특허 출원 EP-A-O 564 409에 실시예 21로서 기술되어 있는 이마티닙 ({N-{5-[4-(4-메틸-피페라지노-메틸)-벤조일아미도]-2-메틸페닐}-4-(3-피리딜)-2-피리미딘-아민}) 또는 특허 출원 WO 04/005281에 실시예 92로서 기술되어 있는 4-메틸-N-[3-(4-메틸-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4-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미노)-벤즈아미드; 및
m) 5-HT3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제 및/또는 5-HT4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제, 예컨대 미국 특허 제5510353호에 실시예 13으로서 기술되어 있는 테가세로드, 테가세로드 히드로겐 말레에이트, 시사프리드, 실란세트론
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 또는 각각의 경우에서의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경우에 따라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를 포함하는 제약 조합물, 예컨대 조합 제제 또는 제약 조성물 (고정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조합원은 테가세로드, 이마티닙, 빌다글립틴, 메트포르민, 티아졸리돈 유도체 (글리타존) (예컨대, 피오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 또는 (R)-1-{4-[5-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사졸-4-일메톡시]-벤젠술포닐}-2,3-디히드 로-1H-인돌-2-카르복실산), 술포닐우레아 수용체 리간드, 알리스키렌, 발사르탄, 오를리스타트 또는 스타틴 (예컨대, 피타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또는 프라바스타틴)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약 조합물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치료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치료 유효량의 또다른 치료제와 조합하여, 예를 들어, 각각 당업계에 보고된 유효한 치료 투여량으로 함유한다. 조합원 (1) 및 (2)는 1개의 조합된 단위 투여 형태 또는 2개의 개별적 단위 투여 형태로, 함께,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단위 투여 형태는 또한 고정 조합물일 수 있다.
일반명 또는 상표명으로 확인된 활성제의 구조는 현행판 표준 개론 "더 메르크 인덱스 (The Merck Index)" 또는 의사용 탁상 편람 (Physician's Desk Reference)으로부터, 또는 패턴츠 인터내셔널 (Patents International) (예를 들어, IMS 월드 퍼블리케이션스 (IMS World Publications)) 또는 커렌트 드러그스 (Current Drugs)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할 수 있다. 이의 상응하는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어 있다. 당업계의 숙련자는 활성제를 완전히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참조를 기초로 하여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둘 다의 표준 시험 모델에서의 제약적 지시 및 특성을 성립하고 시험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을 상기 기술된 a) 내지 m)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 또는 각각의 경우에서의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조합하여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고정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 또는 제약 조합물은 이상지혈증,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맥경화증, 고트리글리세리드혈증, 심부전, 심근경색증,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고혈압, 비만증, 염증, 관절염, 암, 알츠하이머병, 피부 장애, 호흡기 질환, 안과 장애, 염증성 장 질환, IBD (과민성 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손상된 내당력, 고혈당증 및 인슐린 내성과 관련된 상태 (예컨대 1형 및 2형 당뇨병), 당대사 장애 (IGM), 내당력 장애 (IGT), 공복혈당 장애 (IFG) 및 X 증후군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것이다.
상기 치료제는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선택적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제, 인슐린, 인슐린 유도체 및 의사체; 인슐린 분비촉진제, 예컨대 술포닐우레아 (예를 들어, 글리피지드 및 아마릴); 인슐린자극 술포닐우레아 수용체 리간드, 예컨대 메글리티니드 (예를 들어, 나테글리니드 및 레파글리니드); 인슐린 감작제, 예컨대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제-1B (PTP-1B) 억제제, GSK3 (글리코겐 합성효소 키나제-3) 억제제 또는 RXR 리간드; 비구아니드, 예컨대 메트포르민;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예컨대 아카르보스; GLP-1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GLP-1 유사체 (예를 들어, 엑센딘-4) 및 GLP-1 의사체; DPPIV (디펩티딜 펩티다제 IV) 억제제, 예컨대 이소류신-티아졸리디드, DPP728 및 LAF237, 저지혈증제, 예컨대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 조효소 A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예를 들어, 로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세리바스타틴, 메바스타틴, 벨로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달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 틴, 로수바스타틴, 플루인도스타틴 및 리바스타틴), 스쿠알렌 합성효소 억제제 또는 FXR (파르네소이드 X 수용체) 및 LXR (간 X 수용체) 리간드, 콜레스티라민, 피브레이트, 니코틴산 및 아스피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른 활성 성분과 동시에 또는 전후에, 동일하거나 상이한 투여 경로에 의해 개별적으로 또는 동일한 제약 제형으로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본원에 기재된 유리 형태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인 제1 작용제, 및 b) 하나 이상의 공-작용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합물, 예컨대 키트를 제공한다. 키트는 이의 투여에 대한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공-투여" 또는 "조합 투여" 등은 선택된 치료제를 1명의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며, 작용제가 반드시 동일한 투여 경로로 또는 동시에 투여되는 것은 아닌 치료 레지멘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제약 조합물"은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의 혼합 또는 조합으로부터 생성된 생성물을 의미하고, 활성 성분의 고정 및 비-고정 조합물 둘 다를 포함한다. 용어 "고정 조합물"은 활성 성분,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공-작용제가 둘 다 단일 물질 또는 단일 투여 형태로 동시에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비-고정 조합물"은 활성 성분,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공-작용제가 둘 다 개별 물질로서 동시에, 병행으로 또는 특정 시간 제한없이 순차적으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투여는 환자의 신체에 치료적으로 유효한 수준의 2종 화합물을 제공한다. 후자는 또한 칵테일 요법, 예를 들 어 3종 이상의 활성 성분의 투여에 적용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기술되는 반응에서, 반응성 관능기 (예를 들어, 히드록시, 아미노, 이미노, 티오 또는 카르복시기)가 최종 생성물에 요구되는 경우, 반응 중에 이의 원치않는 참여를 피하기 위해 이를 보호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통상적 보호기는 표준 지침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T.W. Greene and P.G.M. Wuts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John Wiley and Sons, 1991] 참조).
R2가 -C(O)OR5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서와 같이 진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03
상기 식에서, R1, R3 및 R5는 발명의 요약에서 화학식 I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디메틸-염화주석 등) 및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THF 등)의 존재 하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하였다. 반응은 0 내지 60℃의 온도에서 수행하였고, 20시간까지 행하여 완료하였다.
R2가 -XOR5 (X는 메틸렌임)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2에서와 같이 진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04
상기 식에서, R1, R3 및 R5는 발명의 요약에서 화학식 I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나트륨 히드라이드 등) 및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등)의 존재 하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하였다. 반응은 0 내지 90℃의 온도에서 수행하였고, 8시간까지 행하여 완료하였다.
R2가 -C(O)NR4R5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3에서와 같이 진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05
상기 식에서, R1, R3, R4 및 R5는 발명의 요약에서 화학식 I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등) 및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등)의 존재 하에서 화학식 5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하였다. 반응은 0 내지 50℃의 온도에서 수행하였고, 8시간까지 행하여 완료하였다.
R1이 메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4에서와 같이 진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06
상기 식에서, R1, R3 및 R5는 발명의 요약에서 화학식 I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등) 및 경우에 따라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에탄 등)의 존재 하에서 화학식 7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하였다. 반응은 5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수행하였고, 15시간까지 행하여 완료하였다.
R1이 메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5에서와 같이 진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07
상기 식에서, R1, R3, R4 및 R5는 발명의 요약에서 화학식 I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Q는 발명의 요약에서 R2의 정의에 따른 -OR5, -NR4R4, -NR4XOR4, -NR4XOR5, -NR4R5 및 -NR4XR5를 나타낸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등) 및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에탄 등)의 존재 하에서 화학식 8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하였다. 반응은 5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수행하였고, 15시간까지 행하여 완료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추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합물의 유리 염기 형태를 제약상 허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 산과 반응시켜, 제약상 허용되는 산 부가염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별법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기 부가염은 화합물의 유리 산 형태를 제약상 허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 염기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별법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 형태는 출발 물질 또는 중간체의 염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리 산 또는 유리 염기 형태는 각각 상응하는 염기 부가염 또는 산 부가염 형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 부가염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수산화암모늄 용액, 수산화나트륨 등)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유리 염기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염기 부가염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합한 산 (예를 들어, 염산 등)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유리 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비산화된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N-옥시드로부터 0 내지 80℃의 적합한 불활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에탄올, 수성 디옥산 등) 중 환원제 (예를 들어, 황, 이산화황, 트리페닐 포스핀, 리튬 보로히드라이드,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 삼염화인, 트리브로마이드 등)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전구약물 유도체는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세부사항에 대해 문헌 [Saulnier et al., (1994),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l.4, p.1985] 참조). 예를 들어, 적절한 전구약물은 본 발명의 비-유도체화 화합물을 적합한 카르바밀화제 (예를 들어, 1,1-아실옥시알킬카르바노클로리데이트, 파라-니트로페닐 카르보네이트 등)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는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보호기의 도입 및 이의 제거에 적용가능한 기법의 상세한 설명은 문헌 [T.W. Greene,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Chemistry", 3rd edition, John Wiley and Sons, Inc., 1999]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로서 편리하게 제조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방법 동안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수화물은 디옥신,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메탄올과 같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수성/유기 용매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합물의 라세미 혼합물을 광학적으로 활성인 분할제와 반응시켜 한 쌍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화합물을 형성하고,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분리하고, 광학적으로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를 회수함으로써 이의 개별적 입체이성질체로서 제조할 수 있다. 거울상이성질체의 분할을 본 발명의 화합물의 공유결합성 부분입체이성질체 유도체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경우, 분리가능한 착물 (예를 들어, 결정성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부분입체이성질체는 전혀 다른 물리적 특성 (예를 들어, 융점, 비등점, 용해도, 반응성 등)을 가지고, 상기 상이함을 이용하여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부분입체이성질체는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바람직하게는, 용해도 차이에 기재한 분리/분할 기법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광학적으로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는 라세미화를 야기하지 않는 임의의 실질적 수단에 의해 분할제와 함께 회수한다. 화합물의 라세미 혼합물로부터의 이의 입체이성질체의 분할에 적용가능한 기법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문헌 [Jean Jacques, Andre Collet, Samuel H. Wilen, "Enantiomers, Racemates and Resolutions", John Wiley And Sons, Inc., 1981]에서 발견될 수 있다.
요약하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a) 반응식 1, 2, 3, 4 또는 5의 단계; 및
(b)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 전환시키는 단계
(c)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 형태를 비-염 형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d)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의 비산화된 형태를 제약상 허용되는 N-옥시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e)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의 N-옥시드 형태를 이의 비산화된 형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f)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의 개별적 이성질체를 이성질체들의 혼합물로부터 분할하는 단계;
(g)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비-유도체화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전구약물 유도체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h)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전구약물 유도체를 이의 비-유도체화 형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출발 물질의 제조가 자세히 기술되지 않는다면,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당업계에 공지되거나 본원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과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당업계의 숙련자는 상기 변형이 단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대표적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익히 공지된 방법이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설명하는 하기 실시예로써 추가로 예시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08
실시예 A1. 3-(2,6-디클로로-페닐)-5-메틸-이속사졸-4-카르복실산 2-(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6082898016-PCT00009
단계 A: THF (50 mL) 중 에틸렌 글리콜 (0.62 g, 10 mmol)의 용액에 촉매량의 디메틸 염화주석(II) (5 몰%), K2CO3 (2.76 g, 20 mmol) 및 3-(2,6-디클로로-페닐)-5-메틸-이속사졸-4-카르보닐 클로라이드 1 (2.91 g, 10 mmol)을 실온에서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물 중에 주입하고 DCM (30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 조 2를 수득하였다.
단계 B: 3-(2,6-디클로로-페닐)-5-메틸-이속사졸-4-카르복실산 2-히드록시-에틸 에스테르 2 (25 mg, 0.079 mmol), 트리페닐포스핀 (31 mg, 0.119 mmol) 및 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놀 (19.6 mg, 0.095 mmol)을 DCM (1 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27.5 mg, 0.158 mmol)를 적가하고,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A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10
실시예 A2. 3-(2,6-디클로로-페닐)-5-메틸-이속사졸-4-카르복실산 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6082898016-PCT00011
단계 B의 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놀을 2,4-디클로로-페놀로 치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A1의 절차를 따라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12
Figure 112006082898016-PCT00013
실시예 B. 3-(2,6-디클로로-페닐)-5-메틸-4-[2-(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톡시메틸]-이속사졸.
Figure 112006082898016-PCT00014
단계 A: 무수 THF (100 mL) 중 이속사졸 3 (5.0 g, 18.4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LAH (THF 중의 1 M 용액 27.8 m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황산나트륨 십수화물을 THF (70 mL)와 함께 천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의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MeOH 구배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중간체 4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15
단계 B: [3-(2,6-디클로로-페닐)-5-메틸-이속사졸-4-일]-메탄올 4 (1.23 g, 4.8 mmol)를 DCM (35 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DCM (15 mL) 중에 용해된 티오닐 클로라이드 (0.42 mL, 5.72 mmol)를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CM/MeOH 구배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중간체 5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16
단계 C: 에틸렌 글리콜 (10 mL) 중 NaH (광유 중의 60% 분산액, 100 mg, 2.5 mmol)의 현탁액에 4-클로로메틸-3-(2,6-디클로로-페닐)-5-메틸-이속사졸 5 (0.20 g, 0.7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0.5 M HCl로 산성화시키고, H2O로 희석하고,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MeOH 구배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중간체 6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17
단계 D: 2-[3-(2,6-디클로로-페닐)-5-메틸-이속사졸-4-일메톡시]-에탄올 6 (50 mg, 0.17 mmol), 트리페닐포스핀 (66 mg, 0.25 mmol) 및 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놀 (42 mg, 0.20 mmol)을 DCM (2 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 다.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58 mg, 0.34 mmol)를 적가하고,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B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18
Figure 112006082898016-PCT00019
실시예 C. 3-(2,6-디클로로-페닐)-5-메틸-이속사졸-4-카르복실산 [2-(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틸]-아미드.
Figure 112006082898016-PCT00020
단계 A: 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놀 7 (0.5 g, 2.42 mmol) 및 (2-브 로모-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54 g, 2.42 mmol)를 MeCN 중에 용해시켰다. Cs2CO3 (1.58 g, 4.84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H2O로 희석하고,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CM/MeOH 구배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중간체 8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21
단계 B: [2-(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8 (0.81 g, 2.30 mmol)을 DCM (20 mL) 중의 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중에 용해시키고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수성 포화 K2CO3으로 희석하고,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황색 오일로서 중간체 9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22
단계 C: 2-(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틸아민 9 (0.25 g, 1.00 mmol) 및 3-(2,6-디클로로-페닐)-5-메틸-이속사졸-4-카르보닐 클로라이드 1 (0.30 g, 1.00 mmol)을 DCM (25 mL) 중에 용해시켰다. 트리에틸아민 (0.21 mL, 1.50 mmol)을 첨가하고, 용액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H2O로 3회 세척하고,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C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23
실시예 D. 3-(2,6-디클로로-페닐)-5-메틸-이속사졸-4-카르복실산 메틸-[2-(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틸]-아미드.
Figure 112006082898016-PCT00024
단계 D: 3-(2,6-디클로로-페닐)-5-메틸-이속사졸-4-카르복실산 [2-(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틸]-아미드 (실시예 C, 20 mg, 0.04 mmol)를 DMF (0.5 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나트륨 히드라이드 (광유 중의 60%, 2 mg, 0.05 mmol)를 첨가하고, 용액을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메틸 요오다이드 (6.5 μL, 0.0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O로 희석하고,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D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25
중간체 16: [3-클로로-4-(히드록시이미노-클로로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6082898016-PCT00026
단계 A: (3-클로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10 (20 g, 107 mmol)을 촉매량의 농축된 H2SO4 (2.5 mL)를 함유한 MeOH (250 mL)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밤새 환류로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H2O (3 x 2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연황색 고체로서 1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27
단계 B: DCM (160 mL) 중 (3-클로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1 (15.9 g, 79.3 mmol)과 트리에틸아민 (11.04 mL, 79.3 mmol)의 용액에 트리 플산 무수물 (13.33 mL, 79.3 mmol)을 0℃에서 2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EtOAc (300 mL)로 희석하고, NaHCO3, 염수 및 물로 연속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무색 오일로서 (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옥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2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28
단계 C: 무수 DMF (45 mL) 중 (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옥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2 (24.5 g, 73.6 mmol)의 용액을 아연 시아나이드 (8.91 g, 75.9 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8.50 g, 7.4 mmol)과 합하였다. 혼합물을 80℃에서 3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 (150 mL)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용액 (150 mL) 중에 주입하였다. 백색 침전물을 진공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의 유기 층을 분리하고, H2O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20% EtOAc/헥산을 사용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왁스-유사 고체로서 (3-클로로-4-시아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3을 얻었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29
단계 D: 88% 포름산 (100 mL) 중 (3-클로로-4-시아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3 (7.4 g, 35.3 mmol)의 용액을 래니 (Raney)-알로이 (9.0 g)와 합하고, 110℃에서 10시간 동안 환류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알로이를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초기 용적의 대략 10%가 되도록 농축시키고, EtOAc (250 mL)로 희석하고, 물 (80 mL)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EtOAc/헥산 구배를 사용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왁스-유사 고체로서 (3-클로로-4-포르밀-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4를 얻었다. 생성물 14의 또다른 양은 비누화된 부산물 (3-클로로-4-포르밀-페닐)-아세트산을 재에스테르화시켜 수집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30
단계 E: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45 g, 35.3 mmol)를 물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빙욕조 상에서 0℃로 냉각시켰다. NaHCO3 (4.44 g, 52.9 mmol)을 첨가하고, 용액을 20분 동안 0℃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MeOH (75 mL) 중에 용해된 (3-클로로-4-포르밀-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4 (5.00 g, 23.5 mmo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백색 침전물이 바로 형성되었다. 빙욕조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MeOH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생성물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 중간체 15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31
단계 F: [3-클로로-4-(히드록시이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5 (0.91 g, 4.0 mmol) 및 N-클로로숙신이미드 (0.53 g, 4.0 mmol)를 DMF (20 mL) 중에 용해시켰다. 촉매량의 HCl(기체)을 용액에 첨가한 후, 발열 반응이 일어났다.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후, 혼합물을 H2O로 희석하고, 에테르로 3회 추출하여 왁스-유사 고체로서 중간체 16을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바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32
실시예 E1 : (3-클로로-4-{5-메틸-4-[2-(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톡시메틸]-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033
단계 A: 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놀 7 (1.3 g, 6.3 mmol) 및 1,2-디브로모에탄 (2.71 mL, 31 mmol)을 MeCN 중에 용해시켰다. Cs2CO3 (4.1 g, 12.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H2O로 희석하고,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EtOAc 구배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중간체 17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34
단계 B: 1-(2-브로모-에톡시)-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17 (1.1 g, 3.5 mmol), 2-부틴-1-올 (0.53 mL, 7.0 mmol) 및 LiOH (0.6 g, 14.0 mmol)를 DMSO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H2O로 희석하고,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EtOAc 구배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중간체 18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35
단계 C: 1-(2-부트-2-이닐옥시-에톡시)-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18 (40 mg, 0.13 mmol) 및 클로록심 16 (35 mg, 0.13 mmol)을 트리에틸아민 (50 μL, 0.36 mmol)과 함께 DCE (1 mL) 중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90℃에서 10시간 동 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2개의 위치이성질체 혼합물의 일부로서 조 (3-클로로-4-{5-메틸-4-[2-(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톡시메틸]-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9를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36
단계 D: 조 (3-클로로-4-{5-메틸-4-[2-(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톡시메틸]-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9를 THF (1 mL) 중에 용해시키고, H2O 중의 1 M LiOH 용액 (0.2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 M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 (10 mL)를 첨가하고, 유기 층을 H2O (3 x 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E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37
실시예 E2 : {3-클로로-4-[5-메틸-4-(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메틸)-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038
단계 A: 2-부틴-1-올 (1.4 g, 20 mmol)을 에테르 (50 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트리에틸아민 (3.3 mL, 24 mmol)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6 mL, 22 mmol)를 에테르 (5 mL) 중에 용해시키고, 반응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고, 농축시켜 무색 액체로서 조 메탄술폰산 부트-2-이닐 에스테르 20 (2.96 g, 20 mmol, 정량)을 얻었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39
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놀 7 (4.1 g, 20 mmol) 및 메탄술폰산 부트-2-이닐 에스테르 20 (3.0 g, 20 mmol)을 MeCN 중에 용해시켰다. Cs2CO3 (13.0 g, 40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H2O로 희석하고,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 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EtOAc 구배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1-부트-2-이닐옥시-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2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40
단계 B: 1-부트-2-이닐옥시-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21 (34 mg, 0.13 mmol) 및 클로록심 16 (35 mg, 0.13 mmol)을 트리에틸아민 (25 μL, 0.18 mmol)과 함께 DCE (1 mL) 중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90℃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2개의 위치이성질체 혼합물의 일부로서 조 {3-클로로-4-[5-메틸-4-(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메틸)-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22를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41
단계 C: 조 {3-클로로-4-[5-메틸-4-(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메틸)-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22를 THF (1 mL) 중에 용해시키고, H2O 중의 1 M LiOH 용액 (0.2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 M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 (10 mL)를 첨가하고, 유기 층을 H2O (3 x 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 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E2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42
중간체 26: [3-클로로-4-(4-클로로카르보닐-5-메틸-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6082898016-PCT00043
단계 A: tert-부틸 아세토아세테이트 (5.0 g, 32 mmol)를 에테르 (100 mL) 중에 용해시켰다. 칼륨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5.7 g, 29 mmol)를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헥산으로 연마처리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조 칼륨 엔올레이트 23 (4.6 g, 23 mmol, 81%)을 수득하였다. 엔올레이트 23 (1.0 g, 5.0 mmol)을 MeCN (50 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MeCN (10 mL) 중에 용해된 중간체 16 (1.1 g, 4.2 mmol)을 적가하고, 용액을 2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 을 헥산/EtOAc 구배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3-(2-클로로-4-메톡시카르보닐메틸-페닐)-5-메틸-이속사졸-4-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4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44
단계 B: 3-(2-클로로-4-메톡시카르보닐메틸-페닐)-5-메틸-이속사졸-4-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4 (1.0 g, 2.7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고진공 상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3-(2-클로로-4-메톡시카르보닐메틸-페닐)-5-메틸-이속사졸-4-카르복실산 25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45
단계 C: 3-(2-클로로-4-메톡시카르보닐메틸-페닐)-5-메틸-이속사졸-4-카르복실산 25 (0.6 g, 1.9 mmol) 및 티오닐 클로라이드 (155 μL, 2.1 mmol)를 톨루엔 (25 mL) 중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10시간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트리에틸아민 (600 μL, 3.8 mmol)을 적가하였다. 조 [3-클로로-4-(4-클로로카르보닐-5-메틸-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26을 함유하는 생성된 용액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46
실시예 F1: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메틸-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047
단계 A: 2,4-디클로로-페놀 27 (2.0 g, 12.3 mmol) 및 (2-브로모-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75 g, 12.3 mmol)를 MeCN (40 mL) 중에 용해시켰다. Cs2CO3 (8.0 g, 24.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H2O로 희석하고,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CM/MeOH 구배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중간체 28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48
단계 B: [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8 (0.81 g, 2.30 mmol)을 DCM (20 mL) 중의 60%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중에 용해시키고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수성 포화 K2CO3으로 희석하고,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 중간체 29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49
단계 C: 톨루엔 (2 mL) 중 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아민 29 (17 mg, 0.08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MeCN (1 mL) 중 중간체 26 (0.08 mmol)과 트리에틸아민 (23 μL, 0.16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혼합물을 H2O 중에 주입하고,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메틸-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30을 수득하였다.
단계 D: 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메틸-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30을 THF (2 mL) 중에 용해시켰다. H2O 중의 1 M LiOH 용액 (0.2 mL) 및 MeOH (25 μ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 M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 (10 mL)를 첨가하고, 유기 층을 H2O (3 x 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F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50
실시예 F2: (3-클로로-4-{5-메틸-4-[2-(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051
단계 C의 중간체 29를 중간체 9로 치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F1의 절차를 따라 표제 화합물 F2를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52
중간체 33. 2-(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틸아민.
Figure 112006082898016-PCT00053
단계 A: (2-히드록시-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2 mL, 1.29 mmol)를 무수 디메틸-아세트아미드 3 mL 중에 용해시켰다. 2-칼륨-1,1,1,3,3,3-헥사메틸-디실라잔 (0.52 g, 2.6 mmol, 2 당량)을 첨가하고, 이어서 1-브로모-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31 (0.26 mL, 1.5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 물을 질소 하에서 18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 50 mL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 (3 x 5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및 10% 수성 시트르산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중의 5% → 25% 에틸 아세테이트)로 무색 유동성 오일로서 [2-(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2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54
단계 B: 상기 단계 A로부터의 [2-(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2 (0.23 g, 0.62 mmol)를 DCM (4 mL)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 mL) 중에 용해시켰다. 1시간 후, 반응을 LCMS에 의해 완료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수성 포화 K2CO3으로 희석하고,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오일로서 중간체 33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55
실시예 F3: (4-{4-[2-(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메틸-이속사졸-3-일}-3-클로로-페닐)-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056
단계 C의 중간체 29를 중간체 33으로 치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F1의 절차를 따라 표제 화합물 F3을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57
실시예 G1 :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058
단계 A: 톨루엔 (1.5 mL) 중 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아민 29 (412 mg, 2.0 mmol)의 용액에 에틸 벤조일아세테이트 34 (384 mg, 2.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극초단파로 10분 동안 160℃로 가열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N-[2-(2,4-디클로로 -페녹시)-에틸]-3-옥소-3-페닐-프로피온아미드 35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59
단계 B: N-[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3-옥소-3-페닐-프로피온아미드 35 (300 mg, 0.85 mmol)를 CH3CN (5 mL) 중에 용해시켰다. 칼륨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170 mg, 0.85 mmol)를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CH3CN (4 mL) 중 중간체 16 (0.71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농축시켜 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36을 수득하였다.
단계 C: 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36 (0.85 mmol)을 THF (5 mL) 중에 용해시켰다. H2O 중의 1 M LiOH 용액 (2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 M HCl (3 mL)로 산성화시키고, DCM (50 mL)을 첨가하고, 유기 층을 H2O (3 x 3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G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60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에 기술된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표 1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획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61
Figure 112006082898016-PCT00062
Figure 112006082898016-PCT00063
Figure 112006082898016-PCT00064
Figure 112006082898016-PCT00065
Figure 112006082898016-PCT00066
Figure 112006082898016-PCT00067
실시예 H1 :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메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068
단계 A: DMF (1.5 mL) 중 실시예 G1 (50 mg, 0.092 mmol)의 용액에 NaH (60% 분산액, 7.4 mg, 0.18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0℃에서 교반한 다음, MeI (10 uL, 0.1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메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H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69
실시예 H2 :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톡시메틸]-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070
단계 A: 3-페닐-프로프-2-인-1-올 37 (3.0 g, 22.7 mmol)을 DCM (50 mL)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0℃로 냉각시킨 다음,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4.5 mL, 34.1 mmol) 및 트리에틸아민 (4.7 mL, 34.1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H2O (2 x 3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맑은 오일로서 조 메탄술폰산 3-페닐-프로프-2-이닐 에스테르 38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71
단계 B: 나트륨 히드라이드 (60% 분산액, 250 mg, 17.4 mmol)를 에틸렌 글리콜 (10 mL) 중에 현탁시키고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에 메실레이트 38 (1.0 g, 4.8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10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DCM (120 mL)으로 희석하고, H2O (2 x 6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DCM/MeOH 구배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중간체 39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72
단계 C: 중간체 39 (0.30 g, 1.7 mmol), 2,4-디클로로페놀 27 (0.33 g, 2.0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0.89 g, 3.4 mmol)을 DCM (25 mL) 중에 용해시켰다.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0.61 mL, 2.6 mmol)를 첨가하고, 용액을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조 혼합물을 DCM/MeOH 구배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오일로서 중간체 4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73
단계 D: 중간체 26 (0.20 g, 0.75 mmol)을 DCE (5 mL) 중에 용해시켰다. 트리에틸아민 (125 μL, 0.9 mmol)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중간체 40 (0.24 g, 0.7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 (위치이성질체들의 혼합물로서의 조 중간체 41)을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E: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톡시메틸]-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41 (0.75 mmol)을 THF (5 mL) 중에 용해시켰다. H2O 중의 1 M LiOH 용액 (3.5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 M HCl (3 mL)로 산성화시키고, DCM (50 mL)을 첨가하고, 유기 층을 H2O (2 x 3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H2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74
실시예 H3 : (3-클로로-4-{4-[4-(2,4-디클로로-페녹시)-부티릴]-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075
단계 A: 에틸-4-브로모부티레이트 42 (1.0 g, 5.1 mmol) 및 2,4-디클로로페놀 27 (0.84 g, 5.1 mmol)을 MeCN (50 mL) 중에 용해시켰다. Cs2CO3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7시간 동안 5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H2O로 희석하고,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오일로서 중간체 43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76
단계 B: 나트륨 히드라이드 (60% 분산액, 560 mg, 14 mmol)를 디옥산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격렬하게 교반되는 용액에 아세토페논 (0.54 mL, 4.7 mmol)을 적가하고, 디옥산 (10 mL) 중에 용해된 중간체 43 (1.29 g, 4.7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로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냉 0.5 M HCl 용액 (100 mL) 중에 주입하였다. EtOAc (200 mL)를 첨가하고, 유기 층을 H2O 및 염수 (2 x 1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헥산/EtOAc 구배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오일로서 중간체 44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77
단계 C: 중간체 44 (0.20 g, 0.57 mmol)를 MeCN (5 mL) 중에 용해시켰다. 칼륨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270 mg, 1.36 mmol)를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CH3CN (4 mL) 중 중간체 16 (0.71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농축시켜 위치이성질체들의 혼합물로서 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45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78
단계 D: 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45를 THF (5 mL) 중에 용해시켰다. H2O 중의 1 M LiOH 용액 (3.5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 M HCl (3 mL)로 산성화시키고, DCM (50 mL)을 첨가하고, 유기 층을 H2O (2 x 3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H2 (부차적 이성질체)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79
실시예 I1 : (5-{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080
단계 A: 3-브로모페닐 아세트산 45 (1.17 g, 5.44 mmol)를 촉매량의 농축된 H2SO4 (0.2 mL)를 함유한 MeOH (15 mL)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밤새 환류로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물 및 포화 수성 NaHCO3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오일로서 메틸 에스테르 46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81
단계 B: 무수 디메틸-아세트아미드 (5 mL) 중 (3-브로모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46 (1.20 g, 5.28 mmol)의 용액에 아연 시아나이드 (0.78 g, 6.64 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63 g, 0.55 mmol)을 아르곤 하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EtOAc (15 mL) 및 물 (2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진공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의 유기 층을 분리하고, H2O로 세척한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 → 20% EtOAc/헥산)로 정제하여 오일로서 (3-시아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47을 얻었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82
단계 C: 88% 포름산 (6 mL) 중 (3-시아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47 (0.86 g, 4.9 mmol)의 용액을 래니 니켈 알로이 (0.48 g)와 합하고, 110℃에서 24시간 동안 환류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알로이를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초기 용적의 대략 10%가 되도록 농축시키고, EtOAc (50 mL)로 희석하고, 물 (20 mL)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EtOAc/헥산 구배를 사용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오일로서 (3-포르밀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48을 얻었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83
단계 D: (3-포르밀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48 (0.28 g, 1.6 mmol)을 디메톡시-에탄 (5 mL) 중에 용해시켰다. 히드록시-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11 g, 1.58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0.3 mL, 1.7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 옥심 49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84
단계 E: [3-(히드록시이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49 (0.3 g, 1.6 mmol) 및 N-클로로숙신이미드 (0.27 g, 2.0 mmol)를 DME (4 mL) 중에 용해시켰다. 촉매량의 HCl (디옥산 중의 4 M 용액)을 용액에 첨가한 후, 발열 반응이 일어났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H2O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여 원액이 DME로 제공된 반고체로서 중간체 5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85
단계 F: DME (4 mL) 중 N-[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3-옥소-3-페닐-프로피온아미드 35 (0.11 g, 0.3 mmol)의 용액을 -20℃로 냉각시켰다. 칼륨 t-부톡시드 (THF 중의 1.0 M 용액 0.6 mL)를 첨가하고, 용액을 -20℃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중간체 50 (0.07 g, 0.3 mmol)을 DME 1 mL 중의 용액으로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혼합물을 H2O 중에 주입하고,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51을 수득하였다.
단계 G: 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51을 DME (2 mL) 중에 용해시켰다. H2O 중의 1 M LiOH 용액 (0.2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킨 다음 1 M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 (10 mL)로 추출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I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86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에 기술된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표 2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획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87
Figure 112006082898016-PCT00088
Figure 112006082898016-PCT00089
Figure 112006082898016-PCT00090
Figure 112006082898016-PCT00091
Figure 112006082898016-PCT00092
Figure 112006082898016-PCT00093
Figure 112006082898016-PCT00094
Figure 112006082898016-PCT00095
실시예 I29 : (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096
중간체 45 대신 4-브로모페닐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I1의 절차를 따라 표제 화합물 I29를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97
실시예 I30 : (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2-메틸-페녹시)-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098
단계 A: 4-히드록시-3-메틸-벤즈알데히드 52 (0.50 g, 3.67 mmol)를 아세토니트릴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탄산세슘 (2.07 g, 6.35 mmol) 및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 (0.40 mL, 4.35 mmol)를 첨가하고, 현탁액을 밤새 실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1 N 수성 HCl 중에 주입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4-포르밀-2-메틸-페녹시)-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53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099
단계 B: (4-포르밀-2-메틸-페녹시)-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53 (0.8 g, 3.6 mmol)을 디메톡시-에탄 (5 mL) 중에 용해시켰다. 히드록시-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47 g, 6.8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1.4 mL, 8.5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 옥심 54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00
단계 C: [4-(히드록시이미노-메틸)-2-메틸-페녹시]-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54 (0.05 g, 0.22 mmol) 및 N-클로로숙신이미드 (0.025 g, 0.19 mmol)를 DME (2 mL) 중에 용해시켰다. 촉매량의 HCl (디옥산 중의 4 M 용액)을 용액에 첨가한 후, 발열 반응이 일어났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H2O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여 중간체 55를 수득하였고; 조 물질을 DME 1 mL 중에 용해시키고, 이 자체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01
단계 D: DME (1 mL) 중 N-[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3-옥소-3-페닐-프로피온아미드 35 (0.04 g, 0.12 mmol)의 용액을 -20℃로 냉각시켰다. 칼륨 t-부톡시드 (THF 중의 1.0 M 용액 0.2 mL)를 첨가하고, 용액을 -2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단계 C에서 제조된 중간체 55를 DME 1 mL 중의 용액으로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혼합물을 물 중에 주입하고,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2-메틸-페녹시)-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02
단계 E: 조 (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2-메틸-페녹시)-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DME (1 mL) 중에 용해시켰다. H2O 중의 1 M LiOH 용액 (0.2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킨 다음 1 M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 (10 mL)로 추출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I3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03
실시예 I31 : (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녹시)-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104
상기 실시예 I29에 대한 것과 유사한 절차를 따라 표제 화합물 I31을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05
실시예 I32 : (5-{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2-메톡시-페닐)-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106
단계 A에서 적절한 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I30의 절차를 따라 표제 화합물 I32를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07
실시예 I33 : 3-(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프로피온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108
단계 A에서 적절한 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I1의 절차를 따라 표제 화합물 I33을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09
실시예 I34 : 3-(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프로피온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110
단계 A에서 적절한 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I1의 절차를 따라 표제 화합물 I34를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11
실시예 J1 :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3-페닐-이속사졸-5-일}-페닐)-아세트산.
Figure 112006082898016-PCT00112
단계 A: 플레임-건조된 플라스크를 무수 DCM (10 mL) 중 tert-부틸-디아조아세테이트 (0.62 mL, 4.48 mmol)와 무수 염화주석(II) (168 mg, 0.88 mmol)으로 충전시켰다. (3-클로로-4-포르밀-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4 (500 mg, 2.35 mmol)를 DCM (5 mL) 중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염수 (50 mL) 중에 주입하고, 에테르 (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3-(2-클로로-4-메톡시카르보닐메틸-페닐)-3-옥소-프로피온산 tert-부틸 에스테르 56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13
단계 B: 벤즈알독심 57 (0.50 g, 4.1 mmol) 및 N-클로로숙신이미드 (0.55 g, 4.1 mmol)를 MeCN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왁스-유사 고체로서 벤질 클로록심 58 (0.64 g, 4.1 mmol, 정량)을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바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14
단계 C: 중간체 56 (115 mg, 0.35 mmol)을 MeCN (3 mL) 중에 용해시켰다. 칼륨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106 mg, 0.53 mmol)를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CH3CN (1 mL) 중 중간체 58 (55 mg, 0.35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H2O (5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 (3 x 10 mL)으로 추출하였다. 농축시킨 후, 조 생성물을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5-(2-클로로-4-메톡시카르보닐메틸-페닐)-3-페닐-이속사졸-4-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59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15
단계 D: 5-(2-클로로-4-메톡시카르보닐메틸-페닐)-3-페닐-이속사졸-4-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59 (25 mg, 0.06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 mL) 중에 용해시키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고진공 상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5-(2-클로로-4-메톡시카르보닐메틸-페닐)-3-페닐-이속사졸-4-카르복실산 6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16
단계 E: 5-(2-클로로-4-메톡시카르보닐메틸-페닐)-3-페닐-이속사졸-4-카르복실산 60 (22 mg, 0.06 mmol) 및 티오닐 클로라이드 (5 μL, 0.07 mmol)를 톨루엔 (0.8 mL) 중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3시간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트리에틸아민 (35 μL, 0.25 mmol)을 적가하였다. 조 [3-클로로-4-(4-클로로카르보닐-3-페닐-이속사졸-5-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61을 함유한 생성된 용액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17
단계 F: 톨루엔 (0.2 mL) 중 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아민 29 (19 mg, 0.09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상기 중간체 61 (0.06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혼합물을 H2O 중에 주입하고,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3-페닐-이속사졸-5-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62를 수득하였다.
단계 G: 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3-페닐-이속사졸-5-일}-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62를 THF (2 mL) 중에 용해시켰다. H2O 중의 1 M LiOH 용액 (0.6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 M HCl로 산성화시키고, DCM (10 mL)을 첨가하고, 유기 층을 H2O (3 x 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역상 HPLC (H2O/MeCN 구배) 상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J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82898016-PCT00118
[전사 분석법]
형질감염 분석법이 PPAR의 전사 활성을 조절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요약하면, PPARδ, PPARα 또는 PPARγ의 리간드-결합 도메인 (LBD)에 융합된 효모 GAL4의 DNA 결합 도메인을 함유하는 키메릭 단백질 (chimeric protein)에 대한 발현 벡터는 루시페라제 유전자가 GAL4 결합 위치의 지배 하에 있는 리포터 플라스미드와 함께 포유류 세포 안에서의 일시적 형질감염을 통해 도입된다. PPAR 조절제에의 노출로 PPAR 전사 활성이 변하며, 이는 루시페라제 수준의 변화로써 모니터링될 수 있다. 형질감염된 세포가 PPAR 효능제에 노출되는 경우, PPAR-의존 전사 활성은 증가하고 루시페라제 수준은 상승한다.
293T 인간 배아 신장 세포 (8 x 106)를 실험 시작 하루 전에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펀기좀, DMEM 배지가 있는 175 cm2 플라스크 안에 분산시켰다. 세포를 PBS (30 ml)로 헹구어 수거한 다음, 트립신 (0.05%; 3 ml)을 사용하여 해리시켰다. 분석 배지 (DMEM, CA-덱스트란 태아 소 혈청 (5%))를 첨가하여 트립신을 불활성화시켰다. 세포를 스핀 다운시키고, 170,000 세포/ml로 재현탁시켰다. GAL4-PPAR LBD 발현 플라스미드의 형질감염 혼합물 (1 μg), UAS-루시페라제 리포터 플라스미드 (1 μg), 푸겐 (Fugene) (3:1 비; 6 μL) 및 혈청-무함유 배지 (200 μL)를 제조하고, 실온에서 15 내지 4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형질감염 혼합물을 세포에 첨가하여 0.16 M 세포/mL를 얻은 다음, 세포 (50 μl/웰)를 TC-처리된 384 백색 견고-바닥 플레이트 안에 플레이팅시켰다. 세포를 5 내지 7시간 동안 37℃ 및 5.0% CO2에서 추가로 인큐베이션시켰다. 12-포인트 계열 희석액 (3배 계열 희석액)을 10 μM의 출발 화합물 농도로 DMSO 중 각각의 시험 화합물에 대해 제조하였다. 시험 화합물 (500 nl)을 분석 플레이트 안의 세포의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세포를 18 내지 24시간 동안 37℃ 및 5.0% CO2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세포 용해/루시페라제 분석 완충액인 상표명 브라이트-글로 (Bright-GloTM) (25%; 25 μl; 프로메가 (Promega) 제품)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5분 동안 추가로 인큐베이션시킨 후, 루시페라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원 발광 값은 각각의 플레이트 상에 나타난 DMSO 대조값으로 이를 나눔으로써 정규화된다. 정규화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용량-반응 곡선을 프리즘 (Prizm) 그래프 적합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적합화시켰다. EC50은 화합물이 반응을 유도하는 지점에서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중간인 농도로서 정의된다. 상대적 효능도 (또는 효능도%)는 화합물에 의해 유도되는 반응을 기준용 PPAR 조절제에 대해 획득된 최대값과 비교함으로써 계산된다.
유리 형태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형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험관 내 시험에 의해 제시된 바와 같은 중요한 약리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PPAR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μ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00 n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0 nM 미만의 EC50을 가진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PPARγ보다 PPARδ에 대해 적어도 100배 선택적이다.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및 실시양태는 단지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이에 비추어 다양한 변형 또는 변화는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제시될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 범위의 취지 및 전영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모든 목적을 위해 참고로 도입되어 있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또는 전구약물.
    <화학식 I>
    Figure 112006082898016-PCT00119
    상기 식에서,
    R1은 C1 - 6알킬, C3 - 12시클로알킬,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1의 임의의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된-C1 - 6알킬, 할로-치환된-C1 - 6알콕시, -XC(O)YR5 및 -XYC(O)R5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X는 결합 또는 C1 - 4알킬렌이고, Y는 결합, O, S 및 NR6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C1 - 6알킬, C3 - 12시클로알킬,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수소, C1 - 6알킬, C3 - 12시클로알킬,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2는 -XOXOR5, -XOR5, -C(O)OR5, -C(O)NR4R4, -C(O)NR4XOR4, -C(O)OXOR5, -C(O)XOR5, -C(O)NR4XOR5, -C(O)NR4R5 및 -C(O)NR4XR5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X는 결합 또는 C1 - 4알킬렌이고, R4는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5는 C1 - 6알킬, C3 - 12시클로알킬,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또는 C5-10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여기서, R2의 임의의 알킬렌기는 할로, C1 - 6알킬 및 페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R2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된-C1 - 6알킬 및 할로-치환된-C1 - 6알콕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고;
    R3은 C3 - 12시클로알킬,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3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된-C1 - 6알킬, 할로-치환된-C1-6알콕시, -XOXC(O)OR5, -XC(O)OR5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X는 결합 및 C1 - 4알킬렌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5는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C1 - 6알킬, C3 - 12시클로알킬, C5 - 10헤테로아릴 및 C6-10아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1의 임의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할로, 니트로,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된-C1-6알킬 및 -XC(O)OR5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X는 결합 또는 C1-4알킬렌이고, R5는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2가 -XOXOR5, -XOR5, -C(O)NR4XOR4, -C(O)NR4XOR5, -C(O)OXOR5, -C(O)XOR5, -C(O)NR4R4, -C(O)NR4R5 및 -C(O)NR4XR5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X는 결합 또는 C1 - 4알킬렌이고, R4는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5는 C3 - 12시클로알킬,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C6 - 10아릴 및 C5 - 10헤테로아릴이거나, 또는 R4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 또는 C5 - 10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여기 서, R2의 임의의 알킬렌기는 C1 - 6알킬 및 페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R2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은 할로, 니트로, C1 - 6알킬, C1 - 6알콕시, 할로-치환된-C1 - 6알킬 및 할로-치환된-C1 - 6알콕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고;
    R3이 할로, C1 - 6알킬, C1 - 6알콕시, -OXC(O)OR5 및 -XC(O)OR5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된 C6 - 10아릴이고; 여기서, X는 결합 또는 C1-4알킬렌이고, R5는 수소 및 C1 - 6알킬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1이 할로, 메틸, 니트로, 메톡시, 카르복시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2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된, 메틸, 에틸, t-부틸, 프로필, 시클로프로필, 이소프로필, 피리디닐, 푸라닐, 티에닐 및 페닐로부터 선택되고;
    R2가 -C(O)NHR4, -C(O)NHR5, -C(O)N(CH3)CH2R5, -CH2O(CH2)2OR5, -CH2OR5, -C(O)NH(CH2)2OR5, -C(O)O(CH2)2OR5, -C(O)(CH2)3OR5, -C(O)NH(CH2)1-3R5, -C(O)NH(CH2)2OR4 및 -C(O)N(CH3)(CH2)2OR5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4는 메틸 및 부 틸로부터 선택되고, R5는 페닐, 시클로펜틸, 푸라닐, 피리디닐 및 나프틸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을 형성하고; 여기서, R2의 임의의 알킬렌기는 메틸 및 페닐로부터 선택되는 1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R2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은 할로, 니트로,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및 메톡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되고;
    R3이 할로, 메틸, 메톡시, -OCH2C(O)OH, -(CH2)2C(O)OH 및 -CH2C(O)OH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화학식 Ia>
    Figure 112006082898016-PCT00120
    상기 식에서,
    q, m 및 n은 0, 1 및 2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0, R11 및 R12는 각각 할로, C1 - 6알킬, 니트로, C1 - 6알콕시 및 할로-치환된-C1 -6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5. 제4항에 있어서, (5-{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p-톨릴-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플루오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니트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5-(2-클로로-페닐)-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5-(4-클로로-페닐)-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2-메톡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3-메톡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메톡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3-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클로로-4-[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p-톨릴-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플루오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니트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5-(2-클로로-페닐)-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5-(3-클로로-페닐)-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5-(4-클로로-페닐)-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2-메톡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3-메톡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메톡시-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o-톨릴-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 및 (3-{4-[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카르바모일]-5-m-톨릴-이속사졸-3-일}-페닐)-아세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 합물.
  6. 치료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른 화합물을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PPARδ 활성의 조절로 질환의 병리 및/또는 증상을 예방, 억제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동물에서의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질환 또는 장애가 이상지혈증,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맥경화증, 동맥경화발생, 고트리글리세리드혈증, 심부전, 심근경색증,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고혈압, 비만증, 악액질, 염증, 관절염, 암, 식욕부진, 신경성 식욕부진, 거식증, 알츠하이머병, 피부 장애, 호흡기 질환, 안과 장애, 과민성 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1형 당뇨병, 2형 당뇨병 및 X 증후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질환 또는 장애가 HIV 소모성 증후군, 치명적 장기 질병, 감소된 근육량 및/또는 근력, 감소된 제지방량, 노년층에서의 근력 및 근기능 유지, 축소된 근지구력 및 근기능, 및 노년층에서의 허약함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9. PPARδ 활성이 질환의 병리 및/또는 증상의 원인인 동물에서의 질환 치료용 약제 제조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0. 치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1. 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2) a) 항-당뇨병제, 예컨대 인슐린, 인슐린 유도체 및 의사체; 인슐린 분비촉진제, 예컨대 술포닐우레아 (예를 들어, 글리피지드, 글리부리드 및 아마릴); 인슐린자극 술포닐우레아 수용체 리간드, 예컨대 메글리티니드 (예를 들어, 나테글리니드 및 레파글리니드); 인슐린 감작제, 예컨대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제-1B (PTP-1B) 억제제 (예를 들어, PTP-112); GSK3 (글리코겐 합성효소 키나제-3) 억제제, 예컨대 SB-517955, SB-4195052, SB-216763, NN-57-05441 및 NN-57-05445; RXR 리간드, 예컨대 GW-0791 및 AGN-194204; 나트륨-의존성 글루코스 공동-수송체 억제제, 예컨대 T-1095;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제 A 억제제, 예컨대 BAY R3401; 비구아니드, 예컨대 메트포르민;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예컨대 아카르보스; GLP-1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GLP-1 유사체 (예를 들어, 엑센딘-4) 및 GLP-1 의사체; 디펩티딜 펩티다제 IV 억제제, 예컨대 DPP728, 빌다글립틴, MK-0431, 삭사글립틴, GSK23A; AGE 파쇄제; 티아졸리돈 유도체 (글리타존), 예컨대 피오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 또는 (R)-1-{4-[5-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사졸-4-일메톡시]-벤젠술포닐}-2,3-디히드로-1H-인돌-2-카르복실산, 비-글리타존 유형 PPARγ 효능 제, 예컨대 GI-262570;
    b) 저지혈증제, 예컨대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 조효소 A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예를 들어, 로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세리바스타틴, 메바스타틴, 벨로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달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및 리바스타틴); 스쿠알렌 합성효소 억제제; FXR (파르네소이드 X 수용체) 및 LXR (간 X 수용체) 리간드; 콜레스티라민; 피브레이트; 니코틴산 및 아스피린;
    c) 항-비만증제 또는 식욕조절제, 예컨대 펜테르민, 렙틴, 브로모크립틴, 덱삼페타민, 암페타민, 펜플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시부트라민, 오를리스타트, 마진돌,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 플루옥세틴, 부프로피온, 토피라메이트, 벤즈페타민, 페닐프로판올아민 또는 에코피팜, 에페드린, 슈도에페드린 또는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길항제;
    d) 항-고혈압제, 예컨대 루프성 이뇨제 (예를 들어, 에타크린산, 푸로세미드 및 토르세미드); 이뇨제, 예컨대 티아자이드 유도체, 클로리티아자이드, 히드로클로로티아자이드, 아밀로라이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ACE) 억제제, 예컨대 베나제프릴, 캅토프릴, 에날라프릴, 포시노프릴, 리시노프릴, 모엑시프릴, 페리노도프릴, 퀴나프릴, 라미프릴 및 트란돌라프릴; Na-K-ATPase 막 펌프의 억제제, 예컨대 디곡신; 뉴트랄렌도펩티다제 (NEP) 억제제, 예컨대 티오르판, 테르테오-티오르판, SQ29072; ECE 억제제, 예컨대 SLV306; ACE/NEP 억제제, 예컨대 오마파트릴라트, 삼파트릴라트 및 파시도트릴; 안지오텐신 II 길항제, 예컨대 칸데사르탄, 에프로사르 탄, 이르베사르탄, 로사르탄, 텔미사르탄 및 발사르탄, 특히 발사르탄; 레닌 억제제, 예컨대 알리스키렌, 테를라키렌, 디테키렌, RO-66-1132, RO-66-1168; β-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차단제, 예컨대 아세부톨롤, 아테놀롤, 베탁솔롤, 비소프롤롤, 메토프롤롤, 나돌롤, 프로프라놀롤, 소탈롤 및 티몰롤; 수축 촉진제, 예컨대 디곡신, 도부타민 및 밀리논; 칼슘 통로 차단제, 예컨대 암로디핀, 베프리딜, 딜티아젬, 펠로디핀, 니카르디핀, 니모디핀, 니페디핀, 니솔디핀 및 베라파밀; 알도스테론 수용체 길항제; 및 알도스테론 합성효소 억제제;
    e) HDL 증가시키는 화합물;
    f) 콜레스테롤 흡수 조절제, 예컨대 제티아® 및 KT6-971;
    g) 아포-A1 유사체 및 의사체;
    h) 트롬빈 억제제, 예컨대 자이멜라가트란;
    i) 알도스테론 억제제, 예컨대 아나스트라졸, 파드라졸, 에플레레논;
    j) 혈소판 응집 억제제, 예컨대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비술페이트;
    k)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선택적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제;
    l) 화학치료제, 예컨대 아로마타제 억제제 (예를 들어, 페마라), 항-에스트로겐, 토포이소머라제 I 억제제, 토포이소머라제 II 억제제, 미세관 활성제, 알킬화제, 항암성 대사억제제, 플라틴 화합물, 단백질 키나제 활성을 감소시키는 화합물 (예를 들어, PDGF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바람직하게는 이마티닙 또는 4-메틸-N-[3-(4-메틸-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4-피리딘-3-일- 피리미딘-2-일아미노)-벤즈아미드; 및
    m) 5-HT3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제 및/또는 5-HT4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제, 예컨대 테가세로드, 테가세로드 히드로겐 말레에이트, 시사프리드, 실란세트론
    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 또는 각각의 경우에서의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경우에 따라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를 포함하는 제약 조합물, 특히 제약 조성물.
  12. 이상지혈증,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맥경화증, 고트리글리세리드혈증, 심부전, 심근경색증,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고혈압, 비만증, 염증, 관절염, 암, 알츠하이머병, 피부 장애, 호흡기 질환, 안과 장애, 염증성 장 질환, IBD (과민성 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손상된 내당력, 고혈당증 및 인슐린 내성과 관련된 상태 (예컨대 1형 및 2형 당뇨병), 당대사 장애 (IGM), 내당력 장애 (IGT), 공복혈당 장애 (IFG) 및 X 증후군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제10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 또는 제11항에 따른 제약 조합물.
  13. 약제로서 유용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10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 또는 제11항에 따른 제약 조합물.
  14. 이상지혈증,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맥경화증, 고트리글리세리드혈 증, 심부전, 심근경색증,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고혈압, 비만증, 염증, 관절염, 암, 알츠하이머병, 피부 장애, 호흡기 질환, 안과 장애, 염증성 장 질환, IBD (과민성 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손상된 내당력, 고혈당증 및 인슐린 내성과 관련된 상태 (예컨대 1형 및 2형 당뇨병), 당대사 장애 (IGM), 내당력 장애 (IGT), 공복혈당 장애 (IFG) 및 X 증후군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제조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10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 또는 제11항에 따른 제약 조합물의 용도.
KR1020067023769A 2004-05-14 2005-05-12 Ppar 조절제로서의 화합물 및 조성물 KR200700349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100304P 2004-05-14 2004-05-14
US60/571,003 2004-05-14
PCT/US2005/016672 WO2005113519A1 (en) 2004-05-14 2005-05-12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ppar modula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993A true KR20070034993A (ko) 2007-03-29

Family

ID=3542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769A KR20070034993A (ko) 2004-05-14 2005-05-12 Ppar 조절제로서의 화합물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820705B2 (ko)
EP (1) EP1745027A4 (ko)
JP (1) JP2007537286A (ko)
KR (1) KR20070034993A (ko)
CN (1) CN1984894A (ko)
AR (1) AR048789A1 (ko)
AU (2) AU2005245411B2 (ko)
BR (1) BRPI0511099A (ko)
CA (1) CA2564429A1 (ko)
MX (1) MXPA06013196A (ko)
PE (1) PE20060357A1 (ko)
RU (1) RU2408589C2 (ko)
TW (1) TW200602330A (ko)
WO (1) WO2005113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07202A1 (de) * 2005-03-31 2006-10-04 Speedel Experimenta AG Organische Verbindungen
WO2007011524A1 (en) * 2005-07-14 2007-01-25 Franco Folli Daily dosage regimen for treating diabetes, obsity, metabolic syndrome and polycystic ovary syndrome
WO2007050485A2 (en) * 2005-10-25 2007-05-03 Merck & Co., Inc. Combination of a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 and an anti-hypertensive agent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hypertension
DE102006014165A1 (de) * 2006-03-24 2007-09-27 Schebo Biotech Ag Neue Isooxazol-Derivate und deren Verwendungen
AR060901A1 (es) * 2006-05-12 2008-07-23 Jerini Ag Compuestos heterociclicos para la inhibicion de integrinas y uso de estos
WO2008035359A2 (en) * 2006-06-12 2008-03-27 Cadila Healthcare Limited Oximinophenoxyalkanoic acid and phenylalkanoic acid derivatives
US20080020014A1 (en) * 2006-07-19 2008-01-24 Paul Consigny Implantable devices containing nuclear receptor ligands for the treatment of vascular and related disorders
US7943619B2 (en) * 2007-12-04 2011-05-17 Hoffmann-La Roche Inc. Isoxazolo-pyridazine derivatives
AU2008333326B2 (en) 2007-12-04 2013-05-30 F. Hoffmann-La Roche Ag Isoxazolo-pyridine derivatives
AU2008333320B2 (en) * 2007-12-04 2012-12-20 F. Hoffmann-La Roche Ag Isoxazolo-pyrazine derivatives
ES2714453T3 (es) * 2008-06-09 2019-05-28 Univ Muenchen Ludwig Maximilians Fármacos para inhibir la agregación de proteínas implicadas en enfermedades relacionadas con enfermedades neurodegenerativas y/o agregación de proteínas
EP2545964A1 (en) 2011-07-13 2013-01-16 Phenex Pharmaceuticals AG Novel FXR (NR1H4) binding and activity modulating compounds
US8785435B2 (en) 2011-10-20 2014-07-22 Hoffmann-La Roche Inc. Solid forms
US8604062B2 (en) 2011-10-20 2013-12-10 Hoffman-La Roche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soxazolyl-methoxy nicotinic acids
US8652527B1 (en) 2013-03-13 2014-02-18 Upsher-Smith Laboratories, Inc Extended-release topiramate capsules
US9101545B2 (en) 2013-03-15 2015-08-11 Upsher-Smith Laboratories, Inc. Extended-release topiramate capsules
CN105030771B (zh) * 2015-04-10 2017-11-17 广州市爱菩新医药科技有限公司 连吡啶异恶唑类化合物作为法尼醇x受体激动剂的应用
CN105622536B (zh) * 2015-12-30 2018-06-29 商丘师范学院 一种三氟甲基化烯基异噁唑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622537A (zh) * 2016-03-01 2016-06-01 青岛大学 一种3,4,5-三取代异恶唑类化合物的合成方法
JP6678779B2 (ja) 2016-06-13 2020-04-08 ギリアード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Fxr(nr1h4)調節化合物
CA2968836A1 (en) 2016-06-13 2017-12-13 Gilead Sciences, Inc. Fxr (nr1h4) modulating compounds
AU2018243719B2 (en) 2017-03-28 2021-01-21 Gilead Sciences, Inc. Therapeutic combinations for treating liver diseases
AU2020209564B2 (en) 2019-01-15 2022-12-01 Gilead Sciences, Inc. FXR (NR1H4) modulating compounds
CA3233305A1 (en) 2019-02-19 2020-08-27 Gilead Sciences, Inc. Solid forms of fxr agonist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8996A (en) * 1935-11-22 1937-08-03 Hoffmann La Roche Double compounds of secondary amides of 3.5-dimethyl-isoxazole-4-carboxylic acid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ame
DE1670249B2 (de) * 1966-07-25 1974-07-18 Bristol-Myers Co., East Syracuse, N.Y. (V.St.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Isothiazolcarbonsäuren
GB1203040A (en) 1967-02-15 1970-08-26 Geigy Ag J R 5-nitro-2-furyl-isoxazoles and compositions thereof
US3466296A (en) 1967-05-16 1969-09-09 American Home Pro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 3,5-disubstituted-isoxazole-4-carboxylates
DE3247454A1 (de) 1982-12-22 1984-06-28 Laboratorios Bago S.A., Buenos Aires Substituierte 3-phenyl-5-methyl-isoxazol-4-carboxy-anil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IT1228288B (it) 1989-01-09 1991-06-07 Zambon Spa Composti ad attivita' antiserotoninica
DE4219247A1 (de) * 1992-06-12 1993-12-16 Bayer Ag Verwendung von 3-arylsubstituierten 5-Alkyl-isoxazol-4-carbonsäurederivaten zur Bekämpfung von Endoparasiten, neue 3-arylsubstituierte 5-Alkyl-isoxazol-4-carbonsäure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CA2247439A1 (en) 1996-02-27 1997-09-04 Sankyo Company, Limited Isoxazole derivatives
US6369070B1 (en) * 1998-04-08 2002-04-09 Eli Lilly And Company Methods for inhibiting mrp1
ES2255294T3 (es) * 1998-08-07 2006-06-16 Chiron Corporation Derivados de isoxazol sustituidos como moduladores del receptor de estrogenos.
WO2001016116A1 (en) * 1999-09-01 2001-03-08 Chemrx Advanced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synthesizing isoxazolines and isoxazoles
WO2001096346A1 (en) * 2000-06-14 2001-12-20 Eli Lilly And Company Tricyclic compounds as mrp1-inhibitors
GB0119911D0 (en) * 2001-08-15 2001-10-10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US6875780B2 (en) 2002-04-05 2005-04-05 Warner-Lambert Company Compounds that modulate PPAR activity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WO2004024939A2 (en) 2002-09-13 2004-03-25 Georgetown University Ligands for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nd methods of use thereof
ATE399165T1 (de) * 2003-09-12 2008-07-15 Rigel Pharmaceuticals Inc Chinolinverbindungen und deren verwend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45027A1 (en) 2007-01-24
AU2005245411A1 (en) 2005-12-01
US20080114044A1 (en) 2008-05-15
WO2005113519A1 (en) 2005-12-01
EP1745027A4 (en) 2009-06-03
PE20060357A1 (es) 2006-05-09
AU2005245411B2 (en) 2009-04-23
CA2564429A1 (en) 2005-12-01
AU2009202781A1 (en) 2009-07-30
US7820705B2 (en) 2010-10-26
JP2007537286A (ja) 2007-12-20
MXPA06013196A (es) 2007-02-14
RU2006144124A (ru) 2008-06-20
BRPI0511099A (pt) 2007-12-26
RU2408589C2 (ru) 2011-01-10
TW200602330A (en) 2006-01-16
CN1984894A (zh) 2007-06-20
AR048789A1 (es)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4993A (ko) Ppar 조절제로서의 화합물 및 조성물
KR20070043705A (ko) Ppar 조절제로서의 화합물 및 조성물
KR100929069B1 (ko) Ppar 조절제로서의 화합물 및 조성물
KR20070026503A (ko) Ppar 조절제로서의 화합물 및 조성물
EP1979360B1 (en)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ppar modulators
JP2009514974A (ja) Pparモジュレーターとしての化合物および組成物
AU2007208156A1 (en) Spiro imidazole derivatives as PPAR modulators
JP2009525275A (ja) 多環式1,2,3,4−テトラヒドロ−イソキノリン誘導体およびpparモジュレーターとしてのそれらを含む組成物
KR20080059635A (ko) Ppar 조절제로서의 화합물 및 조성물
KR20080059633A (ko) 옥사졸 및 티아졸 ppar 조절제
KR20070030791A (ko) Ppar 조절제로서의 화합물 및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